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3563A - 차량용 외장 부재의 부착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외장 부재의 부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3563A
KR20020093563A KR1020020031058A KR20020031058A KR20020093563A KR 20020093563 A KR20020093563 A KR 20020093563A KR 1020020031058 A KR1020020031058 A KR 1020020031058A KR 20020031058 A KR20020031058 A KR 20020031058A KR 20020093563 A KR20020093563 A KR 200200935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flange portion
flange
exterior member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1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에사키토모시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스이료플라스틱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스이료플라스틱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93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356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60R2019/247Fastening of bumpers' side e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범퍼 페이스 등의 외장 부재를 외판 부재의 소정 위치에 정밀하게 부착할 수 있는 부착 구조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한 수단으로서, 외판 부재(11)의 일부에 오목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15)는 차체의 내측을 향하여 약간 하향으로 경사지는 내벽(16)과, 상하방향을 따른 속벽(17)을 갖고 있다. 속벽(17)에 지지 부재(30)가 부착되어 있다. 지지 부재(30)에는, 내벽(16)과 마주보는 걸림면(31)과 볼록부(43)가 형성되어 있다. 범퍼 페이스(12)에 플랜지부(21)가 마련되어 있다. 플랜지부(21)는 선단(23)을 향하여 두께가 감소되는 테이퍼 형상을 하고, 볼록부(43)와 대응한 위치에 걸림구멍(25)을 갖고 있다. 플랜지부(21)는, 걸림면(31)과 내벽(16) 사이에 끼워 지지되고, 또한 볼록부(43)를 걸림구멍(25)에 들어가게 함으로써 걸림면(31)에 걸린다.

Description

차량용 외장 부재의 부착 구조{FITTING STUCTURE FOR VEHICLE EXTERIOR MEMBER}
본 발명은 차량의 범퍼 페이스 등의 외장 부재를 차체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범퍼 페이스(범퍼 페이서라고도, 범퍼 커버라고도 불린다)를 차체에 고정하기 위해, 예를 들면 일본 실용신안공개 평6-45870호 공보나 일본 실용신안공개 평3-44054호 공보 또는 일본 특허공개 제2000-52900호 공보 등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클립 등의 지지 부재를 이용한 범퍼 부착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이들의 종래 예는, 범퍼 페이스 또는 차체중 어느 한쪽에 지지 부재(클립)를 부착하고, 다른쪽에 형성된 걸어맞춤부에 상기 지지 부재를 걸어맞춤으로써 범퍼 페이스를 차체의 소정 위치에 부착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부착 구조는, 차체의 외판 부재(아우터 패널)와 범퍼 페이스가 서로 직접 위치를 결정하여 맞추는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외판 부재에 대하여 범퍼 페이스의 언저리부(緣部)의 위치를 고정밀도로 규제하는 것이 어려웠다. 예를 들면 외판 부재와 범퍼 페이스의 언저리부 사이에 빈틈이나 단차가 생기는 등, 볼품이 나쁘게 되는 일이 있다.
또한 범퍼 페이스를 종래의 클립 등의 지지 부재를 이용하여 외판 부재의 오목부에 부착하는 구조로서는, 범퍼 페이스를 차체로부터 분리할 필요가 생겼을 때에, 차체의 외측에서부터 범퍼 페이스를 떼어내는 작업을 하기 어려워, 작업성의 면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범퍼 페이스 등의 차량용 외장 부재를 외판 부재의 소정 위치에 정밀하게 부착할 수 있는 부착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다른 목적은 외장 부재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외장 부재의 부착 구조는, 제 1항에 기재한 바와 같이 구성되고, 외장 부재의 플랜지부가, 외판 부재의 오목부의 내벽과 지지 부재의 걸림면 사이로 끼여들어가진 상태로 양자가 걸리여짐에 의해, 외판 부재와 플랜지부가 서로 직접 위치 결정된다. 더구나 이 플랜지부는 선단을 향하여 두께가 감소되는 형상이기 때문에 플랜지부의 선단을 상기 내벽과 지지 부재 사이의 빈틈에 용이하게 끼여넣을 수 있다.
