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1844A - 아르곤 가스를 방출할 수 있는 반도체 디바이스의제조방법 및 반도체 디바이스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아르곤 가스를 방출할 수 있는 반도체 디바이스의제조방법 및 반도체 디바이스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1844A
KR20010051844A KR1020000069203A KR20000069203A KR20010051844A KR 20010051844 A KR20010051844 A KR 20010051844A KR 1020000069203 A KR1020000069203 A KR 1020000069203A KR 20000069203 A KR20000069203 A KR 20000069203A KR 20010051844 A KR20010051844 A KR 200100518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layer
semiconductor device
chamber
plasma etching
etching pro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9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다마사유끼
Original Assignee
가네꼬 히사시
닛뽕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네꼬 히사시, 닛뽕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네꼬 히사시
Publication of KR20010051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184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02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change their surface-physical characteristics or shape, e.g. etching, polishing, cutting
    • H01L21/306Chemical or electrical treatment, e.g. electrolytic etching
    • H01L21/3065Plasma etching; Reactive-ion et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041Cleaning
    • H01L21/02043Cleaning before device manufacture, i.e. Begin-Of-Line process
    • H01L21/02046Dry cleaning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105After-treatment
    • H01L21/311Etching the insulating layers by chemical or physical means
    • H01L21/31105Etching inorganic layers
    • H01L21/31111Etching inorganic layers by chemical means
    • H01L21/31116Etching inorganic layers by chemical means by dry-et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01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 H01L21/76802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by forming openings in dielectrics
    • H01L21/76814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by forming openings in dielectrics post-treatment or after-treatment, e.g. cleaning or removal of oxides on underlying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3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condu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lasma & Fusion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 Drying Of Semiconductors (AREA)
  • Electrodes Of Semiconductors (AREA)

Abstract

반도체 디바이스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도전층 (3) 이 반도체 기판 (1) 상에 형성된다. 그 후, 아르곤 이온들을 이용하는 플라즈마 식각공정이 제 1 도전층으로부터 자연산화막을 방출하기 위해, 제 1 도전층 상에 수행된다. 그 후, 제 1 도전층으로부터 아르곤 원자들을 방출하기 위해서, 제1 도전층 상에 약 650 ℃ 이상의 온도에서 열처리가 수행된다. 마지막으로, 제 2 도전층 (7) 은 제 1 도전층 상에 스퍼터링 공정에 의해 형성된다.

Description

아르곤 가스를 방출할 수 있는 반도체 디바이스의 제조방법 및 반도체 디바이스의 제조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CAPABLE OF EXPELLING ARGON GAS AND APPARATUS}
본 발명은 아르곤 (Ar) 이온들을 이용하는 플라즈마 식각공정에 의해 반도체 디바이스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디바이스를 제조하는 종래기술에서는, 제 1 도전층이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된다. 그 후, 제 1 도전층으로부터 자연산화물 (natural oxide) 을 방출하기 위해, 아르곤 이온을 이용하는 플라즈마 식각공정이 진행된다. 마지막으로, 제 2 도전층이 스퍼터링 (sputtering) 공정에 의해 제 1 도전층 상에 형성된다. 이러한 것은 자세히 후술할 것이다.
상기 반도체 디바이스에서, 만약, 840 ℃ 와 같은 온도에서의 열처리가 후속공정에서 진행된다면, 제 1 도전층에 침투한 아르곤 이온들은 제 1 도전층과 제 2 도전층 사이의 계면으로 이동된다. 그 결과, 제 1 도전층과 제 2 도전층 사이의 컨택 (contact) 특성들은 저하된다. 최악의 경우에는, 제 2 도전층이 제 1 도전층으로부터 벗겨지게 되고, 따라서, 제 2 도전층은 제 1 도전층과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이것은 반도체 디바이스의 성능을 열화 (degrade) 시킬 것이다.
