KR100580238B1 - 조명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조명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0238B1
KR100580238B1 KR1020030086177A KR20030086177A KR100580238B1 KR 100580238 B1 KR100580238 B1 KR 100580238B1 KR 1020030086177 A KR1020030086177 A KR 1020030086177A KR 20030086177 A KR20030086177 A KR 20030086177A KR 100580238 B1 KR100580238 B1 KR 100580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emitting
edge
guide portion
ligh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6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8823A (ko
Inventor
미나미순지
아마노마사오
마루카와미치오
고바야시가츠야
Original Assignee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48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8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0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0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9/00Indicating the time by visual means
    • G04B19/30Illumination of dials or hands
    • G04B19/32Illumination of dials or hands by luminescent substan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9/00Indicating the time by visual means
    • G04B19/30Illumination of dials or hands
    • G04B19/305Illumination of dials or hands the hands carrying the light sour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tails Of Measuring Device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목시계, 휴대전화기, 자동차의 계기류 등의 각종 기기에 적용하여 유용한 조명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광투과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테두리상의 도광부(15)와 비투과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테두리상의 차광부(16)를 2색성형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한 구획부재(13)와, 도광부(15)의 소정 부분에 대응하여 배치된 발광소자(14)를 구비하고 있으며, 발광소자(14)에서 발광한 빛이 도광부(15)에 조사되면, 이 도광부(15)에서 인도되면서 구획부재(13)의 내측을 향하여 방출되고, 문자판(10) 및 지침(11)에 발광소자(14)의 빛이 양호하게 조사되며, 또 구획부재(13)가 도광부(15)와 차광부(16)를 2색성형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광부, 차광부, 구획부재, 발광소자, 문자판, 지침

Description

조명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전자기기{LIGHTING EQUIPMENT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을 지침식의 손목시계에 적용한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낸 주요부의 확대단면도.
도 2는 도 1의 시계모듈을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도 2의 구획부재의 발광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도 3의 구획부재의 A-A화살표시에 있어서의 확대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을 지침식의 손목시계에 적용한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낸 주요부의 확대단면도.
도 6은 도 5의 시계모듈을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도 6의 각 지침을 각각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을 지침식의 손목시계에 적용한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낸 주요부의 확대단면도.
도 9는 도 8의 시계모듈을 나타낸 정면도.
도 10은 도 9의 구획부재의 발광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11은 도 10의 구획부재의 B-B화살표시에 있어서의 확대단면도.
도 12는 구획부재의 도광부에 설치된 발광층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낸 주요부 의 확대단면도.
도 13은 구획부재의 도광부에 설치된 발광층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낸 주요부의 확대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을 지침식의 손목시계에 적용한 제 4 실시형태를 나타낸 주요부의 확대단면도.
도 15는 도 14의 시계모듈을 나타낸 정면도.
도 16은 도 14의 구획부재의 주요부를 확대한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을 지침식의 손목시계에 적용한 제 5 실시형태를 나타낸 주요부의 확대단면도.
도 18은 도 17의 시계모듈을 나타낸 정면도.
도 19는 도 17의 구획부재의 주요부를 확대한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을 디지털식의 손목시계에 적용한 제 6 실시형태를 나타낸 주요부의 확대단면도.
도 21은 도 20의 시계모듈을 나타낸 정면도.
도 22는 본 발명을 휴대전화기에 적용한 제 7 실시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3은 도 22의 C-C화살표시에 있어서의 확대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손목시계케이스 2: 시계유리
3, 40: 시계모듈 6: 조명장치
10: 문자판 11: 지침
13: 구획부재 14: 발광소자
15: 도광부 16: 차광부
20: 자외선발광소자 21: 발광부
23, 24, 26: 발광층 30: 발광재
35: 반사면 36: 광입사부
37: 광방출부 41: 액정표시소자
50: 기기케이스 53: 보호유리
56: 모듈
본 발명은 손목시계, 휴대전화기, 자동차의 계기류 등의 각종 기기에 적용하여 유용한 조명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손목시계에 있어서는, 손목시계케이스내의 소정 부분에 인간의 눈에 보이는 가시광선영역의 빛을 발광하는 발광다이오드(LED) 등의 램프를 설치하고, 어두운 곳에서 램프를 점등시켜서 문자판이나 지침 등의 표시부재를 조명함으로써 어두운 곳에서도 시각을 알 수 있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종류의 손목시계는 문자판의 12시와 6시의 위치에 장식부재를 설치하고, 이 장식부재의 이면에 LED를 각각 배치하는 동시에, 문자판과 일체로 설치된 도광판의 이면에 문자판면에서 파상(波狀)의 장식을 나타내는 복수의 볼록부를 설치함 으로써 이 도광판의 복수의 볼록부에 의하여 LED로부터의 빛이 문자판의 정면에 조사되는 면적을 확대하고, 조명에 의한 시인성(視認性)을 높이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손목시계에서는 문자판의 장식부재의 이면측에 LED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손목시계 전체가 두꺼워질 뿐만 아니라 문자판에 장식부재를 설치하거나 문자판에 도광판을 설치하지 않으면 안되고, 이 때문에 문자판이 제약되어 자유로운 디자인의 것을 얻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 이 손목시계에서는 시계유리의 외주부와 문자판의 외주부의 사이에 배치된 구획부재가 시계유리를 통하여 문자판이 보이는 범위를 규제하는 구획기능의 역할밖에 완수하고 있지 않고, 이 때문에 구획부재의 기능성 및 디자인성이 결여된다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구획부재 등의 테두리상 부재를 통하여 발광소자의 빛을 문자판 등의 표시부재에 양호하게 조사할 수 있고, 또한 표시부재를 제약하지 않고 테두리상 부재의 기능성 및 디자인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은 광투과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테두리상의 도광부와 비투과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테두리상의 차광부를 2색성형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한 테두리상 부재와, 이 테두리상 부재의 상기 도광부의 외주측에 있어서의 소정 부분에 대응하여 배치된 발광소자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광소자를 발광시키면 그 빛이 테두리상 부재의 도광부에 조사되고, 이 조사된 빛이 도광부에서 인도되면서 테두리상 부재로 둘러싸인 영역내를 향하여 방출되기 때문에 발광소자의 빛을 테두리상 부재로 둘러싸인 영역내 의 표시부재에 양호하게 조사할 수 있으며, 이 때문에 예를 들면 발광소자가 가시광선영역의 빛을 발광하면 어두운 곳에서도 표시부재를 양호하게 조명할 수 있고, 또 테두리상 부재가 광투과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테두리상의 도광부와 비투과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테두리상의 차광부를 2색성형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한 구조이기 때문에 표시부재를 제약하지 않고 테두리상 부재를 임의의 자유로운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테두리상 부재의 기능성 및 디자인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또 다른 발명은 조명장치와, 이 조명장치를 수납하는 기기케이스를 구비하고 있으며, 조명장치는 광투과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테두리상의 도광부와 비투과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테두리상의 차광부를 2색성형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한 테두리상 부재와, 이 테두리상 부재의 상기 도광부의 외주측에 있어서의 소정 부분에 대응하여 배치된 발광소자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기기케이스에는 창부가 설치되며, 이 창에 대응하여 상기 조명장치의 상기 테두리상 부재로 둘러싸이는 영역내에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명장치에 의하여 표시부재에 발광소자의 빛을 양호하게 조사할 수 있는 동시에, 테두리상 부재가 광투과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테두리상의 도광부와 비투과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테두리상의 차광부를 2색성형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한 구조이기 때문에 표시부재를 제약하지 않고 테두리상 부재를 임의의 자유로운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테두리상 부재의 기능성 및 디자인성의 구조를 꾀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
이하 도 1∼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지침식의 손목시계에 적용한 제 1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지침식의 손목시계를 나타낸 주요부의 확대단면도, 도 2는 그 시계모듈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 지침식의 손목시계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목시계케이스(1)를 구비하고 있다. 이 손목시계케이스(1)의 상부 중앙에는 시계유리(2)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 손목시계케이스(1)의 내부에는 시계모듈(3)이 수납되어 있다. 또 이 손목시계케이스(1)의 하부에는 안덮개(4)가 방수링(5)을 통하여 부착되어 있다.
