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5332B1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5332B1
KR100215332B1 KR1019960054689A KR19960054689A KR100215332B1 KR 100215332 B1 KR100215332 B1 KR 100215332B1 KR 1019960054689 A KR1019960054689 A KR 1019960054689A KR 19960054689 A KR19960054689 A KR 19960054689A KR 100215332 B1 KR100215332 B1 KR 1002153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thylene
mfr
weight
component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4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7204A (ko
Inventor
히로나리 사노
히로키 사토우
Original Assignee
마키노 아라타
저팬 폴리켐 코포레이션
와다 아끼히로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0003095A external-priority patent/JP3338255B2/ja
Application filed by 마키노 아라타, 저팬 폴리켐 코포레이션, 와다 아끼히로,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마키노 아라타
Publication of KR970027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72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5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53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Abstract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코폴리머, (B) 저 결정성 에틸렌/부텐 랜덤 코폴리머 수지 및 비결정질 에틸렌/부텐 랜덤 코폴리머 고무의 배합물, 또는 에틸렌/옥텐 코폴리머 고무 및 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 고무의 배합물, (C) 특정 블록 엘라스토머 및 (D) 탈크로 이루어진다. 이 조성물은 양호한 사출 성형 특성을 갖고, 탁월한 휨 모듈러스, 내열성 및 표면 경도를 나타내고, 자동차 내부 장식품의 사출 성형품과 같은 것을 제조하기에 적합한 것이다.

Description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조성물은 (A)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코폴리머,(B) 저 결정성 에틸렌/부텐 랜덤 코폴리머 수지 및 비결정질 에틸렌/부텐 랜덤 코폴리머 고무의 배합물, 또는 에틸렌/옥텐코폴리머 고무 및 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 고무의 배합물, (C) 특정 블록 엘라스토머 및 (D) 탈크로 이루어지고, 양호한 사출 성형 특성을 갖고, 탁월한 휨 모듈러스, 내열성 및 표면 경도를 나타내고, 자동차 내부 장식품의 사출 성형품과 같은 것을 제조하기에 적합한 것이다.
지금까지의 내 압착성 및 견고성을 개선하기 위한 여러 시도는 폴리프로필렌내로 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 또는 여러 가지 에틸렌 코폴리머 및 탈크를 병합하는 것으로 되어왔다. 예를 들면, 높은 내압착성을 갖는 조성물이 일본 특허 공고제 42929/1988호 및 일본 특허 공개 제 150/1989호, 제 66263/1989호 및 제204946/1989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일본 특허 공고 제42929/1988호에 기재된 조성물은 충분하게 높은 휨 모듈러스 또는 내열성을 나타낼 수 없다. 이것은 매우 높은 결정성을 갖는 폴리프로필렌이 이 조성물에 사용되지 않기 때문이다. 일본 특허 공개 제 150/1989호, 제66263/1989호 및 제204969/1989호에 기재된 조성물은 그들의 탈크 함량이 적기 때문에 범퍼에 사용되는 것으로 적합하다. 그러나, 이들은 장식재를 위해 요구되는 것보다 매우 낮은 휨 모듈러스를 나타낸다.
또한, 에틸렌/알파-올레핀 코폴리머 및 무기 충전제의 많은 양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일본 특허 공고 제159345/1992호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 조성물은 그것의 비중이 높기 때문에 자동차의 중량 감소의 관점으로 부터 바람직하지 못하다.
한편, 상기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조성물이 일본 특허 공개 제53843/1995호에 제안되어 있다. 저압력 고-주기 성형이 요구되는 이 분야에서 높은 유연성을 갖는 물질이 요구된다. 이러한 까다로운 요구에 대해 상기 제안된 조성물은 아직까지 유연성이 충분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함으로써, 높은 유연성 및 양호한 성형 특성을 갖고, 양호한 물리적인 특성을 나타내고, 및 인스탈먼트 패널과 같은 자동차 내부 장식품을 제조하기에 적합한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높은 유연성, 양호한 성형 특성 및 탁월한 물리적인 특성을 갖는 조성물이 (A) 프로필렌 호모폴리머 부분이 높은 유연성과 매우 높은 결정성을 갖는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코폴리머,(B) 두 개의 다른 코폴리머의 다음 배합물(B-1) 또는 (B-2), 즉 그의 분자중 결정성 세그멘트를 함유하는 수지성 에틸렌/부텐 랜덤코폴리머와 그의 분자중 몇개의 결정성 세그멘트를 함유하는 실질적으로 엘라스토머성 에틸렌/부텐 랜덤 코폴리머의 배합물 (B-1) 또는 그 분자중 결정성 세그멘트를 함유하는 에틸렌/옥텐 코폴리머 고무와 그 분자중 몇개의 결정성 세그멘트를 함유하는 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 고무의 배합물 (B-2); (C) 필수적으로 폴리에틸렌 구조(결정성 부분)와 에틸렌/1-부텐 코폴리머 구조(랜덤 엘라스토머 부분)로 이루어진 특정 블록 엘라스토머, (D) 탈크를 특정한 비율로 배합하여 얻어질 수 있는 것을 현재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이 발견을 기초로 완성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성분 (A): 프로필렌 호모폴리머 부분이 20 내지 200g/10분의 용융 흐름 속도(MFR; 2.16kg의 부하하 230℃에서), 및 0.98 또는 그이상의 5가 원소의 동일 배열비율을 갖고, 블록 코폴리머의 MFR(2.16kg의 부하하 230℃에서)이 10 내지100g/10분이 되고 , 블록 코폴리머의 중량평균 분자량(Mw) 대 수평균 분자량(Mn)의 비율(Mw/Mn)이 5 내지 7이 되는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코폴리머의 50 내지 75중량%,
성분 (B); 다음의 두 개의 다른 코폴리머의 배합물(B-1) 또는 (B-2);
(B-1);다음의 두 개의 코폴리머(B-1-1) 및 (B-1-2):
(B-1-1); 미분 스캐닝 칼로리메터로 측정된 용융 온도가 60 내지 100℃이고, MFR(2.16kg의 부하하 230℃에서)이 0.5내지 10g/10분을 갖는 에틸렌/부텐 랜덤 코폴리머 수지의 5 내지 10중량%, 및
(B-1-2); 미분 스캐닝 칼로리메터에 의해 측정된 용융 온도가 30℃를 초과하지 않고, MFR(2.16kg의 부하하 230℃에서)이 0.5내지 10g/10분을 갖는 에틸렌/부텐 랜덤 코폴리머 고무의 5 내지 10중량%,
(B-2); 다음의 두 코폴리머(B-2-1) 및 (B-2-2):
(B-2-1); 미분 스캐닝 칼로리메터로 측정된 용융 온도가 60 내지 90℃이고, MFR(2.16kg의 부하하 230℃에서)이 1.0 내지 20g/10분을 갖는 에틸렌/옥텐 랜덤 코폴리머 고무의 7내지15중량%, 및
(B-2-2); 미분 스캐닝 칼로리메터에 의해 측정된 용융온도가 30℃보다 낮고 MFR(2.16kg의 부하하 230℃에서)이 0.5내지 10g/10분을 갖는 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 고무의 1내지 5중량%,
성분(C); 미분 스캐닝 칼로리메터에 의해 측정된 용융온도가 80 내지 110 。C이고 MFR(2.16kg의 부하하 230℃에서)이 0.5 내지 20g/10분을 갖고, 폴리에틸렌결정성 부분의 20 내지 40중량%와 랜덤 엘라스토머 부분의 60 내지 80중량%로 이루어진 다음 식[1] 또는 [2]로 나타나는 블록 엘라스토머의 0.3 내지 5중량%:
[식1]
폴리에틸렌 부분·(에틸렌/부텐 랜덤 엘라스토머 부분)·폴리에틸렌 부분
[식 2]
폴리에틸렌부분·(에틸렌/부텐 렌덤 엘라스토머 부분)
성분(D); 5마이크로메터 또는 그이하의 평균 입경을 갖고 3.5 ㎡/g 또는 그이상의 비표면적을 갖는 탈크의 15 내지 25중량%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I] 성분
(A)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코폴리머(성분 (A))
10 내지 100g/10분, 바람직하게 20 내지 80g/10분, 더욱 바람직하게 30 내지 60g/10분의 용융 흐름 속도(MFR: 2.16kg의 부하하 230℃에서)를 갖는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코폴리머가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성분(A)으로 사용된다.
