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1256A - 향상된 성질을 가진 가공된 폴리올레핀 물질 - Google Patents

향상된 성질을 가진 가공된 폴리올레핀 물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1256A
KR20020091256A KR1020027014592A KR20027014592A KR20020091256A KR 20020091256 A KR20020091256 A KR 20020091256A KR 1020027014592 A KR1020027014592 A KR 1020027014592A KR 20027014592 A KR20027014592 A KR 20027014592A KR 20020091256 A KR20020091256 A KR 200200912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ent
blend
amount
propylen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4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드루니악마르타
허지-윤
스리니바산샤키
스체파니아크에드워드
Original Assignee
솔베이 엔지니어드 폴리머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솔베이 엔지니어드 폴리머즈 filed Critical 솔베이 엔지니어드 폴리머즈
Publication of KR20020091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1256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hydrocarbons as defined in group C08F10/00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6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3/02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일부가 친수성 부분으로 관능화된 프로필렌 함유 중합체인 기재성분;
(A) 에틸렌과 알파 올레핀의 공중합체 및 (B)에틸렌, 알파 올레핀 및 디엔의 삼원공중합체로 구성되는 군으로 부터 선택된 중합체인 강화성분;
탄성 블럭 공중합체 형태의 접촉개선제; 및
충전제를 가지는 폴리올레핀 블렌드가 제공된다. 프로필렌 함유 중합체의 관능화된 부분은 상기 블렌드의 반결정성 부분내에 충전제의 분산을 확신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존재하고, 강화제는 블렌드의 저온 충격 성질을 향상시키기에 충분하나 약 40 중량%이하의 양으로 존재하고, 접촉개선제는 블렌드의 중합체 성분들 사이의 접착을 보증하기에 충분하나 약 30 중량% 이하의 양으로 존재하며, 충전제는 블렌드의 강도 및 경도를 향상시키기에 충분하나 약 40중량 %이하의 양으로 존재한다. 또한 상기 폴리올레핀 블렌드를 함유하는 제품, 상기 폴리올레핀 블렌드를 원하는 구조 및 모양의 제품으로 성형함으로써 상기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제품을 자동차 부품으로서 이용하는것을 기술한다.

Description

향상된 성질을 가진 가공된 폴리올레핀 물질{ENGINEERED POLYOLEFIN MATERIALS WITH ENHANCED PROPERTIES}
수많은 적용물에서, 예컨대 자동차 산업의 많은 용품에서, 강도와 견고도의 우수한 균형을 나타내는 중합체 물질이 바람직하다. 그렇지만 이들 성질은 서로 반대적이어서, 한가지를 향상시키고자 하면 나머지는 악화되곤 한다. 이 문제를 어느 정도 극복한 특별한 중합체 물질이 개발 되고 있다.
유렵 특허 출원07994225-A1은 강도와 견고도가 적절히 균형되었다고 보고된 탄성중합체와 활석을 함유하는 스티렌, 폴리프로필렌으로 구성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기술한다. 명세서는 이들 균형을 이루기위해 사용된 각 성분비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PCT 출원 WO97/38050에서는, 에틸렌-프로필렌 기재 중합체 조성물, 에틸렌-알파 올레핀 공중합체 기재 고무 및/또는 비닐 방향족 화합물 및 활석을 함유한 고무로 구성되는 열가소성 수지를 위한 성질들의 유사한 균형에 대해 보고하고 있다. 강도와 견고도가 적절히 균형을 이루는 조성물의 또 다른 예가 폴리올레핀 기재 수지 및 방향족 비닐 및 부타디엔 당량체 단위를 기재로한 블럭 공중합체로 구성되는 수지조성물에 대한 일본특허출원 10-219040에서 보고된다.
상기 참고문헌에 기술된 것들과 같은 조성물의 기계적 성질의 비교 연구가 키요 카토(Kiyoo Kato) 일동의 폴리프로필렌 변형을 위한 스티렌 블럭 공중합체(SEBS)에 있어서 새로운 개선, Fifth International Conference, "TPO's in Automotive '98", October 12-14, 1998, Novi, Michigan에 보고된다. 여기에서 상기 조성물은 강도와 견고도가 잘 균형되어 있음을 보인다. 또한 카토와 그의 동료들은 상기 동일 논문에서 관련된 형태학 연구에서 비롯된 결과를 보고하며, 이는 이들 조성물내 스티렌 기재 성분들이 다른성분들의 접촉면에서 응집하고 다양한 상태의 중합체 사슬과 얽힘으로써 강도를 촉진하는 결과들로부터 추측할 수 있다.
이들 종래 배합물에도 불구하고, 강도와 견고도의 우수한 균형을 갖는 다른 중합체 물질이 요구되고 있으며, 본 발명 물질이 이 요구를 만족시킨다.
