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2442A - 안경부품의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안경부품의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2442A
KR19990062442A KR1019980024899A KR19980024899A KR19990062442A KR 19990062442 A KR19990062442 A KR 19990062442A KR 1019980024899 A KR1019980024899 A KR 1019980024899A KR 19980024899 A KR19980024899 A KR 19980024899A KR 19990062442 A KR19990062442 A KR 199900624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le
slit
annular
annular body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4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츠오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야마오쿠 시게끼
유겐가이샤 모나쟈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오쿠 시게끼, 유겐가이샤 모나쟈판 filed Critical 야마오쿠 시게끼
Publication of KR19990062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244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00Assemblies of lenses with bridges or browbars
    • G02C1/04Bridge or browbar secured to or integral with partial rims, e.g. with partially-flexible rim for holding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09Pivot bearings and hinge bolts other than screw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20Friction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사용하고 있는 동안에, 템플의 회동상태가 헐거워져 버리는 것 외에, 힌지편의 납땜면적이 크므로, 생산효율이 나쁘다.
상기 엔드피스(2)의 연결부(2a)에 돌출설치된 환체(環體)(3a)와, 이 환체(3a)내에 회동가능하게 끼워 넣어지도록 템플(4)에 돌출설치된 돌기체(3b)와로 연결기구(3)를 구성하고, 바람직하게는 환체(3a)와 돌기체(3b)와의 사이에 환형 부시(3c)를 개재시킨다. 상기 환체(3a)는, 외주면측에 수직방향으로 뻗은 연결슬릿(3a1)과, 수평방향으로 뻗은 회동슬릿(3a2)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슬릿(3a1)은, 환체(3a)의 정상단(頂上端)으로부터 외단(外端)에지 및 하위의 회동슬릿(3a2)내에 연통되도록 절결되어 있고, 템플(4)을 회동슬릿(3a2)내에 안내하도록 상하방향으로 형성한다. 또, 상기 회동슬릿(3a2)은, 템플(4)이 최소한 90도 내측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환체(3a)의 내주면에 따라서 수평으로 절결된다.

Description

안경부품의 연결구조
본 발명은, 안경부품의 연결구조의 개량에 관한 것이고, 더욱 상세하게는, 매우 간단한 수단으로 템플을 보다 간단 또한 확실히 장착할 수 있는 생산성이 좋은 안경부품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엔드피스와 템플의 연결구조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실개소(實開昭)60(1985)-70825호에 개시(開示)된 것이 종래예로서 주지이다. 이 종래예에 있어서의 연결구조는, 엔드피스의 연결부와 템플의 연결부에 각각 힌지편을 납땜하는 동시에, 양 힌지편을 맞물리게 한 상태로 나사고정함으로써 양 부재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예 중, 일본국 실개소60(1985)-70825호에 개시되어 있는 엔드피스와 템플과의 연결구조에 있어서는, 사용하는 동안에, 템플의 회동상태가 헐거워져 버리는 외에, 힌지편의 납땜면적이 크므로, 생산효율이 나쁘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무테안경의 경우에 있어서는, 가는 템플을 채용하고 있으므로, 거기에 맞추어 힌지편도 상하 폭이 작은 특수한 소형 힌지편을 제작하지 않으면 안되는 등 제작상의 곤란이 있는 동시에, 힌지편의 축받이부가 필연적으로 두께가 얇아지므로, 파손되기 쉬워진다는 문제를 가지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종래의 힌지와 같은 스폿용접이나 납땜을 하지 않고 간단히 템플을 간단 또한 견고히 연결할 수 있는 안경부품의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안경부품의 연결구조를 겸비한 안경의 측면도.
도 2는 상기 연결구조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要部) 평면도.
도 3은 상기 연결구조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상기 연결구조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상기 연결구조의 조립분해사시도.
도 6은 상기 연결구조를 구성하는 환형(環形) 부시와 템플과의 조립분해사시도.
도 7은 상기 환형 부시를 조립한 템플과 환체(環體)와의 조립분해사시도.
도 8은 템플을 내측으로 회동시킨 상태를 나타낸 상기 연결구조의 요부 사시도.
도 9는 템플을 똑바로 편 상태를 나타낸 상기 연결구조의 요부 사시도.
도 10은 상기 연결구조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11은 상기 연결구조의 요부를 나타낸 조립분해사시도.
도 12는 상기 연결구조의 조립순서를 나타낸 설명도.