시계모듈(3)은 아날로그기능과 디지털기능 중 적어도 아날로그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외에 조명장치(6)도 구비하고 있으며,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7)에 설치된 아날로그무브먼트(8)의 지침축(9)이 문자판(10)의 관통구멍(10a)을 통하여 그 위쪽으로 돌출하고, 이 돌출한 지침축(9)의 상단부에 시침, 분침, 초침 등의 지침(11)이 부착되며, 이 지침(11)이 문자판(10)의 위쪽을 운침(運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문자판(10) 및 지침(11)이 시각을 표시하는 표시부재를 구성하고 있다. 또 이 문자판(10)의 상면에는 시자(時字)(12)가 둘레가장자리부를 따라서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 시계모듈(3)의 조명장치(6)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계유리(3)와 하우징(7)의 사이에 위치하는 손목시계케이스(1)의 내주면을 따라서 배 치된 구획부재(13)와, 이 구획부재(13)의 12시와 6시에 위치하는 하측에 배치된 발광소자(14)를 구비하고 있다. 구획부재(13)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계유리(2)를 통하여 문자판(10)이 보이는 범위를 규제하기 위한 것으로,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원형의 링상을 이루는 테두리상 부재이고, 광투과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테두리상의 도광부(15)와 비투과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테두리상의 차광부(16)를 2색성형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경우 도광부(15)는 전체가 대략 원형의 링상으로 형성되고, 그 소정 부분, 즉 시자(12)에 대응하는 부분에 직사각형의 돌기편(15a)이 각각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이들 돌기편(15a)의 각 상면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사면에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차광부(16)도 대략 원형의 링상으로 형성되고, 도광부(15)의 내주부 및 각 돌기편(15a)을 노출시킨 상태에서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광부(15)의 상부 외주에 배치되고, 또한 그 소정 부분에 도광부(15)의 돌기편(15a)의 양측 및 외주측을 둘러싸는 장식부(16a)가 각각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발광소자(14)는 백색광 등의 가시광선영역의 빛을 발광하는 발광다이오드(LED) 또는 백색램프 등으로 구성되고,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획부재(13)의 도광부(15)의 외주측에 있어서의 하면에 대응한 상태로 하우징(7)상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지침식의 손목시계에 따르면, 발광소자(14)를 발광시키면 인간의 눈에 보이는 가시광선영역의 빛이 구획부재(13)의 도광부(15)에 조사되고, 이 조사된 가시광선영역의 빛이 도광부(15)에서 구획부재(13)를 따라서 인도되면서 구획부 재(13)로 둘러싸인 영역내를 향하여 방출되기 때문에, 이 방출된 가시광선영역의 빛에 의하여 문자판(10) 및 지침(11)을 조명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어두운 곳에서도 시각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도광부(15)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체가 대략 링상으로 형성되고, 이 도광부(15)의 상부 외주에 차광부(16)가 도광부(15)의 내주부를 노출시킨 상태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문자판(10)을 그 전체외주측으로부터 조명할 수 있다.
