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8689B1 - 표시모듈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표시모듈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8689B1
KR102368689B1 KR1020150039187A KR20150039187A KR102368689B1 KR 102368689 B1 KR102368689 B1 KR 102368689B1 KR 1020150039187 A KR1020150039187 A KR 1020150039187A KR 20150039187 A KR20150039187 A KR 20150039187A KR 102368689 B1 KR102368689 B1 KR 102368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ding
display module
display
lin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9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3485A (ko
Inventor
정성곤
유희수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39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8689B1/ko
Priority to US14/959,530 priority patent/US10054987B2/en
Publication of KR20160113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3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8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8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9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locking or maintaining the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in a fixed position, e.g. latching mechanism at the edge of the display in a laptop or for the screen protective cover of a PD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01L27/32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Abstract

표시모듈은 표시 영역에 복수의 밴딩 가이드 라인들을 표시하고, 밴딩 라인을 따라 밴딩되는 표시부, 및 밴딩 라인을 따라 표시부를 밴딩시키는 밴딩부를 포함하고, 밴딩 라인은 상기 복수의 밴딩 가이드 라인들 중 외부 입력에 따라 선택된 하나의 밴딩 가이드 라인이고, 표시부는 밴딩될 때 복수의 밴딩 가이드 라인들 중 밴딩 라인을 제외한 나머지 밴딩 가이드 라인들은 표시하지 않는다.

Description

표시모듈 및 그 제어방법{DISPLAY MODU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모듈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밴딩되는 표시모듈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표시모듈은 표시화면에 다양한 이미지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표시모듈은 할당된 화면 내에서 정보를 표시한다. 최근 휘어지는 플렉서블 표시모듈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플렉서블 표시모듈은 평판 표시모듈과 달리, 종이처럼 접거나 말거나 휠 수 있다. 형상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는 플렉서블 표시모듈은 기존의 화면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휴대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영역의 밴딩 라인을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밴딩 라인을 따라 밴딩되는 표시모듈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모듈은 표시 영역에 복수의 밴딩 가이드 라인들을 표시하고, 밴딩 라인을 따라 밴딩되는 표시부 및 상기 밴딩 라인을 따라 상기 표시부를 밴딩시키는 밴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밴딩 라인은 상기 복수의 밴딩 가이드 라인들 중 외부 입력에 따라 선택된 하나의 밴딩 가이드 라인이고, 표시부는 밴딩될 때 복수의 밴딩 가이드 라인들 중 밴딩 라인을 제외한 나머지 밴딩 가이드 라인들은 표시하지 않는다.
상기 외부 입력은 상기 표시부에 제공되는 터치 입력일 수 있다.
상기 터치 입력은 상기 밴딩 라인이 될 밴딩 가이드 라인의 일 지점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입력은 상기 선택된 하나의 밴딩 가이드 라인의 적어도 두 지점을 연속적으로 터치하는 동작일 수 있다.
상기 터치 입력은 상기 적어도 두 지점을 연결하는 라인을 따라 연속적으로 제공되는 드래그(drag) 동작일 수 있다.
상기 두 지점은 제1 지점 및 제2 지점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 입력의 방향이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 지점을 향하는 방향일 때 상기 표시부의 밴딩 방향은, 상기 터치 입력의 방향이 상기 제2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1 지점을 향하는 방향일 때 상기 표시부의 밴딩 방향과 반대일 수 있다.
삭제
상기 복수의 밴딩 가이드 라인들은 서로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적어도 두 개의 밴딩 가이드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밴딩부는 전기 응답 매체(electro active material)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모듈은 상기 표시부 및 상기 밴딩부를 수용하고, 상기 표시영역을 노출시키는 수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밴딩부는, 상기 표시부를 수용하고, 상기 복수의 밴딩 가이드 라인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밴딩축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밴딩축들을 따라 밴딩되는 수납부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모듈은 표시 영역에 복수의 밴딩 가이드 라인들을 표시하고, 밴딩 라인을 따라 밴딩되는 표시부, 상기 밴딩 라인을 따라 상기 표시부를 밴딩시키는 밴딩부 및 외부 피사체의 위치를 탐색하는 탐색부를 포함하고, 상기 밴딩 라인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밴딩 가이드 라인들 중 외부 입력에 따라 선택된 하나의 밴딩 가이드 라인이고, 표시부는 외부 피사체의 위치에 대응하는 밴딩 각도로 밴딩될 수 있다.
상기 탐색부는 카메라 또는 적외선 탐지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모듈 제어방법은 표시영역에 정의되는 복수의 밴딩 가이드 라인들 중 어느 하나의 밴딩 가이드 라인을 밴딩 라인으로 선택하는 단계, 상기 밴딩 라인과 중첩하는 밴딩 영역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밴딩 라인을 따라 표시모듈을 밴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복수의 밴딩 가이드 라인들 중 밴딩 라인을 제외한 나머지 밴딩 가이드 라인들은 표시영역에 표시되지 않는다.
