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7975A - 고무 재료에 매립되어 있는 코드 스트립을 서로접속시키는 접속 장치 - Google Patents

고무 재료에 매립되어 있는 코드 스트립을 서로접속시키는 접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7975A
KR20030017975A KR1020027015588A KR20027015588A KR20030017975A KR 20030017975 A KR20030017975 A KR 20030017975A KR 1020027015588 A KR1020027015588 A KR 1020027015588A KR 20027015588 A KR20027015588 A KR 20027015588A KR 20030017975 A KR20030017975 A KR 200300179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table
transport unit
connection
strip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5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7995B1 (ko
Inventor
나우타클라스
테우니센테오도루스기예스베르투스게라르두스
Original Assignee
브이엠아이 에페 홀랜드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이엠아이 에페 홀랜드비.브이. filed Critical 브이엠아이 에페 홀랜드비.브이.
Publication of KR20030017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79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7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79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38Textile inserts, e.g. cord or canvas layers, for tyres; Treatment of inserts prior to building the tyre
    • B29D30/42Endless textile bands without bead-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02Position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aligning, indexing or cent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1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cross-sections
    • B29C66/11Joint cross-sections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e.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n the joint cross-section
    • B29C66/116Single bevelled joints, i.e.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bevelled in the joint area
    • B29C66/1162Single bevel to bevel joints, e.g. mitre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40General aspects of 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plates, sheets or web-like materials;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Joining single elements to substantially flat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1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plastics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2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721Fibre-reinforced materials
    • B29C66/7214Fibre-reinforce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length of the fibres
    • B29C66/72141Fibres of continuous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2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721Fibre-reinforced materials
    • B29C66/7212Fibre-reinforce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0/00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L2030/002Trea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5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cutting, punching, tearing or severing
    • Y10T156/1062Prior to assembly
    • Y10T156/1075Prior to assembly of plural laminae from single stock and assembling to each other or to additional lamin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7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means with work feeding or handling means
    • Y10T156/1702For plural parts or plural areas of single part
    • Y10T156/1744Means bringing discrete articles into assembled relationship
    • Y10T156/1749All articles from single source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yre Mould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무 재료에 매립되어 있는 코드 스트립(30)을 서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 장치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스트립을 공급 방향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 수송 장치(2)를 포함한다. 접속 유닛(6)이 스트립을 서로 접속시키고, 접속 테이블(7)과 이 접속 테이블 위에 배치되어 있는 접속 기계(8)를 포함한다. 공급 수송 장치는 스트립을 접속 유닛에 공급한다. 방출 수송 장치(11)가 서로 접속되어 있는 스트립을 방출한다. 서로 일직선을 이루는 제1 수송 유닛(4) 및 제2 수송 유닛(5)이 마련되어 있다. 제1 수송 유닛(4)은 스트립을 제2 수송 유닛(5)에 공급하고, 제2 수송 유닛은 스트립을 접속 유닛에 공급하며, 이 제2 수송 유닛에는 입구 단부와 출구 단부가 있다. 제2 수송 유닛의 출구 단부와 접속 테이블은 측방으로, 즉 수송 방향과 교차하여, 서로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접속 기계는 접속 라인(12)을 결정하고, 목표 위치는 접속 라인의 중간에 형성된다. 목표 위치를 포함하고 있는 파일을 구비하는 컴퓨터가 마련되어 있다. 비교 장치가 센서(13)에 의해 발생되어 컴퓨터에 공급되는 위치 신호와 목표 위치를 비교하고, 제2 수송 유닛과 접속 테이블의 상대적인 측방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시킨다.

Description

고무 재료에 매립되어 있는 코드 스트립을 서로 접속시키는 접속 장치{SPLICER FOR SPLICING STRIPS OF CORDS EMBEDDED IN RUBBER MATERIAL TO EACH OTHER}
이러한 접속 장치는 공지되어 있고, 오랜 기간 동안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공지된 접속 장치에 있어서, 스트립은 접속 테이블에 공급되고, 접속 위치까지 접속 테이블 위에서 슬라이딩한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US-A-4,832,780호로부터 고무 재료에 매립되어 있는 코드 스트립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는 스트립을 접속 테이블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 수송 장치를 구비한다. 접속 테이블 위에는, 스트립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 장치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문제점은 위치 결정 중에 스트립이 변형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미국 특허 US-A-3,935,056호에도 고무 재료에 매립되어 있는 코드 스트립을 서로 접속하기 위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 스트립은 절반부들로 구성되어 있는 접속 테이블에 공급된다. 2개의 절반부의 서로에 대한 각도는 조정될 수 있지만, 큰 각도로 제한된다.
