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5970B1 -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 구조 - Google Patents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5970B1
KR101965970B1 KR1020170122310A KR20170122310A KR101965970B1 KR 101965970 B1 KR101965970 B1 KR 101965970B1 KR 1020170122310 A KR1020170122310 A KR 1020170122310A KR 20170122310 A KR20170122310 A KR 20170122310A KR 101965970 B1 KR101965970 B1 KR 101965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eyeglass
hole
frame
spectacl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2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3761A (ko
Inventor
김동학
김정순
Original Assignee
김동학
김정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학, 김정순 filed Critical 김동학
Priority to KR1020170122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5970B1/ko
Publication of KR20190033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37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5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59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18Resilient hing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경테와 안경다리가 각각의 결합위치에 결합을 위한 구조에 관한 것으로, 각각 안경테 결합부와 안경다리 결합부가 형성되어 안경테 결합부에 형성된 결합돌기가 안경다리 결합부에 형성된 결합홈에 내삽된 후 회전을 통해 결합함으로써 안경테와 안경다리가 용이하게 조립 및 제작될 수 있고, 결합위치 내부에는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재를 내삽하여 안경다리의 잦은 회동에도 마모되지 않고, 장기간 사용에도 결합력이 유지 가능한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 구조 {STRUCTURE OF COMBINATION WITH GLASSES A SPECTACLES FRAME AND BOW ON A PAIR OF SPERCTACLES}
본 발명은 안경테와 안경다리가 각각의 결합위치에 결합을 위한 구조에 관한 것으로, 각각 안경테 결합부와 안경다리 결합부가 형성되어 안경테 결합부에 형성된 결합돌기가 안경다리 결합부에 형성된 결합홈에 내삽된 후 회전을 통해 결합함으로써 안경테와 안경다리가 용이하게 조립 및 제작될 수 있고, 결합위치 내부에는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재를 내삽하여 안경다리의 잦은 회동에도 마모되지 않고, 장기간 사용에도 결합력이 유지 가능한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안경테는 종래의 금속 안경에 비해 착용감이 가볍고, 금형을 통한 사출 제조가 가능하기 때문에 대량 생산이 가능하며, 생산 단가를 낮춰 저렴한 공급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수요가 늘고 있는 추세이다.
이때, 안경의 면적을 조절하며, 사용자가 용이하게 안경을 착용할 수 있도록 안경테와 안경다리를 힌지로 연결하는데, 안경테 및 안경다리를 연결하여 안경다리를 회동시키는 힌지는 안경테와 함께 사출할 경우 사출 구조가 복잡해지며, 힌지의 기능이 저하된다는 점에서 함께 사출하는 방법은 주로 사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별도의 힌지를 구비하여 힌지 양 말단을 각각 안경테와 안경다리에 연결한 뒤 회동시킬 수 있도록 별도의 결합과정이 필요하다.
그러나 상기 결합과정은 힌지의 양 말단과 각각 결합될 안경테 및 안경다리에서 결합될 위치를 가열하여 녹인 뒤 힌지 말단을 접촉시킴으로써 고정 및 결합시키는데, 이는 가열로 인해 안경테 및 안경다리가 변형될 수 있고, 힌지가 지정된 위치에 맞게 결합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의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써,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2-0008638호에는 "안경 힌지 체결구조(이하, 선행특허)"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선행특허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에 관한 체결장치로 플라스틱으로 사출된 안경테에 홈을 가공하여 안경다리와의 체결을 위한 힌지로 안경테와는 가공홈에 끼워 넣어 나사로 조립되고 힌지의 끼우는 상태에서 안경테 보다 돌출되어 안정적으로 체결을 해주며 다양한 돌출 형태가 이루어져 미려한 외관을 형성된다고 기재되어 있다.
이때, 도 1을 살펴보면 알 수 있듯이, 돌봉(31)이 끼워진 힌지체결구조(30)는 안경테(10)에 끼워지되, 나사조임자리(14)와 돌봉끼움자리(13)에 체결부재가 나사결합되어야 한다.
