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2456A - 약제 캐리어 표시부재의 기입장치 - Google Patents

약제 캐리어 표시부재의 기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2456A
KR20020042456A KR1020010074434A KR20010074434A KR20020042456A KR 20020042456 A KR20020042456 A KR 20020042456A KR 1020010074434 A KR1020010074434 A KR 1020010074434A KR 20010074434 A KR20010074434 A KR 20010074434A KR 20020042456 A KR20020042456 A KR 200200424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display member
writing
card
detach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4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3728B1 (ko
Inventor
고이케나오키
이케다다카후미
Original Assignee
유야마 쇼지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야마 쇼지,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유야마 쇼지
Publication of KR20020042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24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3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37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6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 B65G47/48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according to bodily destination marks on either articles or load-carriers
    • B65G47/49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according to bodily destination marks on either articles or load-carriers without bodily contact between article or load carrier and automatic control device, e.g. the destination marks being electrically or electronically detec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46Applying date marks, code marks, or the like, to the label during label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9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assembling and dispensing of pharmaceutical articles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Labeling Devices (AREA)

Abstract

환자 정보를 약제 캐리어의 측면에 지지된 표시부재에 소거 가능하게 기입할 수 있고 표시부재를 캐리어에 대하여 자동으로 착탈하는 표시부재의 기입장치가 제공된다. 기입장치는 재기입 카드를 보유하는 캐리어에 대하여 재기입 카드를 착탈 이송하는 착/탈/이송수단과, 재기입 카드에 환자 정보를 기입 표시하기 위하여 착/탈/이송수단에 접속된 기입수단을 갖는다. 각 수단은 처방 정보에 근거하여 제어되어, 재기입 카드를 캐리어의 측면에 대하여 착탈시킨다.

Description

약제 캐리어 표시부재의 기입장치{WRITING DEVICE FOR DISPLAY MEMBERS ON DRUG CARRIER}
본 발명은 약제 캐리어에 제공된 표시부재의 표시 내용을 소거 가능하게 재기입하는 기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병원 또는 약국 등의 의료시설에 있어서, 의약품과 의료재료 등의 약제를 처방의 지시에 따라 각 환자마다 단시간에 효율적으로 조제하고 수집하기 위하여, 대규모 기계화가 행해진다. 예컨대, 다수 다종류의 주사용 앰풀을 불출(dispensing)하는 복수의 주사제 디스펜서가 소정 순서로 설치되고, 다른 종류의 주사 앰풀이 디스펜서로부터 불출되고 캐리어로 투입되고, 이 캐리어는 이들 디스펜서를 따라 제공된 컨베이어를 통하여 이송되어 감시 스테이션으로 보내어지고, 엄격한 감시를 통해 각 환자에게 공급하는 시스템이 실시된다.
이송용 캐리어에 약제를 수집하는 시스템의 다른 예로서, 컨베이어 장치가 산제와 정제용 분포(packaging)장치를 따라 제공되고 조제된 약제가 캐리어에 수집되고 감시 스테이션으로 보내어지는 약제 이송 장치가 일본 특개평7-81737호 공보에 공지되어 있다. 이 장치에 있어서, 정보를 기억하는 IC 카드가 캐리어에 내장되고, 기억된 정보는 캐리어에 제공된 액정표시장치에 표시되거나, 또는 이 정보가 비접촉 방식으로 판독되어 상기 정보를 각종 약제 처방 유닛의 표시장치에 표시한다.
주사제 불출 장치 또는 약제 처방/이송 장치를 포함하는 상기 시스템에서, 캐리어의 내용에 관한 처방 정보가 용지에 프린트되고 이 용지가 투입되어, 캐리어에 대응하는 환자 이름 또는 인환권 번호와 같은 정보가 명찰 또는 점착 라벨에 프린트되고, 캐리어의 측면에 수작업으로 고착되어 환자에게 정확히 전달된다. 캐리어나 용기의 내용물 표시 또는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표시가 약제가 수집 이송되는 의료분야 이외의 기술분야에서 행해지는 예로서, 이하에 공지되어 있다.
일본 특개평4-35848호 공보에, IC 카드 등의 메모리 매체에 의해 웨이퍼 등의 반도체 제품과 같은 물품을 처리하는 장치를 생산 제어 장치를 사용하여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제어 방법에는 처리된 물품의 용기에 분리 가능하게 취부된(mount) IC카드에 기억된 물품의 데이터를 미리 제어 장치에 기억된 물품의 처리에 관한 데이터와 대조하는 단계, IC카드를 취외(dismount)하는 단계, 처리된 물품을 처리용 용기에 이송하고 소정의 처리를 행하는 단계, 상기 물품을 원래의 용기로 이송하는 단계, 이 용기에 상기 물품에 대응하는 IC카드를 장착(fit)하는 단계, 및 수행된 처리에 관한 데이터를 IC카드에 기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본 특개평8-91382호 공보에, 점착제 또는 점착 라벨을 전혀 필요로 하지 않는 카드를 사용하여, 용기에 취부된 카드는 자동적으로 취외되어 작업성을 향상시킨다. 컨베이어 라인에 이송된 용기가 가이드에 의해 폭방향으로 구속된 위치를 가지고, 취외 레버가 용기의 측면에 취부된 카드 후방 공간에 삽입되어 카드를 취외시키다.
일본 특개평9-249689호 공보에는, 정보 기억 수단으로 데이터 캐리어를 수납하는 포켓이 물품을 이송하는 카세트의 측판에 제공되고, 상기 데이터 캐리어는 상기 카세트에 취부된 장치와 상기 카세트로부터 취외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데이터 캐리어가 취부된 카세트를 세정함에 있어, 데이터 캐리어에 미치는 어떠한 악영향도 회피하기 위하여, 데이터 캐리어가 카세트로부터 취외되고 이 카세트를 세정한 후 재-취부되고, 정보가 이 데이터 캐리어에 기입된다.
