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7130A - 폴더형 통신단말장치 및 표시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폴더형 통신단말장치 및 표시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7130A
KR20020077130A KR1020020016670A KR20020016670A KR20020077130A KR 20020077130 A KR20020077130 A KR 20020077130A KR 1020020016670 A KR1020020016670 A KR 1020020016670A KR 20020016670 A KR20020016670 A KR 20020016670A KR 20020077130 A KR20020077130 A KR 200200771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indicator
display
photographing
i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6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8108B1 (ko
Inventor
가와사키히데지
기요타겐지
Original Assignee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102206A external-priority patent/JP377880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10220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2300550A/ja
Application filed by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77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71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8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81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5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open/clos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04N2007/145Handheld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촬영기능을 갖는 휴대통신단말로서, 촬영렌즈를 거쳐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촬영렌즈와 함께, 휴대통신단말의 상기 휴대통신단말의 케이스면의 표면상의 외부로부터 동시에 시각인식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 제1표시기와, 제1표시기와 상기 촬영렌즈가 배치된 케이스면의 이면측의 케이스면의 표면상에 배치된 제2표시기를 구비하고,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된 피사체의 화상을 적어도 하나의 표시기에 표시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Description

폴더형 통신단말장치 및 표시제어방법{FOLD TYP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THE DISPLAY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촬영기능을 구비한 폴더형 휴대통신단말에 관한 것이다.
근년에 휴대전화기등의 휴대통신단말은, 다기능화가 급속히 진전되어 최근에는 광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반도체 수광소자를 이용한 CCD(charge coupled device)카메라를 구비한 카메라부착 휴대전화기가 보급되기 시작하고 있다.
상기 카메라부착 휴대전화기에 있어서는 본체 배면에 CCD 카메라가 배치되고, CCD카메라로 포착한 피사체의 촬상은 본체의 정면에 배치된 액정화면에 화상으로서 표시되기 때문에, 화면표시를 거쳐 소망하는 피사체가 CCD 카메라에 의해 포착되어 있는 것을 확인한 후 피사체의 촬영을 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촬영」이란, 카메라의 촬영렌즈에 의해 피사체의 상을 반도체 수광소자의 수광면에 결상시켜, 결상된 상을 화상데이터로 변환시키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상기 카메라부착 휴대전화기에서는 촬영자가 자기 자신의 사진을 촬영하는 경우, CCD 카메라에 의해 포착된 피사체의 촬상을 화상으로서 표시하기 위한 액정화면은 휴대전화기 본체의 정면에 배치되고, CCD 카메라가 배치되어 있는 본체배면과는 정반대의 위치에 있기 때문에, CCD 카메라로 포착한 자기 자신의 촬상을 액정화면으로 봄으로써 미리 촬상되어야 할 피사체의 화상을 확인할 수 없고, 자기 자신의 사진을 원하는대로 촬영할 수 없다는 불합리함이 생긴다.
이와 같은 불합리는 카메라를 피사체를 향해서 회전시키는 것으로도 해소 가능하지만 소형, 경량, 비용이 중시되는 휴대전화기에 있어서, 카메라의 회전기구를 설치하는 것은 대형화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회전부에 플렉시블 기판을 사용하지 않으면 안되고, 비용적으로도 고가가 된다는 결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자신을 피사체로 하여 촬영하는 경우 및 자신 이외의 것을 피사체로 하여 촬영하는 경우의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소망하는 피사체를 확실하게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부착 휴대통신단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폴더형 통신단말을 개방한 상태에 있어서의 외관도를 나타내고, 도 1(A)는 폴더형 휴대통신단말의 정면도, 도 1(B)는 폴더형 휴대통신단말의 우측면도, 도 1(C)는 폴더형 휴대통신단말의 배면도이다.
도 2는 폴더형 휴대통신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블록도이다.
도 3은 제어부가 행하는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피사체의 화상의 표시제어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4는 촬영준비전 및 촬영준비후의 폴더형 휴대통신단말에 있어서의 부표시기와 주표시기의 화상표시예를 나타내고, 도 4(A)는 촬영준비전의 부표시기에 있어서의 비촬영시 표시정보의 표시예를 나타내고, 도 4(B)는 촬영준비후의 부표시기에 있어서의 반전된 촬영화상의 표시예를 나타내고, 도 4(C)는 촬영준비후의 주표시기에 있어서의 촬영화상의 표시예이다.
도 5는 카메라부에 레이저 발광장치를 갖는 경우에 있어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피사체의 화상의 표시제어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6은 폴더형이 아닌 휴대통신단말의 외관도를 나타내고, 도 6(A)는 폴더형이 아닌 휴대통신단말의 배면에 있어서의 부표시기 및 카메라부의 배치예를 나타내고, 도 6(B)는 휴대통신단말의 정면의 외관도이다.
도 7은 표시기전환키를 조작부에 설치한 경우에 있어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피사체의 화상의 표시제어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8은 도 7에 있어서, 또한 카메라부에 레이저발광장치를 갖는 경우에 있어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피사체의 화상의 표시제어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9는 양자를 동일한 케이스에 배치한 경우의 폴더형 휴대통신단말의 외면의 외관도의 1예이다.
도 10은 부표시기와, 카메라부의 촬영렌즈를 케이스와 케이스의 어느 것인가의 한쪽 케이스의 외면상에 배치한 경우에 있어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피사체의 화상의 표시제어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1은 도 10에 있어서, 또한 카메라부에 레이저발광장치를 갖는 경우에 있어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피사체의 화상의 표시제어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폴더형 휴대통신단말8. 송수신부
9. 변복조부10. 제어부
11, 12. 케이스13. 주표시기
14. 조작부14i. 사이드키
15. 마이크16. 개폐검출부
17. 수신기18. 이어폰단자
19. 안테나20. 스피커
21. 부표시기22. 카메라부
24. 음성처리부 25. 카메라I/F
이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의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해 자신을 피사체로 하여 촬영하는 경우 및 자신 이외를 피사체로 하여 촬영하는 경우의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2개의 표시기의 어느 것인가에 표시된 피사체의 화상을 봄으로써 미리 피사체가 촬영자의 소망하는 위치에 표시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촬영자는 소망하는 피사체의 정지화상을 용이하게취득할 수 있다.
