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2893B1 - 간단한 연결구조 및 무나사힌지를 갖는 안경 - Google Patents

간단한 연결구조 및 무나사힌지를 갖는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2893B1
KR100512893B1 KR10-2003-0029838A KR20030029838A KR100512893B1 KR 100512893 B1 KR100512893 B1 KR 100512893B1 KR 20030029838 A KR20030029838 A KR 20030029838A KR 100512893 B1 KR100512893 B1 KR 100512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glasses
mounting groove
lens
cylindrica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9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7245A (ko
Inventor
히라모토기요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21
마스나가 메가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207504A external-priority patent/JP368203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207503A external-priority patent/JP3682035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21, 마스나가 메가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21
Publication of KR20040007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7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2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28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09Pivot bearings and hinge bolts other than screw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00Assemblies of lenses with bridges or browbars
    • G02C1/02Bridge or browbar secured to lenses without the use of rim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2Bridges; Browbars; Intermediate ba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과도한 외력이 안경에 가해진 때에도, 부품들의 변형이나 렌즈들의 손상을 방지하는 연결구조, 수직방향으로 안경다리의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고 안정적으로 열리고 닫힐 수 있는 무나사힌지를 갖는 안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연결구조는 안경 렌즈에 고정되고 그 외주부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탑재홈을 갖는 제1부재; 및 안경다리 또는 브리지에 연결되고 한 방향으로 탑재홈에 삽입되어 탑재홈과 탄성적으로 끼워 맞춰지는 대략 U자형 굴곡부를 갖는 제2부재를 포함한다. 힌지는 끝단부재에 마련되는 원통형 부재; 및 안경다리의 끝부분에 형성되는 J자형 굴곡부를 포함하고, 여기서 굴곡부는 원통형 부재의 중앙홀에 삽입되는 제1다리부 및, 원통형 부재의 외주부와 접촉하는 제2다리부를 포함하고, 제1다리부가 중앙홀에 삽입될 때 제1다리부 및 제2다리부가 원통형 부재를 탄성적으로 클램프한다.

Description

간단한 연결구조 및 무나사힌지를 갖는 안경{Eyeglass with simple connection structure and screwless hinge}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안경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렌즈의 외측 테두리를 유지하는 테를 갖지 않는 무테안경용 연결구조 및 무나사힌지(screwless hinge)를 구비한 안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테안경으로서, 미국특허 제5,835,183호 및 일본등록실용신안 제3007846호에 개시된 것이 예로서 알려져 있다.
미국특허 제5,835,183호에 개시된 무테안경은 힌지들을 통하여 안경다리들에 연결된 끝단부재들 및 브리지를 갖는다. 끝단부재들 및 브리지의 각 끝부분들에 형성된 U자형의 탄성클램프부재인 제1스트립부는 렌즈에 마련된 개구들로 삽입되고, 렌즈에 마련된 구멍과 렌즈의 테두리 사이에 U자형 탄성클램프부재에 의해 렌즈를 클램프하기 위하여 렌즈의 테두리에 마련된 홈에 제2스트립부가 맞물려, 렌즈와 끝단부재 및 브리지 각각이 서로 연결된다.
한편, 일본등록실용신안 제3007846호에 개시된 안경은, 렌즈의 내측테두리들과 접촉할 수 있는 평행선형태의 테두리접촉부 및 렌즈의 내측테두리의 주변에 형성된 개구들을 고정하는 브리지를 통하여 연장할 수 있는 내측관통부들을 갖는 금속브리지와, 렌즈의 외측테두리와 접촉할 수 있는 평행선형태의 테두리접촉부 및 렌즈의 외측테두리의 주변에 형성된 개구를 고정하는 끝단부재를 통하여 연장될 수 있는 외측관통부를 각각 구비한 금속끝단부재들을 통하여 한 쌍의 좌측 및 우측렌즈를 연결하여 유지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리고, 종래의 안경용 무나사힌지가 일본특개평 제2001-075056호에 개시되어 있다.
일본특개평 제2001-075056호에 개시되 무나사힌지에서, 일단이 렌즈 또는 테에 맞물리는 선형재료의 연결부재가 그 타단에 U자형곡선부를 갖도록 형성된다. 안경다리의 일단에, 테두리연장홈이 형성된 끼움부재가 마련된다. 끼움부재는 U자형곡선부 사이에 연결부재와 회전가능하게 끼워 맞춰져 연결부재의 U자형곡선부는 적어도 2위치들에서 끼움부재의 테두리홈에 접촉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무테안경에서, 브리지, 끝단부재들 등과 같은 안경부품들과 렌즈의 연결은, 안경부품의 끝부분에 형성된 제1스트립부 또는 내측 및 외측관통부들이 렌즈에 형성된 개구에 삽입되고 제2스트립부 또는 끝단접촉부를 렌즈의 끝단에 접촉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큰 외부힘이 작용하여 안경의 다리들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키면, 예를 들어, 안경부품들이 변형되어 최악의 경우 스트레스가 렌즈의 개구부에 집중되어 렌즈를 깨지게 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안경부들은 무게가 가볍고 모양이 작으며 필요강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특정 금속으로 생산된다. 따라서, 렌즈와 결합된 금속의 직접 접촉을 피하고 불필요한 외부힘의 가해짐을 피하기 위하여, 특정 치수가 채택되고, 이들을 조정하는 까다로운 조정작업이 필요하다.
게다가, 종래의 무나사힌지에서, 주위방향으로 연장된 홈을 갖는 끼움부재가 적어도 2부분들에서 접촉하는 U자형곡선부와 클램프되어 다리들이 축회전하게 한다. 그러므로, 구조적으로 충분한 클램프 힘을 제공할 수 없어 안경다리가 수직방향으로 비틀림이 발생하여 착용감을 나쁘게 한다.
