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6889A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6889A
KR20150076889A KR1020130165571A KR20130165571A KR20150076889A KR 20150076889 A KR20150076889 A KR 20150076889A KR 1020130165571 A KR1020130165571 A KR 1020130165571A KR 20130165571 A KR20130165571 A KR 20130165571A KR 20150076889 A KR20150076889 A KR 201500768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on mode
display unit
image
shap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5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선미
김무겸
이현재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5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76889A/ko
Priority to US14/481,872 priority patent/US20150185781A1/en
Publication of KR20150076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68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8Arrangements within a display terminal for setting, manually or automatically, display parameters of the display termin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02Flexible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제1 동작 모드 및 제2 동작 모드 중 형상에 따라 선택된 동작 모드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제1 동작 모드로 선택된 표시부는 일부 영역에서 이미지를 표시하고, 제2 동작 모드로 선택된 표시부는 일부 영역 및 일부 영역에 인접한 다른 영역에서 이미지를 표시한다.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변형되는 형상에 따라 다양한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장치는 표시화면에 다양한 이미지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표시장치는 할당된 화면 내에서 정보를 표시한다. 최근 휘어지는 플렉서블 표시패널을 구비한 플렉서블 표시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평판 디스플레이와 달리, 종이처럼 접거나 말거나 휠 수 있다. 형상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기존의 화면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휴대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형상이 변형될 수 있고, 그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제1 동작 모드 및 제2 동작 모드 중 형상에 따라 선택된 동작 모드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동작 모드로 선택된 상기 표시부는 일부 영역에서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제2 동작 모드로 선택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일부 영역 및 상기 일부 영역에 인접한 다른 영역에서 이미지를 표시한다.
상기 표시부는 밴딩된 형상을 가질 때 상기 제1 동작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표시부는 펼쳐진 형상을 가질 때 상기 제2 동작 모드로 동작한다.
상기 표시부는, 메인 영역 및 상기 메인 영역에 인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동작 모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영역이 상기 메인 영역으로부터 휘어져 밴딩될 때 선택된다.
상기 표시부가 상기 제1 동작 모드로 동작할 때, 상기 메인 영역은 활성화되어 제1 정보를 제공하는 제1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서브 영역은 비활성화되어 이미지를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표시부가 상기 제2 동작 모드로 동작할 때, 상기 메인 영역 및 상기 서브 영역은 활성화되어 제2 정보를 제공하는 제2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미지와 상기 제2 이미지는 서로 독립적인 정보일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플렉서블 표시패널, 및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상측에 배치되고, 외부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상기 표시부의 하측에 배치되고, 입력된 형상 변형 신호에 따라 상기 표시부의 형상을 변형시키는 형상 변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형상 변형부는 동작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수축하는 전기 활성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형상 변형부는, 상기 메인 영역에 중첩하는 제1 부분, 및 상기 서브 영역에 중첩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형상 변형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동작 전압이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에 인가될 때, 상기 제2 부분이 상기 제1 부분보다 더 수축되어 상기 표시부의 형상이 밴딩되도록, 상기 제2 부분의 상기 전기 활성 고분자 물질의 농도는 상기 제1 부분의 상기 전기 활성 고분자 물질의 농도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상기 표시부의 형상을 변형시키기 위한 사용자 조작 정보를 감지하는 동작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작 감지 센서는 상기 감지된 조작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형상 변형 신호를 상기 형상 변형부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동작 감지 센서는 상기 표시부의 하측에 배치된 터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센서는 소정의 시간 동안 터치가 유지되면 상기 형상 변형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동작 감지 센서는 중력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중력 센서는 소정의 시간 동안 일 방향으로 상기 표시장치의 회전이 유지되면 상기 형상 변형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동작 감지 센서는 스트레인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레인 센서는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표시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제공되는 응력이 유지되면 상기 형상 변형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주변부는 일측이 상기 표시부의 상기 일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표시부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주변부 및 상기 표시부가 폐곡선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제1 동작 모드와 제2 동작 모드 중 형상의 변형에 따라 선택된 동작 모드에 대응하는 이미지들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동작 모드에서 표시되는 제1 이미지와 상기 제2 동작 모드에서 표시되는 제2 이미지는 서로 독립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밴딩된 형상을 가질 때 상기 제1 동작 모드로 동작하고, 펼쳐진 형상을 가질 때 상기 제2 동작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메인 영역 및 상기 메인 영역에 인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주변부는 상기 메인 영역 및 상기 서브 영역이 연결된 방향을 따라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상기 표시부가 상기 제1 동작 모드로 동작할 때, 상기 메인 영역에는 상기 제1 이미지가 표시되고, 상기 서브 영역에는 상기 제1 정보와 다른 제2 정보를 제공하는 제3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상기 표시부가 상기 제2 동작 모드로 동작할 때,
상기 제2 이미지는 하나의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메인 영역은 상기 제2 이미지의 일 부분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서브 영역은 상기 제2 이미지의 다른 부분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표시장치는 사용자의 동작으로부터 상기 표시장치의 동작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상기 표시장치의 형상이 변형되고, 상기 표시장치는 변형된 형상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장치의 조작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1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1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2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용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형상에 따른 표시형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형상에 따른 표시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동방식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의 단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동작 모드 변형 단계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S)의 제1 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S-1)의 제1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S)의 제2 사시도이다. 상기 제1 사시도들은 각각 밴딩된 형상의 표시장치들(DS, DS-1)를 도시한 것이고, 상기 제2 사시도는 일부분이 펼쳐진 형상의 표시장치(DS)를 도시한 것이다.