그러나, 당업계에서는 서로 결합된 스트립의 품질 및 생산성을 개선하는 접속 장치에 대한 요구가 있다.
본 발명은 고무 재료에 매립되어 있는 코드 스트립을 서로 접속시키는 접속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 접속 장치에는 공급 방향으로 스트립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 수송 장치와, 스트립을 서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 유닛과, 서로 접속된 스트립을 방출하기 위한 방출 수송 유닛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접속 유닛은 접속 테이블과 이 접속 테이블 위에 배치되어 있는 접속 기계를 포함하고, 이 접속 테이블에서 공급 수송 장치는 스트립을 접속 유닛에 공급한다. 상기 고무 재료에 매립되어 있는 코드는, 예컨대 강(鋼)등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속 장치의 제1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 장치의 제2 실시예를 보여준다.
이러한 목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술한 종류의 접속 장치는, 공급 수송 장치에는 서로 일직선을 이루는 제1 수송 유닛과 제2 수송 유닛이 마련되어 있고, 제1 수송 유닛은 스트립을 제2 수송 유닛에 공급하며, 제2 수송 유닛은 스트립을 접속 유닛에 공급하고, 제2 수송 유닛에는 입구 단부와 출구 단부가 있으며, 제2 수송 유닛의 출구 단부와 접속 테이블은 서로에 대해 측방으로, 즉 수송 방향과 교차하여,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실상, 접속 테이블과 제2 수송 유닛은 서로에 대해 측방으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측방으로 조정 가능한 위치의 스트립을 접속 테이블에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속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수송 유닛은 전체적으로 측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별법으로, 제2 수송 유닛은 그 입구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 접속 테이블은 전체적으로 측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특히, 좁은 스트립 및/또는 유연한 스트립에 있어서, 접속 테이블 위로의 스트립의 슬라이딩은 부정확한 위치를 야기하는데, 이 때문에 2개의 스트립을 함께 접속하는 것은 반복 재생할 수 없고, 또 그러한 접속은 정확도가 불충분하다. 일반적으로, 스트립은 삼각형 리딩 팁과 후미 팁을 구비하고, 특히 뾰족한 팁이 슬라이딩 중에 원하지 않게 상방향으로 지향되어 있을 수 있다. 공지된 접속 장치는 접속 라인을 형성하는 접속 유닛의 회전 지점을 팁의 둔각 측부에서 선택함으로써, 가능한한 이러한 결과를 제한하려고 한다. 결과적으로, 함께 접속된 스트립의 측부에서 이탈이 발생하며, 이는 수용할 수 없을 정도로 큰 이탈을 야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속 장치의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접속 기계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회전 지점이 접속 라인의 중간에 형성되기 때문에, 이러한 이탈은 해결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일어날 수 있는 이탈은 스트립의 양측에 걸쳐 분산되고, 사실상 결과적으로 생기는(반분된) 이탈은 수용 가능하게 된다.
접속 테이블 위로 스트립이 슬라이딩하여 생긴 위치 결정에 있어서의 부정확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접속 장치의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접속 테이블에는 접속 테이블을 제1 접속 테이블 절반부와 제2 접속 테이블 절반부로 분할하는 종축 라인과, 입구 단부와, 출구 단부와, 제1 접속 테이블 절반부 위에 배치되고 접속 테이블의 출구 단부로부터 접속 테이블의 입구 단부의 소정의 거리까지 연장하는 제1 접속 테이블 수송 유닛과, 바람직하게는 제2 접속 테이블 절반부 위에 배치되고 접속 테이블의 출구 단부로부터 연장하는 제2 접속 테이블 수송유닛이 마련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공급 스트립의 절반부는 제1 접속 테이블 수송 유닛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제2 수송 유닛과의 동시 구동에 의해 스트립을 정확도의 손실없이 접속 테이블 상의 적소에 공급할 수 있다. 방출 수송 장치와 함께 제2 접속 테이블 수송 유닛은 함께 접속되어 있는 2 개의 스트립의 방출을 보장한다.