본 발명은 자동차 범퍼와 같은 성형품에서 높은 성능으로 사용하기 위한 높은 강화 수준의 향상된 강도를 포함한 뛰어난 물리적 성질을 갖는 폴리올레핀 블렌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성형품 및 이들을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부가 친수성 부분으로 관능화 되는 프로필렌 함유 중합체인 기재성분; (A) 에틸렌과 알파 올레핀의 공중합체 및 (B)에틸렌, 알파 올레핀 및 디엔의 삼원공중합체로 구성되는 군으로 부터 선택된 중합체 강화성분; 탄성 블럭 공중합체 형태의 접촉개선제; 및 충전제로 구성되는 폴리올레핀 블렌드에 관한 것이다.이들 블렌드에서 관능화된 폴리프로필렌은 블렌드의 반결정성 부분내에 충전물의분산을 확신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존재한다. 이는 폴리프로필렌 상내에 충전제의 보다 높은 중량 분율을 허락하여, 탁월한 강화력을 이끌어낸다. 강화제는 블렌드의 저온 충격 성질을 향상시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존재하고, 접촉개선제는 블렌드의 중합체 성분들의 접착을 보증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존재하며, 충전제는 블렌드의 강도 및 경도를 향상시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은 상기 폴리올레핀 블렌드를 원하는 구조 및 모양의제품으로 성형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제품의 생산방법이다. 결과되는 성형품 및 자동차 부품으로서 이들의 이용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이다.
본 발명은 (1) 프로필렌 및 다른 알파 올레핀 또는 폴리프로필렌의 공중합체인 기재성분; (2) 친수성 당량체(들)로 관능화된 프로필렌 함유 중합체인 성분; (3) (A) 에틸렌 및 다른 알파 올레핀의 공중합체 또는(B) 에틸렌, 다른 알파 올레핀 및 디엔의 삼원공중합체인 강화성분; (4) 탄성 블럭 공중합체 형태의 접촉개선제; (5) 처리된 또는 비처리된 미네랄 충전제의 다양한 바람직한 조합물을 포함하는 가공된 폴리올레핀 기재 물질의 중합체 블렌드에 관한 것이다. 이들 블렌드는 놀랍게도 종래기술로 얻어질 수 없었던 높은 수준의 강도 및 견고도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물질은 동시에, 기대하지 않은 높은 차원의 안정성, 경도(그러므로 흔적 저항성) 및 우수한 착색성을 가지며, 용융 유량이 우수함이 밝혀졌다. 모든 이들 성질은 유사한 강도를 가지는 다른 폴리올레핀 물질보다 상당히 높은 강화수준으로 얻어진다. 이러한 성질의 총괄적인 조합은 많은 산업, 특히, 자동차에 사용되는 부품 또는 성형품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기재 조성물에서 보통 가장 큰 분량의 성분은 프로필렌 함유 중합체인 기재성분이다. 상기 중합체는 바람직하게 프로필렌의 단일중합체 또는 프로필렌 및 다른 알파 올레핀의 공중합체이다. 이 물질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내에서 반결정성임을 특징으로 한다. "반결정성"이란 결정도가 적어도 30%이고, 바람직하게는 50% 이상임을 뜻한다.
적당한 유형의 프로필렌의 단일중합체는 매우 등방성인 폴리프로필렌이다. 적당한 프로필렌 공중합체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이다. 이 성분이 총 조성물의 적어도 33 - 75 중량%, 바람직하게는 40 - 6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45 - 55 중량%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로필렌 함유 중합체 부분이 예컨대 프로필렌 함유 중합체와 히드록실 관능기 같은 친수성기 또는 부분을 함유하는 화합물과의 반응에 의해서 관능화될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은 프로필렌 함유 중합체 약 0.5 - 50 %, 바람직하게는 약 5 - 40 % ,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8 - 30%를 관능화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이러한 반응은 배출동안에 현장에서 수행될 수 있다. 그렇지만, 별도 성분으로서 관능화된 프로필렌 함유 중합체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능화된 폴리프로필렌은 총 조성물의 약 1 -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3 - 1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13 중량 %를 구성한다.
관능화에 사용하기에 적당한 친수성 단량체는 하나이상의 히드록실기를 함유하는 유기 화합물 및 무수 프탈산, 무수 말레산 및 무수 이타콘산과 같은 무수 카르복실산이다. 적당한 관능화 화합물의 다른 예로는 염화 비닐, 실란,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스티렌 유도체 예컨대 스티렌 코-히드록시프로필렌, 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산, 아크릴레이트, 비닐 피리딘, 비닐 아세테이트, 알킬 또는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2-비닐 피리딘, 방향족 아민 또는 페놀을 함유하는 메타크릴 에스테르 유도체, 무수 시트라콘산, 무수 말레산 -트리메틸프로판 에스테르, 아크릴아미드, 비닐 카프로락탐 및 디비닐벤젠을 포함한다. 메타크릴레이트/비닐아세테이트 혼합물 또는 아크릴산/메타크릴산 혼합물과 같은 관능화 화합물의 조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무수 말레산, 아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물이 사용된다.
