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11584A - 시클로옥시게네이즈-2 저해제로서의4,5-디아릴-3(2h)-퓨라논 유도체 - Google Patents

시클로옥시게네이즈-2 저해제로서의4,5-디아릴-3(2h)-퓨라논 유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11584A
KR20010111584A KR1020017012902A KR20010712902A KR20010111584A KR 20010111584 A KR20010111584 A KR 20010111584A KR 1020017012902 A KR1020017012902 A KR 1020017012902A KR 20010712902 A KR20010712902 A KR 20010712902A KR 20010111584 A KR20010111584 A KR 200101115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enyl
furanone
dimethyl
methylsulfonyl
aminosulfon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2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송석
노민수
변영주
최진규
김진관
임경민
김지영
최영훈
하준용
이기화
모주현
정연수
정신
주영협
이창훈
강선화
박영호
이정범
Original Assignee
서경배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90013170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00066223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90029779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10010728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90039043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10027342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00016866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10094519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00017647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10094161A/ko
Application filed by 서경배, 주식회사 태평양 filed Critical 서경배
Publication of KR20010111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1584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40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5/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0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07/77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07/78Benzo [b] furans; Hydrogenated benzo [b] fur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0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0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07/3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307/5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307/58One oxygen atom, e.g. butenol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0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0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07/3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307/5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307/64Sulfur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0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07/9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spiro-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e.g. griseofulv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5/00
    • C07D40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7/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0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9/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 C07D49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93/10Spiro-condensed syste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heu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Psychiat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Furan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Oxygen Or Sulfu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새로운 계열의 4,5-디아릴-3(2H)-퓨라논 유도체를 제공하며, 이는 COX-1에 대하여 COX-2를 선택적으로 강력히 저해한다. 이들 화합물들은 염증, 염증관련 질병 및 COX-2를 매개로 하는 질병들을 치료하는데 유용하다.

Description

시클로옥시게네이즈-2 저해제로서의 4,5-디아릴-3(2H)-퓨라논 유도체{4,5-Diaryl-3(2H)-furanone derivatives as cyclooxygenase-2 inhibitors}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s)은 염증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프로스타글란딘은 시클로옥시게네이즈에 의하여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으로부터 생성되며, 시클로옥시게네이즈에 의한 프로스타글란딘의 합성을 저해, 특히 PGE2, PGG2및 PGH2의 합성을 저해하여 염증을 치료하게 된다.
최소한 두 종류 이상의 시클로옥시게네이즈, 시클로옥시게네이즈-1 (이하 "COX-1"로 약칭) 및 시클로옥시게네이즈-2 (이하 "COX-2"로 약칭)가 존재한다. COX-1은 본질적으로 위장관 및 신장에 존재하며, 위장관 무결성 및 신장의 기능과같은 생리적 항상성(homeostasis)을 유지시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COX-1의 활성 저해는 위장관에 궤양 및 출혈과 같은 생명을 위협하는 독성을 유발시킬 수 있다. 반면, COX-2는 염증성 자극에 의하여 유도되며, 염증을 진행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COX-1에 대한 COX-2의 선택적 저해는 위장관 독성을 유발함 없이 염증 및 염증에 수반되는 질환들의 치료에 유용하다.
인도메타신(indomethacin), 나프록센(naproxen), 케토프로펜(ketoprofen), 이부프로펜(ibuprofen), 피록시캄(piroxicam), 디클로페낙(diclofenac) 등의 통상적인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SAID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들은, COX-1과 COX-2 모두를 저해하여 항염증 효능뿐만 아니라 위장관 독성을 함께 나타낸다. 게다가, 이들은 COX-1 저해로 인해 발생하는 출혈 및 궤양의 치명적인 위장관 독성을 가지고 있어, 임상적 용도가 한정된다. 따라서, COX-2 선택적 저해제는 통상적인 NSAIDs의 장기간 사용시 빈번히 발생하는 위장관 독성을 가지지 않는 항염증 치료제로써 사용될 수 있다.
COX-2 저해제는 항-염증, 진통 및 해열 효능 외에도, 광범위한 치료범위를 가지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예를 들어, COX-2의 저해는 어떤 종류의 암, 특히 대장암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J. Clin. Invest.100, 1 (1997)]. 또한 COX-2 저해제는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과 같은 만성적 퇴행성 신경질환의 치료에도 적용될 수 있다 [Neurology48, 626 (1997)]. COX-2의 저해는 뇌졸중을 수반하는 경색 부위(infarct volume)를 감소시키는데 유용하다 [J. Neuroscience17, 2746 (1997)].
최근 2가지 COX-2 선택적 항염증제인, 셀레콕시브(celecoxib)와 로페콕시브(rofecoxib)가 관절염 적응증에 대한 진료에 사용되었다. 셀레콕시브와 로페콕시브는 COX-2 선택성을 가지지 않는 통상적인 NSAIDs와 비교하여, 항염증 효능을 나타낸다. 반면, 이들 약물들은 COX-1에 대한 COX-2의 선택성을 가지지 않는 통상적인 NSAIDs에 비하여, 현저히 낮은 위장관 독성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COX-2 선택적 저해 그 자체만으로도 충분한 항-관절염 효능를 나타낼 수 있으며, COX-2 선택성을 가지지 않는 통상적 NSAIDs와 관련한 위-장관 독성은 특히, COX-1의 저해로 인한 것이다.
cis-1,2-디아릴-알켄(cis-1,2-Diaryl-alkenes) 또는 이의 구조적 등가물들은, COX-1에 대하여 COX-2를 선택적으로 저해하는 약물특이분자단(pharmacophore)으로 알려져 있다 [Ann. Rep. Med. Chem.32, 211 (1997)]. 셀레콕시브와 로페콕시브의 경우, 피라졸(pyrazole) 및 2(5H)-퓨라논[2(5H)-furanone]은 각각 그 중심 골격(scaffold)에 해당된다.
셀레콕시브 로페콕시브
cis-알켄 약물특이분자단에 대하여 적절한 중심골격을 사용함으로써, 시험관내(in vitro) 및 생체내(in vivo) 둘 모두에서 투여 방법, 일일 투여량, 조직 분포 특성에 따른 진료상 적응증, 안전성 양상과 같은 저해제 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COX-2 저해제에 대한 중심골격으로써 3(2H)-퓨라논을 사용하였다. 3(2H)-퓨라논 유도체들은 녹내장(glaucoma) 치료용으로 제조었으나 [EP 0737 476 A2], 3(2H)-퓨라논 유도체들이 COX-2 저해제로 사용되었던 전례는 없다. 또한, 4,5-디아릴-3(2H)-퓨라논 유도체들에 대하여 보고된 바도 없다.
여기서 개시되는 4,5-디아릴-3(2H)-퓨라논 유도체들은, COX-1에 대하여 COX-2 만을 선택적으로 저해하여 염증 효과를 경감시킨다. 본 발명의 4,5-디아릴-3(2H)-퓨라논 유도체들은 COX-1에 대한 실제적인 저해를 나타내지 않으며, 결과 위장관 부작용의 감소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4,5-디아릴-3(2H)-퓨라논 유도체들은, 통상적인 NSAIDs와 비교하여 현저히 감소된 위장관 부작용을 가지는 항-염증 물질로써 유용하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선택적인 시클로옥시게네이즈-2 저해제로서의 4,5-디아릴-3(2H)-퓨라논 유도체들, 이들 유도체들의 제조방법, 그리고 염증의 치료 및 염증관련 질환의 치료를 위한 이들 유도체들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10 ㎎/㎏ 체중으로 경구투여한 실시예 393에 대한 약동력학(pharmacokinetics)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새로운 계열의, 유효한 COX-2 선택적 저해제들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COX-2 선택적 저해제로서, 식 (I)의 새로운 계열의 3(2H)-퓨라논 유도체들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이들의 염을 제공한다:
(1)
식중,
X는 할로, 히드리도, 또는 알킬기이며;
Y는 알킬설포닐, 아미노설포닐, 알킬설피닐, (N-아실아미노)설포닐, (N-알킬아미노)설포닐, 또는 알킬티오 기이며;
Z 는 산소 또는 황 원자이며;
R1및 R2는 저급 알킬기 중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혹은 3(2H)-퓨라논 고리의 2번 위치 탄소에 함께 연결되어 4- 내지 6-원의 지방족- 또는 헤테로-고리를 형성하며; 그리고, AR은 치환되거나 또는 치환되지 않은 5 내지 10의 원자들로 이루어진 방향족 기이다.
본 발명은 더 나아가 식 (I)의 3(2H)-퓨라논 유도체들의 제조방법들을 제공한다.
염증 및 염증관련 질병들의 치료에 유용한, 새로운 계열의 4,5-디아릴-3(2H)-퓨라논 유도체들,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이들의 염은 식 (I)에 의해 정의된다:
(1)
식중,
X 는 할로, 히드리도 또는 알킬기이며;
Y는 알킬설포닐, 아미노설포닐, 알킬설피닐, (N-아실아미노)설포닐, (N-알킬아미노)설포닐 또는 알킬티오 기이며;
Z 는 산소 또는 황 원자를 나타내며;
R1및 R2는 저급 알킬기 중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혹은 3(2H)-퓨라논 고리의 2번 위치 탄소에 함께 연결되어, 4- 내지 6-원의 지방족- 또는 헤테로-고리를 형성하며; 그리고, AR은 치환되거나 또는 치환되지 않은 5 내지 10의 원자로 이루어진 방향족 기이다.
본 발명의 4,5-디아릴-3(2H)-퓨라논 유도체들은, COX-1에 대하여 COX-2만을 선택적으로 저해하여, 결과 통상적인 NSAIDs와 비교하여 경감된 위장관 독성을 가지며, 염증 및 염증관련 질병들을 치료하는데 유용하다.
식 (I)의 화합물들은, 염증, 통증 및 발열의 완화에 유용하나, 이것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식 (I)의 화합물들은 관절염으로 인한 통증 및 염증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관절염으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류마티스성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척추성 관절염(spondyloarthopathies), 통풍(gout), 골관절염(osteoarthritis),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systemic lupus erythematosus) 및 유년기 관절염(juvenile arthritis)을 포함한다. 식 (I)의 화합물들은, 통증 완화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통증으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두통, 치통, 월경불순, 신경통 및 목이나 요추 등의 통증 증상들을 포함한다. 식 (I)의 화합물들은 바이러스성 감염 등에 수반되는 증상을 경감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바아러스성 감염으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감기나, 인플루엔자를 포함한다. 식 (I)의 화합물들은 염증성 증상을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염증성 증상으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근육염(myositis), 치은염(gingivitis), 활막염(synovitis), 강직성 척추염(ankylosing spondylitis), 활액낭염(burstitis), 화상(burns) 및 상처 등을 포함한다. 식 (I)의 화합물들은 외과 및 치과 수술 후의 통증과 염증을 완화시키는데 유용하다. 이러한 화합물들은 건선(psoriasis), 습진(eczema) 및 피부염(dermatitis)을 치료하는데 유용하다. 식 (I)의 화합물들은 질환에 수반되는 염증성 증상을 치료하는데 유용할 수 있으며, 상기 질환으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염증성 대장질환(inflammatory bowel disease), 크론병(Crohn's disease), 제 1형 당뇨병(Type I diabetes)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화합물들은 시클로옥시게네이즈-매개로 하는 어떤 암들의 성장을 억제하는데 유용하며, 상기 시클로옥시게네이즈-매개로 하는 암으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대장암을 포함한다. 식 (I)의 화합물들은 뇌졸중에 수반하는 재관류성 손상(reperfusion injury)의 경색 부위를 감소시키는데 유용하다. 이러한 화합물들은 염증성 증상을 완화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염증성 증상으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천식(asthma) 및 기관지염(bronchitis)등을 포함한다. 식 (I)의 화합물들은 알츠하이머병을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질환을 치료하는데 유용하다. 이러한 화합물은 당뇨병에 수반된 망막증(retinopathy)의 치료에 유용하며, 시클로옥시게네이즈-매개로 하는 혈관생성(angiogenesis)에 관계한다.
COX-1에 대하여 높은 COX-2 선택성으로 인해 식 (I)의 화합물들은 통상적인NSAIDs와 비교하여, 궤양 및 출혈과 같은 위장관의 부작용을 현저히 감소시킨다. 따라서, 식 (I)의 화합물들은 통상적인 NSAIDs 보다 훨씬 안전한 대체물로써 이용될 수 있다. 식 (I)의 화합물들은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소, 양, 개, 말 등을 포함하는 동물뿐만 아니라, 사람의 치료에도 유용하다.
식 (I)의 화합물들은 다른 항-염증제와 병용할 수 있으며, 이들 항-염증제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스테로이드나 아스피린, 아세트아미노펜, 디클로페낙, 인도메타신, 이부프로펜 등과 같은 통상적인 NSAIDs를 포함한다. 식 (I)의 화합물들은 다양한 종류의 치료제와 병용될 수 있으며, 이들 치료제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H2-길항제(H2-antagonist), ACE 저해제 등의 항-고혈압제나 프로스타글란딘, 항-히스타민, 메토트렉세이트(methotrexate)등의 면역-조절제 및 항-응고제(anti-coagulant) 등을 포함한다.
식 (I)의 화합물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투여될 수 있으며, 상기 다양한 방법으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경구, 정맥, 피하, 국소 투약 등을 포함한다. 식 (I)의 화합물들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제와 함께 투약될 수 있으며, 이들 보조제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구연산, 염산, 염화나트륨, 타르타르산(tartaric acid), 스테아린산, 녹말, 젤라틴, 탈크, 참기름, 아스코르빈산, 올리브유, 야자유, 메틸셀룰로오스, 소듐 카르복시메틸셀룰오스,폴리에틸렌글리콜(PEG), 폴리프로필렌글리콜, 감미료, 방부제, 에탄올, 티타늄옥사이드, 중탄산나트륨, 대두 레시틴(soybean lecithin) 등을 포함한다. 식 (I)의 화합물들은 다양한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제형으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정제, 분말, 과립, 경질캡슐, 연질캡슐, 경구용 현탁액, 흡입용 분무액, 주사액 등을 포함한다.
식 (I)의 화합물들은, 화합물 중 염기나 산기의 존재 여부에 따라, 당량의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염산, 메탄설폰산, 구연산 등과 같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적절한 산이나 염기로 상기 화합물을 중화시킴으로서,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 변환될 수 있다.
식 (I)의 화합물들은, 환자의 적응증, 증상 또는 상태에 따라 0.1 내지 100 mg/kg 체중의 1일 투여량으로 사람에게 투여될 수 있다. 그러나, 류마티스성 관절염과 같은 염증성 적응증에 대한 식 (Ⅰ)의 화합물의 바람직한 1일 투여량은, 0.1 내지 10 mg/kg 체중의 범위이다. 식 (I)의 화합물들은, 1일 1회, 1일 2회, 1일 3회 등과 같이 다양한 스케쥴로 투여할 수 있으나, 이들 투여 스케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한 계열의 화합물들은, 식 (I)의 화합물들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이들의 염을 포괄하며;
식중,
X는 할로, 히드리도 및 저급 알킬 중에서 선택되며;
Y는 (저급 알킬)설포닐, 아미노설포닐, (저급 알킬)설피닐, (저급 N-아실아미노)설포닐, (저급 N-알킬아미노)설포닐 및 (저급 알킬)티오 중에서 선택되며;
Z는 산소 및 황 원자 중에서 선택되며;
R1및 R2는 저급 알킬기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또는 R1및 R2는 3(2H)-퓨라논 고리의 2번 탄소에 함께 연결되어 고리를 형성하는 펜틸리데닐(pentylidenyl: -CH2-CH2-CH2-CH2-), 헥실리데닐(hexylidenyl: -CH2-CH2-CH2-CH2-CH2-), 4-테트라히드로-(4H)-피라닐리데닐(4-tetrahydro-(4H)-Pyranylidenyl: -CH2-CH2-O-CH2-CH2-), 3-테트라히드로퓨라닐리데닐(3-tetrahydrofuranylidenyl: -CH2-O-CH2-CH2-), 또는 3-옥세타닐리데닐(3-oxetanylidenyl : -CH2-O-CH2-) 이며; 그리고, AR은 치환되거나 또는 치환되지 않은 5 내지 10의 원자로 이루어진 방향족 기로, 하기의 기들을 포괄하는 방향족 기로부터 선택되나, 이들 방향족 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식중, R3내지 R7은존재시, 각각 히드리도, 할로, 알킬, 할로알킬, 알콕시, 할로알콕시, 아실, 니트로, 아미노, N-알킬아미노, N,N-디알킬아미노, N-아실아미노, (할로아실)아미노, 포르밀, 시아노, 아지도, 히드록시, 알킬티오, 알킬설포닐, 페닐, 알콕시알킬 및 히드록시알킬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혹은 R3내지 R7중의 인접한 두 기가 서로 연결되어 메틸렌디옥시를 형성하며; 그리고
R8내지 R19은 존재시, 각각 히드리도, 할로, 알킬, 아실, 할로알킬, 알콕시, 포르밀, 시아노, 니트로, 아미노, 아지도 및 N-아실아미노 중에서 선택된 것이다.
특히 바람직한 계열의 화합물들은, 식 (I)의 화합물들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이들의 염을 포괄하며;
식중,
X는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히드리도, 메틸, 에틸 및 n-프로필 중에서 선택되고;
Y는 메틸설포닐, 에틸설포닐, n-프로필설포닐, 아미노설포닐, 메틸설피닐, 에틸설피닐, n-프로필설피닐, (N-아세틸아미노)설포닐, (N-프로피오닐아미노)설포닐, (N-부티릴아미노)설포닐, (N-메틸아미노)설포닐, (N-에틸아미노)설포닐, 메틸티오, 에틸티오 및 n-프로필티오 중에서 선택되며;
Z는 산소 및 황 원자 중에서 선택되고;
R1및 R2는 메틸 및 에틸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혹은 R1및 R2는 3(2H)-퓨라논 고리의 2번 탄소에 함께 연결되어 고리를 형성하는 펜틸리데닐(-CH2-CH2-CH2-CH2-), 헥실리데닐(-CH2-CH2-CH2-CH2-CH2-), 4-테트라히드로-(4H)-피라닐리데닐(-CH2-CH2-O-CH2-CH2-), 3-테트라히드로퓨라닐리데닐(-CH2-O-CH2-CH2-) 및 3-옥세타닐리데닐(-CH2-O-CH2-) 이며;
R3내지 R7은 존재시, 각각 히드리도,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t-부틸, n-펜틸, 이소펜틸, 플루오로메틸, 디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틸, 2-플루오로에틸, 1-플루오로에틸, 2,2-디플루오로에틸, 1,2-디플루오로에틸, 1,1-디플루오로에틸, 2,2,2-트리플루오로에틸, 메톡시, 에톡시, n-프로필옥시, 이소프로필옥시, n-부톡시, 트리플루오로메톡시, 디플루오로메톡시, 플루오로메톡시, 아세틸, 프로피오닐, n-부타노일, 이소부타노일, n-펜타노일, 니트로, 아미노, N-메틸아미노, N-에틸아미노, N-n-프로필아미노, N,N-디메틸아미노, N-아세틸아미노, N-프로피오닐아미노, N-(트리플루오로아세틸)아미노, 포르밀, 히드록시, 메틸티오, 에틸티오, n-프로필티오, 메틸설포닐, 에틸설포닐, n-프로필설포닐, 페닐, 히드록시메틸, 1-히드록시에틸 및 2-히드록시에틸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혹은 R3내지 R7중의 인접한 두 기가 서로 연결되어 메틸렌디옥시를 형성하며; 그리고, R8내지 R19는존재시, 각각 히드리도,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아세틸, 프로피오닐, 메톡시, 에톡시, 이소프로필옥시, n-프로필옥시 및 포르밀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식 (I)중에서 가장 바람직한 하위계열의 화합물들은, 식 (II)의 화합물들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이들의 염이며;
(Ⅱ)
식중,
Y는 알킬설포닐, 아미노설포닐, 알킬설피닐, (N-아실아미노)설포닐, (N-알킬아미노)설포닐 또는 알킬티오이고;
Z는 산소 또는 황 원자이며;
R1및 R2는 저급 알킬기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그리고,
R3내지 R7은 존재시, 각각 히드리도, 할로, 알킬, 할로알킬, 알콕시, 할로알콕시, 아실, 니트로, 아미노, N-알킬아미노, N,N-디알킬아미노, N-아실아미노, N-(할로아실)아미노, 포르밀, 시아노, 아지도, 히드록시, 알킬티오, 알킬설포닐, 페닐, 알콕시알킬 및 히드록시알킬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혹은 R3내지 R7중의 인접한 두 기가 서로 연결되어 메틸렌디옥시를 형성한다.
바람직한 계열의 화합물들은, 식 (Ⅱ)의 화합물들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이들의 염을 포함하며;
식중,
Y는 (저급 알킬)설포닐, 아미노설포닐, (저급 알킬)설피닐, (저급 N-아실아미노)설포닐, (저급 N-알킬아미노)설포닐 및 (저급 알킬)티오 중에서 선택되고;
Z는 산소 및 황 원자 중에서 선택되며;
R1및 R2는 메틸 및 에틸 기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그리고,
R3내지 R7은 존재시, 각각 히드리도, 할로, 저급 알킬, 저급 할로알킬, 저급 알콕시, 저급 할로알콕시, 저급 아실, 니트로, 아미노, 저급 N-알킬아미노, 저급N,N-디알킬아미노, 저급 N-아실아미노, (저급 할로아실)아미노, 포르밀, 시아노, 아지도, 히드록시, 저급 알킬티오, 저급 알킬설포닐, 페닐, 저급 알콕시알킬 및 저급 히드록시알킬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혹은 R3내지 R7중의 인접한 두 기가 서로 연결되어 메틸렌디옥시를 형성한다.
특히 바람직한 계열의 화합물들은, 식 (II)의 화합물들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이들의 염을 포괄하며;
식중,
Y는 메틸설포닐, 아미노설포닐, 메틸설피닐, (N-아세틸아미노)설포닐, (N-프로피오닐아미노)설포닐, (N-부티릴아미노)설포닐, (N-메틸아미노)설포닐, (N-에틸아미노)설포닐 및 메틸티오 중에서 선택되고;
Z는 산소 및 황 원자 중에서 선택되며;
R1및 R2는 메틸 및 에틸 기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그리고,
R3내지 R7은 존재시, 각각 히드리도,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t-부틸, n-펜틸, 이소펜틸, 플루오로메틸, 디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틸, 1-플루오로에틸, 2,2,2-트리플루오로에틸, 메톡시, 트리플루오로메톡시, 디플루오로메톡시, 플루오로메톡시, 아세틸, 프로피오닐, n-부타노일, 이소부타노일, n-펜타노일, 니트로, 아미노, N,N-디메틸아미노, N-아세틸아미노, N-프로피오닐아미노, 포르밀, 히드록시, 메틸티오, 에틸티오, n-프로필티오, 메틸설포닐, 에틸설포닐, n-프로필설포닐, 페닐, 히드록시메틸, 1-히드록시에틸 및 2-히드록시에틸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혹은 R3내지 R7중의 인접한 두 기가 서로 연결되어 메틸렌디옥시를 형성한다.
(II) 중에서 특히 바람직한 일군의 화합물들은, 다음과 같은 화합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이들의 염을 포함한다:
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4-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2-플루오로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3-플루오로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4-플루오로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3-플루오로-4-페닐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2,4-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2,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3,4-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2-클로로페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3-클로로페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4-클로로페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3-클로로-5-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4-클로로-3-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2,4-디클로로페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3,4-디클로로페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3,5-디클로로페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4-브로모페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3-브로모페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2-메틸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3-메틸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4-메틸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4-에틸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4-(4-n-프로필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3-이소프로필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4-이소프로필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3-플루오로-4-이소프로필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3-클로로-4-이소프로필페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4-n-부틸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4-t-부틸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4-플루오로-2-메틸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5-플루오로-2-메틸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3-플루오로-4-메틸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2-메톡시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3-메톡시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4-메톡시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2-히드록시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3-히드록시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4-히드록시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2,4-디메톡시페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3,4-디메톡시페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3,4-메틸렌디옥시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3,5-디메틸-4-메톡시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3,4-디메틸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3-플루오로-4-메톡시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3-플루오로-4-히드록시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4-{4-(메틸티오)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4-(에틸티오)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5-디-{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4-(에틸설포닐)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3-(플루오로메틸)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4-(플루오로메틸)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3-(디플루오로메틸)페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4-(디플루오로메틸)페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4-{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3-플루오로-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3-클로로-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4-아세틸-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3-아세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4-{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3,5-디-(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4-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4-(3-니트로페닐)-3(2H)-퓨라논;
4-(3-아미노페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4-(N,N-디메틸아미노)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2-포르밀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3-포르밀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4-포르밀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3-(아세틸아미노)페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3-아세틸페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4-아세틸페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4-비페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4-(1-히드록시에틸)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4-(1-히드록시메틸)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4-(메틸설피닐)페닐}-4-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3-플루오로페닐)-5-{4-(메틸설피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4-플루오로페닐)-5-{4-(메틸설피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3,5-디플루오로페닐)-5-{4-(메틸설피닐)페닐}-3(2H)-퓨라논;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4-(메틸설피닐)페닐}-3(2H)-퓨라논;
4-(3-클로로-5-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4-(메틸설피닐)페닐}-3(2H)-퓨라논;
4-(3-클로로페닐)-2,2-디메틸-5-{4-(메틸설피닐)페닐}-3(2H)-퓨라논;
4-(4-t-부틸페닐)-2,2-디메틸-5-{4-(메틸설피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2-플루오로페닐)-5-{4-(메틸설피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3-플루오로페닐)-5-{4-(메틸티오)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4-(메틸티오)페닐}-4-페닐-3(2H)-퓨라논;
4-(3-클로로페닐)-2,2-디메틸-5-{4-(메틸티오)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4-(메틸티오)페닐}-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4-(메틸설피닐)페닐}-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3-플루오로-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4-(메틸설피닐)페닐}-3(2H)-퓨라논;
4-{3-클로로-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2,2-디메틸-5-{4-(메틸설피닐)페닐}-3(2H)-퓨라논;
4-{3-아세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2,2-디메틸-5-{4-(메틸설피닐)페닐}-3(2H)-퓨라논;
4-{4-아세틸-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2,2-디메틸-5-{4-(메틸설피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4-(메틸티오)페닐}-4-(4-니트로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4-메톡시페닐)-5-{4-(메틸티오)페닐}-3(2H)-퓨라논;
4-(2,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4-(메틸티오)페닐}-3(2H)-퓨라논;
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4-(메틸티오)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4-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4-(3-클로로-5-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4-(3-클로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4-(3,4-디클로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4-(3,5-디클로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3-플루오로-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4-{3-클로로-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4-{3-아세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4-{4-아세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3-메틸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3-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4-(2,4-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3,4-디메틸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4-(2,4-디메톡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4-(3,4-디메톡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4-(3-아세틸페닐)-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4-(3-아세틸-5-클로로페닐)-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4-(3-아세틸-4-클로로페닐)-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4-(3-아세틸-4-플루오로페닐)-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4-(3-아세틸-5-플루오로페닐)-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3-메톡시페닐)-3(2H)-퓨라논;
4-(4-아세틸페닐)-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4-(4-아세틸-3-클로로페닐)-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4-(4-아세틸-3-플루오로페닐)-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4-(4-아세틸-3-브로모페닐)-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4-{4-(아세틸아미노)페닐}-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2-메틸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4-(3,4-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4-메틸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3,4-(메틸렌디옥시)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4-(4-클로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4-(메틸티오)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3-플루오로-4-페닐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4-(4-브로모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5-이소프로필-2-메톡시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5-이소프로필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4-(에틸티오)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2-메톡시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4-(4-n-부틸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4-(3,5-디클로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3,4,5-트리메톡시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4-히드록시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4-플루오로-3-메톡시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3,5-디메틸-4-메톡시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4-에틸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3-페닐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2-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4-(3-아미노페닐)-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4-(2,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3-니트로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5-플루오로-2-메틸페닐)-3(2H)-퓨라논;
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4-페닐-3(2H)-퓨라논;
2-에틸-4-(4-플루오로페닐)-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에틸-4-(3-플루오로페닐)-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3-클로로페닐)-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에틸-4-(2-플루오로페닐)-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4-아세틸페닐)-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4-아세틸-3-클로로페닐)-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4-아세틸-3-플루오로페닐)-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4-아세틸-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3,5-디플루오로페닐)-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3,4-디플루오로페닐)-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3-클로로-5-플루오로페닐)-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3,5-디클로로페닐)-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에틸-4-(4-메톡시페닐)-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에틸-2-메틸-4-(4-메틸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에틸-2-메틸-4-(3-메틸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2H)-퓨라논;
4-(3-아세틸페닐)-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3-아세틸-4-플루오로페닐)-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3-아세틸-4-플루오로페닐)-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3-(아세틸아미노)페닐}-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에틸-2-메틸-4-{3,4-(메틸렌디옥시)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4-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5-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에틸-4-{5-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에틸-4-(4-에틸페닐)-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에틸-4-(3-메톡시페닐)-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에틸-4-(3-이소프로필페닐)-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에틸-4-(4-이소프로필페닐)-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에틸-4-(3-플루오로-4-이소프로필페닐)-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에틸-4-(5-플루오로-4-이소프로필페닐)-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3-클로로-4-이소프로필페닐)-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4-t-부틸페닐)-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4-(4-n-프로필페닐)-3(2H)-퓨라논;
4-(4-n-부틸페닐)-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3,4-디메틸페닐)-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3,4-디클로로페닐)-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3-아미노페닐)-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3-(디플루오로메틸)페닐}-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에틸-4-{4-(플루오로메틸)페닐}-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4-클로로페닐)-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4-{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2H)-퓨라논;
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4-{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3(2H)-퓨라논;
4-(4-클로로-3-플루오로페닐)-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에틸-4-(4-플루오로-2-메틸페닐)-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에틸-4-(5-플루오로-2-메틸페닐)-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3,4-디메톡시페닐)-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3,5-디메톡시페닐)-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에틸-4-(5-플루오로-2-메틸페닐)-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에틸-4-(3-플루오로-4-메톡시페닐)-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3,5-디플루오로페닐)-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3,5-디클로로페닐)-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3,5-디메틸-4-메톡시페닐)-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4-(3,4,5-트리메톡시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에틸-2-메틸-4-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에틸-4-(4-플루오로페닐)-2-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에틸-4-(3-플루오로페닐)-2-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에틸-2-메틸-4-(3-메틸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4-(3-클로로페닐)-2-에틸-2-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4-(4-클로로페닐)-2-에틸-2-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에틸-2-메틸-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에틸-2-메틸-4-{3-플루오로-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3-클로로-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2-에틸-2-메틸-4-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에틸-2-메틸-4-{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4-(3,5-디플루오로페닐)-2-에틸-2-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4-(3,5-디클로로페닐)-2-에틸-2-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4-(3,4-디플루오로페닐)-2-에틸-2-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에틸-4-(3-메톡시페닐)-2-메틸-3(2H)-퓨라논;
4-(4-아세틸페닐)-5-{4-(아미노설포닐)페닐}-2-에틸-2-메틸-3(2H)-퓨라논;
4-(4-아세틸-3-클로로페닐)-5-{4-(아미노설포닐)페닐}-2-에틸-2-메틸-3(2H)-퓨라논;
4-(4-아세틸-3-플루오로페닐)-5-{4-(아미노설포닐)페닐}-2-에틸-2-메틸-3(2H)-퓨라논;
4-{4-아세틸-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4-(아미노설포닐)페닐}-2-에틸-2-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에틸-4-(4-플루오로-3-메톡시페닐)-2-메틸-3(2H)-퓨라논;
2,2-디에틸-5-{4-(메틸설포닐)페닐}-4-페닐-3(2H)-퓨라논;
2,2-디에틸-4-(3-플루오로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3-클로로페닐)-2,2-디에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에틸-4-(3-메틸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에틸-4-(3-메톡시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에틸-5-{4-(메틸설포닐)페닐}-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2H)-퓨라논;
2,2-디에틸-4-{3-플루오로-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3-클로로-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2,2-디에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에틸-4-(4-플루오로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4-클로로페닐)-2,2-디에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에틸-4-(4-메틸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에틸-4-(4-메톡시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에틸-5-{4-(메틸설포닐)페닐}-4-{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2H)-퓨라논;
4-(4-아세틸-3-클로로페닐)-2,2-디에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4-아세틸페닐)-2,2-디에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4-아세틸-3-플루오로페닐)-2,2-디에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4-아세틸-2-클로로페닐)-2,2-디에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4-아세틸-2-플루오로페닐)-2,2-디에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에틸-4-(3,4-디플루오로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에틸-4-(3,5-디플루오로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에틸-4-(2,5-디플루오로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3-클로로-5-플루오로페닐)-2,2-디에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에틸-4-(3,4-디메톡시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에틸-5-{4-(메틸설포닐)페닐}-4-(4-n-프로필페닐)-3(2H)-퓨라논;
2,2-디에틸-4-(2,4-디플루오로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4-t-부틸페닐)-2,2-디에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에틸-4-(3,4-디메틸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에틸-4-(4-이소프로필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3-아세틸페닐)-2,2-디에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2,2-디에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에틸-4-(3-플루오로-4-메톡시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2H)-퓨란-3-티온;
2,2-디메틸-4-(4-플루오로페닐)-5-{4-(메틸설포닐)페닐}-(2H)-퓨란-3-티온;
2,2-디메틸-4-(3-플루오로페닐)-5-{4-(메틸설포닐)페닐}-(2H)-퓨란-3-티온;
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2H)-퓨란-3-티온;
5-[4-{(아세틸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3-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5-[4-{(부티릴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3-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4-{(N-메틸아미노)설포닐}페닐]-4-(3-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4-{(N-에틸아미노)설포닐}페닐]-4-(3-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식 (I)중에는, 식 (Ⅲ)의 가장 바람직한 하위계열의 화합물들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이들의 염을 포함하며;
(Ⅲ)
식중,
Y는 N-알킬설포닐, 아미노설포닐, 알킬설피닐, (N-아실아미노)설포닐, (N-알킬아미노)설포닐 또는 알킬티오이고;
Z는 산소 또는 황 원자이며;
m 및 n 은 1 내지 3의 정수이고, (m + n)<4 의 조건을 만족하며;
P는 산소 원자 및 메틸렌기 (-CH2-) 중에서 선택되며; 그리고,
R3내지 R7은 존재시, 각각 히드리도, 할로, 알킬, 할로알킬, 알콕시, 할로알콕시, 아실, 니트로, 아미노, N-알킬아미노, N,N-디알킬아미노, N-아실아미노, N-(할로아실)아미노, 포르밀, 시아노, 아지도, 히드록시, 알킬티오, 알킬설포닐, 페닐, 알콕시알킬 및 히드록시알킬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혹은 R3내지 R7중의 인접한 두 기가 서로 연결되어 메틸렌디옥시를 형성한다.
바람직한 계열의 화합물들은, 식 (Ⅲ)의 화합물들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이들의 염을 포함하며;
식중,
Y는 (저급 알킬)설포닐, 아미노설포닐, (저급 알킬)설피닐, (저급 N-아실아미노)설포닐, (저급 N-알킬아미노)설포닐 및 (저급 알킬)티오 중에서 선택되며;
Z는 산소 및 황 원자 중에서 선택되며;
m 및 n 은 1 내지 3 의 정수이고, (m + n)<4 의 조건을 만족하며;
P는 산소 원자 및 메틸렌기(-CH2-) 중에서 선택되며; 그리고,
R3내지 R7은 존재시, 각각 히드리도, 할로, 알킬, 할로알킬, 알콕시, 할로알콕시, 아실, 니트로, 아미노, N-알킬아미노, N,N-디알킬아미노, N-아실아미노, N-(할로아실)아미노, 포르밀, 시아노, 아지도, 히드록시, 알킬티오, 알킬설포닐, 페닐, 저급 알콕시알킬 및 저급 히드록시알킬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혹은 R3내지 R7중의 인접한 두 기가 서로 연결되어 메틸렌디옥시를 형성한다.
특히 바람직한 계열의 화합물들은, 식 (Ⅲ)의 화합물들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이들의 염을 포함하며;
식중,
Y는 메틸설포닐, 아미노설포닐, 메틸설피닐, (N-아세틸아미노)설포닐, (N-프로피오닐아미노)설포닐, (N-부티릴아미노)설포닐, (N-메틸아미노)설포닐, (N-에틸아미노)설포닐 및 메틸티오 중에서 선택되며;
Z는 산소 및 황 원자 중에서 선택되며;
m 과 n 은 1 내지 3의 정수이고, (m + n)<4 의 조건을 만족하며;
P는 산소 원자 또는 메틸렌기(-CH2-) 이며; 그리고,
R3에서 R7은 존재시, 각각 히드리도,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t-부틸, 아세틸 및 프로피오닐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식 (Ⅲ)중에서 특히 바람직한 일군의 화합물들은, 다음의 화합물들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이들의 염을 포함한다:
2-{4-(메틸설포닐)페닐}-3-페닐-1-옥사-스피로[4,4]논-2-엔-4-온;
3-(3-메틸페닐)-2-{4-(메틸설포닐)페닐}-1-옥사-스피로[4,4]논-2-엔-4-온;
3-(4-이소프로필페닐)-2-{4-(메틸설포닐)페닐}-1-옥사-스피로[4,4]논-2-엔-4-온;
3-(3,5-디플루오로페닐)-2-{4-(메틸설포닐)페닐}-1-옥사-스피로[4,4]논-2-엔-4-온;
3-(2-플루오로페닐)-2-{4-(메틸설포닐)페닐}-1-옥사-스피로[4,4]논-2-엔-4-온;
3-(3-플루오로페닐)-2-{4-(메틸설포닐)페닐}-1-옥사-스피로[4,4]논-2-엔-4-온;
3-(3-클로로페닐)-2-{4-(메틸설포닐)페닐}-1-옥사-스피로[4,4]논-2-엔-4-온;
3-(4-플루오로페닐)-2-{4-(메틸설포닐)페닐}-1-옥사-스피로[4,4]논-2-엔-4-온;
3-(4-아세틸페닐)-2-{4-(메틸설포닐)페닐}-1-옥사-스피로[4,4]논-2-엔-4-온;
3-(4-아세틸-3-플루오로페닐)-2-{4-(메틸설포닐)페닐}-1-옥사-스피로[4,4]논-2-엔-4-온;
3-(4-아세틸-3-클로로페닐)-2-{4-(메틸설포닐)페닐}-1-옥사-스피로[4,4]논-2-엔-4-온;
2-{4-(메틸설포닐)페닐}-3-페닐-1-옥사-스피로[4,5]덱-2-엔-4-온;
2-{4-(메틸설포닐)페닐}-3-{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옥사-스피로[4,5]덱-2-엔-4-온;
3-(3-메틸페닐)-2-{4-(메틸설포닐)페닐}-1-옥사-스피로[4,5]덱-2-엔-4-온;
3-(4-아세틸페닐)-2-{4-(메틸설포닐)페닐}-1-옥사-스피로[4,5]덱-2-엔-4-온;
3-(3-플루오로페닐)-2-{4-(메틸설포닐)페닐}-1,8-디옥사-스피로[4,5]덱-2-엔-4-온;
3-(3,5-디플루오로페닐)-2-{4-(메틸설포닐)페닐}-1,8-디옥사-스피로[4,5]덱-2-엔-4-온;
3-(3-클로로페닐)-2-{4-(메틸설포닐)페닐}-1,8-디옥사-스피로[4,5]덱-2-엔-4-온;
3-(4-아세틸페닐)-2-{4-(메틸설포닐)페닐}-1,8-디옥사-스피로[4,5]덱-2-엔-4-온;
2-{4-(메틸설포닐)페닐}-3-페닐-1,8-디옥사-스피로[4,5]덱-2-엔-4-온;
3-(3-클로로페닐)-2-{4-(메틸설포닐)페닐}-1,8-디옥사-스피로[4,5]덱-2-엔-4-온;
식 (I)중에는, 식 (Ⅳ)의 가장 바람직한 하위계열의 화합물들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이들의 염이 존재하며;
(Ⅳ)
식중,
X는 할로 또는 알킬이고;
Y는 알킬설포닐, 아미노설포닐, 알킬설피닐, (N-아실아미노)설포닐, (N-알킬아미노)설포닐 또는 알킬티오이며;
Z는 산소 또는 황 원자이며; 그리고, R3내지 R7은 존재시, 각각 히드리도,할로, 알킬, 할로알킬, 알킬옥시, 니트로, 아미노, N-아실아미노, 아실, 포르밀, 히드록시알킬, 페닐 및 시아노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혹은 R3내지 R7중의 인접한 두 기가 서로 연결되어 메틸렌디옥시를 형성한다.
