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2137A - 해수를 이용한 음료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해수를 이용한 음료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2137A
KR20010102137A KR1020017010319A KR20017010319A KR20010102137A KR 20010102137 A KR20010102137 A KR 20010102137A KR 1020017010319 A KR1020017010319 A KR 1020017010319A KR 20017010319 A KR20017010319 A KR 20017010319A KR 20010102137 A KR20010102137 A KR 200101021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eawater
calcium
beverage
magnes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0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8189B1 (ko
Inventor
이케가미요시나리
타부치히로시
나카가와코지
Original Assignee
아코 카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103514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295974A/ja
Application filed by 아코 카세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코 카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102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2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8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81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70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6Inorganic salts, minerals or trac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5Inorganic Compounds
    • A23V2250/154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02F1/0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8Seawater, e.g. for desalin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24Water desalin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24Water desalination
    • Y02A20/131Reverse-osmosi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Seasonings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Tea And Coffe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수를 탈염처리하여 물과 마그네슘이나 칼슘이나 철 등의 필수 미네랄 및 비타민류 등을 충분히 함유하는 농축액으로 분리하고, 이어 분리한 이 물에 상기 농축액 자체를, 또는 별도로 해수농축액에서 얻은 수용성의 마그네슘이나 칼슘이나 철 등의 필수 미네랄 성분을 첨가함으로써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과 얻어진 건강 기능성 개선을 위한 음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해수를 이용한 음료 및 그 제조방법{Drinks with the use of seawater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현대의 다양화 사회에서는 식품이나 음료 등의 소비재료에 대한 수요도 다양화되고 있으며, 건강 지향이나 미식 지향을 배경으로 다양하게 개발, 개량이 이루어지고 있고, 대부분의 신제품이 소비 생활에 공급되고 있다.
음료에 있어서는 탄산 음료나 커피 음료, 쥬스류 등이 종래부터 범용되어 왔으나, 이들의 주성분인 당류나 카페인 등은 건강에 오히려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친다고 하여 소비자로부터 경원시되고 있으며, 건강 녹차나 스포츠 드링크 등이 최근에는 소비자들의 인기를 모으고 있다. 앞으로도 미식 지향과 건강 지향이 음료에 있어서 중요시될 것으로 예상되며, 미식 지향과 건강 지향을 만족시키는 건강 음료가 음료 산업으로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건강 음료 중에서도 특히 일본인에서 부족한 경향이 있다고 하는 마그네슘이나 칼슘, 철 등의 필수 미네랄 및 비타민류 등을 함유하는 음료가 그 우수한 건강 기능성 때문에 주목받고 있다.
종래, 미네랄 성분을 첨가한 음료는 소위 미네랄수로 대표되며, 이것은 수돗물과 같은 음료수에 광석 등에서 채취한 미네랄 성분을 첨가한 것으로, 특허 공보도 다수 제시되었는데, 그 중 일본 특허공개 평9-164390호 공보나 일본 특허공개 평9-187777호 공보 등이 대표적인 것이다.
그러나, 이들 음료는 단순히 미네랄 성분을 첨가하고 있을 뿐으로, 인체에 필요로 되는 미네랄 중, 목적 성분의 1종류 또는 수 종류 밖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마그네슘이나 칼슘, 철 등의 필수 미네랄 성분은 첨가되어 있지만, 건강을 미묘하게 지탱해주는 기타 요오드나 구리 등의 필수 미량 미네랄 성분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 당분이나 산미료(酸味料)를 첨가해 맛을 조정하여 음료로 만드는 것도 있는데, 어느 것도 미네랄 밸런스를 유지한 건강음료로서 만족할 만한 것은 얻지 못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미네랄수에 있어 필수 미네랄 성분이나 필수미량 미네랄성분의 부족이라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획기적으로 새롭게 미네랄원으로서 해수를 이용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는데, 일본 특허공개 소60-255729호 공보에는, 해수를 탈염 처리하여 해수중의 NaCl 함량을 저감시키고 살균 처리한 미네랄 영양보강제가, 일본 특허공개 평3-77689호 공보에는 해수를 산성으로 만들고 강알칼리제를 첨가한 후 생성되는 침전물을 제거하여 얻은 용액을 농축하고, 다시 냉각하여 생성되는 침전물과, 침전물 제거후의 용액으로부터 수분을 제거하여 얻은 고체를 물에 용해시킨 음식품 제조용 이온수가, 그리고 일본 특허공개 평5-219921호 공보에는, 해수를 역삼투법으로 탈염하여 미네랄 광석과 접촉시키는 미네랄화 장치 등의 기술이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기술은 대부분이 음료수로서 적당한 것이 아니며, 해수를 그대로 첨가한 것으로는 짠맛을 피할 수 없으며, 짠맛을 억제하여 첨가량을 적게 하면 필수 미량 미네랄성분이 매우 적어지게 되어, 어떻든 해수중의 미네랄성분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속칭 '맛있는' 음료로 만든 것은 아직 실현되지 않았다. 또한, 사해의 물이나 그레이트 솔트 레이크 호수(Great Salt Lake)의 물을 조미료나 청량음료수의 첨가제로 사용하는 제품도 있지만, 모두 다 천연물이기 때문에 조성이 일정하지 않고 사용시에 희석을 해야할 필요가 있으며, 또한 미각의 조제가 어렵기 때문에 일부 소비자에게밖에 수용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자들은 음료에 해수를 이용하는 것에 대해 여러 가지 검토한 결과, 해수를 탈염처리한 물에 대해, 미네랄성분을 첨가하는 것에 관련된 발명에 이르게 되었으며, 이미 일본 특허출원 평10-51308호, 일본 특허출원 평11-32760호 및 일본 특허출원 평11-34162호로서 출원하였지만, 본 발명은 더욱 이것을 개선한 것이다.