한편, 끼움부재와 맞는 곡률을 갖는 U자형곡선부에 오목홈이 마련되어 끼움부재의 축회전을 안내한다. 그러나, 끼움부재의 축중심은 균일하게 될 수 없어서 다리를 열고 닫을 때 변형되기 쉽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과도한 외력이 안경에 가해진 때에 부품들의 변형이나 렌즈들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조정작업이 필요 없는 또는 조정작동이 필요하더라도 간단하게 조정되는 안경의 연결구조를 갖는 안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직방향으로 안경다리의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고 안정적으로 열리고 닫힐 수 있는 무나사힌지들을 갖는 안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안경 렌즈에 고정되는 제1부재; 및
안경다리 또는 브리지에 연결되는 제2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부재는 적어도 그 외주부의 일부에 형성된 탑재홈을 갖고,
상기 제2부재는 한 방향으로 탑재홈에 삽입되어 탑재홈과 탄성적으로 끼워 맞춰지는 대략 U자형 굴곡부를 갖는 안경의 연결구조가 제공된다.
상기 구조에서, 안경다리를 열거나 다른 경우에 과도한 외력이 가해질 때, 제1부재의 외주부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탑재홈에 대략 U자형 굴곡부를 탄정적으로 끼워 맞추는 제2부재가 제1부재로부터 해체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부재들의 변형 및 렌즈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여기서, 외주부는 타원형이고, 탑재홈은 외주부의 적어도 하나의 호형부를 포함하는 부분에 형성된다. 따라서, 충분한 첩촉면적이 제1부재와 제2부재 사이에 마련될 수 있어 제1부재와 제2부재 사이의 연결을 확실히 할 수 있다.
한편, 외주부는 직사각형이고, 탑재홈은 적어도 외주부의 홀부 및 모서리부를 포함하는 부분에 형성된다. 따라서, 충분한 첩촉면적이 제1부재와 제2부재 사이에 마련될 수 있어 제1부재와 제2부재 사이의 연결을 확실히 할 수 있다. 또한, 우수한 디자인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제1부재는 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안경에 필요한 설계자유도가 증가될 수 있고 렌즈와 다른 색으로 쉽게 도색될 수 있어 안경을 보다 멋지게 만들 수 있다.
한편, 제1부재는 접합 또는 부착에 의해 안경 렌즈에 고정된다. 따라서, 렌즈에 개구들을 형성하거나 작동을 조절하는 작업이 불필요하여 안경의 제조를 용이하게 한다.
또한, 제1부재는 그 다리부가 안경 렌즈에 형성된 렌즈개구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수지는 투명할 수도 있다. 이러한 선택에 의해, 시야가 제한되지 않고 밝아질 수 있다. 한편, 외형상 렌즈부의 이물감이 감소될 수 있어 안경에 산뜻한 디자인 제공된다.
상기 제1부재의 탑재홈은 앞쪽에서 볼 때 수직방향으로 배열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앞쪽에서 볼 때 산뜻한 외형이 제공되어 안경을 보다 멋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부재의 탑재홈은 타원형 외주부의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고, 대략 U자형 굴곡부의 일단부가 다른 호형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1부재에 대한 제2부재의 탑재가 확실하게 될 수 있어 제1부재와 제2부재 사이의 연결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제2부재는 일체의 와이어 부재로 형성된 브리지 또는 힌지를 통하여 안경다리에 연결되는 끝단부재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렌즈에 탑재되는 끝단부재;
안경다리부재;
끝단부재와 안경다리부재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대략 원통형의 부재; 및
상기 끝단부재와 안경다리부재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는 J자형 굴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J자형 굴곡부는 원통형 부재의 중앙홀에 삽입되는 제1다리부 및, 원통형 부재의 외주부와 접촉하는 제2다리부를 포함하고, 제1다리부가 중앙홀에 삽입될 때 제1다리부 및 제2다리부가 원통형 부재를 탄성적으로 클램프하는 무나사힌지가 제공된다.
상기의 구성으로, 안경다리부재의 회전중심이 원통형 부재의 중앙홀에 삽입된 제1다리부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원통형 부재가 제1 및 제2다리부에 의해 탄성적으로 클램프되기 때문에, 안경다리는 수직방향으로 비뚤어지지 않고 무나사힌지의 열림 및 닫힘이 안정적으로 된다.
여기서, 원통형 부재는, 그 상부에 형성된 플랜지부, 플랜지 바로 아래에 위치하고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는 부분적으로 호형의 오목홈, 및 오목홈과 완만하게 연결되는 선형경사면으로 이루어진 홈을 포함하는 대략 원통모양으로 형성되고, J자형 굴곡부의 제2다리부는 홈에 맞도록 구부려진다. 이러한 구성으로, 제1다리부는 원통형 부재의 중앙홀에 삽입될 때, 오목홈을 따라 구부려진 제2다리부는 소정의 위치에 고유하게 위치되어 벌어짐없이 연결을 이룰 수 있다. 안경다리는 수직방향으로 비뚤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열리고 닫히는 무나사힌지가 얻어질 수 있다.
