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7405A - 간단하게 작동하는 롤러 커버 - Google Patents

간단하게 작동하는 롤러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7405A
KR20000057405A KR1019990704970A KR19997004970A KR20000057405A KR 20000057405 A KR20000057405 A KR 20000057405A KR 1019990704970 A KR1019990704970 A KR 1019990704970A KR 19997004970 A KR19997004970 A KR 19997004970A KR 20000057405 A KR20000057405 A KR 200000574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 bar
roller
cargo space
roller cover
rea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704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3215B1 (ko
Inventor
아멘트에두아르트
셀홀게르
발테르헤르베르트
Original Assignee
바우마이스터 운트 오스틀러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우마이스터 운트 오스틀러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filed Critical 바우마이스터 운트 오스틀러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Publication of KR20000057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7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3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32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60R5/04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 B60R5/045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collapsible or transformable
    • B60R5/047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collapsible or transformable collapsible by rolling-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스테이션 웨건의 트렁크(2) 또는 화물 공간에 대한 스프링 작동식 롤러 블라인드로서 발명된 롤러 블라인드(15)는 강제 안내 장치(27)와, 이 장치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된 롤러 블라인드(17)의 전방 에지를 가진다. 강제 안내 장치(27)는 해치백(8)이 롤러 스트립(17)을 블라인드 하우징(16) 안으로 뒤로 충분히 굴릴 필요가 없이 화물 공간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개방될 때, 롤러 스트립(17)이 위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보장한다.

Description

간단하게 작동하는 롤러 커버{Easy-to-use roller blind}
다른 시스템은 독일 특허 제 DE 29 41 711 C2 호에 공지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스프링 작동식 셰이드(shade)의 타입으로 구성된다. 롤러 블라인드의 테두리(rim)는 와인딩 롤러에 부착되고, 다른 단부는 풀 바에 연결된다.
풀 바는 뒷문이 폐쇄될 때 롤러 블라인드의 전체적인 변화가 화물 공간에 대해서 수평으로 진행되게 하는 높이에서 뒷문의 내부로 후크결합된다.
뒷문의 내부에 풀 바를 부착하면 편리성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뒷문과의 연결구조는 뒷문이 위로 개방될 때, 롤러 블라인드를 자동으로 들어올린다. 따라서, 액세스 개방부는 풀 바의 후크결합을 해제하는 것과 같은 추가 이동없이도 개방된 뒷문으로 자동으로 개방된다.
공지된 해결책의 주요 단점은 뒷문 개방부가 뒷문에 의해서 개방되거나 또는 폐쇄될 때, 풀 바이가 뒷문 개방부로부터 당겨지는 것이 필요하고 한 비트(bit) 위로 이동하는 것이 필요하다. 현대식 차체 형태에서 지붕 구조로 인하여, 뒷문은 지붕을 향해서 점진적으로 좁아져서, 널리 공지된 설계에서 롤러 블라인드의 측부들이 뒷문 개방부의 에지에서 마찰을 일으키도록 실행한다. 이 영역에서, 커버는 보이지 않게 손상을 입는다. 공지된 해결책은 와인딩 롤러 위로 회전하는 롤러 블라인드의 최대 크기가 화물 공간 개방부의 크기가 아니라, 뒷문이 개방될 때, 풀 바의 최종 위치의 로케이션(location)에서 발생한다는 다른 단점을 가진다. 롤러 블라인드의 이러한 양은 단지 화물 공간 개방부를 커버하기 위해 필요한 것 보다 훨씬 크다.
롤러 커버는 화물 공간을 적당한 조치를 하지 않아도 외부로부터 충분히 볼 수 있기 때문에, 화물 공간의 스테이션 웨건(station wagons)에서의 용도가 증가하고 있다. 롤러 커버는 외부 조망으로부터 화물 공간을 향하는 상부를 보호할 수 있다. 롤러 커버는 후방 벤치 백 레스트(rear bench back rest)와, 두 차체벽 및 뒷문에 의하여 한 측부에서 접한다. 한편, 커버는 이 커버가 거의 어떤 공간도 필요로 하지 않는 안착 또는 저장 위치에서 회전할 때, 화물 공간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
화물 공간을 커버하기 위해, 두 개의 다른 시스템이 공지되어 있다. 한 시스템은 로드 또는 후프(hoop)를 갖는 커버 시트로 구성되는 접힘식 커버 타입으로 설계된다. 후프는 차체 측부의 안내 레일에서 이동하고 어느 정도 평행해야 한다. 개방될 때, 중간 위치가 가능하지만, 그 설치작업은 안내 레일로 인하여 비용이 많이 소모된다.
롤러 커버는 여러 중간 위치에서 어떤 시간에도 설치될 수 있다.
도면의 본 발명의 과제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은 개방된 차체를 투시하여 자동차의 트렁크에서 연장된 상부 위치에 있는 본 발명의 롤러 커버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유사도로서 슬라이드되고 강하게 결합된 롤러 커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실시예의 우측 뒷문 테두리를 위에서 투시한 도면.
도 4는 가요성 결합 링크를 갖는 도 1의 유사도로서 롤러 커버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개방된 차체를 투시하여 자동차의 화물 공간에서 중간 위치에 있는 본 발명의 롤러 커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풀 바에 수직하는 평면으로 절단된 제 1 상태에 있는 도 5에 따른 롤러 커버를 위한 안내 홈의 측부 및 단부에 위치한 로킹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의 7-7 라인에 따라 절단한 도 6에 따른 로킹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6에 따른 도시에서 제 2 상태에 있는 도 6의 로킹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6에 따른 도시에서 제 3 상태에 있는 도 6의 로킹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측면도인 도 5의 구조에 대한 로킹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10의 구조를 투시한 도면.
도 12는 제 1 상태에서 부분적으로 개방된 측면도인 도 5의 롤러 커버에 대한 로킹 장치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작동 캠을 투시 확대하고 도 12의 로킹 장치를 위한 홀더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제 3 상태에 있는 도 2의 로킹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자동차 뒷문의 투시도에서 수평 풀 바를 갖는 롤러 커버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도 15의 롤러 커버를 위한 로킹 장치를 제 1 상태에서 측면도로 도시한 도면.
도 17은 제 3 상태에 있는 도 16의 로킹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제 2 상태에 있는 도 16의 로킹 장치를 도시한 도면.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프링 작동식 셰이드와 같으면서 뒷문이 개방될 때, 손상을 입지 않고 다루기 용이하게 설계된 롤러 커버를 생산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청구항 1의 형태를 갖는 롤러 커버에 의해서 달성된다.
적합하게 설계된 강제 안내 장치(compulsory guiding device)를 사용하면, 동시에 화물 공간으로 상대적으로 여유있게 접근(access) 하면서, 뒷문이 개방될 때, 풀 바가 뒷문 개방부로부터 당겨지는 것을 방지한다. 사용자는 뒷문을 개방한 후 롤러 커버의 후크결합을 해제할 필요가 없고 화물 공간으로 접근하기 위해 롤러 커버가 와인딩 롤러 위로 완전히 감겨지게 할 필요가 없다. 또한, 이러한 형태의 강제 안내 장치는 풀 바가 유사한 편리성을 발생시키는 중간 위치에서 원칙대로 작동하는 롤러 커버 및 레일 상의 로드로서 유지되는 것을 허용한다.
롤러 블라인드는 일반적으로 차량의 종방향에 평행한 방향에서 측정된, 화물 공간 개방부의 길이만큼 크다.
비록, 강제 안내 장치는 손으로 작동되어야 하지만, 작동자가 풀 바를 롤러 커버 하우징까지 안내하기 위해, 중간 위치에 도달하도록 앞으로 구부릴 필요가 없다는 점에서 실질적으로 단순한 구성을 가진다.
중간 위치는 여러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다. 중간 위치에 있을 때, 풀 바는 폐쇄 위치 위의 높이로 놓여지고, 다른 경우에는 중간 위치에 있는 풀 바는 단지 하우징 방향으로 후퇴된다.
주변 상황은 강제 안내 장치가 다시 매다는 작업이 요구되지 않도록, 폐쇄 롤러 커버 위치에서 풀 바를 유지할 때, 기술적으로 매우 단순해진다.
풀 바를 폐쇄 위치로부터 중간 위치로 이송시키는 힘 또는 그 반대힘은 풀 바의 운동을 적어도 일부 모션에 대해서 뒷문의 운동에 전달하는 결합 링크에 의해서 얻어질 수 있다. 이 결합 링크는 내압력성 및/또는 가요성으로 설계될 수 있다. 만약, 단지 운동방향을 고려한다면, 그것은 결합 링크가 단지 장력만을 전달할 때, 충족된다. 뒷문 단부에 작용하는 운동이 강제 안내 장치로써 풀 바 상에서 들어올려지는 것 보다 높은 경우에는, 결합 링크는 가요성이 될 수 있다.
강제 안내 장치는 다른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상대적으로 단순한 강제 안내 장치는 화물 공간 또는 트렁크 공간에서 피봇방식으로 설치된 두 개의 원 아암 레버(one-armed levers)로 구성되며, 이 레버는 힌지점으로부터 화물실의 개방 방향으로 향하고, 다른 단부에서 풀 바의 단부를 위한 리셉터클(receptacle)을 가진다. 레버를 손으로 위로 피봇시키거나 또는 뒷문 모션에 의해서 조절함으로써, 액세스 개방부는 소정의 크기에 도달한다.
다른 강제 안내 장치는 화물 공간 개방부의 측방 테두리에 부착된 안내 레일을 사용하고, 슬라이드는 이 안내 레일 위에서 이동한다. 상기 각 슬라이드는 풀 바, 즉, 롤러 블라인드의 연장 단부가 적당한 높이에 설치되어서 화물 공간으로의 접근이 방해를 받지 않도록, 풀 바에 대한 리셉터클을 가진다.
