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8888B1 - 자세 전환 장치 - Google Patents

자세 전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8888B1
KR102538888B1 KR1020217011046A KR20217011046A KR102538888B1 KR 102538888 B1 KR102538888 B1 KR 102538888B1 KR 1020217011046 A KR1020217011046 A KR 1020217011046A KR 20217011046 A KR20217011046 A KR 20217011046A KR 102538888 B1 KR102538888 B1 KR 102538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pallet
posture
pressing
ti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1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8915A (ko
Inventor
야스히로 우카이
Original Assignee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58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8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8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8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28Stacking of articles by assembling the articles and tilting the assembled articles to a stacke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 B65G57/16Stacking of articles of particular shape
    • B65G57/20Stacking of articles of particular shape three-dimensional, e.g. cubiform, cylind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7/00Devices for assisting manual moving or tilting heavy loads
    • B65G7/02Devices adapted to be interposed between loads and the ground or floor, e.g. crowbars with means for assisting conveyance of loads
    • B65G7/08Devices adapted to be interposed between loads and the ground or floor, e.g. crowbars with means for assisting conveyance of loads for tilting the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73T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4Stac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 Stacking Of Articles And Auxiliary Devices (AREA)
  • Tyre Moulding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 De-Stack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스태킹 상태의 타이어(200)군을 유지하는 종자세의 팰릿(300)을 횡자세로 할 수 있고, 횡배열 상태의 타이어군을 유지하는 횡자세의 팰릿(300)을 종자세로 할 수 있는 자세 전환 장치(100)이며, 팰릿(300)을 유지하는 기대(110)와, 기대(110)를 회동시킴으로써 유지된 팰릿(300)의 자세를 전환하는 전환 구동 장치(120)와, 타이어군의 일단부에 위치하고, 기울어져 있는 경사 타이어(201)를 타단부를 향해서 기립시키는 기립 장치(130)와, 타이어(200)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규제 장치(14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자세 전환 장치
본 발명은 스태킹 상태의 타이어를 유지하는 종자세와, 횡배열 상태의 타이어를 유지하는 횡자세 사이에서 타이어를 유지하는 팰릿의 자세를 전환하는 자세 전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타이어를 보관하는 방법으로서 횡향의 타이어를 복수단 겹쳐 쌓는, 소위 스태킹 상태(평적(平積))로 보관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복수의 종향의 타이어를 구르지 않도록 팰릿 상에 배열하는, 소위 횡배열 상태로 보관하는 방법도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스태킹 상태의 타이어의 자세를 일괄해서 자동적으로 횡배열 상태로 하고, 팰릿에 탑재하는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고 평 7-2521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횡배열 상태와 스태킹 상태 사이에서 타이어의 자세를 전환시키고 있다. 횡배열 상태의 복수의 타이어를 일괄해서 스태킹 상태로 했을 경우 타이어가 어긋난 상태로 겹쳐지는 경우가 있다. 이렇게 타이어가 어긋난 스태킹 상태가 되면 갠트리 크레인의 유지 장치가 타이어에 삽입할 수 없게 되는 등의 문제가 일어나기 때문에 어긋남이 없는 스태킹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횡배열 상태의 타이어를 어긋나는 일 없이 스태킹 상태로 자세의 전환을 행할 수 있고, 또한 반대의 자세 전환도 가능하게 하는 자세 전환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 중 1개인 자세 전환 장치는 종향의 복수의 타이어가 배열된 횡배열 상태의 타이어군을 유지하는 횡자세의 팰릿을 상기 타이어군과 함께 종자세로 할 수 있는 자세 전환 장치이며, 상기 팰릿을 유지하는 기대와, 상기 기대를 회동시킴으로써 유지된 상기 팰릿의 자세를 전환하는 전환 구동 장치와, 상기 팰릿에 유지되는 상기 타이어군의 일단부에 위치하고, 기울어져 있는 상기 타이어인 경사 타이어를 타단부를 향해서 기립시키는 기립 장치와, 상기 타이어군의 둘레면의 적어도 일부에 접촉해서 상기 타이어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규제 장치를 구비한다.
이것에 의하면 규제 장치에 의해 타이어의 움직임을 규제하면서 팰릿과 함께 타이어의 자세를 전환할 수 있기 때문에 자세의 전환 시에 타이어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립 장치에 의해 쓰러진 타이어를 일으킨 상태에서 횡배열 상태로부터 스태킹 상태로 전환할 수 있기 때문에 타이어끼리의 어긋남을 억제하고, 스태킹 상태의 타이어를 갠트리 크레인에 의해 용이하게 반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기립 장치는 상기 경사 타이어에 대하여 상기 타이어군의 타단부를 향하는 압압력을 부여하는 압압 부재와, 상기 압압 부재를 상기 경사 타이어와 상기 팰릿 사이에 출몰시키는 출몰 장치와, 진출 상태의 상기 압압 부재에 대하여 상기 경사 타이어의 타단부를 향하는 상기 압압력을 발생시키는 이동 장치를 구비해도 좋다.
이것에 의하면 여러 가지 지름의 타이어나, 쓰러졌을 때의 타이어의 여러 가지 자세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압압 부재는 상기 경사 타이어와 접촉해서 회전하는 롤러부를 구비해도 좋다.
이것에 의하면 타이어와 압압 부재의 마찰을 저감할 수 있고, 용이하게 타이어를 기립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기립 장치는 상기 기대에 부착되고, 상기 팰릿의 자세의 전환과 함께 이동해도 좋다. 또한, 상기 규제 장치는 상기 기대에 부착되어 상기 팰릿의 자세의 전환과 함께 이동해도 좋다.
이들에 의하면 자세 전환 중에 있어서도 각각의 타이어를 안정시킬 수 있고, 타이어끼리의 어긋남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타이어를 스태킹 상태와 횡배열 상태 사이에서 타이어끼리의 어긋남을 억제하면서 자세 전환을 행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 1에 의한 자세 전환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 1에 의한 팰릿의 유지된 횡배열 상태의 타이어를 유지하는 자세 전환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 1에 의한 팰릿의 유지된 스태킹 상태의 타이어를 유지하는 자세 전환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 1에 의한 팰릿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 1에 의한 경사 타이어를 기립시키기 전의 자세 전환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 1에 의한 경사 타이어를 기립시킨 후의 자세 전환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 2에 의한 자세 전환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 2에 의한 자세 전환 장치의 동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9는 실시형태 2에 의한 자세 전환 장치의 동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측면도 그 1이다.
