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5089A - 고로(高爐)용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고로(高爐)용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5089A
KR20020025089A KR1020017016659A KR20017016659A KR20020025089A KR 20020025089 A KR20020025089 A KR 20020025089A KR 1020017016659 A KR1020017016659 A KR 1020017016659A KR 20017016659 A KR20017016659 A KR 20017016659A KR 20020025089 A KR20020025089 A KR 200200250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y
blast furnace
outlet
chute
reservo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6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5462B1 (ko
Inventor
이르니히프란쯔-요셉
Original Assignee
추후제출
짐머만 운트 얀센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91254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20025089(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추후제출, 짐머만 운트 얀센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추후제출
Publication of KR20020025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5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5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54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18Bell-and-hopper arrangements
    • C21B7/20Bell-and-hopper arrangements with appliances for distributing the burd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00Shaft or like vertical or substantially vertical furnaces
    • F27B1/1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furnaces of these types
    • F27B1/20Arrangements of devices for char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last Furnaces (AREA)
  • Furnace Charging Or Discharging (AREA)
  • Vertical, Hearth, Or Arc Furnaces (AREA)
  • Heat Treatment Of Articles (AREA)
  • Tunnel Furnaces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 Muffle Furnaces And Rotary Kilns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의 수직하게 배향된 제 1 회전축 (A1)을 기준으로 회전 구동될 수 있는 실린더형 본체(107)를 구비한 회전슈트(107,111)와, 제 1 구동장치(119)와, 본체(107)의 배출구(107a)에 고정 부착되고 상기 배출구와 함께 회전될 수 있는 공급슈트(111;311)를 구비한 고로용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공급슈트는 상기 본체의 배출구에 인접하고 상기 제 1 회전축에 대해 소정 각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상단부(113)와, 상기 상단부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하단부(115)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회전축으로부터 이격된 거의 수직한 제 2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 2 구동 장치(127)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고로(高爐)용 공급장치{Feed device for a shaft furnace}
고로에 재료를 공급하기(즉, 장입) 위한 많은 다른 장치들이 공지되어 있다. 고로에 공급된 재료는 상기 고로의 횡단면적 전체에 고루 분배되도록 상기 고로의 축에 대해 이심되게 배치된 같은 방향으로 회전가능한 회전 분배기를 갖는 회전가능한 장입플랫폼(charging platform)을 이용하는 것이 오래전에 제시되었다. 상기 분배기의 개구가 2개의 중첩된 호를 따라 상기 고로 횡단면 전체에 안내되도록이와 같은 공급장치로, 상기 재료는 뚜렷한 원추형 더미를 형성하지 않고 꽤 균일하게 상기 고로로 공급될 수 있다.
독일특허번호 제 DE 295 15 419 U1호에 공지된 바와 같은 약간 다른 장치는 회전 구동될 수 있는 실린더형 하우징을 갖는 회전슈트(revolving chute)와, 다른 반경범위를 갖는 상기 하우징의 배출구에 부착된 다중 공급슈트와, 상기 하우징내 배치되어 있고 분배기 슈트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분배기 슈트의 일단은 필요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이동될 수 있고 상기 공급슈트에 대해 가변적으로 위치될 수 있도록 공급슈트에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 장치로 장입된 재료의 외형은 소정의 특정한 형태로 할 수 있지만, 상기 장치는 상대적으로 복잡하고 구성하기에 비용이 많이 든다.
독일특허번호 제 DE-PS 868913호는 다양하게 형성된 용광로용 장입장치를 개시하고 있으며, 상기 장입장치의 핵심요소는 상기 고로의 엣지로 유입되는 재료가 지나는 긴 주둥이 형태의 배출구를 갖는 제 1 펀넬(funnel)과, 상기 고로의 중간에 상기 재료를 안내하는 수직 배출구를 갖는 제 2 펀넬이다. 이 장치는 다시, 고가의 대형 구성으로 특징되며 더욱이 단지 매우 제한적인 정도로 다른 재료를 특별히, 요구되는 외형을 형성하도록 장입되게 할 수 있다.
독일특허번호 제 DE-AS 1 169 474호로 공지된 다른 회전가능한 공급장치는 원의 외주변 주위로 분배된 다수의 분배기 슈트와 부가적으로 거의 중심 분배기 슈트 및 외주변 분배기 슈트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들 분배기 슈트 모두는 적절한 안내 펀넬슈트에 의해 채워진다. 이 장치에서 상기 샤프트상의 임의 지점에서 개구의 위치는 자유롭게 조절될 수 없으며, 다시 이 장치는 복잡하고 구성하기에 비용이 많이 든다.
