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4846Y1 - 자동차의 후드힌지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후드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4846Y1
KR200164846Y1 KR2019970044514U KR19970044514U KR200164846Y1 KR 200164846 Y1 KR200164846 Y1 KR 200164846Y1 KR 2019970044514 U KR2019970044514 U KR 2019970044514U KR 19970044514 U KR19970044514 U KR 19970044514U KR 200164846 Y1 KR200164846 Y1 KR 2001648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link bar
movable pin
side bracket
vehic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45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1769U (ko
Inventor
남춘우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700445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4846Y1/ko
Publication of KR199900317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176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48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48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2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E05D3/18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with sliding pins or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05Y2201/212Buff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24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24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6Rods,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후드(20)를 완전히 오픈시킬 때 제1링크바(300)와 제2링크바(400)에 연결된 인장스프링(500)의 인장력에 의하여 후드(20)를 쉽게 오픈시킬 수 있고 후드(20)릍 완전히 오픈시켯을 경우에는 제1링크바(300)에 있는 가동핀(310)이 차체측브라켓(100)의 삽입홈(700)에 안착되어 제1링크바(300)가 후드(20)를 지지하여주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며 레버(810)가 연결된 릴리이스버튼(800)에 의하여 가동핀(310)의 걸림상태를 해제시켜 후드(20)를 닫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고안은 스테이로드와 같은 별도의 후드지지장치가 필요없으며, 후드(20)를 오픈시킬 때에 양손을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장스프링(500)의 인장력으로 후드를 들어올리는 것을 도와줌으로 힘이 거의 들지 않고, 스테이로드를 세우거나 눕히는 번거로움 없이 릴리이스버튼(800)을 누르는 간단한 동작으로 후드(20)를 열고 닫을 수 있으므로 후드(20)의 개폐가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후드힌지
본 고안은 자동차의 후드 오픈시켰을 때 이를 지지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후드힌지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별도의 스테이로드가 필요없이 후드를 오픈시켯을 때 후드를 자동적으로 지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후드를 쉽게 닫을 수 있는 구조로 되 자동차의 후드힌지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종래의 후드힌지를 나타낸 승용차의 사시도이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자동차의 후드(20)는 엔진룸을 덮고 있는 일종의 덮개로써 통상적으로 그 후단 양쪽을 후드힌지(A)로 차체(10)에 고정하여 후드(20)를 개폐가능하게 설치하고 있으며, 엔진룸의 앞쪽에는 가는 굵기의 봉상으로 된 스테이로드(B)를 마련하여 놓아 후드(20)를 열고나서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후드힌지(A)는 일종의 4절링크로서 차체(10)쪽에 고정되는 차체측브라켓(100)과, 후드(20)측에 고정되는 후드측브라켓(200)과, 양쪽 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서로 다른 길이로 된 제1링크바(300)와 제2링크바(400)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후드(20)를 개폐할 때 후드(20)의 후단이 차체(10)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였다.
상기한 스테이로이드(B)는 하단이 엔진룸 앞쪽의 차체(10)에 힌지식으로 결합되었다. 그리하여 사용시에는 그 상단을 후드(20)에 걸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엔진룸 앞쪽이나 옆쪽의 차체(10)에 안착시켜 둘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같이, 종래의 후드힌지(A)는 후드(20)가 차체(10)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회전되도록 하는 기능을 할 뿐 후드(20)를 열었을 때 지지하는 기능이 없으므로 후드(20)를 지지하기 위해서 별도로 스테이로드(B)를 설치하여야만 했으며, 그리고 종래에 후드(20)를 개폐하기 위해서는 한 손으로 후드(20)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 스테로이드(B)를 잡고 세우거나 눕혀야 하므로 번거롭고 힘이 드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후드를 완전히 오픈시켰을 때 후드가 자동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후드의 지지상태를 간단히 해제하여 쉽게 닫을 수도 있는 구조로 된 자동차의 후드힌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종래의 후드힌지를 나타낸 승용차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후드힌지의 구성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릴리이스버튼의 설치상태를 보인 평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차체 20 : 후드
100 : 차체측브라켓 110 : 가동핀
200 : 후드측브라켓 300 : 제1링크바
400 : 제1링크바 500 : 인장스프링
600 : 슬라이딩홀 700 : 삽입홈
800 : 릴리이스버튼 810 : 레버
820 : 압축스프링
본 고안은 차체(10)쪽에 고정되는 차체측브라켓(100)과, 후드측에 고정되는 후드측브라켓(200)과, 양쪽 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서로 다른 길이로 된 제1링크바(300)와 제2링크바(400)로 구성된 통상의 후드힌지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바(300)를 후방하향으로 당기는 힘이 작용하도록 상기 제1링크바(300)와 상기 제2링크바(400)를 연결한 인장스프링(500)과, 상기 제1링크바(300)의 하단이 가동핀(310)으로 연결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상기 차제측브라켓(100)에 길이방향으로 형성한 슬라이딩홀(600)과, 상기 후드(20)를 완전히 개방시켯을 때 상기 가동핀(310)이 삽입되어 후드(20)가 지지되도록 상기 슬라이딩홀(600)의 후단부 하측에 형성한 걸림홈(700)과, 상기 걸림홈(700)에 걸린 가동핀(310)을 들어올려 후드(20)를 닫을 수 있도록 하단부에 레버(810)를 연결하여 상기 차체측브라켓(100)의 일측면에 설치한 릴리이스버튼(800)을 더 구비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후드힌지의 구성도이고,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릴리이스버튼의 설치상태를 보인 평단면도이다.