안내 레일과 슬라이드를 사용할 때, 슬라이드는 운동학적으로 뒷문에 연결된다. 뒷문과의 연결구조는 외부로부터의 작동에 대한 더욱 큰 편리성 이외에, 풀 바 단부의 동시 이동을 실행하고 방해를 받는 것을 예방하는 기술적인 장점을 가진다.
뒷문과 강제 안내 장치 사이의 연결 링크 또는 결합 링크를 어떤 방식으로 설계하는 지에 따라서, 스프링은 강제 안내 장치의 단부 배치를 실행하기 위해서 사용되어야 하거나 또는 그와 같은 스프링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뒷문과 강제 안내 장치 사이의 결합 링크가 단단하여 비가요성이면, 스프링이 필요하지 않다. 반대로, 결합 링크가 신장되지 않고 내압축성이 아니면, 스프링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그 운동 스트로크(stroke)가 강제 안내 장치의 운동 스트로크에 대응하도록 뒷문에서 결합 링크에 대한 양호한 방향점이 발견되지 않을 때에는, 후자가 양호할 수 있다. 만약, 스트로크가 너무 작다면, 강제 안내 장치는, 예를 들어, 개방 위치에서 스프링으로 압축응력을 받을 수 있고, 뒷문이 폐쇄될 때 상기 스프링의 작용에 대해서 폐쇄 위치로 후퇴될 수 있다.
또한, 반대 해결책도 적용될 수 있다. 스프링이 안내 레일에서 이동하거나 또는 코일 스프링으로서 레버에 압축응력을 가할 수 있다.
풀 바를 중간 위치로 자동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결합 링크를 사용하는 대신에 다른 실시예는 롤러 블라인드가 와인딩 롤러 상으로 감겨지는 후퇴력을 활용하는 것이다. 각각 뒷문의 동작 또는 위치와 어떤 동시성을 보장하기 위해, 강제 안내 장치와 함께 작용하는 로킹 장치(locking device)가 설치되어야 한다. 이 로킹 장치는 3개의 다른 상태를 가진다. 제 1 상태에서, 풀 바의 운동은 폐쇄 위치로부터 억류되며, 이것은 사용자가 풀 바를 롤러 커버의 폐쇄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로 영구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허용한다. 로킹 장치는 풀 바가 폐쇄 위치로부터 중간 위치로 강제 안내 장치에 의해서 방해받지 않고 이동할 수 있을 때, 제 2 상태를 가진다. 로킹 장치의 제 3 상태는 풀 바를 뒷문의 위치에 따라서 폐쇄 위치에서 유지한다. 풀 바는 뒷문이 폐쇄될 때 상기 위치에서 자동으로 배치된다.
운동학적 주변 상황은 로킹 장치의 상기 3개 상태가 풀 바의 적어도 다른 두 위치에 의해서 실현될 때, 매우 단순해진다. 여기서, 제 2 및 제 3 상태는 롤러 커버의 다른 폐쇄 위치와 여유있게 대응한다; 풀 체인의 위치는 단지 수 밀리미터 만큼 서로로부터 차이난다.
후크 결합(hook in) 및 후크 결합 해제(hook out) 동작은 매우 단순하기 때문에 풀 바가 로킹 장치와 함께 작동할 때, 상황은 특히 간단해진다.
풀 바가 놓여지는 홈이 제공될 때, 로킹 장치는 매우 간단해진다. 상기 홈은 와인딩 롤러의 장력이 포켓 안으로 풀 바 단부의 자동 삽입을 유발하도록, 포켓형 리세스 또는 슬롯을 가진다; 포켓에서 풀 바의 상기 위치는 로킹 장치의 제 1 상태에 대응한다.
제 3 상태에서 포켓으로부터 풀 바를 이송하기 위해, 포켓은 사용되는 가동벽(movable wall) 또는 대응하는 리프팅 링크(lifting link)를 가질 수 있다. 이 리프팅 링크는 뒷문이 폐쇄될 때, 로킹 장치의 제 3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풀 바를 이동시키는 캠(cam)일 수 있다.
뒷문이 개방되는 동안 풀 바가 제 3 위치에 남아 있도록, 그 시간 동안 홈과 로킹하는 홀더가 사용될 수 있다.
이 홀더는 뒷문의 이동 경로 안으로 연장하는 램(ram) 또는 케이블에 의해서 작동되는 슬라이드 또는 뒷문에서 좌정된 램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의 또 다른 실시예는 종속항에 기재되어 있다.
도 1은 스테이션 웨건 또는 자동차의 뒷문(1)을 도시한 투시도. 화물 공간(2)은 단지 우측벽(4)만 보여지는 두 측벽 뿐 아니라 바닥부(2)에 의해서 한정된다. 후방 측부 윈도우(5)는 상기 우측벽(4) 위에 있으며, 후방 벤치의 시트 백(6)은 화물 공간(2)의 전방 경계면을 형성한다. 측부 윈도우(6)는 바닥부(3) 위에서 간격을 두고 하부 테두리에서 종결된다.
화물 공간(2)에는 뒷문 도어(8)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로킹될 수 있는 뒷문 개방부(7)에 의해서 접근하게 된다. 뒷문 도어(8)는 힌지(9)에 의해서 차체에 연결되고 가스 압력 스프링(11)으로 개방 위치에서 유지될 수 있다. 뒷문 개방부(7)는 지붕에서 상부 테두리(13)와 상기 바닥부(3)에서 위치한 화물 보드 테두리(14)에 의해서 한정된다.
폐쇄된 뒷문 도어(8)에는 테두리에서 이 도어(8)의 내측부와, 후방 벤치 백 레스트의 후방 측부에 의해서 제한된 위로 개방된 화물 공간이 있다. 이 화물 공간 개방부는 외부로부터 화물 공간(2) 안을 투시할 수 있게 한다.
외부로부터 화물 공간(2)을 보호하기 위해, 롤러 커버(15)가 사용된다. 화물 공간 개방부를 커버하기 위해, 롤러 블라인드(17) 뿐 아니라 하우징(16)을 포함한다.
이 하우징(16)은 백 시트(6)의 백 레스트(back rest)에 부착되고 그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는 직사각형 하우징이다. 이 하우징(16)의 내부는 그 단부에서 회전할 수 있는 와인딩 롤러(winding roller;18)를 포함한다. 이 와인딩 롤러의 길이는 대략 하우징(16)의 길이에 대응한다.
와인딩 롤러(18)는 적어도 한 세그먼트에서 튜브형이고 한 단부(21)에서 와인딩 롤러(18)에 연결되고 그 다른 단부(22)가 하우징(16)에 고정되는 스프링 모터(19)를 포함한다.
롤러 블라인드(17)의 테두리는 와인딩 롤러(18)에 부착되고 그 다른 테두리는 종방향 슬롯(23)을 통해서 하우징(16) 밖으로 출구가 형성된다. 이 슬롯(23)은 와인딩 롤러(18)에 평행하고 거의 하우징(16)의 전체 길이에 대해 연장된다.
롤러 블라인드의 루프(loof; 24)는 와인딩 롤러(18)로부터 이격되는 테두리에 위치한다. 그 단부가 페그(26)에서 돌출하는 본질적으로 굳은 풀 바(25)를 포함한다.
풀 바(25)와 롤러 블라인드(17)의 전방 테두리를 안내하기 위해, 강제 안내 장치(27)가 제공된다. 이 강제 안내 장치(27)는 뒷문(1)의 부분적인 도시로 인하여 단지 하나 만이 보여지는 두 개의 원 아암 레버(28)를 포함한다.
이 레버(28)는 측벽(4)의 한 단부에서 힌지(9)를 갖는 수평축 주위로 피봇될 수 있다. 피봇축은 와인딩 롤러(18)의 축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레버(28)의 다른 단부는 페그(26)가 안으로 래치(latched)될 수 있는 포크형 리셉터클(31)을 가진다.
도시생략된 다른 레버는 볼 수 있는 레버(28)에 동축인 다른 측부에 대향 방식으로 위치된다. 베어링(29)의 힌지의 정확한 위치는 하기 기능의 기술에서 설명된다.
기재된 롤러 커버(15) 및 강제 안내 장치(27)의 핸들링 및 작용은 다음과 같다:
개방된 화물 공간(2)에 대하여, 롤러 블라인드(17)는 스프링 모터의 작용으로 인하여 와인딩 롤러(18)에서 완전히 감겨진 레스트 위치(rest position)에 있어서, 풀 바(25)에 있는 루프(24)는 외부의 슬롯에 인접한다. 느슨하게 피봇되는 두 개의 레버(28)는 이 레버(28)가 뒷문 개방부(7) 옆에 있는 각 측벽(4) 밑에 부착된 멈춤부(stops;32)에 의해서 유지되고 리셉터클 포크(31) 밑에서 레버(28)를 지지하는 도 1의 점선으로 도시된 위치(28')에 있다.
화물 공간 안을 바라볼 필요가 없을 때, 롤러 커버(17)는 스프링 모터(19)의 작용에 반대로 이 커버(17)에 부착된 루프(33)의 도움으로 풀 바(25)에 의해서 하우징(16)에서 꺼내진다. 롤러 블라인드(17)는 두 페그(26)가 두 레버(28)의 두 리셉터클 포크(31) 안으로 후크결합될 때까지 당겨진다. 리셉터클 포크는 이 위치에서 상부까지 개방된다. 또한, 구조는 이 위치에서 17'으로 표시되고 도 1의 점선으로 도시된 연장된 롤러 블라인드가 피봇 베어링(29) 아래서 이동하는 방식으로 구성되며, 이것은 레버(28)를 멈춤부(32)로 아래로 가압하는 위치(28')에서 각 레버(28)에서 작은 토크를 발생시킨다.