의료시설에서, 약제, 의료재료 등은 흔히 의사의 처방과 지시에 근거하여 개개의 환자별로 캐리어(일반적으로 트레이라 함)에 수납된다. 수납된 약제 등을 환자에게 정확히 전달하기 위하여, 캐리어의 내용에 대응하도록 적어도 환자 이름이나 인환권 번호와 같은 정보를 표시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요구사항에 대해, IC카드나 디스플레이가 캐리어에 제공되는 것이 캐리어를 수작업이 아닌 거의 완전히 자동으로 다루는데 적합한 타입이다. 따라서, 내용물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더라도, 환자 이름 등은 표시되지 않는다. 또한, 위에 기술된 것 이외의 일반적 캐리어는 단지 용기에 불과하고, 환자 이름 등을 위한 디스플레이는 물론 가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캐리어가 어떠한 타입에서도 환자 이름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도록 하기 위하여, 의료시설에서 상기 정보가 명찰이나 점착 라벨에 프린트되고, 캐리어가 사용되기 전에, 명찰이나 점착 라벨이 캐리어의 측면에 수작업으로 고착되고 사용 후에 수작업으로 제거된다. 그러나, 표시 라벨을 수작업으로 부쳐다 떼어다하는 작업이 환자의 수가 많은 경우에는 상당한 부담이 되고, 인위적인 에러가 반드시 발생된다. 또한, 점착 라벨이 떨어질 수 있다. 떨어진 후에는 점착제가 남게 되어, 그 표면이 더러워진다. 게다가, 점착 라벨은 사용한 후 처분되기 때문에, 운영 코스트가 높다.
따라서, IC카드에 의해 디스플레이와 같은 고가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저가 부재를 사용하여 표시하는 기능을 갖는 캐리어가 요구된다.
그런데, 상기 요구에 부합하는 표시부재와 원하는 표시 내용을 상기 표시부재에 기입할 수 있는 프린터가 이미 시판되고 있다. 표시부재는 문자와 같은 내용을 반복적으로 기입 소거되는 것을 허용한다. 프린터는 표시 내용을 표시부재에 기입하거나 소정온도를 가함으로써 소거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재와 프린터를 사용하여, 원하는 표시 내용이 표시부재에 표시되고, 표시부재는 상술된 약제용 캐리어에 장착된다. 표시부재가 반복적으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운영 코스트가 점착 라벨에 비해 낮고 캐리어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표시부재는 여전히 캐리어 수작업으로 장착되어, 취부 작업과 취외 작업의 부담이 잔존한다. 또한, 인위적인 에러의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입 소거가 반복되는 저렴한 표시부재를 사용하여 표시부재가 캐리어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고, 환자 이름의 정보가 표시부재에 기입 소거 가능하게 기입될 수 있는 동시에 캐리어의 오염을 방지하고 작업의 기계화를 달성하고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캐리어 표시부재의 기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표시부재를 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지지하는 캐리어에 대하여 상기 표시부재를 착/탈/이송하는 착/탈/이송수단과, 상기 표시부재에 환자 정보를 상기 표시부재에 소거 가능하게 기입 표시하기 위하여 상기 착/탈/이송수단에 접속된 기입수단을 포함하는 캐리어 표시부재의 기입장치가 제공되되, 상기 착/탈/이송수단과 상기 기입수단이 처방의 약제 정보에 근거하여 제어되어, 상기 표시부재를 상기 캐리어에 대하여 착탈시키고 환자 정보를 상기 표시부재에 기입하는 것이다.
상기 기입장치는 병원 또는 약국에서 자동 또는 수작업으로 약제를 이송하는데 사용되는 캐리어의 측면에 표시부재를 부착시키고, 환자 정보를 소거 가능하게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환자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약제를 환자에게 정확하게 전달하거나 병원에 분배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표시 내용을 표시부재에 반복적으로 소거 기입하는 기입수단은 일반적으로 표시부재를 삽입 포트를 통해 수작업으로 삽입하여 표시 내용을 재기입 하는데 이용된다. 그러나, 병원에서 위생 관리와 약 조제 작업의 효율화를 고려하여, 표시부재를 수작업이 아닌 기계적으로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착/탈/이송수단이 소정 위치에 제공된다.
캐리어의 측면이 착/탈/이송수단에 접하도록 캐리어가 소정 위치에 배치될 때, 그 측면에 지지된 표시부재가 취외 이송되어 기입 장치로 공급된다. 처방의 약제 정보에 근거한 환자 정보가 기입수단에 의해 표시부재에 기입된다. 그 다음 표지부재는 리턴되고 캐리어의 측면에 장착된다. 표시부재는 소거 기입을 복수의 횟수로 반복할 수 있기 때문에, 1회 사용 후 버리는 것이 아니라 수백 번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코스트가 낮고 장착이 효율적으로 행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과 목적은 첨부한 도면에 따라 후술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표시부재의 기입장치가 제공된 앰풀 불출(dispensing) 장치의 전체 개략도.
도 2는 동일한 기입장치의 확대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화살표 Ⅲ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각각 카드 착/탈 수단의 측면도 및 평면도.
도 5a 및 도 5b는 도 4b의 선 Va-Va 및 Vb-Vb 에서 본 단면도.
도 6은 표시부재의 기입장치의 제 1실시예의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
도 7은 제 1실시예의 제어 시스템에 의한 프로세스의 플로차트.
도 8은 앰풀 불출 장치의 처방 데이터의 예를 도시한 도.
도 9는 약제 컨베이어 장치의 처방 데이터의 예를 도시한 도.
도 10a 및 도 10b는 재기입 카드에 환자 정보의 예를 나타낸 도.