도 10은 실시형태 2에 의한 자세 전환 장치의 동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측면도 그 2이다.
도 11은 실시형태 2에 의한 자세 전환 장치의 동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측면도 그 3이다.
도 12는 실시형태 2에 의한 자세 전환 장치의 동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측면도 그 4이다.
도 13은 실시형태 2에 의한 자세 전환 장치의 동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측면도 그 5이다.
도 14는 실시형태 3에 의한 자세 전환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5는 실시형태 3에 의한 자세 전환 장치의 동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의한 자세 전환 장치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형태는 모두 포괄적 또는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하의 실시형태에서 나타내어지는 수치, 형상, 재료, 구성 요소, 구성 요소의 배치 위치 및 접속 형태 등은 일례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주지는 아니다. 또한, 이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성 요소 중 최상위 개념을 나타내는 독립 청구항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임의의 구성 요소로서 설명된다.
또한, 도면은 본 발명을 나타내기 위해서 적당히 강조나 생략, 비율의 조정을 행한 모식적인 도면으로 되어 있으며, 실제 형상이나 위치 관계, 비율과는 상이한 경우가 있다.
(실시형태 1)
도 1은 실시형태 1에 의한 자세 전환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팰릿의 유지된 횡배열 상태의 타이어를 유지하는 자세 전환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팰릿의 유지된 스태킹 상태의 타이어를 유지하는 자세 전환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자세 전환 장치(10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향의 복수의 타이어(200)가 배열된 횡배열 상태의 타이어군을 유지하는 팰릿(300)을 타이어군과 함께 도 3에 나타내는 종자세로 하고,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횡향의 복수의 타이어(200)가 겹쳐 쌓인 스태킹 상태로 타이어군을 유지하는 팰릿(300)을 타이어군과 함께 도 2에 나타내는 횡자세로 하는 장치이며, 기대(110)와, 전환 구동 장치(120)와, 기립 장치(130)와, 규제 장치(140)를 구비하고 있다.
자세 전환 장치(100)에 의해 스태킹 상태와 횡배열 상태로 전환되는 타이어(200)는, 예를 들면 타이어(200)는 자동차 등의 중형의 차량에 사용되는 것이나, 트랙이나 버스 등의 대형의 차량에 사용되는 것, 농업 기계나 건설 기계에 사용되는 것 등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형태 1, 청구범위 등에 있어서 타이어군이란 팰릿(300)에 유지되는 복수의 타이어(200)의 한 무리를 의미한다. 또한, 횡배열 상태의 타이어군의 단부에 위치하는 타이어(200)이며, 종향이 아니라 팰릿(300)에 기댄 상태로 경사져 있는 타이어(200)를 경사 타이어(201)라고 해서 칭한다. 또한, 경사 타이어(201)는 타이어(200) 중 1개이며, 경사 상태로부터 종향이 된 단계에서 경사 타이어(201)는 없어진다.
자세 전환 장치(100)의 자세 전환 대상이 되는 팰릿(300)은 도 4에 나타내는 횡자세에 있어서 횡배열 상태의 복수의 타이어(200)를 각각 재치하는 횡재치부(310)와, 종자세에 있어서(도 3 참조) 스태킹 상태의 타이어(200)를 재치하는 종재치부(320)를 구비하고 있다. 실시형태 1의 경우 팰릿(300)은 횡재치부(310)의 단부에 있어서 횡재치부(310)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종재치부(320)를 배치하는 프레임(330)을 구비하고 있다. 팰릿(300)은 횡재치부(310)에 대하여 종재치부(320)의 반대측에 있어서 경사 타이어(201)를 지지하여 낙하를 방지하는 스토퍼(340)를 종재치부(320)에 대향하도록 구비하고 있다. 팰릿(300)은 종재치부(320)의 돌출 방향(도 4중 Z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둥형상의 스페이서(350)를 구비하고 있다. 스페이서(350)는 직사각형의 프레임(330)의 4모서리에 각각 부착되어 있으며, 2개의 팰릿(300)의 스페이서(350)의 상단과 하단을 각각 접속함으로써 횡자세의 팰릿(300)을 타이어군을 유지한 상태로 스태킹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팰릿(300)은 종자세에 있어서 갠트리 크레인 등의 크레인에 의해 반송되는 스태킹 상태의 타이어군을 받을 수 있고, 또한 유지하고 있는 타이어군을 크레인에 주고받는 것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토퍼(340)가 유지하는 타이어(200)의 구멍(휠이 부착되는 구멍)과 간섭하지 않도록 타이어(200)를 지지하는 형상, 예를 들면 U자형상이나 V자형상 등의 적어도 타이어(200)의 측면에 복수 개소 접촉 가능하며, 타이어(200)에 대하여 횡재치부(310)의 반대측은 척이 통과 가능한 간극을 갖는 형상이다. 또한, 스토퍼(340)는 크레인을 사용하여 타이어군을 반송할 때에 타이어(200)의 구멍에 삽입되어 타이어군을 내부로부터 유지하는 크레인의 척과 간섭하지 않도록 프레임(330)에 배치되어 있다.
팰릿(300)은 지름이 상이한 타이어(200)를 유지 가능하며, 예를 들면 유지 가능한 최소 지름의 타이어(200)에 대하여 1.5배 정도 지름이 큰 타이어(200)까지 유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팰릿(300)은 다른 팰릿(300)과 접속하는 접속부(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으며, 2개의 팰릿(300) 등 복수의 팰릿(300)을 1개의 팰릿으로서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실시형태 1의 경우 자세 전환 장치(100)는 접속된 2개의 팰릿(300)의 자세를 한번에 전환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자세 전환 장치(100)는 하나의 팰릿(300)의 자세를 전환하는 것이어도 좋고, 3 이상의 팰릿(300)의 자세를 한번에 전환할 수 있는 것이어도 상관없다.