상기한 범위 보다 낮은 MFR을 갖는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코폴리머가 사용되는 경우, 얻어지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유연성이 충분하지 못하다. 따라서, 강한 결속력에 의한 성형틀을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고, 또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이 박벽 제품에 사용되는 경우 성형 온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생산성에 불리하게 영향을 미친다. 이와 반대로, 상기한 범위보다 높은 MFR을 갖는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코폴리머가 사용되는 경우 얻어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내압착성과 같은 양호한 특성을 나타내지 못할 수 있다.
상기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코폴리머의 MFR은 중합 동안 조절될 수 있고, 또는 중합 후 디아실 퍼옥사이드 또는 디알킬 퍼옥사이드와 같은 유기 퍼옥사이드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블록 코폴리머의 분자량 분포를 나타내는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코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Mw) 대 수 평균 분자량(Mn)의 비율(Mw/Mn)은 5 내지 7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6.5인 것이 필요하다. Mw/Mn 비율이 상기한 범위 이내가 아닌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코폴리머는 감소된 압착 강도를 나타내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코폴리머의 프로필렌 호모폴리머 부분은 20 내지 200g/10분,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50g/10분,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100g/10분의 MFR 및 0.98 또는 그이상, 바람직하게는 0.985 또는 그이상의 5가 원소의 동일배열 비율을 갖도록 요구된다.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코폴리머의 프로필렌 호모폴리머 부분의 MFR이 상기한 범위보다 낮은 경우, 최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유연성이 불충분하다. 한편, MFR이 상기한 범위의 이상인 경우, 최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높은 내압착성을 나타낼 수 없다.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코폴리머의 프로필렌 호모폴리머 부분의 5가 원소의 동일 배열 비율(P)이 상기한 범위 보다 낮은 경우, 5가 원소의 동일 배열 비율이 적합하지 못하기 때문에 최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충분하게 높은 휨 모듈러스를 나타낼 수 없다.
여기서 사용되는 ''5가 원소의 동일 배열 비율''은13C-NMR의 수단에 의해 5가 원소의 항으로 측정된 폴리프로필렌 분자 사슬중 동일 배열 세그멘트의 비율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코폴리머의 에틸렌 함량은 2 내지 8중량% 가 바람직하고,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코폴리머의 엘라스토머 부분의 것은 30 내지 5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블록 코폴리머의 에틸렌 함량이 이 범위 보다 낮은 경우, 최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빈약한 내열성을 갖게 된다. 반면에, 에틸렌함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최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높은 휨 모듈러스 및 표면 경도가 충분하지 않게 나타날 수 있다.
높은 입체균제도(steroregularity)를 갖는 촉매가 상기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코폴리머의 생산성을 위해 사용된다.
상기 촉매를 제조하는 방법의 실예는 오가노알루미늄 화합물에 의해 티타늄테트라 크로라이드를 환원하고, 이어서 여러 전자 도너 및 억셉터와 상기 얻어진 화합물을 처리하여 얻어진 티타늄 트리클로라이드 조성물을 오가노알루미늄 화합물및 아로마틱 카르복실산 에스테르와 결합시키는 방법(일본 특허 공개 제100806/1981호, 120712/1981호 및 104907/1983호) 및 담체에 지지된 촉매를 얻기 위하여 티타늄테트라클로라이드와 여러 도너를 마그네슘 할라이드와 접촉을 일으키는 방법(일본특허 공개 제 63310/1982호,43915/1988호 및 83116/1988호)을 포함한다.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코폴리머는 상기 촉매의 존재하, 가스 상 유동층, 용액 또는 슬러리 방법과 같은 제조 방법을 사용하여 프로필렌과 에틸렌 사이의 블록혼성중합을 실행하여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내로 상기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코폴리머를 상기 조성물의 50 내지 75중량%, 바람직하게는 53 내지 72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7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58 내지 70중량%를 병합하는 것이 중요하다.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코폴리머의 양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높은 휨 모듈러스를 나타낼 수 없다. 이와 반대로, 상기 블록 코폴리머의 양이 상기한 범위 이상인 경우, 상기 열 가소성 수지조성물은 내압착성이 나쁜영향을 나타낸다.
(B) 성분(B)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하게 되는 두 개의 다른 코폴리머의 배합물 (B-1) 또는 (B-2)는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성분(B)으로 사용된다.
상기 배합물(B-1)은 하기한 바와 같은 두 폴리머(B-1-1) 및 (B-1-2)의 배합물을 갖는다.
성분 (B-1-1):
성분 (B-1-1)은 에틸렌/부텐 랜덤 코폴리머 수지이고, 그것의 표면 경도를 높게 유지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압착성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된다. 성분(B-1-1)이 후술하게되는 성분(B-1-2) 및 성분 (C)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 얻어지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더욱 양호한 균형의 물리적인 특성을 갖을 수 있다.
6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90℃,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80℃의 미분 스캐닝 칼로리메터(DSC)에 의해 측정된 용융 온도를 갖는 에틸렌/부텐 랜덤 코폴리머 수지는 성분 (B-1-1)로 사용된다.