연장된 롤러 블라인드(17')는 후방 벤치 백 레스트(6)의 상부 테두리 아래에 있는 측부 윈도우(5)의 하부 테두리의 약간 아래서 수평으로 운동한다.
뒷문 도어(6)가 폐쇄되면, 화물 공간(2)은 더 이상 관찰할 수 없다.
필요하다면, 뒷문 도어(8)의 다른 멈춤부는 풀 바(25)를 아래로 가압하고 그에 의해서 멈춤부(32)에 대해서 레버(28)를 가압하므로, 상기 멈춤부들은 구동 진동하는 동안 위로 요동하거나 스냅되지 않는다.
화물 공간이 적재되거나 또는 적재되지 않을 때, 풀 바(25) 사이의 액세스 개방부는 화물 보드벽(14)의 하부 및 상부 테두리로 피봇되고, 그 후 뒷문 도어(8)는 너무 작아져서 편안하게 핸들링을 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풀 바(25)는 힌지(29)의 축으로 원형 아치의 강제 안내 장치(27)의 작용으로 손으로 파지되어 들어올려져서 이동한다. 피봇 동작은, 예를 들어, 힌지(29)에 위치한 다른 멈춤부에 의해서 한정된다. 최종 위치는 실선으로 도 1에 도시된 위치와 대응한다.
두 레버(28)는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모터(19)에 의해서 들어올려진 위치에서 유지되고, 화물 공간(2)의 액세스 개방부는 크게 확대되며 롤러 블라인드는 더 이상 방해되지 않는다. 강제 안내 장치로 인하여, 롤러 블라인드(17)가 하우징(16) 안으로 뒤로 회전하도록 할 필요가 없다.
화물 공간(2)을 적재하거나 또는 비운 후에, 롤러 커버(15)는 레버(28)가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멈춤부(32)에 안착될 때까지, 풀 바(25) 또는 롤러 블라인드(17)의 전방 테두리를 간단히 점선을 따라 각각 아래로 이동시킴으로써 커버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어떤 시간에, 어떤 윈도우 쉐이드에서 두 페그(26)를 갖는 풀 바(25)를 리셉터클(31)로부터 후크를 풀고 슬롯(23)의 방향으로 손으로 안내함으로써, 롤러 블라인드(17)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스프링 모터(19)는 와인딩 롤러에서 다시 롤러 블라인드(17)를 회전시킨다.
도 2는 롤러 커버(15)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필요한 부품은 도 1과 연관하여 이미 기술되었고 이 부품들은 동일하거나 또는 동일한 기능을 가지며 반복된 설명없이 동일 부호로 사용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주요 차이점은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제 안내 장치(27)가 뒷문 개방부(7)의 측부 테두리(12) 옆에 있는 차체 내부에 부착된 두 안내 레일(35)을 포함한다는 것이다. 도면은 두 안내 레일중에서 단지 하나만 도시하고 다른 하나는 절단면으로 표시하기 때문에 도시할 수 없다.
안내 레일(35)은 각각 C 형 프로파일을 가지고 개략적으로 도시된 슬라이드(36)에 대해서 형성된다. 각 슬라이드(36)는 그 하단부에서 풀 바(25)의 페그형 단부(26)가 굽혀지는 포크형 리셉터클(31)을 유지한다.
또한, 각 슬라이드(36)는 연결 로드(37)를 통해서 뒷문 도어(8)에 운동학적으로 연결된다. 연결 로드(37)는 부호 "38"에서 연결되어 슬라이드(36)와 함께 회전하고 힌지와 인접한 뒷문 도어(8)의 부호 "39"에서 힌지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로드(37)는 단단하고 뒷문 도어(8)를 개방 및 폐쇄하는 동안 각 레일(35)을 따라 양 슬라이드(36)의 동작을 실행한다.
원칙적으로, 도 2 및 도 3에서 롤러 커버의 핸들링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핸들링과 동일하다.
화물 공간(2)이 폐쇄되어야 할 때, 두 페그형 단부(26)를 갖는 풀 체인(35)은 두 슬라이드(36) 안으로 굽혀진다. 상기 두 슬라이드(36)는 뒷문(8)이 개방될 때, 상부 위치에 있으며, 화물 공간(2)이 폐쇄될 때의 풀 바 위치 보다 높은 상부 위치에서 후크결합된 풀 바(25)를 유지한다.
뒷문 도어(8)가 피봇되는 도 2의 라인으로 도시된 위치에서, 필요한 두 로드(37)는 안내 레일에서 슬라이드(36)를 아래로 가압한다. 뒷문 도어(8)가 완전히 폐쇄될 때, 롤러 블라인드(17)는 도 2의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거의 수평으로 운행한다.
뒷문 도어(8)가 개방될 때, 슬라이드(36)는 다시 위로 당겨지고 롤러 블라인드(17)를 위로 들어올린다.
도 4는 단단한 결합 링크 대신에 로프형 결합 링크(37)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이러한 유형의 결합 링크(37)는 단지 각 슬라이드(36)를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미리 가압된 스프링(42)은 반대 운동을 위해 제공되어 각 안내 레일을 따라 이동하고 결합 링크의 작용에 대해 슬라이드(36)를 미리 가압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프링은 텐션 스프링으로서 슬라이드(36)에서 안내 레일(35)의 하단부까지 이동한다, 즉, 슬라이드(36)는 폐쇄된 롤러 커버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스프링(42)에 의해서 일정하게 미리 가압된다. 뒷문 도어(8)가 폐쇄될 때, 슬라이드(36)는 스프링 작용으로 인하여 아래로 이동하고, 뒷문 도어(8)가 개방될 때, 스프링 작용에 대항하여 당겨진다. 다른 핸들링 및 기능은 이전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기술된 것과 동일하다.
비록, 상세히 도시되지 않았지만, 결합 링크(37)는 강제 안내 장치(27)와 함께 레버를 가질 수 있으며, 강제 안내 장치(27)가 레일은 구비하면서 결합 링크(37)는 구비하지 않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그러나, 결합 링크를 사용하면, 뒷문 도어(8)에 의해서 제어되는 중요한 기술적인 장점을 가지며, 풀 바(25)의 양 단부는 동시 방식(synchronous manner)으로 이동하고 방해 동작은 발생하지 않는다.
도 5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필요한 부품은 도 1과 연관하여 이미 기술되었으며, 이 부품은 동일하거나 또는 동일한 기능을 가지며 반복 설명 없이 동일한 부호로 사용된다.
도 5의 예시적인 보기는 강제 안내 장치(27)로서 두 홈(43)을 가지며, 그중에서 부분 투시로 인하여 단지 한 홈만이 도시된다. 상기 홈(43)은 그 횡단면이 직사각형이고 지붕 테두리를 향하는 방향으로 대면하는 뒷문 개방부(7)의 측부 테두리(12)에 있는 차량 전방에서 시작된다. 이 홈(43)은 그 전방의 주요 공간에서 종결되고, 그 폭은 페그(26)의 직경에 대응하며, 지붕에 가장 인접한 단부는 폐쇄된다.
뒷문 개방부(7)(도시생략)의 다른 측부에 있는 측부 테두리(12)에는 미러-이미지 홈(mirror-image groove;43)이 있다. 양 홈은 서로에 대해 개방되고 지붕 방향의 정면에서 시작하는 뒷면 형태를 따른다. 이러한 디자인으로 인하여, 커버 하우징(16)에서 부호 "43"의 하단부의 거리는 상단부의 거리 보다 더욱 크다, 즉, 정면에서 시작되는 페그(26)가 지붕 측단부의 방향으로 홈(43)을 통해서 이동할 때, 롤러 블라인드(17)는 짧은 거리를 향해서 구동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롤러 커버(15)는 도 5에 도시된 자세를 일정하게 취한다. 뒷문 도어(8)를 폐쇄하기 전에 화물 공간을 커버하기 위해, 홈(43)의 하단부는 로킹 장치(44)를 가진다. 이 로킹 장치(44)는 도 5에 도시되며 좌측 차량 측부에서 미러 이미지를 가진다. 로킹 장치(44)의 효과 및 구성의 설명은 두 로킹 장치(44)중에서 하나에 국한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로킹 장치(44)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43)은 절단면으로 도시된 하우징(45)을 통하여 로킹 장치(44)의 영역에서 이동한다. 이 홈(43)은 와인딩 롤러(18)의 방향으로 포켓 또는 리세스(46)의 전방 측벽에 있는 하단부에 형성되고 리세스(46)의 레벨에서 볼 수 없는 뒷문 개방부(7)를 향하는 방향으로 처음에 수평으로 안내되는 다른 리셉터클 홈(47) 안으로 추가로 이동한다. 짧은 연장 후에, 리셉터클 홈(48)은 다른 리셉터클 홈(47)이 아치(48)에서 퍼낼(funnel) 형상으로 넓어져서 결합 퍼낼을 형성한 후 경사진 1800아치(48)를 형성한다.
뒷문 개방부로부터 멀리 떨어진 쪽에서, 하우징 몸체(45)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43)의 전방 측벽(도면 좌측)을 절단하는 부분적으로 원통형인 리세스(51)를 수용한다, 즉, 리세스(51)의 양 측부에서, 홈 벽 세그먼트(52)가 체류하여 리세스(46) 안으로 연장한다. 부분적으로 원통형인 리세스(51)는 이 리세스(51)에서 수용된 섹터형 디스크의 형태로 리프팅 요소(54)를 수용하고 제한된 정도까지 피봇될 수 있다. 상기 리프팅 요소(54)는 힘줄(tendon)과 같이 연장하는 두 직선면(56,58) 뿐 아니라 부분적으로 원통형인 리세스(51)와 동일한 직경을 갖는 원통형 외부면에 의해서 제한된다. 표면(56,57)은 홈(43)을 향한다. 리프팅 요소(54)는 홈(43)의 인접 측벽에 평행하게 이동하고 수평으로 연장하는 축 주위에서 피봇될 수 있다.
