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9573A - 축구장과같은운동장과그것을수평으로이동시키는방법 - Google Patents

축구장과같은운동장과그것을수평으로이동시키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9573A
KR20000029573A KR1019997000632A KR19997000632A KR20000029573A KR 20000029573 A KR20000029573 A KR 20000029573A KR 1019997000632 A KR1019997000632 A KR 1019997000632A KR 19997000632 A KR19997000632 A KR 19997000632A KR 20000029573 A KR20000029573 A KR 200000295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playground
support frame
team
t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0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이문트 포일러
게오르그 베쎌
Original Assignee
프리트헬름 품베르크
쉬스-데프리스 엔지니어링 임모빌린-운트 바우트래거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리트헬름 품베르크, 쉬스-데프리스 엔지니어링 임모빌린-운트 바우트래거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프리트헬름 품베르크
Publication of KR20000029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9573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02Part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16C33/04Brasses; Bushes; Linings
    • F16C33/06Sliding surface mainly made of metal
    • F16C33/10Construction relative to lubrication
    • F16C33/1025Construction relative to lubrication with liquid, e.g. oil, as lubricant
    • F16C33/103Construction relative to lubrication with liquid, e.g. oil, as lubricant retained in or near the bea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8Surfaces simulating grass ; Grass-grown sports grounds
    • E01C13/083Construction of grass-grown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arrangemen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02Sliding-contact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08Arrangements for covering or protecting the ways
    • F16C29/084Arrangements for covering or protecting the ways fixed to the carriage or bearing body movable along the guide rail or tr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02Part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16C33/04Brasses; Bushes; Linings
    • F16C33/06Sliding surface mainly made of metal
    • F16C33/10Construction relative to lubrication
    • F16C33/102Construction relative to lubrication with grease as lubricant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2013/006Transportable sport surfaces for multipurpose stadiu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16/00Apparatus in health or amusement
    • F16C2316/30Articles for sports, games and amusement, e.g. roller skates, toys

Abstract

축구와 같은 팀 스포츠구장은 흙 또는 토사로 이루어진 하부구조물(21)에 배치되고 잔디, 미세입자 또는 다른 천연 또는 인조 재료로 만들어진 운동장(20)을 구비한다. 또한, 그러한 스포츠구장을 수평으로 이동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그러한 스포츠구장이 수평으로 이동되도록 스포츠구장은 콘크리트 또는 스틸재 부품들로 만들어진 홈통 형상의 지지프레임(22)에 배치되고 고정된 슬라이딩 트랙(23)에서 지지되는 슬라이딩 패드상에서 이동될 수 있다.

Description

축구장과 같은 운동장과 그것을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방법 {Playing Field, in Particular Soccer Field, a Method of Moving it Horizontally}
현재 알려진 축구 스타디움은 75 m × 115 m의 표준화된 규격을 가진 잔디 구장을 갖는다. 필요에 따라 운동장에는 가벼운 운동경기를 할 수 있도록 트랙이 제공된다. 관람용 스탠드는 운동장 둘레에, 필요에 따라 트랙 주변에 제공된다. 또한 부분적으로 덮혀져 있는 스타디움도 알려져 있다. 어떤 축구장은 비가 심하게 오는 동안에 또는 그 뒤에 배수시키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배수를 위한 배수시설을 구비하고 있다. 각 경우마다 예를들어 뮌헨 올림픽 스타디움에서와 같이 특별한 표면 히터가 제공되어 운동장은 겨울에도 사용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잔디는 눈과 얼음이 없이 비교적 건조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그러한 스타디움들의 건축과 유지보수는 비용이 매우 많이 소요되므로 상업적인 이유 때문에 이러한 스타디움들을 예를들어 콘서트와 같이 다른 목적으로 사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스타디움은 무엇보다도 잔디가 직접적으로 또는 그위에 커버를 씌우더라도 손상을 받게 된다.
더욱이, 운동장과 관람석들이 완전히 덮혀져 있는 도르트문트/베스트할리아 홀과 같이 다목적 장소가 있다. 예를들어 자전거 경주, 테니스, 팀스포츠, 핸드볼, 배구 또는 쇼나 콘서트용 스테이지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홀 내부에는 적당한 운동장 커버 수단이 제공된다. 존재하는 유러피언 홀에서 조차도 사용가능한 내부 공간이 축구장으로 사용하기에 너무 작다. 충분히 큰 다목적용 홀이더라도 영구적으로 잔디로 덮히도록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으며, 그것은 폐쇄된 홀에서는 햇볕과 비와 같은 필요한 자연조건들이 결여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요건들은 개방가능한 또는 슬라이드식으로 개폐되는 지붕에 의해 부분적으로만 충족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도 잔디는 짧은 시간동안 사용되더라도 어떤 목적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잔디가 손상되는 문제가 있었다. 반면에, 잔디구장은 주기적으로만, 예를들어 정규 축구 시즌 동안에 매 2주씩 사용된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방안은 펴서 사용하고 그런다음 다시 감도록 된 잔디를 사용하는 것이 있지만, 그러한 시스템은 비용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잔디 표면이 지면에 견고하게 접착되지 않게 되어 잦은 제거와 재사용은 잔디를 빨리 죽게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 해결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운동장 표면에 잔디, 입상 또는 그와 유사한 천연 또는 인조의 층과 흙 또는 점토질과 같은 하부구조로 이루어진 형성된 운동장, 특히 축구와 같은 팀 스포츠용 운동장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그러한 운동장을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슬라이드 레일을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운동장의 개략도이다.
도 2와 도 3은 지지프레임의 포스트 밑의 구조에 대한 다른 부분단면도이다.
도 4는 조사공간의 영역의 레일 브릿지와 그 장착부에 대한 부분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를 따라 레일 브릿지에서 보수용 개구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지지벽의 레일 브릿지용 포스트의 앵커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콘크리트 빔의 슬라이드 레일의 앵커의 단면도이다.