본 발명은 미네랄 성분을 유효하게 보급할 수 있는 음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에 입각하여, 미식 지향과 건강 지향을 만족시키는 미래의 음료로서 중요한 미네랄 음료를 개량하고, 미네랄 밸런스가 잡힌 미네랄 음료를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더불어 해수를 미네랄원으로 한 새로운 미네랄 음료를 제조하는 것이 본 발명의 과제이다.
본 발명자는 상기한 종래의 음료를 개량하기 위해, 이러한 과제를 열심히 검토하여 미네랄 밸런스가 잡힌 미네랄 음료를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더불어해수를 미네랄원으로 사용한 새로운 미네랄 음료를 제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해양은 지구상의 모든 생명체의 기원이며, 모든 미네랄 성분이나 광물 자원 등의 보고로서, 지구상 수자원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인데, 그 염분 때문에 음료수로서는 계속 기피되어 왔으며, 예외적으로 음료수로서 호우건조지역에서만 약간, 고비용으로 해수의 담수화(淡水化)에 의해 사용되고 있을 뿐으로, 그 미네랄 성분의 이용은 식염 채취를 제외하고는 이전부터 전혀 사용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이제까지 이용된 적이 없었던 해수의 미네랄 성분을 유효하게 사용하여 새로운 음료를 얻는 것으로, 해수를 탈염처리함으로써 물을 제조하여 원료로 하고, 여기에 수용성 미네랄 성분을 첨가하여 음료로 만든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해수로는 표면수(表面水), 심해수(深海水)를 들 수 있는데, 어떠한 수심이나 심역의 것이라도 상관없지만, 부유물이나 유해 물질이 적은 깨끗한 해수이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또한, 본 발명의 탈염처리는 해수에 많이 포함되는 염화나트륨을 제거하는 것으로, 통상적인 여러 가지 방법이 사용되며, 역삼투막법이나 전기투석법이나 증류농축법 등이 바람직하다. 탈염처리에 의해 물과 농축액으로 분리되며, 이 물을 음료의 원료로 사용한다. 한편, 농축액에서 필요에 따라 다시 가열농축법 등에 의해 염화나트륨을 제외한, 인간이 살아가는 데에 필요한 마그네슘이나 칼슘 등의 미네랄 성분을 많이 포함한 미네랄 농축액을 얻을 수 있다. 이 미네랄 농축액을 처리함으로써, 월동(越冬) 간수, 간수 석고(石膏) 등을 얻을 수 있으며, 이들도 또한첨가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해수로서는 표층수도 사용할 수 있지만, 심도 100∼10000m 정도의 심해수, 바람직하게는 심도 100∼1000m, 특히 바람직하게는 200∼500m의 심해수가 적당하다.
즉, 본 발명은 해수를 탈염처리하여 얻은 물에, 수용성 미네랄 성분을 첨가하여 음료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그 기본적 구성은 하기의 (1)∼(15)로 이루어진 것이다.
(1) 해수를 탈염처리하여 얻은 물에, 수용성 미네랄 성분을 첨가한 음료.
(2) 수용성 미네랄 성분이 해수로부터 얻은 것인 상기 (1)의 음료.
(3) 해수를 탈염처리하여 얻은 물에, 같은 해수로부터 채취한 수용성 미네랄 성분을 첨가한 상기 (1) 또는 (2)의 음료.
(4) 해수부터 채취한 미네랄 성분이 마그네슘 및 칼슘인 상기 (1)∼(3) 음료.
