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3540A - 차량용 회전좌석 - Google Patents

차량용 회전좌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3540A
KR20010023540A KR1020007002188A KR20007002188A KR20010023540A KR 20010023540 A KR20010023540 A KR 20010023540A KR 1020007002188 A KR1020007002188 A KR 1020007002188A KR 20007002188 A KR20007002188 A KR 20007002188A KR 20010023540 A KR20010023540 A KR 200100235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vehicle
seat body
support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2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6165B1 (ko
Inventor
수가야스오
이와타니마사미츠
카게이히로유끼
히지카타타카후미
타케노시타타다시
스에히로요시로
후지타찌카노리
우다쇼이찌
미우라요시요끼
무라바야시켄지
이와오마사노리
Original Assignee
이이지마 아키라
도요타 샤타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360549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78625A/ja
Priority claimed from JP236053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37471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48113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26423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09718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25967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40344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27582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77678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20917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99296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28967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19477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23984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19476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35853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35371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26610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67165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277886B2/ja
Application filed by 이이지마 아키라, 도요타 샤타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이지마 아키라
Publication of KR20010023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3540A/ko
Publication of KR100336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61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4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handicapped per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60N2/02253Electric mo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between the electric motor and the seat or sea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22Constructive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rota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예를 들면, 고령자 혹은 신체장애자용으로 사용되는 차량용 회전좌석에 있어서, 종래에는 좌석본체를 전방으로 슬라이드시키는 조작과 승강구측으로 회전시키는 조작을 행할 필요가 있으므로 사용의 편리성이 좋지 않다고 하는 문제가 있으며, 시트가 제자리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시트의 위치를 전방으로 설정하면 탑승자의 발밑 공간이 좁아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발밑 공간을 희생하지 않고도 사용의 편리성이 양호한 차량용 회전좌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여기에서 좌면 중심보다도 승강구측으로 편심된 위치에 부착시킨 회전판에 의해 좌석본체를 회전지지함과 동시에, 피니언 기어와 중간기어 및 랙의 치합에 의해 좌석본체의 회전동작과 전후방향의 이동동작을 연동시키는 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회전좌석{VEHICULAR TURNING SEAT}
이런 종류의 회전좌석은 탑승자가 편안하게 승강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탑승자가 앉아 있는 자세 그대로 승강구측(도어 개방구부측)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한 것이 있으나(예를 들면, 일본국 실개소 61-57047호 공보, 특개소 62-173343호 공보), 일반적으로 차량용 시트는 탑승자의 발밑을 넓게 하기 위해 최대한 후방부로 치우쳐서 설정되기 때문에, 가령, 4도어 세단형 승용차의 시트와 같이 전열 및 후방열 의 시트가 센터필러 및 리어필러의 옆에 숨겨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시트를 그 자리에서 회전시키면 옆에 위치한 필러 등이 방해가 되어 승강구측까지 회전시킬 수가 없다.
여기에서 종래의 차량용 회전좌석은 일단 전방으로 슬라이드시켜서 필러 등의 간섭범위 밖으로 이동시킨 후 승강구측으로 회전시키는 구성으로 되어있었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고령자나 신체장애자 등의 탑승자가 편안하게 타고 내릴 수 있는 차량용 회전좌석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종래의 회전좌석은 전방으로 슬라이드시키는 조작과 승강구측으로 회전시키는 조작을 행할 필요가 있으므로,그 조작이 번거롭고 사용하기 편리하지 않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시트를 그 자리에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시트의 위치를 앞쪽에 설정하면,탑승자의 발밑 공간이 좁아지게 되어,갑갑한 자세로 있어야 하는 불편이 따른다.
본 발명은 이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탑승자의 발밑 공간을 희생하는 일이 없이,사용하기에 편리한 차량용 회전좌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청구항 1에 기재된 차량용 회전좌석은,좌면 중심보다도 승강구측으로 편심된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좌석본체를 회전 지지하는 회전지지대와,이 회전지지대를 차량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전후방향지지대와,상기 좌석본체의 회전동작과 차량 전후방향의 이동동작을 연동시키기 위한 연동수단을 구비하고,이 연동수단은 상기 좌석본체의 하부면측에서 상기 회전중심의 실내측에 부착된 피니언 기어와,상기 전후방향지지대에 전후방향을 따라 부착되고,중간기어를 개재하여 상기 피니언 기어와 치합되는 랙을 구비한 구성으로 하였다.
이 차량용 회전좌석에 의하면,회전 지지대를 개재하여 좌석본체를 승강구측으로 회전시키면,중간기어를 경유한 피니언 기어와 랙의 치합을 통하여 좌석본체가 회전하면서 전방으로 이동한다. 따라서,탑승자의 발밑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 좌석본체를 후방으로 위치시킨 상태라도,단지 회전 조작을 할뿐이므로,해당 좌석본체를 필러 등의 다른부재와 간섭되는 일이 없이 승강구측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고,종래와 같이 회전시키는 조작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조작의 두가지 조작을 행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것으로부터 청구항 1에 기재된 차량용 회전 시트에 의하면,탑승자의 발밑공간을 확보하면서 그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게다가,좌석본체의 회전중심은,좌면(座面)의 중심(HP:힙 포인트)에 대하여 승강구측으로 편심된 위치에 설정되어 있으므로,좌석본체의 하부면측에서 회전중심의 실내측에 비해 큰지름의 피니언 기어를 설치할 수 있다.피니언 기어의 지름이 클수록 그 원주가 길어지기 때문에,좌석본체의 회전동작에 연동하는 전후방향의 이동거리를 길게 할 수 있다.이것에 의하면,가령, 좌석본체를 약 90°회전시키는 사이 보다도 긴거리를 슬라이드 시키는 것이 가능하고,따라서 해당 회전좌석의 착좌(着座)위치를 보다 뒤쪽에 설정해서 앉아 있는 사람의 발밑을 한층 폭넓게 할 수 있고,더 나아가서는 다양한 형태의 차량에 대하여 해당 회전좌석을 무리 없이 적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좌석본체의 회전중심(회전 지지대)을 좌면(座面)중심보다도 실내측에 설정하는 것에 의해서도,회전중심에 대하여 승강구측에 보다 큰직경의 피니언 기어를 설치할 수 있지만, 이 경우에는 좌석본체를 승강구측으로 회전시킨 경우에 좌면중심이 후방으로 변위되므로,회전중심을 실내측에 설정할수록,좌면중심을 전방으로 크게 이동시키는 것이 곤란해진다.이 점,청구항 1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회전 중심이 좌면중심보다도 승강구측에 설정되어 있으므로,좌면중심의 전방으로의 이동거리는,좌석본체의 회전에 의한 전방으로의 변위분과,회전 지지대의 전방으로의 이동거리의 합계로 되어,그 결과 좌면중심을 전방으로 크게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2에 기재된 차량용 회전좌석은,청구항 1에 기재된 차량용 회전좌석에 있어서, 좌석본체를 차량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폭방향지지대와,상기 좌석본체의 차량의 폭방향 이동중에 있어서의 전후방향의 이동을 금지시키기 위한 스토퍼부재를 구비하고,이 스토퍼부재는,상기 전후방향지지대에,상기 좌석본체의 전후방향의 이동경로를 따라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고,상기 전후방향지지대가 상기 폭방향지지대의 실내측 단부에 이르면 상기 좌석본체의 이동경로로부터 벗어나서 좌석본체의 전후방향의 이동을 허용하고,상기 전후방향지지대가 상기 폭방향지지대의 실내측 단부로부터 실외측으로 이동하면,상기 좌석본체의 이동경로로 진입해서 좌석본체의 전후방향의 이동을 금지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 차량용 회전좌석에 의하면,좌석본체의 전후방향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스토퍼부재가,종래와 같이 폭방향지지대가 아니라 전후방향지지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폭방향지지대에 의한 전후방향지지대의 이동방향이 수평이라도,또는 종래와 같이 경사진 방향이라도,해당 좌석본체의 폭방향 이동중에 있어서의 전후방향의 이동을 규제할 수가 있다
또한, 종래에는 스토퍼수단이 폭방향지지대측에 설치되어 있으므로,전후방향지지대의 폭방향의 이동거리에 맞추어서 그 크기를 설정할 필요가 있고, 그 결과 구성의 간소화 또는 해당 차량용 회전좌석의 경량화에 있어서 바람직하지는 않았으나,청구항 2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스토퍼부재가 폭방향으로 이동하는 전후방향지지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폭방향 이동거리에 관계 없이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고,또 그 경량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차량용 회전좌석은,청구항 1에 기재된 차량용 회전좌석에 있어서,회전지지대와 좌석본체 사이에서,이 좌석본체를 차량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폭방향지지대를 구비하고,이 폭방향지지대는 상기 좌석본체가 차량의 폭방향 외측으로 이동할수록 그 좌석본체를 낮은 위치로 변위시키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 차량용 회전좌석에 의하면,폭방향지지대가 회전지지대에 의하여 회전하므로,좌석본체를 차량 정면방향으로 위치시키면,해당 폭방향지지대는 종래와는 달리 그 길이방향을 차량 전후방향을 따르게 한 위치로 이동한다.이 때문에,해당 차량용 회전좌석을 조수석에 설정한 경우에,운전석과의 사이의 공간을 크게 확보할 수 있고,또 폭방향지지대의 후단부에 모터 등이 밀려나온 상태로 장착되어 있어도,좌석본체를 차량정면을 향하게 하면 이 모터 등은 리어 시트측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운전석과의 사이의 공간을 크게 확보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리어 시트으로의 연통성을 확보할 수 있는 등,해당 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차량용 회전좌석은,청구항 3에 기재된 차량용 회전좌석에 있어서,폭방향지지대로부터 좌석본체를 이탈시키고,이 좌석본체를 휠체어로서 전용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 차량용 회전좌석에 의하면,좌석본체는 단독으로 휠체어로서 이용가능하고,또한 그대로 폭방향지지대에 연결해서 실내로 이동시키면,차량용의 시트로 이용되기 때문에,휠체어 이용자는,종래와 같이 갈아타는 동작을 전혀 하지 않고도 차량의 실내(이하, 차실내라고 약칭함)에 착좌할 수 있고,또 휠체어에 착좌할 수 있으며,이것에 의해 휠체어 이용자 및 그 간호인의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또,좌석본체는 단독으로 휠체어로서 이용 가능하고,휠체어로서의 기능을 구비한 상태인 채로 차실내로 반입되기 때문에,종래와 같이 휠체어 프레임 부분을 분리하는 경우의 그 취급을 고려할 필요도 없다.
또한,휠체어로서 사용한 후,폭방향지지대에 연결하기 위해서는,좌석본체의 연결베이스를 폭방향지지대의 경사베이스에 중첩시킨 상태로 연결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경사베이스는 실외측으로 하부경사되어 있고,연결베이스는 경사베이스에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이것으로부터,휠체어로서의 좌석본체를 폭방향지지대에 연결시키기 위해 접근시키는 단계에서,좌석본체와 폭방향지지대 사이에 높이방향으로의 편차가 있어도 서로 평행한 연결베이스와 경사베이스의 슬라이드 접촉 작용에 의하여 이 편차가 수정되며,이것에 의해 좌석본체의 폭방향지지대로의 연결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것에 대하여,예를 들면, 휠체어를 착좌 부분과 프레임부분으로 분리하고 착좌부분만을 좌석본체로서 차실내에 반입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에 있어서,착좌부분으로서의 좌석본체를 휠체어 프레임 상의 레일과 차량 플로어 상의 레일 사이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휠체어의 착좌 부분으로서의 좌석본체를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한 경우에는,휠체어 프레임 상의 레일과 차량 플로어 상의 레일이 높이방향으로 일치할 필요가 있고, 따라서 좌석본체의 높이 방향의 편차는 수정되지 않기 때문에,그 연결시 작업이 귀찮아진다.
청구항 5에 기재된 차량용 회전좌석은,청구항 3에 기재된 차량용 회전좌석에 있어서,전후 방향지지대 및/또는 폭방향지지대가,외측레일과 내측레일 사이에 다수의 강구(鋼球)를 끼워 넣은 직선 슬라이드기구를 갖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 차량용 회전좌석에 의하면,좌우 한쌍의 직선 슬라이드기구의 한쪽 또는 쌍방에 있어서의 고정측이나 이동측 또는 그 쌍방의 위치를 슬라이드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조정함으로써,양 직선 슬라이드기구에 있어서의 고정측 레일과 이동측레일에 의한 강구의 끼워넣는 힘을 조정할 수 있다.다수의 강구는 양 레일의 V홈 간에 끼워 넣어져 있으므로,고정측레일과 이동측레일이 적절한 힘으로 상대적으로 서로 밀어붙이는 상태로 하면,양 레일의 상하방향 및 수평방향의 상대적인 흔들림을 없애는 것이 가능하고,이것에 의해 폭방향지지대 또는 전후방향지지대의 원활하고 또한 흔들림 없는 슬라이드 동작을 얻을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차량용 회전좌석은,청구항 1에 기재된 차량용 회전좌석에 있어서,사절링크기구를 주체로 하는 스윙 회동인출장치를 구비하고,이 스윙 회동인출장치에 의하여 상기 좌석본체를 차량의 폭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또한 상기 스윙 회동인출장치로부터 좌석본체를 이탈시켜서, 이 좌석본체를 휠체어로 전용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 차량용 회전좌석에 의하면,휠체어 이용자는 휠체어에 착좌한 채로 차량에 탑승하는 것이 가능하고,또 차실내에 앉아 있는 채로 실외로 나온 후,해당 휠체어를 리프트업(lift up)기구로부터 분리해서 통상의 휠체어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외 이동용 휠체어에 앉아 있는 채로 차량을 타고내리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종래와 같이 차량 승강시에 실외에 있어서,차량용 좌석본체와 휠체어 사이의 이동을 전혀 행할 필요가 없고,이것에 의해서 휠체어 이용자 및 그 간호인의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다.
특히,휠체어를 그 착좌부뿐만 아니라 프레임 및 차륜까지 포함하여 일체로 리프트업기구에 연결해서 차량 실내와 실외와의 사이를 이동시키는 구성이므로,휠체어 이용자 및 간호인은 리프트업기구의 연결조작만을 하면 충분하며,예를 들면, 휠체어의 착좌부분과 프레임측을 분리하는 조작 등이 전혀 필요 없고,이 점으로도 간호인등의 부담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측을 분리해서 착좌 부분만을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하면,분리한 프레임측을 별도 차량에 실을 필요가 있지만,청구항 1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휠체어 전체를 일체로서 이동시켜서 차실내에 탑재시키는 구성이므로 상기와 같은 수고를 할 필요가 없으며,이 점으로도 간호인 등의 부담을 경감시키고,또 해당 차량용 회전좌석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휠체어의 탑승자세를 유지한다는 것은,그 노면상의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고,휠체어에 착좌하고 있는 휠체어 이용자가 미끄러짐 없이,그대로 편안하게 탑승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해당 휠체어의 자세(방향)를 말한다
또한, 단독으로 사용 가능이란,적어도 착좌부분(좌석본체)과,이동용 차륜을 구비하고 있고,통상의 휠체어로서 사용할 수 있는 상태를 말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차량용 회전좌석은,청구항 1에 기재된 차량용 회전좌석에 있어서,사절링크기구를 주체로 하는 스윙 회동인출장치를 구비하고,이 스윙 회동인출장치에 의하여 상기 좌석본체를 차량의 폭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또한 상기 스윙 회동인출장치로부터 좌석본체를 이탈시켜서, 이 좌석본체를 휠체어 시트로 전용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 차량용 회전좌석에 의하면,승강장치의 작동에 의하여 좌석본체가 설치된 시트 홀더는 차실내의 플로어 위와 차실외 사이를 이동 가능함과 동시에,이 좌석본체가 설치된 시트홀더는 승강장치로부터 이탈해서 휠체어 좌석부로서의 기능을 하는 것이므로,탑승자는 시트 홀더와 함께 좌석본체에 앉아 있는 채로 실외에 대기하고 있는 휠체어의 시트 프레임 위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고,또,탑승자는 휠체어로부터 좌석본체에 앉아 있는 채로 시트홀더와 함께 차실내로 올라타는 것이 가능하므로,간호인은 종래와 같이 탑승자를 간호하면서 휠체어로 갈아타게 하는 수고를 줄일 수 있고,간호인의 노력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또,좌석본체는 시트홀더와 함께 휠체어의 좌석부에 되므로,휠체어 상에서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시트홀더의 착탈구성은 시트홀더,앵커 플레이트, 록 볼트 및 록 노브와 같은 극히 간단한 구성이므로 통상의 승강 시트장치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차량용 회전좌석은,청구항 1에 기재된 차량용 회전좌석에 있어서,사절링크기구를 주체로 하는 스윙 회동인출장치를 구비하고,이 스윙 회동인출장치에 의하여 상기 좌석본체를 차량의 폭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고,또한 상기 스윙 회동인출장치의 구동원으로서의 전동모터를 사용하며,이 전동모터는 그 나사축을 시트전방을 향해서 배치한 구성으로 하였다.
이 차량용 회전좌석에 의하면,볼나사의 나사축이 시트의 뒤쪽을 향하고 있지 않으므로,해당 시트의 뒤쪽에 앉아 있는 사람에게 불쾌감을 주는 일이 없다. 이 구성의 경우,액추에이터의 전동 모터가 기동하면 나사축이 회전하고,이것에 의해 너트가 나사축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지만,너트는 차량 플로어측에 연결되어 있으므로,결과적으로 나사축 더 나아가서는 해당 액추에이터 자체가 이동하여,사절링크기구가 신축 작동한다.
청구항 9에 기재된 차량용 회전좌석은,청구항 1에 기재된 차량용 회전좌석에 있어서,사절링크기구를 주체로 하는 스윙 회동인출장치를 구비하고,이 스윙 회동인출장치에 의하여 상기 좌석본체를 차량의 폭방향으로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또한 차량의 주행시에 있어서의 충격 부가시에만 기능하여 상기 스윙 회동인출장치에 의한 상기 좌석본체의 차량 전방으로의 이동을 금지하는 한편,차량 정지시에 있어서의 통상의 조작시에는 상기 좌석본체의 차량의 폭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는 스윙 록장치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였다.
이 차량용 회전좌석에 의하면,가령, 급감속시 등과 같이 차량에 대하여 큰 충격이 부가된 경우에는,스윙 록장치에 의하여 좌석본체의 스윙동작이 금지된다.
한편,차량 정지시의 통상의 회동인출조작시에 있어서는,스윙 회동인출장치의 기동에 의하여 좌석본체를 천천히 실외로 스윙시키기 시작하면,이 변위동작과 연동하여 스윙 록기구가 해제된다.역으로,좌석본체를 실외측으로부터 실내측으로 역스윙해서 되돌리는 과정에서 해당 좌석본체가 실내의 소정위치로 되돌아온 단계에서 스윙 록기구가 자동적으로 록킹된다.이와 같이,좌석본체의 스윙조작과 연동하여 스윙 록기구가 자동적으로 록(lock)·언록(unlock)되는 구성이므로,필요에 따라서 별도로 설정하는 슬라이드기구에 의한 슬라이드 위치에 관계 없이 스윙 록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따라서 스윙 록상태를 유지한 채로 상기 슬라이드기구를 이용하여 좌석본체를 차량 전후방향으로 위치조정할 수 있다.
또한,좌석본체에 급격한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스윙 록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좌석본체로의 하중을 차량의 플로어측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폭방향의 슬라이드위치에 관계 없이 스윙 록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차량의 폭방향 슬라이드기구의 유무에 관계 없이,해당 스윙 록기구를 적용할 수 있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차량용 회전좌석은,청구항 1에 기재된 차량용 회전좌석에 있어서,사절링크기구를 주체로 하는 스윙 회동인출장치를 구비하고,이 스윙 회동인출장치에 의하여 상기 좌석본체를 차량의 폭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고,또한 상기 좌석본체를 차량 정면방향에 위치시키면 그 좌석본체의 상기 스윙 회동인출장치에 의한 차량 전방으로의 이동을 금지시키는 한편,그 좌석본체를 승강구측으로 회전시키면,상기 스윙 회동인출장치에 의한 차량의 폭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는 스윙 록장치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였다.
이 차량용 회전좌석에 의하면,좌석본체를 차량정면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이 회전동작과 연동하여 스윙 록기구가 잠금되어,좌석본체를 차량 측면부의 승강구측으로 회전시키기 시작하면, 이것과 연동하여 스윙 록기구가 자동적으로 잠금해제된다.이와 같이 좌석본체의 회전동작과 연동하여 스윙 록기구가 잠금·잠금해제되므로,종래와 같이 수동에 의하여 조작할 필요는 없으며,이 점으로 해당 차량용 회전좌석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록홀더 앵커후크에 물리적으로 걸어맞춤됨으로써, 해당 록홀더가 록플레이트에 걸어맞춤되어 스윙 잠금되는 구성이므로,예를들어 차량에 큰 충격이나 진동이 가해진 경우에도,좌석본체가 차량 정면방향으로 유지되는 한 스윙 록상태가 확실하게 유지된다.이것에 대하여,상기와 같은 물리적인 걸어맞춤에 의한 것이 아니고,예를 들면, 스프링 가압력을 개재하여 록홀더의 록플레이트에 대한 걸어맞춤상태를 유지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에는,큰 충격이나 진동이 가해지면 그 관성에 의하여 록홀더가 스프링 가압력에 대항해서 이동하고,그 결과 스윙 록이 해제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청구항 1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이와 같은 우려는 없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차량용 회전좌석은,청구항 l에 기재된 차량용 회전좌석에 있어서,전후방향지지대는,고정측레일과 이동측레일 사이에 다수의 전동체를 끼워넣어서 된 직선 슬라이드기구를 구비하고,상기 고정측레일과는 반대쪽 이동측레일을 가이드레일에 의하여 슬라이드 지지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 차량용 회전좌석에 의하면,내측레일의 안쪽에는 외측레일과 병설해서 내측레일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가드레일을 설치한 구성으로 하였으므로,내측레일의 변형을 억제하고 전동체의 벗어남을 방지하여 직선 안내기구로서의 전후방향으로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청구항 12에 기재된 차량용 회전좌석은,청구항 10에 기재된 차량용 회전좌석에 있어서,이동측 레일의 이동 경로에 이 이동측레일의 후단부가 출입하는 후크부재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였다.
이 차량용 회전좌석에 의하면,차량의 주행중에 있어서,급브레이크,충돌 등에 의하여 시트벨트에 작용하는 벨트하중에 의한 내측레일의 들뜸을 방지함과 동시에, 벨트하중을 후크부재를 개재하여 플로어측으로 전달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직선 안내기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13에 기재된 차량용 회전좌석은,청구항 1에 기재된 차량용 회전좌석에 있어서,상기 중간기어의 치합 개시부에 이빨이 없는 결치부를 설치하는 한편,상기 피니언 기어의 치합 개시부에 결치부와 치합하는 이형치(異形齒)를 설치하고,이 이형치는,상기 결치부와 거의 일치하는 이두께를 지니며,또한 치합 개시방향 앞쪽의 이(齒)높이를 표준치보다도 낮게 하고,치합 개시방향 뒤쪽의 이높이를 표준치에 일치시킨 구성으로 하였다.
이 차량용 회전좌석에 의하면,좌석본체를 승강구측(치합 개시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에,피니언 기어가 중간기어와 치합되기 시작하는 단계,즉 비연동 상태로부터 연동상태로 이행하는 단계를 고려하면,중간기어에 대하여 최초와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의 이형치는,치합 시작방향 앞쪽의 이높이가 표준치보다도 낮게 형성되어 있으므로,이 이형치는 중간기어의 결치부의 치합방향 앞쪽 치합 이에는 간섭하지 않고 이 결치부와 치합되며,이것에 의해서 피니언 기어는 중간 기어에 대하여 원활하게 치합된다.
역으로,좌석본체를 승강구측으로부터 실내측으로 회전시켜서 차량 정면방향으로 되돌리는 경우(치합 개시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피니언 기어와 중간기어의 치합이 완료되는 단계,즉 연동상태로부터 비연동상태로 이행되는 단계를 생각하면,이 경우 중간기어에 대하여 마지막으로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의 이형치는,치합 시작방향 뒤쪽의 이높이는 표준치의 이높이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중간기어에 확실하게 치합된다. 이것으로부터,중간기어와 피니언 기어의 치합상태(연동 상태)는 최후까지 확실하게 유지되고,이것에 의해 좌석본체를 슬라이드후단 위치로 확실하게 되돌리는 것이 가능하다.
또,좌석본체를 확실하게 슬라이드 후단 위치로 되돌리는 것이 가능하므로,좌석본체의 회전동작과 연동하여 작동하는 슬라이드 록기구를 갖는 경우에,이 슬라이드 록기구를 확실하게 기능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회전좌석의 실내에 있어서의 배치를 나타낸 차량의 평면도.
도 2는 좌석본체의 사시도.
도 3은 승강장치의 사시도.
도 4는 회전지지대 및 전후방향지지대의 사시도.
도 5는 액추에이터의 사시도.
도 6은 좌석본체의 회전동작과 전후방향의 이동동작을 연동시키기 위한 기구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회전 록기구의 사시도.
도 8은 좌석본체의 회전동작과 전후방향의 이동동작을 연동시키기 위한 기구 및 슬라이드 록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슬라이드 록기구의 단면도이고,(a)는 슬라이드 록상태,(b)는 유지체가 이동하는 상태,(c)는 슬라이드록의 해제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8의(1O)-(1O)선에 따른 도면이며, 직선 안내기구의 단면도.
도 11(a)은 제 1실시예의 차량용 회전좌석의 동작을 나타낸 평면도로,착좌 위치의 좌석본체를 나타낸 도면.
도 11(b)은 제 1실시예의 차량용 회전좌석의 동작을 나타낸 평면도로,좌석본체를 약 26°승강구측으로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c)는 제 1실시예의 차량용 회전좌석의 동작을 나타낸 평면도로,좌석본체를 횡방향으로 위치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l1(d)은 제 1실시예의 차량용 회전좌석의 동작을 나타낸 평면도로,좌석본체를 실외로 회동인출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l2는 승강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측면도로, 이 도면은 기어상자를 뒤쪽에 위치시켜서 액추에이터를 배치한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 l3은 승강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측면도로, 이 도면은,나사축을 후면측에 위치시켜서 액추에이터를 배치한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 l4는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의 실시예(제 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전후방향지지대의 사시도.
도 15는 도 16의 I-I선에따른 단면도.
도 16은 수평상으로 배치한 폭방향지지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한 전후방향지지대의 주틀에 설치한 규제장치의 측면도.
도 17은 좌석본체가 실내로부터 실외로 수평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18은 실외에 경사모양으로 배치한 폭방향지지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한 전후방향지지대의 주틀에 설치한 규제장치의 측면도.
도 19는 시트대,회전지지대 및 전후방향지지대의 각 동작위치에 있어서의 스토퍼부재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측면도.
도 20은 시트대 및 회전지지대의 각 동작위치에 있어서의 스토퍼부재와의 위치관계를 나타낸 평면도.
도 21은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의 실시예(제 3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차량용 회전좌석에 있어서의 조수석 및 운전석을 차량뒤쪽에서 본 도면을, 이 도면에서는 차량용 회전좌석의 좌석본체가 차량정면을 향하고 있음.
도 22는 동일하게 차량뒤쪽에서 차량용 회전 시트 및 운전석을 본 도면으로, 이 도면에서는,차량용 회전좌석의 좌석본체가 승강구측을 향하고 있으며,차량의 폭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모습을 나태내고 있음.
도 23은 좌석본체의 사시도.
도 24는 시트홀더의 사시도.
도 25는 폭방향지지대의 사시도.
도 26은 도 25의 A-A선에 따른 단면사시도로,고정측레일의 후부측의 위치조정기구를 나타낸 도면.
도 27은 도 25의 B-B선에 따른 단면사시도로,고정측레일의 중앙부부근의 위치조정기구를 나타낸 도면.
도 28은 도 25의 C-C선에 따른 단면사시도로,고정측레일의 전면부측의 위치조정기구를 나타낸 도면.
도 29는 회전지지대 및 전후방향지지대의 사시도.
도 30은 좌석본체의 전후방향의 슬라이드 동작과 승강구측으로의 회전동작을 연동하기 위한 연동기구의 평면도.
도 31은 종래의 직선 슬라이드기구를 구비한 폭방향지지대의 정면도.
도 32는 종래의 직선 슬라이드기구를 구비한 폭방향지지대의 정면도로,수평방향의 흔들림을 억제하기위한 기구를 나타낸 도면.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좌석본체를 리프트업장치로부터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4는 동일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좌석본체를 리프트업장치에 연결하여,차실내로 반입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5는 좌석본체를 리프트업장치의 경사베이스에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로, 이 도면에 있어서,차륜 프레임을 빼낸 상태를 실선으로 나타내고,수납한 상태는 2점쇄선으로 나태내고 있음.
도 36은 연결베이스의 사시도.
도 37은 폭방향지지대의 사시도.
도 38은 경사베이스를 뒤쪽에서 본 도면.
도 39는 도 37의(7) - (7)선에 따른 단면사시도
도 40은 회전지지대 및 전후방향지지대의 사시도.
도 4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리프트업기구로부터 휠체어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
도 42는 리프트업기구를 휠체어에 연결해서,그 휠체어를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린 상태의 사시도.
도 43은 차량용 회전좌석의 측면도로, 리프트업기구의 휠체어에 대한 연결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4는 도 4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로,연결 凹부에 대한 연결판의 삽입상태를 나타낸 가로단면도.
도 45는 연결凹부의 걸림凹부에 대한 연결판 상단부의 걸어맞춤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46은 록킹레버의 지지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47은 리프트업기구의 전체 사시도.
도 48은 전동실린더의 전체 사시도.
도 49는 스윙베이스의 회전동작과,주베이스의 슬라이드 동작을 연동시키기 위한 기구의 평면도.
도 50은 연동록형의 록바 및 그 주변의 측면도.
도 51은 제 6실시예에 있어서의 승강장치의 사시도.
도 52는 좌석본체가 설치된 시트홀더와 사절 링크기구의 선단측을 분해해서 나타낸 사시도.
도 53은 도 52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54는 휠체어와 좌석본체가 설치된 시트홀더의 관계를 나타낸 측면도.
도 55는 제 7실시예를 나타낸 차량용 회전좌석의 측면도로, 이 도면은,지면의 좌우방향이 차량의 폭방향을 나태내고 있음.
도 56은 스윙 록기구의 전체 사시도로, 이 도면에서는 시트홀더 및 스윙베이스를 생략해서 나태내고 있음.
도 57은 스윙 록기구의 잠금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8은 스윙 록기구의 잠금해제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9는 스윙 록기구의 잠금해제상태를 나타낸 측면도로,좌석본체가 실외로 회동인출된 상태를 나태내고 있음.
도 60은 폭방향 슬라이드 레일을 전후방향 슬라이드용으로 이용한 경우에 있어서의 해당 차량용 회전좌석의 측면도.
도 61은 제 7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스윙 록기구의 측면도.
도 62는 제 8실시예에 있어서의 회전좌석을 구비한 차량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63은 제 8실시예에 관계된 차량용 회전 시트의 측면도.
도 64는 스윙 록기구의 사시도.
도 65는 스윙 록기구의 측면도.
도 66은 스윙 록기구의 후면도.
도 67은 좌석본체의 회전중심(시트홀더의 회전 중심이기도 하고,또한, 스윙베이스의 회전 중심이기도 하다.본 명세서에서는 동일함)와 중심의 위치관계를 나타낸 평면도로, 이 도면은 좌석본체 및 시트홀더를 나태내고 있음.
도 68은 동일하게 좌석본체의 회전중심과 무게중심의 위치관계를 나타낸 평면도로, 본 도면은 좌석본체와 시트홀더를 생략하고 스윙베이스만을 나타내고 있음.
도 69는 제 9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좌석본체의 회전동작과 전후방향의 이동동작을 연동하기 위한 기구를 나타낸 평면도.
도 70은 전후방향지지대와 회전지지대의 직선 안내기구의 단면도.