제 2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내벽과 걸림면 사이에 삽입되었을 때에, 볼록부가 걸림구멍에 끼여맞추어짐으로써, 플랜지부가 상기 빈틈에서 빠져나오는 것이 저지되는 동시에, 이 볼록부에 의해 플랜지부의 위치(소위, 뒤로 내는것)가 규제된다. 이 때문에 외판 부재의 언저리부와 외장 부재의 언저리부의 위치를 정밀도 좋게 정돈할 수 있다.
제 3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외장 부재를 지지 부재로부터 분리할 필요가 생겼을 때에, 외장 부재를 플랜지부에 따른 방향으로 조금 비키어 놓음에 의해, 플랜지부가 볼록부의 가이드 사면(斜面)에 접하면서 볼록부를 타고 올라, 볼록부가 눌리여짐에 의해, 볼록부가 걸림구멍으로부터 빠진다. 그 후 플랜지부를 차량의 외표면측으로 끌어내면 플랜지부가 지지 부재로부터 빠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인 외장 부재의 부착 구조를 도시한 차량의 일부의 종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의 일부의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외장 부재의 부착 구조에 사용되는 지지 부재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지지 부재의 평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외장 부재의 플랜지부가 지지 부재에 걸려지기 직전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차체 11 : 외판 부재
12 : 범퍼 페이스(외장 부재) 15 : 오목부
16 : 내벽 17 : 속벽
21 : 플랜지부 24 : 경사면
25 : 걸림구멍 30 : 지지 부재
31 : 걸림면 43 : 볼록부
46 : 가이드 사면
(발명의 실시 형태)
이하에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관해 도 1부터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차량(이 경우는 자동차)의 차체(10)의 일부를 도시하고 있다. 이 차량은, 차체(10)의 외표면을 이루는 외판 부재(11)와, 외장 부재의 1예인 범퍼 페이스(12)와, 램프 유닛(13) 등을 구비하고 있다. 범퍼 페이스(12)의 단부(端部)(12a)는, 이하에 설명하는 지지 부재(30)에 의해 외판 부재(11)의 소정 위치에 부착되어 있다. 범퍼 페이스(12)의 단부(12a) 이외의 개소에 관해서는, 주지의 볼트 등에 의해 차체(10)에 고정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판 부재(11)의 일부에 오목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15)는, 차체 내측을 향하여 절곡된 내벽(16)과, 내벽(16)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속되는 속벽(17)을 갖고 있다. 내벽(16)은, 외판 부재(11)의 외면(11a)에서부터 차체 내측을 향하여 높이가 낮아지는 형상으로 절곡되고, 도 5에 도시한바와 같이 수평선(L)에 대하여 각도(θ1)를 이루고 경사되어 있다. 속벽(17)은, 내벽(16)의 속에서부터 거의 수직한 방향으로 늘어나 있다. 속벽(17)의 상부에, 좌우 1쌍의 직사각형의 부착구멍(18)(도 3에 도시한다)이 형성되어 있다.
합성 수지재로 이루어지는 범퍼 페이스(12)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페이스 본체부(20)의 상단에서부터 차체 내측을 향하여 수평 방향으로 뻗어나가는 풀랜지부(21)를 구비하고 있다. 플랜지부(21)는, 그 하면에 마련된 판금제의 보강 부재(22)를 포함하고 있다. 이 보강 부재(22)는, 범퍼 페이스(12)의 긴변 방향(도 2중에 화살표 A로 도시한 차체 전후방향)에 따라 마련되어 있다.
플랜지부(21)는, 선단(23)을 향하여 두께가 감소되는 테이퍼 형상을 하고, 상면측이 경사면(24)으로 되어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면(24)은 수평선(L)에 대하여 선단(23)측이 낮게 되도록 각도(θ2)를 이루고 경사되고 있다. 이 경사각도(θ2)는 내벽(16)의 경사각도(θ1)보다 약간 크다. 플랜지부(21)의 소정 위치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걸림구멍(25)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구멍(25)은 후술하는 걸림면(31)과 마주보게 개구되어 있다.