도 11은 제 2실시예의 제어 시스템에 의한 프로세스의 플로차트.
도 12a 및 도 12b는 동일한 프린트/재발행 화면의 설명도.
도 13은 메뉴화면의 프로세싱의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재기입(rewrite) 카드2 : 카드 보유 부재
10 : 카드 착/탈/이송수단11 : 가이드 프레임
11a : 당접(abutting)부분11b : 안내부분
12 : 고무 롤러13 : 플라스틱 롤러
14 : 수직축15 : 풀리
16a,16b : 프레임 플레이트17 : 클리어런스
18 : 안내판20,20' : 기입수단
30 : 제어유닛31 : 스토퍼
31B : 스토퍼 구동부32 : 카드 착/탈/기입수단
33 : 조작수단40 : 호스트 컴퓨터
A : 카드 착/탈/기입장치B : 캐리어 공급 장치
C : 앰풀 불출(dispensing) 기계D : 컨베이어 장치
E : 캐리어-배출 리프터 카트T : 캐리어
M1,M2 : 모터PH : 위치센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가 기술된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캐리어 표시부재의 기입장치를 컨베이어 장치에 구비한 앰풀 불출(dispensing;拂出) 장치의전체 개략도이다. 도시된 앰풀 불출 장치에서, 중앙 앰풀 불출 기계(C)로부터 불출된 앰풀이 컨베이어 장치(D)의 시단에 제공된 캐리어 공급 장치(B)에 공급된 캐리어(T)로 불출된다. 캐리어(T)가 컨베이어 장치(D)의 종단으로 운반된 후, 캐리어(T)를 캐리어-배출 리프터 카트(E) 내로 이송된다. 이 카트 내에 캐리어(T)가 각각 복수의 열로 적재된다. 환자의 수와 같은 수의 캐리어가 일시적으로 수집된 후, 카트가 약국, 병동 간호 스테이션 등으로 이동된다.
도시된 컨베이어 장치(D)에는 앰풀 불출 기계(C)의 전방 적당한 위치에, 캐리어(T)의 측면 상에 지지되고 캐리어에 저장된 약제가 지정된 환자에 관한 환자 정보(환자 이름, 날짜, 병동 이름, 병실 번호, 부서, 냉소(cool place) 보존 약제의 유무)를 표시하기에 적합한 카드(즉, 환자 정보 표시부재)에 환자 정보를 소거 및 기입하는 카드 착/탈 가능한 기입장치(A)를 구비한다. 이 카드는 일반적으로 재기입 카드라 불리며 기입 표시된 환자 정보가 소거될 수 있고 다른 환자의 정보가 재기입 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도시된 예에서, 재기입 카드(1)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화카드와 정기 패스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와 두께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두 가지 종류의 재기입 카드, 즉 기록 층의 로이코 염료(leuco dye)와 현색제(developer)가 반응하는 로이코 타입 카드와 기록 층의 적은 분자와 레진 사이에 갭이 형성되고 하얗게 보이는 백탁(白濁)(clouding) 타입의 재기입 카드가 공지되어 있다. 이 재기입 카드 중 어느 하나는 특정 온도가 가해지면 문자를 기입하거나 소거할 수 있는 타입이다. 본 실시예에서, 전자의 로이코 타입 카드가 사용된다.
도 2 내지 도 5는 기입장치(A)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다. 이 기입장치는 재기입 카드(1)를 캐리어(T)의 측면의 카드-보유 부재(2)로부터 인출하고 다시 삽입하는 카드 이송 수단(10)과, 이 카드 이송 수단(10)에 의해 이송된 각각의 재기입 카드(1)에 환자 정보를 기입하는 기입수단(20)을 갖는다. 카드 이송 수단(10)은 수직축에 대해 회전하는 고무 롤러(12)와, (카드의 두께에 대응하는) 소정의 클리어런스를 갖도록 롤러(12)에 대향되게 배치된 로터리 플라스틱 롤러(13)를 갖는다. 이들 롤러(12, 13)는 소정의 간격에 맞춰 복수의 쌍으로 배치되고, 중공의 사각단면 형상을 갖는 가이드 프레임(11)이 롤러 쌍을 지지하도록 제공된다.
가이드 프레임(11)의 수직 폭은 재기입 카드의 길이 폭보다 약간 더 넓고 몇 센티미터의 두께를 갖는다. 전체 프레임은 캐리어의 카드-보유 부재(2)에 의해 지지된 재기입 카드(1)의 거의 전체 길이의 약 1/3 길이를 갖는 프레임의 당접부분(abutting portion)(11a)과 약 2/3의 길이를 갖는 프레임의 남은 안내부분(11b)이 소정의 각도로 벤딩되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프레임(11)이 기입수단(20) 근처의 안내부분(11b)에 제공된 수직축(14)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제공되어, 당접부분(11a)의 측면 상의 고무 롤러(12)가 재기입 카드(1)에 당접될 수 있다. 수직축(14)은 컨베이어(D)의 레일 프레임 상에 제공된 베이스 플레이트(10B)에 고정된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딩부 내부에, 소형 모터(M1)가 상부 프레임 플레이트로부터 돌출한 단부에 제공된 소형 풀리(15)가 제공된 출력축과 함께 부설되어 있고, 동일한 풀리(15)는 각각의 고무 롤러(12)의 회전축의 돌출 단부에 제공된다. 이들 풀리(15) 주위에는 벨트가 감겨져 있어, 모터(M1)의 동력이 전달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프레임(11)의 당접부분(11a)의 재기입 카드(1)와의 당접면에, 안내부분(11b)의 프레임 플레이트(16b)에 연이은 프레임 플레이트(16a)가 당접부분(11a)의 약 1/2 길이로 절단된다. 나머지 1/2 부분에, 2개의 고무 롤러(12)가 노출된다. 프레임 플레이트(16a)는 이 플레이트와 고무 롤러(12) 사이에 갭을 제공하기 위해 외측을 향해 약간 벌어져 있어, 재기입 카드(1)가 쉽게 수용될 수 있다. 고무 롤러(10)의 상하에, 2개의 평행한 안내판(18)이 가이드 프레임(11)의 전체 길이를 따라 수평하게 제공된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프레임(11)의 당접부분(11a)의 하부 외측 적당한 위치에, 편심 캠 롤러(11c)가 베이스 플레이트(10B)의 밑에 제공된 모터(M2)의 출력축에 접속된다. 캠 롤러(11c)가 당접부분(11a)의 하부 외측에 당접되면, 가이드 프레임(11)은 각도를 약간 틀어, 가이드 프레임으로부터 노출된 고무 롤러(12)는 재기입 카드(1)에 당접된다. 가이드 프레임(11)은 베이스 플레이트(10B)와 가이드 프레임의 단부 사이에 제공된 코일 스프링(11d)에 의해 규칙적으로 바이어스 되어, 당접부분(11a)이 레일 프레임으로부터 인출된다.