원통형 표면(55)에서 아치형 리세스(59)와 함께 작용하는 리세스에서 돌출하는 리브(58)에 의해서 리프팅 요소(54)의 피봇 운동이 제한된다.
또한, 하우징(45)은 슬라이딩 램(ram;61)을 수용하고, 그 내부 단부(62)는 홈(43)을 대향하고 그 외부 단부(63)는 전면 레벨의 뒷문 도어(8)의 이동 경로 안으로 돌출한다. 램(61)은 동시에 홀더를 형성하고 그 축이 리프팅 요소(54)의 피봇축 위에 있는 원통형 리세스(51)를 향하는 보링(64)에 의해서 슬라이더로서 부착된다.
도 5의 롤러 커버(15)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롤러 커버(15)의 시작 위치는 도 5에 도시된다. 이 위치에서, 풀 바(25)의 페그(26)는 지붕을 향하여 폐쇄되는 홈(43)의 단부에 접하며, 와인딩 롤러의 스프링 모터(19)의 역작용에 의해서 상기 위치에서 유지된다.
뒷문 도어(8)를 폐쇄하기 전에, 화물 공간을 커버하기 위해, 사용자는 풀 바(25)에 의해서 경직되는 롤러 블라인드(17)의 테두리에 아래로 압력을 가한다. 페그(26)는 그 하단부에 도달할 때까지 강제 안내 장치(27)의 측부 홈(43)을 통해서 슬라이드된다. 다시, 스프링 모터(19)로 인하여, 두 페그(26)는 안내 홈(46)의 하단부 뒤에서 직접 리세스(46) 안에서 당겨지고, 동시에, 디스크형 리프팅 요소(54)는 리세스(46)의 틈새에 대해서 표면(56)으로 뒤로 점프하는 도 6에 도시된 방향으로 전환된다. 뒤문 개방부(7)의 각 측부에서, 각 페그(26)는 리세스에서 로킹된다. 스프링 모터는 페그(26)가 리세스(46)에서 로킹되기 때문에, 롤러 블라인드(17)를 꽉끼게 유지하지만 롤러 블라인드(17)를 도 5의 시작 위치로 뒤로 당길 수 없다. 롤러 커버는 폐쇄 위치에 있다.
사용자는 뒷문 도어(8)를 아래로 피봇시킬 수 있고 뒷문 개방부(7)를 바라볼 수 있다. 폐쇄 동작의 단부를 향하여, 도어(8)는 이 뒷문 도어(8)의 연속된 폐쇄 동작이 디스크형 리프팅 요소(54)의 방향을 향해서 램(61)을 이동시키도록, 두 램(61)의 외부 단부(63)와 접촉하며, 이것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단부(62)가 홈(43) 안으로 들어가서 이 홈을 가로지르고 그 뒤에 있는 리세스(51)로 들어가도록 실행한다. 리세스(51) 안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램은 표면(57)과 접촉하여 리프팅 요소(54)를 수평축 주위에서 회전시킨다. 디스크형 리프팅 요소는 스프링 모터(19)의 작용에 대항하여 하면으로 페그(26)를 리세스(46)로부터 가압한다. 스프링 모터(19)의 수축력은 페그(26)가 아래에서부터 램(61)과 접촉할 때까지 수직홈의 측벽에 있는 수직면(56)에서 위로 슬라이드되도록 실행한다. 페그(26)는 풀 바(25)에서 위로 가압하지 않고 다시 리세스(46)에 도달할 수 없는 한, 도 6에서 상기 위치 위에 놓여진다. 롤러 커버는 계속 폐쇄 위치에 있다.
사용자가 다음에 뒷문 도어(8)를 개방할 때, 램(61)은 도 8의 위치로부터 도 9의 위치와 동일한 도 6의 위치로 뒤로 복귀 스프링(도시생략)에 의해서 당겨진다. 이 동작 중에, 초기에 페그(26)에 대한 홀더로서 작용한 램(61)은 홈(43)의 틈새를 남겨두고 페그(26)는 스프링 모터(19)의 수축력의 작용으로 홈(43)의 상단 지붕 측부로 슬라이드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이 돌발적으로 일어나는 것, 즉, 롤러 블라인드(17)의 테두리가 위로 점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예를 들어, 와인딩 롤러(18)와 함께 점착성 브레이크 작용(viscosity brake working)과 같이 형성된 브레이크 장치가 설치된다.
상기 기능 설명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억류 장치(44)는 전체 3가지 상태를 포함한다. 제 1 상태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페그(26)는 리세스(46)에서 신뢰성 있게 로킹되고 롤러 블라인드(17)는 폐쇄 위치에서 고정된다. 로킹 장치의 제 2 상태는 방해를 받지 않고 홈(43)에서 위로 이동할 수 있도록 페그(26)를 완전히 해제한 상태와 함께 도 9에 도시된다. 도 8에 도시된 제 3 상태는 도 6과 도 9의 중간 상태이며 롤러 커버(15)가 도 5의 위치에 도달하기 위해 뒤문 도어(8)의 다른 개방을 위해 기다리는 "대기 상태(stand-by)"에 대응한다. 페그(26)와 풀 바(25)의 위치는 도 6과 도 8의 제 1 및 제 3 상태에서 수 밀리미터 만큼 차이난다. 양 위치는 화물 공간 개방부가 거의 완전히 폐쇄되는 폐쇄 위치에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도 5의 위치는 사용자를 대면하는 테두리가 루프(24)에 의해서 형성되어 화물 공간 개방부가 상부로부터 용이하게 접근가능하도록 지붕까지 들어올려지는 중간 위치이다.
사용자가 화물 공간을 완전히 개방시키기 원한다면, 또는 사용자가 롤러 커버(15)를 제거하기 원한다면, 사용자는 먼저 페그(26)가 대응하는 리세스(46)에서 다시 로킹될 때까지 루프(24)의해서 형성된 테두리를 아래로 크게 가압할 것이다. 또한, 사용자는 튜브형 루프(24)를 파지하여 롤러 블라인드(17)를 자신을 향하여 당겨서 페그(26)가 리세스(46)로부터 리셉터클 홈(47) 안으로 이동하도록 실행한다. 아래로 더욱 이동하면, 페그(26)는 이 페그(26)가 억류 장치(44)를 완전히 방치하여, 풀 바(25)가 어떤 경로에서 하우징(16)으로 뒤로 이동할 수 있는 퍼낼(49) 안으로 들어가도록 한다.
상기 페그(26)의 후크결합은 상기 페그(26)가 퍼낼(49)의 양 측부에서 나사결합되어서 도 6에 도시된 위치로 위로 이동한다는 점에서 역순으로 진행된다.
도 10과 도 11은 로킹 장치(44)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측면도 또는 투시도이며, 상기 로킹 장치(44)는 포켓이 리셉터클 홈(47) 위의 홈(43) 공간에서 뒤로부터 돌출하는 로킹 슬라이더(66)의 형태로 가동 측벽과 함께 형성된다는 점에서 상기 기술된 실시예와 다르다.
리프팅 요소(54)는 뒷문 도어(8)의 내측에 위치하지만 여기서는 회전 디스크의 형태를 갖지 않고 뒷문 도어의 내측에 부착된 강성 아암의 형태를 가진다. 상기 리프팅 요소(54)는 뒷문 도어(8)로부터 이격되는 전단부(67)에서 유지 돌출부(holding nose;69) 안으로 들어가는 오프셋(offset;68)을 가진다.
기능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롤러 커버(15)를 폐쇄위치로 이동시킬 때, 양 측부에 있는 페그(26)는 이 페그(26)가 로킹 슬라이드(66)를 뒤로 가압하여 그 밑에 도달하는 각 로킹 장치(44)로 이동하며, 이것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 슬라이더(66) 밑에서 각 페그(26)를 로킹한다. 뒷문 도어(8)가 폐쇄될 때, 리프팅 요소(54)는 전측부(68)에서 페그(26)와 맞물리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그(26)가 로킹 슬라이더(66) 위에 도달할 수 있도록, 페그(26)를 로킹 슬라이더(66)에서 홈(43)의 틈새로부터 뒤로 동시에 밀쳐서 가압한다. 돌출부(69)는 페그(26)의 이동 경로로 연장하기 때문에, 페그(26)는 뒷문 도어(8)가 폐쇄될 때 상기 돌출부(69) 밑에서 매달려 있다. 단지 뒷문 도어의 다른 개방부는 각 측부에서 페그(26)를 해제하므로, 상기 페그는 홈(43)을 통해서 위로 상부 지붕 측단부까지 슬라이드될 수 있다.
도 11의 위치는 상기 기술의 제 1 상태를 도시하지만, 도 10은 제 3 상태를 도시한다.
리셉터클 홈(47)과 퍼낼(49)은 동일한 방식으로 제공된다.
도 6 내지 도 11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로킹 장치(44)는 뒷문 도어(8)의 폐쇄 동작의 끝을 향해서 작동한다. 만약, 로킹 장치(44)가 폐쇄 동작의 시작부에서 작동한다면, 즉, 역으로 개방 동작의 끝에서 작동한다면, 도 12 내지 도 14에 기술된 해결책이 적용된다.
이러한 구성은 도 6 내지 도 9에 따른 구성과 유사하다.
