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7300Y1 - 안경테, 힌지 및 안경 - Google Patents

안경테, 힌지 및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7300Y1
KR200367300Y1 KR20-2004-0022475U KR20040022475U KR200367300Y1 KR 200367300 Y1 KR200367300 Y1 KR 200367300Y1 KR 20040022475 U KR20040022475 U KR 20040022475U KR 200367300 Y1 KR200367300 Y1 KR 2003673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spectacles
hinge
front fram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24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플레밍 크로만
Original Assignee
린드버그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드버그 에이/에스 filed Critical 린드버그 에이/에스
Priority to KR20-2004-00224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73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73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73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10Frame or frame portions made from wir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20Friction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안경은 전방 프레임(4), 한쌍의 안경다리(7) 및 각각의 안경다리에 피봇적인 연결을 제공하기 위한 힌지(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힌지는 안경다리에 일체로 형성된 탄성력있는 와이어로 이루어진 코일 감김부(8)와 전방 프레임 또는 안경다리 중의 다른 하나와 일체로 형성된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홈를 가진 바디(16)을 포함한다. 바디는 마찰 소재를 포함하고, 코일은 피봇회전을 위한 조절된 마찰 저항과 피봇적인 연결을 제공하기 위한 바디를 가진 체결구와 협동하고 미리 형성되도록 하기 위하여 적용된다. 본 고안은 또한 힌지 및 안경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안경테, 힌지 및 안경 {AN EYEGLASS FRAME, A HINGE AND AN EYEGLASS}
본 고안은 안경테, 안경테에 안경 다리를 연결하기 위한 힌지 및 안경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고안은 마찰 부재가 설치된 힌지를 포함하는 안경테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사용된 것처럼 안경은, 상기 안경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시력을 교정하거나 시야를 어둡게 하고, 사용자가 눈에 착용하는 유리 또는 다른 굴절 렌즈 또는 엷게 채색되고 투명한 소재로 된 두 렌즈 그리고 사용하기에 적합한 위치에서 편리하게 고정된 유리 또는 렌즈를 유지하기 위한 안경테의 형태를 포함하는 악세사리로 잘 알려져 있는데, 사용자는 각각의 렌즈를 통하여 평행한 시선을 따라 양 눈을 통하여 앞을 볼 수 있다.
렌즈를 지지하기 위하여 전방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전방 프레임을 지지하기 위해 한 쌍의 안경다리를 구비한 안경테가 잘 알려져 있으며, 이 때 상기 안경다리는 안경이 사용되지 않을 때 안경을 접을 수 있도록 힌지에 의해 전방 프레임에 연결된다.
비록 다양한 안경테가 사용될 수 있으나, 새로운 심미적인 형상을 제공하거나 또는 가격에서의 이득 또는 특정한 형상을 제공함으로써 시장의 점유율을 높이기 위한 향상이 지금까지 이루어져 왔다.
Lindberg등의 미국 특허 제 Re 36 882호는 힌지의 외측부를 제공하기 위해 그 단부에 코일이 감기도록 형성된 와이어를 포함하는 안경 다리를 가진 안경테를 개시하고 있다. 힌지 축은 전방 프레임에 일체로 형성된 와이어의 직선부를 포함한다. 피봇 와이어의 단부는 코일의 축선 운동을 이중으로 제한하도록 측면에 각이져 있다. 이러한 힌지의 모양은 성공적인 것으로 판명되나, 이는 미적이고 기능적인 면에서 한계가 있다. 상기 힌지에 있어서 축 와이어의 측면 굴곡부는 코일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데, 이는 바람직하지 않다. 두개의 힌지부는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힌지가 작동하는 동안 금속끼리의 마찰이 발생하고, 이에 따른 마멸이 일어난다. 이 경우 상기 힌지가 마찰이 미리 정해진 수준을 가지도록 만드는 것은 실제적으로 불가능하다.
코일 피치에 따라, 힌지의 회전은 어떤 축선 위치에 연결되어 있고, 따라서 축 와이어의 측면 단부와 코일의 근접부 사이에서는 마찰이 일어난다. 이러한 마찰은 마멸을 발생시킨다. 그러나, 피봇이 역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측면 축 와이어부의 반대편 하나에 대하여 다소간의 마찰이 회복함으로 인한 측면 축 와이어부 사이에서의 운동에 기인하여 이러한 마찰이 사라지게 된다. 안경다리 회전시의 잦은 마찰은 느슨해지기 쉬운 부분에서 좋은 착용감을 별로 이끌지 못한 채 금방 사라진다.