상기한 범위보다 낮은 용융 온도를 갖는 에틸렌/부텐 랜덤 코폴리머는 낮은 결정화도를 갖고, 따라서 코폴리머 수지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대해 충분하게 높은 표면 경도를 줄수 없다. 이와 반대로, 상기한 범위보다 높은 용융 온도를 갖는 에틸렌/부텐 랜덤 코폴리머 수지가 사용되는 경우, 얻어지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충분하게 높은 내압착성을 나타낼 수 없다.
에틸렌/부텐 랜덤 코폴리머 수지는 상기한 범위의 용융 온도를 갖는 한 그것의 부텐 함량의 관계없이 본 발명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부텐의 15내지 25중량%, 특히 17 내지 23중량%를 함유하는 에틸렌/부텐 랜덤 코폴리머 수지가 내압착성 및 표면 경도 모두의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다.
0.5 내지 10g/10분,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g/10분,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7g/10분의 용융 흐름 속도(MFR; 2.16kg의 하중하 230℃에서)를 갖는 에틸렌/부텐랜덤 코폴리머 수지가 성분 (B-1-1)로 사용된다.
상기한 범위 보다 낮거나 또는 높은 MFR을 갖는 에틸렌/부텐 랜덤 코폴리머 수지가 사용되는 경우, 얻어지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내압착성에 나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0.90g/㎤보다 낮은 밀도, 특히 0.87 내지 0.89g/㎤의 밀도를 갖는 에틸렌/부텐 랜덤 코폴리머 수지가, 랜덤 코폴리머 수지사 사용되는 경우, 얻어지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이 개선된 내압착성 및 표면 경도를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성분(B-1-1)로 바람직하다.
상기 에틸렌/부텐 랜덤 코폴리머 수지 자체가 한 타입이 되어야할 필요는 없고, 랜덤 코폴리머수지의 둘 또는 그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에틸렌/부텐 랜덤 코폴리머 수지가 찌글러(Ziegler) 촉매 또는 필립스(Phillips) 촉매와 같은 이은 중합 촉매의 존재 하, 가스상 유동층, 용액 또는 슬러리 방법과 같은 제조 방법을 사용하여 에틸렌 및 부텐을 혼성중합함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내로 에틸렌/부텐 랜덤 코폴리머 수지, 성분(B-1-1)을 상기 조성물의 5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는 6 내지 9중량%의 양으로 병합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에틸렌/부텐 랜덤 코폴리머 수지의 양이 상기한 범위 미만이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낮아진 록웰(Rockwel1) 경도를 나타낸다. 이와 반대로 랜덤 코폴리머 수지의 양이 상기한 범위 이상이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감소된 휨 모듈러스를 나타낸다.
성분 (B-1-2);
성분 (B-1-2)은 에틸렌/부텐 랜덤 코폴리머 고무이고, 본 발명의 열가소성수지 조성물에 높은 내압착성을 주기 위하여 사용된다.
미분 스캐닝 칼로리메터(DSC)로 측정된 용융 온도가 30℃를 초과하지 않고, 실질적으로 비결정질 엘라스토머인 에틸렌/부텐 랜덤 코폴리머 고무가 성분(B-1-2)으로 적합하다. 상기 에틸렌/부텐 랜덤 코폴리머 고무는 30℃이하의 용융온도 또는 용융 온도를 갖지 않을 수 있다.
30℃ 또는 그이상의 용융온도를 갖는 에틸렌/부텐 랜덤 코폴리머 고무가 사용되는 경우, 얻어지는 열가소성 조성물은 높은 내압착성을 충분하게 줄수 없다.
0.5 내지 10g/10분,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g/10분, 더욱바람직하게는 2 내지 7g/10분의 용융흐름 속도(MFR; 2.16kg의 부하하 230℃에서)를 갖는 에털렌/부텐 랜덤 코폴리머 고무가 성분(B-1-2)으로 사용된다.
상기 랜덤 코폴리머 고무의 MFR가 상기 범위 이내가 아니면, 최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높은 내압착성을 충분하게 나타낼 수 없다.
또한, 0.90g/cm3미만의 밀도, 특히 0.87 내지 0.89g/cm3의 밀도를 갖는 에틸렌/부텐 랜덤 코폴리머 고무가 최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압착성의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다.
상기 에틸렌/부텐 랜덤 코폴리머 고무 자체가 한 타입일 필요는 없고, 랜덤코폴리머 고무의 둘 또는 그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에틸렌/부텐 랜덤 코폴리머 고무는 찌글러 촉매 또는 필립스 촉매와 같은 이온 중합 촉매의 존재하 가스상 유동층, 용액 또는 슬러리 방식과 같은 제조 방법을 사용하여 에틸렌 및 부텐을 혼성 중합함에 의해 상기한 성분 (B-1-1)과 유사하게 얻을 수 있다.
에틸렌/부텐 랜덤 코폴리머 고무라는 실질적으로 비정형 및 에라스토머성을 갖는 한 그것의 부텐 함량의 관계없이 사용될 수 있다. 부텐의 25중량%이상, 특히 30중량% 이상을 함유하는 에틸렌/부텐 랜덤 코폴리머 고무는 랜덤 코폴리머 고무가 최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개선된 내압착성을 줄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내로 상기 에틸렌/부텐 랜덤 코폴리머 고무를 상기 조성물의 5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는 6 내지 9중량%의 양으로 병합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에틸렌 부텐 랜덤 코폴리머 고무의 양이 상기한 범위 미만인 경우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내압착성에 나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와 반대로 상기 랜덤 코폴리머 고무의 양이 상기한 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감소된 휨 모듈러스를 나타낸다.
배합물 (B-2)은 하기한 두 코폴리머 (B-2-1) 및 (B-2-2)의 배합물이다.
성분 (B-2-1);
상기 성분 (B-2-1)은 에틸렌/옥텐 랜덤 코폴리머 고무이고, 표면 경도가 높게 유지된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압착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성분 (B-2-1)이 성분 (B-2-2) 및 성분 (C)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 얻어지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더욱 양호하게 균형잡힌 물리적인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60 내지 90℃,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5℃,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70℃의 미분 스캐닝 칼로리메터(DSC)에 의해 측정된 용융 온도를 갖는 에틸렌/옥텐 랜덤 코폴리머 고무가 성분 (B-2-1)로 사용된다. 상기한 범위보다 낮은 용융 온도를 갖는 에틸렌/옥텐 랜덤 코폴리머 고무는 낮은 결정화도를 갖고, 따라서 고무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대해 충분하게 높은 표면 경도를 줄 수 없다. 이와 반대로, 상기한 범위보다 높은 용융 온도를 갖는 코폴리머 고무가 사용되는 경우, 최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충분하게 높은 내압착성을 나타낼 수 없다.
0.90g/cm3또는 그 이하의 밀도, 바람직하게 0.86 내지 0.89g/cm3, 특히 0.865내지 0.880g/cm3의 밀도를 갖는 에틸렌/옥텐 랜덤 코폴리머 고무가 내압착성 및 표면경도 모두의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다.