도 13은 상기 연결구조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 : 안경렌즈, 2 : 엔드피스(endpiece), 2a : 연결부, 2b :연결공
3 : 연결기구, 3a : 환체, 3a1: 연결슬릿, 3a2: 회동슬릿
3b : 돌기체, 3c : 환형 부시, 3c1: 회동저지돌기, 3c2: 수평슬릿
4 : 템플, 4a : 연결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요지로 하는 구성은, 안경렌즈에 장착되는 엔드피스의 연결부에 연결기구를 통하여 템플을 회동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안경부품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연결기구는, 상기 엔드피스의 연결부에 설치된 환체와, 이 환체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도록 상기 템플에 설치된 돌기체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안경부품의 연결구조에 있다.
또, 상기 환체와 돌기체와의 사이에, 합성수지 등의 가요성(可撓性) 재료로 이루어지는 환형 부시를 개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환체 및/또는 환형 부시에는, 템플의 회동조작을 규제하는 슬릿을 형성하는 것이 좋다.
또, 본 발명은, 엔드피스의 연결부에 설치된 환체와, 이 환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템플의 선단에 돌출설치된 돌기체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안경부품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환체에 최소한 한쪽이 상단 및/또는 하단에 해방되어 다른 쪽이 주위면에 따라서 수평으로 개구되는 갈고리형의 슬릿을 통하여 상기 템플의 돌기체를 회동가능하게 조립하는 안경부품의 연결구조에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안경부품의 연결구조는, 상기 연결기구가, 상기 엔드피스의 연결부에 설치된 환체와, 이 환체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도록 상기 템플에 설치된 돌기체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의해, 상기 환체와 돌기체와를 정합(整合)시키는 것만으로, 서로를 간단히 회동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환체와 돌기체와의 사이에, 합성수지 등의 가요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환형 부시를 개재하면, 마찰저항이 증가하고 템플의 안이한 회동이나 이탈이 저지되게 된다.
또한, 상기 환체 및/또는 환형 부시에, 템플의 회동조작을 규제하는 슬릿을 형성하면, 상기 슬릿에 안내되어 템플을 (소정 위치에서)확실히 회동방지하는 것 외에, 환체내와 템플 (상세하게는, 템플의 돌기체)과의 마찰저항뿐만 아니라, 이 슬릿과 템플과의 마찰저항이 협동하여 템플의 회동정도를 결정하게 된다.
엔드피스의 연결부에 설치된 환체와, 이 환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템플의 선단에 돌출설치된 돌기체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안경부품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환체에, 최소한 한쪽이 상단 및/또는 하단에 해방되고 다른 쪽이 주위면에 따라서 수평으로 개구되는 갈고리형의 슬릿을 통하여 상기 템플의 돌기체를 회동가능하게 조립함으로써, 나사 등을 일체 사용하지 않고, 엔드피스와 템플과를 원터치로 조립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 있어서 「안경부품」이란, 템플, 엔드피스, 브리지, 벤드(bend) 뿐만 아니라, 노이즈패드, 기타 안경에 사용되는 모든 부품을 말하는 것이고, 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 1∼도 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면 중 A는, 본 발명에 관한 안경부품의 연결구조 (상세하게는, 무테안경의 안경테와 템플과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것이고, 이 연결구조 A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경렌즈(1)의 소정 위치에 고정되는 엔드피스(2)와, 이 엔드피스(2)에 연결기구(3)를 통하여 절첩가능하게 연결된 템플(4)과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안경렌즈(1)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고, 소정 위치에 연결공 (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이 연결공은, 후술하는 엔드피스(2)의 연결공(2b)과 회전불능상태로 나사결합할 수 있도록 사각형 등으로 천공(穿孔)되는 것이다.
또, 상기 엔드피스(2)는, 대략 갈고리형으로 절곡(折曲)성형되어 있고, 연결부(2a)측에 후술하는 환체(3a)가 선단측에 연결공(2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나사공(2b)은, 안경렌즈(1)의 연결공 (도시하지 않음)과 동심형(同心狀)으로 정합시킨 상태로 나사부재 (도시하지 않음)가 견고하게 나사결합된다.
