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0923A - 엘리베이터의 관제 운전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관제 운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0923A
KR20010040923A KR1020007008834A KR20007008834A KR20010040923A KR 20010040923 A KR20010040923 A KR 20010040923A KR 1020007008834 A KR1020007008834 A KR 1020007008834A KR 20007008834 A KR20007008834 A KR 20007008834A KR 20010040923 A KR20010040923 A KR 200100409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elevator
irrigation
time
wat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8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6922B1 (ko
Inventor
가와이기요지
미야지마아키히사
Original Assignee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Publication of KR20010040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0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6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69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B66B5/02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where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 is caused by a natural event, e.g. earthqua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Remote Sens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관제운전장치는 관수의 유무만 검출할 수 있으므로, 경보를 발생했을때에는 이미 엘리베이터가 이용이 안되는 상태가 되어 있거나, 엘리베이터의 이용자도 돌연 엘리베이터가 사용불능이거나, 또 관수상태에서 복귀할때까지의 경과가 몰라, 승객에 불편을 준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관제운전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승강로내의 관수량을 검출하는 관수검출기와, 이 검출치를 기초로 관수속도를 구하는 관수속도연산수단과 연산된 관수속도를 기초로, 엘리베이터의 관수관제운전을 하는 관수관제운전지령수단을 구비함으로써, 관수의 속도에 맞는 최적한 관수시 관제운전을 제공할수가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관제 운전장치{OPERATION CONTROLLER FOR ELEVATOR}
관수를 검출해서 엘리베이터의 관제운전을 하는 종래의 기술은 수없이 많다.
일본국특개소 53-36274호공보, 일본국 특개소 60-213673호 공보, 일본국 특개소 62-89269호 공보등이 있고 어느것이나, 관수를 검출하고 이로인해 엘리베이터를 퇴피운전시키거나, 운전휴지를 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으나 이들은 어느것이나 관수를 일율적으로 검출하고 있기때문에 관수의 속도에 대응한 운전으로 되어 있지 않다.
관수검출기를 갖고, 이것이 동작하면 엘리베이터를 관수의 염려가 없는 층으로 퇴피운전시켜 이후의 카호출 및 승강장 호출에의 서비스를 금지시킨다.
또 퇴피층에서 운전휴지시킨다.
또 나아가, 관수한것을 카, 승차장,관리인실등에 표시 통지한다.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관제운전장치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관수가 급격할때, 관수가 완만할때 등 관수의 속도에 따른 운전이 안되므로, 관수가 급격할때 원래는 엘리베이터를 급정지시킬 필요가 있을때도, 일율적으로 퇴피운전을 하므로, 엘리베이터가 주행중에 엘리베이터의 안전상 중요한 기기가 관수되어 카내 승객의 안전이 보장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관수가 완만한때에 본래는 퇴피운전을 할 필요가 없을때도, 일율적인 퇴피운전을 하므로, 이후의 엘리베이터 사용이 되지 않게 되어, 빌딩의 세로의 교통기관으로서의 엘리베이터가 기능하지 않게 되어, 엘리베이터 이용객은 불편을 받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 일본국 특개평 4-209180호 공보에 표시된 바와같이, 카상에의 누수를 검출하면 경보를 발하는 엘리베이터의 관제운전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의 승차 카위에 누수검출장치를 설치하고 그 신호에 의해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수단과,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제어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관제운전장치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관수의 유무만을 검출하였었다.
이때문에 경보를 발생했을때는 이미 엘리베이터가 이용할 수 없는 상태가 되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엘리베이터의 이용자도 돌연 엘리베이터가 사용불능하게 되거나, 또 관수상태에서 복귀 할때까지의 경과가 불명해서 승객에게 불편을 준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된것으로 관수의 속도를 계측하고 관수의 속도에 맞는 초적의 관수시 관제운전을 제공하는 엘리베이터의 관제 운전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만일의 경우에 대비해서 백업용의 관수시 관제운전을 하는 엘리베이터의 관제운전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관수 상황을 파악하고 표시통지함으로써 관수시의 중수.감수상태를 관리인에게 알려줌으로써 관수상황에 대응한 터치를 할수 있는 동시에, 승객에도 금후의 엘리베이터의 이용예측을 사전에 알리고, 이용하기 쉬운 엘리베이터의 관제 운전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관제운전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승강로내의 관수량을 검출하는 관수검출기와 이 관수검출기의 검출치를 기초로 관수 속도를 구하는 관수속도 연산 수단과, 이 관수속도연산수단에서 연산된 관수속도를 기초로, 엘리베이터의 관수관제운전방법을 설정하고 엘리베이터에 지령하는 관수관제운전지령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이로써 승강로내의 수위의 상승상태를 관수속도로서 검출 연산하고, 최적타이밍으로 관수관제 운전을 실시할수가 있다.
즉 일율적인 관제운전의 개시가 아니고, 예를들면 급격한 수위상승시는 긴급 엘리베이터를 정지시키고 천천히 오른 수위 상승에 거한 관수시에는 승객을 카내에 가두지 않고 목적층에 보낸후에 피난층으로 허송하는 관제운전방법을 취할수도 있다.
또, 관수검출기에서 검출한 관수량과 관수속도 연산수단에서 연산된 관수속도의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금후의 관수의 진행상태를 예측하는 관수예측 수단을 구비하고, 관수관제 운전지령수단은 상기 관수 예측수단의 예측결과를 기초로, 관수관제운전방법을 설정하는 것이다.