(5) 칼슘에 대한 마그네슘의 중량비율(Mg/Ca)을 4/1에서 1/3으로 조정한 상기 (1)∼(4)의 음료.
(6) 칼슘에 대한 마그네슘의 중량비율(Mg/Ca)을 3/1로 조정한 상기 (1)∼(5)의 음료.
(7) EDTA법에 의해 측정한 경도가 100∼3,000인 상기 (1)∼(6)의 음료.
(8) EDTA법에 의해 측정한 경도가 250 또는 1000인 상기 (1)∼(7)의 음료.
(9) 당분이나 산미료에 의해 맛의 조정이 이루어진 상기 (1)∼(8)의 음료.
(10) 해수가 표층수인 상기 (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음료.
(11) 해수가 심해수인 상기 (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음료.
(12) 해수가 심도 100m 이상의 심해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1)에 기재된 음료.
(13) 해수가 심도 200∼500m의 심해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1) 또는 (12)에 기재된 음료.
(14) 채취된 해수를 탈염처리하여 물과 농축액으로 분리하고, 이어 분리한 이 물에 이 농축액을 첨가하거나, 혹은 다른 농축액으로부터 얻은 수용성 미네랄 성분을 첨가하는 음료의 제조방법.
(15) 채취된 해수가 심도 100m 이상의 심해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4)의 음료 제조방법.
본 발명은 종래에 없는 신규 음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발명으로, 건강상 필요한 일일 필수 미네랄을 충분히 공급할 수 있으며, 필수 미량 미네랄도 보급할 수 있는 미네랄 밸런스가 잡힌 미네랄 음료와, 아울러 미네랄의 보고인 해수를 미네랄원으로 한 새로운 미네랄 음료의 제조를 실현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해수를 탈염처리한 원료수에, 수용성 미네랄 성분을 첨가 배합함으로써 음료를 얻을 수 있다. 수용성 미네랄 성분은 광석 등으로부터 채취할 수 있는데, 상기 해수의 농축에 의해 입수한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수용성 미네랄 성분이란, 염화 나트륨을 제거한 마그네슘이나 칼슘이나 철 등의 주요 미네랄과 요오드나 구리, 아연 등의 필수 미량 미네랄을 의미한다.
또한,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서는 해수를 탈염처리한 원료수에, 염화나트륨을 제거한 상기 해수의 농축액이나 월동 간수, 간수 석고 등을 녹여 넣음으로써, 요오드나 구리나 아연 등 해수중의 필수 미량 미네랄 성분도 부수적으로 녹여 넣어 음료를 얻을 수 있다.
마그네슘과 칼슘은 인체에 있어 가장 중요한 미네랄인데, 이제까지 마그네슘을 배합한 건강 음료는 거의 없으며, 칼슘도 뼈나 치아의 형성유지를 위해 다량 필요하며, 본 발명은 이러한 2종류의 미네랄을 주요 성분으로서 첨가하는 것이다. 이 2종류의 미네랄 배합 비율은 임의의 것으로 해도 상관없지만, 칼슘에 대한 마그네슘의 중량비율(Mg/Ca)을 4/1로부터 1/3으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칼슘에 대한 마그네슘의 중량비율이 4보다 커지면, 쓴맛이 생겨 마시기 어려워지며, 마그네슘에 대한 칼슘의 중량비율이 3보다 커지면 맛이 경(硬)해지기 때문이다.