또 보통의 카메라촬영과 같이, 카메라의 파인더에 눈을 접안시키는 일이 없이, 편한 자세로 카메라촬영을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청구항 4의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 청구항 13, 청구항 22의 구성으로도 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해 피촬영자는 주위가 어둡더라도, 레이저광을 표적으로 하여 카메라의 촬영렌즈의 위치 및 그 렌즈가 포착하는 피사체의 위치를 추측할 수 있고, 용이하게 자신의 위치를 카메라의 촬영렌즈에 포착할 수 있는 위치로 조정할 수 있고, 촬영작업을 신속히 완료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청구항 5의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 청구항 14, 청구항 23의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해 어두운 장소에서 카메라촬영을 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노출부족을 보충할 수 있고, 또 표시기가 카메라의 촬영램프의 기능을 겸하므로, 휴대통신단말의 작은 공간을 유효활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청구항 6의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 청구항 15 및 청구항 24의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해 사용자 지시에 따라 촬영에 사용하지 않는 표시기는 OFF 상태가 되도록 제어되므로 전지의 소모를 적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청구항 7의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촬영한 정지화상을 그 자리에서 바로 친구나 가족등이 소유하는 휴대통신단말에 메일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청구항 8의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 청구항 9, 청구항 10, 청구항 19, 청구항 20의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해 휴대에 편리하도록 접은 상태로 갖고 다닐 수 있고, 또 휴대통신단말을 개방한 상태로 하면, 바로 촬영할 수 있는 상태가 되므로, 어디라도 가볍게 휴대할 수 있고, 촬영하고 싶은 피사체가 발견되면 용이하게 카메라촬영을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청구항 11의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해 휴대통신단말을 접은 상태로 촬영한 화상을 표시기에 표시시킬 수 있기 때문에, 만원인 전차내와 같이, 공간이 없는 비좁은 상태에 있어서도, 타인에게 폐를 끼치는 일이 없이 자기가 취한 화상을 즐겨서 볼 수 있다.
여기에서, 청구항 12의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 청구항 21의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해 카메라 촬영을 하기 위해 케이스부가 개방되고, 케이스부에 배치된 표시기의 위치가 상하가 역으로 되도록 이동해도, 이동에 따라 표시방향이 상하반전되므로, 표시기에는 카메라로 촬영되어 있는 피사체가 바른 방향으로 표시되기 때문에 촬영자는 바로 촬영에 착수할 수 있다.
여기에서, 청구항 16의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 청구항 17, 청구항 18의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해 폴더형 휴대통신단말을 접은 상태로 카메라촬영을 할 수 있으므로 소망하는 피사체를 발견한 경우에 신속히 카메라 촬영을 행할 수 있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휴대통신단말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폴더형 통신단말(1)의 개방상태에 있어서의 외관도를 나타낸다.
도 1(A)는 폴더형 휴대통신단말(1)의 정면도를 나타내고, 도1(B)는 폴더형 휴대통신단말(1)의 우측도면을 나타내고, 도 1(C)는 폴더형 휴대통신단말 (1)의 배면도를 나타낸다.
폴더형 휴대통신단말(1)은 케이스(11), 케이스(12), 주표시기(13) 조작부(14), 마이크(15), 개폐검출부(16), 수신기(17), 이어폰단자(18), 안테나(19), 스피커(20), 부표시기(21), 카메라부(22)를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상, 여기에서는 케이스(11), 케이스(12), 개폐검출부(16), 조작부(14)에 포함되는 사이드키(14i), 이어폰단자(18)에 대해 설명하고, 다른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케이스(11)와 케이스(12)는 중앙의 힌지부(23)를 거쳐 접속되는 접을 수 있는 케이스이다.
케이스(11)의 내면[도 1(A)에 표시되어 있는 측]상에는 주표시기 (13)와 수신기(17)가 배치되고, 외면[도 1(C)에 표시되어 있는 측] 상에는 스피커(20)와 부표시기(21)가 배치되어 있다.
케이스(12)의 내면[도 1(A)에 표시되어 있는 측]상에는 조작부(14)와 마이크(15)가 배치되고, 외면[도 1(C)에 표시되어 있는 측]상에는 카메라부(22)가 배치되고, 측면측에는 카메라부(22)로 촬영을 하기 위한 셔터로서 기능하는 사이드키(14i)가 배치되어 있다.
사이드키(14i)는 카메라부(22)로 촬영할때 사용하는 키이며, 키는 절반누름상태와 전체누름상태의 2단계의 상태를 부여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절반누름상태에서는 촬영준비지시를 부여하고, 전체누름상태에서는 촬영준비지시를 제어부(10)에 부여하기 위한 키로서 기능한다.
또 사이드키(14i)는 개폐검출부(16)가 폴더형 휴대통신단말(1)이 폐쇄된 상태를 검출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소정시간(예를들면, 3초)이상, 전체누름상태로 유지되면, 후술하는 폴더형 휴대통신단말(1)의 제어부(10)에 촬영화상데이터를 판독하여 부표시기(21)에 표시시키기 위한 지시를 부여하기 위한 키로서 기능한다.
여기에서,「촬영준비지시」란, 카메라부(22)에 피사체의 촬영을 개시시켜, 촬영된 직후의 피사체의 화상데이터를 순차로 주표시기(13) 또는 부표시기 (21)에 표시시키기 위한 지시를 말한다.
개폐검출부(16)는 폴더형 휴대통신단말(1)이 개방된 상태(절반개방상태를 포함한다)인지, 폐쇄된 상태에 있지를 기계적으로 검출한다.
예를들면, 케이스(11)에 볼록부[도 1(A)의 16a]를 형성하여, 형성한 볼록부가 폴더형 휴대통신단말(1)을 폐쇄한 상태에서 개폐검출부를 가압하는지의 여부에 의해 폐쇄한 상태를 개폐검출부(16)에 기계적으로 검출시킬 수 있고,개폐검출부(16)는 볼록부에 의한 가압을 검출하면, 검출신호를 후술하는 제어부(10)에 출력시킨다.
또 폴더형 휴대통신단말(1)이 개방상태인 것을 광센서에 의해 검출하거나, 엔코더에 의해 케이스의 개방각도를 검출하는 등, 다른 주지의 기술을 이용하여 개폐의 검출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이어폰단자(18)는 이어폰마이크를 접속하기 위한 단자이다.
도 2는 폴더형 휴대통신단말(1)의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블록도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폴더형 휴대통신단말(1)은 안테나(19), 송수신부(8), 변복조부(9), 제어부(10), 주표시기(13), 부표시기(21), 카메라부(22), 카메라인터페이스(I/F)(25), 조작부(14), 음성처리부(24), 마이크(15), 수신기(17)로 구성된다.
안테나(19)는 통신전파를 송수신한다.
송수신부(8)는 통신전파로서 통신하기 위한 통신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여기에서,「통신데이터」란, 통화의 음성데이터, 전자메일, 문자정보, 화상데이터, 통신제어를 위해 사용되는 제어데이터등을 말한다.
변복조부(9)는 송신용 통신데이터를 변조한다.
또 수신용 통신데이터를 복조하여 음성처리부(24)에 출력시킨다.
제어부(10)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프로세서와 ROM(10a) 및 RAM(10b)등을 포함하고, ROM(10a)에 격납되어 있는 제어프로그램에 의해 카메라부(22)에서 촬영된 피사체의 화상의 표시제어등의 각종 제어를 행한다.