바람직한 계열의 화합물들은, 식 (Ⅳ)의 화합물들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이들의 염을 포함하며,
식중,
X는 할로 또는 저급 알킬이고;
Y는 (저급 알킬)설포닐, 아미노설포닐, (저급 알킬)설피닐, (저급 N-아실아미노)설포닐, (저급 N-알킬아미노)설포닐 및 (저급 알킬)티오 중에서 선택되며;
Z는 산소 및 황 원자 중에서 선택되며; 그리고, R3내지 R7은 존재시, 각각 히드리도, 할로, 저급 알킬, 저급 할로알킬, 저급 알킬옥시, 니트로, 아미노 및 N-(저급 아실)아미노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특히 바람직한 계열의 화합물들은, 식 (Ⅳ)의 화합물들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이들의 염을 포괄하며;
식중,
X는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또는 메틸이며;
Y는 메틸설포닐, 에틸설포닐, 아미노설포닐, 메틸설피닐, 에틸설피닐, (N-아세틸아미노)설포닐, (N-프로피오닐아미노)설포닐, (N-부티릴아미노)설포닐, (N-메틸아미노)설포닐, (N-에틸아미노)설포닐, 메틸티오 및 에틸티오 중에서 선택되며;
Z는 산소 및 황 원자 중에서 선택되며; 그리고, R3내지 R7은 존재시, 각각 히드리도,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메틸, 에틸, 이소프로필, 플루오로메틸, 디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틸, 메톡시, 에톡시, n-프로필옥시, 이소프로필옥시, n-부톡시, 니트로, 아미노, N-아세틸아미노 및 N-프로피오닐아미노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식 (Ⅳ)중에서 특히 바람직한 일군의 구체적인 화합물들은, 다음의 화합물들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이들의 염을 포괄한다:
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티오)페닐}-4-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피닐)페닐}-4-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포닐)페닐}-4-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3-플루오로페닐}-2,2-디메틸-4-페닐-3(2H)-퓨라논;
4-(2-클로로페닐)-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티오)페닐}-3(2H)-퓨라논;
4-(2-클로로페닐)-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피닐)페닐}-3(2H)-퓨라논;
4-(2-클로로페닐)-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3-플루오로페닐}-4-(2-클로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4-(3-클로로페닐)-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티오)페닐}-3(2H)-퓨라논;
4-(3-클로로페닐)-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피닐)페닐}-3(2H)-퓨라논;
4-(3-클로로페닐)-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3-플루오로페닐}-4-(3-클로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4-(4-클로로페닐)-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티오)페닐}-3(2H)-퓨라논;
4-(4-클로로페닐)-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피닐)페닐}-3(2H)-퓨라논;
4-(4-클로로페닐)-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3-플루오로페닐}-4-(4-클로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4-(3,4-디클로로페닐)-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티오)페닐}-3(2H)-퓨라논;
4-(3,4-디클로로페닐)-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피닐)페닐}-3(2H)-퓨라논;
4-(3,4-디클로로페닐)-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3-플루오로페닐}-4-(3,4-디클로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티오)페닐}-4-(2-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피닐)페닐}-4-(2-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포닐)페닐}-4-(2-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3-플루오로페닐}-2,2-디메틸-4-(2-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티오)페닐}-4-(3-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피닐)페닐}-4-(3-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포닐)페닐}-4-(3-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3-플루오로페닐}-2,2-디메틸-4-(3-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티오)페닐}-4-(4-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피닐)페닐}-4-(4-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포닐)페닐}-4-(4-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3-플루오로페닐}-2,2-디메틸-4-(4-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4-(2,4-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티오)페닐}-3(2H)-퓨라논;
4-(2,4-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피닐)페닐}-3(2H)-퓨라논;
4-(2,4-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3-플루오로페닐}-4-(2,4-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4-(2,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티오)페닐}-3(2H)-퓨라논;
4-(2,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피닐)페닐}-3(2H)-퓨라논;
4-(2,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3-플루오로페닐}-4-(2,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4-(2,6-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티오)페닐}-3(2H)-퓨라논;
4-(2,6-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피닐)페닐}-3(2H)-퓨라논;
4-(2,6-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3-플루오로페닐}-4-(2,6-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4-(3,4-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티오)페닐}-3(2H)-퓨라논;
4-(3,4-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피닐)페닐}-3(2H)-퓨라논;
4-(3,4-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3-플루오로페닐}-4-(3,4-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티오)페닐}-3(2H)-퓨라논;
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피닐)페닐}-3(2H)-퓨라논;
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3-플루오로페닐}-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티오)페닐}-4-(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피닐)페닐}-4-(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포닐)페닐}-4-(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3-플루오로페닐}-2,2-디메틸-4-(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티오)페닐}-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피닐)페닐}-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포닐)페닐}-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3-플루오로페닐}-2,2-디메틸-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티오)페닐}-4-(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피닐)페닐}-4-(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포닐)페닐}-4-(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3-플루오로페닐}-2,2-디메틸-4-(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티오)페닐}-4-(4-니트로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피닐)페닐}-4-(4-니트로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포닐)페닐}-4-(4-니트로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3-플루오로페닐}-2,2-디메틸-4-(4-니트로페닐)-3(2H)-퓨라논;
4-(4-아미노페닐)-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티오)페닐}-3(2H)-퓨라논;
4-(4-아미노페닐)-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피닐)페닐}-3(2H)-퓨라논;
4-(4-아미노페닐)-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4-아미노페닐)-5-{4-(아미노설포닐)-3-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4-{4-(아세틸아미노)페닐}-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티오)페닐}-3(2H)-퓨라논;
4-{4-(아세틸아미노)페닐}-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피닐)페닐}-3(2H)-퓨라논;
4-{4-(아세틸아미노)페닐}-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4-(아세틸아미노)페닐}-5-{4-(아미노설포닐)-3-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4-(3-클로로페닐)-5-{3-플루오로-4-(메틸티오)페닐}-4-(3-메톡시페닐)-3(2H)-퓨라논;
4-(3-클로로페닐)-5-{3-플루오로-4-(메틸설포닐)페닐}-4-(3-메톡시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2-플루오로-4-(메틸티오)페닐}-4-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2-플루오로-4-(메틸설피닐)페닐}-4-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2-플루오로-4-(메틸설포닐)페닐}-4-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2-플루오로페닐}-2,2-디메틸-4-페닐-3(2H)-퓨라논;
4-(2-클로로페닐)-2,2-디메틸-5-{2-플루오로-4-(메틸티오)페닐}-3(2H)-퓨라논;
4-(2-클로로페닐)-2,2-디메틸-5-{2-플루오로-4-(메틸설피닐)페닐}-3(2H)-퓨라논;
4-(2-클로로페닐)-2,2-디메틸-5-{2-플루오로-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2-플루오로페닐}-4-(2-클로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4-(3-클로로페닐)-2,2-디메틸-5-{2-플루오로-4-(메틸티오)페닐}-3(2H)-퓨라논;
4-(3-클로로페닐)-2,2-디메틸-5-{2-플루오로-4-(메틸설피닐)페닐}-3(2H)-퓨라논;
4-(3-클로로페닐)-2,2-디메틸-5-{2-플루오로-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2-플루오로페닐}-4-(3-클로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2,2-디메틸-5-{2-플루오로-4-(메틸티오)페닐}-4-(2-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2-플루오로-4-(메틸설피닐)페닐}-4-(2-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2-플루오로-4-(메틸설포닐)페닐}-4-(2-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2-플루오로페닐}-2,2-디메틸-4-(2-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2-플루오로-4-(메틸티오)페닐}-4-(3-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2-플루오로-4-(메틸설피닐)페닐}-4-(3-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2-플루오로-4-(메틸설포닐)페닐}-4-(3-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2-플루오로페닐}-2,2-디메틸-4-(3-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2-플루오로-4-(메틸티오)페닐}-4-(4-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2-플루오로-4-(메틸설피닐)페닐}-4-(4-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2-플루오로-4-(메틸설포닐)페닐}-4-(4-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2-플루오로페닐}-2,2-디메틸-4-(4-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4-(2,4-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2-플루오로-4-(메틸티오)페닐}-3(2H)-퓨라논;
4-(2,4-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2-플루오로-4-(메틸설피닐)페닐}-3(2H)-퓨라논;
4-(2,4-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2-플루오로-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2-플루오로페닐}-4-(2,4-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4-(2,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2-플루오로-4-(메틸티오)페닐}-3(2H)-퓨라논;
4-(2,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2-플루오로-4-(메틸설피닐)페닐}-3(2H)-퓨라논;
4-(2,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2-플루오로-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2-플루오로페닐}-4-(2,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4-(3,4-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2-플루오로-4-(메틸티오)페닐}-3(2H)-퓨라논;
4-(3,4-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2-플루오로-4-(메틸설피닐)페닐}-3(2H)-퓨라논;
4-(3,4-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2-플루오로-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2-플루오로페닐}-4-(3,4-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2-플루오로-4-(메틸티오)페닐}-3(2H)-퓨라논;
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2-플루오로-4-(메틸설피닐)페닐}-3(2H)-퓨라논;
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2-플루오로-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2-플루오로페닐}-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2,2-디메틸-5-{2-플루오로-4-(메틸티오)페닐}-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2-플루오로-4-(메틸설피닐)페닐}-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2-플루오로-4-(메틸설포닐)페닐}-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2-플루오로페닐}-2,2-디메틸-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2H)-퓨라논;
5-{3-브로모-4-(메틸티오)페닐}-2,2-디메틸-4-페닐-3(2H)-퓨라논;
5-{3-브로모-4-(메틸설포닐)페닐}-2,2-디메틸-4-페닐-3(2H)-퓨라논;
5-{3-브로모-4-(메틸설피닐)페닐}-2,2-디메틸-4-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3-브로모페닐}-2,2-디메틸-4-페닐-3(2H)-퓨라논;
5-{3-브로모-4-(메틸티오)페닐}-4-(3-클로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3-브로모-4-(메틸설포닐)페닐}-4-(3-클로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3-브로모-4-(메틸설피닐)페닐}-4-(3-클로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3-브로모페닐}-4-(3-클로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3-브로모-4-(메틸티오)페닐}-4-(4-클로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3-브로모-4-(메틸설포닐)페닐}-4-(4-클로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3-브로모-4-(메틸설피닐)페닐}-4-(4-클로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3-브로모페닐}-4-(4-클로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3-브로모-4-(메틸티오)페닐}-2,2-디메틸-4-(3-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5-{3-브로모-4-(메틸설포닐)페닐}-2,2-디메틸-4-(3-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5-{3-브로모-4-(메틸설피닐)페닐}-2,2-디메틸-4-(3-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3-브로모페닐}-2,2-디메틸-4-(3-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5-{3-브로모-4-(메틸티오)페닐}-2,2-디메틸-4-(4-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5-{3-브로모-4-(메틸설포닐)페닐}-2,2-디메틸-4-(4-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5-{3-브로모-4-(메틸설피닐)페닐}-2,2-디메틸-4-(4-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3-브로모페닐}-2,2-디메틸-4-(4-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5-{3-브로모-4-(메틸티오)페닐}-4-(2,4-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3-브로모-4-(메틸설포닐)페닐}-4-(2,4-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3-브로모-4-(메틸설피닐)페닐}-4-(2,4-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3-브로모페닐}-4-(2,4-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3-브로모-4-(메틸티오)페닐}-4-(2,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3-브로모-4-(메틸설포닐)페닐}-4-(2,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3-브로모-4-(메틸설피닐)페닐}-4-(2,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3-브로모페닐}-4-(2,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3-브로모-4-(메틸티오)페닐}-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3-브로모-4-(메틸설포닐)페닐}-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3-브로모-4-(메틸설피닐)페닐}-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3-브로모페닐}-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3-브로모-4-(메틸티오)페닐}-2,2-디메틸-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2H)-퓨라논;
5-{3-브로모-4-(메틸설포닐)페닐}-2,2-디메틸-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2H)-퓨라논;
5-{3-브로모-4-(메틸설피닐)페닐}-2,2-디메틸-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3-브로모페닐}-2,2-디메틸-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2H)-퓨라논;
5-{3-클로로-4-(메틸티오)페닐}-2,2-디메틸-4-페닐-3(2H)-퓨라논;
5-{3-클로로-4-(메틸설포닐)페닐}-2,2-디메틸-4-페닐-3(2H)-퓨라논;
5-{3-클로로-4-(메틸설피닐)페닐}-2,2-디메틸-4-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3-클로로페닐}-2,2-디메틸-4-페닐-3(2H)-퓨라논;
5-{3-클로로-4-(메틸티오)페닐}-4-(3-클로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3-클로로-4-(메틸설포닐)페닐}-4-(3-클로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3-클로로-4-(메틸설피닐)페닐}-4-(3-클로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3-클로로페닐}-4-(3-클로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3-클로로-4-(메틸티오)페닐}-4-(4-클로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3-클로로-4-(메틸설포닐)페닐}-4-(4-클로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3-클로로-4-(메틸설피닐)페닐}-4-(4-클로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3-클로로페닐}-4-(4-클로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3-클로로-4-(메틸티오)페닐}-4-(3-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3-클로로-4-(메틸설포닐)페닐}-4-(3-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3-클로로-4-(메틸설피닐)페닐}-4-(3-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3-클로로페닐}-4-(3-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3-클로로-4-(메틸티오)페닐}-4-(4-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3-클로로-4-(메틸설포닐)페닐}-4-(4-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3-클로로-4-(메틸설피닐)페닐}-4-(4-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3-클로로페닐}-4-(4-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3-클로로-4-(메틸티오)페닐}-4-(2,4-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3-클로로-4-(메틸설포닐)페닐}-4-(2,4-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3-클로로-4-(메틸설피닐)페닐}-4-(2,4-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3-클로로페닐}-4-(2,4-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3-클로로-4-(메틸티오)페닐}-4-(2,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3-클로로-4-(메틸설포닐)페닐}-4-(2,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3-클로로-4-(메틸설피닐)페닐}-4-(2,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3-클로로페닐}-4-(2,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3-클로로-4-(메틸티오)페닐}-4-(3,4-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3-클로로-4-(메틸설포닐)페닐}-4-(3,4-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3-클로로-4-(메틸설피닐)페닐}-4-(3,4-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3-클로로페닐}-4-(3,4-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3-클로로-4-(메틸티오)페닐}-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3-클로로-4-(메틸설포닐)페닐}-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3-클로로-4-(메틸설피닐)페닐}-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3-클로로페닐}-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3-메틸-4-(메틸티오)페닐}-3(2H)-퓨라논;
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3-메틸-4-(메틸설피닐)페닐}-3(2H)-퓨라논;
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3-메틸-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3-메틸페닐}-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3-클로로-4-(메틸티오)페닐}-2,2-디메틸-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2H)-퓨라논;
5-{3-클로로-4-(메틸설포닐)페닐}-2,2-디메틸-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2H)-퓨라논;
5-{3-클로로-4-(메틸설피닐)페닐}-2,2-디메틸-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3-클로로페닐}-2,2-디메틸-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2H)-퓨라논;
5-{2-클로로-4-(메틸티오)페닐}-2,2-디메틸-4-페닐-3(2H)-퓨라논;
5-{2-클로로-4-(메틸설피닐)페닐}-2,2-디메틸-4-페닐-3(2H)-퓨라논;
5-{2-클로로-4-(메틸설포닐)페닐}-2,2-디메틸-4-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2-클로로페닐}-2,2-디메틸-4-페닐-3(2H)-퓨라논;
5-{2-클로로-4-(메틸티오)페닐}-4-(3-클로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2-클로로-4-(메틸설포닐)페닐}-4-(3-클로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2-클로로-4-(메틸설피닐)페닐}-4-(3-클로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2-클로로페닐}-4-(3-클로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2-클로로-4-(메틸티오)페닐}-2,2-디메틸-4-(3-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5-{2-클로로-4-(메틸설피닐)페닐}-2,2-디메틸-4-(3-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5-{2-클로로-4-(메틸설포닐)페닐}-2,2-디메틸-4-(3-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2-클로로페닐}-2,2-디메틸-4-(3-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5-{2-클로로-4-(메틸티오)페닐}-2,2-디메틸-4-(4-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5-{2-클로로-4-(메틸설피닐)페닐}-2,2-디메틸-4-(4-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5-{2-클로로-4-(메틸설포닐)페닐}-2,2-디메틸-4-(4-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2-클로로페닐}-2,2-디메틸-4-(4-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5-{2-클로로-4-(메틸티오)페닐}-4-(2,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2-클로로-4-(메틸설포닐)페닐}-4-(2,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2-클로로-4-(메틸설피닐)페닐}-4-(2,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2-클로로페닐}-4-(2,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2-클로로-4-(메틸티오)페닐}-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2-클로로-4-(메틸설포닐)페닐}-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2-클로로-4-(메틸설피닐)페닐}-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2-클로로페닐}-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2,2-디메틸-5-{3-메틸-4-(메틸티오)페닐}-4-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3-메틸-4-(메틸설피닐)페닐}-4-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3-메틸-4-(메틸설포닐)페닐}-4-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3-메틸페닐}-2,2-디메틸-4-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3-플루오로페닐)-5-{3-메틸-4-(메틸티오)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3-플루오로페닐)-5-{3-메틸-4-(메틸설피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3-플루오로페닐)-5-{3-메틸-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3-메틸페닐}-2,2-디메틸-4-(3-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3-메틸-4-(메틸티오)페닐}-3(2H)-퓨라논;
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3-메틸-4-(메틸설피닐)페닐}-3(2H)-퓨라논;
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3-메틸-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3-메틸페닐}-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3-클로로-4-(N-메틸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페닐-3(2H)-퓨라논;
5-{3-클로로-4-(N-에틸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페닐-3(2H)-퓨라논;
5-[4-{(아세틸아미노)설포닐}-3-클로로페닐]-2,2-디메틸-4-페닐-3(2H)-퓨라논;
5-[3-클로로-4-{(N-n-프로피오닐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페닐-3(2H)-퓨라논;
5-[3-클로로-4-{(N-n-부티릴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페닐-3(2H)-퓨라논;
4-(3-클로로페닐)-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티오)페닐}-(2H)-퓨란-3-티온;
4-(3-클로로페닐)-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포닐)페닐}-(2H)-퓨란-3-티온;
4-(3-클로로페닐)-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피닐)페닐}-(2H)-퓨란-3-티온;
5-{4-(아미노설포닐)-3-플루오로페닐}-4-(3-클로로페닐)-2,2-디메틸-(2H)-퓨란-3-티온;
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티오)페닐}-(2H)-퓨란-3-티온;
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포닐)페닐}-(2H)-퓨란-3-티온;
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피닐)페닐}-(2H)-퓨란-3-티온;
5-{(4-아미노설포닐)-3-플루오로페닐}-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2H)-퓨란-3-티온;
식 (I)중에는, 식 (V)의 특히 바람직한 하위계열의 화합물들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이들의 염이 존재하며;
(Ⅴ)
식중,
Y는 알킬설포닐, 아미노설포닐, 알킬설피닐, (N-아실아미노)설포닐, (N-알킬아미노)설포닐, 또는 알킬티오이고;
Z는 산소 또는 황 원자이며;
R1및 R2는 메틸 및 에틸 기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그리고,
AR은 치환되거나 또는 치환되지 않은 5 내지 10의 원자로 이루어진 방향족 기로서, 단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페닐 기는 제외한다.
바람직한 계열의 화합물들은, 식 (Ⅴ)의 화합물들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이들의 염을 포함하며;
식중,
Y는 (저급 알킬)설포닐, 아미노설포닐 및 (저급 N-아실아미노)설포닐 중에서 선택되며;
Z는 산소 및 황 원자 중에서 선택되며;
R1및 R2는 메틸 및 에틸 기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그리고,
AR은 다음의 구체적인 방향족 기 중에서 선택되며:
식중, R8내지 R19는 존재시, 각각 히드리도, 할로, 저급 알킬, 저급 아실, 저급 할로알킬, 저급 알콕시, 포르밀, 시아노, 니트로, 아미노, 아지도 및 N-아실아미노 중에서 선택된다.
특히 바람직한 계열의 화합물들은, 식 (Ⅴ)의 화합물들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이들의 염을 포괄하며;
식중,
Y는 메틸설포닐, 에틸설포닐, 아미노설포닐, (N-아세틸아미노)설포닐 및 (N-프로피오닐아미노)설포닐 중에서 선택되며;
Z는 산소 및 황 원자 중에서 선택되며;
R1및 R2는 메틸 및 에틸 기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그리고,
R8내지 R19은 존재시, 각각 히드리도,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메틸, 에틸, 이소프로필, 아세틸, n-프로피오닐, 트리플루오로메틸, 메톡시, 에톡시 및 포르밀 중에서 선택된다.
식 (V)중의 특히 바람직한 일군의 구체적인 화합물들은, 다음의 화합들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이들의 염을 포괄한다:
2,2-디메틸-5-{4-(메틸티오)페닐}-4-(3-티에닐)-3(2H)-퓨라논;
2,2-디메틸-4-{2-(3-메틸티에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2-(5-포르밀티에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2-벤조[b]티에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4-(1-나프틸)-3(2H)-퓨라논;
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4-(3-피리딜)-3(2H)-퓨라논;
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4-(2-피리딜)-3(2H)-퓨라논;
4-(2-벤조[b]퓨라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4-(2-나프틸)-3(2H)-퓨라논;
2,2-디메틸-4-{5-(2-플루오로티에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5-(3-플루오로티에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4-(2-플루오로티에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4-(2-티에닐)-3(2H)-퓨라논;
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4-(3-티에닐)-3(2H)-퓨라논;
4-{2-(5-아세틸티에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2-퓨라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3-퓨라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5-(3-플루오로퓨라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5-(2-플루오로퓨라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4-(2-플루오로퓨라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4-(1-N-메틸피라졸일)}-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4-(1-N-에틸피라졸일)}-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4-(4-피리딜)-3(2H)-퓨라논;
2,2-디메틸-4-{3-(6-메톡시피리딜)}-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4-(1-N-이소프로필피라졸일)}-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4-(5-피리미디닐)-3(2H)-퓨라논;
2,2-디메틸-4-{3-(6-메틸피리딜)}-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2-(5-포르밀-4-메틸티에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2-{5-(1,3-디옥솔란)-2-일}티에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2-(5-브로모티에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4-(4-피라졸일)-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에틸-2-메틸-4-(2-피리딜)-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에틸-2-메틸-4-(3-피리딜)-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에틸-2-메틸-4-(4-피리딜)-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에틸-2-메틸-4-{4-(1-N-메틸피라졸일)}-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에틸-4-{4-(1-N-에틸피라졸일)}-2-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에틸-2-메틸-4-{4-(1-N-이소프로필피라졸일)}-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에틸-2-메틸-4-(3-티에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에틸-4-{4-(2-플루오로티에닐)}-2-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에틸-4-{5-(2-플루오로티에닐)}-2-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에틸-4-{5-(3-플루오로티에닐)}-2-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에틸-4-(2-퓨라닐)-2-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에틸-4-(3-퓨라닐)-2-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에틸-4-{5-(3-플루오로퓨라닐)}-2-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에틸-4-{4-(2-플루오로퓨라닐)}-2-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에틸-4-{5-(2-플루오로퓨라닐)}-2-메틸-3(2H)-퓨라논;
2,2-디에틸-5-{4-(메틸설포닐)페닐}-4-(3-티에닐)-3(2H)-퓨라논;
2,2-디에틸-5-{4-(메틸설포닐)페닐}-4-(2-티에닐)-3(2H)-퓨라논;
2,2-디에틸-5-{4-(메틸설포닐)페닐}-4-(2-피리딜)-3(2H)-퓨라논;
2,2-디에틸-5-{4-(메틸설포닐)페닐}-4-(4-피리딜)-3(2H)-퓨라논;
2,2-디에틸-4-{4-(1-N-메틸피라졸일)}-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4-(3-피리딜)-3(2H)-퓨라논;
2-에틸-2-메틸-4-{4-(1-N-메틸피라졸일)}-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4-(4-피라졸일)-3(2H)-퓨라논;
2-에틸-4-{4-(1-N-에틸피라졸일)}-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4-{4-(1-N-이소프로필피라졸일)}-3(2H)-퓨라논;
2-에틸-2-메틸-4-{3-(6-메톡시피리딜)}-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에틸-2-메틸-4-{3-(6-메틸피리딜)}-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4-(3-티에닐)-3(2H)-퓨라논;
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4-{4-(2-플루오로티에닐)}-3(2H)-퓨라논;
2-에틸-4-(2-퓨라닐)-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에틸-4-(3-퓨라닐)-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에틸-4-{5-(3-플루오로퓨라닐)}-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에틸-4-{5-(2-플루오로퓨라닐)}-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에틸-4-{4-(2-플루오로퓨라닐)}-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2-벤조[b]티에닐)-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2-벤조[b]퓨라닐)-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4-(2-티에닐)-3(2H)-퓨라논;
2-에틸-4-{5-(2-플루오로티에닐)}-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2-(5-아세틸티에닐)}-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4-{2-(5-메틸티에닐)}-3(2H)-퓨라논;
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4-{2-(3-메틸티에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2-퓨라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3-퓨라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5-(3-플루오로퓨라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5-(2-플루오로퓨라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4-(2-플루오로퓨라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3-티에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2-티에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4-(2-플루오로티에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5-(2-플루오로티에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5-(3-플루오로티에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4-(2-벤조[b]티에닐)-2,2-디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4-(2-벤조[b]퓨라닐)-2,2-디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2-나프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1-나프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2-피리딜)-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3-피리딜)-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4-피리딜)-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4-(1-N-메틸피라졸일)}-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4-(1-N-에틸피라졸일)}-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4-(1-N-이소프로필피라졸일)}-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4-피라졸일)-3(2H)-퓨라논;
상기에서 사용된 용어 및 약어들이 다음 표에 설명되어 있다.
용어/약어 설명
알킬 탄소수 1 내지 10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
할로알킬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알킬기.예로는 플루오로메틸(F-CH2-), 1-클로로에틸 (CH3-CHCI-), 트리플루오로메틸(CF3-) 등이 있다.
히드록시알킬 하나 이상의 히드록시기로 치환된 알킬기.예로는 히드록시메틸(HO-CH2-), 2-히드록시에틸(HO-CH2CH2-) 등이 있다.
히드리도 단일 수소원자
할로 불소,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와 같은 할로겐원자
알킬옥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를 가진 알킬옥시기.예로는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t-부톡시 등이 있다. 알킬옥시는 "알콕시"와 동일하다.
저급 알킬, 할로알킬, 히드록시알킬, N-알킬아미노, N-아실아미노 등과 함께 사용시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예를들어, "저급 할로알킬"은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탄소수 1~5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알킬티오 황원자로 치환된 알킬기. 예로는 메틸티오(CH3-S-), 에틸티오(CH3CH2-S-) 등이 있다.
알킬설포닐 알킬기로 치환된 "-SO2-". 예로는 메틸설포닐(CH3-SO2-), 에틸설포닐(CH3CH2-SO2-) 등이 있다.
아미노설포닐 아미노(-NH2)기 (NH2-SO2-)로 치환된 "-SO2-".
(N-알킬아미노)설포닐 N-알킬아미노기로 치환된 "-SO2-". 예로는 (N-메틸아미노)설포닐(CH3-NH-SO2-), (N-에틸아미노)설포닐(CH3CH2-NH-SO2-) 등이 있다.
(N-아실아미노)설포닐 질소원자에서 아실기로 치환된 아미노설포닐기. 예로는 (N-아세틸아미노)설포닐[CH3C(O)-NH-SO2-], (N-프로피오닐아미노)설포닐[CH3CH2C(O)-NH-SO2-] 등이 있다.
할로알콕시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들)로 치환된 알콕시기. 예로는 플루오로메톡시(FCH2O-), 2-클로로에톡시(ClCH2-CH2-O-), 트리플루오로메톡시(CF3O-) 등이 있다.
알콕시알킬 알콕시기로 치환된 알킬기. 예로는 메톡시메틸(CH3-O-CH2-), 1-메톡시-n-프로필-[CH3-CH2-CH(OCH3)-] 등이 있다.
포르밀 "CHO-"기
아실 알킬기로 치환된 "-C(O)-". 예로는 아세틸[CH3-C(O)-], 프로피오닐[CH3CH2-C(O)-] 등이 있다.
N-아실아미노 아실기로 치환된 "-NH-". 예로는 N-아세틸아미노[CH3C(O)-NH-], N-프로피오닐아미노[CH3CH2C(O)-NH-] 등이 있다.
알킬설피닐 알킬기로 치환된 "-S(O)-". 예로는 메틸설피닐[CH3-S(O)-], 에틸설피닐[CH3CH2S(O)-] 등이 있다.
메틸렌디옥시 "-O-CH2-O-"기
N,N-디알킬아미노 두개의 알킬기로 치환된 아미노기. 예로는 N,N-디메틸아미노[(CH3)2N-], N,N-메틸-에틸아미노[CH3-N-CH2CH3-] 등이 있다.
일반적인 합성 과정
본 발명의 대부분의 화합물들은, 반응식 1 ~ 8의 합성 과정으로 합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치환체 R1~ R19, X, Y, Z 및 AR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식 (I)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여러 화합물들은, 반응식 1 ~ 8의 합성과정에서 사용되는 시약, 용매 및 반응 순서를 바꾸는 등의 작은 변경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화합물들은 반응식 1 ~ 8의 범주에 포함되지 않는 과정에 따라 합성되었으며, 이러한 화합물들에 대한 상세한 합성 과정은 이들 각각의 제조예에 설명되어 있다.
반응식 (1)은, 상업적으로 혹은 쉽게 확보할 수 있는 1,1-디알킬-2-프로핀-1-올 (a)을 출발물질로 하여 2,2-디알킬-4-아릴-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g)을 제조하기 위한 6 단계 제조과정을 나타낸다. 제 1단계에서는, -78oC에서, 출발물질 (a)의 THF 용액에 인 시츄(in situ)로 n-부틸리튬을 첨가하여 제조된 (a)의 리튬 아세틸레나이드(lithium acetylenide)를, 4-(메틸티오)벤즈알데하이드와 반응시켜 디올(diol) (b)를 얻는다. 제 2단계에서는, 피리디늄 디크로메이트(pyridinium dichromate), 이산화망간, 삼산화 크롬(chromium trioxide) 등과 같은 산화제를 이용하여 (b)의 벤질자리 히드록시기를 그에 상응하는 (c)의 카르보닐기로 산화시킨다. 제 3단계에서는, 알콜 용매하에서 디에틸아민을 촉매로 사용하여, 비고리형 케톤 (c)를 고리화하여 3(2H)-퓨라논 (d)를 얻는다 [J. Chem. Soc. 3871 (1958)]. 제 4단계에서는, 설피드 (d)를 옥손(oxone)과 반응시켜 그에 상응하는 설폰 (e)로 산화시킨다. 제 5단계에서는, (e)를 아세트산 중의 브롬이나 또는 촉매량의 BTI[{bis(trifluoroacetoxy)iodo}benzene] 존재하에 요오드와 반응시킴으로서, 5-아릴-2,2-디알킬-3(2H)-퓨라논 (e)를 할로겐화하여 (f)를 얻는다. 제 6단계에서는, 적절한 아릴보론산을 사용하여 할라이드 f를 팔라듐(0)을 매개로한 방향족 결합반응을 시켜 디아릴 화합물 (g)를 얻는다 [Suzuki Coupling: J. Org. Chem.59, 5524 (1994)]. 전제 과정을 통하여 목적하는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는 한, 모든 반응식에서의 각각의 반응 순서를 바꿀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응식 (1)의 제 4단계의 산화 반응을 수행한 후 제 5단계인 할로겐화 반응을 수행하는 대신에, 제 5 단계의 할로겐화 반응을 먼저 실행한 후 제 4 단계의 산화 반응을 수행할 수 있다.
반응식 (2)는 반응식 (1)에서 합성된 설피드 중간체 (d)로부터 4-아릴-5-{4-(아미노설포닐)페닐}-3(2H)-퓨라논 (k)을 제조하기 위한 4단계 제조 과정을 나타낸다. 제 1 단계에서, m-클로로퍼벤조산(m-CPBA)을 사용하여 설피드 (d)를 부분 산화시켜 설폭시드 (h)를 만든다. 제 2단계에서는, 반응식 Ⅰ에서와 같이 아세트산 중의 브롬이나 촉매량의 BTI 존재하에서 요오드를 사용하여 설폭시드 (h)를 할로겐화 반응시켜 할라이드 (i)를 얻는다. 제 3단계에서는, 문헌에 따라 할라이드 (i)를 1) 무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trifluoroacetic anhydride: TFAA), 2) 메탄올 중의 트리에틸아민(TEA), 3) 아세트산 중의 염소, 이후 4) 암모니아수의 차례로 처리하여설폰아미드기 (j)를 합성한다: [J. Am. Chem. Soc.73, 3240 (1951)]. 제 4단계에서는, 설폰아미드(j)를 팔라듐(0) 촉매(suzuki coupling)의 존재하에서, 적절한 방향족 보론산과 결합시켜 4,5-디아릴-3(2H)-퓨라논 (k)를 얻는다.
반응식 (3)은 4,5-디아릴-3(2H)-퓨라논 (o)을 합성하기 위한 3단계 제조 과정을 나타내며, 여기서 5-{4-(메틸설포닐)페닐}기를 "X"로 치환한다. 제 1단계에서, 치환된 티오아니졸(thioanisole) (l)를 알루미늄 클로라이드(AlCl3) 존재하에서 방향족 아세틸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케톤 (m)을 얻는다(Friedel-Craft acylation). 제 2단계에서는, 수소화나트륨을 염기로 사용하여 케톤 (m)을 α-브로모이소부티릴 시아나이드와 "C-아실화(C-acylation)" 반응시킨다. 아실화 반응을 더 진행하여 분자내 고리화 반응(intramolecular cyclization) 산물인 (n)을 얻는다. 제 3단계에서는, 옥손을 사용하여 설피드 (n)을 산화시켜 메틸 설폰 (o)을 얻는다. 티오아니졸 (I)을 (알킬티오)벤젠 유도체로 대체하여, 반응식 (3)의 범위를 화합물 (o)와 유사한 알킬설폰 화합물을 합성하는 범위로 확장할 수 있다. 또한 반응식 (3)의 반응순서를 바꿀 수 있으며, 여기서 α-브로모이소부티릴 시아나이드와의 반응(2단계)에 앞서 메틸티오 기를 산화반응(3단계) 시켜 동일한 표적 생성물 (o)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반응식 (3)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본 발명의 화합물들을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 (4)는 설폰아미드 (q)를 합성하는 2단계 합성 과정을 나타낸다. 제 1단계에서는, 메틸설피드 (n)을 m-CPBA와 반응시켜 설폭시드 (p)를 얻는다. 제 2단계에서는, 설폭시드 (p)를 1) 무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2) 메탄올 중의 트리에틸아민, 3) 아세트산 중의 염소, 이후 4) 암모니아수와 순서대로 반응시켜 설폰아미드 (q)로 전환시킨다.
반응식 (5)는 티오카르보닐 화합물 (s)를 제조하기 위한 1단계 합성 과정을 나타낸다. 반응식 (5)에서, 4,5-디아릴-3(2H)-퓨라논 (r)을 로손 시약(Lawesson's Reagent)과 반응시켜, 그에 상응하는 티오카르보닐 화합물 (s)를 얻는다.
반응식 (6)은, 설폭시드 (p)로부터 N-알킬설폰아미드 (u)를 합성하기 위한 2단계 합성 과정을 나타낸다. 제 1단계에서는, 설폭시드 (p)를 1) 무수 트리플루오로 아세트산, 2) 메탄올 중의 트리에틸아민, 이후 3) 아세트산 중의 염소와 순서대로 반응시켜 그에 상응하는 설포닐클로라이드로 전환시킨다. 제 2단계에서, 설포닐클로라이드 (t)를 알킬아민 또는 암모니아와 반응시켜, N-알킬설폰아미드 (u)를 얻는다.
반응식 (7)은 N-아실설폰아미드 (v)를 합성하기 위한 1단계 합성 과정을 나타낸다. 설폰아미드 (q)를 테트라히드로퓨란하에서 알카노익 안하이드라이드(alkanoic anhydride)와 반응시켜 (v)를 얻는다.
다음의 반응식 (8)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반응식 (I)의 반응 순서를 변형시켜 5-{4-(메틸티오)페닐}-3(2H)-퓨라논 (x) 및 5-{4-(메틸설피닐)페닐}-3(2H)-퓨라논 (y)를 제조할 수 있다.
다음의 실시예들은 식 1 ~ 5의 화합물들의 제조방법에 관한 상세한 설명을 포함한다. 이들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단지 설명만을 목적으로 하며, 본 발명을 이들에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이들 대부분의 상세한 설명들은 상기 개시된 일반 합성 과정의 범주에 포함되고, 일반 합성 과정을 예시하는데 이용되며 이때, 일반 합성 과정은 본 발명의 일부분을 이룬다. 제시된 실시예에서의 모든 크로마토그래피 분리(chromatographic separation)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실리카겔(silica gel)을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다음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약어들은 다음의 표에 정의되어 있다.
약어 정의
섭씨온도
mp 융점. 보정되지 않은 값
NMR 양성자 핵 자기공명. 모든 NMR 스펙트럼은 300MHz NMR에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의 NMR 용매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CDCl3이다. 본 발명의 NMR데이터에서는 다음과 같은 널리-허용되는 약어들을 사용하였다: 단일피크 s,이중피크 d, 삼중피크 t, 사중피크 q, 넓은 단일피크 brs 등.
IR 적외선 스펙트럼. 모든 IR 스펙트럼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KBr 창(window) 상에 대해 니트형(neat form)으로 취해지며,단위는 ㎝-1이다.
MS 질량 스펙트럼. 모든 MS 데이터는m/e의 단위로 나타낸다.
FAB 고속 원자 충격
EI 전자 이온화
THF 테트라히드로퓨란
m MS 데이터에서의 분자량에 대한 이온 피크, 따라서, (m+1)은 하나의 양성자를 가진 모분자 피크에 해당된다
[실시예 1]
2,2-디메틸-4-(4-메틸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 2H )-퓨라논
단계 1: 1-{4-(메틸티오)페닐}-4-히드록시-4-메틸-2-펜틴-1-올의 제조
2-메틸-3-부틴-2-올(416 mg)을 -78℃, 아르곤하에서, 무수 THF (30 ㎖)에 용해시켜 교반한 용액에, 헥산에 용해시킨 1.6M 부틸리튬(5 ㎖)을 10분 동안에 걸쳐 적가하였다. 20분 후,p-메틸티오벤즈알데히드(0.5 ㎖)를 상기 반응 용액에 적가하였다. 냉욕기를 제거하고, 상기 반응용액의 온도를 실온으로까지 상승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2시간동안 교반한 후, 반응 용매를 감압하여 제거하고, 묽은 HCl 수용액으로 중화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50 ㎖ × 3)으로 추출한 후, 디클로로메탄층을 물(50 ㎖×1)로 세척하였다. 디클로로메탄층을 감압 농축하고, 남은 잔여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1:1)로 분리하여, 1-{4-(메틸티오)페닐}-4-히드록시-4-메틸-2-펜틴-1-올 724 mg을 수득하였다. NMR: δ 1.54 (s, 6H), 2.36 (s, 1H), 2.48 (s, 3H), 2.62 (d, 1H), 5.43 (d,J= 5.4 Hz, 1H), 7.25 (d,J= 6.9 Hz, 2H), 7.43 (d,J= 6.9 Hz, 2H).
단계 2: 1-{(4-메틸티오)페닐}-4-히드록시-4-메틸-2-펜틴-1-온의 제조
1-{4-(메틸티오)페닐}-4-히드록시-4-메틸-2-펜틴-1-올 724 mg을 아세톤 30 ㎖에 용해시킨 후, 물 10 ㎖ 및 농 황산 0.25 ㎖에 용해시킨 삼산화크롬 451 mg을 천천히 적가하였다. 상기 반응용액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한 후, 감압 농축하였다. 남는 수용성 잔여물을 물 50 ㎖ 및 디클로로메탄(50 ㎖ ×3)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감압 농축한 후, 남은 잔여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1:1)로 분리하여, 고형의 1-{(4-메틸티오)페닐}-4-히드록시-4-메틸-2-펜틴-1-온 200 mg을 수득하였다. mp: 102~103oC. NMR: δ 1.67 (s, 6H), 2.41 (s, 1H), 2.54 (s, 3H), 7.28 (d,J= 8.7 Hz, 2H), 8.02 (d,J= 8.7 Hz, 2H). IR (cm-1): 3404, 1613, 1176, 747.
또한, 다음과 같이 삼산화크롬 대신에 PDC (pyridinium dichromate)를 사용하여, 1-{(4-메틸티오)페닐}-4-히드록시-4-메틸-2-펜틴-1-온을 합성하였다: 1-{4-(메틸티오)페닐}-4-히드록시-4-메틸-2-펜틴-1-올(20 g) 및 셀라이트(celite, 30 g)을 디클로로메탄 500 ㎖ 중에 현탁시켜 교반한 후, 10분에 걸쳐서 PDC(40 g)를 소분하여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2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현탁액을 플로리실 패드(Florisil pad, 150 g)로 여과하고, 상기 플로리실 패드를 염화메틸렌 500 ㎖로 세척하였다. 여과물을 묽은 염산 수용액(200 ㎖×1)으로 세척한 후, 유기층을 감압 농축하였다. 남은 잔여물을 상기와 같이 크로마토그래피하여, 1-{(4-메틸티오)페닐}-4-히드록시-4-메틸-2-펜틴-1-온 12.3 g을 수득하였다.
1-{4-(메틸티오)페닐}-4-히드록시-4-메틸-2-펜틴-1-올로부터 1-{(4-메틸티오)페닐}-4-히드록시-4-메틸-2-펜틴-1-온을 제조하기 위한 또 다른 산화방응은 다음과 같다: 염화메틸렌(2 L)중의 1-{4-(메틸티오)페닐}-4-히드록시-4-메틸-2-펜틴-1-올(150 g)과 활성화 이산화망간(200 g)의 현탁액을, 오버헤드 교반기를 사용하여 20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다음 상기 현탁액을 셀라이트(300 g)를 통해 여과한 후,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남는 고형의 조생성물을 에틸아세테이트/헥산으로 재결정하여, 1-{(4-메틸티오)페닐}-4-히드록시-4-메틸-2-펜틴-1-온 120 g을 수득하였다.