또한, 현재의 칼슘 섭취상황은 1일 권장량 600mg인데 반해 570mg으로 되어 있으며, 마그네슘의 섭취상황은 300mg인데 반해 200mg이라고 발표된 적이 있다(일본 후생성 데이터). 이 부족분을 보충하기 위해서는 칼슘과 마그네슘의 보급 측면에서도 미각 측면에서도 칼슘에 대한 마그네슘의 중량비율(Mg/Ca)을 3/1로 조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음료에 있어서는 경도(硬度)도 중요한 것으로 맛이나 먹기 쉬운 정도에 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의 음료 경도는 물의 마그네슘 이온과 칼슘 이온의 함유량을 나타내는 지표로, 탄산칼슘으로 환산하여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경도 측정에는 EDTA법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음료 경도는 100∼3,000의 것이 바람직하며, 100미만의 것에서는 마그네슘이나 칼슘의 주요 미네랄이나 필수 미량 미네랄의 함유량이 매우 적어지고, 3,000을 넘으면 맛이 경해지며, 마시기 어려워진다. 마시기 쉽고 동시에 마그네슘이나 칼슘의 주요 미네랄 섭취량을 늘리기 위해서는 경도 500∼1,500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서, 미네랄 보급을 주로 하는 음료의 관점에서는 미각 면에서 경도 1000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취사 등의 일반적인 조리용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요리에 따라 다르지만 경도 250이 범용성이 있으며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음료로서의 맛있음이나 먹기 쉬운 정도를 높이기 위해서, 당분이나 산미료 등으로 맛을 당연히 조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단맛이나 짠맛이나 미묘한 풍미 등을 빚어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음료의 제법에도 새로운 특징을 가지며, 그 제조방법의 기본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해수를 탈염처리하여 물과 농축액으로 분리하고, 그 물에 농축액을, 또는 농축액으로부터 얻은 수용성 미네랄 성분을 첨가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얻어진 음료는 해수로부터 물을 채취하여 첨가하는 마그네슘이나 칼슘 등의 미네랄 성분은 해수 농축물이기 때문에, 해수에 포함되는 미량 원소를 풍부하게 첨가할 수 있다. 해수로부터 채취하여 물과 농축물 쌍방에는 필수 미량 미네랄이나 미량 원소나 극미량의 여러 가지 물질이 함유되어 있어, 음료로서의미묘한 풍미와 불가사의한 건강 기능을 만들어 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염화나트륨을 거의 제거하였기 때문에, 짜지 않으며 염화나트륨이 건강에 끼치는 악영향도 없고, 적절하게 맛을 가미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마시기 쉽고, 건강 증진과 동시에 청량 특성을 갖는 음료로 만들어, 소비자들을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는 음료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과즙 원료나 비타민 등도 첨가할 수 있으며, 영양 성분을 보강한 영양 음료로서의 기능도 발휘할 수 있고, 약효 성분을 첨가함으로써 더욱 뛰어난 건강 증진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해수로부터 얻은 나트륨이나 칼륨을 특별히 첨가하여 워킹이나 스포츠 후의 땀 발생에 대응하는 음료수로 제조할 수도 있다.
이어, 실시예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양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해수 처리 ;
해수를 역삼투막법을 이용하여 물과 농축수로 분리하였다.
역삼투막 분리장치는 토오레(주)製 소형시험기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조작조건에서 분리하였다.
운전조건 : 액온 15℃
압력 : 56MPa
물 유량 : 1.9L/min
농축수 유량 : 16L/min
상기 조작으로 분리처리한 물의 전도도는 다음과 같다.
해수
전도도(μS/cm) 35,000 131
월동 간수를 전기투석장치로 조정한 간수에 첨가하여, 간수 석고를 얻었다. 이 간수 석고의 함유량 및 미량성분의 함유량은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다.
칼슘염
Ca(%) 24.2
Fe(ppm) 5.48
Cu(ppm) 0.66
Mn(ppm) 0.37
마그네슘염의 함유량은 탈염화 나트륨 처리를 위해 농축수를 가열하여 칼슘염, 염화나트륨을 분리하고 마그네슘염 용액을 얻었다. 이 마그네슘염의 함유량 및 미량 성분의 함유량은 표 3에 나타낸 대로이다.
칼슘염
Mg(%) 5.18
Fe(ppm) 0.34
Cu(ppm) 0.74
Mn(ppm) 0.25
Zn 1.48
Co 0.01
Mo 0.28
미각 테스트 결과
상기 원료를 사용하여 미각 관능 테스트를 실시하였으며, 그 미각 테스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또한, 음료의 경도 및 Mg/Ca 중량 비율은 다음과 같이 하였다.
Mg/Ca비(칼슘에 대한 마그네슘의 중량비율)
A=6/1, B=5/1, C=4/1, D=3/1, E=2/1, F=1/1, G=1/2, H=1/3, I=1/4, J=1/5
또한, 경도(EDTA법)는 다음과 같이 하였다.
50, 100, 200, 500, 1000, 1500, 2000, 3000, 4000
경도(EDTA법) Mg/Ca 중량비율
A B C D E F G H I J
50
100
200
500
1,000
1,500 ×
2,000 × ×
3,000 × × -
4,000 × × × × × × × × - -
(주) 평가방법 : 5인의 성인남녀 평가단에 의해, 미각 감각에 따라 테스트하였다.□ : 가장 양호 ○: 양호 △ : 약간 불량 × : 불량
테스트 결과의 평가
음료의 경도가 100미만이면 맛있지만, 마그네슘이나 칼슘이나 미량 미네랄의 함유량이 매우 적어 미네랄 보강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으며, 경도가 100이상이어도 칼슘에 대한 마그네슘의 중량비율이 4보다 커지면, 마그네슘의 쓴맛이 나오기 시작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경도가 100이상으로, 마그네슘에 대한 칼슘의 중량비율이 3보다 커지면, 맛이 경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음료의 경도가 3,000보다 높고, 마그네슘에 대한 칼슘의 중량비율이 4보다 커지면, 칼슘염이 용해되지 않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고, 경도가 4,000이 되면 맛없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그 결과, 음료의 경도 100∼3000에서, Mg/Ca가 4/1∼1/3의 범위가 맛있는 범위임을 알 수 있었다.