오목부(15)의 속벽(17)에 지지 부재(30)가 부착되어 있다. 지지 부재(30)는, 예를 들면 폴리아세탈이나 나일론 등으로 대표되는 합성수지의 일체 성형품으로서, 속벽(17)에 부착된 상태에 있어서 거의 수평방향으로 늘어나는 걸림면(31)과, 거의 수직방향으로 늘어나는 부착면(32)과, 보강 리브(33) 등을 갖고 있다. 걸림면(31)은 내벽(16)을 마주보고 있다. 지지 부재(30)의 앞부분에는, 그 전단(前端)(30a)에서부터 걸림면(31)을 향하여 점차로 높아지도록 원호 형상으로 만곡된가이드면(3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부착면(32)에 좌우 1쌍의 파스너부(36)가 형성되어 있다. 이 파스너부(36)는, V형으로 넓어지는 스프링 형상의 빠짐방지부(37)를 갖고 있다. 각 파스너부(36)를 각각 부착구멍(18)에 삽입하고, 빠짐방지부(37)를 부착구멍(18)의 개구 테두리에 거는것에 의해, 지지 부재(30)를 속벽(17)에 부착시킬 수 있다. 파스너부(36)와 부착면(32) 사이에는, 완충재를 겸한 패킹(38)이 마련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면(31)에 「ㄷ」형의 슬릿(41)이 형성되어 있다. 슬릿(41)의 내측 영역이, 도 1에 있어서 상하방향으로 휠 수 있는 스프링부(42)로 되어있다. 이 스프링부(42)의 상면에 볼록부(43)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43)는, 걸림면(31)의 앞부분, 즉 가이드면(34)에 가까운 부분에 있어서, 내벽(16)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볼록부(43)의 전면(44)은, 플랜지부(21)가 내벽(16)과 걸림면(31) 사이의 빈틈(S)(도 5에 도시한다)에 삽입될 때에, 플랜지부(21)의 하면(21a)이 미끄러지면서 올라앉을 수 있도록, 후방을 향하여 높이가 크게 되도록 경사된 형상을 하고 있다.
플랜지부(21)가 상기 빈틈(S)에 삽입될 때, 플랜지부(21)의 하면(21a)에 의해 볼록부(43)가 아래쪽으로 눌리면서 스프링부(42)가 휘기 때문에, 플랜지부(21)를 빈틈(S)에 속을 향하여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걸림구멍(25)의 위치가 볼록부(43)에 달했을 때, 스프링부(42)의 탄력에 의해 볼록부(43)가 걸림구멍(25)에 끼워맞추어진. 즉 이 볼록부(43)는 스프링부(42)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휠 수 있는 스프링성을 갖고 있다.
볼록부(43)의 배면측은, 볼록부(43)가 걸림구멍(25)에 파고들어간 후 플랜지부(21)가 빈틈(S)에서부터 빠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걸림면(31)에서부터 직각에 가까운 각도로 일어서는 위치 결정벽(45)으로 되어있다.
볼록부(43)의 양측면(차체의 전후방향의 면)에는, 볼록부(43)의 정부(頂部)(43a)를 향하여 높이가 크게 되도록 경사되는 가이드 사면(46)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 사면(46)은, 범퍼 페이스(12)를 플랜지부(21)에 따른 방향(도 2에 화살표 A로 도시한 방향)으로 조금 비키어 놓었을 때, 플랜지부(21)의 하면(21a)이 볼록부(43)상을 미끄러지면서 올라 앉아, 볼록부(43)가 걸림구멍(25)으로부터 빠지는 방향(아래쪽으로 물러나는 방향)으로 변위되는 경사면을 하고 있다.
걸림면(31)의 후부, 즉 부착면(32)에 가까운 측에, 내벽(16)을 향하여 윗쪽으로 돌출되는 스토퍼벽(50)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스토퍼벽(50)은, 플랜지부(21)의 선단(23)이 빈틈(S)의 속까지 삽입되었을 때에 선단(23)이 맞닿아, 플랜지부(21)의 삽입 깊이를 규제할 수 있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지지 부재(30)를 이용하여 범퍼 페이스(12)를 외판 부재(11)에 부착하는 공정에 관해 설명한다.
우선 지지 부재(30)의 파스너부(36)를 외판 부재(11)의 부착구멍(18)에 삽입함으로써 지지 부재(30)를 오목부(15)의 속벽(17)에 부착한다. 지지 부재(30)의 걸림면(31)과 오목부(15)의 내벽(16) 사이에, 속벽(17)을 향하여 테이퍼 형상으로 좁아지는 빈틈(S)(도 5에 도시한다)이 형성된다.