단계 3: 2,2-디메틸-5-{4-(메틸티오)페닐}-3( 2H )-퓨라논의 제조
1-{(4-메틸티오)페닐}-4-히드록시-4-메틸-2-펜틴-1-온(120 mg)을 에탄올 20 ㎖에 용해시켜 교반한 후, 에탄올 7 ㎖에 희석시킨 디에틸아민 0.08 ㎖을 실온에서 5분간에 걸쳐서 적가하였다. 상기 반응 용액을 1시간 동안 더 교반한 후, 감압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남은 잔여물을 물 50 ㎖로 희석하고, 디클로로메탄(30 ㎖ ×3)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감압 농축한 후, 남은 잔여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4:1)하여, 고형의 2,2-디메틸-5-{4-(메틸티오)페닐}-3(2H)-퓨라논 90 mg을 수득하였다. mp: 107∼109℃. NMR: δ 1.48(s, 6H), 2.54(s, 3H), 5.91(s, 1H), 7.30(d, J=8.4Hz, 2H), 7.72(d, J=8.4Hz, 2H). IR(cm-1): 1676, 1579, 1485, 1376, 1174, 1095, 1050, 809
단계 4: 4-브로모-2,2-디메틸-5-{4-(메틸티오)페닐}-3( 2H )-퓨라논의 제조
2,2-디메틸-5-{4-(메틸티오)페닐}-3(2H)퓨라논(45 ㎎)을 사염화탄소 20 ㎖에 용해시켜 교반한 용액에, 아세트산(0.5 ㎖) 및 브롬(0.1 ㎖)을 가하였다. 상기 반응용액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티오황산나트륨 포화수용액 20 ㎖을 가하여 반응을 중지시켰다. 감압하여 사염화탄소를 제거한 후, 남은 수용액층을 디클로로메탄(50 ㎖ ×3)으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물(50 ㎖ ×1)로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감압 농축한 후, 남은 잔여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 2:1)하여, 고형의 4-브로모-2,2-디메틸-5-{4-(메틸티오)페닐}-3(2H)-퓨라논 69 mg을 수득하였다. NMR: δ 1.52 (s, 6H), 2.55 (s, 3H), 7.33 (d,J= 9.3 Hz, 2H), 8.15 (d,J= 9.0 Hz, 2H); IR (cm-1): 1704, 1594, 1574, 1486, 1348, 1184, 1069.
단계 5: 4-브로모-2,2-디메틸-5-{4-(4-메틸설포닐)페닐}-3( 2H )-퓨라논의 제조
4-브로모-2,2-디메틸-5-{4-(메틸티오)페닐}-3(2H)-퓨라논 42 ㎎을 THF 15 ㎖와 에탄올 15 ㎖에 용해시킨 후, 옥손 178 mg을 적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한 후, 감압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남은 잔여물을 물 50 ㎖ 및 염화메틸렌(50 ㎖ ×3)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감압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남은 잔여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 2:1)로 분리하여, 목적한 고형의 4-브로모-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5 mg을 수득하였다. mp: 196~196.5oC. NMR: δ 1.57 (s, 6H), 3.11 (s, 3H), 8.11 (d,J= 8.7 Hz, 2H), 8.40 (d,J= 8.7 Hz, 2H). IR (cm-1): 2928, 1703, 1559, 1270, 1148, 1076, 847. MS (EI ): 346 (m).
단계 6: 2,2-디메틸-4-(4-메틸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 2H )-퓨라논의 제조
4-브로모-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110 mg) 및 테트라키스(트리페닐)팔라듐(0) (54 ㎎)을 벤젠 30 ㎖에 용해시켜 교반한 용액에, 2M의탄산나트륨 수용액(0.22 ㎖)과 4-메틸-벤젠보론산(60 ㎎)을 적가하였다. 상기 반응용액을 24시간 동안 환류시키면서 교반하였다. 다음 용매를 감압하에서 증발시키고, 남은 잔여물을 물 50 ㎖ 및 디클로로메탄(50 ㎖ ×3)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감압 농축하고, 남은 잔여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 2:1)로 분리하여, 고형의 2,2-디메틸-4-(4-메틸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76 mg을 수득하였다. mp: 167~168oC. NMR: δ 1.57 (s, 6H), 2.38 (s, 3H), 3.07 (s, 3H), 7.17 (m, 4H), 7.89 (m, 4H). IR (cm-1): 1707, 1660, 1531, 1289, 1230. MS (EI): 356 (m).
[실시예 2]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 2H )-퓨라논
4-브로모-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112 mg) 및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54 ㎎)을 벤젠 7 ㎖와 에탄올 1 ㎖에 용해시켜 교반한 용액에, 2M의 탄산나트륨 수용액(0.22 ㎖)과 (3-클로로-4-플루오로페닐)보론산(82 ㎎)을 가하였다. 상기 반응용액을 24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발시키고, 남은 잔여물을 물 50 ㎖ 및 디클로로메탄(50 ㎖ ×3)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감압 농축하고, 남은 잔여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로 분리하여, 고형의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32 mg을 수득하였다. mp: 162~164oC. NMR: δ 1.58 (s, 6H), 3.09 (s, 3H), 7.13 (m, 2H), 7.40 (d,J= 6.6 Hz, 1H), 7.83 (d,J= 8.1 Hz, 2H), 7.97 (d,J= 8.1 Hz, 2H). IR (cm-1): 2930, 1700, 1587, 1503, 1404, 1317, 1150, 1068, 913, 771, 744.
[실시예 3]
2,2-디메틸-4-(4-메톡시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 2H )-퓨라논
4-브로모-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220 mg), 1,3-비스(디페닐포스피노)프로판(24 mg) 및 팔라듐(II) 아세테이트(6.1 mg)을 벤젠 30 ㎖에 용해시켜 교반한 용액에, 2M 탄산나트륨 수용액(0.22 ㎖)과 4-메톡시벤젠보론산 (90 mg)을 적가하였다. 상기 반응용액을 24시간동안 환류시켰다. 다음 감압하에서 용매를 제거하고, 남는 잔여물을 실시예 2의 정제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정제하여, 고형의 2,2-디메틸-4-(4-메톡시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55 mg을 수득하였다. NMR: δ 1.56 (s, 6H), 3.07 (s, 3H), 3.83 (s, 3H), 6.92 (d,J= 8.7 Hz, 2H), 7.23 (d,J= 9.0 Hz, 2H), 7.89 (dd,J= 8.7, 8.7 Hz, 4H). IR (cm-1): 2925, 1697, 1592, 1149, 1031, 912, 745.
[실시예 4]
2,2-디메틸-4-(3-플루오로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 2H )-퓨라논
4-브로모-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170 mg)을 톨루엔 30 ㎖ 및 에탄올 10 ㎖에 용해시켜 교반한 용액에,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 25 mg, 중탄산나트륨 포화 수용액 10 ㎖ 및 3-플루오로벤젠보론산 100 mg을 적가하였다. 상기 반응용액을 90oC에서 12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다음 감압하에서 용매를 제거하고, 남는 잔여물을 물과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감압 농축하고, 남은 잔여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로 분리하여, 고형의 2,2-디메틸-4-(3-플루오로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120 mg을 수득하였다. mp: 178~179oC. NMR: δ 1.58 (s, 6H), 3.08 (s, 3H), 7.05 (m, 3H), 7.33 (m, 1H), 7.83 (d,J= 8.7 Hz, 2H), 7.95 (d,J= 8.4 Hz, 2H). IR (cm-1): 3020, 1697, 1620, 1403, 1318, 1149, 958, 768. MS (FAB): 361 (m+ 1).
또한, 다음에서 설명된 방법으로 상기 표제의 화합물을 제조할 수가 있다: 2,2-디메틸-4-(3-플루오로페닐)-5-{4-(메틸티오)페닐}-3(2H)-퓨라논(실시예 166) 3.0 g을 옥손 10 g과 함께 THF 50 ㎖, 메탄올 50 ㎖ 및 물 50 ㎖에 용해시켰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다음 상기 용액을 감압 농축하고, 남은 수용액을 염화메틸렌 150 ㎖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소금물로 세척한 후 무수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하였다. 여과하여 마그네슘 설페이트를 제거하고, 남은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남은 잔여물을 염화메틸렌/헥산으로 재결정하여 2,2-디메틸-4-(3-플루오로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3.3 g을 수득하였다.
2,2-디메틸-4-(3-플루오로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을 제조하기 위한 또 다른 변형방법을, 2-(3-플루오로페닐)-1-{4-(메틸설포닐)페닐}-에타논을 출발물질로 하여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2-(3-플루오로페닐)-1-(4-메틸설포닐페닐)-에타논(1 g)을 THF 10 ㎖에 용해시켜 교반한 용액에, 95% 수소화나트륨 0.23 g을 0oC에서 가하였다. 다음 상기 반응용액을 동일한 온도에서 1시간동안 교반하였다.α-브로모-이소부틸산 시아나이드 0.64 g을 0oC에서 상기 반응 혼합물에 천천히 적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의 온도를 실온으로 상승시키면서 7시간동안더 교반하였다. 물 5 ㎖를 가하여 상기 반응을 중단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감압 농축시킨 후, 물 50 ㎖에 용해시켰다. 수용액을 에틸아세테이트(100 ㎖)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소금물로 세척한 후, 감압 농축하였다. 남은 잔여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2,2-디메틸-4-(3-플루오로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0.75 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5]
4-(3-아세틸페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 2H )-퓨라논
4-브로모-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170 mg)을 톨루엔 30 ㎖과 에탄올 10 ㎖에 용해시켜 교반한 용액에,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디윰(0) 25 mg, 탄산나트륨 포화수용액 10 ㎖ 및 3-아세틸벤젠보론산 130 ㎖을 가하였다. 상기 반응용액을 90oC에서 12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다음 감압하에서 용매를 제거하고, 남은 잔여물을 물과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감압 농축한 후, 남은 잔여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2:1)로 분리하여, 고형의 4-(3-아세틸페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100 mg을 수득하였다. mp: 189~190oC. NMR: δ 1.60 (s, 6H), 2.59 (s, 3H), 3.07(s, 3H), 7.48 (m, 2H), 7.82 (d,J= 8.7 Hz, 2H), 7.90 (m, 2H), 7.94 (d,J= 8.4 Hz, 2H). IR (cm-1): 1690, 1620, 1589, 1149, 958, 770.
[실시예 6]
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4-(3-니트로페닐)-3( 2H )-퓨라논
4-브로모-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170 mg)을 톨루엔 30 ㎖ 및 에탄올 10 ㎖에 용해시켜 교반한 용액에,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 25 mg, 탄산나트륨 포화수용액 10 ㎖ 및 3-니트로벤젠보론산 120 ㎎을 가하였다. 상기 반응용액을 90oC에서 12시간동안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제거하고, 남은 잔여물을 물과 디클로로메탄(50 ㎖ ×3)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감압 농축하고, 남은 잔여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로 분리하여, 고형의 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4-(3-니트로페닐)-3(2H)-퓨라논 100 mg을 수득하였다. mp: 158~159oC. NMR: δ 1.61 (s, 6H), 3.09 (s, 3H), 7.57 (t,J= 7.8 Hz, 1H), 7.64 (m, 1H), 7.81 (d,J= 9.0 Hz, 2H), 7.98 (d,J= 8.7 Hz, 2H), 8.19 (m, 2H). IR (cm-1): 2982, 1697, 1529, 1403, 1349, 1150, 959,770.
[실시예 7]
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4-{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3( 2H )-퓨라논
4-브로모-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150 mg)을 톨루엔 15 ㎖ 및 에탄올 5 ㎖에 용해시켜 교반한 용액에,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디윰(0) 30 mg, 탄산나트륨 포화수용액 5 ㎖ 및 4-(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젠보론산 100 mg을 가하였다. 상기 반응용액을 90oC에서 24시간동안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제거하고, 남은 잔여물을 물과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감압 농축한 후, 남은 잔여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로 분리하여, 고형의 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4-{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3(2H)-퓨라논 60 mg을 수득하였다. mp: 118~120oC. NMR: δ 1.58 (s, 6H), 3.08 (s, 3H), 7.20-7.26 (m, 2H), 7.31-7.34 (m, 2H), 7.82-7.85 (m, 2H), 7.95-7.98 (m, 2H). IR (cm-1): 2931, 1698, 1510, 1387, 1258, 1150, 960, 846, 770.
[실시예 8]
2,2-디메틸-4-(3,4-메틸렌디옥시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 2H )-퓨라논
4-브로모-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200 mg)을 톨루엔 30 ㎖ 및 에탄올 10 ㎖에 용해시켜 교반한 용액에,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디윰(0) 25 mg, 탄산나트륨 포화수용액 10 ㎖ 및 (3,4-메틸렌디옥시)벤젠보론산 150 mg을 가하였다. 상기 반응용액을 90oC에서 12시간동안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제거하고, 남은 잔여물을 물과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감압 농축한 후, 남은 잔여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로 분리하여, 고형의 2,2-디메틸-4-(3,4-메틸렌디옥시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100 mg을 수득하였다. mp: 178~179oC. NMR: δ 1.60 (s, 6H), 3.07 (s, 3H), 5.99 (s, 2H), 6.74 (m, 2H), 6.84 (d,J= 8.7 Hz, 1H), 7.87 (d,J= 8.7 Hz, 2H), 7.94 (d,J= 8.7 Hz, 2H). IR (cm-1): 1697, 1503, 1404, 1245, 1148, 959, 770.
[실시예 9]
2,2-디메틸-4-{4-(3-플루오로-4-페닐)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 2H )-퓨라논
4-브로모-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00 mg을, 실시예 2에서의 합성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3-플루오로-4-페닐)벤젠}보론산 170 mg과 결합시켜, 고형의 2,2-디메틸-4-{(3-플루오로-4-페닐)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110 mg을 수득하였다. mp: 163~164oC. NMR: δ 1.60 (s, 6H), 3.09 (s, 3H), 7.13 (m, 2H), 7.41 (m, 2H), 7.45 (m, 2H), 7.57 (m, 2H), 7.91 (d,J= 8.7 Hz, 2H), 7.98 (d,J= 8.7 Hz, 2H). IR (cm-1): 3020, 1698, 1621, 1402, 1319, 1258, 1148, 957, 770.
[실시예 10]
4-(4-아세틸페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 2H )-퓨라논
200 mg의 4-브로모-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200mg)을, 실시예 2에서의 합성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4-아세틸벤젠)보론산 104 mg과 결합시켜 고형의 4-(4-아세틸페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55 mg을 수득하였다. mp: 164~167oC. NMR: δ 1.60 (s, 6H), 2.32 (s, 3H), 3.08 (s, 3H), 7.39-7.42 (m, 2H), 7.81-7.84 (m, 2H), 7.94-7.98 (m, 4H). IR (cm-1): 1696, 1685, 1618, 1386, 1318, 1150, 960, 770.
[실시예 11]
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 2H )-퓨라논
4-브로모-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300 mg)을 톨루엔 30 ㎖ 및 에탄올 10 ㎖에 용해시켜 교반한 용액에,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 25 mg, 2M 탄산나트륨 수용액 10 ㎖ 및 (3,5-디플루오로벤젠)보론산 200 mg을 가하였다. 상기 반응용액을 90oC에서 12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다음 감압하에서 용매를 제거한 후, 남은 잔여물을 물과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감압 농축한 후, 남은 잔여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로 분리하여, 고형의 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00 mg을 수득하였다. mp: 141~142oC. NMR: δ 1.60 (s, 6H), 3.08 (s, 3H), 3.95 (s, 3H), 6.92 (m, 3H), 7.88 (d,J= 8.7 Hz, 2H), 7.93 (d,J= 8.7 Hz, 2H). IR (cm-1): 1695, 1611, 1516, 1316, 1270, 1123, 1023, 858, 769. MS (FAB): 379 (m+ 1).
또한, 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4-(메틸티오)-페닐}-3(2H)-퓨라논(실시예 173) 18 g을, 실시예 4에서의 대체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옥손 45 g과 THF 300 ㎖, 에탄올 300 ㎖ 및 물 300 ㎖중에서 반응시켜, 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19.5 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2]
2,2-디메틸-4-(3,5-디메틸-4-메톡시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 2H )-퓨라논
4-브로모-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300 mg을, 실시예 2에서의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3,5-디메틸-4-메톡시벤젠)보론산 250 mg과 결합시켜, 고형의 2,2-디메틸-4-(3,5-디메틸-4-메톡시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60 mg을 수득하였다. mp: 130~131oC. NMR: δ 1.56 (s, 6H), 2.26(s, 6H), 3.07 (s, 3H), 3.75 (s, 3H), 6.91 (s, 2H), 7.87 (d,J= 8.7 Hz, 2H), 7.92 (d,J= 8.7 Hz, 2H). IR (cm-1): 2929, 1697, 1591, 1399, 1319, 1149, 1135, 771.
[실시예 13]
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4-(1-나프틸)-3( 2H )-퓨라논
4-브로모-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00 mg을, 실시예 2에서의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나프탈렌-1-보론산 114 mg와 결합시켜, 고형의 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4-(1-나프틸)-3(2H)-퓨라논을 수득하였다. mp: 194~195oC. NMR: δ 1.67 (s, 3H), 1.71 (s, 3H), 2.97 (s, 3H), 7.33-7.43 (m, 2H), 7.48-7.60 (m, 2H), 7.51-7.52 (m, 1H), 7.66-7.69 (m, 2H), 7.76-7.78 (m, 2H), 7.90-7.94 (m, 2H). IR (cm-1): 1698, 1404, 1318, 1149, 1092, 772.
[실시예 14]
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 2H )-퓨라논
4-브로모-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00 mg을, 실시예 2에서의 합성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3-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보론산 150 mg과 결합시켜, 고형의 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2H)-퓨라논 100 mg을 얻었다. mp: 115~116oC. NMR: δ 1.60 (s, 6H), 3.08 (s, 3H), 7.49 (m, 2H), 7.60 (m, 2H), 7.82 (d,J= 8.7 Hz, 2H), 7.96 (d,J= 9.0 Hz, 2H). IR (cm-1): 1697, 1624, 1385, 1327, 1124, 959, 770. MS (FAB): 411 (m+ 1).
또한, 2,2-디메틸-5-{4-(메틸티오)페닐}-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2H)-퓨라논(실시예 169) 1.5 g을, 실시예 4에서의 대체방법에서 사용된 방법으로 4.5 g의 옥손과 THF 50 ㎖, 에탄올 50 ㎖ 및 물 50 ㎖중에서 반응시켜, 표제 화합물 1.28 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5]
4-(2-벤조[b]티에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 2H )-퓨라논
4-브로모-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00 mg을 실시예 2와 유사한 방법으로 (2-벤조[b]티에닐)보론산 125 mg과 결합시켜, 고형의 4-(2-벤조[b]티에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60 mg을 수득하였다. mp: 204~206oC. NMR: δ 1.61 (s, 6H), 3.11 (s, 3H), 7.32~7.43 (m, 4H), 7.51~7.53 (m, 1H), 7.74~7.84 (m, 2H), 8.01 (s, 2H). IR (cm-1): 1702, 1620, 1382, 1147, 957, 750.
[실시예 16]
4-(2-벤조[b]퓨라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 2H )-퓨라논
4-브로모-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00 mg을, 실시예 2에서의 합성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2-벤조[b]퓨란)보론산 107 mg과 반응시켜, 고형의 4-(2-벤조[b]퓨라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15 mg을 수득하였다. mp: 140~141oC. NMR: δ 1.60 (s, 6H), 3.13 (s, 3H), 7.22-7.35 (m, 4H), 7.60-7.63 (m, 1H), 8.06 (m, 4H). IR (cm-1): 1703, 1538, 1406, 1317, 1149, 958, 752.
[실시예 17]
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4-(3-티에닐)-3( 2H )-퓨라논
4-브로모-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00 mg을, 실시예 2에서의 합성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티오펜-3-보론산 100 mg과 결합시켜, 고형의 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4-(3-티에닐)-3(2H)-퓨라논 10 mg을 수득하였다. NMR: δ 1.56 (s, 6H), 3.09 (s, 3H), 6.92-6.93 (m, 1H), 7.32-7.35 (m, 1H), 7.51-7.52 (m, 1H), 7.90-7.93 (m, 2H), 7.97-8.00 (m, 2H).
[실시예 18]
2,2-디메틸-4-(2-퓨라닐)-5-{4-(메틸설포닐)페닐}-3( 2H )-퓨라논
단계 1: 2,2-디메틸-4-요오드-5-{4-(메틸설포닐)페닐}- 3( 2H )-퓨라논의 제조
실시예 1의 단계 5와 유사한 방법으로, 2,2-디메틸-5-{4-(메틸티오)페닐}-3(2H)-퓨라논을 옥손으로 산화반응시켜 제조한 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5 g을 사염화탄소 400 ㎖ 및 클로로포름 100 ㎖에 용해시킨 후, [비스(트리플루오로아세톡실)요오드]벤젠 [BTI] 25 g 및 요오드 15 g을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 후, 상기 반응물에 요오드의 고유색이 사라질 때까지 티오황산 나트륨 포화 수용액을 첨가하여, 반응을 중지시켰다. 상기 용액을 클로로포름(500 ㎖ x 3)으로 추출한 후, 유기층을 감압 농축하였다. 남은 잔여물을 헥산과 에틸아세테이트로 재결정하여, 2,2-디메틸-4-요오드-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35 g을 수득하였다. mp: 184~185oC. NMR: δ 1.55 (s, 6H), 3.12 (s, 3H), 8.12 (d,J= 8.7 Hz, 2H), 8.40 (d,J= 8.7 Hz, 2H).
단계 2: 2,2-디메틸-4-(2-퓨라닐)-5-{4-(메틸설포닐)페닐}-3( 2H )-퓨라논의 제조
2,2-디메틸-4-요오드-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50 mg을, 실시예 2 와 유사한 방법으로 퓨란-2-보론산 86 mg과 반응시켜, 고형의 2,2-디메틸-4-(2-퓨라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7 mg을 수득하였다. NMR: δ 1.56 (s, 6H), 3.11 (s, 3H), 6.51 (m, 1H), 6.89 (d,J= 3.6 Hz, 1H), 7.37 (d,J= 3.6 Hz, 1H), 7.97 (m, 4H). IR (cm-1): 2989, 1703, 1409, 1317, 1148, 959, 771.
[실시예 19]
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4-(3-피리딜)-3( 2H )-퓨라논
4-브로모-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200 mg)을 톨루엔 15 ㎖ 및 에탄올 5 ㎖에 용해시켜 교반한 용액에,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0)-클로로포름 첨가생성물 27 mg, 트리페닐 포스핀 17 mg, 2M 탄산나트륨 수용액 5 ㎖ 및 리튬 3-트리메틸피리디늄 보론산염(200 mg)을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용액을 90~100oC 에서 24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다음 감압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남는 잔여물을 물과 디클로로메탄(100 ㎖ x 3)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감압 농축한 후, 남은 잔여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로 분리하여, 고형의 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4-(3-피리딜)-3(2H)-퓨라논 110 mg을 수득하였다. mp: 164~166oC. NMR: δ 1.60 (s, 6H), 3.09 (s, 3H), 7.38-7.42 (m, 1H), 7.76-7.79 (m, 1H), 7.80-7.83 (m, 2H), 7.96-7.99 (m, 2H), 8.42-8.49 (m, 1H), 8.56-8.61 (m, 1H). IR (cm-1): 1698, 1386, 1316, 1149, 1061, 961, 772.
[실시예 20]
2,2-디메틸-4-{4-(1- N -메틸피라졸일)}-5-{4-(메틸설포닐)페닐}-3( 2H )-퓨라논
2,2-디메틸-4-요오드-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445 mg)을 톨루엔 50 ㎖와 에탄올 15 ㎖에 용해시켜 교반한 용액에,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 25 mg, 2M 탄산나트륨 수용액 15 ㎖ 및 {4-(1-N-메틸피라졸일)}-트리메틸보론산 리튬염 547 mg을 가하였다. 상기 반응용액을 90oC에서 12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다음 감압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남은 잔여물을 물과 디클로로메탄(50 ㎖ x 3)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감압 농축한 후, 남은 잔여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로 분리하여, 고형의 2,2-디메틸-4-{4-(1-N-메틸피라졸일)}-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90 mg을 수득하였다. mp: 114~115oC. NMR: δ 1.54 (s, 6H), 3.10 (s, 3H), 3.94 (s, 3H), 7.34 (s, 1H), 7.34 (s, 1H), 7.99-8.06 (m, 4H). IR (cm-1): 2930, 1700, 1538, 1314, 1148, 884, 771. MS(FAB): 347(m+1)
[실시예 21]
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4-(4-피라졸일)-3( 2H )-퓨라논
단계 1: 4-브로모-1-N-트리틸피라졸의 제조
피리딘 30 ㎖중의 4-브로모피라졸 0.5 g 및 트리틸클로라이드 1.43 g의 혼합물을 18시간동안 환류하면서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피리딘을 제거하고, 남은 잔여물을 실리카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헥산 = 1:1)로 정제하여, 4-브로모-1-N-트리틸피라졸 1.32 g을 수득하였다.
단계 2: {4-(1-N-트리틸피라졸)}-트리메틸 보론산 리튬염의 제조
-78oC에서 4-브로모-1-N-트리틸피라졸을 무수 THF 30 ㎖에 용해시켜 교반한 용액에, 헥산중의 2M 부틸리튬 1.4 ㎖를 적가하였다. 다음 상기 반응혼합물을 30분동안 교반한 후, 트리이소프로필보론산염 0.76 ㎖를 가하였다. 반응혼합물을 한시간동안 더 교반한 후, 메탄올 20 ㎖를 첨가하여 반응을 중단시켰다. 감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결과 수득한 염은 추가의 정제 과정없이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다.
단계 3: 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4-{4-(1-N-트리틸피라졸)}-3( 2H )-퓨라논의 제조
2,2-디메틸-4-요오드-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300 mg을 톨루엔 50 ㎖ 및 에탄올 15 ㎖에 용해시킨 후,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 25 mg, 2M 탄산나트륨 수용액 15 ㎖ 및 이전 단계에서의 {4-(1-N-트리틸피라졸일)}-트리메틸보론산 리튬염 480 mg을 가하였다. 상기 반응혼합물을 90oC에서 12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실시예 2에서의 정제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상기 반응 혼합물을 정제하여, 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4-{4-(1-N-트리틸피라졸)}-3(2H)-퓨라논 120 mg을 수득하였다.
단계 4: 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4-(4-피라졸일)-3( 2H )-퓨라논의 제조
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4-{4-(1-N-트리틸피라졸일)}-3(2H)-퓨라논 120 mg을, p-톨루엔설폰산 36 mg을 첨가한 메탄올 23 ㎖ 중에서 3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다음 상기 메탄올을 감압하에서 제거하고, 남은 잔여물을 물 30 ㎖로 희석하였다. 수용액층을 디클로로메탄(30 ㎖ x 3)으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감압 농축하였다. 남은 잔여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1:4)로 정제하여, 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4-(4-피라졸일)-3(2H)-퓨라논 60 mg을 수득하였다. NMR: δ 1.56 (s, 6H), 3.11 (s, 3H), 7.88 (s, 2H), 8.05 (m, 5H). IR (cm-1): 3325, 1702, 1408, 1316, 1148, 913.
[실시예 22]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4-플루오로페닐)-3( 2H )-퓨라논
단계 1: 2,2-디메틸-5-{4-(메틸설피닐)페닐}-3( 2H )-퓨라논의 제조
0oC에서 디클로로메탄 200 ㎖에 2,2-디메틸-5-{4-(메틸티오)페닐}-3(2H)-퓨라논(10 g)을 용해시켜 교반한 용액에,m-클로로퍼옥시벤조산(m-CPBA) 4.8 g을 디클로로메탄 50 ㎖에 용해시켜 천천히 적가하였다. 상기 반응혼합물을 0oC에서 2시간동안 더 교반한 후,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남은 잔여물을 물과 디클로로메탄(50 ㎖ x 3)으로 추출한 후, 탄산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농축한 후, 조생성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고형의 2,2-디메틸-5-{4-(메틸설피닐)페닐}-3(2H)-퓨라논 7.5 g을 수득하였다. mp: 108~109oC. NMR: δ 1.51 (s, 6H), 2.78 (s, 3H), 6.06 (s, 1H), 7.78 (d,J= 8.4 Hz, 2H), 8.02 (d,J= 8.4 Hz, 2H). IR (cm-1): 2925, 1697, 1603, 1558, 1173, 1087, 1049.
단계 2: 2,2-디메틸-4-요오드-5-{4-(메틸설피닐)페닐}-3( 2H )-퓨라논의 제조
2,2-디메틸-5-{4-(메틸설피닐)페닐}-3(2H)-퓨라논 6 g을 사염화탄소 200 ㎖와 클로로포름 100 ㎖에 용해시켜 교반한 용액에, [비스(트리플루오로아세톡시)요오드]벤젠 (BTI) 5.15 g과 요오드 6.5 g을 가한 후, 상기 반응용액을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4시간 후, 요오드의 고유색이 없어질 때까지 티오 황산나트륨 포화수용액을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시켰다. 반응이 중지된 상기 용액을 물과 디클로로메탄(100 ㎖ x 3)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감압 농축하고, 남은 조생성물을 헥산/에틸아세테이트로 재결정하여, 2,2-디메틸-4-요오드-5-{4-(메틸설피닐)페닐}-3(2H)-퓨라논 4.5 g을 수득하였다. NMR: δ 1.53 (s, 6H), 2.79 (s, 3H), 7.81 (d,J= 8.1 Hz, 2H), 8.38 (d,J= 8.1 Hz, 2H). IR (cm-1): 2975, 2929, 1699, 1595, 1404, 1319, 1150, 969, 766, 552.
단계 3: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요오드-3( 2H )-퓨라논의 제조
2,2-디메틸-4-요오드-5-{4-(메틸설피닐)페닐}-3(2H)-퓨라논 1.11 g을 0oC에서 2시간동안 무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TFAA) 30 ㎖과 반응시켰다. 상기 휘발성 용매를 감압하여 제거한 후, 남은 잔여물을 1:1 메탄올/트리에틸아민 50 ㎖에 용해시켰다. 용매는 감압하여 다시 제거하였다. 남은 잔여물을 사염화탄소 30 ㎖에 용해시킨 후, 염소로 포화된 아세트산 40 ㎖를 0oC에서 천천히 가하였다. 상기 반응용액을 0oC에서 20분동안 교반한 후, 상기 반응용매 및 미반응 염소를 감압하여 제거하였다. 남은 잔여물을 톨루엔 30 ㎖에 용해시키고, 상기 톨루엔을 감압하에서 제거하였다. THF 40 ㎖ 중에서 남은 잔여물을 암모니아수 3 ㎖와 0oC에서 30분 동안 반응시켰다. 상기 반응용액을 감압 농축하고, 남은 잔여물을 물 30 ㎖로 희석시켰다. 상기 수용액을 디클로로메탄(30 ㎖ x 3)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감압하에서 농축한 후,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 = 3:2)로 정제하여, 고형의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요오드-3(2H)-퓨라논 450 mg을 수득하였다. mp: 179~180oC. NMR: δ 1.50 (s, 6H), 5.63 (br. s, 2H), 8.05 (dd,J= 9.0,1.5 Hz, 2H), 8.29 (dd,J= 9.0, 5.7 Hz, 2H). IR (cm-1): 3367, 3261, 2985, 1684, 1582, 1405, 1188, 913. MS (FAB): 393 (m+ 1).
단계 4: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4-플루오로페닐)-3( 2H )-퓨라논의 제조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요오드-3(2H)-퓨라논 100 mg을 톨루엔 15 ㎖ 및 에탄올 5 ㎖에 용해시켜 교반한 용액에,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 34 mg, 2M의 탄산나트륨 수용액 5 ㎖ 및 (4-플루오로벤젠)보론산 80 mg을 가하였다. 상기 반응용액을 95oC에서 24시간동안 교반한 후, 감압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남은 잔여물을 물 30 ㎖와 디클로로메탄 (30 ㎖ x 3)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다. 수화된 황산 마그네슘을 여과하여 제거한 후,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남은 조생성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 = 1:1)로 정제하여, 고형의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4-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40 mg을 수득하였다. mp: 162~163oC. NMR: δ 1.57 (s, 6H), 4.93 (br. s, 2H), 7.08 (d,J= 8.7 Hz, 2H), 7.25 (t,J= 8.7 Hz, 2H), 7.78 (d,J= 8.7 Hz, 2H), 7.92 (d,J= 8.7 Hz, 2H). IR (cm-1): 3348, 3263, 1685, 1589, 1341, 1219, 1163.
[실시예 23]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 2H )-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요오드-3(2H)-퓨라논 100 mg을 톨루엔 15 ㎖ 및 에탄올 5 ㎖에 용해시켜 교반한 용액에,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 30 mg, 2M 탄산나트륨수용액 5 ㎖ 및 3-(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보론산 100 mg을 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95oC에서 24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시예 22의 단계 4와 유사한 방법으로 정제하여,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2H)-퓨라논 35 mg을 수득하였다. mp: 129~130oC. NMR: δ 1.59 (s, 6H), 4.93 (br. s, 2H), 7.48 (m, 2H), 7.59 (m, 2H), 7.76 (d,J= 8.7 Hz, 2H), 7.93 (d,J= 9.0 Hz, 2H). IR (cm-1): 3343, 3265, 1691, 1593, 1329, 1262.
[실시예 24]
5-{4-(아미노설포닐)페닐}-4-{3,4-(디메톡시)페닐}-2,2-디메틸-3( 2H )-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요오드-3(2H)-퓨라논 150 mg을 톨루엔 15 ㎖ 및 에탄올 5 ㎖에 용해시켜 교반한 용액에,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 20 mg, 2M 탄산나트륨 수용액 5 ㎖ 및 3,4-(디메톡시)벤젠보론산 100 mg을 적가하였다. 상기 반응혼합물을 95oC에서 24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실시예 22의 단계 4와 유사한 방법으로 정제하여, 고형의 5-{4-(아미노설포닐)페닐}-4-{3,4-(디메톡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60 mg을 수득하였다. mp: 213~214oC. NMR: δ 1.57 (s, 6H), 3.81 (s, 3H), 3.90 (s, 3H), 4.87 (br s, 2H), 6.86 (m, 3H), 7.81 (d,J= 8.4 Hz, 2H), 7.91 (d,J= 8.7 Hz, 2H). IR (cm-1): 3339, 3248, 1694, 1404, 1259, 1159, 1024, 604.
[실시예 25]
4-(3-아세틸페닐)-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3( 2H )-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요오드-3(2H)-퓨라논 150 mg을 실시예 22의 단계 4와 유사한 방법으로 (3-아세틸벤젠)보론산 75 mg와 반응시켜, 고형의 4-(3-아세틸페닐)-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40 mg을 수득하였다. mp: 217~218oC. NMR: δ 1.57 (s, 6H), 2.58 (s, 3H), 4.89 (br s, 2H), 7.48 (m, 2H), 7.78 (m, 2H), 7.91 (m, 4H). IR (cm-1): 3340, 3233, 1682, 1558, 1162, 801, 751, 679, 654, 604. MS (FAB): 393 (m+ 1).
[실시예 26]
4-{3-N-(아세틸아미노)페닐}-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3( 2H )-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요오드-3(2H)-퓨라논 60 mg를, 실시예 22의 단계 4와 유사한 방법으로 {3-N-(아세틸아미노)벤젠}보론산 35 mg과 반응시켜, 고형의 4-{3-N-(아세틸아미노)페닐}-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25 mg을 수득하였다. mp: 225~227oC. NMR: δ 1.62 (s, 6H), 2.04 (s, 3H), 4.82 (br s, 2H), 7.46 (m, 3H), 7.53 (m, 1H), 7.68 (m, 4H). IR (cm-1): 3325, 2926, 1698, 1558, 1437, 1119.
[실시예 27]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3,4-(메틸렌디옥시)페닐}-3( 2H )-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요오드-3(2H)-퓨라논 120 mg을 실시예 22의 단계 4와 유사한 방법으로 3,4-(메틸렌디옥시)벤젠보론산 100 mg과 반응시켜, 고형의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3,4-(메틸렌디옥시)페닐}-3(2H)-퓨라논 40 mg을 수득하였다. mp: 178~179oC. NMR: δ 1.56 (s, 6H), 4.89 (br s, 2H), 5.99 (s, 2H), 6.74 (m, 2H), 6.83 (m, 1H), 7.82 (d,J= 9.0 Hz, 2H), 7.92 (d,J= 9.0 Hz, 2H). IR (cm-1): 3237, 1682, 1338, 1245, 1164.
[실시예 28]
5-{4-(아미노설포닐)페닐}-4-(2-벤조[b]티에닐)-2,2-디메틸-3( 2H )-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요오드-3(2H)-퓨라논 200 mg을 실시예 22의 단계 4와 유사한 방법으로 (2-벤조[b]티오펜)보론산 109 mg과 결합시켜, 고형의 5-{4-(아미노설포닐)페닐}-4-(2-벤조[b]티에닐)-2,2-디메틸-3(2H)-퓨라논 45 mg을 수득하였다. mp: 120~121oC. NMR: δ 1.60 (s, 3H), 4.89 (br s, 2H), 7.36 (m, 2H), 7.50 (m, 1H), 7.75 (m, 2H), 7.97 (m, 4H). IR (cm-1): 3350, 3210, 1650, 1530, 1320, 1158, 803, 743. MS (FAB): 400 (m+ 1).
[실시예 29]
5-{4-(아미노설포닐)페닐}-4-(3-비페닐)-2,2-디메틸-3( 2H )-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요오드-3(2H)-퓨라논 200 mg을 실시예 22의 단계 4와 유사한 방법으로 (3-페닐벤젠)보론산 120 mg과 반응시켜, 고형의5-{4-(아미노설포닐)페닐}-4-(3-비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40 mg을 수득하였다. mp: 160~161oC. NMR: δ 1.57 (s, 6H), 4.86 (br s, 2H), 7.23 (m, 1H), 7.34 (m, 1H), 7.44 (m, 3H), 7.56 (m, 4H), 7.84 (d,J= 8.7 Hz, 2H), 7.91 (d,J= 8.7 Hz, 2H). IR(cm-1): 3249, 1681, 1614, 1345, 1161.
[실시예 30]
5-{4-(아미노설포닐)페닐}-4-(2-벤조[b]퓨라닐)-2,2-디메틸-3( 2H )-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요오드-3(2H)-퓨라논 200 mg을 실시예 22의 단계 4와 유사한 방법으로 벤조[b]퓨란-2-보론산 99 mg과 결합시켜, 고형의 5-{4-(아미노설포닐)페닐}-4-(2-벤조[b]퓨라닐)-2,2-디메틸-3(2H)-퓨라논 45 mg을 수득하였다. mp: 143~145oC. NMR: δ 1.60 (s, 6H), 4.92 (br s, 2H), 7.23 (m, 3H), 7.72 (m, 2H), 8.02 (m, 4H). IR (cm-1): 3384, 3245, 1698, 1510, 1253, 1161, 793.
[실시예 31]
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4-페닐-3( 2H )-퓨라논
단계 1: 4-메틸-1-{4-(메틸티오)페닐}-2-헥신-1,4-디올의 제조
-78oC 아르곤 대기하에서, 무수 THF 150 ㎖에 3-메틸-1-펜틴-3-올(23.3 g)을 용해시켜 교반한 용액에, 헥산중의 2.5M 부틸리튬 130 ㎖를 20분 동안에 걸쳐 적가하였다. 상기 반응용액을 20분 동안 더 교반한 후, 4-메틸티오벤즈알테히드 16 ㎖를 적가하였다. 2시간동안 더 교반한 후, 묽은 염산수용액 200 ㎖을 첨가하여 반응을 중지시켰다. 반응용매를 감압하여 제거한 후, 남은 수용액을 디클로로메탄 (100 ㎖ x 3)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감압 농축하고, 남은 잔여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1:1)로 정제하여, 오일상의 4-메틸-1-{4-(메틸티오)페닐}-2-헥신-1,4-디올 30 g을 수득하였다. NMR: δ1.05 (t,J= 7.5 Hz, 3H), 1.51 (s, 3H), 1.73 (m, 2H), 2.18 (s, 1H), 2.50 (s, 3H), 5.49 (s, 1H), 7.26 (d,J= 8.7 Hz, 2H), 7.45 (d,J= 8.7 Hz, 2H). IR (cm-1): 3348, 2974, 2930,1492, 1092, 983, 795, 523.
단계 2: 4-히드록시-4-메틸-1-{4-(메틸티오)페닐}-2-헥신-1-온의 제조
4-메틸-1-{4-(메틸티오)페닐}-2-헥신-1,4-디올 9.9 g을 디클로로메탄 200 ㎖에 용해시킨 후, 피리디늄 중크롬산염 (PDC) 15 g과 셀라이트 15 g을 가하였다. 상기 현탁액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한 후, 녹지않는 물질은 플로리실로 여과 제거하였다. 여과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4/1)로 정제하여, 4-히드록시-4-메틸-1-{4-(메틸티오)페닐}-2-헥신-1-온 5.34 g을 수득하였다. NMR: δ1.13 (t,J= 7.5 Hz, 3H), 1.62 (s, 3H), 1.85 (q,J= 7.8 Hz, 2H), 2.54 (s, 3H), 7.28 (d,J= 8.7 Hz, 2H), 8.01 (d,J= 8.7 Hz, 2H). IR (cm-1): 3427, 2974, 1588, 1095, 914, 745.
단계 3: 2-에틸-2-메틸-5-{4-(메틸티오)페닐}-3( 2H )-퓨라논의 제조
4-히드록시-4-메틸-1-{4-(메틸티오)페닐}-2-헥신-1-온 5.34 g을 에탄올 200 ㎖에 용해시킨 후, 에탄올 50 ㎖로 희석한 디에틸아민 3 ㎖를 적가하였다. 상기 반응용액을 실온에서 4시간동안 교반한 후, 용매를 감압하여 제거하였다. 남은 잔여물을 물과 디클로로메탄(100 ㎖ x 3)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농축하여 얻은 2-에틸-2-메틸-5-{4-(메틸티오)페닐}-3(2H)-퓨라논 조생성물을, 정제과정없이 다음 단계의 반응에 사용하였다.