이로써 예를들면 운전을 정지해야할 시기를 예측함으로써, 그 시점까지의 엘리베이터의 운행방법을 판단하는 것이 쉬워지고 보다 최적한 타이밍, 최적방법으로 관수관제 운전을 실시할수가 있다.
또, 관수검출기로 검출한 관수량과 관수 속도연산수단으로 연샅된 관수속도와 관수예측 수단에서 예측된 금후의 관수상황과의 적어도 하나를 표시형태에 편집하는 표시내용 형성수단과, 이 표시내용형성수단으로 편집형성된 내용을 표시하는 관수표시기를 구비한 것이다.
이로써 관수의 상황을 엘리베이터의 이용객 또는 관리자에 알릴수가 있으므로, 이용객으로서는 평상시와 다른 운행이 되는 관수 관제운전에 대해, 그 이유를 알게됨으로서 불안을 완화시키고 또 관리인으로서는 적정한 대응을 신속하게 실시할수 있게 된다.
또 관수표시기는 승강로내의 관수를 검출해서 관수량이 소정의 소위로 도달할때까지의 예측시간을 표시하는 것이다.
이로써 운전정지할때까지의 시간을 관수표시기로 표시통지함으로써 이용자 또는 관리인에게 금후를 추측할 수 있는 정보를 부여할수가 있다.
따라서 이용자에게는 엘리베이터가 이용할 수 없게 된 이유가 인식되므로, 평상시와 다른 움직임을 해도 이해가 된다.
또, 승강로내의 관수량이 소정의 수위에 도달할때까지의 관수속도가 제1의 소정속도이상일때, 관수관제운전지령수단은 엘리베이터를 즉시 정지시키는 것이다.
이로써 예를들면 소정의 수위가 엘리베이터의 운전계속을 곤란하게 하는 경우에, 그때까지의 시간이 가장 가까운 층까지 정상주행을 계속해 정지하는데 요하는 시간보다 짧은 경우에는 즉시 정지시키는 것으로, 적어도 소정의 수위에 달하기전에 정지시키고 운전상의 이상사태를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수가 있다.
또 승강로내의 관수량이 소정의 수위에 도달할때까지의 관수속도가 제1의 소정의 속도이내이고, 또 제2의 소정의 속도이상일때 관수관제 운전지령수단은 엘리베이터를 가장 가까운측에 정지시키는 것이다.
이로써, 예를들면 소정의 수위가 엘리베이터의 운전계속을 곤란하다고 할때 그때까지의 시간이 가장 가까운 층까지 통상주행을 계속해 정지하는데 필요로 하는 시간보다 긴 경우로, 여러층을 운전계속하는 데는 짧은 경우에는 엘리베이터를 가장 가까운 층까지 운전시켜, 거기서 휴지시킴으로써 엘리베이터의 승객을 급정지에 의해 카속에 가두지 않고 가장 가까운 층에서 하차시킬수가 있다.
또 그후 제2의 소정시간에 도달해 있지 않으면 필요에 따라 승객을 태우지 않고 피난층까지 운전할 수도 있다.
또 승강로내의 관수량이 소정의 수위에 도달할때까지의 관수속도가 제2의 소정시간이내일때 관수관제운전지령수단은 엘리베이터에 신규의 호출할당을 저지하고 이미 할당이 끝난 호출의 적어도 하나에 응답한후, 엘리베이터를 가장 가까운 피난층에 정지시키는 것이다.
이로써 예를들면 소정의 수위가 엘리베이터의 운전계속을 곤난할때에 그 수위에 달할때까지 충분한 여유시간이 있을때는 최소한 그 시점에서 할당되어 있는 호출에 답한후에 가장 가까운 피난층에 카를 착상시키는 것으로 이용자에 대해 이미 예정되어 있는 서비스를 실시한후 엘리베이터를 휴지시킴으로써 이용자에게 이화감을 주지 않고 휴지시킬수가 있다.
이와 관련해, 신규로 발생하는 호출에 대해서는 다른 엘리베이터에 할당할수가 있고, 또 응답한 엘리베이터가 이 한대밖에 없는 경우에도 새로운 호출의 등록이 안되는 것뿐이고, 이미 접수한 호출에 대해 그 여유시간중에 실행하는 것이다.
또, 관수검출기가 관수를 검출했을때, 종단근방의 소정의 층상에는 응답시키지 않는 것이다.
이로써 승강로내의 관수는 통상하부의 피트에 고여가는 것이 보통이고, 카가 최하층에 정지할때 또는 카가 최상층에 있는 경우는 균형추가 최하층에 위치할때 관수의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관수를 검출했을때에는 종단근방의 소정의 층상에는 카를 운전하지 않도록 해서, 카 또는 균형추가 물에 감기는 일이 없도록 하는 것이다.
또, 적어도 관수 검출기가 검출해야할 범위의 수위를 검출하는 보조관수 검출기를 구비하고, 상기 관수검출기 검출해야할 범위의 수위에서 동작하지 않고, 상기 보조검출기가 동작했을때 관수관제 운전지령수단은 엘리베이터를 가장 가까운 피난층에 정지시키는 것이다.