스트립을 접속 테이블 상의 소정의 위치에 수송하기 위해, 제1 수송 유닛과 제2 수송 유닛 사이의 스트립 중심을 측정하고 시작 위치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 센서를 마련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트립은 매우 초기 단계에서 위치 결정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접속의 정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센서가 제2 수송 유닛과 접속 테이블 사이에서 스트립의 위치를 측정하고, 중간 위치 신호를 발생시키며, 제3 센서가 접속 라인 아래에서 스트립의 위치를 측정하며, 단부 위치 신호를 발생시킨다. 결과적으로 최종의 미세한 위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컴퓨터에는 목표 위치를 포함하고 있는 파일(file)과, 센서 중 하나에 의해 발생되어 컴퓨터로 공급되는 위치를 목표 위치와 비교하고, 접속 테이블 및/또는 제2 수송 유닛의 상대적인 측방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비교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컴퓨터로 제어되는 방식으로, 접속 테이블 및/또는 제2 수송 유닛의 위치를 그와 같이 설정할 수 있다. 얻어진 컴퓨터 데이타의 도움으로, 컨베이어 벨트도 마찬가지로 제어할 수 있다. 컴퓨터 제어 및 센서는 보정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을 형성한다. 보정은 스트립의 공급 중에 실행되고, 이에 따라 스트립을 신속하게 처리하는 접속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목표 위치가 접속 라인의 중간이면, 매우 정확한 접속을 얻을 수 있다.
제1 접속 테이블 수송 유닛 및 제2 접속 테이블 수송 유닛과 제2 수송 유닛이 동시에 제로 속도로 감속되어, 스트립을 움직이지 않는 상태에서 서로 접속시키면 접속의 정확도는 더 개선된다.
실시예에서, 제1 수송 유닛 및 제2 수송 유닛은 거의 그 전체 길이에 걸쳐 스트립을 지지하는 형식의 것이다. 결과적으로, 수송이 모니터링된다. 실시예에서 이동을 더 잘 모니터링하기 위해, 수송 유닛에는 수송 유닛의 표면에 스트립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수단은 예를 들어 스트립과 수송 유닛의 표면 사이에 진공 또는 자기장을 발생시키기에 적합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제어된 방식으로 공급을 행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스트립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를 스위치 온 및 스위치 오프하는 시점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접속 장치의 예시적인 몇 가지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예로서 설명한다.
도 1은 고무 재료에 매립되어 있는 코드 스트립을 서로 접속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접속 장치의 제1 실시예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고무 재료 내에 매립되어 있는 코드는 예를 들어 강(鋼) 또는 그와 유사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스트립을 강화시킨다.
접속 장치(1)는 공급 방향(3)으로 스트립을 공급하는 공급 수송 장치(2)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급 수송 장치는 서로 일직선을 이루는 제1 수송 유닛(4)과, 제2 수송 유닛(5)을 포함한다. 제2 수송 유닛(5)에는 입구 단부(9)와 출구 단부(10)가 있다.
또한, 접속 장치(1)는 스트립을 서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 유닛(6)을 포함한다. 접속 유닛(6)은 접속 테이블(7)과, 이 접속 테이블(7) 위에 배치되어 있는 접속 기계(8)를 포함한다. 이 접속 기계(8)에 의해 접속 라인(12)이 결정된다.
접속 장치(1)의 작동 중에, 제1 수송 유닛(4)은 스트립을 제2 수송 유닛(5)에 공급한다. 또한, 이 제2 수송 유닛(5)은 이어서 스트립을 접속 유닛(6)의 접속 테이블(7)로 수송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속 테이블(7)에 공급되는 스트립의 위치는, 제2 수송 유닛(5)과 접속 테이블(7)이 측방으로, 즉 수송 방향과 교차하여, 서로에 대해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접속 테이블(7)에 이미 존재하고 있는 스트립의 위치에 대해 조정할 수 있어, 이 2 개의 스트립은 서로 더 정확하게 접속될 수 있다.
2개의 스트립은 서로에 대해 접속되면, 서로 접속된 스트립을 방출하는 방출 수송 장치(11)에 의해 방출된다.