상기의 원료를 사용하여, 칼슘에 대한 마그네슘의 중량비율(Mg/Ca)을 3/1, 경도를 1000으로 조정한 음료의 ICP-MS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경도 1000
Na 74ppm
Mg 200ppm
Ca 71ppm
K 69ppm
Fe 7.4ppb
Zn 34.5ppb
Cu 24.4ppb
I 8.8ppb
P 2.8ppb
Se 1.9ppb
Mn 0.1ppb
(실시예 2)
해수 처리 ;
해수를 이온교환 전기투석장치를 사용하여 희박수와 농축수로 분리하였다.
이온교환 전기투석장치는 아사히 가라스(주)製 소형시험기를 사용하였다.
◎ 조작 조건은 다음과 같았다.
운전조건 : 유효막 면적 1.72dm2/장
(양이온 교환막 14장, 음이온 교환막 10장 사용)
정전류 : 8A
유속 : 200L/H
액온 : 14℃
◎ 분리수의 전도도 ;
상기 조작으로 얻어진 분리 처리수의 전도도는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다.
해수 희박수
전도도(μS/cm) 155,000 2,800
◎ 칼슘, 마그네슘의 함유량;
농축수를 농축하고 탈염화 나트륨 처리를 실시하여, 염화나트륨과 칼슘, 마그네슘염 용액을 분리하였다. 분리한 칼슘, 마그네슘염 용액의 함유량은 표 7에 나타낸 대로이다.
(또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동이나 마그네슘 등의 미량 미네랄도 함유되어 있었다.)
단위 함유량
Ca % 0.74
Mg % 2.80
Fe ppb 14
Cu ppb 15
Mn ppb 0.16
Zn ppb 742
Mo ppb 180
I ppm 1.3
상기 역삼투막 처리에서 얻은 전도도 131μS/cm의 물과 표 7의 칼슘과 마그네슘 용액을 사용하여, 경도를 이하의 하기 a∼i로 조정한 음료의 미각관능시험을 실시하였다. 미각 테스트 결과를 표 8에 나타내었다.
또한, 음료의 경도는 다음과 같다.
a=50, b=100, c=200, d=500, e=1,000, f=1,500, g=2,000, h=3,000, i=4,000
경도(동일) a b c d e f g h i
관능시험 ×
(주) 평가방법은 다음과 같다.
5인의 성인남녀 평가단에 의해 미각 감각에 따라 테스트하였다.
□ : 가장 양호 ○ : 양호 × : 불량
테스트 결과의 평가;
음료의 경도가 100미만이면 맛있긴 하지만, 칼슘이나 마그네슘이나 미량 미네랄의 함유량이 매우 적어 미네랄 보급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경도가 4,000이 되면, 맛이 없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그 결과,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음료의 경도 100∼3000에서 Mg/Ca가 4/1∼1/3인 범위가 맛있는 범위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의 원료를 사용하여, 칼슘에 대한 마그네슘의 중량비율(Mg/Ca)을 3/1, 경도를 250으로 조정한 음료의 ICP-MS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경도 250
Na 19ppm
Mg 50ppm
Ca 18ppm
K 17ppm
Fe 1.9ppb
Zn 8.6ppb
Cu 6.1ppb
I 2.2ppb
P 0.7ppb
Se 0.5ppb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한 원료를 사용해 매실 맛이 나는 청량음료를 만들어 미각관능테스트를 실시한 후, 그 미각 테스트 결과를 이하에 나타내었다.
또한, 시험에 사용한 음료는 칼슘에 대한 마그네슘의 중량비율(Mg/Ca)을 3/1로 하고, 경도를 전체적으로 1000이 되도록 조정하였다.
원료 배합1 배합2 배합3
매실즙 2 4 6
비타민 C 0.05 0.05 0.05
올리고당 5 5 5
평가
(주) 평가방법은 다음과 같다.
5인의 성인남녀 평가단에 의해, 미각 감각에 따라 테스트하였다.
□ : 가장 양호 ○ : 양호 △ : 약간 불량 × : 불량
(실시예 4)
쥐에게, 고(高)콜레스테롤식과 실시예 1의 경도 1000으로 조정한 음료를 자유 섭취시키고 4주간 사육후, 혈장중의 총 콜레스테롤, LDL-Ch를 측정하였다. 시험 동물은 위스터(Wister)계 수컷 쥐 10주 연령(1군 8마리)의 것을 사용하였다. 총 콜레스테롤, LDL-Ch의 결과를 표 11에 나타내었다.