도 71은 전후방향지지대와 회전지지대의 후부측 사시도.
도 72는 내측레일과 후크부재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73은 종래의 차량용 회전좌석의 측면도.
도 74는 시트 받침대 주위의 평면도.
도 75는 시트 슬라이드 레일과 후크 브라켓의 걸어맞춤상태를 보인 설명도.
도 76은 회전·슬라이드 연동기구의 치합 개시시의 피니언 기어,중간기어 및 랙의 평면도.
도 77은 피니언 기어의 이형치의 확대도.
도 78은 회전·슬라이드 연동기구의 치합 완료시의 피니언 기어,중간기어 및 랙의 평면도.
도 79는 백래시 억제치가 중간 기어와 치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80은 회전·슬라이드 연동기구 및 슬라이드 록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81은 종래의 회전·슬라이드 연동기구의 평면도.
도 82는 종래의 회전·슬라이드 연동기구에 있어서 피니언 기어와 중간기어의 치합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83은 제 3실시예에 관한 도면으로,종래의 차량용 회전좌석 및 운전석을 차량 뒤쪽에서 본 도면.
도 84는 동일하게 제 3실시예에 관한 도면이며,종래의 차량용 회전좌석을 조수석에 설정한 차량 실내의 평면도.
다음에,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의 실시예(제 1실시예)를 도1∼도 13에 의거하여 설명한다.제 1실시예에 관한 차량용 회전좌석(이하,단지 회전좌석이라고도 한다)(1)은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운전석 좌측의 조수석에 설정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따라서,해당 회전좌석(1)의 좌측에 승강구(D)가 설치되어 있고,회전좌석(1)은 좌측(평면적으로 보아서 반시계회전방향)으로 거의 90°회전시킴으로써, 실외로의 이동이 가능해진다.
그런데,제 1실시예에 관한 차량용 회전좌석(1)은 좌석본체(2)와, 이 좌석본체(2)를 차량의 폭방향(실내와 실외의 사이)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승강장치(5O)와,좌석본체(2)및 승강장치(50)를 회전 지지하기 위한 회전지지대(10)와,좌석본체(2)와, 승강장치(50) 및 회전지지대(10)를 차량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전후방향지지대(30)을 구비하고 있다. 좌석본체(2) 및 승강장치(50)의 자세한 내용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나 있고,회전지지대(10) 및 전후방향지지대(30)의 자세한 내용은 도 4에 나타나 있다. 또한, 각 도면에서는,차량의 전방을 화살표「전방」으로 나타내고,승강구측을 화살표「외측」으로 나타내고 있다.
먼저,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석본체(2)는 시트쿠션(2a)과 시트백(2b)을 갖고,시트쿠션(2a)의 앞부분에는 탑승자가 다리를 올려두기 위한 풋 레스트(foot rest)(2c)가 설치되어 있다.이 좌석본체(2)에 대해서는 특히 변경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 좌석본체(2)는 승강장치(50)에 탑재되어 있다.승강장치(5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한쌍의 사절링크기구를 주체로 하고, 이 사절링크기구를 신축 작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좌석본체(2)를 실내로부터 실외로,또는 그 역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다. 도면에서(53)은,이 승강장치(50)의 베이스이고,이 베이스(53)는 저면둘레(53b)와 그 양측부에 서로 평행하게 돌출되는 측면둘레(53a), (53a)로 된 대략 コ형상을 이루며,양측테두리(53a), (53a)에 사절링크기구를 구성하는 제 l 및 제 2링크암(51), (52)이 각각 지지점(51a), (52a)를 개재하여 차량전후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뒤쪽의 제 2링크암(52), (52)사이에는 연결 바(54), (55)가 걸쳐져있으므로,양 제 2링크 암(52), (52)은 일체로 회전한다.하측의 연결바(54)의 양단부가 베이스(53)의 양측테두리(53a), (53a)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따라서 이 연결바(54)의 축심이 제 2링크암(52)의 회전지지점(52a)으로 되어 있다.
제 1링크암(51)과 제 2링크암(52)의 선단간은 좌우 각각 연결암(56)과 회동인출암(57)을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다.연결암(56)과 회동인출암(57)에 대하여 양 링크암(51), (52)은 각각 지지점(51b, (52b)을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베이스(53)의 측면둘레(53a),제 1및 제 2링크암(51), (52) 및 회동인출암(57)에 의하여 한조의 사절링크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회동인출암(57)은 대략 く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고,도시한바와 같이 그 선단부에는 서로 안쪽으로 연장되어 나온 플랜지부(57a)가 형성되어 있으며,또 그 선단부간에는 보강바(58)가 걸쳐져 있다.양 플랜지부(57a), (57a)사이 및 보강바(58)에 좌석본체(2)가 탑재되고,도시를 생략한 볼트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다음에,상기 하측의 연결바(54)의 거의 중앙에는,L형상을 이루는 2개의 지지암(59),(59)이 고정되어 있고,양 지지암(59), (59)을 개재하여 사절링크기구와 차량 플로어측과의 사이에,승강장치(50)의 구동원으로서의 액추에이터(60)가 설치되어 있다.이 액추에이터(60)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동모터(61)와 기어박스(62)와 볼나사(63)을 주체로 하여 구성된 것으로서,전동모터(61)가 기동되면 기어박스(62)에 의하여 증폭된 토오크로 나사축(63a)이 회전하고,이것에 의해 이 나사축(63a)에 나사결합된 블록체형상의 너트(63b)가 나사축(63a)의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나사축(63a)은 기어박스(62)의 출력축 측에 설치된 원통체 형상의 나사축 케이스(63c)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이 나사축 케이스(63c)는 상기 2개의 지지암(59), (59)에 의하여 회전 지지점(59a), (59a)를 개재하여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한편,너트(63b)의 양측면에는 판상의 브라켓(63d), (63d)이 장착되고,양 브라켓(63d), (63d)의 선단은,지지축(64)를 개재하여, 베이스(53)의 저면둘레(53b)의 윗면 전단부근에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제 1실시예에 있어서 액추에이터(60)는 그 나사축(63a)을 좌석본체(2)의 전방에 위치시키고,기어박스(62)를 좌석본체(2)의 후방에 위치시키는 방향으로 조립되어 있다.
이와 같이 조립된 액추에이터(60)에 의하면,후술하는 바와 같이 좌석본체(2)를 승강구측을 향한 상태에서,전동모터(61)을 정회전 방향으로 기동되면,나사축(63a)이 회전해서 너트(63b)가 상대적으로 나사축(63a)의 선단측으로 이동한다.그러나,너트(63b)는 상하방향으로 회전하지만 전후방향(이 단계에서는 차량의 폭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으므로,나사축(63a) 더 나아가서는 액추에이터(60)자체가 좌석본체(2)의 후방으로 이동한다.이 상태가 도 12에 나타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60), (너트 63b를 제외한 부분)가 후방으로 이동하면,도 3에서 지지암(59), (59) 및 연결바(54)가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고,이것에 의해 제 2링크암(52)가 지지점(52a)를 중심으로 하여 실외측(도시한 왼쪽)으로 회전한다.
제 2링크암(52)가 실외측으로 회전함으로써,연결암(56)을 개재하여 제 1링크암(51)가 전방으로 회전하고,이 사절링크기구의 동작에 의하여 회동인출암(57)이 소정의 궤적을 따라 실외를 향해서 회동인출된다.이렇게 회동인출암(57)이 회동인출되면,좌석본체(2)가 실내의 앉는 높이로부터 실외의 낮은 위치(도 12 중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로부터 2점 쇄선으로 나타낸 위치)로 이동한다. 전동모터(61)를 역회전시키면,회동인출암(57)이 상기 소정의 궤적을 따라 역방향으로 이동하고,좌석본체(2)가 실외의 낮은 위치로부터 실내의 앉는 높이로 되돌아온다.
다음에,상기 승강장치(50)의 베이스(53) 저면둘레(53b)에는,다음에 설명하는 회전지지대(10)의 동작을 록킹시키기 위한 회전 록기구(70)이 설치되어 있다.이 회전 록기구(70)에 관해서는 후술한다.마찬가지로,저면둘레(53b)의 하부면에는,원호형상의 피니언 기어(6)와 슬라이드 록 자동해제 플레이트(7)가 설치되어 있다.피니언 기어(6)은 후술하는 중간기어(36)을 개재하여 랙(38)과 치합되어,좌석본체(2)의 회전 동작과 전후방향 이동동작을 연동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다.슬라이드 록 자동해제 플레이트(7)는 후술하는 슬라이드 록기구(80)을 자동적으로 해제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이것들에 대해서도 후술한다.
다음에,회전지지대(10)에 관하여 설명한다.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회전지지대(10)는 베이스(12), (l2)의 양단에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평행한 2개의 이동측 유지부재(11), (11)을 설치하여 구성한 것으로,양 베이스(12), (12)의 윗면에는 회전판(13)이 설치되어 있다.이 회전판(13)은 도시하지 않았으나 그 외륜(13a)과 내륜(13b) 사이에 다수의 강구를 끼워넣고 한쪽에 대하여 다른 쪽이 흔들림 없이 원활하게 회전하는 구성으로 한 것으로,외륜(l3a)이 베이스(12), (12)측에 고정되고,내륜(13b)이 상기 승강장치(50)의 저면둘레(53b)의 하부면에 고정되어 있고,이것에 의하여 승강장치(50) 더 나아가서는 좌석본체(2)가 회전지지대(10)의 윗면측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도 6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이 회전판(13)은 좌석본체(2)의 좌면(시트쿠션 2a)의 실외측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이것에 의해,좌석본체(2)를 실외측으로 약 90°회전시키면,좌면의 힙 포인트(HP)가 회전중심(회전판 13)의 전면측으로 이동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지지대(10)의 뒷부분과 우측부(실내측의 측면부)의 2개소에는,승강장치(50)측에 설치한 회전 록부재(74)의 록 핀(74c)이 결합 및 해제되는 록플레이트(71), (72)가 설치되어 있다.양 록플레이트(71), (72)에는,상기 록핀(74c)이 끼워지는 식으로 걸어맞춤되는 록凹부(7la), (72a)가 형성되어 있다.승강장치(50)에 설치된 회전 록기구(70)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록 해제레버(73)와 회전 록부재(74)를 구비하고 있다.회전록 해제레버(73)는 좌측의 회동인출암(57)의 선단부 하부면에,브라켓(73b)를 개재하여 상하로 회전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이 회전록 해제레버(73)는 인장 스프링(비틀림 스프링이라도 좋다)에 의하여 그 선단부가 상방으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이 회전록 해제레버(73)의 후단(73a)(하단)은 브라켓(76)을 개재하여 승강장치(50)의 베이스(53) 전방 좌측모서리부 근처에 설치한 중간부재(75)의 일단에 맞닿아 있다. 이 중간부재(75)는 지지점(75a)를 개재하여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이 때문에,회전록 해제레버(73)를 가압력을 이기고 내리눌러 조작하면,그 후단(73a)이 후방으로 변위되고,이것에 의해 중간부재(75)의 일단이 눌려져서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한다.
중간부재(75)의 타단에는 조작와이어(77)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고,이 조작와이어(77)는 보호튜브(78)의 내주측을 거쳐 베이스(53)의 후면 좌측모서부 근처까지 연장되어 있다.베이스(53)의 후면 좌측모서리부에는 브라켓(79)를 개재하여 회전 록부재(74)가 지지축(74a)를 개재하여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지지축(74a)에 대해서 실내측으로 록핀(74c)이 설치되고,실외측의 단부에 후크부(74d)가 설치되어 있다. 회전 록부재(74)의 실내측 단부와 브라켓(79) 사이에는 인장 스프링(74b)이 설치되어 있으므로,이 회전 록부재(74)는 록핀(74c)을 끌어당기는 방향,즉,록플레이트(71), (72)의 록凹부(71a), (72a)에 끼워지는 방향(록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한편,조작 와이어(77)의 타단은 상기 후크부(74d)에 걸려 있다. 이 때문에,상기한 바와 같이 중간부재(75)가 회전 록해제레버(73)의 후단(73a)에 의해 눌려서 회전하면,조작와이어(77)가 전방으로 끌려당겨짐으로써,회전 록부재(74)가 인장 스프링(74b)에 대항해서 잠금해제방향(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하고,이것에 의해 록핀(74c)이 록플레이트(71), (72)의 록凹부(71a), (72a)로부터 벗어나서 회전 잠금이 해제된다.회전잠금이 해제되면,승강장치(50)를 따라서 좌석본체(2)가 회전가능한 상태로 된다.
회전록 해제레버(73)의 회전조작을 해제하면,회전 록부재(74)는 인장 스프링(74b)에 의하여 잠금방향으로 되돌아오고,이것에 의해 록핀(74c)이 록플레이트(71), (72)와 걸어맞춤 가능한 위치로 되돌아온다.이 상태에서,좌석본체(2)를 착좌위치 또는 승강구측을 향하는 횡방향위치로 회전시키면,이 록핀(74c)이 한쪽 회전 록플레이트(71)(72)의 록凹부(71a), (72a)에 끼워 넣어지고,이것에 의해 좌석본체(2)가 그 위치에서 회전 불가능하게 록킹된다. 또한, 좌석본체(2)를 차량의 정면을 향하는 착좌 위치에 위치시키면,후부측의 회전록 플레이트(71)에 록부재(74)가 록킹되고,좌석본체(2)를 승강구측을 향한 횡방향 위치에 위치시키면,실내측의 록플레이트(72)에 록부재(74)가 록킹된다.
다음에,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지지대(10)의 앞쪽 베이스(12)에는,보조편(81)이 전방으로 연장 돌출된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고,이 보조편(81)의 윗면에 슬라이드 록기구(80)가 설치되어 있다.이 슬라이드 록기구(80)의 자세한 내용은 도 9에 나타내었다.보조편(81)에는 삽입관통구멍(81a)이 형성되고,이 삽입관통구멍(81a)에는 슬리브(82)가 끼워넣어져 있다. 이 슬리브(82)의 내주측에는 유지체(83)의 원주체부(83a)가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 관통되어 있다.이 유지체(83)의 플랜지부(83b)와 보조편(81) 사이에는 압축 스프링(84)이 끼워져 있으므로,유지체(83)는 도시한 상방으로 이동하는 방향,즉,원주체부(83a)를 잠금구멍(31a)으로부터 빼내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유지체(83)의 상단에는 강구(85)가 회전가능 및 탈락되지 않도록 유지되어 있다.강구(85)는 압축 스프링(84)의 가압력에 의하여 슬라이드록 자동해제 플레이트(도8의 7)또는 피니언 기어(6)의 하부면에 설치되어 있다.슬라이드록 자동해제 플레이트(7)는 피니언 기어(6)의 하부면에 장착되어 있다. 그로 인해,도 9중(a)의 상대위치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강구(85)가 슬라이드록 자동해제 플레이트(7)에 눌려져 있는 상태, 즉 좌석본체(2)가 회전조작되는 일이 없이 정면을 향하고 있는 상태에서는,유지체(83)가 압축 스프링(84)에 대항해서 슬라이드록 자동해제 플레이트(7)의 판두께 분만큼 아래쪽으로 밀려 내려가 그 하단부가 전후방향지지대(도 4의 30)의 베이스(31)에 형성된 잠금구멍(31a)에 삽입된다. 유지체(83)의 원주체부(83a)가 잠금구멍(31a)에 삽입되면 회전지지대(10) 나아가서는 좌석본체(2)가 전후방향지지대(30)에 대해서 전후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록킹된다.
한편,좌석본체(2)를 승강구측으로 회전조작해서,피니언 기어(6) 및 슬라이드록 자동해제 플레이트(7)를 회전판(13)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원호이동시키는 과정에서,도면중(b)(c)의 상대위치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강구(85)가 슬라이드록 자동해제 플레이트(7)로부터 벗어나면,유지체(83)가 압축 스프링(84)에 의하여 동 플레이트(7)의 판두께분만큼 상방으로 이동하기 때문에,그 하단부는 상기 잠금구멍(31a)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되고,이것에 의해 좌석본체(2)의 전후방향의 잠금이 자동해제된다. 또한, 도 9에는 피니언 기어(6) 및 슬라이드록 자동해제 플레이트(7)에 대하여 여러 곳에 슬라이드 록기구(80)를 배치한 상태를 나타냈지만,좌석본체(2)의 회전동작에 관하여 슬라이드 록기구(80)가 고정측이고, 피니언 기어(6) 및 슬라이드록 자동해제 플레이트(7)가 회전측이므로,실제로는 슬라이드 록기구(80)에 대하여 피니언 기어(6) 및 슬라이드록 자동해제 플레이트(7)가 이동한다.
다음에,회전지지대(10)의 2개의 이동측 유지부재(11), (11)의 외측면에는,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V형상의 홈부(l1a)가 형성되어 있다.한편,전후방향지지대(30)의 베이스(3l) 양측부에는,고정측 유지부재(32), (32)가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다.양 고정측 유지부재(32), (32)는 상기 이동측 유지부재(11), (11)의 외측을 따라 배치되어 있고,그 이동측 유지부재(11)에 대향하는 측면에도 상기 홈부(11a)와 동일한 홈부(32a)가 대향해서 형성되어 있다.이와 같이 배치한 이동측 유지부재(11)와 고정측 유지부재(32) 사이에는,홈부(11a), (32a)에 끼워넣는 상태로 다수의 강구(33)∼(33)가 끼워 넣어져있고,이것에 의해 좌우 한쌍의 직선안내기구(34), (34)가 구성되어 있다.양 직선안내기구(34), (34)에 의하여 회전유지대(l0) 더 나아가서는 승강장치(50) 및 좌석본체(2)가 차량의 전후방향을 따라 흔들림 없이 원활하게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강구(33)가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전동체에 해당하는 것이지만,이 전동체는 강구(33)에 한정되지 않고 원주체를 이루는 롤러라도 된다.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전후방향지지대(31)는 차량플로어에 볼트에 의해 고정되고,이것에 의해 회전 시트(1)가 차실내의 소정위치(조수석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좌석본체(2)의 회전동작과 전후방향의 이동동작을 연동시키기 위한 수단에 관하여 설명한다.도 4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내측의 고정측유지부재(32)의 측면에는 랙(38)이 설치되어 있다.한편,실내측의 이동측유지부재(11)의 윗면에는 지지플레이트(35)를 개재하여 중간기어(36)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중간기어(36)는 랙(38)와 치합되어 있고,이 치합상태가 좌석본체(2)의 전후방향의 전체이동 범위에서 유지되도록 랙(38)의 위치 및 길이가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대하여,상기 피니언 기어(6)는 도 6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거의 90° 범위의 원호형상을 지니며,그 초기 치합측(반시계 회전방향의 단부측,이하 동일함)의 일정각도범위α(제l실시예에서는 약 26°)에는 치합 이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이 때문에,좌석본체(2)를 그 착좌위치(차량의 전방을 향한 위치,도 6에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로부터 승강구측(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되기 시작한 초기의 약 26°의 범위는 피니언 기어(6)와 중간기어(36)가 치합되지 않으며,따라서 좌석본체(2)는 회전만할뿐 차량의 전방으로는 이동하지 않는다(비 연동범위).
좌석본체(2)를 승강구측으로 더욱 회전시키면,피니언 기어(6)가 중간기어(36)와 치합되기 위해,좌석본체(2)의 회전조작과 연동하여 중간기어(36)가 회전한다.중간기어(36)는 랙(38)와 치합되어 있으므로,회전과 동시에 차량의 전방으로 이동하며, 이것에 의해 회전지지대(10)가 차량의 전방으로 이동하고,더 나아가서는 좌석본체(2)가 승강구측으로 회전하면서 차량의 전방으로 이동한다(연동 범위).여기에서,상기 슬라이드 록기구(80)에 있어서,강구(85)가 슬라이드록 해제플레이트(7)로부터 벗어나서 슬라이드록이 해제되는 타이밍(도 9에서,상대위치(b)로 되는 타이밍)은 좌석본체(2)가 회전조작되어서 피니언 기어(6)의 이가 중간기어(36)와 치합되기 직전으로 설정되어 있다.즉,좌석본체(2)를 착좌위치로부터 승강구측으로 회전시키기 시작한 초기의 약 26°의 범위에서는,강구(85)가 슬라이드록 자동해제 플레이트(7)에 맞닿아서 유지체(83)의 원주체부(83a)가 잠금구멍(31a)에 삽입된 상태(도 9에서 상대위치(a)의 상태)로 유지되고,이것에 의해 좌석본체(2)가 전후방향으로의 이동이 불가능한 록킹상태로 유지된다.
좌석본체(2)를 약 26°회전 조작한 시점에서,슬라이드록 자동해제 플레이트(7)로부터 강구(85)가 벗어난다(도 9에서,상대위치(b)의 상태).그러면,유지체(83)가 압축 스프링(84)에 의하여 상방으로 변위되어,그 원주체부(83a)가 잠금구멍(31a)로부터 빠져나오고(도 9에서,상대위치(c)의 상태),이것에 의해 좌석본체(2)가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상태가 된다(슬라이드록의 자동해제).이후,좌석본체(2)가 승강구측을 향한 횡방향 위치에 이르기까지,강구(85)는 피니언 기어(6)의 하부면에 내리눌러진 상태로 유지되어,슬라이드 록의 해제 상태가 유지된다.
역으로,좌석본체(2)를 승강구측을 향한 횡방향 위치로부터 착좌위치로 향해서 약 64°회전 조작하는 동안에는 슬라이드 록기구(80)의 유지체(83)가 상방으로 변위된 상태로 유지되어,슬라이드록이 해제된 상태로 유지되므로,좌석본체(2)는 착좌 위치를 향하여(시계방향으로)회전하면서,후방으로 이동한다.좌석본체(2)는 횡방향 위치로부터 약 64°회전조작한 시점에서,차량의 전후방향에 대해서 후방위치로 되돌아옴과 동시에,강구(85)가 슬라이드 록 자동해제 플레이트(7)를 타고 올라와서 유지체(83)가 압축 스프링(84)에 대항해서 내리눌러짐으로써,그 원주체부(83a)가 잠금구멍(31a)에 다시 삽입되며,따라서 해당 좌석본체(2)가 후방위치에서 전후방향으로의 이동이 불가능하게 록킹된다(도 9 중 상대위치(b)의 상태). 그 후,좌석본체(2)는 약 26°회전동작만을 하고,차량앞쪽을 향한 착좌위치로 되돌아온다.
이와 같이 슬라이드 록기구(80)는 좌석본체(2)의 회전동작과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동작이 연동된 타이밍에 맞춰서 자동적으로 잠금·잠금해제되도록 되어 있고,상기 슬라이드록 자동해제 플레이트(7)는 이것을 실현할 수 있는 치수 및 형상으로 설정되고,또 그 설치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전후방향지지대(30)의 좌우측면부 및 뒷 부분은 커버(41),(42),(43)에 의하여 덮혀 있고,이물질의 유입에 의한 작동불량이 방지되고,또 외관의 향상이 도모되어 있다.
다음에,이상과 같이 구성한 회전좌석(1)의 가장 일반적인 조작 순서를 도 11에 의거하여 설명한다.도면에서는,좌석본체(2)의 회전중심(회전판13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하여,차량의 전후방향 이동범위의 후방위치를 부호(L0)로 나타내고,전방위치를 부호(L1)로 나타내며,또,차량의 폭방향 이동범위의 실내측위치를 부호(W0)로 나타내고,실외측 위치를 부호(W1)로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도 11(a)는 좌석본체(2)가 착좌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이 착좌위치에 있어서,조작자가 회전록 해제레버(73)를 내리 눌러서 조작하여 회전 록기구(70)을 해제한 후,좌석본체(2)를 승강구(D)측(도시한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조작한다.도 11(b)는 같은 방향으로 약 26°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이 때에는,피니언 기어(6)와 중간기어(36)가 치합되지 않기 때문에,좌석본체(2)는 회전 동작만 한다. 이 단계에서,좌석본체(2)는 그 시트쿠션(2a)이 승강구(D)의 뒷부분 즉 리어필러(P)에 간섭되기 직전위치까지 이르고 있으므로,그대로 더욱 회전시키는 것으로는 필러(P)에 간섭해서 좌석본체(2)를 승강구(D)를 향한 횡방향위치까지 회전시킬 수 없다.
그러나,약 26°회전시킨 시점에서,슬라이드록 해제플레이트(7)가 슬라이드 록기구(80)의 강구(85)로부터 벗어나서 유지체(83)가 위로 움직이고,이것에 의해 원주체부(83a)가 잠금구멍(31a)으로부터 빠져나와 전방으로 이동가능한 상태(슬라이드록의 자동 해제상태)로 됨과 동시에,피니언 기어(6)가 중간기어(36)와 치합되기 시작한다.
이 때문에,이후 더욱 좌석본체(2)를 회전시키면,이 회전동작과 연동하여 좌석본체(2)는 피니언 기어(6)와 중간기어(36)의 치합작용 및 중간기어(36)와 랙(38)의 치합작용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렇게 하여 좌석본체(2)는 나머지 약 64°를 회전하면서 전방으로 이동하고,이것에 의해 도 1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구(D)측을 향한 횡방향 자세로 됨과 동시에,전방위치(L1)에 이른다.이와 같이,좌석본체(2)가 회전하면서 전방으로 이동함으로써,그 회전도중에 있어서 탑승자의 발 또는 풋 레스트가 승강구(D)의 전단과 간섭되는 것이 회피된다.이 점,종래와 같이 일단 좌석본체를 전방위치까지 이동시킨 후,회전시키면 탑승자의 발 등이 승강구(몸체)의 전단과 간섭되는 문제가 있었지만,제 1의 실시예와 같이 회전시키면서 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이와 같은 문제를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렇게 해서,좌석본체(2)가 횡방향 자세가 된 시점에서,록핀(74c)이 회전지지대(10)의 실내측 회전록 플레이트(72)에 록킹되고,이것에 의해 좌석본체(2)가 횡방향 자세로 회전 불가능하게 록킹된다.
좌석본체(2)가 회전 불가능하게 록킹되기 때문에 ,차량 전후방향의 이동동작도 록킹된다.왜냐하면,피니언 기어(6)와 중간기어(36) 및 중간기어(36)와 랙(38)가 각각 치합된 상태에 있으므로,좌석본체(2)의 회전동작과 전후방향의 이동동작이 연동되고 있기 때문이다.
다음에,승강장치(50)의 전동모터(61)를 정회전시켜서 회동인출암(57), (57)을 실외측으로 회동인출하고,이것에 의해 좌석본체(2)를,도 11(c)의 실내측위치(W0)로부터 도 11(d)의 실외측위치(W1)까지 이동시키면서,소정의 높이까지 하강시킨다.좌석본체(2)가 실외의 소정의 높이로까지 하강한 후,전동모터(61)가 정지하여 승강장치(50)가 정지하고,이 상태에서 탑승자는 시트를 떠나는 것이 가능하다.이와 같이 좌석본체(2)는 승강구(D)를 거쳐 차밖으로 이동하면서 서서히 낮은위치(예를 들면, 휠체어와 동일한 정도의 높이)로 변위하므로,이 실외측위치(W1)에서 탑승자가 예를 들어 휠체어에 직접 갈아탈 경우라도 좌석본체(2)와의 사이를 편안하게 이동할 수 있다.게다가,제 1의 실시예에서는,사절링크기구의 작용에 의해 좌석본체(2)를 차량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이므로,가령, 슬라이드기구에 의하여 이동시키는 구성에 비하여,폭방향으로 적은공간으로도 보다 크게 승강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비교적 실내 바닥면이 높은 원박스 차량(one box car)이라도 충분히 낮은높이까지 좌석본체(2)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도 11(d)에 나타낸 바와 같이,승강장치(50)의 작동에 의하여 좌석본체(2)가 차밖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개방된 도어(Dr)가 예를 들면, 바람에 의하여 닫히는 방향으로 힘을 받더라도,좌석본체(2)의 시트쿠션(2a)에 의하여 열리는 방향으로 유지되기 때문에,승강동작 중에 도어가 지장을 받는 일이 없다.
이상과 같이하여,실외측위치(Wl)로 이동시킨 좌석본체(2)를 원래의 착좌위치로 되돌리는데는,전동모터(61)를 역전시켜서 승강장치(50)를 역방향으로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좌석본체(2)를 상승시키면서 도 11(c)에 나타낸 실내측 위치(WO)까지 되돌린다.이 시점에서,전동모터(61)가 정지하여 승강장치(50)는 정지한다. 그런 후,회전 록기구(70)를 해제 조작하여 수동조작으로 좌석본체(2)를 실내측을 향하여 회전시킨다.이 단계에서도 피니언 기어(6)와 중간기어(36) 및 중간기어(36)와 랙(38)이 치합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으므로,좌석본체(2)는 상기와는 역으로 실내측으로 회전하면서 전방위치(Ll)로부터 후방위치(L0)를 향해 이동한다.
횡방향 자세로부터 약 64°실내측으로 회전시킨 단계에서,좌석본체(2)는 후방위치(L0)로 되돌아와서 도 11(b)에 나타낸 위치에 이른다.그 후,좌석본체(2)를 더욱 약 26°회전시킴으로써,도 11(a)에 나타낸 착좌 위치로 되돌리는 것이 가능하다.이 26°의 회전범위에서는,피니언 기어(6)와 중간기어(36)의 치합이 해제되고,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록 해제플레이트(7)가 슬라이드 록기구(80)의 강구(85)의 상측으로 되돌아오며,이것에 의해 슬라이드 록기구(80)가 잠금상태로 복귀되기 때문에,좌석본체(2)는 회전동작만을 하고, 전후방향으로는 이동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제 1실시예의 차량용 회전좌석(1)에 의하면,좌석본체(2)는 승강장치(50),회전지지대(10)및 전후방향지지대(30)에 지지되고,승강장치(50)와 전후방향지지대(30) 사이에는,중간기어(36)를 개재하여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6)와 랙(38)이 착장되어 있기 때문에,좌석본체(2)의 회전동작과, 전후방향의 이동동작이연동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이 때문에,예를 들면, 세단형 승용차의 경우와 같이 좁은 승강구(D)라도,회전조작만으로 좌석본체(2)를 필러 등의 타부위와 간섭되는 일이 없으며,또한 탑승자의 발을 승강구(D)의 단부와 간섭되는 일이 없이 승강구(D)측을 향하게 할 수가 있으므로 종래보다도 그 사용의 편리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회전판(13)은 좌면의 실외측단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좌면의 실내측 하부면에 큰 공간을 확보할 수가 있고, 이것에 의해 큰 지름의 피니언 기어(6)를 설치할 수가 있다.
피니언 기어(6)의 지름이 클수록,좌석본체(2)의 전후방향의 이동거리를 크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해당 회전좌석(1)은 전후방향의 이동 거리가 비교적 큰 것이 요구되는 화물겸용 승용차에 특히 매우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회전중심이 힙 포인트(HP)의 실외측에 설정되어 있으므로,좌석본체(2)를 실외측으로 회전시키는 것만으로,좌석본체(2)를 차량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고,이 점에서도 전후 방향으로 큰 이동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또,좌석본체(2)를 차량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직선안내기구로서,이동측 유지부재(11)와 고정측 유지부재(32)와,양자의 홈부(11a), (32a)간에 끼워넣어진 다수의 강구(33)∼(33)로 구성되는 직선안내기구(34)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좌석본체(2)를 흔들림 없이 원활하게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점,직선 안내기구로서 예를 들면, コ형상 레일의 내측으로 롤러를 전동시키는 구성으로 한 경우에는 원활하게 이동시키기 위해서 롤러와 레일 사이에 적당한 간극을 설정할 필요가 있고, 이 간극은 좌석본체의 흔들림의 원인이 되지만,상기 직선안내기구(34)에 의하면,이와 같은 문제는 없고,극히 지지 강성이 높은(흔들림이 없는)회전좌석(1)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좌석본체(2)를 차량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로서,사절링크기구를 이용하고 있으므로,차량의 폭방향에 대해 한정된 공간내에서,즉 차량의 폭방향 이동에 대해 적은 이동거리에서,높은시트 포지션으로부터 보다 지면과 가까운 낮은위치까지 좌석본체(2)를 승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이것에 대하여,예를 들어 좌석본체를 차량의 폭방향으로 경사진 레일을 따라 단순히 슬라이드 시키는 구성으로 한 경우에는,동일한 승강거리라도 차량의 폭방향으로 보다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좌석본체(2)를 차량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사절링크기구를 주체로 하는 승강장치(50)를 사용함으로써,제 1실시예와 같이 원박스 차량과 같이 비교적 차고가 높은 차량이라도 폭방향으로 큰 공간을 필요로 하지는 않으며,좌석본체(2)를 차량 플로어와 지면 사이에서 크게 승강동작 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으로 설명한 제 1실시예에서는 여러가지 변경을 가할 수 있다.예를 들면,,승강장치(50)만을 전동식으로 했지만,회전지지대(10) 및 전후방향지지대(30)에 대해서도 전동식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또,역으로 승강장치(50)를,회전지지대(10) 및 전후방향지지대(30)와 마찬가지로 수동식으로 구성해도 된다.