이로써 보조관수 검출기가 관수를 검출하고 있을때 관수검출기가 동등의 관수를 검출하지 않는 경우에는 관수검출기(1)에 어떠한 이상이 발생해 있을 가능성이 있다.
이런 경우에는 실제로 수위가 상승되어 있을 염려가 있고, 엘리베이터를 조급하게 안전한 장소로 대피시킬 필요가 있다.
그래서 가장 가까운 피난층까지 운행해서 정지시킴으로써, 검출기의 고장에서 엘리베이터에 데미지를 주는 것을 방지할수가 있다.
또, 승강로내의 관수량이 소정의 수위에 도달하지 않고, 감소할때 관수예측수단은 운전재개를 가능하게 하는 수위에 도달하는 시간을 측정하고 관수표시기는 상기 추정된 복귀예측시간을 표시하는 것이다.
이로써 이용자 또는 관리인에게 금후를 추측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수가 있다.
따라서 복구할때까지의 예측도 할수 있으므로 이용자가 초조감을 갖는 일도 없다.
또 승강로내의 관수량이 운전재개를 가능하게 하는 수위에 달했을때, 관수 관제운전지령수단은 관수관제운전을 해소하고 통상운전으로 복귀시키는 것이다.
이로써 관수가 엘리베이터를 정지해야할 레벨까지 도달하지 않고 정지하고 그후 감소하는 일이 있으면 운전을 재개해도 엘리베이터에 손상을 주는 일은 없다.
그래서 운전재개가 가능해 질때까지의 시간이 추정되는 경우에는, 그 시간에 맞추어 관수 관제운전을 해소하도록 사전에 준비를 개시하고, 적정한 수위가 된후에 관수관제운전을 해소함으로써, 보수원의 도착을 기다리지 않고 적시에 운전재개가 되므로, 조기복구가 가능해지고 서비스가 향상된다.
또 승강로내의 관수량이 소정의 수위가 도달하면 수위가 감소해도 관수관제운전을 계속하는 것이다.
이로써 관수가 엘리베이터를 정지시켜야 할 레벨까지 도달하였을때는 엘리베이터에 어떤 손상이 발생해 있을 가능성이 있고, 관수의 수위가 감소해도 자동적으로 운전재개 되면 이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 운전재개시키지 않는 것이 좋다.
그래서 관수관제운전을 계속시켜, 재개하는데는 예를들어 보수원이 점검한 후에 함으로써 안전성을 높일수가 있다.
또, 복귀스위치를 설치해, 관수관제운전이 계속되고 있을때 상기 복귀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관수관제운전의 지령을 해제하는 것이다.
이로써 보수원이 점검하고, 그 결과 운전재개하여도 문제가 없다고 판단될때에 복귀스위치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운전재개를 할수가 있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피트내에의 관수(冠水)를 검출하고 관수에 대응해서, 운전제어하는 동시에, 관수에 대응해서 표시 통지하는 엘리베이터의 관제운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관제 운전장치를 표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의 관제 운전장치의 동작을 하나의 관수상황에서 설명하는 타임차트.
도 3은 도 1의 엘리베이터의 관리운전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차트.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의 형태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관제운전장치의 관수검출기의 엘리베이터 피트내에의 부착도.
도 5는 관수속도의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관제운전장치의 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차트.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관제운전장치에서 중수속도 검출프로그램의 동작설명도.
도 8은 관수속도의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관제 운전장치에서 만수 예측검출프로그램의 동작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관제 운전장치에서 증수시의 엘리베이터 이용상황 통지프로그램의 동작설명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관제운전장치에서 감속시의 엘리베이터 이용상황 통지프로그램의 동작설명도.
도 12 는 관수시의 표시예.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다음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 아래와 같이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관제운전장치를 표시하는 블록도이다.
이 도1에서 1은 관수검출기이고, 승강로내 피트에 진입한 물등 주로 액체로 된 진입물질을 검출하는 것으로 적어도 2레벨이상, 통상은 연속적으로 수위(액량)를 검출하는 것이다.
그 검출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고 예를들면 수위검출소자를 깊이에 따라 여러개 배치하는 것 또는 수직으로 연통관을 세워 상단으로부터 액면에 초음파등을 조사하고, 그 반사신호를 계측하는 것등이다.
2는 관수연산수단이고, 관수검출기(1)의 검출치를 기초로 관수의 변화량을 구하는 것이다.
3은 관수관제운전지령수단이고, 관수속도 연산수단(2)로 연산된 관수, 속도를 기초로 하나 또는 복수중에서 선택된 엘리베이터의 관제 운전방법을 엘리베이터에 지령하는 것이다.
4는 관수예측수단이고, 관수검출기(1)로 검출한 관수량과 관수속도 연산수단(2)에서 연산된 관수속도의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금후의 관수의 진행상태를 예측하는 것이다.
5는 표시내용 형성수단이고 관수 검출기(1)로 검출한 관수행과 관수속도연산수단(2)으로 연산된 관수속도와 관수예측수단(4)에서 예측된 금후의 관수상황의 ㅈ거어도 하나를 표시형태로 편집하는 것이다.
6은 엘리베이터의 관수상황을 표시하는 관수표시기이고, 표시내용 형성수단(5)에서 편집형성된 내용을 표시한다.