한편, 원통형 부재는, 끝단부재와 안경다리부재 중 하나의 다리부가 호형 오목홈과 접합하도록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끝단부재와 안경다리부재의 위치는 선형 정렬로 배열될 수 있다. 디자인의 산뜻한 무나사힌지가 얻어질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제2다리부는, 끝단부재와 안경다리부재 중 다른 하나의 끝부분으로부터 직선부에 대하여 예각으로 구부러지고, 굴곡부의 외측윤곽은 호형 오목홈과 동일한 곡률반경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으로, 벌어짐없이 연결이 완성될 수 있다. 안경다리는 수직방향으로 비틀리지 않고, 안정하게 열리고 닫히는 무나사힌지가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한 쌍의 렌즈들;
상기 렌즈에 고정되고 적어도 그 외주부의 일부에 형성된 탑재홈을 갖는 끝단부재측 제1부재들;
상기 렌즈에 고정되고 적어도 그 외주부의 일부에 형성된 탑재홈을 갖는 브리지측 제1부재;
한 방향으로 끝단부재측 제1부재에 삽입되어 탑재홈과 탄성적으로 끼워 맞춰지는 대략 U자형의 굴곡부를 갖는 끝단부재들;
한 쪽으로부터 브리지측 제1부재에 삽입되어 탑재홈과 탄성적으로 끼워 맞춰지는 대략 U자형의 굴곡부들을 갖는 브리지부재들; 및
상기 끝단부재 및 안경다리부재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대략 원통형 부재, 및 끝단부재 및 안경다리부재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된 J자형 굴곡부를 포함하는 무나사힌지로서, J자형 굴곡부는 원통형 부재의 중앙홀에 삽입되는 제1다리부 및 원통형 부재의 외주부와 접촉하는 제2다리부를 포함하고, 제1다리부가 중앙홀에 삽입될 때, 제1다리부 및 제2다리부가 원통형 부재에 탄성적으로 클램핑되는 무나사힌지를 포함하는 안경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들, 효과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과 결합된 실시예들의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확해 질 것이다.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이 개시의 설명에서, "앞과 뒤", "왼쪽과 오른쪽" 및 "위와 아래"와 같은 방향들을 나타내는 표현들은, 보통의 조건에서 사람이 착용했을 때 방향들을 나타낸다.
도 1 내지 3에서, 본 발명에 따른 무테안경(100)의 실시예는, 왼쪽 및 오른쪽 렌즈(110), 렌즈(110)에 고정된 제1부재인 끝단부재측수지부들(120)과 브리지측수지부들(130), 힌지들(160)을 통하여 다리들(170)에 연결된 제2부재인 끝단부재들, 및 제2부재와 유사한 브리지(150)를 포함한다.
도 4a 내지 4c에서와 같이, 제1부재인 끝단부재측수지부들(120)은, 렌즈(110)의 외측표면에 대략 평행한 평면으로 연장되고 렌즈(110)의 측면에 부분적으로 접촉되게 위치된 대략 타원형 기부(base portion, 122), 기부(122)로부터 연장되고 렌즈(110)의 전면에 위치되는 팔부(arm portion, 124), 및 기부(122)와 대략 평행하게 팔부(124)의 뒤쪽으로 돌출된 다리부(126)를 포함한다. 기부(122)의 외주부에, 탑재홈(128)이 형성된다. 도 4c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탑재홈(128)이 형성된 타원형 기부는 2개의 호부들(arc portions, 122f 및 122r)을 갖는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두 개의 호부들은 렌즈(110)의 광축(optical axis)에 대략 평행하게 앞과 뒤에 배열된다.
탑재홈(128)은 적어도 외주부의 앞쪽 호부(122f)를 포함하는 부분에 형성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후에 논의될 제2부재의 탑재를 확실히 하기 위하여, 도 4a 내지 4c에서 보여준 바와 같이 앞쪽과 뒤쪽의 2개의 호부들(122f 및 122r)을 포함하여 타원형 외주부의 전체 둘레에 걸쳐 탑재홈(128)이 형성된다. 그 결과, 탑재홈(128)의 저면은 앞쪽 호부(128f), 뒤쪽호부(128r) 및 그 사이에 연장된 평행부(128p)를 갖도록 형성된다.
유사하게, 도 5a 내지 5c에서와 같이, 제1부재인 각 브리지측수지부들(130)은, 렌즈들(110)의 내측면에 대략 평행한 평면으로 연장되고 렌즈의 측면에 부분적으로 닿도록 위치된 대략 타원형의 기부(132), 기부(132)로부터 연장되고 렌즈(110)의 전면에 위치되는 팔부(134), 및 팔부(134)의 뒤쪽으로 돌출되어 기부(132)와 대략 평행하게 연장된 다리부(136)를 포함한다. 기부(132)의 외주부에, 탑재홈(138)이 형성된다. 도 5c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탑재홈(138)이 형성된 타원형 기부(132)는 2개의 호부들(132t 및 132b)을 갖는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두 개의 호부들은 렌즈(110)의 광축에 수직적으로 대략 직교하게 배열된다.
탑재홈(138)은 적어도 외주부의 위쪽 호부(132t)를 포함하는 부분에 형성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후에 논의될 제2부재인 브리지(150)의 탑재를 확실히 하기 위하여, 도 5a 내지 5c에서 보여준 바와 같이 위쪽과 아래쪽의 2개의 호부들(132t 및 132b)을 포함하여 타원형 외주부의 전체 주변에 탑재홈(138)이 형성된다. 그 결과, 탑재홈(138)의 저면은 위쪽호부(138t), 아래쪽호부(138b) 및 그 사이에 연장된 평행부(138p)를 갖도록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도 1 및 도 2로부터 알 수 있듯이, 렌즈개구들(112)이 내측 및 외측 테두리부의 주변에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끝단부재들(140)들은 단일금속와이어(예를 들면, 티타늄합금, 니켈-크롬합금, 니켈-티타늄합금 등의 탄성부재)로 형성된다. 끝단부재(140)의 일단부에, 이후에 논의될 무나사힌지(160)가 마련된다. 그리고, 안경다리(170)가 힌지(160)를 통하여 연결된다. 안경다리(170)는 힌지(160)를 마련하지 않고 끝단부재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끝단부재(140)에서, 대략 U자형의 굴곡부(142)가 힌지(160)로부터 먼 단부에 형성된다. 굴곡부(142)는 한 방향으로 끝단부재측수지부들(120) 안으로 삽입되어 탑재홈(128)에 탄성적으로 끼워진다. 대략 U자형의 굴곡부(142)는, 힌지(160)에 연결된 제1다리부(143) 및 제2다리부(144)와 연결된다. 제1다리부(143)와 제2다리부(144)는 탑재홈(128)의 평행부(128p)와 탄성적으로 끼워져 평행부를 클램프한다. 또한, 도 6a 및 6b에서, 제2다리부(144)의 끝부분에, 탑재홈(128)의 뒤쪽 호부(128r)를 따라 끼워지도록 제1다리부(143)를 향하여 약간 굴곡진 곡선부(145)가 마련된다.