상기 연결기구(3)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엔드피스(2)의 연결부(2a)에 돌출설치된 환체(3a)와, 템플(4)의 연결부(4a)에 돌출설치된 돌기체(3b)와, 상기 환체(3a)와 돌기체(3b)와의 사이에 개재되는 환형 부시(3c)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환체(3a)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 등의 적절한 소재로 이루어지고, 외주면측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연결슬릿(3a1, 3a1)과,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회동슬릿(3a2)과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연결슬릿(3a1, 3a1)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환체(3a)의 정상단(頂上端)으로부터 외단에지에 연통하도록 절결되어 있고, 템플(4)이 후술하는 회동슬릿(3a2)내에 안내되도록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회동슬릿(3a2)은, 템플(4)이 (최소한 90도)내측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환체(3a)의 외주면에 수평으로 절결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이 회동슬릿(3a2)은, 템플(4)이 한쪽의 회동한계위치에서 엔드피스(2)의 연결부(2a)와 동일 축상에 (도 2 참조), 다른 쪽의 회동한계위치에서 안경렌즈와 평행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8참조).
또한, 상기 돌기체(3b)는, 금속 또는 경질합성수지재 등의 적절한 소재로 이루어지고, 후술하는 환형 부시(3c)의 연결공과 정합하도록 하는 템플(4)의 연결부(4a)측에 돌출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환형 부시(3c)는, 합성수지 등의 가요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주면에 회동저지돌기(3c1, 3c1)와 수평슬릿(3c2)이 형성되어 있다.
회동저지돌기(3c1, 3c1)는, 상기 환체(3a)의 연결슬릿(3a1, 3a1)에 정합하도록 돌출설치되어 있고, 환형 부시(3c)가 상기 환체(3a)내에 삽입장착되었을 때에, 동일 환형 부시(3c)가 안이하게 회동하지 않도록 상기 연결슬릿(3a1, 3a1)에 위치결정되어 결합되는 것이다.
또, 상기 수평슬릿(3c2)은, 환체(3a)에 형성된 상기 회동슬릿(3a2)과 정합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일단측에 환체(3a)의 하단면에 해방되는 결합슬릿(3c3)이 연통(連通)되어 있다.
이 결합슬릿(3c3)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환체(3a)내에 아래쪽으로부터 상기 돌기체(3b)를 끼워 맞출 때, 템플(4)을 허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정합위치에서 수평슬릿(3c2)내에 슬라이드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템플(4)은, 니켈합금이나 티탄 등의 적절한 소재로 형성되어 있고, 그 연결부(4a)의 유단측(遊端側)에 상기 연결기구(3)를 구성하는 돌기체(3b)가 돌출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연결구조는, 상기 돌기체(3b)에 환형 부시(3c)를 장착한 후 (도 6참조),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로부터 상기 엔드피스(2)의 환체(3a)내에 정합하는 것만으로, 간단히 회동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도 8참조).
더욱이, 템플(4)의 조임(회동정도, 체결)은, 환형 부시(3c)의 내경(內徑)과 돌기체(3b)의 압접(壓接)상태 및/또는 수평슬릿(3c2)과 템플(4)과의 압접상태의 여하로,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 10∼도 1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그리고,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로 나타내고, 구성의 상이한 곳만을 새로운 부호를 붙여 다음에 설명한다.
도면 중 (B)는, 본 발명에 관한 안경부품의 연결구조 (상세하게는, 무테안경의 안경렌즈와 템플과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것이고, 이 연결구조 (B)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경렌즈(1)의 소정 위치에 연결되는 엔드피스(2)와, 이 엔드피스(2)에 연결기구(3)를 통하여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는 템플(4)과를 구비하고 있다.
연결기구(3)는, 엔드피스(2)의 기단측(基端側)에 돌출설치된 환체(3a)와, 이 환체(3a)내에 회동가능하게 정합되도록 템플(4)의 선단에 돌출설치된 돌기체(3b)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환체(3a)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 등의 적절한 소재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수직방향으로 절결된 연결슬릿(3a1)과, 수평방향으로 절결된 회동슬릿(3a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슬릿(3a1)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환체(3a)의 정상단측으로부터 회동슬릿(3a2)에 연통할 수 있도록 절결되어 있고 (도 13참조), 위로부터 템플(4)이 착탈가능하게 끼워 넣어지는 것이다.