7은 승강로내 피트의 관수가 관수검출기(1)에서의 소정의 수위근방에 도달한것을 검출하는 보조관수검출기이고, 절대수위를 적어도 1레벨 계측되면 되므로 예를 들면 부자(浮子)식의 수위계를 설치함으로써 실현이 가능하다.
8은 과수후 보수원에 의해 당해 엘리베이터가 복귀시켜서 운전가능란가를 점검하고, OK 인 경우에는 이 스위치를 한번 투입하고 통상운전으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스위치이다.
9는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이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관제운전장치의 동작을 하나의 광수상황에서 제2의 타임차트에 의해 설명한다.
이 예의 엘리베이터에서는 승강로내의 관수에 대한 배수설비(도시않함)가 있고, 진입하는 물과 배수되는 물의 차에 의해서 관수의 증감이 변화하는 것이다.
승강로내의 관수가 시작되고 시간 t1에서, 제2의 소정수위에 달하고 이때 아직 수위는 증가해 있고, 그때의 관수속도로부터 제1의 소정수위가 될때까지의 예측시간을 연산한 것이 T1이다.
이 T1을 소정시간과 비교함으로써 다수의 엘리베이터의 관제운전 방법에서 주출되고 그 시점의 상황에 적응한 관제운전이 지령된다.
그후 상승한 수위는 일단감소하게 된다.
그리고 시간 t2에서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복귀시키는 복귀예측시간을 추정한 것이 T2이다.
예를들면, 이 복귀예측시간을 표시함으로써 이 용객에 복귀까지의 측정대기시간을 표시하고 이용자의 불만을 해소할수가 있다.
그후, 수위는 다시 상승하고 시간 t3가 되면 관수속도가 대단히 증가하고, 관수예측시간이 T3와 같이 짧아진다.
따라서 그 시점의 상황에 적응한 관제운전이 지령된다.
그러나, 그 시점에서의 엘리베이터는 앞에 지시된 관제운전지령에 따라 정지중이고, 특히 운전할 필요는 없다.
단 앞의 관제운전지령으로 층간에 정지해 있는 것이 있으면 관수예측시간이 멀어진때에 가장 가까운 층까지 운전하고 승객이 카속에 남어 있는 경우에 구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 수위는 또 감소에 전환해 시간 t4에서 관수운전을 해제해도 되는 제2의 소정수위가 되고, 관수운전지령은 해제된다.
이 예의 경우에 수위는 제1의 소정수위에 발해있지 않으므로 보수원의 복귀스우치의 조각을 기다리지 않고 통상운전으로 되돌아갈수가 있다.
예측시간 T1,T2,T3에 따라 관수관리운전의 방식이 선택되고, 또 그 내용에 촉구한 표시가 관수표시기(6)에 표시되고, 섬세한 서비스를 실행할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관제운전장치의 동작을 도 3의 플로차트로 설명한다.
우선, S301에서 관수검출기(1)가 동작하고 있지 않으면, S302에서 관수 표시기(6)의 표시를 해소한다.
관수검출기(1)가 동작하고 있으면, S303으로 진행하고, 관제 계속플래그를 체크한다.
관제계속 플래그가 세트되지 않고, S304에서 보조관수검출기(7)가 동작하고 있지 않으면, S305로 진행하고, 수위가 제1의 소정의 수위에 도달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제1의 소정의 수위에 도달되어 있지 않으면, S306에서 관수의 증감을 체크한다.
관수가 증가되어 있으면, S307에서 수위가 제1의 소정의 수위에 도달할때까지의 관수시간을 예측한다.
다음 S308에 진행하고, 예측시간이 제1의 소정시간이내, 즉 관수의 예측 중수 속도가 제1의 소정의 속도이상이면 S309에서 엘리베이터를 즉시정지시키는 관수운전지령을 내고, 그 뜻을 관수 표시기(6)에 표시한다.
S308에서 예측시간이 제1의 소정시간을 초과하고 있으면 S310으로 진행하고 예측시간이 제2의 소정시간이내 즉 관수의 예측중수 속도가 제1의 소정의 속도이하로 제2의 소정의 속도이상이면 엘리베이터를 가장 가까운 층에 정지시키는 관수운전지령을 내고, 그 뜻을 관수표시기(6)에 표시한다.
예측시간이 제2의 소정시간 이상, 즉 관수의 예측 증수속도가 제2의 소정의 속도이하이면 S312에서 신규의 호출등록을 금지하고, 기존의 호출에 응답한후 가장 가까운 층에 정지시키는 관수운전지령을 내고 그 뜻을 관수표시기(6)에 표시한다.
S306에서 관수가 감소해 있으면 S313에서 수위가 제2의 소정의 수위까지 감소하는 시간 즉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복귀시키는 시간을 예측한다.
또 S314로 진행하고 수위가 제2의 소정의 수위 이하이면 S315에서 엘리베이터의 관수관제 운전지령을 해제한다.
수위가 제2의 소정의 수위까지 감소해 있지 않으면, 복귀예측시간을 관수표시기(6)에 표시한다.
S303에서, 관제계속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을때, 또 S304에서 보조관수 검출기(7)가 동작해서, S317에서 엘리베이터를 관수의 염려가 없는 가장 가까운 피난층에 정지시키는 관수관제운전을 지령할때, 또 S305에서 수위가 제1의 소정의 수위에도달해 있을때, 어느것이나 S318로 진행한다.