상기 어느 하나의 밴딩 가이드 라인을 밴딩 라인으로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밴딩 가이드 라인들 중 상기 어느 하나의 밴딩 가이드 라인을 터치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밴딩 가이드 라인을 터치하는 단계는 상기 어느 하나의 밴딩 가이드 라인을 따라 드래그(drag)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밴딩 영역을 활성화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모듈이 밴딩되는 밴딩 각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밴딩 각도 조절 단계는, 외부 피사체의 위치 정보를 탐지하기 위한 탐색부를 턴-온 시키는 단계, 상기 탐색부가 상기 외부 피사체의 위치 정보를 탐지하도록 상기 표시모듈을 밴딩시키는 단계, 및 상기 탐색부가 탐지한 상기 외부 피사체의 위치 정보가 소정의 값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표시모듈의 밴딩이 종료되어 상기 밴딩 각도가 설정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값은 상기 외부 피사체의 위치가 상기 표시영역 중 밴딩된 표시영역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설정된 값일 수 있다.
상기 밴딩 각도는 90도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표시모듈이 밴딩되는 밴딩 라인이 설정될 수 있다. 표시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밴딩 가이드 라인을 표시하고, 사용자는 이 중 하나의 밴딩 가이드 라인을 밴딩 라인으로 선택할 수 있다. 표시모듈은 선택된 밴딩 가이드 라인을 따라 밴딩된다. 따라서, 표시모듈의 조작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밴딩 영역이 달라질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표시모듈은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밴딩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위치에서도 최적화된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모듈을 도시한 제1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모듈을 도시한 제2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모듈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도 2에 도시된 표시모듈 제어방법에 따라 도시한 표시모듈의 도면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도 4에 도시된 표시모듈이 밴딩 모드일 때의 사시도들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모듈의 사시도들이다.
도 6a 및 도 6b는 표시모듈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밴딩되는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모듈을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모듈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모듈의 동작을 간략히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모듈을 도시한 제1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모듈을 도시한 제2 사시도이다. 제1 사시도는 평면 모드일 때의 표시모듈(DM)을 도시한 것이고, 제2 사시도는 밴딩 모드일 때의 표시모듈(DM)을 도시한 것이다.
표시모듈(DM)은 표시영역(DA) 및 비표시영역(NDA)으로 구분된다. 표시영역(DA)은 전기적 신호에 따라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이다. 사용자는 표시영역(DA)에 표시되는 영상을 통해 정보를 시인한다.
비표시영역(NDA)은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이다. 비표시영역(NDA)은 표시영역(DA)에 인접한다. 본 실시예에서 비표시영역(NDA)은 표시영역(DA)을 에워싸는 프레임 형상일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모듈(DM)은 평면 모드일 때, 적어도 하나의 밴딩 가이드 라인(BGL)을 표시한다. 밴딩 가이드 라인(BGL)은 영상의 일부로 표시영역(DA)에 표시된다. 밴딩 가이드 라인(BGL)은 표시모듈(DM)의 밴딩축(BX)과 일치하는 밴딩 라인(BL)이 될 수 있는 후보 라인으로 정의될 수 있다.
사용자(user)는 표시영역(DA)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밴딩 가이드 라인(BGL) 중 어느 하나의 밴딩 가이드 라인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의 선택은 표시모듈(DM)에 입력 신호로 제공된다.
입력 신호는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신호는 사용자의 터치 신호일 수 있다. 사용자는 적어도 하나의 밴딩 가이드 라인(BGL) 중 어느 하나의 밴딩 가이드 라인에 접촉하여 입력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모듈은 전자 펜, 압력, 또는 표시모듈의 버튼(미도시) 조작을 통해 입력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모듈(DM)은 단순한 터치 입력을 통해 밴딩 라인을 선택함으로써 직관력이 향상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된 밴딩 가이드 라인 중 원하는 밴딩 가이드 라인을 일시적으로 터치하거나, 밴딩 가이드 라인을 따라 드래그하는 동작을 통해 표시모듈(DM)을 손쉽게 밴딩시킬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밴딩 가이드 라인(BGL) 중 선택된 하나의 밴딩 가이드 라인은 밴딩 라인(BL)으로 정의된다. 밴딩 라인(BL)은 표시영역(DA)에 표시되거나, 표시되지 않을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모듈(DM)은 밴딩 모드일 때, 일 방향을 따라 정의된 밴딩축(BX)을 중심으로 밴딩된다. 이때, 밴딩축(BX)은 밴딩 라인(BL)을 따라 정의될 수 있다. 표시모듈(DM)은 밴딩 라인(BL)을 중심으로 구부러지거나 접힐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모듈(DM)은 사용자가 선택한 밴딩 라인(BL)을 따라 밴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모듈(DM)은 밴딩되는 형상을 사용자 임의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이용할 수 있어 표시모듈(DM)의 활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모듈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도 2에 도시된 표시모듈 제어방법에 따라 도시한 표시모듈의 도면들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3d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표시모듈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한편,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모듈 제어방법은 밴딩 라인을 선택하는 단계(S100), 밴딩 영역을 활성화시키는 단계(S200), 및 밴딩 단계(S300)를 포함한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밴딩 라인을 선택하는 단계(S100)는 밴딩 모드 진입 여부를 결정하고, 밴딩 가이드 라인들을 제시한 후, 사용자가 밴딩 라인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모듈(DM)은 밴딩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영상을 표시한다. 표시영역(DA)에는 밴딩 모드로 진입할 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가이드 화면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가이드 화면을 통해 밴딩 모드로 진입할 것을 선택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밴딩 모드에 진입하면, 표시모듈(DM)은 밴딩 라인을 결정하기 위한 밴딩 가이드 라인을 표시영역(DA)에 표시한다. 도 3b에는 세 개의 밴딩 가이드 라인들(BGL1~BGL3)이 표시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한편, 밴딩 가이드 라인들(BGL1~BGL3) 각각은 밴딩 라인이 될 수 있는 후보 라인들이다. 따라서, 표시모듈(DM)은 밴딩 가이드 라인들(BGL1~BGL3) 각각에 대응되는 밴딩 라인들을 축으로 밴딩될 수 있다.