이 때에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광부(15)의 소정 부분, 즉 시자(12)에 대응하는 부분에 직사각형의 돌기편(15a)이 각각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이들 돌기편(15a)의 상면이 경사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광부(15)에서 인도된 빛을 각 돌기편(15a)으로부터 집중시켜서 방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시자(12)에 대응하는 부분을 그 주변부분보다도 밝게 조명할 수 있고, 이 때문에 선명하게 시각을 알 수 있다. 또 구획부재(13)는 광투과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테두리상의 도광부(15)와 비투과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테두리상의 차광부(16)를 2색성형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한 구성이기 때문에 문자판(10) 및 지침(11)을 제약하지 않고 구획부재(13)를 임의의 자유로운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구획부재(13)의 기능성 및 디자인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5∼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지침식의 손목시계에 적용한 제 2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도 1∼도 4에 나타내어진 제 1 실시형태와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이 지침식의 손목시계는 발광소자로서 자외선발광소자(20)를 이용하고, 문자판(10) 및 지침(11)에 발광부(21)를 각각 설치한 구조이며, 이 이외는 제 1 실시형태와 대략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자외선발광소자(20)는 파장이 365∼385nm(나노미터: 나노미터는 10억분의 1미터)의 자외선영역의 빛을 발광하는 자외선발광다이오드(LED) 또는 자외선등 등의 발광소자로 구성되고,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7)상에 있어서의 외주부의 소정 부분, 예를 들면 12시와 6시의 부분에 있어서의 구획부재(13)의 도광부(15)의 하측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발광부(21)는 자외선영역의 빛에 반응하여 가시광선영역의 빛을 발광하는 것으로,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문자판(10)의 시자(12) 및 지침(11)의 선단부분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지침식의 손목시계에 따르면, 자외선발광소자(20)를 발광시키면 인간의 눈에 보이지 않는 자외선영역의 빛이 구획부재(13)의 도광부(15)에 조사되고, 이 조사된 자외선영역의 빛이 도광부(15)에서 구획부재(13)를 따라서 인도되면서 구획부재(14)로 둘러싸인 영역내를 향하여 방출되며, 이 방출된 자외선영역의 빛이 문자판(10) 및 지침(11)에 조사된다. 이 때문에 문자판(10)의 시자(12) 및 지침(11)의 선단부분에 각각 설치된 발광부(21)가 자외선영역의 빛에 반응하여 인간의 눈에 보이는 가시광선영역의 빛을 발광하고, 이들 발광부(21)에서 발광한 가시광선영역의 빛에 의하여 문자판(10) 및 지침(11)을 시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어두운 곳에서도 시각을 알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도광부(15)의 소정 부분, 즉 시자(12)에 대응하는 부분에 직사 각형의 돌기편(15a)이 각각 형성되고, 이들 돌기편(15a)의 각 상면이 경사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각 시자(12)에 대응하는 부분에 자외선영역의 빛을 집중시켜서 조사할 수 있으며, 이 때문에 각 시자(12)의 발광부(21) 및 지침(11)의 발광부(21)를 충분히 발광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선명하게 시각을 알 수 있다. 또 구획부재(13)가 테두리상의 도광부(15)와 테두리상의 차광부(16)를 2색성형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한 구성이기 때문에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문자판(10) 및 지침(11)을 제약하는 일 없이 구획부재(13)를 임의의 자유로운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구획부재(13)의 기능성 및 디자인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8∼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지침식의 손목시계에 적용한 제 3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도 5∼도 7에 나타내어진 제 2 실시형태와 동일부분에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이 지침식의 손목시계는 구획부재(13)의 도광부(15)의 소정 부분에 발광층(23)을 설치한 구조이고, 이 이외는 제 2 실시형태와 대략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즉 발광층(23)은 제 2 실시형태의 발광부(21)와 마찬가지로 자외선영역의 빛에 반응하여 가시광선영역의 빛을 발광하는 것으로, 문자판(10)의 시자(12)에 대응하는 도광부(15)의 각 돌기편(15a)의 상면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도광부(15)의 각 돌기편(15a)은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상면이 각각 경사면에 형성되고, 이들 경사면에 오목부(15b)가 각각 설치되며, 이들 오목부(15b)내에 발광층(23)이 각각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지침식의 손목시계에 따르면, 제 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자외선발광소자(20)를 발광시키면 인간의 눈에 보이지 않는 자외선영역의 빛이 구획부재(13)의 도광부(15)에 조사되고, 이 조사된 자외선영역의 빛이 도광부(15)에서 구획부재(13)를 따라서 인도되면서 구획부재(14)로 둘러싸인 영역내를 향하여 방출되는 동시에, 문자판(10)의 시자(12)에 대응하는 도광부(15)의 각 돌기편(15a)에 각각 설치된 각 발광층(23)에 도광부(15)에서 인도된 자외선영역의 빛이 조사되고, 이에 따라 각 발광층(23)이 각각 자외선영역의 빛에 반응하여 가시광선영역의 빛을 발광한다. 이 때문에 구획부재(13)의 도광부(15)로부터는 자외선영역의 빛과 각 발광층(23)에서 발광한 가시광선영역의 빛의 양쪽이 방출된다.
이 때문에 문자판(10) 및 지침(11)은 자외선영역의 빛과 가시광선영역의 빛의 양쪽이 조사되고, 이에 따라 가시광선영역의 빛으로 문자판(10) 및 지침(11)이 조명되는 동시에, 문자판(10)의 시자(12) 및 지침(11)에 각각 설치된 발광부(21)가 자외선영역의 빛에 반응하여 가시광선영역의 빛을 발광하기 때문에 문자판(10) 및 지침(11)을 제 2 실시형태의 것보다도 밝게 조명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구획부재(13)가 테두리상의 도광부(15)와 테두리상의 차광부(16)를 2색성형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한 구성이기 때문에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문자판(10) 및 지침(11)을 제약하는 일 없이 구획부재(13)를 임의의 자유로운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구획부재(13)의 기능성 및 디자인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실시형태에서는 도광부(15)의 각 돌기편(15a)의 상면에 발광층(23)을 설치한 경우에 대하여 서술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12 또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성해도 좋다. 즉 도 12에 나타내어진 제 1 변형예는 링상의 도광부(15)의 상면 전체, 즉 도광부(15)의 각 돌기편(15a)을 포함하는 모든 상면에 발광층(24)을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자외선발광소자(20)로부터의 자외선영역의 빛이 도광부(15)에 조사되면 자외선영역의 빛이 도광부(15)에서 인도되어 도광부(15)의 상면 전체에 설치된 모든 발광층(24)에 조사되고, 이에 따라 발광층(24)이 가시광선영역의 빛을 발광하여 문자판(10) 및 지침(11)을 그 전체외주측으로부터 조명하기 때문에 문자판(10) 및 지침(11)에 발광부(21)를 설치하지 않아도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문자판(10) 및 지침(11)을 밝게 조명할 수 있다.
또 도 13에 나타내어진 제 2 변형예는 도광부(15)의 상면에 기호나 도형 또는 무늬 등의 장식층(25)을 설치하는 동시에, 이 도광부(15)의 상면 전체에 장식층(25)을 덮어서 발광층(26)을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도광부(15)에 조사되어 인도된 자외선영역의 빛이 장식부(25)를 통하여 발광층(26)에 조사되고, 이에 따라 발광층(26)이 장식부(25)의 기호나 도형 또는 무늬 등의 장식에 따라서 가시광선영역의 빛을 발광하기 때문에 문자판(10) 및 지침(11)에 발광부(21)를 설치하지 않아도 문자판(10) 및 지침(11)을 그 전체외주측으로부터 밝게 조명할 수 있는 동시에, 장식층(25)에 의하여 장식성이 높은 것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실시형태 및 그 각 변형예에서는 도광부(15)의 상면에 발광층(23, 24, 26)을 설치했는데, 반드시 도광부(15)의 상면에 발광층(23, 24, 26)을 설치할 필요는 없고, 도광부(15)의 하면에 발광층(23, 24, 26)을 설치한 구조이어도 좋다. 이 경우 도광부(15)의 하면에 설치된 발광층(23, 24, 26) 중 제 1, 제 2 변형예의 발광층(24, 26)은 자외선발광소자(20)에 대응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도광부(15)의 하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도 제 3 실시형태 및 그 각 변형예와 대략 똑같은 작용효과가 있다.