또, 상기 회동슬릿(3a2)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템플(4)이 (최소한 90도) 내측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환체(3a)의 외주면에 수평으로 절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돌기체(3b)는, 금속 또는 경질합성수지재 등의 적절한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환체(3a)내에 정합할 수 있도록 템플(4)의 연결부(4a)측에 돌출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이 돌기체(3b)는, 템플(4)을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것 외에, 조임 (회동정도, 체결)을 결정하는 것이고, 환형 부시(3c)의 내경과 동일 돌기체(3b)의 압접상태 및/또는 수평슬릿(3c2)과 템플(4)과의 압접상태에 의해,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안경부품의 연결구조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환체(3a)의 연결슬릿(3a1)과 템플(4)과를 맞추도록 위치결정하고 (도 12 (B)참조), 위로부터 동일 환체(3a)내에 돌기체(3b)를 결합하는 것만으로 간단히 템플(4)을 연결할 수 있는 것이고 (도 12 (C)참조), 회동슬릿(3a2)에 따라서 90도 변위하도록 회동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2 (D)참조).
그리고,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목적의 범위내에서 자유롭게 설계변경할 수 있는 것이고, 본 발명은 이들 모두를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는, 이른바 무테안경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셀프레임 등과 같은 프레임부착안경에도 적합한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안경부품의 장착구조는, 상기 연결기구가, 상기 엔드피스의 연결부에 설치된 환체와, 이 환체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도록 상기 템플에 설치된 돌기체와를 구비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환체와 돌기체와를 정합시키는 것만으로, 서로를 간단히 연결할 수 있으므로, 조립작업의 효율상승을 도모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가지는 동시에, 나사를 사용하지 않고 (환체와 돌기체와의 마찰저항에 의해)템플의 회동정도 (조임)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겸비하는 것이다.
또, 상기 환체와 돌기체와의 사이에, 합성수지 등의 가요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환형 부시를 개재하면, 템플의 안이한 회동이나 이탈을 저지할 수 있으므로, 안이하게 헐거워지는 일 없이, 보다 확실 또한 견고한 힌지연결이 가능하게 된다고 하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환체 및/또는 환형 부시에, 템플의 회동조작을 규제하는 슬릿을 형성하면, 엔드피스와 템플과의 연결부를 확실히 회동방지하는 외에, 환체내와 템플(상세하게는, 템플의 돌기체)와의 마찰저항뿐만 아니라, 이 슬릿과 템플과의 마찰저항도 협동되므로, 종래와 같이, 사용하는 동안에 나사가 헐거워지거나, 템플의 조임이 약해져 버린다고 하는 문제를 확실히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엔드피스의 연결부에 배설된 환체와, 이 환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템플의 선단에 돌출설치된 돌기체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안경부품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환체에, 최소한 한쪽이 상단 및/또는 하단에 해방되고 다른 쪽이 주위면에 따라서 수평으로 개구되는 갈고리형의 슬릿을 통하여 상기 템플의 돌기체를 회동가능하게 조립함으로써, 나사 등을 일체 사용하지 않고, 엔드피스와 템플과를 원터치로 조립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힌지와 같이 스폿용접이나 납땜이 불필요하게 되는 등, 보다 간단 또한 확실히 안경부품을 연결할 수 있는 동시에, 가령, 조립시에 안경부품이 절곡되더라도, 간단하게 다시 장착할 수 있는 연결구조를 제공할 수 있고, 또 구성이 간단하므로, 대량생산에 적합하고 가격도 저렴한 것으로 수요자에게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안경렌즈에 장착되는 엔드피스의 연결부에 연결기구를 통하여 템플을 회동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안경부품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연결기구는, 상기 엔드피스의 연결부에 설치된 환체(環體)와, 이 환체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도록 상기 템플에 설치된 돌기체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부품의 연결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체와 돌기체와의 사이에, 합성수지 등의 가요성(可 撓性) 재료로 이루어지는 환형 부시를 개재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부품의 연결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환체 및/또는 환형 부시에는, 템플의 회동조작을 규제하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부품의 연결구조.
  4. 엔드피스의 연결부에 설치된 환체와, 이 환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템플의 선단에 돌출설치된 돌기체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안경부품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환체에, 최소한 한쪽이 상단 및/또는 하단에 해방되고 다른 쪽이 주위면에 따라서 수평으로 개구되는 갈고리형의 슬릿을 통하여 상기 템플의 돌기체를 회동가능하게 조립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부품의 연결구조.