단계 4: 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 2H )-퓨라논의 제조
이전 단계 3에서의 2-에틸-2-메틸-5-{4-(메틸티오)페닐}-3(2H)-퓨라논 조생성물을 에탄올 50 ㎖, THF 50 ㎖ 및 물 50 ㎖에 용해시킨 후, 여기에 옥손 10 g을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한 후, 녹지 않는 물질을 여과하여 제거하고,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남은 수용액층을 디클로로메탄 (100 ㎖ x 1 및 50 ㎖ x 2)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감압 농축한 후, 남은 잔여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2:1)로 정제하여, 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5 g을 수득하였다. NMR: δ 0.89 (t,J= 7.2 Hz, 3H), 1.48 (s, 3H), 1.91 (q,J= 7.2 Hz, 2H), 3.11 (s, 3H), 6.13 (s, 1H), 8.07(m, 4H).
단계 5: 4-브로모-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 2H )-퓨라논의 제조
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5 g을 사염화탄소 100 ㎖에 용해시킨 후, 아세트산(3 ㎖)와 브롬(1 ㎖)를 가하였다. 상기 반응용액을 실온에서 1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브롬의 고유색이 없어질 때까지 티오황산나트륨 포화 수용액을 첨가하여 반응을 중지시켰다. 상기 반응용액을 디클로로메탄(30 ㎖ x 3)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감압 농축한 후, 남은 잔여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 1:1)로 정제하여, 4-브로모-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 g을 수득하였다. NMR: δ 0.91 (t,J= 7.2 Hz, 3H), 1.52 (s, 3H), 1.95 (qd,J= 7.2, 3.0 Hz, 2H), 3.11 (s, 3H), 8.11 (d,J= 8.7 Hz, 2H), 8.41 (d,J= 8.7 Hz, 2H). IR (cm-1): 2928, 1703, 1583, 1316, 1160, 552.
단계 6: 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4-페닐-3( 2H )-퓨라논의 제조
4-브로모-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200 mg)을 톨루엔 15 ㎖에 용해시켜 교반한 용액에,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 40 mg, 2M 탄산나트륨 수용액 5 ㎖ 및 벤젠보론산 100 mg을 가하였다. 상기 반응용액을 환류하면서 12시간동안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반응용매을 증발시켰다. 남은 잔여물을 물과 디클로로메탄(30 ㎖ x 3)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감압 농축하였다. 남은 조생성혼합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 2:1)로 정제하여, 고형의 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4-페닐-3(2H)-퓨라논 60 mg을 수득하였다. mp: 115~117oC. NMR: δ 0.96 (t,J= 7.5 Hz, 3H), 1.55 (s, 3H), 1.97 (q,J= 7.5 Hz, 2H), 3.07 (s, 3H), 7.37 (m, 5H), 7.85 (d,J= 8.7 Hz, 2H), 7.93 (d,J= 8.7 Hz, 2H). IR (cm-1): 2928, 1697, 1620, 1403, 1318, 1149, 959, 769, 552.
[실시예 32]
4-(3,5-디플루오로페닐)-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 2H )-퓨라논
4-브로모-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200 mg)을 톨루엔 15 ㎖ 및 에탄올 5 ㎖에 용해시켜 교반한 용액에,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 34 mg, 2M 탄산나트륨 수용액 5 ㎖ 및 3,5-디플루오로벤젠보론산 110 mg을 적가하였다. 상기 반응용액을 95oC에서 12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용매를 감압하에서 증발시킨 후, 남은 잔여물을 물 50 ㎖와 디클로로메탄(30 ㎖ x 3)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감압 농축한 후, 남은 조생성혼합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 2:1)로 정제하여, 고형의 4-(3,5-디플루오로페닐)-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80 mg을 수득하였다. mp: 122~124oC. NMR: δ 0.95 (t,J= 7.5 Hz, 3H), 1.54 (s, 3H), 1.97 (m, 2H), 3.10 (s, 3H), 6.81 (m, 3H), 7.84 (d,J= 8.7 Hz, 2H), 7.99 (d,J= 8.4 Hz, 2H). IR (cm-1): 2975, 2928, 1698, 1627, 1321, 1150, 990, 769, 552.
[실시예 33]
4-{3-(N-아세틸아미노)페닐}-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 2H )-퓨라논
4-브로모-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00 mg을 실시예 32에서의 합성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3-N-아세틸아미노)벤젠}보론산 120 mg과 결합시켜4-{(3-N-아세틸아미노)페닐}-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120 mg을 수득하였다. mp: 56~57oC. NMR: δ 0.95 (t,J= 7.2 Hz, 3H), 1.54 (s, 3H), 1.95 (m, 2H), 2.07 (s, 3H), 3.07 (s, 3H), 6.92 (m, 1H), 7.33 (m, 1H), 7.56 (m, 2H), 7.85 (d,J= 8.7 Hz, 2H), 7.93 (d,J= 9.0 Hz, 2H), 8.00 (s, 1H). IR (cm-1): 3312, 3077, 2928, 2881, 1695, 1619, 1553, 1318, 1149, 958, 725, 641.
[실시예 34]
2-에틸-2-메틸-4-{4-(1-N-메틸피라졸일)}-5-{4-(메틸설포닐)페닐}-3( 2H )-퓨라논
2-에틸-4-요오드-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10 mg과 {4-(1-N-메틸피라졸일)}-트리메틸보론산 리튬염 170 mg을 반응시킨 후, 상기 반응용액을 90oC에서 12시간동안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반응용매를 증발시켜 제거하고, 남은 잔여물을 물 50 ㎖로 희석하였다. 수용액층을 디클로로메탄(30 ㎖ x 3)으로 추출하고, 유기층은 감압 농축하였다. 남은 조생성혼합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고형의 2-에틸-2-메틸-4-{4-(1-N-메틸피라졸일)}-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100 mg을 수득하였다. mp: 78~80oC. NMR: δ 0.92 (t,J= 7.5 Hz, 3H), 1.59 (s, 3H), 1.93 (m, 2H), 3.10 (s, 3H), 3.93 (s, 3H), 7.38 (d,J= 0.6 Hz, 1H), 7.74 (br s, 1H), 8.03 (m, 4H).
[실시예 35]
4-(4-아세틸페닐)-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 2H )-퓨라논
단계 1: 2-에틸-4-요오드-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 2H )-퓨라논의 제조
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8.88 g을 사염화탄소 50 ㎖ 및 클로로포름 50 ㎖에 용해시킨 후, [비스(트리플루오로아세톡시)요오드]벤젠(6.82 g)와 요오드(4 g)을 가하였다. 상기 반응용액을 실온에서 4시간동안 교반한 후, 요오드의 고유색이 사라질 때까지 티오황산 나트륨 포화수용액을 첨가하여 반응을 중지시켰다. 상기 용액을 물 50 ㎖ 및 디클로로메탄(100 ㎖ x 3)으로 추출하였다. 다음 유기층을 감압 농축한 후, 남은 조생성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 1:1)로 정제하여, 2-에틸-4-요오드-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8.7 g을 수득하였다. NMR: δ 0.89 (t,J= 7.5 Hz, 3H), 1.51 (s, 3H), 1.93 (q,J= 7.5 Hz, 2H), 3.11 (s, 3H), 8.11 (d,J= 8.7 Hz, 2H), 8.34 (d,J= 8.7 Hz, 2H). IR (cm-1): 2928, 1701, 1552, 1314, 1148, 747, 551.
단계 2: 4-(4-아세틸페닐)-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 2H )-퓨라논의 제조
2-에틸-4-요오드-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200 mg)을 톨루엔 15 ㎖ 및 에탄올 5 ㎖에 용해시켜 교반한 용액에,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 34 mg, 2M 탄산나트륨 수용액 5 ㎖ 및 4-아세틸벤젠보론산 120 mg을 가하였다. 상기 반응용액을 95oC에서 12시간동안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반응용매를 증발시켜 제거하고, 남은 잔여물을 물 50 ㎖와 디클로로메탄(30 ㎖ x 3)으로 추출하였다. 다음 유기층을 감압 농축하고, 남은 조생성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고형의 4-(4-아세틸페닐)-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120 mg을 수득하였다. mp: 147~148oC. NMR: δ 0.97 (t,J= 7.5 Hz, 3H), 1.56 (s, 3H), 1.99 (m, 2H), 2.62 (s, 3H), 3.08 (s, 3H), 7.39 (d,J= 8.7 Hz, 2H), 7.83 (d,J= 8.7 Hz, 2H), 7.97 (m, 2H). IR (cm-1): 2929, 1684, 1410, 1317, 1149, 1016, 769, 552.
[실시예 36]
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4-(3-피리딜)-3( 2H )-퓨라논
4-브로모-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200 mg)을 톨루엔 15 ㎖ 및 에탄올 5 ㎖에 용해시켜 교반한 용액에,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 40 mg, 2M 탄산나트륨수용액 5 ㎖ 및 (3-피리딜)-트리메틸보론산 리튬염 110 mg을 가하고, 상기 반응용액을 95oC에서 12시간동안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상기 반응용매를 증발시켜 제거하고, 남은 잔여물을 물 50 ㎖로 희석하였다. 수용액을 디클로로메탄(30 ㎖ x 3)으로 추출한 후, 유기층을 감압 농축하였다. 남은 조생성혼합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4-(3-피리딜)-3(2H)-퓨라논 35 mg을 얻었다. NMR: δ 0.97 (t,J= 7.5 Hz, 3H), 1.57 (s, 3H), 2.00 (m, 2H), 3.09 (s, 3H), 7.37 (m, 1H), 7.71 (m, 1H), 7.83 (d,J= 9.0 Hz, 2H), 7.98 (d,J= 8.7 Hz, 2H), 8.46 (s, 1H), 8.58 (s, 1H). IR (cm-1): 3058, 2976, 1696, 1621, 1401, 1318, 1149, 926, 769, 726, 552.
[실시예 37]
4-(4- t -부틸페닐)-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 2H )-퓨라논
2-에틸-4-요오드-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150 mg을 실시예 35의 단계 2에서의 합성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4-t-부틸벤젠)보론산 117 mg과 결합시켜, 4-(4-t-부틸페닐)-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100 mg을 수득하였다. mp: 45 ℃. NMR: δ 0.95 (t,J= 7.5 Hz, 3H), 1.33 (s, 9H), 1.54 (s, 3H), 1.96 (m, 2H), 3.08 (s, 3H), 7.18-7.21 (m, 2H), 7.38-7.41 (m, 2H), 7.86-7.95 (m, 4H). IR (cm-1): 2967, 2871, 1696, 1594, 1385, 1320, 1149, 769, 552.
[실시예 38]
4-(3-아미노페닐)-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 2H )-퓨라논
2-에틸-4-요오드-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00 mg을 실시예 35의 단계 2에서의 합성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3-아미노벤젠)보론산 110 mg과 반응시켜, 고형의 4-(3-아미노페닐)-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105 mg을 수득하였다. mp: 77~78oC. NMR: δ 0.94 (t,J= 7.5 Hz, 3H), 1.53 (s, 3H), 1.96 (m, 2H), 3.07 (s, 3H), 6.57 (m, 1H), 6.66 (m, 2H), 7.14 (m, 1H), 7.91 (m, 4H). IR (cm-1): 3457, 3370, 2926, 1692, 1620, 1403, 1317, 1148, 959, 854, 769, 552.
[실시예 39]
2-에틸-4-{4-(플루오로메틸)페닐}-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 2H )-퓨라논
2-에틸-4-요오드-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00 mg을 실시예 35의 단계 2에서의 합성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4-(플루오로메틸)벤젠}보론산 110 mg과 결합시켜, 2-에틸-4-{4-(플루오로메틸)페닐}-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70 mg을 수득하였다. NMR: δ 0.96 (dt,J= 7.5, 2.1 Hz, 3H), 1.55 (s, 3H), 1.97 (m, 2H), 3.07 (s, 3H), 5.41 (d,J= 23.9 Hz, 2H), 7.37 (m, 4H), 7.85 (m, 2H), 7.93 (m, 2H). IR (cm-1): 2974, 2929, 1697, 1319, 1150, 769, 552.
[실시예 40]
4-{5-(2-아세틸티에닐)}-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 2H )-퓨라논
2-에틸-4-요오드-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00 mg을, 실시예 35의 단계 2에서의 합성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2-아세틸티오펜)-5-보론산 100 mg과 반응시켜, 4-{5-(2-아세틸티에닐)}-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70 mg을 수득하였다. NMR: δ 0.95 (t,J= 7.2 Hz, 3H), 1.56 (s, 3H), 1.95 (m, 2H), 2.55 (s, 3H), 3.13 (s, 3H), 7.21 (d,J= 4.2 Hz, 1H), 7.95 (d,J= 4.2 Hz, 1H), 7.85 (d,J= 8.1 Hz, 2H), 8.08 (d,J= 8.1 Hz, 2H). IR (cm-1): 2926, 1690, 1315, 1150, 772, 552.
[실시예 41]
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4-{2-(3-메틸티에닐)}-3( 2H )-퓨라논
2-에틸-4-요오드-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00 mg을 실시예 36에서의 합성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2-(3-메틸티오펜)}-트리메틸 보론산리튬염 100 mg과 반응시켜, 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4-{2-(3-메틸티에닐)}-3(2H)-퓨라논 150 mg을 수득하였다. NMR: δ 0.95 (t,J= 7.5 Hz, 3H), 1.55 (s, 3H), 1.96 (s, 3H), 1.99 (m, 2H), 3.06 (s, 3H), 6.80 (d,J= 5.1 Hz, 1H), 7.36 (d,J= 5.1 Hz, 1H), 7.91 (m, 4H). IR (cm-1): 2974, 2926, 1701, 1618, 1318, 1149, 770, 729, 552.
[실시예 42]
2-에틸-4-{3-(6-메톡시피리딜)}-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 2H )-퓨라논
2-에틸-4-요오드-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150 mg을 실시예 36에서의 합성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3-(6-메톡시피리딘)}트리메틸보론산 리튬염 98 mg과 결합시켜, 고형의 2-에틸-4-{3-(6-메톡시피리딜)}-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100 mg을 수득하였다. mp: 61oC. NMR: δ 0.95 (t,J= 7.5 Hz, 3H), 1.55 (s, 3H), 1.95 (m, 2H), 3.08 (s, 3H), 3.95 (s, 3H), 6.78 (d,J= 8.4 Hz, 1H), 7.53 (dd,J= 8.4, 2.4 Hz, 1H), 7.85-7.88 (m, 2H), 7.95-7.98 (m, 2H), 8.04 (d,J= 2.4 Hz, 1H). IR (cm-1): 2977, 2929, 1695, 1591, 1500, 1318, 1287, 1149, 1021, 769, 552.
[실시예 43]
5-{4-(아미노설포닐)페닐}-2-에틸-2-메틸-4-페닐-3( 2H )-퓨라논
단계 1: 2-에틸-2-메틸-5-{4-(메틸설피닐)페닐}-3( 2H )-퓨라논의 제조
2-에틸-2-메틸-5-{(4-메틸티오)페닐}-3(2H)-퓨라논(6.0 g)을 디클로로메탄 50 ㎖에 용해시켜 교반한 용액에, 70%m-클로로퍼옥시벤조산 5.9 g을 디클로로메탄 100 ㎖ 중에 용해시켜 0oC에서 적가하였다. 상기 반응용액을 0oC에서 2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용매를 감압하여 제거한 후, 남은 잔여물을 물 100 ㎖와 디클로로메탄(50 ㎖ x 2)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감압하에서 농축하고, 남은 조생성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 2: 1)로 정제하여, 2-에틸-2-메틸-5-{4-(메틸설피닐)페닐}-3(2H)-퓨라논 4.5 g을 수득하였다. NMR: δ 0.89 (t,J= 7.5 Hz, 3H), 1.48 (s, 3H), 1.91 (m, 2H), 2.78 (s, 3H), 6.13 (s, 1H), 8.07 (m,4H).
단계 2: 2-에틸-4-요오드-2-메틸-5-{4-(메틸설피닐)페닐}-3( 2H )-퓨라논의 제조
2-에틸-2-메틸-5-{4-(메틸설피닐)페닐}-3(2H)-퓨라논 8.2 g을 사염화탄소 200 ㎖ 및 클로로포름 200 ㎖중에 용해시킨 후, [비스(트리플루오로아세톡시)요오드]벤젠 (BTI) 6.8 g 및 요오드 4.1 g과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6시간동안 교반한 후, 요오드의 고유색이 사라질 때까지 티오황산나트륨 포화 수용액을 첨가하여 반응을 중단시켰다. 상기 반응이 중지된 용액을 물 300 ㎖ 및 디클로로메탄(200 ㎖ x 3)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감압 농축한 후, 남은 잔여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티이트= 1:1)로 정제하여, 2-에틸-4-요오드-2-메틸-5-{4-(메틸설피닐)페닐}-3(2H)-퓨라논 10.0 g을 수득하였다. NMR: δ 0.89 (t,J= 7.5 Hz, 3H), 1.51 (s, 3H), 1.93 (m, 2H), 2.73 (s, 3H), 7.81 (d,J= 8.7 Hz, 2H), 8.38 (d,J= 8.7 Hz, 2H).
단계 3: 5-{4-(아미노설포닐)페닐}-2-에틸-4-요오드-2-메틸-3( 2H )-퓨라논의제조
2-에틸-4-요오드-2-메틸-5-{4-(메틸설피닐)페닐}-3(2H)-퓨라논 8.0 g을 무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TFAA) 50 ㎖에 가하여 0oC에서 3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다음, 휘발성 물질을 감압하여 제거한 후, 트리에틸아민과 메탄올 1:1의 혼합용액 30 ㎖으로 처리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였다. 메탄올과 트리에틸아민 혼합용액 처리 및 용매 제거의 동일과정을 3번 반복하였다. 다음, 남은 잔여물을 0oC에서 사염화탄소 100 ㎖에 용해시킨 후, 염소로 포화된 아세트산 용액 5 ㎖를 적가하였다. 상기 반응용액을 0oC에서 1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미반응 염소를 포함하는 휘발성 물질을 감압하에서 증발시켜 제거하였다. 다음, 남은 잔여물을 THF 100 ㎖ 및 암모니아 수용액 20 ㎖와 혼합하고, 상기 용액을 실온에서 2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 제거한 후, 남은 잔여물을 아세트산 암모늄 수용액과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층을 감압농축하고, 결과로 얻은 조생성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 1:1)로 정제하여, 5-{4-(아미노설포닐)페닐}-2-에틸-4-요오드-2-메틸-3(2H)-퓨라논 2.0 g을 수득하였다. NMR: δ 0.90 (t,J= 7.5 Hz, 3H), 1.51 (s, 3H), 1.93 (m, 2H), 5.10 (br s, 2H), 8.08 (d,J= 8.7 Hz, 2H),8.33 (d,J= 8.7 Hz, 2H).
단계 4: 5-{4-(아미노설포닐)페닐}-2-에틸-2-메틸-4-페닐-3( 2H )-퓨라논의 제조
5-{4-(아미노설포닐)페닐}-2-에틸-4-요오드-2-메틸-3(2H)-퓨라논 100 mg을 실시예 35의 단계 2와 유사한 방법으로 벤젠 보론산 90 mg과 반응시켜, 고형의 5-{4-(아미노설포닐)페닐}-2-에틸-2-메틸-4-페닐-3(2H)-퓨라논 30 mg을 수득하였다. mp: 153~154oC. NMR: δ 0.95 (t,J= 7.5 Hz, 3H), 1.54 (s, 3H), 1.97 (m, 2H), 4.89 (br s, 2H), 7.26 (m, 2H), 7.36 (m, 3H), 7.79 (d,J= 8.7 Hz, 2H), 7.90 (d,J= 8.7 Hz, 2H). IR (cm-1): 3340, 3256, 1684, 1616, 1392, 1342, 1161.
[실시예 44]
5-{4-(아미노설포닐)페닐}-2-에틸-2-메틸-4-(3-티에닐)-3( 2H )-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에틸-4-요오드-2-메틸-3(2H)-퓨라논 100 mg을 실시예 35의 단계 2와 유사한 방법으로 (3-티오펜)보론산 70 mg과 반응시켜, 고형의 5-{4-(아미노설포닐)페닐}-2-에틸-2-메틸-4-(3-티에닐)-3(2H)-퓨라논 20 mg을수득하였다. mp: 120~121oC. NMR: δ 0.93 (t,J= 7.5 Hz, 3H), 1.52 (s, 3H), 1.95 (m, 2H), 5.08 (br s, 2H), 6.91 (dd,J= 5.1, 1.8 Hz, 1H), 7.31 (dd,J= 7.1, 3.0 Hz, 7.49 (dd,J= 3.0, 1.8 Hz, 1H), 7.86 (d,J= 8.7 Hz, 2H), 7.96 (d,J= 8.7 Hz, 2H). IR (cm-1): 3345, 3252, 1682, 1616, 1343, 1158. MS (FAB) 364 (m+ 1).
[실시예 45]
4-(4-아세틸페닐)-5-{4-(아미노설포닐)페닐}-2-에틸-2-메틸-3( 2H )-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에틸-4-요오드-2-메틸-3(2H)-퓨라논 100 mg을 실시예 35의 단계 2와 유사한 방법으로 (4-아세틸벤젠)보론산 70 mg과 반응시켜, 고형의 4-(4-아세틸페닐)-5-{4-(아미노설포닐)페닐}-2-에틸-2-메틸-3(2H)-퓨라논 15 mg을 수득하였다. mp: 154~155oC. NMR: δ 0.96 (t,J= 7.5 Hz, 3H), 1.56 (s, 3H), 1.98 (q,J= 7.5 Hz, 2H), 2.62 (s, 3H), 4.95 (br s, 2H), 7.39 (d,J= 8.7 Hz, 2H), 7.77 (d,J= 8.7 Hz, 2H), 7.93 (d,J= 8.7 Hz, 2H), 7.95 (d,J= 8.7 Hz, 2H). IR (cm-1): 3227, 1681, 1614, 1344, 1219, 1161. MS (FAB): 400(m+ 1).
[실시예 46]
5-{4-(아미노설포닐)페닐}-2-에틸-4-(3-플루오로-4-메톡시페닐)-2-메틸-3( 2H )-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에틸-4-요오드-2-메틸-3(2H)-퓨라논 100 mg을 실시예 35의 단계 2와 유사한 방법으로 3-플루오로-4-메톡시벤젠보론산 80 mg과 반응시켜 고형의 5-{4-(아미노설포닐)페닐}-2-에틸-4-(3-플루오로-4-메톡시페닐)-2-메틸-3(2H)-퓨라논 25 mg을 수득하였다. mp: 113~114oC. NMR: δ 0.94 (t,J= 7.5 Hz, 3H), 1.53 (s, 3H), 1.95 (q, J = 7.5 Hz, 2H), 3.91 (s, 3H), 4.96 (br s, 2H), 6.99 (m, 3H), 7.80 (d,J= 8.4 Hz, 2H), 7.93 (d,J= 8.7 Hz, 2H). IR (cm-1): 3259, 1689, 1608, 1517, 1270, 1159. MS (FAB): 406 (m+ 1).
[실시예 47]
2,2-디에틸-5-{4-(메틸설포닐)페닐}-4-페닐-3( 2H )-퓨라논
단계 1: 4-에틸-1-{4-(메틸티오)페닐}-2-헥신-1,4-디올의 제조
3-에틸-1-펜틴-3-올(7.7 ㎖)을 무수 THF 300 ㎖에 용해시켜 교반한 용액에, 헥산중의 1.4M 메틸리튬 100 ㎖를 -78oC, 아르곤 대기하에서, 적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30분동안 더 교반한 후, 4-(메틸티오)벤즈알데히드(9.3 ㎖)을 천천히 적가하였다. 냉각조를 제거하여 반응온도를 실온으로 천천히 상승시키면서, 반응혼합물을 실온에서 12시간동안 더 교반하였다. 다음, 묽은 염산 수용액을 가하여 반응을 중지시켰다. 용매를 감압하여 제거한 후, 남은 잔여물을 소금물 및 디클로로메탄(150 ㎖ x 3)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감압하에서 농축하고, 남은 조생성물을 헥산 및 에틸아세테이트(4:1)로 재결정함으로써 정제하여, 저융점의 고형 4-에틸-1-{4-(메틸티오)페닐}-2-헥신-1,4-디올 11.8 g을 수득하였다. mp: 64~65oC. NMR: δ 1.04 (t,J= 7.5 Hz, 6H), 1.70 (q,J= 7.5 Hz, 4H), 2.49 (s, 3H),5.47 (s, 1H), 7.26 (d,J= 8.4 Hz, 2H), 7.45 (d,J= 8.4 Hz, 2H). IR (cm-1): 3368, 2970, 2207, 1637, 1589, 1262, 1093.
단계 2: 4-에틸-4-히드록시-1-{4-(메틸티오)페닐}-2-헥신-1-온의 제조
실레이트(20 g) 및 4-에틸-1-{4-(메틸티오)페닐}-2-헥신-1,4-디올(11 g)을 디클로로메탄 300 ㎖에 현탁시켜 교반한 후, 피리디늄 중크롬산염(PDC) 2.5 g을 0oC에서 적가하였다. 상기 반응혼합물을 실온에서 12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불용성 및 금속성 물질을 플로리실로 여과하여 제거하였다. 여과물을 묽은 염산수용액과 디클로로메탄(150 ㎖ x 3)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소금물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였다. 유기층을 감압 농축한 후, 남은 조생성물을 헥산 및 에틸아세테이트 5:1의 혼합액으로 재결정하여, 저융점의 고형 4-에틸-4-히드록시-1-{4-(메틸티오)페닐}-2-헥신-1-온 7.8 g을 수득하였다. mp: 49~50oC. NMR: δ 1.12 (t,J= 7.5 Hz, 6H), 1.83 (q,J= 7.5 Hz, 4H), 2.15 (br s, 1H), 2.54 (s, 3H), 7.28 (d,J= 8.7 Hz, 2H), 8.02 (d,J= 8.7 Hz, 2H). IR (cm-1): 3432, 2970, 2208, 1636, 1588, 1285, 1095.
단계 3: 2,2-디에틸-5-{4-(메틸티오)페닐}-3( 2H )-퓨라논의 제조
4-에틸-4-히드록시-1-{4-(메틸티오)페닐}-2-헥신-1-온 10 g을 메탄올 300 ㎖에 용해시키고, 디에틸아민 4 ㎖를 가하여 12시간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다음, 용매를 감압하여 제거하고, 남은 잔여물을 묽은 염산수용액과 디클로로메탄(50 ㎖ x 3)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소금물로 세척한 후 감압농축하여, 2,2-디에틸-5-{4-(메틸티오)페닐}-3(2H)-퓨라논 5.6 g을 수득하였다. 상기 조생성물을 더이상 정제하지 않고 다음의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NMR: δ 0.85 (t,J= 7.5 Hz, 6H), 1.88 (q,J= 7.5 Hz, 4H), 2.54 (s, 3H), 5.96 (s, 1H), 7.31 (d,J= 9.0 Hz, 2H), 7.75 (d,J= 9.0 Hz, 2H). IR (cm-1): 2971, 1690, 1597, 1487, 1408, 1364, 1162, 1095.
단계 4: 2,2-디에틸-5-{4-(메틸설포닐)페닐}-3( 2H )-퓨라논의 제조
이전의 단계에서 얻은 조생성물 2,2-디에틸-5-{4-(메틸티오)페닐}-3(2H)-퓨라논(5.6 g)을 THF 50 ㎖ 및 메탄올 50 ㎖에 용해시켜 교반한 용액에, 옥손 20 g을 물 50 ㎖에 용해시켜 0oC에서 적가하였다. 다음,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14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녹지 않는 물질을 여과하여 제거하고,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남은 잔여물을 물과 에틸아세테이트(150 ㎖ x 2)로 추출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층을 농축하고, 남은 조생성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 2:1)로 정제하여, 고형의 2,2-디에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5 g을 수득하였다. mp: 109~110oC. NMR: 0.86 (t,J= 7.5 Hz, 6H), 1.91 (q,J= 7.5 Hz, 4H), 3.10 (s, 3H), 6.14 (s, 1H), 8.04 (d,J= 9.0 Hz, 2H), 8.09 (d,J= 9.0 Hz, 2H). IR (cm-1): 2973, 1695, 1588, 1561, 1408, 1315, 1152.
단계 5: 4-브로모-2,2-디에틸-5-{4-(메틸설포닐)페닐}-3( 2H )-퓨라논의 제조
2,2-디에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4.5 g)을 클로로포름 200 ㎖과 아세트산 3 ㎖에 용해시켜 교반한 용액에, 브롬 1.5 ㎖를 0oC에서 적가하였다. 용액의 온도를 실온으로 상승시키고 4시간 동안 더 교반하였다. 브롬의 고유색이 사라질때까지 티오황산나트륨 포화수용액을 첨가하여 반응을 중단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100 ㎖ x 2)으로 추출한 후,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였다. 황산 마그네슘을 여과하여 제거한 후,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남은 조생성물을 헥산 및 에틸아세테이트로 재결정하여 정제하고, 4-브로모-2,2-디에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5 g을 수득하였다. mp: 130~131oC. NMR: δ 0.88 (t,J= 7.5 Hz, 6H), 1.95 (q,J= 7.5 Hz, 4H), 3.11 (s, 3H), 8.12 (d,J= 8.7 Hz, 2H), 8.42 (d,J= 8.7 Hz, 2H). IR (cm-1): 2973, 1705, 1583, 1558, 1315, 1160, 1084.
단계 6: 2,2-디에틸-5-{4-(메틸설포닐)페닐}-4-페닐-3( 2H )-퓨라논의 제조
4-브로모-2,2-디에틸-2-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300 mg)을 톨루엔 25 ㎖ 및 에탄올 10 ㎖에 용해시켜 교반한 용액에,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 40 mg, 2M 탄산나트륨 수용액 10 ㎖ 및 벤젠보론산 140 mg을 가하였다. 상기 반응용액을 95oC에서 12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용매를 감압하에서 증발시켜 제거하고, 남은 잔여물을 물 50 ㎖ 및 디클로로메탄 (30 ㎖ x 3)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감압 농축한 후, 남은 조생성 혼합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고형의 2,2-디에틸-5-{4-(메틸설포닐)페닐}-4-페닐-3(2H)-퓨라논 130 mg을 수득하였다. mp: 139~140oC. NMR: δ 0.93 (t,J= 7.5 Hz,6H), 1.99 (q,J= 7.5 Hz, 4H), 3.07 (s, 3H), 7.24 (m, 2H), 7.37 (m, 3H), 7.86 (d,J= 8.7 Hz, 2H), 7.93 (d,J= 8.7 Hz, 2H). IR (cm-1): 2972, 1695, 1621, 1403, 1318, 1149.
[실시예 48]
4-(3-클로로페닐)-2,2-디에틸-5-{4-(메틸설포닐)페닐}-3( 2H )-퓨라논
4-브로모-2,2-디에틸-2-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300 mg을 실시예 47의 단계 6에서의 합성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3-클로로벤젠)보론산 160 mg과 반응시켜, 고형의 4-(3-클로로페닐)-2,2-디에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160 mg을 수득하였다. mp: 131~132oC. NMR: δ 0.93 (t,J= 7.5 Hz, 6H), 1.98 (q,J= 7.5 Hz, 4H), 3.08 (s, 3H), 7.12 (m, 1H), 7.30 (m, 3H), 7.85 (d,J= 8.4 Hz, 2H), 7.95 (d,J= 8.4 Hz, 2H). IR (cm-1): 2973, 1695, 1620, 1403, 1318, 1150.
[실시예 49]
4-(4-아세틸페닐)-2,2-디에틸-5-{4-(메틸설포닐)페닐}-3( 2H )-퓨라논
4-브로모-2,2-디에틸-2-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300 mg을 실시예 47의 단계 6과 유사한 방법으로 (4-아세틸벤젠)보론산 160 mg과 결합시켜, 포말성 물질 4-(4-아세틸페닐)-2,2-디에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80 mg을 수득하였다. NMR: δ 0.94 (t,J= 7.5 Hz, 6H), 2.00 (q,J= 7.5 Hz, 4H), 2.62 (s, 3H), 3.11 (s, 3H), 7.39 (d,J= 8.4 Hz, 2H), 7.86 (d,J= 8.4 Hz, 2H), 7.97 (dd,J= 8.4, 1.5 Hz, 4H). IR (cm-1): 2973, 1693, 1617, 1410, 1317, 1151.
[실시예 50]
2,2-디에틸-4-(3-플루오로-4-메톡시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 2H )-퓨라논
4-브로모-2,2-디에틸-2-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300 mg을 실시예 47의 단계 6에서의 합성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3-플루오로-4-메톡시벤젠)보론산 180 mg과 반응시켜, 고형의 2,2-디에틸-4-(3-플루오로-4-메톡시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100 mg을 수득하였다. mp: 183~184oC. NMR: δ 0.92 (t,J= 7.5 Hz, 6H), 1.97 (q,J= 7.5 Hz, 4H), 3.09 (s, 3H), 3.92 (s, 3H), 6.99 (m, 3H), 7.87 (d,J= 8.7 Hz, 2H), 7.96 (d,J= 9.0 Hz, 2H). IR (cm-1): 2972, 1694, 1518, 1317, 1149.
[실시예 51]
2,2-디에틸-5-{4-(메틸설포닐)페닐}-4-(3-티에닐)-3( 2H )-퓨라논
4-브로모-2,2-디에틸-2-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300 mg을 실시예 47의 단계 6과 유사한 방법으로 티오펜-3-보론산 130 mg과 결합시켜, 포말성 물질 2,2-디에틸-5-{4-(메틸설포닐)페닐}-4-(3-티에닐)-3(2H)-퓨라논 80 mg을 수득하였다. NMR: δ 0.94 (t,J= 7.5 Hz, 6H), 1.98 (q,J= 7.5 Hz, 4H), 3.10 (s, 3H), 6.91 (dd,J= 5.4, 1.5 Hz, 1H), 7.33 (dd,J= 5.1, 3.0 Hz, 1H), 7.50 (dd,J= 3.0, 1.2 Hz, 1H), 7.93 (d,J= 8.7 Hz, 2H), 8.00 (d,J= 8.7 Hz, 2H). IR (cm-1): 2971, 1693, 1311, 1149.
[실시예 52]
2,2-디에틸-5-{4-(메틸설포닐)페닐}-4-(3-피리딜)-3( 2H )-퓨라논
4-브로모-2,2-디에틸-2-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300 mg)을 톨투엔 25 ㎖ 및 에탄올 10 ㎖에 용해시켜 교반한 용액에,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 40 mg, 2M 탄산나트륨 수용액 10 ㎖ 및 (3-피리딜)-트리메틸보론산 리튬염 130 mg을 가하였다. 상기 반응용액을 95oC에서 12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용매를 감압하에서 증발시켜 제거하고, 남은 잔여물을 물 50 ㎖ 및 디클로로메탄(30 ㎖ x 3)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감압 농축하였다. 결과로 얻은 조생성 혼합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포말성 물질 2,2-디에틸-5-{4-(메틸설포닐)페닐}-4-(3-피리딜)-3(2H)-퓨라논 30 mg을 수득하였다. NMR: δ 0.94 (t,J= 7.5 Hz, 6H), 2.00 (q,J= 7.5 Hz, 4H), 3.09 (s, 3H), 7.36 (m, 1H), 7.54 (m, 1H), 7.84 (d,J= 9.0 Hz, 2H), 7.98 (d,J= 8.7 Hz, 2H), 8.44 (d,J= 1.8 Hz, 1H), 8.58 (dd,J= 4.8, 1.8 Hz, 1H). IR (cm-1): 2972, 1695, 1621, 1400, 1316, 1239, 1140.
[실시예 53]
2-{(4-메틸설포닐)페닐}-3-페닐-1-옥사-스피로[4,4]논-2-엔-4-온
단계 1: 1-[3-히드록시-3-(4-메틸티오페닐)-프로프-1-이닐]-시클로펜탄올의 제조
-78oC와 아르곤 대기하에서, 1-에티닐-시클로펜탄-1-올(2.0 g)을 15ml의 무수 THF에 용해시켜 교반한 용액에, 헥산중의 2.5M 부틸리튬 18 ㎖를 20분 동안에 걸쳐서 적가하였다. 상기 반응용액을 20분동안 더 교반한 후, 4-메틸티오벤즈알데히드(2.7 g)을 적가하였다. 2시간동안 더 교반한 후, 묽은 염산수용액 20 ㎖를 첨가하여 반응을 중지시켰다. 반응용매를 감압하여 제거한 후, 남은 수용액을 디클로로메탄(30 ㎖ x 3)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감압 농축하고, 남은 잔여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1:1)하여, 고형의 1-[3-히드록시-3-{4-(메틸티오)페닐}-프로프-1-이닐]-시클로펜탄올 3.48 g을 수득하였다. mp: 118~120oC. NMR: δ 0.73 (m, 4H), 1.87 (m, 4H), 2.16 (s, 1H), 2.48 (s, 3H), 2.55 (s, 1H),5.43 (d,J= 5.7 Hz, 1H), 7.24 (d,J= 8.4 Hz, 2H), 7.42 (d,J= 8.4 Hz, 2H).
단계 2: 3-(1-히드록시-시클로펜틸)-1-{4-(메틸티오)페닐}-프로피논의 제조
1-[3-히드록시-3-{4-(메틸티오)페닐}-프로프-1-이닐]-시클로펜탄올 1.54 g을 디클로로메탄 20 ㎖에 용해시킨 후, 피리디늄 중크롬산염 3.32 g 및 셀라이트 3 g을 첨가하였다. 상기 현탁액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한 후, 녹지않는 물질을 플로리실로 여과하여 제거하였다. 여과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하여, 3-(1-히드록시-시클로펜틸)-1-{4-(메틸티오)페닐}-프로피논 1.0 g을 수득하였다. NMR: δ 1.85 (m, 4H), 2.12 (m, 4H), 2.53 (s, 3H), 5.95 (s, 1H), 7.27 (m, 2H), 8.01 (m, 2H).
단계 3: 2-{4-(메틸티오)페닐}-1-옥사-스피로[4,4]논-2-엔-4-온의 제조
3-(1-히드록시-시클로펜틸)-1-{4-(메틸티오)페닐}-프로피논 1.54 g을 에탄올50 ㎖에 용해시키고, 에탄올 50 ㎖로 희석한 디에틸아민 0.75 ㎖를 적가하였다. 상기 반응용액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한 후, 용매를 감압하여 제거하였다. 남은 잔여물을 물 20 ㎖와 디클로로메탄(30 ㎖ x 3)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농축한 후,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로 분리하여, 2-{4-(메틸티오)페닐}-1-옥사-스피로[4,4]논-2-엔-4-온 858 mg을 수득하였다. NMR: δ1.89 (m, 6H), 1.92 (m, 2H), 2.47 (s, 3H), 5.89 (s, 1H), 7.24 (d,J= 8.4 Hz, 2H), 7.42 (d,J= 8.7 Hz, 2H).
단계 4: 3-브로모-2-{4-(메틸티오)페닐}-1-옥사-스피로[4,4]논-2-엔-4-온의 제조
2-{4-(메틸티오)페닐}-1-옥사-스피로[4,4]논-2-엔-4-온 147 mg을 사염화탄소 30 ㎖에 용해시킨 후, 브롬 1 ㎖ 및 아세트산 0.1 ㎖를 첨가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브롬의 고유색이 없어질 때까지 티오황산나트륨 포화수용액을 가하여 반응을 중지시켰다. 반응이 중지된 용액을 디클로로메탄(10 ㎖ x 3)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은 감압 농축한 후, 남은 잔여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3-브로모-2-{4-(메틸티오)페닐}-1-옥사-스피로[4,4]논-2-엔-4-온 50 mg을 수득하였다. NMR: δ 1.98 (m, 4H), 2.11 (m, 4H), 2.55 (s, 3H), 7.32 (d,J= 8.7 Hz, 2H), 8.13 (d,J= 8.7 Hz, 2H).
단계 5: 3-브로모-2-{4-(메틸설포닐)페닐}-1-옥사-스피로[4,4]논-2-엔-4-온의 제조
3-브로모-2-{4-(메틸티오)페닐}-1-옥사-스피로[4,4]논-2-엔-4-온 50 mg을 에탄올 5 ㎖, THF 5 ㎖ 및 물 5㎖ 중에서 옥손 292 mg과 함께 실온에서 하룻밤동안 교반하였다. 녹지 않는 물질을 여과하여 제거하고,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남은 수용액층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고, 유기층은 감압 농축하였다. 남은 잔여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고형의 3-브로모-2-{4-(메틸설포닐)페닐}-1-옥사-스피로[4,4]논-2-엔-4-온 68 mg을 수득하였다. mp: 127~128oC. NMR: δ 1.98 (m, 6H), 2.12 (m, 2H), 3.11 (s, 3H), 8.09 (d,J= 8.7 Hz, 2H), 8.37 (d,J= 8.7 Hz, 2H).
단계 6: 2-{4-(메틸설포닐)페닐}-3-페닐-1-옥사-스피로[4,4]논-2-엔-4-온의제조
3-브로모-2-(4-(메틸설포닐)페닐)-1-옥사-스피로[4,4]논-2-엔-4-온(77 mg)을 톨루엔 5 ㎖ 및 에탄올 15 ㎖에 용해시켜 교반한 용액에,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 15 mg, 2M 탄산나트륨 수용액 5 ㎖ 및 벤젠보론산 27 mg을 가하였다. 다음, 상기 반응용액을 90oC에서 12시간동안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반응용매를 증발시켜 제거하고, 남은 잔여물을 물 20 ㎖ 및 디클로로메탄(30 ㎖ x 1)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감압 농축하고, 남은 조생성 혼합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고형의 2-{4-(메틸설포닐)페닐}-3-페닐-1-옥사-스피로[4,4]논-2-엔-4-온 57 mg을 수득하였다. mp: 184~185oC. NMR: δ 2.09 (m, 6H), 2.17 (m, 2H), 3.06 (s, 3H), 7.26 (m, 2H), 7.35 (m, 3H), 7.81 (d,J= 8.1 Hz, 2H), 7.92 (d,J= 8.1 Hz, 2H). IR (cm-1): 2925, 1695, 1591, 1403, 1150, 771.