고로용 공급장치는 독일 특허권자인 독일 특허발명 명세서 제 DE 28 25 718 C2호 및 다른 특허로부터 공지되어 있고, 상기 고로용 공급장치의 핵심 특징은 서로 다른 수직한 2개의 축 주위로 공급장치를 회전시키도록 적절한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고로의 축에 대해 다양한 각으로 위치될 수 있는 자재이음(univeral-joint) 완충장치(suspension)를 갖는 분배기 슈트이다. 이 장치는 횡단면 전체에 잘 정의된 위치로 재료가 상기 고로내에 공급되도록 할 수 있으나, 그 구동 장치는구조적으로 복잡하고 부피가 크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공간 및 재료를 절감하는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는 일반적인 종류의 개선된 공급장치를 개시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청구항 1에 제시된 특징을 갖는 공급장치에 의해 달성되어 진다.
본 발명은 고로(高爐)용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용광로(blast furnace)에 관한 것이다.
도 1a, 1b, 및 1c는 본 발명에 따른 고로에서 부분 종단면도, 부분 횡단면도 및 부분 종단면의 확대부의 형태로 공급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a, 2b, 및 2c는 본 발명에 따른 고로에서 부분 종단면도, 부분 횡단면도 및 부분 종단면의 확대부의 형태로 공급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공급장치가 한 실시예에 따라 제어되는 방법을 도시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a, 4b, 및 4c는 고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두 개의 개략적인 형태, 즉 서로 수직한 평면을 따른 종단면도 뿐만 아니라 고로의 단순화된 평면도로 공급장치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고로의 벽에 대해 소정의 각을 이룬 공급슈트가 중심, 회전가능한 본체에 고정 부착되어 있는 기본 착상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슈트는 상단부 및 하단부로 차례로 양분되며 상기 하단부는 상기 상단부에 대해 회전가능하다. 이 해결방안으로 단지 하나의 공급슈트(상대적으로 짧은 전체 길이를 가짐)가 제공되기 때문에, 특히 적은 양의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공급슈트의 피벗장치는 무거운 장치의 하중하에 있지 않으므로 구성에서 안정적일 필요도 또는 여분의 회전가능한 분배기 장치도 필요하지 않으므로, 상대적으로 구성하기가 용이하고 적은 공간을 차지하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상단부 및 하단부는 형태가 거의 실린더형(관형)이고, 특히 타원형 또는 반 타원형이며, 상기 하단부가 상기 상단부에 대해 적절한 각 위치(angular position)에 있게 될 때, 전체 장치는 상기 본체의 배출구에 소정의 각으로 부착된 2개의 피스를 형성하고 있다. 이 실시예는 상기 고로로 공급되어지는 가 - 유체(pseudo-fluid) 재료는 방해없이 적은 마찰로 배출될 것이다.
기하학적인 관계는 상기 하단부의 회전축이 상기 본체의 수직 회전축에 평행하고, 두 축이 상기 하단부를 상기 상단부로부터 분리하는 평면(상기 상단부에 대해 상기 하단부의 이동이 가이드되는)에 수직할 때 상대적으로 단순해 진다.
상기 하우징(및 상단부)에 대한 상기 구동 장치는 그 자체가 공지된 방식으로 상기 구동 모터의 피니언이 회전상 안정한 방식으로 상기 본체에 고정된 림 기어(rim gear)에 의해 맞물려 있도록 피니언 및 기어 림(toothed wheel rim)의 결합을 갖는 전기모터에 의해서 잇점적으로 실행되고 있다. 또한 잇점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하단부에 대한 상기 구동 장치는 피니언 및 기어 림의 결합을 구비하고 이 경우 특히 상기 기어림은 상기 본체의 배출구를 둘러싸고 있다. 잇점적인 제 1 실시예에서 일단에서 상기 휠에 대한 이음(joint)에 의해 연결되고 타단에서 상기 공급슈트의 하단부에 대한 이음에 의해 연결되는 기어 커넥팅로드 장치에 부착되고 있다.
다른 방안의 실시예에서, 상기 공급슈트의 하단부에 대한 구동 장치는 회전상 안정한 방식으로 상기 하단부를 둘러싸는 다른 기어 림과 함께 상호작용하는 피니언이 구동 장치의 일단에 배치된 하단부에 결부되는 출력 샤프트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상단부 및 하단부 모두는 거의 360°되는 각 범위로 잇점적으로 회전하고 있다.
장입되는 외형이 세부적으로 미리 결정되게 가능한 것과 관련하여, 상기 제시된 해결방안은 고로 안으로 공급되는 제 1 및 제 2 재료에 대한 적어도 2개의 저장용기를 갖는 실시예에서 특히 잇점적이며, 상기 저장용기는 상기 공급장치의 본체로 개방되고 또한 필요시 상기 본체로 비워질 수 있다. 상기 저장용기의 유지 플랩의 개구정도는 상기 공급슈트의 상기 상단부 및 하단부의 서로에 대한 현재 회전각도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상기 재료(또는 공급되는 적절한 다른 재료)중 하나 또는 다른 하나는 상기 샤프트의 횡단면상 미리정해진 위치에서 소정의 양으로 장입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차별된 공급은 배출측상에 상기 저장용기의 배출구 플랩용 플랩 작동기가 배치되어 있는 반면에, 투입측상에 상기 상단부 및 하단부의 각(angular) 위치(및 순간적인 공급지점)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 공급 제어유닛을 합체한 실시예로서 달성될 수 있다.
