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0944A - 이상진단 시스템 및 이상진단 데이터 기억방법 - Google Patents

이상진단 시스템 및 이상진단 데이터 기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0944A
KR20010100944A KR1020010023535A KR20010023535A KR20010100944A KR 20010100944 A KR20010100944 A KR 20010100944A KR 1020010023535 A KR1020010023535 A KR 1020010023535A KR 20010023535 A KR20010023535 A KR 20010023535A KR 20010100944 A KR20010100944 A KR 200101009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abnormal
unique
abnormality
thou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3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9623B1 (ko
Inventor
나다미츠히로
Original Assignee
와다 아끼히로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다 아끼히로,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와다 아끼히로
Publication of KR20010100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0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9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96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5/00Electrical control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D41/00 - F02D43/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B60W20/50Control strategies for responding to system failures, e.g. for fault diagnosis, failsafe operation or limp mo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4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the architecture of the hybrid electric vehicle
    • B60K6/44Series-parallel type
    • B60K6/445Differential gearing distribution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2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 B60W10/2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for electrical energy, e.g. batteries or 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097Predicting future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2050/0001Details of the control system
    • B60W2050/0002Automatic control, details of type of controller or control system architecture
    • B60W2050/0016State machine analy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2Ensuring safety in case of control system failures, e.g. by diagnosing,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B60W50/0205Diagnosing or detecting failures; Failure detection models
    • B60W2050/021Means for detecting failure or malfun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2Hybrid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4Data processing systems or methods, management, administ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 Test And Diagnosis Of Digital Computers (AREA)

Abstract

이상(異常)판별부 (272a) 는 마스터 제어 CPU 에 입력되는 각종 신호에 근거하여 이상의 발생을 검출하고, 이 이상사상(事象:event)을 판별한다. 데이터 선택부 (272b) 는 판별한 이상사상에 대응하여 이 이상사상에 고유한 고유 데이터를 마스터 제어 CPU 에 입력되는 데이터와 마스터 제어 CPU 내에서 생성되는 데이터 중에서 선택한다. 입력부 (272c) 는 선택한 고유 데이터를 이상사상의 차이에 상관없이 공통인 공통 데이터와 함께 프리즈 프레임(freeze-frame) 데이터로서 EEPROM (280) 에 입력한다. 판독부 (272d) 는 진단(diag) 테스터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EEPROM (280) 에 기억된 데이터 중에서 원하는 프리즈 프레임 데이터를 판독한다.

Description

이상진단 시스템 및 이상진단 데이터 기억장치{ABNORMALITY DIAGNOSTIC SYSTEM AND ABNORMALITY DIAGNOSTIC DATA STORING METHOD}
본 발명은 차량내에서 이상(異常)을 검출하였을 때에, 그 이상사상 (事象 :event) 에 대응하여 이상진단에 사용되는 이상진단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서 이상이 발생한 경우, 나중에 그 이상을 진단하기 위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기억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진단 시스템에서는, 차량내에서 이상이 발생한 경우, 그 이상사상을 판별하여 이상 발생시의 주요한 데이터 (예를 들어, 엔진 냉각수온 등의 차량의 거동(擧動)을 나타내는 데이터 등) 를 이상진단 데이터, 즉 프리즈 프레임(freeze-frame) 데이터로서 기억하였다. 이 프리즈 프레임 데이터는 이상이 발생할 때마다 그 이상사상마다 구별되어 기억되지만, 기억되는 데이터의 종류나 갯수는 그 이상사상의 차이에 상관없이 고정되어 있었다.
한편, 최근 차량에서는 전자 회로의 다용(多用)에 의한 제어 시스템의 복잡화에 수반하여,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그 이상사상의 해석의 난이도가 대폭으로 상승하고 있다. 게다가, 예를 들어 전자 회로에서의 땜납 불량 등에 기인한 이상사상일 경우, 기판 온도에 의해 그 발생이 불안정하여 그 이상사상의 재현이 곤란해진다.
이러한 종류의 이상진단 시스템과 관련된 것에는,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171998 호에 기재된 기술을 예로 들 수 있다.
그러나, 상기의 이상진단 시스템에서는 이상사상마다 기억되는 프리즈 프레임 데이터의 종류나 갯수가 이상사상의 차이에 관계없이 고정이기 때문에, 이 같은 프리즈 프레임 데이터를 사용하여 후에 이상진단을 실시하는 경우 프리즈 프레임 데이터로부터 이상 발생시의 차량의 거동이나 상황은 파악할 수 있지만, 발생한 이상사상을 해석하거나 재현하는 것이 매우 곤란하였다. 이 때문에, 이러한 프리즈 프레임 데이터로부터, 일어날 수 있는 가능성을 열거한 후 소거법으로 추정하는 것 밖에 방법이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나중에 이상진단시에 발생한 이상사상의 해석이나 재현이 용이해지는 이상진단 데이터를 기억시키는 것이 가능한 이상진단 시스템 및 이상진단 데이터 기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로서의 이상진단 시스템이 적용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2 는 실시형태에서의 제어시스템 (200) 의 보다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 은 도 1 의 하이브리드 차량에 적용되는 이상진단 시스템의 주요부분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4 는 도 3 에 나타낸 이상진단 시스템에 의한 프리즈 프레임 데이터 기억처리의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5 는 도 3 에 나타낸 EEPROM (280) 내의 진단 코드 기억영역과 거기에 순차적으로 기억되는 진단 코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6 은 도 3 에 나타낸 EEPROM (280) 내의 프리즈 프레임 데이터 기억영역과 거기에 순차적으로 기억되는 프리즈 프레임 데이터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7 은 도 3 에 나타낸 EEPROM (280) 의 기억된 프리즈 프레임 데이터의 판독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8 은 도 3 에 나타낸 EEPROM (280) 내의 프리즈 프레임 데이터 기억영역에 기억된 프리즈 프레임 데이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9 는 도 3 에 나타낸 EEPROM (280) 내의 프리즈 프레임 데이터 기억영역에 기억된 프리즈 프레임 데이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0 은 도 3 에 나타낸 EEPROM (280) 내의 프리즈 프레임 데이터 기억영역에 기억된 프리즈 프레임 데이터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1 은 도 3 에 나타낸 EEPROM (280) 내의 프리즈 프레임 데이터 기억영역에 기억된 프리즈 프레임 데이터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2 는 도 3 에 나타낸 EEPROM (280) 내의 프리즈 프레임 데이터 기억영역에 기억된 프리즈 프레임 데이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부에 대한 부호의 설명
191, 192 : 구동회로 194 : 배터리
210 : 메인 ECU 220 : 브레이크 ECU
230 : 배터리 ECU 240 : 엔진 ECU
본 발명의 제 1 태양은 차량내에서 이상을 검출하였을 때에, 그 이상사상에 대응하여 이상진단에 사용하기 위한 이상진단 데이터를 기억시키는 것이 가능한 이상진단 시스템으로, 상기 이상사상에 대응하여 기억되는 상기 이상진단 데이터는 이상사상의 차이에 상관없이 공통인 공통 데이터와, 상기 이상사상에 고유한 고유 데이터를 구비한다.
이 이상진단 시스템에 따르면, 이상진단 데이터로서 이상사상의 차이에 상관없이 공통인 공통 데이터 뿐만 아니라 이상사상에 고유한 고유 데이터도 함께 기억시키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후에 이 이상진단 데이터를 사용하여 이상진단을 실시할 경우에, 이 이상사상에 고유한 고유 데이터를 이용함으로써 발생한 이상사상의 해석이나 재현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공통 데이터를 이용함으로써 각종의 관점에서 이상사상을 해석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이 이상사상을 다른 이상사상과 비교하여 해석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상기의 태양에서, 상기 이상진단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상기 이상을 검출하였을 때에 그 이상사상을 판별하는 이상판별수단과, 판별한 상기 이상사상에 대응하여 상기 이상사상에 고유한 상기 고유 데이터를 선택하는 선택수단과, 선택한 상기 고유 데이터를 상기 공통 데이터와 함께 상기 이상사상에 대응하는 상기 이상진단 데이터로서 상기 기억수단에 입력하는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각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이상을 검출하였을 때에 기억수단에 공통 데이터와 고유 데이터를 구비하는 이상진단 데이터를 이 이상사상에 대응하여 기억시킬 수 있다.