[실시예 54]
3-(4-이소프로필페닐)-2-{4-(메틸설포닐)페닐}-1-옥사-스피로[4,4]논-2-엔-4-온
3-브로모-2-(4-메틸설포닐페닐)-1-옥사-스피로[4,4]논-2-엔-4-온(105 mg)을 톨루엔 5 ㎖ 및 에탄올 15 ㎖에 용해시켜 교반한 용액에,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 20 mg, 2M 탄산나트륨 수용액 5 ㎖, 4-이소프로필벤젠보론산 50 mg을 첨가하였다. 다음, 반응 용액을 90oC에서 12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하여 제거하고, 남은 잔여물을 물 20 ㎖와 디클로로메탄(30 ㎖ x 3)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은 감압 농축한 후, 남은 조생성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고형의 3-(4-이소프로필페닐)-2-{4-(메틸설포닐)페닐}-1-옥사-스피로[4,4]논-2-엔-4-온 87 mg을 수득하였다. mp: 139~140oC. NMR: δ 1.25 (s, 3H), 1.27 (s, 3H), 2.04 (m, 6H), 2.15 (m, 2H), 2.92 (m, 1H), 3.06 (s, 3H), 7.21 (m, 4H), 7.83 (d,J= 8.7 Hz, 2H), 7.93 (d,J= 8.7 Hz, 2H). IR (cm-1): 2960, 1694, 1622, 1386, 1318, 1161, 768.
[실시예 55]
3-(4-아세틸페닐)-2-{4-(메틸설포닐)페닐}-1-옥사-스피로[4,4]논-2-엔-4-온
3-브로모-2-{4-(메틸설포닐)페닐}-1-옥사-스피로[4,4]논-2-엔-4-온 110 mg 을 실시예 54에서의 합성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4-아세틸벤젠)보론산 55 mg과 결합시켜, 고형의 3-(4-아세틸페닐)-2-{4-(메틸설포닐)페닐}-1-옥사-스피로[4,4]논-2-엔-4-온 93 mg을 수득하였다. mp: 126~130oC. NMR: δ 2.04 (m, 6H), 2.17 (m, 2H), 2.61 (s, 3H), 3.08 (s, 3H), 7.39 (d,J= 8.4 Hz, 2H), 7.81 (d,J= 8.4 Hz, 2H), 7.94 (m, 4H). IR (cm-1): 2963, 1689, 1317, 1150, 771.
[실시예 56]
2-{4-(메틸설포닐)페닐}-3-페닐-1-옥사-스피로[4,5]덱-2-엔-4-온
단계 1: 1-[3-히드록시-3-(메틸티오페닐)-프로프-1-이닐]-시클로헥산-1-올의 제조
-78 ℃, 아르곤 대기하에서, 1-에티닐-시클로헥산-1-올(3.2 g)을 무수 THF 80 ㎖에 용해시켜 교반한 용액에, 헥산중의 2.5M 부틸리튬 35 ㎖를 10분동안에 걸쳐 적가하였다. 상기 반응용액을 20분동안 더 교반한 후, 4-메틸티오벤즈알데히드(3.2 ㎖)를 적가하였다. 2시간동안 더 교반한 후, 묽은 염산용액을 가하여 반응을 중지시켰다. 반응용매를 감압하여 제거하고, 남은 수용액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은 감압 농축하고, 남은 잔여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1-[3-히드록시-{4-(메틸티오)페닐}-프로프-1-이닐]-시클로헥사놀 4.67 g을 수득하였다. NMR: δ 1.45 (m, 6H), 1.70 (m, 2H), 1.90 (m, 2H), 2.17 (d, 1H), 2.49 (s, 3H), 3.57 (s, 1H), 5.48 (d,J= 6.0 Hz 1H), 7.26 (d,J= 8.4 Hz, 2H), 7.46 (d,J= 8.4 Hz, 2H). IR (cm-1): 3343, 2934, 1445, 1091.
단계 2: 3-(1-히드록시-시클로헥실)-1-{4-(메틸티오)페닐}프로피논의 제조
1-[3-히드록시-{4-(메틸티오)페닐-프로프-1-이닐]-시클로헥사놀 3.56 g을 디클로로메탄 60 ㎖에 용해시킨 후, 크롬산화물 1.79 g을 가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고, 이후 녹지않는 물질을 플로리실로 여과하여 제거하였다.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고, 남은 잔여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3-(1-히드록시-시클로헥실)-1-{4-(메틸티오)페닐}-프로피논 1.42 g을 수득하였다. NMR: δ 1.56 (m, 4H), 1.76 (m, 4H), 2.03 (m, 2H), 2.33 (s, 1H), 2.53 (s, 3H), 7.26 (d,J= 8.7 Hz, 2H), 8.01 (d,J= 8.7 Hz, 2H). IR (cm-1):3416, 2936, 1637, 1588, 1263, 1096.
단계 3: 2-{4-(메틸티오)페닐}-1-옥사-스피로[4,5]덱-2-엔-4-온의 제조
3-(1-히드록시-시클로헥실)-1-{4-(메틸티오)페닐}-프로피논 1.3 g을 실시예 53의 단계 3과 유사한 방법으로 디에틸아민 0.6 ㎖과 반응시켜, 2-{4-(메틸티오)페닐}-1-옥사-스피로[4,5]덱-2-엔-4-온 858 mg을 수득하였다. NMR: δ 1.62-1.82 (m, 10H), 2.54 (s, 3H), 5.92 (s, 1H), 7.30 (d,J= 8.1 Hz, 2H), 7.75 (d,J= 8.4 Hz, 2H). IR (cm-1): 2933, 1686, 1588, 1408, 1095, 744.
단계 4: 2-{4-(메틸설포닐)페닐}-1-옥사-스피로[4,5]덱-2-엔-4-온의 제조
2-{4-(메틸티오)페닐}-1-옥사-스피로[4,5]덱-2-엔-4-온 486 mg을 실시예 53의 단계 4와 유사한 방법으로 옥손 1 g과 반응시켜, 2-{4-(메틸설포닐)페닐}-1-옥사-스피로[4,5]덱-2-엔-4-온 470 mg을 수득하였다. NMR: δ 1.77 (m, 10H), 3.09 (s, 3H), 6.10 (s, 1H), 8.05 (m, 4H). IR (cm-1): 2935, 1694, 1589, 1408, 1315, 1153, 775.
단계 5: 3-브로모-2-{4-(메틸설포닐)페닐}-1-옥사-스피로[4,5]덱-2-엔-4-온의 제조
2-{4-(메틸설포닐)페닐}-1-옥사-스피로[4,5]덱-2-엔-4-온 50 mg을 실시예 53의 단계 5와 유사한 방법으로, 아세트산 0.1 ㎖ 존재하에서 브롬(0.5 ㎖)과 반응시켜, 3-브로모-2-{4-(메틸설포닐)페닐}-1-옥사-스피로[4,5]덱-2-엔-4-온 68 mg을 수득하였다. mp: 163~164oC NMR: δ 1.79 (m, 10H), 3.11 (s, 3H), 8.10 (d,J= 8.1 Hz, 2H), 8.40 (d,J= 8.1 Hz, 2H). IR (cm-1): 2936, 1709, 1583, 1316, 1149, 912, 744.
단계 6: 2-{4-(메틸설포닐)페닐}-3-페닐-1-옥사-스피로[4,5]덱-2-엔-4-온의 제조
3-브로모-2-{4-(메틸설포닐)페닐}-1-옥사-스피로[4,5]덱-2-엔-4-온 102 mg을 톨루엔 3 ㎖ 및 에탄올 15 ㎖에 용해시킨 후,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 16 mg, 2M의 탄산나트륨 수용액 3 ㎖, 벤젠보론산 35 mg을 가하였다. 반응혼합물을 90oC에서 12시간동안 교반하고, 실시예 53의 단계 6과 유사한 방법으로 정제하여, 고형의 2-{4-(메틸설포닐)페닐}-3-페닐-1-옥사-스피로[4,5]덱-2-엔-4-온 50 mg을 수득하였다. mp: 126~127oC. NMR: δ 1.77 - 1.85 (m, 10H), 3.06 (s, 3H), 7.27 (m, 2H), 7.35 (m, 3H), 7.83 (d,J= 8.1 Hz, 2H), 7.94 (d,J= 8.1 Hz, 2H). IR (cm-1): 2936, 1693, 1621, 1404, 1318, 1147, 1129, 730.
[실시예 57]
3-(4-아세틸페닐)-2-{4-(메틸설포닐)페닐}-1-옥사-스피로[4,5]덱-2-엔-4-온
3-브로모-2-{4-(메틸설포닐)페닐}-1-옥사-스피로[4,5]덱-2-엔-4-온 84 mg을 톨루엔 3 ㎖ 및 에탄올 15 ㎖에 용해시킨 후,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 15 mg, 2M 탄산나트륨 수용액 3 ㎖, (4-아세틸벤젠)보론산 40 mg을 가하였다. 상기 반응혼합물을 90oC에서 12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시예 56의 단계 6과 유사한 방법으로 정제하여, 3-(4-아세틸페닐)-2-{4-(메틸설포닐)페닐}-1-옥사-스피로[4,5]덱-2-엔-4-온 35 mg을 수득하였다. NMR: δ 1.78~1.86 (m, 10H), 2.61 (s, 3H), 3.08 (s, 3H), 7.37 (d,J= 8.4 Hz, 2H), 7.84 (d,J= 8.4 Hz, 2H), 7.97 (m, 4H). IR (cm-1): 2963, 1689, 1621, 1317, 1150, 771.
실시예 58 ~ 실시예 103의 화합물들을 실시예 2의 합성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실시예 58] ~ [실시예 103]
[실시예 104]
2,2-디메틸-4-(4-히드록시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 2H )-퓨라논
2,2-디메틸-4-(4-메톡시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실시예 3) 30 mg을 디클로로메탄 30 ㎖에 용해시키고, 보론 삼브롬염 0.1 ㎖(CH2Cl2중의 1.0M 용액)과 실온에서 4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다음, 반응혼합물에 티오황산 나트륨 수용액 10 ㎖를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용액을 감압 농축하고, 물 50 ㎖와 디클로로메탄(50 ㎖ x 3)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감압하에서 농축하고,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2,2-디메틸-4-(4-히드록시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5 mg을 수득하였다. mp: 150~152oC. NMR: δ 1.56 (s, 6H), 2.77 (s, 1H), 3.07 (s, 3H), 6.81 (d,J= 8.7 Hz, 2H), 7.14 (d,J= 8.7 Hz, 2H), 7.90 (m, 4H). IR (cm-1): 3492, 2929, 1696, 1597, 1393, 1151, 914, 744.
실시예 105 과 실시예 107의 화합물들을 그에 상응하는 메톡시 화합물로 부터 실시예 104의 합성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105]~[실시예 107]
[실시예 108]
4-{3-(아세틸아미노)페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 2H )-퓨라논
4-(3-아미노페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실시예 66) 20 mg을 무수 디클로로메탄 10 ㎖에 용해시키고, 무수 아세트산 0.3 ㎖를 0℃에서 가하여 1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이후 반응혼합물을 감압 농축하고, 물과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감압농축하고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 2:1)로 정제하여, 4-{3-N-(아세틸아미노)페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15 mg을 수득하였다. mp: 217~218 ℃. NMR: δ 1.55 (s, 6H), 2.11 (s, 3H), 3.05 (s, 3H), 6.96 (d,J=7.5Hz, 1H), 7.31 (d,J=8.1Hz, 1H), 7.40 (s, 1H), 7.49 (d,J=8.1Hz), 7.84 (d,J=8.4Hz, 2H), 7.91 (d,J=8.4Hz, 2H). IR(㎝-1): 3341, 1690, 1424, 1316, 1149, 959, 770.
[실시예 109]
2,2-디메틸-4,5-디{4-(메틸설포닐)페닐}-3( 2H )-퓨라논
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4-{4-(메틸티오)페닐}-3(2H)-퓨라논(실시예 72) 50 mg을 디클로로메탄 10 ㎖ 및 메탄올 2 ㎖ 중에 용해시키고, 옥손 300 ㎎과 함께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해되지 않은 물질은 여과하여 제거하고, 여과물을 중탄산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감압하에서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2,2-디메틸-4,5-디{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5 ㎎을 수득하였다. mp: 245~257 ℃. NMR: δ 1.60 (s, 6H), 3.08 (s, 3H), 3.10 (s, 3H), 7.50-7.53 (m, 2H), 7.79-7.82 (m, 2H), 7.94-8.00 (m, 4H). IR(㎝-1): 2931, 1698, 1510, 1387, 1258, 1150, 960, 846, 770.
[실시예 110]
2,2-디메틸-4-{4-(에틸설포닐)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 2H )-퓨라논
2,2-디메틸-4-{4-(에틸티오)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실시예 88) 100 mg을 디클로로메탄 10 ㎖ 및 메탄올 2 ㎖중에 용해시키고, 옥손 400 mg과 함께 실온에서 12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용해되지 않은 물질을 여과하여 제거하고, 여과물을 중탄산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감압농축하고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2,2-디메틸-4-{4-(에틸설포닐)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70 mg을 수득하였다. mp: 198~203 ℃. NMR: δ1.29-1.34 (t,J=7.2Hz, 3H), 1.60 (s, 6H), 3.10 (s, 3H), 3.10-3.18 (q,J=7.5Hz, 2H), 7.49-7.52 (m, 2H), 7.79-7.82 (m, 2H), 7.90-7.93 (m, 2H), 7.97-7.99 (m, 2H). IR(㎝-1): 1697, 1619, 1384, 1315, 1150, 960, 770.
[실시예 111]
2,2-디메틸-4-{4-(1-히드록시에틸)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 2H )-퓨라논
메탄올 40 ㎖중에서 4-(4-아세틸페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150 mg, 실시예 10), 소듐 보로히드리드(35 mg) 및 염화세륨(Ⅲ) (20 mg)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12시간동안 교반한 후, 물을 가하였다. 이후 메탄올을 감압하여 제거하고 남은 수용액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층을 감압 농축하고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1:1)로 정제하여, 2,2-디메틸-4-{4-(1-히드록시에틸)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100 mg을 수득하였다. NMR: δ 1.51-1.53 (d,J=6.3Hz, 3H), 1.58 (s, 6H), 3.07 (s, 3H), 4.90-4.97(q,J=6.3Hz, 1H), 7.25-7.28 (m, 2H), 7.39-7.42 (m, 2H), 7.84-7.86 (m,2H), 7.92-7.95 (m, 2H). IR(㎝-1): 3502, 2977, 1696, 1594, 1317, 1149,960, 771.
실시예 112~ 실시예 124의 화합물들을 실시예 15의 합성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112]~[실시예 124]
실시예 125 ~ 실시예 159의 화합물을 실시예 22의 단계 4와 유사한 방법으로제조하였다.
[실시예 125] ~ [실시예 159]
실시예 160 ~ 실시예 165의 화합물을 실시예 28의 합성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160]~[실시예 165]
[실시예 166]
2,2-디메틸-4-(3-플루오로페닐)-5-{4-(메틸티오)페닐}-3( 2H )-퓨라논
단계 1: 2-(3-플루오로페닐)-1-{4-(메틸티오)페닐}-에타논의 제조
티오아니졸 68 ㎖을 0oC에서 디클로로메탄 600 ㎖에 용해시켜 교반한 용액에, 염화 알루미늄(77.3 g) 및 (3-플루오로페닐)아세틸 클로라이드(100 g)을 천천히 연속적으로 가하였다. 반응혼합물을 한시간동안 교반한 후, 1 ℓ의 염산수용액을 반응혼합물에 천천히 가하였다. 이 반응이 정지된 혼합물을 1시간동안 더 교반한 후, 염화메틸렌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소금물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였다. 상기 황산마그네슘을 여과하여 제거하고,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남은 잔여물을 헥산/디클로로메탄에 의한 재결정으로 정제하여, 2-(3-플루오로페닐)-1-{4-(메틸티오)-페닐}-에타논 142.9 g을 수득하였다. mp: 94.5~95.5oC. NMR: δ 2.52 (s, 3H), 4.23 (s, 2H), 6.95-7.05 (m, 3H),7.25-7.30 (m, 3H), 7.92 (d,J= 8.7 Hz, 2H).
단계 2: 2,2-디메틸-4-(3-플루오로페닐)-5-{4-(메틸티오)페닐}-3( 2H )-퓨라논의 제조
2-(3-플루오로페닐)-1-{4-(메틸티오)페닐}-에탄-1-온(100 g)을 무수 THF 1ℓ에 용해시켜 교반한 용액에, 95 % 수소화나트륨 26 g을 0oC에서 소분하여 가하였다. 상기 반응용액을 상기와 동일한 온도에서 1시간동안 교반하였다.α-브로모-이소부티릴 시아나이드 69 g을 무수 THF 25 ㎖에서 희석시킨 후, 교반시킨 용액에 0℃에서 적가하였다. 온도를 천천히 실온으로 상승시키면서, 반응혼합물을 밤새 교반하였다. 상기 용액을 감압 농축한 후, 물 50 ㎖를 가하였다. 수용액층을 에틸아세테이트(1 ℓ)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감압 농축한 후,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6:1)로 정제하여, 2,2-디메틸-4-(3-플루오로페닐)-5-{4-(메틸티오)페닐}-3(2H)-퓨라논 102 g을 수득하였다. mp: 106oC. NMR: δ1.55 (s, 6H), 2.50 (s, 3H), 6.97-7.11 (m, 3H), 7.18 (d,J= 9.0 Hz, 2H), 7.26-7.36 (m, 1H), 7.55 (d,J= 9.0 Hz, 2H).
실시예 166에서의 합성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실시예 167 ~ 173의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67]~[실시예 173]
[실시예 174]
2,2-디메틸-5-{4-(메틸티오)페닐}-4-(2-티에닐)-3( 2H )-퓨라논
실시예 166에서의 합성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2,2-디메틸-5-{4-(메틸티오)페닐}-4-(2-티에닐)-3(2H)-퓨라논을 합성하였다. mp: 113∼114oC. NMR; δ 1.55 (s, 6H), 2.51 (s, 3H), 7.05 (dd,J= 5.1, 3.9 Hz, 1H), 7.11 (dd,J= 3.6, 1.2 Hz, 1H), 7.22 (d,J= 8.4 Hz, 2H), 7.33 (d,J= 5.1 Hz, 1H), 7.68 (d,J= 9.0 Hz, 2H).
[실시예 175]
2,2-디메틸-4-(플루오로페닐)-5-{4-(메틸설피닐)페닐}-3( 2H )-퓨라논
단계 1: 4-브로모-2,2-디메틸-5-{4-(메틸설피닐)페닐}-3( 2H )-퓨라논의 제조
2,2-디메틸-5-{4-(메틸설피닐)페닐}-3(2H)-퓨라논(135 mg)을 사염화탄소 25 ㎖에 용해시킨 후, 아세트산 1 ㎖ 및 브롬 0.1 ㎖를 적가하였다. 상기 반응혼합물을 실온에서 2.5시간동안 교반하였다. 티오황산나트륨 포화수용액 10 ㎖를 가하여반응을 중지하였다. 휘발성 물질을 감압하에서 제거한 후, 디클로로메탄(50 ㎖ x 3)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황산 마그네슘염을 여과하여 제거하였다.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고, 조생성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1/1)으로 정제하여, 4-브로모-2,2-디메틸-5-{4-(메틸설피닐)페닐}-3(2H)-퓨라논 68 mg을 수득하였다. mp: 117~118oC. NMR: δ 1.55 (s, 6H), 2.79 (s, 3H), 7.81 (d,J= 8.2 Hz, 2H), 8.38 (d,J= 8.2 Hz, 2H). IR (cm-1): 1706, 1601, 1555, 1191, 1052.
단계 2: 2,2-디메틸-4-(4-플루오로페닐)-5-{4-(메틸설피닐)페닐}-3( 2H )-퓨라논의 제조
4-브로모-2,2-디메틸-5-{4-(메틸설피닐)페닐}-3(2H)-퓨라논 53 mg을 벤젠 30 ㎖에 용해시킨 용액에, Pd(Ph3)425 mg, (4-플루오로벤젠)보론산 25.4 mg 및 2M의 탄산나트륨 수용액 0.22 ㎖를 가하였다. 반응혼합물을 80~90oC에서 12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반응혼합물을 감압 농축하고, 남은 잔여물을 디클로로메탄과 소금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한 후, 감압하에서 증발시켜 제거하였다. 조생성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2,2-디메틸-4-(4-플루오로페닐)-5-{4-(메틸설피닐)페닐}-3(2H)-퓨라논 15 mg을 수득하였다. mp: 134~136oC. NMR: δ 1.57 (s, 6H), 2.75 (s, 3H), 7.08 (m, 2H)7.27 (m, 2H), 7.65 (d,J= 8.2 Hz, 2H), 7.80 (d,J= 8.2 Hz, 2H). IR (cm-1): 2925, 2854, 1695, 1618, 1590, 1237, 1051, 758.
[실시예 176]
2,2-디메틸-4-(3-플루오로페닐)-5-{4-(메틸설피닐)페닐}-3( 2H )-퓨라논
2,2-디메틸-4-(3-플루오로페닐)-5-{4-(메틸티오)페닐}-3(2H)-퓨라논(2.0 g, 실시예 166)을 디클로로메탄 50 ㎖에 용해시켜 교반한 용액에, 0oC에서m-클로로퍼옥시벤조산 1.5 g을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용액을 상기와 동일한 온도에서 1.5시간동안 교반한 후, 5 % 중탄산나트륨 수용액 30 ㎖를 첨가하였다. 상기 용액을 10분 더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감압 농축한 후, 남은 잔여물을 물 50 ㎖와 디클로로메탄(30 ㎖ x 3)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은 감압 농축하고,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1:1)로 정제하여, 2,2-디메틸-4-(3-플루오로페닐)-5-{4-(메틸설피닐)페닐}-3(2H)-퓨라논 1.3 g을 수득하였다. mp: 143~144oC. NMR: δ 1.58 (s, 6H), 2.76(s, 3H), 7.26-7.08 (m, 3H), 7.30-7.38 (m, 1H), 7.65 (d,J= 8.2 Hz, 2H), 7.80 (d,J= 8.2 Hz, 2H).
[실시예 177]
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4-(메틸설피닐)페닐}-3( 2H )-퓨라논
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4-(메틸설피닐)페닐}-3(2H)-퓨라논을 실시예 176에서의 합성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mp: 133~134oC. NMR: δ 1.57 (s, 6H), 2.77 (s, 3H), 6.75-6.87 (m, 3H), 7.69 (d,J= 8.2 Hz, 2H), 7.80 (d,J= 8.2 Hz, 2H).
[실시예 178]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 2H )-퓨란-3-티온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실시예 2) 90 mg을 톨루엔 30㎖에 용해시키고, 로손시약 60 mg의 존재하에서 12시간동안 환류하면서 교반하였다. 용매는 감압하에서 제거한 후, 남은 잔여물을 물 50 ㎖와 에틸아세테이트 (50 ㎖ x 3)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감압 농축하고,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4:1)로 정제하여, 고형의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란-3-티온 30 mg을 수득하였다. mp: 165~166oC. NMR: δ 1.71 (s, 6H), 3.07 (s, 3H), 7.12 (m, 1H), 7.21 (d, 1H), 7.36 (dd, 1H), 7.81 (d,J= 8.4 Hz, 2H), 7.95 (d,J= 8.4 Hz, 2H). IR (cm-1): 1580, 1553, 1502, 1319, 1261, 1154, 957, 760.
실시예 178에서의 합성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실시예 179 ~ 181의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실시예 179]~[실시예 181]
[실시예 182]
5-[4-{(아세틸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3-플루오로페닐)-3( 2H )-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3-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실시예 129) 360 mg을 디클로로메탄 30 ㎖에 용해시킨 후, 트리에틸아민 0.5 ㎖ 및 4-(N,N-디메틸아미노)피리딘 50 mg의 존재하에서 무수 아세트산 0.8㎖와 실온에서 12시간동안 반응시켰다. 반응혼합물을 감압 농축한 후, 물 30 ㎖와 디클로로메탄(30 ㎖ x 3)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감압 농축하고, 이후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2:1)하여, 고형의 5-[4-{(아세틸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3-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397 ㎎을 수득하였다. mp: 178~179oC. NMR: δ 1.57 (s, 6H), 2.08 (s, 3H), 7.05 (m, 3H), 7.34 (m, 1H), 7.82 (d,J= 8.4 Hz, 2H), 8.05 (d,J= 8.4 Hz, 2H), 8.20 (br s, 1H). IR (cm-1): 3198, 3238, 1698, 1431, 1261, 1159.
[실시예 183]
5-[4-{( n -부티릴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3-플루오로페닐)-3( 2H )-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3-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실시예 129) 360 mg을 디클로로메탄 30 ㎖에 용해시킨 후, 트리에틸아민 0.5 ㎖ 및 4-(N,N-디메틸아미노)피리딘 50 mg 존재하에서, 무수 부틸산 0.8 ㎖와 실온에서 12시간동안 반응시켰다. 반응혼합물은 감압 농축한 후, 물 30 ㎖와 디클로로메탄(30 ㎖ x 3)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감압 농축한 후,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2:1)로 정제하여, 고형의 5-[4-{(n-부티릴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3-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363 mg을 수득하였다. mp: 188~189oC. NMR: δ 0.89 (t,J= 7.5 Hz, 3H), 1.58 (s, 6H), 1.60 (m, 2H), 2.24 (t,J= 7.5 Hz, 2H), 7.05 (m, 3H), 7.34 (m, 1H), 7.82 (d,J= 8.4 Hz, 2H), 8.06 (d,J= 8.4 Hz, 2H), 8.19 (br s, 1H). IR (cm-1): 3195, 3140, 1698, 1435, 1350, 1190.
[실시예 184]
2,2-디메틸-5-{4-( N -메틸아미노설포닐)페닐}-4-(3-플루오로페닐)-3( 2H )-퓨라논
2,2-디메틸-5-{4-(메틸설피닐)페닐}-4-(3-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실시예 166) 500 mg을 무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5 ㎖ 중에서 0oC, 1시간동안 교반한 후, 용매를 감압하여 제거하였다. 남은 잔여물을 메탄올/트리에틸아민 1:1의 혼합용액 10 ㎖에서 용해시킨 후, 0oC에서 1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용액를 감압 농축하고, 남은 잔여물을 디클로로메탄 15 ㎖ 중에서 교반한 후, 염소로 포화된 아세트산 5 ㎖를 가하였다. 상기 용액을 0oC에서 30분동안 교반한 후, 용매와 미반응 염소를 감압하여 제거하였다. 남은 잔여물을 톨루엔 5 ㎖에 용해시킨 후, 상기 톨루엔을 감압하에서 증발시켰다. 남은 잔여물을 THF 20 ㎖에 용해시키고, 40% 메틸아민 수용액 1 ㎖와 0oC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용액을 감압 농축한 후, 물 30 ㎖ 및 디클로로메탄(30 ㎖ x 3)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소금물로 세척한 후, 감압 농축하였다. 남은 잔여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3:2)로 정제하여, 고형의 2,2-디메틸-5-{4-(N-메틸아미노설포닐)페닐}-4-(3-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155 mg을 수득하였다. mp: 176~177oC. NMR: δ 1.58 (s, 6H), 2.70(d,J =5.1 Hz, 3H), 4.35 (q,J =5.4 Hz, 1H), 7.04 (m, 3H), 7.33 (m, 1H), 7.89 (d,J =8.7 Hz, 2H), 7.86 (d,J =8.7 Hz, 2H). IR (cm-1): 3285, 1696, 1402, 1388, 1261, 1160.
[실시예 185]
2,2-디메틸-5-{4-( N -에틸아미노설포닐)페닐}-4-(3-플루오로페닐)-3( 2H )-퓨라논
70% 에틸아민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84의 반응 과정에 따라서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mp: 113~114oC. NMR: δ 1.13 (t,J =7.2 Hz, 3H), 1.57 (s, 6H), 3.06 (m, 2H), 4.34 (t,J =6.0 Hz, 1H), 7.03 (m, 3H), 7.32 (m, 1H), 7.78 (d,J =8.7 Hz, 2H), 7.86 (d,J =9.0 Hz, 2H). IR (cm-1): 3271, 1694, 1619, 1592, 1387, 1260, 1159.
실시예 31의 단계 6에서의 합성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실시예 186 ~ 218의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86]~[실시예 218]
실시예 34에서의 합성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실시예 219 ~ 226의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19]~[실시예 226]
실시예 43의 단계 4에서의 합성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실시예 227 ~ 236의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27]~[실시예 236]
[실시예 237]
5-{4-(아미노설포닐)페닐}-2-에틸-4-(2-퓨라닐)-2-메틸-3( 2H )-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에틸-4-요오드-2-메틸-3(2H)-퓨라논을 실시예 44와 유사한 방법으로 2-퓨란 보론산과 결합시켰다. mp: 154~155oC. NMR: δ 0.92 (t,J= 7.5 Hz, 3H), 1.52 (s, 3H), 1.95 (m, 2H), 5.03 (br s, 2H), 6.51 (dd,J= 3.0, 1.8 Hz, 1H), 6.87 (d,J= 3.0 Hz, 2H), 7.37 (d,J= 1.5 Hz, 1H), 7.94 (d,J= 8.7 Hz, 2H), 8.02 (d,J= 8.7 Hz, 2H). IR (cm-1): 3347, 3257, 1692, 1545, 1341, 1164.
실시예 47의 단계 6에서의 합성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실시예 238 ~ 254의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38]~[실시예 254]
실시예 53의 단계 6에서의 합성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실시예 255 ~ 259의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55]~[실시예 259]
[실시예 260]
3-(3-메틸페닐)-2-{4-(메틸설포닐)페닐}-1-옥사-스피로[4,5]덱-2-엔-4-온
실시예 56의 단계 6에서의 합성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3-(3-메틸페닐)-2-{4-(메틸설포닐)페닐}-1-옥사-스피로[4,5]덱-2-엔-4-온을 제조하였다. mp:154~155oC. NMR: δ 1.82 (m, 10H), 2.34 (s, 3H), 3.06 (s, 3H), 6.99 (d,J= 8.4 Hz, 1H), 7.13 (m, 2H), 7.25 (m, 1H), 7.86 (m, 2H), 7.93 (d,J= 8.7 Hz, 2H). IR (cm-1): 2934, 1693, 1621, 1403, 1147, 1129, 716.
[실시예 261]
3-(3-플루오로페닐)-2-{4-(메틸설포닐)페닐}-1,8-디옥사-스피로[4,5]덱-2-엔-4-온
단계 1: 4-에티닐-4-히드록시-테트라히드로-( 4H )-피란의 제조
140oC와 0.1 torr압력하에서 2시간동안 건조시킨 염화세륨(III) 29.8 g에, 아르곤하에서 무수 THF 200 ㎖을 가하였다. 현탁액을 2시간동안 교반한 후, -78oC로 냉각시켰다. 상기 교반된 염화세륨 용액에, 톨루엔 용액중에 용해시킨 25 % 리튬아세틸라이드/에틸렌 디아민 48 ㎖를 30분 동안에 걸쳐 적가한 후, 테트라히드로-(4H)-피란-4-온 10 g을 THF 100 ㎖중에 용해시켜 더 적가하였다[Tetrahedron Lett.25, 4233 (1984)]. 이후 상기 반응혼합물의 온도를 실온으로 천천히 상승시킨 후 18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염화암모늄 포화수용액을 최소량으로 가하여 반응을 중지시킨 후, 녹지않고 남은 물질을 셀라이트로 여과하여 제거하였다. 여과액을 감압 농축한 후, 남은 잔여물을 소금물과 에틸아세테이트 200 ㎖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한 후, 상기 황산마그네슘을 여과하여 제거하였다. 여과액을 농축하여, 4-에티닐-4-히드록시-테트라히드로-(4H)-피란 2.6 g을 수득하였다. NMR: δ 1.77-1.86 (m, 2H), 1.91-1.99 (m, 2H), 2.51 (t,J= 6.0 Hz, 1H), 2.55 (s, 1H), 3.62-3.70 (m, 2H), 3.87-4.00 (m, 2H). IR (cm-1): 3388, 2960, 2865, 2109, 1717, 1338, 1085, 840.
단계 2: 1-{4-(메틸티오)페닐}-4,4-{테트라히드로-( 4H )-피라닐리데닐}-2-부틴-1,4-디올의 제조
4-에티닐-4-히드록시-테트라히드로-(4H)-피란(2 g)을 무수 THF 90 ㎖에 용해시켜 교반한 용액에, 헥산중의 1.6M 부틸리튬 21.8 ㎖를 -78oC에서 천천히 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50분 동안 교반한 후, p-(메틸티오)벤즈알데히드(2.41 g)을 가하였다. 상기 반응용액의 온도를 천천히 실온으로 상승시킨 후,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얼음/물 100 ㎖을 가하여 반응을 중지시킨 후, 염화메틸렌 100 ㎖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상기 황산 마그네슘을 여과하여 제거하였다.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고, 남은 조생성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1-{4-(메틸티오)페닐}-4,4-{테트라히드로-(4H)-피라닐리데닐}-2-부틴-1,4-디올 2.3 g을 수득하였다. NMR: δ 1.79-1.88 (m, 2H), 2.20-2.35 (m, 2H), 2.50 (s, 3H), 3.61-3.70 (m, 2H), 3.83-3.88 (m, 2H), 4.40 (s, 1H), 5.49 (d,J= 6Hz, 1H), 5.80 (s, 1H), 7.27 (d,J= 8.4 Hz, 2H), 7.45 (d,J= 8.4 Hz, 2H). IR (cm-1): 3370, 2975, 2863, 2209, 1633, 1426, 1180, 743.
단계 3: 4-히드록시-1-{4-(메틸티오)페닐}-4,4-{4-테트라히드로-( 4H )-피라닐리데닐}-2-부틴-1-온의 제조
피리디늄 디크로메이트(4.7 g)와 1-{4-(메틸티오)-페닐}-4,4-{4-테트라히드로-(4H)-피라닐리데닐}-2-부틴-1,4-디올 2.3 g의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 120 ㎖하에서 용해시켜 22시간동안 실온에서 교반한 후, 에테르 40 ㎖를 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플로리실로 여과한 후,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조생성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4-히드록시-1-{4-(메틸티오)페닐}-4,4-{4-테트라히드로-(4H)-피라닐리데닐}-2-부틴-1-온 1.2 g을 수득하였다. NMR: δ 1.93-1.99 (m, 2H), 1.98-2.15 (m, 2H), 2.52 (s, 1H), 2.54 (s, 3H), 3.70-3.78 (m, 2H), 3.93-4.00 (m, 2H), 7.29 (d,J= 9.0 Hz, 2H), 8.02 (d,J= 9.0 Hz , 2H). IR (cm-1): 3400, 2957, 2862, 2208, 1568, 1263, 840.
단계 4: 2-{4-(메틸티오)페닐}-1,8-디옥사-스피로[4,5]덱-2-엔-4-온의 제조
4-히드록시-1-{4-(메틸티오)페닐}-4,4-{4-테트라히드로-(4H)-피라닐리데닐}-2-부틴-1-온 1.20 g을 에탄올 170 ㎖에 용해시킨 후, 디에틸아민 0.48 g을 에탄올 60 ㎖로 희석하여 적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동안 교반한 후, 감압 농축하였다. 남은 잔여물을 물과 디클로로메탄(100 ㎖ x 2)으로 추출한 후, 유기층은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하였다. 상기 황산마그네슘을 여과하여 제거하고,여과액은 감압 농축하였다. 조생성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고형의 2-{4-(메틸티오)페닐}-1,8-디옥사-스피로[4,5]덱-2-엔-4-온 0.6 g을 수득하였다. mp: 135~138oC. NMR: δ 1.58-1.63 (m, 2H), 2.07-2.18 (m, 2H), 2.55 (s, 3H), 3.81-3.91 (m, 2H), 4.04-4.10 (m, 2H), 5.97 (s, 1H), 7.32 (d,J= 9.0 Hz, 2H), 7.75 (d,J= 9.0 Hz, 2H). IR (cm-1): 2954, 2860, 1691, 1598, 1583, 1468, 1096.
단계 5: 2-{4-(메틸설포닐)페닐}-1,8-디옥사-스피로[4,5]덱-2-엔-4-온의 제조
2-{4-(메틸티오)페닐}-1,8-디옥사-스피로[4,5]덱-2-엔-4-온(0.6 g)을 THF 10 ㎖ 및 에탄올 10 ㎖에 용해시켜 교반한 용액에, 옥손 2.67 g을 물 5 ㎖에 용해시켜 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2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휘발성 용매를 감압하여 증발시킨 후, 수용액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감압 농축하고, 남은 조생성물을 헥산/디클로로메탄에 의한 재결정으로 정제하여, 2-{4-(메틸설포닐)페닐}-1,8-디옥사-스피로[4,5]덱-2-엔-4-온 0.55 g을 수득하였다. mp: 163~165oC. NMR: δ 1.58-1.70 (m, 2H), 2.09-2.20 (m, 2H), 3.11 (s, 3H), 3.82-3.92 (m, 2H), 4.04-4.14 (m, 2H), 6.16 (s, 1H), 8.05 (d,J= 8.7 Hz, 2H), 8.10 (d,J= 8.7 Hz, 2H). IR (cm-1): 2862, 1694, 1314, 1152, 961.
단계 6: 3-요오드-2-{4-(메틸설포닐)페닐}-1,8-디옥사-스피로[4,5]덱-2-엔-4-온의 제조
디클로로메탄 50 ㎖중의 2-{4-(메틸설포닐)페닐}-1,8-디옥사-스피로[4,5]덱-2-엔-4-온(0.55 g), [비스(트리플루오로아세톡시)요오드]벤젠(0.84 g) 및 요오드(0.45 g) 혼합용액을 실온에서 6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티오황산나트륨 포화수용액 10 ㎖를 첨가하여 반응을 중지시켰다. 유기층을 소금물로 세척한 후, 감압 농축하였다. 남은 조생성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3-요오드-2-{4-(메틸설포닐)페닐}-1,8-디옥사-스피로[4,5]덱-2-엔-4-온 0.6 g을 수득하였다. mp: 210~213oC. NMR: δ 1.60-1.72 (m, 2H), 2.11-2.44 (m, 2H), 3.12 (s, 3H), 3.80-3.90 (m, 2H), 4.04-4.14 (m, 2H), 8.21 (d,J= 9 Hz,2H), 8.41 (d,J= 9 Hz, 2H). IR (cm-1): 1690, 1580, 1146, 912, 744.
단계 7:3-(3-플루오로페닐)-2-{4-(메틸설포닐)페닐}-1,8-디옥사-스피로[4,5]덱-2-엔-4-온의 제조
3-요오드-2-{4-(메틸설포닐)페닐}-1,8-디옥사-스피로[4,5]덱-2-엔-4-온 120 mg을 톨루엔 5 ㎖ 및 에탄올 5 ㎖에 용해시켜 교반한 용액에, 실온에서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 16 mg, 2M 탄산나트륨 수용액 0.3 ㎖ 및 3-플루오로벤젠보론산 43 mg을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혼합물을 100oC에서 3시간동안 교반하고, 실시예 2에서 사용된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정제하여, 3-(3-플루오로페닐)-2-{4-(메틸설포닐)페닐}-1,8-디옥사-스피로[4,5]덱-2-엔-4-온 84 mg을 수득하였다. mp: 164~166oC. NMR: δ 1.70-1.75 (m, 2H), 2.15-2.26 (m, 2H), 3.09 (s, 3H), 3.84-3.94 (m, 2H), 4.08-4.14 (m, 2H), 7.02-7.10 (m, 3H), 7.31-7.40 (m, 1H), 7.86 (d,J= 8.4 Hz, 2H), 7.97 (d,J= 8.4 Hz, 2H). IR (cm-1): 2862, 1694, 1623, 1430, 1318, 1148, 1103, 770.
실시예 261의 단계 7에서의 합성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실시예 262와 실시예 263의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62] 및 [실시예 263]
[실시예 264]
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티오)페닐}-4-페닐-3( 2H )-퓨라논
단계 1: 1-{3-플루오로-4-(메틸티오)페닐}-2-페닐-에탄-1-온의 제조
2-플루오로티오아니졸 1.5 ㎖를 디클로로메탄50 ㎖에 용해시켜 교반한 용액에, 염화알루미늄 1.2 g 및 페닐아세틸 클로라이드 1 ㎖를 0℃에서 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얼음과 염산 수용액을 적정량 첨가하여 반응을 중지시켰다. 상기 반응이 중지된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50 ㎖ ×3)으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소금물로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상기 황산마그네슘을 여과하여 제거하였다.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고, 메탄올로 재결정하여 정제된 1-{3-플루오로-4-(메틸티오)페닐}-2-페닐-에탄-1-온 1.8 g을 수득하였다. mp: 71~72oC. NMR: δ 2.50 (s, 3H), 4.22 (s, 2H), 7.20-7.33 (m, 6H), 7.64 (m, 1H), 7.77 (m, 1H).
단계 2: 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티오)페닐}-4-페닐-3( 2H )-퓨라논의 제조
1-{3-플루오로-4-(메틸티오)페닐}-2-페닐-에탄-1-온(1.68 g)을 무수 THF 100 ㎖에 용해시켜 교반한 용액에, 60% 수소화나트륨 오일분산액(270 ㎎)을 0℃에서 소분하여 적가하였다. 상기 반응 용액을 같은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무수THF 25 ㎖로 희석한 α-브로모-이소부티릴 시아나이드 1.2 ㎖를 0℃에서 상기 교반용액에 적가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점차적으로 실온으로까지 온도를 상승시키면서, 밤새 교반하였다. 용액을 감압 농축하고, 물 50 ㎖를 첨가하였다. 수용액을 디클로로메탄(50 ㎖×3)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감압 농축한 후,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6:1)로 정제하여, 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티오)페닐}-4-페닐-3(2H)-퓨라논 1.21 g을 수득하였다. NMR: δ 1.55 (s, 6H), 2.48 (s, 3H), 7.26-7.39 (m, 7H), 7.67 (m, 1H), 7.81 (m, 1H). IR (cm-1): 1696, 1421, 1388, 1238.