도 8은 2개의 레일 단부들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9는 슬라이드 조립체를 지지하는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조사공간의 구조물 빔의 측면도와 단면도이다.
도 11은 슬라이드 레일 단부의 도 9와 도 10의 구조물 빔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이 없이 운동장 표면, 특히 잔디를 손상시키지 않고 비교적 신속하게 수평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전술한 형태의 운동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발명의 목적은 잔디 표면이 사용되지 않을 때 잔디 표면이 전체적으로 홀 외측으로 전체적으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부를 포함한 전체 운동장이 정지상의 슬라이드 트랙들에서 슬라이드 패드들을 통하여 수평으로 슬라이드가능하며 주로 스틸부재 또는 콘크리트 부재로 형성된 홈통 형태의 지지프레임에 배치된 것을 본 발명의 특징으로 하는 특허청구의 범위 제 1항의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슬라이드 트랙들은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덮혀지는 스타디움 또는 다목적용 홀로 부터 인접한 외측 공간, 즉 파킹 구역(parking lot)까지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는 잔디구장에서 수행되는 스포츠 활동을 위해서는 홀로 슬라이드되어 배치되고 그런 다음에는 홀의 외측, 즉 파킹 구역으로 다시 슬라이드되어 복귀되는 장점을 갖는다. 상기 슬라이드 트랙은 다목적용 홀 또는 스타디움에서 사람들이 걷거나 운동하는데 장애가 되지 않는 곳의 플로어에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드 트랙은 파킹 구역과 같이 이용하기에 자유로운 외측 구역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장애물이 되지 않도록 설치된다. 이렇게 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이용할 수 있는 스타디움을 실내에 설치할 수 있어서 슬라이드 구조에 대한 건축비용을 조기에 회수할 수 있게 된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은 홀의 특정구역에서 소정의 사용시간동안에만 자연 식물로 덮힌 영역에 대해 이용될 수 있으며 그런 다음에는 외측 구역으로 복귀될 수 있다.
스타디움 또는 다목적용 홀에서 관람자용 영역이 감소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프레임이 스타디움 또는 다목적용 홀의 관람자용 스탠드 밑으로 개구부를 통해 슬라이드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이 제공된다. 상기 개구부는 슬라이딩 도어, 플랩 또는 그와 유사한 수단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슬라이드 패드의 수는 그 위에 배치되는 지지 구조물과 운동장의 중량에 의해 결정되며, 75 m × 115 m 의 잔디구장에서의 중량은 100,000 kN 이상이 될 수 있다. 그와 같은 무거운 중량에 대하여 특수 코팅된 스틸재의 슬라이드 트랙과, 트랙에 맞물리는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olytetrafluorethylene : 이하 PTFE라 한다)의 표면을 갖는 슬라이드 패드가 사용된다. 테플론이라는 이름으로 거래되는 PTFE와 오스테나이트강의 결합체는 조인트로서 다리 건축에서 이미 알려져 있지만 그 분야에서의 슬라이드 패드는 비교적 작은 것이다. 놀랍게도 슬라이드 필름이 제공된 코팅된 슬라이드 트랙에서 슬라이드하는 PTFE 플레이트로 된 슬라이드 패드가 넓은 간격에 걸쳐 큰 중량물을 슬라이드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판정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기본적으로 실리콘 오일 또는 리튬 금속염과 같은 공지의 윤활제가 사용될 수 있지만, 그러나 수용성 오일 또는 그리스의 박막이 슬라이드 트랙에 사용된다. PTFE 플레이트인 슬라이드 패드는 마찰을 최소화하는 한편 슬라이드성을 증가시키도록 윤활유용 포켓, 오일 또는 그리스 분배 홈들을 저면에 갖는다. PTFE와 윤활유 또는 오일과 코팅된 스틸의 결합시 슬라이드 마찰 계수는 0.018 내지 0.025가 된다. 정지 마찰력을 극복하기 위한 미는 힘은 0.07의 마찰계수까지 정지되지 않고 발휘될 수 있는 정도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지지프레임은 앵커 플레이트들에서 지지하는 복수개의 평행한 열들로 배열되는, 소위 집중 하중 포인트들에서 복수개의 수직의 포스트들에 의해 지지된다. 이들 포스트들은 콘크리트로 만들어지며, 그 각각은 상부로부터 하부까지 지지 플레이트와, 탄성체의 전단에 대한 수평 저항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플레이트들이 매설된 복수개의 탄성체의 바디들 및 복수개의 PTFE 패드들로 이루어진 것의 저면이 배치되어 지지된다. 상기 탄성체 층은 지지 플레이트로 경화되고 탄성적으로 하중을 지지하여 슬라이드 트랙의 중량 편차를 보정한다. 밑에 탄성체 층이 경화된 스틸 플레이트는 PTFE 플레이트를, 바람직하게는 5 mm 두께로 삽입된 상태로 보지하고 파지하는 홈들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슬라이드 트랙들에는 수작업 또는 별도의 수단으로 얇은 그리스 또는 오일층이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라 비용 부담을 피하도록 지지 플레이트의 보호용 하우징에 PTFE의 전후측에 양측 슬라이드 방향으로 오일/그리스 도포기들이 제공되어 오일 또는 그리스를 호스로 공급하도록 하며, 슬라이드 트랙들위에 장착된다. 또한, 적당한 배관장치가 제공되어 전진 이동중에 필료량의 그리스 또는 오일이 자동적으로 도포되도록 한다.