강제 안내 장치(25)의 홈(43)은 하우징(45)에서 위로 빠져나온다. 리셉터클 홈(47)은 홈(43)과 만나는 곳에서 시작하여 수평이 아니라 약간 올라가면서 지점(72)에서 속이 빈 중공의 모양이 된다.
디스크형 리프팅 요소(54)를 대신하여, 플레이트형 슬라이드(73)는 도 13에서 투시도로 도시된, 하우징(45)의 대응하는 개방부에서 수평으로 연장된다. 도면은 차량 내부의 설치 위치를 도시한다. 슬라이드(73)는 동일한 방향으로 대면하는 전단 측부(75)에서 두 연장부(76,78)를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74)로 구성된다. 연장부(78)는 수직 이동 표면(81)으로 전환되는 수직면(79)을 유지한다. 이 두 표면(79,81)은 연장부(78)의 작용면이다.
연장부(76)의 주요면은 도 13의 연장부(76)의 하측부에 있는 수평면(82)과 위로 향하는 수직면(83)이다. 또한, 연장부(76)는 그 주변에서 표면(84)에 의해서 한정된다.
개별 표면의 정확한 위치 및 효과는 하기 작용 기술에서 설명된다.
홈(85)은 하우징 몸체(45)에서 홈(43)에 평행하게 이동하고 뒷문 개방부(7)를 향하여 홈(43)으로부터 오프셋된다. 홈(85)은 전면 슬라이딩 보도에서 캠면(87)을 갖는 작동캠(86)을 수용한다. 강한 나선형 스프링(89)은 하우징(45)의 부호 "91"의 다른 단부에서 지지되는 백 전면(88)에서 지지된다. 또한, 탄성 및 인장 저항의 원통형 결합 링크(92)는 작동캠(86)의 후방 측부(88)로 들어간다. 결합 링크(92)는 다른 단부(도시생략)에서 대응하는 캠 또는 쐐기면을 갖는 뒷문 도어(8)에 결합된다.
뒷문 도어(8)가 완전히 개방되면, 작동캠(86)은 숄더(shoulder;91)에서 지지되는 나선형 스프링(89)의 작용에 의해서 후퇴하고, 이로 인하여 스프링(93)의 도움으로 슬라이드(73)가 전방으로 떠밀릴 수 있다. 이 위치에서, 연장부(78)는 그 수직면(79)이 홈(43) 안으로 돌출한다. 수직면(81)은 홈(43)의 중심과 리셉터클 홈(47)의 시작부 약간 앞에 있다. 동시에, 연장부(76)는 측면(84)이 홈(43)의 대응하는 벽과 동일 평면에 있게 되는 그 위치에서 홈(43)의 틈새로부터 사라진다.
롤러 커버(15)가 폐쇄될 때, 페그(26)는 위로부터 와서 로킹 장치(44) 안으로 도달할 수 있으며, 상기 로킹 장치(44)에서, 페그는 무효한 연장부(83) 곁을 통과하고 다음 홈(43) 안으로 연장되는 수직면(79)과 만난다. 사용자가 풀 바(25)를 아래로 더욱 강압적으로 밀칠 때, 슬라이드(73)는 홈(43)의 틈새 안으로 돌출하는 연장부 영역이 틈새로부터 사라지도록 압축응력을 가하는 나선형 스프링(93)의 작용에 대한 수직면(79)에서의 페그(26)의 작용으로 인하여 뒤로 밀쳐진다.
이러한 작용이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도록, 도 12에 도시된 레스트 위치에 있는 표면(79)은 홈(43)의 대응하는 측벽에 대해서 뒤로 점프하고 페그(76)가 표면(79)과 홈(43)의 대응 측벽 사이에서 쐐기로 고정되는 슬라이드(73)에 대한 후퇴작용을 유발한다.
하향 동작의 끝에서, 페그(26)는 리셉터클 홈(47) 안과 그 후 홈(43)의 하부 단부 앞으로 이동한다. 슬라이드(73)는 나선형 스프링(93)에 의해서 뒷문 개방부(2)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뒷문 개방부(2)의 두 측부에 있는 나선형 스프링(93)에 의해서 작용된 힘은 적어도 스프링 모터(19)가 소집할 수 있는 수축력보다 크다. 페그(26)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홈(47)의 벽과 표면(81) 사이에서 억류된다.
사용자가 뒷문 도어(8)를 폐쇄하기 시작할 때, 와이어형 결합 링크(92)에서의 장력 작용은 뒷문 도어(8)의 가장 높은 개방 위치를 떠난 후 바로 중단되고 나선형 스프링(89)은 작동캠(87)을 아래로 가압하는 위치에 있으며, 이것은 캠 표면(87)이 수직면(83)과 접촉하도록 유발하고, 그에 따른 캠의 구동으로 인하여, 스프링(89)의 힘은 홈(43)의 틈새로부터 연장부(78)를 밀치는 나선형 스프링(93)의 작용에 대해서 슬라이드(73)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동시에, 베이스 플레이스(75)에 위치한 연장부(76)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틈새 안으로 들어간다. 페그(26)는 슬라이드(73)의 이동으로 인하여 리셉터클 홈(47)으로부터 해제되고 수직방향으로 대응하는 홈에 도달하지만, 연장부의 바닥 측부(82)에서 그 이동 경로의 짧은 거리 이후에 매달려 있다. 페그(26)는 작동캠(82)이 뒷문 도어(8)를 개방할 때, 도 14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도 12에 도시된 위치로 뒤로 수축하는 동안, 여기에 남아 있으며, 스프링(93)은 슬라이드(73)를 뒤로 가압할 수 있다.
이 동작은 뒷문 도어(8)의 개방 동작의 끝에서만 발생한다. 만약, 사용자가 뒷문 도어(9)를 단지 중간 정도 개방한다면, 롤러 커버(15)는 폐쇄 위치에 있다.
강제 안내 장치가 도 5 내지 도 14에 도시된 완전히 폐쇄된 홈이지만, 강제 안내 장치(27)는 하우징(16)에서 출발하는 수평으로 곧은 숄더(96)에 의해서 도 15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형성되고 뒷문 개방부(2)로 이동한다. 풀 바(25)의 페그(26)는 숄더 표면(95)을 대면하는 상부에 위치한다. 중간 위치는 대응 위치에서 숄더(95)로부터 위로 들어올려지고 대응 페그(26)의 롤러 커버(15)의 자동 후퇴동안 정지하는 멈춤부(95a)의 도움으로 도달한다.
숄더(95)의 끝에는, 즉, 뒷문 개방부(2)의 부근에는, 다른 동작 위치로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다른 로킹 장치(44)가 있다.
숄더(95)는 하부 홈벽(97)이 숄더(95)와 정렬되는 방식으로, 상기 숄더(95)가 홈(96)이 되는 하우징(45) 안으로 뒷문 측단부와 함께 이동한다. 홈(96)은 차량의 대향 측벽의 방향으로 개방되어서 거의 뒷문 개방부(7)까지 계속된다. 거기서 상기 홈(96)은 "98"에서 하우징(45) 밖으로 나온다.
단부(98)에 인접한, 보링(99)은 스프링(102)이 홈(96)을 향한 방향으로 압축응력이 가해져서, 그 팁(103)이 홈(96)의 틈새 안으로 비트(bit)를 돌출시키는 로킹 볼트(101)를 수용하는 보링(99)이 들어간다. 전진 모션은 하우징(45)에서 대응 숄더(105)에 인접한 플랫 헤드(104)에 의해서 제한된다.
축(108) 주위로 피봇되는 홀더(107)는 홈(96) 밑에 있는 챔버(106)에 위치하고, 상기 챔버(106)는 측벽(97)에 있는 개방부(109)를 통해서 홈(96)과 연결된다. 그것은 와인딩 롤러(18)로부터 오프셋된 페그(26)의 모션 방향에 대해 위치한다.
홀더는 하기 기술된 방식으로 페그와 함께 작용하도록 설계된 버퍼 플레이트(11)를 구비한다.
홀더(107)는 한 단부에서 이 홀더(107)와 접촉하는 장력 스프링(112)에 의해서 도 18의 위치로 압축응력을 받으며 하우징(45)에 있는 부호 "113"에서 다른 단부에서 고정된다. 홀더(107)는 챔버(106)의 베이스의 한 멈춤부 표면(114)과 인접한다.
이 위치에서, 멈춤부 표면(114)은 홈(96)의 틈새로부터 뒤돌아간다.
작동 슬라이드(115)는 홀더(107)가 작동하도록 실행하고 페그(26)의 강제 이동을 실행한다. 또한, 작동 슬라이드(115)는 동일 측부에서 두 연장부(116,117)를 가진다. 연장부(116)는 개방부(98)를 통해서 홈(96) 안으로 돌출하고, 연장부(117)는 보링(118)을 통해서 챔버(106) 안으로 안내된다. 연장부(117)는 내부 단부에서 홀더(107)에 부착된 페그(121)가 활주하는 긴 구멍(119)을 수용한다.
기능은 다음과 같다:
만약, 사용자가 뒷문 도어(18)를 폐쇄하기 전에 롤러 블라인드(15)를 폐쇄 위치로 이동시키기를 원한다면, 그 사용자는 롤러 블라인드(17)를 자신을 향하는 테두리로 뒷문 개방부(7)의 방향으로 당긴다. 즉, 페그(26)는 이 페그에 할당된 숄더(95) 위로 슬라이드하여 이 슬라이드 동작의 끝에서 양 측부에 설치된 로킹 장치(44)의 홈(96) 안으로 도달한다. 롤러 블라인드(17)의 당기는 동작은 페그(26)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 볼트(101)를 통과할 때까지 계속된다. 각 측부의 페그는 홈(96)의 틈새 안으로 돌출하는 로킹 돌출부(103) 뒤와 작동 연장부(116)의 내부 단부의 앞에서 로킹된다.