위치센서(PH)(도 4a)가 가이드 프레임(11)의 단부 근처 베이스 플레이트(10B) 상에 제공된다. 캐리어(T)는 센서(PH)의 신호가 제어유닛(30)에 입력되는 센서(PH)에 의해 검출된다. 제어유닛(30)에서 나온 제어 신호는 캐리어 정지/해제 수단인 스토퍼(31)의 구동부(31B)에 입력되어, 스토퍼(31)를 돌출시켜 캐리어(T)를 강제적으로 정지시킨다. 스토퍼(31)는 컨베이어 장치(D) 내부, 보통은 각 캐리어(T)의 아래쪽에 제공되고, 제어 신호에 의해 캐리어의 저면에 당접하도록 상승하여 캐리어의 이동을 강제적으로 정지시킨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입수단(20)은 분할 케이스(21)의 케이스 절반 중 하나에 제공된 서멀 헤드(22)를 갖는다. 케이스의 일단부(도 2에서 왼쪽 측면)로부터 2개의 케이스 절반 사이의 케이스로 공급된 재기록 카드(1)가 피드 롤러(23)에 의해 이동되고 서멀 헤드(22)를 통과할 때, 소정의 온도가 서멀 헤드(22)에 의해 가해짐으로써 기입된다. 그러나, 이것은 이미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기입수단(20)을 통하여, 설령 미리 환자 정보가 재기입 카드에 기입되더라도, 그 표시는 소거되고 새로운 환자 정보가 기입된다. 이 작동은 반복적으로 행해질 수 있다. (그러나, 수백 번에 대해서는 재기입에 실질적으로 한계가 있다.)
도 6은 제 1실시예의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그러나, 점선으로 도시된 수단은 제 2실시예에 제공되고 후술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약제 정보 트랜스미터인 호스트 컴퓨터(40)는 제어유닛(30)에 접속된다. 호스트 컴퓨터(40)로부터, 환자의 처방 데이터가 전송된다. 처방 데이터의 특정 예가 후술된다. 제어유닛(30)은 카드 착/탈/기입수단(32)을 제어하고, 이 카드 착/탈/기입수단은 처방 데이터에 근거하여 카드 착/탈/이송수단(10)과 기입수단(20)을 포함한다. 제어유닛은 또한 위치센서(PH)의 검출 신호에 근거하여 캐리어 정지/해제 수단인 스토퍼(31)를 제어한다. 참조부호 41은 호스트 컴퓨터(40)의 입력 수단으로서키보드이고, 42는 마우스, 43은 디스플레이(CRT)이다.
도 7은 (재발행 기능이 전혀 없는) 제 1실시예의 제어유닛(30)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세스의 플로차트이다. 재기입 카드를 재발행 기능이 전혀 없는 프로세스에 있어서, 전체 제어 시스템에 전원이 인가(ON)되면, 도시된 프로세스는 즉시 시작한다. 단계(S1)에서, 호스트 컴퓨터(40)로부터 처방 데이터가 전송되었는지 확인되며, 만약 처방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은 경우, 위로 리턴 될 것이다. 만약 처방 데이터가 수신되면, 단계(S2)로 진행한다.
단계(S2)에서, 재기입 카드용 인쇄 데이터가 처방 데이터로부터 작성된다. 예를 들면, 만약 호스트 컴퓨터(40)가 앰풀 불출 장치를 제어하는 컴퓨터라면, 도 8에 도시된 처방 데이터 중에서, 도 10a에 도시된 프린트 내용에 필요한 데이터가 판독되어 프린팅 데이터를 작성한다. 만약 호스트 컴퓨터가 앰풀 불출 장치 대신 정제를 이송하는 약제 컨베이어 장치를 제어하는 컴퓨터라면, 도 9에 도시된 처방 데이터 중에서, 도 10b의 프린팅 내용에 필요한 데이터가 판독되어 프린팅 데이터를 작성한다. 프린팅 데이터가 작성되면, 일련번호가 부여되고 제어유닛(30)의 메모리에 의해 제어된다.
도 8의 앰풀 불출 장치의 처방 데이터의 경우에, 프린팅 내용의 항목에는 환자 이름, 날짜, 병동 호수, 병실 호수, 부서, 냉소에 저장된 약제의 유무를 포함한다. 마지막 항목이 특히 유용하다. 만약 어떠한 약제가 냉소에 저장된 경우에는, "냉소에 저장된 약제"라는 표시가 냉소 칼럼에서 "냉(cool)"의 데이터에 근거하여 카드에 프린트된다. 또한, 도 9의 약제 컨베이어 장치의 처방 데이터의 경우에, 프린팅 내용의 항목에는 환자 이름, 인환권 번호, 부서, 약제의 종류를 포함한다. 마지막 항목의 지시가 특히 유용하다. 약제 종류 칼럼의 데이터로부터, 정제 또는 산제의 표시가 프린트된다.