실시예 264의 합성에 사용된 일련의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실시예 265 ~ 272의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실시예 265] ~[실시예 272]
[실시예 273]
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포닐)페닐}-4-페닐-3( 2H )-퓨라논
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티오)페닐}-4-페닐-3(2H)-퓨라논(1.21 g: 실시예 264)을 메탄올/THF/물 1:1:1의 혼합용액 150 ㎖에 용해시킨 후, 옥손 2.77g을 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4시간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휘발성 용매를 감압하여 제거하고, 남은 용액을 물 50 ㎖로 희석하였다. 수용액을 디클로로메탄(30 ㎖ ×3)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감압 농축하고,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4:1)로 정제하여, 고형의 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포닐)페닐}-4-페닐-3(2H)-퓨라논 520 mg을 수득하였다. mp: 190~191oC. NMR: δ 1.55 (s, 6H), 3.23 (s, 3H), 7.26 (m, 2H), 7.38 (m, 3H), 7.56 (m, 2H), 7.92 (m, 1H). IR (cm-1): 1700, 1427, 1324, 1160, 1147. MS (FAB): 361 (m+ 1).
실시예 273에서의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실시예 274 ~ 287의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실시예 274]~ [실시예 287]
[실시예 288]
4-(4-아미노페닐)-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포닐)페닐}-3( 2H )-퓨라논
2,2-디메틸-4-(4-니트로페닐)-5-{3-플루오로-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실시예 287) 200 mg을 에탄올 7 ㎖ 및 물 1 ㎖에 용해시킨 후, 진한 염산 0.5 ㎖ 및 Fe 분말 0.2 g을 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70℃에서 1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미반응 Fe를 여과하여 제거하였다. 여과액은감압 농축하고, 남은 잔여물을 1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중화시킨 후, 디클로로메탄 30 ㎖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감압 농축하고,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1:1)로 정제하여, 고형의 4-(4-아미노페닐)-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102 mg을 수득하였다. mp: 199~200oC. NMR: δ 1.54 (s, 6H), 3.24 (s, 3H), 3.80 (br s, 2H), 6.71 (d,J =8.7 Hz, 2H), 7.06 (d,J =8.7 Hz, 2H), 7.61 (dd,J =10.5, 1.8 Hz, 1H), 7.64 (dd,J =8.4, 1.8 Hz, 1H), 7.92 (dd,J =8.1, 7.2 Hz, 1H). IR (cm-1): 3468, 3374, 1694, 1517, 1386, 1320, 1159, 1147.
[실시예 289]
4-{4- N -(아세틸아미노)페닐}-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포닐)페닐}-3( 2H )-퓨라논
4-(4-아미노페닐)-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실시예 288) 60 mg을, N,N-디메틸아미노피리딘 10 ㎎의 존재하에서, 디클로로메탄10 ㎖ 및 트리에틸아민 0.5 ㎖에 용해시킨 무수아세트산 0.2 ㎖와 실온에서 12시간동안 반응시켰다. 용매를 감압하여 증발시키고, 남은 잔여물을 물 30 ㎖와 디클로로메탄 30 ㎖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감압 농축한 후,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1:1)로 정제하여, 고형의 4-{4-N-(아세틸아미노)페닐}-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38 mg을 수득하였다. mp: 170∼171 ℃. NMR: δ 1.57 (s, 6H), 2.21 (s, 3H), 3.25 (s, 3H), 7.23 (d,J= 9.9 Hz, 2H), 7.56 (m, 3H), 7.60 (dd,J= 8.4,1.8 Hz, 1H), 7.93 (dd,J= 7.8, 7.2 Hz, 1H). IR(cm-1) 3335, 1697, 1596, 1524, 1319, 1159, 1147.
[실시예 290]
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피닐)페닐}-4-(3-플루오로페닐)-3( 2H )-퓨라논
실시예 264에서 사용된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한 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티오)페닐}-4-(3-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1.6 g)을 디클로로메탄 50 ㎖에 용해시켜 교반한 용액에,m-클로로퍼옥시벤조산 1.25 g을 0℃에서 가하였다. 상기 반응용액을 1.5시간 상기의 온도에서 교반하고, 5% 중탄산나트륨 수용액 30 ㎖를 상기 용액에 첨가한 후, 10분간 더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감압 농축한 후, 남은 잔여물을 물 50 ㎖와 디클로로메탄(30 ㎖ × 3)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감압 농축한 후,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1:1)로 정제하여, 고형의 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피닐)페닐}-4-(3-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1.6 g을 수득하였다. mp: 148~149oC. NMR: δ 1.58 (s, 6H), 2.87 (s, 3H), 7.06 (m, 3H), 7.36(m, 1H), 7.42 (dd,J =10.5, 1.8 Hz, 1H), 7.66 (dd,J =8.4, 1.8 Hz, 1H), 7.87 (dd,J =8.1, 6.9 Hz, 1H). IR (cm-1): 1700, 1623, 1420, 1261, 1216, 1192, 1135, 1077.
실시예 290의 합성에서 사용한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실시예 291 ~ 299의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실시예 291]~ [실시예 299]
[실시예 300]
5-{4-(아미노설포닐)-3-플루오로페닐}-2,2-디메틸-4-페닐-3( 2H )-퓨라논
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피닐)페닐}-4-페닐-3(2H)-퓨라논(실시예291) 220 mg을, 무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30 ㎖에 용해시켜, 2시간동안 0℃에서 교반하였다. 휘발성 물질을 감압하여 제거하고, 메탄올과 트리에틸아민 1:1 혼합용액 30 ㎖를 남은 잔여물에 첨가하였다. 상기 용액을 감압 농축하고, 남은 잔여물을 30 ㎖의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킨 후, 여기에 염소로 포화된 아세트산 5 ㎖를 천천히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5분간 교반한 후, 휘발성물질을 감압하여 제거하였다. 남은 잔여물을 톨루엔 30 ㎖에 용해시킨 후, 다시 감압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THF 30 ㎖로 희석하고, 암모니아 수용액 3 ㎖와 실온에서 밤새 반응시켰다. 상기 반응용액을 감압 농축하고, 남은 잔여물을 물 30 ㎖와 디클로로메탄(30 ㎖×3)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감압 농축한 후,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3:2)로 정제하여, 5-{4-(아미노설포닐)-3-플루오로페닐}-2,2-디메틸-4-페닐-3(2H)-퓨라논 65 mg을 수득하였다. NMR: δ 1.57 (s, 6H), 5.11 (br s, 2H), 7.27 (m, 2H), 7.40 (m, 3H), 7.52 (m, 2H), 7.86 (dd,J =8.1, 6.9 Hz, 1H). IR (cm-1): 3404, 3227, 1685, 1560, 1356, 1150. MS (FAB): 362 (m+ 1).
실시예 300의 합성에서 사용된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실시예 301 ~ 313의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01]∼[실시예 313]
[실시예 314]
2,2-디메틸-5-{2-플루오로-4-(메틸티오)페닐}-4-페닐-3( 2H )-퓨라논
실시예 264의 단계 1과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된 1-{2-플루오로-4-(메틸티오)페닐}-2-페닐-에탄-1-온(675 mg)을 무수 THF 50 ㎖에 용해시키고, 수소화나트륨 120 mg을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 시간동안 교반한 후, THF 20 ㎖로 희석한 α-브로모이소부티릴시아나이드 0.35 ㎖를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의 온도를 실온으로까지 상승시키면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용매를 감압하여 제거하고, 남은 잔여물을 물 50 ㎖와 디클로로메탄(30 ㎖ × 3)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감압 농축한 후,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6:1)로 정제하여, 2,2-디메틸-5-{2-플루오로-4-(메틸티오)페닐}-4-페닐-3(2H)-퓨라논 353 mg을 수득하였다. NMR: δ 1.54 (s, 6H), 2.49 (s, 3H), 6.90 (dd,J =10.8, 1.8 Hz, 1H), 7.00 (dd,J =8.4, 1.8 Hz, 1H), 7.22-7.29 (m, 5H), 7.40 (dd,J =8.4, 7.2 Hz, 1H). IR (cm-1): 1699, 1610, 1388, 1175, 1049.
실시예 314의 합성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실시예 315 ~ 320의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실시예 315]∼[실시예 320]
[실시예 321]
2,2-디메틸-5-{2-플루오로-4-(메틸설포닐)페닐}-4-페닐-3( 2H )-퓨라논
2,2-디메틸-5-{2-플루오로-4-(메틸티오)페닐}-4-페닐-3(2H)-퓨라논(실시예 314) 305 mg을 메탄올 30 ㎖, THF 20 ㎖ 및 물 20 ㎖에 용해시킨 후, 옥손 1.4 g을 여기에 첨가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하여 제거한 후, 남은 잔여물을 물 50 ㎖와 디클로로메탄(30 ㎖ ×3)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감압 농축한 후,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3:2)로 정제하여, 고형의 2,2-디메틸-5-{2-플루오로-4-(메틸설포닐)페닐}-4-페닐-3(2H)-퓨라논 70 mg을 수득하였다. mp: 175~176oC. NMR: δ 1.57 (s, 6H), 3.10 (s, 3H), 7.22 (m, 2H), 7.28 (m, 3H), 7.75 (dd,J =8.7, 1.8 Hz, 1H), 7.77 (m, 2H). IR (cm-1): 1702, 1408, 1321, 1147. MS (FAB): 361 (m+ 1).
실시예 321의 합성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실시예 322 ~ 326의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22]∼[실시예 326]
[실시예 327]
2,2-디메틸-5-{2-플루오로-4-(메틸설피닐)페닐}-4-페닐-3( 2H )-퓨라논
2,2-디메틸-5-{2-플루오로-4-(메틸티오)페닐}-4-페닐-3(2H)-퓨라논(실시예314) 241 mg을 디클로로메탄 50 ㎖에 용해시킨 후, 70%m-클로로퍼옥시벤조산 138 mg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5시간동안 0℃에서 교반한 후, 5% 중탄산 나트륨 수용액 30 ㎖를 첨가하였다. 이후, 혼합물을 10분 동안 교반하고, 휘발성 물질을 감압하여 제거하였다. 잔여물을 물 50 ㎖와 디클로로메탄(30 ㎖ ×3)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감압 농축한 후, 컬럼크로마토그래피 분리(헥산/에틸아세테이트=1:1)에 의해 정제하여, 고형의 2,2-디메틸-5-{2-플루오로-4-(메틸설피닐)페닐}-4-페닐-3(2H)-퓨라논 187 mg을 수득하였다. mp: 149~150oC. NMR: δ 1.55 (s, 6H), 2.78 (s, 3H), 7.26 (m, 5H), 7.47 (m, 2H), 7.69 (dd,J =8.4, 6.6 Hz, 2H). IR (cm-1): 1700, 1621, 1380, 1223, 1161, 1075.
실시예 327에서 사용된 합성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실시예 328 ~ 331의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실시예 328]∼[실시예 331]
[실시예 332]
5-{4-(아미노설포닐)-2-플루오로페닐}-2,2-디메틸-4-페닐-3( 2H )-퓨라논
2,2-디메틸-5-{2-플루오로-4-(메틸설피닐)페닐}-4-페닐-3(2H)-퓨라논(실시예 327) 154 mg을 무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30 ㎖에 용해시켜, 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휘발성 물질을 감압하여 제거한 후, 메탄올과 트리에틸아민의 1:1 혼합용액 50 ㎖를 첨가하였다. 상기 용액을 20분간 0℃에서 교반한 후, 용매를 감압하여 제거하였다. 남은 잔여물을 디클로로메탄40 ㎖에 용해시키고, 염소로 포화된 아세트산 15 ㎖를 적가하였다. 상기 반응용액을 0℃에서 20분간 교반하였다. 이후 용매와 반응하지 않은 염소를 감압하여 제거하였다. 남은 잔여물을 30 ㎖의 톨루엔에 용해시키고, 상기 톨루엔을 감압하에서 증발시켰다. 이후 남은 잔여물을 THF 40 ㎖에 용해시키고, 밤새 교반하면서 암모니아수 5 ㎖와 반응시켰다. 용매를 감압하여 제거하고, 남은 잔여물을 물 30 ㎖와 디클로로메탄(30 ㎖ ×3)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감압 농축한 후,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 3:2)로 정제하여, 고형의 5-{4-(아미노설포닐)-2-플루오로페닐}-2,2-디메틸-4-페닐-3(2H)-퓨라논 42 mg을 수득하였다. mp: 79~81oC. NMR: δ 1.58 (s, 6H), 5.01 (br s, 2), 7.20-7.31 (m, 5H), 7.69-7.76 (m, 3H). IR (cm-1): 3340, 3274, 1591, 1526, 1328. MS (FAB): 362 (m+1).
실시예 332에서 사용한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실시예 333 ~ 335의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실시예 333]~[실시예 335]
[실시예 336]
5-{3-브로모-4-(메틸티오)페닐}-2,2-디메틸-4-페닐-3( 2H )-퓨라논
1-{3-브로모-4-(메틸티오)페닐}-2-페닐-에탄-1-온(1.54 g)을 THF 50 ㎖에 용해시켜 교반한 용액에, 60% 수소화나트륨 오일분산액 232 mg를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1시간동안 0℃에서 교반하고, THF 20 ㎖로 희석한 α-브로모이소부티릴시아나이드 1.1 ㎖을 적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천천히 실온으로 상승시키고, 밤새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하여 제거하고, 남은 잔여물을 물 50 ㎖와 디클로로메탄(30 ㎖ ×3)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감압 농축하고,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6:1)로 정제하여, 5-{3-브로모-4-(메틸티오)페닐}-2,2-디메틸-4-페닐-3(2H)-퓨라논 1.1 g을 수득하였다. NMR: δ 1.55 (s, 6H), 2.47 (s, 3H),6.99 (d,J =8.7 Hz, 1H), 7.32 (m, 5H), 7.48 (dd,J =8.7, 2.1 Hz, 1H), 7.88 (d,J =1.8 Hz, 1H).
실시예 336에서의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실시예 337 ~ 340의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37]∼[실시예 340]
[실시예 341]
5-{3-브로모-4-(메틸설포닐)페닐}-2,2-디메틸-4-페닐-3( 2H )-퓨라논
5-{3-브로모-4-(메틸티오)페닐}-2,2-디메틸-4-페닐-3(2H)-퓨라논(실시예 336) 350 mg을 메탄올, THF 및 물 각각 50 ㎖의 혼합용액에 용해시킨 후, 15시간동안 실온에서 교반하면서 1.5 g의 옥손과 반응시켰다. 이후 용매를 감압하여 제거하고, 남은 잔여물을 물 50 ㎖와 디클로로메탄(30 ㎖ ×3)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감압 농축하고,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3:2)로 정제하여, 고형의 5-{3-브로모-4-(메틸설포닐)페닐}-2,2-디메틸-4-페닐-3(2H)-퓨라논 173 mg을 수득하였다. mp: 154~155oC. NMR: δ 1.58 (s, 6H), 3.29 (s, 3H), 7.26 (m, 3H), 7.38 (m, 2H), 8.07 (d,J =1.8 Hz, 1H), 8.10 (d,J =8.1 Hz, 2H). IR (cm-1): 1698, 1585, 1318, 1150.
실시예 341에서 사용한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실시예 342 ~ 345의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실시예 342]~[실시예 345]
[실시예 346]
5-{3-브로모-4-(메틸설피닐)페닐}-2,2-디메틸-4-페닐-3(2 H )-퓨라논
5-{3-브로모-4-(메틸티오)페닐}-2,2-디메틸-4-페닐-3(2H)-퓨라논(실시예 336) 391 mg을 디클로로메탄 50 ㎖에 용해시킨 후, 70% m-클로로퍼옥시벤조산 183 mg을 가하여 50분 동안 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5%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10 ㎖을 가하고, 10분간 더 교반하였다. 디클로로메탄을 감압하여 제거한 후, 남은 잔여물을 물 50 ㎖와 디클로로메탄(30 ㎖ ×3)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감압 농축한 후,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1:1)로 정제하여, 5-{3-브로모-4-(메틸설피닐)페닐}-2,2-디메틸-4-페닐-3(2H)-퓨라논 310 mg을 수득하였다. NMR: δ 1.58 (s, 6H), 2.84 (s, 3H), 7.30 (m, 2H), 7.38 (m, 3H), 7.78 (dd,J =8.4, 1.8 Hz, 1H), 7.88 (d,J =5.4 Hz, 1H), 7.90 (d,J =2.7 Hz, 1H). IR (cm-1): 1698, 1619, 1388, 1064.
실시예 346에서 개시된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실시예 347 ~ 350의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47]~[실시예 350]
[실시예 351]
5-{4-(아미노설포닐)-3-브로모페닐}-2,2-디메틸-4-페닐-3( 2H )-퓨라논
5-{3-브로모-4-(메틸설피닐)페닐}-2,2-디메틸-4-페닐-3(2H)-퓨라논(실시예 346) 287 mg을 무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40 ㎖에 용해시키고, 1시간 동안 0℃에서 교반하였다. 이후 용매를 감압하여 제거하고, 남은 잔여물을 메탄올과 트리에틸아민의 1:1 혼합용액 50 ㎖에 용해시켰다. 상기 용액을 1시간동안 0℃에서 교반한 후, 용매를 감압하여 제거하였다. 남은 잔여물을 디클로로메탄 30 ㎖ 중에서 교반한 후, 염소로 포화된 아세트산 15 ㎖을 적가하였다. 상기 반응용액을 0℃에서 30분간 교반하였다. 아세트산 및 반응하지 않은 염소를 감압하에서 증발시켰다. 남은잔여물을 THF 30 ㎖ 및 암모니아수 5 ㎖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농축하고, 물 30 ㎖ 및 디클로로메탄(30 ㎖ ×3)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감압 농축한 후,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3:2)로 정제하여, 고형의 5-{4-(아미노설포닐)-3-브로모페닐}-2,2-디메틸-4-페닐-3(2H)-퓨라논 89 mg을 수득하였다. mp: 128~132oC. NMR: δ 1.63 (s, 6H), 5.32 (br s, 2H), 7.12 (m, 2H), 7.40 (m, 3H), 7.69 (m, 1H), 7.98 (m, 2H). IR (cm-1): 3400, 3282, 1686, 1556, 1171.
실시예 351에서의 제조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실시예 352 ~ 353의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52]~[실시예 353]
[실시예 354]
5-{3-클로로-4-(메틸티오)페닐}-2,2-디메틸-4-페닐-3( 2H )-퓨라논
단계 1: 1-{3-클로로-4-(메틸티오)페닐}-2-페닐-에타논의 제조
2-클로로티오아니졸(3.0 g)을 디클로로메탄 120 ㎖에 용해시켜 교반한 용액에, 먼저 염화알루미늄 2.8 g을, 이후 페닐아세틸클로라이드 3.0 g을 0℃에서 천천히 가하였다. 상기 반응혼합물을 12시간동안 상기온도에서 교반하였다. 이후 상기 반응용액을 얼음 및 염산 수용액에 붓고, 반응이 중지된 상기 용액을 30분간 교반한 후, 디클로로메탄(80 ㎖ ×3)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소금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다. 황산 마그네슘을 여과하여 제거한 후,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남은 잔여물을 헥산과 디클로로메탄으로 재결정하여, 1-{3-클로로-4-(메틸티오)페닐}-2-페닐-에탄-1-온 3.6 g을 수득하였다. mp: 101~102oC. NMR:δ 2.51 (s, 3H), 4.22 (s, 2H), 7.17 (d,J =8.4 Hz, 1H), 7.25 (m, 3H), 7.32 (m, 2H), 7.87 (dd,J =8.4, 1.8 Hz, 1H), 7.97 (d,J =1.8 Hz, 1H).
단계 2: 5-{3-클로로-4-(메틸티오)페닐}-2,2-디메틸-4-페닐-3( 2H )-퓨라논의 제조
1-{3-클로로-4-(메틸티오)페닐}-2-페닐-에탄-1-온 3.6 g을 무수 THF 100 ㎖에 용해시키고, 60% 수소화나트륨 오일분산액(1.5 g)의 존재하에서 0℃에서 20분간 교반하였다. 이후, THF 50 ㎖로 희석시킨 α-브로모이소부티릴시아나이드(3.0 ㎖)를 적가하였다. 상기 반응용액의 온도를 천천히 실온으로 상승시킨 후, 밤새 교반하였다. 이후, 용매를 감압하여 제거하고, 물 30 ㎖ 및 디에틸에테르(50 ㎖ ×3)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감압 농축하고,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8:1)로 정제하여, 5-{3-클로로-4-(메틸티오)페닐}-2,2-디메틸-4-페닐-3(2H)-퓨라논 3.2 g을 수득하였다. NMR: δ 1.52 (s, 6H), 2.45 (s, 3H), 7.17 (d,J =8.4 Hz, 1H), 7.25 (m, 3H), 7.32 (m, 2H), 7.87 (dd,J =8.4, 1.8 Hz, 1H), 7.97 (d,J =1.8 Hz, 1H). IR (cm-1): 1694, 1613, 1592, 1389, 1252, 1145, 1128.
실시예 354에서 사용된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실시예 355 ~ 356의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55]~[실시예 356]
[실시예 357]
5-{3-클로로-4-(메틸설포닐)페닐}-2,2-디메틸-4-페닐-3( 2H )-퓨라논
5-{3-클로로-4-(메틸티오)페닐}-2,2-디메틸-4-페닐-3(2H)-퓨라논(실시예 354) 1.2 g을 메탄올/THF/물 1:1:1의 혼합용액 150 ㎖에 용해시킨 후, 옥손 2.8 g을 가하였다. 반응혼합물을 6시간동안 실온에서 교반시켰다. 반응혼합물을 감압 농축시킨 후, 남은 잔여물을 물 50 ㎖와 에틸아세테이트(100 ㎖ ×3)로 추출하였다.유기층를 감압 농축하고,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3:1)로 정제하여 고형의 5-{3-클로로-4-(메틸설포닐)페닐}-2,2-디메틸-4-페닐-3(2H)-퓨라논 1.1 g을 수득하였다. mp: 174~175oC. NMR: δ 1.58 (s, 6H), 3.28 (s, 3H), 7.27 (m, 3H), 7.39 (m, 2H), 7.66 (dd,J =8.4, 1.8 Hz, 1H), 7.86 (d,J =1.8 Hz, 1H), 8.09 (d,J =8.4 Hz, 1H). IR (cm-1): 1700, 1587, 1391, 1321, 1241, 1152.
실시예 357에서의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실시예 358 ~ 362의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58]~[실시예 362]
[실시예 363]
5-{3-클로로-4-(메틸설피닐)페닐}-2,2-디메틸-4-페닐-3( 2H )-퓨라논
5-{3-클로로-4-(메틸티오)페닐}-2,2-디메틸-4-페닐-3(2H)-퓨라논(실시예 354) 3.5 g을 디클로로메탄80 ㎖에 용해시켜 교반한 용액에, 70%m-클로로퍼옥시벤조산 2.5 g을 가하고, 0℃에서 2시간동안 교반하였다. 5% 중탄산 나트륨 수용액 40 ㎖를 상기 용액에 첨가하고 10분간 더 교반하였다. 용액을 디클로로메탄(50 ㎖×3)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감압 농축하고,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1:1)로 정제하여, 고형의 5-{3-클로로-4-(메틸설피닐)페닐}-2,2-디메틸-4-페닐-3(2H)-퓨라논 2.43 g을 수득하였다. mp: 120~121oC. NMR: δ 1.57 (s, 6H), 2.84 (s, 3H), 7.30 (m, 3H), 7.38 (m, 2H), 7.72 (s, 1H), 7.74 (d,J =8.1 Hz, 1H),7.91 (d,J =8.1 Hz, 1H). IR (cm-1): 1699, 1619, 1319, 1239, 1169, 1145, 1068.
실시예 363에서의 방법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실시예 364 ~ 366의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실시예 364]~[실시예 366]
[실시예 367]
5-{4-(아미노설포닐)-3-클로로페닐}-2,2-디메틸-4-페닐-3( 2H )-퓨라논
5-{3-클로로-4-(메틸설피닐)페닐}-2,2-디메틸-4-페닐-3(2H)-퓨라논(실시예 363) 1.2 g을 무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30 ㎖ 중에서, 2시간 동안 0℃에서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하여 제거한 다음, 남은 잔여물에 메탄올/트리에틸아민의 1:1 혼합용액 30 ㎖를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액을 0℃에서 1시간동안 교반하고, 용매를 감압하여 제거하였다. 남은 잔여물을 용해시킨 후, 염소로 포화된 아세트산 30 ㎖를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0℃에서 30분간 교반하였다. 이 후, 용매 및 미반응 염소를 감압하여 증발시키고, 남은 잔여물을 THF 30 ㎖ 및 암모니아수 3 ㎖ 중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농축하고, 남은 잔여물을 물 30 ㎖ 및 디클로로메탄(30 ㎖ ×3)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소금물로 세척한 후, 감압 농축하였다. 남은 잔여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 3:2)로 정제하여, 고형의 5-{4-(아미노설포닐)-3-클로로페닐}-2,2-디메틸-4-페닐-3(2H)-퓨라논을 512 mg을 수득하였다. mp: 193~194oC. NMR: δ 1.58 (s, 6H), 5.14 (br s, 2H), 7.26 (m, 3H), 7.39 (m, 2H), 7.62 (dd,J =8.4, 1.8 Hz, 1H), 7.84 (d,J =1.8 Hz, 1H), 8.04 (d,J =8.1 Hz, 1H). IR (cm-1): 3379, 3263, 1691, 1586, 1347,1219, 1156.
실시예 367에서의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실시예 368 ∼ 371의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68]~[실시예 371]
[실시예 372]
5-{3-클로로-4-(N-메틸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페닐-3( 2H )-퓨라논
2,2-디메틸-5-{3-클로로-4-(메틸설피닐)페닐}-4-페닐-3(2H)-퓨라논(실시예 363) 200 mg을 무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0 ㎖ 중에서 0℃, 1시간동안 교반한 후, 용매를 감압하여 제거하였다. 남은 잔여물을 메탄올/트리에틸아민의 1:1 혼합용액 10 ㎖에 용해시킨 후, 0℃에서 1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용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이후 남은 잔여물을 디클로로메탄 15 ㎖에서 교반한 후, 염소로 포화된 아세트산 5 ㎖를 첨가하였다. 상기 용액을 0℃에서 30분간 교반한 후, 용매 및 미반응 염소를 감압하여 제거하였다. 남은 잔여물을 톨루엔 5 ㎖에 용해시킨 후, 톨루엔을 감압하에서 증발시켰다. 남은 잔여물을 THF 20 ㎖에 용해시키고, 40% 메틸아민 수용액 1㎖와 0℃에서 2시간동안 반응시켰다. 상기 반응용액을 감압 농축하고, 물 30 ㎖와 디클로로메탄(30 ㎖ ×3)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소금물로 세척한 후, 감압 농축하였다. 남은 잔여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 3:2)로 정제하여, 고형의 5-{3-클로로-4-(N-메틸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페닐-3(2H)-퓨라논 62 mg을 수득하였다. mp: 136-137oC. NMR: δ 1.58 (s, 6H), 2.66 (d,J =5.4 Hz, 3H), 4.94 (q,J =5.4 Hz, 1H), 7.28 (m, 2H), 7.39 (m, 3H), 7.63 (dd,J =8.4, 1.8 Hz, 1H), 7.84 (d,J =1.8 Hz, 1H), 8.03 (d,J =8.4 Hz, 1H). IR (cm-1): 3315, 1697, 1587, 1394, 1336, 1242, 1164.
[실시예 373]
5-{3-클로로-4-(N-에틸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페닐-3( 2H )-퓨라논
70% 에틸아민 수용액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72의 방법으로 표제의 화합물을 얻었다. mp: 72-73oC. NMR: δ 1.11 (t,J =7.2 Hz, 3H), 1.57 (s, 6H), 3.02 (m, 2H), 4.93 (t,J =6.0 Hz, 1H), 7.28 (m, 2H), 7.39 (m, 3H), 7.62 (dd,J =8.4, 1.8 Hz, 1H), 7.83 (d,J =1.8 Hz, 1H), 8.03 (d,J =8.1 Hz, 1H). IR (cm-1): 3300, 1698, 1618, 1587, 1393, 1337, 1241, 1163.
[실시예 374]
5-[4-{(아세틸아미노)설포닐}-3-클로로페닐]-2,2-디메틸-4-페닐-3( 2H )-퓨라논
디클로로메탄 10 ㎖중의 5-{4-(아미노설포닐)-3-클로로페닐}-2,2-디메틸-4-페닐-3(2H)-퓨라논(실시예 367) 150 mg을 트리에틸아민 0.5 ㎖ 및 4-(N,N-디메틸아미노)피리딘 15 mg 존재하에서, 무수아세트산 0.3 ㎖와 실온에서 12시간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농축하고, 물 30 ㎖와 디클로로메탄(30 ㎖ ×3)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감압 농축한 후,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2:1)로 정제하여, 고형의 5-[4-{(아세틸아미노)설포닐}-3-클로로페닐]-2,2-디메틸-4-페닐-3(2H)-퓨라논 113 mg을 수득하였다. mp: 194-195oC. NMR: δ 1.57 (s, 6H), 2.10 (s, 3H), 7.27 (m, 2H), 7.40 (m, 3H), 7.68 (dd,J =8.4, 1.8 Hz, 1H), 7.85 (d,J =1.5 Hz, 1H), 8.18 (d,J =8.1 Hz, 1H), 8.45 (br s, 1H). IR (cm-1): 3195, 3104, 1698, 1377, 1164.
[실시예 375]
5-[3-클로로-4-{(프로피오닐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페닐-3( 2H )-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3-클로로페닐}-2,2-디메틸-4-페닐-3(2H)-퓨라논(실시예 367) 150 mg을, 실시예 374에서의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무수프로피온산과 반응시켜, 5-[3-클로로-4-{(프로피오닐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페닐-3(2H)-퓨라논 132 mg을 수득하였다. mp: 191-192oC. NMR: δ 1.09 (t,J =7.5 Hz, 3H), 1.57 (s, 6H), 2.32 (q = 7.5 Hz, 2H), 7.27 (m, 2H), 7.39 (m, 3H), 7.68 (dd,J =8.4, 1.8 Hz, 1H), 7.84 (d,J =1.5 Hz, 1H), 8.20 (d,J =8.4 Hz, 1H), 8.37 (br s, 1H). IR (cm-1): 3204, 3105, 1699, 1458, 1396, 1164.
[실시예 376]
5-[4-{( n -부티릴아미노)설포닐}-3-클로로페닐]-2,2-디메틸-4-페닐-3( 2H )-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3-클로로페닐}-2,2-디메틸-4-페닐-3(2H)-퓨라논(실시예 367) 150 mg을, 실시예 374에서의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무수 부틸산과 반응시켜 5-[3-클로로-4-{(n-부티릴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페닐-3(2H)-퓨라논 124 mg을 수득하였다. mp: 119-120oC. NMR: δ 0.89 (t,J =7.5 Hz, 3H), 1.57 (s, 6H), 1.59 (m, 2H), 2.27 (t,J =7.5 Hz, 2H), 7.28 (m, 2H), 7.40 (m, 3H), 7.69 (dd,J =8.4, 1.8 Hz, 1H), 7.83 (d,J =1.8 Hz, 1H), 8.20 (d,J =8.4 Hz, 1H), 8.48 (br s, 1H). IR (cm-1): 3191, 3105, 1698, 1684, 1453, 1242, 1187.
[실시예 377]
2,2-디메틸-4-(3-플루오로페닐)-5-{3-메틸-4-(메틸티오)페닐}-3( 2H )-퓨라논
1-{3-메틸-4-(메틸티오)페닐}-2-(3-플루오로페닐)-에탄-1-온 437 mg을, 무수 THF 50 ㎖에 용해시킨 후, 60% 수소화나트륨 오일분산액 67 mg을 가하여 0℃에서 1시간동안 교반하고, THF 25 ㎖로 희석시킨 α-브로모이소부티릴시아나이드 0.8 ㎖를 적가하였다. 반응용액의 온도를 실온으로 천천히 상승시킨 후 밤새 교반하였다. 이후, 용매를 감압하여 제거하고, 남은 잔여물을 물 50 ㎖ 및 디클로로메탄(50 ㎖ ×3)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감압 농축한 후,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6:1)로 정제하여, 2,2-디메틸-4-(3-플루오로페닐)-5-{3-메틸-4-(메틸티오)페닐}-3(2H)-퓨라논 312 mg을 수득하였다. NMR: δ 1.55 (s, 6H), 2.27 (s, 3H), 2.48 (s, 3H), 7.36 (m, 4H), 7.32 (m, 1H), 7.45 (m, 2H). IR (cm-1): 1694, 1601, 1385, 1260, 1192.
[실시예 378]
2,2-디메틸-4-(3-플루오로페닐)-5-{3-메틸-4-(메틸설포닐)페닐}-3( 2H )-퓨라논
2,2-디메틸-4-(3-플루오로페닐)-5-{3-메틸-4-(메틸티오)페닐}-3(2H)-퓨라논(실시예 377) 257 mg을 염화메틸렌 50 ㎖에 용해시킨 후, 70%m-클로로퍼옥시벤조산 170 mg을 가하여 0℃에서 1시간동안 교반시킨 후, 5% 중탄산나트륨 수용액 10 ㎖를 첨가하였다. 상기 용액을 10분간 더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농축하고, 물 50 ㎖ 및 디클로로메탄(30 ㎖ ×3)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감압 농축하고,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2:1)로 정제하여, 고형의 2,2-디메틸-4-(3-플루오로페닐)-5-{3-메틸-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3 mg를 수득하였다. mp: 138-139oC. NMR: δ 1.57 (s, 6H), 2.68 (s, 3H), 3.09 (s, 3H), 7.03 (m, 3H), 7.28 (m, 1H), 7.58 (dd,J =8.4, 1.8 Hz, 1H), 7.63 (d,J =1.2 Hz, 1H), 8.01 (d,J =8.4 Hz, 1H). IR (cm-1): 1698, 1589, 1387, 1312, 1262. MS (FAB): 374 (m+ 1).
[실시예 379]
2,2-디메틸-4-(3-플루오로페닐)-5-{3-메틸-4-(메틸설피닐)페닐}-3( 2H )-퓨라논
실시예 378의 합성중의 부반응물로써, 2,2-디메틸-4-(3-플루오로페닐)-5-{3-메틸-4-(메틸설피닐)페닐}-3(2H)-퓨라논 219 mg을 수득하였다. NMR: δ 1.56 (s, 6H), 2.32 (s, 3H), 2.70 (s, 3H), 7.04 (m, 3H), 7.31 (m, 1H), 7.49 (d,J =0.9, 1H), 7.67 (dd,J =8.1, 1.8 Hz, 1H), 7.94 (d,J =8.4, 1H). IR (cm-1): 1697, 1384, 1259, 1204, 1072.
[실시예 380]
5-{4-(아미노설포닐)-3-메틸페닐}-2,2-디메틸-4-(3-플루오로페닐)-3( 2H )-퓨라논
실시예 367에서 사용된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2,2-디메틸-4-(3-플루오로페닐)-5-{3-메틸-4-(메틸설피닐)페닐}-3(2H)-퓨라논(실시예 379) 201 mg으로부터 76 mg의 5-{4-(아미노설포닐)-3-메틸페닐}-2,2-디메틸-4-(3-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을 수득하였다. mp: 81-82oC. NMR: δ 1.57 (s, 6H), 2.63 (s, 3H), 5.13 (br s, 2H), 7.03 (s, 3H), 7.27 (m, 1H), 7.45 (m, 1H), 7.61 (m, 1H), 7.96 (d,J =8.4 Hz, 1H). IR (cm-1): 3369, 3270, 1589, 1334, 1168. MS (FAB): 375 (m+ 1).
[실시예 381]
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3-메틸-4-(메틸티오)페닐}-3( 2H )-퓨라논
실시예 377에서의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1-{3-메틸-4-(메틸티오)페닐}-2-(3,5-디플루오로페닐)-에탄-1-온 530 mg으로부터 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3-메틸-4-(메틸티오)페닐}-3(2H)-퓨라논 357 mg을 수득하였다. NMR: δ 1.55 (s, 6H), 2.29 (s, 3H), 2.50 (s, 3H), 6.74 (m, 1H), 6.89 (m, 2H), 7.08 (d,J =8.1 Hz, 1H), 7.40 (dd,J =8.4, 2.1 Hz, 1H), 7.45 (d,J =1.5 Hz, 1H). IR (cm-1): 1691, 1601, 1384, 1910, 1118.
[실시예 382]
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3-메틸-4-(메틸설포닐)페닐}-3( 2H )-퓨라논
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3-메틸-4-(메틸티오)페닐}-3(2H)-퓨라논(실시예 381) 105 mg을 메탄올 50 ㎖, THF 30 ㎖ 및 물 50 ㎖ 중에서 용해시킨 후, 옥손 513 mg을 가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이 후, 혼합물을 감압 농축하고, 물 50 ㎖ 및 디클로로메탄(30 ㎖ ×3)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감압 농축한 후,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3:2) 하여, 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3-메틸-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97 mg을 수득하였다. NMR: δ 1.57 (s, 6H), 2.71 (s, 3H), 3.05 (s, 3H), 6.82 (m, 1H), 7.12 (m, 1H), 7.59 (m, 1H), 7.63 (m, 1H), 7.92 (m, 2H).
[실시예 383]
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3-메틸-4-(메틸설피닐)페닐}-3 (2H )-퓨라논
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3-메틸-4-(메틸티오)페닐}-3(2H)-퓨라논(실시예 381) 320 mg을 디클로로메탄 50 ㎖에 용해시킨 후, 70%m-클로로퍼옥시벤조산 172 mg을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0℃에서 1시간동안 교반시킨 후, 5% 중탄산 나트륨 수용액 30 ㎖을 가하였다. 상기 용액을 10분간 더 교반하였다. 이후, 혼합물을 감압농축하고 물 50 ㎖와 디클로로메탄(30 ㎖ ×3)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감압 농축하고,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1:1)로 정제하여, 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3-메틸-4-(메틸설피닐)페닐}-3(2H)-퓨라논 211 mg을 수득하였다. NMR: δ 1.57 (s, 6H), 2.36 (s, 3H), 2.73 (s, 3H), 6.77 (m, 1H), 6.86 (m, 2H), 7.50 (m, 1H), 7.66 (m, 1H), 7.99 (d,J =8.4 Hz, 1H). IR (cm-1): 1698, 1624, 1592, 1384, 1310, 1206, 1072, 915.
[실시예 384]
5-{4-(아미노설포닐)-3-메틸페닐}-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 2H )-퓨라논
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3-메틸-4-(메틸설피닐)페닐}-3(2H)-퓨라논 240 mg으로부터 실시예 367에서 사용된 방법과 유사한 방법을 실시하여, 5-{4-(아미노설포닐)-3-메틸페닐}-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33 mg을 수득하였다. NMR: δ 1.56 (s, 6H), 2.66 (s, 3H), 4.98 (br s, 2H), 6.85 (m, 3H), 7.41 (m, 1H), 7.80 (m, 1H), 7.92 (m, 1H).
[실시예 385]
4-(3-클로로페닐)-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포닐)페닐}-( 2H )-퓨란-3-티온
4-(3-클로로페닐)-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포닐)페닐}-3(2H)-퓨란-3-티온(실시예 278) 130 mg을 톨루엔 20 ㎖에 용해시킨 후, 로손시약 67 mg의 존재하에서 12시간동안 환류하면서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하여 제거하고, 남은 잔여물을 물 50 ㎖ 및 디클로로메탄(50 ㎖×3)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감압 농축하고,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4:1)로 정제하여, 고형의 4-(3-클로로페닐)-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포닐)페닐}-(2H)-퓨란-3-티온 117 mg을 수득하였다. mp: 105-106oC. NMR: δ 1.71 (s, 6H), 3.24 (s, 3H), 7.12 (m, 3H), 7.41 (m, 1H), 7.52 (m, 2H), 7.92 (dd,J =7.8, 7.2 Hz, 1H). IR (cm-1): 1604, 1557, 1324, 1273, 1209, 1145, 1047, 963.
[실시예 386]
5-{4-(아미노설포닐)-3-플루오로페닐}-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 2H )-퓨란-3-티온
5-{4-(아미노설포닐)-3-플루오로페닐}-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실시예 312) 140 mg으로부터 실시예 385에서 사용된 방법과 유사한 방법을 실시하여, 5-{4-(아미노설포닐)-3-플루오로페닐}-2,2-디메틸-4-(3,5-디플루오로페닐)-(2H)-퓨란-3-티온 103 mg을 수득하였다. mp: 153~154oC. NMR: δ 1.71 (s, 6H), 5.12 (br s, 2H), 6.84 (m, 3H), 7.48 (m, 2H), 7.90 (dd,J =8.1, 8.1 Hz, 1H). IR (cm-1): 3416, 3279, 1624, 1557, 1356, 1273, 1173, 1121, 1064.
[실시예 387]
5-{2-클로로-4-(메틸티오)페닐}-2,2-디메틸-4-페닐-3( 2H )-퓨라논
1-{2-클로로-4-(메틸티오)페닐}-2-페닐-에탄-1-온 3.05 g을 무수 THF 60 ㎖에 용해시키고, 95%의 수소화나트륨 오일분산액(1.0 g)의 존재하에서 0℃에서 20분간 교반한 후, THF 50 ㎖로 희석시킨 α-브로모이소부티릴시아나이드(2.5 ㎖)를 적가하였다. 반응용액의 온도를 천천히 실온으로 상승시킨 후, 밤새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하여 제거하고, 물 30 ㎖과 디에틸에테르(50 ㎖ ×3)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감압 농축하고,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8:1)로 정제하여, 5-{2-클로로-4-(메틸티오)페닐}-2,2-디메틸-4-페닐-3(2H)-퓨라논 2.73 g을 수득하였다. NMR: δ 1.56 (s, 6H), 2.48 (s, 3H), 7.10 (dd,J =8.4, 1.5 Hz, 1H), 7.24 (m, 3H), 7.26 (m, 3H), 7.37 (d,J =1.5 Hz, 1H). IR (cm-1): 1698, 1620, 1394, 1235, 1176, 1144.