상기 태양에서, 상기 기억수단은 각 고유 데이터가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는 공유기억영역을 가지며, 상기 입력수단은 상기 고유 데이터를 상기 공유기억영역에 입력할 수 있다.
이렇게 기억수단에, 각 고유 데이터가 각각 전용으로밖에 이용할 수 없는 전용기억영역이 아니라 각 고유 데이터가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는 공유기억영역을 형성하여, 이상 검출시에 이상사상에 대응하는 고유 데이터를 그 공유기억영역에 입력함으로써 기억수단에서의 기억영역을 쓸데없이 소비하지 않고 가장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태양에서 상기 공통 데이터는 상기 차량의 거동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공통 데이터가 이러한 데이터를 포함함으로써 이상사상마다 이상 발생시의 차량 거동을 명확히 파악할 수 있다.
상기 태양에서 상기 이상사상에 대응하여 기억되는 상기 이상진단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를 이상사상의 차이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태양에서 상기 고유 데이터는 복수의 데이터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이들 각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를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길이로 함으로써, 기억수단에 대한 데이터 입력이나 판독을 간소화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기억수단에서의 기억영역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태양은, 차량내에서 이상을 검출하였을 때에 이 이상사상에 대응하여 이상진단에 사용하기 위한 이상진단 데이터를 기억수단에 기억시키기 위한 이상진단 데이터 기억방법으로, (a) 상기 이상을 검출하였을 때에 그 이상사상을 판별하는 공정과, (b) 판별된 상기 이상사상에 대응하여 적어도 그 이상사상에 고유한 고유 데이터를 선택하는 공정과, (c) 선택된 상기 고유 데이터를 이상사상의 차이에 상관없이 공통인 공통 데이터와 함께 상기 이상사상에 대응하는 상기 이상진단 데이터로서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시키는 공정을 구비한다.
상기 이상진단 데이터 기억방법에 따르면 차량내에서 이상을 검출하였을 때에 기억수단에 기억시키는 이상진단 데이터로서 공통 데이터뿐아니라 고유 데이터도 함께 기억시키기 때문에, 나중에 이 이상진단 데이터를 사용하여 이상진단을 하는 경우에 그 이상사상에 고유한 고유 데이터를 이용함으로써 이상사상의 해석이나 재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실시형태에 의거하여 아래와 같은 순서로 설명한다.
A. 하이브리드 차량의 전체 구성
B. 하이브리드 차량의 기본 동작
C. 제어시스템의 구성
D. 이상진단 시스템:
D-1. 이상진단 시스템의 구성:
D-2. 프리즈 프레임 데이터 기억처리:
D-3. 프리즈 프레임 데이터 판독처리:
D-4. 실시형태의 효과:
E. 변형예
E-1. 변형예 1:
E-2. 변형예 2:
E-3. 변형예 3:
E-4. 변형예 4:
A. 하이브리드 차량의 전체 구성: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로서의 이상진단 시스템은 예컨대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은 하이브리드 차량에 적용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로서의 이상진단 시스템이 적용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 하이브리드 차량은 엔진 (150) 과, 2 개의 모터/제너레이터 (MG1, MG2) 인 3 개의 원동기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모터/제너레이터」란, 모터로서도 기능하고 또 제너레이터로서도 기능을 하는 원동기를 의미하고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간편하게 하기 위해, 이를간단히 「모터」라 한다. 차량의 제어는 제어시스템 (200) 에 의해 행해진다.
제어시스템 (200) 은, 메인 ECU (하이브리드 ECU) (210), 브레이크 ECU (220), 배터리 ECU (230), 및 엔진 ECU (240) 을 구비하고 있다. 각 ECU 는 마이크로컴퓨터나, 입력인터페이스, 출력인터페이스 등 복수의 회로요소가 1 개의 회로기판상에 배치된 1 유닛으로 구성된 것이다. 메인 ECU (210) 은 모터제어부 (260) 와 마스터 제어부 (하이브리드 제어부) (270) 를 구비하고 있다. 마스터 제어부 (270) 는, 3 개의 원동기 (150, MG1, MG2) 의 출력 배분 등의 제어량을 결정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동력시스템 (300) 은 엔진 (150), 모터 (MG1, MG2), 구동회로 (191, 192) , 시스템 메인릴레이 (193), 및 배터리 (194) 를 구비하고 있다.
엔진 (150) 은 통상적인 가솔린 엔진이며, 크랭크축 (156) 을 회전시킨다. 엔진 (150) 의 운전은 엔진 ECU (240) 에 의해 제어되고 있다. 엔진 ECU (240) 는, 마스터 제어부 (270) 로부터의 지령(指令)에 따라 엔진 (150) 의 연료분사량 기타 제어를 실행한다.
모터 (MG1, MG2) 는 동기 전동기로서 구성되어 있고, 외주면에 복수개의 영구자석을 갖는 회전자 (rotor) (132, 142) 와, 회전 자계를 형성하는 삼상(三相)코일 (131, 141) 이 감겨진 고정자 (stator) (133, 143) 를 구비한다. 고정자 (133, 143) 는 케이스 (119) 에 고정되어 있다. 모터 (MG1, MG2) 의 고정자 (133, 143) 에 감겨진 삼상코일 (131, 141) 은 각각 구동회로 (191, 192) 를 통하여 시스템 메인 릴레이 (193) 을 거쳐 배터리 (194) 에 접속되어 있다. 시스템메인릴레이 (198) 는, 배터리 (194) 와 구동회로 (191, 192) 의 접속 또는 분리를 실행하는 릴레이 스위치이다. 시스템 메인릴레이 (193) 는 마스터 제어부 (270) 에 의해 제어된다. 또, 배터리 (194) 로부터의 전력은 시스템 메인릴레이 (193) 을 거쳐 보조장치 (도시생략) 에도 공급되고 있다.
구동회로 (191, 192) 는 각 상(相) 마다 스위칭소자로서의 트랜지스터를 1 쌍씩 구비한 트랜지스터 인버터이다. 구동회로 (191, 192) 는 모터 제어부 (260) 에 의해 제어된다. 모터 제어부 (260) 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회로 (191, 192) 의 트랜지스터가 스위칭되면, 배터리 (194) 와 모터 (MG1, MG2) 의 사이에 전류가 흐른다. 모터 (MG1, MG2) 은 배터리 (194) 로부터의 전력 공급을 받아 회전구동하는 전동기로서 동작할 수도 있고 (이하, 이 동작상태를 역행(力行)이라 칭함), 회전자 (132, 142) 가 외력에 의해 회전하고 있는 경우에는 삼상코일 (131, 141) 의 양단에 기전력을 발생시키는 발전기로서 기능하여 배터리 (194) 를 충전할 수도 있다 (이하, 이 동작상태를 회생이라 칭함).
엔진 (150) 과 모터 (MG1, MG2) 의 회전축은, 플래니터리 기어 (planetary gear: 120) 을 통하여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플래니터리 기어 (120) 는, 태양 기어 (sun gear: 121) 와, 링 기어 (122) 와, 플래니터리 피니언 기어 (planetary pinion gear)(123) 를 갖는 플래니터리 캐리어 (124) 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하이브리드 차량에서는, 엔진 (150) 의 크랭크축 (156) 이 댐퍼 (130) 를 통하여 플래니터리 캐리어축 (127) 에 결합되어 있다. 댐퍼 (130) 는 크랭크축 (156) 에 발생하는 비틀림 진동을 흡수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다. 모터 (MG1) 의 회전자 (132) 는 태양 기어 축 (125) 에 결합되어 있다. 모터 (MG2) 의 회전자 (142) 는 링 기어 축 (126) 에 결합되어 있다. 링 기어 (122) 의 회전은, 체인벨트 (129) 와 차동 기어 (114) 를 통하여 차축 (112) 및 차륜 (116R, 116L) 에 전달된다.