다음, 유사하게, 브리지(150)가 금속와이어(예를 들면, 티타늄합금, 니켈-크롬합금, 니켈-티타늄합금 등의 탄성부재)로 서로 연결된 U자형의 제1굴곡부들(152) 및 U자형의 제2굴곡부들(155)을 갖도록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U자형 제1굴곡부들(152)의 제1다리부들(153)이 연결부(151)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도 7에서와 같이, U자형 제1굴곡부들(152)의 제2다리부들(154)은 U자형 제2굴곡부(155)의 제1다리부들(156)과 선형적으로 연결된다. U자형 제1굴곡부들(152)의 제1다리부들(153)과 제2다리부들(154) 둘 모두는 브리지측수지부들(130)의 탑재홈들(138)에 끼워진다. U자형 제2굴곡부(155)의 제2다리부들(157)의 끝부분들에, 코받침대(158)가 탑재된다.
여기서, U자형 제1굴곡부들(152)은 안경의 아래쪽으로 돌출되고, 제1다리부들(153)과 제2다리부들(154)은 서로 대략 평행하다. 한편, U자형 제1굴곡부들(152)의 제2다리부들(154)과 선형적으로 연결되는 제1다리부(156)를 갖는 U자형 제2굴곡부(155)는 위쪽으로 볼록하고, 제1다리부들(156)과 제2다리부들(157)은 서로 대략 평행하다. 도 1에서, U자형 제1굴곡부들(152)의 제1다리부들(153){U자형 제2굴곡부(155)의 제1다리부들(156)} 및 U자형 제2굴곡부(155)의 제2다리부들(157)은 안경의 앞쪽에서 볼 때 서로 겹쳐지도록 형성된다.
참조번호 "158"은 코받침대를 가리킨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코받침대들(158)은 브리지(150)를 형성하는 U자형 제2굴곡부(155)의 제2다리부들(157)의 끝부분에 탑재된다. 그러나, 코받침대들(158)은 다른 받침대팔들에 탑재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8a 내지 8c를 참조하여 무나사힌지(160)와 안경다리(17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힌지(160)는, 대략 원통형 소켓부재(162)와 안경다리(170)의 끝단부에 형성된 J형 굴곡부(172)의 결합에 의해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소켓부재(162)에서, 관통홀(164)이 그 중앙에 형성되고, 플랜지부(166)가 그 상부에 형성된다. 플랜지부(166) 바로 아래에, 소정의 반지름과 완만하게 이어지고 선형적으로 연장된 경사면(168)을 갖는 부분적으로 호형인 오목홈(167)이 형성되어 홈(169)을 규정한다. 그리고,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소켓부재(162)는, 끝단부재(140)의 제1다리부(143)가 호형 오목홈(167)에 접합되는 형태로 끝단부재(140)와 일체로 형성된다(도 6a 및 8c 참조).
금속와이어(예를 들면, 티타늄합금, 니켈-크롬합금, 니켈-티타늄합금 등의 탄성부재)로 형성된 안경다리(170)의 끝단부에 형성된 J형 굴곡부(172)는 소켓부재(162)의 관통홀(164)을 통하여 삽입되는 제1다리부(174) 및 제2다리부(176)를 갖는다. 제1다리부(174)가 관통홀(164)로 삽입될 때, 소켓부재(162)는 제1다리부(174) 및 제2다리부(176)와 함께 탄성적으로 클램프된다. 게다가, 제2다리부재(176)는 안경다리(170)의 끝단부의 직선부에 대하여 예각을 형성하도록 구부러진다. 굴곡부의 외측윤곽(178)은 호형 오목홈(167)의 곡률반경과 동일한 곡률반경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무테안경(100)은 이하의 방법으로 조립되어 완성될 수 있다. 먼저, 끝단부재측수지부들(120)의 다리부들(126) 및 브리지측수지부들(130)의 다리부들(136)을 렌즈(110)의 내측 및 외측테두리의 주변의 렌즈개구들(112)안으로 삽입함으로써, 끝단부재측수지부들(120)과 브리지측수지부들(130)이 각각 렌즈(110)에 고정된다. 다음에, 브리지측수지부들(130)에, 브리지(150)가 탑재되어 왼쪽 및 오른쪽 렌즈(110)를 연결한다. 브리지(150)의 탑재는 U자형 제1굴곡부들(152)을 아래쪽으로 향하게 하고, 제1다리부들(153)과 제2다리부들(154){ 및 U자형 제2굴곡부(155)의 제1다리부들(156)}을 브리지측수지부(130)의 탑재홈들(138)과 아래쪽부터 끼워 맞춤으로써 수행된다. 삽입이 완료된 후, U자형 제1굴곡부들(152)은 탑재홈들(138)의 아래쪽호부들(138b)과 끼워 맞춰지고, 제1다리부들(153) 및 제2다리부들(154)은 탑재홈들(138)의 평행부들(138p)을 탄성적으로 클램프하여 좌측 및 우측 렌즈(110)를 확실하게 연결한다.
이러한 조건에서, 다음 끝단부재(140)는 끝단부재측수지부들(120) 각각에 탑재된다. 브리지(150)의 경우와 유사하게, 끝단부재(140)의 탑재는, 끝단부재의 U자형 굴곡부들(142)을 앞쪽으로 향하게 하고, 제1다리부들(143)과 제2다리부들(144)을 끝단부재측수지부(120)의 탑재홈들(128)과 앞쪽부터 끼워 맞춤으로써 수행된다. 삽입이 완료된 후, U자형 제1굴곡부들(142)은 탑재홈들(128)의 앞쪽호부들(128f)과 끼워 맞춰지고, 제1다리부들(143) 및 제2다리부들(144)은 탑재홈들(128)의 평행부들(128p)을 탄성적으로 클램프한다. 또한, 제2다리부들(144)의 곡선부(145)는 탑재홈(128)의 뒤쪽호부(128r) 안으로 들어간다. 그 결과, 끝단부재들(140)은 움직임을 피하면서 두 끝단부재측수지부들(120)을 확실하게 연결한다.