여기서 관수관제운전을 계속하고, 관제계속플래그를 세트한다.
다음에 S319에서 복귀스위치를 조작하면 관제계속 플래그를 오프세프한다.
또 S301의 「관수검출기는 동작하였는가」는 상황에 따라 「제 2의 소정수위를 초과하였는가」로 하여도 변함없는 효과를 얻을수가 있다.
특히 후자에서는 약간의 관수는 문제삼지 않는 엘리베이터에서는 물의 침입으로 즉시 관수관제운전으로 들어가는 일이 없고 통상 서비스를 계속함으로써 이용객의 편리성에 기여한다.
실시의 형태 2
도 4는 관수검출기의 엘리베이터 피트미에의 부착도이다.
도 5는, 관수속도의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관제운전장치의 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차트이다.
또 엘리베이터 관제운전장치의 구성은 기본적으로는 도 1의 구성과 같다.
이하 도면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관수검출기(1)는 도 4에 표시한바와같이 피트내에 설치되고 피트 저면에 근접한 위치에서의 관수를 검출할 수 있도록 설치된, 제1의 관수검출기(1a)와 제1의 관수 검출기(1a)로부터 피트저면으로부터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제2의 관수검출기(1b)로 구성되어 있다.
보조관수검출기(7)는 제2의 관수검출기(1b)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고 관수검출을 한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관제운전장치의 동작을 하나의 관수상황에서 도 5로 설명한다.
횡축에 시간(단위는 초)종축에 관수검출기의 동작을 표시한다.
제1의 관수검출기(1a)가 동작한후 제2의 관수검출기(1b)가 동작할때까지의 시간(간격)으로 관수속도를 검출한다.
제1의 관수검출기(1a)가 동작한후 제2의 관수검출기(1b)가 동작할때가지의 시간이 제1의 일정시간(예를드면 4초)이내일때, 급격한 관수속도로 하고, 도면에서는 A의 영역이 이에 행당한다.
또 제1의 관수검출기(1a)가 동작한후, 제2의 관수검출기(1b)가 동작할때까지의 시간이 제2의 일정시간(예를들어 8초)이내일때, 빠른 관수속도로 하고, 도면에서는 B의 영역이 이에 해당한다.
또 제1의 관수검출기(1a)가 동작해서 제2의 관수검출기(1b)가 동작할때까지의 시간이 제3의 일정시간(예를들어 24초)이내일때 보통의 관수속도로 하고, 도면에서는 C의 영역이 이에 해당한다.
그리고 제1의 관수검출기(1a)가 동작해서 제2의 관수검출기(1b)가 동작할때가지의 시간이 제3의 일정시간을 초과할때, 늦은 관수속도로 하고, 도면에서는 D의 영역이 이에 해당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관제운전장치의 동작을 도 6의 플로차트에 의해 설명한다.
S601에서는 안전을 배려해, 보조관수검출기(7)가 동작하였는지 아닌지를 최우선으로 확인한다.
보조관수검출기(7)가 동작하고 있지 않으면, S602로 진행한다.
여기서는 제1의 관수검출기(1a)가 동작하였는지의 여부를 검출해서 검출하고 있으면 S603으로 진행한다.
검출하지 않았으면 S613으로 진행해서 평상운전을 계속한다.
S603에서는 제2의 관수검출기(1b)가 제1의 관수검출기(1a)동작후, 제1의 일정시간(예를들어 4초)이내에 동작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해서, 동작하였으면 급격한 관수속도로 하고 S606으로 진행한다.
여기서는 엘리베이터를 급정지시켜 S607에서 이후의 운전을 휴지시킨다.
이후 S614로 진행하고, 승차장 또는 계원 관리만에 관수검출을 표시통지한다.
제2의 관수검출기(1b)가 제1의 일정시간이내로 동작하지 않으면, S604로 진행하고, 제2의 관수검출기(1b)가 제1의 관수검출기(1a)동작후 제2의 일정시간이내에 동작하였는지를 판단해서 동작했으면 빠른 관수속도로 하고, S608로 진행한다.
여기서는 엘리베이터를 가장 가까운 층에 정지시키고, 다시 S609로 진행해, 여기서는 가장 가까운 층에 정지후 도어를 개방시켜, 소정시간후 도어를 폐쇄시켜 운전 휴지시킨다.
이후 S614로 진행하고, 카, 승차장 또는 계원 관리반에 관수검출을 표시통지한다.
제2의 관수검출기(1b)가 제2의 일정시간이내에 동작하지 않으면, S605로 진행하고, 제2의 관수검출기(1b)가 제1의 관수검출기(1a)동작후 제3의 일정시간(예를들면 24초)이내에 동작하였은지의 판단을 하고, 동작했으면 보통의 관수속도로 하고, S610으로 진행한다.
여기서는 엘리베이터가 카호출, 또는 승차장호출에서 주행중이면 주행중에 최초의 호출로 정지할때까지 주행시킨다.
그후 S611로 진행하고, 여기서는 최초의 호출로 정지하면 모든 카 및 승차장 호출을 취소하고 소정시간후 도어폐쇄시켜, 운전 휴지시킨다.
그후 S614로 진행하고, 카,승차장 또는 계원 관리반에 관수검출을 표시 통지한다.
또 처음으로 돌아가 S601에서 보조관수검출기(7)가 동작하면, S608로 진행하고, 상술한바와같이 가장 가까운 층에 정지운전을 한다.