제어시스템 (200) 은 차량 전체의 제어를 실현하기 위해 다양한 센서를 사용하고 있으며, 예컨대 운전자에 의한 액셀 밟음량을 검출하기 위한 액셀 센서 (165), 시프트레버의 위치 (시프트포지션) 를 검출하는 시프트포지션 센서 (167), 브레이크의 밟음압력을 검출하기 위한 브레이크 센서 (163), 배터리 (194) 의 충전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배터리 센서 (196), 및 모터 (MG2) 의 회전수를 측정하기 위한 회전수 센서 (144) 등을 이용하고 있다. 링 기어 축 (126) 과 차축 (112) 은 체인벨트 (129) 에 의해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링 기어 축 (126) 과 차축 (112) 의 회전수의 비는 일정하다. 따라서, 링 기어 축 (126) 에 설치된 회전수 센서 (144) 에 의해, 모터 (MG2) 의 회전수뿐 아니라 차축 (112) 의 회전수도 검출할 수 있다. 또, 센서는 아니지만, 점화 키 (162) 를 회전시킴으로써 동력 시스템 (300) 의 기동/정지를 실시하기 위한 점화 스위치 (161) 등도 이용하고 있다.
B. 하이브리드 차량의 기본적 동작 :
하이브리드 차량의 기본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먼저 플래니터리 기어 (120) 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플래니터리 기어 (120) 는, 상술한 3 개의 회전축 중 2 개의 회전축의 회전수가 결정되면 나머지 회전축의 회전수가결정된다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각 회전축의 회전수의 관계는 다음 식 (1) 과 같다.
Nc = Ns ×ρ/(1 + ρ) + Nr × 1/(1 + ρ)
여기서, Nc 는 플래니터리 캐리어축 (127) 의 회전수, Ns 는 태양 기어 축 (125) 의 회전수, Nr 은 링 기어 축 (126) 의 회전수이다. 또, ρ는 다음 식으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태양 기어 (121) 와 링 기어 (122) 의 기어 비율이다.
ρ= [태양 기어 (121) 의 톱니수] / [링 기어 (122) 의 톱니수]
또, 3 개의 회전축의 토크는 회전수에 관계없이 수학식 2, 3 에서 주어지는 일정한 관계를 갖는다.
Ts = Tc × ρ/(1 + ρ)
Tr = Tc × 1/(1 + ρ) = Ts/ρ
여기서, Tc 는 플래니터리 캐리어축 (127) 의 토크, Ts 는 태양 기어 축 (125) 의 토크, Tr 은 링 기어 축 (126) 의 토크이다.
본 실시형태의 하이브리드 차량은, 이러한 플래니터리 기어 (120) 의 기능에 의해 여러 상태로 주행할 수 있다. 예컨대, 하이브리드 차량이 주행을 시작하는 비교적 저속 상태에서는, 엔진 (150) 을 정지한 채 모터 (MG2) 를 역행(力行)함으로써 차축 (112) 에 동력을 전달하여 주행한다. 마찬가지로 엔진 (150) 을아이들 (idle) 운전한 채 주행하는 경우도 있다.
주행개시후에 하이브리드 차량이 소정의 속도에 도달하면, 제어 시스템 (200) 은 모터 (MG1) 를 역행하여 출력되는 토크에 의해 엔진 (150) 을 모터링하고 시동한다. 이 때, 모터 (MG1) 의 반력 (反力) 토크가 플래니터리 기어 (120) 를 통하여 링 기어 (122) 에도 출력된다.
엔진 (150) 을 운전하여 플래니터리 캐리어축 (127) 을 회전시키면, 상기 수학식 1 내지 3 을 만족하는 조건하에서 태양 기어 축 (125) 및 링 기어 축 (126) 이 회전한다. 링 기어 축 (126) 의 회전에 의한 동력은 그대로 차륜 (116R, 116L) 에 전달된다. 태양 기어 축 (125) 의 회전에 의한 동력은 제 1 모터 (MG1) 에서 전력으로서 회생될 수 있다. 한편, 제 2 모터 (MG2) 를 역행하면, 링 기어 축 (126) 을 통하여 차륜 (116R, 116L) 에 동력을 출력할 수 있다.
정상 운전시에는, 엔진 (150) 의 출력이 차축 (112) 의 요구동력 (즉 차축 (112) 의 회전수 × 토크) 과 거의 같은 값으로 설정된다. 이 때, 엔진 (150) 의 출력의 일부는 링 기어 축 (126) 을 통하여 직접 차축 (112) 에 전달되고, 나머지 출력은 제 1 모터 (MG1) 에 의해 전력으로서 회생된다. 회생된 전력은 제 2 모터 (MG2) 가 링 기어 축 (126) 을 회전시키는 토크를 발생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결과, 차축 (112) 을 원하는 회전수 및 원하는 토크로 구동할 수 있다.
차축 (112) 에 전달되는 토크가 부족한 경우에는 제 2 모터 (MG2) 에 의해 토크를 어시스트한다. 이 어시스트를 위한 전력에는 제 1 모터 (MG1) 에서 회생한 전력 및 배터리 (149) 에 축적된 전력이 사용된다. 이와 같이, 제어 시스템 (200) 은, 차축 (112) 으로부터 출력할 요구동력에 따라 2 개의 모터 (MG1, MG2) 의 운전을 제어한다.
본 실시형태의 하이브리드 차량은 엔진 (150) 을 운전한 채 후진할 수도 있다. 엔진 (150) 을 운전하면 플래니터리 캐리어축 (127) 은 전진시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 제 1 모터 (MG1) 를 제어하여, 플래니터리 캐리어축 (127) 의 회전수보다도 높은 회전수로 태양 기어 축(125) 을 회전시키면, 상기 수학식 1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링 기어 축(126) 은 후진방향으로 반전한다. 제어시스템 (200) 은, 제 2 의 모터 (MG2) 를 후진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그 출력 토크를 제어하여 하이브리드 차량을 후진시킬 수 있다.
플래니터리 기어 (120) 는 링 기어 (122) 가 정지된 상태에서 플래니터리 기어 (124) 및 태양 기어 (120) 을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이 정지된 상태에서도 엔진 (150) 을 운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194) 의 충전량이 적어지면, 엔진 (150) 을 운전하고, 제 1 의 모터 (MG1) 을 회생 운전시킴으로써 배터리 (194) 를 충전할 수 있다. 차량이 정지되어 있을 때에 제 1 의 모터 (MG1) 를 역행(力行) 하면, 그 토크에 의하여 엔진 (150) 을 모터링하여 시동을 할 수 있다.
C. 제어시스템의 구성:
도 2 는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어시스템 (200) 의 보다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마스터 제어부 (270) 는, 마스터 제어 CPU (272) 와, 전원제어회로 (274) 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모터 제어부 (260) 는 모터 주제어 CPU(262) 와, 2 개의 모터 (MG1, MG2) 를 각각 제어하기 위한 2 개의 모터제어 CPU (264, 266) 를 가지고 있다. 각 CPU 는 각각 도시되지 않은 CPU, ROM, RAM, 입력포트, 및 출력포트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들과 함께 1 칩의 마이크로컴퓨터를 구성하고 있다.
마스터 제어 CPU (272) 는, 동력 시스템 (300) 의 기동을 제어하거나 3 개의 원동기 (150, MG1, MG2) 의 회전수 또는 토크의 배분 등의 제어량을 결정하여, 기타 CPU 또는 ECU 에 각종 요구치를 공급하고, 각 원동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등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 제어를 위하여, 마스터 제어 CPU (272) 에는 점화 스위치 신호 (IG) 또는 엑셀 개방도를 나타내는 엑셀 포지션 신호 (AP) 또는 시프트포지션을 나타내는 시프트포지션 신호 (SP1, SP2) 등이 공급됨과 동시에, 시스템 메인릴레이 (198) 등에 대해서는 기동신호 (ST) 를 출력한다. 또한, 시프트포지션 센서 (167) 또는 엑셀 센서 (165) 등은, 필요에 따라 이중화되어 있다.
전원제어회로 (274) 는 배터리 (194) 의 고압 직류 전압을 메인 ECU (210) 내의 각 회로용 저압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기 위한 DCDC 컨버터이다. 이 전원제어회로 (274) 는 마스터 제어 CPU (272) 의 이상을 감시하는 감시회로로서의 기능도 가지고 있다.
엔진 ECU (240) 는, 마스터 제어 CPU (272) 에서 주어진 엔진출력 요구치 (PEreq) 에 따라서 엔진 (150) 을 제어한다. 엔진 ECU (240) 에서는 엔진 (150) 의 회전수 (REVen) 가 마스터 제어 CPU (272) 로 피드백된다.