제2 수송 유닛(5)의 출구 단부(10)와 접속 테이블(7)을 서로에 대해 측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다양한 대안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수송 유닛(5)은 전체적으로 측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2 수송 유닛은 그 입구 단부(9)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서, 접속 테이블(7)은 전체적으로 측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스트립을 접속 테이블(7) 상의 소정의 위치에 수송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센서(13)가 마련되어 제1 수송 유닛(4)과 제2 수송 유닛(5) 사이에서 스트립의 중심을 측정한다. 상기 센서(13)는 시작 위치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방법으로, 스트립은 매우 초기 단계에서 이미 위치 결정되어, 최종 접속의 정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센서(14)가 제2 수송 유닛(5)과 접속 테이블(7) 사이의 접속 위치를 측정한다. 상기 제2 센서(14)는 또한 중간 위치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3 센서(15)가 접속 라인(12) 아래에서 스트립의 위치를 측정하고, 또한 단부 위치 신호를 발생시킨다. 결과적으로,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최종의 미세한 위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컴퓨터(도시되어 있지 않음)에는 목표 위치를 포함하고 있는 파일과, 센서 중 하나에 의해 발생되어 컴퓨터로 공급되는 위치를 목표 위치와 비교하고, 접속 테이블(7) 및/또는 제2 수송 유닛(5)의 상대적인 측방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비교 장치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는 이하에서 설명한다. 컴퓨터로 제어되는 방식으로, 접속 테이블(7) 및/또는 제2 수송 유닛의 위치는 그와 같이 설정할 수 있다.
목표 위치가 접속 라인(12)의 중앙인 경우에 매우 정확한 접속을 얻을 수 있다. 특히, 좁은 스트립 및/또는 유연한 스트립인 경우, 접속 기계(8)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회전 지점이 접속 라인(12)의 중간 지점에서 형성되면 더 유리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방법으로 가능한 이탈이 스트립의 양쪽으로 분산되고, 실제로 결과적으로 생기는(반분된) 이탈은 수용할 만하다.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스트립이 접속 테이블(7) 위에서 슬라이딩함으로 인한 위치 결정의 부정확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접속 테이블(7)에는 접속 테이블(7)을 제1 접속 테이블 절반부(17)와 제2 접속 테이블 절반부(18)로 분할하는 가상의 종방향 중앙 라인(16)이 있다. 접속 테이블(7)에는 또한 입구 단부(19)와 출구 단부(20)가 있다. 제1 접속 테이블 절반부(17)에는 제1 접속 테이블 수송 유닛(21)이 배치되어 있고, 이 제1 접속 테이블 수송 유닛은 접속 테이블(7)의 입구 단부(19)로부터 소정의 거리까지 연장한다. 이러한 이유로, 공급 스트립의 절반은 제1 접속 테이블 수송 유닛(21)에 배치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제2 수송 유닛(5)과의 동시 구동에 의해 스트립을 정확도의 손실없이 접속 테이블(7) 상의 적소에 공급할 수 있다.
2개의 스트립을 함께 접속한 후에, 이들 스트립이 테이블로부터 방출되어야 하는 경우, 제2 접속 테이블 수송 유닛(22)이 제2 접속 테이블 절반부(18) 상에 배치되어, 접속 테이블(7)의 출구 단부(20)로부터 소정의 거리까지 연장하면 더 유리하다.
전술한 수송 유닛 및 그와 유사한 것은 예를 들어, 스트립을 슬립없이 수송하기 위한 자기장 또는 진공을 발생시키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는 컨베이어벨트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컨베이어 벨트(4, 5, 21, 22)는 센서(13, 14, 15)에 의해 얻어지는 데이타 및 컴퓨터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접속 장치의 작동을 도 2a 내지 도 2d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스트립(30)을 접속 테이블(7)에 공급하는 중에, 스트립(30)은 접속 라인(12) 상의 목표 위치를 향하여 신속하게 측방으로 이송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스트립(30)의 위치는 스트립이 센터링 컨베이어라고도 불리는 제2 수송 유닛(5) 상으로 전달되는 지점에서 센서(13)에 의해 미리 측정된다. 이는 스트립(30)을 접속 테이블(7)로 수송하는 중에 리딩 팁(31; 도2b 참조)을 측방 목표 위치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동일한 방식으로, 스트립(30)의 후방의 측방 위치는 센터링 컨베이어(5)에 전달되는 중에 측정되고, 수송 중에 목표 위치를 향하게 된다.
