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8757B1 - 이동형 케이슨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형 케이슨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8757B1
KR101358757B1 KR1020110036073A KR20110036073A KR101358757B1 KR 101358757 B1 KR101358757 B1 KR 101358757B1 KR 1020110036073 A KR1020110036073 A KR 1020110036073A KR 20110036073 A KR20110036073 A KR 20110036073A KR 101358757 B1 KR101358757 B1 KR 101358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isson
oil
moving
move
eleva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6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8604A (ko
Inventor
박영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진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진폼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진폼테크
Priority to KR1020110036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8757B1/ko
Publication of KR20120118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86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8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8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Caissons; Construction or placing of caissons
    • E02D23/08Lowering or sinking cais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02Lubric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7/00Devices for assisting manual moving or tilting heavy loads
    • B65G7/02Devices adapted to be interposed between loads and the ground or floor, e.g. crowbars with means for assisting conveyance of loads
    • B65G7/06Devices adapted to be interposed between loads and the ground or floor, e.g. crowbars with means for assisting conveyance of loads using fluid at high pressure supplied from an independent source to provide a cushion between load and grou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8Load gripping or retain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형 케이슨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동 통로의 바닥에 형성된 이동 레일을 따라 제작중이거나 제작된 케이슨을 상부에 안착시킨 채 상기 이동 통로를 따라 이동하는 케이슨 이송 장치에서 이송 장치를 전후방 이동시키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되어 하나로 제한하는 이동 실린더와 오일탱크에서 공급된 오일이 슬라이딩 패드 면에 형성된 오일막으로 이동 레일을 따라 미끄러지는 저마찰 접촉으로 이동이 가능하여 해안의 물막이 공사에 사용되는 케이슨 등의 중량물을 이탈 없이 용이하게 이송시키는 이동형 케이슨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이동형 케이슨 이송장치는, 케이슨 이송 장치에 안착된 케이슨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하로 승하강되는 승하강장치와; 상기 승하강장치의 하부 프레임에 장착되어 전후방 이동하도록 하는 실린더에 의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는 그립 헤드; 를 포함하되, 상기 승하강장치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중앙에 하나로 제한하여 구성되는 이동 실린더와; 상기 승하강장치의 일측에 오일을 저장하는 오일탱크와; 상기 승하강장치의 하부 프레임 하부에 결합되어 이동 레일에 접촉하는 슬라이딩 패드 면에 소정의 깊이와 폭을 가지면서 오일이 이동하는 오일 이송로;를 포함하는 구조이다.

Description

이동형 케이슨 이송장치{Movable caisson transport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이동형 케이슨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 통로의 바닥에 형성된 이동 레일을 따라 제작중이거나 제작된 케이슨을 상부에 안착시킨 채 상기 이동 통로를 따라 이동하는 케이슨 이송 장치에서 이송 장치를 전후방 이동시키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되어 하나로 제한하는 이동 실린더와 오일탱크에서 공급된 오일이 슬라이딩 패드 면에 형성된 오일막으로 이동 레일을 따라 미끄러지는 저마찰 접촉으로 이동이 가능하여 해안의 물막이 공사에 사용되는 케이슨 등의 중량물을 이탈 없이 용이하게 이송시키는 이동형 케이슨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해안의 물막이 공사에 사용되는 케이슨 등과 같은 구조물은 대형 및 대중량을 가지는 것에 의해 원하는 위치로 정확하게 이송시키지 않는 경우 이송 경로의 변경이 용이하지 않게 되므로 이송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을 가진다.
따라서 케이슨과 같은 대중량물의 이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15553호에서는 '자가 이동형 케이슨 이송 장치와 이를 이용한 케이슨 이송시스템'(이하 '종래기술'이라 함)을 개시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개시된 케이슨 이송장치(100)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의 케이슨 이송장치(100)는 바퀴측 프레임(112)과 바퀴측 프레임(112)에 의해 지지되는 바퀴(120)가 구비된 하부프레임(110), 하부프레임(1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승강용 실린더(152), 승강용 실린더(152)의 상부에 설치되는 안착대(154), 하부프레임(110)의 저면에 설치되는 슬라이딩패드(122), 하부프레임(110)의 양측에 설치되는 이동용 실린더(130)와, 이동용 실린더(130)의 단부에 설치되어 이동레일(251)을 그립(grip)하는 그립헤드(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구성되는 케이슨 이송장치(100)는 복수개의 이동통로(210)와, 이동통로(210)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이동레일(215)을 포함하는 케이스이송 시스템(200)의 각각의 이동레일(215)에 다수 개가 장착된다.