도 1a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DS)는 표시부(100) 및 주변부(BM)를 포함한다. 도 1b에 도시된 표시장치(DS-1)는 주변부(BM)의 형상을 제외하고, 도 1a에 도시된 표시장치(DS)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한편, 도 1a 내지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표시부(100) 및 상기 주변부(BM) 이외에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표시부(100)는 메인 영역(100-M), 및 적어도 하나의 서브 영역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부(100)는 복수 개의 서브 영역들(100-S1, 100-S2)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 개의 서브 영역들(100-S1, 100-S2)은 상기 메인 영역(100-M)의 일측 및 타측에 인접한다.
상기 표시장치(DS)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00)는 상기 표시장치(DS)의 형상에 따라 선택된 동작 모드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표시한다. 상기 표시장치(DS)의 형상은 상기 표시부(100)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표시부(100)의 형상은 상기 메인 영역(100-M)과 상기 서브 영역들(100-S1, 100-S2) 각각의 휘어진 정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메인 영역(100-M) 및 상기 서브 영역들(100-S1, 100-S2) 각각이 곡면을 가질 때, 상기 표시부(100)는 밴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 영역(100-M) 및 상기 서브 영역들(100-S1, 100-S2) 중 어느 하나는 플랫(flat)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메인 영역(100-M)은 평면을 가지고, 상기 서브 영역들(100-S1, 100-S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영역이 곡면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서브 영역들(100-S1, 100-S2)은 상기 메인 영역(100-M)으로부터 휘어진다.
또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메인 영역(100-M) 및 상기 서브 영역들(100-S1, 100-S2) 각각이 평면을 가질 때, 상기 표시부(100)는 펼쳐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브 영역들(100-S1, 100-S2)은 상기 메인 영역(100-M)으로부터 펼쳐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 개의 서브 영역들(100-S1, 100-S2) 각각은 상기 메인 영역(110-M)으로부터 펼쳐지거나 하측으로 휘어진다. 상기 서브 영역들(100-S1, 100-S2)은 상기 메인 영역(110-M)에 대하여 특정 각도로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각도로 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영역들(100-S1, 100-S2) 각각은 서로 다른 각도로 휠 수 있다.
예컨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부(100)의 적어도 일부가 밴딩된 형상을 가질 때, 상기 표시장치(DS)는 제1 동작 모드로 동작한다. 상기 제1 동작 모드일 때, 상기 표시부(100)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활성화된다. 상기 일부 영역은 상기 메인 영역(100-M)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제1 동작 모드일 때, 상기 이미지는 적어도 상기 메인 영역(100-M)에 표시될 수 있다.
또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표시부(100)가 펼쳐진 형상을 가질 때, 상기 표시장치(DS)는 제2 동작 모드로 동작한다. 상기 제2 동작 모드일 때, 상기 표시부(100)는 상기 일부 영역 외에도 상기 일부 영역에 인접하는 다른 영역이 추가로 활성화된다. 예컨대, 상기 표시부(100)는 상기 제2 동작 모드에서 상기 메인 영역(100-M) 및 적어도 하나의 서브 영역에 이미지를 표시한다.
상기 주변부(BM)는 상기 표시부(100)에 연결된다. 상기 주변부(BM)는 상기 메인 영역(100-M)과 상기 서브 영역들(100-S1, 100-S2)이 연결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표시부(100)에 연결된다.
도 1a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주변부(BM)는 복수 개의 부분들(BM1, BM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부분들(BM1, BM2) 각각은 상기 서브 영역들(100-S1, 100-S2) 각각에 연결된다. 이 때, 상기 표시부(100)는 상기 서브 영역들(100-S1, 100-S2)의 일부분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복수 개의 부분들(BM1, BM2)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부분들(BM1, BM2) 사이에 이격된 부분은 상기 표시장치(DS)의 형상이 변형됨에 따라 좁아지거나 넓어질 수 있다.