그러나 상술된 선행특허의 경우 별도의 체결부재가 필요로 하며, 이러한 체결부재는 미세한 크기이기 때문에 결합하는데 시간 및 노력이 많이 소요된다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또한, 안경다리가 안경테와 결합된 부분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동될 경우 안경다리가 용이하게 접철되지 않고, 보관이 어렵다는 불편함 또한 존재한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2-0008638호 (2012.12.18.공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체결부재 및 결합과정 없이도 단순 조립으로 용이하게 결합 및 제작이 가능한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안경다리의 잦은 회동에도 결합된 구성이 마모되지 않고, 장시간 사용에도 결합력이 유지 가능한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안경다리 회동시 용이하게 회동되고, 회동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며, 안경테와 안경다리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 구조에 있어서,
안경테의 양 말단에 구비되며, 하측으로 돌출된 결합돌기(120)가 형성된 안경테 결합부(100) 및 상기 안경다리의 일측 말단에 구비되며, 상면이 함몰된 결합홈(220)이 형성된 안경다리 결합부(200)로 구성되되, 상기 결합돌기(120)의 하측 말단은 양 측면 방향으로 확장된 결합턱(121)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220) 내측 하부가 확장된 결합돌기 내삽홈(221)이 형성되며, 상기 안경테 결합부(110)와 상기 안경다리 결합부(200)가 상하방향으로 적층되어 상기 결합돌기(120)가 상기 결합홈(220) 내측으로 내삽된 후 회전함으로써 상기 안경테와 상기 안경다리가 결합된다.
또한, 안경테 결합부(100)는 상기 안경테와 일체화로 형성되고, 상기 안경다리 결합부(200)는 상기 안경다리와 일체화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안경테 결합부(100) 일측 말단은 상기 안경다리 측으로 돌출되며, 하면에 결합돌기(120)가 구비된 상부 결합구(110)가 형성되고, 상기 안경다리 결합부(200) 일측 말단은 상기 안경테 측으로 돌출되며, 상면에 상기 결합홈(220)이 구비된 하부 결합구(210)가 형성되되, 상기 하부 결합구(210) 상면에 상기 상부 결합구(110)가 적층되어 상기 결합돌기(120)가 상기 결합홈(220)으로 내삽되어 결합된다.
이때, 상부 결합구(110)는 외부측 외주면을 따라 하측으로 돌출된 제1 걸림돌기(101)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결합구(210)는 외부측 외주면을 따라 상측으로 돌출된 제2 걸림돌기(201)가 형성되되, 상기 상부 결합구(110)에 상기 하부 결합구(210)가 결합된 상태로 회동시 상기 제1 걸림돌기(101)와 상기 제2 걸림돌기(201)가 맞닿아 상기 하부 결합구(210)가 외측으로 회동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부 결합구(110)는 중앙을 중심으로 상기 하부 결합구(210)의 회동각도와 동일하게 관통된 가이드홈(140)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결합구(210)는 내측에 멈춤핀(231)이 구비되고, 하측으로 상기 멈춤핀(231)의 하단 일부가 내삽될 수 있도록 함몰된 멈춤핀 구비홀(230)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결합구(110)와 상기 하부 결합구(210)가 적층 결합시 상기 멈춤핀(231) 상부가 상기 가이드홈(140)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하부 결합구(210)의 회동시 상기 멈춤핀(231)은 상기 가이드홈(140) 내측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멈춤핀(231)이 상기 가이드홈(140) 말단과 맞닿으면 회동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결합돌기(120)는 하면 중앙으로부터 높이 방향을 따라 함몰된 인입홈(130)이 형성되며, 상기 인입홈(130) 내측에는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재(300)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부재(300)의 탄성력으로 상기 안경다리를 회동시킨다.
이때, 탄성부재(300)의 양 말단에는 볼(500)이 추가로 구비되며, 상기 안경다리 결합부(200)가 일정 각도 회동시 탄성력에 의해 일정한 힘으로 접철되거나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결합돌기 내삽홈(221) 내측 하부에 결합되는 탄성판(400)이 추가로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 구조는, 각각 안경테 결합부와 안경다리 결합부가 형성되어 안경테 결합부에 형성된 결합돌기가 안경다리 결합부에 형성된 결합홈에 내삽된 후 회전을 통해 결합함으로써 안경테와 안경다리가 용이하게 조립 및 제작될 수 있다는 효과를 보유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 결합구와 하부 결합구가 상하방향으로 적층되어 결합됨으로써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보유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 결합구와 하부 결합구 외측 돌출형성된 제1 및 2 걸림돌기가 형성됨으로써 안경다리가 외부 방향측으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보관이 간편하며,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보유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측 결합구에 형성된 멈춤핀이 상측 결합구의 가이드홈 내측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안경다리의 회동을 용이하게 하고, 안정적으로 회동할 수 있다는 효과를 보유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부재의 양 말단에 볼이 추가로 각각 형성됨으로써 안경다리 결합부가 일정 각도 회동시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접철되거나 펼쳐질 수 있다는 효과를 보유한다.
도 1은 종래의 선행기술을 나타낸 것이다.