단계(S3)에서, 캐리어가 올바른 위치에 정지하고 있는지 확인된다. 캐리어의 정지는 위치센서(PH)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스토퍼(31)를 작동시킴으로써, 위에서 기술된 것과 같이 실행된다. 센서(PH)가 검출 신호를 전송하고 스토퍼(31)가 작동되면, 캐리어(T)가 소정의 위치에 정지된 것이 결정되고 다음 단계(S4)로 진행한다.
단계(S4)에서, 재기입 카드(1)가 캐리어(T)로부터 취외된다. 이 취외는 다음과 같이 실행된다. 제어 신호가 먼저 제어유닛(30)으로부터 카드 착/탈/이송수단(10)의 모터(M2)로 전송되면, 캠 롤러(11c)는 가이드 프레임(11)을 약간 돌리기 위해 회전함으로써, 당접부분(11a)을 캐리어(T)의 재기입 카드(1)에 당접시킨다. 동시에, 제어 신호가 또한 모터(M1)에 전송되어 고무 롤러(12)를 회전시키고 재기입 카드(1)의 이송을 준비시킨다. 당접부분(11a)의 고무 롤러(12)가 재기입 카드(1)에 접촉하면, 마찰력에 때문에, 재기입 카드(1)가 카드-보유 부재(2)로부터 이송되고, 카드-보유 부재와 가이드 프레임(11)의 프레임 플레이트(16a) 사이의 갭(17)을 통과하고 고무 롤러(12)와 플라스틱 롤러(13) 사이의 갭을 통과하고, 기입수단으로 이송된다.
단계(S5)에서, 재기입 카드(1)의 프린팅은 기입수단(20)에 의해 행해진다. 재기입 카드(1)가 기입수단(20)으로 이송되면, 재기입 카드(1)는 서멀 헤드에 의해처리되어 데이터를 프린트(소거+프린트)한다. 프린팅이 종료되면, 단계(S6)에서, 재기입 카드(1)는 카드 착/탈/이송수단(10)으로 다시 이송되고, 가이드 프레임(11)에 이송되고, 캐리어의 카드-보유 부재(2)에 장착된다. 단계(S7)에서, 스토퍼(31)가 하강되어 캐리어를 해제하고, 이 캐리어는 컨베이어 장치(D)에 의해 이송된다. 캐리어의 해제 후, 단계(S1) 앞으로 리턴되고, 전술한 프로세스는 다음 캐리어에 대해 행해진다. 이 프로세스는 차례로 반복된다.
제 2실시예의 캐리어 표시부재의 기입장치는 도 6에 점선으로 도시된 (재발행용) 기입수단(20')과 액정표시장치(33a) 및 버튼(33b)을 갖는 조작수단(33)을 구비하며, 재기입 카드를 재발행하는 기능을 갖는다. 재발행용 기입수단(20')은 카드 착/탈/기입수단(32)의 연속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미도시된) 완전히 격리된 위치에 격리 수단으로서 제공된다. 재발행된 재기입 카드는 캐리어에 취부된 재기입 카드로 수작업으로 대체된다. 재기입 카드의 재발행은 기입수단(20)에 의한 프린팅이 선명하지 않은 경우 실행되는 조작이다. 만약 조작수단(33)의 기능이 호스트 컴퓨터(40)에 의해 실행되면, 조작수단(33)과 기입수단(20')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1은 제 2실시예의 기입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카드 착/탈/기입수단(32)에 의해 행해지는 주요 기능에 있어서, 이 실시예는 제 1실시예와 거의 동일하다. 그러나, 이 실시예는 조작수단(33)이 제공되어 있기 때문에 화면표시가 실행된다는 점과 재기입 카드의 재발행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제 1실시예와 다르다. 조작수단(33)이 제공되어 있기 때문에, 전원이 인가되면, 도 11의 프로세스가 도 13의 메뉴 화면 프로세스로부터 기동되고, 처음 단계(S0)에서,도 12a의 화면이 액정표시장치(33a)에 표시된다. 그러나 처방 데이터가 아직 수신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초기 화면에서 도 12a의 프린팅 데이터가 표시되지 않는다.
이 실시예는 단계(S1)에서 처방 데이터가 수신되고, 단계(S2)에서 프린팅 데이터가 작성된다는 점에서 제 1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러나 프린트 데이터가 작성되면, 단계(S2')에서 도 12a에서 같이 일련 번호와 환자 이름이 화면에 표시된다. 표시화면에는 "재발행"과 "종료"라는 선택 버튼이 표시된다. 이 실시예는 만약 선택 버튼 중 하나에 대응하는 버튼 스위치"△"가 눌려지지 않는다면, 단계(S3~S7)의 프로세스가 행해진다는 점에서 제 1실시예와 동일하다. 단계(S7)의 프로세스가 완료되면, 단계(S1) 이전으로 리턴되고 전술한 것과 동일한 프로세스가 각 환자의 처방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매 표시마다 실행된다.
이들 프로세스를 반복함으로써, 재기입 카드에 정규적으로 기입된다. 그러나 재기입 카드에 기입된 프린팅이 때때로 선명하지 않다. 이것은 소거와 기입이 수백 번 넘게 반복되면 프린팅이 선명하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만약 선명하지 않은 프린팅이 된 재기입 카드가 나타나면, 오퍼레이터는 이 재기입 카드를 외관상 체크하고 재발행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단계(S1~S7)의 프로세스가 수행되는 동안에 처방 데이터가 반드시 연속적으로 전송되지 않기 때문에, 그러나 잠시 동안의 기간에 처방 데이터의 전송이 전혀 없을 수 있어, 상기 재발행 프로세싱이 상기 기간 동안 수행된다.