넓은 의미에서 공급장치에는 저장용기 또는 저장용기들 사이에 밸브 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밸브 장치는 각각의 저장용기에 대한 가스밀봉 차단밸브 및 유입-제어 밸브를 구비하고 있다. 이 밸브 장치는 상기 관련된 밸브 구동 수단과 함께, 상기 고로에 대해서 및 상기 저장용기 또는 저장용기들에 대해서 모두 전체로 잇점적이게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고로의 유입구 플랜지는 접촉한 상기 밸브 조립품의 플랜지에 대해 바람직하게 밀봉되어 있으며, 상기 밸브 조립품은 열 팽창을 보상하는 압력작동(press-on) 장치를 갖는 보상기(compensator)를 이용함으로써 특히 신뢰할 수 있게 및 영구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장치는 수압작동 장치(hydraulic press-on device) 또는 -예를 들면, 본 출원인의 유럽 특허명세서 제 EP 0 609 406 B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열자동온도조절 압력작동 장치(thermodynamic press-on device)를 구비하고 있다.
더욱이, 공급 펀넬은 상기 저장용기들 또는 각각의 저장용기 및 상기 밸브 조립품 사이에 잇점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술한 밸브장치와 관련된 상기 유입-제어 밸브는 상기 공급 펀넬의 배출구에 배치된 반면, 부가적인 가스밀봉 차단 밸브는 각각의 저장용기로부터 관련된 펀넬내 배출구에 배치되며, 상기 배출구는 상기 밸브의 밀봉표면과 접촉함이 없이 상기 재료를 상기 펀넬으로 채울 수 있다.
본 발명의 잇점 및 유용한 특징은 종속항 및 도면과 관련한 2개 실시예의 하기 명세서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a에서 도 1c까지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용광로(101)용 공급장치(100)의 다양한 도면을 제시하고 있다. 제 1 및 제 2 종의 재료가 안으로 공급되도록 제 1 및 제 2 저장용기(103,105)는 상기 공급장치(100) 위에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저장용기는 필요시, 유지 플랩(103b,105b)에 의해 개방되거나 또는 닫힐 수 있는 배출관(103a,105a)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배출관(103a,105a)은 서로 직각 개방되어 있고, 상기 공급장치의 본체(107)에 대한 공급 펀넬(106)로 향하고 있으며, 상기 배출관내에 가스-밀봉 플랩(109)(gas-tight flap)은 상기 공급 펀넬 내부에서 회전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상기 배출관(103a,105a)중 하나 또는 다른 하나와 접하게 되는 방식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본체(107)의 하단 일면에서 상기 본체는 배출구(107a)를 동시에 형성하고, 공급 슈트(111)가 플랜지-장착되어 있다.
상기 공급슈트(111)는 상기 배출구(107a)에 대해 소정의 각으로 장착된 관형 상단부(113)와 또한 관형이며 상기 상단부(113)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하단부(115)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상단부(113)를 상기 하단부(115)와 분리하는 평면은 상기 배출구 (107a)의 평면에 평행하고, 상기 본체(107)의 장축(동시에 회전축) A1은 그 평면을 통해 수직하게 지나고 있다. 이 분리평면에서 상기 공급슈트(111)의 상기 상단부(113) 및 하단부(115)는 베어링 하우징(117)에 의해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연결은 상기 하단부(115)가 축 A1에 대해 소정의 각에 있는 축 A2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지만 상기 제 1 회전축 A1으로부터 평행 이격되어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도 1a에서, 상기 2점 쇄선은 상기 공급슈트(111)의 제 2 회전 위치를 나타내며, 상기 제 2 회전 위치에서 상기 하단부는 상기 상단부(113)에 대한 각이 실선에 의해 나타낸 상기 슈트위치에 대해 도시된 각과는 다르게 또한 회전되어 있다(명확하게 하기 위해, 도면은 이 제 2 위치에서 요소들을 분간하기 위한 인용번호를 도시하지 않고 있다).
상기 본체(107)에는 제 1 구동 피니언(123)이 부착된 제 1 전기모터(121) 뿐만 아니라 상기 본체(107)의 벽에 고정 부착된 기어 림을 구비하는 제 1 구동 장치(119)로 제공되어 있다. 제 2 전기모터(129), 제 2 구동 피니언(131) 및 상기 본체(107)에 대해 회전될 수 있도록 장착된 제 2 기어 림(133)을 구비한 제 2 구동 장치(127)는 상기 공급슈트(111)와 연결되어 있다. 다른 피니언(135)에 의해 상기 기어 림(133)과 맞물린 출력 고로(137)는 상기 제 2 구동 장치(127)에 속한 부가적 요소이며, 상기 공급슈트의 하단부(115)에 비회전적으로 부착된 기어 림(141)과 맞물린 다른 피니언(139)은 상기 하단부(115)에 인접한 일단에 지지되고 있다. 상기 출력 샤프트(137)는 베어링 부쉬(bearing bush)(137a) 및 걸쇠(113a)(clasp)에 의해 상기 공급슈트(117)의 상단부(113)에 대하여 지지되고 있다.