[제 4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14∼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지침식의 손목시계에 적용한 제 4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도 5∼도 7에 나타내어진 제 2 실시형태와 동일부분에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이 지침식의 손목시계는 도광부(15) 속에 발광재(30)를 혼입한 구조이고, 이 이외는 제 2 실시형태와 대략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이 발광재(30)는 제 2 실시형태의 발광부(21)와 마찬가지로 자외선영역의 빛에 반응하여 가시광선영역의 빛을 발광하는 물질로 이루어져 있다. 또 이 발광재(30)는 도광부(15) 속에 혼입되는 밀도가 자외선발광소자(20)의 근처에서 낮고, 자외선발광소자(20)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점차 높아지며, 또한 돌기편(15a)의 밀도가 도광부(15)의 링상의 부분보다도 높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경우에는 문자판(10) 및 지침(11)에 발광부(21)를 설치할 필요는 없다.
이와 같은 지침식의 손목시계에 따르면, 제 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자외선발광소자(20)를 발광시키면 인간의 눈에 보이지 않는 자외선영역의 빛이 구획부재(13)의 도광부(15)에 조사되고, 이 조사된 자외선영역의 빛이 도광부(15) 에서 구획부재(13)를 따라서 인도될 때에 도광부(15) 속에 혼입된 발광재(30)가 자외선영역의 빛에 반응하여 가시광선영역의 빛을 발광하기 때문에, 이 발광한 가시광선영역의 빛이 구획부재(14)로 둘러싸인 영역내를 향하여 방출되고, 이 방출된 가시광선영역의 빛으로 문자판(10) 및 지침(11)을 조명할 수 있으며, 이 때문에 어두운 곳에서도 시각을 알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도광부(15) 속에 혼입된 발광재(30)의 밀도가 자외선발광소자(20)의 근처에서 낮고, 자외선발광소자(20)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점차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도광부(15)의 내주면으로부터 대략 균일한 휘도로 가시광선영역의 빛을 방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문자판(10) 및 지침(11)을 대략 균일한 밝기로 조명할 수 있다. 또 도광부(15)의 각 돌기편(15a)의 밀도가 도광부(15)의 링상의 부분보다도 높아져 있기 때문에 도광부(15)의 각 돌기편(15a)의 휘도를 그 주변부분보다도 높게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문자판(10)의 각 시자(12)에 대응하는 부분을 밝게 조명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구획부재(13)가 테두리상의 도광부(15)와 테두리상의 차광부(16)를 2색성형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한 구성이기 때문에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문자판(10)을 제약하는 일이 없고, 구획부재(13)를 임의의 자유로운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구획부재(13)의 기능성 및 디자인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제 5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17∼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지침식의 손목시계에 적용한 제 5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도 1∼도 4에 나타내어진 제 1 실 시형태와 동일부분에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이 지침식의 손목시계는 구획부재(13)의 도광부(15)에 반사면(35)을 대략 전역에 걸쳐서 설치한 구조이고, 이 이외는 제 1 실시형태와 대략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이 조명장치(6)는 구획부재(13)에 있어서의 12시와 6시에 위치하는 하측에 가시광선영역의 빛을 발광하는 발광다이오드 등의 발광소자(14)를 배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구획부재(13)의 도광부(15)에는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광소자(14)로부터의 빛이 입사하는 광입사부(36) 및 이 광입사부(36)로부터 입사한 빛을 구획부재(13)의 내측을 향하여 방출하는 광방출부(37)를 제외하고 반사면(35)이 전역에 걸쳐서 증착이나 도금에 의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광입사부(36)는 도광부(15)의 외주측의 하면에 있어서의 소정 부분, 즉 발광소자(14)와 대응하는 12시와 6에 위치하는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광방출부(37)는 도광부(15)의 내측에 위치하는 선단측의 내주면의 전역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지침식의 손목시계에 따르면, 발광소자(14)를 발광시키면 인간의 눈에 보이는 가시광선영역의 빛이 구획부재(13)의 도광부(15)의 광입사부(36)로부터 입사하고, 이 입사한 가시광선영역의 빛이 도광부(15)에서 구획부재(13)를 따라서 인도될 때에 도광부(15)의 반사면(35)에서 반사를 반복하면서 인도되고, 이 인도된 가시광선영역의 빛이 도광부(15)의 선단측의 내주면의 전역에 걸쳐서 설치된 광방출부(37)로부터 방출되기 때문에, 이 방출된 가시광선영역의 빛에 의하여 문자판(10) 및 지침(11)을 그 외주측으로부터 조명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어두운 곳 에서도 시각을 알 수 있다.
이 때에는 도광부(15)의 광입사부(36) 및 광방출부(37)를 제외하고 도광부(15)의 전역에 걸쳐서 반사면(35)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도광부(15)에 입사한 빛을 반사면(35)에서 반사를 반복하여 인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광부(15)에 입사한 빛을 손실시키는 일 없이 효율 좋게 인도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도광부(15)의 선단측의 내주면의 전역에 걸쳐서 설치된 광방출부(37)로부터 집중시켜서 가시광선영역의 빛을 방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문자판(10)을 전체둘레측으로부터 밝게 조명할 수 있다.
이 경우 구획부재(13)는 미리 도광부(15)를 형성하고, 그 표면에 광입사부(36) 및 광방출부(37)를 제외하고 반사면(35)을 증착이나 도금 등에 의해 형성하며, 이 반사면(35)이 형성된 도광부(15)와 차광부(16)를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문자판(10) 및 지침(11)을 제약하는 일 없이 구획부재(13)를 임의의 자유로운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구획부재(13)의 기능성 및 디자인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5 실시형태에서는 발광소자로서 가시광선영역의 빛을 발광하는 발광소자(14)를 이용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제 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발광소자로서 자외선발광소자(20)를 이용하고, 문자판(10)의 시자(12) 및 지침(11)의 선단부분에 자외선영역의 빛에 반응하여 가시광선영역의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21)를 각각 설치한 구성이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자외선발광소자(20)에서 발광한 인간의 눈에 보이지 않는 자외선영역의 빛이 도광 부(15)의 광입사부(36)로부터 입사하여 이 도광부(15)에서 인도될 때에 제 5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도광부(15)의 반사면(35)에서 반사를 반복하면서 인도되고, 이 인도된 자외선영역의 빛이 도광부(15)의 광방출부(37)로부터 방출되어 문자판(10) 및 지침(11)에 조사되기 때문에 제 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문자판(10)의 시자(12) 및 지침(11)에 설치된 발광부(21)가 자외선영역의 빛에 반응하여 가시광선영역의 빛을 발광하고, 이 발광한 가시광선영역의 빛에 의하여 문자판(10) 및 지침(11)을 조명할 수 있다.