에틸렌/옥텐 랜덤 코폴리머 고무는 상기한 범위의 용융 온도를 갖는 한 그것의 옥텐 함량의 관계없이 사용될 수 있다. 옥텐의 10내지 17몰%, 특히 12 내지 17몰%를 함유하는 에틸렌/옥텐 랜덤 코폴리머 고무가 내압착성 및 표면 경도 모두의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다.
여기서 사용되는 옥텐 함량은 Macromolecu1es vo1.15, pp.353-360 및 pp.1402-1407(1982)에 기재된 것에 따라13C-NMR의 수단에 의해 얻어진 값이다.
상기 에틸렌/옥텐 랜덤 코폴리머 고무는 티타늄 할라이드와 같은 타타늄 화합물, 알킬 알루미늄-마그네슘 착물 또는 알칼알콕시 알루미늄 착물과 같은 오가노알루미늄-마그네숨 착물, 알킬 알루미늄, 알킬 알루미늄 클로라이드와 같은 소위 찌글러 촉매, 또는 WO-91/04257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메탈로센 화합물을 사용하여 중합하여 얻어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중합 반응이 메탈로센 화합물을 사용하여 실행될 경우, 더욱 효과적인 에틸렌/옥텐 랜덤 코폴리머 고무가 얻어질 수 있다.
상기 중합 반응은 가스상 유동층, 용액 또는 슬러리 방식과 같은 제조 방법을 사용하여 실행될 수 있다.
1.0 내지 20g/10분,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6g/10분, 더욱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3g/10분의 용융 흐름 속도(MFR; 2.16kg의 하중하 230℃에서)를 갖는 에틸렌/옥텐 랜덤 코폴리머 고무가 성분 (B-2-1)으로 사용된다. 상기한 범위 보다 낮거나 또는 높은 MFR을 갖는 랜덤 코폴리머 고무가 사용되는 경우, 최종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은 높은 내압착성을 나타낼 수 없다.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내로 병합되는 상기 에틸렌/옥텐 랜덤 코폴리머 고무의 양은 상기 조성물의 7 내지 15중량%,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2중량% 이다. 랜덤 코폴리머 고무의 양이 상기한 범위 미만인 경우,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충분하게 높은 내압착성을 나타낼 수 없다. 이와 반대로 상기 랜덤 코폴리머 고무의 양이 상기한 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충분하게 높은 휨 모듈러스를 나타낼 수 없다.
상기 에틸렌/옥텐 랜덤 코폴리머 고무 자체가 한 타입일 필요는 없고, 랜덤코폴리머 고무의 둘 또는 그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성분 (B-2-2);
성분 (B-2-2)는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코폴리머 고무이고,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에 높은 내압착성을 주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 성분 (B-2-2)은 미분 스캐닝칼로리메터(DSC)로 측정된 30℃이하의 용융 온도를 갖고 실질적으로 비결정질 엘라스토머이다. 용융 온도가 상기한 범위 이내가 아닌 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 고무가 사용되는 경우, 얻어지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충분하게 높은 내압착성을 나타낼수 없기 때문에 코폴리머 고무로 적합하지 않다.
0.88g/cm3또는 그 이하의 밀도, 특히 0.85 내지 0.87g/cm3의 밀도를 갖는 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 고무가 내압착성의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다.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 고무는 찌글러 촉매 또는 필립스 촉매와 같은 이온 중합 촉매의 존재하 가스상 유동층, 용액 또는 슬러리 방식과 같은 제조 방법을 사용하여 에틸렌 및 프로필렌을 혼성 중합함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프로필렌의 20몰%, 또는 그 이상, 특히 25몰% 또는 그 이상을 함유하는 에틸렌/프로필렌코폴리머 고무는 내압착성의 관점으로 부터 적합하다.
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 고무의 용융흐름 속도(MFR;2.16kg의 부하하 230。C에서)는 0.5 내지 10g/10분,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g/10분, 더욱바람직하게는 2 내지 7g/10분 이다. 상기 코폴리머 고무의 MFR이 이 범위보다 낮거나 높으면 내압착성 개선 효과는 충분하게 얻을 수 없다.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내로 병합되는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 고무의 양은 조성물의 1내지 5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중량%이다. 코폴리머 고무의 양이 상기한 범위 이하이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충분하게 높은 내압착성을 나타낼수 없다. 이와 반대로, 상기 코폴리머 고무의 양이 상기한 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충분하게 높은 휨 모듈러스를 나타낼 수 없다.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 고무 자체는 한 타입일 필요는 없고, 상기 코폴리머 고무의 둘 또는 그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C) 블록 엘라스토머 (성분 (C))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성분(C), 블록 엘라스토머는 상기 성분(B)의 내압착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더욱 효과적으로 얻어질 수 있도록 사용될 수 있다. 블록 엘라스토머의 단지 작은 양이 첨가 될지라도, 이 효과는 충분하게 얻어질 수 있다.
미분 스캐닝 칼로리메터에 의해 측정된 이 블록 엘라스토머(성분 (C))의 용융온도는 80 내지 110℃,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05℃이다. 용융온도가 상기한 범위이내가 아닌 블록 엘라스토머가 사용되는 경우 얻어지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충분하게 높은 내압착성을 나타낼 수 없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 위한 블록 엘라스토머의 용융 흐름 속도(MFR; 2.16kg의 부하하 230℃에서)는 0.5 내지 20g/10분,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5g/10분이다. 상기한 범위보다 낮거나 또는 높은 MFR을 갖는 블록 엘라스토머가 사용되는 경우, 얻어지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감소된 아이조드(Izod) 압착 강도를 나타낸다.
상기 블록 엘라스코머(성분 (C))는 폴리에틸렌 구조 및 엘라스토머 구조를 필수 구성으로 함유한다. 이들 구조의 하나가 엘라스토머 중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한 요과는 충분하게 얻어질 수 없다.
상기 블록 엘라스토머는 다음 식[3] 또는 [4]로 나타나는 트리블록 구조 또는 디블록 구조의 것일 수 있다.
[식 1]
폴리에틸렌 부분(에틸렌/부텐 랜덤 엘라스토머 부분)·폴리에틸렌 부분
[식 2]
폴리에틸렌부분(에틸렌/부텐 렌덤 엘라스토머 부분)
상기 폴리에틸렌 구조의 결정성 부분의 비율은 20 내지 40중량%, 바람직하게는 23 내지 35중량%이다. 또한, 상기 엘라스토머 구조(에틸렌/부텐 랜덤 엘라스토머 부분)의 부분의 비율은 60 내지 80중량%,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77중량%이다. 상기 엘라스토머 구조의 부텐 함량(1,2-중합반응의 비율)은 바람직하게 60 내지 90중량%, 특히 65 내지 85중량%이다.