유지 플랩(103b, 105b)중 하나 또는 둘 다가 개방된 후, 상기 저장용기(103,105)에 포함된 재료는 상기 공급 펀넬(106), 상기 본체(107), 상기 공급슈트(111)를 지나, 상기 용광로(101) 내부의 소정의 위치에 도달하며, 상기 재료위치는 부착된 상기 공급슈트의 상단부(113) 및 본체(107)의 각방향(angular orientation)에 의해서 1차로 결정되고. 도 1b에서 일부 가능한 위치의 중첩되게 가상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단부(113)에 대한 상기 공급슈트의 하단부(115)의 각방향에 의해 2차로 결정된다. 상기 구동 장치(119, 127)의 작동에 의해(상기 구동 장치의 제어는 하기에 보다 상세히 설명됨), 일측에서 상기 하우징(107) 및 이에 따른 상기 상단부(113)의 각방향은 회전축 A1에 대해 조절되어 지며, 타측에서상기 하단부(115)의 각방향은 회전축 A2에 대해 조절되어 진다. 상기 구동 장치(119, 127)는 홀로 각각 작동될 수 있거나 -즉, 다른 장치는 움직이지 않는 반면에- 또는 함께 작동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서로에 대해 동기적 또는 비동기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그 결과, 소정의 위치로 상기 용광로(101)의 내부에 공급되는 제 1 및/또는 제 2 재료의 양을 제어하는 많은 가능한 방법이 있게 된다.
도 2a에서 도 2c까지는 공급장치의 제 2 실시예(100')를 도시하고 있으며, 상기 공급장치에서 구동 장치는 상기 제 1 실시예의 구동 장치와 비교해서 변경되었다. 이 장치에서 각 구성부품의 대다수는 도 1a에서 도 1c까지 도시된 구성부품과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한 인용번호로 동일시 하며 하기에 다시 설명하지 않고 있다.
공급장치(100') 및 도 1a에서 도 1c까지 도시된 공급장치 사이의 중요한 차이는 상기 공급슈트의 하단부(115)에 대한 구동 장치(127')의 변경에 있다. 도 1a에서 도 1c까지에 따른 상기 구동 장치(127)와 같이, 이 구동 장치는 전기모터(129), 상기 전기모터에 접속된 구동 피니언(131), 및 상기 본체(107) 주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된 기어 림(133)을 구비하고 있지만, 상기 하단부(115)에 대해, 상기 용광로의 내부로 힘의 전송은 다른 방식으로 수행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단이 상기 기어(133)의 하측에 선회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하단이 하부(115)에 용접된 홀더(holder)(143)에 선회가능하게 부착된 2개의 커넥팅로드(141,143)에 의해 실행되고 있다. 출력 샤프트의 피니언이 제거되었기 때문에, 상기 베어링 하우징은 (상기 하단부(115)에 대항하는 기어 림 없는)다른형태를 가지므로 인용번호(117')로 구별하고 있다.
상기 커넥팅로드 장치(141,143) 작동 방식은 도 2a에서 평면 A-A을 따른 단면을 도시한 도 2b에서 명확히 알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 1b와 유사하게) 다시 상기 공급 슈트의 상단부(113)의 2개의 다른 위치가 도시되고 있지만, 하단부의 한 위치만이 상기 상단부의 각 위치에 대해 도시되고 있다. 상기 하단부(115)의 개구는 각 경우 -즉, 상기 상단부(113)의 각 위치에 무관하게- 상기 커넥팅로드(143,145)에 의해 조정되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모터(119)의 작동하에 제 2 회전축 A2를 기준으로 360°회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야 한다.
도 3에서 블록도는 상술한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급 장치가 어떻게 제어되는지를 대략적으로 예시하고 있다.
제어 장치(200)는 작동 메모리(203) 및 프로그램 레지스터(205)와 관련된 처리 컴퓨터(201)를 구비하고 있으며, 전체 용광로 공정 제어는 상기 제어장치 수단에 의해 용광로(101)(이전 도면 참조)에서 매개변수 센서(도시되지 않음)로부터의 신호에 대해서 뿐만 아니라 미리 저장된 데이타 셋트와 프로그램 순서에 대해 수행된다. 상기 처리 컴퓨터(201)로부터 나온 출력은 구동 장치 제어유닛(207) 및 공급 제어유닛(209)으로 보내어 진다.
