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9533B1 -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 Google Patents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9533B1
KR102099533B1 KR1020190067776A KR20190067776A KR102099533B1 KR 102099533 B1 KR102099533 B1 KR 102099533B1 KR 1020190067776 A KR1020190067776 A KR 1020190067776A KR 20190067776 A KR20190067776 A KR 20190067776A KR 102099533 B1 KR102099533 B1 KR 1020995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mferential surface
fixing bolt
connector
inner circumferential
screw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7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훈
Original Assignee
이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훈 filed Critical 이지훈
Priority to KR1020190067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95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9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95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143Side-members having special ear pie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경테 양 측면에 안경다리가 회전 가능하게 접혀지도록 연결되는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조가 간단하여 조립성이 우수하고, 고정볼트가 안경다리의 회전으로 인해 풀리지 않도록 구성되며, 안경다리가 적정한 탄발력을 유지하면서 회전 되도록 되어 상품성과 신뢰성을 향상시켜 주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정볼트에 외력을 가해 연결구의 경첩에 고정볼트가 강제적으로 나사결합되면, 안경다리의 회전으로 인해 고정볼트가 경첩에서 풀리지 않도록 구성되고, 생산 원가가 상승되게 하는 별도의 탄력수단이 부가되지 않아 조립성이 우수하며, 간단한 구성으로 외관이 심플하게 제작되어 미관이 미려하도록 형성되고, 안경다리가 적정한 탄발력을 유지하면서 회전 되도록 되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렌즈가 끼워지는 안경테(10) 측부에 후방으로 굴절되게 구비되어 후단부에 경첩이 구비되는 연결구(20)와; 연결구(20)의 경첩에 선단부가 제한된 각도 안에서 회전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안경다리(30)로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연결구(20)의 경첩은 연결구(20) 끝단에 원판 형태의 기판(21)이 구비되고, 기판(21)의 동심원 안쪽으로 돌출판(22)이 약간 상부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돌출판(22)의 동심원 안쪽으로 회전통(23)이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회전통(23)은 연결구(20)의 후면에 접하는 외주면에 일정 각도 폭으로 회전 제어용 스토퍼(24)가 구비되고, 회전통(23)의 내주면에 나사홈이 형성되고, 내부 하단과 나사홈 하단 사이에 제1공간부(a)가 형성되며, 회전통(23)의 내주면 나사홈에 고정볼트(25)가 체결되며, 고정볼트(25)는 머리가 원형으로 형성되고, 머리의 저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안경다리(30)는 회전통(23)의 외주면에 회전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원형 회전부(31)가 선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안경다리 회전부(31)는 전방 중간 하부가 절개되어, 하부 양쪽에 일정 각도 폭으로 걸림턱(32)이 형성되며, 고정볼트(25)에 외력을 가해 더 회전시켜주면 하단부의 나사산이 회전통(23)의 제1공간부(a) 내주면에 나사홈을 강제적으로 형성시키면서 이동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며, 경사면으로 형성된 고정볼트(25)의 머리 저면이 안경다리(30) 회전부(31)의 내주면을 눌러 주어 탄발력을 갖고 휘어지는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frames and temples}
본 발명은 안경테 양 측면에 안경다리가 회전 가능하게 접혀지도록 연결되는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조가 간단하여 조립성이 우수하고, 고정볼트가 안경다리의 회전으로 인해 풀리지 않도록 구성되며, 안경다리가 적정한 탄발력을 유지하면서 회전 되도록 되어 상품성과 신뢰성을 향상시켜 주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테는 렌즈가 결합 되는 안경테와, 안경테의 엔드피스에 절첩 가능하게 결합 되는 안경 다리로 구성되는바, 상기한 안경테 및 안경 다리는 합성수지제 또는 두꺼운 금속재질로 제작된다.
상기한 안경 다리는 안경테에 설치된 힌지를 통해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안경을 착용할 때에는 안경 다리를 펴고 안경을 보관할 때에는 안경다리를 접어서 부피를 줄여 보관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안경 다리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힌지를 중심으로 안경테에 직각방향으로 접힘 운동을 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힌지는 안경 다리와 안경테의 엔드피스에 각각 용접에 의해 결합 되는 힌지부재와, 상기한 힌지부재를 결합시킬 뿐만 아니라 안경 다리가 절첩될 수 있도록 하는 힌지나사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상기 힌지는 오랜 기간 안경을 사용할 때 힌지나사가 풀리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였고 이로 인해 안경다리가 헐거워져 사용이 불편하고 또한 안경다리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힌지나사를 공구를 사용하여 교체함으로써 안경다리의 탈부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통상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경첩에 힌지나사를 사용하지 않고 별도의 탄력수단을 부가시켜 안경다리가 절첩 되도록 구성하였다.