페그(26)가 상기 위치로 통과하는 것은 스프링(112)이 홀더(111)를 챔버(106) 안으로 후퇴시키기 때문에 가능해지며, 상기 스프링은 페그(121)의 형태로 안내부를 통해서 동시에 작동 슬라이드(115)를 퇴거시키고 긴 구멍(119)을 뒷문 개방부(7)의 방향으로 퇴거시킨다. 로킹 볼트(101)의 뒤에서 페그(26)를 로킹 시키면서, 로킹 장치(44)의 제 1 상태가 도달하고 롤러 블라인드는 롤러 블라인드(17)에 작용하는 수축력이 로킹 볼트(101)에 의해서 작용하는 체결력을 초과할 수 없기 때문에, 폐쇄 위치에서 안전하게 유지된다. 사용자가 뒷문 도어(12)를 폐쇄할 때, 세그먼트는 작동 슬라이드(115)에서 인접하고 이 슬라이드(115)를 로킹 볼트(101)의 방향으로 가압하고, 이것은 페그(26)를 로킹 볼트(101) 아래서 도 17의 위치로 앞으로 가압한다. 그러나, 홀더(107)와의 운동학적인 연결에 대한 작동 슬라이드(115)의 진행은 홀딩면(111)이 챔버(106)로부터 페그(26)의 이동 경로로 위로 도달시키기 때문에, 상기 위치를 떠날 수 없다.
단지, 뒷문 도어(8)가 다시 개방되면, 장력 스프링(112) 도는 멈춤부 표면(111)에 대한 작용하는 힘은 홀더(107)를 뒤로 밀쳐내고 페그(26)에 대한 이동 경로를 해제할 수 있다. 롤러 블라인드(17)는 그때 멈춤부(95a)의 중간 위치로 후퇴한다.
화물 공간에 대한 롤러 커버 또는 스테이션 웨건의 트렁크에서, 강제 안내 장치는 롤러 블라인드의 전방 테두리와 연결되고; 느슨해질 수 없다. 강제 안내 장치는 롤러 블라인드를 그 하우징 안으로 완전히 후퇴시키지 않고 화물 공간으로의 용이한 접근이 보장되도록 화물 공간이 개방될 때, 롤러 블라인드는 위로 이동할 수 있다.

Claims (31)

  1. 차체에 힌지 결합되어 수평축 주위에서 피봇될 수 있는 뒷문 도어(8)에 의해서 뒤에서 한정되는 화물 공간 개방부를 갖는 차량의 화물 공간(2)을 커버하기 위한 롤러 커버에 있어서,
    슬롯(23)을 갖는 직사각형 하우징(16)이 화물 공간(2)에 부착되며,
    와인딩 롤러(18)는 상기 하우징(16)에 위치하고,
    롤러 블라인드(17)는 한 에지에서 와인딩 롤러(18)에 부착되고 슬롯(23)을 통해서 하우징(16)으로부터 빠져 나올 수 있으며, 풀 바(25)에서의 와인딩 롤러(18)에 평행한 에지에서 부착되고, 페쇄 위치가 실제로 수평을 이루고, 화물 공간 개방부를 뒷문 도어(8)까지 가장 크게 개방하고 롤러 커버가 개방위치에 있을 때 화물 공간 개방부를 개방하는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전후로 이동할 수 있으며,
    구동 장치(19)는 이 장치(19)를 통해서 와인딩 롤러(18)가 롤러 커버(15)에 결합되고 와인딩 롤러에서 롤러 블라인드(17)를 회전시키기 위해 영구적으로 압축응력을 받으며,
    풀 바(25)에 연결된 강제 안내 장치(27)는 한 위치가 롤러 블라인드(17)의 폐쇄 위치에 대응하고 다른 위치가 롤러 블라인드(17)의 중간 위치에 대응하는, 풀 바(25)에 대한 두 단부 위치를 가지며,
    풀 바(25)는 화물 공간이 완전히 커버되는 중간 위치 뿐 아니라 양 폐쇄 위치에서 차체 내부에 있는 롤러 커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중간 위치에 있는 풀 바(25)는 폐쇄 위치에 대한 풀 바(25) 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화물 공간을 커버하기 위한 롤러 커버.
  3. 제 1 항에 있어서, 중간 위치에 있는 풀 바(25)는 폐쇄 위치에 대한 풀 바 보다 낮은 위치에 있지만 하우징(16)에 더욱 인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화물 공간을 커버하기 위한 롤러 커버.
  4. 제 1 항에 있어서, 강제 안내 장치(27)는 화물 공간 개방부가 불완전하게 커버되는 동안 중간 위치에 있는 풀 바(25)가 폐쇄 위치에 있는 것 보다 하우징(16)에서 더 멀어지지 않는 방식으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화물 공간을 커버하기 위한 롤러 커버.
  5. 제 1 항에 있어서, 강제 안내 장치(27)는 롤러 블라인드(17)가 화물 공간 개방부(7)를 커버하는 위치에서 풀 바(25)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화물 공간을 커버하기 위한 롤러 커버.
  6. 제 1 항에 있어서, 결합 링크(37,61,86,95,115)는 폐쇄 위치와 중간 위치 사이에 있는 경로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뒷문 도어(8)의 동작을 풀 바(25)의 동작에 전달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화물 공간을 커버하기 위한 롤러 커버.
  7. 제 6 항에 있어서, 결합 링크(37)는 단단하게 속이 채워져 있는(rigid)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화물 공간을 커버하기 위한 롤러 커버.
  8. 제 6 항에 있어서, 결합 링크(37)는 탄력적으로 굽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화물 공간을 커버하기 위한 롤러 커버.
  9. 제 6 항에 있어서, 결합 링크(37)는 탄력적으로 신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화물 공간을 커버하기 위한 롤러 커버.
  10. 제 6 항에 있어서, 강제 안내 장치(27)는 피봇되는 두 개의 원 아암 레버(28)를 가지며, 그중 한 레버는 연장 롤러 블라인드(17)의 한 측부에 배치되고 양 레버는 와인딩 롤러(18)에 평행한 동축(29) 주위에서 피봇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화물 공간을 커버하기 위한 롤러 커버.
  11. 제 10 항에 있어서, 레버(28)는 풀 바(25)의 세그먼트를 억셉트(accept)하기 위해, 자유 단부에서 리셉터클(31)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화물 공간을 커버하기 위한 롤러 커버.
  12. 제 1 항에 있어서, 강제 안내 장치(27)는 뒷문 개방부(7) 옆에 있는 측부에서 이동하는 안내 홈(35,43)을 가지며, 이 홈은 차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화물 공간을 커버하기 위한 롤러 커버.
  13. 제 12 항에 있어서, 안내홈(35,43)은 길이 조절방식으로 풀 바(25)의 단부(26)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화물 공간을 커버하기 위한 롤러 커버.
  14. 제 12 항에 있어서, 슬라이드(36)는 안내 레일(35)에서 길이 조절방식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화물 공간을 커버하기 위한 롤러 커버.
  15. 제 14 항에 있어서, 슬라이드(36)는 풀 바(25)의 단부(26)를 억셉트하기 위해 리셉터클(31)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화물 공간을 커버하기 위한 롤러 커버.
  16. 제 10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각 슬라이드(36) 또는 레버(28)는 뒷문 도어(8)로써 슬라이드(36)와 레버(28)를 운동학적으로 연결하는 결합 링크(37)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화물 공간을 커버하기 위한 롤러 커버.
  17. 제 11 항에 있어서, 레버(28)에는 롤러 블라인드의 중간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의 방향으로 적어도 어느 정도 간격을 두고 레버(28)에 압축 응력을 가하는 스프링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화물 공간을 커버하기 위한 롤러 커버.
  18. 제 14 항에 있어서, 슬라이드(36)에는 폐쇄 화물 공간 위치(15) 또는 개방 화물 공간(2)에서 상기 슬라이드(36)에 압축응력을 가하는 스프링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화물 공간을 커버하기 위한 롤러 커버.
  19. 제 1 항에 있어서, 뒷문 도어(8)가 폐쇄될 때, 풀 바(25)의 하부 위치를 규제하는 멈춤부(32)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화물 공간을 커버하기 위한 롤러 커버.
  20. 제 1 항에 있어서, 3개의 상태를 갖는 강제 안내 장치(27)에 로킹 장치(44)가 할당되고, 제 1 상태에서 폐쇄 위치로부터의 풀 바(25)의 모션은 억제되고, 제 2 상태에서 폐쇄 위치로부터의 풀 바(25)의 모션은 해제되며, 제 3 상태에서 풀 바(25)는 뒷문 도어(8)의 위치에 따라 폐쇄 위치에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화물 공간을 커버하기 위한 롤러 커버.
  21. 제 20 항에 있어서, 풀 바(25)의 제 1 위치는 로킹 장치(44)의 제 1 상태에 대응하고, 제 2 위치는 제 1 위치로부터 2cm 이하 만큼 이격된 거리에 있는 제 3 상태와 롤러 블라인드(17)의 폐쇄 위치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화물 공간을 커버하기 위한 롤러 커버.
  22. 제 20 항에 있어서, 로킹 장치(44)는 풀 바(25)와 함께 직접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화물 공간을 커버하기 위한 롤러 커버.
  23. 제 20 항에 있어서, 로킹 장치(44)는 풀 바(25)의 각 단부가 안내되어야 하는 홈(43)과 와인딩 롤러(18)에 의해서 작용된 장력이 리세스(46)에서 자동으로 풀 바(25)의 단부(26)를 유지하도록 설계된 리세스(46)를 구비하며, 리세스(46)에서 풀 바(25)의 상기 위치는 로킹 장치(44)의 제 1 상태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화물 공간을 커버하기 위한 롤러 커버.