또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제 4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발광소자로서 자외선발광소자(20)를 이용하고, 또한 구획부재(13)의 도광부(15) 속에 자외선영역의 빛에 반응하여 가시광선영역의 빛을 발광하는 발광재(30)를 혼입시킨 구조이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문자판(10) 및 지침(11)에 발광부(21)를 설치할 필요는 없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자외선발광소자(20)에서 발광한 자외선영역의 빛이 도광부(15)의 광입사부(36)로부터 입사하면, 이 입사한 자외선영역의 빛이 도광부(15)의 반사면(35)에서 반사를 반복하여 인도되면서 도광부(15) 속의 발광재(30)에 조사되기 때문에, 이 도광부(15) 속의 발광재(30)가 자외선영역의 빛에 반응하여 가시광선영역의 빛을 발광하고, 이 발광한 가시광선영역의 빛이 도광부(15)의 반사면(35)에서 반사를 반복하면서 인도되어 도광부(15)의 광방출부(37)로부터 방출되고, 이에 따라 문자판(10) 및 지침(11)을 밝게 조명할 수 있다.
[제 6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디지털식의 손목시계에 적용 한 제 6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에도 도 1∼도 4에 나타내어진 제 1 실시형태와 동일부분에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이 디지털식의 손목시계는 손목시계케이스(1)내에 수납된 시계모듈(40)이 디지털기능을 구비한 구조이고, 이 이외는 제 1 실시형태와 대략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이 시계모듈(40)은 문자판(10) 및 지침(11)의 표시부재에 대신하여 액정표시소자(41)를 하우징(42)상에 설치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 액정표시소자(41)는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 한쌍의 투명한 전극기판(43, 44)간에 액정(도시하지 않음)을 봉입하고, 상측의 전극기판(43)의 상면과 하측의 전극기판(44)의 하면에 각각 편광판(45, 46)을 설치하며, 하측의 편광판(46)의 하면에 반사판(47)을 설치하고, 상측의 전극기판(43)의 양단부분을 하우징(42)내에 설치된 회로기판(도시하지 않음)에 전기적으로 접속한 상태로 지지하며, 이 상태에서 한쌍의 전극기판(43, 44)간에 선택적으로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시각 등의 정보를 전기광학적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시계모듈(40)은 조명장치(6)를 구비하고 있다. 이 조명장치(6)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시계유리(3)와 하우징(42)의 사이에 위치하는 손목시계케이스(1)의 내주면을 따라서 배치된 구획부재(13)와, 이 구획부재(13)의 12시와 6시에 위치하는 하측에 배치된 발광소자(14)를 구비하고 있다. 구획부재(13)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대략 원형의 링상을 이루는 테두리상 부재이며, 광투과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테두리상의 도광부(15)와 비투과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테두리상의 차광부(16)를 2색성형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한 구조로 되어 있다. 또 발 광소자(14)는 백색광 등의 가시광선영역의 빛을 발광하는 발광다이오드(LED) 또는 백색램프 등으로 구성되고,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획부재(13)의 도광부(15)의 외주측에 있어서의 12시와 6시에 위치하는 하면에 대응한 상태로 하우징(42)상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디지털식의 손목시계에 따르면,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발광소자(14)를 발광시키면 인간의 눈에 보이는 가시광선영역의 빛이 구획부재(13)의 도광부(15)에 조사되고, 이 조사된 가시광선영역의 빛이 도광부(15)에서 구획부재(13)를 따라서 인도되면서 구획부재(13)로 둘러싸인 영역내를 향하여 방출되기 때문에 액정표시소자(41)를 조명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어두운 곳에서도 시각 등의 정보를 시인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도광부(15)는 전체가 대략 원형의 링상으로 형성되고, 이 도광부(15)의 상부 외주에 차광부(16)가 도광부(15)의 내주부를 노출시킨 상태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액정표시소자(41)를 그 전체외주측으로부터 조명할 수 있다. 또 구획부재(13)가 테두리상의 도광부(15)와 테두리상의 차광부(16)를 2색성형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한 구성이기 때문에 액정표시소자(41)를 제약하는 일이 없고, 구획부재(13)를 임의의 자유로운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구획부재(13)의 기능성 및 디자인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제 7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휴대전화기에 적용한 제 7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내어진 제 6 실시형태와 동일부분에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이 휴대전화기는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합성수지제의 기기케이스(50)를 구비하고 있다. 이 기기케이스(50)는 위케이스(51)와 아래케이스(52)를 접합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경우 위케이스(51)의 상면에 있어서의 상부측에는 대략 원형상의 개구부가 설치되고, 이 개구부에는 창부에 상당하는 대략 원형의 투명한 보호유리(53)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 위케이스(51)의 상면에 있어서의 하부측에는 전화기능에 필요한 각종 키버튼(54)이 설치되어 있다. 또 이 기기케이스(50)의 상단면에는 안테나(55)가 출몰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기기케이스(50)의 내부에는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휴대전화기용의 모듈(56)이 수납되어 있다. 이 휴대전화기용의 모듈(56)은 휴대전화기능에 필요한 각종 부품을 구비한 것으로, 하우징(57)에, 전화에 필요한 정보를 표시하는 액정표시소자(41)가 보호유리(53)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보호유리(53)의 외주부에 대응하여 조명장치(6)가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액정표시소자(41)는 제 6 실시형태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또 조명장치(6)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보호유리(53)의 외주부와 하우징(57)의 사이에 배치된 구획부재(13)와, 이 구획부재(13)의 3시와 9시에 위치하는 하측에 배치된 발광소자(14)를 구비하고 있다.