상기 관능화된 프로필렌 함유 중합체는 조성물내에, 우선적으로 블렌드의 반-결정성 부분으로의 미네랄 충전제의 분산을 향상시키고, 접촉 상호작용을 증가하여 강도에 부작용 없이 놀랍도록 탁월한 강화를 유도한다. 총 조성물에서 다른 중합체와 함께 상기 관능화된 프로필렌 함유 중합체는 미네랄 충전제 입자가 우수하게 접착하도록 하여 기대이상으로 탁월한 수준의 강도가 높은 강화 수준에서 관찰된다. 바람직하게, 이 성분은 상기한 바와 같은 반-결정성이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내에 존재하는것은 (A) 에틸렌 및 알파 올레핀의 공중합체 또는 (B) 에틸렌 다른 알파 올레핀 및 디엔의 삼원공중합체인 강화성분이다. 이 성분은 조성물에 강화성을 부여하고 블렌드의 우수한 충격내성에 기여한다. 본 발명의 총 조성물의 많은 다른 성분과 같이, 이것은 상기한 바와 같이 종종 반-결정성이다.
이미 명명한 에틸렌외에 이 성분에 존재하는 가능한 알파 올레핀은 임의의C3- C18올레핀, 바람직하게는 C3-C10올레핀을 포함하며, 프로필렌, 부텐, 또는 옥텐이 바람직하고, 옥텐이 특히 바람직하다. 디엔이 사용될 때, C4- C18알켄이 사용될 수 있다. 삼원공중합체를 생산하는데 사용되는 바람직한 디엔의 예로는 에틸리덴 노보르넨이 있다. 이 강화성분이 총 조성물의 약 1 - 2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25 중량%, 매우 바람직하게는 10 - 20 중량%를 구성하는것이 바람직하다.
삼원공중합체를 사용할 때, 삼원공중합체 내 디엔의 양은 중요하지 않고, 0.5 % 정도의 양으로 유용하다. 전형적으로, 삼원공중합체의 디엔 함량은 약 3 - 20 % , 바람직하게는 7 - 15 %일 것이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기재물질내 또 다른 성분은 접촉개선제이다. 이는 바람직하게 스티렌 블럭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탄성중합체이다. 이 성분은 충전제와 다른 중합체 성분을 양립가능하게 하며, 중합체 상 사이의 접착력을 상당히 증가시킨다. 이는 견고도를 증가시키는 한편 총 조성물의 강도를 높게한다.
적합한 스티렌 블럭 공중합체는 스티렌, 에틸렌 및 다른 알켄의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공중합체는 스티렌/(에틸렌-부텐)/스티렌,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스티렌/(에틸렌-부텐),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 스티렌/부텐/스티렌, 스티렌/부텐, 스티렌/부타디엔 및 스티렌/이소프렌의 블록을 함유한다. 바람직한 공중합체는 적어도 세개의 블록 또는 한쌍의 두개 반복 블럭을 갖는 것들이다. 예를들어, 반복 스티렌/부타디엔 또는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 블럭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한 공중합체는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블럭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스티렌 블럭 공중합체 성분은 총 조성물의 약 1 - 3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 -20 중량%, 매우 바람직하게는 3 - 18 중량%를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내에 미네랄 충전제가 존재한다. 높은 함량의 미네랄 충전제가 사용되는데, 특히 본 발명의 조성물내 다른 성분들의 영향하에, 증가된 굳기 및 수축율 조절을 위해서이다.