지지플레이트들의 밑에 있는 부품들을 특히 먼지나 오염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보호용 하우징이 콘크리트 앵커에 고정되며, 상기 하우징은 지지플레이트와 그에 취부된 부품들 위와 둘레로 연장되고, 슬라이드 트랙들에서 가이드되고 슬라이드 트랙들을 향해 반전된 모서리부분에 장착된 오염물 스크레이퍼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전진 이동중에 슬라이드 트랙들을 청소할 수 있어서 슬라이드 트랙들상의 오염물이 그리스나 오일과 혼합되지 않게 된다. 또한, 오염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하우징은 각각의 오일 분배기 마다 달리 장착될 수 있으며 오일 분배기와 PTFE 패드들 사이의 공간이 보호된다.
지지프레임을 수평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복구개의 슬라이드 액튜에이터들이 제공되며, 상기 슬라이드 액튜에이터들은 각각 클램핑 죠들에 의해서 연속적인 위치들에서 슬라이드 트랙들에 평행하게 고정된 상부 플랜지를 파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유압으로 작동하는 실린더들에 의해 클램핑된 상태에서 지지프레임상에서 견인력을 수평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 결과 부하와 함께 지지프레임을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큰 슬라이딩시키는 힘이 복수개의 슬라이드 액튜에이터들에 의해 분산될 수 있다. 384개의 슬라이드 패드들과 부하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전체 하중을 104,000 kN으로 가정하면, 패드 하나당 80 kN 까지의 불균일 분포하중을 지지할 수 있으면서 270 kN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2개의 실린더를 각각 구비한 4개의 슬라이드 액튜에이터들로 정지 마찰력을 극복하는데 필요한 슬라이딩력은 8×900 kN 이며, 이동할 때는 8×360 kN 이 된다.
클램핑된 위치에서 각각의 슬라이드 액튜에이터들은 운동장 또는 그것의 지지프레임과 슬라이드 액튜에이터 사이에 제공된 실린더용의 수평 받침대에서 작용하며 한 행정거리씩 견인된다. 피스톤이 클램핑된 상태에서 해제되어 승강하게 되면 실린더는 죠에 의해 고정되며, 그런 다음 실린더는 지지프레임과 그 부하를 다음 단계까지 전진시킬 수 있게 되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프레임이 트랙을 따라 이동되어야 하는 전체 거리만큼 이동될때까지 계속되어진다. 클램핑시키는 힘은 4×15,000 kN 정도이다.
슬라이드 액튜에이터들은 이동거리 탐지장치와 실린더 피스톤 행정 동기화기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균일한 슬라이딩 및 전진시키는 힘이 취부점에 작용된다. 필요한 경우 운동장의 센터 밑의 지면에는 가이드 트랙이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트랙에는 지지프레임에 연결된 스프링이 장착된 가이드 롤러들이 제공되고, 상기 가이드 트랙은 행정 동기화기를 제어하며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 액튜에이터들의 작용을 수정하며 긴급시 슬라이드 액튜에이터들을 정지시키도록 뒤틀림 탐지기에 연결된다.
수시로 보수 또는 부품 교환을 위하여 지지프레임 밑에는 운동장의 폭 또는 전체 지지프레임을 따라 접근가능한 조사공간이 제공된다.
슬라이드 트랙들 자체는 폭이 넓은 스틸 바 또는 금속판으로 형성되며 그 저면에서 넬슨-헤드 볼트(nelson-head bolt)에 용접되며, 나사가 형성된 슬리브와 스크류에 의해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되고 모르타르가 얇게 도포된다. 함께 또는 개별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이러한 장착 수단들로 상기 슬라이드 트랙들을 수평면상에 이상적으로 배치 및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트랙들은 변형예로서 특히 조사공간 위에 스틸재 빔으로 받침대 또는 받침용 포스트들이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드 트랙들은 마찰저항에 대하여 최적화된 오렌지-필(orange-peel) 표면을 갖는 300 ㎛ 에서 최대 400 ㎛ 까지, 바람직하게는 340 ㎛ 두께의 표면 코팅을 갖는다. 상기 오렌지-필 표면은 윤활유가 그 표면의 요철부에서 보지될 수 있게 하여 슬라이드 마찰을 개선한다. 상기 오렌지-필 표면 도포는 슬라이드 트랙의 스틸재 코어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구성이 있게 수행되어야 한다.
상기 슬라이드 트랙들은 복수개의 부분들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부분들 사이는 내구성이 양호한 신축성있는 조인트가 제공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에 따라 슬라이드 트랙의 저면에는 슬라이드 트랙의 단부 영역에 또는 슬라이드 트랙 부분의 끝에 신축성 조인트들을 지지하도록 교각건축 분야에서 공지된 것과 같은 PTFE/오스테나이트 슬라이드 베어링이 제공되어 기초 구조물의 조인트부의 신축성을 허용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드 트랙 브릿지의 상부와 하부 플랜지들에는 보수 작업을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어 그 개구부를 통하여 교체용 PTFE 패드가 통과할 수 잇다.