또,좌석본체(2)를 실외로 회동인출시킬 필요가 없으면 승강장치(50)의 사절링크기구 액추에이터(60)를 생략할 수 있다.
또한,제 1실시예에서는 조수석에 적용한 회전좌석을 예시했지만,본 발명에 관한 회전좌석은 그 밖의 위치,예를 들면, 리어 시트,운전석에도 적용할 수 있다.
다음에,종래의 차량용 회전좌석의 승강장치로서,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9-48271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절링크기구를 이용한 스윙다운 형식의 것이 제공되어 있다. 이러한 스윙다운 형식의 승강장치에 있어서,링크기구를 동작시키는 구동원으로는,전동모터와 볼나사를 조합시킨 액추에이터가 사용되고 있다.종래, 이 액추에이터(60)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나사의 나사축(63a)을 시트후방을 향한 자세로,볼나사의 너트(63b)를 링크기구의 링크암(59)에 연결하고,나사축을 회전 지지하는 나사축 케이스를 차량의 플로어측에 연결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었다. 이 종래의 구성에 의하면,액추에이터(60)의 전동모터가 기동되면 나사축(63a)이 회전해서 너트(63b)가 나사축(63a)을 따라 이동하고,이 너트(63b)의 이동에 의하여 링크암(5l), (52)를 요동시켜서 해당 링크기구를 작동시키고,이것에 의해 좌석본체(2)를 실외로 회동인출시키고,또는 실내의 앉아 있는 채로 되돌리는 것이 가능하였다.
그러나,상기 종래의 스윙다운 형식의 승강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회전좌석에 의하면,액추에이터(60)가 그 나사축(63a)을 시트의 뒤쪽(도시한 오른쪽 방향)을 향한 자세로 배치되어 있으므로,해당시트의 뒤쪽에 위치하는 탑승자의 발밑에 이 나사축(63a)이 돌출되고,이 때문에 리어 시트의 탑승자는 의복 등이 나사축에 접촉하여 더러워지지 않을까 걱정이 되고,더러워진 경우에는 불쾌감을 주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이 이루어졌다.
이상 예시한 제 1실시예의 차량용 회전 시트(1)에 의하면,사절링크식 승강장치(50)에 있어서,액추에이터(60)는 그 나사축(63a)을 좌석본체(2)의 앞쪽에 위치시키고,기어박스(62)를 뒤쪽에 위치시키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종래와 같이 나사축(63a)은 해당 회전좌석(1)의 뒤쪽에 앉아 있는 사람을 향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뒤쪽에 앉아 있는 사람이 종래와 같이 나사축에 의하여 의복이 더러워질 것을 걱정할 필요는 없고,또 의복을 더럽히는 것 등으로 인해 불쾌감을 느낄 일도 없다.
또,좌석본체(2)를 실외의 낮은위치로 이동시킬 때에만,액추에이터(60)가 시트후방으로 이동하고,예를 들어 차량 주행시 등과 같이 좌석본체(2)가 실내의 착좌위치에 위치할 때에 액추에이터(60)는 앞쪽으로 되돌아온 상태가 되므로, 해당 회전좌석(1)의 뒤쪽에 앉아 있는 사람의 발밑에서 액추에이터(60)가 방해되지는 않게 된다.
또한,이 사절링크식의 승강장치(50)에 의하면,차량의 폭방향에 대해서 한정된 공간내에 있어서,즉 차량의 폭방향 이동에 대해서 적은 이동거리로,높은 시트 포지션으로부터 더욱 지면에 가까운 낮은 위치까지 좌석본체(2)를 승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이에 대하여,예를 들면, 좌석본체를 차량의 폭방향으로 경사진 레일을 따라 단지 슬라이드시키는 구성으로 한 경우에는,동일한 승강거리라도 차량의 폭방향으로 보다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는 문제가 있다.이와 같이,좌석본체(2)를 차량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사절링크기구를 주체로 하는 승강장치(50)를 이용함으로써,본 실시예와 같이 원박스 차량과 같은 비교적 차고가 높은 차량이라도 폭방향으로 큰 공간을 필요로 하지는 않으며,좌석본체(2)를 차량의 플로어와 지면 사이에서 크게 승강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실시예(제 2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 1실시예의 차량용 회전좌석(1)은 좌석본체(2)의 차량의 폭방향 이동을 사절링크식의 승강장치(50)에 의하여 행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종래의 사절링크식 승강장치(50)대신에 직선 슬라이드기구를 이용한 슬라이드식 폭방향 이동수단을 구비한 것이 제공되어 있다. 이 형식의 차량용 회전좌석(100)을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내었다.도면중(2)는 좌석본체이고,이 좌석본체(2)는 그 하부면에 설치한 시트대(5)를 개재하여 회전지지대(110)의 회전판(l3)에 의하여 회전지지되어 있다.회전지지대(11O)는 전후방향지지대(13O)에 의하여 차량 전후방향(도 19에서 지면과 직교하는 방향,도 20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도 20에서 좌석본체(2)는 도시가 생략되어 있고,시트대(5)만을 나타내고 있다.
이 슬라이드 형식의 차량용 회전좌석(100)에도,상기 제 1실시예와 동일한 연동기구가 조립되어 있다.즉,전후방향지지대(130)에 랙이 장착되고,이 랙과 치합되는 중간기어가 회전지지대(110)에 장착되고,이 중간기어와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가 좌석본체(2)에 장착되어 있어,좌석본체(2)의 회전조작과 연동하여 해당 좌석본체(2)가 차량전후방향으로 이동한다.
전후방향지지대(l30)는 슬라이드 형식의 폭방향지지대(150)에 의하여 차량의 폭방향(도 19에서 좌우방향,도 20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식의 폭방향지지대(150)에 의하여 좌석본체(2)를 차량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폭방향 이동 도중에 있어서의 해당 좌석본체(2)의 차량 전후방향의 이동 및 회전동작을 규제할 필요가 있다.이 때문에,종래에 폭방향지지대(150) 뒤쪽의 슬라이드 레일(151)의 윗면에,좌석본체(2)의 폭방향 이동 중에 있어서의 전후방향의 이동 및 회전동작을 확실하게 규제할 수 있고,또한 좌석본체(2)의 착좌위치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이동도 확실하게 규제하기 위해서 공간(l58)을 개재하여 스토퍼부재(157)를 설치한 구성의 것이 제공되어 있다.이 스토퍼부재(157)는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레일(151)의 거의 절반정도의 길이를 지니며,슬라이드 레일(151)의 중간정도로부터 거의 실외측 단부에 이르는 범위에서 그 슬라이드 레일(151)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스토퍼부재(157)의 전단 테두리(도시한 좌측의 단부 테두리)는 슬라이드 레일(151)의 전단 테두리로부터 정해진 일정한 치수로 연장되어 있고,이 전단 테두리가 제 1스토퍼부(157a)로 되어 있다.또,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스토퍼부재(157)의 실내측 단부는 상측에 대략 L형상으로 만곡되어 제 2스토퍼부(157b)로 되어 있다.
좌석본체(2)가 착좌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는,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지지대(ll0)는 가장 뒤쪽에 위치하고,이 때 좌석본체(2)는 차량의 정면을 향한 착좌위치에 위치하고 있다.이 착좌위치에서는,상기 제 1실시예에서 예시한 회전 록기구(70)에 의하여 해당 좌석본체(2)의 회전동작이 잠금된 상태로 되어 있다.
좌석본체(2)가 착좌위치에 위치하면,실내측 슬라이드 레일(112a)의,실외측 둘레부에 맞닿는 것이 가능한 위치에 상기 스토퍼부재(157)의 제 2스토퍼부(157b)가 위치한다.이 상태가 얻어질 수 있도록,제 2스토퍼부(157b)의 위치 즉 스토퍼부재(l57)의 길이가 설정되어 있다.이 때문에,회전지지대(110) 더 나아가서는 좌석본체(2)의 실외측으로의 이동이 이 제 2스토퍼부(157b)에 의하여 금지된다.이와 같이,스토퍼부재(l57)의 제 2스토퍼부(l57b)에 의하여 좌석본체(2)의 착좌위치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이동이 금지되기 때문에,착좌위치에 있어서의 좌석본체(2)의 폭방향의위치를 확실하게 록킹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회전 록기구(70)를 해제한 상태에서,좌석본체(2)를 실외측으로 회전 조작하면,연동기구에 의하여 해당 좌석본체(2)가 회전하면서 전방으로 이동한다.좌석본체(2)가 횡방향 위치까지 회전 조작되어서 전후방향 슬라이드 위치의 전단위치에 이른 상태에서는,회전지지대(110)의 실내측의 슬라이드 레일(112a)의 후단부가 스토퍼부재(157)의 제 2스토퍼부(157b)보다도 앞쪽(도 20에 있어서 좌측)으로 이동하고,또한 해당 스토퍼부재(157)의 제 1스토퍼부(157a)보다도 약간 치수(h)만큼 앞쪽으로 이동한 상태로 되며,이것에 의해 회전지지대(110)의 차량의 폭방향 이동이 허용되는 상태가 된다. 또한,이 시점에서도 회전 록기구(70)에 의하여 좌석본체(2)가 이 횡방향 위치에서 회전 불가능하게 록킹된다.
이 상태에서 도시하지 않은 직선구동기구에 의하여 좌석본체(2)를 실외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이 좌석본체(2)의 실외측으로의 이동 과정에 있어서,회전지지대(110)의 실내측 슬라이드 레일(112a)의 후단과,스토퍼부재(157)의 제 1스토퍼부(157a)의 사이에 약간의 간극(h)이 유지되고,이것에 의해 전후방향지지대(130) 더 나아가서는 좌석본체(2)의 실외측으로의 이동이 허용된다.반면,슬라이드 레일(112a)의 뒤쪽(도 20에 있어서 우측)에,이 제 1스토퍼부(157a)가 위치함으로써 전후방향지지대(130)의 뒤쪽으로의 이동이 금지된다.좌석본체(2)의 뒤쪽으로의 이동이 금지되므로, 그 회전동작도 금지된다.
여기에서,상기한 바와 같이 좌석본체(2)의 횡방향 위치에서는,회전 록기구(70)에 의하여 그 회전이 규제된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이지만,회전 록기구(70)는 좌석본체(2)의 위치에 관계 없이 언제라도 해제 조작할 수가 있다.이 때문에,실수로 회전 록기구(70)를 해제 조작해버린 경우에,좌석본체(2)는 회전 가능하게 됨으로써,회전동작과 연동한 후방으로의 이동동작도 허용되게끔 된다.좌석본체(2)가 실외측으로 이동하는 중에,회전동작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면 좌석본체(2) 및 탑승자가 승강구의 필러 등에 간섭되며,그 결과 원활한 실외측으로의 이동이 불가능하게 되어버린다.이 점,상기 스토퍼부재(157)에 의하면,좌석본체(2)의 실외측으로의 이동과정에 있어서 해당 좌석본체(2)의 후방으로의 이동 및 회전동작이 금지되기 때문에,실수로 회전 록기구(70)를 해제조작하여도,좌석본체(2) 및 탑승자를 승강구의 필러 등에 간섭되는 일없이 곧바로 실외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좌석본체(2)의 실외측으로의 이동과정에서는,상기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레일(112a)의 후단부가 제 1스토퍼부(157a)의 측면을 통과함으로써 좌석본체(2)의 후방으로의 이동이 금지되는 한편,회전 록기구(70)의 회전 록부재(74)가 록 플레이트(71)에 걸어맞춤된 상태인 채로 실외측으로 이동한다.이 때문에,회전잠금부재(74)의 잠금핀(74c)이 제 l 스토퍼부(157a)의 측면을 통과하는 것에 의해서도,좌석본체(2)의 뒤쪽으로의 이동이 금지된다.
또,좌석본체(2)가 실외측의 선단위치에 이르면,회전지지대(110)의 실내측 슬라이드 레일(112a)의 후단부는 제 1스토퍼부(157a)의 측면으로부터 벗어나지만,상기 잠금핀(74b)이 여전히 제 l스토퍼부(l57a)의 측면에 위치하므로,동 선단위치에 있어서도 좌석본체(2)의 뒤쪽으로의 이동 및 회전동작이 금지된 상태로 된다.
그러나,상기 스토퍼부재(157)는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방향지지대(130)의 좌우 한 쌍의 슬라이드 레일(112a), (1l2b)이 수평면상에 배치되고,폭방향지지대(150)의 슬라이드 레일(151)이 경사모양으로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성립되지만,예를 들어,슬라이드 레일(151)이 경사져 있지 않은 수평면상의 경우에는 좌석본체(2)를 차실내로 끌어넣은 위치에서,한쪽의 슬라이드 레일(112a)이 스토퍼부재(157)로부터 벗어나도,다른 쪽의 슬라이드 레일(1l2b)은 스토퍼부재(157)에 맞닿아서 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성립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이 때문에,폭방향지지대(150)의 슬라이드 레일(151)을 수평면 상에 설치한 경우에 있어서,예를 들면, 좌석본체(2)를 실내측으로 끌어넣은 위치에서,전후방향지지대(130)의 한쪽 슬라이드 레일(112a)은 스토퍼부재(157)의 제 2스토퍼부(157b)의 실내측으로 통과가능하게 위치하고,다른 쪽 슬라이드 레일(112b)의 위치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기 위해,스토퍼부재(l57)측에 절단부를 형성하면,전후방향지지대(130)는 폭방향으로 이동하는 중에,다른 쪽 슬라이드 레일(112b)이 스토퍼부재(157)보다 외측으로 벗어나고,한쪽 슬라이드 레일(112a)이 이 절단부에 이르면,전후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폭방향지지대가 수평형상 또는 경사형상이라도,전후방향지지대가 차실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좌석본체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전후방향지지대가 폭방향지지대에 따라 이동중에 전후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는 규제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회전좌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그러면,제 2실시예의 차량용 회전좌석(190)에 있어서의 규제장치(141)는 전후방향지지대(130)의 후부측(실내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다음의 설명에 있어서 변경을 필요로 하지 않는 부재에 관해서는 같은 부호를 사용한다.
먼저,상기 폭방향지지대(150)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방향지지대(130)의 세로롤러(134)∼(134) 및 가로롤러(135)∼(135)를 전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단면이 コ자 형상의 슬라이드 레일(151), (151)을 구비하고 있다. 양 슬라이드 레일(151), (151)은 차량의 폭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평행으로 설치되어 있다.도 l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슬라이드 레일(151), (151)은 서로 동일한 길이의 실외측각주(152)와 실내측각주(153)에 의하여 차량플로어(F)위에 수평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전후방향지지대(130)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주틀(131), (131)은 폭방향지지대(150)의 슬라이드 레일(151), (l51)사이에 위치하는 소정의 간격으로 실내외의 지지 프레임(132)에 의하여 조립 형성되고,이 주틀(131), (131)의 실외측의 소정 범위에는 실내외의 양측에 절곡둘레(l33a)를 갖는 베이스(133)가 설치되어,이 베이스(133)를 설치한 양 주틀(131), (131)의 실내측에는 각각 돌출부(131a)가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133)의 양 절곡둘레(133a), (133a)의 내면에는,각각 2개의 세로롤러(136), (136)와 2개의 가로롤러(137), (137)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이 세로롤러(136), (136)와 가로롤러(137), (137)에는 회전지지대(110)의 슬라이드 레일(112), (112)이 지지되어 있다(도 19 참조). 또,주틀(131),(131)의 측면에는 폭방향지지대(150)의 슬라이드 레일(15l), (l5l)의 내측에 전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3개의 세로롤러(134)∼(134)와,2개의 가로롤러(135), (135)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된 전후방향지지대(130)의 후부측(도시한 우측)의 주틀(131)의 실내측에 형성한 돌출부(131a)에,전후방향지지대(130)의 실외측으로의 이동중에 있어서의 회전지지대(110)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규제장치(l41)가 설치되어 있다.이 규제장치(141)의 자세한 내용이 도 16에 나타나 있다.이 규제장치(141)는 가이드 플레이트(142)와 스토퍼부재(145)와 코일 스프링(147)을 구비하고 있다.가이드 플레이트(142)는 주틀(131)의 돌출부(131a)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된 가이드핀(143), (143)을 개재하여 돌출부(131a)와 소정의 간격을 갖고 거의 대치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대략 장방형상의 판형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그 상부둘레(142a)의 소정의 위치에 코일 스프링(147)의 일단이 걸어맞춤되는 걸어맞춤구멍(l42c)를 관통설치한 凸부(142b)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된 가이드플레이트(l42)와 돌출부(l31a)의 사이에는 스토퍼부재(l45)가 도 15의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이 스토퍼부재(145)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플레이트(142)보다 길게 대략 장방형상으로 형성되고,그 실외측이 되는 외부단부(145a) 근처에는 회전지지대(110)의 실내측 슬라이드 레일(112a)를 이동가능하게 하는 凹부(145b)가 설치되어 있으며,외부단부(145a)측에 스토퍼부(145c)가 형성되어 있다.또,이 凹부(145b)에 연속해서 가이드 플레이트(142)의 凸부(142b)와 대응하는 높이로 凸부(145d)가 돌출 설치되고,이 凸부(145d)에는 코일 스프링(l47)이 걸어맞춤되는 걸어맞춤 구멍(145e)이 관통 설치되어 있다. 또,이 스토퍼부재(145)에는 가이드핀(143), (143)을 삽입 관통하는 소정 길이의 슬라이드 장공(146), (146)이 관통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스토퍼부재(145)는 슬라이드 장공(146), (146)을 개재하여 주틀(131)의 돌출부(131a)와 가이드 플레이트(142) 사이의 가이드핀(143), (143)에 의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고,凸부(142b), (145d)의 걸어맞춤 구멍(142c), (145e)사이에는 코일 스프링(147)이 부착되며 스토퍼부재(145)는 실내측으로 가압되어 있다.
다음에,좌석본체(2)의 이동에 따른 규제장치(141)의 기능을,상기 제 1실시예에 나타낸 도 11(a)∼도 11(d)를 참조해서 설명한다.먼저,좌석본체(2)가 착좌위치에 위치한 상태(도 11a)에 있어서,전후방향지지대의 주틀(131)에 설치한 규제장치(141)의 스토퍼부재(145)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폭방향지지대(150)의 좌우 슬라이드 레일(151)의 단부에 설치한 엔드플레이트(159)의 돌출편(159a)에 맞닿고,동 스토퍼부재(145)는 코일 스프링(147)을 끌어당기는 상태로 해서 슬라이드 장공(146)을 개재하여 실외측으로 이동하고,동 슬라이드 장공(l46)의 실내측 단부 가장자리(l46a)는 가이드핀(143)에 맞닿는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스토퍼부재(145)에 오목하게 형성한 凹부(145b)는 회전지지대(110)의 실내측 슬라이드 레일(112a)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위치하며,좌우 슬라이드 레일(112a), (112b)은 후부측으로 이동하고 좌석본체(2)는 착좌위치에 위치해 있다.
좌석본체(2)가 착좌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회전 록기구(70)를 해제하여 좌석본체(2)를 승강구(D)측(도시한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킨다(도11 B).또한,회전 초기의 일정각도 범위에서는,연동 기구에 있어서의 피니언 기어와 랙이 치합되지 않으므로, 좌석본체(2)는 회전동작만으로,차량 전방으로는 이동하지 않는다. 좌석본체(2)를 실외측으로 일정각도 회전시킨 단계에서 슬라이드 록기구(80)가 잠금해제되며,이것에 의해 좌석본체(2)가 전방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됨과 동시에,연동기구에 있어서의 피니언 기어와 랙이 치합되기 시작한다.이 때문에,이후 더욱 좌석본체(2)를 회전시키면,이 회전동작과 연동하여 좌석본체(2)는 피니언 기어와 랙의 치합작용을 통하여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렇게 좌석본체(2)가 회전하면서 전방으로 이동하고,이것에 의해 승강구(D)측을 향한 횡방향 자세가 되며,또 전방위치(L1)에 이른다(도 11c).
이렇게 좌석본체(2)가 횡방향 자세가 된 시점에서,회전지지대(110)의 실내측 슬라이드 레일(112a)의 후단부가 스토퍼부재(145)의 凹부(l45b)로부터 이탈하고,스토퍼부재(145)보다 약간 앞쪽으로 이동한 상태로 된다.그리고,록부재(74)가 회전지지대(110)의 뒤쪽 우측의 록플레이트(72)에 록킹되며,이것에 의해 좌석본체(102)가 해당 횡방향 자세로 회전불가능하게 록킹된다.
다음에,좌석본체(2)를 도 11(c)의 실내측 위치(W0)로부터 도 11(d)의 실외측위치(W1)으로 이동해 나가면,전후방향지지대(l30)의 주틀(131)에 설치한 규제장치(141)도 일체로 이동한다.이것에 의해,폭방향지지대(150)의 슬라이드 레일(151)에 설치한 엔드플레이트(l59)에 맞닿아서 실외측에서 코일 스프링(147)에 대항하여 이동되고 있던 스토퍼부재(145)는 도 l6에 2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l47)의 복원력에 의하여 실내측으로 이동해 나가고,그 스토퍼부(145c)는 슬라이드 레일(1l2a)의 단면측으로 이동하고,슬라이드 장공(146)의 단부 가장자리(146b)가 가이드핀(143)과 맞닿은 상태에서,스토퍼부(145c)는 슬라이드 레일(112a)의 단부와 대향설치되고,슬라이드 레일(112a), (112b)의 차량 전후방향의 이동이 규제되어,좌석본체(2)의 차량 전후방향 이동이 규제된다.이 규제를 유지한 상태에서 도 11(d)로 이동한다.이 시점에서 탑승자는 시트를 떠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실외측위치(W1)에 이동시킨 좌석본체(2)를 원래의 착좌위치로 되돌리는데는,폭방향지지대(150)의 직선 슬라이드기구를 역방향으로 기동하여,먼저 좌석본체(2)를 도 11(c)에 나타낸 실내측위치(WO)로까지 되돌린다.이 실내측위치(WO)에 도달하기 바로 전의 위치로부터 전후방향지지대(130)의 주틀(131)에 설치한 규제장치(141)의 스토퍼부재(145)의 실내단부가 폭방향지지대(150)의 엔드플레이트(159)에 맞닿아 가고,이것에 의해,동 스토퍼부재(l45)는 코일 스프링(147)에 대항해서 실외측으로 이동하며,슬라이드 장공(146)의 단부 가장자리(146a)가 가이드핀(143)과 맞닿는 시점에서,스토퍼부(145c)는 슬라이드 레일(112a)과의 대향 설치위치로부터 실외측에 위치함과 동시에,凹부(145b)가 슬라이드 레일(112a)를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위치한다.이 상태에서,회전 록기구(70)를 해제 조작하고 수동조작으로 좌석본체(2)를 실내측을 향해 회전시킨다.이 단계에서도 연동기구의 피니언 기어와 랙이 치합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으므로,좌석본체(2)는 상기와는 역으로 실내측으로 회전하면서 전방위치(L1)로부터 후방위치(L0)를 향해 이동한다.
횡방향 자세로부터 일정각도만큼 실내측으로 회전조작한 단계에서,좌석본체(2)는 후방위치(L0)로 되돌아와서 도 11(b)에 나타낸 위치에 이른다.그 후,좌석본체(2)를 더욱 실내측으로 회전시킴으로써,도 11(a)에 나타낸 착좌 위치로 되돌리는 것이 가능하다.회전조작의 후반 일정한 각도범위에서는,피니언 기어와 랙의 치합이 해제되고,또한 슬라이드록 해제플레이트(7)가 롤러(82)의 상방으로부터 벗어나서,슬라이드 록기구(80)이 잠금상태로 복귀하므로,좌석본체(2)는 회전동작만 하고, 전후 방향으로는 이동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제 2실시예의 회전좌석(190)에 있어서는,좌석본체(2)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지지대(ll0)와,그 회전지지대(110)를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전후방향지지대(130)와,그 전후방향지지대(l30)를 차량의 폭방향으로 수평상태로 이동시키기 위한 폭방향지지대(150)와,상기 좌석본체(2)의 회전동작과 전후방향으로의 이동동작을 연동시키는 연동기구를 구비하고,상기 폭방향지지대(150)에는 폭방향의 이동범위 중의 소정위치(착좌위치)이외에서의 전후방향지지대(130)에 의한 전후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장치(141)를 전후방향지지대(130)와 함께 폭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따라서, 제 2실시예의 규제장치(141)는 좌석본체(2)가 착좌위치에 위치할 때에,스토퍼부재(145)는 폭방향지지대(150)의 엔드플레이트(159)와 맞닿고,실외측으로 이동해서 凹부(145b)는 슬라이드 레일(112a)를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위치하고 있다.좌석본체(2)를 연동수단에 의하여 슬라이드 시키면서 개구부로 지향하는 횡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는,슬라이드 레일(112a)의 뒷부분 단면이 스토퍼부재(145)보다 약간의 간격을 갖고 차량 앞쪽에 위치한다.그리고 전후방향지지대(130)가,수평으로 배치한 폭방향지지대(150)를 따라 실외측으로 수평이동함으로써,코일 스프링(147)의 복원력에 의하여 스토퍼부재(145)의 스토퍼부(145c)가 슬라이드 레일(112a)의 단면측과 대향설치되는 위치로 이동하고,좌석본체(2)의 실외측으로의 수평이동 범위에서 이 상태를 유지해서 슬라이드 레일(112a)의 후퇴를 규제할 수가 있다.
또,이 규제장치(141)은 전후방향지지대(130)의 뒤쪽 주틀(l3l)의 실내측 돌출부(131)에 병설되므로,예를 들어 폭방향지지대(150)의 슬라이드 레일(l5l)의 길이에 변경이 생겨도,이 규제장치(141)의 스토퍼부재(145)와 슬라이드 레일(112a)과의 대응관계는 일정하기 때문에,변경이 불필요하다.또,종래의 스토퍼부재(157)와 같이 슬라이드 레일(151)이 길어지면 길고 큰 스토퍼부재(157)로 할 필요가 없으므로,중량 저감 대책에 부합되는 것으로 된다.또,이 규제장치(141)는 상기 회전좌석(l90)과 유사한 기존장치에도 채용할 수 있는 경제성을 갖는다.
또한,제 2실시예에서는 폭방향지지대(150)를 수평상태로 배치한 것을 예시했지만,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가령 종래와 같이 폭방향지지대(150)를 경사진 모양으로 배치된 것에도 부설할 수 있고,이 경우,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토퍼부재(145)의 스토퍼부(l45c)를 슬라이드 레일(112a)의 위치에 맞는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토퍼부재(145)는 차량의 폭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좌석본체의 이동경로를 따라 전진 및 후퇴하는 구성을 예시했지만,예를 들어 스토퍼부재로서 솔레노이드 액추에이터를 사용하여,좌석본체가 폭방향지지대의 실내측단부에 이르는 것을 센서에 의하여 검지하고,이 센서의 출력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솔레노이드 액추에이터를 작동시키고 그 로드를 좌석본체의 전후방향 이동경로에 돌출시키고,이것에 의해 좌석본체의 폭방향이동 중에 있어서 전후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구성(전기식)으로 하여도 좋다.
다음에,청구항 3 또는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의 실시예(제 3실시예)를 도 21∼도 32,도 83 및 도 8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도 21은 차실내를 나타내고 있고,도면에서(210)은 운전석,(211)은 조수석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이 조수석(211)을 차량용 회전좌석으로 한 경우를 예시한다.조수석(211)의 좌측에는 승강구(D)가 위치하고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차량앞쪽을「전방」으로,승강구(D) 측을「외측」이라고 표시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조수석으로서의 차량용 회전좌석(211)은 좌석본체(212)와 그 좌석본체(212)를 차량의 폭방향으로 슬라이드 지지하는 폭방향지지대(213)과,그 폭방향지지대(213)을 회전 지지하는 회전지지대(2l4)와,그 회전지지대(214)를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지지하는 전후방향지지대(215)를 구비하고 있다.
좌석본체(212)는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쿠션(212a)과 시트백(212b)을 지니며,시트쿠션(2l2a)의 하부면에는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풋 레스트(216a)를 구비한 시트홀더(216)가 부착되어 있다.이 시트홀더(2l6)을 개재하여 좌석본체(212)가 폭방향지지대(213)에 장착되어 있다.
폭방향지지대(213)는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한쌍의 직선 슬라이드기구(220), (220)를 구비하고 있다.양 직선 슬라이드기구(220), (220)는 각각 도 26∼도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측레일(220a)와 이동측레일(220b) 및 양 레일(220a), (220b)의 V홈(220d),(220d)간에 끼워넣은 다수의 강구(220c)∼(220c)를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이동측레일(220b), (220b)의 앞부분과 뒷부분은 연결베이스(224), (225)에 의하여 연결되고,슬라이드하는 쪽의 틀체(슬라이드 틀체(221))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양 이동측레일(220b), (220b)사이에서 슬라이드 틀체(221)의 슬라이드 방향 중앙부근과,상기 전방부측의 연결베이스(224)에는 브라켓(226), (227)이 장착되어 있고,이 양 브라켓(226),(227)에 시트홀더(216)가 장착되며,이것에 의해 상기 좌석본체(212)가 슬라이드 틀체(221) 더 나아가서는 폭방향지지대(213)에 장착되어 있다.
양 고정측레일(220a), (220a)의 후단부 간에는 대략 상자형상의 연결베이스(229)가 장착되어 있고,이 연결베이스(229)에는 해당 폭방향지지대(213)의 구동원으로서의 모터(230)가 장착되어 있다.이 모터(230)에는 감속기어열(230a)을 개재하여 나사축(231)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양 고정측레일(220a), (220a)의 전단부 간에도 연결베이스(228)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으며,이 연결 베이스(228)에 설치한 브라켓(228a)에 상기 나사축(231)의 타단측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이와 같이 양 고정측레일(220a), (220a)도 연결 베이스(228), (229)에 의하여 일체화 되어서,슬라이드 고정측의 틀체(222)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나사축(231)와 치합되는 너트(232)는 브라켓(233)을 개재하여 슬라이드 틀체(221)의 연결 베이스(225)에 고정되어 있다.이 때문에,모터(230)가 기동되면,나사축(231)이 회전하고 너트(232)가 그 나사축(231)위를 이동하고,이것에 의해 슬라이드 틀체(221) 더 나아가서는 좌석본체(212)가 차량의 폭방향(직선 슬라이드 기구 220의 슬라이드 방향)으로 이동한다.
다음에,상기 양 고정측레일(220a), (220a)의 한쪽(도 25에서 앞쪽)의 고정측레일(220a)은 그 슬라이드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또 한쪽의 고정측레일 220a에대하여 접근 또는 이격되는 방향)으로 위치조정이 가능하게 되어 있고,이 위치조정을 적절하게 행하는 것에 의해서 양 고정측레일(220a), (220a)사이의 간격을 조정하여 양 직선 슬라이드기구(220), (220)에 적당한 예압을 주는 것이 가능하고,이것에 의해 슬라이드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높이방향 및 수평방향)의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게 되어 있다.이 위치조정기구의 자세한 내용은 도 26∼도28에 나타나 있다.