이상과 같이, 이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엘리베이터의 피트가 관수했을때 관수속도를 검출하고 관수속도에 대응한 관수시 관제운전을 하므로 승객의 안전을 확보하고 나아가서는 엘리베이터를 계속 사용할 수 있는 한계 가까이까지 운전이 가능하다.
또 관수속도검출은 2개의 관수검출기에서 설명하였으나, 3개이상 사용해도 달성할 수 있다.
또 관수속도검출은 수위가 다른 여러개의 관수검출기를 갖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관수중량의 검출, 피트에 초음파를 조사해서 그 반사시간으로부터 수위를 측정하는 등 여러가지의 방법이 있다.
또, 관수속도에 대응한 관수시 관제운전은, 4단계의 운전으로 설명하였으나, 5단계 이상의 관제운전도 가능한 것을 사실이다.
또 관수속도에서 엘리베이터를 운전할 수 있는 시간을 측정하고,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는 시간으로 운전을 할수도 있다.
실시의 형태 3
도 7은, 증수속도검출 프로그램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8은 관수속도의 설명도이다.
도 9는 관수 예측 검출프로그램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10은 증수시의 엘리베이터이용 상황통지프로그램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11은 감수시의 엘리베이터 이용상황 통지프로그램의 동작설명도이다.
도 12는 관수시의 표시예이다.
또, 엘리베이터 관제운전장치의 구성은 기본적으로는 도 1의 구성과 같다.
다음, 이 실시의 형태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관수 관제운전장치에서 관수 속도표시의 동작에 대해 도 7에 따라 설명한다.
S701에서 관수검출기(1)의 동작을 판정해서, 동작한 경우는 S702로 진행하고, 1분 타이머 카운트 중인지 판단한다.
초기시는, 타이머 카운트중이 아니므로, S703으로 진행하고, 1분 타이머를 스타트시키는 동시에 1분 타이머 카운트 플래그를 세트한다.
다음 S704에서 1분간 카운트를 할때까지는 END로 진행하고, 이하, START→S701→S702→S704→END의 순으로 처리해서 타이머 카운트를 한다.
그후 1분간의 카운트가 종료하면, S705로 진행하고, 증수량을 계산한다.
이 값으로부터 S706에서 증수속도를 승차장이나, 카 관리인실등에 설치된 관수표시기(6)에 표시한다.
또 S707에서 1분 타이머를 리세트해서 다시 증수 속도를 계산해서 표시한다.
표시예를 도 12에 표시한다.
또, 만수량은 중량이나 에어 방식에 의해 검출한다.
다음, 이 실시의 형태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관수 관제운전장치에서 만수예측검출의 동작에 대해 도 8,도 9에 따라 설명한다.
도 8은, 횡축에 시간 송축에 관수량의 변화를 나타낸다.
관수검출기(1)가 동작한후, Ta1시간후의 변화량을 파악하고, Ta1 까지의 증수시간을 검출한다.
또 이 시간 Ta1으로부터 금후의 증수시간 Ta2-Ta1, 및 Ta3-Ta1을 연산한다.
다음에, 만수예측검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S701에서 S705, S707은 도 7과 같이 START→S701→S702→S704→END의 순으로 START→S701→S702→S705,S707의 순으로 관수량 검출기 1의 동작에서 관수에 의한 변화량을 측정한다.
이 변화량으로부터 S709에서 만수가 될때까지의 시간을 다음식과 같이 예측한다.
만수시간 =(만수량-현재의 수위)/변화량
이 만수시간이 3분이하인 경우(S710)S712에서 만수까지의 시간으로서 0분을 승차장이나 카,관리인실등에 설치된 관수표시기(6)에 표시하도록 한다.
상기 만수시간이 3분이상이고, 10분이하인 경우(S711),(S713)에서 만수까지의 시간으로서 5분을 표시시켜, 상기 만수시간이 10분이상인 경우, S714에서 만수까지의 시간으로서 10분을 표시시킨다.
표시예를 도 12에 표시한다.
다음, 이 실시의 형태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관수관리운전장치에서 증수시의 엘리베이터 이용상황 통지프로그램의 동작에 대해, 도 10에 따라 설명한다.
다음에 증수시의 엘리베이터 이용상황 통지프로그램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S701에서 S705, S707은 도 7과 같은 START→S701→S702→S704→END 의 순으로 START→S701→S702→S705,S707의 순으로 관수검출기(1)의 동작에서 관수에 의한 변화량을 측정한다.
이 변화량으로부터 S715에서 엘리베이터가 휴지운전으로 이행할때까지의 휴지시간을 다음식과 같이 예측한다.
휴지시간=(휴지수위-현재의 수위)/변화량
S716에서 휴지시간이 3분이하인 경우, S718에서 엘리베이터가 휴지하는 시간으로서 승차장이나 카, 관리인실 등에 설치된 관수표시기(6)에 0분을 표시시킨다.
휴지시간이 3분이상으로 10분이하인 경우(S717),(S719)로 휴지하는 시간으로서 5분을 표시시킨다.
또 휴지시간이 10분 이상인 경우, S720에서 휴지하는 시간으로서 10분을 표시시킨다.