슬라이드 트랙 브릿지에는 콘크리트로 된 슬라이드 트랙 단부들의 수준을 브릿지 단부들과 맞추기 위하여 높이 조정가능한 지지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지프레임의 연속적 이동이 실린더 행정에 의해 한단계씩 수행되는 점에는 특허청구범위 제 21항에 기재된 발명을 통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한 아래 설명에 기재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흙과 점토층으로 형성된 기부(21)를 포함하는 전체 축구장은 홈통 형태의 지지프레임(22)은 운동장(24)으로 연장된 슬라이드 트랙(23)에서 밑에서 슬라이드되게 지지된다. 상기 지지프레임은 슬라이드 트랙(23) 위에서 화살표(25)에 의해 도시된 수평력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축구장은 스타디움으로부터 견인되고 다시 그속으로 귀환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22)은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또는 스틸재로 만들어진다. 홈통 형태의 지지프레임의 기부(21)는 배수용 파이프들과 잔디 또는 그와 유사한 시설들을 보지할 수 있다. 운동장은 장방형으로 예를들어 75 mm × 115 mm의 규격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전체적으로 16개의 트랙들이 미설명된 커버링된 스타디움으로부터 연장되어 파킹 구역으로서 역할하는 영역(24)속으로 연장된다. 상기 운동장은 필요하면 골포스트 또는 다른 시설물들을 분해한 다음 스탠드 밑에서 파킹 구역으로 견인될 수 있다. 4개의 콘크리트 슬라이드 트랙들에서 연장된 4개의 액튜에이터들이 수평이동을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래로 연장된 운동장 구조는 1.2 m의 높이를 가지며 밑으로부터 접근할 수 있도록 되고 이를 위하여 운동장 플로어 밑에 0.6 m 높이의 공간이 제공된다. 운동장과 지지프레임(22)이 밑에서 이동될 수 있는 스탠드의 앞쪽에 출입가능한 검사영역이 스타디움 기부에 제공되며, 그 검사영역은 지지프레임(22)하에서 운동장으 전체 폭에 걸쳐 연장되어서, 포스트와 슬라이드 패드, 윤활장치 및 후술하는 배관시설들이 밑에서 검사될 수 있다. 슬라이드 패드들은 수용성 오일로 슬라이드 트랙(23)에 윤활된다.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PTFE의 슬라이드 패드와 그리스 또는 오일 윤활제 및 코팅된 스틸재의 슬라이드 트랙들이 사용된다. 이로써 0.018 - 0.025 범위의 슬라이드 마찰계수 μ가 얻어진다. 안전을 위하여 장기간 이동하지 않은 뒤 0.07 μ 정도의 정지 마찰이 허용되며, 따라서 액튜에이터와 유압 실린더 및 트랙 마운트들은 정지 마찰로 인하여 정지되지 않도록 하는 규격으로 된다. 운동장이 슬라이드된 다음 트랙들은 온수와 함께 그리스 또는 오일로 세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운동장 중량 .............................104,000 kN
슬라이드 베어링의 수 ....................384
슬라이드 베어링당 하중 ..................270 ± 80 kN
슬라이드 트랙들의 간격 ................. 최대 5와 길이 2.5 m당 ±2.5 mm
최대 슬라이드 구동력 ................... 8×900 kN
운전 슬라이드 구동력.................... ??8×360 kN
슬라이드율 ............................. 2--5%
실린더 행정 ............................ 1.0 m
운동장 속도
≤2.75 %의 슬라이드율에서 ......최대 0.8 m/min(평균 0.7 m/min)
3.4%의 슬라이드율에서..........최대 0.65 m/min(평균 0.57 m/min)
4%의 슬라이드율에서............최대 0.55 m/min(평균 0.48 m/min)
5%의 슬라이드율에서...........최대 0.44 m/min(평균 0.385 m/min)
슬라이드장치의 최종값................. 4×40 kVA
일주당 이동거리....................... 2년동안 1 또는 16 km
트랙의 베어링 압력.................... 10--20 n/mm²
사용할 때 마다 소모되는 전체 오일..... 30--50 ℓ
지지프레임은 복수개의 인접한 열로 된 포스트들에 안착되며, 상기 포스트는 콘크리트 앵커판(26,27,28)들상에서 하단부가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384개가 사용되는 작동 슬라이드 베어링들은 지지플레이트(29)와, 플레이트들이 매설된 탄성체의 중간층(30), 및 PTFE 인써트(32)용 시트를 구비한 코팅된 스틸판931)으로 구성된다. 지지플레이트(29)는 스크류(33)와 콘크리트 앵커(26,27,28)로 포스트에 고정된다. 지지플레이트와 함께 그 아래의 부품들 주변에는 모서리부분에 스크레이퍼(35)들을 구비한 보호용 하우징(34)이 제공되어 먼지등으로부터 내장된 부품들을 보호하고 또한 슬라이드 트랙을 깨끗하게 한다. 탄성체의 중간층(30)이 지지플레이트(29)에 제공되어 슬라이드 트랙(36)의 높이 차이를 보정하도록 탄성력을 발휘한다. 스틸 스틸플레이트들은 탄성체 층(31)으로 피복되고, PTFE 플레이트들을 보지하기 위한 시트들을 구비하고 있다. 플레이트(32)들은 5 mm 두께이며 그 활주면에 윤환유용 포켓 및 오일/그리스 분배용 홈(37)들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한 슬라이드 베어링의 전후측에는 운동방향으로 다수의 펠트 스트라이프(felt strips)들을 구비한 오일 분배용 스트라이프(38)들이 있다. 