먼저,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측레일(220a), (220a)의 슬라이드 방향 중앙부근에는 각각 L형의 브라켓(240)이 장착되어 있고,이 양 브라켓(240), (240)은 회전베이스(241)위에 고정되어 있다.이 회전베이스(241)를 개재하여 해당 폭방향지지대(2l3)가 후술하는 회전지지대(214)의 내륜(2l4a)에 장착되어 있다.상기 양 브라켓(240), (240)중 도 27에서 우측의 브라켓(240)은 도시하는 좌우방향으로 위치조정이 가능하게 되어 있고,이것에 의해 양 고정측 레일(220a), (220a)의 슬라이드 방향 중앙부의 간격이 조정된다.
다음에,도 26은 고정측레일(220a)의 후부측의 위치조정기구를 나타내고 있다. 즉,상자모양 연결베이스(229)의 도시한 우측의 측면벽(229a)에는 나사구멍(229b)이 설치되고,이 나사구멍(229b)에는 조정볼트(242)가 나사결합되어 있다.이 조정볼트(242)는 측면벽(229a)를 관통해서 고정측레일(220a)의 외측면에 맞닿아 있다. 따라서,조정볼트(242)의 체결량을 조정함으로써 고정측레일(220a), (220a)사이의 간격을 변경할 수 있다.조정볼트(242)의 체결량은 너트(243)의 체결을 통해 고정해 두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도 28은 고정측레일(220a)의 전방부측 위치조정기구를 나타내고 있다.즉,연결베이스(228)의 전단부에는 보조편(234)이 장착되어 있다.이 보조편(234)에는 나사구멍(234a)이 형성되어 있다.한편,고정측레일(220a)의 앞부분에는 삽입관통구멍(220aa)이 형성되어 있고,이 삽입관통구멍(220aa)에 조정볼트(235)가 삽입 관통되어 있다.이 조정볼트(235)가 상기 나사구멍(234a)에 나사조임되어 있다.이 때문에,이 조정볼트(235)의 나사구멍(234a)에 대한 체결량을 조정함으로써 고정측레일(220a)의 보조편(234)에 대한 간격을 조정할 수 있고,더 나아가서는 양 고정측레일(220a), (220a)간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고정볼트(235)의 체결은 너트(236)를 단단히 죄어 고정함으로써 달성된다.
이와 같이,한쪽 고정측레일(220a)의 슬라이드 방향으로 직교한 방향의 위치를,슬라이드 방향 앞부분,중앙부 및 뒷부분의 3곳에서 조정함으로써,양 직선 슬라이드기구(220), (220)에 있어서의 강구(220c)∼(220c)의 끼워넣는 힘을 조정해서,해당 양 직선 슬라이드기구(220), (220)에 적당한 예압을 주는 것이 가능하고, 이것에 의해 좌석본체(212의 차량의 폭방향 슬라이드 동작을 원활하면서도 흔들림 없이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점에 있어서,종래에는 직선 슬라이드기구로서,예를 들면, 도 3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스가공에 의하여 띠강판을 대략 コ형상으로 절곡한 레일(207), (207)에 롤러(208)∼(208)을 전동시키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었기 때문에,레일(207), (207)의 프레스 굴곡 정밀도에 의하여 높이방향의 흔들림을 수정하는 것이 곤란하고,또, 예압을 주는 것이 가능하지 않았다.
또한,이 종래의 직선 슬라이드기구로는 수평 방향의 흔들림을 억제하기 위해,도 32에 나타낸 바와 같이 コ형상 레일에 수지피스(209)를 눌러붙이는 등의 수단을 채용할 필요가 있었지만,상기 실시예에 관한 직선 슬라이드기구(220), (220)에 의하면 V홈(220d), (220d)사이에 강구(220c)∼(220c)를 끼워넣는 구성이므로,상하방향 및 수평방향에 대해 흔들림이 없는 슬라이드 동작을 간단하게 얻을 수 있고,상기 종래와 같은 수단을 채용할 필요는 없다.
다음에,상기 폭방향지지대(213) 및 좌석본체(212)를 차량 정면방향의 위치와 승강구(D)측을 향한 위치 사이에서 약 90°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지지대(2l4)와,그 회전지지대(2l4),폭방향지지대(213) 및 좌석본체(212)를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전후방향지지대(215)의 자세한 내용을 도 29에 나타내었다.
먼저,상기한 바와 같이 폭방향지지대(213)은 브라켓(240), (240) 및 회전베이스(241)를 개재하여 회전지지대(214)의 내륜(214a)측에 장착되어 있다.이 회전지지대(214)에 있어서도 상기 직선 슬라이드기구(220)와 동종의 슬라이드기구가 사용되고 있다.즉,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내륜(214a)의 외주면과 외륜(214b)의 내주면에는 각각 V홈이 형성되고,양 V홈 간에 다수의 강구를 끼워넣어서 회전지지대(214)가 구성되고,이것에 의해 좌석본체(2l2)를 원활하고도 흔들림 없이 회전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회전지지대(2l4)는 전후방향지지대(215)의 주베이스(250)에 장착되어 있다.이 주베이스(250)은 좌우 한쌍의 직선 슬라이드기구(251), (251)를 개재하여 차량의 플로어(F)위에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장착되어 있다.양 직선 슬라이드기구(251), (251)에는 상기 직선 슬라이드기구(220)와 동일한 구성의 것이 사용되고 있다.즉,양 슬라이드기구(251), (251)는 고정측레일(251a)과 이동측레일(251b)과 양레일(251a), (251b)의 V홈(251c), (251c) 사이에 끼워넣은 다수의 강구(도시 생략)를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한쪽 고정측레일(25la)에 대하여 상기 직선 슬라이드기구(220)에 있어서 위치조정기구와 동일한 위치조정기구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양 직선 슬라이드기구(251), (251)에 적당한 예압을 주고 주베이스(250)가 원활하고도 흔들림 없이 차량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좌석본체(212)의 회전동작과 차량전후방향의 슬라이드 동작은,연동기구(260)에 의하여 연동해서 이루어지게 되어 있다.이 연동기구(260)는 상기 회전베이스(241)의 하부면에 설치한 원호형상의 피니언 기어(261)와,상기 주베이스(250)에 설치한 중간기어(262)와,차량의 플로어(F)위에 설치한 랙(263)을 갖고 있다.피니언 기어(261)는 중간기어(262)와 치합되고,중간기어(262)는 랙(263)과 치합되어 있다.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니언 기어(26l)의 도시한 앞쪽의 일정각도α(본 실시예에서는 26°)의 범위에는 치합 이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이 각도α의 범위 내에서 피니언 기어(261)는 중간기어(262)와 치합되지 않으며,더 나아가서는 좌석본체(212)의 회전동작과 전후방향의 슬라이드 동작이 연동되지 않는다(비 연동범위).좌석본체(212)를 차량 정면방향의 위치에서 승강구(D)측으로 각도α만큼 회전시키면,피니언 기어(261)가 중간기어(262)와 치합되고,이후 피니언 기어(261)와 중간기어(262)의 치합,및 중간기어(262)와 랙(263)의 치합을 거쳐 좌석본체(212)의 승강구(D)측으로의 회전동작과 차량 전방으로의 슬라이드 동작이 연동된다.
역으로,좌석본체(212)를 승강구(D)측으로부터 차량정면방향으로 회전시키면,좌석본체(212)는 이 회전동작과 연동하여 차량후방측(도 30에서 오른쪽방향)으로 슬라이드하고, 이것에 의해 탑승자의 발밑을 폭넓게 확보할 수 있다.이와 같이 구성한 연동기구(260)에 의하면,하나의 조작으로 좌석본체(212)의 회전동작과 차량전후방향으로의 슬라이드 동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해당 차량용 회전좌석(211)에 대한 사용상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본 실시예의 차량용 회전좌석(211)은 차량의 주행시에 도 21에 나타낸 상태로 된다.이 상태에서는,좌석본체(212)가 회전 방향에 대해서 차량의 정면방향으로 위치하고,차량의 전후방향에 대해서는 슬라이드 후단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폭방향지지대(213)는 그 길이방향(직선 슬라이드기구 220에 따른 방향)을 차량의 전후방향을 따르는 방향에 위치하고 있다.이에 대하여,해당 차량용 회전좌석(211)의 탑승자가 승강할 때에는,좌석본체(212)를 승강구(D)측으로 회전 조작한다.이때,좌석본체(212)는 승강구(D)측으로 각도α만큼 회전시킨 단계로부터 이 회전조작과 연동하여 차량 전방으로의 슬라이드 동작이 이루어진다. 이렇게 좌석본체(212)를 승강구(D)측으로 회전 조작하면서 차량전방으로 슬라이드시켜,대략 90도 회전시키고 차량 전후방향의 전단 위치에 도달한 단계에서,회전조작을 정지시킨다.이 단계의 상태가 도 22에 실선으로 나타나 있다.
도 22에 실선으로 나타낸 상태에서는,좌석본체(212)가 회전방향에 대해서는 승강구(D)측을 향하며,차량 전후방향에 대해서는 슬라이드 전단측에 위치하고,또 폭방향지지대(213)는 그 길이방향을 차량의 폭방향을 따르게 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단계에서,좌석본체(212)는 차량의 폭방향 후단측(실내측,도 22에서 우측)에 위치하고 있다.그리고,폭방향지지대(213)의 구동모터(230)를 기동시키면,나사축(231)이 회전하여 슬라이드 틀체(221)가 이동하고,이것에 의해 좌석본체(212)를 실외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도 22에서 2점 쇄선으로 나타낸 상태).좌석본체(2l2)를 실내측으로 되돌리기 위해서는 모터(230)을 역회전시키면 된다. 좌석본체(212)를 폭방향 실내측으로 되돌린 후,해당 좌석본체(212)를 차량의 정면측으로 회전시킨다.이 회전조작과 연동하여 해당 좌석본체(212)는 차량의 후방측으로 슬라이드된다.좌석본체(212)의 회전조작에 의하여 폭방향지지대(213)도 일체로 회전하여,최종적으로는 그 길이 방향을 차량의 전후방향을 따르게 한 위치로 되돌아온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차량용 회전좌석(211)에 의하면,폭방향지지대(213)는 회전지지대(214)에 의하여 그 길이방향을 차량의 전후방향을 따르게 한 위치와 차량의 폭방향을 따르게 한 위치 사이에서 회전하고,차량의 주행시(착좌시)에는 그 길이 방향을 차량의 전후방향을 따르게 한 위치에 위치한다.이것으로부터,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 주행시에는 폭방향지지대(213)가 운전석(210)까지 뻗어나오지 않고,이것에 의해 운전석(210)과 조수석(211) 간의 공간(S)을 충분히 확보해서,예를 들면, 통과성 등의 기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폭방향지지대(213)의 후방에는 모터(230)등이 배치되어 있으나,차량의 주행중에는 해당 폭방향지지대(2l3)가 그의 길이방향을 차량전후방향을 따르게 한 위치에 위치하므로,상기 모터(230)등은 운전석(210)측이 아니라 리어 시트측에 위치하여,이 점에 있어서도 운전석(210)과의 사이에 공간(S)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운전석(210)간의 공간(S)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므로,예를 들면, 파킹 브레이크 레버나 콘솔박스 등을 배치하기 쉬워진다. 또,예를 들면, 폭방향지지대(213)의 직선 슬라이드기구(220), (220)의 경우에 한쪽 고정측레일(220a)은,슬라이드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위치조정이 가능하고,이 위치조정을 적절하게 행함으로써 양 직선 슬라이드기구(220), (220)에 적당한 예압을 줄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 좌석본체(212)의 흔들림이 없는 슬라이드 동작을 얻을 수 있다.
이 점에 있어서,종래의 차량용 회전좌석(291)은 도 83 및 도 8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석본체(295)를 차량의 정면방향 위치와 차량의 측면 도어개구부(d)측을 향한 위치 사이에서 회전 지지하는 회전지지대(292)와,이 회전지지대(292)를 차량의 전후방향(도 84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전후방향지지대(293)와,이 전후 방향지지대(293)를 차량의 폭방향(도 83 및 도 84에서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지지하는 폭방향지지대(294)를 구비하고,이 폭방향지지대(294)는 도시한 바와 같이 그의 길이방향을 차량의 폭방향을 따르게 한 방향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동일 방향으로 큰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있었다.
이 때문에,해당 차량용 회전좌석(291)을 조수석에 설정한 경우에 운전석(296)간의 공간(S)을 이 폭방향지지대(194)가 차지하게 되므로,그 결과 가령, 리어 시트(R), (R)로의 통과성(운전석(296)과 조수석(291)간의 공간(S)을 통로로서 이용하여,운전석(296),또는 조수석(291)으로부터 리어 시트(R, R)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확보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폭방향지지대(294)의 구동원으로는 모터와 볼나사를 주체로 하는 직선 구동기구가 사용되고,특히 이 직선 구동기구의 상기 모터가 해당 폭방향지지대(294)의 슬라이드 후단부(도시한 우측단부)로부터 운전석쪽으로 밀려나온 상태로 장착되어 있으므로,이 점에서도 리어 시트(R), (R)로의 통과성을 확보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또,운전석(296)과 조수석(291) 사이의 공간(S)을 이용하여 파킹 브레이크 레버 또는 콘솔박스와 같은 수납박스 등을 배치하는 경우에도 제약을 받는 문제가 있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제 3실시예)에 의하면, 이들 상기 종래의 문제가 해소된다.
이상 설명한 제 3실시예에서는 다양한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예를 들면,,폭방향조정은 슬라이드 방향의 전단부 근방,중앙부 근방 및 후단부 근방의 3곳에서 행하는 구성을 예시했지만,2곳,1곳 또는 4곳 이상에서 위치를 조정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 한쪽의 고정측레일(220a)에 대하여 위치를 조정하는 구성을 예시했지만,양측의 고정측레일(220a), (220a)의 위치를 조정하는 구성이라도 좋으며,또한 이동측레일(220b)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해당 직선 슬라이드기구(220), (220)에 적당한 예압을 주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다음에,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의 실시예(제 4실시예)를 도 33∼도 40에 의거하여 설명한다.도 33 및 도 34는 본 실시예에 관계되는 차량용 회전좌석(301)의 전체를 나타내고 있고,도 33은 좌석본체(310)을 리프트업장치(350)로부터 분리한 상태로,이것에 의해 좌석본체(310)을 휠체어로서 단독으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내고,도 34는 좌석본체(310)을 폭방향지지대(360)에 연결해서 차량 실내측으로 반입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에 관계되는 차량용 회전좌석(301)은 상기한 바와 같이 휠체어로서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는 좌석본체(3l0)와,이것을 연결해서 차량 실내에 설치하기 위한 리프트업장치(350)로 대별할 수 있다.
먼저,좌석본체(310)은 시트쿠션(311)과 시트백(312)를 지니며,시트백(312)의 양측부에는 암 레스트(313), (313)가,상부에는 헤드레스트(31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시트백(312)의 배면에는 간호인이 조작하기 위한 핸들(315)이 설치되어 있고,이 핸들(3l5)에는 브레이크레버(316)가 설치되어 있다.
시트쿠션(311)의 하부면에는 연결베이스(320)가 장착되고,이 연결베이스(320)의 양측부에는 절첩식 차륜 프레임(32l), (321)이 장착되어 있다.도 36에는 연결베이스(320)를 단독으로 나타내고 있다.이 연결베이스(320)의 하면은,해당 좌석본체(310)를 휠체어로서 접지한 상태에서,후술하는 폭방향지지대(360)의 경사베이스(361)에 대해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연결베이스(320)의 하부면에는 좌우한 쌍의 연결핀(322), (322)과 전단부 중앙의 후크(323)가 설치되어 있다.양 연결핀(322), (322)의 선단부에는 소정 직경의 플랜지부(322a)가 형성되어 있다.이 플랜지부(322a)의 기능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다음에,도 3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연결 베이스(320)의 양측부에 설치한 좌우 한쌍의 차륜 프레임(321), (321)은,각각 상하로 회전하는 메인암(324)를 구비하고 있다.양 메인암(324)는,연결베이스(320)의 측면부 후단부근에 지지축(324a)를 개재하여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양 메인암(324), (324)의 전단부에는 コ형의 연결암(325)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이 연결암(325)에는 풋 레스트(325a)가 장착되어 있다.
메인암(324)의 후단근처에는 지지축(326a)를 개재하여 후륜암(326)이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이 후륜암(326)의 하단부에는 후륜(327)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후륜암(326)의 중간정도의 위치에는,장공 형상의 연결홈(326b)이 형성되어 있고,이 연결홈(326b)에는 지지축(328a)를 개재하여 보조암(328)의 하단부가 해당 연결홈(326b)을 따라 이동할 수 있고 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보조암(328)의 상단부는 지지축(328b)을 개재하여 메인암(324)의 지지축(326a)과 지지축(324a)사이의 위치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다음에,메인암(324)의 전단부에는 브라켓(329)를 개재하여 전륜(330)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브라켓(329)은 원통체부(329a)를 갖고 있으며,이 원통체부(329a)를 메인암(324)에 동축 및 축둘레에 회전가능하게 지지함으로써,해당 브라켓(329)이 메인암(324)의 축둘레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이 때문에,브라켓(329)을 메인암(324)의 축둘레 하측으로 회전시키면 전륜(330)을 사용 위치로 빼낼 수가 있고,메인암(324)의 축둘레 상측으로 회전시키면 전륜(330)을 메인암(324)의 내측에 수납시킬 수가 있다.도 34는 양 전륜(330), (330)이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메인암(324)의 전단부에는 지지축(331a)을 개재하여 록암(331)의 하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이 록암(331)의 상단부에는 갈고리 형상을 한 후크부(33lb)가 설치되어 있다.이 후크부(331b)는 연결베이스(320)의 측면부에 측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설치된 록핀(332)에 결합 및 분리할 수 있게 걸려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양 차륜 프레임(321), (321)은 상기 연결암(325)에 의하여 연결되어 일체로 접었다 폈다할 수 있다.즉,도 35에 있어서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암(324), (324)를 아래쪽으로 회전시켜서 빼내고,그 후 록암(331)을 상승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서,그 후크부(331b)를 록핀(332)에 걸어맞춘다.이것에 의해,메인암(324), (324)이 취출위치에서 록킹된다.
다음에,브라켓(329), (329)을 하측으로 회전시켜서 양 전륜(330), (330)을 빼냄과 동시에,후륜 암(326), (326)을 아래쪽으로 회전시켜서 양 후륜(327), (327)을 빼낸다.후륜암(326), (326)의 회전에 따라서,양 보조암(328), (328)은 각각 지지축(328b)를 중심으로 하여,또 연결홈(326b)을 따라서 지지축(328a)을 상대 이동시키면서 아래쪽으로 회전한다. 후륜암(326), (326)은 그 지지축(326a)을 지나는 연직선을 넘어서 앞쪽에서 뒤쪽(도 35에서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회전하고,후방 위치에서 보조암(328) 및 메인암(324)사이에 구성되는 트래스 구조에 의하여 하중을 받는다.이와 같이 하여 양 차륜 프레임(321), (321)을 빼냄으로써, 좌석본체(310)는 휠체어로서 단독으로 이용할 수 있다.
양 차륜 프레임(321), (321)은,해당 좌석본체(310)를 차실내로 반입하는 단계에서 수납된다.즉,휠체어로서 이용한 좌석본체(310)를 차량 실내로 반입하는 단계에서는,해당 좌석본체(3l0)를 리프트업장치(350)의 폭방향지지대(360)에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양 차륜 프레임(321), (321)을 시트쿠션(311)의 측면부를 따라 수납한다.양 차륜 프레임(321), (321)을 수납할 때에는,먼저 록암(331)의 후크부(331b)를 록핀(332)으로부터 분리한다. 이것에 의해 메인암(324), (324)이 위쪽으로 회전가능한 상태로 된다.양 메인암(324), (324)을 위쪽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양 브라켓(329), (329)을 상측으로 회전시키고 양 전륜(330), (330)을 메인 프레임(324), (324)사이에 수납한다.이 전륜(330), (330)의 수납상태가 도 34에 잘 나타나 있다.
또,후륜암(326), (326)을 위쪽으로 회전시켜서 시트쿠션(311)의 양측부를 거의 따르는 위치에 수납한다.시트쿠션(311)의 양측부에는,각각 후륜암(326) 및 후륜(327)을 수용하기 위한 차륜커버(333)가 장착되어 있다.
이렇게 수납한 메인암(324), (324), 양 전륜(330), (330) 및 양 후륜(327), (327)은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한 위치유지수단(도시 생략)에 의하여 수납위치에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양 차륜 프레임(321), (321)을 수납함으로써,해당 좌석본체(310)를 차실내의 소정위치에 반입한 상태에서는 다른 시트(차실내에 고정된 시트,예를 들면, 운전석 등)와 거의 동일한 높이에 설치할 수 있고,이것에 의해 착좌한 휠체어 이용자의 소외감을 줄이거나 없애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차량의 실내에 설치한 리프트업장치(350)에 관하여 설명한다.이 리프트업장치(350)는 상기 좌석본체(310)를 연결해 이것을 차량의 폭방향으로 슬라이드 지지하는 폭방향지지대(360)와,이 폭방향지지대(36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여 좌석본체(310)를 승강구로 향한 위치와 차량정면을 향한 위치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지지대(380)와,이 회전지지대(380) 더 나아가서는 좌석본체(310)를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지지하는 전후방향지지대(390)를 구비하고 있다.
폭방향지지대(360)는 도 37 및 도 3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한쌍의 직선 슬라이드기구(362), (362)를 구비하고 있다.양 직선 슬라이드기구(362), (362)는 각각, 고정측레일(362a)과 이동측레일(362b) 및 양 레일(362a), (362b)의 V홈(362d), (362d)사이에 끼워 넣은 다수의 강구(362c)∼(362c)를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양 이동측레일(362b), (362b)사이에 걸쳐서 상기 경사베이스(361) 및 연결틀(369)이 장착되어 있다.경사베이스(361)는 이동레일(362b), (362b)사이의 앞쪽에 장착되고,연결틀(369)은 양 이동레일(362b), (362b)의 후단부 간에 장착되어 있다.
경사베이스(36l)는 좌석본체(310)의 연결베이스(320)에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이 경사베이스(361)에 연결베이스(320)를 중합시키는 형상으로 연결함으로써, 좌석본체(310)가 리프트업장치(350)에 연결된다.
경사베이스(361)의 전단 중앙에는,연결시에 좌석본체(310)측의 후크(323)가 삽입되는 凹부(36l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경사베이스(36l)의 뒷부분 근처에는 좌우 한쌍의 연결창(361b), (361b)이 관통되어 형성되어 있다.
양 연결창(361b), (361b)은 차량의 바깥쪽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장홈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차량의 바깥쪽 넓은 부분은 상기 연결핀(322)의 플랜지부(322a)가 삽입될 수 있는 폭으로 형성되고,차량 실내측보다 가는 부분은 이 플랜지부(322a)보다도 작은 폭으로,해당 연결핀(322)의 축부가 삽입될 수 있는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연결창(361b), (361b)은 차량의 바깥쪽으로 갈수록 차량의 도어패널(Dr)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만곡되어 있다.
이 경사베이스(361)의 이면에는 도 38,도 3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凹부(361a)에 대응해서 토글 클램프(355)가 장착되어 있다.또,동일하게 경사베이스(361)의 이면으로서,양 연결창(361b), (361b)의 측면부에는 각각, 갈고리 형상을 한 스토퍼(356)가 지지축(356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그 머리부 사이에는 인장 스프링(357)이 끼워져 있다.이 때문에,해당 양 스토퍼(356), (356)는 그 선단측을 각각 연결창(361b), (361b)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다음에,양 고정측레일(362a), (362a)의 후단부 간에는 대략 상자모양의 연결틀(363)이 장착되어 있고,이 연결틀(363)에는 해당 폭방향지지대(360)의 구동원으로 사용되는 모터(364)가 장착되어 있다.이 모터(364)에는 감속기어열(364a)을 개재하여 나사축(365)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양 고정측레일(362a), (362a)의 전단부 사이에도 연결틀(366)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으며,이 연결틀(366)에 설치된 브라켓(366a)을 개재하여 상기 나사축(365)의 타단측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나사축(365)과 치합되는 너트(367)는 브라켓(368)을 개재하여 연결틀(369)에 고정되어 있다.이 때문에,모터(364)가 기동되면,나사축(365)이 회전하고 너트(367)가 그 나사축(365)위를 이동하게 되어,양 이동측레일(362b), (362b)이 고정측레일(362a), (362a)에 대하여 슬라이드 하고, 더 나아가서 경사베이스(361)가 차량의 폭방향(직선 슬라이드 기구(362)의 슬라이드 방향)으로 이동한다.
양 고정측레일(362a), (362a)의 슬라이드 방향의 중앙부근에는 각각 L형상 브라켓(370)이 장착되어 있고,이 양 브라켓(370), (370)은 회전베이스(371)위에 고정되어 있다.이 회전베이스(37l)를 개재하여 해당 폭방향지지대(360)가 후술하는 회전지지대(380)의 내륜(381)에 장착되어 있다.
회전지지대(380)도 상기 직선 슬라이드기구(362)와 동일한 슬라이드기구를 갖고 있다.즉,그 내륜(381)의 외주면과 외륜(382)의 내주면에는 각각 V홈이 형성되고,양 V홈간에는 다수의 강구가 끼워넣어져 해당 회전지지대(380)가 구성되어 있고,이것에 의해 폭방향지지대(360) 더 나아가서는 좌석본체(310)를 원활하게 및 흔들림 없이 회전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회전지지대(380)는 도 4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방향지지대(390)의 주베이스(391)에 장착되어 있다.이 주베이스(391)는 좌우 한쌍의 직선 슬라이드 기구(392), (392)를 개재하여 차량의 플로어(F)위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장착되어 있다. 양 직선 슬라이드기구(392), (392)로는 상기 직선 슬라이드기구(362)와 동일한 구성의 것이 사용되고 있다.즉,양 슬라이드기구(392), (392)는 고정측레일(392a)과 이동측레일(392b)을 갖고,양 레일(392a), (392b)에 형성한 V홈(392c), (392c)사이에 다수의 강구(도시 생략)를 끼워넣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음에,좌석본체(310)의 회전동작과 차량 전후방향의 슬라이드 동작은,연동기구(395)에 의하여 연동해서 이루어지게 되어 있다. 이 연동기구(395)는 상기 회전베이스(371)의 하부면에 설치한 원호형상의 피니언 기어(396)와,상기 주베이스(391)에 설치한 중간기어(397)와,차량의 플로어(F)위에 설치한 랙(398)을 갖고 있다.피니언 기어(396)는 중간기어(397)와 치합되고,중간기어(397)는 랙(398)과 치합되어 있다.
좌석본체(310)는 피니언 기어(396)와 중간기어(397)의 치합 및 중간기어(397)와 랙(398)의 치합을 통해 회전하면서 차량의 전방으로 슬라이드한다.역으로,좌석본체(310)를 승강구측으로부터 차량의 정면방향으로 회전시키면,좌석본체(310)는 이 회전동작과 연동하여 차량의 후방측으로 슬라이드하며, 이것에 의해 탑승자의 발밑을 폭넓게 확보할 수 있다.이와 같이 구성한 연동기구(395)에 의하면,한번의 조작으로 좌석본체(310)의 회전동작과 차량 전후방향으로의 슬라이드 동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해당 차량용 회전좌석(301)의 사용상 편리성이 향상되고,탑승자 및 간호인의 부담을 크게 줄일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차량용 회전좌석(301)에 의하면,좌석본체(310)는 차실내의 시트로 사용되는 점 이외에,차량으로부터 분리하여 그대로 휠체어로서 단독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먼저,좌석본체(310)를 단독으로 휠체어로서 이용한 후,이것을 차실내로 반입하기 위해서는, 폭방향지지대(360)를 승강구측을 향한 상태(그 슬라이드 방향을 차량의 폭방향을 따르게 한 상태)로, 경사베이스(361)를 가장 실외측(전단)으로 이동시킨 상태로 한다.다음에,휠체어 이용자가 앉아 있는 상태로 좌석본체(310)를 후퇴시켜서 그 연결베이스(320)를 폭방향지지대(360)의 경사베이스(361)에 중합시키도록 접근시키고,연결베이스(320)측의 양 연결핀(322), (322)을 경사베이스(361)측의 양 연결창(361b), (361b)으로 진입시킨다.
여기에서,양 연결창(361b), (361b)은 상기한 바와 같이 그 실외측단부가 차량후방으로 연장된 만곡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좌석본체(310)는 도어(Dr)와 간섭되지 않으면서 도어(Dr)의 뒤쪽에서 돌아들어가도록 접근시켜서,양 연결핀(322), (322)을 연결창(361b), (361b)에 진입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렇게 해서 좌석본체(310)를 돌아들어가도록 접근시켜서,양 연결핀(322), (322)을 연결창(361b), (361b)에 진입시키는 단계에 있어서,연결 핀(322), (322)은 먼저, 연결창(361b)의 폭이 넓은 부분에 진입시킨다.연결창(361b)의 폭이 넓은 부분은,도 38에서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핀(322)의 플랜지부(322a)를 삽입 가능하기 때문에,해당 연결핀(322)의 진입 및 이탈이 허용된다.이 폭이 넓은 부분에 진입시킨 후,좌석본체(310)를 다시 후퇴시켜 연결핀(322)을 폭이 좁은 부분으로 이동시키다. 이 폭이 좁은 부분은 연결핀(322)의 플랜지부(322a)의 지름보다도 작은폭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 플랜지부(322a)가 해당 연결창(36lb)의 양측부와 간섭하고,따라서 연결핀(322)의 연결창(361b)으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되며,이것에 의해 경사베이스(361)에 대한 연결베이스(320)의 중첩상태가 고정되고,더 나아가서는 좌석본체(310)의 리프트업장치(350)에 대한 연결상태가 록킹된다.
연결핀(322), (322)을 연결창(361b), (361b)의 폭이 넓은 부분으로부터 좁은 부분으로 이동시키는 도중에 있어서,해당 연결창(36lb), (361b)에는 스토퍼(356)의 선단측이 가로지르고 있으므로,연결핀(322)은 이 스토퍼(356)의 선단측을 누르고 해당 스토퍼(356)를 그 지지축(356a)을 중심으로 하여 또 인장 스프링(357)에 대항해서 잠금해제방향(도38에서 좌측의 스토퍼(356)에 있어서 반시계 회전방향,우측의 스토퍼(356)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연결창(361b)의 폭이 좁은 부분으로 이동한다.
연결핀(322), (322)이 각각 스토퍼(356)를 잠금해제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폭이 좁은 부분으로 들어가면,양 스토퍼(356), (356)는 인장 스프링(357)에 의하여 잠금방향(도 38에서 좌측의 스토퍼(356)에 있어서 시계회전방향,우측의 스토퍼(356)에 있어서 반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고,따라서 그 선단부가 연결창(36lb)을 가로지르는 잠금 위치로 되돌아온다. 이렇게 연결핀(322), (322)을 각각 연결창(361b)의 폭이 좁은 부분으로 진입시키면(도 38에서 2점 쇄선으로 나타낸 상태),상기한 바와 같이, 그 플랜지부(322a)는 연결창(361b)의 양측부에 걸어맞춤되므로, 해당 연결핀(322)의 이탈이 금지됨과 동시에,스토퍼(356)에 의하여 폭이 넓은 부분으로의 이동도 금지되며,이것에 의해 양 연결핀(322), (322)의 연결창(361b), 361b)에 대한 걸어맞춤상태가 확실하게 유지된다.
또,상기와 같이 양 연결핀(322), (322)을 연결창(361b), (36lb)에 진입시킴과 동시에,후크(323)를 경사베이스(361)의 凹부(36la)에 진입시킨다. 이 후크(323)가 凹부(361a)내로 들어가고,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양 연결핀(322), (322)이 연결창(361b), (361b)의 폭이 좁은 부분으로 진입한 상태로 되면,연결베이스(320)는 경사베이스(361)에 대해 거의 서로 중첩된 상태로 되며,그 후,토글 클램프(355)가 걸림부(355a)를 후크(323)에 걸어맞춰서 록킹시킴으로써,연결베이스(320)의 경사베이스(361)에 대한 중합상태가 고정되고,더 나아가서는 좌석본체(310)의 리프트업장치(350)로의 연결이 완료된다.