기대(110)는 팰릿(300)을 유지하는 구조 부재이며, 횡자세의 팰릿(300)을 유지하고, 종자세가 될 때까지의 자세 전환 중에 있어서도 팰릿(300)을 계속해서 유지하고, 또한 그 반대의 자세 전환 중에 있어서도 팰릿(300)을 계속해서 유지할 수 있다. 실시형태 1의 경우 기대(110)는 팰릿(300)의 횡재치부(310) 및 종재치부(320)를 따라 배치되는 2개의 L자형상의 유지 부재(111)를 대향 상태로 접속한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연결된 2개의 팰릿(300)을 각각 타이어군을 유지한 채의 상태로 자세 전환 중에 있어서도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실시형태 1의 경우 또한 기대(110)는 횡자세의 팰릿(300)을 기대(110)의 하방에 배치된 반송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주고받을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기대(110)의 유지 부재(111)는 반송 장치인 롤러 컨베이어의 롤러 사이를 통과할 수 있고, 유지하고 있는 팰릿(300)을 롤러 컨베이어에 재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롤러 컨베이어는 재치된 횡자세의 팰릿(300)을 반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롤러 컨베이어에 의해 기대(110)에까지 반송된 횡자세의 팰릿(300)은 기대(110)에 유지되어 종자세로 자세를 전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전환 구동 장치(120)는 기대(110)를 소정 회동축 둘레(도면 중 Y축에 평행한 회동축)로 회동시키고, 유지된 팰릿(300)의 자세를 횡자세로부터 종자세 또는 그 반대로 전환할 수 있는 장치이다. 실시형태 1의 경우 기대(110)의 유지 부재(111)의 모서리부의 외측 근방에 배치되어 기대(110)에 고정되는 축체(121)와, 축체(121)를 회전 가능하게 유지해서 바닥면 등에 고정되는 베어링(122)과, 축체(121)를 회동시키는 감속기,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원(123)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자세 전환 장치(100)는 모터 구동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에어 실린더 등의 액츄에이터에 의해 기대(110)를 회동시키는 것 등이어도 상관없다.
기립 장치(130)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횡배열 상태의 타이어군의 일단부에 위치하고, 기울어져 있는 타이어(200)인 경사 타이어(201)를 타단부인 종재치부(320)측을 향해 기립시키는 장치이다. 기립 장치(130)의 구체적인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실시형태 1의 경우 기립 장치(130)는 연결된 2개의 팰릿(300)에 유지되는 2개의 타이어군에 각각 포함되는 경사 타이어(201)를 동시에 기립시킬 수 있는 장치이며, 압압 부재(131)와, 출몰 장치(132)와, 이동 장치(13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실시형태 1의 경우 기립 장치(130)는 기대(110)에 부착되어 있으며, 전환 구동 장치(120)에 의한 팰릿(300)의 자세의 전환과 함께 이동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기립 장치(130)는 경사 타이어(201)를 일으킨 상태인 채로 기대(110)와 함께 이동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압압 부재(131)는 경사 타이어(201)에 대하여 타이어군의 타단부를 향하는 압압력을 부여하는 부재이다. 압압 부재(131)의 구체적인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실시형태 1의 경우 압압 부재(131)는 전체적으로 볼 때 막대형상이며, 축체 및 축체의 외주에 동축 상에 배치되고, 경사 타이어(201)와 접촉해서 축체의 축 둘레로 회전하는 롤러부를 구비하고 있다. 롤러부는 수지의 파이프이다. 또한, 롤러부는 압압 부재(131)의 거의 전체 길이에 걸쳐 배치되어도 좋고, 압압 부재(131)를 따라 단속적으로 복수의 롤러부가 배치되는 것이어도 좋다. 이렇게 압압 부재(131)가 롤러부를 구비함으로써 경사 타이어(201)를 기립시킬 때에 발생하는 경사 타이어(201)의 표면과 압압 부재(131)의 마찰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1의 경우 압압 부재(131)는 기대(110)의 회동축(도면 중 Y축 방향)을 따르도록 연장되고, 기대(110)가 유지하는 2개의 팰릿(300)에 각각 배치되는 2개의 타이어군과 겹치는 정도의 길이를 구비하고 있으며, 2개의 타이어군에 각각 포함되는 경사 타이어(201)를 동시에 기립시킬 수 있는 강도(강성)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압압 부재(131)는 1개이어도 좋고, 복수의 부재로 나뉘어 신축하는 것이어도 상관없다. 예를 들면, 텔레스코픽 구조의 압압 부재(131)를 예시할 수 있다.
출몰 장치(132)는 압압 부재(131)를 경사 타이어(201)와 팰릿(300) 사이, 구체적으로는 경사 타이어(201)와 팰릿(300)의 스토퍼(340) 사이에 있어서 기대(110)의 회동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출몰시키는 장치이다. 실시형태 1의 경우 출몰 장치(132)는 에어 실린더에 의해 압압 부재(131)의 선단이 가장 근방의 팰릿(300)에 걸치지 않는 위치로부터 압압 부재(131)가 2개의 타이어군과 겹치는 위치가 될 때까지 압압 부재(131)를 1스트로크로 진출시키고, 그 반대도 1스트로크로 몰입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출몰 장치(132)의 구동 수단은 에어 실린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직동 모터, 회전 모터와 기어 등의 기구 부품의 조합에 의해 실현하는 장치 등이어도 상관없다.
이동 장치(133)는 진출 상태의 압압 부재(131)를 경사 타이어(201)의 타단부를 향하는 압압력을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실시형태 1의 경우 이동 장치(133)는 출몰 장치(132)마다 압압 부재(131)를 평행 이동시키는 것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기대(110)에 유지되는 팰릿(300)의 횡재치부(310)의 연장 방향(도면 중 X축 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배치되는 레일(134)(도 5, 도 6 참조) 출몰 장치(132)를 구비하고 있으며, 레일(13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부착된 출몰 장치(132)를 레일(134)을 따라 에어 실린더에 의해 구동하고 있다. 출몰 장치(132)와 함께 압압 부재(131)를 경사 타이어(201)를 기립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에 에어 실린더에 넣는 공기압은 레귤레이터에 의해 조절 가능하며, 압력을 억제함으로써 지름이 상이한 경사 타이어(201)이어도 범용적으로 기립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동 장치(133)가 압압 부재(131)를 이동시키는 방향은 직선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진출 상태의 압압 부재(131)를 기대(110)의 회동축과 평행하게 또는 거의 평행한 축 둘레로 회전시켜도 상관없다. 또한, 이동 장치(133)의 구동 수단은 에어 실린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직동 모터, 회전 모터와 기어 등의 기구 부품의 조합에 의해 실현하는 장치 등이어도 상관없다. 즉, 경사 타이어(201)를 기립시킬 때의 압압 부재(131)의 궤적은 직선형상뿐만 아니라 곡선형상이어도, 굴곡형상 등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자세 전환 장치(100)의 범용성을 높이기 위해서 압압 부재(131)의 궤적의 최종 위치, 즉 경사 타이어(201)가 종향의 타이어(200)가 된 상태에 있어서의 압압 부재(131)의 위치는 팰릿(300)이 유지 가능한 최소 지름의 타이어(200)의 정상부 근방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립 장치(130)가 경사 타이어(201)를 기립시킬 때에는 몰입 상태의 압압 부재(131)를 횡재치부(310)와 스토퍼(340)로 구성되는 내측의 모서리부에 진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스토퍼(340)에 기댄 상태의 경사 타이어(201)의 지름에 상관없이 압압 부재(131)를 경사 타이어(201)에 간섭하지 않도록 진출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규제 장치(140)는 자세 전환 장치(100)에 유지되어 있는 타이어(200)의 둘레면의 적어도 일부에 접촉해서 타이어군에 있어서의 각각의 타이어(200)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장치이다. 규제 장치(140)의 구체적인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실시형태 1의 경우 규제 장치(140)는 접촉 부재(141)와, 접촉 부재(141)를 타이어군에 대하여 이접시키는 이접 장치(142)와, 접촉 부재(141)와 이접 장치(142)를 접속하는 암 부재(14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실시형태 1의 경우 규제 장치(140)는 기대(110)에 부착되어 있으며, 전환 구동 장치(120)에 의한 팰릿(300)의 자세의 전환과 함께 이동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규제 장치(140)는 타이어군의 둘레면에 접촉한 상태인 채로 기대(110)와 함께 이동할 수도 있게 되어 있다.