KR1019980024899A 1997-12-26 1998-06-29 안경부품의 연결구조 KR1999006244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359820 1997-12-26
JP35982097A JP3145349B2 (ja) 1997-12-26 1997-12-26 眼鏡部品の連結構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2442A true KR19990062442A (ko) 1999-07-26

Family

ID=18466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4899A KR19990062442A (ko) 1997-12-26 1998-06-29 안경부품의 연결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971539A (ko)
EP (1) EP0926530A1 (ko)
JP (1) JP3145349B2 (ko)
KR (1) KR19990062442A (ko)
TW (2) TW371055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68289A1 (ko) * 2009-12-02 2011-06-09 Jin Jung-Wook 안경테용 조립구조
KR20200129798A (ko) * 2019-05-10 2020-11-18 박문하 안경용 힌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61093A1 (de) * 1998-08-05 2000-02-24 Markus Temming Brille
JP3131417B2 (ja) * 1999-01-13 2001-01-31 株式会社シャルマン ブラケットに対するテンプルの回動機構及びその眼鏡
AT408582B (de) * 2000-02-14 2002-01-25 Simon Redtenbacher Seel Wwe & Scharniergelenk zwischen einem bügel und einem bügelbacken einer brille
AT409309B (de) * 2000-02-14 2002-07-25 Simon Redtenbacher Seel Wwe & Scharniergelenk zwischen einem bügel und einem bügelbacken einer brille
ITUD20020023U1 (it) * 2002-03-29 2003-09-29 Som Occhiali Srl Cerniera per occhiali
WO2003087918A1 (en) * 2002-04-17 2003-10-23 Safilo Societa' Azionaria Fabbrica Italiana Lavorazione Occhiali S.P.A. Hinge device, particularly for the connection of the sides to the front of frames for spectacles and the like
US7029115B2 (en) * 2004-03-19 2006-04-18 Michael Toulch Rimless eyeglasses
ITUD20060066A1 (it) * 2006-03-15 2007-09-16 Visottica Ind Spa Cerniera, particolarmente per una montatura per occhiali
HK1100625A2 (en) * 2006-08-01 2007-09-28 Sun Hing Optical Manufactory L Quick-release eyeglasses hinge
ITBL20060033A1 (it) * 2006-10-20 2008-04-21 Iride S R L Cerniera ad innesto, particolarmente per montature di occhiali
AT504140B1 (de) * 2007-04-03 2008-03-15 Redtenbacher Praez Steile Ges Federscharnier für eine brille
DE102008010331A1 (de) * 2008-02-21 2009-04-30 Rodenstock Gmbh Scharniergelenk für eine Brille und Brille mit demselben
FR2943432B1 (fr) * 2009-03-18 2011-08-26 Novembre Lunettes du type a articulations coulissantes
US8894200B2 (en) 2010-06-30 2014-11-25 Addo Industries, Llc Innovative and aesthetic alternative to traditional spectacle correction
ITBS20100163A1 (it) * 2010-10-11 2012-04-12 Steva Srl Sistema di collegamento tra la montatura e le aste di occhiali
FR2983592B1 (fr) * 2011-12-06 2015-01-16 Novembre Systeme d'articulation a rappel elastique, notamment pour branche de lunettes
ITBL20130015A1 (it) * 2013-09-30 2015-03-31 Cidi S R L "cerniera senza vite per astine intercambiabili di occhiali"
US10108026B2 (en) * 2014-05-21 2018-10-23 Luxottica S.R.L. Hinge device for eyeglasses
CH710138A2 (de) * 2014-09-22 2016-03-31 Sandra Kaufmann Brillengestell.