접속 테이블(7) 상의 스트립(30)의 정지 위치는 센서(14, 15)(명확성을 위해 도 2a에만 도시되어 있다)에 의해 조절되는데, 이 센서의 데이타를 근거로 하여, 함께 접속된 스트립을 방출하기 위한 방출 수송 장치 및 컨베이어 벨트(4)의 구동이 조절된다.
함께 접속된 스트립을 모니터링하면서 접속 라인(12)으로부터 방출하기 위해, 그리고 공급 스트립(30)을 모니터링하면서 접속 라인(12)으로부터 공급하기 위해, 접속 수송 유닛(21, 22)이 제공된다.
공급 중에, 접속 테이블 수송 유닛(21)은 센터링 컨베이어(5)와 동시에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횡방향에서 보았을 때 스트립(30)의 절반은 접속 테이블 수송 유닛(21)에 의해 유지된다. 공급되는 스트립의 나머지 절반은 접속 테이블(7) 위에서 슬라이딩한다.
스트립(30)을 이미 접속 테이블(7)에 공급된 스트립(40)에 접속한 후, 함께 접속된 스트립(30, 40)은 모든 수송 유닛(5, 21, 22)을 구동시킴으로써 통과하는 반면, 접속 테이블 수송 유닛(22)에 의해 방출 스트립의 단부 팁의 위치를 결정한다.
접속 테이블 수송 유닛(21, 22)이 부분적으로만 접속 테이블(7)에 걸쳐 연장하는 것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만, 별법으로서 접속 테이블(7)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접속 테이블 수송 유닛(21)의 제1 절반부는 재료를 슬립없이 공급하기 위해 충분한 클램핑 힘이 있어야 하는 반면, 제2 절반부는 스트립 위치가 변화하는 일 없이 이미 통과한 스트립(40)의 아래로 진행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이해하면, 원칙적으로 작동은 동일하다. 이러한 목적으로, 스트립을 유지하기 위해 진공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수단이 제1 부분에 마련될 수 있고, 소위 공기-부유 시스템(air-floatation system)이 제2 부분에 마련될 수 있다. 접속 테이블 수송 유닛(22)과 관련하여, 진공 또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수단 및 공기 부유 시스템을 배치하는 것은 정반대이다.
도 2a에서는 스트립 사이에서 전술한 접속을 이미 행하였고, 스트립의 통과는 컨베이어 벨트(4, 5, 22)에 의해 고속으로 시작된다. 스트립(31)의 리딩 팁(31)의 위치는 센서(13)에 의해 측정된다. 결과적으로, 스트립(30)의 중심 라인은 접속 라인(12)의 중간 위치에 놓일 수 있게 된다. 통과하는 중에, 이미 함께 접속되어 있는 스트립(40) 단부(42)의 중심 라인은 센터링 컨베이어(5)에 연결되어 있는 이동 장치(43)에 의해 접속 라인(12)의 중간을 향해 이송된다(명확성을 위해 도 2b에만 도시함). 이러한 처리는 단부(42)가 센터링 컨베이어(5)를 떠나면 종료된다. 상기 단부(42)는 센서(14)에 의해 인지된다.
도 2b에 도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스트립(40)은 접속 테이블 수송 유닛(21, 22)에 의해 접속 라인(12)을 향해 감속되기 시작한다. 또한, 센터링 컨베이어(5)는 도착 팁(31)의 중심 라인의 위치를 측방으로 위치시키는 데에 사용되며, 상기 켄버이어(5)는 여전히 고속으로 작동한다. 결과적으로, 팁(31)은 팁(31)이 접속 테이블(7)에 도착하기 전에도 정확하게 접속 테이블(7)의 중간을 향하게 된다.