케이슨 이송시스템(200)의 각각의 이송레일(215)에 안착되는 상기 구성의 케이슨 이송장치(100)는 안착대(154)에 케이슨이 안착된 상태에서 양측에 설치된 이동용 실린더(130)를 신장시켜 그립헤드(140)를 전진시킨 후 그립헤드(140)을 이동레일(215)의 양측면을 그립한다. 이 후 이동용 실린더(130)을 수축시켜 이동레일(215)에 고정된 그립헤드(140) 측으로 슬라이딩패드(122)에 의해 하부프레임(110)의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에 의해 케이슨을 원하는 위치로 이송시킨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중량물 이송장치의 일 예인 상술한 종래기술의 케이슨 이송장치(100)는 하부프레임(110)의 양측에 설치되는 2 개의 이동용 실린더(130)에 의해 케이슨이 안착된 케이슨 이송장치(100)를 이동시키게 되므로 2 개의 이동용 실린더(130)가 동시에 균일한 힘으로 작용하지 않는 경우 하부 프레임(110)의 이동 방향이 이동레일(215) 상에서 이탈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 경우 하부 프레임(110)이 이동레일(215) 상에서 이동 방향이 이탈하는 경우 2 개의 이동실린더(130)가 작용하는 힘의 방향과 하부 프레임(110)의 이동 방향이 일치되지 않고 어긋나게 되어 케이슨 이송을 위한 적정한 힘보다 더 큰힘을 부여해야 하므로 케이슨 이송을 위한 에너지 소모가 많아지게 되는 문제점 또한 발생한다.
또한, 양측으로 2 개의 이동용 실린더(130)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케이슨 이동장치(100)의 제작 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이를 케이슨 시스템(200) 전체에서는 그 비용이 더 크게 소요되므로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에 부가하여 종래기술의 케이슨 이송시스템(200)은 각각의 케이슨 이송장치(100)에 부착된 두 개의 이동용 실린더(130)에 대하여 동일한 방향 및 동일한 크기의 힘이 작용하도록 제어해야 하므로 그 제어장치의 구성을 복잡하게 하는 문제점 및 제어 장치의 구성의 복잡성에 따른 제작비가 더욱 상승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통로의 바닥에 형성된 이동 레일을 따라 제작중이거나 제작된 케이슨을 상부에 안착시킨 채 상기 이동 통로를 따라 이동하는 케이슨 이송 장치에서 이송 장치를 전후방 이동시키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되어 하나로 제한하는 이동 실린더와 오일탱크에서 공급된 오일이 슬라이딩 패드 면에 형성된 오일막으로 이동 레일을 따라 미끄러지는 저마찰 접촉으로 이동이 가능하여 해안의 물막이 공사에 사용되는 케이슨 등의 중량물을 이탈 없이 용이하게 이송시키는 이동형 케이슨 이송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동형 케이슨 이송 장치는, 상기 케이슨 이송 장치에 안착된 케이슨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하로 승하강되는 승하강장치와; 상기 승하강장치의 하부 프레임에 장착되어 전후방 이동하도록 하는 실린더에 의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는 그립 헤드; 를 포함하되, 상기 승하강장치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중앙에 하나로 제한하여 구성되는 이동 실린더와; 상기 승하강장치의 일측에 오일을 저장하는 오일탱크와; 상기 승하강장치의 하부 프레임 하부에 결합되어 이동 레일에 접촉하는 슬라이딩 패드 면에 소정의 깊이와 폭을 가지면서 오일이 이동하는 오일 이송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오일 이송로는, 슬라이딩 패드 면 상에 다수개의 홈들이 격자 모양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오일 이송로는, 슬라이딩 패드 면 내부에 오일이 일정량 도포되어 오일막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오일 이송로에 의해 오일로 표면이 코팅되어 이동 레일을 따라 미끄러지는 저마찰 접촉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오일 이송로는, 홈의 상단부 양측은 모따기가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이동 통로의 바닥에 형성된 이동 레일을 따라 제작중이거나 제작된 케이슨을 상부에 안착시킨 채 상기 이동 통로를 따라 이동하는 케이슨 이송 장치에서 이송 장치를 전후방 이동시키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되어 하나로 제한하는 이동 실린더와 오일탱크에서 공급된 오일이 슬라이딩 패드 면에 형성된 오일막으로 이동 레일을 따라 미끄러지는 저마찰 접촉으로 이동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케이슨 이송 장치에 하나로 제한한 이동 실린더를 중앙에 위치시킴에 케이슨과 같은 중량물의 이송 시 중량물이 이송방향을 이탈함이 없이 이송되며, 이송장치의 제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은 케이슨 이송 장치의 이동을 위한 이동 실린더의 하나로 제한하여 개수를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 제작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은 이동 레일과 접촉하는 슬라이딩 패드면에 오일막 코팅을 형성하여 이동 레일에서 미끄러지는 이동이 가능하여 이동레일 상에서의 슬라이딩 운동을 용이하게 하는 것에 의해 중량물의 이송을 위한 에너지 소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으므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케이슨 이송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케이슨 이송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케이슨 이송장치의 저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케이슨 이송장치의 오일 이송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케이슨 이송장치의 오일막으로 도포된 오일 이송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케이슨 이송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케이슨 이송장치를 나타낸 후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케이슨 이송장치의 이동을 나타낸 도면.