모터 주제어 CPU (262) 는, 마스터 제어 CPU (272) 에서 주어진 모터 (MG1,MG2) 에 관한 토크 요구치 (Tlreq, T2req) 에 따라서 2 개의 모터 제어 CPU (264, 266) 에 각각 전류 요구치 (I1req, I2req) 를 공급한다. 모터 제어 CPU (264, 266) 는 전류 요구치 (I1req, I2req) 에 따라서 구동회로 (191, 192) 를 각각 제어하여 모터 (MG1, MG2) 를 구동한다. 모터 (MG1, MG2) 의 회전수 센서에서는, 모터 (MG1, MG2) 의 회전수 (REV1, REV2) 가 모터 주제어 CPU (262) 로 피드백된다. 또한, 모터 주제어 CPU (262) 로부터 마스터 제어 CPU (272) 에는, 모터 (MG1, MG2) 의 회전수 (REV1, REV2), 또는 배터리 (194) 로부터 구동회로 (191, 192) 로의 전류치 (IB) 등이 피드백된다.
배터리 ECU (230) 는, 배터리 (194) 의 충전량 (SOC) 을 감시하여 마스터 제어 CPU (272) 에 공급한다. 마스터 제어 CPU (272) 는 이 충전량 (SOC) 을 고려하여 각 원동기의 출력을 결정한다. 즉, 충전이 필요한 경우에는, 주행에 필요한 출력보다도 큰 동력을 엔진 (150) 에 출력시키고, 그 일부를 제 1 의 모터 (MG1) 에 의한 충전 동작으로 배분한다.
브레이크 ECU (220) 는, 도시를 생략한 유압 브레이크와, 제 2 의 모터 (MG2) 에 의한 회생 브레이크와의 균형을 잡는 제어를 실시한다. 그 이유는, 이 하이브리드 차량에서는 브레이크시에 제 2 의 모터 (MG2) 에 의한 회생 동작이 이루어져, 배터리 (194) 가 충전되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는, 브레이크 ECU (220) 은 브레이크센서 (163) 로부터의 브레이크 압력 (BP) 에 근거하여 마스터 제어 CPU (272) 에 회생요구치 (REGreq) 를 입력한다. 마스터 제어 CPU (272) 는 이 요구치 (REGreq) 에 근거하여 모터 (MG1, MG2) 의 동작을 결정하고, 브레이크ECU (220) 에 회생실행치 (REGprac) 를 피드백한다. 브레이크 ECU (220) 는 이 회생실행치 (REGprac) 과 회생요구치 (REGreq) 의 차분 및 브레이크 압력 (BP) 에 근거하여 유압 브레이크에 의한 브레이크량을 적절한 값으로 제어한다.
이상과 같이, 마스터 제어 CPU (272) 는 각 원동기 (150, MG1, MG2) 의 출력을 결정하여, 각각의 제어를 담당하는 ECU (240) 이나 CPU (264, 266) 에 요구치를 공급한다. ECU (240) 나 CPU (264, 266) 는 이 요구치에 따라 각 원동기를 제어한다. 이 결과, 하이브리드 차량은 주행상태에 따라 적절한 동력을 차축 (112) 에서 출력하여 주행할 수 있다. 또한, 브레이크시에는 브레이크 ECU (220) 와 마스터 제어 CPU (272) 가 협조하여, 각 원동기나 유압 브레이크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 결과, 전력을 계속 회생하면서 운전자에게 위화감을 별로 느끼게 하지 않는 브레이킹을 실현할 수 있다.
4 개의 CPU (272, 262, 264, 266) 는 소위 워치독펄스 (watch dog pulse)(WDP) 를 이용하여 상호 이상을 감시하고, CPU 에 이상이 발생하여 워치독펄스가 정지한 경우에는 그 CPU 에 리세트 신호 (RES) 를 공급하여 리세트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마스터 제어 CPU (272) 의 이상은 전원제어회로 (274) 에 의해서도 감시되고 있다.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280) 는, 이상이 발생하였을 때 적어도 이 이상사상을 나타내는 진단 코드 및 이상진단에 이용하기 위한 이상진단 데이터인 프리즈 프레임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수단이다. 마스터 제어 CPU (272) 와 EEPROM (280) 은, 쌍방향 통신배선 (214) 을 통하여 상호 각종 요구나 통지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마스터 제어 CPU (272) 와 모터 주제어 CPU (262) 사이에도 쌍방향 통신배선 (212) 이 설치되어 있다.
D. 이상진단 시스템
D-1. 이상진단 시스템의 구성:
도 3 은 도 1 의 하이브리드 차량에 적용되는 이상진단 시스템의 주요부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마스터 제어 CPU (272) 는, 이상판별부 (272a) 로서의 기능과, 데이터 선택부 (272b) 로서의 기능과, 입력부 (272c) 로서의 기능 , 및 판독부 (272d) 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상판별부 (272a) 는 마스터 제어 CPU (272) 에 입력되는 여러가지 신호에 근거하여 이상의 발생을 검출하고, 그 이상사상을 판별한다. 데이터 선택부 (272b) 는 판별한 이상사상에 대응하여, 그 이상사상에 고유한 고유 데이터를 마스터 제어 CPU (272) 에 입력되는 데이터나 마스터 제어 CPU (272) 내에서 생성되는 데이터 중에서 선택한다. 입력부 (272c) 는 선택한 고유 데이터를 이상사상의 차이에 상관없이 공통인 공통 데이터와 함께, 프리즈 프레임 데이터로서 EEPROM (280) 에 입력한다. 판독부 (272d) 는 진단 테스터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EEPROM (280) 에 기억된 데이터 중에서 원하는 프리즈 프레임 데이터를 판독한다. 이들 각부 (272a~272d) 의 기능은 도시하지 않은 ROM 에 격납된 프로그램을 마스터 제어 CPU (272) 가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D-2. 프리즈 프레임 데이터 기억처리:
도 4 는 도 3 에 나타내는 이상진단 시스템에 의한 프리즈 프레임 데이터 기억처리의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5 는 도 3 에 나타내는 EEPROM (280) 내의 진단 코드 기억영역과 거기에 순차로 기억되는 진단 코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6 은 동일하게 EEPROM (280) 내의 프리즈 프레임 데이터 기억영역과 거기에 순서대로 기억되는 프리즈 프레임 데이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 에 나타내는 프리즈 프레임 데이터 기억처리가 개시되면, 이상판별부 (272a) 는 모터 주제어 CPU (262), 브레이크 ECU (220), 배터리 ECU (230), 및 엔진 ECU (240) 그리고 각종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하고, 이들 신호를 기초로 하여 메인 ECU (210) 의 관리하에서 이상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스텝 (S102)), 이상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이상이 발생할 때까지 대기한다.
이상이 발생한 경우는, 입력한 신호에 근거하여 그 이상이 어떠한 이상사상인지를 판별하고, 판별한 이상사상에 대응하는 진단 코드를 결정한다 (스텝 (S104)).
다음으로, 입력부 (272c) 가 결정한 진단 코드를 EEPROM (280) 의 진단 코드 기억영역에 입력한다 (스텝 (S106)).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진단 코드 기억영역은, 도 5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의 진단 코드를 2 바이트로 하여 4 개의 진단 코드를 기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이들 바이트수나 기억가능한 코드의 수는 일례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입력부 (272c) 는 이상판별부 (272a) 에서 결정한 진단 코드가 예를 들어 「P1300」이며 진단 코드 기억영역에 도 5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직 아무 것도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도 5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결정된 진단 코드 「P1300」를 진단 코드 기억영역의 선두에 입력한다.
다음으로, 도 4 로 되돌아가, 입력부 (272c) 는 진단 코드의 차이 (바꾸어 말하면, 이상사상의 차이) 에 상관없이 공통인 데이터 (공통 데이터) 를 모터 주제어 CPU (262), 브레이크 ECU (220), 배터리 ECU (230), 및 엔진 ECU (240), 그리고 각종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데이터나 마스터 제어 CPU (272) 의 내부에서 생성된 데이터 중에서 취득한다 (스텝 (S108)).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공통 데이터로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주로 차량의 거동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들 수 있다.