WO 97/23803호는 와이어의 두개의 동심 코일을 포함하는 힌지 수단을 가진 안경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안경에 있어서 프레임과 기본적으로 일체로 형성된 넓은 코일은 안경다리와 일체로 형성된 좁은 코일의 내측에 체결된 암나사산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해결책은 와이어와 마찰하는 와이어에 따른 것이지만, 힌지에서의 마찰 정도를 미리 정하고 유지하도록 하지는 않는다.
WO 00/29896호는 각각의 안경 다리와 전방 프레임에 대하여 코일을 포함하는 힌지를 개시하고 있는데, 이 코일들이 내부 체결 감김부를 가진 공통 핀과 체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코일들은 일반적으로 유사한 지름과 피치를 가진다.이러한 해결책은 피봇 회전시 금속이 금속에 대하여 마찰하고 마찰이 전시간에 걸쳐 변하는 결과를 낳는다.
WO 98/40778호는 전방 프레임과 각각의 안경 다리에 대하여 코일을 가지고 있는 안경에 적용되는 힌지를 개시하고 있다. 코일들은 서로 유사하고 공통 핀에 대하여 체결되고, 한 코일은 다른 코일의 위에 위치한다. 핀은 축선 방향으로 제한되도록 확장된 헤드를 포함한다. 이러한 코일에서는 마찰이 전시간에 걸쳐 변할 수 있는 결과와 동일한 결과를 가지고 금속은 금속에 대하여 마찰한다. 안경다리가 회전할 때, 축선 방향 이동이 생기고, 코일의 피치에 따라 부재들의 사이에서 분리가 발생한다. 이는 핀의 헤드가 축선 운동을 허용하여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착용감을 좋게 만들지 못한다. 나아가, 핀의 헤드는 그 나선 운동에 의해 코일이 헤드를 지나는 그 경로에서 작용할 수 있다는 위험을 가지고, 코일들 중의 하나의 최대의 회전을 꼭대기에서 견디게 된다.
WO 99/21046호는 마찰 소재인 피봇 부착물을 둘러싼 금속 스트립을 포함하는 안경을 위한 힌지를 개시하고 있다. 탄성 금속 스트립은 힌지에서의 어떤 움직임을 제거하고 마찰의 정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마찰 부재에 반지름 방향으로 편향힘을 제공한다. 단지 축선 제한에 대하여, 금속에 대하여 마찰하는 금속의 위험이 존재한다. 그러나, 축선 위치를 만드는 다른 요소 또는 코일의 부재에 기인하여 축선 힘은 사실상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힌지는 와이어 요소에 일체로 형성되지 않는다.
제 1 측면으로서 본 고안은 청구항 1에 인용된 것과 같은 안경테를 제공한다.
청구항 1에 따른 안경테는 마찰을 제공하는 편향힘에 의해 힌지 수단의 마모가 국부적이지 않고 모든 위치에서 마찰력을 유지하도록 안경다리가 피봇회전되도록 한다. 피봇에서의 편향힘은 힌지 수단에서 움직임을 제거한다. 힌지는 모든 위치에서의 안경 다리가 정확하게 움직이도록 하고 이에 따라 착용감이 좋은 제품을 만든다. 힌지는 돌출된 부분으로 축선방향 운동을 제한하지 않으므로 그 선택에 따른 모양을 만드는 모든 옵션을 디자이너에게 제공한다. 힌지는 매우 작은 크기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따라서 눈에 거슬리지 않는다.
힌지 바디는 마찰 물질로 이루어지고, 탄성 와이어와 잘 협동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힌지 바디는 강성 중심부에 맞는 공동부재로 이루어진다. 이는 구조적인 특성에 있어 비교적 부드러운 외면이 튼튼한 중심을 갖는 코일에 적용되고 조화되도록 한다.