상기 주변부(BM)는 상기 표시부(100)의 형상에 따라 휘어지거나 펼쳐질 수 있다. 상기 주변부(BM)는 유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주변부(BM)는 상기 표시부(100)와 동일한 구성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1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주변부(BM)는 상기 표시부(100)보다 더 유연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주변부(BM)는 플라스틱, 고무, 또는 직물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도시되지 않은 연결부, 예컨대 힌지와 같은 구성들에 의해 상기 표시부(100)와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격된 부분에는 미도시된 체결부가 더 포함되어 상기 복수 개의 부분들(BM1, BM2)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부분들(BM1, BM2)은 상기 체결부에 연결되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사용자가 상기 주변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부위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는, 도 1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S-1)는 일체로 연결된 주변부(BM)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변부(BM)는 상기 표시부(100)와 하나의 폐곡선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표시장치(DS-1)는 상기 제1 동작 모드 또는 상기 제2 동작 모드에서 일체의 형상으로 밴딩되거나, 펼쳐질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S)의 사용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 중, 스마트 와치로 사용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였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DS)는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표시장치(DS)는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될 때, 상기 제1 동작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표시장치(DS)는 밴딩된 형상으로 사용자의 손목 등에 결착된다.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표시장치(DS)는 사용자의 손바닥에서 사용될 때, 상기 제2 동작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표시장치(DS)의 상기 표시부(100)는 펼쳐진 형상으로 사용자의 손바닥에 수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바닥에서 상기 표시장치(DS)를 사용하는 경우, 손목에 착용할 때보다 비교적 넓은 표시 화면 상에서 정보를 제공받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형상에 따른 표시형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의 왼쪽에는 상기 제1 동작 모드에서 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하였고, 도 4의 오른쪽에는 상기 제2 동작 모드에서 활성화되는 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상기 표시부(100)는 상기 표시장치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출력한다. 상기 표시부(100)는 상기 동작 모드들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들을 인가받아 다양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가 상기 동작 모드들에 따라 표시하는 이미지의 면적 변화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의 왼쪽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표시부(100)가 상기 제1 동작 모드로 동작할 때, 상기 표시부(100)는 일부 영역이 활성화되고 일부 영역이 비활성화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메인 영역(100-M)은 활성화되어 제1 정보를 제공하는 제1 이미지(IM1)를 표시한다. 상기 제1 정보는 사용자가 주로 인식하는 메인 정보일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제1 이미지(IM1)를 통해 주요 정보를 제공받는다.
상기 제1 동작 모드로 동작되는 상기 표시부(100)는 적어도 상기 메인 영역(100-M)에 이미지를 표시한다. 예컨대, 상기 메인 영역(100-M)에 표시된 이미지는 시간, 날씨 등과 같은 비교적 간단한 정보나, 하나의 완전한 정보에 대한 부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서브 영역들(100-S1, 100-S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활성화되어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도 4의 오른쪽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표시부(100)가 상기 제2 동작 모드로 동작할 때, 상기 메인 영역(100-M)외에 상기 서브 영역들(100-S1, 100-S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영역이 추가로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제2 동작 모드에서 활성화된 영역은 상기 제1 동작 모드에서 활성화된 영역보다 비교적 넓은 면적을 가진다.
상기 표시부(100)는 상기 제2 동작 모드로 동작할 때, 제2 정보를 제공하는 제2 이미지(IM2)를 표시한다. 예컨대, 상기 제2 동작 모드에서 표시되는 상기 제2 이미지(IM2)는 상기 표시부(100)의 전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2 이미지(IM2)는 상기 제1 이미지(IM1)로부터 독립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제2 이미지(IM2)는 사용자가 주로 인식하는 메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 이미지(IM2)는 상기 제1 이미지(IM1)에 비해 비교적 넓은 영역에 제공된다. 사용자는 상기 표시부(100)의 전 영역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제2 이미지(IM2)로부터 주요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동작 모드들은 제한 없이 자유롭게 변환될 수 있다. 상기 제1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2 동작 모드로 바뀔 수 있고, 상기 제2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1 동작 모드로 바뀔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DS)는 형상에 따라 다양한 동작 모드가 선택될 수 있고, 상기 선택된 모드에 따라 활성화되는 면적이 다른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형상에 따른 상기 표시부(100)의 사시도이다. 이하,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상기 동작 모드들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DS)에 표시되는 이미지들을 설명한다.