일본 특개평4-10621 호는 실리콘질화물에 대해 아르곤가스에 의해 희석화되는, 할로겐 불화물 (halogen fluoride) 을 이용하는 RF (radio-frequency) 플라즈마 식각공정을 개시하고 있고, 일본 특개평11-243082 호는 실리콘 산화물에 대해 불소 (fluorine) 가스 및 아르곤 가스의 혼합물을 이용하는 RF 플라즈마 식각공정이 개시되고 있음을 주의하여야 한다. 그러나, 어떤 것도 반도체 디바이스에 침투한 아르곤 원자들의 방출을 제안하지는 않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2 개의 도전층 사이의 컨택 특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반도체 디바이스로부터 아르곤 원자들을 방출하는데 있고, 도전층 중 하나는 스퍼트링공정에 의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디바이스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도전층이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된다. 그 후, 제 1 도전층으로부터 자연산화물을 방출하기 위해 아르곤 이온들을 이용하는 플라즈마 식각공정이 제 1 도전층 상에 진행된다. 그 후, 제 1 도전층으로부터 아르곤 이온들을 방출하기 위하여 제 1 도전층 상에 약 650 ℃ 이상의 열처리가 진행된다. 마지막으로, 제 2 도전층이 제 1 도전층 상에 스퍼터링 공정으로 형성된다.
도면들을 참조하여, 종래기술과 비교되는 본 발명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1c 는 반도체 디바이스를 제조하는 종래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
도 2 는 도 1a 내지 도 1c 에 도시된 방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설명한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d 는 본 발명에 따라서 반도체 디바이스를 제조하기 위한 일실시예를 설명하는 단면도들.
도 4 는 도 3c 의 아르곤 원자들의 방출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 5 는 도 3a, 도 3b, 도 3c 및 도 3d 에 도시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내는 다이어그램.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반도체 기판 2 : 실리콘 산화막
3, 7 : 도전층 4 : BPSG 막
5 : 실리콘 질화막 6 : 자연산화막
51 : 진공유닛 52 : 식각챔버
53 : 냉각챔버 54 : 분리챔버
54 : 분리챔버 55-1, 55-2 : 스퍼터링 챔버
56-1, 56-2 : 가열챔버 57-1, 57-2 : 로딩챔버
58 : 제어회로 541 : 플레이트
542 : 암 (arm) 543 : 피벗 받침대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이전에, 반도체 디바이스를 제조하는 종래기술을 도 1a 내지 도 1c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a 를 참조하면, 실리콘 산화막 (2) 이 활성영역 (active region) 들이 이미 형성된 실리콘 기판 (1) 상에 형성된다. 그 후, 실리콘 산화막 (2) 은 포토리소그래피 및 식각공정에 의해서 홀이 형성된다. 그 후, 알루미늄 또는 텅스텐 실리사이드 (WSi) 와 같은 고융점 금속 (refractory metal) 으로 된 도전층 (3) 이 스퍼터링 공정 혹은 이와 유사한 공정으로 증착된다. 그 후, BPSG (boron-included phospor-silicated silicon glass) 막 (4) 및 실리콘 질화막 (5) 은 연속적으로 화학기상증착 (chemical vapor deposition) 공정에 의해 증착된다. 그 후, 내부에 쓰루홀 (throughhole) (TH) 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실리콘 질화막 (5) 및 BPSG 막 (4) 은 포토리소그래피 및 식각공정이 진행된다. 이 경우, 도전층 (3) 이 산화되기 때문에, 매우 얇은 자연산화막 (6) 이 도전층 (3) 상에 형성된다.
다음, 도 1b 를 참조하면, 아르곤 이온들을 이용하는 RF 플라즈마 식각공정이 자연산화막 (6) 을 방출하기 위해 그 상에 진행된다. 결과적으로, 얼마간의 아르곤 이온들이 X 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도전층 (3) 내부로 침투한다.
마지막으로, 도 1c 를 참조하면, 도전층 (7) 이 쓰루홀 (TH) 을 통해 도전층 (3) 과 컨택하도록 하기 위해서, 알루미늄 또는 WSi 같은 고융점 금속으로 된 도전층 (7) 이 스퍼터링 공정 또는 이와 유사한 공정에 의해 실리콘 질화막 (5) 및 쓰루홀 (TH) 상에 증착된다.