프로세싱 조작이 단계(S1) 이전으로 리턴 될 때, 만약 도 12a에 도시된 "재발행" 버튼이 처방 데이터의 전송이 전혀 없는 타이밍을 선택하여 눌려진다면, 프로세싱 처리는 도 11의 우측 플로차트로 진행한다. 만약 "종료" 버튼이 단계(S10)에서 눌려지지 않는다면, 단계(S11)로 진행하고 도 12b에 도시된 "재발행" 화면이 표시된다. "재발행" 화면은 재발행될 프린팅 데이터를 지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미 프린트된 프린팅 데이터의 일련 번호와 환자 이름이 표시된다. "라스트 데이터" 버튼이 눌려지면, 현재 표시된 데이터의 앞(before) 데이터가 표시된다. "넥스트 데이터" 버튼이 눌려지면, 현재 표시된 데이터의 뒤(next) 데이터가 표시된다.
오퍼레이터가 "라스트 데이터" 버튼 또는 "넥스트 데이터" 버튼을 눌러 재발행을 원하는 프린팅 데이터를 표시한 후, 오퍼레이터는 "확정" 버튼을 눌러 데이터를 선택한다. 단계(S13)로 진행하고 여기서 "정지(stop)" 버튼이 눌려지지 않는다면, 단계(S14)로 진행한다. 예비 재기입 카드가 재발행용 기입수단(20')에 투입되면, 재발행될 프린트 데이터가 재발행용 기입 카드 상에 겹쳐(overwrite) 프린트(소거+프린트) 된다. 기입수단(20')에서 재발행된 재기입 카드는 수동으로 캐리어에 취부된 재기입 카드로 대체된다.
만약 "정지" 버튼이 단계(S13)에서 눌려지면, 재발행 프로세스는 정지되고, 도 12a에 도시된 이전 프린팅 화면이 단계(S15)에서 표시되고 단계(S1) 이전으로 리턴 된다. 만약 재기입 카드의 프린팅이 단계(S14)에서 행해진다면, 이전 프린팅 화면이 단계(S15)에서 표시되고 단계(S1) 이전으로 리턴 된다. 다른 한편, 만약 처방 데이터의 전송이 전혀 없다면, 단계(S10)로 진행한다. 만약 "재발행" 버튼이 그곳에서 눌려지지 않는다면, 단계(S16)로 진행한다. 만약 "종료" 버튼이 그곳에서눌려지지 않는다면, 단계(S1) 이전으로 리턴되고, 만약 "종료" 버튼이 눌려지면, 도 13의 플로차트에 도시된 메뉴 화면 프로세스로 리턴 하여, (미도시된) "메뉴 화면"이 표시된다(S21). 이 "메뉴 화면"에 "시작" 버튼과 "진단" 버튼이 표시된다. 시작 버튼이 단계(21)에서 눌려지면, 단계(20) 이전으로 리턴 되어 도 11의 프로세스를 기동시킨다. 진단 버튼이 눌려지면, "진단 프로세스"가 단계(22)에서 수행된다.
진단 프로세스의 경우, 제어유닛(30), 카드 착/탈/기입수단(32), 조작수단(33)과 같은 장치-형태 파트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체크하기 위한 진단 프로그램이 제어유닛(30)에 제공된다(상세히 도시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프로세스에서, 각 구성의 작동이 상기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적당한 타이밍(일반적으로 일상의 약제 프로세스의 종료 후)에서 정상적인지 여부가 스스로 진단된다. 단계(S22)의 진단 프로세스는 단계(S21)로 리턴 된 후 반복된다. 정상 동작으로 리턴 하기 위하여, "시작 버튼"을 누름으로써, 단계(20) 이전으로 리턴되고 도 11의 프로세스가 기동된다.
전술한 2가지 실시예에서, 기입장치(A)는 컨베이어 장치(D)에 부착된다. 캐리어(T)는 컨베이어 장치(D)에 의해 이송되지 않고 카트 또는 수동으로 이송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적당한 높이의 테이블이 소정의 위치(병원 또는 약국의 임의의 장소이면 충분하다)에 제공되고, 캐리어가 그 테이블 상에 안정적으로 놓여지게 되어, 기입장치(A)는 컨베이어 장치에 부착되지 않고 상기 테이블에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치에 의해, 캐리어(T)를 상기 테이블에 간단히 배치시킴으로써, 재기입 카드(1)의 착탈과 프린트된 문자의 기입이 기입장치(A)에 의해 자동적으로 처리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각 캐리어(T)의 측면의 재기입 카드(1)는 카드 착/탈/이송수단(10)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캐리어에 대해 착탈되는 타입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카드의 착탈은 수평방향으로 되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카드가 흡입 암을 갖는 흡입 수단에 의해 흡입 상승되고 흡입 암을 이동 또는 돌림으로써 기입수단으로 이송될 수 있다.
위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캐리어 표시부재의 기입장치와 함께, 표시부재를 캐리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하는 상기 착/탈/이송수단이 소정의 위치에 제공되고, 각 표시부재에 환자 정보를 소거 가능하게 기입하는 기입수단이 접속되어 있어서, 환자 정보가 표시부재에 반복적으로 소거 기입되고, 표시부재는 캐리어에 대해 착탈된다. 따라서, 캐리어에 대해 표시부재의 착탈이 기계화되어 있어서 수작업으로 장착할 필요는 없다. 또한, 점착제로 인한 오염이 방지된다. 따라서, 위생 및 작업 효율이 향상되고, 인위적인 에러가 방지될 수 있고, 또한 저렴한 표시부재가 IC 카드 또는 디스플레이와 같은 고가의 부재를 요구함이 없이 사용될 수 있다.