실시형태 1의 경우 기대(110)에는 2개의 팰릿(300)을 통해 각각 2개의 타이어군이 유지되어 있으며, 각 타이어군의 타이어(200)의 움직임을 규제하기 위해서 자세 전환 장치(100)는 2개의 규제 장치(14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2개의 규제 장치(140)는 동작의 방향도 포함시켜서 면대칭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접촉 부재(141)는 타이어군의 둘레면에 접촉 또는 타이어군에 대하여 횡재치부(310)를 향하는 압압력을 부여하는 장척형상의 부재이다. 접촉 부재(141)의 구체적인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실시형태 1의 경우 접촉 부재(141)는 환봉이다. 접촉 부재(141)는 기대(110)가 유지하는 팰릿(300)의 횡재치부(31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팰릿(300)이 유지할 수 있는 타이어군의 축 방향의 길이 정도의 길이를 구비하고 있다.
이접 장치(142)는 접촉 부재(14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접촉 부재(141)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회전축 둘레에 접촉 부재(141)를 원호형상으로 회전 요동시키는 것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접 장치(142)는 감속기 및 회전 모터를 구비하고, 회전 모터의 회전을 감속기 및 암 부재(143)를 통해 접촉 부재(141)에 전달하고 있다. 이접 장치(142)는 타이어군을 구성하는 타이어(200)의 지름이 소정 범위 내에서 상이한 경우이어도 접촉 부재(141)를 타이어군의 둘레면에 접촉 상태로 유지 또는 타이어군의 둘레면을 접촉 부재(141)로 압압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접 장치(142)는 타이어군을 유지하는 팰릿(300)의 자세 전환 중이어도 타이어군의 둘레면에 접촉시킨 상태 또는 타이어군의 둘레면을 접촉 부재(141)로 압압한 상태를 계속해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접 장치(142)가 접촉 부재(141)를 이동시키는 방향은 회전 요동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실시형태 1의 기립 장치(130)와 같이 접촉 부재(141)를 타이어군의 둘레면을 향해서 직선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이접 장치(142)의 구동 수단은 회전 모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직동 모터, 에어 실린더 등에 의해 실현하는 장치 등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암 부재(143)는 만곡형상, 직선형상 등 임의의 형상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실시형태 1의 암 부재(143)와 같이 굴곡진 형상으로 함으로써 기대(110)에 유지된 팰릿(300)에 문살 등의 장해물(도시하지 않음)이 존재할 경우에도 상기 장해물을 회피하면서 타이어(200) 상호의 위치 어긋남을 규제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 1에 의한 자세 전환 장치(100)에 의하면 횡배열 상태의 타이어군의 단부에 경사 타이어(201)가 있었을 경우 팰릿(300)의 자세를 종자세로 변환하기 전에 경사 타이어(201)를 기립시킴으로써 자세 전환 중이나 자세 전환 후에 타이어(200)의 위치가 어긋나거나, 타이어(200)가 낙하되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경사 타이어(201)의 기립 후에 있어서도 타이어군의 단부로부터 종재치부(320)를 향해서 기립 장치(130)에 의해 압압력을 계속해서 부여함으로써 타이어(200)의 유지 어긋남이나 낙하를 더 억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타이어(200)의 어긋남이 거의 없는 스태킹 상태의 타이어군이면 크레인에 부착된 척을 타이어군의 구멍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고, 타이어(200)의 어긋남에 의해 척이 타이어군에 삽입할 수 없는 등의 문제를 회피해서 타이어군의 반출 작업의 효율화를 도모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규제 장치(140)에 의해 타이어군의 둘레면을 억제하면서 자세의 전환을 함으로써 자세 전환 중 및 자세 전환 전후에 있어서 타이어(200)의 어긋남이나 낙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스태킹 상태의 타이어군을 유지하는 종자세의 팰릿(300)의 자세 전환 후에 타이어군의 단부가 경사 타이어(201)로 되었을 경우 기립 장치(130)를 사용해서 경사 타이어(201)를 기립시킴으로써 경사 타이어(201)의 상태로 보관되는 상황을 회피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계속해서, 자세 전환 장치(100)의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의 작용이나 기능, 마찬가지의 형상이나, 기구나, 구조를 갖는 것(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실시형태 1과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동일한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도 7은 실시형태 2에 의한 자세 전환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세 전환 장치(100)는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복수의 타이어(200)를 유지하는 팰릿(300)을 횡자세로부터 종자세로 전환하는 장치이며, 기대(110)와, 전환 구동 장치(120)와, 기립 장치(130)와, 규제 장치(140)를 구비하고 있다. 실시형태 2의 경우 자세 전환 장치(100)는 제어 장치(150)와, 반송 장치(160)를 더 구비하고 있다.
실시형태 2의 경우 기립 장치(130)는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의 타이어군의 일단부에 위치하고, 경사 타이어(201)를 종재치부(320)측을 향해서 기립시키는 장치이며, 삽입 통과 부재(135)와, 압압 부재(131)와, 출퇴 장치(137)와, 압압 장치(138)와, 승강 장치(139)를 구비하고 있다.