그 후, 범퍼 페이스(12)의 플랜지부(21)의 선단(23)을, 상기 빈틈(S)을 향하여 도 5중의 화살표 B방향으로 삽입한다. 플랜지부(21)는 선단(23)을 향하여 두께가 감소되는 테이퍼 형상이며, 더구나 지지 부재(30)의 윗언저리부에 가이드면(34)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플랜지부(21)의 선단(23)을 상기 빈틈(S)에 용이하게 끼워넣을 수 있다.
플랜지부(21)를 빈틈(S)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록부(43)가 플랜지부(21)의 하면(21a)에 접함으로써, 볼록부(43)가 걸림면(31)의 내측으로 물러나는 방향으로 스프링부(42)가 휜다. 이 때문에, 플랜지부(21)의 선단(23)이 스토퍼벽(50)에 맞닿는 위치까지 플랜지부(21)를 삽입할 수 있다. 플랜지부(21)의 선단(23)이 스토퍼벽(50)에 달하는 과정에서, 스프링부(42)의 탄력에 의해 볼록부(43)가 걸림구멍(25)으로 파고들어간다.
플랜지부(21)는 선단(23)측의 두께가 얇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하고, 그 경사면(24)이 오목부(15)의 내벽(16)에 접하고 있다. 이 때문에 플랜지부(21)가 상기 빈틈(S)에 삽입되면, 플랜지부(21)가 도 1중의 화살표 C방향으로 되돌아가고자 한다. 그러나 이 방향에는 볼록부(43)의 위치 결정벽(45)이 존재하기 때문에, 걸림구멍(25)의 내면(25a)이 위치 결정벽(45)에 맞닿는다. 이로 인해, 플랜지부(21)의 화살표 C방향으로의 위치(뒤로 내는 것)가 정확히 규제된다.
그 결과, 외판 부재(11)의 외면(11a)에 대하여 범퍼 페이스(12)의 언저리부(12b)의 위치가 실질적으로 동일면상에 정돈된다. 더구나 플랜지부(21)의경사각(θ2)(도 5에 도시한다)이 내벽(16)의 경사각도(θ1)보다 약간 크기 때문에, 범퍼 페이스(12)의 언저리부(12b)를 외판 부재(11)의 언저리부(11b)에 밀접시킬 수 있다.
범퍼 페이스(12)를 지지 부재(30)로부터 떼어내기 위해서는, 범퍼 페이스(12)를 차체(10)의 전후방향(도 2중의 화살표 A방향)으로 조금 이동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볼록부(43)의 가이드 사면(46)에 플랜지부(21)의 하면(21a)이 올라 앉아, 볼록부(43)가 아래쪽으로 물러나도록 스프링부(42)가 휘기 때문에, 볼록부(43)가 걸림구멍(25)으로부터 빠진다. 그 후 플랜지부(21)를 빈틈(S)에서 자기 앞(차체 바깥쪽)으로 끌어내면, 플랜지부(21)를 지지 부재(3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차량용 외장 부재의 부착 구조는, 프론트 범퍼나 리어 범퍼를 비롯하여, 범퍼 페이스 이외의 외장 부재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외판 부재나 외장 부재의 구체적 형상, 지지 부재의 걸림면이나 볼록부의 형태 등,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언급할 필요도 없다.
제 1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외판 부재의 내벽과 지지 부재 사이에 플랜지부를 끼워넣음에 의해, 플랜지부와 외판 부재를 직접 위치 결정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외판 부재의 소정 위치에 외장 부재를 정밀도 좋게 부착할 수 있다.
제 2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플랜지부를 지지 부재의 걸림면과 외판 부재의 오목부의 내벽 사이에 삽입할 뿐으로, 외판 부재의 소정 위치에 외장 부재를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외판 부재의 언저리부와 외장 부재의 언저리부의 서로의 위치 관계를 고정밀도로 규제할 수 있다.
제 3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외장 부재를 지지 부재로부터 분리할 필요가 생겼을 때에, 외장 부재를 플랜지부에 따른 방향으로 조금 비킴으로써, 플랜지부와 지지 부재와의 걸어맞춤을 뺄 수 있다.