인장스프링(500)은 일단을 제1링크바(300)에 타단은 제2링크바(400)에 연결하되, 제1링크바(300)쪽을 높게함으로써 제1링크바(300)가 후방하향으로 당기겨질 때 하향으로도 힘이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후술하는 삽입홈(700)에 잘 걸려 고정되도록 하고, 이 인장스프링(500)의 인장력을 선정함으로써 후드(20)에 힘을 약하게 가하거나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쉽게 열리게 할 수 있다.
슬라이딩홀(600)은 차체측브라켓(100)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하되, 바람직하기로는 차체측브라켓(100)을 채널형태로 제작하여 제1링크바(300)가 내부에서 왕복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슬라이딩홀(600)은 차체측브라켓(l00)이 일종의 레일과 같은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슬라이딩홀(600)의 길이는 후드(20)의 회전각도범위에 따른 제1링크바(300)의 활주길이에 따라 적절하게 설계된다.
걸림홈(700)은 후드(20)를 완전히 개방시켰을 때 슬라이딩홀(600)의 후방으로 이동된 가동핀(310)이 삽입되어 후드(20)를 제1링크바(300)가 후드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릴리이스버튼(800)은 하단부에 레버(810)가 연결되어 있으며 압축스프링(820)에 의하여 레버(810)를 당기는 상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설치시 레버(810)의 일단이 걸림홈(700)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조작에 따라 가동핀(310)을 들어올려 록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된 본 고안의 설치는, 제1링크바(300)의 하단부에 있는 가동핀(310)을 차체측브라켓(100)의 슬라이딩홀(600)에 축설함으로서 제1링크바(300)의 하단이 하측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조립하고, 종래와 같이 차체측브라켓(100)을 차체(10)(엔진룸)측에 고정시키고 후드측브라켓(200)은 후드(20)의 저면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릴리이스버튼(800)의 설치장소는 후드(20)릍 닫았을 때 보이지 않는 위치가 바람직하고, 평상시에 조작부위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시한 릴리이스버튼(800)의 설치시에는 조작력이 레버(810)에 전달되도록 부품의 회전중심부위에 고정핀을 사용하여 차체측브라켓(100)에 고정시킨 상태로 차제에 설치하면 된다.
이와같이 설치된 본 고안은, 차실에서 도시하지 않은 후드오픈용 레버로 후드(20)의 록상태를 1차적으로 해제시키면, 인장스프링(500)이 제1링크바(300)를 후방으로 당겨줌으로 작은 힘으로도 후드(20)의 앞쪽을 쉽게 들어올릴 수 있다. 후드(20)가 완전히 오프되면 인장스프링(500)에 의하여 제1링크바(300)를 하방으로 당겨주는 힘이 작용하므로 제1링크바(300)의 하단부에 있는 가동핀(310)이 슬라이딩홀(600)의 저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다가 삽입홈(700)에 삽입되어 안착되며, 이와 동시에 후드(20)는 제1링크바(300)에 의하여 안전하게 지지되므로 후드(20)가 외력이나 자중에 의하여 당겨지는 일이 없다.