중심부는 프레임 일단으로부터 연장된 금속 스트립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코일은 안경 다리의 와이어의 일단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감김부를 포함한다. 이는 힌지 부재가 안경 프레임과 안경다리와 쉽게 일체로 되도록 하고 조절이 쉽도록, 즉, 적합한 힌지 정렬이 적합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코일 와이어의 일단면은 피봇회전을 제한하기 위하여, 접합부와 협동한다. 이는 일단 위치를 정확하게 규정하고 접합부로의 충격을 완화하고 편안하게 작동되도록 코일에는 조절된 탄성력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접합부는 안경다리의 외측방향 운동을 제한한다. 반대 방향으로, 즉, 안경테의 후면으로 안경다리를 접는 경우에는 접합부가 더이상 필요하지 않게 된다.
나사산을 가진 홈은 코일에 의해 확실하게 유지하도록 그리고 힌지 바디에 영향을 주는 힘이 동일하게 분포되도록 1회 이상 완전한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번째 측면으로서 본 고안은 청구항 제 4항에 인용된 바와 같은 힌지를 제공한다. 이러한 힌지는 제조에 있어서 단순하고 안경 프레임의 다양한 형태에 쉽게 조합되고, 특히 와이어 안경 다리를 가진 안경 프레임에 쉽게 조합된다. 이러한 힌지는 또한 상기에서 열거된 이점들을 가지고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청구항 제 4항의 종속항에 나타난다.
세번째 측면으로서 본 고안은 청구항 제 7항에 인용된 안경을 제공한다. 이는 착용감이 좋고 작동이 잘되는 높은 질의 힌지를 가진 안경을 제공한다. 그리고 이는 오랜동안 작동하더라도 완전히 안정하다. 이 안경은 상기에서 열거한 이점들을 달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청구항 제 7항의 종속항에 의해 달성된다.
도 1은 정면으로부터 본 안경의 부분 등각도(isometric view)이고,
도 2는 후면으로부터 본 안경의 부분 등각도이고,
도 3은 도 1의 상세한 확대도이고,
도 4는 조립된 상태의 힌지의 기본 요소 등각도이고,
도 5는 도 4로부터 요소의 분해도이고,
도 6은 도 4에서 보여진 힌지의 축선부이고,
도 7은 도 6의 상세한 확대도이고,
도 8은 도4에서 보여지는 힌지의 다른 축선부이고,
도 9는 도 6과 유사하나 힌지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0은 도 8의 상세한 확대도이고,
도 11은 구역에서 뿐만 아니라 모든 부분으로부터의 도면의 세트로서 힌지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의 더 많은 형상과 이점들은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서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모든 도면은 개략적이고, 축적은 일치할 필요가 없으며, 단지 본 고안의 실행을 위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용이 실시를가능하게 하기에 필수적인 정도로만 도시되어 있다. 다른 상세한 도면들은 간결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되었다.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유사한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였다.
도 1은 안경(1)의 일부를 나타낸다. 상기 일부는 하나의 안경알(2), 하나의 힌지(5) 및 안경다리(7) 뿐만 아니라 안경 전방 프레임(4) 부분을 보여준다. 완전한 안경(1)은 일반적으로 프레임(3) 및 안경알(2), 전방 프레임(4)에 의해 구성되는 프레임, 안경다리(7) 및 힌지(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안경을 실시하기 위해 도시되고 설명된 세부 구성으로 완성하는 것은 전적으로 당업자의 능력 범위 내에 있는 것이므로 완성된 안경은 도시하지 않았다.
도 1, 2 및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힌지(5)는 기본적으로 안경 다리 코일(8), 피봇 중심(13) 및 원통부(16)를 포함한다.
도면에서 보여지는 실시예에서, 안경다리(7)는 한쌍의 와이어로 이루어진다. 상기 와이어의 단부는 코일(8)에 감긴다. 당업자에 의해서 잘 이해되는 바와 같이, 상기 코일은 도면들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할 준비가 된 개방 위치로부터 안경 프레임(3)의 후면에 대하여 가깝게 안경다리가 위치하는 접힌 위치로 안경다리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원통부(16)와 상호작용한다.
안경다리(7)가 바깥쪽으로 회전할 때, 상기 회전 이동이 확실하게 멈추도록 하기 위해 제공된 접합부(15)에 코일 단면(9)이 닿는다.