또, 승차장이나 카, 관리인실 등에 설치된 아나운스장치(도시않음)로 엘리베이터가 휴지할때 까지의 시간을 아나운스한다.
표시예를 도 12에 표시한다.
다음 이 실시의 형태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관수관제운전장치에서 감수시의 엘리베이터 이용상황 통지프로그램의 동작에 대해 도 11에 따라 설명한다.
다음에 감수시의 엘리베이터 이용상황 통지 프로그램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S701에서 S705, S707은 도 7과 같이 START→S701→S702→S704→END , START→S701→S702→S705,S707의 수느로 연산해서 관수검출기(1)의 동작으로부터 S722에서 최대 증수량을 상시 기억한다.
S719에서 현재의 수위와 1분전의 수위를 비교해서 증수되어 있으면 S726에서 승차장이나 카, 관리인실 등에 설치된 관수표시기(6)에 「잠시 이용할 수 없습니다」라는 메시지를 표시시킨다.
또 승차장이나 카,관리인실 등에 설치된 아나운스장치(도시않음)로 그 뜻을 아나운스한다.
또 감수되어 있으면 S720에서 상기 기억되어 있는 최대 증수량과 복구금지수위를 비교해서 최대 증수량이 복구 금지수위보다 크면 S726에서 상기한바와같은 처리를 한다.
최대 증수량이 복구 금지수위보다 작으면 S721로 진행하고 복귀시간을 다음식과 같이 계산한다.
복구시간=(현재의 수위-복구 금지수위)/변화량
그리고 S722에서 복구시간이 2분이하이면 S724에서 관수 표시기(6)에 복귀시간으로서 1분을 표시하고 아나운스장치로 그 상황을 아나운스한다.
또 복구시간이 2분이상이면 S723으로 진행하고, 복구시간이 12분이상이면 S726에서 상기와 같은 처리를 한다.
또 복구시간이 12분이하이면 S725에서 관수표시기(6)에 복구시간으로 10분을 표시하고, 아나운스장치로 그 상황을 아나운스한다.
표시예를 도 12에 표시한다.
또, 관수량 검출은 중량이나 에어 방식에 의해 검출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관수의 표시통지는 카, 승차장, 관리인실에서 설명하였으나 보수회사에의 통보도 쉽게 실시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가 사용 가능해지는 시간을 최대 증수량에서 판단하였으나, 보수시간등을 가산해서 표시해도 된다.
표시방식은 도 12의 예를 표시하였으나, LED표시의 조합등에 의한 표시도 가능하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과 같이 이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엘리베이터의 피트가 관수했을때 , 관수량이나 관수속도를 표시하거나 금후의 관수상황을 예측해서 표시통지제어를 하기 위해, 관리인이 엘리베이터를 사전에 소정의 위치에서 휴지시키거나,피트내의 물을 배출하거나, 관수에 대한 소정의 행동을 사전에 취할 수 있는 동시에, 승객의 안전을 확보할 수가 있다.
또, 엘리베이터의 이용자도 관수에 의해 엘리베이터가 이용불능일때에 사전에 이해할수가 있다.
또 복귀하는 때는 엘리베이터가 이용가능하게 되는 시간을 알수 있으므로 보다 사용이 쉬운 엘리베이터를 얻을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피트내에의 관수를 검출하고, 관수에 대응해서 운전제어하는 동시에 관수에 대응해서 표시통지하는 엘리베이터의 관제운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Claims (3)

  1. 엘리베이터의 승강로내의 관수량을 검출하는 관수검출기와, 이 관수검출기의 검출치를 기초로, 관수속도를 구하는 관수속도연산수단과, 이 관수속도연산수단에서 연산된 관수속도를 기초로, 엘리베이터의 관수관제운전방법을 설정하고, 엘리베이터에 지령하는 관수관제 운전지령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관제운전장치.
  2. 관수검출기로 검출한 관수량과 관수속도연산수단에서 연산된 관수속도의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금후의 관수의 진행상태를 예측하는 관수예측수단을 구비하고, 관수관제운전지령수단은 상기 관수예측수단의 예측결과를 기초로, 관수관제운전방법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기재의 엘리베이터의 관제 운전장치.
  3. 관수검출기로 검출한 관수량과 관수속도연산수단으로 연산된 관수속도와 관수예측수단에서 예측된 금후의 관수상황과의 적어도 하나를 표시형태로 편집하는 표시내용 형성수단과, 이 표시내용 형성수단으로 편집 형성된 내용을 표시하는 관수표시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2기재의 엘리베이터의 관제운전장치.