제어부(10)는 상기 화상의 표시제어를 사이드키(14i)를 거쳐 사용자로부터 부여되는 촬영에 관한 지시(촬영준비지시, 정지화촬영지시) 및 개폐검출부(16)로부터 출력되는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행한다.
또한 제어부(10)가 행하는 상기 표시제어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ROM(10a)은 상기 제어프로그램을 격납시킨다.
RAM(10b)은 송신하는 통신데이터나 수신한 통신데이터, 촬영된 피사체의 화상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고, 또 전화번호부 데이터등을 기억하고 있다.
주표시기(13)는 컬러액정표시장치, DMD(digital mirror device), 유기EL(electro luminescence; 전계발광)표시장치, PDP(plasma display panel)등으로 구성되고, 카메라부(22)에서 촬영된 피사체의 화상(촬영준비지시시 후, 정지화촬영지시전의 거의 실시간의 동화상, 또는 간헐화상, 정지화촬영지시후에 촬영된 정지화상), 착신이력등의 통지해야 할 정보, 전자메일이나 전화번호부 데이터등의 문자정보, 현재시각정보등을 표시한다.
또한 개폐검출부(16)에 의해 폴더형 휴대통신단말(1)이 폐쇄된 상태에 있는 것을 표시하는 검출신호가 출력되고, 제어부(10)에 의해 검출신호가 검지되면, 주표시기(13)에 있어서의 표시는 제어부(10)에 의해 OFF제어되거나, 또는 주표시기(13)에 구비된 백라이트(도시생략)가 소등된다.
부표시기(21)는 컬러액정표시장치, DMD(digital mirror device),유기EL(electro luminescence; 전계발광)표시장치, PDP(plasma display panel)등으로 구성되고, 개폐검출부(16)로부터 검출신호가 출력되고 있는 폴더형 휴대통신단말이 폐쇄된 상태의 경우에 대기표시, 착신이력등의 통지해야 할 정보, 현재시각정보, 제어부(10)의 RAM(10b)에 기억된 촬영화상데이터등의 비촬영시 표시정보를 표시하고, 개폐검출부(16)로부터 검출신호가 출력되고 있지 않은 폴더형 휴대통신단말이 개방된 상태의 경우에, 카메라부(22)에 의해 촬영된 피사체의 화상(촬영준비지시 후, 정지화촬영지시전의 거의 실시간의 동화상, 또는 간헐화상, 정지화촬영지시 후에 촬영된 정지화상)을 비촬영시표시정보를 표시한 방향과 상하가 반전되도록 표시한다.
또 부표시기(21)에는 어두운 장소에서의 피사체의 촬영에 있어서의, 노출부족을 보충하기 위한 스트로보방전관등의 발광장치가 구비되어 있고, 그 발광장치는 사이드키(14i)를 전체누르기함으로써 부여되는 정지화촬영지시를 제어부(10)가 검지한 경우에 제어부(10)로부터 발하게 되는 발광지시에 따라 발광한다.
또 부표시기(21)에는 착신시에 점멸하고, 충전중에 적색으로 점등되는 착신램프와, 표시기를 조명하는 백라이트가 구비되어 있다.
카메라부(22)는 플렉시블케이블 및 카메라I/F를 거쳐 제어부(10)와 접속되어 있고, 내장카메라를 갖고, 내장카메라의 촬영렌즈[도 1(C)의 케이스12의 외면상의 22에 나타내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를 거쳐 피사체의 상을 반도체수광소자의 수광면에 결상시켜, 결상된 상을 각 수광소자에 있어서의 입사광량에 따른 크기의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다시 변환한 전기신호를 A/D변환하여 화상데이터로서 카메라 I/F(25)를 거쳐 제어부(10)의 RAM에 출력시킨다.
내장카메라로서는 CCD 카메라나,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카메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카메라부(22)는 내장카메라의 촬영렌즈에 인접한 케이스(12)의 외면상의 위치(예를들면, 촬영렌즈의 바로 위 또는 아래)에 형성한 작은 구멍을 거쳐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레이저 조사장치를 갖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레이저 조사장치는 카메라 I/F(25)로부터 레이저광조사지시를 받으면, 상기 작은 구멍으로부터 적색의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카메라 I/F(25)로부터 조사중지지시를 받으면, 레이저광의 조사를 중지한다.
이것에 의해 피촬영자는 주위가 어두워도 레이저광을 표적으로 하여 카메라의 촬영렌즈의 위치 및 카메라의 촬영렌즈에 포착되는 위치로 조정할 수 있고, 촬영작업을 신속히 완료시킬 수 있다.
카메라 I/F(25)는 제어부(10)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카메라부(22)에 대하여 각종 제어명령을 출력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0)로부터 촬영준비지시를 받으면, 카메라부 (22)에 피사체의 촬영과 촬영한 피사체의 화상데이터를 순차로 출력시키는 것을 지시하고, 다시 정지화촬영지시를 받으면, 카메라부(22)에 피사체의 정지화상의 촬영과 촬영한 정지화상데이터의 출력을 지시한다.
또 카메라부(22)로부터 출력된 화상데이터를 집어 넣어 제어부(10)의 RAM에 출력시킨다.
또한 카메라부(22)가 레이저조사장치를 갖는 경우에는, 카메라 I/F (25)는 제어부(10)로부터 촬영준비지시를 받으면, 상기 지시에 추가하여 레이저광의 조사를 지시하고, 다시 정지화촬영지시를 받으면, 카메라부(22)에 레이저광의 조사의 중지를 지시한 후, 피사체의 정지화상의 촬영과, 촬영한 정지화상데이터의 출력을 지시한다.
조작부(14)는 사용자로부터의 지시를 받기 위한 각종 기능키를 갖는다.
예를들면, 도 1(A)의 예에서는 조작부(14)는 플렉시블키(14a),접점키(14b), E메일키(14c), OK키(14d), 종료키(14e), 텐키(14f) WEB키(14g),개시키(14h), 사이드키(14i)로 구성된다.
또한 도 1(A)에 있어서의 조작부(14)를 구성하는 각종 기능키의 종류 및 배치는 1예를 나타낸 것이며, 조작부(14)를 구성하는 각종 키의 종류 및 배치는 이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플렉시블키(14a)는 주표시기(13)에 표시되어 있는 화면의 내용에 따라 기능이 특정되는 키이며, 예를들면, 메뉴선택화면에 있어서, 사용자가 소망하는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선택키로서 기능하고, 대기표시화면에 있어서는 메뉴선택화면을 표시시키기 위한 기능키로서 기능한다.
접점키(14b)는 커서를 상하 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한 키이다.
또 주표시기(13)에 표시되어 있는 화면에 의해서는 음량을 설정하기 위한 키로서 기능하거나, 전화번호를 호출하기 위한 키로서 기능하거나 한글문자를 한자로 변환하기 위한 키로서 기능한다.
E메일키(14c)는 전자메일의 표시화면을 표시시키기 위한 키이다.
OK키(14d)는 플렉시블키(14a)로 선택된 메뉴를 확정하기 위한 키이다.