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기 케이슨 이송 장치에 안착된 케이슨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하로 승하강되는 승하강장치와;
상기 승하강장치의 하부 프레임에 장착되어 전후방 이동하도록 하는 실린더에 의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는 그립 헤드; 를 포함하되,
상기 승하강장치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중앙에 하나로 제한하여 구성되는 이동 실린더와;
상기 승하강장치의 일측에 오일을 저장하는 오일탱크와;
상기 승하강장치의 하부 프레임 하부에 결합되어 이동 레일에 접촉하는 슬라이딩 패드 면에 소정의 깊이와 폭을 가지면서 오일이 이동하는 오일 이송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이동형 케이슨 이송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케이슨 이송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케이슨 이송 장치는 이동 통로의 바닥에 형성된 이동레일(10)을 따라 제작중이거나 제작된 케이슨을 상부에 안착시킨 채 상기 이동 통로를 따라 이동하는 케이슨 이송 장치에서 이송 장치를 전후방 이동시키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되어 하나로 제한하는 이동 실린더(310)와 오일탱크(320)에서 공급된 오일이 슬라이딩 패드(50) 면에 형성된 오일막(332)으로 이동 레일(10)을 따라 미끄러지는 저마찰 접촉으로 이동이 가능하여 해안의 물막이 공사에 사용되는 케이슨 등의 중량물을 이탈 없이 용이하게 이송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케이슨 이송장치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레일(10)과 승하강장치(20), 그립헤드(40) 및 이동 실린더(310), 오일탱크(320), 오일 이송로(330)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이동레일(10)은 케이슨 제작장에서 제작된 케이슨을 물가까지 복수개의 이동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 통로의 상부에 복수개의 이동레일(1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레일(10) 마다 케이슨 이송장치가 복수개로 설치된다.
한편, 상기 케이슨 이송장치에 형성된 승하강장치는 이동 통로의 바닥에 형성된 이동레일(10)을 따라 제작중이거나 제작된 케이슨을 이송하기 위해 상기 케이슨을 상부에 안착시켜 상기 이동 통로를 따라 이동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승하강장치(20)에 안착된 케이슨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하로 승하강된다.
그리고, 상기 승하강장치(20)에 안착된 케이슨을 전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전후방으로 이동되는 이동 실린더(310)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하강장치(20)는 하부 프레임(30)의 상부에 승강 실린더(22)가 위치하고, 상기 승강 실린더(22)의 상부에 케이슨이 안착되는 안착대(60)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 실린더(22)는 유압 실린더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승강 실린더(22)는 안착대(60)에 안착되는 케이슨을 들어올리기 위해 사용된다.
한편, 상기 승강 실린더(22)가 안착된 하부 프레임(30)의 전방 중앙에는 하나의 이동 실린더(310)가 결합된다.
상기 이동 실린더(310)는 유압 실린더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 실린더(310)는 중앙에 하나만을 구성하도록 제한한다.
이같이, 상기 이동 실린더(310)를 하나로 구성하면서 케이슨 이송 장치의 중앙에 위치시킴에 케이슨과 같은 중량물의 이송 시 중량물이 이송방향을 이탈함이 없이 이송되며, 이송장치의 제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슨 이송 장치의 이동을 위한 이동 실린더(310)의 하나로 제한하여 개수를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 제작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 실린더(310)에 의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그립 헤드(4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이동 실린더(310)는 그립 헤드(40)를 밀거나 당겨서, 이동레일(10) 상에서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기 그립 헤드(40)의 내측에는, 그립 헤드(40)의 이동중에 이동통로의 이동레일(10)을 움켜쥐는 그립 패드(42))가 결합된다.