미네랄 충전제는 처리된 또는 비처리된 무기 물질이다. 바람직한 충전제는 활석, 탄산 칼슘, 월라스토나이트(wollastonite), 알루미늄 트리하이드레이트, 바륨 설페이트, 칼슘 설페이트, 카본 블랙, 금속 섬유, 붕소 섬유, 세라믹 섬유, 중합체 섬유, 카올린; 유리, 세라믹, 탄소 또는 중합체 미소구; 실리카, 운모, 유리 섬유, 탄소 섬유, 및 점토를 포함하며, 활석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미네랄 충전제가 총 조성물내에 약 1 - 3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 -25 중량%, 매우 바람직하게는 8 - 2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물질은 - 30℃에서 아이죠드(Izod) 충격 강도 1 ft-lb/in 이상, 굴곡탄성율 175 kpsi 이상, 230 ℃ 및 2.16 kg 에서 용융 유량 15 dg/min 이상, 및 180도 박리상태에서 측정된 박리강도(peel strength) 700 N/m 이상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물질은 - 30℃에서 아이죠드 충격 강도 1.5 ft-lb/in 이상, 굴곡탄성율 190 kpsi 이상, 230 ℃ 및 2.16 kg 에서 용융 유량 20 dg/min 이상, 로크웰 R 경도 70 이상, 수축율 약 8 mil/inch 이하 및 180 도 박리상태에서 측정된 박리강도는 900 N/m이다. 이들 성질은 하기되는 실시예에서 주어진 방법에 따라서 측정된 것들이고, 이러한 표준치는 청구범위를 설명할 때, 이들 성질을 정의하기 위해 취해질 것이다. 상기 성질은 청구범위에서 설명될 때 조성물의 함축적인 사항으로서 이해된다.
본 발명의 물질에 우수한 강도와 견고도의 균형과 앞서 지적한 다른 탁월한 성질을 제공했으며, 이들 폴리올레핀 물질은 많은 특별한 적용물에 적합하다. 예를들어, 이 물질은 많은 내부 및 외부 자동차 부품에 사용되는 성분으로 성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성형이란 성형 및 /또는 압출을 포함하며, 상기 성분의 블렌드를 사출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과의 성형품은 자동차 도어패널 및 범퍼와 같은 적용물에 특히 유용하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기재 조성물은 일 또는 이 단계로 제조 될 수 있다. 두번째 단계에서, 총 조성물의 (1), (2) 및 (5)는 임의로 압출기 또는 다른 혼합 장치를 사용하여 안정화제 및 /또는 첨가제와 함께 용융 블렌딩된다. 결과되는 주 블렌드를 안정화제 및/또는 첨가제와 함께 총 조성물의 성분 (3) 및 (4)와 용융블렌딩시키고; 이 두번째 단계는 연속 또는 배치 혼합 장치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 단계 방법에서 모든 단계는 일 단계 접근에 효과적인 트윈 스크류 압출기를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수행된다. 하기 표I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설명한다.
성분/(중량% 또는 물리적성질) 실시예들
1 2 3 4 5
HIPP1 - - - 53 -
HIPP2 46 46 46 - 43.5
PP-MA3 - 10 - 10 -
PP-AA4 10 - 10 - 9.5
SEPSEP5 11 11 17 11 13
폴리(에틸렌-코-옥텐)6 17 17 11 17 19
충전제7 16 16 16 9 15
경도8 70 73 71 79 76
굴곡탄성율9 238 258 219 259 192
MFR10 22 23 19 23 16
밀도11 1.00 1.00 1.01 0.96 0.99
충격@-30C12 D D D D D
연신율13 0.38 0.39 0.35 0.40 0.31
아이죠드 충격 시험@-30C14 2.09 1.67 2.15 1.48 >5.31
성형 수축율15 7.0 7.5 8.0 9.2 8.0
박리강도16 >1500 890 1150 1000 1130
주목 :
1. HIPP-HIPP EOD 97-13 (fina에서 구함); 매우 등방성인 폴리프로필렌, MFR(230 C, 2.16 kg 에서)= 70 dg/min, ASTM D-1238.
2. HIPP-VB35-125 (Amoco에서 구함); 매우 등방성인 폴리프로필렌, MFR(230 C, 2.16 kg 에서)=125 dg/min, ASTM D-1238.
3. PP-MA-Polybond 3150 (Uniroyal에서 구함); 무수말레산(MA)으로 관능화된 폴리프로필렌, MFR(230 C, 2.16 kg 에서)= 50 dg/min, ASTM D-1238; MA농도=0.5%.
4. PP-AA-Polybond 1002 (Uniroyal에서 구함); 아크릴산(AA)으로 관능화된 폴리프로필렌, MFR(230 C, 2.16 kg 에서)= 20 dg/min, ASTM D-1238; AA농도=6%.
5. SEPSEP-Kraton G-1730M (Shell에서 구함); 다중-블럭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 또는 SEPSEP); MFR(230 C, 2.16kg 에서)=4.2 dg/min; 스티렌 함량=23%
6. 폴리(에틸렌-코-옥텐)-Engage 8180 (Dow-Dupont Elstomers에서 구함); C2=72%; MFR(230 C, 2.16 kg에서)=0.5 dg/min, ASTM D-1238; 분자량 분포=2.
7. 충전제-Ultra Talc 609 (Luzenac에서 구함); 입자크기=0.9 미크론.
8. ASTM D-785에 따라 측정된 로크웰 R 경도.
9. ASTM D-790에 따라 측정된 kpsi.
10. ASTM-1238에 따라 측정된 230 C, 2.16 kg에서 dg/min.
11. g/㎤.