원통부(16)는 힌지 베이스(10)로 언급된 구조 부재와 일체로 형성된 피봇 중심(13)과 맞물려 있다. 상기 힌지 베이스(10)는 접착, 캐스팅 또는 프레스 접합과같이 당업자에 의해서 알려진 수단에 의해 전방 프레임(4)의 연장부(6)에 연결된 연장 부분이다.
도 4 및 5는 힌지에 관하여 더 상세한 설명을 하기 위한 도면이며, 특히 힌지 베이스(10)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4 및 5에서 확실히 나타난 것과 같이, 힌지 베이스(10)는 도 4 및 5에 도시된 모양으로 잘리고 굽어진 한쌍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힌지 베이스(10)는 전방 프레임 연장부와 일체로 형성되도록 적용되는 돌기부(11)을 포함한다.(도 3에서 또한 언급한다) 힌지 베이스(10)는 피봇 중심부(13)가 형성되도록 굽어진 연장부를 구비한 아암(12)을 더 포함한다.
각 부재들을 조립하는 경우, 원통부(16)는 피봇 중심(13)에 끼워지고, 안경다리 코일(8)은 원통부(16)에 끼워진다. 또는 대안으로서, 안경다리 코일이 원통부에 끼워지고, 그 조립체가 피봇 중심에 끼워진다. 전방 프레임 연장부에 돌기부(11)를 끼우는 것은 편의에 따라 힌지의 조립에 이어서 또는 힌지의 조립의 전에 수행될 수 있다. 도 11에서 나타난 참조는 원통부(16)의 설명을 위한 것이다. 도 11은 선 A-A, B-B로 절단된 그리고 동일한 크기의 도면으로서 위, 아래, 정면, 측면으로부터 보여지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원통부를 보여준다. 보여지는 바와 같이 원통부는 기본적으로 나선 홈(19) 및 융기부(20)를 포함하는 외측 나사산을 구비하고 축선 개구부(17)를 구비한 부재로 이루어진다. 나선홈(19)은 안경다리 코일의 감김부에 맞도록 굽어진 모양으로 형성된다. 나사산은 기본적으로 약 2와 1/2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나사산은 힌지의 축선인 축선(25)을 규정한다.
축선 개구부(17)는 직사각형 모양의 부분을 가지고 있다. 상부에 근접한 위치에서 후미가 넓어져서 선반부(21)를 형성한다. 원통부의 하부에서는 일면으로 굽은 후미(18)가 위치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축선 개구부(17)는 외측으로 균일한 횡단부를 가지고 있는데, 즉 선반부(21)가 존재하지 않는다.
도 6 및 7은 힌지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도 6 및 7은 안경다리 코일(8)을 지지하고 피봇 중심(13)에 끼워진 원통부(16)를 보여준다.
도 6 및 7에 보여지는 실시예에서, 피봇 중심(13)은 돌기부(14)를 포함한다.피봇 중심에 원통부을 끼울 때, 상기 돌기부는 원통부의 개구에서 톱니모양을 형성하고 이에 따라 원통부가 유지되도록 한다.
조립하기 전에 원통부에 대하여 코일을 끼우는 동안 안경다리 코일이 탄성적으로 확장되도록, 원통부의 외측 지름보다 다소 작은 지름으로 안경다리 코일을 감는다. 따라서 안경다리 코일은 피봇 중심 및 돌기부에 대하여 원통부를 확실하게 지지하도록 제공된다.
안경다리 코일의 탄성적인 팽창력은 힌지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하고 모든 방향에서 안경다리 위치가 정확히 조절되도록 하며, 그리고 피봇을 회전할 때 마찰 저항의 안정한 정도를 가지도록 확실히 조이도록 한다.
도 6, 7 및 8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피봇 중심(13)은 원통부(16)의 위로 돌출하지 않는다. 힌지의 하부에서 피봇 중심(13)에 아암(12)를 연결하는 밴드는 아암(12)의 하위면이 원통부(16)의 하위면에 동일 높이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해 후미(18)에서 완전하게 보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피봇 부재는 안경다리 코일에 의해 사실상 완전하게 가리워진다.