1) 모터 (MG1) 용 구동회로 (191) 의 인버터 온도
2) 모터 (MG2) 용 구동회로 (192) 의 인버터 온도
3) 모터 (MG1) 의 온도
4) 모터 (MG2) 의 온도
5) 직류 전압
6) 직류 전류
7) 시프트포지션 센서 (167) 의 아날로그 전압
8) 시프트포지션 센서 (167) 의 시프트 스위치 위치
9) 액셀 센서 (165) 의 액셀 메인 전압
10) 액셀 센서 (165) 의 액셀 서브 전압
11) 보조기계 배터리 전압
12) 모터 (MG1) 의 회전수
13) 모터 (MG2) 의 회전수
14) 모터 (MG1) 의 토크
15) 모터 (MG2) 의 토크
16) 엔진 (150) 의 요구 파워
17) 엔진 (150) 의 냉각수온도
18) 배터리 (194) 의 잔존용량
또한,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이들 모든 데이터를 공통 데이터로서 기억할 필요는 없다. 또, 이들 이외의 데이터를 공통 데이터로서 기억할 수도 있다.
계속해서 데이터 선택부 (272b) 는 이상판별부 (272a) 가 결정한 진단 코드에 근거하여 이 진단 코드 (즉, 이상사상) 에 고유한 데이터 (고유 데이터) 를 데이터 주제어 CPU (262), 브레이크 ECU (220), 배터리 ECU (230) 및 엔진 ECU (240), 그리고 각종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데이터나 마스터 제어 CPU (272) 의 내부에서 생성된 데이터 중에서 선택하고 취득한다 (스텝 (S110)). 그리고, 진단 코드와 선택할 고유 데이터의 대응관계는 도시를 생략한 ROM 중에 미리 기억되어 있다. 즉, 데이터 선택부 (272b) 는, 이상판별부 (272a) 가 결정한 진단 코드를 근거하여, 그 ROM 에 액세스하고 그 진단 코드에 대응하여 선택할 고유 데이터가 어떤 것인지를 파악한 다음, 상기 복수의 데이터 중에서 이들 고유 데이터를 선택하여 취득한다.
이상사상마다의 고유 데이터로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것을 일례로 들 수 있다.
[1] 이상사상 : 엔진의 토크 부족이고 에너지 수지 파탄(破綻)인 경우
1) 스로틀 개도(開度)
2) 공(空)연비 보정량
3) 흡입공기량
4) 점화시기
5) 가솔린 잔량 (가스 부족)
[2] 이상사상: 인버터의 과전류의 경우
1) 전류 피드백 보정량
2) 삼상 전류치
3) 위상각
또한,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상사상마다 여러 가지의 데이터를 고려할 수 있다.
다음으로, 입력부 (272c) 는 취득한 공통 데이터와 고유 데이터를 프리즈 프레임 데이터로서 EEPROM (280) 의 프리즈 프레임 데이터 기억영역에 입력한다 (스텝 (S112)).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프리즈 프레임 데이터 기억영역은 도 6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의 진단 코드에 대응하는 1 프레임분의 프리즈 프레임 데이터를 14 바이트로 하여 4 개의 프리즈 프레임 데이터 (즉, 4 개의 진단 코드에 대응하는 분의 프리즈 프레임 데이터) 를 기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프리즈 프레임 데이터 기억영역은 각 프레임마다 각각 공통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공통 데이터부와, 고유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고유 데이터부로 나뉘어져있으며, 공통 데이터부로서 6 바이트분, 고유 데이터부로서 8 바이트분이 할당되어 있다. 또한, 이들 바이트수나 기억 가능한 데이터의 수 등은 일례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이상판별부 (272a) 에서 결정한 진단 코드가 상술한 바와 같이 「P1300」이고, 입력부 (272c) 가 취득한 공통 데이터가 각 2 바이트인 3 개의 데이터 (αt1, βt1, γt1) 이며, 데이터 선택부 (272b) 가 진단 코드 「P1300」에 대하여 취득한 고유 데이터가 각 2 바이트인 4 개의 데이터 (at1, bt1, ct1, dt1) 인 경우, 입력부 (272c) 는 이들 공통 데이터 (αt1, βt1, γt1) 와 고유 데이터 (at1, bt1, ct1, dt1) 를 도 6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 (1) 의 프리즈 프레임 데이터로서 프리즈 프레임 데이터 기억영역의 선두에 입력한다. 이 때, 입력부 (272c) 는 계 3 ×2 바이트의 공통 데이터 (αt1, βt1, γt1) 를 공통 데이터부에, 계 4 ×2 바이트의 고유 데이터 (at1, bt1, ct1, dt1) 를 고유 데이터부에 입력한다.
이렇게 하여, 하나의 이상사상에 대하여 프리즈 프레임 데이터의 입력이 종료하면, 다시 스텝 (S102) 의 처리로 돌아와 이하 동일한 처리가 반복된다.
이 결과, 마스터 제어 CPU (272) 는 이상을 검출할 때마다 이 이상사상에 대응하는 진단 코드를,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EEPROM (280) 에서의 진단 코드 기억영역의 다음에 비어 있는 장소에 입력함과 동시에, 공통 데이터와 이 진단 코드에 대응하는 고유 데이터를 프리즈 프레임 데이터로서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리즈 프레임 데이터 기억영역의 다음에 비어 있는 장소에 입력한다.
즉, 2 회째의 이상검출에 있어서, 판별한 이상사상에 대응하는 진단 코드가 예컨대 「P1100」이라고 하면, 도 5C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진단 코드로서 그 「P1100」을 전회(前回) 기억한 「P1300」의 다음 장소에 입력하고, 프리즈 프레임 데이터로서는 도 6c 에 나타낸 바와 같이, 1 회째와 공통인 공통 데이터 (αt2, βt2, γt2) 와, 상기 진단 코드 「P1100」에 대응하는 고유 데이터 (et2, ft2, gt2, ht2) 를 전회 기억한 프리즈 프레임 데이터의 다음 장소에 입력한다.
단, 2 회째의 공통 데이터 (αt2, βt2, γt2) 는 1 회째의 공통 데이터 (αt1, βt1, γt1) 와 데이터의 종류는 동일하지만, 취득된 시각이 1 회째와 2 회째에서는 다르기 때문에 데이터의 내용 자체는 다르다. 이것은 3 회째, 4 회째의 이상검출의 경우에도 동일하다.
또, 3 회째의 이상검출에 있어서, 판별한 이상사상에 대응하는 진단 코드가 예컨대 「P1200」이라고 하면, 도 5d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진단 코드로서 그 「P1200」을 다음 장소에 입력하고, 도 6d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리즈 프레임 데이터로서 1 회째나 2 회째와 공통인 공통 데이터 (αt3, βt3, γt3) 이외에, 상기 진단 코드 「P1200」에 대응하는 고유 데이터 (it3, jt3, kt3, lt3) 를 다음의 장소에 입력하게 된다. 또한, 4 회째의 이상검출에 있어서, 판별한 이상사상에 대응하는 진단 코드가 예컨대「P1500」이라고 하면 도 5e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진단 코드로서 이「P1500」을 추가로 다음 장소에 입력하고, 도 6e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리즈 프레임 데이터로서 1 내지 3 회째와 공통인 공통 데이터 (αt4, βt4, γt4) 이외에, 상기 진단 코드「P1500」에 대응하는 고유 데이터 (mt4, nt4,ot4, pt4) 를 추가로 다음의 장소에 입력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상을 검출할 때마다 진단 코드 및 프리즈 프레임 데이터를 각 기억영역의 다음에 비어 있는 장소에 입력함으로써, 각 기억영역에서는 진단 코드나 프리즈 프레임 데이터가 각각 이상이 검출된 순서로 기억된다. 그리고, 이상검출된 순서를 보다 명확히 나타내기 위하여, 그 순번에 대응한 번호나 기호를 진단 코드나 프리즈 프레임 데이터와 함께 기억시킬 수 도 있다.