표시모듈(DM)은 밴딩 가이드 라인을 표시영역(DA)에 영상으로 표시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표시모듈(DM)이 가진 밴딩 가능한 영역 및 위치에 대한 정보를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고, 원하는 위치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이때, 표시모듈(DM)이 표시하는 영상에는 가이드 메시지(MSG)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메시지는 사용자가 밴딩 라인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는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c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모듈(DM)은 밴딩 라인을 선택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한다. 사용자는 밴딩 가이드 라인들(BGL1~BGL3) 중 하나의 밴딩 가이드 라인(BGL2)에 입력 신호를 제공하고, 표시모듈(DM)은 밴딩 가이드 라인들(BGL1~BGL3) 중 입력 신호가 수신된 밴딩 가이드 라인을 밴딩 라인(BL)으로 설정한다.
이때, 입력 신호는 드래그 터치 신호일 수 있다. 사용자는 하나의 밴딩 가이드 라인(BGL2)의 적어도 두 지점의 터치를 연결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터치는 하나의 밴딩 가이드 라인(BGL2)을 따라 연속적으로 진행되는 드래그 터치 신호가 되어 표시모듈(DM)에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이는 예시적으로 기재한 것이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모듈(DM)은 다양한 방식의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d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나의 밴딩 가이드 라인(BGL2)이 밴딩 라인(BL)으로 설정되면, 표시모듈(DM)은 밴딩 라인(BL)을 따라 밴딩될 수 있다. 표시모듈(DM)에 정의되는 밴딩축(BX)은 실질적으로 밴딩 라인(BL)과 일치할 수 있다.
이때, 표시영역(DA)은 복수의 영역(DA1, DA2)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복수의 영역(DA1, DA2)은 밴딩 라인(BL)에 의해 구분되는 제1 영역(DA1) 및 제2 영역(DA2)을 포함한다. 한편, 제1 영역(DA1)과 제2 영역(DA2)은 동시에 또는 이시에 동작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영역(DA1)은 제1 이미지(IM1)를 표시하고, 제2 영역(DA2)은 제2 이미지(IM2)를 표시한다. 제1 이미지(IM1)와 제2 이미지(IM2)는 서로 동일하거나, 연관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제1 이미지(IM1)와 제2 이미지(IM2)는 서로 독립적인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표시모듈(DM)은 사용자 편의에 따라 다양한 정보를 다양한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모듈(DM-1)의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도 4에 도시된 표시모듈(DM-1)이 밴딩 모드일 때의 사시도들이다. 도 4 내지 도 5c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모듈(DM-1)은 밴딩 모드일 때 다양한 형상으로 밴딩될 수 있다.
표시모듈(DM-1)은 표시부(100) 및 밴딩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00)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표시영역(DA)에 표시될 영상을 생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부(100)는 표시패널일 수 있다.
표시부(100)는 기판(미도시)과 기판 상에 배치된 신호 배선들(미도시) 및 상기 신호배선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화소들(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화소들은 상기 신호배선들로부터 수신한 신호들에 근거하여 이미지를 생성한다.
표시부(100)는 유연하고, 박형화가 용이한 플렉서블 표시패널이 선택될 수 있다. 표시부(100)는 유기발광표시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전기영동 표시패널(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또는 일렉트로웨팅 표시패널(electrowetting display panel)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는, 유연한 성질을 가진다면 액정 표시패널도 표시부(100)에 이용될 수 있다. 표시부(100)는 다양한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표시부(100)은 전체적으로 곡면을 이루도록 휘어지거나 말려질 수 있다.