  24. 제 23 항에 있어서, 리세스(46)의 적어도 일부 벽(56)은 이동할 수 있고 이 가동벽(56)은 뒷문 도어(8)가 가동벽(56)의 이동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결합 링크(61)를 통해서 뒷문 도어(8)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화물 공간을 커버하기 위한 롤러 커버.
  25. 제 20 항에 있어서, 로킹 장치(44)는 이 로킹 장치(44)의 제 1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풀 바(25)를 상기 로킹 장치(44)의 제 3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리프팅 요소(54,6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화물 공간을 커버하기 위한 롤러 커버.
  26. 제 25 항에 있어서, 리프팅 요소(54,68)의 이동은 뒷문 도어(8)에 의해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화물 공간을 커버하기 위한 롤러 커버.
  27. 제 20 항에 있어서, 로킹 장치(44)는 두 위치 사이에서 앞, 뒤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두 위치중 한 위치에서 풀 바(25)를 제 3 위치에서 유지하고 다른 위치에서 풀 바(25)의 이동을 해제하는 로킹 링크(61,69,76,107)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화물 공간을 커버하기 위한 롤러 커버.
  28. 제 27 항에 있어서, 로킹 링크(76)는 케이블(92)을 통해서 뒷문 도어(8)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화물 공간을 커버하기 위한 롤러 커버.
  29. 제 25 항 또는 제 27 항에 있어서, 리프팅 요소(68) 또는 로킹 장치(69)는 뒷문 도어(8)에 직접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화물 공간을 커버하기 위한 롤러 커버.
  30. 제 25 항 또는 제 27 항에 있어서, 리프팅 요소(73,116) 또는 로킹 장치(61,76)는 뒷문 도어(8)에 의해서 조절된 슬라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화물 공간을 커버하기 위한 롤러 커버.
  31. 제 20 항에 있어서, 로킹 장치(44)는 안내 홈(43)의 틈새로 돌출하는 로킹 부재(66,78,101)를 갖는 로킹 요소(66,78,101)를 구비하고, 상기 안내 홈(43)은 상기 로킹 장치(44)의 제 1 상태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풀 바(25)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화물 공간을 커버하기 위한 롤러 커버.
KR10-1999-7004970A 1996-12-06 1997-12-04 간단하게 작동하는 롤 커버 KR1004832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650775A DE19650775C2 (de) 1996-12-06 1996-12-06 Abdeckrollo mit vereinfachter Bedienung
DE19650775.8 1996-12-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7405A true KR20000057405A (ko) 2000-09-15
KR100483215B1 KR100483215B1 (ko) 2005-04-15

Family

ID=7813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4970A KR100483215B1 (ko) 1996-12-06 1997-12-04 간단하게 작동하는 롤 커버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402217B1 (ko)
EP (1) EP0941176B1 (ko)
JP (1) JP3613581B2 (ko)
KR (1) KR100483215B1 (ko)
CN (1) CN1082467C (ko)
AT (1) ATE266545T1 (ko)
BR (1) BR9713994A (ko)
CZ (1) CZ9902014A3 (ko)
DE (2) DE19650775C2 (ko)
WO (1) WO199802465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54772C1 (de) * 1998-11-27 2000-05-31 Audi Ag Laderaumabdeckung für ein Kombi-Kraftfahrzeug mit Heckklappe
DE19856741C2 (de) * 1998-12-09 2001-02-01 Baumeister & Ostler Gmbh Co Laderaumabdeckung bzw. Hutablage mit beweglichen Eckstücken
DE19944948C1 (de) 1999-09-20 2001-05-31 Baumeister & Ostler Gmbh Co Schutzvorrichtung für einen Innenraum eines Kraftfahrzeuges
DE10102627A1 (de) * 2001-01-18 2002-08-01 Bos Gmbh Abdeckvorrichtung für einen Laderaum eines Kraftfahrzeugs
DE10113618B4 (de) * 2001-03-20 2009-04-30 Bos Gmbh & Co. Kg Trennvorrichtung, insbesondere Laderaumabdeckung zur Abtrennung eines Laderaums eines Kraftwagens
SE521184C2 (sv) * 2001-12-20 2003-10-07 Klippan Automotive Holding Ab Lasthållande arrangemang
DE10229675B4 (de) * 2002-06-27 2005-06-09 Bos Gmbh & Co. Kg Verriegelungs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US6749241B1 (en) 2002-08-29 2004-06-15 Collins & Aikman Products Vehicle cargo panel having retractable belt
DE10323605B4 (de) * 2003-05-20 2007-03-01 Bos Gmbh & Co. Kg Schutzvorrichtung für einen Laderaum eines Kraftfahrzeuges
DE10324289A1 (de) * 2003-05-21 2004-12-23 Bayerische Motoren Werke Ag Schutzvorrichtung für einen Innenraum eines Kraftfahrzeugs
DE10348892B4 (de) * 2003-10-15 2006-07-06 Bos Gmbh & Co. Kg Schutzvorrichtung für einen Laderaum eines Kraftfahrzeugs
DE10348890A1 (de) * 2003-10-15 2005-05-19 Bos Gmbh & Co. Kg Laderaumfunktionseinrichtung
DE10356911B3 (de) * 2003-12-02 2005-01-20 Bos Gmbh & Co. Kg Laderaumschutz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04008874A1 (de) * 2004-02-18 2005-09-08 Bos Gmbh & Co. Kg Funktionseinheit für einen Fahrzeuginnenraum
US7118152B2 (en) * 2004-05-07 2006-10-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utomotive cargo restraint and security screen
FR2875758B1 (fr) * 2004-09-29 2006-12-29 Cera Systeme de montage d'un cache-bagages comprenant un rail annexe
US20060082192A1 (en) * 2004-10-05 2006-04-20 Dubay Steven C Window and sun shade module for vehicle
DE102006009413B4 (de) * 2005-03-02 2012-11-29 Bos Gmbh & Co. Kg Laderaumabdeckung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05010762A1 (de) * 2005-03-02 2006-09-14 Bos Gmbh & Co. Kg Zwangkopplungseinrichtung
DE102006009417B4 (de) * 2005-03-02 2009-08-13 Bos Gmbh & Co. Kg Laderaumabdeckung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05014798A1 (de) * 2005-03-31 2006-10-05 Webasto Ag Laderaumabdeckung für ein Fahrzeug
FR2886598B1 (fr) * 2005-06-01 2009-03-06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cache-bagages pour coffre de vehicule automobile et vehicule automobile de type coupe-cabriolet comportant un tel dispositif
DE102005031722B4 (de) * 2005-07-07 2009-12-31 Daimler Ag Abdeckvorrichtung für einen Laderaum eines Fahrzeugs
DE102005049999A1 (de) * 2005-10-13 2007-04-26 Bos Gmbh & Co. Kg Abdeckvorrichtung für einen Laderaum eines Kraftfahrzeugs
FR2892076B1 (fr) * 2005-10-17 2008-01-18 Cera Dispositif de recouvrement d'un compartiment a bagage permettant le maintien en position relevee d'une bavette en position d'utilisation
DE102005055625C5 (de) * 2005-11-22 2010-05-20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Laderaumabdeckung für ein Fahrzeug
JP2007137356A (ja) * 2005-11-22 2007-06-07 Mazda Motor Corp トノカバーの開閉装置
JP4561609B2 (ja) * 2005-11-22 2010-10-13 マツダ株式会社 トノカバーの開閉装置
US7537265B2 (en) * 2005-11-22 2009-05-26 Mazda Motor Corporation Vehicle rear structure
CZ301896B6 (cs) * 2005-12-21 2010-07-21 Škoda Auto a. s. Kompaktní jednosmerná brzda a krycí roleta opatrená touto brzdou
FR2895712B1 (fr) * 2006-01-04 2008-03-21 Cera Element de recouvrement d'un compartiment a bagages comprenant un volet presentant une position stable et une pluralite de positions instables de part et d'autre
US7641256B2 (en) 2006-01-30 2010-01-05 Mazda Motor Corporation Tonneau cover device
JP4687546B2 (ja) * 2006-04-18 2011-05-25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トノカバー装置
DE102006015546B4 (de) * 2006-03-31 2015-07-02 Toyota Boshoku Kabushiki Kaisha Anordnung zum Verfahren eines Laderaumabdeckelements
DE102006034635A1 (de) * 2006-07-27 2008-01-31 Dr.Ing.H.C. F. Porsche Ag Schutzvorrichtung für einen Laderaum
DE102007005185B3 (de) * 2007-01-29 2008-04-10 Mp Solution Gmbh Laderaumabdeckung
JP4913616B2 (ja) * 2007-01-30 2012-04-11 林テレンプ株式会社 トノカバー装置
JP4899905B2 (ja) * 2007-02-07 2012-03-21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トノカバー装置
DE102007021428B4 (de) * 2007-05-03 2012-08-30 Bos Gmbh & Co. Kg Abdeckungssystem für einen Heckstauraum eines Fahrzeugs
US20090033114A1 (en) * 2007-08-02 2009-02-05 Thomas Steigerwald Loading area cover for a motor vehicle
DE102007040282C9 (de) 2007-08-24 2016-03-10 Küster Holding GmbH Abdeckeinrichtung für den Fahrzeuginnenraum
JP5125332B2 (ja) * 2007-09-03 2013-01-23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トノカバー装置およびトノカバー装置の組立方法
EP2030841B1 (en) 2007-09-03 2017-07-26 Mazda Motor Corporation Tonneau cover device for vehicle
DE102007049111A1 (de) 2007-10-12 2009-04-16 Volkswagen Ag Abdeckvorrichtung für den Laderaum eines Kraftfahrzeugs