도 5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표시부(100)가 상기 제1 동작 모드로 동작할 때, 상기 메인 영역(100-M)만이 활성화되고, 상기 표시부(100)가 상기 제2 동작 모드로 동작할 때, 상기 메인 영역(100-M) 및 상기 복수 개의 서브 영역들(100-S1, 100-S2)이 활성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이미지(IM1)는 상기 메인 영역(100-M)에 표시되고, 상기 제2 이미지(IM2)는 상기 메인 영역(100-M), 및 상기 서브 영역들(100-S1, 100-S2)에 표시된다. 상기 제1 이미지(IM1)와 상기 제2 이미지(IM2)는 서로 독립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이미지(IM2)는 상기 제1 이미지(IM1)가 리사이징(resizing)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표시부(100)가 상기 제2 동작 모드로 동작할 때, 상기 제1 동작 모드에서 제공된 이미지보다 확대된 이미지가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제2 동작 모드에서 확대된 이미지를 통해 용이하게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는,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메인 영역(100-M) 및 적어도 하나의 서브 영역이 상기 제1 동작 모드에서 동시에 활성화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 영역(100-M)은 상기 제1 이미지(IM1)를 표시하고, 상기 서브 영역들(100-S1, 100-S2) 중 활성화된 서브 영역은 제3 이미지(IM3)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3 이미지(IM3)는 상기 제1 이미지(IM1)와 다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3 이미지(IM3)는 상기 표시장치(DS)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아이콘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미지(IM1)는 상기 메인 정보가 되고, 상기 제3 이미지(IM3)는 상기 서브 정보가 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제1 동작 모드에서, 상기 메인 영역(100-M)으로부터 주된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서브 영역들(100-S1, 100-S2)로부터 부가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표시부(100)는 상기 제2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1 동작 모드에서 표시된 이미지를 상기 제2 이미지(IM2)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형상 변형에 관계없이 인지하던 이미지를 그대로 인지할 수 있다.
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제1 이미지(IM1)는 상기 제2 이미지(IM2)의 부분 이미지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시부(100)는 상기 제2 동작 모드로 동작할 때, 상기 제1 동작 모드에서 제공된 이미지의 완성된 전체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 이미지(IM2)는 상기 제1 이미지(IM1)에서 인지될 수 없었던 부분 정보나, 스크롤링 등의 조작을 통해 인지해야 했던 정보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제1 동작 모드에 비해 상기 제2 동작 모드에서 완전한 정보로 제공받을 수 있다.
또는, 상기 표시부(100)는 상기 제2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1 동작 모드에서 표시된 이미지의 일부분만을 표시할 수도 있다. 도 5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2 이미지(IM2)는 상기 제1 동작 모드에서 표시된 상기 제1 이미지(IM1) 및 상기 제3 이미지(IM3) 중 상기 제1 이미지(IM1)가 제공하는 정보만을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 이미지(IM2)는 상기 일부 정보를 그대로 제공하거나, 리사이징되어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기재한 것이고, 상기 제2 이미지(IM2)는 상기 제1 이미지(IM1)와 동일하거나 다른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표시부(100)는 상기 동작 모드들에 따라 다양한 표시형태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다양한 활용성을 가진 표시장치(DS)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S)를 구동하기 위한 구성들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표시장치(DS)를 기능적인 측면에서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표시장치(DS)는 기능적으로 상기 표시부(100), 제어부(200), 변형부(300), 및 센서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부(100)는 표시패널(10) 및 터치패널(20)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패널(10)은 기판(미도시)과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신호 배선들(미도시) 및 상기 신호배선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화소들(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화소들은 상기 신호배선들로부터 수신한 신호들에 근거하여 이미지를 생성한다.
상기 표시패널(10)은 유연하고, 박형화가 용이한 플렉서블 표시패널이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10)은 유기발광표시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전기영동 표시패널(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또는 일렉트로웨팅 표시패널(electrowetting display panel)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10)은 전체적으로 곡면을 이루도록 휘어지거나 말려질 수 있다.
상기 터치패널(20)은 외부 터치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200)에 터치 신호를 제공한다. 상기 터치 신호는 사용자가 상기 표시패널(10)에 터치한 지점의 정보를 가진다.
상기 제어부(200)는 통상적으로 상기 표시장치(DS)를 구성하는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표시장치(DS)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표시장치의 형상 변형시키거나, 표시되는 이미지의 변형 및 처리하거나, 상기 표시패널(10) 및 상기 터치패널(20)을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시킨다.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표시부(100), 상기 변형부(300), 및 상기 센서부(40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표시장치(DS)에 포함된 구성들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거나, 구성들을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표시장치(DS)는 상기 제어부(200)와 각 구성들간의 상기 신호 전달을 통해 구동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센서부(400)로부터 입력되는 형상 변형 신호를 대응되는 동작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변형부(300)에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영상 신호를 상기 표시부(100)의 형상에 부합되는 영상 데이터들로 변환하여 상기 표시패널(10)에 출력한다.
상기 변형부(300)는 상기 표시부(100)의 형상을 변형시킨다. 상기 변형부(300)는 상기 제어부(200)로부터 상기 형상 변형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표시부(100)의 형상을 변형시킨다.
상기 변형부(300)는 전기응답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형부(300)는 상기 전기응답매체가 전류의 방향에 따라 어느 한 쪽으로 몰리거나 수축됨으로써 상기 표시부(100)의 형상을 변형시키기 위한 밴딩력이 발생한다.