한편, 표시부(100)는 터치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센서는 표시모듈(DM)에 제공되는 외부 터치를 감지하여 터치신호를 생성한다. 터치신호는 외부 터치가 제공된 지점의 정보 및 터치 제스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표시부(100)는 제조 공정 당시에 밴딩 가이드 라인들(BGL1, BGL2, BGL3)이 표시되는 영역에 밴딩축들이 각각 정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표시부(100)는 밴딩 가이드 라인들(BGL1, BGL2, BGL3)이 표시되는 영역을 고려하여 화소 설계가 이루어지거나, 표시부(100)를 이루는 층 구조 설계가 이루어질 수 있다.
밴딩부(200)는 표시부(100)를 밴딩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밴딩부(200)는 표시부(100)를 수용하는 수납부재일 수 있다. 밴딩부(200)는 표시부(100)를 밴딩 라인(BL)을 따라 밴딩시킨다. 밴딩부(200)는 복수의 바디블록(200-B1~200-B4)과 복수의 연결블록(200-C1~200-C3)을 포함한다.
복수의 바디블록(200-B1~200-B4)은 표시부(100)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미도시)을 정의하고, 표시부(100)의 전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복수의 바디블록(200-B1~200-B4)은 표시부(100)가 밴딩되도록 표시부(100)에 힘을 가하거나, 표시부(100)의 형상을 유지시킨다.
복수의 연결블록(200-C1~200-C3) 각각은 복수의 바디블록(200-B1~200-B4) 중 인접한 바디블록들을 연결한다. 복수의 연결블록(200-C1~200-C3)은 복수의 바디블록(200-B1~200-B4)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된 상태로 마주하는 한 쌍의 블록들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는 예시적으로 기재한 것이고, 복수의 연결블록(200-C1~200-C3) 각각은 일체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복수의 연결블록(200-C1~200-C3)은 각각 표시부(100)에 정의되는 밴딩축들과 중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연결블록(200-C1~200-C3)은 각각 복수의 밴딩 가이드 라인(BGL1, BGL2, BGL3)이 연장된 라인들에 중첩할 수 있다.
복수의 연결블록(200-C1~200-C3)은 힌지(hinge)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바디블록(200-B1~200-B4)은 복수의 연결블록(200-C1~200-C3)에 의해 복수의 연결블록(200-C1~200-C3)을 중심으로 용이하게 회전이동할 수 있다. 복수의 바디블록(200-B1~200-B4)은 회전 이동을 통해 표시부(100)를 밴딩시킨다.
도 5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의 밴딩 가이드 라인(BGL1, BGL2, BGL3) 중 제1 밴딩 가이드 라인(BGL1)이 밴딩 라인(BL)으로 선택되면, 제1 바디블록(200-B1)이 제1 연결블록(200-C1)을 중심으로 회전이동한다. 이에 따라, 표시부(100)는 밴딩 라인(BL)을 따라 밴딩된다.
이때, 표시모듈(DM-1)의 표시영역(DA)은 제1 바디블록(200-B1)에 중첩하는 제1 영역(DA1)과 제2 바디블록(200-B2), 제3 바디블록(200-B3), 및 제4 바디블록(200-B4)에 중첩하는 제2 영역(DA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영역(DA1)은 제2 영역(DA2)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을 가진다.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의 밴딩 가이드 라인(BGL1, BGL2, BGL3) 중 제2 밴딩 가이드 라인(BGL2)이 밴딩 라인(BL)으로 선택되면, 제1 바디블록(200-B1)과 제2 바디블록(200B2)이 제2 연결블록(200-C2)을 중심으로 회전이동한다. 이에 따라, 표시부(100)는 밴딩 라인(BL)을 따라 밴딩된다.
표시모듈(DM-1)은 선택된 밴딩 라인(BL)을 기준으로 밴딩되므로, 제1 연결블록(200-C1)은 제1 바디블록(200-B1)과 제2 바디블록(200-B2)을 고정한다. 이에 따라, 제2 바디블록(200-B2)과 제1 바디블록(200-B1)은 일체의 구성처럼 동작할 수 있다.
표시모듈(DM-1)의 표시영역(DA)은 제1 바디블록(200-B1)과 제2 바디블록(200-B2)에 중첩하는 제1 영역(DA1) 및 제3 바디블록(200-B3)과 제4 바디블록(200-B4)에 중첩하는 제2 영역(DA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제1 영역(DA1)과 제2 영역(DA2)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면적일 수 있다.
도 5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의 밴딩 가이드 라인(BGL1, BGL2, BGL3) 중 제3 밴딩 가이드 라인(BGL3)이 밴딩 라인(미도시)으로 선택되면, 제3 바디블록(200-B3)이 제3 연결블록(200-C3)을 중심으로 회전이동한다. 이에 따라, 표시부(100)는 밴딩 라인(미도시)을 따라 밴딩된다.