DE102007057080B4 (de) * 2007-11-23 2010-04-08 Bos Gmbh & Co. Kg Rollosystem
JP5098755B2 (ja) * 2008-03-31 2012-12-12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トノカバー装置
JP5223417B2 (ja) 2008-03-31 2013-06-26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トノカバー装置
DE102008036005A1 (de) * 2008-08-01 2010-02-04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
US8316736B2 (en) * 2008-10-06 2012-11-27 Honda Motor Co., Ltd. Steering column cover
FR2938479B1 (fr) * 2008-11-14 2011-01-21 Faurecia Automotive Ind Dispositif de masquage arriere de vehicule automobile et ensemble arriere associe
JP5129175B2 (ja) * 2009-02-13 2013-01-23 芦森工業株式会社 カーゴネット装置
US20100244479A1 (en) * 2009-03-25 2010-09-30 International Truck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lc Sliding bar assembly for use in cargo storage applications
DE102010024506B4 (de) * 2010-06-21 2021-01-07 Volkswagen Ag Gepäckraumabdeckung für ein Kraftfahrzeug
JP5607568B2 (ja) * 2011-03-30 2014-10-15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トノカバー装置
WO2013161628A1 (ja) * 2012-04-26 2013-10-31 芦森工業株式会社 シェード装置
JP6143465B2 (ja) * 2012-04-26 2017-06-07 芦森工業株式会社 シート引出収納装置
GB2522417B (en) 2014-01-22 2016-09-14 Ford Global Tech Llc Roll cover assembly
FR3026072A1 (fr) * 2014-09-24 2016-03-25 Cera Systeme de recouvrement d’un compartiment a bagages d’un vehicule automobile
EP2927055A1 (fr) * 2014-04-02 2015-10-07 Cera APS Système de recouvrement d'un compartiment à bagages de véhicule automobile
FR3019503B1 (fr) * 2014-04-02 2016-05-13 Centre D'etude Et De Rech Pour L'automobile (Cera) Systeme de recouvrement des bagages d’un vehicule automobile
FR3026365B1 (fr) * 2014-09-29 2016-12-09 Centre D'etude Et De Rech Pour L'automobile (Cera) Systeme de recouvrement d’un compartiment a bagages de vehicule automobile
FR3024411B1 (fr) 2014-07-31 2016-08-19 Centre D'etude Et De Rech Pour L'automobile (Cera) Systeme de recouvrement d’un compartiment a bagages de vehicule automobile
FR3026366B1 (fr) * 2014-09-29 2016-12-09 Centre D'etude Et De Rech Pour L'automobile (Cera) Systeme de recouvrement d’un compartiment a bagages de vehicule automobile
EP3075601B1 (en) * 2015-03-30 2017-07-12 Toyota Boshoku Kabushiki Kaisha Layout system for cargo area of vehicle
US9610897B2 (en) * 2015-05-12 2017-04-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ulti-function/position cover system for a vehicle cargo area
CN107923209B (zh) * 2015-08-24 2019-10-01 福特汽车萨纳伊股份有限公司 拉杆系统
DE102015118775B4 (de) 2015-11-03 2019-02-21 Macauto Industrial Co., Ltd. Laderaumabdeckung
CN106671864A (zh) * 2016-12-20 2017-05-17 镇江市高等专科学校 一种长厢货车卷帘式车厢
FR3067675B1 (fr) * 2017-06-19 2019-08-02 Treves Products, Services & Innovation Systeme d’actionnement en position de verrouillage d’une traverse de cache-bagages de compartiment a bagages de vehicule automobile
FR3079796B1 (fr) * 2018-04-04 2021-04-30 Cera Aps Systeme de recouvrement d'un compartiment a bagages de vehicule automobile
FR3082158B1 (fr) * 2018-06-12 2020-07-31 Psa Automobiles Sa Dispositif de masquage d’un espace d’accueil de vehicule, a toile couplee au hayon par des biellettes
FR3082157B1 (fr) * 2018-06-12 2020-09-04 Psa Automobiles Sa Dispositif de masquage d’un espace d’accueil de vehicule, a toile couplee au hayon par des coupleurs deformables et dissymetriques
FR3086240A1 (fr) * 2018-09-24 2020-03-27 Psa Automobiles Sa Agencement d’un tendelet orientable par l’ouverture et la fermeture d’un hayon
US20200172016A1 (en) * 2018-11-30 2020-06-0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ultifunctional cargo sling/shelf
IT201900002547A1 (it) * 2019-02-21 2020-08-21 Cnh Ind Italia Spa Assieme di tetto per un veicolo di lavoro
CN110130819B (zh) * 2019-04-23 2024-05-14 贝芬(宁波)家居科技有限公司 控制装置、具有该控制装置的卷帘和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222852A5 (ko) * 1973-03-20 1974-10-18 Peugeot & Renault
US3909060A (en) * 1974-05-03 1975-09-30 Yutaka Katayama Cover for the storage area of an automobile
JPS5542990Y2 (ko) * 1975-09-05 1980-10-08
US4127301A (en) * 1976-08-23 1978-11-28 Lon H. Romanski Vehicle interior cover panel means
FR2403241A1 (fr) * 1977-09-16 1979-04-13 Renault Dispositif pour le relevage automatique de la tablette arriere d'un vehicule automobile equipe d'un hayon
US4222601A (en) * 1978-10-16 1980-09-16 Irvin Industries Inc. Automobile compartment cover
JPS5594827A (en) * 1979-01-16 1980-07-18 Nissan Motor Co Ltd Tonocover device for automobile
US4222600A (en) * 1979-02-01 1980-09-16 General Motors Corporation Vehicle storage space cover arrangement
FR2467567A1 (fr) * 1979-10-24 1981-04-30 Citroen Sa Dispositif d'escamotage pour tablette de rangement
DE3203940C2 (de) * 1982-02-05 1986-08-07 Adam Opel AG, 6090 Rüsselsheim Kraftfahrzeug mit einer Heckklappe
US4728141A (en) * 1985-05-31 1988-03-01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Automotive rear shelf structure
DE9001816U1 (de) * 1990-02-16 1990-04-19 Kamei-Porotherm Gmbh & Co Kg, 3180 Wolfsburg Kraftfahrzeug
US5224748A (en) * 1992-04-07 1993-07-06 Takata, Inc. Motor vehicle security shade with guide track
CN2121373U (zh) * 1992-04-24 1992-11-11 姚天锡 汽车车箱自动卷帘式车篷
DE4405280C2 (de) * 1994-02-19 1996-05-30 Baumeister & Ostler Gmbh Co Abdeckrollo für Kombi-Personenkraftfahrzeuge
US5772370A (en) * 1995-11-22 1998-06-30 Moore; Donal Retractable and/or removable net type cargo restraining system
DE19544590C1 (de) * 1995-11-30 1997-05-07 Stabilus Gmbh Fahrzeug mit schwenkbarem Karosserieteil
US5857725A (en) * 1996-07-10 1999-01-12 Ut Automotive Dearbon, Inc. Shade assembly mount for vehicle compartment
DE19946382A1 (de) * 1999-09-28 2001-04-12 Baumeister & Ostler Gmbh Co Laderaumabtrennung für Kraftfahrzeu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8024657A2 (de) 1998-06-11
DE19650775A1 (de) 1998-06-10
EP0941176B1 (de) 2004-05-12
WO1998024657A3 (de) 1998-07-23
BR9713994A (pt) 2000-02-29
JP2001505158A (ja) 2001-04-17
CZ9902014A3 (cs) 1999-12-15
KR100483215B1 (ko) 2005-04-15
EP0941176A2 (de) 1999-09-15
CN1082467C (zh) 2002-04-10
CN1245463A (zh) 2000-02-23
DE59711624D1 (de) 2004-06-17
JP3613581B2 (ja) 2005-01-26
DE19650775C2 (de) 1999-03-11
ATE266545T1 (de) 2004-05-15
US6402217B1 (en) 2002-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3215B1 (ko) 간단하게 작동하는 롤 커버
CA1295646C (en) Dual-purpose door system
KR100873845B1 (ko) 적재 바닥 래치
KR101605841B1 (ko) 롤러 블라인드 잠금장치를 구비한 차양 롤러 블라인드
KR20170089909A (ko) 가구 구동 장치
US20070125506A1 (en) Shade system with braked slider
US5820206A (en) Opening roof for a vehicle
KR100896873B1 (ko) 접이식 변환 차량의 후드를 개폐하기 위한 장치
KR101070954B1 (ko) 창호 시스템 및 창호 시스템용 창문개폐모듈
US4496170A (en) Seat belt device for vehicles
HU221686B1 (hu) Motorhajtású vagy kézi hajtású szekcionált kapu
EP0371523B1 (en) Open roof construction for a vehicle
US5836644A (en) Opening roof for a vehicle
EP2119854B1 (en) A device for remote leaning out and locking in the closed position of a mobile frame, in particular a smoke flap
EP3446923B1 (en) Bike carrier
KR200207305Y1 (ko) 사다리가 구비된 트레일러 및 화물트럭의 적재함
CZ2008126A3 (cs) Delená zád vozidla a zpusob jejího otevírání
JP3803802B2 (ja) シャッター引下装置
KR0143823B1 (ko) 차량의 후드 개방 유지장치
KR20080006032A (ko) 다목적 차량의 테일 게이트
KR0180408B1 (ko) 승합 차량의 윈도우 글래스 개폐장치
KR200164846Y1 (ko) 자동차의 후드힌지
EP0899138A1 (en) Open roof contruction for a vehicle
JPH082369Y2 (ja) 揺動開閉窓の閉窓ロツク装置
JP3803801B2 (ja) シャッター引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