이렇게 좌석본체(310)를 리프트업장치(350)에 연결한 후,양측의 차륜 프레임(321), (321)을 상기 순서로 접어서 갠다.다음에 접은 양 차륜 프레임(321), (321)을 시트쿠션(311)의 하면 및 측면부에 수납한다.
이상과 같이하여 좌석본체(310)를 리프트업장치(350)에 연결하고,또 양 차륜 프레임(321), (321)을 수납한 후,리프트업장치(350)를 동작시켜서,연결한 좌석본체(310)를 차량 실내로 반입한다.즉,먼저 폭방향지지대(360)의 모터(364)를 기동시켜서,연결한 좌석본체(310)를 실내측으로 이동시킨다.좌석본체(310)가 폭방향 실내측의 단부에 이른 시점에서 모터(364)를 정지시킨다.
다음에,수동 조작에 의하여 좌석본체(310)를 도어측을 향한 위치로부터 차량 정면방향의 위치로 회전시킨다.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리프트업 장치(350)는 연동수단(395)을 구비하고 있으므로,좌석본체(310)는 이 회전조작에 의한 회전동작과 연동하여 차량후방으로 이동한다.좌석본체(310)를 차량 정면방향에 이를 때까지 회전 조작하면,해당 좌석본체(310)는 전후방향지지대(390)에 의한 슬라이드 범위의 후단위치에 도달하고,이것에 의해 탑승자의 발밑이 폭넓게 확보된다.그 동안에,휠체어 이용자는 좌석본체(310)에 앉아 있는 상태라도 된다.
한편,상기 차실내 설치상태로부터 좌석본체(310)를 실외로 이동시켜서,휠체어로 이용하기 위해서는,먼저 동일하게 휠체어 이용자가 좌석본체(310)에 앉아 있는 상태 그대로,예를 들면, 간호인의 수동조작에 의하여 그 좌석본체(310)를 차량의 정면방향 위치로부터 승강구측으로 거의 90도 회전 조작한다.이 회전조작과 연동하여 좌석본체(310)는 차량 전방으로 이동한다.다음에,좌석본체(310)를 회전시켜서 승강구측을 향한 상태에서,폭방향 지지대(360)의 모터(364)를 기동시켜서 좌석본체(310)를 차량의 폭방향 외측으로 이동시킨다.좌석본체(310)를 차량의 폭방향 외측단 위치로 이동시킨 후,모터(364)를 정지시킨다.
이렇게 좌석본체(310)를 차량의 폭방향 외측단 위치로 이동시킨 후,양측의 차륜 프레임(321), (321)을 상기 순서로 빼낸다.
다음에,토글 클램프(355)를 잠금해제 조작해서 그 걸림부(355a)를 후크(323)로부터 벗겨낸다.이와 동시에,양 스토퍼(356), (356)를 인장 스프링(357)에 대항해서,그 선단이 연결창(361b)으로부터 후퇴하는 방향으로 각각 회전시키고,이 상태에서 좌석본체(310)를 예를 들면, 간호인의 수동조작에 의하여 전진시킨다.좌석본체(310)를 전진시키면,연결핀(322), (322)은 스토퍼(356)의 선단부를 연결창(361b), (361b)의 폭이 가는 부분으로부터 폭이 넓은 부분을 향하여 이동한다.양 연결핀(322), (322)이 연결창(36lb), (361b)의 폭이 큰부분에 이르면,이 폭이 큰부분이 연결핀(322)의 플랜지부(322a)를 삽입가능한 폭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해당 양 연결핀(322), (322)은 연결창(361b), (36lb)으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이 단계에서 후크(323)는 凹부(361a)로부터 빠져나온다.
연결핀(322), (322)이 연결창(361b), (361b)으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이 가능한 상태로 된 후,해당 좌석본체(310)를 전진시킴으로써, 연결베이스(320)는 경사베이스(361)로부터 이격된다.이상에 의하여 해당 좌석본체(310)를 리프트업장치(350)로부터 이탈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하여 리프트업장치(350)로부터 이탈한 상태의 좌석본체(310)는,휠체어로서 단독으로 이용할 수가 있다.이상과 같이 구성한 차량용 회전좌석(301)에 의하면,좌석본체(310)는 단독으로 휠체어로서 이용 가능하고,또한 그대로 폭방향지지대(360)에 연결해서 실내로 이동시키면,차량용 시트로 이용할 수 있다.이것으로부터,휠체어 이용자는,종래와 같이 차량 전용시트과 휠체어를 갈아타는 동작을 전혀 하지 않고도 차량 실내에 앉아 있을 수 있고,또 역으로 휠체어에 앉아 있을 수 있으며,이것에 의해 휠체어 이용자 및 그 간호인의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또,좌석본체(310)는 단독으로 휠체어로서 이용 가능하고,휠체어로서의 기능(주로 착좌기구 및 차륜 프레임(321, 321)에 의한 주행기능)을 구비한 상태 그대로 차량 실내로 반입되므로,종래와 같이 휠체어 프레임부분을 분리한 경우에 있어서의 그 취급을 고려할 필요도 없다.
또한,휠체어로서 사용한 후,폭방향지지대(360)에 연결하는 것은,좌석본체(310)의 연결베이스(320)를 폭방향지지대(360)의 경사베이스(361)에 중첩상태로 연결함으로써 달성된다.경사베이스(361)는 실외측으로 하향 경사되어 있고,연결베이스(321)는 이 경사베이스(361)와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이것으로부터,휠체어로서의 좌석본체(310)를 폭방향지지대(360)에 연결시키기 위해 접근시키는 단계에서,좌석본체(310)와 폭방향지지대(360) 사이의 높이방향의 편차가 있어도 서로 평행한 연결베이스(321)와 경사베이스(36l)의 슬라이드 접촉작용에 의해서 이 편차가 수정되며,이것에 의해 좌석본체(310)의 폭방향지지대(360)로의 연결작업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좌석본체(310)의 양측부에 설치한 좌우 차륜 프레임(32l), (321)은,접어개어서 시트쿠션(311)의 하면 또는 측면부을 따라 수납시킬 수 있고,이것에 의해 좌석본체의 높이를 보다 낮춘 상태에서 차실내로 반입할 수 있다.이것에 의하면,해당 차량용 회전좌석(301)의 높이를,예를 들면, 운전석등 차실내 고정된 다른 시트과 용이하게 맞출 수 있고,이것에 의해 해당 차량용 회전좌석(30l)에 앉아 있는 휠체어 이용자의 차량실 내에 있어서의 소외감을 줄이거나 없앨 수 있다.
또한,본 실시예의 차량용 회전좌석(301)에 의하면,연결凹부로서의 연결창(361b), (361b)이 차량의 폭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도어(Dr)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좌석본체(310)를 리프트업장치(350)에 접근시키는 단계에 있어서,도어(Dr)에 해당 좌석본체(310)가 간섭되지 않으며, 돌아가도록 하여 접근시키는 것이 가능하고,이것에 의해 한정된 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좌석본체(310)의 리프트업장치(350)에 대한 연결 및 이탈조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여러가지 변경을 가할 수 있다.예를 들면,,연결凹부에 대한 연결돌기부의 걸어맞춤에 의하여,경사베이스와 연결베이스를 중첩상태로 고정시키고,이것에 의해 좌석본체(310)를 리프트업장치(350)에 연결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지만,경사베이스에 대한 연결베이스의 고정수단은 여러가지 형태의 것으로 변경할 수 있다.예를 들면, 연결베이스의 3곳에 후크를 설치하고,이 3곳의 후크에 대응해서 경사베이스에 3개의 토글 클램프를 배치하며,각 후크에 대한 토글 클램프의 걸어맞춤에 의하여 연결베이스를 경사베이스에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연결凹부에 대한 연결돌기부의 걸어맞춤에 의하여 고정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에 있어서도,연결凹부로서 관통하는 연결창(361b)을 예시했지만,반드시 관통해서 설치할 필요는 없고,좌석본체 측의 연결돌기부를 걸어맞출 수 있는 凹부라면 충분하다. 또한, 연결凹부를 관통해서 설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토퍼(356)를 경사베이스의 표면측에 배치하면 된다.
또한,연결돌기부로서 연결핀을 연결베이스(320)측에 설치하고,연결凹부를 경사베이스(361)측에 설치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역으로 설치해도 된다.즉,연결 돌기부를 경사베이스 측에 설치하고,연결凹부를 연결베이스 측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다음에,청구항 6에 기재한 발명의 실시예(제 5실시예)를 도 41∼도 50에 의거하여 설명한다.도 41은 본 실시예에 관한 차량용 회전좌석(401)을 나타내고 있다.이 차량용 회전좌석(401)은 휠체어(410)와 리프트업기구(450)를 구비하고 있다.
휠체어(410)는 시트쿠션(4l1a)과 시트백(411b)을 갖는 좌석본체(411)와,이 좌석본체(411)가 수납되는 측면에서 보아 대략 L형상의 시트 프레임(420)과,이 시트 프레임(420)의 좌우 양측부에 따라 설치한 동일하게 측면으로보아 대략 L형상의 커버체(430, (430)를 구비하고 있다.
시트 프레임(420)의 앞부분에는,지지암(421a), (421a)을 개재하여 풋 레스트(421)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이 양 지지암(421a), (421a)의 선단에는 좌우 한쌍의 전륜(422), (422)이 장착되어 있다. 이 양 전륜(422), (422)은,각각 지지축(422a)를 개재하여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설치한 전륜스테이(422b)의 선단에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도 43에 있어서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양 전륜(422), (422)은,각각 전륜스테이(422b)를 위쪽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커버체(430)의 앞부분에 설치한 차륜수납부(430a)에 수납(접어갬)하는 것이 가능한 한편,도 43에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전륜스테이(422b)를 아래쪽으로 회전시켜서 접지시킴으로써 주행바퀴로서 기능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시트 프레임(420)의 선단에는 좌우 한 쌍의 후륜(423), (423)이 장착되어 있다.도 4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양 후륜(423), (423)도 각각 지지축(423a)를 개재하여 프레임(420)의 하부면에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설치한 후륜스테이(423b)의 선단에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고,전륜(422), (422)도 마찬가지로 후륜스테이(423b)를 위쪽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커버체(430)의 차륜수납부(430a)안에 수납가능하고,또 후륜스테이(423b)를 아래쪽으로 회전시켜서 접지시키면 주행바퀴로서 기능한다.도 43에 있어서,후륜(423)을 차륜수납부(430a)에 수납한 상태가 2점쇄선으로 나타내고,아래쪽으로 빼내서 접지시킨 상태가 실선으로 나타나 있다
또한, 도시는 생략했지만,전륜스테이(422b) 및 후륜스테이(423b)에는 수납방향 및 빼내는 방향의 쌍방에 가압력을 발휘하는 상태에서 인장 스프링이 장착되어 있고,이것에 의해 양 전륜(422), (422) 및 양 후륜(423), (423)은 각각 차륜수 납부(430a)안에 수납한 상태로 유지되고,또한 빼내는 위치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도 4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후륜(423)의 지지축(423a)의 뒤쪽(도시한 우측)에는,주위에 탄성고무를 장착한 쿠션바(424)가 장착되어 있고,이 쿠션바(424)에 양 후륜(423), (423)의 후륜스테이(423b), (423b)를 맞닿게함으로써 노면으로부터 후륜(423), (423)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즉,이 쿠션바(424)는 충격흡수제로서 기능한다.
다음에,좌우의 양 커버체(430), (430)에는,각각 시트백(41lb)의 측면부를 따르는 돌출부(430b)가 설치되어 있고,이 돌출부(430b)의 내부에는,해당 휠체어(410)를 상기 링크기구(450)에 연결하는 때에 기능하는 연결凹부(440)가 배치되어 있다.이 양 연결凹부(440), (440)은 시트 프레임(420)의 측면에 일체로 형성한 것으로서,각각 상하로 긴 만곡형상을 가지는 동시에, 도 4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방을 향하여 개구하는 단면이 コ형상을 갖고 있다. 이 연결凹부(440), (440)의 상부에는,도 43 및 도 4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꺾임부(440a)가 형성되어서 아래쪽으로 개구하는 걸림凹부(440b)가 설치되어 있다.
시트 프레임(420)의 양측부로서,상기 연결凹부(440)의 아래쪽에는,해당 휠체어(410)에 대한 리프트업기구(450)의 연결상태를 잠금해두기 위한 록바(445)가 장착되어 있다.이 양 록바(445), (445)는,도 4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지지브라켓(446)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이 지지브라켓(446)에는 상하로 긴 가이드홈(446a)이 형성되어 있고,이 가이드홈(446a)에는,록바(445)에 설치한 가이드 핀(445a)이 삽입되어 있다.이 때문에,록바(445)의 가이드핀(445a)은 가이드홈(446a)내의 이동가능한 범위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지지브라켓(446)의 가이드홈(446a)의 상부에는,거의 직각 방향으로 절단해서 형성한 록유지부(446b)가 설치되어 있다.록바(445)를 위쪽으로 이동시킨 후,축 둘레로 약 90도 회전시키면, 가이드핀(445a)은 가이드홈(446a)으로부터 상기 록유지부(446b)에 삽입되고,이것에 의해 록바(445)를 상단 잠금위치로 유지해 두는 것이 가능하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록바(445)를 상단 잠금위치로 유지해 둠으로써,후술하는 리프트업기구(450)의 연결판(456)의 하단부(456d)를 이동하지 못하도록 고정할 수 있고,따라서 리프트업기구(450)의 연결상태를 록킹시킬 수 있다.이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데에는,록바(445)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가이드핀(445a)를 록유지부(446b)로부터 가이드홈(446a)내로 이동시킨 후,해당 록바(445)를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시키면 된다.
도 43 및 도 4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록바(445)의 상단부(445b)는,연결판(456)의 하단부(456d)의 형상에 맞춰서 원추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록바(445)의 하단부는 L형상으로 만곡되어 있고,이것에 의해 상기한 바와 같이 90도 회전시킬 때의 편의성이 도모되어 있다.리프트업기구(450)의 연결 및 분리조작에 관해서는 나중에 설명한다.
시트백(411b)의 좌우 측면부에는,한 쌍의 암 레스트(411c), (411c)를 상하로 회전시켜서 수납하거나 빼내는 것이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또 시트백(411b)의 상부에는 헤드레스트(411d)가 장착되어 있다.또한,도 41 및 도 4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 프레임(420)의 후면에는 간호인용 핸들(412)이 장착되어 있다.이 핸들(4l2)은 파이프재료를 コ형상으로 절곡한 것으로,시트백(411b)의 좌우측면부 간에 걸쳐서 장착되어 있다.이 핸들(412)의 측면부에는,후륜의 브레이크를 조작하기 위한 브레이크바(412a)가 장착되어 있다.도 43에는 이 핸들(412)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다음에,차실내에 설치한 리프트업기구(450)에 관하여 설명한다.이 리프트업기구(450)는,차실내의 플로어(F)에 설치한 슬라이드 레일(451), (451)을 개재하여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메인베이스(452)와,이 메인베이스(452)에 설치한 회전판(453)과,그 회전판(453)위에 설치한 스윙베이스(454)와,이 스윙 베이스(454)의 양측부에 설치한 좌우 한쌍의 사절링크기구(455), (455)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메인베이스(452)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특별한 구동수단을 구비하고 있지는 않으며,따라서 해당 이동동작은 수동 조작에 의하여 이루어진다.메인베이스(452)의 차량의 전후방향 위치는,도시를 생략한 슬라이드 록기구에 의하여 임의의 위치에서 록킹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메인베이스(452)의 슬라이드 동작을 예를 들면, 모터와 랙·피니언을 조합시킨 구동기구에 의하여 행하는 전동식으로 하여도 된다.
회전판(453)은 내륜(453a)와 외륜(453b)을 서로 회전이 자유롭게 조립한 것으로,외륜(453b)이 메인베이스(452)위에 고정되고,내륜(453a)이 스윙베이스(454)의 하부면에 고정되어 있다.이 회전판(453)에 의하여 스윙베이스(454)가 차량의 앞방향과 차량의 측면방향(승강구 D측,도 41 및 도 42 참조)사이에서 약 90도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이 스윙베이스(454)는 차량의 앞방향과 차량의 측면방향의 2군데 위치에서,도시를 생략한 회전 록기구에 의하여 위치를 유지하게 되어 있다.
여기에서,도 49에 나타낸 바와 같이(도 47에서는 생략되어 있다) 스윙베이스(454)에는 원호형상의 피니언 기어(454a)가 장착되는 한편,이 피니언 기어(454a)와 치합되는 랙(451a)이 승강구측(도49에서 하측)의 슬라이드 레일(451)에 따라 플로어(F)위에 장착되어 있고,이것에 의해 스윙베이스(454)의 회전동작과 메인베이스(452)의 슬라이드 동작이 연동해서 이루어지게 되어 있다.즉,실내에 이동시킨 휠체어(410)를 차량 앞방향으로부터 승강구(D)측으로 향하도록 회전하기 시작하면,도시한 바와 같이 피니언 기어(454a)가 일부 이가 빠져 있으므로,회전 시작초기에는 스윙 베이스(454)의 회전이 단독으로 이루어지지만,휠체어(410)를 일정각도로 회전시키면 피니언 기어(454a)가 랙(451a)과 치합되기 시작하므로,이후 스윙베이스(454)의 회전동작과 메인베이스(452)의 전방으로의 슬라이드 동작이 연동해서 이루어지며,따라서 휠체어(410)는 승강구(D)측으로 회전되면서 차량전방으로 이동한다. 이 연동 기구에 의하면,차량 전방으로의 슬라이드조작을 행하는 일이 없이 회전조작만으로 휠체어(410)를 실외측으로 회동인출하기 위한 적절한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간호인의 부담을 절감할 수 있다.역으로,휠체어(410)를 실외로부터 실내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차량정면으로 향하는 회전조작만으로 휠체어(410)를 차량후방으로 슬라이드 시키는 것이 가능하다.휠체어(410)를 차량의 후방으로 슬라이드시키는 것에 의하여,휠체어 이용자의 발밑을 폭넓게 확보할 수 있다.
다음에,양 사절링크기구(455), (455)는 각각 2개의 링크암(455a), (455b)을 구비하고,앞쪽의 양 링크암(455a), (455a)의 하단부는 지지축(455c), (455c)을 개재하여 스윙베이스(454)의 측면부에 대하여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한편,뒤쪽의 양 링크암(455b), (455b)의 하단부 간은 1개의 연결축(457)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또 이 연결축(457)을 개재하여 양 링크암(455b), (455b)이 스윙베이스(454)에 대하여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연결축(457)에,양 사절링크기구(455), (455)를 실외측으로 회동인출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원으로서의 전동실린더(490)가 연결되어 있다. 이 전동실린더(490)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양 사절링크기구(455), (455)의 선단에는 각각 연결판(456)이 장착되어 있다. 이 양 연결판(456), (456)에 대하여 전후의 링크 암(455a), (455b)은 지지축(456a), (456b)을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양 연결판(456), (456)은,도 43 및 도 4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상기 휠체어(410)의 연결凹부(440)에 거의 간극 없이 삽입가능한 대략 평판형상을 갖고,또한 그 상단부(456c)는 도 4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凹부(440)가 걸림凹부(440b)에 간극 없이 끼워넣는 것이 가능한 형상을 갖고 있다.연결판(456)의 상단부(456c)가 걸림凹부(440b)안에 끼워넣어지면,해당 상단부(456c)가 빠지는 방향(도 43에 있어서 오른쪽 방향)으로의 변위가 꺾임부(440a)에 의하여 저지된다.한편,연결판(456)의 하단부(456d)에는 상기 록바(445)의 상단부(445b)가 맞대어 있고,해당 하단부(456d)가 빠지는 방향(도 43에서 오른쪽 방향)으로의 변위가 저지되며,이것에 의해 연결판(456)의 연결凹부(440)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되고,따라서 휠체어(410)가 리프트업기구(450)에 연결된다.
다음에,상기 전동실린더(490)의 자세한 내용이 도 48에 나타나 있다.연결축(457)의 거의 중앙에는 L형상을 한 2개의 지지암(459), (459)이 고정되어 있고,양 지지 암(459), (459)을 개재하여 전동실린더(490)가 설치되어 있다.이 전동실린더(490)는 전동모터(491)와 기어 박스(492) 및 볼나사(494)를 주체로 하서 구성되는 것으로,전동모터(491)가 기동되면 기어박스(492)에 의하여 증폭된 토오크로 나사축(494a)이 회전하고,이것에 의해 이 나사축(494a)에 나사결합하는 블록체 형상의 너트(494b)가 나사축(494a)의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나사축(494a)은,기어박스(492)에 설치한 원통체 형상의 나사축케이스(493)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이 나사축케이스(493)가 상기 2개의 지지암(459), (459)의 선단 사이에 지지축(459a), (459a)을 개재하여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한편,너트(494b)의 양 측면에는 판형상의 브라켓(495), (495)이 장착되고,양 브라켓(495), (495)의 선단은,각각 지지축(496)을 개재하여 스윙베이스(454)의 바닥면 전방단 부근에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동실린더(490)에 의하면,스윙베이스(454)를 따라서 상기 휠체어(410)를 승강구(D)측으로 향하게 한 상태에서,전동모터(491)를 정회전방향으로 기동하면,나사축(494a)이 회전하여 너트(494b)가 상대적으로 나사축(494a)의 선단측으로 이동한다. 너트(494b)는 지지축(496), (496)을 개재하여 상하로 회전하는 지지암(495), (495)사이에 고정되어 있으므로,결과적으로 나사축(494a)이 회전하면서 그 축방향 뒤쪽(도 48에서 상방)으로 이동한다.나사축(494a)이 후방으로 이동하면 나사축케이스(493)가 일체로 되어 후방으로 이동하기 때문에,지지암(459), (459) 및 연결바(457)가 도 48 중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하고, 이것에 의해 뒤쪽의 링크암(455b), (455b) 더 나아가서는 양 사절링크기구(455), (455)가 도 47 중 화살표 C방향(실외 측)으로 경사이동하고,이것이 실외측으로의 회동인출 동작으로 된다.이 회동인출동작에 의하여 연결판(456), (456)이 승강구(D)를 개재하여 실외로 이동한다.
한편,전동모터(49l)를 역회전시키면,나사축(494a)이 축방향 앞쪽(도48에서 하방)으로 이동해서 연결축(457)이 도 48 중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하고, 이것에 의해 양 사절링크기구(455), (455)가 도 47 중 화살표 D방향(실내측)으로 회전해서 양 연결판(456), (456)이 실내측으로 되돌아온다.
이와 같이 구성한 리프트업기구(450)는 다음과 같이 하여 상기 휠체어(410)에 대하여 연결 또는 분리 된다.다음의 조작이 이루어지는 동안,휠체어 이용자는 좌석본체(411)에 앉아 있는 채로도 되고, 앉아 있는 채로 차실내의 소정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다음에,도 4l은 휠체어(410)를 리프트업기구(450)로부터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이 상태에서 리프트업기구(450)에 있어서,메인베이스(452)는 슬라이드 레일(451), (451)의 전단 위치로 이동하고 있고,또 스윙베이스(454)는 실외측으로 향하고 있다. 또한,양 사절링크기구(455), (455)는 회동인출측에 경사이동한 상태로 되어 있다.한편,휠체어(410)에 있어서는,전륜(422), (422) 및 후륜(423), (423)이 차륜수납부(430a)로부터 빠져 나와, 해당 휠체어(410)를 단독으로 사용가능한 즉, 통상의 휠체어로서 도로 위를 이동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이 휠체어 이용자는 좌석본체(411)에 앉은 채로 행해진다.
이와 같은 상태로부터 휠체어(410)를 리프트업기구(450)에 연결하기 위해서는,휠체어(410)을 후방으로 향하도록 하여 리프트업기구(450)에 접근시키고,리프트업기구(450)의 양 연결판(456), (456)을 휠체어(410)의 연결凹부(440), (440)안에 끼워 넣는다.그 다음,전동실린더(490)의 전동모터(491)을 역회전시켜서 양 사절링크기구(455), (455)를 약간 기립(起立)방향으로 이동시키고,이것에 의해 양 연결판(456), (456)의 상단부(456c)를 연결凹부(440), (440)의 걸림凹부(440b), (440b)에 끼워 넣는다.
다음에,록바(445), (445)를 상승시켜서 그 상단부(445b)를 연결판(456)의 하단부(456d)에 맞닿게 하고,그런 후 축둘레를 90도 회전시켜서 가이드 핀(445a)을 록유지부(446b)에 진입시키며,이것에 의해 해당 록바(445), (445)를 상단의 잠금위치로 유지한다.이상의 조작에 의하여 연결판(456)은, 그 상단부(456c)가 걸림凹부(440b)에 구속되고,하단부(456d)가 록바(445)에 의하여 구속된 상태로 되며,따라서 연결판(456)은 휠체어(410)의 뒷 부분에 고정된 상태가 된다.
이렇게 리프트업기구(450)를 휠체어(410)에 연결한 후,리프트업기구(450)의 전동실린더(490)을 기동시켜서 양 사절링크기구(455), (455)를 기립측(실내측)으로 이동시킨다.이것에 의해,휠체어(410)가 지면으로부터 떠오르기 때문에,이 단계에서 일단 리프트업기구(450)을 정지시켜서 양 전륜(422), (422) 및 양 후륜(423), (423)을 차륜수납부(430a), (430a)에 수납한다.이 상태가 도 42에 나타나 있다.
전륜(422), (422) 및 후륜(423), (423)을 수납한 후,한번 더 리프트업기구(450)를 실내측으로 작동시켜서 연결한 휠체어(410)를 실내로 이동시킨다.도 47에서 양 사절링크기구(455), (455)가 기립위치로 이동해서 휠체어(410)가 거의 스윙베이스(454)위에 위치하는 상태까지 이동한 단계에서 전동실린더(490)가 정지되어 리프트업기구(450)가 정지한다. 또한,이 단계에서 양 사절링크기구는 도시하지 않은 스윙 록기구에 의하여 기립위치에 록킹되며,따라서 휠체어(410)가 스윙베이스(454)의 위치에 위치되어 유지된다.
이렇게 해서 휠체어(410)를 실내로 이동시킨 후,해당 휠체어(410) 및 스윙베이스(454)를 일체로 수동조작에 의하여 약 90도 회전시켜서 차량의 전방향에 위치시킨다.상기한 바와 같이,피니언 기어(454a)와 랙(451a)의 치합작용에 의해 휠체어(410)는 차량 전방을 향하여 회전하면서 후방으로 슬라이드 한다.이 단계에서도 휠체어 이용자는 좌석본체(411)에 앉아 있는 채이고, 따라서 이상의 조작에 의하여 휠체어 이용자는 차실내의 소정위치에서 전방을 향한 위치에 앉아 있는 상태가 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실내의 소정위치에 앉아 있는 상태로부터 실외로 나가는 경우에는,상기와는 반대의 조작을 하면 된다.이 경우에도,휠체어 이용자는 좌석본체(411)에 앉은 채로 되고,종래와 같이 차량 전용시트로부터 휠체어로 갈아타는 동작을 할 필요가 없다.휠체어 이용자가 앉은 채로 휠체어(4l0)를 승강구(d)측으로 회전시키면서 전방으로 슬라이드시키고,그 후 리프트업기구(450)를 회동인출측으로 동작시켜서 휠체어(410)를 실외로 이동시킨다.
휠체어(410)가 완전히 실외로 이동한 단계에서, 일단 리프트업기구(450)를 정지시켜서 양 전륜(422), (422) 및 양 후륜(423), (423)을 빼낸다. 그 다음,리프트업기구(450)를 한번 더 회동인출측으로 기동해서 휠체어(410)를 접지시킨다.휠체어(410)를 접지시킨 후,다시한번,리프트업기구(450)를 정지시켜서 록바(445)를 아래쪽으로 이동시켜서 연결판(456)의 잠금을 해제한다.이 해제상태에서 리프트업기구(450)를 한번 더 회동인출방향으로 동작시키면,양 연결판(456), (456)이 아래쪽으로 변위되고,이것에 의해 그 상단부(456c), (456c)가 걸림凹부(440b), (440b)로부터 벗어나며,이 단계에서,휠체어(4l0)을 전진시킴으로써,해당 휠체어(410)가 리프트업기구(450)로부터 분리된다.
이렇게 리프트업기구(450)로부터 분리된 휠체어(410)는 단독으로 이동할 수 있고,통상의 휠체어와 아무 변화된 점이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차량용 회전좌석(401)에 의하면,통상의 휠체어로서 사용할 수 있는 휠체어(410)를 일체로서(시트 프레임(420) 및 전후륜(422, 422, 423, 423)등을 구비한 상태 그대로)실내로 이동해서 차실내용 시트로 이용하는 구성이므로,휠체어 이용자는 종래와 같이 갈아타는 동작을 전혀 하지 않으며,차실내의 소정위치에 앉아 있을 수 있고,또 차실내의 앉아 있는 위치로부터 실외로 나가는 것이 가능하다.이와 같이 휠체어 이용자는 휠체어(410)의 좌석본체(4ll)에 앉은 채로 행해지므로,차량으로의 승강이 대단히 편리하고,그 결과 간호인의 부담이 크게 줄어든다.
또한, 휠체어(410)마다 리프트업기구(450)에 의하여 이동시키는 구성이므로,휠체어의 좌석본체와 차륜측을 분리해서 좌석본체만을 차실내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한 경우의 좌석본체의 분리·탑재작업을 할 필요가 없고,이 점에서도 간호인등의 부담이 경감된다.또,분리한 차륜측을 별도의 차량에 싣는 수고를 할 필요도 없다.
또한,시트백의 양측부에 연결凹부(44O).(440)를 설치하고,이 양 연결凹부(440), (440)에 연결판(456), (456)을 연결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시트백의 리클라이닝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다음에,상기 록바(445)에 관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상기 예시한 록바(445)는 수동 조작에 의하여 단독으로 상하이동시켜서 연결판(456)을 잠금·잠금해제하는 구성이었지만,후륜(423), (423)의 수납·취출 조작과 연동하여 잠금·잠금해제 조작이 이루어지는 구성(연동 잠금형)으로 할 수도 있다. 이 실시예가 도 50에 나타나 있다.상기 예시한 형태와 동일한 점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다음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지지축(423a)를 개재하여 상하로 회전가능한 후륜 스테이(423b)의 측면부에는 캠플레이트(480)가 장착되어 있다. 이 캠플레이트(480)의 윗면에는 원호형상의 캠면(480a)이 형성되어 있다.이 캠면(480a)는,후륜스테이(423b)의 회전중심(지지축 423a)으로부터 서서히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설정되어 있고,후륜스테이(423b)를 아래쪽으로 회전시킬수록,아래쪽으로 변위되도록 설정되어 있다.이 캠면(480a)의 위쪽에 록바(481)가 장착되어 있다.
이 록바(481)는 브라켓(482)을 개재하여 시트 프레임(420)의 측면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록바(481)의 하단부에는 유지블록(483)을 개재하여 가이드롤러(484)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유지블록(483)과 상기 브라켓(482) 사이에는 압축 스프링(485)이 끼워져 있으므로, 해당 록바(48l)는 아래쪽으로 가압되어 있고,이 가압력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롤러(484)가 캠플레이트(480)의 캠면(480a)에 압착되어 있다.
한편,연결판(456)의 하부에는,상기 록바(48l)을 삽입가능한 잠금구멍(486a)을 구비한 록블록(486)이 장착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도 50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후륜스테이(423b)를 아래쪽으로 회전시켜서 후륜(423)을 빼낸 상태에서는,캠면(480a)이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므로,이 캠면(480a)에 가압된 가이드롤러(484) 더 나아가서는 록바(481)가 가장 하측(잠금해제위치)에 위치하고,이 때문에 해당 록바(481)의 상단부는 록블록(486)의 잠금구멍(486a)에 도달하지 않게 된다.