도 2c에는 센서(15)에 의해 스트립(40)의 위치가 다시 정해지는 상황이 도시되어 있다. 접속 테이블 수송 유닛(21, 22)은 여전히 동시에 작동하지만, 제로 속도로 감속한다. 컨베이어(5)도 제로 속도로 감속한다. 저속이기 때문에, 접속 라인(12)에 대한 단부(42) 위치의 측정 정확도가 더 정확해지고, 통과한 단부(42)는 정확하게 접속 위치를 향하여 위치 결정될 수 있다. 센서(15)가 재료를 더 이상 탐지하지 않는 시점은 접속 테이블 수송 유닛(21)의 속도가 센터링 컨베이어(5)의 속도로 조정되는 시점이다.
도 2d에는, 공급 스트립(30)을 센서(14)에 의해 탐지하는 상황을 도시하고 있다. 접속 테이블 수송 유닛(21, 22)은 동시에 감속하여 스트립(30)을 정지 위치를 향하여 위치시킨다. 감속 중에 재료가 센서(15)에 의해 탐지되면, 위치 결정은조정될 수 있다. 한편, 후미 단부(32; 도면 2d 참조)의 측방 위치는 센서(13)에 의해 측정되고, 이에 따라 그 중심 라인도 정확하게 접속 테이블(7)의 중간을 향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착하고 이미 통과한 팁 및 스트립 단부의 측방 위치는 센터링 컨베이어(5)로의 수송 중에 결정되고, 이것은 접속 유닛의 순환 시간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접속되는 스트립의 측방 위치 및 길이 위치는 재료의 각도나 폭에 관계없이, 접속 테이블 수송 유닛(21, 22)에 의해 접속 라인까지 제어된다.

Claims (11)

  1. 스트립을 공급 방향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 수송 장치와,
    접속 테이블과, 이 접속 테이블 위에 배치되어 있는 접속 기계를 포함하고, 공급 수송 장치에 의해 스트립이 공급되며, 스트립을 서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 유닛과,
    서로 접속된 스트립을 방출하기 위한 방출 수송 장치,
    가 마련되어 있는 고무 재료에 매립되어 있는 코드 스트립을 서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급 수송 장치에는 서로 일직선을 이루는 제1 수송 유닛과 제2 수송 유닛이 마련되어 있고, 제1 수송 유닛은 스트립을 제2 수송 유닛에 공급하며, 제2 수송 유닛은 스트립을 접속 유닛에 공급하고, 이 제2 수송 유닛에는 입구 단부와 출구 단부가 있으며, 제2 수송 유닛의 출구 단부와 접속 테이블은 수송 방향과 교차하여 측방으로 서로에 대해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송 유닛은 전체적으로 측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송 유닛은 그 입구 단부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테이블은 전체적으로 측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기계는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그 회전 지점은 접속 라인의 중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테이블에는 접속 테이블을 제1 접속 테이블 절반부와 제2 접속 테이블 절반부로 분할하는 종축방향 라인과, 입구 단부와, 출구 단부와, 제1 접속 테이블 절반부 상에 배치되고 접속 테이블 입구 단부로부터 그 입구 단부로부터의 소정의 거리까지 연장하는 제1 접속 테이블 수송 유닛과,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접속 테이블 절반부 상에 배치되고 접속 테이블의 출구 단부로부터 연장하는 제2 접속 테이블 수송 유닛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기계는 접속 라인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수송 유닛과 제2 수송 유닛 사이에서 스트립의 중앙을 측정하고 시작 위치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 센서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센서가 제2 수송 유닛과 접속 테이블 사이에서 스트립의 위치를 측정하고 중간 위치 신호를 발생시키며, 제3 센서가 스트립 아래에서 스트립 위치를 측정하고 단부 위치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목표 위치를 포함하고 있는 파일과, 센서 중 하나에 의해 발생되어 컴퓨터로 공급되는 위치를 목표 위치와 비교하고, 접속 테이블 및 제2 수송 유닛의 상대적인 측방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비교 장치가 마련되는 컴퓨터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위치는 접속 라인의 중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 테이블 수송 유닛과 제2 접속 테이블 수송 유닛은 동시에 제로 속도로 감속되어, 스트립을 움직이지 않는 상태에서 서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장치.
KR1020027015588A 2000-05-19 2001-05-21 고무 재료에 매립되어 있는 코드 스트립을 서로접속시키는 접속 장치 KR1007779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1015250 2000-05-19
NL1015250A NL1015250C2 (nl) 2000-05-19 2000-05-19 Lasinrichting voor het aan elkaar lassen van stroken van in rubbermateriaal ingebedde koorden.