이때, 표시모듈(DM-1)의 표시영역(DA)은 제1 내지 제3 바디블록들(200-B1, 200-B2, 200-B3)에 중첩하는 제1 영역(DA1)과 제4 바디블록(200-B4)에 중첩하는 제2 영역(미도시)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제4 바디블록(200-B4)은 도 5a의 제1 바디블록(200-B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표시모듈은 별도의 수납부재를 구비하고, 밴딩부(200) 표시부(100)의 배면에 배치되어 수납부재에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밴딩부(200)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표시부(100)를 밴딩시킬 수 있는 전기 응답 매체(electro active material)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표시부(100)는 밴딩부에 의해 밴딩되고, 수납부재는 표시부(100)의 동작에 따라 수동적으로 밴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모듈은 다양한 방식으로 표시부를 밴딩시킬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모듈의 사시도들이다. 도 6a 및 도 6b는 표시모듈(DM-2)의 밴딩 방향이 서로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하였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모듈(DM-2)은 표시부(DP) 및 밴딩부(BP)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DP)는 전면에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영역(DA)을 구비한다. 표시부(DP)는 플렉서블 표시패널일 수 있다.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표시부(100)에 대한 설명으로 대신한다.
밴딩부(BP)는 표시부(DP)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밴딩부(BP)는 밴딩부(DP)는 미도시된 제어부가 생성하는 변형 신호를 수신하여 표시부(DP)를 밴딩시킨다. 제어부는 터치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는 변형 신호를 생성한다. 이에 따라, 밴딩부(BP)는 터치 신호에 따라 표시부(DP)를 밴딩시킬 수 있다.
밴딩부(BP)는 다양한 방식으로 표시부(DP)를 밴딩시킨다. 예를 들어, 밴딩부(BP)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스스로 형상을 변형시켜 표시부(DP)를 밴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밴딩부(BP)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일 방향으로 몰리거나 수축되는 전기응답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표시부(DP)의 밴딩 정도 및 밴딩 방향은 밴딩부(BP)의 변형력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표시모듈(DM-2)은 밴딩부(BP)에 의해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모듈(DM-2)은 인 폴딩(in-folding)될 수 있다. 인 폴딩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밴딩부(BP)는 밴딩 라인(BL)이 정의된 영역과 중첩하는 영역에 인장력이 발생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부(DP)는 밴딩부(BP)의 인장력에 밀려 전면이 폴딩되는 인폴딩 모드로 밴딩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도 6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모듈(DM-2)은 아웃 폴딩(out-folding)될 수 있다. 아웃 폴딩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밴딩부(BP)는 밴딩 라인(BL)이 정의된 영역과 중첩하는 영역에 수축력이 발생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부(DP)는 밴딩부(BP)의 수축력에 의해 당겨저 배면이 폴딩되는 아웃 폴딩 모드로 밴딩될 수 있다.
인 폴딩 모드와 아웃 폴딩 모드 결정은 다양한 방식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 폴딩 모드와 아웃 폴딩 모드 진입 여부는 터치 입력의 방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터치 입력 방향, 예를 들어, 드래그 동작을 통해 밴딩 라인(BL)을 선택하는 경우, 일 방향으로 드래그 하는 동작은 표시모듈(DM-2)을 인 폴딩 모드로 진입시키는 외부 터치 입력일 수 있다. 또한, 인 폴딩 모드로 진입하는 드래그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동작은 표시모듈(DM-2)을 아웃 폴딩 모드로 진입시키는 외부 터치 입력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모듈(DM-2)에 있어서, 사용자는 드래그 방향에 따라 표시모듈(DM-2)의 밴딩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직관적인 입력 방식에 따라 표시모듈(DM-2)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어, 표시모듈(DM-2)의 활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6a 및 도 6b에는 밴딩 라인(BL)이 표시부(DP)의 중앙에 정의된 실시예를 도시하였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밴딩 라인(BL)은 표시부(DP)의 다양한 영역에 정의될 수 있고, 밴딩부(BP)는 밴딩 라인(BL)이 정의된 위치에 관계없이 표시부(DP)를 밴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표시모듈(DM-2)은 밴딩 라인(BL)의 위치에 관계없이 사용자가 정의한 밴딩 라인(BL)에 따라 표시부(DP)를 밴딩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적 신호에 따라 표시부(DP)를 밴딩시킬 수 있는 밴딩부(BP)를 더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스스로 밴딩시키지 않아도 자동 밴딩가능한 표시모듈(DM-2)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모듈을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도 7a는 표시모듈(DM-3)이 평면 모드인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7b는 표시모듈(DM-3)이 밴딩 모드인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한편, 도 1 내지 도 6b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7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모듈(DM-3)은 탐색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탐색부(300)는 수납부재(200)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탐색부(300)는 표시부(100)에 배치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탐색부(300)는 피사체의 위치를 탐색하여 위치 신호를 제어부(미도시)에 제공한다. 위치 신호는 피사체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피사체의 위치 정보는 다양한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피사체의 위치 정보는 사용자의 시야 정보를 포함한다.