마지막으로, 끝단부재(140)와 일체로 형성된 원통형 소켓부재(162)에, 안경다리(170)가 연결된다. 보다 상세하게, 안경다리(170)의 끝부분에 형성된 J자형 굴곡부(172)의 제1다리부(174)가 소켓부재(162)의 관통홀(164)에 삽입되고, 이와 결합되게, 제2다리부(176)는 홈(169)에 끼워 맞춰져 소켓부재(162)가 제1다리부(174) 및 제2다리부(176)와 탄성적으로 클램프된다. 따라서, 무테안경(100)은 어떤 나사도 사용하지 않고 각 부품들을 연결함으로써 완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연결구조를 채용하여 이루어진 무테안경(100)에서, 과도한 외력이 안경다리(170) 등을 통하여 안경에 가해질 때, 대략 U자형의 굴곡부들(142 및 152) 중 하나가 끝단부재측수지부들(120)의 탑재홈들(128)과 브리지측수지부들(130)의 탑재홈들(138)에 탄성적으로 끼워진 채로, 또는 이 둘이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제1부재인 끝단부재측수지부들(120) 또는 브리지측수지부들(130)과 제2부재인 끝단부재(140) 또는 브리지(150)가 빠진다. 그 결과, 끝단부재들(140), 브리지(150), 안경다리들(170) 등을 포함하는 부품들의 변형 또는 렌즈(110)의 파손이 성공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연결구조가 도 9a 내지 9c와 10a 및 10b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이하의 개시에서, 다른 실시예의 지시번호는 백단위가 사용된 이전 실시예와 구별하기 위하여 2백단위가 사용된다. 또한, 특별한 언급이 없으면, 마지막 2개의 숫자들이 동일한 지시번호는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하거나 동일한 기능을 하는 부품들을 가리킨다. 따라서, 그 차이점들을 제외하고는, 이전 실시예에서 한 설명은 지시번호의 백단위 숫자를 2로 바꿈으로써 다른 실시예의 설명으로 이용된다.
이전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의 차이점은, 끝단부재측수지부들과 끝단부재의 모양들이 변경된다는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 끝단부재측수지부(220)의 기부(222)에, 저면홀(229)이 형성된다. 또한, 기부의 외주부의 일부에, 탑재홈(228)이 저면홀(229)과 연이어 형성된다. 도 9a 내지 9c에서와 같이 탑재홈(228)이 마련된 기부(222)는 후단이 직사각형 모양으로 막혀있다. 탑재홈(228)은 저면홀(229)을 포함하는 부분과 적어도 외주부의 앞쪽과 옆쪽 사이의 모서리부분에 형성된다. 그 결과, 탑재홈(228)의 저면은, 위에서 볼 때 앞쪽호부(228f), 저면홀(229)의 측벽(229p) 및 여기에 평행하게 연장된 평행부(228p)를 구비한 모양을 갖는다.
여기서, 끝단부재(240)는 힌지(160)에서 먼 끝단부에 대략 U자형의 굴곡부(242)가 마련되어 끝단부재측수지부(220)의 저면홀(229)에 삽입되고 탑재홈(228)에 탄성적으로 끼워진다. 보다 상세하게, 대략 U자형의 굴곡부(242)는 저면홀(229) 안으로 삽입될 제1다리부(243)와 힌지(160)와 연결되는 제2다리부(244)를 갖는다. 제1다리부(243) 및 제2다리부(244)는 저면홀(229)의 측벽(229p) 및 탑재홈(228)의 평행부(228p)에 탄성적으로 끼워진다. 또한, 제2다리부(244)의 중간부분에, 제1다리부(243)를 향하여 약간 돌출된 곡선부(245)가 마련되어 탑재홈(228)을 통과한 후 기부(222)의 후단측으로 들어간다.
본 실시예에서도, 렌즈(110)에 끝단부재측수지부(220)를 고정한 후에, 끝단부재의 U자형 굴곡부(242)를 방향맞춘 다음, 제2다리부(244)를 끝단부재측수지부들(220)의 탑재홈(228) 안으로 삽입하는 동안 제1다리부(243)를 저면홀(229)에 삽입함으로써 연결이 완성된다.
다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가 설명된다. 제1부재인 끝단부재측수지부들(120, 220) 및 브리지측수지부들(130)은 다리부들(126, 226) 및 다리부(136)를 각각 포함하고 렌즈개구들(122)이 다리부들에 대응하여 렌즈(110)에 형성되는 실시예들에 대하여도 앞서 말한 설명이 적용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끝단부재측수지부(120, 220) 및 브리지측수지부들(130)의 다리부(126, 226) 및 다리부(136)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가 생략될 수 있고, 이 생략에 대응하여, 렌즈(110)에 형성될 렌즈개구들(112)도 생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다리부가 생략된 끝단부재측수지부(120, 220) 및 브리지측수지부들(130)은, 접착제 등을 팔부들{124(224) 및 134}에 도포하여 렌즈(110)의 표면에 직접 고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렌즈의 렌즈개구들의 형성이 불필요하게 되고, 위치조정작업도 불필요하게 되어 작업단계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끝단부재측수지부(120, 220) 및 브리지측수지부들(130)은 특정 색으로 도색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안경은 더욱 멋지게 될 수 있다. 한편, 수지부들은 투명할 수도 있다. 특히, 다리부가 생략된 끝단부재측수지부(120, 220) 및 브리지측수지부들(130)의 경우, 시야가 제한되지 않아 밝아지게 된다. 또한, 외형에서도, 렌즈부들에 이물감이 감소되어 안경에 한벌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다.