상기 구동 장치 제어유닛(207)은 상기 슈트의 개구가 상기 용광로의 횡단면에 대해 정확하게 위치되도록 상기 공급슈트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각각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전기모터(121,129)를 제어한다. 상기 상단부 및 하단부에는 각 인디케이터(angle indicators)(211a, 211b)가 각각 제공되어 있다; 상기 각 인디케이터는상기 상단부 및 하단부의 각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공급 제어유닛(209)으로 각위치 신호를 보낸다. 여기서, 상기 위치 신호는 상기 처리 컴퓨터(201)로부터 제어 신호와 함께 처리되어 상기 공급슈트로 제 1 및 제 2 재료의 공급이 상기 처리 컴퓨터에 의해 지정된 공급 외형(feed profile) 및 상기 슈트의 현 위치에 의존하여 제어되도록 유지 플랩(103b, 105b)과 가스밀봉 플랩(109)을 작동시키는 모터(도시되지 않음)를 구동하는 신호를 제공한다. 상기 각 인디케이터(211a, 211b)로부터 발생한 신호 대신에 또는 여기에 부가적으로, 제어 신호(예를 들면, 2개의 구동 장치의 회전속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가 또한 점선 화살표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구동 장치 제어유닛(207)로부터 상기 공급 제어유닛(209)까지 직접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도 4a에서 도 4c까지는 다른 공급장치(300)가 단순한 형태로 도시되고 있다. 각 도면은 본 발명의 구조에 필수적인 몇 가지 요소만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으며 하기 명세서는 또한 이 실시예 및 2가지 이전 실시예 사이의 차이를 명확히 하는 요소에만 관여하고 있다. 도 1a 내지 도 1c 및 도 2a 내지 도 2c에 따른 상기 실시예의 구성부품과 동일한 구성부품은 하기에 다시 설명되지 않고 있다.
상기 공급장치(300)는 공급 펀넬(304,306)에 의해 각 경우에 제 1 및 제 2 저장용기(303, 305)로부터 용광로(301)를 재료들로 장입하도록 한다. 가스밀봉 힌지 플랩(차단밸브)(308,310)은 상기 재료가 상기 관련된 공급 펀넬(304,306)으로 지나가는 각각의 저장용기(303, 305)의 배출구에 제공되어 있다.
밸브 구동 장치(분리하여 도시하지 않음)와 관련 유입제어밸브(유지플랩)(303b,305b)는 상기 펀넬(304,306)의 각 배출관(303a,305a)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관련 구동 장치(분리하여 다시 도시하지 않음)와 함께 가스밀봉 차단밸브(플랩)(309a, 또는 309b)는 상기 펀넬(304,306)의 각각의 배출구 영역 아래에 있다.
관련 구동 장치와 함께 상기 플랩 또는 밸브(303b,305b 및 309a,309b)는 상기 용광로(301)의 상단 표면상에 전체로 이동될 수 있는 컴팩트 밸브 조립품(312)을 형성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상기 용광로(301)의 상단 플랜지(301a)상에 상기 밸브 조립품의 평면 배치를 제공하는 상기 밸브 조립품(312)의 하단 플랜지(312a)는 열 팽창에 대한 신뢰할만한 보상이 보장되도록 열자동 온도조절 압력작동 요소에 의해 밀봉되어 진다. 밸브 조립품 구동 장치(314)의 수단에 의해 상기 밸브 조립품(312)은 상기 용광로(301)의 상단 표면을 따라 이동될 수 있어, 하기에 설명되어지는 상기 밸브 및 공급슈트의 부분을 유지작동 또는 이동하기가 용이하다. 도 4c에서, 상기 밸브 조립품(312)은 위의 상기 용광로(301) 사용동안 점유한 위치에서는 연속선으로 도시되고 측면으로 밀려질 때, 이동된 위치에서는 2점 쇄선으로 도시되고 있다.
상단부(313)와 베어링 하우징(317)에 의해 연결된 하단부(315) 및 관련 구동 장치와 함께 공급슈트(311)의 구조는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예의 구조와 원칙적으로 일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하 상세히 설명하지 않고 있다. 상기 구동 장치(상징적으로 도 4c에서만 도시함)는 전기모터 구동 유닛(319,327)을 구비하고 상단 공급슈트, 즉 공급슈트의 상단부(313)는 기어휠(331)에 의해 직접 구동되는 반면에, 상기 하단부, 즉 하단슈트(315)는 자유롭게 회전하는 이중 기어(333), 출력 샤프트(337), 및 다른 기어휠 또는 피니언(339)에 의해 구동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서 뿐만 아니라,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자의 역량내에서 많은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포함됨.