탐색부(300)는 사용자의 시야 정보, 예를 들어, 사용자의 눈동자 위치를 트래킹(tracking)할 수 있는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탐색부(300)는 카메라 또는 적외선 탐지기일 수 있다. 탐색부(300)는 사용자의 시야 위치를 탐색하여 사용자 시야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신호를 제어부(미도시)에 제공한다.
표시모듈(DM-3)은 하나의 밴딩 가이드 라인(BGL)을 밴딩 라인(BL)으로 선택하여 터치 신호를 표시모듈(DM-3)에 제공한다. 표시모듈(DM-3)은 밴딩 라인(BL)을 중심으로 밴딩된다. 이때, 표시모듈(DM-3)은 소정의 밴딩 각도(AG)로 밴딩될 수 있다.
밴딩 각도(AG)는 피사체의 위치 정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제어부는 탐색부(300)로부터 위치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반영한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여 표시부(100)의 밴딩 정도를 제어한다.
표시모듈(DM-3)은 사용자의 시야 정보에 대응하여 밴딩될 수 있다. 표시모듈(DM-3)은 탐색부(300)를 통해 사용자의 시야 위치를 탐색하고, 사용자 시야에 표시영역(DA)이 위치하도록 밴딩 각도(AG)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모듈(DM-3)은 사용자에게 적합한 시야각을 갖도록 밴딩될 수 있다.
이때, 밴딩 각도(AG)는 90도 이하일 수 있다. 밴딩 각도(AG)가 90도 이상인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기보다는 완전히 폴딩(folding)되어 보관에 용이하거나, 표시영역(DA)을 축소시키고자 할 때 용이하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모듈(DM-3)이 사용자의 시야 정보를 탐색하는 경우, 밴딩 각도(AG)를 90도 이하의 범위에서 제어하여 사용자 위치에 적합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모듈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모듈의 동작을 간략히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이하, 도 9 내지 도 9b를 참조하여, 표시모듈(DM-3)의 밴딩 각도(AG)를 조절하는 제어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모듈 제어방법은 밴딩 모드 진행 여부를 선택하는 단계(S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표시모듈(DM-3)은 표시영역(DA)에 밴딩 모드 진행 여부를 묻는 가이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밴딩 모드가 선택되면, 표시모듈(DM-3)은 구체적인 밴딩 동작을 설정하기 위한 추가적인 단계를 진행한다. 밴딩 모드가 선택되지 않으면, 표시부가 동작(S500)하게 되어 표시영역(DA)에 영상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선택에 따라 표시모듈(DM-3)을 밴딩시키거나, 평면상태에서 동작시킬 수 있다.
도 2를 참조할 때, 밴딩 단계(S300: 도 2 참조)는 복수의 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모듈(DM-3)은 밴딩 영역이 활성화된 후, 자동 모드 여부 결정 단계(S31)로 진행될 수 있다.
자동 모드로 선택되면, 표시모듈(DM-3)은 자동으로 밴딩 각도를 조절하는 단계(S32A)로 진행된다. 이때, 탐색부(300)는 사용자의 시야 위치를 탐색하기 위해 턴-온 된다.
제어부(미도시)는 탐색부(300)가 사용자의 시야 위치를 탐색할 수 있도록 표시부(100)를 밴딩시키는 밴딩 신호를 밴딩부(미도시)에 제공한다. 예를 들어, 탐색부(300)에 사용자의 시야 위치가 탐색되면, 탐색부(300)는 사용자 시야 정보를 제어부에 제공한다. 제어부는 이에 대응하여 밴딩 신호 전송을 중지하거나, 상대적으로 낮은 속도로 밴딩되도록 하는 밴딩 신호를 전송한다.