이상태에서 후드(20)를 닫고자 할 때에는 한손으로 후드(20)를 약간더 들어올린다음, 릴리이스버튼(800)을 누르고있는 상태에서 후드(20)를 어느정도 하강시킨 후, 버튼(800)에서 손을 떼고 후드(20)를 놓으면 인장스프링(500)의 인장력이 작용하므로 서서히 닫혀지고 거의 닫혀졌을 때 후드(20)를 아래로 누르면 완전히 닫혀지고 도시하지 않은 후드록커에 의하여 록킹된다. 여기서 후드(20)를 닫을 때 버튼(800)을 누르면 레버의 일단이 상향으로 회전하여 가동핀(310)을 들어올려 줌으로 가동핀(310)이 삽입홈(310)에서 벗어나 슬라이딩홀(600)의 전방으로 이동가능한 상태로 되고 제1링크바(300)의 슬라이딩작용을 자유롭게 하여 후드(20)를 닫을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후드(20)를 완전히 오픈시킬 때 제1링크바(300)와 제2링크바(400)에 연결된 인장스프링(500)의 인장력에 의하여 후드(20)를 쉽게 오픈시킬 수 있고 후드(20)를 완전히 오픈시켰을 경우에는 제1링크바(300)에 있는 가동핀(310)이 차체측브라켓(100)의 삽입홈(700)에 안착되어 제1링크바(300)가 후드(20)를 지지하여주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며 레버(810)가 연결된 릴리이스버튼(800)에 의하여 가동핀(310)의 걸림상태를 해제시켜 후드(20)를 닫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고안은 스테이로이드와 같은 별도의 후드지지장치가 필요없으며, 후드(20)를 오픈시킬 때에 양손을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장스프링(500)의 인장력으로 후드(20)를 들어올리는 것을 도와줌으로 힘이 거의 들지 않고, 스테이로이드를 세우거나 눕히는 번거로움 없이 릴리이스버튼(800)을 누르는 간단한 동작으로 후드(20)를 열고 닫을 수 있으므로 후드(20)의 개폐가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차체(10)쪽에 고정되는 차체측브라켓(100)과, 후드측에 고정되는 후드측브라켓(200)과, 양쪽 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서로 다른 길이로 된 제1링크바(300)와 제2링크바(400)로 구성된 통상의 후드힌지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바(300)를 후방하향으로 당기는 힘이 작용하도록 항기 제1링크바(300)와 상기 제2링크바(400)를 연결한 인장스프링(500)과, 상기 제1링크바(300)의 하단이 가동핀(310)으로 연결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상기 차체측브라켓(100)에 길이방향으로 형성한 슬라이딩홀(600)과, 상기 후드(20)를 완전히 개방시켰을 때 상기 가동핀(310)이 삽입되어 후드(20)가 지지되도록 상기 슬라이딩홀(600)의 후단부 하측에 형성한 걸림홈(700)과, 상기 걸림홈(700)에 걸린 가동핀(310)을 들어올려 후드(20)를 닫을 수 있도록 하단부에 레버(810)를 연결하여 상기 차체측브라켓(100)의 일측면에 설치한 릴리이스버튼(800)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후드힌지.
KR2019970044514U 1997-12-31 1997-12-31 자동차의 후드힌지 KR2001648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4514U KR200164846Y1 (ko) 1997-12-31 1997-12-31 자동차의 후드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4514U KR200164846Y1 (ko) 1997-12-31 1997-12-31 자동차의 후드힌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1769U KR19990031769U (ko) 1999-07-26
KR200164846Y1 true KR200164846Y1 (ko) 2000-01-15

Family

ID=19520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4514U KR200164846Y1 (ko) 1997-12-31 1997-12-31 자동차의 후드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484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1769U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97733C (en) Casement window hinge
US6539581B1 (en) Hinge for furniture and the like, with movable arm arranged inside the fixed arm
KR100896873B1 (ko) 접이식 변환 차량의 후드를 개폐하기 위한 장치
KR200164846Y1 (ko) 자동차의 후드힌지
KR19990031770U (ko) 자동차의 후드힌지
KR100223562B1 (ko) 트레이 내장용 콘솔박스의 개폐구조
KR100402115B1 (ko) 자동차의 엔진후드 스테이 장치
KR200230858Y1 (ko) 창문 자동 레바 록
KR20080006032A (ko) 다목적 차량의 테일 게이트
KR100620512B1 (ko) 도어개폐장치
KR0113911Y1 (ko) 승합차용 반자동 천장 환기구의 구조
KR100368385B1 (ko) 자동차용 후드스테이 로드
KR970003326Y1 (ko) 자동차용 후드 지지구조
KR100368359B1 (ko) 자동차의 엔진후드 힌지조립체
KR100368393B1 (ko) 자동차의 엔진후드 힌지조립체
KR0135385Y1 (ko) 자동차용 본네트 스테이
KR200142673Y1 (ko) 차량용 도어 래치
KR100330673B1 (ko) 리어 게이트 잠금장치
KR0132246Y1 (ko) 자동차용 글러브박스의 개폐장치
KR200153744Y1 (ko) 출입문 잠금장치
KR100410837B1 (ko) 자동차 후드패널의 개방상태 지지기구
KR100245506B1 (ko) 자동차의 트렁크리드록어셈블리
JPS603900Y2 (ja) キャビネットの施錠装置
JPS603901Y2 (ja) キャビネットの施錠装置
KR200149974Y1 (ko) 테일 게이트의 인사이드 핸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7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