전면에서 볼 때 보다 멋진 외형을 형성하기 위하여, 끝단부재측수지부(120) 및 브리지측수지부들(130)의 탑재홈(128 및 138)은 앞쪽에서 볼 때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끝단부재측수지부(120, 220) 및 브리지측수지부들(130)의 탑재홈(128) 및 탑재홈(138) 안으로 끝단부재(140) 및 브리지(150)의 도입, 즉 삽입방향은 앞의 실시예들에서, 각각 끝단부재(140)의 경우에는 앞쪽부터이고, 브리지(150)의 경우에는 아래쪽부터이다. 그러나, 도입방향 또는 삽입방향은 소정의 한 방향인 한 어느 방향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나사힌지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이하의 개시에서, 다른 실시예의 지시번호는, 1백 또는 2백단위가 사용된 이전 실시예와 구별하기 위하여 3백단위가 사용된다. 또한, 특별한 언급이 없으면, 마지막 2개의 숫자들이 동일한 지시번호는 이전실시예들에서와 동일하거나 동일한 기능을 하는 부품들을 가리킨다. 따라서, 그 차이점들을 제외하고는, 이전 실시예에서 한 설명은 지시번호의 백단위 숫자를 3으로 바꿈으로써 다른 실시예의 설명으로 이용된다.
또 다른 실시예가 앞선 실시예들과 구별되는 점은 원통형 소켓부재에 탑재되어 J자형의 굴곡부를 형성하는 위치가 변경된다는 것이다. 즉, 또 다른 실시예에서, 원통형 소켓부재(362)는 안경다리(370)에 접촉하여 연결되고, J자형 굴곡부(372)는 끝단부재(340)의 제1다리부(343)의 끝부분에 형성된다. 소켓부재(362)는 중앙에 관통홀(364)이 마련되고 위쪽에는 플랜지부(366)가 마련된다. 또한,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는 호형 오목홈(367) 및 호형 오목홈(367)과 완만하게 연결되는 선형경사(368)로 이루어진 원형홈(369)이 형성된다. 앞선 실시예들과 유사하게, 소켓부재(362)는, 안경다리(370)의 끝부분이 호형 오목홈(367)과 만나도록 안경다리(370)와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끝단부재(340)의 제1다리부(343) 및 J형 굴곡부(372)의 제2다리부(376)는 제1다리부(343)의 끝부분의 직선부에 대하여 예각으로 구부러진다. 굴곡부의 외측윤곽(378)은, 앞선 실시예들에서와 유사하게 소켓부재(362)의 호형 오목홈(367)과 동일한 곡률반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앞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하나의 또는 다른 실시예들의 특징들은 서로 교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끝단부재(140)와 브리지(150)의 삽입방향들은 그 역이 될 수 있다. 또한, 힌지의 소켓부재 및 대략 J자형의 굴곡부도 수직방향으로 뒤집힐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되었고, 이 설명으로부터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광의의 관점에서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 없이 변경 및 변형들이 가능한 것은 명백하므로, 첨부된 청구항들의 취지는 본 발명의 정신 내에 해당하는 한 이러한 모든 변경들 및 변형들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경다리를 열거나 다른 경우에 과도한 외력이 가해질 때, 제1부재의 외주부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탑재홈에 대략 U자형 굴곡부를 탄정적으로 끼워 맞추는 제2부재가 제1부재로부터 해체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부재들의 변형 및 렌즈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안경다리부재의 회전중심이 원통형 부재의 중앙홀에 삽입된 제1다리부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원통형 부재가 제1 및 제2다리부에 의해 탄성적으로 클램프되기 때문에, 안경다리는 수직방향으로 비뚤어지지 않고 무나사힌지의 열림 및 닫힘이 안정적으로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나사힌지들을 갖는 무테안경의 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나사힌지들을 갖는 무테안경의 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나사힌지들을 갖는 무테안경의 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4a, 4b, 4c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무테안경의 끝단부재측수지부의 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
도 5a, 5b, 5c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무테안경의 브리지측수지부의 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무테안경의 한 실시예의 끝단부재의 일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b는 끝단부재측 수지부와 끝단부재 사이의 연결조건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테안경의 한 실시예의 브리지의 일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a 및 8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무나사힌지의 소켓부재를 보여주는 측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8c는 무나사힌지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9a, 9b 및 9c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무테안경의 다른 실시예의 끝단부재측 수지부를 보여주는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무테안경의 다른 실시예의 끝단부재의 일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b는 끝단부재측 수지부와 끝단부재의 연결조건을 보여주는 측면도;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무나사힌지의 다른 실시예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무테안경 110 : 렌즈
112 : 렌즈개구
120, 220 : 끝단부재측 수지부(제1부재)
122, 132, 222 : 기부 124, 134, 224 : 팔부
126, 136 : 다리부 128, 138, 228 : 탑재홈
130 : 브리지측 수지부(제1부재) 140, 240 : 끝단부재(제2부재)
142, 152, 155 : 대략 U자형 굴곡부
143, 144, 153, 154, 156, 157 : 다리부
145 : 곡선부 158 : 코받침대
150 : 브리지(제2부재) 160 : 힌지
162 : 소켓부재 170 : 안경다리

Claims (27)

  1. 안경 렌즈에 고정되는 제1부재; 및
    안경다리 또는 브리지에 연결되는 제2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부재는 적어도 그 외주부의 일부에 형성된 탑재홈을 갖고,
    상기 제2부재는 한 방향으로 상기 탑재홈에 삽입되어 상기 탑재홈과 탄성적으로 끼워 맞춰지는 대략 U자형 굴곡부를 갖는 안경의 연결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부는 타원형이고, 상기 탑재홈은 상기 외주부의 적어도 하나의 호형부를 포함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안경의 연결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부는 직사각형이고, 상기 탑재홈은 적어도 상기 외주부의 홀부 및 모서리부를 포함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안경의 연결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는 수지로 형성되는 안경의 연결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는 접합에 의해 안경 렌즈에 고정되는 안경의 연결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는 그 다리부가 상기 안경 렌즈에 형성된 렌즈개구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안경의 연결구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는 투명한 안경의 연결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의 탑재홈은 앞쪽에서 볼 때 수직방향으로 배열되는 안경의 연결구조.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의 상기 탑재홈은 타원외주부의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고, 상기 대략 U자형 굴곡부의 일단부가 다른 호형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안경의 연결구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재는 힌지를 통하여 안경다리에 연결되는 끝단부재인 안경의 연결구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재는 한 조각의 와이어부재로 형성된 브리지인 안경의 연결구조.