참조 번호 리스트
100; 100'; 300공급 장치
101, 301용광로(blast furnace)
103, 105; 303, 305저장용기
103a, 105a배출관
103b, 105b; 303b, 305b유지 플랩(재료의 유입을 위한 조절 밸브)
106; 304; 306공급 펀넬(feed funnel)
107; 307본체
107a배출구
109; 309a, 309b가스밀봉 플랩(차단 밸브)
111; 311공급 슈트(feed chute)
113, 313상단부
115, 315하단부
117; 117'; 317베어링 하우징
119, 127; 127'
319, 327구동 장치
121, 129전기모터
123, 131구동 피니언(driving pinion)
125; 133; 133'기어 림(toothed wheel rim)
135, 139; 339피니언(기어휠)
137; 337출력 샤프트(output shaft)
140기어 림
145홀더(holder)
200제어 장치
201처리 컴퓨터
203작동 메모리
205프로그램 레지스터
207구동-장치 제어유닛
209공급 제어유닛
211a, 211b각 인디케이터(angle indicator)
301a(고로의)플랜지(flagne)
308, 310힌지 플랩(hinged flap)(차단 밸브)
312밸브 조립품
312a플랜지(밸브 조립품의)
314밸브 조립품 구동 장치
331기어휠
333이중 기어
A1장축(회전의 제 1 축)
A2회전의 제 2 축

Claims (16)

  1. 거의 수직하게 배향된 제 1 회전축 (A1)을 기준으로 회전 구동될 수 있는 실린더형 본체(107;307)를 구비한 회전슈트(107,111;307,311)와, 제 1 구동장치(119)와, 본체의 배출구(107a)에 고정 부착되고 상기 배출구와 함께 회전될 수 있는 공급슈트(111;311)를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의 저장용기(103,105;303,305)로부터 재료를 고로(101;301)에 장입하기 위한 공급장치(100;100';300)에 있어서,
    상기 공급슈트는 상기 본체의 배출구에 인접하고 상기 제 1 회전축에 대해 소정 각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상단부(113;313)와, 상기 상단부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하단부(115;315)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회전축으로부터 이격된 거의 수직한 제 2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 2 구동 장치(127;127')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용 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 및 하단부(113,115;313,315)는 거의 원단면 또는 타원단면을 갖는 실린더형이며 특히 동일한 직경 또는 동일한 축길이를 가지고 있어 전체적으로 상기 공급슈트(111;311)는 상기 배출구에 소정의 각으로 부착된 2-부분의 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용 공급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 및 하단부(113,115;313,315)는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축이 거의 수직하게 지나는 평면에서 베어링 하우징(117;117';317)에 의해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용 공급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동 장치(127)는 상기 본체(107)의 배출구(107a)를 회전가능하게 둘러싸는 제 1 기어 림(133;133')을 갖는 피니언 및 기어 림의 결합(131,133;133')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용 공급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슈트(111)의 하단부(115)와 맞물린 커넥팅로드 장치(141,143)는 상기 기어 림(133)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용 공급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슈트(111)의 하단부(115)와 맞물리고 상기 하단부에 인접한 일단부에서 비회전적인 방식으로 상기 하단부를 둘러싼 제 2 기어 림(140)과 맞물린 피니언(139)을 가지는 출력 샤프트(137)는 상기 기어 림(133)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용 공급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113) 및 특히 상기 하단부(115)를 또한 갖는 상기 본체(107)는 거의 완전히 360°회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용 공급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필요시 재료를 전달하도록 상기 본체(107;307)를 갖는 유체소통(fluid communication)이 될 수 있는 제 1 및 제 2 재료를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 1 및 제 2 저장용기를 특징으로 하는 고로용 공급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113) 및 상기 하단부(115)의 회전각을 검출하기 위한 투입측의 제 1 및 제 2 각 인티케이터(211a,211b) 및 상기 제 1 및/또는 제 2 저장용기(103,105)와 상기 본체(107) 사이에 상기 유체소통을 야기 또는 차단하기 위한 출력측 플랩 구동 장치에 연결된 공급 제어유닛(209)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용 공급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로에 대해 동기적 또는 비동기적으로 상기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119,127;127')의 분리 제어하기 위한 구동 장치 제어유닛(207)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용 공급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 또는 저장용기들(103,105;303,305) 사이에 재료의 유입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 1 밸브(103b,105b;303b,305b)와 적어도 하나의 제 1 가스밀봉 차단밸브(309;309a,309b)를 갖는 밸브 조립품(312)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용 공급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저장용기에 대한 하나의 공급 펀넬(304,306)은 상기 저장용기 또는 저장용기들(103,105;303,305) 및 상기 밸브 조립품(312) 사이에 제공되어 있고, 재료의 유입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밸브(303b,305b)는 상기 공급 펀넬의 배출구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용 공급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제 2 가스밀봉 차단밸브(308,310)는 관련된 상기 공급 펀넬(304,306)으로 상기 저장용기 또는 각각의 저장용기(303,305)의 배출구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용 공급장치.
  14. 제 11 항 내지 제 1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재료의 유입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 또는 모든 밸브(303b,305b)와 상기 제 1 차단밸브 또는 모든 제 1 차단밸브(309a,309b)와 이들 밸브 각각과 관련된 상기 밸브 구동 장치를 갖는 상기 밸브 조립품(312)은 상기 고로 및 상기 저장용기 또는 저장용기들(303,305)에 대해 전체적으로 이동될 수 있는 유닛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용 공급장치.
  15. 제 11 항 내지 제 1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로(301)의 유입구 플랜지(301a)는 상기 밸브 조립품(312)의 플랜지(312a)에 대해, 특히 열팽창을 보상하는 압력작동 수단으로 밀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용 공급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작동 수단은 수압작동 장치 또는 자동온도조절 압력작동요소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용 공급장치.