12. D=연신파괴; B=취성파괴는 ASTM D-3763에 따라 측정되었다.
13. 연신율은 ASTM-3763에 따른 충격시험을 이용해 측정된다.
이것은 하기 방정식으로 계산된다:
DI=(T-U)/T
여기서 ;
DI는 연신율이다.
T는 프로브가 표본을 통해 부서지는 그 지점에서의 총 에너지를 나타낸다. 즉, 프로브에 의해 표본에 전달되는 힘이 0 으로 떨어지는 지점이다.
U는 궁극적인 에너지를 나타낸다. 즉, 프로브에 의해 표본에 미치는 힘이 프로브의 위치에 대한 프로브에 의해 표본에 전해지는 힘의 힘-위치 곡선으로 계산되어 최대인 지점에서의 에너지이다.
각각의 3-5개 표본의 DI 을 평균하여, DI로서 기록한다.
14. ASTM D-256에 따라 측정한 ft-lb/in.
15. ASTM D-955에 따라 측정한 mils/inch.
16. 180 도 박리에서 측정된 N/m.
박리강도는 기판의 칠을 벗겨내는데 요구되는 힘(N/m)이고, 기판 코팅의 접착 강도의 척도이다.
박리강도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크기 4x6 인치와 1/8 두께의 문제의 조성물로 부터 형성된 사출성형 플라크는 접착 촉진제로 부분적으로, 탑 코팅으로 전체적으로 코팅되어, 접착 촉진제로 코팅되지 않은 플라크 부분으로부터 탑코팅을 떼어낼 수 있으며, 상기 유형 모두가 폴리올레핀 물질을 코팅하기 위한 자동차 산업에서 사용된다.
예리한 칼 또는 금속 형판을 사용하여 탑코팅을 절단하여 1 cm 너비의 스트립을 2 또는 3개 만든다. 1cm 폭의 스트립을 접착 촉진제가 없는 플라크의 부분으로 부터 서서히 떼어낸다. 폴리에스테르 테이프의 조각을 벗겨낸 스트립 상에 두어, 스트립을 더 벗겨낸 "핸들"을 형성한다. 제조된 플라크는 Instron Model 1130 인장시험기에 둔다.
플라크로 부터 스트립을 벗겨내기 위해 필요한 힘을 플라크를 따라 벗겨낸 스트립 길이의 함수로서 기록한다. 벗겨내는 속도는 1 분당 2 인치 이다. 전체 박리에 필요한 평균 힘은 박리 폭 1 cm 당 접착 강도로서 기록된다. 즉, 단위 N/m.
하기되는 표 Ⅱ의 비교 실시예 A, B 및 C 는 본 발명 실시예 1과 비교되어야하는데, 이들은 한가지 다른 성분이 실시예 1에서 비교 되는 A, B 및 C에서 제거된 것을 제외하면 동일하다. D 및 E는 스티렌 블럭 공중합체를 함유하지 않은 종래 기술 조성물을 나타낸다.
성분/(중량% 또는 물리적성질) 비교실시예 종래기술
A B C D E
HIPP1 56 46 46 54 54
PP-AA2 - 10 10 - -
SEPSEP3 11 28 - - -
폴리(에틸렌-코-옥텐)4 17 - 28 - -
폴리(에틸렌-코-옥텐)5 - - - 10 -
폴리(에틸렌-코-부텐)6 - - - 20 -
EPR7 - - - - 30
충전제8 16 16 16 16 16
경도8 64 71 70 70 34
굴곡탄성율10 233 212 243 247 243
MFR11 25 22 16 27 19
밀도12 1.0 1.01 0.99 1.0 1.01
충격@-30C13 D B B B B
연신율14 0.38 0.34 0.20 0.05 0.04
아이죠드 충격시험@-30C15 1.72 2.05 1.5 1.06 0.74
성형수축율16 8.7 8.5 7.8 8.5 8.2
박리강도17 460 950 1170 300 180
주목 :
1. HIPP-VB35-125 (Amoco에서 구함);매우 등방성인 폴리프로필렌, MFR(230 C, 2.16 kg에서)=125 dg/min, ASTM D-1238.
2. PP-AA-Polybond 1002 (Uniroyal에서 구함);아크릴산(AA)으로 관능화된 폴리프로필렌, MFR(230 C, 2.16 kg 에서)= 20 dg/min, ASTM D-1238; AA농도=6%.
3.SEPSEP-Kraton G-1730M (Shell에서 구함); 다중-블럭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 또는 SEPSEP); MFR(230 C, 2.16 kg 에서)=4.2 dg/min; 스티렌 함량=23%.