도 1a, 도 1b 및 도 1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되는 반도체 디바이스에 있어서, 만약 840 ℃ 와 같은 온도에서의 열처리가 후속공정에서 진행되면, 도전층 (3) 에 침투한 아르곤 원자들은 도전층들 (3 및 7) 사이의 계면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도전층들 (3 및 7) 사이의 컨택특성이 저하된다. 최악의 경우에는, 도전층 (7) 이 도전층 (3) 으로부터 벗겨지게 되고, 따라서, 도전층 (7) 은 도전층 (3) 과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이것은 반도체 디바이스의 성능을 열화 (degrade) 시킬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디바이스를 제작하는 방법의 일실시예를, 도 3a 부터 도 3d 를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도 3a 를 참조하면, 실리콘 산화막 (2) 이 활성영역들이 이미 형성된 실리콘 기판 상에 도 1a 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형성된다. 그 후, 실리콘 산화막 (2) 은 포토리소그래피 및 식각공정에 의해 홀이 형성된다. 그 후, 알루미늄 및 WSi 와 같은 고융점 금속으로 된 도전층 (3) 이 스퍼터링 또는 이와 유사한 공정에 의해 증착된다. 그 후, BPSG 막 (4) 및 실리콘 질화막 (5) 이 CVD 공정에 의해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그 후, 포토리소그래피 및 식각공정에 의해 실리콘 질화막 (5) 및 BPSG 막 (4) 은 홀을 형성하고, 그 결과, 쓰루홀 (TH) 이 내부에 형성된다. 이 경우, 도전층 (3) 은 산화되기 때문에, 도전층 (3) 상에 매우 얇은 자연 산화막 (6) 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3b 를 참조하면, 도 1b 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자연산화막을 방출하기 위하여, 그 위에 아르곤 이온들을 이용하는 RF 플라즈마 식각공정이 진행된다. 그 결과, 얼마간의 아르곤 이온들은 X 에 의해 표시된 것과 같이 도전층 (3) 내부에 침투한다.
다음으로, 도 3c 를 참조하면, 약 650 ℃ 이상의 온도에서의 열처리가 진행된다. 이에 대해서는 이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 결과, 도면의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도전층 (3) 내부에 침투한 아르곤 원자들이 효과적으로 방출된다.
마지막으로, 도 3d 를 참조하면, 도 3c 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도전층 (7) 이 쓰루홀 (TH) 를 통해서 도전층 (3) 과 컨택하기 위해, 스퍼터링 또는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실리콘 실화막 (5) 및 쓰루홀 (TH) 에 알루미늄 또는 WSi 와 같은 고융점 금속으로 된 도전층 (7) 이 증착된다.
도 3a, 도 3b, 도 3c 및 도 3d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되는 반도체 디바이스에 있어서, 만약, 840 ℃ 와 같은 온도에서의 열처리가 후속공정으로 진행되면, 도전층 (3) 내부에 침투된 아르곤 이온들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도전층 (3) 과 도전층 (7) 사이의 컨택특성은 저하되지 않는다. 또한, 도전층 (7) 은 결코 도전층 (3) 으로부터 벗겨지지 않고, 따라서, 도전층 (7) 은 결코 전기적으로 도전층 (3) 과 분리되지 않는다. 이것은 반도체 디바이스의 성능을 열화시키지 않게 된다.
도 3c 에서의 열처리에 의한 도전층 (3) 으로부터의 아르곤 방출 특성은 도 4 에 도시되어 있으며, 1.0 ×10-6Torr (=1.33 ×10-4Pa) 의 고진공 하에서, 850 ℃ 에서 30초 동안의 아르곤 방출량은 100% 로 정의한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온도가 대략 650 ℃ 일 때, 아르곤 방출량은 대략 70 % 이고, 가열온도가 대략 700 ℃ 일 때, 아르곤 방출량은 대략 90 % 이다. 그러므로, 도 3c 에서의 가열온도는 바람직하게는 약 650 ℃ 보다 높다.
도 3a, 도 3b, 도 3c 및 도 3d 에서 도시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내는 도 5 에서는, 도면부호 51 은 진공유닛을 나타내고, 그 진공유닛에는 RF 플라즈마 식각챔버 (52), 냉각챔버 (53) 및 분리챔버 (54) 가 제공된다.
또한, 하나의 웨이퍼를 마운트 (mount) 하는 플레이트 (541), 플레이트 (541) 를 지지하는 확장 가능한 (eapansible) 암 (542) 들 및 암 (542) 들을 피벗으로 지지하는 피벗 받침대 (543) 가 분리챔버 (54) 내부에 제공된다.
또한, 스퍼터링 챔버들 (55-1 및 55-2), 가열챔버들 (56-1 및 56-2) 및 로딩챔버들 (57-1 및 57-2) 은 진공유닛 (51) 과 연결된다. 가열챔버 (56) 들은 램프 어닐러 (lamp annealer) 를 포함한다.