PCT/NL2001/000385 WO2001089813A1 (en) 2000-05-19 2001-05-21 Splicer for splicing strips of cords embedded in rubber material to each oth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7975A true KR20030017975A (ko) 2003-03-04
KR100777995B1 KR100777995B1 (ko) 2007-11-27

Family

ID=19771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5588A KR100777995B1 (ko) 2000-05-19 2001-05-21 고무 재료에 매립되어 있는 코드 스트립을 서로접속시키는 접속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6796354B2 (ko)
EP (2) EP1422047B1 (ko)
JP (2) JP3953818B2 (ko)
KR (1) KR100777995B1 (ko)
CN (1) CN1208179C (ko)
AU (1) AU2001258941A1 (ko)
DE (2) DE60130268T2 (ko)
NL (1) NL1015250C2 (ko)
RU (1) RU2272778C2 (ko)
SK (1) SK16422002A3 (ko)
WO (1) WO20010898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022246C2 (nl) * 2002-12-23 2004-06-24 Vmi Epe Holland 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maken van een gordellaag.
EP1727667B1 (en) * 2004-03-18 2013-02-27 Vmi Epe Holland B.V. Cutting tool
US7441318B2 (en) * 2005-02-09 2008-10-28 The Goodyear Tire & Rubber Co Method for detecting exposed metal cords in an elastomeric strip
US7497241B2 (en) * 2005-07-27 2009-03-03 The Steelastic Company, Llc Tire belt machine
NL2005819C2 (nl) * 2010-12-06 2012-06-07 Vmi Holland Bv Las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aan elkaar lassen van stroken van rubbermateriaal.
NL2011764C2 (en) * 2013-11-08 2015-05-11 Vmi Holland Bv Method for centering a tire component.
JP5802818B1 (ja) 2014-10-29 2015-11-04 東芝産業機器システム株式会社 順送加工方法
JP6696538B2 (ja) * 2018-08-21 2020-05-20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の製造方法および成形システム並びにタイヤ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9724A (en) * 1915-06-28 1916-07-04 Morgan & Wright Apparatus for and process of cutting and reeling tire fabric.
US1961725A (en) * 1927-07-30 1934-06-05 Morgan & Wright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ires
US2850277A (en) * 1955-10-20 1958-09-02 Goodyear Tire & Rubber Strip aligning apparatus
US2947057A (en) * 1956-02-03 1960-08-02 Plainfield Patents Corp Flexible web reeling and guiding mechanisms
US3859152A (en) * 1970-02-11 1975-01-07 Firestone Tire & Rubber Co Tire fabric cutter
US3832261A (en) * 1970-02-11 1974-08-27 Firestone Tire & Rubber Co Materials handling assembly
JPS5056908A (ko) * 1973-09-14 1975-05-19
DE2628887A1 (de) * 1976-06-26 1977-12-29 Metzeler Kautschuk Vorrichtung zum verbinden von stahlcordeinlagen fuer fahrzeugreifen
IT1134875B (it) * 1980-12-23 1986-08-20 Pirelli Apparecchiatura per l'alimentazione di stratia di rinforzo nella fabbricazione di pneumatici
DE3113619C2 (de) * 1981-04-03 1984-04-05 G. O. Stumpf GmbH & Co KG, 7421 Mehrstetten Vorrichtung zur Kantensteuerung für eine Legemaschine
DE3232162C2 (de) * 1981-08-31 1986-01-23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Kobe, Hyogo Vorrichtung zum Aufbringen von Reifenmaterial
JPS5855235A (ja) * 1981-09-29 1983-04-01 Bridgestone Corp リボン状材料の連続スプライス方法及び装置
JPS5859829A (ja) * 1981-10-06 1983-04-09 Kobe Steel Ltd ゴムシ−ト材料の搬送成形装置
JPS61148037A (ja) * 1984-12-24 1986-07-05 Yokohama Rubber Co Ltd:The タイヤ成形機に於けるタイヤ構成材料の自動供給装置
JPS625844A (ja) * 1985-07-02 1987-01-12 Toyo Tire & Rubber Co Ltd ゴム引きコ−ドの接合装置
US4961813A (en) * 1988-05-26 1990-10-09 The Uniroyal Goodrich Tire Company Servicer for tire building machine
US4976807A (en) * 1989-04-12 1990-12-11 Mitsubishi Jukogyo Kabushiki Kaisha Apparatus for sticking a metal cord strip
JPH064293B2 (ja) * 1989-12-21 1994-01-19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帯状シート体成形方法及び成形装置
EP0480672B1 (en) * 1990-10-11 1995-06-14 Sumitomo Rubber Industries Limited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e for a green tyre
US5131971A (en) * 1991-01-14 1992-07-21 Elia Gerardo P Apparatus for making a reinforced fabric from a ribbon of uncured elastomeric material
US5514233A (en) * 1993-02-16 1996-05-07 Mitsubishi Jukogyo Kabushiki Kaisha Auto-splice device
DE4430453C2 (de) * 1994-08-27 1996-08-14 Fischer Maschf Karl E Spleißmaschine
IT1286171B1 (it) * 1996-07-12 1998-07-07 Bridgestone Firestone Tech Gruppo convogliatore di materiale in strisce.