안경다리(7)를 열 때, 안경다리 코일 단부면(9)은 기본적으로 아암(12)으로 향한 면인 접합부(15)에 닿게 된다.(도 3 참조)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맞접하는 접합면은 양쪽다 평평하고, 힌지의 축선을 따라 방향지워지는 것이 좋다. 이것은 안경다리 코일 단부면이 접합부로부터 안경다리 코일 단면을 배치하도록 하는 돌출부가 없이 접합부에 대하여 강하게 지지하고 따라서 부재의 변형이 없다는 이로운 점을 제공한다.
안경다리 와이어는 둥근 십자부을 가진 티타늄 와이어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1.1 mm의 지름을 가진 티타늄 와이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힌지 베이스(10)는 도시된 모양으로 굽어진 그리고 타출된 한 벌의 티타늄을 포함한다.
원통부는 탄소 섬유 또는 유리 섬유 강화제를 가진 폴리 아세틸과 같은 강성 폴리머를 포함한다. 폴리테트라플루오르 에틸렌의 혼합은 더 좋은 미끄럼 특성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미국 미네소타 위노나에 소재한 RTP 컴퍼니로부터 생산된 RTP 881 TFE 10 DEL 아세탈 호모폴리머 탄소 섬유 PTFE Lubricated 로 이름지어진 폴리머가 잘 맞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른 형태의 적합한 소재는 독일의 바이엘 코오퍼레이션으로부터 생산된 RMKU 2-2511 이나 독일 BASF의 폴리미어 A3WC4이다.
도 9 및 10에 나타난 참조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원통부의 도시를 위한 것이다.
제 2 실시예에서 축선 개구부(17)의 내부의 원통부(22)는 피봇 중심에 원통부의 유지를 제공하기 위하여 피봇 중심(13)에 돌출부(24)와 협동하도록 적용된 내부 비드(bead)(23)를 포함한다. 다른 자세한 사항은 제 1 실시예와 유사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뛰어난 착용감을 가지는 안경의 힌지가 제공된다. 즉, 어떤 움직임도 없는, 피봇 회전시에 미리 정해진 마찰 저항을 가진, 경과 시간동안 마찰 저항이 완전하게 변하지 않는다. 즉, 사용자가 쓰고 벗을 때 영향을 받지 않는다. 그러한 힌지 수단은 와이어를 포함하는 안경테와 연관되어 있다. 또한 함께 보기 좋도록 접혀진 안경다리를 가질 수 있도록, 안경테의 힌지 축선 위치의 쉬운 조절을 허용하는 작고 단순한 힌지 수단이 제공된다.
비록 특정 실시예가 본 고안의 실시예로서 상기에서 설명되었으나, 상기 실시예들이 출원된 청구항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에서 여러가지로 변형가능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Claims (9)

  1. 전방 프레임(4), 한 쌍의 안경다리(7) 및 상기 전방 프레임에 각각의 안경다리를 피봇 연결하기 위하여 각각의 안경다리에 제공되는 힌지 수단(5)을 포함하는 안경테로서, 상기 각각의 힌지 수단은 전방 프레임 또는 안경다리 중 하나에 일체로 형성되는 탄성적인 와이어에 감긴 코일(8) 및, 전방 프레임 또는 안경다리 중 다른 하나에 일체로 형성된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홈(19)을 포함하는 바디(16)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바디는 프레임 일단으로부터 연장된 금속의 스트립으로 이루어진 강성 중심부(13)에 끼워지는 공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은 상기 안경다리(7)의 와이어의 일단에 감김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16)는 마찰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코일(8)은 피봇 회전에 대하여 조절된 마찰 저항을 갖는 피봇연결을 제공하도록 상기 바디에 체결되고 협동하여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와이어의 단부면(9)은 피봇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접합부(15)와 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홈은 1회이상 완전히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
  4. 안경다리(7)를 안경 프레임(4)에 연결하기 위한 힌지(5)로서, 전방 프레임또는 안경다리 중의 하나에 일체로 형성된 탄성적인 와이어에 감긴 코일(8) 및 상기 전방 프레임 또는 안경다리 중의 다른 하나에 일체로 형성된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홈(19)을 가진 바디(16)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바디는 프레임 일단으로부터 연장된 금속의 스트립으로 이루어진 강성 중심부(13)에 끼워지는 공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은 상기 안경다리(7)의 와이어의 일단에 감김부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바디는 마찰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코일은 피봇의 회전에 대하여 조절된 마찰 저항과 피봇 연결을 제공하도록 상기 바디에 체결되고 협동하여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다리를 안경 프레임에 연결하기 위한 힌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와이어의 단부면은 피봇 회전을 제한하도록 접합부와 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다리를 안경 프레임에 연결하기 위한 힌지.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산을 가진 나사홈은 1회 이상 완전히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다리를 안경 프레임에 연결하기 위한 힌지.