구획부재(13)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전체가 대략 원형의 링상을 이루는 테두리상 부재이고, 광투과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테두리상의 도광부(15)와 비투과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테두리상의 차광부(16)를 2색성형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한 구조로 되어 있다. 또 발광소자(14)는 백색광 등의 가시광선영역의 빛을 발광 하는 발광다이오드(LED) 또는 백색램프 등으로 구성되고,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획부재(13)의 도광부(15)의 외주측에 있어서의 3시와 9시에 위치하는 하면에 대응한 상태로 하우징(57)상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휴대전화기에 따르면, 제 6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발광소자(14)를 발광시키면 인간의 눈에 보이는 가시광선영역의 빛이 구획부재(13)의 도광부(15)에 조사되고, 이 조사된 가시광선영역의 빛이 도광부(15)에서 구획부재(13)를 따라서 인도되면서 구획부재(13)로 둘러싸인 영역내를 향하여 방출되기 때문에 액정표시소자(41)를 조명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어두운 곳에서도 액정표시소자(41)에 표시된 정보를 시인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도광부(15)는 전체가 대략 원형의 링상으로 형성되고, 이 도광부(15)의 상부 외주에 차광부(16)가 도광부(15)의 내주부를 노출시킨 상태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액정표시소자(41)를 그 전체외주측으로부터 조명할 수 있다. 또 구획부재(13)가 테두리상의 도광부(15)와 테두리상의 차광부(16)를 2색성형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한 구성이기 때문에 액정표시소자(41)를 제약하는 일이 없고, 구획부재(13)를 임의의 자유로운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구획부재(13)의 기능성 및 디자인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6 실시형태의 디지털식의 손목시계 및 제 7 실시형태의 휴대전화기에서는 발광소자로서 가시광선영역의 빛을 발광하는 발광소자(14)를 이용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제 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발광소자로서 자외선발광소자(20)를 이용하고, 액정표시소자(41)의 상면에는 자외선영역의 빛에 반응 하여 가시광선영역의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21)를 표시영역을 제외하고 설치한 구성이어도 좋다. 이 경우 발광부(21)는 자외선영역의 빛이 조사되지 않을 때에 투명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자외선발광소자(20)에서 발광한 인간의 눈에 보이지 않는 자외선영역의 빛이 도광부(15)에서 구획부재(13)를 따라서 인도되면서 구획부재(13)로 둘러싸인 영역내를 향하여 방출되고, 이 방출된 자외선영역의 빛이 액정표시소자(41)에 조사되기 때문에, 이 조사된 자외선영역의 빛에 발광부(21)가 반응하여 가시광선영역의 빛을 발광하고, 이에 따라 액정표시소자(41)에 표시된 정보를 시인할 수 있다.
또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제 3 실시형태 및 그 제 1, 제 2 변형예와 마찬가지로 발광소자로서 자외선발광소자(20)를 이용하고, 또한 구획부재(13)의 도광부(15)의 소정 부분, 즉 도광부(15)의 돌기편(15a)의 상면만에 자외선영역의 빛에 반응하여 가시광선영역의 빛을 발광하는 발광층(23)을 설치한 구조이어도 좋고, 또 도광부(15)의 상면 전체에 자외선영역의 빛에 반응하여 가시광선영역의 빛을 발광하는 발광층(24, 26)을 설치한 구조이어도 좋다. 또한 도광부(15)의 상면 전체에 발광층(24, 26)을 설치한 경우에는 액정표시소자(41)의 상면에 발광부(21)를 설치할 필요는 없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자외선발광소자(20)에서 발광한 자외선영역의 빛이 도광부(15)에서 인도되면서 발광층(23, 24, 26)에 조사되고, 이 발광층(23, 24, 26)이 자외선영역의 빛에 반응하여 가시광선영역의 빛을 발광하며, 이 발광한 가시광선영역의 빛이 구획부재(13)로 둘러싸인 영역내를 향하여 방출되기 때문에, 이 방 출된 가시광선영역의 빛으로 액정표시소자(41)를 조명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어두운 곳에서도 액정표시소자(41)에 표시된 정보를 시인할 수 있다.
또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제 4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발광소자로서 자외선발광소자(20)를 이용하고, 또한 구획부재(13)의 도광부(15) 속에 자외선영역의 빛에 반응하여 가시광선영역의 빛을 발광하는 발광재(30)를 혼입시킨 구조이어도 좋다. 이 경우에도 액정표시소자(41)의 상면에 발광부(21)를 설치할 필요는 없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자외선발광소자(20)에서 발광한 자외선영역의 빛이 도광부(15)에 입사하면, 이 입사한 자외선영역의 빛이 도광부(15)에서 인도되면서 도광부(15) 속의 발광재(30)가 자외선영역의 빛에 반응하여 가시광선영역의 빛을 발광하고, 이 발광한 가시광선영역의 빛이 구획부재(13)로 둘러싸인 영역내를 향하여 방출되기 때문에, 이 방출된 가시광선영역의 빛으로 액정표시소자(41)를 조명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어두운 곳에서도 액정표시소자(41)에 표시된 정보를 시인할 수 있다.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제 5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도광부(15)에 반사면(35)을, 광입사부(36) 및 광방출부(37)를 제외하는 전역에 걸쳐서 증착이나 도금에 의하여 설치한 구조이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발광소자(14)에서 발광한 가시광선영역의 빛이 도광부(15)의 광입사부(36)로부터 입사하고, 이 입사한 가시광선영역의 빛이 도광부(15)에서 인도될 때에 도광부(15)의 반사면(35)에서 반사를 반복하면서 인도되기 때문에 도광부(15)에 입사한 빛을 손실시키는 일 없이 효율 좋게 인도할 수 있고, 이 때문에 도광부(15)의 광방출부(37)로부터 집중 시켜서 방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액정표시소자(41)를 밝게 조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제 7 실시형태 및 그 각 변형예에서는 구획부재(13)가 대략 원형의 링상으로 형성되고, 이에 동반하여 도광부(15)도 대략 원형의 링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대하여 서술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사각형이나 오각형 등의 다각형의 링상으로 형성해도 좋고, 또 타원형의 링상으로 형성해도 좋다.
또 상기 제 1∼제 7 실시형태 및 그 각 변형예에서는 구획부재(13)의 12시와 6시 또는 3시와 9시의 2군데에 발광소자(14) 또는 자외선발광소자(20)를 설치했는데, 반드시 2군데에 설치할 필요는 없고, 1군데이어도 좋으며, 또 3군데 이상에 설치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제 1∼제 7 실시형태 및 그 각 변형예에서는 문자판(10) 및 지침(11) 또는 액정표시소자(41) 등의 표시부재를 둘러싸는 부재로서 구획부재(13)를 이용했는데, 반드시 구획부재(13)일 필요는 없고, 표시부재를 둘러싸는 부재이면 테두리상 부재이어도 좋다.
또 상기 제 1∼제 7 실시형태 및 그 각 변형예에서는 손목시계 또는 휴대전화기에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서술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전자수첩, 전자사전, 휴대단말기, 퍼스널컴퓨터, 인쇄기 등의 각종 전자기기, 또는 자동차의 계기류 등의 각종 기기, 또는 그들의 각 부품에 널리 적용할 수 있다.