이들 비율의 어떤 것이 상기한 범위 이내가 아닌 경우, 최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낮은 내압착성이 일어나기 쉽다.
블록 엘라스토머를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엘라스토머는 일본 특허 공개 제 34513/1993호에 기재된 방법 및 공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부타디엔이 1,4-중합된 후, 상기 중합 상태는 상기 부타디엔의 1,2-중합이 주로 일어날 수 있도록 변경된다. 따라서, 1,2-중합의 비율을 용매 또는 그 유사물의 극성을 조절하여 증가시킬 수 있다. 만일 수소화 반응이 이 단계에서 실행될 경우, 식[2]으로 나타낸 디블록 구조의 엘라스토머가 얻어진다. 만일 상기 생성물이 커플링 처리로 처리된 후 수소화 반응이 실행되는 경우, 식[2]으로 나타낸 트리블록 구조의 엘라스토머가 얻어질 수 있다.
소위 현재의 중합반응 방법은 상기 중합반응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중합반응은 SEBS(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코폴리머)와 같은 스티렌 엘라스토머를 얻기 위해 사용되는 것과 같은 동일한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다.
60 내지 90중량%,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85중량%의 1,2-중합반응의 비율을 갖는 블록 엘라스토머가 본 발명에 사용하기 위한 성분 (C)으로 적합하다.
1,2-중합반응의 비율이 상기한 범위 이내가 아닌 경우, 블록 엘라스토머가 상기한 효과를 충분하게 일어나지 못하게 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내로 병합되는 상기 블록 엘라스토머의 양은 조성물의 0.3 내지 5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75 내지 3중량%이다.
상기 블록 엘라스토머의 양이 상기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은 감소된 록크웰 경도를 나타낸다. 이와 반대로, 블록 엘라스토머의 양이 상기한 범위 미만인 경우, 상기한 효과는 얻어질 수 없다.
(D) 탈크 (성분 (D))
탈크의 물리적인 특성;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성분(D)으로 사용되는 탈크는 5마이크로 메터이하,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마이크로메터의 평균 입경 및 3.5 m2/g 또는 그이상, 바람직하게는 3.4 내지 6 m2/g의 비표면적을 갖는다. 상기 평균 입경 및 비표면적이 상기 각 범위 이내가 아닌 경우, 최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감소된 휨 모듈러스를 나타낸다.
탈크의 평균 입경은 액체 층 침강 광 투과 방법(예를 들면, 일본 Shimadzu Corp.,에서 제작한 Model CP를 사용하여)에 의해 실행한 측정으로 얻어지는 입경크기 축적 분포 곡선위에 50중량% 축적량의 입경이다.
또한, 상기 탈크의 비표면적은 공기 투과 방법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예를들면, 일본 Shimadzu Corp.,에서 제작한 Model SS-100의 일정-압력-에어레이션타입 비표면적 측정 장치를 사용함).
상기한 탈크는 다음 건식 분류로 이어지는 건조 분쇄의 수단으로 통상 제조될 수 있다.
여러 유기 티탄산염 커플링제, 실란 커플링제, 지방산, 지방산의 금속염, 및 지방산 에스테르의 어느 것으로 표면이 처리되어진 탈크는 탈크와 폴리머 사이의 접착력 또는 폴리머중 탈크의 분산능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내로 병합되는 탈크의 양은 조성물의 15 내지 25중량%,17 내지 23중량%이다.
탈크의 양이 상기한 범위 이하이면, 최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충분하게 높은 휨 모듈러스를 나타낼 수 없다. 이와 반대로, 탈크의 양이 상기한 범위 이상이면, 최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감소된 인장 연신율을 나타낸다.
(E) 추가적인 성분 (선택 성분)
상기한 필수 적인 5성분 (A), (B-1-1), ( B-1-2), (C) 및 (D) 또는 성분 (A), (B-2-1), (B-2-2), (C) 및 (D)에 추가하여, 다른 추가 성분(성분 (E)이 본 발명의 효과를 현저하게 손상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다.
이러한 추가 성분(성분 (E)의 실예는 페놀 타입 및 인산 타입의 산화방지제, 힌더러드 아민 타입, 벤조페논 타입 및 벤조트리아졸 타입의 내풍화제, 알루미늄 화합물 및 인산 화합물과 같은 핵생성제, 스테아린산의 금속염으로 나타내는 분산제, 퀴나크리돈, 페릴렌, 프탈로시아닌 밑 카본블랙과 같은 색소제, 포타슘 티타네이트섬유, 마그네슘 옥시설페이트 섬유, 알루미늄 보레이트 섬유, 칼슘 카보네이트의 위스커, 카본 섬유 및 유리 섬유를 포함한다.
[II]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1) 반죽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180 내지 250℃에서 5성분 (A), (B-1-1), (B-1-2), (C) 및 (D) 또는 5 성분 (A), (B-2-1), (B-2-2), (C) 및 (D), 및 임의로 성분 (E)를 통상적인 압출기, 반바리 믹서, 롤러, 브라벤더 플라스토그라프 또는 반죽기를 가용하여 반죽하여 얻을 수 있다. 이들 중 압출기, 특히 2중 스크류 압출기가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2) 성형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사출 성형 방법이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지게 되는 고려로 가장 적합한 것으로 취해진다.
[III]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 물리적인 특성
상기한 방법으로 제조되는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양호한 사출성 형 특성을 갖고, 다음의 휨 모듈러스의 탁월한 물리적인 특성을 나타내고, 내압착성, 인장 연신율, 표면 경도 및 내열성을 나타낸다.
(a) MFR: 20 g/10분 또는 그이상, 바람직하게는 25g/10분 또는 그이상;
(b) 휨 모듈러스:20,000kg/cm2또는 그이상, 바람직하게 23,000 내지 28,000kg/cm2;
(c) 아이오조드 압착 강도(23℃에서):15kg.cm/cm 또는 그이상, 바람직하게 18kg.cm/cm 또는 그이상;
(d) 인장 연신율: 400% 또는 그이상, 바람직하게는 500% 또는 그이상
(e) 록크웰 경도: 75 또는 그이상, 바람직하게는 80 또는 그이상 및,
(f) 열 변형 온도: 120℃ 또는 그이상, 바람직하게는 130℃ 또는 그이상.
(2) 용도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이 상기한 양호한 물리적인 특성을 갖기 때문에, 이것은 여러가지 성형된 제품을 얻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자동차 내부 장식품, 특히 인스탈먼트 패널, 콘솔 박스, 및 그 유사물과 같은 제품으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사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음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I] 측정 방법
(1) MFR: 2.16kg의 부하하 230℃의 온도에서 ASTM-D1238에 따라 측정.