Claims (3)

  1. 차량의 외표면을 이루고 그 일부에 내측을 향하여 절곡된 내벽과 이 내벽에 연속되는 속벽(奧壁)을 갖는 오목부가 형성된 외판 부재와,
    상기 속벽에 부착되며 또한 상기 내벽에 대향하는 걸림면을 갖는 지지 부재와,
    상기 차량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설치된 플랜지부를 갖는 외장 부재를 가지며,
    상기 플랜지부는 선단을 향하여 두께가 감소되는 테이퍼 형상의 경사면을 가지며,
    해당 플랜지부가 상기 걸림면과 상기 내벽 사이에 끼워지지된 상태로 상기 걸림면에 해당 플랜지부가 걸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외장 부재의 부착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내벽이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경사면에 따른 각도로 경사지고,
    상기 플랜지부에는 상기 걸림면과 마주보는 걸림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면에 상기 오목부의 내벽을 향하여 돌출되는 볼록부가 형성되고, 해당 볼록부는,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내벽과 상기 걸림면 사이에 삽입될 때에 해당 플랜지부의 삽입을 허용하는 위치로 변위되고, 해당 볼록부가 상기 걸림구멍에 달했을 때 상기 걸림구멍에 끼워맞추어지는 스프링성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외장 부재의 부착 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의 측면에, 상기 외장 부재를 상기 플랜지부에 따른 방향으로 이동시켰을 때에 해당 플랜지부가 상기 볼록부상에 올라앉아 해당 볼록부를 상기 걸림구멍로부터 빠지는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가이드 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외장 부재의 부착 구조.
KR1020020031058A 2001-06-06 2002-06-03 차량용 외장 부재의 부착구조 KR2002009356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71238 2001-06-06
JP2001171238A JP4806495B2 (ja) 2001-06-06 2001-06-06 車両用外装部材の取付構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3563A true KR20020093563A (ko) 2002-12-16

Family

ID=19013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1058A KR20020093563A (ko) 2001-06-06 2002-06-03 차량용 외장 부재의 부착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592164B2 (ko)
JP (1) JP4806495B2 (ko)
KR (1) KR20020093563A (ko)
CN (1) CN1171748C (ko)
MY (1) MY122948A (ko)
TW (1) TW53488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49003B4 (de) * 2001-10-04 2004-06-17 Dr.Ing.H.C. F. Porsche Ag Vorrichtung zum Fixieren von Karosserieteilen
FR2857314B1 (fr) * 2003-07-08 2006-10-20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de fixation des parties laterales en forme de crosse du pare-chocs avant d'un vehicule automobile aux ailes de ce dernier
JP4336956B2 (ja) * 2003-09-25 2009-09-30 株式会社ニフコ 部品取付クリップ
DE10359768A1 (de) 2003-12-19 2005-07-21 Dr.Ing.H.C. F. Porsche Ag Fahrzeugkarosserie
KR20050117905A (ko) * 2004-06-11 2005-12-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캐리어의 범퍼 커버 마운팅 구조
JP4435649B2 (ja) 2004-08-30 2010-03-24 株式会社ニフコ バンパー取付用クリップ
JP4797512B2 (ja) * 2005-08-25 2011-10-19 スズキ株式会社 車両の前部構造
JP4747797B2 (ja) * 2005-11-22 2011-08-17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バンパ取付構造
JP4797618B2 (ja) * 2005-12-22 2011-10-1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バンパ取付用ブラケット
EP1826103B1 (en) * 2006-02-28 2011-08-03 Mitsubishi Jidosha Kogyo Kabushiki Kaisha Fender panel structure
JP4725365B2 (ja) * 2006-03-01 2011-07-1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係合固定構造および係合固定方法
US7625021B2 (en) * 2006-08-10 2009-12-01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Resin bumper cover attachment
FR2905346B1 (fr) * 2006-08-31 2008-12-05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ameliore de fixation d'un pare-chocs d'un vehicule automobile
JP5018012B2 (ja) * 2006-10-23 2012-09-0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バンパーの車体取付構造
FR2921031B1 (fr) * 2007-09-14 2010-04-23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Element de pare-chocs comprenant une peau de pare-chocs et un presseur, et vehicule automobile comprenant un tel element de pare-chocs
DE102008036625B4 (de) * 2008-08-06 2023-05-04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Einrichtung zur lagegerechten Positionierung zweier Bauteile zueinander