도 2 및 2a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 구조의 구성을 단면사시도 및 분해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 구조의 결합된 모습을 평면도 및 측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 및 4a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단면사시도 및 분해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의 다른 실시예의 동작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사용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 당업자가 본 발명의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 구조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도면을 첨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및 2a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 구조의 구성을 단면사시도 및 분해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 구조의 결합된 모습을 평면도 및 측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안경테와 안경다리가 각각의 결합위치에 결합을 위한 구성이 형성되며 이를 통해 용이하게 조립 및 제작될 수 있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 구조에 관한 것으로, 안경테 결합부(100), 안경다리 결합부(200) 및 탄성부재(300)로 구성된다.
안경테 결합부(100)는 안경테(10)에서 안경다리(20)와 결합되는 위치인 안경테(10) 양측 말단에 형성되며, 안경다리 결합부(200)와 결합되어 결합된 부분을 중심으로 안경다리(20)가 회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안경테 결합부(100)는 안경테(10)의 양측 말단에 형성되되, 안경테(10)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으나 안경테 결합부(100)와 안경테(10)가 분리되어 제작자 또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다른 안경테(10)로 쉽게 교체 및 제작할 수 있다.
안경테 결합부(100)는 'ㄱ'자 형태로 구부러져 형성될 수 있으며, 안경다리 결합부(200)와 결합되는 일측 말단에는 상부 결합구(110)가 형성된다.
상부 결합구(110)는 원기둥 형태로 안경다리 결합부(200)의 일측 말단에 측면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부 결합구(110)의 높이는 안경테 결합부(100)의 높이의 절반 정도의 높이를 가지며, 상기 상부 결합구(110)의 하부에는 후술된 하부 결합구(210)가 위치하여 결합된다.
상부 결합구(110)의 하면에는 하측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돌기(120)가 형성되고, 결합돌기(120)의 하측 말단에는 측면방향으로 확장된 결합턱(121)이 형성된다.
결합턱(121)은 결합돌기(120)를 중심으로 일측면 방향과 상기 일측면 방향과 반대되는 타측방향이 동일하게 측면방향으로 돌출되어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또한, 결합돌기(120)의 중심에는 결합돌기(120)의 돌출된 높이를 따라 내측으로 함몰된 인입홀(130)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부 결합구(110)는 안경다리 결합부(200)와 결합된다.
안경다리 결합부(200)는 안경테(10)와 결합되는 안경다리(20)의 일측 말단에 형성되는데, 안경다리(20)와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으나 안경다리(20)와 분리되며, 제작자 또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원하는 안경다리(20)와 결합될 수 있도록 안경다리(20)와 안경다리 결합부(200)가 분리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안경다리 결합부(200)는 상술된 안경테 결합부(100)와 결합되는데, 상기 안경테 결합부(100)와 결합되는 일측 말단에는 안경다리 결합부(200)의 절반 높이로 측면방향으로 돌출된 하부 결합구(210)가 형성된다.
하부 결합구(210)는 상부 결합구(110)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상부 결합구(110)의 하면이 하부 결합구(210)의 상면과 맞닿아 결합된다.
이때, 하부 결합구(210)의 상면에는 결합턱(121)과 동일한 형상으로 함몰된 결합홈(220)이 형성되며, 결합홈(220)의 내측은 상기 결합홈(220)에 내삽되는 결합턱(121)이 회전할 수 있는 결합돌기 내삽홈(22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안경테 및 안경다리 결합부(100, 200)가 결합시 상부 결합구(110)의 하부에 하부 결합구(210)가 구비되면서, 결합돌기(120)가 결합홈(220)으로 내삽되며, 내삽된 결합돌기(120) 및 결합턱(121)은 회전하면서 결합돌기 내삽홈(221) 내측을 따라 회전되고, 회전한 결합턱(121)은 결합홈(220) 입구와 형상이 달라져 결합홈(220) 밖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안경테 결합부(100)와 안경다리 결합부(200)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상부 결합구(110)에 형성된 결합돌기(120)는 하부 결합구(210)으로 돌출되기 때문에 중력에 의해 하부 결합구(210)와 더욱 밀접하게 결합 및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안경테 및 안경다리 결합부(100,200)의 회동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인입홀(130) 내부에는 탄성부재(300)를 구비할 수 있다.
탄성부재(300)는 탄성력을 갖는 구성으로 도 2에서 살펴볼 수 있듯이 원기둥 형상의 회동부싱을 이용하거나, 도 2a와 같이 스프링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이러한 탄성부재(300)는 안경테 및 안경다리 결합부(100,200)가 서로 회동시 탄성력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결합돌기 내삽홈(221)의 하부에는 결합돌기(120)의 하면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탄성판(400)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탄성판(400)은 판스프링으로 구성되며, 결합돌기(120)가 결합홈(220) 내부로 인입시 탄성판(400)이 먼저 내삽되어 결합돌기 내삽홈(221) 하면에 구비되고, 내삽된 탄성판(400) 상면과 내삽된 결합돌기(120)의 하면이 맞닿게 된다(도 3의 B 참조).