(2) 5가 원소의 동일 배열 비율(P):13C-NMR을 사용하여 Macromolecules,8,687 (1975)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측정.
(3) 용융 온도: 미분 스캐닝 칼로리메터를 측정을 위해 사용하였다. 샘플을 180℃의 온도로 가열하였고, 용융하였다. 그 후, 상기 샘플을 10℃/분의 속도로 -100℃의 온도로 냉각하였고, 이어서 샘플의 온도를 10℃/분의 속도로 상승시킴으로써 온도자기기(thermogram)를 얻었다. 상기 온도 자기기의 피크를 샘플의 용융 온도로 취하였다.
(4) 휨 모듈러스: 23℃의 온도에서 2mm/분의 굽힘 속도로 ASTM-D790에 따라 측정하였다.
(5) 내압착성: ASTM-785에 따라 23℃에서 아이조드 압착 강도에 의해 평가 하였다.
(6) 인장 연신율: 인장 시험을 23℃의 온도에서 10mm/분의 응력(stress) 속도로 ASRM-D638에 의해 실행하였고, 연신율을 측정하였다.
(7) 표면 경도: ASTM-D785에 따라 R-scale로 록크웰 경도(23℃에서)로 측정하였다.
(8) 열 변형 온도: 4.6kg의 부하하 ASTM-D523에 따라 측정하였다.
(9) 중량 평균 분자량 대 수 평균 분자량의 비율(Mw/Mn): GPC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겔 투과 크로마토그라피).
[II] 실시예
[실시예 1 내지 15 및 비교예 1 내지 25]
표 1 내지 5에 나타난 성분을 표 6,7, 및 8에 나타난 형식에 따라 배합하였다. 각 혼합물에 대하여 테트라키스[메틸렌-3-(3', 5'-디-t-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의 0.1중량부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의 0.4중량부를 추가로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5분간 수퍼 혼합기(일본 Kawata Mfg. co., Ltd.,에 의해 제작)로 혼합하였고, 결과물을 210℃로 고정된 2-롤 반죽기(일본 Kobe Steel, Ltd.,에서 제작한 FCM)로 반죽 및 알갱이화 하였다. 이렇게 하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이 후,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100톤의 결착력으로 사출 성형틀을 사용하여 여러 가지 시편의 타입으로 210℃의 성형온도에서 각각 성형하였고, 상기한 여러 방법으로 측정을 실행하였다. 결과를 표 9 내지 11에 나타냈다.
[표 1]
[표2]
[표 3]
[표 4]
[표 5]
[표 6]
[표 7]
[표 8]
[표 9]
[표10]
[표 11]
[실시예 16 내지 29 및 비교예 26 내지 46]
표 12 내지 16에 나타난 성분을 표 17,18 및 19에 나타난 형식에 따라 배합하였다. 각 혼합물에 대해 추가로 테트라키스[메틸렌-3-(3'.5'-디-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의 0.1중량부와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의 0.4중량부를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5분간 수퍼 혼합기(일본 Kawata Mfg. co., Ltd.,에 의해 제작)로 혼합하였고, 결과물을 210℃로 고정된 2-롤 반죽기(일본 Kobe Steel, Ltd.,에서 제작한FCM'')로 반죽 및 알갱이화 하였다. 이렇게 하여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을 얻었다.
이후,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350톤의 결착력으로 사출 성형틀을 사용하여 여러 가지 시편의 타입으로 210℃의 성형온도에서 각각 성형하였고, 상기한 여러 방법으로 측정을 실행하였다. 결과를 표 20, 21 및 22에 나타냈다.
[표 12]
[표 13]
[표 14]
[표 15]
[표 16]
[표 17]
[표 18]
[표 19]
[표 20]
[표 21]
[표 22]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양환 사출 성형 특성을 갖고, 탁월한 외관, 흼 모듈러스, 인장 연신율, 내열성, 표면경도, 및 내압착성을 나타내고, 자동차 내부 장식품과 같은 사출성형 제품을 제조하기에 적합하다.

Claims (9)

  1. 성분 (A):프로필렌 호모폴리머 부분이 20 내지 200g/10분의 용융 흐름 속도(MFR; 2.16kg의 부하하 230℃에서), 및 0.98 또는 그이상의 5가 원소의 동일 배열비율을 갖고, 블록 코폴리머의 MFR(2.16kg의 부하하 230℃에서)이 10 내지 100g/10분이 되고 , 블록 코폴리머의 중량평균 분자량(Mw) 대 수평균 분자량(Mn)의 비율(Mw/Mn)이 5 내지 7이 되는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코폴리머의 50 내지 75중량%,
    성분 (B);다음의 두 개의 다른 코폴리머의 배합물(B-1) 또는 (B-2);
    (B-1); 다음의 두 개의 코폴리머(B-1-1) 및 (B-1-2):
    (B-1-1); 미분 스캐닝 칼로리메터로 측정된 용융 온도가 60 내지 100℃이고, MFR(2.16kg외부하하 230℃에서)이 0.5내지 10g/10분을 갖는 에틸렌/부텐 랜덤 코폴리머 수지의 5 내지 10중량%, 및
    (B-1-2); 미분 스캐닝 칼로리메터에 의해 측정된 용융 온도가 30℃를 초과하지 않고, MFR(2.16kg의 부하하 230℃에서)이 0.5 내지 10g/10분을 갖는 에틸렌/부텐 랜덤 코폴리머 고무의 5 내지 10중량%,
    (B-2); 다음의 두 코폴리머(B-2-1) 및 (B-2-2):
    (B-2-1); 미분 스캐닝 칼로리메터로 측정된 용융 온도가 60 내지 90℃이고, MFR(2.16kg의 부하하 230℃에서)이 1.0 내지 20g/10분을 갖는 에틸렌/옥텐 랜덤 코폴리머 고무의 7 내지15중량%, 및
    (B-2-2); 미분 스캐닝 칼로리메터에 의해 측정된 용융온도가 30℃보다 낮고 MFR(2.16kg의 부하하 230℃에서)이 0.5 내지 10g/10분을 갖는 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 고무의 1내지 5중량%,
    성분(C); 미분 스캐닝 칼로리메터에 의해 측정된 용융온도가 80 내지 110℃이고 MFR(2.16kg의 부하하 230℃에서)이 0.5 내지 20g/10분을 갖고, 폴리에틸렌결정성 부분의 20 내지 40중량%와 랜덤 엘라스토머 부분의 60 내지 80중량%로 이루어진 다음 식[1] 또는 [2]로 나타나는 블록 엘라스토머의 0.3 내지 5중량%:
    [식 1]
    폴리에틸렌 부분·(에틸렌/부텐 랜덤 엘라스토머 부분)·폴리에틸렌 부분
    [식 2]
    폴리에틸렌 부분·(에틸렌/부텐 렌덤 엘라스토머 부분)
    성분(D); 5마이크로메터 또는 그이하의 평균 입경을 갖고 3.5 m2/g 또는 그이상의 비표면적을 갖는 탈크의 15 내지 25중량%로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엘라스토머, 성분 (C)은 부타디엔 폴리머의 수소화된 생성물이고, 에틸렌/부텐 랜던 엘라스토머 부분중 부타디엔의 1,2-중합반응의 비율은 60 내지 90중량%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MFR이 20g/10 분 또는 그이상이고, 휨모듈러스가 20,000kg/cm2또는 그이상이고, 아이조드 압착 강도가 15kg.cm/cm 또는 그이상이고, 인장 연신율이 400% 또는 그이상이고, 열 변형 온도가 120℃ 또는 그이상이고, 록크웰 경도가 75 또는 그이상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4. 성분 (A): 프로필렌 호모폴리머 부분이 20 내지 200g/10분의 용융 흐름 속도(MFR; 2.16kg의 부하하 230℃에서), 및 0.98 또는 그이상의 5가 원소의 동일 배열비율을 갖고, 블록 코폴리머의 MFR(2.16kg의 부하하 230℃에서)이 10 내지100g/10분이 되고 , 블록 코폴리머의 중량평균 분자량(Mw) 대 수평균 분자량(Mn)의 비율(Mw/Mn)이 5 내지 7이 되는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코폴리머의 50 내지 75중량%,
    성분 (B-1-1); 미분 스캐닝 칼로리메터로 측정된 용융 온도가 60 내지 100℃이고, MFR(2.16kg의 부하하 230℃에서)이 0.5 내지 10g/10분을 갖는 에틸렌/부텐 랜덤 코폴리머 수지의 5 내지 10중량%, 및
    성분 (B-1-2); 미분 스캐닝 칼로리메터에 의해 측정된 용융 온도가 30℃를 초과하지 않고, MFR(2.16kg의 부하하 230℃에서)이 0.5 내지 10g/10분을 갖는 에틸렌/부텐 랜덤 코폴리머 고무의 5 내지 10중량%,