종료키(14e)는 전원을 ON·OFF 하거나 통화를 종료시키기 위한 키이다.
텐키(14f)는 전화번호나 문자를 입력시키기 위한 키이다.
WEB키(14g)는 인터넷접속기능의 표시화면을 표시시키기 위한 키이다.
개시키(14h)는 발신호 및 착신호시의 통화를 개시하기 위한 키이다.
또한 상기 각종 키는 누름단추형식이라도 되고, 텃치패널식의 것이라도되고, 다이얼키 형식의 것이라도 된다.
음성처리부(24)는 변복조부(9)로부터 출력된 통신데이터를 D/A변환하여 음성신호로서 수신기(17)에 출력시키고, 마이크(15)로부터 출력된 음성을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송신용 통신데이터로서 변복조부(9)로 출력시킨다.
마이크(15)는 입력된 음성을 음성처리부(24)로 출력시킨다.
수신기(17)는 음성처리부(24)로부터 출력된 음성신호로부터 음성을 재생한다.
다음에, 제어부(10)가 행하는 카메라부(22)로 촬영된 피사체의 화상의 표시제어의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상기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제어부(10)는 사용자로부터 촬영준비지시가 압력되었는지의 여부를, 사이드키(14i)의 절반누름조작에 의해 발생하는 조작신호를 검지함으로써 판정하고 (스텝 S1001), 촬영준비지시가 입력된 경우(스텝 S1001 :Y), 추가로 폴더형 휴대통신단말(1)이 개방된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개폐검출부(16)로부터 검출신호가 입력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의해 판정한다(스텝 S1002).
입력되어 있지 않은 경우(스텝 S1002 :N), 제어부(10)는 개방된 상태에 있다고 판정하여, 카메라 I/F(25)를 거쳐 카메라부(22)에 피사체의 화상데이터의 출력을 지시하고, 순차 출력된 화상데이터를 비촬영시 표시정보를 표시하는 방향과, 상하가 반전되도록 거의 실시간에 부표시기(21)에 표시시키고(스텝 S1003), 또 주표시기(13)에 그 화상데이터를 반전시키는 일이 없이 표시시키고(스텝 S1004), 사용자로부터 정지화촬영지시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사이드키(14i)의 전체누름조작에 의해 발생하는 조작신호를 검지하는 것에 의해 판정한다(스텝 S1005).
정지화촬영지시가 입력된 경우(스텝 S1005 :Y), 제어부(10)는 부표시기(21)의 발광장치의 발광을 지시하고(스텝 S1006), 추가로 카메라 I/F (25)를 거쳐 카메라부(22)에 피사체의 정지화상의 촬영과 촬영한 정지화상데이터의 출력을 지시하고, 촬영된 피사체의 정지화상데이터를 비촬영시표시정보를 표시하는 방향과, 상하가 반전하도록 부표시기(21)에 표시시키고(스텝 S1007), 또 주표시기(13)에 정지화상데이터를 반전시키는 일이 없이 표시시킨다(스텝 S1008).
또 스텝 S1001에 있어서, 촬영준비지시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스텝 S1001:N) 또는 스텝 S1002에 있어서, 검출신호가 입력되어 있는 경우(스텝 S1002:Y), 제어부(10)는 부표시기(21)에 비촬영시표시정보를 표시시킨다(스텝 S1009).
도 4는 촬영준비지시 입력전 및 촬영준비지시 입력후의 폴더형 휴대통신단말(1)에 있어서의 부표시기(21)와 주표시기(13)의 화상표시예를 나타낸다.
도 4(A)는 촬영준비전의 부표시기(21)에 있어서의 비촬영시표시정보의 표시예를 나타내고, 도 4(B)는 촬영준비지시 입력 후의 부표시기(21)에 있어서의 반전된 촬영된 직후의 화상데이터의 표시예를 나타내고, 도 4(C)는 촬영준비지시 입력후의 주표시기(13)에 있어서의 촬영된 직후의 화상데이터의 표시예를 나타낸다.
다음에, 카메라부(22)에 레이저발광장치를 갖는 경우에 있어서의 제어부(10)가 행하는 카메라부(22)로 촬영된 피사체의 화상의 표시제어의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상기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5의 플로차트에 있어서는 도 3의 플로차트에 나타낸 처리와 공통하는 처리에 있어서는 동일한 스텝번호를 부여하고 있다.
다음에, 도 3의 플로차트로 나타낸 처리와 다른 처리의 부분에 대하여 설명하고, 공통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이미 도 3의 플로차트를 사용해서 설명이 끝난것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제어부(10)는 스텝 S1001의 처리 후 스텝 S1002에 있어서, 검출신호가 입력되어 있지 않은 경우(스텝 S1002:N), 카메라 I/F(25)를 거쳐 카메라부(22)에 레이저광의 조사를 지시하고(스텝 S1101), 스텝 S1003∼스텝 S1004의 처리를 행하고, 스텝 S1005에 있어서, 정지화촬영지시가 입력되면(스텝 S1005:Y), 카메라 I/F(25)를 거쳐 카메라부에 레이저광의 중지를 지시하고(스텝 S1102), 스텝 S1006∼스텝 S1008의 처리를 행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이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예를들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휴대통신단말은 폴더형으로 했으나, 폴더형이 아니라도 된다.
도 6(A)에 폴더형이 아닌 휴대통신단말의 배면에 있어서의 부표시기 (21) 및 카메라부(22)의 배치예를 나타낸다.
도 6(B)는 그 휴대통신단말 정면의 외관도를 나타낸다.
이 예의 경우에는 도 3, 도 5의 플로차트에 있어서의 스텝 S1002의 처리는 불필요하게 되고, 또 스텝 S1003에 있어서의 표시는 반전표시가 아니고, 비촬영시표시정보의 표시방향과 동일방향의 표시가 된다.
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카메라부(22)는 케이스(12)의 배면측에 배치하는 것으로 했으나, 카메라부(22)의 배치는 케이스(12)의 정면측이라도 되고, 케이스(11)의 정면측이라도 된다.
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 3 및 도 5의 플로차트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촬영된 직후의 화상데이터를 주표시기(13)와 부표시기(21)의 양쪽에 표시시키는 것으로 했으나, 어느 것인가 한쪽의 표시기에 표시시키고, 다른쪽의 표시기를 OFF 상태로 하는 것으로 하고, 추가로 표시기전환키를 조작부(14)에 설치하여(예를들면, 플렉시블키 14a), 이 전환키의 조작에 의해 사용자가 소망하는 표시기를 선택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상기 경우에 있어서, 제어부(10)가 행하는 도 3 및 도 5의 각 플로차트에 대응하는 표시제어 처리의 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를 도 7 및 도 8에 나타낸다.