그러나 탄력수단의 부가로 인해 구성이 복잡해지고, 원가가 상승하게 되며, 안경부품의 외관이 크게 형성되어 외관이 미려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48466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정볼트에 외력을 가해 연결구의 경첩에 고정볼트가 강제적으로 나사결합되면, 안경다리의 회전으로 인해 고정볼트가 경첩에서 풀리지 않도록 구성되고, 생산 원가가 상승되게 하는 별도의 탄력수단이 부가되지 않아 조립성이 우수하며, 간단한 구성으로 외관이 심플하게 제작되어 미관이 미려하도록 형성되고, 안경다리가 적정한 탄발력을 유지하면서 회전 되도록 되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렌즈가 끼워지는 안경테 측부에 후방으로 굴절되게 구비되어 후단부에 경첩이 구비되는 연결구와; 연결구의 경첩에 선단부가 제한된 각도 안에서 회전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안경다리로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연결구의 경첩은 연결구 끝단에 원판 형태의 기판이 구비되고, 기판의 동심원 안쪽으로 돌출판이 약간 상부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돌출판의 동심원 안쪽으로 회전통이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회전통은 연결구의 후면에 접하는 외주면에 일정 각도 폭으로 회전 제어용 스토퍼가 구비되고, 회전통의 내주면에 나사홈이 형성되고, 내부 하단과 나사홈 하단 사이에 제1공간부가 형성되며, 회전통의 내주면 나사홈에 고정볼트가 체결되며, 고정볼트는 머리가 원형으로 형성되고, 머리의 저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안경다리는 회전통의 외주면에 회전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원형 회전부가 선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안경다리 회전부는 전방 중간 하부가 절개되어, 하부 양쪽에 일정 각도 폭으로 걸림턱이 형성되며, 고정볼트에 외력을 가해 더 회전시켜주면 하단부의 나사산이 회전통의 제1공간부 내주면에 나사홈을 강제적으로 형성시키면서 이동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며, 경사면으로 형성된 고정볼트의 머리 저면이 안경다리 회전부의 내주면을 눌러 주어 탄발력을 갖고 휘어지는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고정볼트를 회전통의 내주면에 형성된 공간부에 외력을 가해 억지로 더 회전시켜 조립이 완성되도록 하여 고정나사가 안경다리의 회전으로 인해 고정볼트가 풀리는 것이 방지되고, 안경다리 회전부가 탄발력을 갖고 고정볼트 저면에 밀착되기 때문에 안경다리에 외력을 가하지 않으면 정지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므로, 조립이 간단하면서도 외관이 심플하고, 간단한 구성이지만 탄력수단을 부가한 것과 같은 작용으로 인해 상품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제1실시예의 연결부와 안경다리가 부분 절개되어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제1실시예의 연결부와 안경다리가 부분 절개되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제1실시예의 연결부와 안경다리가 부분 절개되어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볼트가 제1공간부까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제1실시예의 안경다리가 접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 제1실시예의 안경다리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제2실시예의 연결부와 안경다리가 부분 절개되어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볼트가 제1공간부까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 제3실시예의 연결부와 안경다리가 부분 절개되어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A부 확대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 제3실시예의 연결부와 안경다리가 부분 절개되어 고정볼트가 제2공간부까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 제3실시예의 연결부와 안경다리가 부분 절개되어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볼트가 제1공간부까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5는 도 14의 B부 확대 단면도.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렌즈가 끼워지는 통상의 안경테(10) 측부의 엔드피스(11)에 연결되는 것으로, 후방으로 굴절되게 형성되어 후단부에 경첩이 구비되는 연결구(20)와; 연결구(20)의 경첩에 선단부가 제한된 각도 안에서 회전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안경다리(30)로 이루어진다.
연결구(20)의 경첩은 연결구(20) 끝단에 원판 형태의 기판(21)이 구비되고, 기판(21)의 동심원 안쪽으로 돌출판(22)이 약간 상부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돌출판(22)의 동심원 안쪽으로 회전통(23)이 돌출되게 구비된다.
돌출판(22)은 안경다리(30) 선단부에 형성된 걸림턱(32) 저면부가 밀착되면서 안경다리(30)가 원활하게 회전된다.