KR10-2000-7008834A 1998-12-14 1998-12-14 엘리베이터의 관제 운전장치의 관수관제 운전방법 KR1003769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1998/005630 WO2000035798A1 (fr) 1998-12-14 1998-12-14 Unite de commande des operations pour ascenseu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0923A true KR20010040923A (ko) 2001-05-15
KR100376922B1 KR100376922B1 (ko) 2003-03-26

Family

ID=14209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8834A KR100376922B1 (ko) 1998-12-14 1998-12-14 엘리베이터의 관제 운전장치의 관수관제 운전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321876B1 (ko)
EP (1) EP1061031B1 (ko)
JP (1) JP4265102B2 (ko)
KR (1) KR100376922B1 (ko)
CN (1) CN1132775C (ko)
WO (1) WO20000357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42999B2 (ja) * 2000-12-28 2011-03-02 東芝It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株式会社 エレベータ運転制御装置
JP4850363B2 (ja) * 2001-08-20 2012-01-1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非常時運転装置及びその運転方法
JP4598538B2 (ja) * 2005-01-13 2010-12-15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運転装置
JP2008007228A (ja) * 2006-06-27 2008-01-17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WO2010011214A1 (en) * 2008-07-23 2010-01-28 Ronald Therriault Elevator alert
JP4721198B2 (ja) * 2008-12-26 2011-07-13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CN101934964B (zh) * 2010-08-27 2012-11-14 日立电梯(上海)有限公司 防进水的电梯地坎
CN102285566A (zh) * 2011-08-15 2011-12-21 樱花电梯(中山)有限公司 具淹水通报系统的电梯装置
CN102372207B (zh) * 2011-09-30 2014-02-12 快意电梯股份有限公司 一种电梯底坑水位检测装置的检测处理方法
JP5966533B2 (ja) * 2012-04-03 2016-08-10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装置
US10160619B2 (en) * 2014-06-30 2018-12-25 Thyssenkrupp Elevator Corporation Under car power unit for an elevator system
JP6410684B2 (ja) * 2015-07-24 2018-10-24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ー用冠水運転制御方法及びエレベーター用冠水運転制御システム
US20200095092A1 (en) * 2018-09-21 2020-03-26 Otis Elevator Company Water detection in elevator pit using pit sensors
US20200095091A1 (en) * 2018-09-24 2020-03-26 Otis Elevator Company Water detection inside elevator pit
CN110127477B (zh) * 2019-04-01 2020-10-23 日立楼宇技术(广州)有限公司 基于底坑积水的电梯控制方法、装置及计算机设备
JP7239010B2 (ja) * 2019-09-30 2023-03-14 三菱電機株式会社 ビル設備の振動測定装置および管理システム
CN111891872B (zh) * 2020-08-11 2021-08-24 江苏安全技术职业学院 一种基于互联网的电梯维修防护装置
CN111762654B (zh) * 2020-08-11 2021-08-31 江苏安全技术职业学院 一种具有远程控制功能的电梯检测装置
JP7449501B1 (ja) 2023-04-21 2024-03-14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レベータ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19066A (en) * 1971-03-15 1974-06-25 Transfer Systems Apparatus for lowering and raising a shipping cask for spent nuclear fuel into a storage pool
JPS5336274A (en) 1976-09-16 1978-04-04 Seiko Epson Corp Digital watch
JPS60213673A (ja) 1984-04-06 1985-10-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昇降機浸水時の運転装置
JPH02132081A (ja) 1988-11-11 1990-05-21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運転管理装置
US4995477A (en) * 1990-03-01 1991-02-26 Ann Perricone Safety device for elevators
JPH04317973A (ja) * 1991-04-16 1992-11-09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昇降機の運転装置
JPH06166481A (ja) * 1992-12-01 1994-06-14 Mitsubishi Electric Corp 油圧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H07112880A (ja) * 1993-10-19 1995-05-02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昇降機の浸水時の運転装置
JP2806769B2 (ja) * 1993-12-16 1998-09-30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冠水予測退避装置
JPH0912249A (ja) * 1995-06-30 1997-01-14 Hitachi Ltd リニアエレベータの運転制御方式
JPH11147678A (ja) * 1997-11-17 1999-06-02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の運転装置
US5979607A (en) * 1998-03-31 1999-11-09 Allen; Thomas H. Multiple level building with an elevator system operable as a means of emergency egress and evacuation during a fire incident
JP2000191250A (ja) * 1998-12-25 2000-07-11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タ―用巻上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61031A4 (en) 2002-09-04
WO2000035798A1 (fr) 2000-06-22
KR100376922B1 (ko) 2003-03-26
EP1061031B1 (en) 2003-12-03
CN1132775C (zh) 2003-12-31
US6321876B1 (en) 2001-11-27
EP1061031A1 (en) 2000-12-20
JP4265102B2 (ja) 2009-05-20
CN1284929A (zh) 2001-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40923A (ko) 엘리베이터의 관제 운전장치
KR100650490B1 (ko) 엘리베이터 구조 시스템
KR20070067166A (ko)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및 엘리베이터의 운전 방법
JP2007031049A (ja) エレベータの強風管制システム
CN111285215A (zh) 电梯曳引条件评测方法及其系统
JP5924707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制御方法
JP3375454B2 (ja) エレベータの地震時管制運転装置
JP2011111304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2004359405A (ja) エレベータの地震時遠隔救出方法
JP2010265053A (ja) エレベータの管制運転装置および方法
JP6278859B2 (ja) エレベーターの保守方法及び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JP2000351545A (ja) エレベータ保守安全装置
KR101924942B1 (ko) 승강기의 비상탈출장치
JP5137489B2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2021119096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制御方法
JPH09255253A (ja) エレベーターの退避運転装置
JP6488229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および閉じ込め救出運転方法
JPH08231147A (ja) エレベータの着床誤差監視装置
JP2002356283A (ja) エレベータのロープ伸び検出装置および安全運転方法
JP4464110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7403393B2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と制御方法
JP7485220B2 (ja) エレベーターの管理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JP2018030693A (ja) エレベーター
JP2001206658A (ja) エレベーターの運転装置
JP2002308546A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の救出運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