상기 전기응답매체는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기응답매체는 전기 활성 폴리머(electroactive polymer, EAP), 전기 활성 세라믹(electroactive ceramic), 유전체액츄에이터(dielectric actuator), 또는 릴렉서페로일렉트릭폴리머(relaxor ferroelectric polyer)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 활성 폴리머는 이온 전기응답 폴리머일 수 있다.
상기 센서부(400)는 상기 표시장치(DS)의 형상이 변형되기 위한 외부 신호를 감지한다. 상기 센서부(400)는 상기 표시장치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표시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센서부(400)는 상기 표시장치(DS)가 처한 물리적 상황을 감지하고, 감지된 상황에 대응되는 신호를 상기 제어부(200)에 제공한다.
상기 센서부(400)는 미도시된 동작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작 감지 센서는 상기 표시부(100)의 형상을 변형시키기 위한 사용자 조작 정보를 감지한다.
상기 동작 감지 센서는 상기 감지된 상기 조작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형상 변형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형상 변형 신호는 상기 제어부(200)에 제공되어 상기 표시부(100)의 형상이 변형되고, 상기 표시부(100)는 상기 형상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제공한다.
상기 센서부(400)가 상기 표시장치(DS)의 형상을 변형시키기 위한 소정의 외부 동작을 감지하면, 상기 변형부(300)가 상기 표시장치(DS)의 형상을 변형시키고, 상기 표시부(100)는 동작 모드에 따른 이미지를 표시한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부(400)는 생략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의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터치패널(20)은 상기 표시패널(1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터치패널(20)은 상기 표시패널(10) 상에 패터닝된 터치 패드부로 제공되어 상기 표시패널(1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표시부(100) 상측에는 보호층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호층은 상기 표시부(100)의 상면을 보호한다. 상기 보호층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외부광의 반사율을 저하시키기 위한 반사방지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a 및 도 8b에는 상기 표시부(100)의 하측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하였다. 한편, 도 8a 및 도 8b에서는 상기 변형부(300)가 상기 전기 응답매체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변형부(300)는 복수 개의 부분들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부분들은 제1 부분(300-M) 및 상기 제1 부분(300-M)에 연결된 제2 부분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변형부(300)는 복수 개의 제2 부분들(300-S1, 300-S2)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 개의 부분들은 상기 표시부(100)의 영역들 각각에 대응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부분(300-M)은 상기 메인 영역(100-M)에 중첩할 수 있고, 상기 제2 부분들(300-S1, 300-S2)은 상기 서브 영역들(100-S1, 100-S2) 각각에 중첩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부분들(300-M, 300-S1, 300-S2)은 서로 다른 유연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부분들(300-M, 300-S1, 300-S2)의 유연성에 따라 상기 표시부(100)의 밴딩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 부분들(300-S1, 300-S2) 각각의 유연성은 상기 제1 부분(300-M)의 유연성보다 클 수 있다.
도 8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표시부(100)의 밴딩 정도는 특히 상기 서브 영역들(100-S1, 100-S2)의 밴딩 정도로부터 큰 영향을 받는다. 상기 표시부(100)는 상기 변형부(300)의 밴딩력에 의해 밴딩되거나 펼쳐진다. 따라서, 상기 서브 영역들(100-S1, 100-S2)에 대응되는 상기 제2 부분들(300-S1, 300-S2)의 밴딩력이 상기 제1 부분(300-M)의 밴딩력보다 비교적 클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기응답매체가 양이온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전기응답매체는 마이너스 극성이 인가된 부분으로 몰리면서 상기 마이너스 극성이 인가된 부분의 부피가 팽창하고, 플러스 극성이 인가된 부분은 수축하여 상기 변형부(300)가 밴딩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DS)는 상기 변형부(300)의 부분에 따라 상기 전기 활성 고분자 물질의 농도를 달리하여 상기 변형부(300)의 밴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전기 활성 고분자 물질의 농도 또는 분포가 클수록 수축력이 커지고, 벤딩력이 커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부분(300-M)에서의 상기 전기 활성 고분자 물질의 농도보다 상기 제2 부분들(300-S1, 300-S2)에서의 상기 전기 활성 고분자 물질의 농도가 더 클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부분들 내에서도 상기 전기 활성 고분자 물질의 농도는 불균일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 부분들(300-S1, 300-S2) 각각에서의 상기 전기 활성 고분자 물질의 농도는 상기 제1 부분(300-M)에 인접할수록 더 커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부분(300-M) 내에서도 상기 전기 활성 고분자 물질의 농도는 상기 제2 부분(300-S1, 300-S2)에 인접할수록 더 커질 수 있다.