(단위 : mg/dl)
총 콜레스테롤 LDL-Ch
고콜레스테롤 식이 144 38
고콜레스테롤 식이+경도 1000 101 26
테스트 결과의 평가 ;
미네랄이 풍부한 경도 1000의 음료를 음료수로 섭취함으로서, 총 콜레스테롤및 동맥 경화의 원인이 되는 LDL-Ch의 증가를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표층수 또는 심해수를 이용하여 얻어진 음료는 해수에 포함되는 마그네슘이나 칼슘 등의 필수 미네랄이나 필수 미량 미네랄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마그네슘이나 칼슘 등의 양도 임의로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염화나트륨을 대부분 제거하였기 때문에 짜지 않고 염화나트륨이 건강에 미치는 악영향도 없으며 적절하게 가미할 수도 있으므로, 마시기 쉬운 '건강음료수'나 '청량 음료수' 등 적당한 음료로 만들어, 소비자들이 충분히 만족할 만한 음료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5)

  1. 해수를 탈염처리하여 얻은 물에 수용성 미네랄 성분을 첨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2. 제 1 항에 있어서, 수용성 미네랄 성분이 해수로부터 얻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해수를 탈염처리하여 얻은 물에, 같은 해수로부터 채취한 수용성 미네랄 성분을 첨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4. 제 1 항∼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해수로부터 채취한 미네랄 성분이 마그네슘 및 칼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5. 제 1 항∼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칼슘에 대한 마그네슘의 중량비율(Mg/Ca)을 4/1로부터 1/3로 조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6. 제 5 항에 있어서, 칼슘에 대한 마그네슘의 중량비율(Mg/Ca)을 3/1로 조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7. 제 1 항∼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EDTA법에 의해 측정한 경도가 100∼3,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8. 제 7 항에 있어서, EDTA법에 의해 측정한 경도가 250 또는 1,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9. 제 1 항∼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당분이나 산미료에 의해 맛의 조정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10. 제 1 항∼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해수가 표층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11. 제 1 항∼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해수가 심해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12. 제 11 항에 있어서, 해수가 심도 100m이상의 심해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해수가 심도 200∼500m의 심해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14. 채취된 해수를 탈염처리하여 물과 농축액으로 분리하고, 이어 분리한 이 물에 상기 농축액을 첨가하거나, 또는 다른 농축액으로부터 얻은 수용성 미네랄 성분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의 제조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채취된 해수가 심도 100m이상의 심해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의 제조방법.
KR1020017010319A 1999-02-15 1999-12-17 해수를 이용한 음료 KR1005681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035145A JP2000295974A (ja) 1998-02-18 1999-02-15 海水を利用した飲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JP-P-1999-00035145 1999-02-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2137A true KR20010102137A (ko) 2001-11-15
KR100568189B1 KR100568189B1 (ko) 2006-04-05

Family

ID=12433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0319A KR100568189B1 (ko) 1999-02-15 1999-12-17 해수를 이용한 음료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6884444B1 (ko)
EP (1) EP1161886B1 (ko)
KR (1) KR100568189B1 (ko)
CN (2) CN1236702C (ko)
AT (1) ATE311121T1 (ko)
AU (1) AU764290B2 (ko)
CA (1) CA2363458C (ko)
DE (1) DE69928699T2 (ko)
DK (1) DK1161886T3 (ko)
ES (1) ES2251247T3 (ko)
NZ (1) NZ513398A (ko)
TW (1) TW536393B (ko)
WO (1) WO2000047064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3720A (ko) * 2002-07-03 2004-01-13 김우영 변비 치료에 효과적인 건강보조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40003719A (ko) * 2002-07-03 2004-01-13 김우영 다이어트에 효과적인 건강보조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43574B1 (ko) * 2003-11-05 2006-01-20 주식회사 대한심층수 미네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751581B1 (ko) * 2006-06-19 2007-08-22 (주)블루오션월드 미네랄 성분의 자유로운 조정이 가능한 해양 심층수를이용한 미네랄 워터의 제조방법
KR100759983B1 (ko) * 2007-06-08 2007-10-04 주식회사 워터비스 미네랄 성분의 자유로운 조정이 가능한 해양 심층수를이용한 미네랄 워터의 제조방법
KR100838058B1 (ko) * 2006-03-14 2008-06-13 서희동 해수를 이용하여 가축의 음용수를 처리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48002A1 (de) * 2000-09-26 2002-04-11 Solar Freshwater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Getränken sowie Getränk
NL1019544C2 (nl) 2001-12-12 2003-06-13 Sara Lee De Nv Inrichting voor het aanbieden en afgeven van voor consumptie geschikt mineraalwater.