  7. 전방 프레임(4), 상기 전방 프레임에 의해 설치된 한쌍의 안경알, 한쌍의 안경다리(7) 및 상기 전방 프레이에 각각의 안경다리의 피봇 연결을 제공하기 위한 각각의 안경다리를 위한 힌지 수단(5)을 포함하는 안경으로서, 상기 각각의 힌지 수단은 전방 프레임 또는 안경다리 중 하나에 일체로 형성된 탄성적인 와이어에 감긴 코일(8) 및 상기 전방 프레임 또는 안경다리 중 다른 하나에 일체로 형성된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홈(19)을 가진 바디(16)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바디는 프레임 일단으로부터 연장된 금속의 스트립으로 이루어진 강성 중심부(13)에 끼워지는 공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은 상기 안경다리(7)의 와이어의 일단에 감김부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바디는 마찰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코일은 피봇회전에 대하여 조절된 마찰 저항을 가진 피봇연결을 제공하도록 상기 바디(16)에 체결되고 협동하여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와이어의 단부면은 피봇 회전을 제한하도록 접합부와 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홈은 1회 이상 완전히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KR20-2004-0022475U 2004-08-06 2004-08-06 안경테, 힌지 및 안경 KR2003673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2475U KR200367300Y1 (ko) 2004-08-06 2004-08-06 안경테, 힌지 및 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2475U KR200367300Y1 (ko) 2004-08-06 2004-08-06 안경테, 힌지 및 안경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4040A Division KR20040030600A (ko) 2001-04-27 2001-04-27 안경테, 힌지, 안경 및 힌지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7300Y1 true KR200367300Y1 (ko) 2004-11-09

Family

ID=49351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2475U KR200367300Y1 (ko) 2004-08-06 2004-08-06 안경테, 힌지 및 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730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9081A (ko) 2017-02-28 2018-09-05 박찬영 금속제 안경테 전용 렌즈 지지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9081A (ko) 2017-02-28 2018-09-05 박찬영 금속제 안경테 전용 렌즈 지지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19085B2 (ja) 眼鏡ヒンジ
US8875346B2 (en) Hinge assembly for eyewear
US6353965B1 (en) Guiding sheath assembly for a hinge of an eyeglass frame
KR19990062442A (ko) 안경부품의 연결구조
KR101154691B1 (ko) 안경테용 안경다리 결합 구조
US6113235A (en) Eyeglasses frame having elastically deformable rim-to-temple joints
US7222960B2 (en) Spectacle frame
KR20040030600A (ko) 안경테, 힌지, 안경 및 힌지의 제조 방법
US4605293A (en) Spectacle frame with resilient hinges
US20050086768A1 (en) Spring hinge for glasses
US5589895A (en) Hinge structure of a spectacle frame
KR102054599B1 (ko) 안경테와 안경 다리의 연결구조체
KR100512893B1 (ko) 간단한 연결구조 및 무나사힌지를 갖는 안경
KR200367300Y1 (ko) 안경테, 힌지 및 안경
JP4213462B2 (ja) ワイヤテンプルを具備した眼鏡
KR20200107606A (ko) 금속 와이어로 이루어진 안경 다리를 갖는 안경테
KR102204946B1 (ko) 안경용 힌지
KR102099533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WO2010061429A1 (ja) メガネフレームのツル継手構造
KR20050010502A (ko) 안경 프레임의 귀걸이
KR20170069504A (ko) 안경다리 연결구조체
KR20190083048A (ko) 안경테와 안경 다리의 결합구조체
EP1835327A1 (en) Hinge, particularly for a frame for spectacles
JP2008298909A (ja) メガネフレームのツル継手構造
KR102604543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탄성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7

Year of fee payment: 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