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 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표시기(21)와 카메라부(22)의 촬영렌즈를 케이스(12)의 각 외면상에 배치하는 것으로 했으나, 어느 것인가 한쪽 케이스의 외면상에 양자를 배치하는 것으로 하고, 사용자로부터의 촬영준비지시 및 정지화촬영지시에 따라 케이스를 폐쇄한 상태로 피사체의 화상을 촬영하고 촬영한 피사체의 화상을 부표시기(21)에 비촬영시 표시의 방향과, 동일 표시방향으로 표시시키도록 해도 된다.
도 9에 양자를 동일한 케이스에 배치한 경우의 폴더형 휴대통신단말 (1) 외면의 외관도의 일예를 나타낸다.
또 이 경우에 있어서, 제어부(10)가 행하는 도 3 및 도 5의 각 플로차트에 대응하는 표시제어 처리의 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를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다.
본 발명은 자신을 피사체로 하여 촬영하는 경우 및 자신 이외를 피사체로 하여 촬영하는 경우의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소망하는 피사체를 확실히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부착 휴대통신단말을 제공한다.

Claims (24)

  1. 촬영렌즈를 거쳐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제1표시기는 상기 촬영렌즈와 함께 상기 휴대통신단말의 케이스면의 표면상의 외부로부터 동시에 시각인식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고, 제2표시기는 제1표시기와 상기 촬영렌즈가 배치된 케이스면의 이면측의 케이스면의 표면상에 배치되는, 2개의 표시기와,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된 피사체의 화상을 적어도 하나의 표시기에 표시시키는 표시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기능을 갖는 휴대통신단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표시기와 상기 제2표시기는, 각 케이스면의 표면상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기능을 갖는 휴대통신단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통신단말은, 상기 제1표시기가 배치된 케이스면이나 제2표시기가 배치된 케이스면의 어느 것인가 한쪽의 케이스면의 표면상에 전화번호를 입력시키기 위한 텐키를 구비한 휴대전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기능을 갖는 휴대통신단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촬영렌즈에 인접한 위치로부터 촬영렌즈의 위치를 나타내는 표적이 되는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조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제어수단은, 사용자로부터 촬영된 직후의 피사체의 화상을 순차로 적어도 하나의 표시기에 표시시키기 위한 촬영준비지시와, 그 피사체의 정지화상을 적어도 하나의 표시기에 표시시키기 위한 촬영지시를 수취하는 지시수취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제어수단은, 상기 촬영준비지시를 수취하면 상기 조사부에 레이저광을 조사시키고, 상기 촬영지시를 수취하면 상기 조사부에 레이저광의 조사를 중지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기능을 갖는 휴대통신단말.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표시기는, 발광하는 발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제어수단은, 사용자로부터 촬영된 직후의 피사체의 정지화상을, 적어도 하나의 표시기에 표시시키기 위한 촬영지시를 수취하는 지시수취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제어수단은, 상기 촬영지시를 수취하면 상기 발광부를 발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기능을 갖는 휴대통신단말.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제어수단은 어느 것인가의 한쪽의 표시기에만 촬영된 피사체의 화상을 표시시키고,
    상기 표시제어수단은 사용자로부터 표시시키는 표시기를 전환하기 위한 표시기전환지시를 수취하는 사용자지시 수취수단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표시제어수단은 상기 지시를 수취하면 피사체의 화상을 표시하고 있던 표시기의 표시를 OFF 상태로 하고, 또 한쪽의 표시기에 그 피사체의 화상을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기능을 갖는 휴대통신단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통신단말은, 촬영된 피사체의 화상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사용자로부터 송신측의 메일어드레스의 입력을 수취하는 메일어드레스 수취수단과,
    기억된 피사체의 화상데이터를, 상기 메일어드레스가 나타내는 송신측으로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기능을 갖는 휴대통신단말.
  8.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를 갖고,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는 접속부를 축으로 하여 개폐가능하게 되도록 접속되는 케이스부와,
    제1표시기는 상기 케이스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시각인식될 수 있는 상기 상부 또는 하부케이스 외면의 표면상에 배치되고, 제2표시기는 상기 케이스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시각인식되지 않는 상기 상부 또는 하부케이스 내면의 표면상에 배치되는, 2개의 표시기와,
    상기 케이스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2개의 표시기의 어느 것인가 하나와 함께 외부로부터 시각 인식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또는 하부케이스 내면 또는 외면의 어느 것인가의 표면상에 배치되는 촬영렌즈를 거쳐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케이스부가 개방된 상태에 있는지 폐쇄된 상태에 있는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과,
    상기 판정수단에 의해 개방된 상태에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 촬영된 직후의 피사체의 화상을 적어도 하나의 표시기에 표시시키는 표시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기능을 갖는 폴더형 휴대통신단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표시기는 상기 케이스외면의 표면상에 고정되고,
    상기 제2표시기는 상기 케이스내면의 표면상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기능을 갖는 폴더형 휴대통신단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형 휴대통신단말은, 제1표시기가 배치된 상기 케이스외면이나, 제2표시기가 배치된 상기 케이스내면의 어느 것인가의 한쪽의 표면상에, 전화번호를입력시키기 위한 텐키를 구비한 휴대전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기능을 갖는 폴더형 휴대통신단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제어수단은 또한 상기 판정수단에 의해 상기 케이스부가 폐쇄된 상태에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 촬영된 피사체의 화상을 제1표시기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기능을 갖는 폴더형 휴대통신단말.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렌즈는, 상기 제1표시기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쪽의 케이스외면의 표면상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제어수단은, 상기 판정수단에 의해 상기 케이스부가 개방된 상태에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 폐쇄된 상태에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 있어서의 표시방향과 상하를 반전시켜, 촬영된 직후의 피사체의 화상을 제1표시기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기능을 갖는 폴더형 휴대통신단말.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촬영렌즈에 인접한 위치로부터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조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제어수단은, 사용자로부터 촬영된 직후의 피사체의 화상을, 순차로 적어도 하나의 표시기에 표시시키기 위한 촬영준비지시와 그 피사체의 정지화상을 적어도 하나의 표시기에 표시시키기 위한 촬영지시를 수취하는 지시수취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제어수단은, 상기 촬영준비지시를 수취하면 상기 조사부에 레이저광을 조사시키고, 상기 촬영지시를 수취하면 상기 조사부에 레이저광의 조사를 중지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기능을 갖는 폴더형 휴대통신단말.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표시기는, 발광하는 발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제어수단은, 사용자로부터 촬영된 직후의 피사체의 정지화상을 표시기에 표시시키기 위한 촬영지시를 수취하는 지시수취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제어수단은, 상기 촬영지시를 수취하면 상기 발광부를 발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기능을 갖는 폴더형 휴대통신단말.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제어수단은, 상기 판정수단에 의해 개방된 상태에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 촬영된 직후의 피사체의 화상을 어느 것인가 하나의 표시기에 표시시키고,
    상기 표시제어수단은, 사용자로부터 표시시키는 표시기를 전환시키기 위한 표시기전환지시를 수취하는 사용자지시 수취수단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표시제어수단은, 상기 지시를 수취하면 피사체의 화상을 표시하고 있던 표시기의 표시를 OFF 상태로 하고, 또 다른 한쪽의 표시기에 그 피사체의 화상을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기능을 갖는 폴더형 휴대통신단말.