즉, 안경다리(30)가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돌출판(22)의 직경을 기판(21)의 직경 보다 작고 회전통(23)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하여 걸림턱(32) 저면부와의 마찰력이 최소화 되도록 한다.
또한, 회전통(23)은 연결구(20)의 후면에 접하는 외주면에 일정 각도 폭으로 회전 제어용 스토퍼(24)가 구비되고, 회전통(23)의 내주면에 나사홈이 형성되고, 내부 하단과 나사홈 하단 사이에 제1공간부(a)가 형성된다.
또한, 회전통(23)의 내주면 나사홈에 고정볼트(25)가 체결되며, 고정볼트(25)는 머리가 원형으로 형성되고, 머리의 저면이 작은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한편, 안경다리(30)는 회전통(23)의 외주면에 회전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원형 회전부(31)가 선단부에 구비된다.
상기 안경다리 회전부(31)는 전방 중간 하부가 절개되어, 하부 양쪽에 일정 각도 폭으로 걸림턱(3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제1실시예는 연결구(20)의 회전통(23) 외주면에 안경다리(30) 회전부(31)를 끼워넣고, 회전통(23)의 나사홈에 고정볼트(25)를 체결하면,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고정볼트(25)가 완전히 하강한 상태에서 고정볼트(25) 하단과 회전통(23) 내주면 바닥 사이에 제1공간부(a)가 생기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고정볼트(25)에 외력을 가해 더 회전시켜 제1공간부(a) 내주면의 나사홈이 없는 부분을 파고 들도록 억지로 회전시켜주면,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먼저 고정볼트(25) 하단부의 나사산이 회전통(23)의 제1공간부(a) 내주면에 나사홈을 강제적으로 형성시키면서 회전 이동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며, 경사면으로 형성된 고정볼트(25)의 머리 저면이 안경다리(30) 회전부(31)의 내주면을 눌러 주어 회전부(31)의 측면이 탄발력을 갖고 상부로 휘어지는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 제1실시예는 안경다리(30) 회전부(31)가 탄발력을 갖고 상부로 휘어지기 때문에, 회전부(31)가 회전통(23)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고정볼트(20) 머리부 저면과 돌출판(22) 상면에 회전부(31)가 밀착되면서 소정의 마찰력이 작용하게 되어 안경다리(30)가 자유롭게 회전되지 않게 되며, 이 때 안경다리(30)를 안쪽으로 완전히 접으면 회전부(31) 안쪽 걸림턱(32)이 안쪽 스토퍼(24)에 걸려 회전이 제한되게 되므로 도 6과 같은 상태가 유지되게 되고, 바깥쪽으로 완전히 펼치면 회전부(31) 바깥쪽 걸림턱(32)이 바깥쪽 스토퍼(24)에 걸려 회전이 제한되게 되므로 도 7과 같은 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연결구(20')의 경첩은 연결구(20') 끝단에 상부가 개방되고 후방이 일정 각도 폭 개방되는 원통형의 기판(21')이 구비되고, 후방 개방부에 의해 안경다리(30')의 회전 이동 각을 제한 하는 스토퍼(24')가 형성되며, 기판(21')의 동심원 안쪽으로 돌출판(22')이 약간 상부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돌출판(22')의 동심원 안쪽으로 회전통(23')이 돌출되게 구비된다.
돌출판(22')은 안경다리(30') 선단 저면이 밀착되면서 안경다리(30')가 원활하게 회전된다.
즉, 안경다리(30')가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돌출판(22')의 직경을 기판(21')의 직경 보다 작고 회전통(23')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하여 안경다리(30') 선단 저면과 마찰력이 최소화 되도록 한다.
또한, 회전통(23')의 내주면에 나사홈이 형성되고, 내부 하단과 나사홈 하단 사이에 제1공간부(a')가 형성되며, 회전통(23')의 내주면 나사홈에 체결되는 고정볼트(25)는 머리가 원형으로 형성되고, 머리의 저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한편, 안경다리(30')는 연결구(20')의 회전통(23')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원판형 회전부(31')가 선단에 구비된다.