4.폴리(에틸렌-코-옥텐)-Engage 8180 (Dow-Dupont Elstomers에서 구함); C2=72%; MFR(190 C, 2.16 kg에서)=0.5 dg/min, ASTM D-1238; 분자량 분포=2.
5.폴리(에틸렌-코-옥텐)-Engage 8200 (Dow-Dupont Elstomers에서 구함); C2=76%; MFR(190 C, 2.16 kg에서)=0.5 dg/min, ASTM D-1238; 분자량 분포=2.
6.폴리(에틸렌-코-부텐)-Exact4033(Exxon Co에서 구함); 카민스키 촉매를 사용하여 생산되며, C2=80%를 가진다; MFR(190 C, 2.16 kg에서)=0.8 dg/min, ASTM D-1238; 분자량 분포=2.
7.EPR-Dutral CO-54(Enichem에서 구함);폴리(에틸렌-코-프로필렌); C2=50%, C3=50%, 100 ℃에서 무니 점도=35; 분자량 분포=4.6.
8. 충전제-Ultra Talc 609 (Luzenac에서 구함); 입자크기=0.9 미크론.
9. ASTM D-785에 따라 측정된 로크웰 R 경도.
10. ASTM D-790에 따라 측정된 kpsi.
11. ASTM D-1238에 따라 측정된 230 C 및 2.16 kg에서 dg/min.
12. g/㎤.
13. D=연신파괴; B=취성파괴는 ASTM D-3763에 따라 측정된다.
14. 표Ⅰ에서 주목13을 보라.
15. ASTM D-256에 따라 측정한 ft-lb/in.
16. ASTM D-955에 따라 측정된 mils/inch.
17. 표Ⅰ에서 주목16을 보라.
상기 설명과 실시예는 본 발명을 불필요하게 한정짓는 것으로 이해 되어서는 안된다.

Claims (19)

  1. 일부가 친수성 부분으로 관능화된 프로필렌 함유 중합체인 기재성분;
    (A) 에틸렌과 알파 올레핀의 공중합체 및 (B)에틸렌, 알파 올레핀 및 디엔의 삼원공중합체로 구성되는 군으로 부터 선택된 중합체인 강화성분;
    탄성 블럭 공중합체 형태의 접촉개선제; 및
    충전제로 구성되는 폴리올레핀 블렌드로서,
    이때, 프로필렌 함유 중합체의 관능화된 부분은 상기 블렌드의 반결정성 부분내에 충전제의 분산을 확신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존재하고, 강화제는 블렌드의 저온 충격 성질을 향상시키기에 충분하나 약 40 중량%이하의 양으로 존재하고, 접촉개선제는 블렌드의 중합체 성분들 사이의 접착을 보증하기에 충분하나 약 30 중량% 이하의 양으로 존재하며, 충전제는 블렌드의 강도 및 경도를 향상시키기에 충분하나 약 40중량 %이하의 양으로 존재하는 폴리올레핀 블렌드.
  2. 제 1 항에 있어서, 프로필렌 함유 중합체는 반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중합체이고, 아이죠드 충격강도는 - 30℃에서 약 1 ft-lb/in 이상, 굴곡탄성율은 약 175 kpsi 이상, 230 ℃ 및 2.16 kg 에서 용융유량은 약 16 dg/min 이상, 180도 박리상태에서 측정된 박리강도는 약 700 N/m 이상인 블렌드.
  3. 제 1 항에 있어서, 프로필렌 함유 중합체는 반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중합체이고, 블렌드는 - 30℃에서 적어도 약 1.5 ft-lb/in의 아이죠드 충격 강도, 적어도 약 190 kpsi의 굴곡탄성율굴곡탄성율도 약 70의 로크웰 R 경도, 약 8 mil/inch이하의 수축율 및 180 도 박리에서 측정된 적어도 약 900 N/m의 박리강도를 가지는 블렌드.
  4. 제 1 항에 있어서, 기재 성분이 폴리프로필렌 또는 프로필렌 및 또 다른 알파 올레핀의 공중합체의 첫번째 프로필렌 함유 중합체 및 친수성 단량체로 관능화된 두번째 프로필렌 함유 중합체를 포함하는 블렌드.
  5. 제 4 항에 있어서, 친수성 단량체가 무수 말레산, 아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물인 블렌드.
  6. 제 1 항에 있어서, 블럭 공중합체가 2, 3 또는 4개의 블럭 성분들을 포함하는 블렌드.