Claims (5)

  1. 표시부재를 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지지하는 캐리어에 대하여 상기 표시부재를 착/탈/이송하는 착/탈/이송수단과,
    상기 표시부재에 환자 정보를 상기 표시부재에 소거 가능하게 기입 표시하기 위하여 상기 착/탈/이송수단에 접속된 기입수단을 포함하는 캐리어 표시부재의 기입장치가 제공되되,
    상기 착/탈/이송수단과 상기 기입수단이 처방의 약제 정보에 근거하여 제어되어, 상기 표시부재를 상기 캐리어에 대하여 착탈시키고 환자 정보를 상기 표시부재에 기입하는 캐리어 표시부재의 기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이송수단은 회전 가능한 가이드 프레임을 구비하되, 상기 가이드 프레임은 복수의 쌍으로 이루어진 고무 롤러와 대향 롤러가 소정의 간격으로 상기 프레임 내에 제공된 가이드 통로부분과,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노출된 고무 롤러를 구비한 당접(abutting)부분을 형성하며,
    상기 표시부재는 상기 당접부분의 상기 고무 롤러를 상기 캐리어의 상기 표시부재에 당접시키고 상기 고무 롤러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캐리어에 대하여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표시부재의 기입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캐리어 정지/해제 수단이 상기 캐리어를 정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캐리어를 이송하는 경로의 소정 위치에 제공되고, 상기 소정 위치에 상기 착/탈/이송수단이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표시부재의 기입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이송수단과 상기 기입수단에 접속된 제어유닛과,
    처방에 근거하여 각 환자의 약제 정보를 기억시키기 위해 상기 제어유닛에 접속된 약제 정보 송신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착/탈/이송수단에 의해 착탈되는 상기 표시부재에 상기 환자 정보를 소거 기입하기 위하여 상기 약제 정보 송신부로부터 전달된 환자 정보를 선택하여 상기 기입수단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표시부재의 기입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재를 재발행하는 기입수단과,
    환자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조작신호를 입력하는 입력수단을 갖는 조작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조작수단은 상기 표시부재를 재발행하기 위하여 상기 기입수단에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표시부재의 기입장치.
KR1020010074434A 2000-11-30 2001-11-28 약제 캐리어 표시부재의 기입장치 KR1008437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64930A JP3737697B2 (ja) 2000-11-30 2000-11-30 搬器表示部材の書込み装置
JPJP-P-2000-00364930 2000-1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2456A true KR20020042456A (ko) 2002-06-05
KR100843728B1 KR100843728B1 (ko) 2008-07-04

Family

ID=18835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4434A KR100843728B1 (ko) 2000-11-30 2001-11-28 약제 캐리어 표시부재의 기입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6701218B2 (ko)
JP (1) JP3737697B2 (ko)
KR (1) KR100843728B1 (ko)
CA (1) CA236363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5863B1 (ko) * 2004-11-08 2013-04-17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탈착 장치, 표시 변경 장치, 및 투약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307225D0 (en) * 2003-03-28 2003-04-30 Arx Ltd Automated dispensing system
DE10344675A1 (de) * 2003-09-25 2005-04-14 Focke & Co.(Gmbh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Zigaretten-)Packungen
DE102004005632B4 (de) * 2004-02-04 2008-02-21 Uhlmann Pac-Systeme Gmbh & Co Kg Verfahren zur Prozeßkontrolle und Dokumentation an einer Kartoniermaschine
US7930060B2 (en) 2004-04-30 2011-04-19 Yuyama Mfg. Co., Ltd. Medicine supply system
CN100554091C (zh) * 2004-11-08 2009-10-28 株式会社汤山制作所 拆装装置、显示变更装置及投药系统
JP4791063B2 (ja) * 2005-03-22 2011-10-12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払出装置
DE102006002600A1 (de) * 2006-01-13 2007-07-26 Siemens Ag Einrichtung zum Etikettieren von Objekten, insbesondere von Behältern
US7748199B2 (en) 2006-11-28 2010-07-06 Align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packaging of mass-fabricated custom items
JP5208640B2 (ja) * 2008-09-19 2013-06-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薬剤払出装置および薬剤払出方法
JP5350724B2 (ja) 2008-09-19 2013-11-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薬剤払出装置および薬剤払出方法
EP2394938A1 (en) 2009-02-05 2011-12-14 Yuyama Mfg. Co., Ltd. Drug tray supply device
CN102307558B (zh) 2009-02-06 2014-01-29 株式会社汤山制作所 标签发放装置
JP2011083406A (ja) * 2009-10-15 2011-04-28 Tosho Inc 調剤システム
JP2011223339A (ja) * 2010-04-09 2011-11-04 Sharp Corp 電子会議システム、電子会議運用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会議運用端末
US9082250B2 (en) * 2010-05-07 2015-07-14 Panasonic Healthcare Co., Ltd. Automatic drug dispenser
CN103241417A (zh) * 2013-05-17 2013-08-14 成都中牧生物药业有限公司 能自动给药瓶印刷生产批号的装置
US10216157B2 (en) * 2015-01-09 2019-02-26 Apex Industrial Technologies Llc Order fulfillment system and method
CN108341103A (zh) * 2018-04-12 2018-07-31 东莞市沃德精密机械有限公司 固态硬盘成品包装线
CN108528845B (zh) * 2018-06-13 2021-03-30 苏州全新机械配件有限公司 高效高速封箱机的机芯及其使用方法
TW202120058A (zh) * 2019-07-23 2021-06-01 日商湯山製作所股份有限公司 卡片安裝裝置、卡片裝卸裝置、卡片夾以及托盤輸送裝置
ES2957849A1 (es) * 2022-06-22 2024-01-26 Serfruit S A Sistema automatico de etiquetado de cajas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90429A (ja) 1985-02-13 1986-08-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搬送物内容の表示方法