이 상태에서,휠체어(410)를 후퇴시켜서 연결판(456)을 연결凹부(440)에 삽입하고,그 후,리프트업기구(450)를 동작시켜서 연결판(456)을 위로 움직이면,이 상단부(456c)가 걸림부(440b)에 삽입되어 후방으로의 변위가 규제된 상태로 된다.이 점은 상기한 바와 같다.
연결판(456)의 상단부(456c)를 걸림凹부(440b)에 삽입한 후,다시 리프트업기구(450)를 실내측으로 작동시킴으로써,휠체어(410)의 전후륜(422), (422), (423), (423)을 리프트시키고,이 상태에서 전후륜(422), (422), (423), (423)을 커버체(430)의 차륜수납부(430a)에 수납한다.이 때,한쪽 후륜스테이(423b)를 위쪽으로 회전시키면,이 회전 과정에서 캠면(480a)이 상대적으로 위쪽으로 변위되므로 록바(481)는 압축 스프링(485)에 대항해서 위로 움직인다.도 50중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후륜(423)이 완전히 수납된 상태까지 후륜스테이(423b)를 회전시키면,캠면(480a)이 가장 높은위치로 상대 변위되며, 이것에 의해 록바(481)가 상단부에 이르고 그 상단부가 록블록(486)의 잠금구멍(486a)에 삽입된다.
록바(481)의 상단부가 록블록(486)의 잠금구멍(486a)에 삽입되면,연결판(456)의 하단부 후방으로의 변위(도시한 오른쪽 방향으로의 변위)가 규제되어,이것에 의해 연결판(456)이 연결凹부(440)안에 고정된다.다음에,상기한 바와 같이 리프트업기구(450)을 조작함으로써 휠체어(410)을 실내의 소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역으로,휠체어(410)를 차실외로 이동시켜서 후륜(423)을 빼내면,캠면(480a)이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로 변위되므로,록바(481)가 압축 스프링(485)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고,이것에 의해 록바(481)의 상단부가 록블록(486)의 잠금구멍(486a)으로부터 빠져 나와 연결판(456)의 하단부가 록킹 해제된다.
이와 같이,후륜(423)의 수납·취출조작과 연동하여 록바(48l)가 상하이동하고 연결판(456)의 하단부가 잠금·잠금해제되므로,위에 예시한 록바(445)와 같이 사용자가 직접 조작할 필요는 없고,이 점에서 해당 차량용 회전좌석(401)의 사용의 편리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록조작만을 차륜(후륜 423)이 접히는 조작과 연동시키고,잠금해제조작은 별도로 수동조작에 의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좌석본체(411)의 양측부에 연결凹부(440), (440)를 설치한 구성을 예시했지만,그 밖의 부위, 예를 들면, 좌석본체(411)의 시트백 배면에 설치해도 좋고, 또한 좌우 2개소에 설치하는 것 이외에,상기 시트 백 배면의 중앙 1개소에 연결凹부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이 경우,리프트업기구에 있어서 양 사절링크기구(455), (455)의 선단을 서로 연결하고,그 연결부의 중앙에 1개의 연결판을 설치하고,이 1개의 연결판을 상기 시트백 배면의 중앙 1곳에 설치한 연결凹부에 끼워넣어 연결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또는,리프트업기구(450)에 있어서의 사절링크기구를 예시한 바와 같이 2조로 하지 않고,l조의 사절링크기구(455)로 하여도 좋다.
다음에,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의 실시예(제 6실시예)를 도 51∼도 5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 6실시예에 관한 차량용 회전좌석(501)은 좌석본체(502)와,이 좌석본체(502)를 차실내 플로어 위와 차실외 사이를 이동시키기 위한 승강장치(550)와,좌석본체(502) 및 승강장치(550)를 회전 지지하기 위한 회전지지대와,좌석본체(502)와 승강장치(550) 및 회전지지대를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전후방향지지대를 구비하고 있다.승강장치(550)의 자세한 내용은 도 51에 나타나 있다.이 승강장치(550)에 있어서 제 1실시예와 동일한 점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또,회전지지대 및 전후방향지지대는 상기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그런데,이 제 6실시예에 있어서 좌석본체(502)는 승강장치(550)의 베이스(553)에 사절링크기구를 개재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좌석본체(502)는,시트쿠션(502a)과 시트백(502b)으로 되고,이 좌석본체(502)는 시트홀더(521)에 설치되어 있다.
이 시트홀더(521)는,도 5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의 대략 く형상의 사이드 플레이트(522)와 이 사이드 플레이트(522)의 수평부(522a)의 하부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522b)와,그 플랜지부(522b)의 하부면의 전후에 설치된 수평틀(523a), (523b)로 대략 틀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또,사이드 플레이트(522)의 수평부(522a)의 기초부에는 좌석본체(502)의 시트백(502b)의 측면에 따른 경사부(522c)가 일체로 형성되고,이 경사 부(522c)의 상부측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승강장치(550)의 사절링크기구와 연결하기 위한 핀구멍(522d)이 관통 설치되고,이 핀구멍(522d)사이의 중앙부에는 외측을 향하여 소정 길이의 록볼트(524)가 돌출설치되어 있다.또,전후의 수평틀(523a), (523b)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후술하는 휠체어(59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후크부재(525)가 대응해서 설치되어 있다.또,앞 부분의 수평틀(523a)의 거의 중앙부에는 탑승자가 다리를 놓는 풋 레스트(526)가 접어놓는 것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도 54 참조).
이와 같이 시트홀더(521)에 설치된 좌석본체(502)는 승강장치(55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승강장치(550)는,도 5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한쌍의 사절링크기구를 주체로 하고, 이 사절링크기구를 신축 작동함으로써 좌석본체(502)를 시트홀더(521)과 함께 실내로부터 실외로, 또는 그 역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다.이 승강장치(550)의 베이스(553)의 양측 테두리(553a), (553a)에 사절링크기구를 구성하는 제 1및 제 2링크암(551), (552)이 각각 지지점(551a), (552a)을 개재하여 차량 전후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후측의 제 2링크암(552), (552)사이에는 연결 바(554), (555)가 걸쳐져 있으므로,양 제 2링크암(552), (552)은 일체로 회전한다.하측의 연결바(554)의 양단부가 베이스(553)의 양측둘레(553a), (553a)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따라서 이 연결바(554)의 축심이 제 2링크암(552)의 회전지지점(552a)으로 되어 있다.
제 1링크암(551)과 제 2링크암(552)의 선단측은,도 52 및 도 5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홀더(52l)와 착탈하기 위해,양 링크암(551), (552)의 선단 내측의 소정의 위치에 시트홀더(521)의 사이드 플레이트(522)의 핀구멍(522d)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슬리브(551b), (552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또,이 양 결합슬리브(551b, (552b)사이에는 거의 장방형상의 연결암(556)이 결합구멍을 개재하여 설치되고,이것에 의해 동 결합슬리브(551b), (552b)는 시트홀더(521)의 핀구멍(522d)에 대응해서 결합가능하게 되어 있다.또, 이 연결암(556)의 거의 중앙부에는 사이드 플레이트(522)에 돌출설치한 록볼트(524)를 끼워 관통시키는 삽입관통구멍(556a)이 설치되어 있다.이 연결암(556)의 반대측에는 별도로 설치한 앵커 플레이트(557)가 설치되고 시트홀더(521)를 착탈하도록 되어 있다.
이 앵커 플레이트(557)는 도 5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암(556)과 거의 대응하는 거의 장방형상으로 형성되고,이 일측면에는 링크암(551), (552)의 결합슬리브(551b), (552b)에 끼워 관통시키는 소정의 길이의 앵커핀(557a)이 소정의 간격으로 돌출설치되고,이 앵커핀(557a)사이에는 사이드 플레이트(522)로부터 돌출설치한 록볼트(524)를 끼워 관통시키는 삽입 관통구멍(557b)이 설치되어 있다.이와 같이 설치된 좌우의 링크암(551), (552)의 선단측에 있어서,좌석본체(502)를 설치한 시트홀더(521)의 좌우의 사이드 플레이트(522)의 록볼트(524)를 연결암(556)의 삽입 관통구멍(556a)에 끼워 관통시킴과 동시에,결합슬리브(551b), (552b)를 핀구멍(522d)에 각각 결합한 상태에서 바깥쪽으로부터 앵커 플레이트(557)의 앵커핀(557a)을 결합슬리브(551b), (552b)에 삽입하고,삽입 관통구멍(557b)에 끼워 관통시켜진 록볼트(524)에 록노브(558)를 나사조임하는 것으로 좌석본체(502)를 설치한 시트홀더(521)는 좌우의 사절링크기구의 선단측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다음에,상기 하측의 연결바(554)의 거의 중앙에는,L형상을 이룬 2개의 지지암(559), (559)이 고정되어 있고,양 지지암(559), (559)을 개재하여 사절 링크기구와 차량의 플로어측 사이에,해당 승강장치(550)의 구동원으로서의 액추에이터(56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액추에이터(560)를 포함하는 해당 승강장치(550)의 구동계는 상기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액추에이터(560)를 포함하는 구동계에 의하면,좌석본체(502)를 승강구측을 향한 상태에서,해당 액추에이터(560)의 전동모터(561)를 정회전 방향으로 기동되면,제 2링크암(552)이 지지점(552a)을 중심으로 하여 실외측(도시한 왼쪽)으로 회전한다.
제 2링크암(552)이 실외측으로 회전함으로써,연결암(556) 및 앵커 플레이트(557)를 개재하여 제 l링크암(551)이 전방으로 회전하고,이 사절링크기구의 동작에 의하여 시트홀더(521)(사이드 플레이트522)가 소정의 궤적에 따라 실외로 향하고 회동인출된다.이렇게 시트홀더(52l)가 회동인출되면,좌석본체(502)가 실내의 착좌 높이로부터 실외의 낮은위치에 이동한다.전동모터(56l)을 역회전시키면,시트홀더(521)가 상기 소정의 궤적을 역방향으로 이동하고,좌석본체(502)가 실외의 낮은 위치로부터 실내의 않는 높이로 되돌아온다.
이와 같이 시트홀더(521)를 개재하여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좌석본체(502)에 대처하기 위해,휠체어(590)는 다음과같이 구성되어 있다.이 휠체어(590)는 거의 일반적인 것으로서,도 5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대칭형상의 본체 프레임(591)이 크로스바(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연결되어서 좌석본체(502)를 설치한 시트홀더(521)를 탑재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중앙부측에 접어놓는 것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본체 프레임(591)은 프론트 프레임(592)과 리어 프레임(593) 및 이 프레임(592), (593)의 소정높이의 위치에 수평상으로 시트 프레임(594)이 가로로 걸쳐져 있고,이 시트 프레임(594)의 상부측에는 도시는 하지는 않았으나 암 프레임이 형성되어 있다. 또,리어 프레임(593)은 상부측으로 회동인출되고 핸들부(595)가 형성되어 있다.또,시트 프레임(594)의 하부측에는 하부 프레임(596)이 설치되고,이 하부 프레임(596)은 후면측으로 굴곡형성되고 전면측은 프론트 프레임(592)의 하부에 접속되고,후면측은 리어 프레임(593)의 하단부에 접속되고, 또한 소정의 길이 후방으로 회동인출되는 회동인출부(596b)가 형성되어 있다.또,프론트 프레임(592)의 하단부에는 베어링을 개재하여 캐스터(597)이 설치되고,또,리어 프레임(593)의 소정의 높이위치에는 큰바퀴(598)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어서 좌우의 본체 프레임(591)은 크로스바에 의하여 접어놓는 것이 가능하게 연결됨과 동시에,좌우 프론트 프레임(592)과 리어 프레임(593)의 상부측의 소정의 위치에는,시트홀더(521) 전후의 보강틀(523a), (523b)에 설치한 후크부재(525)에 걸어맞춤 및 분리를 위한 레버식 걸림부재(599)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이상과 같이 구성한 차량용 회전좌석(501)의 차실내에서의 회전·슬라이드 조작순서는 상기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좌석본체(502)를 승강구(D)측(도시한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조작한 단계(도 11C의 단계)에서,조작자는 휠체어(590)를 준비해서 승강구(D)의 좌석본체(502)를 설치한 시트홀더(521)의 하강위치 부근에 대기시킨다.그리고 나서,승강장치(550)의 전동모터(56l)를 정회전시켜서 사절링크기구를 개재하여 시트홀더(521)를 실외측으로 회동인출시키고,이것에 의해 좌석본체(502)를,실내측위치(W0)로부터 실외측위치(W1)(도 11 참조)까지 이동시키면서,소정의 높이까지 하강시키는 것으로 시트홀더(521)의 전후의 보강틀(523a), (523b)은 휠체어(590)의 좌우의 시트 프레임(594)위에 탑재된다.좌석본체(502)가 실외의 소정높이까지 하강한 후,전동모터(561)가 정지해서 승강장치(550)가 정지한다.
이상태에서 휠체어(590)의 프론트 프레임(592) 및 리어 프레임(593)에 설치한 걸림부재(599)을 시트홀더(52l)에 설치한 후크부재(525)에 걸어맞춘 후,링크암(551), (552)의 선단측의 록노브(558)를 떼어내고,또한,앵커 플레이트(557)를 떼어낸다.이것에 의해 휠체어(59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좌석본체(502)를 설치한 시트홀더(521)를 사절링크기구의 선단으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그리고,떼어낸 앵커 플레이트(557)의 앵커핀(557a)를 시트홀더(521)의 핀구멍(522d)에 삽입하고,삽입 관통구멍으로부터 돌출한 록볼트(524)에 록노브(558)를 나사조임하는 것으로 앵커 플레이트(557)는 시트홀더(521)에 고착된다.이것에 의하여 좌석본체(502)에 착좌한 탑승자는 실내에 앉아 있는 상태 그대로 휠체어(590)에 옮겨타게 되어,같은 휠체어(590)를 조작해서 행동할 수 있다.
그리고,탑승자가 앉아 있는 좌석본체(502)를 설치한 시트홀더(521)를 옮겨탄 휠체어(590)로부터 차량측으로 복귀할 때에, 간호인은 승강장치(550)의 사절링크기구를 승강구(D)보다 실외로 기울여서 시트홀더(521)를 이탈하는 위치로 한다.그리고,휠체어(590)위의 시트홀더(521)에 설치한 좌우의 앵커 플레이트(557)를 록노브(558)와 함께 분리하고,좌우의 사이드 플레이트(522)의 경사틀(522c)의 상부측을 링크암(551), (552)의 선단에 설치한 연결암(556)사이에 위치해서 핀구멍(522d)과 결합슬리브(55lb), (552b)를 끼워맞춤하여 결합한다.그리고,측면으로부터 앵커 플레이트(557)의 앵커핀(557a)을 삽입연결한 상태에서 록볼트(524)에 록노브(558)를 나사조임함으로써, 좌석본체(502)를 설치한 시트홀더(521)가 사절링크기구의 선단부에 연결된다.이 상태에서 휠체어(590)의 걸림부재(599)를 시트홀더(521)의 후크부재(525)로부터 떼어낸다.
그리고,실외측위치(W1)에 위치한 좌석본체(502)를 원래의 착좌위치로 되돌릴 때는, 전동 모터(561)를 역회전시키고 승강장치(550)를 역방향으로 작동시킴으로써, 좌석본체(502)를 상승시키면서 실내측위치(WO)까지 되돌린다.이 시점에서,전동모터(561)가 정지하고 승강장치(550)는 정지한다.그 후,도시를 생략한 회전 록기구를 해제조작해서 수동조작으로 좌석본체(502)를 실내측을 향하여 회전시킨다.따라서 탑승자는 휠체어(590)위의 시트홀더(521)에 설치한 좌석본체(502)에 앉아 있는 상태에서,휠체어(590)로부터 이탈해서 차실내로 올라타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승강장치(550)의 작동에 의하여 좌석본체(502)를 설치한 시트홀더(521)는 차실내 플로어 위와 차실외 회동인출위치와의 사이를 이동 가능함과 동시에,이 좌석본체(502)를 설치한 시트홀더(522)는 승강장치(550)로부터 이탈해서 휠체어(590)의 좌석부로서 기능하는 것이므로,탑승자는 시트홀더(521)와 함께 좌석본체(502)에 앉아 있는 채로 실외에 대기한 휠체어(590)의 시트 프레임(594)위로 옮기는 것이 가능하고,또 탑승자는 휠체어(590)로부터 좌석본체(502)에 앉아 있는 채로 시트홀더(521)와 함께 차실내로 승차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간호인은 종래와 같이 탑승자를 간호하고 휠체어에 갈아태우는 수고를 없애는 것이 가능하고,간호인의 노력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또,좌석본체(502)는 시트홀더(521)와 함께 휠체어(590)의 좌석부가 되기 때문에,휠체어(590) 상에서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시트홀더(521)의 착탈구성은 시트홀더(521),앵커 플레이트(557),록볼트(524) 및 록 노브(558)라고 하는 극히 간단한 구성이므로 통상의 승강장치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다음에,청구항 9에 기재한 발명의 실시예(제 7실시예)를 도55∼도 61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이 제 7실시예는,사절링크기구를 주체로 하는 스윙기구에 의하여 좌석본체를 차량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의 차량용 회전좌석에 있어서, 좌석본체의 스윙동작을 잠금하기 위한 스윙 록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차실내의 플로어 위에 설치한 회전판과,그 회전판에 설치한 차폭방향 이동용의 슬라이드 기구와,주로 사절링크기구로 구성되는 스윙기구를 구비하고,회전판에 의하여 좌석본체를 승강구측을 향한 상태에서 차폭방향 슬라이드기구에 의하여 해당 좌석본체를 차폭방향 실외측으로 슬라이드시키고,그 후 스윙기구에 의하여 해당 좌석본체를 승강구를 개재하여 차실외로 회동인출하는 구성으로 한 차량용 회전좌석이 공지되어 있다.
이 차량용 회전좌석에 의하면,탑승자는 실외에서 좌석본체로 승강하면 충분하며,차실내로 탑승하는 동작이나 실내로부터 꺼내는 동작을 직접 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차량을 편안하게 타고 내릴 수 있다.
그러나,상기 종래의 차량용 회전좌석에 의하면,좌석본체의 스윙동작이 차폭방향 슬라이드 기구의 실내측 후단위치에서만 록킹되는 구성으로 되어있으므로,차실내에 있어서 좌석본체를 정면을 향한 상태(이 상태에서는 차폭방향 슬라이드 기구가 차량의 전후방향을 따른 상태로 된다)로 해당 좌석본체를 차량 앞쪽으로 슬라이드 시키면 스윙 록이 해제되어 버리고,결과적으로 종래의 차량용 회전좌석에서는 차량 전후방향의 위치조정 수단으로서 상기 차폭방향 슬라이드기구를 이용할 수 없었다.
청구항 9에 기재한 발명은,이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차폭방향 슬라이드기구의 슬라이드 위치에 관계없이 스윙 록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스윙 록기구를 구비하고,그 결과 좌석본체를 차량정면을 향하여,또한 스윙 록 상태를 유지한 채로 차량의 폭방향 슬라이드기구를 이용해서 해당 좌석본체를 차량 전후방향으로 위치 조정할 수 있는 차량용 회전좌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55는,제 7실시예의 차량용 회전좌석(601)의 대략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55에 있어서 좌우는 차량의 폭방향이고,지면과 직교되는 방향이 차량 전후방향으로 된다. 따라서,도 55는 좌석본체(610)를 차량의 측방 즉, 승강구측을 향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차량용 회전좌석(601)의 기본적인 구성은 특히 변경을 필요로 하지 않지만,이하 간단하게 설명하면,도중(602), (602)는 차량의 플로어(F)의 전후방향에 따라 부설한 차량 전후방향 슬라이드용 레일이고,이 전후방향 슬라이드용 레일(602), (602)을 개재하여 메인베이스(603)가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메인베이스(603)의 윗면에는,외륜(604a)과 내륜(604b)으로 된 회전판(604)이 장착되어 있다.내륜(604b)의 윗면에는,서브 베이스(605)를 개재하여 차량의 폭방향 슬라이드용 레일(606), (606)이 장착되어 있다.이 폭방향 슬라이드용 레일(606), (606)을 개재하여 스윙베이스(607)가 일정한 범위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전판(604)을 개재하여 좌석본체(610)를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구측으로 회전시키면,이 폭방향 슬라이드용 레일(606), (606)도 승강구측으로 향하게 되며,이 상태에서 좌석본체(610)를 실외측으로 슬라이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폭방향 슬라이드).
도면에서 번호(606a)는,스윙베이스(7)의 양측부전후의 4개소에 회전가능하게 설치한 가이드롤러이고, 이 가이드롤러(606a)∼(606a)가 거의 コ형상을 한 상기 폭방향 슬라이드용 레일(606)을 따라 전동함으로써 스윙베이스(607)가 일정한 범위에서 슬라이드한다.
스윙 베이스(607)에는,좌우 한쌍(도면에서는 지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한쌍)의 사절링크기구(608), (608)를 개재하여 시트홀더(609)가 장착되어 있다.이 양 사절링크기구(608), (608)의 각각에 있어서,2개의 링크암(608a), (608b)은 각각 지지축(608c), (608d), (608e), (608f)을 개재하여 스윙베이스(607) 및 시트홀더(609)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시트홀더(609)에는 좌석본체(610)가 장착되어 있다.
사절링크기구(608), (608)는,스윙베이스(607)위에 설치한 전동실린더를 구동원으로 하여,뒤쪽의 지지축(608d)에 고정한 구동암(608g)을 요동시킴으로써 차폭방향(도 55에 있어서 좌우방향)으로 경사이동한다. 전동실린더는,전동모터(608M)와 볼나사를 주체로 하는 것으로,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특히 변경을 필요로 하지는 않는다(제 1실시예의 구동계 참조).도 55에서는,상기 전동모터(608M)의 뒷부분만이 보이고 있다.
상기 차량의 전후방향 슬라이드 동작 및 차폭방향 슬라이드 동작은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의하여 이루어진다.단,이러한 슬라이드 동작을 예를 들면, 전동모터를 구동원으로서 행하는 전동식으로 하여도 된다.양 슬라이드 동작은,각각 전후슬라이드 록기구 및 차폭방향 슬라이드 록기구에 의하여 슬라이드 방향 전단위치 및 후단위치 또는 그 도중의 임의의 위치에서 잠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판(604)에 의한 선회동작도,좌석본체(610)가 차량정면을 향한 위치와 측면의 승강구측을 향한 위치에서 회전 록킹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회전 록기구).이것들에 대해서도 특히 변경을 필요로 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승강구측을 향한 상태에서 회전잠금한 좌석본체(610)를 수동조작에 의하여 도면중 실선으로 나타낸 차폭방향 슬라이드 후단위치에서 도면중 2점 쇄선으로 나타낸 차폭방향 슬라이드 전단위치로 이동시켜,이 전단 위치에서 차폭방향 슬라이드 동작을 록킹시킨다. 그 후,전동실린더를 작동하면,사절링크기구(608)가 실외측으로 경사이동하고 좌석본체(610)가 동일하게 2점쇄선으로 나타낸 실외측 위치로 회동인출된다.
이 회동인출위치에서 복귀될 때는,전동실린더를 역방향으로 작동시키고 좌석본체(610)를 차폭방향 슬라이드 전단위치로 복귀되고,그 후 차폭방향 슬라이드 록기구를 잠금해제하여 차폭방향 슬라이드 후단위치로 수동조작에 의하여 복귀되며,이 후단위치에서 폭방향 슬라이드 록기구를 록킹시킨다.이렇게 좌석본체(610)를 차폭방향 슬라이드 후단위치로 되돌린 후,회전 록기구를 잠금해제하여, 좌석본체(6l0)를 약 90°선회시켜 차량의 정면방향으로 위치시키고,이 위치에서 회전동작을 잠금한 다음, 메인베이스(603) 더 나아가서는 좌석본체(610)를 전후슬라이드 후단위치로 되돌리어 록킹시키면,탑승자의 승차가 완료된다. 또한, 상기와는 반대의 조작을 함으로써,탑승자는 좌석본체(610)에 앉아 있는 상태에서 실외로 내려오는 것이 가능하다.이와 같이,탑승자는 좌석본체(610)에 앉아 있는 채 실외로부터 실내의 소정위치에 올라타는 것이 가능하고,역으로 실외로 나가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차량을 편안하게 승강할 수 있다.
그런데,이상과 같이 구성한 차량용 회전좌석(601)에 있어서,시트홀더(609)와 스윙베이스(607)사이에는,차량 급감속시에 있어서의 좌석본체(610)의 스윙동작을 잠금하기 위한 스윙 록기구(620)가 설치되어 있다.본 실시예에 관한 차량용 회전좌석(601)은 이 스윙 록기구(620)에 특징이 있고,특히 폭방향 슬라이드 레일(606), (606)에 의한 슬라이드위치에 관계 없이 좌석본체(610)의 스윙동작이 록킹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 스윙 록기구(620)의 자세한 내용은 도 56에 나타나 있다.도면에서 (621)은 록플레이트이고,이 록플레이트(621)는 시트홀더(609)의 측면부 하부면에 장착되어 있다.이 록플레이트(621)의 앞부분에는 잠금용 잠금凹부(621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록플레이트(62l)의 외측면에는,띠판 형상의 보조 플레이트(622)가 장착되어 있고,이 보조 플레이트(622)의 외측면 하부에는 작동핀(623)이 측면에 돌출형상으로 장착되어 있다.이 보조 플레이트(622)는 상하로 위치조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한편,스윙베이스(607)의 측면부에는,록홀더(625)가 지지축(626)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이 록홀더(625)는,도시한 바와 같이 2장의 플레이트(625a), (625a)를 상기 지지축(626)을 개재하여 일정간격으로 평행하게 고정해서 된 것으로,양 플레이트(625a), (625a)사이로서 상기 지지축(626)의 주변에는 비틀림 스프링(628)이 장착되어 있다.이 비틀림 스프링(628)의 일단은,도시는 생략했지만 한쪽의 플레이트(625a)에 고정되고,타단은 대략 L형상으로 접어 구부려지고,어느 부위에도 고정되지 않는 자유단(628a)로 되어 있다. 이 비틀림 스프링(628)은,록홀더(625)에 대하여 위쪽으로의 회전력을 부여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이 점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또,양 플레이트(625a), (625a)의 선단부 간에는 록핀(627)이 걸치는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이 록핀(627)이 상기 록플레이트(621)의 록凹부(621a)에 끼워넣어지면,좌석본체(610)의 스윙동작이 록킹된다.
동일하게 스윙베이스(607)의 측면부로서,록홀더(625)의 아래쪽에는,그 록홀더(625)의 아래쪽으로의 회전단을 규제하기 위한 스토퍼 플레이트(629)가 측방향으로 돌출 연장되어 있다.록홀더(625)는, 이 스토퍼 플레이트(629)에 맞닿는 상태까지 회전하면,거의 수평방향으로 되고,이 시점에서 록핀(627)은 록플레이트(621)의 이동 경로상에서 완전하게 벗어나고,이것에 의해 좌석본체(610)의 회동인출동작이 허용된다.
도 55∼도 57은 좌석본체(610)의 스윙동작이 잠금된 상태를 실선으로 나타내고 있다.이 잠금상태에서는 사절링크기구(608)가 가장 상승한 상태이고,이 때문에 시트홀더(609)가 스윙 베이스(607)에 대하여 가장 실내측(도 55에 있어서 우측)에 위치하고 있다.이와 같은 스윙 잠금 상태에서는,록플레이트(621)의 록凹부(62la)안에 록핀(627)이 거의 끼워넣어진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비틀림 스프링(628)의 자유단(628a)이 보조 플레이트(622)의 후단테두리에 가압되어 있으므로,이 비틀림 스프링(628)에 가압력이 발생하며,이 가압력에 의해 록홀더(625)가 지지축(626)을 중심으로 하여 기립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태로 되어 있다.그 결과,상기한 바와 같이 록핀(627)이 록플레이트(621)의 록凹부(621a)에 끼워넣어진 상태로 되어 있다.더욱,이 잠금상태에서는,작동핀(623)이 록홀더(625)의 외측의 플레이트(625a)의 상단둘레에 맞닿은 상태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스윙 록상태에서,전동실린더를 작동시키는 것에 의하여,스윙동작을 시작하면,스윙 록기구(620)가 도 57∼도 59에 나타낸 바와 같이하여 잠금해제된다. 전동실린더가 작동하면,사절링크기구(608)의 이동에 의하여 시트홀더(609) 및 좌석본체(610)가 실외측을 향하여 거의 수평으로 이동을 시작한다.그러면,도 5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록플레이트(621)도 같은방향으로 이동한다. 록플레이트(621)의 보조 플레이트(622)에는 작동 핀(623)이 장착되어 있고,이 작동핀(623)은 상기한 바와 같이 록홀더(625) 외측의 플레이트(625a) 상단둘레에 맞닿아 있다. 또한, 이 시점에서 록홀더(625)는 비틀림 스프링(628)의 가압력에 의하여 거의 기립한 상태로 되어 있다.이 때문에, 록플레이트(621)가 거의 수평방향으로 이동을 개시하면,록홀더(625)가 작동핀(623)에 가압되어 하방으로 회전을 개시한다.록플레이트(621)의 이동에 따라서 록홀더(625)가 회전을 시작하는 타이밍은,록플레이트(62l)가 록핀(627)에 간섭하지 않도록 설정할 필요가 있고, 이 타이밍은 보조 플레이트(622)의 상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 이 시점에서는,아직 비틀림 스프링(628)의 자유단(628a)이 보조 플레이트(622)에 압착되어 있으므로,비틀림 스프링(628)의 가압력이 록 홀더(625)에 작용하고 있다.이 때문에,작동핀(623)의 이동에 의한 록홀더(625)의 하방으로의 회전은 비틀림 스프링(628)에 대항해서 이루어진다.
이렇게 록홀더(625)가 하방으로 회전함으로써,그 록핀(627)이 록플레이트(621)의 록凹부(621a)안으로부터 서서히 빠져나간다. 록핀(627)이 록凹부(621a)로부터 서서히 빠져나오면서,록플레이트(621)가 또한 실외측으로 이동하면,보조 플레이트(622)에 의한 비틀림 스프링(628)의 자유단(628a)이 압착하는 작용이 약해지므로,이 비틀림 스프링(628)의 가압력은 서서히 저하된다.
도 5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록홀더(625)가 더욱 아래쪽으로 회전해서 거의 수평방향이 되면,보조 플레이트(622)에 의한 비틀림 스프링(628)의 자유단(628a)은 압착 작용이 거의 없는 상태로 되고,또 작동핀(623)에 의한 플레이트(625a)의 압착작용도 대부분 없는 상태로 된다.
따라서,이후 록홀더(625)는 자중에 의하여 하방으로 회전하여 스토퍼 플레이트(629)에 맞닿으며, 이것으로 록플레이트(621)의 이동경로로부터 록핀(627)이 완전하게 벗어난 상태(잠금해제 상태)가 된다.이렇게 록플레이트(621)가 록홀더(625)로부터 빠져나온 후,다시 또 전동실린더가 작동해서 사절 링크기구(608)가 전동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좌석본체(610)가 소정의 궤적에 따라 실외로 회동인출된다.이 단계에 있어서의 스윙 록기구(620)가 도 59에 나타나 있다.
좌석본체(610)가 실외로 회동인출된 상태로부터 실내로 되돌리는 조작에서는,상기와는 반대의 과정을 거친다.즉,전동실린더가 역방향으로 작동하면,사절 링크기구(608)가 상승방향으로 이동하고,이것에 의해 좌석본체(610) 및 시트홀더(609)가 동일한 궤적을 역으로 거슬러 올라가 실내측으로 이동한다. 먼저,도 5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록플레이트(621)가 록홀더(625)로부터 떨어져 있는 잠금해제 상태의 단계에서는,록홀더(625)는 그 자중에 의하여 스토퍼 플레이트(629)에 맞닿아서 거의 수평 자세로 유지되어 있다.비틀림 스프링(628)은,그 자유단(628a)이 자유상태이므로 가압력을 발휘하지 않는 상태로 되어 있다.