도 5 의 전체 장치는 임의의 진공 분위기에 있다.
또한, 도 5 의 장치는 마이크로컴퓨터를 포함할 수 있는 제어회로 (58) 에 의해 제어된다.
이하, 도 5 의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실리콘 기판 (1) 상에 막들 (2, 3, 4 및 5) 이 이미 형성된 웨이퍼들 (W) 을 포함하는 패키지가 로딩챔버 (57-1) 에 장착되고, 웨이퍼들 (W) 중 하나가 플레이트 (541) 및 암 (542) 들에 의해 로딩챔버 (57-1) 로부터 RF 플라즈마 식각 챔버 (52) 로 운반된다. 그 후, 진공챔버 (51) 는 대략 1.0 ×10-6Torr (=1.33 ×10-4Pa) 로 진공상태가 된다.
다음, RF 플라즈마 식각챔버 (52) 에서, 아르곤 이온들을 이용하는 RF 플라즈마 식각공정이 도전층 (3) 으로부터 자연산화막 (6) 을 방출하기 위해 진행된다.
다음, 웨이퍼들 (W) 중 하나는 플레이트 (541) 및 암 (542) 들에 의해 RF 플라즈마 식각챔버 (52) 로부터 가열챔버 (56-1) 에 운반된다. 그 후, 650 ℃ 이상의 온도에서 30 초 동안, 도전층 (3) 으로부터 아르곤 원자들을 방출하기 위하여, 램프 어닐링공정을 이용한 열처리가 진행된다.
다음, 웨이퍼들 (W) 중 하나는 플레이트 (541) 및 암 (542) 들에 의해 가열챔버 (56-1) 로부터 스퍼터링 챔버 (55-1) 에 운반된다. 그 후, 도전층 (7) 이 스퍼터링 공정으로 형성된다.
마지막으로, 웨이퍼들 (W) 중 하나는 플레이트 (541) 및 암 (542) 들에 의해 스퍼터링 챔버 (55-1) 로부터 로딩챔버 (57-1) 로 운반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스퍼터링 공정에 의한 상부 도전층이 형성되기 이전에, 아르곤 원자들이 하부 도전층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방출되기 때문에, 2 개의 도전층들 사이의 컨택 특성들은 향상될 수 있으므로 반도체 디바이스의 성능이 열화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반도체 기판 (1) 상에 제 1 도전층 (3) 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도전층으로부터 자연산화물을 방출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도전층 상에 아르곤 이온들을 이용한 플라즈마 식각공정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플라즈마 식각공정을 수행한 후, 상기 제 1 도전층으로부터 아르곤 원자들을 방출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도전층 상에 약 650 ℃ 이상의 온도에서 열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열처리가 수행한 후, 스퍼터링 공정에 의해서 상기 제 1 도전층 상에 제 2 도전층 (7) 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디바이스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식각공정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열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도전층 형성하는 단계들은 진공상태로 될 수 있는 하나의 장치 내부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디바이스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식각공정은 RF 플라즈마 식각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디바이스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는 약 700 ℃ 이상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디바이스의 제조방법.
  5. 반도체 디바이스를 제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디바이스에 아르곤 이온들을 이용한 플라즈마 식각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플라즈마 식각챔버 (52);
    상기 반도체 디바이스로부터 아르곤 원자들을 방출하기 위해, 약 650 ℃ 이상의 온도에서, 상기 반도체 디바이스를 가열하는 가열챔버 (56-1, 56-2);
    상기 반도체 디바이스의 도전층 (7) 을 형성하는 스퍼터링 챔버 (55-1, 55-2); 및
    상기 플라즈마 식각챔버, 상기 가열챔버 및 상기 스퍼터링 챔버와 연결된 분리챔버 (54) 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챔버에는 상기 반도체 디바이스를 상기 플라즈마 식각챔버, 상기 가열챔버 및 상기 스퍼터링 챔버 중 하나의 챔버로부터 다른 챔버로 운반하는 멤버들 (541, 542, 543) 이 제공되며,
    상기 플라즈마 식각챔버, 상기 가열챔버, 상기 스퍼터링 챔버 및 상기 분리챔버는 임의의 진공 분위기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디바이스를 제조하는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챔버에는 램프 어닐러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디바이스를 제조하는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식각공정은 RF 플라즈마 식각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디바이스를 제조하는 장치.