사용자의 시야 위치가 미리 입력된 소정의 값과 일치하는 경우 밴딩 동작은 멈추게 되고, 이때 밴딩 각도(AG)가 설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미리 입력된 소정의 값은 사용자의 시야 위치가 표시영역 중 밴딩되는 부분인 제1 영역(DA1: 도 7b 참조)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설정된 값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9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의 시야 위치가 비교적 높은 위치로 탐색되면, 표시모듈(DM-3)의 밴딩 각도(AG1)는 비교적 낮은 각도를 가질 수 있다. 또는, 도 9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의 시야 위치가 비교적 낮은 위치로 탐색되면, 표시모듈(DM-3)의 밴딩 각도(AG2)는 비교적 높은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의 시야 위치가 높을 때의 표시모듈(DM-3)의 밴딩 각도(AG1)는 사용자의 시야 위치가 낮을 때의 표시모듈(DM-3)의 밴딩 각도(AG2)보다 낮다. 밴딩 각도가 설정된 후, 표시부가 동작(S500)되어 표시모듈(DM-3)은 영상을 표시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시야 위치에 관계없이 다양한 위치에 적합한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모듈(DM-3)은 자동으로 사용자의 시야 정보에 대응되는 밴딩 각도(AG)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표시모듈(DM-3)은 사용자 선택에 따라 수동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자동 모드 여부 결정 단계(S31)를 진입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는 수동 조절 단계(S32B)를 통해 원하는 밴딩 각도로 임의로 표시모듈(DM-3)을 밴딩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DM: 표시모듈 DA: 표시 영역
BGL: 밴딩 가이드 라인 BL: 밴딩 라인
100: 표시부 200: 수납부재
300: 탐색부 DP: 표시부
BP: 밴딩부 AG: 밴딩 각도

Claims (20)

  1.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이 정의되고, 상기 표시 영역에 복수의 밴딩 가이드 라인들을 표시하고, 밴딩 라인을 따라 밴딩되는 표시부; 및
    상기 밴딩 라인을 따라 상기 표시부를 밴딩시키는 밴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밴딩 라인은 상기 복수의 밴딩 가이드 라인들 중 외부 입력에 따라 선택된 하나의 밴딩 가이드 라인이고,
    상기 표시부는, 밴딩될 때 상기 복수의 밴딩 가이드 라인들 중 상기 밴딩 라인을 제외한 나머지 밴딩 가이드 라인들은 표시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모듈.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입력은 상기 표시부에 제공되는 터치 입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모듈.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은 상기 밴딩 라인이 될 밴딩 가이드 라인의 일 지점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모듈.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은 상기 선택된 하나의 밴딩 가이드 라인의 적어도 두 지점을 연속적으로 터치하는 동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모듈.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은 상기 적어도 두 지점을 연결하는 라인을 따라 연속적으로 제공되는 드래그(drag) 동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모듈.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두 지점은 제1 지점 및 제2 지점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 입력의 방향이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 지점을 향하는 방향일 때 상기 표시부의 밴딩 방향은,
    상기 터치 입력의 방향이 상기 제2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1 지점을 향하는 방향일 때 상기 표시부의 밴딩 방향과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모듈.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밴딩 가이드 라인들은 서로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적어도 두 개의 밴딩 가이드 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모듈.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밴딩부는 전기 응답 매체(electro active material)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모듈.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 및 상기 밴딩부를 수용하고, 상기 표시 영역을 노출시키는 수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모듈.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밴딩부는,
    상기 표시부를 수용하고, 상기 복수의 밴딩 가이드 라인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밴딩축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밴딩축들을 따라 밴딩되는 수납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모듈.
  12.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이 정의되고, 상기 표시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밴딩 가이드 라인을 표시하고, 밴딩 라인을 따라 밴딩되는 표시부;
    상기 밴딩 라인을 따라 상기 표시부를 밴딩시키는 밴딩부; 및
    외부 피사체의 위치를 탐색하는 탐색부를 포함하고,
    상기 밴딩 라인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밴딩 가이드 라인 중 외부 입력에 따라 선택된 하나의 밴딩 가이드 라인이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외부 피사체의 위치에 대응하는 밴딩 각도로 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모듈.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탐색부는 카메라 또는 적외선 탐지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모듈.
  14. 표시영역에 정의되는 복수의 밴딩 가이드 라인들 중 어느 하나의 밴딩 가이드 라인을 밴딩 라인으로 선택하는 단계;
    상기 밴딩 라인과 중첩하는 밴딩 영역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밴딩 라인을 따라 표시모듈을 밴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밴딩 가이드 라인들 중 상기 밴딩 라인을 제외한 나머지 밴딩 가이드 라인들은 상기 표시영역에 표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모듈 제어방법.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밴딩 가이드 라인을 밴딩 라인으로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밴딩 가이드 라인들 중 상기 어느 하나의 밴딩 가이드 라인을 터치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모듈 제어방법.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밴딩 가이드 라인을 터치하는 단계는 상기 어느 하나의 밴딩 가이드 라인을 따라 드래그(drag)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모듈 제어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밴딩 영역을 활성화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모듈이 밴딩되는 밴딩 각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모듈 제어방법.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밴딩 각도 조절 단계는,
    외부 피사체의 위치 정보를 탐지하기 위한 탐색부를 턴-온 시키는 단계;
    상기 탐색부가 상기 외부 피사체의 위치 정보를 탐지하도록 상기 표시모듈을 밴딩시키는 단계; 및
    상기 탐색부가 탐지한 상기 외부 피사체의 위치 정보가 소정의 값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표시모듈의 밴딩이 종료되어 상기 밴딩 각도가 설정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모듈 제어방법.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값은 상기 외부 피사체의 위치가 상기 표시영역 중 밴딩된 표시영역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설정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모듈 제어방법.
  20.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밴딩 각도는 90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모듈 제어방법.