도 5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석본체(610)가 스윙베이스(607)의 거의 상방으로 되돌아온 상태로 되면,록플레이트(621)가 록홀더(625)의 위쪽으로 되돌아와,상기 자유상태였던 비틀림 스프링(628)의 자유단(628a)에 보조 플레이트(622)의 후단 테두리가 맞닿는다.이 맞닿은 상태로 좌석본체(610)가 실내측으로 또한 되돌아옴으로써,비틀림 스프링(628)의 자유단(628a)이 뒤쪽(실내측)으로 가압된다.이 때문에,비틀림 스프링(628)에는 록홀더(625)를 기립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가압력이 발생하고,이 가압력이 보조 플레이트(622)의 실내측으로의 이동에 따라서 서서히 증대된다.
그러나,이 단계에서는, 록플레이트(621)의 선단이 아직도 록핀(627)에 대하여 완전하게 뒤쪽(도시한 우측)으로 통과하고 있지는 않은 상태이므로,해당 록홀더(625)를 여전히 거의 수평 자세로 유지해둘 필요가 있다.이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비틀림 스프링(628)의 가압력이 발생하기 시작하는 단계에서, 보조 플레이트(622)에 설치한 작동핀(623)이 다시 한번 록홀더(625)의 상단 둘레에 맞닿고, 이 맞닿는 위치가 도시한 바와 같이 초기에는 록홀더(625)의 지지축(626)(회전중심)에 대하여 도시한 좌측에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고,이것에 의해 록홀더(625)의 기립방향으로의 회전이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이 때문에,이 단계에서 록홀더(625)는 여전히 거의 수평상태로 유지되고,비틀림 스프링(628)의 가압력만이 서서히 높아져간다.
다음에,사절링크기구(608)가 거의 상승상태로 되돌아와서,좌석본체(610)가 거의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온 상태가 되면, 록플레이트(621)의 선단이 록핀(627)을 완전하게 통과하고,또한 작동핀(623)이 록홀더(625)의 지지축(626)을 통과한 상태로 되며,이것에 의해 록홀더(625)가 기립방향으로 회전가능한 상태로 된다. 또한, 록플레이트(621)의 이동에 따른 록 홀더(625)의 회전개시 타이밍은,보조 플레이트(622)의 상하위치를 조정함으로써 또는 지지축(626)의 위치를 적절하게 설정하는 것 등에 의하여 적절하게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작동핀(623)은,좌석본체(610)의 실내로 되돌리는 과정에서,록홀더(625)의 기립측(스윙 록 측)으로의 회전을 규제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한편,이 작동핀(623)은,상기한 바와 같이 좌석본체(610)의 실외로의 회동인출과정에 있어서,역으로 록홀더(625)를 아래쪽(잠금해제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렇게 록홀더(625)가 기립측으로 회전가능한 상태로 된 시점에서는,비틀림 스프링(628)의 자유단(628a)이 보조 플레이트(622)에 의하여 충분히 가압되고 있으므로,그 가압력이 록홀더(625)를 기립측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충분한 정도까지 증대되어 있다. 따라서,이 시점에서 록홀더(625)가 기립측으로 회전하고,이것에 의해 록핀(627)이 록플레이트(62l)의 록凹부(621a)내로 끼워넣어져서,스윙 록기구(620)가 록킹된다.
사절링크기구(608)가 완전하게 상승위치로 되돌아와서,좌석본체(610)가 스윙베이스(607)의 상방 위치로 되돌아오면,스윙동작이 완료되고,전동 실린더는 정지한다.이 스윙 록상태에서는,비틀림 스프링(628)의 자유단(628a)이 보조 플레이트(622)에 의하여 눌려지고 있으므로,이 비틀림 스프링(628)의 가압력에 의하여 록홀더(625)는 여전히 기립방향으로 가압되어 있으며,이것에 의해 록핀(627)이 록플레이트(621)의 록凹부(62la)내에 유지되고,더 나아가서는 스윙 록상태가 유지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좌석본체(610)의 스윙 록상태란,차량의 급감속이 있는 경우에 좌석본체(610)의 스윙동작을 저지할 수 있는 상태에 있는 것을 말하며,구체적으로는 록홀더(625)가 기립해서 록핀(627)이 록플레이트(621)의 록 凹부(621a)내에 위치하는 상태를 말한다.따라서,이 스윙 록 상태에서도,차량정지시에 있어서의 통상의 승강조작으로서의 스윙동작은 조금도 규제되지 않으며,사용자는 특별한 잠금해제 조작을 하는 일이 없이 해당 좌석본체(610)를 스윙 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차량 주행시에 있어서의 급감속에 의하여 좌석본체(610)에는 큰 G(g:가속도)가 부가되어, 이 경우에는 차량 앞부분이 가라앉는 한편,좌석본체(610)에는 사절링크기구(608), (608)의 탄성변형 등의 요인에 의하여 그 앞부분을 상대적으로 위쪽으로 변위시키는 방향의 관성력이 부가되어,이 때에 작동핀(623)의 록홀더(625)를 내리 누르는 작용은 크게 절감되며,그 결과 록플레이트(621)가 록홀더(625)의 록핀(627)에 걸려서 해당 좌석본체(610)의 스윙동작이 기계적으로 록킹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차량용 회전좌석(601)에 의하면,좌석본체(6l0)의 실외측으로의 회동인출동작을 개시하면 이것과 연동하여 스윙 록기구(620)가 잠금해제되고,역으로 실내측으로 되돌릴 때에는 그 최종 단계에서 자동적으로 스윙 록킹된다.스잉록을 실현하기 위한 록플레이트(621)는 시트 홀더(609)에 설치되고,록홀더(625)는 스윙베이스(607)에 설치되어 있다.
이것으로부터,본 실시예에 관한 차량용 회전좌석(601)은 차량의 폭방향의 슬라이드위치에 관계 없이 이 스윙동작이 잠금·잠금해제되고,따라서 폭방향 슬라이드 전단위치에 있어서도 스윙 록기구(620)에 의하여 좌석본체(620)의 스윙동작은 잠금되어 있고,종래와 같이 폭방향 슬라이드 후단위치를 벗어나면 스윙동작이 잠금해제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는 없다.
이 구성에 의하면,폭방향 슬라이드 레일(606), (606)을 차량의 전후방향 슬라이드 레일로서도 이용할 수 있게 된다.즉,좌석본체(610)를 실내에서 정면방향을 한 상태(통상의 착좌상태)에서,해당 좌석본체(610)의 차량 전후방향의 위치조정을 상기 전후방향 슬라이드 레일(602), (602)에 가해서,상기 폭방향 슬라이드 레일(606), (606)에 의해서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도 6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박스 차량과 같이 운전석이나 조수석의 아래쪽에 엔진수용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전방열 플로어(FH)(운전석이나 조수석이 배치되는 부분)가 후방열 플로어(FL)(후방열 시트가 배치되는 부분)보다도 한 단계 높게 설정되어 있는 차량에 있어서,전방열 플로어(FH)의 조수석을 분리해 둠으로써, 해당 차량용 회전좌석(601)을 후방열 플로어(FL)로부터 전방열 플로어(FH)의 거의 조수석 위치까지 슬라이드 시킬 수 있게 된다.
즉,전후방향 슬라이드 레일(602), (602)만으로는 후방열 플로어(FL)와 전방열 플로어(FH)의 사이에 단차가 있으므로,좌석본체(610)를 전방열 플로어(FH)의 조수석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것은 곤란하지만,위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전후방향 슬라이드 레일(602), (602)에 대하여 폭방향 슬라이드 레일(606), (606)은 한단계 높은 위치에 설정되어 있으므로,후방열 플로어(FL)에 있어서의 전후방향의 슬라이드를 전후방향 슬라이드 레일(602), (602)에 의하여 행하고, 후방열 플로어(FL)의 전단위치에 있어서 또한 폭방향 슬라이드 레일(606), (606)에 의하여 해당 좌석본체(610)을 차량 전방으로 슬라이드시키는 것에 의하여,좌석본체(610)를 전방열 플로어(FH)위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후방열 플로어(FL)의 측면의 개구부를 개재하여 실내로 이동한 해당 차량용 회전좌석(601)을 위와 같이 하여 조수석 위치까지 슬라이드시키는 것이 가능하면,탑승자(예를 들면, 신체장애자 등)는 운전자와 나란히 승차할 수 있으므로 특별한 감정(후방열 시트에서 특별한 취급을 받고 있다고 하는 차별의식)을 갖게 되지 않으며,통상의 탑승자와 동일한 기분으로 승차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차량용 회전좌석(601)에 의하면,스윙 록기구(620)는 그 슬라이드 위치에 관계 없이 기능하기 때문에,스윙 록상태를 유지하면서 폭방향 슬라이드기구를 차량 전후방향으로의 슬라이드 기구로서도 이용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상기한 바와 같이 해당 차량용 회전좌석(601)의 전후방향의 슬라이드 동작을 전방열 플로어(FH)까지 설정하여,해당 차량용 회전좌석(601)의 이용형태(시트 변화)를 다양화할 수 있다.
또,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스윙 록기구(620)는 슬라이드 레일(606), (606)에 의한 슬라이드 동작을 이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는 않기 때문에,해당 폭방향의 슬라이드기구를 구비하고 있지 않는 구성의 시트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스윙 록기구(620)는 전동모터나 실린더 등의 액추에이터를 사용하지 않고 완전한 기계적 구성으로 스윙 잠금·잠금해제를 실현하는 구성이므로,전원이나 에어 공급원 등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또한 전기배선이나 에어배관 등의 배치를 고려할 필요가 전혀 없고,양호한 조립성이나 보수성을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확실한 잠금·잠금해제 동작을 장기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보조 플레이트(622)의 판의 두께나 작동핀(623)의 축의 직경을 적절하게 설정해서 이러한 내충격 강도를 다른 부위보다도 낮게 설정해 둠으로써,해당 스윙 록기구(620)에 일정 이상의 충격적인 외력이 부가될 때에,보조 플레이트(622) 또는 작동핀(623)이 파손되도록 설정할 수가 있다.이것에 의하면,그러한 충격적인 외력에 의하여 록플레이트(621)가 좌석본체(610)와 함께 차량의 전방으로 순간적으로 변위하여도,보조 플레이트(622) 또는 작동핀(623)이 파손됨으로써,록홀더(625)를 내리 누르는(잠금해제방향으로 회전시키는)작용을 없애는 것이 가능하고,그 결과 해당 스윙 록기구(620)를 잠금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이것에 의하면,탑승자 또는 해당 차량용 회전 시트(601)에 대하여 충격적인 큰 G(g:가속도)가 가해진 경우라도,스윙 록상태가 확실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탑승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제 7실시예에서는 여러가지 변경을 가할 수가 있다.예를 들면,,록홀더(625)를 기립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가압력을 부여하는 수단(회전 가압수단)으로서 비틀림 스프링(628)을 이용한 구성을 예시했지만,이 비틀림 스프링(628)을 판스프링(63l)으로 대치해서 실시할 수도 있다.판스프링(631)을 이용한 스윙 록기구(630)의 구성이 도 61에 나타나 있다.이 구성의 경우,록홀더(632)의 후단면에 상기 판스프링(631)의 하단부가 고정되어 있다.이 판스프링(631)은 위쪽으로 뻗어서,록플레이트(621)의 뒤쪽에 이르고 있다.이 실시예의 경우,판스프링(631)의 자유단(631a)은 도시한 바와 같이 록플레이트(621)의 후단둘레와 맞닿는다.록홀더(632)의 그 밖의 구성은 상기 제 7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록플레이트(62l)에는 제 7실시예와 마찬가지 보조 플레이트(622)가 장착되어 있고,이 보조 플레이트(622)에는 마찬가지로 작동핀(623)이 장착되어 있다.이 작동핀(623)의 작용은 제 7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이 스윙 록기구(30)에 의해서도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의 실시예(제 8실시예)를 도62∼도 68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사절링크기구를 개재하여 좌석본체를 승강구를 개재하여 실외로 스윙동작가능하게 설치한 소위 스윙다운 형식의 차량용 회전좌석에 있어서는,적어도 주행시(탑승자가 차량 정면을 향해 앉아 있는 상태)에 각 동작기구를 잠가둘 필요가 있다.이 때문에 이런 종류의 회전좌석에는 상기 스윙 동작을 록킹시키기 위한 스윙 록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그렇지만,종래의 스윙 록기구는 수동조작에 의하여 잠금·잠금해제하는 구성이었기 때문에 조작이 번거롭고, 이 점에서 이런 종류의 회전좌석의 사용의 편리성을 손상시키는 문제가 있었다.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은,사용자가 특별한 조작을 하지 않고도 좌석본체의 스윙동작이 자동적으로 잠금·잠금해제되는 스윙 록기구를 구비한 차량용 회전좌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6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8실시예에서는,차량좌측에 설정한 차량용 회전좌석(701)을 예시한다. 따라서,해당 회전좌석(701)의 좌측(도시한 좌측)에 승강구(D)가 설치되어 있고,좌석본체(710)는 도면중 실선으로 나타낸 차량 정면방향의 위치로부터 거의 90°로 좌회전시키면,도면중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승강구(D)로 향한 상태로 되고,이 상태에서 승강구(D)를 경유해서 좌석본체(710)를 실외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회전좌석(701)의 자세한 내용이 도 63에 나타나 있다.도 63은 좌석본체(710)를 차량의 정면방향으로 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해당 회전좌석(701)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기 각 실시예에 비하여 특히 변경을 필요로 하지는 않지만,이하 간단하게 설명하면,도면에서 (702), (702)는 차량 플로어(F)의 전후방향에 따라 서로 평행하게 부설한 전후방향 슬라이드용 레일이고,이 전후방향 슬라이드용 레일(702), (702)을 개재하여 메인베이스(703)가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메인베이스(703)의 윗면에는,외륜(704a)과 내륜(704b)으로 이루어진 회전판(704)이 장착되어 있다. 이 회전판(704)은,메인베이스(703)의 중앙이 아니라 실외측으로 편심된 위치(도 63에서 지면 앞쪽으로 편심된 위치)에 장착되어 있다(도 64 참조).이 회전판(704)의 내륜(704b) 윗면에는,스윙베이스(707)가 장착되어 있다.스윙베이스(707)의 위쪽에는,좌우 한쌍(도면에서는 지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한쌍)의 사절링크기구(708), (708)를 개재하여 시트홀더(709)가 장착되어 있다.이 양 사절링크기구(708), (708)의 각각에 있어서,2개의 링크암(708a), (708b)은 각각 지지축(708c), (708d), (708e), (708f)을 개재하여 스윙베이스(707) 및 시트홀더(709)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시트홀더(709)에는 좌석본체(710)가 장착되어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사절링크기구(708), (708)는 스윙베이스(707)위에 설치한 전동실린더를 구동원으로 하여,뒤쪽의 지지축(708d)에 고정한 구동암을 요동시킴으로써, 차폭방향(도 63에 있어서 좌우방향)으로 경사이동한다. 또한, 구동원으로서의 전동실린더는,전동모터와 볼나사를 주체로 하는 것으로,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특히 변경을 필요로 하지는 않는다.
해당 좌석본체(7l0)의 차량의 전후방향 슬라이드 동작은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의하여 이루어진다.단,이 슬라이드 동작을 예를 들면, 전동모터를 구동원으로서 행하는 전동식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이 전후방향 슬라이드 동작은 록기구에 의하여 슬라이드 방향 전단위치 및 후단위치 또는 그 도중의 임의의 위치에서 잠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회전판(704)에 의한 선회동작도,좌석본체(710)를 차량의 정면을 향한 위치와 승강구(D)측을 향한 위치로 잠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것들에 대해서도 특별한 변경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좌석본체(710)를 회전 조작해서 승강구(D)측으로 향하게 하고,이 상태에서 상기 전동실린더를 작동시켜서 사절링크기구(708)을 실외측으로 경사이동시키면,좌석본체(710)를 승강구(D)를 개재하여 실외로 회동인출시킬 수가 있고,이것에 의해 탑승객은 좌석본체(710)에 앉아 있는 채로 실외로 내려오는 것이 가능하다.
역으로,좌석본체(710)를 실내로 되돌리는데는,상기 전동실린더를 역방향으로 작동시켜서 사절링크기구(708)를 기립측으로 작동시키고,그 후,좌석본체(710)를 약 90°선회시켜서 차량의 정면방향으로 위치시키고, 또한 전후방향 뒤쪽으로 슬라이드시키면 탑승자의 승차가 완료된다.이와 같이,탑승자는 좌석본체(710)에 앉아 있는 채로 실외로부터 실내의 소정위치에 승차하는 것이 가능하고,역으로 실외로 나가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차량을 편안하게 타고 내릴 수 있다.
그런데,이상과 같이 구성한 차량용 회전좌석(701)에 있어서,시트홀더(709)와 스윙베이스(707)의 사이에는,좌석본체(7l0)의 스윙동작을 잠금하기 위한 스윙 록기구(720)가 설치되어 있다.본 실시예에 관한 차량용 회전좌석(1)은 이 스윙 록기구(720)에 특징을 갖고 있다.이하,그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스윙 록기구(720)의 자세한 내용을 도 64∼도 66에 나타냈다.도면에서 (721)은 시트홀더(709)의 우측단 하부면에 설치한 록플레이트이고, 이 록플레이트(721)의 전단테두리에는 록凹부(721a)가 절단해서 형성되어 있다.이 록플레이트(721)의 록凹부(721a)에,다음에 설명한 바와 같은 록홀더(722)의 록핀(722a)을 끼워넣음으로써, 해당 좌석본체(710)의 스윙 동작이 록킹된다.
상기 록홀더(722)는,스윙베이스(707)의 우측부에 지지축(723)을 개재하여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이 지지축(723)(록홀더 722의 회전중심)은 록 홀더(722)의 뒤쪽의 모서리부 근처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또,록홀더(722)와 스윙베이스(707)의 사이에는 인장 스프링(725)(도 64에는 생략되어 있다)이 끼워져 있고,이 인장 스프링(725)에 의하여 해당 록홀더(722)는 아래쪽으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이 인장 스프링(725)에 대항해서 록홀더(722)가 지지축(723)을 중심으로 하여 위쪽으로 회전하면,그 선단에 설치한 록핀(722a)이 상기 록플레이트(721)의 록凹부(721a)에 끼워넣어짐으로써,좌석본체(710)의 스윙동작이 록킹된다.
한편,스윙베이스(707)를 회전지지하는 메인베이스(703)의 회전판(704)보다도 실내측의 단부 근처이고,스윙베이스(707)의 회전에 따른 록 홀더(722)의 이동경로에는,앵커후크(724)가 위쪽으로 상승하는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이 앵커후크(724)에 의하여,상기 록홀더(722)의 상하이동은,스윙베이스(707)의 회전조작과 연동하여 이루어진다. 즉,좌석본체(710)를 차량 정면방향으로 위치시키면,앵커후크(724)의 선단부(724a)에 록홀더(722)의 000하측 전방 모서리부에 설치한 위치조정 플레이트(722b)가 맞닿고,이 맞닿은 상태인채로 좌석본체(710)를 더욱 회전시키면 해당 위치조정 플레이트(722b)를 개재하여 하측 전방 모서리부가 위쪽으로 밀려올라감으로써,록홀더(722)가 지지축(723)을 중심으로 하여 위쪽으로 회전한다.위치조정 플레이트(722b)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해당 록홀더(722)의 회전의 타이밍을 조정할 수 있다.
역으로,좌석본체(710)를 승강구(D)측으로 회전시키면,록홀더(722)의 하측 전방 모서리부(위치조정 플레이트722b)가 앵커후크(724)의 선단부(724a)로부터 벗어나기 때문에,해당 록홀더(722)는 아래쪽으로 회전가능한 상태로 되고,록홀더(722)는 그 자중 및 인장 스프링(725)의 가압력에 의하여 아래쪽으로 회전한다.록홀더(722)가 지지축(723)을 중심으로 하여 아래쪽으로 회전하면,록핀(722a)이 록플레이트(721)의 록凹부(721a)로부터 벗어나서 스윙 록이 해제된다.
다음에,앵커후크(724)의 전단부에는 대략 コ형상의 凹부(724b)가 절결되어 형성되어 있다.좌석본체(710)를 차량의 정면방향으로 위치시키면, 도 64 및 도 6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윙베이스(707)의 후단부(707a)가 상기 앵커후크(724)의 凹부(724b)에 끼워 넣어지고,이것에 의해 스윙베이스(707) 나아가서는 좌석본체(710)의 승강구(D)와는 반대측으로의 과잉회전이 규제된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실시예의 차량용 회전좌석(701)에 의하면,좌석본체(710)를 회전 조작하면,이것과 연동하여 스윙 록기구(720)가 잠금·잠금해제되므로,사용자는 종래와 같이 일부러 수동에 의하여 스윙 록기구를 조작할 필요는 없고,이것에 의해 그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본 실시예의 차량용 회전좌석(701)에 의하면,록홀더(722)의 하부 전방 모서리부의 위치 조정플레이트(722b)가 앵커후크(724)의 선단부(724a)에 맞닿아서 밀려 올라감으로써, 해당 록홀더(722)가 위쪽으로 회전해서 잠금위치에 유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이것에 대하여, 이 록홀더의 잠금방향으로의 회전동작 및 잠금위치에서의 유지를 예를 들면,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하여 달성하는 구성으로 하면,예를들어 차량이 후방 충돌된 경우 또는 험로(險路)를 주행하는 경우 등을 상정하면,후방충돌에 의하여 발생하는 충격(관성력)또는 험로 주행에 따른 진동에 의하여, 록홀더가 스프링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잠금해제방향으로 회전되어 버리고,그 결과,좌석본체(710)가 차량의 전방으로 회동인출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이 점,예시한 실시예의 구성에 의하면,별도로 설치한 회전 록기구에 의하여 좌석본체(710)가 차량의 정면방향으로 유지되어 있는 한, 록홀더(722)가 앵커후크(724)에 의하여 밀려올라가서 스윙 록위치에 기계적으로 유지되기 때문에,상기 큰 충격이나 진동 등이 발생한 경우라도,좌석본체(710)의 스윙 록상태가 확실하게 유지된다.
또,좌석본체(7l0)를 차량 정면방향으로 위치시키면,스윙베이스(707)의 후단부(707a)가 앵커후크(724)의 凹부(724b)에 끼워넣어져서 해당 좌석본체(710)의 과잉회전이 방지된다.
여기에서,탑승자의 승강시에 이루어지는 좌석본체(710)의 통상의 회전조작의 범위(통상회전범위)는,차량 정면방향의 위치와 승강구(D)측으로 향하는 위치와의 사이의 거의 90。의 범위이고,상기 앵커후크(724)의 凹부(724b)에 스윙 베이스(707)의 후단부(707a)가 끼워넣어짐으로써,이 통상 회전범위를 넘는 과잉회전 즉 차량정면 방향의 위치로부터 다시 실내측으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도 6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석본체(710)의 회전중심 C(회전판 704의 위치)가 해당 좌석본체(710)의 중심G(시트홀더709 및 스윙베이스(707)를 포함한 무게중심,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동일함)에 대하여 실외측으로 편심되어 있는 경우에,후방충돌 등에 의하여 후방으로부터 차량에 큰 충격이 가해지면,좌석본체(710)은 그 회전중심C와 무게중심 G의 위치관계로부터 도 67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실내측으로 회전하는 방향의 힘을 받는다.
그렇지만,예시한 바와 같은 과잉회전 방지구조에 의하면,도 6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윙베이스(707)의 후단부(707a)로서,회전중심 C보다도 실내측단부(도시한 상측의 단부)에 앵커후크(724)가 걸어맞춤되어 있으므로,그 도시한 시계방향의 회전이 저지되도록 되어 있다.이 때문에,상기한 바와 같이 차량이 후방충돌된 경우에도 좌석본체(710)를 소정의 위치(정면으로 향하는)에 확실하게 유지해 둘 수 있다.
또한, 좌석본체(710)의 회전위치는 별도로 설치한 회전 록기구에 의하여 유지되는 것이지만, 이 과잉회전 방지기구에 의하여 더욱 확실한 위치에 유지를 할 수 있다. 또,좌석본체(710)를 차량의 정면방향으로 위치시키면,스윙베이스(707)의 후단부(707a)가 앵커후크(724)의 凹부(724b)에 끼워넣어지므로,해당 스윙베이스(707)에,시트벨트를 개재하여 부가되는 상방으로의 큰힘(좌석본체 710를 들어올리는 방향으로의 힘)을 이 앵커후크(724)에 의해서도 받을 수 있고,이것에 의해 이른바 시트 충격하중(전방 충돌시에 시트벨트를 개재하여 부가되는 큰 충격 하중)에 대한 해당 회전좌석(701)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여러 가지 변경을 가해서 실시할 수 있다.예를 들면,,차량 좌측에 배치한 회전좌석을 예시했지만,차량우측에 배치한 회전좌석에 대하여 예시한 스윙 록기구를 적용할 수 있다.
또,록홀더(722)의 잠금해제 방향의 되돌림을 그 자중 및 인장 스프링(725)에 의하여 행하는 구성을 예시했지만,인장 스프링(725)대신에 비틀림 스프링 또는 압축 스프링을 이용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앵커후크(724)에 스윙베이스(707)의 후단부(707a)가 맞닿음으로써, 좌석본체(710)의 과잉회전을 방지하는 구성을 예시했지만,통상 설치되는 회전 록기구에 의하여 충분히 과잉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이 앵커후크(724)에 의한 과잉회전 방지기구를 생략해도 좋다.
다음에,청구항 11 및 청구항 12에 기재한 발명의 실시예(제 9실시예)를 도69∼도 75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차량용 회전좌석(890)의 시트 슬라이드장치(891)로서는 도 73 내지 도 75에 나타낸 구성의 것이 있다. 이 차량용 회전좌석(890)은 운전석과 인접하는 조수석에 설치되어,그 플로어(892)위의 소정의 위치에는 시트 받침대(893)가 설치되고,이 시트 받침대(893)의 위에는 회전판(894)이 설치되어 있다.또,이 회전판(894)의 위에는 소정의 길이의 좌우 한쌍의 슬라이드홈(896)을 갖는 시트 슬라이드 레일(895)이 소정의 간격으로 평행하게 설치되고,이 시트 슬라이드 레일(895)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슬라이드부재를 개재하여 베이스(897)가 시트 슬라이드 레일(895)을 따라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이 베이스(897)의 좌우 가장자리부의 후방측에는 한쌍의 사절링크암(898), (899)의 하단부가 장착되고,이 사절링크암(898), (899)의 상단부에는 대략 く형상의 회동인출암(860)이 장착됨과 동시에,이 좌우의 회동인출암(860)의 수평부(861)사이에 보강틀이 설치되고,이 수평부(861)에 좌석본체(862)가 설치되어 있다. 또,베이스(897)측과 수평부(861)의 하부면측과의 사이에는 스윙 록기구(863) 및 스토퍼기구(864)가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또,좌석본체(862)는 도 73에 나타낸 상태에서 전면측으로 지향하여,좌우측 시트 슬라이드 레일(895)도 전후방향으로 위치하고 있고, 이 상태에서 도 7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좌우측 시트 슬라이드 레일(895)의 하방위치에서 시트 받침대(893)의 외측이 되는 플로어(892)상의 소정의 위치에 단면이 대략 コ형상인 후크 브라켓(865)이 4군데 배치되고,이 후크 브라켓(865)의 상편(865a)에는 도 7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쿠션재(866)가 설치되어 있다.또,좌우 한쌍의 시트 슬라이드 레일(895)에는 이 후크 브라켓(865)과 결합 및 분리되는 전방부 후크(867)와 후방부 후크(868)가 설치되어 있다.또,예를 들면, 좌석본체(862) 또는 회동인출암(860)측에는 시트벨트(869)의 시트벨트 앵커(870)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된 차량용 회전좌석(890)은 회전판(894)을 개재하여 시트 슬라이드 레일(895)을 승강구측으로 회전함으로써 좌석본체(862)가 승강구측으로 지향하고,동시에 후크(867), (868)가 후크 브라켓(865)과의 걸어맞춤으로부터 벗어나고, 이 상태에서 베이스(897)를 시트 전방으로 슬라이드시키면,스윙 록기구(863)가 스토퍼기구(864)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서 수평부(861)의 하부면에 설치된 발톱이 분리되며,그 후,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사절링크암(898), (899)의 액추에이터를 작동함으로써 좌석본체(862)는 회동인출암(860)을 개재하여 실외로 하강회동인출됨과 동시에,좌석본체(862)는 노면으로부터 소정높이의 높이로 스윙 다운되어,탑승자는 예를 들면, 휠체어로 갈아타는 것이 가능하다. 또,좌석본체(862)를 실내측에 위치시키는데에는 상기와 반대로 조작하는 것으로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간다.
그러나,이 차량용 회전좌석(890)의 시트 슬라이드장치(891)를 구성하는 시트 슬라이드 레일(895)은 회전판(894)의 상부에 설치되고,또,이 시트 슬라이드 레일(895)에는 좌석본체(862)가 차량 정면방향으로 지향할 때에,전후부의 후크(867), (868)가 플로어(892)에 배치된 후크 브라켓(865)과 걸어맞춤되어 시트벨트(869)로부터의 충격하중을 플로어(892)측으로 전달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좌석본체(862)의 회전시,그 수평회전의 고르지 않은 상태에 의하여 전후부의 후크(867), (868)와 후크 브라켓(865)에 설치된 쿠션재(866)가 간섭해서,쿠션재(866)의 이탈에 의하여,회전조작이 악화되는 문제가 생기고,또,시트벨트에 의한 충격하중 대책의 구성부품이 많고 고비용으로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청구항 11 또는 청구항 12에 기재한 발명은,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간단한 구성으로 좌석본체의 전후방향의 슬라이드를 안정화하는 것이 가능하고,또한 벨트하중 대책을 할 수 있는 시트 슬라이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음에 설명하는 제 9실시예에 있어서,상기 각 실시예와 동일한 점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도 6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지지대의 2개의 내측레일(811), (811)의 외측면에는,도 70에 나타낸 바와 같이 V형상의 홈부(811a)가 형성되어 있다.한편,전후방향지지대의 베이스(83l)의 양측부에는,외측레일(832), (832)이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다.양 외측레일(832), (832)은 상기 내측레일(811), (811)의 외측을 따라 배치되어 있고,그 내측 레일(811)에 대향하는 측면에도 상기 홈부(811a)와 동일한 홈부(832a)가 대향해서 형성되어 있다.이와 같이 배치한 내측레일(811)과 외측레일(832) 사이에는,홈부(811a), (832a)에 끼워 넣은 상태에서 다수의 강구(전동체라고도 한다)(833)∼(833)가 끼워넣어져 있고,이것에 의해 좌우 한쌍의 직선 안내기구(834), (834)가 구성됨과 동시에, 또한,내측레일(811), (811)의 내측 베이스(831)상의 소정의 범위에는,동 내측레일(811), (811)을 슬라이드 가능하게,또한 외측레일(832)의 벗어남을 방지하기 위한 단면이 대략 L형상의 가드레일(837)이 부설되어 있다. 이 양 직선안내기구(834), (834)에 추가해서 가드레일(837)을 설치함으로써 회전지지대 더 나아가서는 승강장치 및 좌석본체(802)가 차량의 전후방향에 따라 흔들림이 없이 원활하게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도시는 생략했지만 전후방향지지대의 베이스(831)는 차량의 플로어에 볼트에 의하여 고정되어,이것에 의해 해당 회전좌석이 차실내의 소정위치(조수석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동체를 강구(833)로 예시했지만,이것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예를 들면, 원주체를 한 롤러라도 좋다.