도 8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기준 전압 이하의 전압이 상기 변형부(300)에 인가되면, 상기 변형부(300)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변한다. 이에 따라, 상기 변형부(300) 내에 포함된 상기 전기 활성 고분자 물질의 이동이 일어난다. 상기 제1 동작 모드에서 수축되었던 상기 제2 부분들(300-S1, 300-S2)은 이완되어 상기 표시부(100)가 펼쳐진 형상을 갖도록 한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동작 모드 변형 단계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9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표시장치(DS)는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여 상기 동작 모드들이 변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표시장치(DS)는 별도의 입력수단을 더 포함하고, 사용자는 상기 동작 모드들 중 선택하는 조작(S10)을 통해 상기 표시장치(DS)를 상기 제1 동작 모드(S21) 또는 상기 제2 동작 모드(S22)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표시장치(DS)의 동작 모드는 사용자가 직접 설정에 의해 변환되고, 상기 표시장치(DS)는 별도의 상기 동작 감지 센서를 포함하지 않는다. 상기 표시장치(DS)는 상기 선택에 따라 상기 표시부(100)의 형상이 변형되고, 상기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표시한다.
도 9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DS)는 상기 센서부(400: 도 6 참조)를 통해 상기 동작 모드들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동작 모드를 변형하는 단계는 동작 감지 센서 개시 단계(S100) 및 사용자 조작 정보 감지 단계(S200)를 포함한다.
상기 동작 감지 센서 개시 단계(S100)는 상기 표시장치(DS)에 포함된 상기 동작 감지 센서를 온(on)하는 단계이다. 상기 동작 감지 센서 개시 단계(S100)는 상기 표시장치(DS)에 포함된 동작 감지 센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동작 감지 센서 개시 단계(S100)는 터치 센서부 동작 단계(S100A)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동작 감지 센서는 터치 센서일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는 일정 시간동안 터치가 감지되는지 여부(S210A)를 통해 사용자의 상기 조작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는 사용자가 상기 표시장치를 일정 시간 동안 이동시키는 동작을 인지한다.
예컨대, 상기 표시장치(DS)가 스마트 와치로 활용될 때, 상기 터치는 사용자의 손목 또는 손바닥에 의한 드래그 동작일 수 있다. 손목에 위치하는 상기 표시장치를 손바닥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은 상기 제1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2 동작 모드로 변환하기 위한 조작 정보로 수신될 수 있다. 또한, 손바닥에서 사용하던 표시장치를 손목으로 미는 동작은 상기 제2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1 동작 모드로 변환하기 위한 조작 정보로 수신될 수 있다.
상기 조작 정보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표시부(100)는 이전 동작 모드와는 다른 동작 모드에 진입하는 것으로 보아 형상 및 표시되는 이미지를 변화시킨다. 따라서, 이전 모드가 상기 제1 동작 모드인 경우(STATE1) 상기 표시장치(DS)는 상기 제2 동작 모드(S230)로 변환되고, 이전 모드가 상기 제2 동작 모드인 경우(STATE2) 상기 표시장치(DS)는 상기 제1 동작 모드(S220)로 변환된다.
또는, 상기 동작 감지 센서는 중력을 감지하는 중력 센서일 수 있다. 상기 중력센서는 상기 표시부(100)에 부착되어 상기 표시부(100)가 회전하는지 여부(S210B)를 통해 사용자의 상기 조작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표시장치(DS)가 스마트 와치로 활용될 때, 상기 중력 센서는 사용자가 상기 표시장치를 돌리는 동작을 인지한다.
예컨대, 손목에 위치하는 상기 표시장치를 돌리거나 손목을 돌리는 동작은 상기 제1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2 동작 모드로 변환하기 위한 조작 정보로 수신될 수 있다. 또한, 손바닥에서 사용하던 표시장치를 돌리거나 손바닥을 돌리는 동작은 상기 제2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1 동작 모드로 변환하기 위한 조작 정보로 수신될 수 있다. 상기 중력 센서는 자이로 센서(gyro sensor)를 포함한다.
상기 조작 정보가 감지되는 경우, 상술한 제어부(10: 도 6 참조)는 상기 중력센서로부터 중력방향 및 상기 중력 방향에 대하여 상기 표시장치(DS)가 상대적으로 회전한 각도 정보를 제공받는다. 상기 조작 정보가 감지되면, 상기 표시장치(DS)는 이전 동작 모드와는 다른 동작 모드에 진입하는 것으로 보아 상기 표시부(100)의 형상 및 상기 표시부(100)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변화시킨다. 따라서, 이전 모드가 상기 제1 동작 모드인 경우(STATE1) 상기 표시장치(DS)는 상기 제2 동작 모드(S230)로 변환되고, 이전 모드가 상기 제2 동작 모드인 경우(STATE2) 상기 표시장치(DS)는 상기 제1 동작 모드(S220)로 변환된다.