실시예 387에서 사용된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실시예 388의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88]
[실시예 389]
5-{2-클로로-4-(메틸설포닐)페닐}-2,2-디메틸-4-페닐-3( 2H )-퓨라논
5-{2-클로로-4-(메틸티오)페닐}-2,2-디메틸-4-페닐-3(2H)-퓨라논(실시예 387) 350 mg을 메탄올/THF/물 1:1:1의 혼합용액 75 ㎖에 용해시킨 후, 옥손 1.0 g을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6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한 후, 감압 농축하였다. 남은 잔여물을 물 25 ㎖ 및 에틸아세테이트(50 ㎖ ×3)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감압 농축하고,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3:1)로 정제하여, 고형의 5-{2-클로로-4-(메틸설포닐)페닐}-2,2-디메틸-4-페닐-3(2H)-퓨라논 252 mg을 수득하였다. mp: 89~90oC. NMR: δ 1.59 (s, 6H), 3.11 (s, 3H), 7.19 (m, 2H), 7.25 (m, 3H), 7.60 (d,J =8.1 Hz, 1H), 7.87 (dd,J =8.1, 1.8 Hz, 1H), 8.07 (d,J =1.8 Hz, 1H). IR (cm-1): 1701, 1625, 1586, 1391, 1319, 1153.
실시예 389에서의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실시예 390의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90]
[실시예 391]
5-{2-클로로-4-(메틸설피닐)페닐}-2,2-디메틸-4-페닐-3( 2H )-퓨라논
5-{2-클로로-4-(메틸티오)페닐}-2,2-디메틸-4-페닐-3(2H)-퓨라논(실시예 387) 2.7 g을 디클로로메탄80 ㎖에 용해시켜 교반한 용액에, 70%m-클로로퍼옥시벤조산 1.94 g을 가하였다. 상기 반응혼합물을 2시간동안 0℃에서 교반하였다. 이 후, 5% 중탄산나트륨 수용액 40 ㎖를 상기 용액에 가하고, 용액을 10분간 교반하였다. 용액을 디클로로메탄(50 ㎖ ×3)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감압 농축하고,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1:1)로 정제하여, 고형의 5-{2-클로로-4-(메틸설피닐)페닐}-2,2-디메틸-4-페닐-3(2H)-퓨라논 978 mg을 수득하였다. mp: 135~136oC. NMR: δ 1.59 (s, 6H), 2.78 (s, 3H), 7.22 (m, 3H), 7.25 (m, 2H), 7.54 (m, 2H), 7.79 (m, 1H). IR (cm-1): 1698, 1623, 1392, 1242, 1145, 1063.
실시예 391에서의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실시예 392의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실시예 392]
[실시예 393]
4-(3-클로로페닐)-2,2-디메틸-5-{4-(메틸설피닐)페닐}-3( 2H )-퓨라논
4-(3-클로로페닐)-2,2-디메틸-5-{4-(메틸티오)페닐}-3(2H)-퓨라논(실시예 168) 10.98 g을 디클로로메탄 250 ㎖에 용해시켜 교반한 용액에, 70%m-클로로퍼옥시벤조산 6.59 g을 디클로로메탄 150 ㎖로 희석하여 더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실시예 22의 단계 1에서의 방법에 따라 반응혼합물을 정제하여, 4-(3-클로로페닐)-2,2-디메틸-5-{4-(메틸설피닐)페닐}-3(2H)-퓨라논 6.33 g을 수득하였다. mp: 109~110oC. NMR: δ 1.57 (s, 6H), 2.75 (s, 3H), 7.17 (m, 1H), 7.31 (m, 2H), 7.65 (d,J= 8.4 Hz, 2H), 7.80 (d,J= 8.7 Hz, 2H).
생물학적 평가
실험관내(In vitro)에서 COX-2 및 COX-1의 활성 평가 [J. Pharmacol. Exp. Ther. 166,96(1996)]
마우스 복강대식세포의 수집
C57BL/6 마우스의 복부 피부를 70% 에탄올 수용액으로 소독한 후, 복막이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복부의 피부를 제거하였다. 복강 내로 5 ㎖의 차가운 인산염 완충용액(PBS)을 주사하고, 1분 후, 대식세포를 포함하는 복강액을 주사기 및 주사바늘을 이용하여 수거하였다. 수거된 액을 1500 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여, 세포 펠렛을 얻었다. 상기 펠렛을 페니실린 100 units/㎖과 스크렙토마이신 100 ㎍/㎖을 포함하는 RPMI-1640 배지에 분산시켰다.
COX-2 활성 평가
세포내 COX-1 효소의 활성을 유전자 결손(knock-out)시키기 위하여, 상기의 분산된 펠렛을 500 μM의 아스피린으로 처리하였다. RPMI-1640 배지에서 상기 현탁액을 희석시켜, 1×106cells/㎖ 포함하도록 하였다. 상기 현탁액 100 ㎕를 96-웰 ELISA 플레이트 각각의 웰에 가하였다. 대식세포를 플레이트 바닥에 부착시키기 위하여, 37℃, 5% CO2의 조건하에서 상기 플레이트를 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플레이트상에 부착되지 않은 세포들은 PBS로 2회 세척하여 제거하였다. 이로부터 수득한 대식세포의 순도(purity)를 감별계산법(differential counting)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3% 우태아혈청 알부민(fetal bovine serum albumin)을 함유하는 상기 RPMI-1640 배지를 플레이트 각각의 웰에 첨가하고, 10 ㎍/㎖ 리포폴리사카라이드(lipopolysaccharide;LPS)로 자극시켰다. 이 과정으로 보통 5×105cells/㎖가 존재하게 되었다. 37℃, 5% CO2의 조건하에서, 16시간 동안 LPS-처리 현탁액을 배양하여 COX-2를 유도하였다. 이후 배지를 제거하고 대식세포를PBS로 2회 세척하였다. 각 웰에 RPMI-1640 배지 130 ㎕를 가하고, 대식세포 용액을 37℃에서 10분간 배양한 후, 10 μM 아라키돈산 및 적정량의 본 발명의 화합물로 처리하였다. 상기 플레이트를 10분간 더 배양한 후, 마이크로 피펫을 사용하여 상층액을 수거하여 용액중의 PGE2량을 측정하였다. 수거된 용액중에 존재하는 PGE2의 양을 공지의 방사선-면역 분석법(radio-immuno assay)이나 공지의 효소-면역 분석법(enzyme-immunoassay)으로 측정하였다[Methods in Enzymol.86, 258 (1982); Methods in Enzymol.187, 24 (1990)]. 아라키돈산 10 ㎍/㎖를 처리하여 생성된 PGE2양은 최대 가능 PGE2양이며, 아라키돈산을 처리하지 않고서 생성된 PGE2양은 최소 가능 PGE2양이다 라는 가정에 의해, 본 발명의 화합물에 의한 COX-2의 저해 정도를 계산하였다.
COX-1 활성 평가
본 발명의 화합물에 의한 COX-1 저해 활성 평가에서는, 다음의 두 과정을 생략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COX-2 활성 평가에서 사용된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였다: 1) COX-1 활성을 유전자 결손시키기 위한 아스피린 처리, 2) COX-2를 유도하기를 위한 LPS 처리.
본 발명에서의 선택 화합물에 대한 COX-1 및 COX-2의 IC50데이터를 표 1에요약하였다. IC50은, COX-1 또는 COX-2 효소 활성이 화합물을 처리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활성의 50%를 나타낼 때의 화합물의 농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에 대한 IC50값을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화합물의 IC50값 근처 여러 농도에 대한 효소활성을 측정하였다. 보통 4~ 5가지의 농도에서 효소활성을 측정하여 본 발명의 화합물에 대한 IC50값을 계산하였다.
[표 1]
생체내에서( In vivo) 의 항염증성 효능 평가
흰쥐에서의 카라게닌(carrageenan)-유도 발 부종(CFE)
본 발명의 화합물 적정량을 1% 메틸셀룰로오스(MC) 용액에 현탁시켜, 무게가 150∼200 g인 스프래그-덜리(Sprague-Dawley; SD)계 수컷 흰쥐에 경구 투여하였다. 본 발명의 화합물에 대한 부형제의 투여 용량을 상기 동물의 10 ㎖/kg 체중 이하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1시간 후, 쥐의 오른쪽 발바닥에 1% 카라게닌 식염수(carrageenan saline)용액 0.1 ㎖를 직접 주사하여, 발바닥에서 부종을 유발하였다. 치환 체적측정장치(displacement plethysmometer; Ugo Basile, Italy)를 사용하여, 카라게닌 주사 직후 및 3시간 후의 발 용적을 측정하였다. 발용적을 사용하여, 다음 식에 따라 본 발명의 화합물 양에 따른 CFE 억제율 %를 계산하였다. [Br. J. Pharmacol.41, 132 (1971)]
CFE 억제율 %= (1- Δ처리군 / Δ대조군) x100
식 중, Δ처리군 = 약물처리 쥐에 대한 [카라게닌 주사 후 3시간 후의 발용적]-[카라게닌 주사 직후 발용적], 그리고 Δ대조군= 약물을 처리하지 않은 쥐에 대한 [카라게닌 주사 후 3시간 후의 발용적]-[케라게닌 주사 직후 발용적]
본 발명에서의 선택 화합물들에 대한 CFE 억제 데이터는, 다음의 표 2에 요약 되어 있다. 투여량에 따른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저해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대조군과 약물-투여군 모두에 대해 보통 5 내지 8마리의 동물을 사용하였다.
[표 2]
아주반트(Adjuvant) 관절염에 대한 항염증성 효능 평가
0.1 ㎖ 프로인트 불완전아주반트(incomplete Freund's adjuvant)에 우락균(Mycobacterium butyricum)1 mg을 혼합한 후, 무게 180~200 g의 SD계 수컷 흰쥐 꼬리 하부(base)에 피하 주사하여, 관절염을 유도하였다. 아주반트 주사 14일 후, 치환 체적측정장치를 사용하여 발용적을 측정하였다. 정상 발용적(아주반트를 처리하지 않음)보다 0.37 ㎖ 이상 발용적이 증가한 동물을 선택, 무작의적으로 군 분리하였다. 무작위적으로 분리된 관절염을 가진 쥐들에 아주반트 주사 후 14일째부터, 매일 1회씩 경구로 본 발명의 화합물을 1% 메틸 셀룰로오스 수용액에 현탁시켜 소정의 일일 투여량을 투여하였다. 아주반트 주사후 22일째까지 상기 화합물을 계속하여 투여하고, 치환 체적측정장치를 사용하여 매일의 발용적을 측정하였다. 22일째의 5~8마리의 쥐들의 발용적을 평균내어, 아래의 식에 따라 본 발명의 화합물에 의한 아주반트 관절염(AA)의 억제율(%)을 측정하였다.
AA에 대한 억제율 %= (1- Δ처리군/Δ대조군) x100
식중, Δ처리군 = 약물처리 쥐들에 대한 [(22일째 발용적)/(14일째 발용적)-1]이고, Δ대조군= 약물을 처리하지 않은 쥐들에 대한 [(22일째 발용적)/(14일째 발용적)-1]
아주반트 관절염에 대한 본 발명의 선택 화합물들의 ED50데이터는, 다음의 표 3에 요약하였다. 아주반트에 대한 ED50값은, 아주반트 관절염이 50% 저해될 때 화합물의 일일투여량을 의미한다. ED50값은 각각의 화합물에 대한 투여량-반응 곡선으로부터 결정하였다.
[표 3]
쥐에서의 약물동태학 시험
1% 메틸 셀룰로오스 수용액에 현탁시킨 화합물 적정량을 SD계 수컷 쥐에 경구 투여한 후, 24~ 48시간 동안 정해진 시간에 안와정맥총(retro-orbital sinus)으로부터 혈액시료를 채혈하였다. 각각의 혈액시료를 원심분리하여 혈장을 분리하고, 상기 혈장을 분석때까지 4oC에서 보관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혈장시료는 적절한 내부 표준물질을 사용하여 역상 HPLC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로 분석하였다.
도 1은 SD계 쥐에 경구 투여된 실시예 393에 대한 약물동태학 시험을 나타낸 것이다. 상당량의 실시예 62가 혈장내에서 검출되어 실시예 393의 설폭시드기가 설포닐기로 생체내 변환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393 실시예 62
본 발명의 설폭시드 화합물은 자체적으로 COX-2 저해제이나, 인체내로 흡수된 후, 그에 상응하는 설폰으로 변환될 수 있음을 실시예 393에 대한 약물동태학 실험 결과로 알 수 있었다(도 1). 그러므로, 본 발명의 설폭시드 화합물은 그에 상응하는 설폰의 전구약물(prodrug)로 사용될 수 있다.
진통 효과 시험
아세트산-유도 라이딩(writhing) 테스트
중량 18~22 g의 ICR 마우스를 밝기 조절 조건(12시간 켜짐/12시간 끔)하에 두고, 진통 효과 시험전 밤동안 절식시켰다. 에탄올/트윈 80/생리식염수 10:10:80의 혼합용매 또는 부형제에서 용해시킨 본 발명의 화합물을, 마우스에 경구 투여하였다. 투여되는 부형제 용량을 10 ㎖/kg 체중이 되도록 조절하였다. 1시간 후, 1.2% 아세트산 0.2 ㎖를 복강주사로 상기 동물에 투여하였다. 6분 후, 6분 동안의복부 수축 횟수를 세었다. 플라시보 그룹에서 나타나는 복부 수축 횟수와 비교하여, 복부 수축 횟수의 감소로써 진통 효과를 나타내었다.[J. Med. Chem.39, 4942 (1996)]. 마우스 라이딩 테스트에서의 ED50은, 복부 수축 횟수가 플라시보 그룹에서의 것의 절반이 될 때의 투여량을 의미한다. 본 시험에서는 각 군당 10 마리의 동물을 사용하였다.
카라게닌-유도 열성 통각과민(thermal hyperalgesia) 시험
170~220 g 중량의 SD계 수컷 쥐를 물만을 자유로이 섭취토록하고, 실험 전 16시간 이상 절식시켰다. 20 ㎖의 0.5% 메틸셀룰로오스/0.025% 트윈-20 또는 부형제에 현탁시킨 본 발명의 화합물을, 쥐들에 투여하였다. 이후 생리식염수에 용해시킨 1% 카라게닌 100 ㎖ 또는 생리식염수 100 ㎖만을 각 동물의 왼쪽 뒷발바닥에 국소 주사하였다. 3시간 뒤, 열성 자극에 대한 감수성(nociceptive responses)을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시험전 흰쥐를 유리판 바닥을 가진 투명한 플라스틱 상자에 10분간 두어 시험 환경에 익숙해지도록 하였다. 대조군과 약물 처리군에서 회피반응이 나타나는 시간(withdrawal latency)을 초단위로 측정하고, 그 저해율을 계산하여 화합물의 진통효능을 평가하였다 [Pain32, 77 (1988)]. 본 연구에서는 각 군당 6마리의 동물을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두 화합물에 대한 진통 효능을 다음의 표 4에인도메타신(indomethacin)과 비교하여 함께 요약하였다.
[표 4]
위장 안전성 시험
본 발명의 화합물의 위장에 대한 안전성은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Otternesset al., Laboratory Models for Testing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in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edJohn Wiley & Sons pp 217-227 (1985); Wiley Interscience; New York]: 1 % 메틸셀룰로오스 수용액에 현탁시킨 본 발명의 화합물을, 소정의 투여량으로 SD계 수컷 쥐에 7일간 매일 1회 경구 투여하였다. 마지막 투여(투여 7일째) 4시간 후, 위장을 적출하여 눈으로 위장 내벽을 관찰하였다. 위장에 대한 안전성을 다음의 점수로 나타낸 "궤양 지수(Ulcer Index)"로 평가하였다:
1 점: 정상적인 위
2 점: 1개 이상의 점상 궤양
3 점: 점상 궤양을 동반하는 2개 이하의 침식(erosion) (침식은 1mm 이상의 궤양부로 정의)
4 점: 점상 궤양을 동반하는 2개 이상의 침식
5 점: 출혈이 동반된 침식
본 발명의 화합물에 대한 위장 안전성을 평가하는데, 보통 8마리의 동물을 사용하였다. 화합물에 대한 궤양 지수는, 각 동물의 궤양 지수를 평균 내어 계산하였으며, 다음의 표 5는 본 발명의 몇몇 COX-2 선택적 저해제의 위장 안전성을 나타낸것이다.
[표 5]
상기 개시된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은 먼저 바람직한 구체예 및 그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여기서 설명된 발명의 실제 적용시 다음의 청구항에 개시된 대로 본 발명의 목적 및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변화 및 변형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해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Claims (25)

  1. 다음 식 (I)의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이들의 염:
    (Ⅰ)
    식 중,
    X는 할로, 히드리도 또는 알킬기이며;
    Y는 알킬설포닐, 아미노설포닐, 알킬설피닐, (N-아실아미노)설포닐, (N-알킬아미노)설포닐, 또는 알킬티오기이며;
    Z는 산소 또는 황 원자이며;
    R1및 R2는 저급 알킬기 중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혹은 3(2H)-퓨라논 고리의 2번 위치 탄소에 함께 연결되어 4- 내지 6-원의 지방족- 또는 헤테로-고리를 형성하며; 그리고, AR은 치환체 되거나 또는 치환되지 않은 5 내지 10의 원자들로 이루어진 방향족 기이다.
  2. 제 1항에 있어서,
    X는 할로, 히드리도 및 저급 알킬 중에서 선택되며;
    Y는 (저급 알킬)설포닐, 아미노설포닐, (저급 알킬)설피닐, (저급 N-아실아미노)설포닐, (저급 N-알킬아미노)설포닐 및 (저급 알킬)티오 중에서 선택되며;
    Z는 산소 및 황 원자 중에서 선택되며;
    R1및 R2는 저급 알킬기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또는 R1및 R2는 3(2H)-퓨라논 고리의 2번 탄소에 함께 연결되어 고리를 형성하는 펜틸리데닐(-CH2-CH2-CH2-CH2-), 헥실리데닐(-CH2-CH2-CH2-CH2-CH2-), 4-테트라히드로-(4H)-피라닐리데닐(-CH2-CH2-O-CH2-CH2-), 3-테트라히드로퓨라닐리데닐(-CH2-O-CH2-CH2-) 또는 3-옥세타닐리데닐(-CH2-O-CH2-)이며; 그리고, AR은 치환되거나 또는 치환되지 않은 5 내지 10의 원자로 이루어진 방향족 기로, 하기의 기들을 포괄하는 방향족 기로부터 선택되나, 이러한 방향족 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식중, R3내지 R7은 존재시, 각각 히드리도, 할로, 알킬, 할로알킬, 알콕시,할로알콕시, 아실, 니트로, 아미노, N-알킬아미노, N,N-디알킬아미노, N-아실아미노, (할로아실)아미노, 포르밀, 시아노, 아지도, 히드록시, 알킬티오, 알킬설포닐, 페닐, 알콕시알킬 및 히드록시알킬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혹은 R3내지 R7중의 인접한 두 기가 서로 연결되어 메틸렌디옥시를 형성하며; 그리고,
    R8내지 R19는 존재시, 각각 히드리도, 할로, 알킬, 아실, 할로알킬, 알콕시, 포르밀, 시아노, 니트로, 아미노, 아지도 및 아실아미노 중에서 선택되는,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이들의 염.
  3. 제 1항 내지 2항에 있어서,
    X는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히드리도, 메틸, 에틸 및 n-프로필 중에서 선택되고;
    Y는 메틸설포닐, 에틸설포닐, n-프로필설포닐, 아미노설포닐, 메틸설피닐, 에틸설피닐, n-프로필설피닐, (N-아세틸아미노)설포닐, (N-프로피오닐아미노)설포닐, (N-부티릴아미노)설포닐, (N-메틸아미노)설포닐, (N-에틸아미노)설포닐, 메틸티오, 에틸티오 및 n-프로필티오 중에서 선택되며;
    Z는 산소 및 황 원자 중에서 선택되고;
    R1및 R2는 메틸 및 에틸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혹은 R1및 R2는 3(2H)-퓨라논 고리의 2번 탄소에 함께 연결되어 고리를 형성하는, 펜틸리데닐(-CH2-CH2-CH2-CH2-), 헥실리데닐(-CH2-CH2-CH2-CH2-CH2-), 4-테트라히드로-(4H)-피라닐리데닐(-CH2-CH2-O-CH2-CH2-), 3-테트라히드로퓨라닐리데닐(-CH2-O-CH2-CH2-) 및 3-옥세타닐리데닐(-CH2-O-CH2-) 이며;
    R3내지 R7은 존재시, 각각 히드리도,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t-부틸, n-펜틸, 이소펜틸, 플루오로메틸, 디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틸, 2-플루오로에틸, 1-플루오로에틸, 2,2-디플루오로에틸, 1,2-디플루오로에틸, 1,1-디플루오로에틸, 2,2,2-트리플루오로에틸, 메톡시, 에톡시, n-프로필옥시, 이소프로필옥시, n-부톡시, 트리플루오로메톡시, 디플루오로메톡시, 플루오로메톡시, 아세틸, 프로피오닐, n-부타노일, 이소부타노일, n-펜타노일, 니트로, 아미노, N-메틸아미노, N-에틸아미노, N-n-프로필아미노, N,N-디메틸아미노, N-아세틸아미노, N-프로피오닐아미노, N-(트리플루오로아세틸)아미노, 포르밀, 히드록시, 메틸티오, 에틸티오, n-프로필티오, 메틸설포닐, 에틸설포닐, n-프로필설포닐, 페닐, 히드록시메틸, 1-히드록시에틸, 및 2-히드록시에틸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혹은 R3내지 R7의 인접한 두 기가 서로 연결되어 메틸렌디옥시를 형성하며; 그리고, R8내지 R19는 존재시, 각각 히드리도,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아세틸, 프로피오닐, 메톡시, 에톡시, 이소프로필옥시, n-프로필옥시 및 포르밀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이들의 염.
  4. 제 1항에 있어서, 다음 식 (Ⅱ)의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이들의 염:
    (Ⅱ)
    식중,
    Y는 알킬설포닐, 아미노설포닐, 알킬설피닐, (N-아실아미노)설포닐, (N-알킬아미노)설포닐 또는 알킬티오이고;
    Z는 산소 또는 황 원자이며;
    R1및 R2는 저급 알킬기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그리고,
    R3내지 R7은 존재시, 각각 히드리도, 할로, 알킬, 할로알킬, 알콕시, 할로알콕시, 아실, 니트로, 아미노, N-알킬아미노, N,N-디알킬아미노, N-아실아미노, N-(할로아실)아미노, 포르밀, 시아노, 아지도, 히드록시, 알킬티오, 알킬설포닐, 페닐, 알콕시알킬 및 히드록시알킬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혹은 R3내지 R7중의 인접한 두 기가 서로 연결되어 메틸렌디옥시를 형성한다.
  5. 제 4항에 있어서,
    Y는 (저급 알킬)설포닐, 아미노설포닐, (저급 알킬)설피닐, (저급 N-아실아미노)설포닐, (저급 N-알킬아미노)설포닐 및 (저급 알킬)티오 중에서 선택되고;
    Z는 산소 및 황 원자 중에서 선택되며;
    R1및 R2는 메틸 및 에틸 기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그리고,
    R3내지 R7은 존재시, 각각 히드리도, 할로, 저급 알킬, 저급 할로알킬, 저급 알콕시, 저급 할로알콕시, 저급 아실, 니트로, 아미노, 저급 N-알킬아미노, 저급 N,N-디알킬아미노, 저급 N-아실아미노, (저급 할로아실)아미노, 포르밀, 시아노, 아지도, 히드록시, 저급 알킬티오, 저급 알킬설포닐, 페닐, 저급 알콕시알킬 및 저급 히드록시알킬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혹은 R3내지 R7중의 인접한 두 기가 서로 연결되어 메틸렌디옥시를 형성하는,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이들의 염.
  6. 제 5항에 있어서,
    Y는 메틸설포닐, 아미노설포닐, 메틸설피닐, (N-아세틸아미노)설포닐, (N-프로피오닐아미노)설포닐, (N-부티릴아미노)설포닐, (N-메틸아미노)설포닐, (N-에틸아미노)설포닐 및 메틸티오 중에서 선택되고;
    Z는 산소 및 황 원자 중에서 선택되며;
    R1과 R2는 메틸 및 에틸 기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그리고,
    R3내지 R7은 존재시, 각각 히드리도,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t-부틸, n-펜틸, 이소펜틸, 플루오로메틸, 디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틸, 1-플루오로에틸, 2,2,2-트리플루오로에틸, 메톡시, 트리플루오로메톡시, 디플루오로메톡시, 플루오로메톡시, 아세틸, 프로피오닐, n-부타노일, 이소부타노일, n-펜타노일, 니트로, 아미노, N,N-디메틸아미노, N-아세틸아미노, N-프로피오닐아미노, 포르밀, 히드록시, 메틸티오, 에틸티오, n-프로필티오, 메틸설포닐, 에틸설포닐, n-프로필설포닐, 페닐, 히드록시메틸, 1-히드록시에틸 및 2-히드록시에틸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혹은 R3내지 R7중의 인접한 두 기가 서로 연결되어 메틸렌디옥시를 형성하는,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이들의 염.
  7. 제 6항에 있어서, 다음 구체적인 화합물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이들의 염:
    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4-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2-플루오로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3-플루오로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4-플루오로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3-플루오로-4-페닐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2,4-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2,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3,4-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2-클로로페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3-클로로페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4-클로로페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3-클로로-5-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4-클로로-3-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2,4-디클로로페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3,4-디클로로페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3,5-디클로로페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4-브로모페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3-브로모페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2-메틸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3-메틸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4-메틸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4-에틸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4-(4-n-프로필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3-이소프로필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4-이소프로필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3-플루오로-4-이소프로필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3-클로로-4-이소프로필페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4-n-부틸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4-t-부틸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4-플루오로-2-메틸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5-플루오로-2-메틸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3-플루오로-4-메틸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2-메톡시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3-메톡시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4-메톡시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2-히드록시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3-히드록시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4-히드록시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2,4-디메톡시페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3,4-디메톡시페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3,4-메틸렌디옥시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3,5-디메틸-4-메톡시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3,4-디메틸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3-플루오로-4-메톡시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3-플루오로-4-히드록시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4-{4-(메틸티오)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4-(에틸티오)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5-디-{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4-(에틸설포닐)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3-(플루오로메틸)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4-(플루오로메틸)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3-(디플루오로메틸)페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4-(디플루오로메틸)페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4-{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3-플루오로-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3-클로로-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4-아세틸-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3-아세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4-{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3,5-디-(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4-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4-(3-니트로페닐)-3(2H)-퓨라논;
    4-(3-아미노페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4-(N,N-디메틸아미노)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2-포르밀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3-포르밀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4-포르밀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3-(아세틸아미노)페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3-아세틸페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4-아세틸페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4-비페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4-(1-히드록시에틸)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4-(1-히드록시메틸)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4-(메틸설피닐)페닐}-4-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3-플루오로페닐)-5-{4-(메틸설피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4-플루오로페닐)-5-{4-(메틸설피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3,5-디플루오로페닐)-5-{4-(메틸설피닐)페닐}-3(2H)-퓨라논;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4-(메틸설피닐)페닐}-3(2H)-퓨라논;
    4-(3-클로로-5-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4-(메틸설피닐)페닐}-3(2H)-퓨라논;
    4-(3-클로로페닐)-2,2-디메틸-5-{4-(메틸설피닐)페닐}-3(2H)-퓨라논;
    4-(4-t-부틸페닐)-2,2-디메틸-5-{4-(메틸설피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2-플루오로페닐)-5-{4-(메틸설피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3-플루오로페닐)-5-{4-(메틸티오)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4-(메틸티오)페닐}-4-페닐-3(2H)-퓨라논;
    4-(3-클로로페닐)-2,2-디메틸-5-{4-(메틸티오)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4-(메틸티오)페닐}-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4-(메틸설피닐)페닐}-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3-플루오로-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4-(메틸설피닐)페닐}-3(2H)-퓨라논;
    4-{3-클로로-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2,2-디메틸-5-{4-(메틸설피닐)페닐}-3(2H)-퓨라논;
    4-{3-아세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2,2-디메틸-5-{4-(메틸설피닐)페닐}-3(2H)-퓨라논;
    4-{4-아세틸-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2,2-디메틸-5-{4-(메틸설피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4-(메틸티오)페닐}-4-(4-니트로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4-메톡시페닐)-5-{4-(메틸티오)페닐}-3(2H)-퓨라논;
    4-(2,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4-(메틸티오)페닐}-3(2H)-퓨라논;
    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4-(메틸티오)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4-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4-(3-클로로-5-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4-(3-클로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4-(3,4-디클로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4-(3,5-디클로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3-플루오로-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4-{3-클로로-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4-{3-아세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4-{4-아세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3-메틸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3-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4-(2,4-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3,4-디메틸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4-(2,4-디메톡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4-(3,4-디메톡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4-(3-아세틸페닐)-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4-(3-아세틸-5-클로로페닐)-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4-(3-아세틸-4-클로로페닐)-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4-(3-아세틸-4-플루오로페닐)-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4-(3-아세틸-5-플루오로페닐)-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3-메톡시페닐)-3(2H)-퓨라논;
    4-(4-아세틸페닐)-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4-(4-아세틸-3-클로로페닐)-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4-(4-아세틸-3-플루오로페닐)-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4-(4-아세틸-3-브로모페닐)-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4-{4-(아세틸아미노)페닐}-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2-메틸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4-(3,4-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4-메틸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3,4-(메틸렌디옥시)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4-(4-클로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4-(메틸티오)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3-플루오로-4-페닐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4-(4-브로모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5-이소프로필-2-메톡시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5-이소프로필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4-(에틸티오)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2-메톡시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4-(4-n-부틸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4-(3,5-디클로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3,4,5-트리메톡시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4-히드록시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4-플루오로-3-메톡시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3,5-디메틸-4-메톡시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4-에틸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3-페닐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2-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4-(3-아미노페닐)-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4-(2,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3-니트로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5-플루오로-2-메틸페닐)-3(2H)-퓨라논;
    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4-페닐-3(2H)-퓨라논;
    2-에틸-4-(4-플루오로페닐)-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에틸-4-(3-플루오로페닐)-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3-클로로페닐)-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에틸-4-(2-플루오로페닐)-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4-아세틸페닐)-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4-아세틸-3-클로로페닐)-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4-아세틸-3-플루오로페닐)-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4-아세틸-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3,5-디플루오로페닐)-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3,4-디플루오로페닐)-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3-클로로-5-플루오로페닐)-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3,5-디클로로페닐)-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에틸-4-(4-메톡시페닐)-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에틸-2-메틸-4-(4-메틸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에틸-2-메틸-4-(3-메틸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2H)-퓨라논;
    4-(3-아세틸페닐)-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3-아세틸-4-플루오로페닐)-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3-아세틸-4-클로로페닐)-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3-(아세틸아미노)페닐}-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에틸-2-메틸-4-{3,4-(메틸렌디옥시)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4-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5-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에틸-4-{5-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에틸-4-(4-에틸페닐)-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에틸-4-(3-메톡시페닐)-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에틸-4-(3-이소프로필페닐)-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에틸-4-(4-이소프로필페닐)-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에틸-4-(3-플루오로-4-이소프로필페닐)-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에틸-4-(5-플루오로-4-이소프로필페닐)-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3-클로로-4-이소프로필페닐)-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4-t-부틸페닐)-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4-(4-n-프로필페닐)-3(2H)-퓨라논;
    4-(4-n-부틸페닐)-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3,4-디메틸페닐)-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3,4-디클로로페닐)-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3-아미노페닐)-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3-(디플루오로메틸)페닐}-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에틸-4-{4-(플루오로메틸)페닐}-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4-클로로페닐)-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4-{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2H)-퓨라논;
    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4-{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3(2H)-퓨라논;
    4-(4-클로로-3-플루오로페닐)-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에틸-4-(4-플루오로-2-메틸페닐)-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에틸-4-(5-플루오로-2-메틸페닐)-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3,4-디메톡시페닐)-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3,5-디메톡시페닐)-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에틸-4-(5-플루오로-2-메틸페닐)-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에틸-4-(3-플루오로-4-메톡시페닐)-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3,5-디플루오로페닐)-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3,5-디클로로페닐)-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3,5-디메틸-4-메톡시페닐)-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4-(3,4,5-트리메톡시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에틸-2-메틸-4-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에틸-4-(4-플루오로페닐)-2-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에틸-4-(3-플루오로페닐)-2-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에틸-2-메틸-4-(3-메틸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4-(3-클로로페닐)-2-에틸-2-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4-(4-클로로페닐)-2-에틸-2-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에틸-2-메틸-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에틸-2-메틸-4-{3-플루오로-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3-클로로-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2-에틸-2-메틸-4-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에틸-2-메틸-4-{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4-(3,5-디플루오로페닐)-2-에틸-2-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4-(3,5-디클로로페닐)-2-에틸-2-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4-(3,4-디플루오로페닐)-2-에틸-2-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에틸-4-(3-메톡시페닐)-2-메틸-3(2H)-퓨라논;
    4-(4-아세틸페닐)-5-{4-(아미노설포닐)페닐}-2-에틸-2-메틸-3(2H)-퓨라논;
    4-(4-아세틸-3-클로로페닐)-5-{4-(아미노설포닐)페닐}-2-에틸-2-메틸-3(2H)-퓨라논;
    4-(4-아세틸-3-플루오로페닐)-5-{4-(아미노설포닐)페닐}-2-에틸-2-메틸-3(2H)-퓨라논;
    4-{4-아세틸-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4-(아미노설포닐)페닐}-2-에틸-2-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에틸-4-(4-플루오로-3-메톡시페닐)-2-메틸-3(2H)-퓨라논;
    2,2-디에틸-5-{4-(메틸설포닐)페닐}-4-페닐-3(2H)-퓨라논;
    2,2-디에틸-4-(3-플루오로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3-클로로페닐)-2,2-디에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에틸-4-(3-메틸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에틸-4-(3-메톡시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에틸-5-{4-(메틸설포닐)페닐}-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2H)-퓨라논;
    2,2-디에틸-4-{3-플루오로-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3-클로로-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2,2-디에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에틸-4-(4-플루오로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4-클로로페닐)-2,2-디에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에틸-4-(4-메틸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에틸-4-(4-메톡시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에틸-5-{4-(메틸설포닐)페닐}-4-{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2H)-퓨라논;
    4-(4-아세틸-3-클로로페닐)-2,2-디에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4-아세틸페닐)-2,2-디에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4-아세틸-3-플루오로페닐)-2,2-디에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4-아세틸-2-클로로페닐)-2,2-디에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4-아세틸-2-플루오로페닐)-2,2-디에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에틸-4-(3,4-디플루오로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에틸-4-(3,5-디플루오로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에틸-4-(2,5-디플루오로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3-클로로-5-플루오로페닐)-2,2-디에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에틸-4-(3,4-디메톡시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에틸-5-{4-(메틸설포닐)페닐}-4-(4-n-프로필페닐)-3(2H)-퓨라논;
    2,2-디에틸-4-(2,4-디플루오로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4-t-부틸페닐)-2,2-디에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에틸-4-(3,4-디메틸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에틸-4-(4-이소프로필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3-아세틸페닐)-2,2-디에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2,2-디에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에틸-4-(3-플루오로-4-메톡시페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2H)-퓨란-3-티온;
    2,2-디메틸-4-(4-플루오로페닐)-5-{4-(메틸설포닐)페닐}-(2H)-퓨란-3-티온;
    2,2-디메틸-4-(3-플루오로페닐)-5-{4-(메틸설포닐)페닐}-(2H)-퓨란-3-티온;
    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2H)-퓨란-3-티온;
    5-[4-{(아세틸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3-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5-[4-{(부티릴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3-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4-{(N-메틸아미노)설포닐}페닐]-4-(3-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4-{(N-에틸아미노)설포닐}페닐]-4-(3-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8. 제 1항에 있어서, 다음 식 (Ⅲ)의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이들의 염:
    (Ⅲ)
    식중,
    Y는 N-알킬설포닐, 아미노설포닐, 알킬설피닐, (N-아실아미노)설포닐, (N-알킬아미노)설포닐 또는 알킬티오이고;
    Z는 산소 또는 황 원자이며;
    m 과 n 은 1 내지 3의 정수이고, (m + n)<4 의 조건을 만족하며;
    P는 산소 원자 및 메틸렌기(-CH2-) 중에서 선택되며; 그리고,
    R3내지 R7은 존재시, 각각 히드리도, 할로, 알킬, 할로알킬, 알콕시, 할로알콕시, 아실, 니트로, 아미노, N-알킬아미노, N,N-디알킬아미노, N-아실아미노, N-(할로아실)아미노, 포르밀, 시아노, 아지도, 히드록시, 알킬티오, 알킬설포닐, 페닐, 알콕시알킬 및 히드록시알킬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혹은 R3내지 R7중의 인접한 두 기가 서로 연결되어 메틸렌디옥시를 형성한다.
  9. 제 8항에 있어서,
    Y는 (저급 알킬)설포닐, 아미노설포닐, (저급 알킬)설피닐, (저급 N-아실아미노)설포닐, (저급 N-알킬아미노)설포닐 및 (저급 알킬)티오 중에서 선택되며;
    Z는 산소 및 황 원자 중에서 선택되며;
    m 과 n 은 1 내지 3의 정수이고, (m + n)<4 의 조건을 만족하며;
    P는 산소 원자 및 메틸렌기(-CH2-) 중에서 선택되며; 그리고,
    R3내지 R7은 존재시, 각각 히드리도, 할로, 알킬, 할로알킬, 알콕시, 할로알콕시, 아실, 니트로, 아미노, N-알킬아미노, N,N-디알킬아미노, N-아실아미노, N-(할로아실)아미노, 포르밀, 시아노, 아지도, 히드록시, 알킬티오, 알킬설포닐, 페닐, 저급 알콕시알킬 및 저급 히드록시알킬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혹은 R3에서 R7중의 인접한 두 기가 서로 연결되어 메틸렌디옥시를 형성하는,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이들의 염.
  10. 제 9항에 있어서,
    Y는 메틸설포닐, 아미노설포닐, 메틸설피닐, (N-아세틸아미노)설포닐, (N-프로피오닐아미노)설포닐, (N-부티릴아미노)설포닐, (N-메틸아미노)설포닐, (N-에틸아미노)설포닐 및 메틸티오 중에서 선택되며;
    Z는 산소 및 황 원자 중에서 선택되며;
    m 과 n 은 1 내지 3의 정수이고, (m + n)<4 의 조건을 만족하며;
    P는 산소 원자 또는 메틸렌기(-CH2-) 이며; 그리고,
    R3내지 R7은 존재시, 각각 히드리도,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t-부틸, 아세틸 및 프로피오닐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이들의 염.
  11. 제 10항에 있어서, 다음 화합물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이들의 염:
    2-{4-(메틸설포닐)페닐}-3-페닐-1-옥사-스피로[4,4]논-2-엔-4-온;
    3-(3-메틸페닐)-2-{4-(메틸설포닐)페닐}-1-옥사-스피로[4,4]논-2-엔-4-온;
    3-(4-이소프로필페닐)-2-{4-(메틸설포닐)페닐}-1-옥사-스피로[4,4]논-2-엔-4-온;
    3-(3,5-디플루오로페닐)-2-{4-(메틸설포닐)페닐}-1-옥사-스피로[4,4]논-2-엔-4-온;
    3-(2-플루오로페닐)-2-{4-(메틸설포닐)페닐}-1-옥사-스피로[4,4]논-2-엔-4-온;
    3-(3-플루오로페닐)-2-{4-(메틸설포닐)페닐}-1-옥사-스피로[4,4]논-2-엔-4-온;
    3-(3-클로로페닐)-2-{4-(메틸설포닐)페닐}-1-옥사-스피로[4,4]논-2-엔-4-온;
    3-(4-플루오로페닐)-2-{4-(메틸설포닐)페닐}-1-옥사-스피로[4,4]논-2-엔-4-온;
    3-(4-아세틸페닐)-2-{4-(메틸설포닐)페닐}-1-옥사-스피로[4,4]논-2-엔-4-온;
    3-(4-아세틸-3-플루오로페닐)-2-{4-(메틸설포닐)페닐}-1-옥사-스피로[4,4]논-2-엔-4-온;
    3-(4-아세틸-3-클로로페닐)-2-{4-(메틸설포닐)페닐}-1-옥사-스피로[4,4]논-2-엔-4-온;
    2-{4-(메틸설포닐)페닐}-3-페닐-1-옥사-스피로[4,5]덱-2-엔-4-온;
    2-{4-(메틸설포닐)페닐}-3-{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옥사-스피로[4,5]덱-2-엔-4-온;
    3-(3-메틸페닐)-2-{4-(메틸설포닐)페닐}-1-옥사-스피로[4,5]덱-2-엔-4-온;
    3-(4-아세틸페닐)-2-{4-(메틸설포닐)페닐}-1-옥사-스피로[4,5]덱-2-엔-4-온;
    3-(3-플루오로페닐)-2-{4-(메틸설포닐)페닐}-1,8-디옥사-스피로[4,5]덱-2-엔-4-온;
    3-(3,5-디플루오로페닐)-2-{4-(메틸설포닐)페닐}-1,8-디옥사-스피로[4,5]덱-2-엔-4-온;
    3-(3-클로로페닐)-2-{4-(메틸설포닐)페닐}-1,8-디옥사-스피로[4,5]덱-2-엔-4-온;
    3-(4-아세틸페닐)-2-{4-(메틸설포닐)페닐}-1,8-디옥사-스피로[4,5]덱-2-엔-4-온;
    2-{4-(메틸설포닐)페닐}-3-페닐-1,8-디옥사-스피로[4,5]덱-2-엔-4-온;
    3-(3-클로로페닐)-2-{4-(메틸설포닐)페닐}-1,8-디옥사-스피로[4,5]덱-2-엔-4-온.