삽입 통과 부재(135)는 적어도 경사 타이어(201)의 구멍을 뚫는 부재이다. 삽입 통과 부재(135)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타이어(200)를 들어 올렸을 때에 타이어(200)의 내주를 아프게 하지 않는 것 같은 환봉, 원통 등의 형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자세 전환 장치(100)에 순차적으로 운반되어 오는 지름이 상이한 타이어(200)의 구멍에 꽂아 넣을 수 있는 정도의 지름으로 설정되어 있다. 실시형태 2의 경우 복수개(예를 들면, 3개)의 타이어(200)를 들어 올릴 수 있는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삽입 통과 부재(135)는 복수개의 타이어(200)를 편측 지지 상태로 들어 올릴 수 있는 강성으로 설정되어 있다.
압압 부재(131)는 경사 타이어(201)의 일단부의 끝면에 접촉하는 부재이다. 실시형태 2의 경우 압압 부재(131)는 타이어(200)의 일단부 외측으로부터 타이어(200)의 배열 방향으로 바로 타이어(200)를 압압한다. 압압 부재(131)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 종류의 지름의 타이어(200)의 끝면에 접촉하는 부재이기 때문에 복수 종류의 지름의 타이어(200)의 어느 끝면에도 접촉 가능한 면적(도면 중 YZ면의 면적)을 갖는 판형상의 부재가 바람직하다.
또한, 압압 부재(131)의 타이어(200)와 접촉하는 면에는 압압 부재(131)와 타이어(200)의 마찰을 경감하는 부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수평면 내에 있어서 타이어(200)의 끝면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축 둘레로 회전하는 롤러를 압압 부재(131)가 구비하고 있어도 상관없다.
출퇴 장치(137)는 삽입 통과 부재(135)를 경사 타이어(201)에 대하여 뺐다 끼웠다 하는 장치이다. 실시형태 2의 경우 출퇴 장치(137)는 에어 실린더에 의해 삽입 통과 부재(135)의 선단이 가장 근방의 타이어(200)로부터 3번째의 타이어(200)의 위치에까지 삽입 통과 부재(135)를 진출시키고, 팰릿(300)의 자세를 전환할 때에 삽입 통과 부재(135)가 팰릿(300) 등에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까지 후퇴시킬 수 있다.
압압 장치(138)는 압압 부재(131)에 의해 경사 타이어(201)이었던 타이어(200)의 상부를 타단부(도면 중 X축 음의 방향)를 향해서 압박하여 타이어(200)의 위치를 조정하는 장치이다. 압압 장치(138)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실시형태 2의 경우 출퇴 장치(137)와 마찬가지로 에어 실린더가 사용되어 있다.
또한, 실시형태 2에서는 삽입 통과 부재(135)와 압압 부재(131)를 별체로 하고, 출퇴 장치(137) 및 압압 장치(138)를 사용해서 각각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서 설명했지만 압압 부재(131)는 삽입 통과 부재(135)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해서 돌출되고, 삽입 통과 부재(135)에 고정되는 플랜지형상의 부재이어도 상관없다. 이 경우 압압 부재(131)가 경사 타이어(201)를 기립시키는 압압력을 발생시키는 장치는 출퇴 장치(137)가 되며, 압압 장치(138)는 출퇴 장치(137)에 의해 실현된다.
승강 장치(139)는 삽입 통과 부재(135), 압압 부재(131), 출퇴 장치(137), 및 압압 장치(138)를 승강시키는 장치이다. 승강 장치(139)는 삽입 통과 부재(135)가 삽입 통과된 복수개의 타이어(200)를 한번에 들어 올리는 파워를 구비하고 있다. 승강 장치(139)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실시형태 2의 경우 체인, 풀리를 조합한 승강 기구를 구비하고, 모터에 의해 승강 기구를 구동하는 장치가 채용되어 있다.
실시형태 2의 경우 반송 장치(160)에 의해 타이어(200)가 재치된 팰릿(300)이 반송되기 때문에 승강 장치(139)는 타이어(200)에 삽입 통과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삽입 통과 부재(135), 압압 부재(131), 출퇴 장치(137), 및 압압 장치(138)를 타이어(200)가 재치된 팰릿(300)이 통과하는 영역의 상측까지 상승시킬 수 있다.
반송 장치(160)는 횡배열 상태의 타이어(200)의 배열 방향(도면 중 X축 방향)을 따라 자세 전환 장치(100)의 배치 위치까지 팰릿(300)을 반송하는 장치이다. 반송 장치(160)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실시형태 2의 경우 컨베이어가 채용되어 있다.
제어 장치(150)는 출퇴 장치(137), 압압 장치(138), 승강 장치(139)를 제어하고, 경사 타이어(201)를 기립시키는, 소위 컴퓨터이다.
도 8은 실시형태 2에 의한 자세 전환 장치(100)의 동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팰릿(300)을 자세 전환 위치에 반송하기 전에 제어 장치(150)는 삽입 통과 부재(135), 압압 부재(131), 출퇴 장치(137), 및 압압 장치(138)를 타이어(200)가 재치된 팰릿(300)이 통과하는 영역의 상측까지 상승하도록 승강 장치(139)를 제어한다(S101).
이어서, 반송 장치(160)는 대기하고 있었던 팰릿(300)을 삽입 통과 부재(135) 등의 하측에 통과시켜서 자세 전환 위치까지 반송한다(S102). 또한, 상기 반송 장치(160)의 제어도 제어 장치(150)가 실행해도 상관없다.
팰릿(300)이 소정 위치에 배치되면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 통과 부재(135)가 타이어(200)의 구멍에 꽂아 넣어지는 위치까지 삽입 통과 부재(135) 등이 하강하도록 제어 장치(150)가 승강 장치(139)를 제어한다(S103).
소정 위치까지 삽입 통과 부재(135)가 하강하면 제어 장치(150)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출퇴 장치(137)를 제어하고, 삽입 통과 부재(135)를 복수개의 타이어(200)의 구멍에 삽입한다(S104).
삽입 통과 부재(135)의 삽입이 완료되면 제어 장치(150)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타이어(200)를 들어 올리도록 승강 장치(139)를 제어한다(S105). 들어 올리기는 타이어(200)가 팰릿(300)에 접촉하지 않는 상태까지 들어 올린다.