또는, 상기 동작 감지 센서 개시 단계(S100)는 스트레인 센서(strain sensor) 동작 단계(S100C)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동작 감지 센서는 스트레인 센서일 수 있다. 상기 스트레인 센서는 상기 표시부(10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의 길이변화가 있는지 여부(S210C)를 통해 사용자의 상기 조작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스트레인 센서는 상기 표시부(100)의 일부가 접히거나 구부러짐으로 인한 소정의 변형을 감지한다.
상기 길이 변화는 상기 일부 영역에 제공되는 응력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스트레인 센서는 사용자가 상기 표시장치의 형상에 변형을 가하는 동작을 사용자의 조작 정보로 인지한다. 즉, 상기 표시장치의 외측에 힘을 가하여 상기 표시장치의 일부를 변형시키는 동작은 현재의 동작 모드와 다른 동작 모드로 변환하기 위한 조작 정보로 수신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동작 모드로 동작하던 경우(STATE1), 상기 표시장치(DS)는 상기 제2 동작 모드(S230)로 변환된다. 상기 표시장치(DS)가 상기 제2 동작 모드로 동작하던 경우(STATE2) 상기 조작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1 동작 모드(S220)로 전환된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또는, 상기 동작 감지 센서는 압력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상기 표시장치에 힘을 가하는지 여부를 상기 동작 모드 변환을 위한 조작 정보로 인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동작 감지 센서는 근접 센서를 이용하여, 근접 센서 주변의 정전용량 변화등을 상기 사용자 조작 정보로 인식할 수 있다. 상기 동작 감지 센서는 다양한 센서들이 활용될 수 있고,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0: 표시부 100-M: 메인 영역
100-S1, 100-S2: 서브 영역들 BM: 주변부
200: 제어부 300: 변형부
400: 센서부

Claims (20)

  1. 제1 동작 모드 및 제2 동작 모드 중 형상에 따라 선택된 동작 모드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동작 모드로 선택된 상기 표시부는 일부 영역에서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제2 동작 모드로 선택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일부 영역 및 상기 일부 영역에 인접한 다른 영역에서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밴딩된 형상을 가질 때 상기 제1 동작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표시부는 펼쳐진 형상을 가질 때 상기 제2 동작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메인 영역; 및
    상기 메인 영역에 인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동작 모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영역이 상기 메인 영역으로부터 휘어져 밴딩될 때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가 상기 제1 동작 모드로 동작할 때,
    상기 메인 영역은 활성화되어 제1 정보를 제공하는 제1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서브 영역은 비활성화되어 이미지를 표시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가 상기 제2 동작 모드로 동작할 때,
    상기 메인 영역 및 상기 서브 영역은 활성화되어 제2 정보를 제공하는 제2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미지와 상기 제2 이미지는 독립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플렉서블 표시패널; 및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상측에 배치되고, 외부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의 하측에 배치되고, 입력된 형상 변형 신호에 따라 상기 표시부의 형상을 변형시키는 형상 변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형상 변형부는 동작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수축하는 전기 활성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 변형부는,
    상기 메인 영역에 중첩하는 제1 부분; 및
    상기 서브 영역에 중첩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형상 변형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동작 전압이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에 인가될 때, 상기 제2 부분이 상기 제1 부분보다 더 수축되어 상기 표시부의 형상이 밴딩되도록,
    상기 제2 부분의 상기 전기 활성 고분자 물질의 농도는 상기 제1 부분의 상기 전기 활성 고분자 물질의 농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의 형상을 변형시키기 위한 사용자 조작 정보를 감지하는 동작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작 감지 센서는 상기 감지된 조작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형상 변형 신호를 상기 형상 변형부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감지 센서는 상기 표시부의 하측에 배치된 터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센서는 소정의 시간 동안 터치가 유지되면 상기 형상 변형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감지 센서는 중력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중력 센서는 소정의 시간 동안 일 방향으로 상기 표시장치의 회전이 유지되면 상기 형상 변형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3.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감지 센서는 스트레인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레인 센서는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표시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제공되는 응력이 유지되면 상기 형상 변형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변부는 상기 메인 영역 및 상기 서브 영역이 연결된 방향을 따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부는 일측이 상기 표시부의 상기 일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표시부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주변부 및 상기 표시부가 폐곡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6. 제1 동작 모드와 제2 동작 모드 중 형상의 변형에 따라 선택된 동작 모드에 대응하는 이미지들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동작 모드에서 표시되는 제1 이미지와 상기 제2 동작 모드에서 표시되는 제2 이미지는 서로 독립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표시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밴딩된 형상을 가질 때 상기 제1 동작 모드로 동작하고,
    펼쳐진 형상을 가질 때 상기 제2 동작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메인 영역; 및
    상기 메인 영역에 인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에 연결되고, 상기 메인 영역 및 상기 서브 영역이 연결된 방향을 따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가 상기 제1 동작 모드로 동작할 때,
    상기 메인 영역에는 상기 제1 이미지가 표시되고,
    상기 서브 영역에는 상기 제1 정보와 다른 제2 정보를 제공하는 제3 이미지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0.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가 상기 제2 동작 모드로 동작할 때,
    상기 제2 이미지는 하나의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메인 영역은 상기 제2 이미지의 일 부분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서브 영역은 상기 제2 이미지의 다른 부분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장치.