KR1020017016659A 1999-06-25 2000-06-23 고로(高爐)용 공급장치 KR1006854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29180A DE19929180C2 (de) 1999-06-25 1999-06-25 Beschickungsvorrichtung für einen Schachtofen
DE19929180.2 1999-06-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5089A true KR20020025089A (ko) 2002-04-03
KR100685462B1 KR100685462B1 (ko) 2007-02-23

Family

ID=7912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6659A KR100685462B1 (ko) 1999-06-25 2000-06-23 고로(高爐)용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1) US6580744B1 (ko)
EP (1) EP1187940B1 (ko)
JP (1) JP4278899B2 (ko)
KR (1) KR100685462B1 (ko)
CN (1) CN1194105C (ko)
AT (1) ATE278037T1 (ko)
AU (1) AU5406400A (ko)
BR (1) BR0011937A (ko)
CA (1) CA2377705C (ko)
CZ (1) CZ298809B6 (ko)
DE (2) DE19929180C2 (ko)
ES (1) ES2230114T3 (ko)
PL (1) PL192919B1 (ko)
RU (1) RU2241183C2 (ko)
SK (1) SK286349B6 (ko)
TR (1) TR200103705T2 (ko)
UA (1) UA73124C2 (ko)
WO (1) WO2001000884A1 (ko)
ZA (1) ZA200110458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8688A (ko) * 2016-11-10 2019-05-29 풀 부르스 에스.에이. 샤프트 노 충전 설비용 밀봉 밸브 장치
KR102299561B1 (ko) * 2020-03-23 2021-09-07 현대제철 주식회사 트리퍼용 공급장치
KR20210128727A (ko) * 2020-04-17 2021-10-27 홍의주 전기로용 내화재 분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409140B (de) * 2000-09-22 2002-05-27 Voest Alpine Ind Anlage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verteilen eines stückigen schüttgutes
DE10334417A1 (de) 2003-06-20 2005-01-05 Z & J Technologies Gmbh Ofenkopf bzw. Gichtverschluß
DE10333569A1 (de) * 2003-07-23 2005-02-17 Z & J Technologies Gmbh Einrichtung zur Verteilung von Schüttgut in wenigstens zwei oberhalb der Gicht eines Hochofens angeordnete Bunker
AT502479B1 (de) * 2005-10-24 2007-04-15 Voest Alpine Ind Anlage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chargieren von einsatzstoffen
EP1811045A1 (en) * 2006-01-20 2007-07-25 Paul Wurth S.A. Multiple hopper charging installation for a shaft furnace
EP1811044A1 (en) * 2006-01-20 2007-07-25 Paul Wurth S.A. Three hopper charging installation for a shaft furnace
EP1870651A1 (en) * 2006-06-21 2007-12-26 Paul Wurth S.A. Charging device for a shaft furnace
KR101052058B1 (ko) * 2009-06-29 2011-07-26 삼영기계공업(주) 다중담파
CN104034173B (zh) * 2009-10-09 2016-03-30 新日铁工程技术株式会社 装入装置
LU92045B1 (en) * 2012-07-18 2014-01-20 Wurth Paul Sa Rotary charging device for shaft furnace
LU92046B1 (en) * 2012-07-18 2014-01-20 Wurth Paul Sa Rotary charging device for shaft furnace
CN102889788B (zh) * 2012-10-16 2014-10-08 连云港市东茂矿业有限公司 还原罐自动定量装仓装置
ITUB20152684A1 (it) * 2015-07-30 2017-01-30 Danieli Off Mecc Dispositivo di distribuzione materiale di carica all?interno di un altoforno
DE102015116066A1 (de) 2015-09-23 2017-03-23 TDCo GmbH Schachtofenbegichtungs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33822C (de) * 1930-04-12 1931-09-18 Fried Krupp Grusonwerk Akt Ges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von Beschickungsvorrichtungen fuer Schachtoefen
DE738584C (de) * 1938-01-04 1943-08-21 Bernhard Osann Jr Dr Ing Beschickungsvorrichtung fuer Schachtoefen, insbesondere Hochoefen
DE868913C (de) * 1943-11-20 1953-03-02 Koelsch Foelzer Werke Ag Begichtungseinrichtung fuer Hochoefen
DE824178C (de) * 1948-11-17 1951-12-10 Dr Francis Paul Somogyi Verfahren zum Betrieb von senkrechten Schachtoefen und Vorrichtung zur Durchfuehrung des Verfahrens
US2753056A (en) * 1951-05-31 1956-07-03 Allied Chem & Dye Corp Charging solids to vessels
DE1169474B (de) * 1959-09-07 1964-05-06 Rheinische Kalksteinwerke Drehbare Begichtungseinrichtung eines fortlaufend mit ebenem Spiegel zu fuellenden Schachtes, insbesondere eines Hochofens