    성분(C); 미분 스캐닝 칼로리메터에 의해 측정된 용융온도가 80 내지 110℃이고 MFR(2.16kg의 부하하 230℃에서)이 0.5 내지 20g/10분을 갖고, 폴리에틸렌결정성 부분의 20 내지 40중량%와 랜덤 엘라스토머 부분의 60 내지 80중량%로 이루어진 다음 식[1] 또는 [2]로 나타나는 블록 엘라스토머의 0.3 내지 5중량%:
    [식 1]
    폴리에틸렌 부분·(에틸렌/부텐 랜덤 엘라스토머 부분)·폴리에틸렌 부분
    [식 2]
    폴리에틸렌부분·(에틸렌/부텐 렌덤 엘라스토머 부분)
    성분(D); 5마이크로메터 또는 그이하의 평균 입경을 갖고 3.5 m2/g 또는 그 이상의 비표면적을 갖는 탈크의 15 내지 25중량%로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엘라스토머, 성분 (C)은 부타디엔 폴리머으 수소화된 생성물이고, 에틸렌/부텐 랜덤 엘라수토머 부분 중 부타디엔의 1,2-중합반응의 비율은 60 내지 90중량%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MFR이 20g/10분 또는 그이상이고, 휨모듈 러스가 20,000kg/cm2또는 그이상이고, 아이조드 압착 강도가 15kg.cm/cm 또는 그이상이고, 인장 연신율이 400% 또는 그이상이고, 열 변형 온도가 120℃ 또는 그이상이고, 록크웰 경도가 75 또는 그이상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7. 성분 (A): 프로필렌 호모폴리머 부분이 20 내지 200g/10분의 용융 흐름 속도(MFR; 2.16kg의 부하하 230℃에서), 및 0.98 또는 그이상의 5가 원소의 동일 배열비율을 갖고, 블록 코폴리머의 MFR(2.16kg의 부하하 230℃에서)이 10 내지 100g/10분이 되고 , 블록 코폴리머의 중량평균 분자량(Mw) 대 수평균 분자량(Mn)의 비율(Mw/Mn)이 5 내지 7이 되는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코폴리머의 50 내지 75중량%,
    성분 (B-2-1); 미분 스캐닝 칼로리메터로 측정된 용융 온도가 60 내지 90℃이고, MFR(2.16kg의 부하하 230℃에서)이 0.5 내지 10g/10분을 갖는 에틸렌/옥텐 랜덤 코폴리머 고무의 7 내지 15중량%, 및
    성분 (B-2-2); 미분 스캐닝 칼로리메터에 의해 측정된 용융온도가 30℃를 초과하지 않고, MFR(2.16kg의 부하하 230℃에서)이 0.5 내지 10g/10분을 갖는 에틸렌 /프로필렌 코폴리머 고무의 1 내지 5중량%,
    성분(C); 미분 스캐닝 칼로리메터에 의해 측정된 용융온도가 80 내지 110℃이고 MFR(2.16kg의 부하하 230℃에서)이 0.5 내지 20g/10분을 갖고, 폴리에틸렌결정성 부분의 20 내지 40중량%와 랜덤 엘라스토머 부분의 60 내지 80중량%로 이루어진 다음 식[1] 또는 [2]로 나타나는 블록 엘라스토머의 0.3 내지 5중량%:
    [식 1]
    폴리에틸렌 부분·(에틸렌/부텐 랜덤 엘라스토머 부분)·폴리에틸렌 부분
    [식 2]
    폴리에틸렌 부분·(에틸렌/부텐 렌덤 엘라스토머 부분)
    성분(D); 5마이크로메터 또는 그이하의 평균 입경을 갖고 3.5 m2/g 또는 그이상의 비표면적을 갖는 탈크의 15 내지 25중량%로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엘라스토머, 성분 (C)은 부타디엔 폴리머의 수소화된 생성물이고, 에틸렌/부텐 랜덤 엘라스토머 부분 중 부타디엔의 1,2-중합반응의 비율은 60 내지 90중량%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MFR이 20g/10분 또는 그이상이고, 휨모듈러스가 20,000kg/cm2또는 그이상이고, 아이조드 압착 강도가 15kg.cm/cm 또는 그이상이고, 인장 연신율이 400% 또는 그이상이고, 열 변형 온도가 120℃ 또는 그이상이고, 록크웰 경도가 75 또는 그이상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9960054689A 1995-11-17 1996-11-16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2153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00030/1995 1995-11-17
JP30003095A JP3338255B2 (ja) 1995-11-17 1995-11-17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240790/1996 1996-09-11
JP24079096 1996-09-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7204A KR970027204A (ko) 1997-06-24
KR100215332B1 true KR100215332B1 (ko) 1999-08-16

Family

ID=26534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4689A KR100215332B1 (ko) 1995-11-17 1996-11-16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777020A (ko)
EP (1) EP0774489B1 (ko)
KR (1) KR100215332B1 (ko)
AU (1) AU708539B2 (ko)
CA (1) CA2190420C (ko)
DE (1) DE69615314T2 (ko)
TW (1) TW400355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05099B2 (en) 2002-11-05 2005-06-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nitor
US9944782B2 (en) 2016-05-26 2018-04-17 Hyundai Motor Company Composition of polypropylene having high impact strength and high adhesion
KR101943224B1 (ko) 2017-12-12 2019-01-28 한화토탈 주식회사 이종 고무 성분을 포함하는 전선용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40583B (en) * 1996-08-16 2001-06-16 Idemitsu Petrochemical Co Polypropylene resin and polypropylene-based resin composition
JP3347958B2 (ja) * 1996-11-26 2002-11-20 日本ポリケム株式会社 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
JP3321009B2 (ja) * 1997-01-17 2002-09-03 日本ポリケム株式会社 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
TW473506B (en) * 1997-05-16 2002-01-21 Japan Polychem Corp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TW473489B (en) * 1997-05-26 2002-01-21 Chisso Corp A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US6207754B1 (en) * 1997-05-29 2001-03-27 Exxon Chemical Patents, Inc. Low modulus thermoplastic olefin compositions
EP0926195A1 (en) * 1997-12-26 1999-06-30 Japan Polychem Corporation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EP1002814A4 (en) * 1998-06-05 2001-11-28 Japan Polychem Corp PROPYLENE SEQUENCE COPOLYMER AND PROPYLENE RESIN COMPOSITION
SG68053A1 (en) * 1998-06-08 2003-11-27 Sumitomo Chemical Co Polypropylene-based resin composition and injection molded article thereof
JP4205786B2 (ja) 1998-10-05 2009-01-07 住友化学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射出成形体
JP3320031B2 (ja) * 1999-03-19 2002-09-03 日本ポリケム株式会社 高濃度タルクマスターバッチ
DE60018355T2 (de) * 1999-11-18 2005-12-29 Mitsubishi Chemical Corp. Airbag-Abdeckung für Fahrzeuge
US6644684B2 (en) 1999-11-18 2003-11-11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Air bag cover for vehicles