  16. 휴대통신단말은 개폐가능한 케이스를 구비하는 폴더형 휴대통신단말로서,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를 갖고,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는 접속부를 축으로 하여 개폐가능하게 되도록 접속되는 케이스부와,
    제1표시기는 상기 케이스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시각인식될 수 있는 상기 상부 또는 하부케이스 외면의 표면상에 배치되고, 제2표시기는 상기 케이스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시각인식되지 않는 상기 상부 또는 하부케이스내면의 표면상에 배치되는, 2개의 표시기와,
    상기 케이스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제1표시기와 함께 외부로부터 시각인식될수 있도록 상기 제1표시기가 배치되어 있는 상부 또는 하부케이스 외면의 표면상에 배치되는 촬영렌즈를 거쳐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케이스부가 폐쇄된 상태에 있는 경우에, 사용자로부터 촬영된 직후의 피사체의 화상을 순차로 제1표시기에 표시시키기 위한 촬영준비지시와 그 피사체의 정지화상을 제1표시기에 표시시키기 위한 촬영지시를 수취하는 지시수취수단과,
    상기 촬영준비지시를 수취하면 상기 화상을 제1표시기에 표시시키고, 상기 촬영지시를 수취하면 상기 정지화상을 제1표시기에 표시시키는 표시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기능을 갖는 폴더형 휴대통신단말.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표시기는, 상기 케이스외면의 표면상에 고정되고,
    상기 제2표시기는, 상기 케이스내면의 표면상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기능을 갖는 폴더형 휴대통신단말.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형 휴대통신단말은, 제1표시기가 배치된 상기 케이스외면이나, 제2표시기가 배치된 상기 케이스내면의 어느 것인가의 한쪽의 표면상에, 전화번호를 입력시키기 위한 텐키를 구비한 휴대전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기능을 갖는 폴더형 휴대통신단말.
  19.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가 접속부를 축으로 하여 개폐가능하게 되도록 접속되고, 2개의 케이스가 폐쇄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시각인식할 수 있는 상부 또는 하부케이스 외면의 표면상에 배치된 제1표시기와, 케이스가 폐쇄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시각 인식할 수 없는 상부 또는 하부케이스내면의 표면상에 배치된 제2표시기와, 상기 케이스가 개방된 상태에서 2개의 표시기의 어느 것인가 하나와 함께 외부로부터 시각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또는 하부케이스 내면 또는 외면의 어느 것인가의 표면상에 배치되는 촬영렌즈를 거쳐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부를 구비하는 폴더형 휴대통신단말에 있어서의 표시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케이스가 개방된 상태에 있는지 폐쇄된 상태에 있는지를 판정하는 판정스텝과,
    상기 판정스텝에 의해 개방된 상태에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 촬영된 직후 피사체의 화상을 적어도 하나의 표시기에 표시시키는 표시제어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휴대통신단말에 있어서의 표시제어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표시기는, 상기 케이스외면의 표면상에 고정되고,
    상기 제2표시기는, 상기 케이스내면의 표면상에 고정되고,
    상기 폴더형 휴대통신단말은 제1표시기가 배치된 상기 케이스외면이나 제2표시기가 배치된 상기 케이스내면의 어느 것인가 한쪽의 표면상에 전화번호를 입력시키기 위한 텐키를 구비하는 휴대전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휴대통신단말에 있어서의 표시제어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렌즈는, 상기 제1표시기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쪽의 케이스외면의 표면상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제어스텝은 상기 판정스텝에 의해 상기 케이스가 개방된 상태에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 폐쇄된 상태에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 있어서의 표시방향과 상하를 반전시켜 촬영된 직후의 피사체의 화상을 제1표시기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휴대통신단말에 있어서의 표시제어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촬영렌즈에 인접한 위치로부터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조사부를 갖고,
    상기 표시제어스텝은, 사용자로부터 촬영된 직후의 피사체의 화상을 순차로 적어도 하나의 표시기에 표시시키기 위한 촬영준비지시와, 그 피사체의 정지화상을 적어도 하나의 표시기에 표시시키기 위한 촬영지시를 수취하는 지시수취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제어스텝은, 상기 촬영준비지시를 수취하면 상기 조사부에 레이저광을 조사시키고, 상기 촬영지시를 수취하면 상기 조사부에 레이저광의 조사를 중지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휴대통신단말에 있어서의 표시제어방법.
  23. 제20항에 있어서,
    제1표시기는, 발광하는 발광부를 갖고,
    상기 표시제어스텝은, 사용자로부터 촬영된 직후의 피사체의 정지화상을 표시기에 표시시키기 위한 촬영지시를 수취하는 지시수취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제어스텝은, 상기 촬영지시를 수취하면 상기 발광부를 발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휴대통신단말에 있어서의 표시제어방법.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제어스텝은,
    상기 판정스텝에 의해 개방된 상태에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 촬영된 직후의 피사체의 화상을 어느 것인가 하나의 표시기에 표시시키고,
    사용자로부터 표시시키는 표시기를 전환시키기 위한 표시기전환지시를 수취하는 사용자지시 수취스텝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지시를 수취하면 피사체의 화상을 표시하고 있던 표시기의 표시를 OFF 상태로 하고, 또 한쪽의 표시기에 그 피사체의 화상을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휴대통신단말에 있어서의 표시제어방법.