타이어(200)를 들어 올린 후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압 부재(131)로 들어 올린 타이어(200)를 들어 올려져 있지 않은 타이어(200)에 압박하도록 제어 장치(150)는 압압 장치(138)를 제어한다(S106).
이어서,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들어 올린 타이어(200)가 팰릿(300)에 다시 재치될 때까지 제어 장치(150)는 승강 장치(139)를 제어해서 타이어(200)를 하강시킨다(S107). 가공 후에는 삽입 통과 부재(135) 및 압압 부재(131)를 후퇴시킨다.
이어서, 규제 장치(140)에 의해 타이어(200)를 규제하고(S108), 규제 상태인 채 팰릿(300)의 자세를 전환해서 기립시켜 타이어(200)를 겹쳐 쌓인 스태킹 상태로 한다(S109).
이어서, 크레인 등을 사용하여 타이어(200), 팰릿(300)을 반출한다(S110).
이어서, 자세를 전환해야 할 팰릿(300)이 대기하고 있을 경우(S111: No) 스텝(S101)으로 되돌아가고, 대기 팰릿(300)이 없으면 종료한다(S111: Yes).
이상과 같이 경사 타이어(201)를 매달도록 들어 올림으로써 강한 마찰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경사 타이어(201)를 종향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경사 타이어(201)를 들어 올리는 승강 장치(139)를 사용하여 삽입 통과 부재(135), 압압 부재(131), 압압 장치(138), 및 출퇴 장치(137)를 팰릿(300)의 통과 영역의 상측에까지 상승시킴으로써 이어서 자세를 전환하는 팰릿(300)을 용이하게 자세 전환 위치에까지 반송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계속해서, 자세 전환 장치(100)의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 1, 2와 마찬가지의 작용이나 기능, 마찬가지의 형상이나, 기구나, 구조를 갖는 것(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실시형태 1, 2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동일한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도 14는 실시형태 3에 의한 자세 전환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세 전환 장치(100)는 실시형태 1, 2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타이어(200)를 유지하는 팰릿(300)을 횡자세로부터 종자세로 전환하는 장치이며, 기대(110)와, 전환 구동 장치(120)와, 기립 장치(130)와, 규제 장치(140)를 구비하고 있다. 실시형태 3의 경우 자세 전환 장치(100)는 반송 장치(160)를 더 구비하고 있다.
실시형태 3의 경우 기립 장치(130)는 비스듬한 자세의 타이어군의 일단부에 위치하고, 경사 타이어(201)를 종재치부(320)측을 향해 기립시키는 장치이다. 기립 장치(130)는 압압 부재(131)와, 압압 장치(138)와, 반송 장치(160)를 구비하고 있다.
압압 부재(131)는 전환 구동 장치(120)에 의해 횡자세와 종자세 사이의 비스듬한 자세(도 14 참조)의 팰릿(300)에 배치되는 경사 타이어(201)에 대하여 타이어군의 타단부를 향하는 압압력을 부여하는 부재이다. 실시형태 3의 경우도 압압 부재(131)는 타이어(200)의 일단부 외측으로부터 타이어(200)의 배열 방향으로 바로 타이어(200)를 압압한다. 단, 타이어군은 비스듬한 자세로 되어 있기 때문에 압압 부재(131)는 비스듬한 자세의 타이어(200)의 배열 방향에 수직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압압 부재(131)는 압압 장치(138)와의 접속 부분에 상하로 요동할 수 있는 스윙 기구가 설치되어 있으며, 압압 부재(131)는 타이어(200)의 배열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압압 장치(138)는 압압 부재(131)에 의해 비스듬한 자세의 타이어군의 일단부에 배치되는 경사 타이어(201)를 타단부를 향해서 압박한다. 실시형태 3의 경우 압압 장치(138)는 전환 구동 장치(120)에 의해 비스듬한 자세가 된 타이어군의 배열 방향을 따라 압압 부재(131)를 출퇴시키는 에어 실린더가 채용되어 있다.
압압 부재(131) 및 압압 부재(131)는 반송 장치(160)에 의한 팰릿(300)의 통과 영역의 상측에 고정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환 구동 장치(120)에 의해 비스듬한 자세가 된 타이어(200)의 배열의 연장선 상에 압압 장치(138)가 배치되어 있다.
전환 구동 장치(120)에 의한 타이어군의 들어 올리는 각도 θ는 압압 부재(131)의 하측에 타이어(200)가 탑재된 팰릿(300)을 통과할 수 있는 각도 이상이며, 45° 미만이 바람직하다. 경사 타이어(201)를 포함하는 타이어군을 45° 이상으로 기울이면 경사 타이어(201)에 본의 아닌 움직임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실시형태 3의 경우 들어 올리는 각도 θ는 25°로 설정되어 있다.
도 15는 실시형태 3에 의한 자세 전환 장치(100)의 동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 장치(160)는 대기하고 있었던 팰릿(300)을 압압 장치(138)의 하측에 통과시켜서 자세 전환 위치까지 반송한다(S201). 또한, 상기 반송 장치(160)의 제어도 제어 장치(150)(실시형태 3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음)가 실행해도 상관없다. 또한, 다른 팰릿(300)도 순차적으로 반송되어 있다.
팰릿(300)이 소정 위치에 배치되면 전환 구동 장치(120)는 제어 장치(150)에 제어되고,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압 장치(138)의 압압 방향과 타이어(200)의 배열 방향이 직선형상으로 배열되는 비스듬한 자세까지 팰릿(300)을 회전시킨다(S202).
이어서, 압압 장치(138)는 경사 타이어(201)에 압압 부재(131)를 압박하여 다른 타이어(200)와 동일한 자세로 기립시킨다(S203).
이어서, 규제 장치(140)에 의해 타이어(200)를 규제하고(S204), 압압 장치(138)는 압압 부재(131)를 팰릿(300) 등과 간섭하지 않는 소정 위치까지 후퇴시킨다(S205). 또한, 규제와 후퇴의 타이밍은 동시이어도 좋고, 어느 한쪽이 빨라도 좋다.
규제 장치(140)가 타이어군을 규제한 상태인 채 전환 구동 장치(120)는 팰릿(300)을 다시 회전시켜서 기립시키고, 타이어(200)를 겹쳐 쌓인 스태킹 상태로 한다(S206).
이어서, 크레인 등을 사용하여 타이어(200), 팰릿(300)을 반출한다(S207).