DE102014016637B4 (de) * 2014-11-11 2016-05-25 Rodenstock Gmbh Scharniergelenk, Brille mit dem Scharniergelenk und Verfahren zur Montage des Scharniergelenks
US10261338B2 (en) 2015-01-15 2019-04-16 Addo Industries, Llc Eyewear comprising suspension system for nose and ears
USD900921S1 (en) * 2019-05-14 2020-11-03 Wen-Tse HUANG Eyeglass magnet connection
USD900922S1 (en) * 2019-05-14 2020-11-03 Wen-Tse HUANG Eyeglass magnet connection
CN110333744A (zh) * 2019-06-27 2019-10-15 浙江猫头鹰网络科技有限公司 液位控制装置
AT524570B1 (de) * 2021-05-18 2022-07-15 Silhouette Int Schmied Ag Scharniergelenk für eine Brille
IT202100032129A1 (it) 2021-12-24 2023-06-24 Paolo Todoverto Snodo a cavita' sferica per astina elastica intercambiabile di occhiale e suo metodo di assemblaggi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8334A (ja) * 1993-12-06 1995-06-20 Chiharu Ishibe ヒンジ
EP0667552A1 (en) * 1994-02-15 1995-08-16 Mitsuo Kobayashi Eyeglasses frame
JPH07218876A (ja) * 1993-12-07 1995-08-18 Murai:Kk 眼鏡丁番
JPH08106068A (ja) * 1994-10-04 1996-04-23 Yoshida Seiko:Kk 眼鏡のスクリューレステンプル構造
JPH09325303A (ja) * 1996-06-04 1997-12-16 Tsuuring Megane Kk 眼鏡フレーム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04212A (en) * 1922-04-03 1924-08-12 Charles O Carlson Spectacle-hinge construction
JPS5511446Y2 (ko) * 1975-02-28 1980-03-12
JPS6070825A (ja) * 1983-09-27 1985-04-22 Nec Corp カウンタ回路
FR2658231A1 (en) * 1990-02-12 1991-08-16 Piard Gerard Joint hinge
DE4341830A1 (de) * 1993-12-08 1995-06-14 Wolfgang Proksch Brille
DE4421309C1 (de) * 1994-06-17 1995-06-29 Rodenstock Optik G Brillenscharnier
US5739892A (en) * 1997-01-22 1998-04-14 Kobayashi; Mitsuo Eyeglasses fr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8334A (ja) * 1993-12-06 1995-06-20 Chiharu Ishibe ヒンジ
JPH07218876A (ja) * 1993-12-07 1995-08-18 Murai:Kk 眼鏡丁番
EP0667552A1 (en) * 1994-02-15 1995-08-16 Mitsuo Kobayashi Eyeglasses frame
JPH08106068A (ja) * 1994-10-04 1996-04-23 Yoshida Seiko:Kk 眼鏡のスクリューレステンプル構造
JPH09325303A (ja) * 1996-06-04 1997-12-16 Tsuuring Megane Kk 眼鏡フレー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68289A1 (ko) * 2009-12-02 2011-06-09 Jin Jung-Wook 안경테용 조립구조
KR101150917B1 (ko) * 2009-12-02 2012-05-29 진정욱 안경테용 조립구조
KR20200129798A (ko) * 2019-05-10 2020-11-18 박문하 안경용 힌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194306A (ja) 1999-07-21
TW371055U (en) 1999-09-21
US5971539A (en) 1999-10-26
EP0926530A1 (en) 1999-06-30
JP3145349B2 (ja) 2001-03-12
TW377838U (en) 1999-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62442A (ko) 안경부품의 연결구조
KR19990029689A (ko) 안경부품의 연결구조
WO2003093894A1 (en) A spectacle frame
KR100512893B1 (ko) 간단한 연결구조 및 무나사힌지를 갖는 안경
US5896186A (en) Eyeglass assembly having pivotable receiving means
JP2784996B2 (ja) 眼鏡のレンズ保持機構一体式スクリューレス蝶番
JP2008209951A (ja) 縁無し眼鏡
WO2010061429A1 (ja) メガネフレームのツル継手構造
KR102099533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JP2001264704A (ja) 眼鏡テンプルの連結機構
JP2002131701A (ja) 眼鏡のヒンジ構造
US6170951B1 (en) Spectacle frame with a cradle for receiving and engaging against non-notched portions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s of a pair of lenses
JP2002122819A (ja) 眼鏡部品の連結構造
KR200367300Y1 (ko) 안경테, 힌지 및 안경
JP3010557U (ja) ツーポイント眼鏡のレンズ止着機構
JP2002357794A (ja) メガネフレームの蝶番
JP2007240680A (ja) メガネフレームのツル継手構造
JP3009223U (ja) リムレス眼鏡におけるレンズ止着機構
JPH0720656Y2 (ja) 眼鏡のつる接続装置
JP2952482B1 (ja) フロント傾動可能な眼鏡フレーム
JP2002174798A (ja) メガネフレームのツル折畳み蝶番
KR20210141231A (ko) 선글라스 착탈 안경
JP3583768B2 (ja) ねじ無し丁番を備えた眼鏡
JP3682036B2 (ja) ねじ無し丁番およびそれを備えた眼鏡
JPH0843771A (ja) リムレス眼鏡におけるフレーム要素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