이들 오일 분배용 스트라이프(38)들은 중앙의 윤활시스템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오일은 전기적 제어하에 윤활유 박막층으로 슬라이드 트랙(36)에 주기적으로 분배된다. 상기 PTFE 플레이트(32)들은 0.018 - 0.025 사이의 슬라이드 마찰계수를 갖는 윤활유 박막에서 슬라이드된다. 상기 PTFE 플레이트들은 후술하는 바와같이 바람직하게는 조사 공간을 통해 교체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PTFE 플레이트(32)는 요홈이 형성된 스크류(39)들에 의해 스틸 플레이트(31)들에 고정되어 있다. 콘크리트 앵커(26,27,28)들의 규격과 마찬가지로 수직 지주(26)들의 간격은 대체로 슬라이드될 운동장, 그의 기부, 및 지지프레임의 중량에 따라 의존하게 되며, 예를들어 지주들의 열들의 측방향 간격을 3.2 m로 하고, 이동방향으로 연속된 열들의 간격은 4.5 m로 할 수 있다. 도 4 내지 8에 도시된 슬라이드 트랙들은 모서리부분이 라운드진 광폭 스틸 판 또는 바(37)로 이루어진다. 넬슨 헤드 볼트(38)들이 저면들에 용접된다. 볼트(38)들의 크기와 간격은 지지되어야 하는 수평하중에 의해 결정되며, 예를들어 1 m당 2개의 볼트(38)들이 이격배치된다. 2개의 인접한 광폭의 바 단부들 사이에는 공간(39)이 생기고 그 공간에는 수명이 긴 탄성체 팽창 조인트(40)가 채워진다. 슬라이드 트랙들은 높이에 대해 슬리브(41)와 스크류(42)에 의해 조정될 수 있으며, 저수축 모르타르(43)로 고정된다. 슬라이드 트랙들의 상측과 하측면ㄷ르에는 슬라이드 코팅(44)이 제공된다. 상기 코팅은 녹 방지 스틸 코팅 에스에이(Sa) 2 1/2n. 딘(Din) 55928 티(T).4, 인터실드 프라이머(Intershield Primer) 이지에이(EGA) 780/이지에이(EGA) 784의 4 ㎛ 두께의 베이스층과, 150 ㎛ 두께의 두꺼운 적색 인터실드 코팅 이지에이 100/이지에이 103의 중간층, 및 중간층과 같은 층의 150 ㎛ 두께의 상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스라이드 트랙 코팅의 전체 두께는 340 ㎛ - 440 ㎛이다. 슬라이드 트랙(36) 또는 그 코팅(44)의 상면은 오렌지 필 형태이어서 울퉁불퉁한 표면은 윤활유를 가두게 되어 양호한 슬라이드 작용을 일으킨다. 필요한 경우에는 보다 작은 슬라이드 트랙 부품들은 서로 접합되어 트랙을 완성하고 전체 슬라이드 트랙을 형성하기 위하여 코팅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빔(46)으로 형성된 슬라이드 트랙 브릿지(45)의 단부(41)가 포스트 상단에 안착되게 평탄한 스틸 바(37)의 슬라이드 트랙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 상기 빔(46)은 상면이 코팅된다. 도 4에 도시된 경우에 있어서, 평탄한 스틸 빔(37)의 단부는 그 저면에서 슬라이드 베어링(48)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슬라이드 베어링에는 PTFE 플레이트(49)와 오스테나이트 스틸 플레이트(50)가 형성되고, 상기 오스테나이트 스틸 플레이트는 오일 또는 그리스에 의해 유막이 형성된다. 포스트(51)와 인접하여 트랙 지지체(52)가 형성되고 그 사이에는 도시된 바와같은 팽창 조인트(53)가 제공된다.
도 4에 도시된 트랙 브릿지는 운동장 밑에서 접근가능한 조사공간(54) 위로 연장되어야 한다. 그리하여 브릿지(45)가 조사공간을 덮도록 한다. 전체의 슬라이드 브릿지에는 브릿지 단부들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하여 수직으로 조정가능한 지지체(55)들이 제공된다. 또한, 트랙 브릿지가 하강할 때 전체의 슬라이드 베어링에 작용하던 하중이 제거되고 측방향으로 분리될 수 있게 되어 슬라이드 베어링을 검사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즉시 교체될 수 있다. 상부와 하부 플랜지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PTFE 플레이트들이 손상되거나 찧어졌을 때 PTFE를 교체할 수 있도록 보수유지용 개구부(56)가 형성된다. 상기 보수유지용 개구부 위에는 오일 집수통(57)이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트랙 브릿지 단부를 도시하고 있으며, 상기 트랙 브릿지 단부는 스크류(59)에 의해 수직으로 조정가능한 베어링(58)을 구비하고 있다. 지지체는 4개의 앵커 볼트(61)들과 그 각각에 수용되는 앵커 핀(62)들을 구비한 플레이트(60)가 형성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슬라이드 트랙들에는 내구성의 탄성 시일(63)이 측방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슬라이드 액튜에이터 지지체는, 상부 플랜지(65)가 슬라이딩 액튜에이터의 아암들에 고정될 수 있는 T자형 또는 I자형으로 형성되고 슬라이드 트랙의 길이부분 위로 평행하게 연장된 슬라이딩 디바이스(64)를 적당하게 장착한다. 4개의 슬라이드 액튜에이터들은 지지프레임(22)을 수평으로 이동시키는데 사용되며, 그에 대응하여 등간격으로 이격된 4개의 슬라이드 트랙들이 제공된다. 슬라이드들 사이에 죠 그리퍼(jaw gripper)를 사용하여 상부 플랜지(65)들을 한 곳에 장착할 수 있게 한다. 슬라이딩력을 조정하기 위하여 슬라이드 트랙??르의 웹(66)에 홀들이 형성되고 그 홀들을 통하여 콘크리트 베이스의 보강용 바들이 연장되어 견고하게 일체로 고정시키도록 한다. 슬라이딩 디바이스(64)의 전체 구조는 콘크리트(67)속에 2/3 만큼 묻힌다. 웹(66)의 부분들과 상부 플랜지(65)들은 액튜에이팅 디바이스들과 맞물리도록 작용한다. 슬라이드 트랙들의 단부 또는 선단부에는 슬라이드 액튜에이??르용 설치 또는 분해용 포트가 제공되어 있으며, 그 곳에 도시되지 않은 슬라이드 액튜에이터들의 클램핑 죠들이 스크류로 하강되는 상부 플레이트(68)의 제거에 의해 설치되고 교체될 수 있다.