KR1020000069203A 1999-11-22 2000-11-21 아르곤 가스를 방출할 수 있는 반도체 디바이스의제조방법 및 반도체 디바이스의 제조장치 KR200100518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3200399A JP2001148367A (ja) 1999-11-22 1999-11-22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装置
JP99-332003 1999-11-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1844A true KR20010051844A (ko) 2001-06-25

Family

ID=18250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9203A KR20010051844A (ko) 1999-11-22 2000-11-21 아르곤 가스를 방출할 수 있는 반도체 디바이스의제조방법 및 반도체 디바이스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6444585B1 (ko)
JP (1) JP2001148367A (ko)
KR (1) KR20010051844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65853A (en) * 1987-09-07 1989-03-13 Hitachi Ltd Method of filling fine hole with metal
JPH02213125A (ja) * 1989-02-13 1990-08-24 Sony Corp タングステン膜の選択的形成方法
JPH03165515A (ja) * 1989-11-25 1991-07-17 Seiko Epson Corp コンタクトの形成方法
JPH0423323A (ja) * 1990-05-14 1992-01-27 Fujitsu Ltd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0169270B1 (ko) * 1993-11-16 1999-02-01 사토 후미오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54872A (en) * 1989-03-14 1993-10-19 Kabushiki Kaisha Toshiba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H0410621A (ja) 1990-04-27 1992-01-14 Kawasaki Steel Corp 窒化シリコン膜のエッチング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DE69223868T2 (de) * 1991-07-17 1998-09-03 Denso Corp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Elektroden eines Halbleiterbauelements
JPH08288219A (ja) 1995-04-13 1996-11-01 Sony Corp 半導体処理装置及び半導体処理方法
JPH09102541A (ja) * 1995-10-05 1997-04-15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H09115866A (ja) * 1995-10-17 1997-05-02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DE69738020T2 (de) * 1996-06-28 2008-07-31 Sumco Corp. Verfahren und anordnung zur thermischen behandlung eines einkristallinischen plättchens, einkristallinisches plättch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einkristallinischen plättchens
JP3905232B2 (ja) 1997-12-27 2007-04-18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エッチング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65853A (en) * 1987-09-07 1989-03-13 Hitachi Ltd Method of filling fine hole with metal
JPH02213125A (ja) * 1989-02-13 1990-08-24 Sony Corp タングステン膜の選択的形成方法
JPH03165515A (ja) * 1989-11-25 1991-07-17 Seiko Epson Corp コンタクトの形成方法
JPH0423323A (ja) * 1990-05-14 1992-01-27 Fujitsu Ltd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0169270B1 (ko) * 1993-11-16 1999-02-01 사토 후미오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444585B1 (en) 2002-09-03
US20020177315A1 (en) 2002-11-28
JP2001148367A (ja) 2001-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85372A (en) Method of forming conductive layer including removal of native oxide
KR100446300B1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 형성 방법
US6614119B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JPH09312262A (ja) マルチチャンバースパッタリング装置
US5943600A (en) Treatment of a titanium nitride layer to improve resistance to elevated temperatures
EP0477990B1 (en) A method of enhancing the properties of a thin film on a substrate
JP3381767B2 (ja) 成膜方法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0425451B1 (ko) 열처리 챔버 및 이를 이용한 웨이퍼의 열처리 방법
US5660696A (en) Method for forming metal lines by sputtering
KR100220933B1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방법
KR20010051844A (ko) 아르곤 가스를 방출할 수 있는 반도체 디바이스의제조방법 및 반도체 디바이스의 제조장치
US6537621B1 (en) Method of forming a titanium film and a barrier film on a surface of a substrate through lamination
JPH10261596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6063700A (en) Method of forming ohmic conductive components in a single chamber process
KR100353806B1 (ko) 반도체소자의 금속배선 형성 방법
KR100332127B1 (ko) 반도체 소자의 도전층 형성방법
US6156650A (en) Method of releasing gas trapped during deposition
KR100197127B1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방법
KR100458294B1 (ko) 반도체소자의장벽금속층형성방법
KR20200094677A (ko) 기판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기판 처리 장치 및 클러스터 시스템
KR100331964B1 (ko) 원자층 증착 설비 및 이를 이용한 원자층 증착 방법
JP2730499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H02298270A (ja) 成膜方法
JPH1187268A (ja) 半導体装置、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装置
JPH09283590A (ja) 半導体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