DE19707367C1 (de) * 1997-02-25 1998-06-10 Fischer Maschf Karl E Spleißmaschine
WO1999024244A1 (en) * 1997-11-10 1999-05-20 The Yokohama Rubber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aligning and splicing strip members
DE19938149C2 (de) * 1999-08-16 2002-07-18 Continental Ag Zuführungseinrichtung für streifenförmige Reifenbautei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796354B2 (en) 2004-09-28
DE60101962D1 (de) 2004-03-11
US20030089459A1 (en) 2003-05-15
DE60130268D1 (de) 2007-10-11
AU2001258941A1 (en) 2001-12-03
EP1422047A2 (en) 2004-05-26
EP1282505B1 (en) 2004-02-04
EP1282505A1 (en) 2003-02-12
EP1422047A3 (en) 2005-07-13
JP3953818B2 (ja) 2007-08-08
CN1208179C (zh) 2005-06-29
CN1437529A (zh) 2003-08-20
DE60130268T2 (de) 2008-05-21
US20040188003A1 (en) 2004-09-30
KR100777995B1 (ko) 2007-11-27
JP2007125895A (ja) 2007-05-24
JP2003534158A (ja) 2003-11-18
WO2001089813A1 (en) 2001-11-29
DE60101962T2 (de) 2004-10-28
EP1422047B1 (en) 2007-08-29
NL1015250C2 (nl) 2001-11-22
RU2272778C2 (ru) 2006-03-27
SK16422002A3 (sk) 2003-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682912B (zh) 用于定心轮胎部件的方法
KR101140074B1 (ko) 컷팅 장치
JP3686193B2 (ja) 帯状部材のセンタリング方法及び装置
JP2007125895A (ja) コードが埋め込まれたゴム材料からなる複数のストリップを互いに接合する接合ユニット
JPS59138518A (ja) 部品供給装置及びその使用法
JP2005314001A5 (ko)
EP0677444B1 (en) Product optical control method
JPH05116816A (ja) 包装材ウエツブの端を接続する方法および装置
EP0555875B1 (en)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diameter of cigarettes to be manufactured by means of a cigarette production machine
KR20030015246A (ko) 고무 재료를 절단 장치로 공급하는 공급 장치
JP4128043B2 (ja) 供給マガジンのローディング装置
US6984285B2 (en) Splicer for splicing strips of in rubber material embedded cords to each other
JP4738839B2 (ja) 放出ステーション付きの可変容量fifo型貯蔵所
JP3964410B2 (ja) 自動サイズ認識機能を備えたフィーダ
JPH09210754A (ja) 合成ゴムの計量切断方法及びその装置
US20040206053A1 (en) Method for deckle adjustment in a packaging machine and leaflet supply device
JP3372297B2 (ja) 間紙供給装置
JP2005151992A (ja) 滑りシュー
JPH06183548A (ja) 物品仕分機における物品の移載制御方法
JPH0699391A (ja) シート状材料の切断方法及びその装置
JPH04133947A (ja) 帯状物接続装置
JPS63235807A (ja) ウエブの送り量検出方法
JPH0632530A (ja) シート状部材から異物を除去する装置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