  12. 렌즈에 탑재되는 끝단부재;
    안경다리부재;
    상기 끝단부재와 상기 안경다리부재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대략 원통형의 부재; 및
    상기 끝단부재와 상기 안경다리부재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는 J자형 굴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J자형 굴곡부는 상기 원통형 부재의 중앙홀에 삽입되는 제1다리부 및, 상기 원통형 부재의 외주부와 접촉하는 제2다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다리부가 중앙홀에 삽입될 때, 상기 제1다리부 및 제2다리부는 상기 원통형 부재를 탄성적으로 클램프하는 무나사힌지.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부재는, 그 상부에 형성된 플랜지부, 상기 플랜지부 바로 아래에 위치하고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는 부분적으로 호형인 오목홈, 및 상기 오목홈과 완만하게 연결되는 선형경사면을 구비한 홈을 포함하는 대략 원통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J자형 굴곡부의 상기 제2다리부는 상기 홈에 맞도록 구부려지는 무나사힌지.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부재는, 상기 끝단부재와 상기 안경다리부재 중 하나의 다리부가 상기 호형 오목홈과 접촉하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무나사힌지.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다리부는, 상기 끝단부재와 상기 안경다리부재 중 다른 하나의 끝부분으로부터 직선부에 대하여 예각으로 구부러지고, 굴곡부의 외측윤곽은 상기 호형 오목홈과 동일한 곡률반경을 갖는 무나사힌지.
  16. 한 쌍의 렌즈들;
    상기 렌즈에 고정되고 적어도 그 외주부의 일부에 형성된 탑재홈을 갖는 끝단부재측 제1부재들;
    상기 렌즈에 고정되고 적어도 그 외주부의 일부에 형성된 탑재홈을 갖는 브리지측 제1부재들;
    한 방향으로 상기 끝단부재측 제1부재에 삽입되어 상기 탑재홈과 탄성적으로 끼워 맞춰지는 대략 U자형의 굴곡부를 갖는 끝단부재들;
    한 쪽으로부터 상기 브리지측 제1부재에 삽입되어 상기 탑재홈과 탄성적으로 끼워 맞춰지는 대략 U자형의 굴곡부들을 갖는 브리지부재; 및
    상기 끝단부재 및 상기 안경다리부재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대략 원통형 부재, 및 상기 끝단부재 및 상기 안경다리부재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된 J자형 굴곡부를 포함하는 무나사힌지로서, 상기 J자형 굴곡부는 상기 원통형 부재의 중앙홀에 삽입되는 제1다리부 및 상기 원통형 부재의 외주부와 접촉하는 제2다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다리부가 중앙홀에 삽입될 때, 상기 제1다리부 및 상기 제2다리부가 상기 원통형 부재에 탄성적으로 클램핑되는 무나사힌지를 포함하는 안경.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부는 타원형이고, 상기 탑재홈은 상기 외주부의 적어도 하나의 호형부를 포함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안경.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부는 직사각형이고, 상기 탑재부는 적어도 상기 외주부의 중앙부 및 홀부를 포함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안경.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들은 수지로 형성되는 안경.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들은 접합에 의해 안경렌즈에 고정되는 안경.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들 각각은 상기 안경렌즈에 형성된 렌즈개구에 그 다리부가 삽입됨으로써 고정되는 안경.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는 투명한 안경.
  23.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의 상기 탑재홈은 앞에서 봤을 때 수직방향으로 배열되는 안경.
  2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의 상기 탑재홈은 타원형 외주부의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고, 상기 대략 U자형 굴곡부의 하나의 끝단부가 다른 호형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안경.
  25.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부재는, 그 상부에 형성된 플랜지부, 상기 플랜지 바로 아래에 위치되고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는 부분적으로 호형인 오목홈, 및 상기 오목홈과 완만하게 연결된 선형경사면으로 이루어진 홈을 포함하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J자형 굴곡부의 상기 제2다리부는 상기 홈에 맞도록 구부러지는 안경.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부재는 상기 끝단부재와 안경다리부재 중 어느 하나의 다리부가 상기 호형 오목홈에 접하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안경.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다리부는 직선부분에 대하여 예각으로 상기 끝단부재와 안경다리부재 중 다른 하나의 끝부분으로부터 구부러지고,
    굴곡부의 외측윤곽은 상기 호형 오목홈과 동일한 곡률반경을 갖는 안경.