도 1∼도 23의 실시형태는 광투과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테두리상의 도광부(15)와 비투과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테두리상의 차광부(16)를 2색성형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한 테두리상 부재(구획부재(13))와, 이 테두리상 부재의 상기 도광부의 외주측에 있어서의 소정 부분에 대응하여 배치된 발광소자(발광소자(14), 자외선발광소자(2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6)이다. 이 실시형태에 따르면, 발광소자를 발광시키면 그 빛이 테두리상 부재의 도광부에 조사되고, 이 조사된 빛이 도광부에서 인도되면서 테두리상 부재로 둘러싸인 영역내를 향하여 방출되기 때문에 발광소자의 빛을 테두리상 부재로 둘러싸인 영역내의 표시부재에 양호하게 조사할 수 있으며, 이 때문에 예를 들면 발광소자가 가시광선영역의 빛을 발광하면 어두운 곳에서도 표시부재를 양호하게 조명할 수 있고, 또 테두리상 부재가 광투과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테두리상의 도광부와 비투과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테두리상의 차광부를 2색성형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한 구조이기 때문에 표시부재를 제약하지 않고 테두리상 부재를 임의의 자유로운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테두리상 부재의 기능성 및 디자인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도 5∼도 7의 실시형태는 상기 발광소자가 자외선발광소자(20)로 구성되고, 상기 테두리상 부재(구획부재(20))로 둘러싸이는 영역내에는 표시부재(문자판(10) 및 지침(11))가 배치되며, 이 표시부재에는 자외선영역의 빛에 반응하여 가시광선영역의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21)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실시형태에 따르면, 발광소자가 자외선발광소자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인간의 눈에 보이지 않는 자외선영역의 빛을 발광하는데, 이 자외선영역의 빛이 도광부에 조사되면, 이 조사된 빛이 도광부에서 인도되면서 테두리상 부재로 둘러싸인 영역내를 향하여 방출되고, 이 방출된 자외선영역의 빛이 표시부재에 조사되기 때문에 표시부재에 설치된 발광부가 자외선영역의 빛에 반응하여 가시광선영역의 빛을 발광하고, 이 발광한 가시광선영역의 빛으로 표시부재를 조명할 수 있다.
도 8∼도 13의 실시형태는 상기 발광소자가 자외선발광소자(20)로 구성되고, 상기 도광부(15)에는 자외선영역의 빛에 반응하여 가시광선영역의 빛을 발광하는 발광층(23, 24, 26)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실시형태에 따르면, 발광소자가 자외선발광소자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인간의 눈에 보이지 않는 자외선영역의 빛을 발광하는데, 이 자외선영역의 빛이 도광부에 조사되면, 이 자외선영역의 빛이 도광부에서 인도되는 동시에, 도광부에 설치된 발광층이 자외선영역의 빛에 반응하여 가시광선영역의 빛을 발광하기 때문에, 이 발광한 가시광선영역의 빛으로 표시부재를 조명할 수 있다.
도 14∼도 16의 실시형태는 상기 발광소자가 자외선발광소자(20)로 구성되고, 상기 도광부(15) 속에는 자외선영역의 빛에 반응하여 가시광선영역의 빛을 발광하는 발광재(30)가 혼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실시형태에 따르면, 발광소자가 자외선발광소자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인간의 눈에 보이지 않는 자외선영역의 빛을 발광하는데, 이 자외선영역의 빛이 도광부내에 입사하면, 이 도광부에서 인도되면서 도광부 속에 혼입된 발광재가 자외선영역의 빛에 반응하여 가시광선영역의 빛을 발광하기 때문에, 이 발광한 가시광선영역의 빛으로 표시부재를 조명할 수 있다.
도 17∼도 19의 실시형태는 상기 도광부(15)에 상기 발광소자(발광소자(14), 자외선발광소자(20))로부터의 빛이 입사하는 광입사부(36) 및 이 광입사부로부터 입사한 빛을 상기 테두리상 부재(구획부재(13))의 내측을 향하여 방출하는 광방출부(37)를 제외하고 반사면(35)이 전역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실시형태에 따르면, 발광소자를 발광시키면 그 빛이 도광부의 광입사부로부터 도광부내에 입사하고, 이 입사한 빛이 도광부에서 인도될 때에 반사면에서 반사를 반복하여 인도되고, 이 인도된 빛이 도광부의 광방출부로부터 테두리상 부재로 둘러싸인 영역내를 향하여 방출되기 때문에 도광부에 입사한 빛을 손실시키는 일 없이 광방출부로부터 방출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발광소자의 빛을 표시부재에 그 외주측으로부터 효율 좋게 조사할 수 있다.
도 1∼도 23의 실시형태의 전자기기는 조명장치(6)와, 이 조명장치를 수납하는 기기케이스(손목시계케이스(1), 기기케이스(50))를 구비하고 있다. 조명장치(6)는 광투과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테두리상의 도광부(15)와 비투과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테두리상의 차광부(16)를 2색성형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한 테두리상 부재(구획부재(13))와, 이 테두리상 부재의 상기 도광부의 외주측에 있어서의 소정 부분에 대응하여 배치된 발광소자(발광소자(14), 자외선발광소자(20))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기기케이스에는 창부(시계유리(2), 보호유리(53))가 설치되고, 이 창에 대응하여 상기 조명장치의 상기 테두리상 부재(구획부재(20))로 둘러싸이는 영역내에 배치된 표시부재(문자판(10) 및 지침(11) 또는 액정표시소자(41))가 배치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따르면, 조명장치에 의하여 표시부재에 발광소자의 빛을 양호하게 조사할 수 있는 동시에, 테두리상 부재가 광투과성 수지로 이루어지 는 테두리상의 도광부와 비투과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테두리상의 차광부를 2색성형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한 구조이기 때문에 표시부재를 제약하지 않고 테두리상 부재를 임의의 자유로운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테두리상 부재의 기능성 및 디자인성의 구조를 꾀할 수 있다.