또,도 71 및 도 7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차량용 회전좌석이 전후방향 슬라이드범위의 후단 위치에서 슬라이드 록킹되었던 상태(도 9에 있어 원주체부83a가 잠금구멍 31a에 삽입된상태)에서는,내측레일(811), (811)의 후단부측의 회동인출부(811b), (81lb)가 소정의 길이만큼 후방으로 회동인출되어 있고,이 회동인출부(811b), (811b)의 이동경로의 차량의 플로어측에는 동 회동인출부(811b), (811b)를 삽입이탈 가능하게 삽입하는 대략 역 U형상의 후크부재(839)가 배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제 9실시예의 차량용 회전좌석에 의하면,회전지지대의 회전판(813)을 설치한 내측레일(811), (811)은 전후방향지지대의 베이스(831)에 병설된 외측레일(832)의 내측에 복수의 강구(833)를 개재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이 내측레일(811), (8l1)의 뒷부분에 소정길이의 회동인출부(811b), (811b)를 형성해서,동 회동인출부(811b), (811b)는 플로어측에 배치한 후크부재(839)에 삽입이탈 가능하게 삽입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따라서 좌석본체(2)가 차내측위치(WO)에 위치한 상태(도11(a)의 상태)에서,내측레일(81l), (811)의 회동인출부(811b), (811b)는 후크부재(839)에 삽입되어 있으므로,예를 들면, 차량의 주행중에,급브레이크,충돌 등에 의하여 시트벨트에 작용하는 벨트하중에 의한 내측레일(811), (811)의 떠오름이 방지됨과 동시에,후크부재(839)를 개재하여 하중을 플로어측으로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고 직선 안내기구(834)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이 내측레일(8ll), (811)의 내측에는 베이스(831)위에 외측레일(832)과 병설해서 내측레일(811), (8l1)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가드레일(837)을 설치하는 구성 하였으므로,내측레일(811), (811)의 변형을 억제해서 강구(833)의 이탈을 방지해서 직선안내기구(834)의 전후방향으로의 이동을 안정유지 할 수 있다.
다음에,청구항 13에 기재한 발명의 실시예(제 10실시예)를 도76∼도82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 1실시예와 동일한 점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좌석본체(2)의 차량 전후방향의 슬라이드 동작과 ,승강구(D)측으로의 회전동작을 연동시킨 차량용 회전좌석(950)은 도 8l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의 플로어 위에 설치한, 슬라이드 레일(932), (932)을 개재하여 차량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회전지지대(910)와,그 회전지지대(910)에 설치한 회전판(913)을 개재하여 회전하는 좌석본체(902)를 구비하고,회전·슬라이드 연동기구(950)는 차량 플로어 측에 설치한 랙(955)과,회전지지대(910)에 설치한 중간기어(956)와,좌석본체(902)측에 설치한 부채형의 피니언 기어(957)를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중간기어(956)는 평상시 랙(955)과 치합되어 있다. 또한, 이 중간기어(956)에는 좌석본체(902)가 일정각도α 만큼 실외측으로 회전하면 피니언 기어(957)가 치합되기 시작한다.피니언 기어(957)는 도시한 바와 같이 거의 90도 범위의 원호형상을 갖고,그 치합 초기측(반시계회전방향의 단부측)의 일정각도α의 범위에는 치합 이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좌석본체(2)를 그 착좌위치(도면중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정면을 향한 위치)로부터 도시한 반시계 회전방향(승강구측)으로 회전되기 시작한 당초각도α의 범위는 피니언 기어(957)와 중간기어(956)는 치합되지 않고,따라서 좌석본체(2)는 회전할 뿐으로 차량전방으로는 이동하지 않는다
(비 연동범위).
좌석본체(902)를 승강구측으로 각도α이상 회전시키면,중간기어(956)에 피니언 기어(957)가 치합되기 시작하고,이 시점으로부터 그 회전동작과 연동하여 좌석본체(902)가 차량전방으로 이동한다(연동범위).
이와 같이 상기 회전슬라이드 연동기구(950)에 의하면,좌석본체(902)를 승강구측(도 81에 있어서 하측)을 향하여 일정각도α 회전시키면,이후 이 회전동작과 연동하여 좌석본체(902)가 차량앞쪽(도 81에 있어서 왼쪽)슬라이드하므로, 상기 두개의 동작을 하나의 조작으로 행하게 할 수 있고,이것에 의해 이런 종류의 차량용 회전좌석의 사용의 편리성을 더욱 양호하게 할 수 있다.
그렇지만,상기회전·슬라이드 연동기구(950)에도 다시 개량을 가해야 할 점이 있었다.즉,도 8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회전·슬라이드 연동기구(950)에 있어서는,피니언 기어(957)와 중간기어(956)가 치합을 개시할 때(좌석본체 2를 차량의 정면방향 위치로부터 승강구측으로 각도α 회전시킨 때)에 있어서의 양 기어(957), (956)가 순조로운 치합을 실현하기 위해,피니언 기어(957)에는 표준치형의 것을 사용하는 한편,중간기어(956)의 치합 개시부에 1개소의 치합 이가 없는 결치부(956a)를 설치하고, 또한 결치부(956a)에 인접하는 치합되는 이는 이높이를 단축한 단축치(956b)로 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구성에 의하면 비 연동 범위로부터 연동 범위로 이행하는 치합 개시시에는 순조로운 치합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이지만,역으로 연동 범위로부터 비연동범위로 이행하는 치합 완료시(좌석본체 2를 승강구측으로부터 차량 정면방향으로 되돌리는 경우에 있어서 차량 정면방향의 위치까지 나머지 각도α의 시점)에 있어서,중간기어(956)에 설치한 단축치(956b)에 피니언 기어(957)의 치합이가 치합되지 않기 때문에 회전동작과 슬라이드 동작이 연동되지 않고,그 결과 좌석본체(2)가 슬라이드 후단위치의 착좌위치에 정확하게 되돌아오지 않은 채 회전방향의 위치에 대해서는 차량 정면방향으로 되돌아오는 문제가 있었다.
이 동작불량이 발생하면,예를 들면, 좌석본체(2)의 회전동작과 연동하여 작동하는 슬라이드 록기구(80)(제 1실시예의 도 9 참조)를 갖는 경우에는,좌석본체(2)가 슬라이드 후단위치에 되돌아오지 않은 상태에서 이 슬라이드 록기구(80)가 작동해 버리고,그 결과 슬라이드 후단측에서의 슬라이드 록기구(80)가 실제로는 기능하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청구항 10에 기재한 발명은,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치합 개시시뿐만 아니라 치합 완료시에 있어서도 각 기어가 원활하게 또한 확실한 치합을 실현할 수 있는 차량용 회전 시트에 있어서의 회전·슬라이드 연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런데,본 실시예는 좌석본체(2)의 회전동작과 전후방향의 슬라이드 동작을 연동시키기 위한 회전·슬라이드 연동기구(900)에 특징을 지니며,그 밖의 점에 관해서는 특히 변경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도 8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내측의 전후 방향 슬라이드 레일고정측(932)의 측면에는 랙(938)이 설치되어 있다.한편,실내측의 슬라이드 레일이동측(911)의 윗면에는 지지플레이트(935)를 개재하여 중간기어(936)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이 중간기어(936)는 랙(938)과 치합되어 있고, 이 치합상태가 좌석본체(2)의 전후방향의 전체 이동범위에서 유지되도록 랙(938)의 위치 및 길이가 설정되어 있다.
도 76,도 78 및 도 7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기어(936)의 치합 개시부에는,1개소의 치합 이를 떨어져 나가게 해서 된 결치부(936a)가 형성되어 있다.이 점은 종래와 마찬가지이다.단,결치부(936a)에 인접하는 치합되는 이(936b)는 표준치인 채이고,종래의 단축치(956b)와 같이 이높이가 짧게 떨어져 나가지는 않는다.
다음에,피니언 기어(906)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거의 90°범위의 원호형상을 갖고,그 치합 개시측(반시계 회전방향의 단부측,이하 동일함)의 일정 각도범위α(본 실시예에서는 약 26°)에는,후술하는 백래시 억제치(906b)를 제외하고는 치합 이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도 7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피니언 기어(906)의 치합 개시부에는, 2개소가 치합되는 이(좌석본체(2)를 승강구측으로 회전시킨 때에 중간기어(936)에 최초로 치합되는 제 1치(906a1)과 2번째로 치합되는 제 2치(906a2))를 연속시킨 이형치(906a)가 형성되어 있다.이 이형치(906a)의 이의 길이는,도시한 바와 같이 제 2치(906a2)측은 표준치(906a3)에 구비되어 있지만,처음 치합되는 제 1치(906a1)측(치합 개시측,도시한 좌측)에 이를수록 낮아지게끔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이형치(906a)는,도 7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중간기어(936)의 결치부(936a)에 거의 일치하는 이두께를 갖고 있으므로,치합된 상태에서는 결치부(936a)안에 거의 맞게 삽입된다.
또한,피니언 기어(906)의 단부로서,비연동 범위의 단부에는 상기 백래시 억제치(906b)가 형성되어 있고,좌석본체(2)를 차량 정면방향으로 위치시킬 때에,도 7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백래시 억제치(906b)가 중간기어(936)와 치합되도록 걸어맞춤되고,이것에 의해 중간기어(936)와 랙(938) 사이의 백래시가 억제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회전·슬라이드 연동기구(900)에 의하면,좌석본체(2)를 그 착좌위치(차량 전방을 향한 위치)로부터 승강구측으로 회전시키기 시작한 당초 약 26° 범위는 피니언 기어(906)와 중간기어(936)는 치합되지 않고,따라서 좌석본체(2)는 회전할 뿐이며 차량전방으로 이동하지는 않는다(비연동 범위).
좌석본체(902)를 승강구측으로 또한 회전시키면,피니언 기어(906)가 중간기어(936)와 치합되기 시작한다.이 때문에,좌석본체(2)의 회전동작과 연동하여 중간기어(936)가 회전한다.중간기어(936)는 랙(938)과 치합되어 있으므로 회전함과 동시에 차량전방으로 이동하고,이것에 의해 회전지지대(910)가 차량 전방으로 이동하고,더 나아가서는 좌석본체(902)가 승강구측으로 회전하면서 차량 전방으로 이동한다(연동 범위).
여기에서,좌석본체(902)의 승강구측으로의 회전동작에 따라서, 피니언 기어(906)가 중간기어(936)와 치합되기 시작하는 시점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피니언 기어(906)는 도 76 중 화살표 방향(치합 개시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다.피니언 기어(906)의 치합 개시부에는,두개의 치합되는 이(제 1치(906a1)와 제 2치(906a2)) 사이를 메우고 하나의 연속한 치형의 이형치(906a)가 설치되어 있으므로,피니언 기어(906)와 중간기어(936)의 치합 개시시점에서 양 치합 이(906al), (906a)사이에 중간기어(936)의 치합 이(936b)가 물려들어가지는 않으며,이것에 의해 이가 건너뛰는 일이 없는 확실한 치합 개시상태를 얻을 수 있다.피니언 기어(906)와 중간기어(936) 사이에서 이가 건너뛰는 일이 생기면,전후방향의 슬라이드 록기구(80) 및 회전 록기구(70)(제 1실시예의 도 7 참조)가 정상적으로 기능하지 않는 문제가 있지만,상기 이형치(906a)에 의해 그러한 이의 건너뜀이 생기지 않기 때문에,상기 슬라이드 록기구(80) 및 회전 록기구(7O)를 확실하게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피니언 기어(906)의 이형치(906a)는,도 7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치(906a1)측의 이높이가 제 2치(906a2)(표준 치)보다도 낮게 형성되어 있으므로,이 이형치(906a)가 중간기어(936)의 치합되는 이(936b)(결치부 936a의 치합시작 방향 앞쪽의 치합 이(936b)와 간섭되는 일 없이 결치부(936a)와 치합되고,이것에 의해 피니언 기어(906)가 중간기어(936)에 원활하게 치합된다.
또한,제 1치(906a1)의 이높이는,결치부(936a)의 회전방향 앞쪽의 치합 이(936b)와는 치합되지 않지만,결치부(936a)의 회전방향 선단측의 치합 이(936c)와 치합되는 범위에서 낮게 설정되어 있다.
다음에,좌석본체(902)를 승강구측으로부터 차량 정면방향으로 되돌리는 경우에, 피니언 기어(906)는 도 7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이 경우,피니언 기어(906)의 이형치(906a)는 제 2치(906a2)측이 중간기어(936)의 치합되는 이(936b)와 치합된다.제 2치(906a2)측의 이높이는 표준치와 동일한 치수로 설정되어 있으므로,이 경우 이형치(906a)는 중간기어(936)의 치합되는 이(936b)에 확실하게 치합되고,따라서 중간기어(936)에 대한 피니언 기어(906)의 치합상태는 좌석본체(902)가 슬라이드 후단위치에 완전하게 되돌아올 때까지 확실하게 유지된다.이점,종래에는,중간기어(956)의 단축치(956b)에 피니언 기어(957)가 치합되지 않기 때문에 좌석본체(902)가 슬라이드 후단위치에 되돌아오지 않는 문제가 있었지만,본 실시예의 회전·슬라이드 연동기구(900)에 의하면 이와 같은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다음에,슬라이드 록기구(80)에 있어서,강구(85)가 슬라이드록 해제 플레이트(7)로부터 벗어나서 슬라이드록이 해제되는 타이밍(도9 중,상대 위치(b)로 되는 타이밍)은,좌석본체(902)가 회전 조작되어서 피니언 기어(906)의 이형치(906a)가 중간기어(936)의 결치부(936a)와 치합되기 직전으로 설정되어 있다. 즉,좌석본체(9O2)를 앉는 위치로부터 승강구측으로 회전시키기 시작한 초기의 약 26°의 범위에서는,강구(85)가 슬라이드록 자동해제 플레이트(7)에 맞닿고 유지체(83)의 원주체부(83a)가 잠금구멍(31a)에 삽입된 상태(도9 중,상대 위치(a)의 상태)로 유지되고,이것에 의해 좌석본체(902)가 전후방향 이동불가능으로 잠금된 상태로 유지된다.
좌석본체(902)를 약 26°회전 조작한 시점에서,슬라이드록 자동해제 플레이트(7)로부터 강구(85)가 벗어난다(도9 중,상대 위치(b)의 상태). 그러면,유지체(83)가 압축 스프링(84)에 의하여 위쪽으로 변위하고,그 원주체부(83a)가 잠금구멍(3la)으로부터 빼내지고(도9 중,상대위치(c)의 상태),이것에 의해 좌석본체(902)가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상태가 된다(슬라이드록의 자동 해제).이후,좌석본체(902)가 승강구측을 향한 횡방향위치에 이르기까지,강구(85)는 피니언 기어(906)의 하부면에 가압된 상태로 유지되어,슬라이드록의 해제상태가 유지된다.
역으로,좌석본체(902)를 승강구측을 향한 횡방향 위치로부터 착좌위치로 향해서 약 64°회전조작하는 사이는,슬라이드 록기구(80)의 유지체(83)가 위쪽으로 변위한 상태로 유지되어서,슬라이드록이 해제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좌석본체(902)는 착좌 위치로 향해서(시계방향으로)회전하면서 후방으로 이동한다.좌석본체(902)는 횡방향 위치로부터 약 64°회전 조작한 시점에서,차량 전후방향에 대해서 후방위치로 되돌아옴과 동시에,강구(85)가 슬라이드록 자동해제 플레이트(7)에 올라타서 유지체(83)가 압축 스프링(84)에 대항해서 내리 눌려지고,이것에 의해 그 원주체부(83a)가 잠금구멍(31a)에 다시 삽입되고,따라서 해당 좌석본체(902)가 후방위치에서 전후방향 이동불가능으로 록킹된다(도9 중,상대 위치(a)의 상태).그 후,좌석본체(902)는 약 26°회전동작만 해서,차량앞쪽을 향한 착좌위치로 되돌아온다.
이와 같이 슬라이드 록기구(80)는 좌석본체(902)의 회전동작과 전후방향으로의 이동동작이 연동되는 타이밍에 맞추어서 자동적으로 잠금·잠금해제되도록 되어 있고,상기 슬라이드록 자동 해제플레이트(7)는 이것을 실현할 수 있는 치수 및 형상으로 설정되고,또 그 설치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여기에서,종래의 회전·슬라이드 연동기구(950)에 있어서,상기한 바와 같이 피니언 기어(957)가 중간기어(956)의 단축치(956b)와 치합되지 않기 때문에,좌석본체(902)가 슬라이드 후단위치에 되돌아오지 않은채 차량 정면방향으로 되돌아와 버리면,상기 슬라이드 록기구(80)에 있어서 강구(85)가 슬라이드록 자동해제 플레이트(7)에 올라타서 유지체(83)가 아래쪽으로 내리 눌려진 시점에서는,그 원주체부(83a)의 아래쪽에는 아직 잠금 구멍(31a)이 위치하고 있지 않은 상태가 발생하고,이 경우에는 유지체(83)가 슬라이드록 자동해제 플레이트(7)와 전후방향지지대(30)의 베이스(31) 사이에 끼게 되어,그 결과 슬라이드 록기구(80)가 올바르게 기능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좌석본체(902)의 회전동작 불량도 초래한다.
이것에 대하여,상기 제 10실시예의 회전·슬라이드 연동기구(9O0)에 의하면,피니언 기어(906)와 중간기어(936)의 치합 상태가 최후까지(좌석본체 902가 슬라이드 후단위치에 완전하게 되돌아올 때까지)유지되기 때문에,강구(85)가 슬라이드록 자동해제 플레이트(7)에 올라타는 단계에서는,원주체(83a)의 아래쪽에 잠금구멍(31a)이 확실하게 위치하고 있고,따라서 상기와 같은 슬라이드 록기구(80)의 동작 불량등을 초래하는 일은 없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제 l0 실시예의 회전·슬라이드 연동기구(990)에 의하면,중간기어(936)의 치합 개시부에 결치부(936a)를 설치하는(종래의 단축치 906b를 폐지)한편,피니언 기어(906)의 치합 개시부에 상기 중간기어(936)의 결치부(936a)에 맞추어서 이형치(906a)를 설치하고,이 이형치(906a)의 제 l치(906a1)측의 이높이를 표준치(906a3)보다도 낮게 설정했기 때문에,좌석본체(902)를 승강구(D)측으로 회전시키는 치합 개시단계에서는,이형치(906a)의 제 1치(906a1)측이 중간기어(936)의 치합되는 이(936b)와 간섭하는 일이 없이 결치부(936a)에 끼워넣어지고,이것에 의해 피니언 기어(906)가 원활하게 또한 이의 건너뜀이 없는 치합을 실현할 수 있다.
역으로,좌석본체(902)를 실내측으로 회전시키는 치합 완료 단계에서는,이형치(906a)의 제 2치(906a2)측의 이높이가 표준치와 동일치수로 설정되어 있으므로,중간기어(936)의 치합 이에 대하여 확실하게 치합되고,이것에 의해 중간기어(936)를 최후까지 회전시켜서,좌석본체(902)를 슬라이드 후단위치까지 후퇴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회전·슬라이드 연동기구(900)에 의하면,피니언 기어(906)의 중간기어(936)에 대한 치합 개시시에는 원활하고 또한 이의 건너뜀이 없는 치합을 실현할 수 있음과 동시에,치합완료 시에는 최후까지 확실한 치합 상태가 유지되어서 좌석본체(902)가 슬라이드 후단위치에 까지 확실하게 되돌아오기 때문에, 그 후 좌석본체(902)를 다시 실내측으로 회전시켜서 슬라이드 록기구(80)를 작동시키면,유지체(83)의 원주체부(83a)가 확실하게 잠금구멍(31a)에 삽입되어,이것에 의해 해당 슬라이드록 기구(80)를 확실하게 기능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제 10실시예에는 여러가지 변경을 가할 수 있다.예를 들면,,예시한 실시예에서는,중간기어(936)를 개재하여 피니언 기어(906)를 랙(938)에 간접적으로 치합되게 하는 구성으로 설명했지만,중간기어(936)를 개재시키지 않고 피니언 기어를 직접 랙과 치합되게 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이 경우에는,좌석본체(902)의 회전방향과 슬라이드 방향과의 정합성을 확보하기위해,랙은 실외측(도 80에 있어서 하측)의 슬라이드 레일에 따라,즉 제 10실시예에 있어서 랙(938)과는 반대측에 설치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중간기어(936)를 거치지 않고 직접 피니언 기어를 랙과 치합되게 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라도 랙의 치합 개시부에 결치부를 설치하는 한편,피니언 기어의 치합 개시부에 이형치를 설치하고,이 이형치의 치합 개시측의 이의 길이를 표준치보다도 낮게 설정함으로써,상기 제 10실시예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나타낸다.
탑승자의 발밑의 공간을 희생으로 하지 않으면서도,사용하기에 편리한 차량용 회전좌석을 제공한다.

Claims (13)

  1. 좌면 중심보다도 승강구측으로 편심된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좌석본체를 회전 지지하는 회전지지대와,이 회전지지대를 차량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전후방향지지대와,상기 좌석본체의 회전동작과 차량 전후방향의 이동동작을 연동시키기 위한 연동수단을 구비하고,이 연동수단은 상기 좌석본체의 하부면측에서 상기 회전중심의 실내측에 부착된 피니언 기어와,상기 전후방향지지대에 전후방향을 따라 부착되고,중간기어를 개재하여 상기 피니언 기어와 치합되는 랙을 구비한 차량용 회전좌석.
  2. 제 1항에 있어서,
    좌석본체를 차량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폭방향지지대와,상기 좌석본체의 차량의 폭방향 이동중에 있어서의 전후방향의 이동을 금지시키기 위한 스토퍼부재를 구비하고,이 스토퍼부재는,상기 전후방향지지대에,상기 좌석본체의 전후방향의 이동경로를 따라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고,상기 전후방향지지대가 상기 폭방향지지대의 실내측 단부에 이르면 상기 좌석본체의 이동경로로부터 벗어나서 좌석본체의 전후방향의 이동을 허용하고,상기 전후방향지지대가 상기 폭방향지지대의 실내측 단부로부터 실외측으로 이동하면,상기 좌석본체의 이동경로로 진입해서 좌석본체의 전후방향의 이동을 금지하는 구성으로 한 차량용 회전좌석.
  3. 제 1항에 있어서,
    회전지지대와 좌석본체 사이에서,이 좌석본체를 차량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폭방향지지대를 구비하고,이 폭방향지지대는 상기 좌석본체가 차량의 폭방향 외측으로 이동할수록 그 좌석본체를 낮은 위치로 변위시키는 구성으로 한 차량용 회전좌석.
  4. 제 2항에 있어서,
    폭방향지지대로부터 좌석본체를 이탈시키고,이 좌석본체를 휠체어로서 전용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한 차량용 회전좌석.
  5. 제 2항에 있어서,
    전후 방향지지대 및/또는 폭방향지지대가,외측레일과 내측레일 사이에 다수의 강구를 끼워 넣은 직선 슬라이드기구를 갖는 구성으로 한 차량용 회전좌석.
  6. 제 1항에 있어서,
    사절링크기구를 주체로 하는 스윙 회동인출장치를 구비하고,이 스윙 회동인출장치에 의하여 상기 좌석본체를 차량의 폭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또한 상기 스윙 회동인출장치로부터 좌석본체를 이탈시켜서, 이 좌석본체를 휠체어로 전용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한 차량용 회전좌석.
  7. 제 1항에 있어서,
    사절링크기구를 주체로 하는 스윙 회동인출장치를 구비하고,이 스윙 회동인출장치에 의해 상기 좌석본체를 차량의 폭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또한 상기 스윙 회동인출장치로부터 좌석본체를 이탈시켜서, 이 좌석본체를 휠체어 시트로 전용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한 차량용 회전좌석.
  8. 제 1항에 있어서,
    사절링크기구를 주체로 하는 스윙 회동인출장치를 구비하고,이 스윙 회동인출장치에 의하여 상기 좌석본체를 차량의 폭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고,또한 상기 스윙 회동인출장치의 구동원으로서의 전동모터를 사용하며,이 전동모터는 그 나사축을 시트전방을 향해서 배치한 차량용 회전좌석.
  9. 제 1항에 있어서,
    사절링크기구를 주체로 하는 스윙 회동인출장치를 구비하고,이 스윙 회동인출장치에 의하여 상기 좌석본체를 차량의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고,또한 차량의 주행시에 있어서의 충격 부가시에만 기능하여 상기 스윙 회동인출장치에 의한 상기 좌석본체의 차량 전방으로의 이동을 금지하는 한편,차량 정지시에 있어서의 통상의 조작시에는 상기 좌석본체의 차량의 폭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는 스윙 록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회전좌석.
  10. 제 1항에 있어서,
    사절링크기구를 주체로 하는 스윙 회동인출장치를 구비하고,이 스윙 회동인출장치에 의하여 상기 좌석본체를 차량의 폭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고,또한 상기 좌석본체를 차량 정면방향에 위치시키면 그 좌석본체의 상기 스윙 회동인출장치에 의한 차량 전방으로의 이동을 금지시키는 한편,그 좌석본체를 승강구측으로 회전시키면,상기 스윙 회동인출장치에 의한 차량의 폭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는 스윙 록장치를 구비한 구성으로 한 차량용 회전좌석.
  11. 제 1항에 있어서,
    전후방향지지대는,고정측레일과 이동측레일 사이에 다수의 전동체를 끼워넣어서 된 직선 슬라이드기구를 구비하고,상기 고정측레일과는 반대쪽 이동측레일을 가이드레일에 의하여 슬라이드 지지하는 구성으로 한 차량용 회전좌석.
  12. 제 10항에 있어서,
    이동측 레일의 이동 경로에 이 이동측레일의 후단부가 출입하는 후크부재를 구비한 차량용 회전좌석.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기어의 치합 개시부에 결치부를 설치하는 한편,상기 피니언 기어의 치합 개시부에 결치부와 치합하는 이형치를 설치하고,이 이형치는,상기 결치부와 거의 일치하는 이두께를 지니며,또한 치합 개시방향 앞쪽의 이높이를 표준치보다도 낮게 하고,치합 개시방향 뒤쪽의 이높이를 표준치에 일치시킨 구성으로 한 차량용 회전좌석.
KR1020007002188A 1997-09-01 1998-08-28 차량용 회전좌석 KR1003361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36053 1997-09-01
JP23605397A JP3374714B2 (ja) 1997-09-01 1997-09-01 車両用回転座席
JP23605497A JPH1178625A (ja) 1997-09-01 1997-09-01 車両用座席の昇降装置
JP9-236054 1997-09-01
JP9-348113 1997-12-17
JP34811397A JP3264237B2 (ja) 1997-12-17 1997-12-17 車両用昇降シート装置
JP00971898A JP3259675B2 (ja) 1998-01-21 1998-01-21 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10-9718 1998-01-21
JP10-40344 1998-02-23
JP04034498A JP3275822B2 (ja) 1998-02-23 1998-02-23 車両用シート
JP07767898A JP3209177B2 (ja) 1998-03-25 1998-03-25 車両用回転シート
JP10-77678 1998-03-25
JP10-99296 1998-04-10
JP09929698A JP3289672B2 (ja) 1998-04-10 1998-04-10 車両用回転座席
JP10-119477 1998-04-28
JP10-119476 1998-04-28
JP11947798A JP3239841B2 (ja) 1998-04-28 1998-04-28 車両用回転座席における回転・スライド連動機構
JP11947698A JP3358534B2 (ja) 1998-04-28 1998-04-28 車両用リフトアップシート
JP10-135371 1998-05-18
JP13537198A JP3266101B2 (ja) 1998-05-18 1998-05-18 車両用リフトアップシート
JP16716598A JP3277886B2 (ja) 1998-06-15 1998-06-15 車両用リフトアップシート
JP10-167165 1998-06-15
PCT/JP1998/003872 WO1999011488A1 (fr) 1997-09-01 1998-08-28 Siege pivotant pour vehicu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3540A true KR20010023540A (ko) 2001-03-26
KR100336165B1 KR100336165B1 (ko) 2002-05-10

Family

ID=27581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2188A KR100336165B1 (ko) 1997-09-01 1998-08-28 차량용 회전좌석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008485B1 (ko)
KR (1) KR100336165B1 (ko)
AU (1) AU734240B2 (ko)
CA (1) CA2302170C (ko)
WO (1) WO19990114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438866C (en) * 2001-02-20 2006-12-05 Toyota Shatai Kabushiki Kaisha Vehicle seat
AU2002330398B2 (en) * 2001-09-14 2005-11-03 Toyota Shatai Kabushiki Kaisha Slide device
EP2109552A1 (en) 2007-02-06 2009-10-21 Freedom Sciences, Llc Seating systems for motor vehicles
KR101597452B1 (ko) 2014-08-29 2016-02-24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차량용 시트의 회전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US10802495B2 (en) 2016-04-14 2020-10-13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User control device for a transporter
US11399995B2 (en) 2016-02-23 2022-08-02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Mobility device
EP4194971A1 (en) 2016-02-23 2023-06-14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Method for establishing the center of gravity for a mobility device
US10926756B2 (en) 2016-02-23 2021-02-23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Mobility device
US10908045B2 (en) 2016-02-23 2021-02-02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Mobility device
USD846452S1 (en) 2017-05-20 2019-04-23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Display housing
CN107973236B (zh) * 2017-11-11 2023-06-06 华强方特(芜湖)文化科技有限公司 一种舞台成排表演的多级调节式单点吊导向系统
WO2019237031A1 (en) 2018-06-07 2019-12-12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ed utility service execution
CN109823239B (zh) 2019-02-14 2023-03-10 延锋国际座椅系统有限公司 汽车座椅电动旋转装置
CN111700762B (zh) * 2020-07-13 2021-12-21 西安交通大学医学院第一附属医院 一种头面部皮肤病治疗机器床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90464A (en) * 1940-05-16 1942-07-21 John J Buchheit Adjustable seat mounting for vehicles
JPS6157047U (ko) 1984-09-21 1986-04-17
JPS62173343A (ja) 1986-01-27 1987-07-30 Fuji Heavy Ind Ltd 自動車用シ−トの回転装置
DE4304941C2 (de) * 1993-02-18 1998-09-10 Faure Bertrand Sitztech Gmbh Kraftfahrzeugsitz
JPH07323767A (ja) * 1994-05-31 1995-12-12 Toyota Auto Body Co Ltd 回転シートの回転機構
JPH09183325A (ja) * 1995-05-30 1997-07-15 Anayama Create:Kk 自動車の座席回転移動装置
JP2956540B2 (ja) * 1995-08-10 1999-10-04 トヨタ車体株式会社 自動車用シート昇降装置
JP3147737B2 (ja) * 1995-09-27 2001-03-19 トヨタ車体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08485B1 (en) 2006-06-21
AU8887698A (en) 1999-03-22
WO1999011488A1 (fr) 1999-03-11
CA2302170A1 (en) 1999-03-11
KR100336165B1 (ko) 2002-05-10
AU734240B2 (en) 2001-06-07
EP1008485A4 (en) 2004-06-30
EP1008485A1 (en) 2000-06-14
CA2302170C (en) 2003-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43848B1 (en) Vehicular turning seat
KR100336165B1 (ko) 차량용 회전좌석
AU740522B2 (en) Vehicular rotary seat
US7677656B2 (en) Modular seat/console for a vehicle
US5524952A (en) Semi-ambulatory companion seating system and method
JP3894169B2 (ja) 車両用シート
JP3941751B2 (ja) 車両用シート
TWI810792B (zh) 輪椅
JP3277886B2 (ja) 車両用リフトアップシート
JP3239841B2 (ja) 車両用回転座席における回転・スライド連動機構
JP3915751B2 (ja) 車両用シート
JP3127904B2 (ja) 車両用リフトアップシート
JP2002119543A (ja) 車両用シートリフト昇降装置
JP2005034326A (ja) シート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車両用シート
JP4473061B2 (ja) 回動補助具
JP3358534B2 (ja) 車両用リフトアップシート
JP4580216B2 (ja) 座席昇降装置
JP3614130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H05220025A (ja) シートクッションのサイドサポート構造
JP2004168266A (ja) 車両用リフトアップシート
WO2005007445A1 (ja) 車両用シート
JP4069920B2 (ja) 車両用シート
JPH11157369A (ja) 乗降補助構造付きシートおよびその乗降補助具
JP2006137371A (ja) 昇降装置のフラッパ
CN117261707A (zh) 一种利用后备厢空间形成反向后排座椅的汽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