KR1020130165571A 2013-12-27 2013-12-27 표시장치 KR2015007688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5571A KR20150076889A (ko) 2013-12-27 2013-12-27 표시장치
US14/481,872 US20150185781A1 (en) 2013-12-27 2014-09-09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5571A KR20150076889A (ko) 2013-12-27 2013-12-27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6889A true KR20150076889A (ko) 2015-07-07

Family

ID=53481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5571A KR20150076889A (ko) 2013-12-27 2013-12-27 표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50185781A1 (ko)
KR (1) KR2015007688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83931A1 (en) * 2016-04-20 2017-10-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9140B1 (ko) * 2013-04-12 2020-05-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조작 방법
US9589539B2 (en) * 2014-04-24 2017-03-07 Kabushiki Kaisha Toshiba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CN107430415B (zh) 2014-12-08 2020-11-24 瑞典爱立信有限公司 便于用户抓取手持设备的装置和方法
US9727087B2 (en) * 2015-03-25 2017-08-08 Intel Corporation Facilitating dynamic detection and intelligent use of segmentation on flexible display screens
KR20170011557A (ko) * 2015-07-23 201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전자 장치
JP7075752B2 (ja) * 2016-12-23 2022-05-26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データ変換回路、および表示装置
US10396272B2 (en) * 2017-05-04 2019-08-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splay distortion for alignment with a user gaze direction
CN109766038A (zh) * 2018-12-28 2019-05-17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方法及装置、智能手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164313B (zh) * 2019-05-31 2022-07-26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66896B2 (en) * 2006-04-25 2010-08-03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Variable stiffness catheter assembly
US9423995B2 (en) * 2007-05-23 2016-08-23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re-sizing an active area of a flexible display
JP4729545B2 (ja) * 2007-09-13 2011-07-20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通信端末機
KR101546774B1 (ko) * 2008-07-29 2015-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제어 방법
KR101615379B1 (ko) * 2009-10-14 2016-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및 휴대단말기의 정보표시 방법
KR101067587B1 (ko) * 2010-01-29 2011-09-27 주식회사 팬택 형태 변환 특성이 있는 플렉서블 단말기, 그 형태 변환 방법 및 형태 변환장치
US8587539B2 (en) * 2011-01-21 2013-11-19 Blackberry Limited Multi-bend display activation adaptation
KR101801359B1 (ko) * 2011-07-28 2017-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8970455B2 (en) * 2012-06-28 2015-03-03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content displayed on a flexible display
US20140098034A1 (en) * 2012-10-10 2014-04-10 Michael Hack Multi-function hand held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83931A1 (en) * 2016-04-20 2017-10-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US11049434B2 (en) 2016-04-20 2021-06-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85781A1 (en) 2015-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76889A (ko) 표시장치
EP2796964B1 (en) System and Method for a Haptically-Enabled Deformable Surface
US9891670B2 (en) Foldable display
KR102358110B1 (ko) 표시 장치
KR102043370B1 (ko) 압력 센서부를 이용한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사용자 입력 제어 방법
CN100472395C (zh) 通过弯曲控制视觉显示的方法和装置
US20040046739A1 (en) Pliable device navigation method and apparatus
US9563274B2 (en) Adaptable input/output device
KR20200136016A (ko) 전자 시계용 크라운
TWI652657B (zh) 折疊式電子元件及其控制方法
US9024889B2 (en) Information presenting device, tactile sense presenting method, and program
JP2015097083A (ja) 情報処理装置
KR102368689B1 (ko) 표시모듈 및 그 제어방법
US20120313854A1 (en) Adaptable input/output device
KR20140102663A (ko) 헤드-장착형 디스플레이 및 정보 표시 장치
EP3062202A1 (en) Touch sensor,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50081628A (ko) 스트레쳐블 표시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JP5223992B2 (ja) 電子機器、制御方法、プログラム
TWI643112B (zh) 折疊式觸控元件及其控制方法
Böse et al. Glove with versatile operation tools based on dielectric elastomer sensors
WO2021000292A1 (en) Touch screen and control method for touch screen
KR20130038613A (ko) 파지에 응답하여 표시 화면의 크기를 동적으로 변환하는 방법 및 그 장치
JP5789017B2 (ja) 電子機器、制御方法、プログラム
KR20180081284A (ko) 터치 패드 및 이의 동작 방법
JP5223993B2 (ja) 電子機器、制御方法、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