  7. 제 1 항에 있어서, 블럭 공중합체가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스티렌/(에틸렌-부틸렌),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 스티렌/부텐/스티렌, 스티렌/부텐,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 스티렌/부타디엔 또는 스티렌/이소프렌의 블럭들을 함유하는 폴리올레핀 기재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이때:
    프로필렌 함유 중합체는 약 33 - 7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이 성분의 적어도 0.5 %가 관능화되고;
    강화성분은 약 1 - 2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접촉개선제는 약 1 - 3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며;
    충전제는 약 1 - 3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블렌드.
  9. 제 1 항에 있어서, 이때:
    프로필렌 함유 중합체는 약 33 - 7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이 성분의 적어도 5 % - 50 %가 관능화되고;
    강화성분은 약 10 - 2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접촉개선제는 약 3 - 18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며;
    충전제는 약 8 - 2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블렌드.
  10. 제 4 항에 있어서, 이때:
    프로필렌 함유 중합체는 약 40 - 6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친수성 단량체로 관능화된 프로필렌 함유 중합체는 1 - 2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접촉개선제는 약 1 - 2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며;
    강화성분은 약 1 - 2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충전제는 약 1 - 3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블렌드.
  11. 제 4 항에 있어서, 이때:
    프로필렌 함유 중합체는 약 40 - 6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친수성 단량체로 관능화된 프로필렌 함유 중합체는 1 - 2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접촉개선제는 약 3 - 18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며;
    강화성분은 약 10 - 2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충전제는 약 8 - 2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블렌드.
  12. 제 1 항의 조성물을 갖는 성형 폴리올레핀 블렌드를 포함하는 제품.
  13. 제 4 항의 조성물을 갖는 성형 폴리올레핀 블렌드를 포함하는 제품.
  14. 제 12 항의 제품을 포함하는 자동차 생산 부품.
  15. 제 13 항의 제품을 포함하는 자동차 생산 부품.
  16. 제 1 항의 폴리올레핀 블렌드를 원하는 구조 및 형태의 제품으로 성형하는단계를 포함하는 제품의 생산 방법.
  17. 제 4 항의 폴리올레핀 블렌드를 원하는 구조 및 형태의 제품으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품의 생산 방법.
  18. 제 1 항의 폴리올레핀 블렌드를 원하는 구조 및 형태의 제품으로 성형하고, 제품을 자동차 부품으로서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성형된 자동차용품의 생산 방법.
  19. 제 4 항의 폴리올레핀 블렌드를 원하는 구조 및 형태의 제품으로 성형하고, 제품을 자동차 부품으로서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성형된 자동차용품의 생산 방법.
KR1020027014592A 2000-05-03 2001-04-30 향상된 성질을 가진 가공된 폴리올레핀 물질 KR200200912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562,956 US6465571B1 (en) 2000-05-03 2000-05-03 Engineered polyolefin materials with enhanced properties
US09/562,956 2000-05-03
PCT/US2001/013823 WO2001083609A2 (en) 2000-05-03 2001-04-30 Engineered polyolefin materials with enhanced properti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1256A true KR20020091256A (ko) 2002-12-05

Family

ID=24248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4592A KR20020091256A (ko) 2000-05-03 2001-04-30 향상된 성질을 가진 가공된 폴리올레핀 물질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465571B1 (ko)
EP (1) EP1280838A4 (ko)
JP (1) JP2003532755A (ko)
KR (1) KR20020091256A (ko)
CN (1) CN1238390C (ko)
AU (1) AU2001257418A1 (ko)
CA (1) CA2407451C (ko)
MX (1) MXPA02010698A (ko)
WO (1) WO200108360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35841B1 (fr) * 2002-02-08 2004-04-02 Hutchinson Film fin a base d'elastomere thermoplastique, son procede de preparation et ses utilisations
TWI488873B (zh) * 2006-12-21 2015-06-21 Dow Global Technologies Llc 官能化的烯烴聚合物,由其製備之組成物及物件,及其之製造方法(二)
KR100828620B1 (ko) 2006-12-28 2008-05-09 호남석유화학 주식회사 내열성 및 고유동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탄성체조성물
US20110187018A1 (en) * 2009-12-08 2011-08-04 Dow Global Technologies Inc. Crosslinked fibers or other articles made from polyolefin elastomers
CN102803374B (zh) * 2010-03-26 2015-08-19 巴塞尔聚烯烃意大利有限责任公司 多相聚烯烃组合物
CN107383529B (zh) * 2017-07-26 2019-08-20 河北见喜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丙纶纤维的阻燃增韧增熔母粒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26041A (ja) * 1983-06-08 1984-12-19 Mitsubishi Petrochem Co Ltd フイラ−含有プロピレン重合体組成物
US4950541A (en) 1984-08-15 1990-08-21 The Dow Chemical Company Maleic anhydride grafts of olefin polymers
JPH0749499B2 (ja) * 1985-09-26 1995-05-31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
JPH0730217B2 (ja) 1986-05-08 1995-04-05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熱可塑性エラストマ−組成物