이러한 본 발명 제2실시예는 회전통(23') 외주면에 안경다리(30') 회전부(31')가 끼워져 기판(21') 후방의 개방부 사이에서 안경다리(30')가 제한적으로 회전 이동 가능하게 되고, 안경다리(30')의 회전부(31') 상부에 와셔(33)를 두고 고정볼트(25)가 회전통(23') 내부의 나사홈에 체결되며, 회전통(23')의 나사홈에 고정볼트(25)가 체결되면 고정볼트(25)에 외력을 가해 더 회전시켜 고정볼트(25) 하단부의 나사산이 회전통(23')의 제1공간부(a') 내주면에 나사홈을 강제적으로 형성시키면서 회전 이동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며, 경사면으로 형성된 고정볼트(25)의 머리 저면이 와셔(33)의 내주면을 눌러 주어 와셔(33)의 양 측면이 탄발력을 갖고 상부로 휘어지는 변형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도 1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고정볼트(25)가 체결되는 회전통(23")의 내주면 하단부에 제1공간부(a)가 형성되고, 내주면 중간쯤에 제2공간부(b)가 형성되며, 제2공간부(b) 상부에 형성되는 나사홈의 내경은 고정볼트(25) 외경 보다 크도록 형성되고, 제2공간부(b) 하부에 형성되는 나사홈의 내경은 고정볼트(25)의 외경과 같게 형성되어, 고정볼트(25)를 체결할 때 제2공간부(b) 상부에는 고정볼트(25)가 원활하게 나사 결합되다가 제2공간부(b)를 통과하면서 고정볼트(25)가 빡빡하게 나사결합된다.
그리고 고정볼트(25)에 외력을 가해 더 회전시켜 고정볼트(25) 하단부의 나사산이 회전통(23") 제1공간부(a) 내주면에 나사홈을 강제적으로 형성시키면서 회전 이동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여기에서 고정볼트(25)가 회전통(23") 내부 나사홈에 결합될 때 도 1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2공간부(b) 상부에서는 고정볼트(25)가 원활하게 나사 결합되다가 제2공간부(b) 하부의 나사홈 내경이 같게 형성되는 구간에서 빡빡하게 나사결합되어 고정볼트(25)의 나사산이 제2공간부(b) 상부 나사홈 하부로 밀착되면서 고정볼트(25)의 고정력이 더욱 더 향상되게 된다.
10 : 안경테 11 : 엔드피스
20, 20' : 연결구 21, 21' : 기판
22, 22' : 돌출판 23, 23', 23" : 회전통
24, 24' : 스토퍼 25 : 고정볼트
30, 30' : 안경다리 31, 31' : 회전부
32 : 걸림턱 33 : 와셔
a, a' : 제1공간부 b : 제2공간부

Claims (3)

  1. 렌즈가 끼워지는 안경테(10) 측부에 후방으로 굴절되게 구비되어 후단부에 경첩이 구비되는 연결구(20)와; 연결구(20)의 경첩에 선단부가 제한된 각도 안에서 회전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안경다리(30)로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연결구(20)의 경첩은 연결구(20) 끝단에 원판 형태의 기판(21)이 구비되고, 기판(21)의 동심원 안쪽으로 돌출판(22)이 약간 상부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돌출판(22)의 동심원 안쪽으로 회전통(23)이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회전통(23)은 연결구(20)의 후면에 접하는 외주면에 일정 각도 폭으로 회전 제어용 스토퍼(24)가 구비되고, 회전통(23)의 내주면에 나사홈이 형성되고, 내부 하단과 나사홈 하단 사이에 제1공간부(a)가 형성되며, 회전통(23)의 내주면 나사홈에 고정볼트(25)가 체결되며, 고정볼트(25)는 머리가 원형으로 형성되고, 머리의 저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안경다리(30)는 회전통(23)의 외주면에 회전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원형 회전부(31)가 선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안경다리 회전부(31)는 전방 중간 하부가 절개되어, 하부 양쪽에 일정 각도 폭으로 걸림턱(32)이 형성되며, 고정볼트(25)에 외력을 가해 더 회전시켜주면 하단부의 나사산이 회전통(23)의 제1공간부(a) 내주면에 나사홈을 강제적으로 형성시키면서 이동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며, 경사면으로 형성된 고정볼트(25)의 머리 저면이 안경다리(30) 회전부(31)의 내주면을 눌러 주어 탄발력을 갖고 휘어지는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2. 제 1항에 있어서,
    회전통(23")은 내주면에 하단부에 제1공간부(a)가 형성되고, 내주면 중간쯤에 제2공간부(b)가 형성되며, 제2공간부(b) 상부에 형성되는 나사홈의 내경은 고정볼트(25) 외경 보다 크게 형성되고, 제2공간부(b) 하부에 형성되는 나사홈의 내경은 고정볼트(25)의 외경과 같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3. 렌즈가 끼워지는 안경테(10) 측부에 후방으로 굴절되게 구비되어 후단부에 경첩이 구비되는 연결구(20)와; 연결구(20)의 경첩에 선단부가 제한된 각도 안에서 회전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안경다리(30)로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연결구(20')의 경첩은 연결구(20') 끝단에 상부가 개방되고 후방이 일정 각도 폭 개방되는 원통형의 기판(21')이 구비되어, 후방 개방부에 의해 안경다리(30')의 회전 이동 각을 제한 하는 스토퍼(24')가 형성되며, 기판(21')의 동심원 안쪽으로 돌출판(22')이 약간 상부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돌출판(22')의 동심원 안쪽으로 회전통(23')이 돌출되게 구비되고, 회전통(23)의 내주면에 나사홈이 형성되고, 내부 하단과 나사홈 하단 사이에 제1공간부(a')가 형성되며, 안경다리(30')는 