KR10-2002-0016670A 2001-03-30 2002-03-27 폴더형 통신단말장치 및 표시제어방법 KR1004781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02205 2001-03-30
JPJP-P-2001-00102206 2001-03-30
JP2001102206A JP3778807B2 (ja) 2001-03-30 2001-03-30 折畳式通信端末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JP2001102205A JP2002300550A (ja) 2001-03-30 2001-03-30 折畳式通信端末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7130A true KR20020077130A (ko) 2002-10-11
KR100478108B1 KR100478108B1 (ko) 2005-03-24

Family

ID=26612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6670A KR100478108B1 (ko) 2001-03-30 2002-03-27 폴더형 통신단말장치 및 표시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7173665B2 (ko)
KR (1) KR100478108B1 (ko)
CN (1) CN1224283C (ko)
CA (1) CA2380057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4301A (ja) * 2002-02-18 2003-08-29 Nec Corp 携帯情報端末
US20030201987A1 (en) * 2002-04-25 2003-10-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adjusting inverted image in display system
JP3856221B2 (ja) * 2002-05-15 2006-12-13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電話機
JP4313545B2 (ja) * 2002-05-15 2009-08-12 京セラ株式会社 カメラ付き折畳式携帯電話装置
JP4004865B2 (ja) * 2002-06-12 2007-11-07 富士通株式会社 携帯端末
JP3910112B2 (ja) * 2002-06-21 2007-04-25 シャープ株式会社 カメラ付携帯電話機
JP2004088750A (ja) * 2002-06-28 2004-03-18 Rohm Co Ltd 携帯通信機器
JP3726073B2 (ja) * 2002-07-01 2005-12-14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JP4080395B2 (ja) * 2002-08-02 2008-04-23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型情報処理装置
KR100486527B1 (ko) * 2002-08-17 2005-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촬영제어 장치 및 방법
JP3849623B2 (ja) * 2002-09-05 2006-11-22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通信機器
JP3675430B2 (ja) * 2002-09-20 2005-07-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携帯電話機
JP2004128910A (ja) * 2002-10-03 2004-04-22 Hitachi Ltd 携帯端末
JP2004135177A (ja) * 2002-10-11 2004-04-30 Sharp Corp 携帯電話機
JP3948387B2 (ja) * 2002-10-24 2007-07-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ィジタルカメラおよびディジタルカメラ付き携帯電話装置
JP4066789B2 (ja) * 2002-11-15 2008-03-26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電話機、携帯電話機の背面パネル装着方法
KR100526528B1 (ko) * 2002-11-27 2005-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입력 확장성이 제공된 휴대용 통신 장치
KR100464040B1 (ko) * 2002-12-16 2005-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얼굴 움직임을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
JP4395859B2 (ja) * 2003-01-07 2010-01-13 三星電機株式会社 携帯端末機用カメラモジュール
JP4090896B2 (ja) * 2003-01-16 2008-05-28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端末装置
JP4232481B2 (ja) * 2003-02-25 2009-03-04 日本電気株式会社 電子ズームの制御方法並びに制御プログラム
KR100547991B1 (ko) * 2003-02-26 2006-02-0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분리 가능한 사용자 모듈이 구비된 디지털 카메라
JP4053444B2 (ja) * 2003-03-07 2008-02-27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可能な多機能電子機器
JP2004282399A (ja) * 2003-03-14 2004-10-07 Nec Saitama Ltd カウントダウン表示付きセルフタイマー撮影機能を有する携帯電話機
US20040192220A1 (en) * 2003-03-24 2004-09-30 Inventec Appliances Corp. Mechanism for switching cellular phone to digital camera
US20040198439A1 (en) * 2003-04-01 2004-10-07 Dong-Ryong Kim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pictures in a mobile terminal
JP4010975B2 (ja) * 2003-04-07 2007-11-21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通信端末装置
US7155266B2 (en) * 2004-04-21 2006-12-26 Nokia Corporation Hinge for fold phone
US20060034601A1 (en) * 2003-04-23 2006-02-16 Tage Andersson Multi-function two panel electronic device with 360° relative motion
FI115364B (fi) * 2003-04-30 2005-04-15 Nokia Corp Kuvausprofiili digitaalisessa kuvauksessa
JP2004333957A (ja) * 2003-05-09 2004-11-25 Hitachi Ltd 携帯端末
JP2004350206A (ja) * 2003-05-26 2004-12-09 Sharp Corp 撮像機器
AU2003238088A1 (en) * 2003-05-27 2005-01-21 Turnaround Solution Gmbh Holder for a mobile telephone
JP4371713B2 (ja) * 2003-06-16 2009-11-25 シャープ株式会社 カメラ付折畳み式携帯機器
US7092626B2 (en) * 2003-07-28 2006-08-15 Canon Kabushiki Kaisha Placement of light-emitting section in image sensing apparatus
TWI240538B (en) * 2003-08-18 2005-09-21 Primax Electronics Ltd Mobile phone with image recognition function
JP4165343B2 (ja) * 2003-08-27 2008-10-15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を使用した電子広告システムおよび表示方法
FI20031251A (fi) * 2003-09-03 2005-03-04 Nokia Corp Menetelmä näytön valmistamiseksi, elektroninen laite ja näyttöelementti
US7966034B2 (en) * 2003-09-30 2011-06-2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 and apparatus of synchronizing complementary multi-media effect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O2005065283A2 (en) * 2003-12-24 2005-07-21 Walker Digital,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apturing and managing images
JP4254529B2 (ja) 2003-12-25 2009-04-1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モニタ付き撮像機器
KR100677303B1 (ko) * 2003-12-26 2007-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US7034684B2 (en) * 2004-01-06 2006-04-2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ersonal item monitor us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JP4531411B2 (ja) * 2004-01-28 2010-08-25 京セラ株式会社 撮像機能付き携帯端末装置
JP2005310571A (ja) * 2004-04-22 2005-11-04 Nec Saitama Ltd カメラ機能付き携帯型電子機器
KR100600750B1 (ko) * 2004-07-27 2006-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듀얼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04323B1 (ko) * 2004-08-28 2006-07-24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내장형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폰
US20060078335A1 (en) * 2004-10-13 2006-04-13 Mark Robinso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 infrared transducer
US20060103762A1 (en) * 2004-11-18 2006-05-18 Ly Ha M Interactive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20060109198A1 (en) * 2004-11-23 2006-05-25 Raymond Chow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picture-in-picture data as an independent display
EP1675438A1 (en) * 2004-12-06 2006-06-28 Siemens Aktiengesellschaft Method for biasing light emitting elements and electrical device
JP4411193B2 (ja) * 2004-12-09 2010-02-1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付き撮像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
JP2006186875A (ja) * 2004-12-28 2006-07-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型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US20060150106A1 (en) * 2004-12-30 2006-07-06 Paivi Jokin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30068B1 (ko) * 2005-01-25 2006-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회전형 휴대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703275B1 (ko) * 2005-02-03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듀얼 액정표시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FI20055330A0 (fi) * 2005-06-20 2005-06-20 Nokia Corp Menetelmä, laite ja tietokoneohjelmistotuote elektronisen laitteen käyttöliittymän kontrolloimiseksi
KR100640808B1 (ko) 2005-08-12 2006-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촬상 이미지의 듀얼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663447B1 (ko) * 2005-10-24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채널 정보 표시 방법
EP1883237A1 (en) 2006-07-28 2008-01-30 Motorola, Inc. Methods and devices for mobile video conference calls