KR1020150039187A 2015-03-20 2015-03-20 표시모듈 및 그 제어방법 KR102368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9187A KR102368689B1 (ko) 2015-03-20 2015-03-20 표시모듈 및 그 제어방법
US14/959,530 US10054987B2 (en) 2015-03-20 2015-12-04 Display modul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9187A KR102368689B1 (ko) 2015-03-20 2015-03-20 표시모듈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3485A KR20160113485A (ko) 2016-09-29
KR102368689B1 true KR102368689B1 (ko) 2022-03-02

Family

ID=56925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9187A KR102368689B1 (ko) 2015-03-20 2015-03-20 표시모듈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054987B2 (ko)
KR (1) KR1023686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38435B2 (en) 2020-03-19 2023-12-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multi-window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56320B2 (en) * 2015-10-15 2017-09-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layer display of content on a flexible display
CN106873717B (zh) * 2017-02-06 2019-11-26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柔性显示模组及具有该柔性显示模组的电子装置
US10396272B2 (en) * 2017-05-04 2019-08-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splay distortion for alignment with a user gaze direction
WO2018216923A1 (en) * 2017-05-23 2018-1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 flexible computing-device
CN108227832B (zh) * 2017-11-29 2021-05-28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终端控制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4442829A (zh) * 2020-10-30 2022-05-06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触控面板及其触控面板操作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98691A1 (en) * 2010-06-02 2011-12-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lexible Display Security CAPTCHA Bends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73665B2 (en) 2001-03-30 2007-02-06 Sanyo Electric Co., Ltd. Fol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3791804B2 (ja) 2003-02-28 2006-06-28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表示装置、携帯端末及び折り畳み型携帯端末
US7509588B2 (en) * 2005-12-30 2009-03-24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interface reconfiguration mode
US9954996B2 (en) * 2007-06-28 2018-04-24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conversation management for incoming instant messages
US20100011291A1 (en) * 2008-07-10 2010-01-14 Nokia Corporation User interface, device and method for a physically flexible device
KR101063882B1 (ko) 2009-03-13 2011-09-15 한국과학기술원 폴딩형 다기능 디스플레이 장치
KR20120101359A (ko) 2009-10-29 2012-09-13 하이웨이브 테크놀러지스 (유케이) 리미티드 터치 위치를 검출하고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굽힘파 진동 센서들을 이용하는 터치 감지 디바이스
US20120075166A1 (en) * 2010-09-29 2012-03-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ctuated adaptive display systems
US20120078647A1 (en) * 2010-09-29 2012-03-29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ed perinatal workflow
KR101664418B1 (ko) 2010-11-25 2016-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30113784A (ko) * 2012-04-06 2013-10-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92252B1 (ko) * 2012-04-08 2017-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1943435B1 (ko) 2012-04-08 2019-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30143160A (ko) 2012-06-20 2013-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스크롤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978206B1 (ko) 2012-06-29 2019-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1916416B1 (ko) 2012-07-30 2018-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28175B1 (ko) * 2012-07-30 2019-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를 제공하는 플렉서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291948B1 (ko) 2012-09-28 2013-07-31 김충연 버스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동 접이식 거치대
KR101267355B1 (ko) 2012-10-12 2013-05-27 김충연 디스플레이 장치의 자동 접이식 거치대
US9547366B2 (en) * 2013-03-14 2017-01-17 Immersio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haptic and gesture-driven paper simulation
KR101333928B1 (ko) 2013-05-23 2013-11-27 김충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접이식 거치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98691A1 (en) * 2010-06-02 2011-12-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lexible Display Security CAPTCHA Bend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38435B2 (en) 2020-03-19 2023-12-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multi-window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3485A (ko) 2016-09-29
US10054987B2 (en) 2018-08-21
US20160274676A1 (en) 2016-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8689B1 (ko) 표시모듈 및 그 제어방법
US10645205B2 (en) Fold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TWI795583B (zh) 具有可移除鍵盤的多外型規格的資訊處理系統
EP2980674B1 (en) Flexible device and interfacing method thereof
KR102358110B1 (ko) 표시 장치
US9891670B2 (en) Foldable display
JP6082695B2 (ja) 動きおよび音声コマンドを用いたホストアプリケーションの高度な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
EP3726362A1 (en) Fold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by using gesture
ES2761198T3 (es) Sistema de interacción con la mirada
US20190012000A1 (en) Deformable Electronic Device with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ling the Deformed User Interface
US9891442B2 (en) Variable curvature display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US20140198036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portable apparatus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and the portable apparatus
CN104238923A (zh) 一种显示设备及其工作方法
US20140247252A1 (en)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same
US9383776B2 (en) Display device
KR2016004613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AU2015297281A1 (en) Flexible device and interfacing method thereof
KR20190088114A (ko) 주차 원격 제어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26576B1 (ko) 화면분할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KR20150076889A (ko) 표시장치
KR20150140971A (ko) 벤딩 오퍼레이션을 실행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139263A (ko) 동작 명령 안내 기능을 가지는 가요성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US10114501B2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ing a touch input and a hovering input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40094958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실행 방법 및 그 장치
KR20190077272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