JP2005320278A (ja) * 2004-05-07 2005-11-17 Suntory Ltd 自律神経調節作用を有する組成物およびその使用方法
WO2007010549A1 (en) * 2005-07-20 2007-01-25 Mahesh Gupta A household reverse osmosis based drinking water purifier
JP5035865B2 (ja) * 2005-09-26 2012-09-26 国立大学法人高知大学 Helicobacterpylori菌株の増殖・運動抑制方法
EP1857415A1 (en) * 2006-05-18 2007-11-21 G.M.-Mega S.p.A.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drinking waters
US8101218B2 (en) * 2007-04-02 2012-01-24 Minus Leslie J Nutritional beverage formulation
KR100911949B1 (ko) * 2007-08-02 2009-08-13 주식회사 워터비스 지방 분해 및 생성 억제 해양성 미네랄 조성물
CN101481167B (zh) * 2008-01-09 2011-05-04 财团法人石材暨资源产业研究发展中心 矿物质组合物的制造方法
US20100003315A1 (en) * 2008-07-02 2010-01-07 Willeford Kenneth L Method and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Skin Conditions
CN103082372B (zh) * 2011-11-03 2014-06-18 台湾海洋深层水股份有限公司 用于降低血胆固醇的深层海水浓缩液的制造方法
US10104901B2 (en) * 2012-04-17 2018-10-23 Luberski, Inc. Optimizing egg production characteristics via seawater mineralization
US10201153B2 (en) 2012-04-17 2019-02-12 Luberski, Inc. Optimizing egg production characteristics via seawater mineralization
CN102652563B (zh) * 2012-04-18 2013-12-11 中国海洋大学 一种含有海洋深层水的保健饮用液及其制备方法
KR20140052389A (ko) * 2012-10-24 2014-05-07 주식회사 아리바이오 해양 심층수 또는 염지하수로부터 제조된 고경도의 미네랄 워터를 포함하는 변비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170042198A1 (en) * 2014-03-31 2017-02-16 Aribio Inc. Functional beverage including high hardness mineral water produced from salty underground water or deep seawater
CN105707613A (zh) * 2014-12-02 2016-06-29 罗莎国际有限公司 海水浓缩液的制法
CN107535781A (zh) * 2017-08-02 2018-01-05 江苏丰海新能源淡化海水发展有限公司 一种含有淡化海水的运动饮料及其制备方法
CN108095111B (zh) * 2017-12-17 2021-06-18 锦上花医疗健康科技发展(广东)有限公司 包含深层海水矿物质的营养组合物及在产后催乳中的作用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89379A (en) * 1977-09-16 1980-02-19 Finley Warren T Method for bringing nutrient-rich water from the aphotic zone of the ocean to the photic zone
EP0011798B1 (de) * 1978-11-25 1982-12-22 Knut Stache Vorrichtung zur Gewinnung von Trinkflüssigkeit aus Meerwasser, verunreinigtem Wasser o. dgl. durch Osmose
JPS60255729A (ja) * 1984-05-31 1985-12-17 Koasa Shoji Kk 海水を利用したミネラル栄養補強剤
ES8702157A1 (es) * 1984-11-21 1987-01-01 Syrinx Res Pty Ltd Un metodo de destilacion por membrana para la concentrancion de un primer fluido de presion osmotica relativamente baja.