이렇게, 이동 실린더(310)의 작동에 의해 승하강장치(20)의 슬라이딩 이동시 미끄러지듯 이동하도록 상기 승하강장치(20)의 하부 프레임(30) 하부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슨이 안착대(60)에 거치됨에 따라 승하강장치(20)의 탄성 부재가 가압되어, 슬라이딩 패드(50)가 이동레일(10)과 접촉하는 슬라이딩 패드(50) 면에 소정의 깊이와 폭을 가지면서 오일이 이동하는 오일 이송로(330)를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오일 이송로(330)로 오일을 공급하는 오일탱크(320)는 승하강장치(20)의 일측에서 오일을 저장한다.
상기 오일탱크(320)에는 오일을 저장하면서 오일 공급과 차단을 자동제어하도록 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오일탱크(320)로부터 오일을 자동으로 공급받는 오일 이송로(330)는 슬라이딩 패드(50) 면 상에 다수개의 홈들이 격자 모양을 이룬다.
상기 오일 이송로(330)는 슬라이딩 패드(50) 면 내부에 오일이 일정량 도포되어 오일막(332)이 형성된다.
이같이, 상기 슬라이딩 패드(50) 표면에는 오일이 균일하게 도포된다.
상기 오일 이송로(330)에 의해 오일로 표면이 코팅되어 이동레일(10)을 따라 미끄러지는 저마찰 접촉으로 이동한다.
상기 오일 이송로(330)는 홈의 상단부 양측은 모따기(334)가 된다.
상기 오일 이송로(330)는 슬라이딩 패드(50)에 격자 형태로 구성된 홈의 상단부 양측각 모서리가 일정 각도로 모따기(334)되는 것이다.
상기 오일 이송로(330)가 슬라이딩 패드(50) 면에 소정의 패턴으로 구성되면서 양측에 모따기(332)되어 슬라이딩 패드(50) 일면이 저마찰 소재의 오일막(332)으로 전체 표면이 코팅되어 이동레일(10)과 접촉하는 슬라이딩 패드(50)가 이송시 미끄러지듯 이동되도록 돕는다.
즉, 도 6 및 도 7,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 실린더(310)가 유압에 의해 그립 헤드(40)가 승하강장치(20) 쪽으로 당겨지게 한다. 이때, 그립 헤드(40)의 그립 패드(42)가 이동레일(10)의 양 측벽을 잡고 있고, 승하강장치(20)는 오일막(332) 코팅에 의한 저마찰의 슬라이딩 패드(50)가 이동레일(10)의 상면과 접촉으로 미끄러지듯이 그립 헤드(40)의 위치는 유지된 채, 승하강장치(20)가 그립 헤드(40)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케이슨을 원하는 위치까지 이동시키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슨 이송장치는 케이슨 제작장부터 케이슨이 사용될 물가까지 복수개로 형성된 이동통로에 복수개의 이동레일(10)과 접촉하는 슬라이딩 패드(50)의 표면이 저마찰 재질의 오일 재료로 코팅 또는 도포되어 케이슨 이송 장치의 슬라이딩 패드(50)가 쉽게 미끄러져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본원 발명은 이동레일(10)과 접촉하는 슬라이딩 패드(50) 면에 오일막(332) 코팅을 형성하여 이동레일(10)에서 미끄러지는 이동이 가능하여 이동레일(10) 상에서의 슬라이딩 운동을 용이하게 하는 것에 의해 중량물의 이송을 위한 에너지 소모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이동레일 20:승하강장치
30:하부 프레임 40:그립 헤드
50:슬라이딩 패드 310:이동 실린더
320:오일탱크 330:오일 이송로
332:오일막 334:모따기

Claims (5)

  1. 이동 통로의 바닥에 형성된 이동레일(10)을 따라 제작중이거나 제작된 케이슨을 안착시켜 상기 이동 통로를 따라 이동하기 위한 케이슨 이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슨 이송 장치에 안착된 케이슨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하로 승하강되는 승하강장치(20)와;
    상기 이동레일(20)을 따라서 직선 이동이 가능하되, 상기 이동레일(20)을 그립(grip)하기 위한 그립 패드(42)가 마련되어 상기 이동레일(20)에 고정이 가능한 그립 헤드(40)와;
    상기 승하강장치(20)의 하부 프레임(30)과 상기 그립 헤드(40) 사이의 중앙에 하나로 제한되게 마련되어 신장 또는 신축이 가능한 이동 실린더(310)와;
    상기 승하강장치(20)의 하부 프레임(30)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레일(10)과 접촉하는 슬라이딩 패드(50) 표면 상에 격자 모양으로 다수개의 홈들이 서로 연결 형성되어 오일막(332)이 형성되도록 오일이 이동하되, 홈의 상단부 양측은 모따기가 형성된 오일 이송로(330)와;
    상기 승하강장치(20)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 패드(50) 보다는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오일 이송로(330)에 오일을 공급하기 위한 오일탱크(320)와;