이어서, 자세를 전환해야 할 팰릿(300)이 대기하고 있을 경우(S208: No) 스텝(S201)으로 되돌아가고, 대기 팰릿(300)이 없으면 종료된다(S208: Yes).
실시형태 3에 의한 자세 전환 장치(100)에 의하면 압압 부재(131) 및 압압 장치(138)에 간섭하는 일 없이 대기 팰릿(300)을 유지 부재(110)의 근방에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실시형태 2에 비해 효율 좋게 팰릿(300)을 자세 전환 위치로 송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자세 전환 장치(100)가 출퇴 장치(137)를 구비하지 않고, 승강 장치(139)도 구비하지 않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 경사 타이어(201)를 기립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기재한 구성 요소를 임의로 조합하고, 또한 구성 요소 중 몇 가지를 제외하고 실현되는 별도의 실시형태를 본 발명의 실시형태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대하여 본 발명의 주지, 즉 청구범위에 기재되는 문언이 나타내는 의미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당업자가 생각나는 각종 변형을 실시해서 얻어지는 변형예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예를 들면, 경사 타이어(201)의 존재의 유무를 검출하는 센서로부터의 정보, 타이어군의 단부의 화상 정보에 의거하여 경사 타이어(201)가 존재한다고 판단될 경우에만 기립 장치(130)를 동작시켜도 상관없다.
또한, 실시형태 1에서는 2개의 팰릿(300)이 연결되어 2개의 타이어군과 함께 자세의 전환을 행하는 자세 전환 장치(100)를 설명했지만 자세 전환 장치(100)는 1개의 팰릿(300)의 자세를 전환하는 것이어도 좋고, 3 이상의 팰릿(300)의 자세를 전환하는 것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복수의 팰릿(300)의 자세를 전환할 경우 허용 범위 내에 있어서 상이한 종류의 팰릿(300)의 자세를 동시에 전환해도 좋다. 또한, 지름이 상이한 타이어군이 유지되어 있어도 자세 전환 장치(100)는 팰릿(300)의 자세를 전환해도 좋다.
또한, 실시형태 1에서는 1개의 압압 부재(131)를 사용해서 2개의 타이어군의 경사 타이어(201)를 각각 기립시키고 있었지만 자세 전환 장치(100)는 2개의 기립 장치(130)를 구비하고, 각각의 기립 장치(130)가 각각의 타이어군의 경사 타이어(201)를 기립시켜도 상관없다.
또한, 실시형태 1의 구성에 있어서 타이어군을 비스듬한 자세로 한 후 기립 장치(130)에 의해 경사 타이어(201)를 기립시켜도 상관없다.
본 발명은 타이어 제조 공장, 타이어 보관 창고, 타이어의 물류 센터 등에 이용 가능하다.
100: 자세 전환 장치 110: 기대
111: 유지 부재 120: 전환 구동 장치
121: 축체 122: 베어링
123: 구동원 130: 기립 장치
131: 압압 부재 132: 출몰 장치
133: 이동 장치 134: 레일
140: 규제 장치 141: 접촉 부재
142: 이접 장치 143: 암 부재
200: 타이어 201: 경사 타이어
300: 팰릿 310: 횡재치부
320: 종재치부 330: 프레임
340: 스토퍼 350: 스페이서

Claims (10)

  1. 종향의 복수의 타이어가 배열된 횡배열 상태의 타이어군을 유지하는 횡자세의 팰릿을 상기 타이어군과 함께 종자세로 할 수 있는 자세 전환 장치로서,
    상기 팰릿을 유지하는 기대와,
    상기 기대를 회동시킴으로써 유지된 상기 팰릿의 자세를 전환하는 전환 구동 장치와,
    상기 팰릿에 유지되는 상기 타이어군의 일단부에 위치하고, 기울어져 있는 상기 타이어인 경사 타이어를 타단부를 향해서 기립시키는 기립 장치와,
    상기 타이어군의 둘레면의 적어도 일부에 접촉해서 상기 타이어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규제 장치를 구비하는 자세 전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립 장치는,
    상기 경사 타이어에 대하여 상기 타이어군의 타단부를 향하는 압압력을 부여하는 압압 부재와,
    상기 압압 부재를 상기 경사 타이어와 상기 팰릿 사이에 출몰시키는 출몰 장치와,
    진출 상태의 상기 압압 부재에 대하여 상기 경사 타이어의 타단부를 향하는 상기 압압력을 발생시키는 이동 장치를 구비하는 자세 전환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 부재는,
    상기 경사 타이어와 접촉해서 회전하는 롤러부를 구비하는 자세 전환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립 장치는 상기 기대에 부착되고, 상기 팰릿의 자세의 전환과 함께 이동하는 자세 전환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 장치는 상기 기대에 부착되고, 상기 팰릿의 자세의 전환과 함께 이동하는 자세 전환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립 장치는,
    적어도 상기 경사 타이어의 구멍을 꿰뚫는 삽입 통과 부재와,
    상기 경사 타이어이었던 타이어의 일단부의 끝면에 접촉하는 압압 부재와,
    상기 삽입 통과 부재를 상기 경사 타이어에 대하여 뺐다 끼웠다 하는 출퇴 장치와,
    상기 압압 부재에 의해 상기 타이어군의 일단부에 배치되는 상기 타이어를 타단부를 향해서 압박하는 압압 장치와,
    상기 삽입 통과 부재, 상기 압압 부재, 상기 출퇴 장치, 및 상기 압압 장치를 승강시키는 승강 장치를 구비하는 자세 전환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 전환 장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출퇴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적어도 상기 경사 타이어의 구멍에 상기 삽입 통과 부재를 삽입하고,
    상기 승강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삽입 통과 부재가 꿰뚫린 상기 타이어가 들어 올려질 때까지 상기 삽입 통과 부재 및 상기 출퇴 장치를 상승시키고,
    상기 압압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삽입 통과 부재에 의해 들어 올려진 상기 타이어를 상기 압압 부재에 의해 타단부를 향해서 압박하고,
    상기 승강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들어 올린 상기 타이어가 상기 팰릿에 재치될 때까지 상기 삽입 통과 부재 및 상기 출퇴 장치를 하강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자세 전환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 전환 장치는,
    횡배열 상태의 상기 타이어의 배열 방향을 따라 상기 자세 전환 장치의 배치 위치까지 상기 팰릿을 반송하는 반송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반송 장치에 의한 상기 팰릿의 통과 영역의 상측에까지 상기 삽입 통과 부재, 상기 압압 부재, 상기 압압 장치, 및 상기 출퇴 장치를 상승시키도록 상기 승강 장치를 제어하는 자세 전환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립 장치는,
    상기 전환 구동 장치에 의해 횡자세와 종자세 사이의 비스듬한 자세의 상기 팰릿에 배치되는 상기 경사 타이어에 대하여 상기 타이어군의 타단부를 향하는 압압력을 부여하는 압압 부재와,
    상기 압압 부재에 의해 상기 타이어군의 일단부에 배치되는 상기 타이어를 타단부를 향해서 압박하는 압압 장치를 구비하는 자세 전환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 전환 장치는,
    횡배열 상태의 상기 타이어의 배열 방향을 따라 상기 자세 전환 장치의 배치 위치까지 상기 팰릿을 반송하는 반송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압압 부재 및 상기 압압 장치는 상기 반송 장치에 의한 상기 팰릿의 통과 영역의 상측에 고정적으로 배치되는 자세 전환 장치.