연결구(20')의 회전통(23')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원판형 회전부(31')가 선단에 구비되며, 안경다리(30')의 회전부(31') 상부에 와셔(33)를 두고 고정볼트(25)가 회전통(23') 내주면에 나사 결합되며, 고정볼트(25)가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고정볼트(25)에 외력을 가해 더 회전시켜주면, 고정볼트(25) 하단부의 나사산이 회전통(23')의 제1공간부(a') 내주면에 나사홈을 강제적으로 형성시키면서 이동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며, 경사면으로 형성된 고정볼트(25)의 머리 저면이 와셔(33)의 내주면을 눌러 주어 탄발력을 갖고 변형된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KR1020190067776A 2019-06-10 2019-06-10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KR1020995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776A KR102099533B1 (ko) 2019-06-10 2019-06-10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776A KR102099533B1 (ko) 2019-06-10 2019-06-10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9533B1 true KR102099533B1 (ko) 2020-04-09

Family

ID=70275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7776A KR102099533B1 (ko) 2019-06-10 2019-06-10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95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68787A (zh) * 2023-02-24 2023-05-05 厦门嘉越光学有限公司 一种镜腿连接结构及眼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9198A (ja) * 2000-12-21 2002-07-05 Hasegawa Gankyo Kk 眼鏡用樹脂部品連結構造
KR200448466Y1 (ko) 2009-09-22 2010-04-13 장중태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
KR20110003203U (ko) * 2009-09-23 2011-03-30 이상탁 안경경첩의 풀림방지구조
KR20140042434A (ko) * 2012-09-28 2014-04-07 주식회사 디케이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체결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9198A (ja) * 2000-12-21 2002-07-05 Hasegawa Gankyo Kk 眼鏡用樹脂部品連結構造
KR200448466Y1 (ko) 2009-09-22 2010-04-13 장중태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
KR20110003203U (ko) * 2009-09-23 2011-03-30 이상탁 안경경첩의 풀림방지구조
KR20140042434A (ko) * 2012-09-28 2014-04-07 주식회사 디케이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체결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68787A (zh) * 2023-02-24 2023-05-05 厦门嘉越光学有限公司 一种镜腿连接结构及眼镜
CN116068787B (zh) * 2023-02-24 2024-04-30 厦门嘉越光学有限公司 一种镜腿连接结构及眼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80928A (en) Spring biased hinge for spectacle frames
KR101969215B1 (ko) 안경의 결합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안경
KR19990062442A (ko) 안경부품의 연결구조
KR101940376B1 (ko) 안경테와 안경 다리의 연결구조체
JP3040995B1 (ja) 眼鏡のレンズ止着機構
KR101779287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KR102099533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KR102054599B1 (ko) 안경테와 안경 다리의 연결구조체
KR100512893B1 (ko) 간단한 연결구조 및 무나사힌지를 갖는 안경
KR20180028153A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JP4798936B2 (ja) 眼鏡フレーム、丁番、眼鏡及び丁番の製造方法
KR101518133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KR102151667B1 (ko) 안경테와 안경 다리의 연결구조체
US3841741A (en) Eyeglass frame
KR101780938B1 (ko) 안경테
KR101965970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 구조
CN203178596U (zh) 眼镜框架
KR20170069504A (ko) 안경다리 연결구조체
KR102038216B1 (ko) 안경테와 안경 다리의 결합구조체
KR20190131940A (ko) 조립식 안경
JP3526842B2 (ja) 眼鏡の連結機構
KR102553670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
JPH09243970A (ja) 眼鏡用ヒンジ装置
KR200367300Y1 (ko) 안경테, 힌지 및 안경
KR101914059B1 (ko) 안경테와 힌지의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