이렇게 하여 4 개분의 이상사상에 대하여, 진단 코드와 이에 대응하는 프리즈 프레임 데이터를 EEPROM (28) 에 입력하면, EEPROM (280) 에서 빈 영역이 없어지기 때문에 그 후에는 이상을 검출하여도 입력부 (272c) 가 그 이상의 진단 코드도, 프리즈 프레임 데이터도 EEPROM (28) 에 입력하지 않는다. 즉, 한 번 이상사상이 발생하면 그에 대한 진단 코드나 프리즈 프레임 데이터는 재입력하지 않고, 이상진단이 이루어질 때까지 유지해야만 한다. 그러나, 발생하는 이상사상의 수가 많아지면 그 만큼 유지해야할 진단 코드나 프리즈 프레임 데이터도 많아지기 때문에 EEPROM (280) 의 기억용량이 부족해진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기억하는 이상사상의 수 (즉, 프레임의 수) 를 4 개로 한정하여 5 개째 이후 이상사상을 검출하여도 입력하지 않는다. 그리고, 이들 기억가능한 이상사상의 수 (즉, 프레임수) 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일례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D-3. 프리즈 프레임 데이터 판독처리 :
이어서, 이상진단을 실시하기 위하여 EEPROM (280) 에 기억된 프리즈 프레임데이터를 판독하는 경우의 처리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
도 7 은 EEPROM (280) 의 기억된 프리즈 프레임 데이터의 판독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이상진단을 실시하는 경우, 이용자는 이상진단 툴인 진단 테스터를 차량내의 소정 부위에 설치된 커넥터 (도시생략) 에 접속하여 그 진단 테스터를 조작한다. 그러면, 먼저 진단 테스터가 마스터 제어 CPU (272) 에 대하여 EEPROM (280) 에 기억되어 있는 진단 코드의 수를 요구하고, 이것에 의해 판독부 (272d) 가 EEPROM (280) 으로부터, 기억되어 있는 진단 코드의 수를 취득하여 진단 테스터에 출력한다. 이어서, 진단 테스터가 진단 코드의 판독을 요구하면, 판독부 (272d) 가 기억되어 있는 진단 코드를 EEPROM (280) 으로부터 순차적으로 판독하여 진단 테스터에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EEPROM (280) 의 진단 코드 기억영역에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진단 코드가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는, 진단 코드로서「P1300」,「P1100」,「P1200」,「P1500」이 순차적으로 출력된다. 즉, 진단 코드는 이상이 검출된 순서로 진단 테스터에 출력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이상검출된 순번에 대응한 번호나 기호를 진단 코드 등과 함께 기억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들 번호나 부호를 판독하여 진단 테스터에 출력함으로써 이상검출된 순서를 진단 테스터에 의해 명확하게 인식시킬 수 있다.
이어서, 진단 테스터가 파라미터 ID (PID) 와 프레임 번호를 지정하고 프리즈 프레임 데이터의 판독을 요구하면, 판독부 (272d) 가 지정된 PID 와 프레임 번호에 따라, 대응하는 프레임의 프리즈 프레임 데이터를 EEPROM (280) 으로부터 판독하여 진단 테스터로 출력한다.
예컨대 진단 테스터가 도 7a-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PID 로서「0」을 지정하고 프레임번호로서「1」을 지정한 경우, 판독부 (272d) 는 EEPROM (280) 에 기억되어 있는 프레임 (1) 의 프리즈 프레임 데이터 중, 최초의 8 바이트분의 데이터를 판독하여 진단 테스터에 출력한다. 이어서, 진단 테스터가, 도 7a-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PID 로서 「1」 을 지정하고 프레임번호로서 「1」 을 지정하면, 판독부 (272d) 는 프레임 (1) 의 프리즈 프레임 데이터 중 다음의 8 바이트분의 데이터를 판독하여 진단 테스터에 출력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판독부 (272d) 는, PID 가 「0」인 경우는 최초의 8 바이트분의 데이터를 판독하고, PID 가 「1」 인 경우는 다음의 8 바이트분의 데이터를 판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단, 프리즈 프레임 데이터 기억영역은 1 프레임분이 14 바이트밖에 없기 때문에, PID 가 「1」 인 경우는 실제로는 6 바이트분의 데이터밖에 판독되지 않고, 나머지의 2 바이트분은 빈 데이터로서 진단 테스터에 출력된다.
따라서, 이상의 판독에 의해, 진단 테스터에는 먼저 도 7a-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 (1) 에서의 3 개의 공통 데이터 (αt1, βt1, γt1) 와 하나의 고유 데이터 (at1) 의 계(計) 8 바이트분의 데이터가 출력되고, 다음에 도 7a-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 (1) 에서의 나머지의 3 개의 고유 데이터 (bt1, ct1, dt1) 와 빈 데이터의 계 8 바이트 (실질 6 바이트) 분의 데이터가 출력된다.
다음에 진단 테스터가, 도 7b-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PID 로서 다시 「0」을 지정하고, 프레임번호로서 이번에는 「2」를 지정하면, 판독부 (272d) 는 EEPROM(280) 에 기억되어 있는 프레임 (2) 의 프리즈 프레임 데이터 중 최초의 8 바이트분의 데이터, 즉 3 개의 공통 데이터 (αt2, βt2, γt2) 와 하나의 고유 데이터 (et2) 를 판독하여 진단 테스터에 출력한다. 이어서, 진단 테스터가, 도 7b-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PID 로서 「1」을 지정하고, 프레임번호로서 「2」를 지정하면, 판독부 (272d) 는 프레임 (2) 의 프리즈 프레임 데이터 중 다음의 8 바이트 (실질 6 바이트) 분의 데이터, 즉 나머지의 3 개의 고유 데이터 (ft2, gt2, ht2) 를 판독하여 진단 테스터에 출력한다.
이하 동일하게 하여, 프레임번호를 「3」,「4」로 바꾸고, PID 를「0」,「1」로 순차적으로 지정함으로써, 프레임 3 과 프레임 4 의 프리즈 프레임 데이터를 진단 테스터에 출력시킬 수 있다.
진단 테스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먼저 진단 테스터를 취득하고 있으므로, 프레임 1 내지 4 의 각 프리즈 프레임 데이터가 어느 진단 코드에 대응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있다. 따라서, 1 프레임분의 프리즈 프레임 데이터가 진단 테스터에 출력될 때마다, 진단 테스터는 대응하는 진단 코드와, 이 프리즈 프레임 데이터를 구성하고 있는 각 데이터의 값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이용자는, 미리 준비된 사양서 등에 의해 그 표시된 진단 코드로부터 그 프리즈 프레임 데이터를 구성하고 있는 각 데이터가 어떤 데이터인지를 확인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프리즈 프레임 데이터는 공통 데이터와 고유 데이터로 나누어져 있고, 공통 데이터에 대해서는 이를 구성하는 각 데이터의 종류가 각 진단 코드로 동일하므로, 공통 데이터를 구성하고 있는 각 데이터가 어떤 데이터인지를 파악하는 것은 용이하지만, 고유 데이터에 대하여는 이를 구성하는 각 데이터의 종류가 각 진단 코드와 각각 다르기 때문에, 사양서 등으로 확인하지 않으면 이들 데이터가 어떤 데이터인지 파악하기가 곤란하기 때문이다.
단, 진단 테스터가 진단 코드와 고유 데이터를 구성하고 있는 각 데이터의 종류와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을 갖고 있는 경우에는, 진단 테스터는, 표시할 때 진단 코드와 함께 그 프리즈 프레임 데이터를 구성하고 있는 각 데이터가 어떤 데이터인지와 이들 데이터의 값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이용자는, 진단 테스터에 표시된 진단 코드와 프리즈 프레임 데이터의 내용을 근거로 하여 이상진단을 실시한다.
D-4. 실시형태의 효과 :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상을 검출했을 때에 기억하는 프리즈 프레임 데이터로서, 이상사상의 차이에 상관없이 공통된 공통 데이터만이 아니라, 판별한 이상사상에 고유한 고유 데이터도 함께 기억한다. 따라서, 나중에 이 기억된 프리즈 프레임 데이터를 판독하여 이상진단을 실시하는 경우, 프리즈 프레임 데이터 중 이상사상에 고유한 고유 데이터를 이용함으로써, 발생한 이상사상의 해석이나 재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프리즘 프레임 데이터 중의 공유 데이터를 이용함으로써, 이상사상마다 이상 발생시에 있어서의 차량의 거동 등을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음과 동시에, 여러 관점에서 이상사상을 해석할 수 있어, 이 이상사상을 다른 이상사상과 비교하여 해석할 수도 있다.