DE102009051531A1 (de) * 2009-10-31 2011-05-05 Volkswagen Ag Befestigungssystem
DE102010034928A1 (de) * 2010-08-20 2012-02-2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D.Ges.D. Staates Delaware) Vorderbau für ein Kraftfahrzeug
JP2013116683A (ja) * 2011-12-02 2013-06-13 Murakami Corp カバー部材の固定構造
KR101869087B1 (ko) * 2011-12-15 2018-06-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범퍼빔의 거치구조물
WO2013118973A1 (ko) * 2012-02-07 2013-08-15 (주)대한솔루션 차량의 모듈헤드라이너용 보조손잡이 고정구
JP5855971B2 (ja) * 2012-02-22 2016-02-0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バンパー固定クリップ
WO2014099444A1 (en) 2012-12-19 2014-06-26 Illinois Tool Works Inc. Push through retainer connection with integrated hinging seal
US8615962B1 (en) * 2013-01-14 2013-12-3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Retention feature for automotive deco trim
JP6037984B2 (ja) * 2013-09-20 2016-12-07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バンパ用緩衝部材の取付構造
US10059293B2 (en) * 2014-10-08 2018-08-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tructure for positioning a trim component on a vehicle
DE102015004413A1 (de) * 2015-04-02 2016-10-0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Fahrzeugkarosserie
DE102016007913B4 (de) * 2016-06-30 2018-08-23 Krallmann Kunststoffverarbeitung Gmbh Kfz-Verbundbauteil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JP2019001391A (ja) 2017-06-19 2019-01-10 スズキ株式会社 車両前部構造
US10519992B2 (en) 2017-11-30 2019-12-3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pring clip with a single resilient cantilevered le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70854A1 (fr) * 1998-07-07 2000-01-12 Compagnie Plastic Omnium Dispositif de fixation des crosses d'un pare-chocs sur une aile de carrosserie de véhicule
JP2000052900A (ja) * 1998-08-06 2000-02-22 Pop Rivet Fastener Kk バンパー等の保持クリップ
KR100243585B1 (ko) * 1996-11-15 2000-03-02 정몽규 자동차의 범퍼카바 장착구조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17131A (en) * 1953-09-04 1957-12-24 Illinois Tool Works Panel fastener
US3572799A (en) * 1969-03-24 1971-03-30 Robert E Truesdell Resilient buffer strip
US4039215A (en) * 1976-05-17 1977-08-02 U.S. Industries, Inc. Auto molding with integrally molded connector
US4115974A (en) * 1977-05-18 1978-09-26 Jack Purcell Retainer arrangement for panels
US4170855A (en) * 1977-07-22 1979-10-16 Trw Inc. Molding fasteners
US4103400A (en) * 1977-07-25 1978-08-01 Microdot Inc. Dart clip
JPS56132141U (ko) * 1980-03-10 1981-10-07
US4366530A (en) * 1980-11-07 1982-12-28 Paccar Inc. Unitary front light mounting assembly for a vehicle
JPS57167841A (en) * 1981-04-09 1982-10-15 Mazda Motor Corp Synthetic resin made lace for car
JPS6189142A (ja) * 1984-10-05 1986-05-07 Nissan Motor Co Ltd 装飾部品
US4607877A (en) * 1985-09-30 1986-08-26 General Motors Corporation Vehicle body panel arrangement
JPS6436257A (en) * 1987-07-31 1989-02-07 Nec Corp Facsimile equipment
JPH0170651U (ko) * 1987-10-31 1989-05-11
US4895406A (en) * 1988-02-12 1990-01-23 Dr. Ing. H.C.F. Porsche Ag Bumper arrangement with an adjustable covering for motor vehicles
US5368903A (en) * 1988-03-19 1994-11-29 Trier; Lothar An improved decorative molded strip element
JPH0626734Y2 (ja) * 1988-08-23 1994-07-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合成樹脂製クリツプ
US4875728A (en) * 1988-09-16 1989-10-24 Chrysler Motors Corporation Bumper facia attachment structure
US4917426A (en) * 1989-04-17 1990-04-17 Chrysler Corporation Bumper attachment means for a nerf strip and license plate holder