  12. 제 1항에 있어서, 식 (Ⅳ)의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이들의 염:
    (Ⅳ)
    식중,
    X는 할로 또는 알킬이고;
    Y는 알킬설포닐, 아미노설포닐, 알킬설피닐, (N-아실아미노)설포닐, (N-알킬아미노)설포닐 또는 알킬티오이며;
    Z는 산소 또는 황 원자이며; 그리고,
    R3내지 R7은 존재시, 각각 히드리도, 할로, 알킬, 할로알킬, 알킬옥시, 니트로, 아미노, N-아실아미노, 아실, 포르밀, 히드록시알킬, 페닐 및 시아노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혹은 R3내지 R7중의 인접한 두 기가 서로 연결되어 메틸렌디옥시를 형성한다.
  13. 제 12항에 있어서,
    X는 할로 또는 저급 알킬이고;
    Y는 (저급 알킬)설포닐, 아미노설포닐, (저급 알킬)설피닐, (저급 N-아실아미노)설포닐, (저급 N-알킬아미노)설포닐 및 (저급 알킬)티오 중에서 선택되며;
    Z는 산소 및 황 원자 중에서 선택되며; 그리고,
    R3내지 R7은 존재시, 각각 히드리도, 할로, 저급 알킬, 저급 할로알킬, 저급 알킬옥시, 니트로, 아미노 및 N-(저급아실)아미노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이들의 염.
  14. 제 13항에 있어서,
    X는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또는 메틸이며;
    Y는 메틸설포닐, 에틸설포닐, 아미노설포닐, 메틸설피닐, 에틸설피닐, (N-아세틸아미노)설포닐, (N-프로피오닐아미노)설포닐, (N-부티릴아미노)설포닐, (N-메틸아미노)설포닐, (N-에틸아미노)설포닐, 메틸티오 및 에틸티오 중에서 선택되며;
    Z는 산소 및 황 원자 중에서 선택되며; 그리고, R3내지 R7은 존재시, 각각 히드리도,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메틸, 에틸, 이소프로필, 플루오로메틸, 디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틸, 메톡시, 에톡시, n-프로필옥시, 이소프로필옥시, n-부톡시, 니트로, 아미노, N-아세틸아미노 및 N-프로피오닐아미노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이들의 염.
  15. 제 14항에 있어서, 다음 화합물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이들의 염:
    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티오)페닐}-4-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피닐)페닐}-4-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포닐)페닐}-4-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3-플루오로페닐}-2,2-디메틸-4-페닐-3(2H)-퓨라논;
    4-(2-클로로페닐)-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티오)페닐}-3(2H)-퓨라논;
    4-(2-클로로페닐)-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피닐)페닐}-3(2H)-퓨라논;
    4-(2-클로로페닐)-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3-플루오로페닐}-4-(2-클로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4-(3-클로로페닐)-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티오)페닐}-3(2H)-퓨라논;
    4-(3-클로로페닐)-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피닐)페닐}-3(2H)-퓨라논;
    4-(3-클로로페닐)-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3-플루오로페닐}-4-(3-클로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4-(4-클로로페닐)-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티오)페닐}-3(2H)-퓨라논;
    4-(4-클로로페닐)-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피닐)페닐}-3(2H)-퓨라논;
    4-(4-클로로페닐)-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3-플루오로페닐}-4-(4-클로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4-(3,4-디클로로페닐)-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티오)페닐}-3(2H)-퓨라논;
    4-(3,4-디클로로페닐)-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피닐)페닐}-3(2H)-퓨라논;
    4-(3,4-디클로로페닐)-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3-플루오로페닐}-4-(3,4-디클로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티오)페닐}-4-(2-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피닐)페닐}-4-(2-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포닐)페닐}-4-(2-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3-플루오로페닐}-2,2-디메틸-4-(2-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티오)페닐}-4-(3-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피닐)페닐}-4-(3-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포닐)페닐}-4-(3-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3-플루오로페닐}-2,2-디메틸-4-(3-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티오)페닐}-4-(4-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피닐)페닐}-4-(4-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포닐)페닐}-4-(4-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3-플루오로페닐}-2,2-디메틸-4-(4-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4-(2,4-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티오)페닐}-3(2H)-퓨라논;
    4-(2,4-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피닐)페닐}-3(2H)-퓨라논;
    4-(2,4-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3-플루오로페닐}-4-(2,4-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4-(2,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티오)페닐}-3(2H)-퓨라논;
    4-(2,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피닐)페닐}-3(2H)-퓨라논;
    4-(2,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3-플루오로페닐}-4-(2,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4-(2,6-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티오)페닐}-3(2H)-퓨라논;
    4-(2,6-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피닐)페닐}-3(2H)-퓨라논;
    4-(2,6-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3-플루오로페닐}-4-(2,6-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4-(3,4-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티오)페닐}-3(2H)-퓨라논;
    4-(3,4-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피닐)페닐}-3(2H)-퓨라논;
    4-(3,4-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3-플루오로페닐}-4-(3,4-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티오)페닐}-3(2H)-퓨라논;
    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피닐)페닐}-3(2H)-퓨라논;
    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3-플루오로페닐}-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티오)페닐}-4-(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피닐)페닐}-4-(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포닐)페닐}-4-(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3-플루오로페닐}-2,2-디메틸-4-(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티오)페닐}-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피닐)페닐}-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포닐)페닐}-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3-플루오로페닐}-2,2-디메틸-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티오)페닐}-4-(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피닐)페닐}-4-(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포닐)페닐}-4-(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3-플루오로페닐}-2,2-디메틸-4-(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티오)페닐}-4-(4-니트로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피닐)페닐}-4-(4-니트로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포닐)페닐}-4-(4-니트로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3-플루오로페닐}-2,2-디메틸-4-(4-니트로페닐)-3(2H)-퓨라논;
    4-(4-아미노페닐)-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티오)페닐}-3(2H)-퓨라논;
    4-(4-아미노페닐)-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피닐)페닐}-3(2H)-퓨라논;
    4-(4-아미노페닐)-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4-아미노페닐)-5-{4-(아미노설포닐)-3-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4-{4-(아세틸아미노)페닐)-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티오)페닐}-3(2H)-퓨라논;
    4-{4-(아세틸아미노)페닐)-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피닐)페닐}-3(2H)-퓨라논;
    4-{4-(아세틸아미노)페닐)-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4-(아세틸아미노)페닐)-5-{4-(아미노설포닐)-3-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4-(3-클로로페닐)-5-{3-플루오로-4-(메틸티오)페닐}-4-(3-메톡시페닐)-3(2H)-퓨라논;
    4-(3-클로로페닐)-5-{3-플루오로-4-(메틸설포닐)페닐}-4-(3-메톡시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2-플루오로-4-(메틸티오)페닐}-4-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2-플루오로-4-(메틸설피닐)페닐}-4-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2-플루오로-4-(메틸설포닐)페닐}-4-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2-플루오로페닐}-2,2-디메틸-4-페닐-3(2H)-퓨라논;
    4-(2-클로로페닐)-2,2-디메틸-5-{2-플루오로-4-(메틸티오)페닐}-3(2H)-퓨라논;
    4-(2-클로로페닐)-2,2-디메틸-5-{2-플루오로-4-(메틸설피닐)페닐}-3(2H)-퓨라논;
    4-(2-클로로페닐)-2,2-디메틸-5-{2-플루오로-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2-플루오로페닐}-4-(2-클로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4-(3-클로로페닐)-2,2-디메틸-5-{2-플루오로-4-(메틸티오)페닐}-3(2H)-퓨라논;
    4-(3-클로로페닐)-2,2-디메틸-5-{2-플루오로-4-(메틸설피닐)페닐}-3(2H)-퓨라논;
    4-(3-클로로페닐)-2,2-디메틸-5-{2-플루오로-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2-플루오로페닐}-4-(3-클로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2,2-디메틸-5-{2-플루오로-4-(메틸티오)페닐}-4-(2-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2-플루오로-4-(메틸설피닐)페닐}-4-(2-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2-플루오로-4-(메틸설포닐)페닐}-4-(2-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2-플루오로페닐}-2,2-디메틸-4-(2-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2-플루오로-4-(메틸티오)페닐}-4-(3-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2-플루오로-4-(메틸설피닐)페닐}-4-(3-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2-플루오로-4-(메틸설포닐)페닐}-4-(3-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2-플루오로페닐}-2,2-디메틸-4-(3-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2-플루오로-4-(메틸티오)페닐}-4-(4-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2-플루오로-4-(메틸설피닐)페닐}-4-(4-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2-플루오로-4-(메틸설포닐)페닐}-4-(4-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2-플루오로페닐}-2,2-디메틸-4-(4-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4-(2,4-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2-플루오로-4-(메틸티오)페닐}-3(2H)-퓨라논;
    4-(2,4-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2-플루오로-4-(메틸설피닐)페닐}-3(2H)-퓨라논;
    4-(2,4-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2-플루오로-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2-플루오로페닐}-4-(2,4-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4-(2,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2-플루오로-4-(메틸티오)페닐}-3(2H)-퓨라논;
    4-(2,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2-플루오로-4-(메틸설피닐)페닐}-3(2H)-퓨라논;
    4-(2,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2-플루오로-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2-플루오로페닐}-4-(2,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4-(3,4-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2-플루오로-4-(메틸티오)페닐}-3(2H)-퓨라논;
    4-(3,4-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2-플루오로-4-(메틸설피닐)페닐}-3(2H)-퓨라논;
    4-(3,4-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2-플루오로-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2-플루오로페닐}-4-(3,4-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2-플루오로-4-(메틸티오)페닐}-3(2H)-퓨라논;
    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2-플루오로-4-(메틸설피닐)페닐}-3(2H)-퓨라논;
    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2-플루오로-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2-플루오로페닐}-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2,2-디메틸-5-{2-플루오로-4-(메틸티오)페닐}-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2-플루오로-4-(메틸설피닐)페닐}-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2-플루오로-4-(메틸설포닐)페닐}-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2-플루오로페닐}-2,2-디메틸-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2H)-퓨라논;
    5-{3-브로모-4-(메틸티오)페닐}-2,2-디메틸-4-페닐-3(2H)-퓨라논;
    5-{3-브로모-4-(메틸설포닐)페닐}-2,2-디메틸-4-페닐-3(2H)-퓨라논;
    5-{3-브로모-4-(메틸설피닐)페닐}-2,2-디메틸-4-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3-브로모페닐}-2,2-디메틸-4-페닐-3(2H)-퓨라논;
    5-{3-브로모-4-(메틸티오)페닐}-4-(3-클로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3-브로모-4-(메틸설포닐)페닐}-4-(3-클로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3-브로모-4-(메틸설피닐)페닐}-4-(3-클로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3-브로모페닐}-4-(3-클로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3-브로모-4-(메틸티오)페닐}-4-(4-클로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3-브로모-4-(메틸설포닐)페닐}-4-(4-클로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3-브로모-4-(메틸설피닐)페닐}-4-(4-클로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3-브로모페닐}-4-(4-클로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3-브로모-4-(메틸티오)페닐}-2,2-디메틸-4-(3-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5-{3-브로모-4-(메틸설포닐)페닐}-2,2-디메틸-4-(3-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5-{3-브로모-4-(메틸설피닐)페닐}-2,2-디메틸-4-(3-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3-브로모페닐}-2,2-디메틸-4-(3-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5-{3-브로모-4-(메틸티오)페닐}-2,2-디메틸-4-(4-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5-{3-브로모-4-(메틸설포닐)페닐}-2,2-디메틸-4-(4-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5-{3-브로모-4-(메틸설피닐)페닐}-2,2-디메틸-4-(4-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3-브로모페닐}-2,2-디메틸-4-(4-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5-{3-브로모-4-(메틸티오)페닐}-4-(2,4-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3-브로모-4-(메틸설포닐)페닐}-4-(2,4-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3-브로모-4-(메틸설피닐)페닐}-4-(2,4-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3-브로모페닐}-4-(2,4-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3-브로모-4-(메틸티오)페닐}-4-(2,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3-브로모-4-(메틸설포닐)페닐}-4-(2,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3-브로모-4-(메틸설피닐)페닐}-4-(2,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3-브로모페닐}-4-(2,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3-브로모-4-(메틸티오)페닐}-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3-브로모-4-(메틸설포닐)페닐}-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3-브로모-4-(메틸설피닐)페닐}-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3-브로모페닐}-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3-브로모-4-(메틸티오)페닐}-2,2-디메틸-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2H)-퓨라논;
    5-{3-브로모-4-(메틸설포닐)페닐}-2,2-디메틸-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2H)-퓨라논;
    5-{3-브로모-4-(메틸설피닐)페닐}-2,2-디메틸-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3-브로모페닐}-2,2-디메틸-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2H)-퓨라논;
    5-{3-클로로-4-(메틸티오)페닐}-2,2-디메틸-4-페닐-3(2H)-퓨라논;
    5-{3-클로로-4-(메틸설포닐)페닐}-2,2-디메틸-4-페닐-3(2H)-퓨라논;
    5-{3-클로로-4-(메틸설피닐)페닐}-2,2-디메틸-4-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3-클로로페닐}-2,2-디메틸-4-페닐-3(2H)-퓨라논;
    5-{3-클로로-4-(메틸티오)페닐}-4-(3-클로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3-클로로-4-(메틸설포닐)페닐}-4-(3-클로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3-클로로-4-(메틸설피닐)페닐}-4-(3-클로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3-클로로페닐}-4-(3-클로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3-클로로-4-(메틸티오)페닐}-4-(4-클로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3-클로로-4-(메틸설포닐)페닐}-4-(4-클로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3-클로로-4-(메틸설피닐)페닐}-4-(4-클로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3-클로로페닐}-4-(4-클로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3-클로로-4-(메틸티오)페닐}-4-(3-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3-클로로-4-(메틸설포닐)페닐}-4-(3-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3-클로로-4-(메틸설피닐)페닐}-4-(3-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3-클로로페닐}-4-(3-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3-클로로-4-(메틸티오)페닐}-4-(4-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3-클로로-4-(메틸설포닐)페닐}-4-(4-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3-클로로-4-(메틸설피닐)페닐}-4-(4-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3-클로로페닐}-4-(4-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3-클로로-4-(메틸티오)페닐}-4-(2,4-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3-클로로-4-(메틸설포닐)페닐}-4-(2,4-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3-클로로-4-(메틸설피닐)페닐}-4-(2,4-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3-클로로페닐}-4-(2,4-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3-클로로-4-(메틸티오)페닐}-4-(2,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3-클로로-4-(메틸설포닐)페닐}-4-(2,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3-클로로-4-(메틸설피닐)페닐}-4-(2,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3-클로로페닐}-4-(2,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3-클로로-4-(메틸티오)페닐}-4-(3,4-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3-클로로-4-(메틸설포닐)페닐}-4-(3,4-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3-클로로-4-(메틸설피닐)페닐}-4-(3,4-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3-클로로페닐}-4-(3,4-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3-클로로-4-(메틸티오)페닐}-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3-클로로-4-(메틸설포닐)페닐}-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3-클로로-4-(메틸설피닐)페닐}-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3-클로로페닐}-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3-메틸-4-(메틸티오)페닐}-3(2H)-퓨라논;
    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3-메틸-4-(메틸설피닐)페닐}-3(2H)-퓨라논;
    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3-메틸-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3-메틸페닐}-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3-클로로-4-(메틸티오)페닐}-2,2-디메틸-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2H)-퓨라논;
    5-{3-클로로-4-(메틸설포닐)페닐}-2,2-디메틸-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2H)-퓨라논;
    5-{3-클로로-4-(메틸설피닐)페닐}-2,2-디메틸-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3-클로로페닐}-2,2-디메틸-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2H)-퓨라논;
    5-{2-클로로-4-(메틸티오)페닐}-2,2-디메틸-4-페닐-3(2H)-퓨라논;
    5-{2-클로로-4-(메틸설피닐)페닐}-2,2-디메틸-4-페닐-3(2H)-퓨라논;
    5-{2-클로로-4-(메틸설포닐)페닐}-2,2-디메틸-4-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2-클로로페닐}-2,2-디메틸-4-페닐-3(2H)-퓨라논;
    5-{2-클로로-4-(메틸티오)페닐}-4-(3-클로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2-클로로-4-(메틸설포닐)페닐}-4-(3-클로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2-클로로-4-(메틸설피닐)페닐}-4-(3-클로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2-클로로페닐}-4-(3-클로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2-클로로-4-(메틸티오)페닐}-2,2-디메틸-4-(3-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5-{2-클로로-4-(메틸설피닐)페닐}-2,2-디메틸-4-(3-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5-{2-클로로-4-(메틸설포닐)페닐}-2,2-디메틸-4-(3-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2-클로로페닐}-2,2-디메틸-4-(3-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5-{2-클로로-4-(메틸티오)페닐}-2,2-디메틸-4-(4-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5-{2-클로로-4-(메틸설피닐)페닐}-2,2-디메틸-4-(4-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5-{2-클로로-4-(메틸설포닐)페닐}-2,2-디메틸-4-(4-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2-클로로페닐}-2,2-디메틸-4-(4-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5-{2-클로로-4-(메틸티오)페닐}-4-(2,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2-클로로-4-(메틸설포닐)페닐}-4-(2,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2-클로로-4-(메틸설피닐)페닐}-4-(2,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2-클로로페닐}-4-(2,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2-클로로-4-(메틸티오)페닐}-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2-클로로-4-(메틸설포닐)페닐}-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2-클로로-4-(메틸설피닐)페닐}-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2-클로로페닐}-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2,2-디메틸-5-{3-메틸-4-(메틸티오)페닐}-4-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3-메틸-4-(메틸설피닐)페닐}-4-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3-메틸-4-(메틸설포닐)페닐}-4-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3-메틸페닐}-2,2-디메틸-4-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3-플루오로페닐)-5-{3-메틸-4-(메틸티오)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3-플루오로페닐)-5-{3-메틸-4-(메틸설피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3-플루오로페닐)-5-{3-메틸-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3-메틸페닐}-2,2-디메틸-4-(3-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
    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3-메틸-4-(메틸티오)페닐}-3(2H)-퓨라논;
    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3-메틸-4-(메틸설피닐)페닐}-3(2H)-퓨라논;
    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3-메틸-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3-메틸페닐}-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3(2H)-퓨라논;
    5-{3-클로로-4-(N-메틸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페닐-3(2H)-퓨라논;
    5-{3-클로로-4-(N-에틸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페닐-3(2H)-퓨라논;
    5-[4-{(아세틸아미노)설포닐}-3-클로로페닐]-2,2-디메틸-4-페닐-3(2H)-퓨라논;
    5-[3-클로로-4-{(N-n-프로피오닐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페닐-3(2H)-퓨라논;
    5-[3-클로로-4-{(N-n-부티릴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페닐-3(2H)-퓨라논;
    4-(3-클로로페닐)-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티오)페닐}-(2H)-퓨란-3-티온;
    4-(3-클로로페닐)-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포닐)페닐}-(2H)-퓨란-3-티온;
    4-(3-클로로페닐)-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피닐)페닐}-(2H)-퓨란-3-티온;
    5-{4-(아미노설포닐)-3-플루오로페닐}-4-(3-클로로페닐)-2,2-디메틸-(2H)-퓨란-3-티온;
    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티오)페닐}-(2H)-퓨란-3-티온;
    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포닐)페닐}-(2H)-퓨란-3-티온;
    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5-{3-플루오로-(4-메틸설피닐)페닐}-(2H)-퓨란-3-티온;
    5-{(4-아미노설포닐)-3-플루오로페닐}-4-(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2H)-퓨란-3-티온.
  16. 제 1항에 있어서, 식 (Ⅴ)의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이들의 염:
    (Ⅴ)
    식중,
    Y는 알킬설포닐, 아미노설포닐, 알킬설피닐, (N-아실아미노)설포닐, (N-알킬아미노)설포닐, 또는 알킬티오이고;
    Z는 산소 또는 황 원자이며;
    R1및 R2는 메틸 및 에틸 기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그리고,
    AR은 치환되거나 또는 치환되지 않은 5 내지 10의 원자로 이루어진 방향족 기로서, 단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페닐 기는 제외한다.
  17. 제 16항에 있어서,
    Y는 (저급 알킬)설포닐, 아미노설포닐 및 (저급 N-아실아미노)설포닐 중에서 선택되며;
    Z는 산소 및 황 원자 중에서 선택되며;
    R1및 R2는 메틸 및 에틸 기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그리고,
    AR은 다음의 구체적인 방향족 기 중에서 선택되며:
    식중, R8내지 R19는 존재시, 각각 히드리도, 할로, 저급 알킬, 저급 아실, 저급 할로알킬, 저급 알콕시, 포르밀, 시아노, 니트로, 아미노, 아지도 및 N-아실아미노 중에서 선택되는,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이들의 염.
  18. 제 17항에 있어서,
    Y는 메틸설포닐, 에틸설포닐, 아미노설포닐, (N-아세틸아미노)설포닐 및 (N-프로피오닐아미노)설포닐 중에서 선택되며;
    Z는 산소 및 황 원자 중에서 선택되며;
    R1및 R2는 메틸 및 에틸 기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그리고,
    R8내지 R19은 존재시, 각각 히드리도,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메틸, 에틸, 이소프로필, 아세틸, n-프로피오닐, 트리플루오로메틸, 메톡시, 에톡시 및 포르밀 중에서 선택되는,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이들의 염.
  19. 제 18항에 있어서, 다음 화합물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이들의 염:
    2,2-디메틸-5-{4-(메틸티오)페닐}-4-(3-티에닐)-3(2H)-퓨라논;
    2,2-디메틸-4-{2-(3-메틸티에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2-(5-포르밀티에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2-벤조[b]티에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4-(1-나프틸)-3(2H)-퓨라논;
    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4-(3-피리딜)-3(2H)-퓨라논;
    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4-(2-피리딜)-3(2H)-퓨라논;
    4-(2-벤조[b]퓨라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4-(2-나프틸)-3(2H)-퓨라논;
    2,2-디메틸-4-{5-(2-플루오로티에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5-(3-플루오로티에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4-(2-플루오로티에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4-(2-티에닐)-3(2H)-퓨라논;
    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4-(3-티에닐)-3(2H)-퓨라논;
    4-{2-(5-아세틸티에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2-퓨라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3-퓨라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5-(3-플루오로퓨라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5-(2-플루오로퓨라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4-(2-플루오로퓨라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4-(1-N-메틸피라졸일)}-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4-(1-N-에틸피라졸일)}-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4-(4-피리딜)-3(2H)-퓨라논;
    2,2-디메틸-4-{3-(6-메톡시피리딜)}-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4-(1-N-이소프로필피라졸일)}-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4-(5-피리미디닐)-3(2H)-퓨라논;
    2,2-디메틸-4-{3-(6-메틸피리딜)}-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2-(5-포르밀-4-메틸티에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4-[2-{5-(1,3-디옥솔란)-2-일}티에닐]-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2-(5-브로모티에닐)}-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2-디메틸-5-{4-(메틸설포닐)페닐}-4-(4-피라졸일)-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에틸-2-메틸-4-(2-피리딜)-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에틸-2-메틸-4-(3-피리딜)-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에틸-2-메틸-4-(4-피리딜)-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에틸-2-메틸-4-{4-(1-N-메틸피라졸일)}-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에틸-4-{4-(1-N-에틸피라졸일)}-2-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에틸-2-메틸-4-{4-(1-N-이소프로필피라졸일)}-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에틸-2-메틸-4-(3-티에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에틸-4-{4-(2-플루오로티에닐)}-2-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에틸-4-{5-(2-플루오로티에닐)}-2-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에틸-4-{5-(3-플루오로티에닐)}-2-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에틸-4-(2-퓨라닐)-2-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에틸-4-(3-퓨라닐)-2-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에틸-4-{5-(3-플루오로퓨라닐)}-2-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에틸-4-{4-(2-플루오로퓨라닐)}-2-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에틸-4-{5-(2-플루오로퓨라닐)}-2-메틸-3(2H)-퓨라논;
    2,2-디에틸-5-{4-(메틸설포닐)페닐}-4-(3-티에닐)-3(2H)-퓨라논;
    2,2-디에틸-5-{4-(메틸설포닐)페닐}-4-(2-티에닐)-3(2H)-퓨라논;
    2,2-디에틸-5-{4-(메틸설포닐)페닐}-4-(2-피리딜)-3(2H)-퓨라논;
    2,2-디에틸-5-{4-(메틸설포닐)페닐}-4-(4-피리딜)-3(2H)-퓨라논;
    2,2-디에틸-4-{4-(1-N-메틸피라졸일)}-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4-(3-피리딜)-3(2H)-퓨라논;
    2-에틸-2-메틸-4-{4-(1-N-메틸피라졸일)}-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4-(4-피라졸일)-3(2H)-퓨라논;
    2-에틸-4-{4-(1-N-에틸피라졸일)}-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4-{4-(1-N-이소프로필피라졸일)}-3(2H)-퓨라논;
    2-에틸-2-메틸-4-{3-(6-메톡시피리딜)}-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에틸-2-메틸-4-{3-(6-메틸피리딜)}-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4-(3-티에닐)-3(2H)-퓨라논;
    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4-{4-(2-플루오로티에닐)}-3(2H)-퓨라논;
    2-에틸-4-(2-퓨라닐)-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에틸-4-(3-퓨라닐)-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에틸-4-{5-(3-플루오로퓨라닐)}-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에틸-4-{5-(2-플루오로퓨라닐)}-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에틸-4-{4-(2-플루오로퓨라닐)}-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2-벤조[b]티에닐)-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2-벤조[b]퓨라닐)-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4-(2-티에닐)-3(2H)-퓨라논;
    2-에틸-4-{5-(2-플루오로티에닐)}-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4-{2-(5-아세틸티에닐)}-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3(2H)-퓨라논;
    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4-{2-(5-메틸티에닐)}-3(2H)-퓨라논;
    2-에틸-2-메틸-5-{4-(메틸설포닐)페닐}-4-{2-(3-메틸티에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2-퓨라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3-퓨라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5-(3-플루오로퓨라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5-(2-플루오로퓨라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4-(2-플루오로퓨라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3-티에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2-티에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4-(2-플루오로티에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5-(2-플루오로티에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5-(3-플루오로티에닐)}-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4-(2-벤조[b]티에닐)-2,2-디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4-(2-벤조[b]퓨라닐)-2,2-디메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2-나프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1-나프틸)-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2-피리딜)-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3-피리딜)-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4-피리딜)-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4-(1-N-메틸피라졸일)}-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4-(1-N-에틸피라졸일)}-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4-(1-N-이소프로필피라졸일)}-3(2H)-퓨라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4-피라졸일)-3(2H)-퓨라논.
  20. 다음의 반응식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식 (I)의 4,5-디아릴-2,2-디메틸-3(2H)-퓨라논 유도체들을 합성하기 위한 염기 존재하의 1,2-디아릴에타논과의 반응에서의 α-브로모부티릴 시아나이드(α-bromobutyryl cyanide)의 용도:
    식중,
    Y는 알킬티오 및 알킬설포닐 중에서 선택되며;
    X는 히드리도, 할로 및 알킬기 중에서 선택되며; 그리고, AR 은 제 1항의 식 (I)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21. 제 1항 내지 19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을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병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22. 제 1항 내지 19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을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포함하는 염증관련 질병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23. 제 1항 내지 19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을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포함하는 시클로옥시게네이즈-2 매개 질병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24. 제 1항 내지 19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을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포함하는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의 영향을 받기 쉬운 질병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25. 식 (Ⅶ)의 설폰 화합물에 대응하는 전구 약물로서의 식 (Ⅵ)의 설폭시드 화합물의 용도:
    Ⅵ Ⅶ
    식중,
    X, R1및 R2, 그리고 AR은 제 1항의 식 (I)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KR1020017012902A 1999-04-14 2000-04-12 시클로옥시게네이즈-2 저해제로서의4,5-디아릴-3(2h)-퓨라논 유도체 KR200101115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3170 1999-04-14
KR1019990013170A KR20000066223A (ko) 1999-04-14 1999-04-14 디아릴-3(2h)퓨라논 유도체 및 이를 함유하는 시클로옥시게네이즈-2 저해제 조성물
KR1019990029779 1999-07-22
KR1019990029779A KR20010010728A (ko) 1999-07-22 1999-07-22 2,2-디알킬-4,5-디아릴-3(2h)퓨라논의 유도체 및 이를 함유하는 시클로옥시게네이즈-2 저해제 조성물
KR1019990039043 1999-09-13
KR1019990039043A KR20010027342A (ko) 1999-09-13 1999-09-13 2,2-디알킬-4,5-디아릴-3(2h)퓨라논의 술폰아마이드 유도체 및 이를 함유하는 시클로옥시게네이즈-2 저해제 조성물
KR1020000016866A KR20010094519A (ko) 2000-03-31 2000-03-31 2,2,4,5-사중 치환된 3(2h)-퓨라논 유도체의 제조 방법
KR1020000016866 2000-03-31
KR1020000017647A KR20010094161A (ko) 2000-04-04 2000-04-04 2,2-디메틸-4,5-디아릴-3(2h)퓨라논의 유도체 및 이를함유하는 선택적인 시클로옥시게네이즈-2 저해제로서약제학적 조성물
KR1020000017647 2000-04-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1584A true KR20010111584A (ko) 2001-12-19

Family

ID=27532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2902A KR20010111584A (ko) 1999-04-14 2000-04-12 시클로옥시게네이즈-2 저해제로서의4,5-디아릴-3(2h)-퓨라논 유도체

Country Status (26)

Country Link
US (1) US6492416B1 (ko)
EP (1) EP1109799B1 (ko)
JP (1) JP3844657B2 (ko)
KR (1) KR20010111584A (ko)
CN (1) CN1166658C (ko)
AT (1) ATE256672T1 (ko)
AU (1) AU767811B2 (ko)
BR (1) BRPI0011172B8 (ko)
CA (1) CA2369979C (ko)
CZ (1) CZ300766B6 (ko)
DE (1) DE60007267T2 (ko)
DZ (1) DZ3265A1 (ko)
EA (1) EA004432B1 (ko)
ES (1) ES2213007T3 (ko)
HK (1) HK1046413B (ko)
HU (1) HU227863B1 (ko)
IL (2) IL145305A0 (ko)
MA (1) MA25406A1 (ko)
MX (1) MXPA01010312A (ko)
NO (1) NO327814B1 (ko)
NZ (1) NZ514101A (ko)
PL (1) PL204249B1 (ko)
PT (1) PT1109799E (ko)
SK (1) SK286314B6 (ko)
TR (1) TR200102958T2 (ko)
WO (1) WO200006157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563876C1 (ru) * 2014-11-11 2015-09-27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Санкт-Петербург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СПбГУ)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2,2-диалкил-4,5-диарилфуран-3(2н)-онов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0728A (ko) * 1999-07-22 2001-02-15 서경배 2,2-디알킬-4,5-디아릴-3(2h)퓨라논의 유도체 및 이를 함유하는 시클로옥시게네이즈-2 저해제 조성물
KR20010094161A (ko) * 2000-04-04 2001-10-31 서경배 2,2-디메틸-4,5-디아릴-3(2h)퓨라논의 유도체 및 이를함유하는 선택적인 시클로옥시게네이즈-2 저해제로서약제학적 조성물
KR20000066223A (ko) * 1999-04-14 2000-11-15 서경배 디아릴-3(2h)퓨라논 유도체 및 이를 함유하는 시클로옥시게네이즈-2 저해제 조성물
US6686390B2 (en) * 2000-05-22 2004-02-03 Dr. Reddy's Laboratories Limited Compounds having antiinflamatory activity: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PL206268B1 (pl) 2000-06-13 2010-07-30 Wyethwyeth Kompozycja przeciwbólowa i/lub przeciwzapalna oraz jej zastosowanie
US20030105144A1 (en) 2001-04-17 2003-06-05 Ping Gao Stabilized oral pharmaceutical composition
US6858592B2 (en) 2001-06-29 2005-02-22 Genzyme Corporation Aryl boronic acids for treating obesity
US7041280B2 (en) 2001-06-29 2006-05-09 Genzyme Corporation Aryl boronate functionalized polymers for treating obesity
WO2003018575A1 (en) * 2001-08-24 2003-03-06 Wyeth Holdings Corporation 5-substituted-3(2h)-furanones useful for inhibition of farnesyl-protein transferase
US6667330B2 (en) * 2002-01-31 2003-12-23 Galileo Pharmaceuticals, Inc. Furanone derivatives
ES2213485B1 (es) 2003-02-13 2005-12-16 Almirall Prodesfarma, S.A. Derivados de la 2-fenilpiran-4-ona.
ES2214129B1 (es) * 2003-02-13 2005-12-01 Almirall Prodesfarma, S.A. 3-fenilfuran-2-onas.
ES2214130B1 (es) * 2003-02-13 2005-12-01 Almirall Prodesfarma, S.A. 2-3'-bipiridinas.
US20040220155A1 (en) * 2003-03-28 2004-11-04 Pharmacia Corporation Method of providing a steroid-sparing benefit with a cyclooxygenase-2 inhibitor and compositions therewith
US20050014729A1 (en) * 2003-07-16 2005-01-20 Pharmacia Corporation Method for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dermatological disorders with a cyclooxygenase-2 inhibitor alone and in combination with a dermatological treatment agent and compositions therewith
US20050119262A1 (en) * 2003-08-21 2005-06-02 Pharmacia Corporation Method for preventing or treating an optic neuropathy with a cox-2 inhibitor and an intraocular pressure reducing agent
WO2005023189A2 (en) * 2003-09-03 2005-03-17 Pharmacia Corporation Method of cox-2 selective inhibitor and nitric oxide-donating agent
JP4641772B2 (ja) * 2003-10-23 2011-03-02 長谷川香料株式会社 フラノンの製造方法
WO2005094815A1 (en) * 2004-03-30 2005-10-13 Amorepacific Corporation Dual inhibition of cyclooxygenase-2 and carbonic anhydrase
US20080306146A1 (en) * 2005-11-02 2008-12-11 Amorepacific Corporation Dosing Regimens for Cox-2 Inhibitor
NZ573111A (en) * 2006-04-28 2012-02-24 Cambridge Scient Pty Ltd Cox-2 inhibitor
US20100105714A1 (en) * 2007-01-30 2010-04-29 Biogen Idec Ma Inc. Furanone Compound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TWI634114B (zh) * 2013-05-08 2018-09-01 永恒生物科技公司 作為激酶抑制劑之呋喃酮化合物
WO2015080435A1 (ko) * 2013-11-26 2015-06-04 화일약품주식회사 4-(3-(3-플루오로페닐)-5,5-디메틸-4-옥소-4,5-디하이드로푸란-2-일)벤젠설폰아마이드의 제조 방법
US10413520B2 (en) 2014-01-29 2019-09-17 Crystalgenomics, Inc. Oral pharmacological composition including 5-{4-(amino sulfonyl)phenyl}-2,2-dimethyl-4-(3-fluorophenyl)-3(2H)-furanone having crystalline structure with excellent stability
KR101446601B1 (ko) * 2014-01-29 2014-10-07 크리스탈지노믹스(주) 5-(4-(아미노설포닐)페닐)-2,2-디메틸-4-(3-플루오로페닐)-3(2h)-퓨라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캡슐 제형
CN104926797B (zh) * 2014-06-10 2019-04-16 北京元博方医药科技有限公司 呋喃酮衍生物、制备方法及用途
CN104098535A (zh) * 2014-07-25 2014-10-15 南通市华峰化工有限责任公司 一种4-(3-氟苯基)-2,2-二甲基-5-(4-(甲硫基)苯基)呋喃-3(2h)-酮的制备方法
CN106866558B (zh) * 2015-08-21 2019-07-30 宁波百思佳医药科技有限公司 酰基三氮唑类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RU2631317C1 (ru) * 2016-05-13 2017-09-21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Органик Эмиттерс" Селективные ингибиторы циклооксигеназы и способ их получения
CN111303085B (zh) * 2020-03-13 2022-04-01 西安瑞联新材料股份有限公司 5-溴-2,2-二甲基-5-(4-甲磺酰基苯基)呋喃-3(2h)-酮的合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13719A (ja) 1987-06-15 1988-12-21 T Hasegawa Co Ltd 香料組成物
JPH0745483B2 (ja) * 1987-09-26 1995-05-17 長谷川香料株式会社 フラノン類の製造方法
JPH0825864B2 (ja) 1988-12-16 1996-03-13 長谷川香料株式会社 柴外線吸収剤
US5474995A (en) * 1993-06-24 1995-12-12 Merck Frosst Canada, Inc. Phenyl heterocycles as cox-2 inhibitors
ATE232856T1 (de) * 1994-12-21 2003-03-15 Merck Frosst Canada Inc Diaryl-2(5h)-fuaranone als cox-2-inhibitoren
US5698585A (en) 1995-04-13 1997-12-16 Kikkoman Corporation Pharmaceutical preparation for prevention and/or treatment for cataract
UA57002C2 (uk) * 1995-10-13 2003-06-16 Мерк Фросст Кенада Енд Ко./Мерк Фросст Кенада Енд Сі. Похідне (метилсульфоніл)феніл-2-(5н)-фуранону, фармацевтична композиція та спосіб лікування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563876C1 (ru) * 2014-11-11 2015-09-27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Санкт-Петербург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СПбГУ)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2,2-диалкил-4,5-диарилфуран-3(2н)-онов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U227863B1 (en) 2012-05-29
DE60007267T2 (de) 2004-09-16
CZ20013662A3 (cs) 2002-02-13
ES2213007T3 (es) 2004-08-16
JP2002541251A (ja) 2002-12-03
BRPI0011172B1 (pt) 2017-05-16
PL351125A1 (en) 2003-03-24
CZ300766B6 (cs) 2009-08-05
DZ3265A1 (fr) 2000-10-19
CN1348447A (zh) 2002-05-08
ATE256672T1 (de) 2004-01-15
SK286314B6 (en) 2008-07-07
WO2000061571A1 (en) 2000-10-19
SK14512001A3 (sk) 2002-04-04
HUP0200623A3 (en) 2002-10-28
NO20014986L (no) 2001-11-01
DE60007267D1 (de) 2004-01-29
CA2369979A1 (en) 2000-10-19
PL204249B1 (pl) 2009-12-31
HK1046413B (zh) 2005-05-27
HK1046413A1 (en) 2003-01-10
EA004432B1 (ru) 2004-04-29
MXPA01010312A (es) 2005-07-25
BR0011172A (pt) 2002-02-19
HU0200623D0 (en) 2002-03-28
US6492416B1 (en) 2002-12-10
NZ514101A (en) 2001-09-28
AU767811B2 (en) 2003-11-27
AU4148000A (en) 2000-11-14
EP1109799A1 (en) 2001-06-27
EP1109799B1 (en) 2003-12-17
PT1109799E (pt) 2004-05-31
CA2369979C (en) 2009-12-08
IL145305A (en) 2006-10-31
MA25406A1 (fr) 2002-04-01
HUP0200623A2 (hu) 2002-07-29
NO327814B1 (no) 2009-09-28
IL145305A0 (en) 2002-06-30
EA200100958A1 (ru) 2002-06-27
TR200102958T2 (tr) 2002-05-21
CN1166658C (zh) 2004-09-15
NO20014986D0 (no) 2001-10-12
BRPI0011172B8 (pt) 2021-05-25
JP3844657B2 (ja) 2006-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111584A (ko) 시클로옥시게네이즈-2 저해제로서의4,5-디아릴-3(2h)-퓨라논 유도체
CA2243199C (en) Novel 3,4-diaryl thiophenes and analogs thereof having use as antiinflammatory agents
US5739166A (en) Substituted terphenyl compounds for the treatment of inflammation
AU2013265119A1 (en) Catechol O-methyltransferase activity inhibiting compounds
US5418254A (en) Substituted cyclopentadienyl compounds for the treatment of inflammation
JP2001199954A (ja) Cox−2インヒビターとしての(メチルスルホニル)フェニル−2−(5h)−フラノン類
HUT75225A (en) 5,6-dihydropyrone derivatives as protease inhibitors and antiviral agents
KR100495389B1 (ko) 시클로옥시게네이즈-2 저해제로서의4,5-디아릴-3(2h)-퓨라논 유도체
JP2000505421A (ja) Cox―2阻害剤のプロドラッグとしてのアルキル化スチレン
JPH09509159A (ja) 炎症の治療のための置換スピロ化合物
KR20000005146A (ko) 퓨란 디아릴메틸리덴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이를 함유하는약제학적 조성물
US6274590B1 (en) Method of treating skin related conditions
JP5419894B2 (ja) Trpv3モジュレーターとしての縮合ピリミジン誘導体
US6492413B2 (en) 3.4-diaryl thiophenes and analogs thereof having use as antiinflammatory agents
JP2002069054A (ja) シクロオキシゲナーゼ−2阻害剤としてのフェニルヘテロ環
KR20000066223A (ko) 디아릴-3(2h)퓨라논 유도체 및 이를 함유하는 시클로옥시게네이즈-2 저해제 조성물
HU228070B1 (hu) 4,5-Diaril-3(2H9-furanonszármazékok, mint a ciklooxigenáz-2 inhibitorai, diaril-oxaspiro-biciklusos származékok
KR20010010728A (ko) 2,2-디알킬-4,5-디아릴-3(2h)퓨라논의 유도체 및 이를 함유하는 시클로옥시게네이즈-2 저해제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