또한, EEPROM (280) 에 있어서의 프리즘 프레임 데이터 기억영역 중 고유 데이터부는 이상사상마다 다른 고유 데이터가 기억되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고유 데이터부를 각 고유 데이터가 각각 전용으로만 이용할 수 있는 전용기억영역이 아닌, 각 고유 데이터가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는 공유기억영역으로서 형성한다. 따라서, EEPROM (280) 의 기억영역을 불필요하게 소비하지 않고 최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고유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는 이상사상의 차이에 관계없이 8 바이트로 일정하고, 고유 데이터를 구성하는 각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도 각각 2 바이트로 일정하기 때문에, 프리즘 프레임 데이터의 입력이나 판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E. 변형예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나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태양에서 실시할 수 있으며, 예컨대 다음과 같은 변형도 가능하다.
E-1. 변형예 1 ;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각 고유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는 이상사상의 차이에 상관없이 8 바이트로 일정하게 하였으나, 도 8 또는 도 10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상사상마다 고유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를 변경하여 프리즘 프레임 데이터 전체의 데이터 길이를 변경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고유 데이터를 구성하는 각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가 2 바이트로 일정하였으나, 도 9 또는 도 10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상사상마다 고유 데이터를 구성하는 각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를 변경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1 개의 프레임에 대하여 프리즘 프레임 데이터를 빈 영역을 형성하지 않고 기억하도록 하였으나, 도 1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억영역의 도중에 빈 영역을 형성하여 기억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프리즘 프레임 데이터 기억영역에 있어서, 고유 데이터부를 각 고유 데이터가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는 공유기억영역으로서 형성하였으나, EEPROM (280) 의 기억용량에 여유가 있는 경우에는, 고유 데이터부를 도 1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고유 데이터가 각각 전용으로만 이용할 수 있는 전용기억영역으로서 형성시킬 수도 있다.
E-2. 변형예 2 ;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메인 ECU (210) 에 있어서의 마스터 제어 CPU (272) 및 EEPROM (280) 을 사용하고, 메인 ECU (210) 의 관리하에서 발생한 이상사상에 대하여 이상진단 데이터를 기억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브레이크 ECU (220) 에 있어서 브레이크 ECU (220) 의 관리하에서 발생한 이상사상에 대하여 이상진단 데이터를 기억시킬 수도 있고, 배터리 ECU (230), 엔진 ECU (240) 에 있어서, 각각의 관리하에서 발생한 이상사상에 대하여 이상진단 데이터를 기억시킬 수도 있다.
E-3. 변형예 3 ;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진단 테스터로부터의 PID 가「0」인 경우에는, 최초의 8 바이트분의 데이터를 판독하고, PID 가「1」인 경우에는 다음 8 바이트분의 데이터를 판독하도록 하였으나, 이것은 일례로서, PID 로 판독할 데이터의 관계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진단 테스터로부터 PID 가 지정된 경우, 어떠한 데이터를 몇 바이트분 판독할지는 필요에 따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PID 와 프레임번호를 지정함으로써 원하는 프리즘 프레임 데이터를 판독하도록 하였으나, 이것은 일례로서, 다른 파라미터를 사용함으로써 원하는 프리즘 프레임 데이터를 판독하도록 할 수도 있다.
E-4. 변형예 4 ;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동력조정장치로서 모터 (MG1) 와 플래니터리 기어를 사용하여 엔진의 동력을 차축과 제 1 모터 (MG1) 로 분배하는 소위 기계분배식 하이브리드 차량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동력조정장치로서 플래니터리 기어를 사용하지 않고, 쌍회전자 구성인 모터 (MG1) 만을 사용하여 전기적으로 엔진의 동력을 분배하는 소위 전기분배식 하이브리드 차량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의 모터 (MG1) 는, 통상의 회전자인 내부회전자 이외에 케이스에 고정된 고정자가 아니라 회전가능한 외부회전자를 갖고 있으며, 쌍회전자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전기분배식 하이브리드 차량에 대해서는, 예컨대 본 출원인에 의해 개시된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46965 호에 개시되어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차량 외에, 통상의 가솔린차, 디젤차, 메탄올차, 전기자동차, 나아가서는 이륜차, 비행기, 선박 등의 여러 이동체에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동체 이외의 제어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나중에 이상진단시에 발생한 이상사상의 해석이나 재현이 용이해지는 이상진단 데이터를 기억시키는 것이 가능한 이상진단 시스템 및 이상진단 데이터 기억방법을 제공한다.

Claims (10)

  1. 차량 내에서 이상을 검출할 때에, 이 이상사상(事象)에 대응하여 이상진단에 사용하기 위한 이상진단 데이터를 기억시키는 것이 가능한 이상진단 시스템으로서,
    복수의 이상사상의 상기 이상진단 데이터로서, 이상사상의 차이에 상관없이 공통인 공통 데이터를 기억하는 공통 데이터 기억부; 및
    상기 이상진단 데이터로서, 상기 이상사상의 각각에 고유한 고유 데이터를 기억하는 고유 데이터 기억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진단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진단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수단;
    상기 이상을 검출할 때에, 이 이상사상을 판별하는 이상판별수단;
    판별한 상기 이상사상에 대응하여, 이 이상사상에 고유한 상기 고유 데이터를 선택하는 선택수단; 및
    선택한 상기 고유 데이터를, 상기 공통 데이터와 함께 상기 이상사상에 대응하는 상기 이상진단 데이터로서 상기 기억수단에 입력하는 입력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진단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수단은 각 고유 데이터를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는 공유기억영역을가지며,
    상기 입력 수단은 상기 고유 데이터를 상기 공유기억영역에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진단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데이터는 상기 차량의 거동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진단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는 이상사상의 차이에 상관없이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진단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 데이터는 복수의 데이터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이들 각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는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진단 시스템.
  7. 차량 내에서 이상을 검출할 때에, 이 이상사상에 대응하여, 이상진단에 사용하기 위한 이상진단 데이터를 기억수단에 기억시키기 위한 이상진단 데이터 기억방법으로서,
    상기 이상을 검출할 때에 그 이상사상을 판별하는 공정;
    판별한 상기 이상사상에 대응하여, 적어도 이 이상사상에 고유한 고유 데이터를 선택하는 공정; 및
    선택한 상기 고유 데이터를 상기 이상사상의 차이에 상관없이 공통인 공통 데이터와 함께, 복수의 상기 이상사상에 대응하는 상기 이상진단 데이터로서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진단 데이터 기억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데이터는 상기 차량의 거동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진단 데이터 기억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는 이상사상의 차이에 상관없이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진단 데이터 기억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 데이터는 복수의 데이터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이들 각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는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진단 데이터 기억방법.