Claims (10)

  1. 삭제
  2. 광투과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테두리상의 도광부와 비투과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테두리상의 차광부를 2색성형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한 테두리상 부재와,
    이 테두리상 부재의 상기 도광부의 외주측에 있어서의 소정 부분에 대응하여 배치된 발광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발광소자는 자외선발광소자로 구성되고, 상기 테두리상 부재로 둘러싸이는 영역내에는 표시부재가 배치되며, 이 표시부재에는 자외선영역의 빛에 반응하여 가시광선영역의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3. 광투과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테두리상의 도광부와 비투과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테두리상의 차광부를 2색성형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한 테두리상 부재와,
    이 테두리상 부재의 상기 도광부의 외주측에 있어서의 소정 부분에 대응하여 배치된 발광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발광소자는 자외선발광소자로 구성되고, 상기 도광부에는 자외선영역의 빛에 반응하여 가시광선영역의 빛을 발광하는 발광층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4. 광투과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테두리상의 도광부와 비투과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테두리상의 차광부를 2색성형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한 테두리상 부재와,
    이 테두리상 부재의 상기 도광부의 외주측에 있어서의 소정 부분에 대응하여 배치된 발광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발광소자는 자외선발광소자로 구성되고, 상기 도광부 속에는 자외선영역의 빛에 반응하여 가시광선영역의 빛을 발광하는 발광재가 혼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5. 광투과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테두리상의 도광부와 비투과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테두리상의 차광부를 2색성형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한 테두리상 부재와,
    이 테두리상 부재의 상기 도광부의 외주측에 있어서의 소정 부분에 대응하여 배치된 발광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도광부에는 상기 발광소자로부터의 빛이 입사하는 광입사부 및 이 광입사부로부터 입사한 빛을 상기 테두리상 부재의 내측을 향하여 방출하는 광방출부를 제외하고 반사면이 전역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6. 삭제
  7. 조명장치와, 이 조명장치를 수납하는 기기케이스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조명장치는 광투과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테두리상의 도광부와 비투과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테두리상의 차광부를 2색성형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한 테두리상 부재와, 이 테두리상 부재의 상기 도광부의 외주측에 있어서의 소정 부분에 대응하여 배치된 발광소자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기기케이스는 창부를 구비하고, 이 창부에 대응하여 상기 조명장치의 상기 테두리상 부재로 둘러싸이는 영역내에 배치된 표시부재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발광소자는 자외선발광소자로 구성되고, 상기 테두리상 부재로 둘러싸이는 영역내에는 표시부재가 배치되며, 이 표시부재에는 자외선영역의 빛에 반응하여 가시광선영역의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8. 조명장치와, 이 조명장치를 수납하는 기기케이스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조명장치는 광투과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테두리상의 도광부와 비투과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테두리상의 차광부를 2색성형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한 테두리상 부재와, 이 테두리상 부재의 상기 도광부의 외주측에 있어서의 소정 부분에 대응하여 배치된 발광소자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기기케이스는 창부를 구비하고, 이 창부에 대응하여 상기 조명장치의 상기 테두리상 부재로 둘러싸이는 영역내에 배치된 표시부재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발광소자는 자외선발광소자로 구성되고, 상기 도광부에는 자외선영역의 빛에 반응하여 가시광선영역의 빛을 발광하는 발광층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9. 조명장치와, 이 조명장치를 수납하는 기기케이스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조명장치는 광투과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테두리상의 도광부와 비투과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테두리상의 차광부를 2색성형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한 테두리상 부재와, 이 테두리상 부재의 상기 도광부의 외주측에 있어서의 소정 부분에 대응하여 배치된 발광소자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기기케이스는 창부를 구비하고, 이 창부에 대응하여 상기 조명장치의 상기 테두리상 부재로 둘러싸이는 영역내에 배치된 표시부재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발광소자는 자외선발광소자로 구성되고, 상기 도광부 속에는 자외선영역의 빛에 반응하여 가시광선영역의 빛을 발광하는 발광재가 혼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0. 조명장치와, 이 조명장치를 수납하는 기기케이스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조명장치는 광투과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테두리상의 도광부와 비투과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테두리상의 차광부를 2색성형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한 테두리상 부재와, 이 테두리상 부재의 상기 도광부의 외주측에 있어서의 소정 부분에 대응하여 배치된 발광소자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기기케이스는 창부를 구비하고, 이 창부에 대응하여 상기 조명장치의 상기 테두리상 부재로 둘러싸이는 영역내에 배치된 표시부재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도광부에는 상기 발광소자로부터의 빛이 입사하는 광입사부 및 이 광입사부로부터 입사한 빛을 상기 테두리상 부재의 내측을 향하여 방출하는 광방출부를 제외하고 반사면이 전역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KR1020030086177A 2002-12-03 2003-12-01 조명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전자기기 KR1005802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50651A JP2004184197A (ja) 2002-12-03 2002-12-03 照明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JP-P-2002-00350651 2002-12-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8823A KR20040048823A (ko) 2004-06-10
KR100580238B1 true KR100580238B1 (ko) 2006-05-16

Family

ID=32752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6177A KR100580238B1 (ko) 2002-12-03 2003-12-01 조명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전자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4184197A (ko)
KR (1) KR100580238B1 (ko)
CN (1) CN1285930C (ko)
TW (1) TWI25039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55744B2 (ja) * 2005-09-26 2012-01-18 矢崎総業株式会社 計器
JP6094025B2 (ja) * 2011-09-30 2017-03-1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指針照明装置
JP5849998B2 (ja) * 2013-06-25 2016-02-03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表示装置
JP6563981B2 (ja) * 2017-06-29 2019-08-21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表示装置
US11556091B2 (en) 2019-02-25 2023-01-17 Citizen Watch Co., Ltd. Timepie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184197A (ja) 2004-07-02
KR20040048823A (ko) 2004-06-10
TW200424576A (en) 2004-11-16
CN1504779A (zh) 2004-06-16
CN1285930C (zh) 2006-11-22
TWI250390B (en) 2006-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4514B1 (ko) 조명장치 및 전자기기
US7227599B2 (en)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JP4178937B2 (ja) 照明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0483188B1 (ko) 자외선발광소자를 이용한 자외선발광장치 및 전자기기
JP2003233337A (ja) 発光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0580238B1 (ko) 조명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전자기기
JP4120302B2 (ja) 電子機器
KR20050046820A (ko) 자외선 방출소자를 포함하는 발광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전자장치
JP2004198112A (ja) 電子機器
JP3979076B2 (ja) 電子機器
JP4048794B2 (ja) 電子機器
JP2004198681A (ja) 照明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3979070B2 (ja) 紫外線発光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4000948B2 (ja) 電子機器
JP2003295794A (ja) 装飾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3177689A (ja) 発光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2286869A (ja) 電子腕時計
JP2004053380A (ja) 電子機器
JP2007250930A (ja) 太陽電池
JP2010203817A (ja) 指針式時計
JP2004200189A (ja) 電子機器
JP2007248331A (ja) 時計装置
JP2005221236A (ja) 文字板の照明装置
JP2003162242A (ja) 発光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3098988A (ja) 紫外線発光装置及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