슬라이딩 액튜에이터들은(Schiess-Defries No. 571-HYVG/9012 W., Type 3100-3900의 카달로그 참조) 보어가 형성된 단조된 부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어는 수직으로 운동하는 이중의 작동 피스톤들을 수납하게 된다. 상기 피스톤 들은 누름판을 통하여 슬라이드 트랙의 상부 플랜지와 맞물린다. 클램핑 죠들은, 상부 플랜지(65) 밑에서 누름판에 압력이 작용할 때 맞물리게 되는 베이스 바디의 측부에 스크류로 체결된다. 상기의 클램핑 위치에서 슬라이딩 액튜에이터는 슬라이드 실린더용 수평지지 포인트로서 작용하며, 상기 실린더는 슬라이딩 액튜에이터에서 지지되고 그 행정을 통해 운동장 또는 지지프레임을 당기거나 밀게 된다. 모든 슬라이딩 액튜에이터들에 의해 동시에 수행되는 상기와 같은 실린더의 작동후에, 클램핑이 해제되어 피스톤들이 승강하여 슬라이딩 실린더가 전지하여서 슬라이드 액튜에이터가 실린더의 행정에 의해 전진하게 된다. 후속적으로 슬라이드 액튜에이터의 다른 클램핑이 이루어져 실린더가 전진하며 이러한 동작은 전체 슬라이딩 거리 만큼 이동될 때까지 계속된다. 운동장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이동 센서들을 구비한 실린더들이 바람직하지만, 슬라이드 실린더들에는 이동 센서들이 제공될 수도 있고 제공되지 않을 수도 있다. 8개의 실린더들을 사용하는 4개의 슬라이드 액튜에이터들은 경사 탐지장치에 의해 제어된다. 실린더들의 미는 힘은 운동장의 중량에 의존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8 × 9 kN으로 될 수 있다. 슬라이드 액튜에이터들은 4 × 15,000 kN의 힘으로 파지할 수 있다.
가이드 트랙들은 운동장의 중간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운동장의 아래에서 운동장 구조물에 고정되고 스프링의 탄성하중이 작용하는 가이드 롤러들이 가이드 트랙에서 구름운동한다. 이들 가이드 롤러들은 운동장의 길이방향 축에 평행한 선형운동을 모니터링하는 역할을 한다. 비직선 운동을 모니터링하는 적당한 스위치장치를 통하여, 직선운동으로부터 이탈하는 경우에 슬라이드 액튜에이터들을 정지시킬 수 있다. 위치가 수정되면 운동장은 다시 이동된다. 운동장에는 그의 이동중에 점등되는 경고 램프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운동장 또는 지지프레임(22)의 각 코너에는 긴급 컷 오프 스위치가 있는 한편, 이동중에 청각적인 경고 신호가 발생된다.
운동장 밑의 도시되지 않은 펌프 스테이션은 주 도관, 밸브, 점진적으로 작용시키는 장치 및 슬라이드 베어링으로의 배관에 의해 각각의 오일 도포기(38)로 윤활유를 공압에 의해 송급하도록 한다. 상기 도관들과 배관들은 운동장 밑의 도관에 제공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포스트들의 각 그룹으로, 예를들어 슬라이드 패드들로 공급하는 다기관이 사용된다. 오일은 슬라이드 액튜에이터들의 작동중에 주기적으로 오일 도포기로 펌핑되고, 그로부터 슬라이드 트랙(36,45)들로 공급된다. 펠트 스트라이프는 슬라이드 트랙에 윤활유 박막을 형성한다. 윤활장치는 운동장 아래에서 대응되는 전기적 접속이 제공되어 전기적으로 제어된다. 운동장 또는 지지프레임(22)에는 슬라이드 케이블을 통해 전류가 공급된다.
끝으로 정지 스위치를 포함하는 제어장치가 제공된다. 제어장치는 운동장이 경사진 경우 개별적인 슬라이드 액튜에이터들을 정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어장치는 필요에 따라 경사이동 모니터링 시스템에 연결되고 윤활장치에 필요한 신호를 제공한다.

Claims (21)

  1. 흙이나 점토의 하부구조(21)에 잔디(20), 미세입자, 또는 그와같은 천연 또는 인조 재료로 형성된 운동장을 구비한 축구와 같은 팀 스포츠용 운동장에 있어서, 하부구조(21)를 포함하는 전체 운동장(20)은 콘크리트 또는 스틸 부재들로 주로 형성된 홈통 형상의 지지프레임(22)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프레임(22)은 정지상의 슬라이드 트랙(23)들에서 슬라이드 패드들을 통해 수평으로 슬라이드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팀 스포츠용 운동장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트랙(23)은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커버링된 스타디움 또는 다목적용 홀로부터 인접한 외측공간, 바람직하기로는 파킹 구역924)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팀 스포츠용 운동장.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22)은 스타디움 또는 다목적용 홀의 관람용 스탠드 밑에서 슬라이드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팀 스포츠용 운동장.
  4. 제 1항 내지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트랙(36,46) 표면의 슬라이드 패드들은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TFE)으로 이루어지고, 슬라이드 트랙(23,36,46)들은 코팅된 스틸 또는 오스테나이트강으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팀 스포츠용 운동장.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패드들은 윤활유용 포켓 및 오일/그리스 분배 홈(37)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팀 스포츠용 운동장.
  6. 제 4항 또는 5항에 있어서, 수용성인 것이 바람직한 그리스/오일의 박막을 도포하는 장치가 슬라이드 트랙(23,26,46)들에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팀 스포츠용 운동장.
  7. 제 1항 내지 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22)은 다수의 수직 포스트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포스트들은 콘크리트로 만들어진 앵커 플레이트(26,27,28)에 세워진 복수개의 평행한 열로 배치되며, 그 하측에는 지지플레이트(29), 플레이트(31)에 피복된 복수개의 탄성체 바디(30), 및 복수의 PTFE 패드(32)들이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팀 스포츠용 운동장.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그리스 도포기(38)는 지지플레이트(29)의 보호하우징(34)에서 PTFE 패드(32)들 전후측에 2개의 슬라이드 방향들에 대하여 제공되고, 호스로 오일/그리스가 제공되며, 슬라이드 트랙(36)들 위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팀 스포츠용 운동장.