US4945005A (en) 1987-03-31 1990-07-31 Dexter Corporation Thermoplastic compositions and articles made therefrom
US5571581A (en) * 1991-06-14 1996-11-05 Toyoda Gosei Co., Ltd. Long sandwich molded article
KR950007662B1 (ko) * 1991-12-24 1995-07-14 주식회사럭키 우수한 도장성을 가진 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US5286791A (en) * 1992-05-29 1994-02-15 Himont Incorporated Impact modified graft copolymer compositions containing broad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polypropylene
TW278088B (ko) * 1992-06-24 1996-06-11 Himont Inc
JP3337730B2 (ja) * 1992-12-28 2002-10-21 昭和電工株式会社 樹脂組成物
US5783629A (en) * 1993-02-10 1998-07-21 Solvay Engineered Polymers Thermoplastic polyolefins having improved paintability properties
US5883188A (en) 1993-04-28 1999-03-16 The Dow Chemical Company Paintable olefinic interpolymer compositions
JP3354233B2 (ja) * 1993-10-20 2002-12-0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外装部品用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
JPH07292182A (ja) * 1994-04-26 1995-11-07 Mitsubishi Chem Corp 樹脂組成物
JPH083394A (ja) * 1994-06-21 1996-01-09 Mitsubishi Chem Corp ウレタン接着用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
JPH0948891A (ja) * 1995-08-02 1997-02-18 Tonen Chem Corp 塗装性に優れた樹脂組成物
US5880198A (en) 1996-03-04 1999-03-09 Tonen Chemical Corporatio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propylene elastomer, and talc components
JP3563526B2 (ja) * 1996-03-19 2004-09-08 日本ポリオレフィン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及びその塗装体
JP3352319B2 (ja) 1996-04-08 2002-12-03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射出成形体
JPH10101891A (ja) * 1996-09-27 1998-04-21 Nippon Poriorefuin Kk 樹脂組成物
JP4187270B2 (ja) 1996-10-29 2008-11-26 日本ゼオン株式会社 変性熱可塑性ノルボルネン系重合体と架橋剤とを含んでなる架橋性重合体組成物
JP3753826B2 (ja) 1997-02-03 2006-03-08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樹脂組成物
US6140425A (en) * 1997-08-25 2000-10-31 Montell North America Inc. Process for making polypropylene graft copolymers containing anhydride groups
US6177515B1 (en) * 1998-12-17 2001-01-23 Montell Technology Company Bv Polypropylene graft copolymers with improved scratch and mar resist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80838A4 (en) 2004-06-30
CA2407451A1 (en) 2001-11-08
CA2407451C (en) 2009-11-17
EP1280838A2 (en) 2003-02-05
WO2001083609A3 (en) 2002-02-28
JP2003532755A (ja) 2003-11-05
US20020173581A1 (en) 2002-11-21
CN1427853A (zh) 2003-07-02
WO2001083609A2 (en) 2001-11-08
MXPA02010698A (es) 2003-03-10
US6465571B1 (en) 2002-10-15
CN1238390C (zh) 2006-01-25
AU2001257418A1 (en) 2001-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5060B1 (ko) 엔지니어링올레핀조성물
KR100215332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US20070066758A1 (en) Modified filler-containing polypropylene resins
US7790795B2 (en) Scratch and mar resistant polymer compositions, methods for making and articles made from the same
EP0452010A2 (en) Compatibilized blends of crystalline propylene polymers and styrenic copolymers
AU732625B2 (en) Process for making polypropylene graft copolymers containing anhydride groups
EP1294803B1 (en) Polyolefin materials having enhanced surface durability
JP2009522422A (ja) 強化された表面耐久性を有するポリオレフィン材料
GB2206886A (en) Impact resistant olefin polymer compositions
CA1326093C (en) Modified polyolefin resin
CA2501838A1 (en) Engineered polyolefin materials with enhanced surface durability
KR20000029586A (ko) 폴리프로필렌수지조성물및자동차내부트림부품
KR20010108304A (ko)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및 그래프트 개질된폴리올레핀 탄성체를 함유하는 블렌드
US6465571B1 (en) Engineered polyolefin materials with enhanced properties
JP3328674B2 (ja) 耐衝撃性ポリオレフィン成形用組成物
US6087429A (en) Propylene resin composition
WO2018031731A1 (en) Compositions comprising carbon fibers and at least one thermoplastic polyolefin elastomer
JPH07157627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H06299040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4306054B2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950013179B1 (ko) 우수한 도장성을 갖는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JPH08283528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H05302011A (ja) ポリ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801 Dismissal of trial

Free format text: REJECTION OF TRIAL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51221

Effective date: 2006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