JP2512724Y2 (ja) * 1990-08-17 1996-10-02 関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バンパ取付け構造
DE4037706C1 (ko) * 1990-11-27 1992-01-16 Mercedes-Benz Aktiengesellschaft, 7000 Stuttgart, De
US5202172A (en) * 1991-05-20 1993-04-13 General Motors Corporation Molding and retainer assembly
GB9111491D0 (en) * 1991-05-29 1991-07-17 Pebra Inc Mounting of body moulding and related assemblies
JP2540642Y2 (ja) * 1991-07-12 1997-07-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バンパー支持構造
US5186509A (en) * 1992-06-01 1993-02-16 General Motors Corporation Body side molding attachment
JPH06298008A (ja) * 1993-04-16 1994-10-25 Suzuki Motor Corp トリムの結合構造
US5639522A (en) * 1994-07-25 1997-06-17 Tokai Kogyo Co., Ltd. Side protective moulding for automobiles
JP3319298B2 (ja) * 1996-08-27 2002-08-26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バンパフェースの構造
US6095594A (en) * 1998-07-21 2000-08-01 Chrysler Corporation Exterior body side cladding attachment for a motor vehicle and related method
JP2000118318A (ja) * 1998-10-14 2000-04-25 T S Tec Kk 車両用ライニング部材へのプレート部材の取付構造およびそれを用いた車両用装飾部品
FR2784644B1 (fr) * 1998-10-16 2000-11-24 Inoplast Sa Procede de fabrication d'une face avant de vehicule automobile et face avant apte a etre fabriquee par ce procede
US6276109B1 (en) * 1999-12-20 2001-08-21 General Motors Corporation Motor vehicle trim panel assembly and method
JP2002046558A (ja) * 2000-08-04 2002-02-12 Nifco Inc バンパー取付具
JP3832233B2 (ja) * 2000-12-05 2006-10-11 スズキ株式会社 車両の前部車体構造
DE10114018B4 (de) * 2001-03-22 2005-05-25 Dr.Ing.H.C. F. Porsche Ag Aufnahme- und Verbindungsvorrichtung für eine Bug/Heckschürze eines Kraftfahrzeugs
FR2823804B1 (fr) * 2001-04-19 2004-03-26 Plastic Omnium Cie Ensemble de deux pieces de carrosserie a reunir bord a bord et piece de carosserie appartenant a un tel ensemble
US6422643B1 (en) * 2001-12-12 2002-07-23 Guardian Industries Corp. System for attaching front grill or other trim component to vehic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3585B1 (ko) * 1996-11-15 2000-03-02 정몽규 자동차의 범퍼카바 장착구조
EP0970854A1 (fr) * 1998-07-07 2000-01-12 Compagnie Plastic Omnium Dispositif de fixation des crosses d'un pare-chocs sur une aile de carrosserie de véhicule
JP2000052900A (ja) * 1998-08-06 2000-02-22 Pop Rivet Fastener Kk バンパー等の保持クリ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34880B (en) 2003-06-01
MY122948A (en) 2006-05-31
JP4806495B2 (ja) 2011-11-02
CN1389364A (zh) 2003-01-08
CN1171748C (zh) 2004-10-20
JP2002362264A (ja) 2002-12-18
US20030015882A1 (en) 2003-01-23
US6592164B2 (en) 2003-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93563A (ko) 차량용 외장 부재의 부착구조
US5649783A (en) Retainer for seat
JP2646810B2 (ja) バンパフェイシアの取付構造
US7461436B2 (en) Mounting structure of vehicle interior material
US5367751A (en) Panel locator and attachment apparatus
JPH07217604A (ja) リザーブタンクの取付構造
EP3566908B1 (en) Interior cover mount assembly
JP3611699B2 (ja) 引手後付けタイプの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US7250573B2 (en) Automotive cable holding system
CN109555763B (zh) 夹具安装座
KR101999789B1 (ko) 범퍼와 헤드램프 결합 구조
JPH0139922Y2 (ko)
JP2015182673A (ja) プルポケットの取付構造
JPH0329609Y2 (ko)
JP4569052B2 (ja) 車体外装品の保持クリップ
JP3319049B2 (ja) シートクッションの取付構造
KR20190011376A (ko) 클립을 이용한 내장재 결합 구조
JP2000108729A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のレッグカバー
WO2023226008A1 (zh) 安装部件
JP7294005B2 (ja) ピラーガーニッシュとパッケージトレイの組付構造
JP4960073B2 (ja) 車両内装部材
KR100552014B1 (ko) 차량의 모듈헤드라이너용 보조손잡이 고정구
JPS629158Y2 (ko)
JPH067977Y2 (ja) 自動車のランプ取付構造
JPH10152004A (ja) 車両用バンパーの支持用補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