KR1020217011046A 2018-11-19 2019-09-20 자세 전환 장치 KR1025388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216879 2018-11-19
JP2018216879 2018-11-19
PCT/JP2019/036895 WO2020105268A1 (ja) 2018-11-19 2019-09-20 姿勢転換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8915A KR20210058915A (ko) 2021-05-24
KR102538888B1 true KR102538888B1 (ko) 2023-06-01

Family

ID=70773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1046A KR102538888B1 (ko) 2018-11-19 2019-09-20 자세 전환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2017874B2 (ko)
JP (1) JP7040640B2 (ko)
KR (1) KR102538888B1 (ko)
CN (1) CN112955390B (ko)
TW (1) TWI818112B (ko)
WO (1) WO20201052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53301A1 (en) * 2021-01-21 2023-10-04 Murata Machinery, Ltd. Tire transport apparatu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52529A (ja) 2010-06-01 2011-12-15 Kyb Co Ltd 流体圧緩衝器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37734A (en) * 1976-03-05 1977-07-26 Tropicana Product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palletizing
JPS57106623U (ko) 1980-12-22 1982-07-01
JPS60252529A (ja) * 1984-05-25 1985-12-13 Shinko Electric Co Ltd 円形物品の積重ね装置
JPH072521B2 (ja) 1986-03-25 1995-01-18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搬入・搬出及び積み込み装置
IT1253922B (it) * 1991-12-20 1995-08-31 Gd Spa Carrello per il caricamento di bobine in un dispositivo di alimentazione di una macchina confezionatrice
US5480277A (en) * 1995-01-19 1996-01-02 Minz; Charles A. Machine for tipping large industrial articles
US5562401A (en) * 1995-03-03 1996-10-08 Moore Business Forms, Inc. Forms tilt cart with cam action lock
US5681141A (en) 1996-04-12 1997-10-28 Critel; Dexter L. Tire stacker
US6357599B1 (en) * 1999-09-01 2002-03-19 Greif Bros. Corp. Of Ohio, Inc. Machine and method for facilitating separation of members of a stack
CA2399038C (en) * 2000-02-04 2007-01-09 American Express Travel Related Services Company, Inc. Automated tire loading/unloading and compression system and tire transport frame
DE20115948U1 (de) * 2001-09-27 2002-01-03 Nedcon Magazijninrichting Bv Vorrichtung zum Stapeln oder Entstapeln leerer Transportpaletten
JP5571471B2 (ja) 2010-06-11 2014-08-13 平田機工株式会社 タイヤ積込装置及びタイヤ積込方法
DK177282B1 (en) 2011-11-02 2012-10-08 Hovmand As Tire-stacking device, tire-stacking kit and method for handling of tires
US9475659B2 (en) * 2013-03-29 2016-10-25 David Strickland, III Apparatus for handing and moving a stack of tires
US9610963B2 (en) * 2015-05-06 2017-04-04 Chariot Concepts LLC Vehicle tire cart
CN106395393B (zh) * 2015-07-18 2019-09-17 华晟(青岛)智能装备科技有限公司 轮胎码垛机及轮胎的码垛方法
CN108661388B (zh) * 2018-06-13 2024-02-20 深圳怡丰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轮胎夹持臂自锁装置及搬运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52529A (ja) 2010-06-01 2011-12-15 Kyb Co Ltd 流体圧緩衝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955390B (zh) 2022-05-03
KR20210058915A (ko) 2021-05-24
US12017874B2 (en) 2024-06-25
WO2020105268A1 (ja) 2020-05-28
US20220002086A1 (en) 2022-01-06
JP7040640B2 (ja) 2022-03-23
TWI818112B (zh) 2023-10-11
JPWO2020105268A1 (ja) 2021-09-27
TW202106596A (zh) 2021-02-16
CN112955390A (zh) 2021-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78989B (zh) 一种仓储自动取料机
CN212578936U (zh) 应用于硅棒开方设备的边皮卸料装置及硅棒开方设备
TWI714809B (zh) 搬送系統
JP2009292582A (ja) スタッカクレーン
WO2017006606A1 (ja) レーザ加工機、レーザ加工方法、板材加工システム、及び板材加工方法
CN103754630A (zh) 一种自动送料装置
KR102538888B1 (ko) 자세 전환 장치
CN207618471U (zh) 一种智能仓储搬运车及智能仓储系统
CN114506649B (zh) 半导体元件翻转设备
CN214562090U (zh) 边皮卸料装置及多工位开方设备
JP2006248680A (ja) 移載機におけるテレスコピックアームの支持構造
JP2013006685A (ja) 幅寄せ装置、パレタイズ搬送システムおよびパレタイジング方法
CN107777624B (zh) 一种适用于工业车辆的取料装置
JP5978937B2 (ja) 基板搬送用ハンド及び基板搬送方法
JP5060139B2 (ja) タンデムプレス加工装置
CN106144500A (zh) 一种自定位辅助扫码机构
KR101567462B1 (ko) 중량물 이송정렬장치
CN207489832U (zh) 提升机构、输送装置及硅片自动输送制造设备
CN218344649U (zh) 玻璃加工系统
CN214562089U (zh) 边皮卸料装置及多工位开方设备
CN214687340U (zh) 硅棒装卸装置及多工位开方设备
CN217349672U (zh) 输送系统
JP2019119553A (ja) 物品搬送設備
CN116835256B (zh) 一种机器人上下料工作站
CN214562088U (zh) 硅棒承载装置及多工位开方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