KR10-2003-0029838A 2002-07-16 2003-05-12 간단한 연결구조 및 무나사힌지를 갖는 안경 KR1005128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07504A JP3682036B2 (ja) 2002-07-16 2002-07-16 ねじ無し丁番およびそれを備えた眼鏡
JPJP-P-2002-00207504 2002-07-16
JPJP-P-2002-00207503 2002-07-16
JP2002207503A JP3682035B2 (ja) 2002-07-16 2002-07-16 眼鏡の連結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7245A KR20040007245A (ko) 2004-01-24
KR100512893B1 true KR100512893B1 (ko) 2005-09-07

Family

ID=29782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9838A KR100512893B1 (ko) 2002-07-16 2003-05-12 간단한 연결구조 및 무나사힌지를 갖는 안경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767096B2 (ko)
EP (2) EP1662295A3 (ko)
KR (1) KR100512893B1 (ko)
CN (1) CN1250999C (ko)
AU (1) AU2003208130A1 (ko)
CA (1) CA2433700C (ko)
HK (1) HK1061575A1 (ko)
TW (1) TWI22555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01039B2 (en) * 2004-06-24 2006-09-05 Maling Chris E Durable eyeglasses frame assembly
JP3885072B2 (ja) * 2004-07-20 2007-02-21 株式会社21 眼鏡フレームおよびレンズハンガー
FR2862390B1 (fr) 2004-08-19 2006-04-28 Minima Lunettes de type sans entourage, a branches filaires deformables en flexion sans articulation
FR2900245B1 (fr) 2006-04-20 2008-06-20 Minima Soc Par Actions Simplif Lunettes de type sans entourage a branches laterales de structure essentiellement filaire.
JP5370715B2 (ja) * 2007-07-04 2013-12-18 株式会社21 リムレス眼鏡
FR2923029B1 (fr) 2007-10-26 2009-11-20 Minima Lunettes de type sans entourage a branches filaires
HK1128584A2 (en) * 2008-07-18 2009-10-30 Sun Hing Optical Manufactory Ltd Eyeglasses hinge
US7971992B1 (en) 2010-02-01 2011-07-05 Brooks Jr Byron A Eyewear with interchangeable components
JP5846855B2 (ja) * 2011-10-31 2016-01-20 株式会社サンリーブ メガネフレーム
CN102955261B (zh) * 2012-10-31 2014-05-21 巨龙光学(福建)有限公司 一种无框眼镜
CN105700149A (zh) * 2016-04-19 2016-06-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眼镜及一种可穿戴智能设备
CN108594463A (zh) * 2018-06-06 2018-09-28 赵克银 一种眼镜框架以及眼镜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846A (ja) 1989-06-03 1991-01-16 Takagi Ind Co Ltd 風呂装置
US5835183A (en) 1992-07-17 1998-11-10 Murai Co., Ltd. Rimless spectacles
JP3007846U (ja) 1994-08-12 1995-02-28 増永眼鏡株式会社 3点支持レンズクリップ式リムレス眼鏡
EP0898728A1 (en) 1996-05-16 1999-03-03 Bottega D'arte In Firenze S.R.L. Wire frame for spectacles
FR2753283A1 (fr) 1996-09-06 1998-03-13 Marius Morel Ets Articulation pour relier une branche d'une monture de lunettes a un tenon lateral de ladite monture
FR2754913B1 (fr) 1996-10-23 1998-12-11 Airess Monture de lunettes en fil metallique
AU4699597A (en) * 1996-10-25 1998-05-22 Pro Design International A/S A pair of spectacles
US5847801A (en) * 1997-04-04 1998-12-08 Masunaga Optical Mfg. Co., Ltd. Hinge structure and bearing member for hinge in frame of spectacles
US6050685A (en) 1999-08-05 2000-04-18 Lin; Haan-Yeou Eyeglasses without a frame
JP4004191B2 (ja) 1999-09-01 2007-11-07 株式会社ニコンアイウェア ネジ無し丁番を有する眼鏡
US6412944B1 (en) 2001-08-21 2002-07-02 Hung-Ming Huang Eyeglasses with coupling units for coupling temples and lense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012756A1 (en) 2004-01-22
CA2433700A1 (en) 2004-01-16
EP1662295A3 (en) 2007-11-14
EP1382988A1 (en) 2004-01-21
TWI225554B (en) 2004-12-21
CN1469157A (zh) 2004-01-21
TW200403484A (en) 2004-03-01
CA2433700C (en) 2007-05-29
US6767096B2 (en) 2004-07-27
HK1061575A1 (en) 2004-09-24
CN1250999C (zh) 2006-04-12
EP1662295A2 (en) 2006-05-31
KR20040007245A (ko) 2004-01-24
AU2003208130A1 (en) 2004-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85870A (en) Rimless spectacles with its lenses supported and clipped at three points
KR100512893B1 (ko) 간단한 연결구조 및 무나사힌지를 갖는 안경
JP3040995B1 (ja) 眼鏡のレンズ止着機構
KR19990062442A (ko) 안경부품의 연결구조
JP3110736B1 (ja) リムレス眼鏡フレームおよびリムレス眼鏡
KR102144105B1 (ko) 안경과 광학보조 기구의 세트
US5896186A (en) Eyeglass assembly having pivotable receiving means
MX2013010903A (es) Anteojos.
JP2784996B2 (ja) 眼鏡のレンズ保持機構一体式スクリューレス蝶番
JP4664401B2 (ja) 長さ調整可能なテンプル及び当該テンプルを備える眼鏡
JPS6220528B2 (ko)
JP3583768B2 (ja) ねじ無し丁番を備えた眼鏡
EP1217418B1 (en) A spectacle frame and a hinge assembly for use therein
JP3682036B2 (ja) ねじ無し丁番およびそれを備えた眼鏡
JP3682035B2 (ja) 眼鏡の連結構造
KR20190026195A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힌지구조체
KR20140111458A (ko) 안경 프레임
JP3048052U (ja) 眼鏡のテンプル開閉機構
KR200367300Y1 (ko) 안경테, 힌지 및 안경
KR200244159Y1 (ko) 안경과 클립의 결합구조
CA2551378A1 (en) Eyeglass with simple connection structure and screwless hinge
KR20220149026A (ko) 안경용 힌지 시스템
KR20220166051A (ko) 나사 풀림이 방지되는 안경테용 힌지 및 그 힌지가 적용된 안경테 및 그 힌지 구조가 일체된 구조를 가지는 안경테
KR20220060260A (ko) 안경용 힌지 결합 구조체
KR101422994B1 (ko) 안경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