  9. 제 7항 또는 8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하우징(34)은 콘크리트 앵커(26,27,28)에 장착되며, 지지플레이트(29)와 그에 고정된 부품들 위에서 그 둘레로 연장되며, 슬라이드 트랙(36)을 향하여 반전된 모서리부분에 장착되어 슬라이드 트랙(36)에서 가이드되는 이물질 스크레이퍼(35)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팀 스포츠용 운동장.
  10. 제 1항 내지 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22)을 수평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연속된 위치들에서 슬라이드 트랙(23,36)들에 평행하게 지면에 고정된 구조물(64)의 상부 플랜지(65)에 클램핑 죠를 통하여 고정될 수 있는 복수개의 슬라이드 액튜에이터들이 제공되며, 상기 슬라이드 액튜에이터들은 유압으로 작동하는 실린더들에 의해 클램핑될 때 지지프레임(22)상에서 수평방향으로의 견인력을 측방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팀 스포츠용 운동장.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액튜에이터들은 행정 동기화기와 경사 탐지기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팀 스포츠용 운동장.
  12. 제 11항에 있어서, 운동장의 중앙부 아래의 지면에는 지지프레임(22)에 스프링의 탄성부하가 작용되는 가이드 롤러들이 연결된 가이드 트랙이 있으며, 상기 가이드 트랙은 행정 동기화를 제어하고 하나 이상의 슬라이드 액튜에이터들의 보정작용을 수행하도록 하며 슬라이드 액튜에이터들의 긴급정지시키도록 경사 탐지기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팀 스포츠용 운동장.
  13. 제 1항 내지 1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22)의 아래에 전체 지지프레임 또는 운동장(20) 폭을 따라 접근가능한 조사 공간(5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팀 스포츠용 운동장.
  14. 제 1항 내지 1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트랙은 금속판 또는 광폭의 스틸 바(37)로 형성되고 그 저면에서 넬슨 헤드 볼트(38)들에 용접되며, 나사가 형성된 슬리브(41)와 스크류에 의해 높이에 대해 조정가능하고 모르타르의 박층으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팀 스포츠용 운동장.
  15. 제 1항 내지 1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트랙은 받침 또는 받침용 포스트(47)에 안착된 스틸재 빔으로서 상기 조사 공간(54) 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팀 스포츠용 운동장.
  16. 제 14항 또는 16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트랙들은 슬라이딩 마찰에 적합하게 된 오렌지 필 형상의 표면을 갖는, 300 ㎛ - 400 ㎛, 바람직하게는 340 ㎛ 두께의 표면 코팅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팀 스포츠용 운동장.
  17. 제 14항 내지 1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트랙들은 그에 인접하여 복수개의 부품들로 형성되며 그 단부들 사이에는 내구성의 탄성체 팽창 조인트가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팀 스포츠용 운동장.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트랙 아래에는 슬라이드 트랙 단부 또는 슬라이드 트랙 부품 단부 영역에 상기 팽창 조인트들을 지지하기 위하여 PTFE/오스테나이트 슬라이드 베어링(48)이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팀 스포츠용 운동장.
  19. 제 15항 내지 1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슬라이드 트랙 브릿지(45)의 상부와 하부 플랜지들에는 PTFE 패드(32)가 교체를 위해 통과할 수 있는 보수용 개구부(56)가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팀 스포츠용 운동장.
  20. 제 15항 내지 1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트랙 브릿지(45)에는 그 단부들과 콘크리트로 된 슬라이드 트랙 단부 수준을 맞추기 위하여 높이 조정가능한 지지체(55)가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팀 스포츠용 운동장.
  21. 액튜에이터의 죠들을 구조물(64)들 각각에 고정하고, 슬라이드 액튜에이터의 실린더들의 자유단부를 지지프레임 단부면들에 고정하고, 지지프레임(22)이 슬라이드 트랙(23,36,45)들상의 오일/그리스의 박막에서 실린더 행정에 의해 전진하고 상기 죠들이 분리되면 실린더들은 후퇴하고, 죠들이 구조물(64)에서 다시 록킹상태로 되면 실린더들이 다시 팽창하게 되며 이러한 과정이 요구되는 전체 수평운동이 얻어질 때까지 반복하도록 모드 실린더들은 동기적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장을 구비한 프레임을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방법.
KR1019997000632A 1996-07-27 1997-07-05 축구장과같은운동장과그것을수평으로이동시키는방법 KR200000295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630423.7 1996-07-27
DE19630423 1996-07-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9573A true KR20000029573A (ko) 2000-05-25

Family

ID=7801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0632A KR20000029573A (ko) 1996-07-27 1997-07-05 축구장과같은운동장과그것을수평으로이동시키는방법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6286264B1 (ko)
EP (1) EP0916003B1 (ko)
JP (1) JP2000516671A (ko)
KR (1) KR20000029573A (ko)
AT (1) ATE198365T1 (ko)
AU (1) AU727091B2 (ko)
BR (1) BR9710607A (ko)
CA (1) CA2261767A1 (ko)
CZ (1) CZ30499A3 (ko)
DE (1) DE59702825D1 (ko)
DK (1) DK0916003T3 (ko)
ES (1) ES2152686T3 (ko)
NO (1) NO312248B1 (ko)
PL (1) PL187028B1 (ko)
PT (1) PT916003E (ko)
WO (1) WO199800477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8757B1 (ko) * 2011-04-19 2014-02-07 주식회사 우진폼테크 이동형 케이슨 이송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40229A1 (de) * 1997-12-18 2000-10-04 Schiess-Defries Engineering, Immobilien- und Bauträger GmbH Unterkonstruktion für bauwerke
NL1014264C2 (nl) 2000-02-02 2001-08-07 Hollandsche Betongroep Nv Evenementen-bouwwerk.