    상기 오일 이송로(330)에 오일의 공급과 차단을 자동제어하도록 상기 오일탱크(320)에 마련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이동형 케이슨 이송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10036073A 2011-04-19 2011-04-19 이동형 케이슨 이송장치 KR101358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6073A KR101358757B1 (ko) 2011-04-19 2011-04-19 이동형 케이슨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6073A KR101358757B1 (ko) 2011-04-19 2011-04-19 이동형 케이슨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8604A KR20120118604A (ko) 2012-10-29
KR101358757B1 true KR101358757B1 (ko) 2014-02-07

Family

ID=47285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6073A KR101358757B1 (ko) 2011-04-19 2011-04-19 이동형 케이슨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87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8431B1 (ko) 2016-03-30 2016-09-21 주식회사 성준건설 플로팅 도크용 케이슨 운반잭의 강콘크리트 합성 레일 및 이의 시공 방법
KR20180098211A (ko) 2018-08-27 2018-09-03 주식회사 우진폼테크 케이슨 운반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4784B1 (ko) * 2016-11-03 2017-02-08 최준현 중량물의 이송장치 및 이송방법
CN110525908B (zh) * 2019-09-25 2024-03-15 广汽丰田汽车有限公司 油箱搬运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6487Y1 (ko) * 1996-12-17 1999-06-15 추호석 캐빈 이송장치를 갖춘 굴삭기
KR20000029573A (ko) * 1996-07-27 2000-05-25 프리트헬름 품베르크 축구장과같은운동장과그것을수평으로이동시키는방법
KR20060018580A (ko) * 2004-08-25 2006-03-02 최은철 교량의 탄성받침
KR20070054148A (ko) * 2007-01-31 2007-05-28 비깅우데만 에이비 자가 이동형 케이슨 이송 장치와 이를 이용한 케이슨 이송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9573A (ko) * 1996-07-27 2000-05-25 프리트헬름 품베르크 축구장과같은운동장과그것을수평으로이동시키는방법
KR200146487Y1 (ko) * 1996-12-17 1999-06-15 추호석 캐빈 이송장치를 갖춘 굴삭기
KR20060018580A (ko) * 2004-08-25 2006-03-02 최은철 교량의 탄성받침
KR20070054148A (ko) * 2007-01-31 2007-05-28 비깅우데만 에이비 자가 이동형 케이슨 이송 장치와 이를 이용한 케이슨 이송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8431B1 (ko) 2016-03-30 2016-09-21 주식회사 성준건설 플로팅 도크용 케이슨 운반잭의 강콘크리트 합성 레일 및 이의 시공 방법
KR20180098211A (ko) 2018-08-27 2018-09-03 주식회사 우진폼테크 케이슨 운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8604A (ko) 2012-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8757B1 (ko) 이동형 케이슨 이송장치
CN100577553C (zh) 用于将载荷固定在工业用货车的载荷支承件上的装置
KR20080077562A (ko) 장형 제품의 번들링 방법 및 시스템
KR20060097391A (ko) 자동이송시스템용 각도전환장치
CN103482369B (zh) 一种效率高效的码砖机
CN202129552U (zh) 一种激光切割机工作台
CN104528362B (zh) 一种用于铁圈表面涂胶的自动送料装置
CN107176460A (zh) 一种双工位送料机构
CN206544803U (zh) 一种堆拆垛设备
KR20150001317A (ko) 선박용 블록 서포트 이동장치
CN107161696A (zh) 一种送料机构
JP6024893B2 (ja) 移載装置
KR100915553B1 (ko) 자가 이동형 케이슨 이송 장치와 이를 이용한 케이슨 이송시스템
JP5653083B2 (ja) ワーク搬送装置
CN207329915U (zh) 自动换箱机的移载平台
CN203473959U (zh) 一种效率高效的码砖机
KR101622278B1 (ko) 이송물 적재장치
CN203359488U (zh) 一种单边转移翻转装置
KR101567462B1 (ko) 중량물 이송정렬장치
TWI659915B (zh) 型鋼的堆積裝置
KR102538888B1 (ko) 자세 전환 장치
JP6218044B2 (ja) 台車式搬送装置
JP2011056972A (ja) 船体建造方法
JP2013255889A5 (ko)
CN205060974U (zh) 一种新型的砌块码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