KR10-2001-0023535A 2000-05-01 2001-04-30 이상진단 시스템 및 이상진단 데이터 기억방법 KR1003996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32554A JP4267173B2 (ja) 2000-05-01 2000-05-01 異常診断システム
JP2000-132554 2000-05-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0944A true KR20010100944A (ko) 2001-11-14
KR100399623B1 KR100399623B1 (ko) 2003-09-29

Family

ID=18641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3535A KR100399623B1 (ko) 2000-05-01 2001-04-30 이상진단 시스템 및 이상진단 데이터 기억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898494B2 (ko)
EP (1) EP1153782B1 (ko)
JP (1) JP4267173B2 (ko)
KR (1) KR100399623B1 (ko)
CN (1) CN1276357C (ko)
DE (1) DE60140098D1 (ko)
ES (1) ES2334431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45306B2 (en) * 2000-11-09 2005-01-1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ance monitoring of operational equipment used with machines
KR100820024B1 (ko) * 2002-05-14 2008-04-07 가부시키가이샤 미쿠니 전자제어 연료분사장치
WO2003100655A1 (en) * 2002-05-28 2003-12-04 Droplet Technolog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ile-processing parallel-processors
CN100436209C (zh) * 2003-12-03 2008-11-26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车辆故障诊断系统
US7222053B2 (en) 2004-07-12 2007-05-22 Mack Trucks, Inc. Event-driven portable data bus message logger
JP4747683B2 (ja) * 2005-05-31 2011-08-1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載電子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故障診断方法、並びに車載電子制御装置
JP4766926B2 (ja) * 2005-06-02 2011-09-07 富士通テン株式会社 電子制御装置および電子制御機器のデータ保存方法
JP4677876B2 (ja) * 2005-10-11 2011-04-27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診断装置
US20080033609A1 (en) * 2006-08-04 2008-02-07 Ramin Razavi Automotive diagnostic and tuning system
JP4315185B2 (ja) * 2006-11-03 2009-08-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の検査システムおよび検査方法
JP4315186B2 (ja) 2006-11-03 2009-08-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の検査システムおよび検査方法
JP4442617B2 (ja) 2007-02-16 2010-03-31 株式会社デンソー 電子制御装置
JP4325691B2 (ja) 2007-03-22 2009-09-02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制御装置のためのメモリ読み出しシステム
JP5338060B2 (ja) * 2007-10-22 2013-11-13 日本精工株式会社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100974705B1 (ko) * 2007-12-13 2010-08-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고장 처리 시스템 및 방법
JP4569623B2 (ja) * 2007-12-20 2010-10-27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監査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車両制御システム
JP4511587B2 (ja) * 2007-12-21 2010-07-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遠隔診断システムためのデータ通信装置
JP4451905B2 (ja) * 2007-12-21 2010-04-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遠隔診断システム
JP4453764B2 (ja) * 2008-02-22 2010-04-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診断装置、車両診断システム、診断方法
DE102008040366A1 (de) * 2008-07-11 2010-01-14 Robert Bosch Gmbh System und Verfahren zum Steuern von Funktionskomponenten eines Kraftfahrzeugs
JP2010165242A (ja) * 2009-01-16 2010-07-29 Hitachi Cable Ltd 稼動体の異常検出方法及び異常検出システム
JP5169930B2 (ja) * 2009-03-23 2013-03-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フト制御装置
CN102575973B (zh) * 2009-10-19 2015-06-24 日立建机株式会社 工程机械的诊断系统及诊断方法
JP2012091667A (ja) * 2010-10-27 2012-05-17 Nissan Motor Co Ltd ハイブリッド車輌の制御装置
JP5637076B2 (ja) * 2011-06-06 2014-12-10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装置
JP5639611B2 (ja) * 2012-03-21 2014-12-10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車両の制御装置
JP5741511B2 (ja) 2012-04-05 2015-07-01 株式会社デンソー フリーズフレームデータ記憶システム
JP5853856B2 (ja) * 2012-05-11 2016-02-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故障診断装置及び内燃機関の制御装置
FR2990917B1 (fr) * 2012-05-22 2014-05-16 Renault Sa Analyse du comportement d'un systeme de freinage de vehicule a pedale decouplee
US9714029B2 (en) * 2012-08-31 2017-07-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electric machine control strategy
BR112015006031B1 (pt) * 2012-09-18 2021-08-17 Nissan Motor Co., Ltd Controlador e método de armazenamento de falhas
US9272706B2 (en) * 2013-04-17 2016-03-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aser ignition system based diagnostics
US20150073649A1 (en) * 2013-09-11 2015-03-12 General Motors Llc Managing diagnostic trouble codes in a vehicle
JP6220232B2 (ja) * 2013-11-08 2017-10-25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車両の制御装置
US9677529B2 (en) * 2013-12-25 2017-06-13 Denso Corporation Vehicle diagnosis system and method
US9858733B2 (en) 2014-06-03 2018-01-02 Honda Motor Co., Ltd. Vehicle diagnostic data collecting apparatus, vehicle diagnostic data collecting method, vehicle diagnostic machine, and vehicle diagnosing method
CN104181839A (zh) * 2014-08-07 2014-12-03 深圳市元征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实时行车数据处理方法和装置
JP6443214B2 (ja) * 2015-05-13 2018-12-26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データ記録装置
FR3042052B1 (fr) * 2015-10-02 2017-11-10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Procede de diagnostic d’un actionneur electrique relie a un calculateur
JP6185976B2 (ja) * 2015-12-16 2017-08-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診断用の記憶条件設定装置及びデータ記憶システム
JP2019206193A (ja) * 2016-09-28 2019-12-05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車両用制御装置および車両用制御装置のデータ記憶方法
US20190084547A1 (en) * 2017-09-19 2019-03-21 Robert Bosch Gmbh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operation of a braking system of a vehicle
US10539200B2 (en) 2017-09-27 2020-01-21 Robert Bosch Gmbh Sound-based brake wear detection for vehicle braking systems
CN110049108A (zh) * 2019-03-25 2019-07-23 钛马信息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网联车辆事件生成方法及装置
JP7235010B2 (ja) * 2020-06-10 2023-03-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変速装置の制御装置、変速装置の制御システム、および車外演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28005A (en) * 1977-06-16 1978-12-05 Sun Electric Corporation Automated engine component diagnostic techniques
US4373186A (en) * 1980-08-14 1983-02-08 Allen Group Inc. Matrix method and apparatus for engine analysis
JP2625148B2 (ja) * 1988-04-11 1997-07-02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車載電子制御装置
US5067099A (en) * 1988-11-03 1991-11-19 Allied-Signal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system performance
JPH0392564A (ja) 1989-09-06 1991-04-17 Japan Electron Control Syst Co Ltd 車両の制御記録装置
JP2805958B2 (ja) * 1990-02-26 1998-09-30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用故障診断装置
DE4040927C2 (de) * 1990-12-20 1999-10-21 Bosch Gmbh Rober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Fehlerspeicherung in einer Steuereinrichtung eines Kraftfahrzeugs
DE4118692C2 (de) * 1991-06-07 2002-03-21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zur Fehlerspeicherung in einer Steuereinrichtung eines Kraftfahrzeugs
US5255208A (en) * 1991-08-08 1993-10-19 Aeg Westinghouse Transportation Systems, Inc. On-line processor based diagnostic system
JPH0768929B2 (ja) 1991-12-18 1995-07-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故障診断システム
US5491631A (en) * 1991-12-25 1996-02-13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Fault diagnostic system for vehicles using identification and program codes
JP2639287B2 (ja) * 1992-08-11 1997-08-06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の自己診断装置
US5506773A (en) * 1992-08-11 1996-04-09 Nippondenso Co., Ltd. Self-diagnosing apparatus for motor vehicles
JP3309437B2 (ja) * 1992-08-19 2002-07-29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の自己診断装置
JP3991384B2 (ja) * 1996-07-15 2007-10-17 株式会社デンソー 電子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53782A3 (en) 2005-01-26
EP1153782B1 (en) 2009-10-07
EP1153782A2 (en) 2001-11-14
KR100399623B1 (ko) 2003-09-29
US20020002430A1 (en) 2002-01-03
ES2334431T3 (es) 2010-03-10
US6898494B2 (en) 2005-05-24
DE60140098D1 (de) 2009-11-19
CN1276357C (zh) 2006-09-20
CN1321931A (zh) 2001-11-14
JP2001317403A (ja) 2001-11-16
JP4267173B2 (ja) 2009-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9623B1 (ko) 이상진단 시스템 및 이상진단 데이터 기억방법
EP2055592B1 (en) Method of externally charging a powertrain
EP2055523B1 (en) Method for charging a powertrain
EP1211117B1 (en) A method and arrangement for starting in a hybrid vehicle
US6984954B2 (en) Diagnostic strategy for an electric motor using sensorless control and a position sensor
CN106467110B (zh) 车辆
JP3498593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JP3292113B2 (ja) 動力出力装置およびこの装置における原動機の停止方法
US7368886B2 (en) Method of testing motor torque integrity in a hybrid electric vehicle
US8265821B2 (en) Method for determining a voltage level across an electric circuit of a powertrain
JP5027062B2 (ja) 車両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1317399A (ja) 運転制御装置および運転制御方法
JP4086043B2 (ja) ハイブリッド車およびその走行抵抗の測定方法
CN101506021A (zh) 车辆的控制装置、混合动力车、车辆的控制方法、用于使计算机执行车辆控制方法的程序以及记录有该程序的计算机可读记录介质
JP2001295676A (ja) 車両のスリップ制御
CN101386259A (zh) 混合动力系固定档位输入和马达转矩优化控制结构和方法
US6861820B2 (en) Control strategy for an electric motor using real time predictions of motor capability based on thermal modeling and measurements
JP2010200426A (ja) 駆動制御装置
CN102418784A (zh) 用于自动变速器的变速控制方法以及变速控制装置
JP3636020B2 (ja) 多重アクセルセンサの異常時における車両制御
JP2001294056A (ja) シフト制御装置、その方法及びその装置を備えた移動体
JP2005249780A (ja) 多重センサを用いた制御
JP2001289067A (ja) 多重センサを用いた制御
JP4089095B2 (ja) 動力出力装置、ハイブリッド車輌およびそれらの制御方法
CN113353057A (zh) 混合动力车辆及其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