US6698141B2 (en) * 2001-01-23 2004-03-02 Uni-Systems, Llc Convertible stadium and method of operating
US6568906B2 (en) * 2001-04-24 2003-05-27 Sikorsky Aircraft Corporation Conformal sliding bearing
WO2010015268A1 (de) * 2008-08-07 2010-02-11 Hbm Stadien- Und Sportstättenbau Gmbh Veranstaltungsfeld, insbesondere sportfeld, fussballfeld
WO2010015267A1 (de) * 2008-08-07 2010-02-11 Hbm Stadien- Und Sportstättenbau Gmbh Veranstaltungsfeld, insbesondere sportfeld, fussballfeld
JP2014520979A (ja) * 2011-06-30 2014-08-25 ナッツクラッカー ソリューションズ エーエス 撤去可能な芝生のグラウンドを備えるスポーツ競技場
GB2524197A (en) * 2012-12-30 2015-09-16 Nutcracker Solutions As Sports stadium having removable field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15444A (en) 1967-04-27 1970-06-02 Ind Trading Co Ltd Wiper construction for use in conjunction with slides in machines
DE2064715A1 (de) 1970-12-31 1972-07-20 Prunty, Joseph Patrick, Newtownbutler, Fermanagh; An Foran Taluntais (The Agricultural Institute), Dublin; (Großbritannien) Rasenplatz oder Spielfeld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SE379715B (ko) * 1974-02-13 1975-10-20 Asea Ab
DE2543176A1 (de) 1975-09-27 1977-04-07 Ehlscheid Kg Friedhelm Sporthalle mit spielfeld
AT380501B (de) * 1982-11-29 1986-06-10 Vorspann Technik Gmbh Widerlager fuer einrichtungen zum verschieben schwerer konstruktionsteile wie brueckenteile, tragelemente, traeger u.dgl.
DE3611753C2 (de) * 1986-04-08 1993-12-16 Bilfinger Berger Bau Vorrichtung zum gleichmäßigen Heben und Senken sowie gleichmäßigen horizontalen Verschieben von Bauwerken
IT1203969B (it) 1987-04-24 1989-02-23 Severino Dona Pantografo perfezionato per coperture mobili del tipo a soffietto
AT394027B (de) 1989-02-27 1992-01-27 Vorspann Technik Gmbh Schienen, auf welchen schwere konstruktionsteile, wie tragelemente, brueckenteile, traeger u.dgl. verschoben werden
GB9010020D0 (en) 1990-05-03 1990-06-27 Corporate Culture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ltering print on documents
BE1006660A5 (nl) * 1992-01-30 1994-11-08 Ballast Nedam Eng Manifestatiecomplex.
JP3215045B2 (ja) * 1996-06-06 2001-10-02 日立造船株式会社 床装置
JP2961406B2 (ja) * 1996-08-09 1999-10-12 川崎重工業株式会社 競技用フィールドの移動装置
US5746028A (en) * 1997-06-26 1998-05-05 Dibenedetto; John Moveable grass fiel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8757B1 (ko) * 2011-04-19 2014-02-07 주식회사 우진폼테크 이동형 케이슨 이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198365T1 (de) 2001-01-15
NO990369D0 (no) 1999-01-27
EP0916003B1 (de) 2000-12-27
WO1998004778A1 (de) 1998-02-05
AU3538597A (en) 1998-02-20
BR9710607A (pt) 2000-01-11
DE59702825D1 (de) 2001-02-01
PL331434A1 (en) 1999-07-19
CZ30499A3 (cs) 1999-08-11
PT916003E (pt) 2001-04-30
CA2261767A1 (en) 1998-02-05
ES2152686T3 (es) 2001-02-01
JP2000516671A (ja) 2000-12-12
EP0916003A1 (de) 1999-05-19
NO990369L (no) 1999-01-27
PL187028B1 (pl) 2004-05-31
DK0916003T3 (da) 2001-02-05
US6286264B1 (en) 2001-09-11
NO312248B1 (no) 2002-04-15
AU727091B2 (en) 2000-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03970C (en) Modular platform deck for traffic
KR20000029573A (ko) 축구장과같은운동장과그것을수평으로이동시키는방법
AU2016231474B2 (en) Rail Track Sleeper Support
EP1111160B1 (de) Remontierbares Parkhaus
US20080038056A1 (en) Shallow Bollard
US6102306A (en) Multifunctional flush surface nozzle
DE19741059C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Festen Fahrbahn für schienengebundenen Verkehr, sowie eine Feste Fahrbahn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CN205976546U (zh) 一种用于倾斜作业面的轨道运输装置
RU60669U1 (ru) Регулируемая опора для монтажа и сварки надземного магистрального трубопровода
EP0061429A2 (de) Bahnübergang
EP1040229A1 (de) Unterkonstruktion für bauwerke
US11891803B1 (en) Modular platform deck for traffic
DE19936800A1 (de) Höhenverstellbare Bodenfläche
CZ279893B6 (cs) Pružné uložení kolejnic s otevřeným nebo uzavřeným kolejovým svrškem pro kolejová vozidla
DE2023630A1 (en) Sports surfaces with water permeable base and synthetic textile - covering
GB2420142A (en) Method of installing or repairing railway rail track
DE202005010495U1 (de) Sport- und/oder Erholungsfläche
HUP9903313A2 (hu) Sportpálya és eljárás annak vízszintes eltolására
CH717640B1 (de) Raum zur Lagerung von Waren und/oder zum Abstellen von Fahrzeugen, insbesondere Tiefgarage oder Einstellhalle.
JPH02112505A (ja) 斜面における人工芝張設方法
RU98011U1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ый стадион
EP1580470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anierung und Auskleidung von Kanälen, Becken, Gruben und dergleichen
JPH1066746A (ja) 天然芝グラウンドの移動方法
DE3143476A1 (de) Randstein zur befestigung von kunstrasen
DE1708674A1 (de) Aus Beton bestehende plattenfoermige Unterkonstruktion fuer eine Kunsteisbah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