US4634533A (en) * 1985-04-26 1987-01-06 Somerville Robert L Method of converting brines to useful products
JPS62121694A (ja) * 1985-11-19 1987-06-02 Mitsubishi Heavy Ind Ltd 炭酸ガスを使用した飲料水化装置の制御方法
KR940004884B1 (ko) * 1989-04-03 1994-06-04 아쓰시 나스 음식품 제조용 이온수의 제조방법
JPH04126057A (ja) * 1990-09-17 1992-04-27 Nichii Suishiyou Kouren:Kk 海水入り清涼飲料水
JP2580428B2 (ja) * 1992-02-26 1997-02-12 真平 真島 健康増進液及びその製造方法
JP2571503B2 (ja) * 1992-10-29 1997-01-16 株式会社 マグ研究所 海水から真水を得る方法及びその装置
JPH08209739A (ja) 1995-02-02 1996-08-13 Chem Grouting Co Ltd 多軸掘削工法及び装置
WO1996029890A1 (de) * 1995-03-24 1996-10-03 Felbena Ag Prëparate zur erhöhung des mineralstoffgehaltes von wasser und getränken,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JP2887105B2 (ja) * 1996-04-24 1999-04-26 幸子 林 飲料水および塩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H10150960A (ja) * 1996-07-23 1998-06-09 Hidekazu Itaka 深層海水成分を用いた清涼飲料
JPH10314550A (ja) * 1997-05-14 1998-12-02 Mitsubishi Heavy Ind Ltd 造水装置およびその周辺装置
FR2774557B1 (fr) * 1998-02-11 2000-04-28 Agronomique Inst Nat Rech Preparation de supplementation pour boisson et procede d'enrichissement en magnesium et calcium d'une boisson
US6190556B1 (en) * 1998-10-12 2001-02-20 Robert A. Uhlinger Desalination method and apparatus utilizing nanofiltration and reverse osmosis membranes
US6171622B1 (en) * 1998-12-04 2001-01-09 Marine Bio Co., Ltd. Mineral-containing functional beverage and food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US6261610B1 (en) * 1999-09-24 2001-07-17 Nestec S.A. Calcium-magnesium fortified water, juices, beverages and other liquid food products and process of making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3720A (ko) * 2002-07-03 2004-01-13 김우영 변비 치료에 효과적인 건강보조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40003719A (ko) * 2002-07-03 2004-01-13 김우영 다이어트에 효과적인 건강보조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43574B1 (ko) * 2003-11-05 2006-01-20 주식회사 대한심층수 미네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838058B1 (ko) * 2006-03-14 2008-06-13 서희동 해수를 이용하여 가축의 음용수를 처리하는 방법
KR100751581B1 (ko) * 2006-06-19 2007-08-22 (주)블루오션월드 미네랄 성분의 자유로운 조정이 가능한 해양 심층수를이용한 미네랄 워터의 제조방법
KR100759983B1 (ko) * 2007-06-08 2007-10-04 주식회사 워터비스 미네랄 성분의 자유로운 조정이 가능한 해양 심층수를이용한 미네랄 워터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11151A (zh) 2005-05-04
AU764290B2 (en) 2003-08-14
CA2363458A1 (en) 2000-08-17
EP1161886B1 (en) 2005-11-30
CN1236702C (zh) 2006-01-18
AU1688200A (en) 2000-08-29
CA2363458C (en) 2008-08-12
US6884444B1 (en) 2005-04-26
WO2000047064A1 (fr) 2000-08-17
CN1337857A (zh) 2002-02-27
ES2251247T3 (es) 2006-04-16
TW536393B (en) 2003-06-11
KR100568189B1 (ko) 2006-04-05
EP1161886A4 (en) 2002-07-24
NZ513398A (en) 2002-06-28
DE69928699T2 (de) 2006-07-27
DE69928699D1 (de) 2006-01-05
DK1161886T3 (da) 2006-03-27
ATE311121T1 (de) 2005-12-15
EP1161886A1 (en) 2001-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8189B1 (ko) 해수를 이용한 음료
EP0301653B1 (en) Calcium-supplemented beverages and beverage concentrates contaning low levels of sulfate
CN100355666C (zh) 利用海水的矿物组合物
CN102933101B (zh) 植物性电解液组合物
KR20080068642A (ko) 무기질 영양소를 제공하기 위한 식품 첨가물
JP2002292371A (ja) 海洋深層水より分離した淡水と濃縮深層水とミネラル濃縮液と濃縮塩水と苦汁と特殊塩
JP2000295974A (ja) 海水を利用した飲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4045060B2 (ja) 鉱泉水由来のミネラル成分含有の深層水飲料
JP4607164B2 (ja) 飲料の製造方法
JP4045061B2 (ja) 深層水由来のミネラル成分含有の鉱泉水飲料
US20080081088A1 (en) Phosphoric acid beverages with calcium to phosphorus ratios of 1:1 or greater and methods of making
JP4536480B2 (ja) 海水を利用した飲料の製造方法
JP2007267747A (ja) 海水を利用した飲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348740A (ja) 海水を利用した飲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182948A (ja) 亜鉛含有飲料
US20050158425A1 (en) Thin mouthfeel calcium-fortified beverage containing calcium lactate gluconate citrate
JP2007512824A (ja) 乳酸グルコン酸クエン酸カルシウムを含む、薄い口当たりのカルシウム強化飲料
JPH11299454A (ja) ドロマイトの可溶化方法
JP2003038139A (ja) 海洋深層水を利用した野菜系飲料
JP2010200706A (ja) カルシウム強化炭酸飲料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1106

Effective date: 20080513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70814

Effective date: 20080513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7100003101;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1106

Effective date: 20080513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710300016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70814

Effective date: 20080513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8203007553;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8200007546;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80618

Effective date: 20081218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8203007553; JUDGMENT (PATENT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80618

Effective date: 20081218

EXTG Ip right invalidated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80618

Effective date: 20081218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8200007546;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80618

Effective date: 20081218

O074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