FR2116298B1 (ko) * 1970-12-04 1974-05-24 Wieczorek Julien
LU77547A1 (ko) * 1977-06-16 1977-09-19
JPS57116719A (en) * 1981-01-09 1982-07-20 Nippon Steel Corp Swiveling chute of bell-less type furnace top charger
JPS60182539U (ja) * 1984-05-14 1985-12-04 カヤバ工業株式会社 シミ−ダンパ
JPH0772287B2 (ja) * 1986-10-14 1995-08-02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高炉の原料装入装置
JPH0234710A (ja) * 1988-07-21 1990-02-05 Nippon Steel Corp 高炉原料装入装置のシュート駆動機構
JPH0234711A (ja) * 1988-07-21 1990-02-05 Nippon Steel Corp 高炉原料装入装置のシュート駆動機構
JPH06145731A (ja) * 1992-11-04 1994-05-27 Kawasaki Steel Corp 高炉への原料装入方法及び装置
JP3552257B2 (ja) * 1993-12-24 2004-08-11 Jfeスチール株式会社 堅型炉用ベルレス式炉頂装入装置
LU88456A1 (fr) * 1994-02-01 1995-09-01 Wurth Paul Sa Dispositif de répartition de matières en vrac
DE29515419U1 (de) * 1995-07-14 1995-11-16 Zeisel Peter Dipl Ing Drehschurre zum Beschicken eines Schachtofens
JPH09235604A (ja) * 1996-02-28 1997-09-09 Kawasaki Steel Corp 高炉用ベルレス式炉頂装入装置
US6389054B1 (en) * 2000-12-18 2002-05-14 Sms Demag Inc. Scrap charg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8688A (ko) * 2016-11-10 2019-05-29 풀 부르스 에스.에이. 샤프트 노 충전 설비용 밀봉 밸브 장치
KR102299561B1 (ko) * 2020-03-23 2021-09-07 현대제철 주식회사 트리퍼용 공급장치
KR20210128727A (ko) * 2020-04-17 2021-10-27 홍의주 전기로용 내화재 분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5406400A (en) 2001-01-31
SK19032001A3 (sk) 2002-06-04
DE19929180A1 (de) 2001-01-04
DE50008008D1 (de) 2004-11-04
US6580744B1 (en) 2003-06-17
SK286349B6 (en) 2008-07-07
CA2377705C (en) 2008-04-15
CZ20014475A3 (cs) 2002-05-15
UA73124C2 (uk) 2005-06-15
EP1187940A1 (de) 2002-03-20
RU2241183C2 (ru) 2004-11-27
PL353182A1 (en) 2003-11-03
ATE278037T1 (de) 2004-10-15
CN1194105C (zh) 2005-03-23
PL192919B1 (pl) 2006-12-29
WO2001000884A1 (de) 2001-01-04
JP2003503600A (ja) 2003-01-28
BR0011937A (pt) 2002-03-19
CZ298809B6 (cs) 2008-02-13
DE19929180C2 (de) 2001-08-09
ES2230114T3 (es) 2005-05-01
JP4278899B2 (ja) 2009-06-17
CN1358234A (zh) 2002-07-10
CA2377705A1 (en) 2001-01-04
KR100685462B1 (ko) 2007-02-23
EP1187940B1 (de) 2004-09-29
TR200103705T2 (tr) 2002-07-22
ZA200110458B (en) 2002-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25089A (ko) 고로(高爐)용 공급장치
CA1168442A (en) Charging installation for a shaft furnace
CN102272336B (zh) 下密封阀单元及有该单元的顶部加料系统、竖炉和鼓风炉
CN104034173B (zh) 装入装置
US4844292A (en) Mechanism for actuating an opening and shut-off valve
JPS61264113A (ja) 高炉用材料仕込装置
AU598821B2 (en) Device for closing a top central opening of a vessel, and its application to a storage hopper in a shaft furnace charging installation
SU1597106A3 (ru) Система дозировани сыпучих материалов 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шахтной печи
EP2307578A1 (en) Lower sealing valve assembly for a shaft furnace charging installation and valve actuation mechanism therefore
CN101103258B (zh) 用于散料的重力计量装置
US4893735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hydraulic jacks mounted on a rotary hopper
EP2318554B1 (en) A charging installation for a shaft furnace and lower sealing valve assembly therefore
KR20150032587A (ko) 고로용 회전식 장입 장치
CN109641732A (zh) 填充系统
US4949940A (en) Charging arrangement for shaft furnaces, in particular blast furnaces
US3693952A (en) Adjustable impact casing for a shaft furnace
JPH07109032A (ja) スクレーパ式テーブルフィーダ
US4559972A (en) Valve for use in gasification reactor
RO121037B1 (ro) Procedeu şi dispozitiv pentru introducerea materialelor în vrac într-un vas metalurgic
JPH04165008A (ja) ベル式高炉のコークス炉芯装入装置
JPH09296206A (ja) 炉頂装入装置
JPS63100114A (ja) 竪型炉の原料装入装置
JPS5821193B2 (ja) カバ−付炉に原料をガス密供給する装置
JPS58488B2 (ja) 溶鉱炉の炉頂装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