US6831124B2 (en) 2001-04-18 2004-12-14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US6864195B2 (en) * 2002-08-15 2005-03-08 Bfs Diversified Products, Llc Heat weldable roofing membrane
EP1676884A1 (fr) * 2004-12-30 2006-07-05 Multibase S.A.S. Composition polyolefinique destinee a realiser un capot pour logement d'un coussin d'air de securite d'un vehicule automobile
US20090088530A1 (en) * 2007-09-28 2009-04-02 Bodiford Billy Ray Novel polymer compound and uses thereof
BR112015005850B1 (pt) 2012-09-19 2021-02-23 Saudi Basic Industries Corporation composição incluindo copolímero de propileno heterofásico, processo de preparação e seus usos, e artigo conformado
KR102451990B1 (ko) 2017-12-05 2022-10-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무도장 크래쉬 패드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CN114752143B (zh) * 2022-03-16 2023-06-06 成都金发科技新材料有限公司 一种低摩擦异响的填充聚丙烯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23B2 (ja) 1980-01-17 1984-01-13 チッソ株式会社 α−オレフイン重合体を製造する方法
JPS6023764B2 (ja) 1980-02-27 1985-06-10 チッソ株式会社 α−オレフイン重合体を製造する方法
IT1209255B (it) 1980-08-13 1989-07-16 Montedison Spa Catalizzatori per la polimerizzazione di olefine.
JPS5817139A (ja) 1981-07-23 1983-02-01 Sumitomo Chem Co Ltd 新規な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JPS58104907A (ja) 1981-12-17 1983-06-22 Chisso Corp 高剛性成形品用ポリプロピレンの製造方法
JP2608882B2 (ja) 1986-08-11 1997-05-14 三菱化学株式会社 プロピレンブロツク共重合体の製造法
JPS6383116A (ja) 1986-09-26 1988-04-13 Mitsubishi Petrochem Co Ltd プロピレンブロツク共重合体の製造法
US5055438A (en) 1989-09-13 1991-10-08 Exxon Chemical Patents, Inc. Olefin polymerization catalysts
JPH0733460B2 (ja) 1987-06-23 1995-04-1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バンパ−用樹脂組成物
JPS6466263A (en) 1987-09-07 1989-03-13 Chisso Corp Resin composition for automobile exterior parts
JPH01204946A (ja) 1988-02-12 1989-08-17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バンパ用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H0534513A (ja) 1991-07-29 1993-02-12 Shimadzu Corp 格子板の製造方法
JP2618169B2 (ja) * 1992-12-22 1997-06-11 三井石油化学工業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組成物
JP3117850B2 (ja) * 1993-08-19 2000-12-18 三菱化学株式会社 熱可塑性重合体組成物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05099B2 (en) 2002-11-05 2005-06-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nitor
US9944782B2 (en) 2016-05-26 2018-04-17 Hyundai Motor Company Composition of polypropylene having high impact strength and high adhesion
KR101943224B1 (ko) 2017-12-12 2019-01-28 한화토탈 주식회사 이종 고무 성분을 포함하는 전선용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774489B1 (en) 2001-09-19
TW400355B (en) 2000-08-01
AU708539B2 (en) 1999-08-05
US5777020A (en) 1998-07-07
CA2190420C (en) 2002-03-19
EP0774489A1 (en) 1997-05-21
KR970027204A (ko) 1997-06-24
CA2190420A1 (en) 1997-05-18
DE69615314T2 (de) 2002-04-18
AU7180596A (en) 1997-05-22
DE69615314D1 (de) 2001-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5332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EP0580069B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injection-molded article thereof
AU2005279250A1 (en) Thermoplastic polyolefin composition
US6201069B1 (en) Polypropylene/propylene-ethylene copolymer composition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GB2206886A (en) Impact resistant olefin polymer compositions
KR100278401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US6147152A (en)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s and interior automotive trim parts
US6204328B1 (en)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JP2792205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US6867252B1 (en) Propylene resin composition and interior automotive member comprising the same
EP0942021A1 (en) Polypropylene/propylene-ethylene copolymer composition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KR20010103768A (ko) 성형성과 물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JP3313620B2 (ja) 塗装性が改良された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2002012718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射出成形体
US6107388A (en) Polyolefin resin compositions
AU669503B2 (en) Impact-resistant polyolefin molding composition
CA2035004A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JP2006225418A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それからなる成形体
JP3338255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3313485B2 (ja) 無機充填剤含有樹脂組成物
JP3323413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H04170452A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
JPH0452291B2 (ko)
JP3523353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2000281862A (ja) 耐傷付き性に優れるエラストマー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0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