JP2688205B2 (ja) * 1988-01-20 1997-12-08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タイプライター
JPH0435848A (ja) 1990-05-30 1992-02-06 Mitsubishi Electric Corp 被処理物の処理管理方法及び処理管理装置
JP3017828B2 (ja) * 1991-03-29 2000-03-13 株式会社東芝 記録装置
US5468711A (en) * 1992-10-27 1995-11-21 Ricoh Company, Lt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printing method using the same
JP2889494B2 (ja) 1993-07-19 1999-05-10 正二 湯山 医薬品類の搬送装置
US5852463A (en) * 1993-08-09 1998-12-22 Oki Electric Industry Co., Ltd. Thermal recording apparatus and erasing method of a record therefor
JPH0891382A (ja) * 1994-09-26 1996-04-09 Nippon Paper Ind Co Ltd コンテナー及びコンテナーに取り付けたカードの取り外し方法
JP2972094B2 (ja) * 1994-11-07 1999-11-08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調剤用トレイ
US5982129A (en) * 1994-11-14 1999-11-09 Pitney Bowes Inc. Asynchronous control of insertion apparatus
JPH0951922A (ja) * 1995-06-09 1997-02-25 Yuyama Seisakusho:Kk 医薬品類の搬送方法及び装置
JPH0924968A (ja) 1995-07-07 1997-01-28 Canon Inc 物品搬送用カセット及びこのカセットの洗浄装置
JPH09188332A (ja) 1996-01-09 1997-07-22 Mitsubishi Plastics Ind Ltd 表示ラベルを備えた搬送用容器
JPH10198736A (ja) 1997-01-13 1998-07-31 Yuyama Seisakusho:Kk 医薬品処理システム
US5832693A (en) * 1997-01-22 1998-11-10 Kabushiki Kaisha Yuyama Seisakusho Apparatus for collecting ampules
DE19725579C2 (de) * 1997-06-17 2000-04-13 Boewe Systec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Zusammenführen und Verbinden von Kunststoffkarten und bedruckten Kartenträgern
JPH11130080A (ja) 1997-10-24 1999-05-18 Mitsubishi Plastics Ind Ltd 感熱記録ラベルの取付構造
JPH11277777A (ja) * 1998-03-30 1999-10-12 Kyodo Printing Co Ltd 可逆性感熱記録媒体の印字・消去方法及び装置
JPH11348997A (ja) 1998-06-12 1999-12-21 Kao Corp 輸送用容器
US6256967B1 (en) * 1998-08-27 2001-07-10 Automed Technologies, Inc. Integrated automated drug dispenser method and apparatus
DE60035652T2 (de) * 1999-10-08 2008-05-21 Canon K.K. Bildlöschvorrichtung, Bildanzeigevorrichtung und Bildaufzeichnungsgerät mit dieser Bildlöschvorrichtung
JP2001278207A (ja) * 2000-03-30 2001-10-10 Kyoto Seisakusho Co Ltd 紙片投入方法および紙片投入装置
US6540127B2 (en) * 2000-06-22 2003-04-01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Electrostatic methods and apparatus for mounting and demounting particles from a surface having an array of tacky and non-tacky areas
US6616189B2 (en) * 2001-06-08 2003-09-09 Premier Print & Services Group, Inc. Sequentially placed shipping and packing label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5863B1 (ko) * 2004-11-08 2013-04-17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탈착 장치, 표시 변경 장치, 및 투약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3728B1 (ko) 2008-07-04
US20020063698A1 (en) 2002-05-30
US6701218B2 (en) 2004-03-02
CA2363635A1 (en) 2002-05-30
JP2002165865A (ja) 2002-06-11
JP3737697B2 (ja) 2006-01-18
USRE43549E1 (en) 2012-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3728B1 (ko) 약제 캐리어 표시부재의 기입장치
US10045914B2 (en) Medicine dispensing apparatus, method of dispensing medicines, medicine dispensing program and storage medium
US6330351B1 (en) Drug inspection device and drug packaging device
US6370841B1 (en) Automated method for dispensing bulk medications with a machine-readable code
AU2003269946B2 (en) System for labeling a medicine container with a folded label
US20060225381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handling, labeling, filling and capping syringes
IT9022471A1 (it) Procedimento e apparecchiatura per l&#39;abbinamento univoco di farmaci corrispondenti a una terapia pescritta a un determinato paziente
CN102821736A (zh) 药剂供给装置
JP2000500357A (ja) バーコードスキャナーを含む自動化された薬剤処方実行システム
KR20090081992A (ko) 보조트레이용 정제 분배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US9073692B2 (en) Medicine issuing device and container identifying device
KR20100017262A (ko) 분배 시스템 및 방법
JP4259230B2 (ja) 物品袋詰め装置
NL1029537C2 (nl)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geautomatiseerd op recept uitgeven van verpakte geneesmiddelen, alsmede een hierbij te gebruiken etiket.
JPH1062428A (ja) 試験管準備システム及び試験管管理システム
JP2013511298A (ja) 液体ドージングシステムの方法および装置
JP4791063B2 (ja) 薬剤払出装置
US20110113727A1 (en) Custom Prepackaging Method and Apparatus
JP2006109899A (ja) 注射薬自動払出装置
WO1999017218A1 (en) A container for preventing errors in the dispensing of pharmaceuticals to patients in a health care environment
JP6957312B2 (ja) 薬品仕分装置
JP6479630B2 (ja) 医療用ラベルの提供方法、及び医療用ラベルの出力装置
JP4459073B2 (ja) 薬剤供給装置
JP2004017999A (ja) 薬瓶のラベリング方法
WO2023090136A1 (ja) 混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