KR100782509B1 (ko) * 2006-11-23 2007-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중 모드 양면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 및 그표시부의 화면전환 방법
KR100891774B1 (ko) * 2007-09-03 2009-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인터페이스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방법
US20090015425A1 (en) * 2007-07-13 2009-01-15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Camera of an electronic device used as a proximity detector
US8098319B2 (en) * 2007-10-31 2012-01-17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high-resolution camera with tunable sensor auto focus
TW201001367A (en) * 2008-06-27 2010-01-01 E Ten Information Sys Co Ltd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5228755B2 (ja) * 2008-09-29 2013-07-03 富士通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4670939B2 (ja) * 2008-11-05 2011-04-13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装置の表示制御方法
JP4748204B2 (ja) * 2008-11-05 2011-08-17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装置の表示制御方法
US8223241B2 (en) * 2008-12-15 2012-07-17 Robbyn Gayer Self shot camera
TW201104330A (en) * 2009-07-24 2011-02-01 Asia Optical Co Inc Photography apparatus capable of simultaneously protecting the lens set and the display
KR20110015309A (ko) * 2009-08-07 2011-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US20110239142A1 (en) * 2010-03-25 2011-09-29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 over multiple displays
US8610970B1 (en) * 2011-08-20 2013-12-17 Darwin Hu Liquid crystal display (LCD) scanners
US8467270B2 (en) 2011-10-26 2013-06-18 Google Inc. Smart-watch with user interface features
US8279716B1 (en) 2011-10-26 2012-10-02 Google Inc. Smart-watch including flip up display
KR102368689B1 (ko) 2015-03-20 2022-03-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모듈 및 그 제어방법
US9936138B2 (en) 2015-07-29 2018-04-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284003B2 (en) 2015-07-29 2022-03-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543912B1 (ko) 2015-10-05 2023-06-15 삼성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6412158A (zh) * 2016-09-28 2017-02-15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人物拍摄装置和方法
US10264186B2 (en) 2017-06-30 2019-04-1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ynamic control of camera resources in a device with multiple displays
CN110445904A (zh) * 2018-05-04 2019-11-1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KR20200140609A (ko) * 2019-06-07 2020-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전자 장치 및 상기 폴더블 전자 장치에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CN110715687A (zh) * 2019-10-24 2020-01-21 徐州市三禾自动控制设备有限公司 一种方便携带的折叠式电子温湿度记录仪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96207B2 (ja) * 1994-06-22 2004-02-09 ソニー株式会社 ビデオカメラ
US6510325B1 (en) * 1996-04-19 2003-01-21 Mack, Ii Gawins A. Convertible portable telephone
US6486862B1 (en) * 1996-10-31 2002-11-26 Kopin Corporation Card reader display system
JP3516328B2 (ja) * 1997-08-22 2004-04-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通信端末装置
GB2372663B (en) * 1998-05-08 2002-11-27 Orange Personal Comm Serv Ltd Mobile communications
US6563535B1 (en) * 1998-05-19 2003-05-13 Flashpoint Technology, Inc. Image processing system for high performance digital imaging devices
FI112573B (fi) 1998-06-04 2003-12-15 Nokia Corp Kamerallinen matkaviestin
US6141540A (en) * 1998-06-15 2000-10-31 Motorola, Inc. Dual mode communication device
JP2000032111A (ja) * 1998-07-15 2000-01-28 Seiko Epson Corp 携帯型情報読取処理装置及び制御方法
KR20010000974A (ko) 1998-11-02 2001-01-05 윤종용 폴더형 휴대폰에서 양면 액정표시장치
KR100303793B1 (ko) * 1998-11-05 2001-11-22 윤종용 폴더타입 통신단말기의 표시장치 및 표시방법
JP2000253113A (ja) * 1999-02-26 2000-09-14 Hitachi Ltd 情報通信端末装置
JP2000253124A (ja) * 1999-03-01 2000-09-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撮像機能付き情報携帯端末
JP2000270069A (ja) * 1999-03-16 2000-09-29 Canon Inc デジタルカメラ付き携帯情報端末
DE60026455T2 (de) * 1999-05-28 2006-11-09 Sony Corp. Bildaufnahmevorrichtung mit Bildanzeigeschirm
KR20010000388U (ko) * 1999-06-09 2001-01-05 윤경중 폴더식 핸드폰
JP2001045342A (ja) 1999-08-02 2001-02-16 Nippon Polaroid Kk 画像表示機能を備える露光装置、露光機能を備える電子カメラ、情報端末および携帯通信装置
JP3447624B2 (ja) 1999-08-10 2003-09-16 エヌイーシーアクセステクニカ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移動端末
JP4201443B2 (ja) * 1999-11-05 2008-12-2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折畳式携帯電話装置
JP3546784B2 (ja) * 1999-12-14 2004-07-28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
US7046287B2 (en) * 1999-12-24 2006-05-16 Nec Corporatio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equipped with camera
KR20010068807A (ko) * 2000-01-10 2001-07-23 윤종용 영상 통신용 무선 단말기
TW496043B (en) * 2000-01-27 2002-07-21 Kyocera Corp Portable wireless equipment
JP4553441B2 (ja) * 2000-03-10 2010-09-2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携帯通信端末
US6549789B1 (en) * 2000-04-28 2003-04-15 Motorola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an adaptable user interface
JP4385490B2 (ja) * 2000-05-12 2009-12-16 ソニー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US6792293B1 (en) * 2000-09-13 2004-09-14 Motorola,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orienting an image on a display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6912005B2 (en) * 2001-03-19 2005-06-2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Electronic camera recording/playback apparatus for shooting pictures and editing shot dat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380057C (en) 2012-07-31
US20020142810A1 (en) 2002-10-03
CN1379609A (zh) 2002-11-13
US7173665B2 (en) 2007-02-06
KR100478108B1 (ko) 2005-03-24
US7705903B2 (en) 2010-04-27
CN1224283C (zh) 2005-10-19
CA2380057A1 (en) 2002-09-30
US20070103576A1 (en) 2007-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8108B1 (ko) 폴더형 통신단말장치 및 표시제어방법
US7345696B2 (en) Collapsible cellular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having photographing control function and photographing control method in the terminal
US7499074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enhanced image communication capability
JP2002290793A (ja) 撮像装置付携帯電話器
JP4371016B2 (ja) 電子機器
JP2004032442A (ja) 携帯端末及びその報知方法
TWI257800B (en) Electronic device having image capture and radio communication functions, operation control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omprising operation control program
JP3778807B2 (ja) 折畳式通信端末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CN100512333C (zh) 具有图像拍摄功能的便携式移动通信终端
JP2001320454A (ja) カメラ付き携帯電話機
JP2004274777A (ja) 携帯可能な多機能電子機器
JP3574084B2 (ja) 折畳式通信端末装置および撮影制御方法
JP2005295228A (ja) 携帯型電子機器
KR100497466B1 (ko) 듀얼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폰
JP2004153407A (ja) カメラ付き携帯機器
KR100652629B1 (ko) 휴대 단말기용 카메라장치
JP2005333384A (ja) 携帯型電子機器
JP2005217525A (ja) 通信端末装置
JP2001186383A (ja) カメラ付き携帯情報端末装置
JP2004032598A (ja) カメラ付携帯機器
JP2004159352A (ja) 開閉式通信端末装置及び撮影画像表示方法
JP2008104220A (ja) 携帯端末及びその報知方法
KR20070071876A (ko)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접사촬영 제공 방법
JP2007236002A (ja) 携帯機器
KR20040029573A (ko) 무선 광통신을 위한 디지털 카메라 및 그를 사용한사진전송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