이를 통해 개방된 인입홀(130)이 탄성판(400)에 의해 폐쇄되며, 탄성판(400)은 스프링 역할을 수행하여 결합돌기 내삽홈(221) 내부로 인입한 결합턱(121)이 결합돌기 내삽홈(221) 내측에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결합돌기(120)가 회동시 탄성판(400)으로부터 탄성력을 받아 용이하게 회동할 수 있다.
나아가 위와 같이 결합된 상부 및 하부 결합구(110,210)은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는 형태로 결합되면서 안경테 및 안경다리 결합부(100, 200)와 동일한 높이를 이뤄 돌출된 곳 없이 결합됨으로써 안경의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안경테 결합부(100)의 일측 말단의 높이와 동일하며, 상부 결합구(110)의 소정 길이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된 제1 걸림돌기(101)가 형성되고, 안경테 결합부(100)의 타측 말단측에는 측면 방향을 관통하여 형성된 체결홀(102)이 형성된다.
또한, 안경다리 결합부(200)의 일측 말단의 높이와 동일하며, 하부 결합구(210)의 소정 길이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된 제2 걸림돌기(201)가 형성될 수 있고, 타측 말단에는 말단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된 안경다리 결합돌기(202)가 형성되어 있다.
상술된 안경테 결합부(100)와 결합된 안경다리 결합부(200)가 계속 회전되어 안경다리(20)가 회동을 통해 외부방향으로 계속 회동될 수 있고, 회동 중 결합턱(121)과 결합홈(220)이 동일한 형상을 이루게 되면 결합턱(121)이 결합홈(220) 밖으로 나가 분리될 우려가 존재한다.
따라서, 도 3의 A와 같이 제1 걸림돌기(101)와 제2 걸림돌기(201)가 회동시 일정 회동각도 이후에는 서로 맞물려 더이상 회동될 수 없도록 할 수있다. 이때, 제1 및 2 걸림돌기(101,201)가 서로 맞물려 회동을 멈추는 경우는 사용자가 안경 착용을 위해 안경다리(20)를 안경테(10)로부터 펼치는 경우이고, 안경다리(20)가 일정 회동각도를 지나서는 외측으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안경테(10)와 안경테 결합부(1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홀(102)의 정면이 안경테(10)의 배면과 밀접하게 맞닿아 결합하며, 별도의 체결부재(B)가 체결홀(102)을 관통하고, 안경테(10)의 배면과 결합됨으로써 안경테(10)와 안경테 결합부(100)를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안경다리 결합부(200)는 타측 말단에 형성된 안경다리 결합돌기(202)가 안경다리(20)의 측면에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안경다리 결합홈(21) 내측으로 끼움결합되면서 안경다리 결합부(200)와 안경다리(20)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체결홀(102)과 안경다리 결합돌기(202)를 통해 각각 안경테(10)와 안경테 결합부(100), 안경다리(20)와 안경다리 결합부(200)를 결합시켜 조립 및 제작할 수 있다(도 3의 C 참조).
이때, 안경다리 결합돌기(202)는 안경다리 결합홈(21)의 내측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하고, 크기는 내측형상보다 조금 작게 제작하여 억지끼워맞춤결합될 수 있도록 하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한편, 상하측으로 적층되고, 상부 및 하부 결합구(110, 210)의 중앙을 중심으로 회동되기 때문에 안경테 및 안경다리 결합부(100,200)의 회동시 상하방향으로 흔들리거나 뒤틀릴 우려가 존재한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을 방지하며, 상부 및 하부 결합구(110, 210)의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키고, 결합구조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더욱 용이하게 회동될 수 있는 다른 실시예를 도 4 내지 6을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4 및 4a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단면사시도 및 분해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의 다른 실시예의 동작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사용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 상술한 내용을 제외한 다른 실시예만이 가지고 있는 기술적 특징 및 효과를 중점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부 결합구(110)의 하면에는 상부 결합구(110)와 결합된 하부 결합구(210)가 회동되는 거리를 따라 상측으로 함몰된 가이드홈(140)이 추가로 형성되며, 하부 결합구(210)에는 하부 결합구(210)의 상하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멈춤핀 구비홀(230)이 형성되며, 상기 멈춤핀 구비홀(230) 내측에는 멈춤핀(231)이 내삽된다.
이때, 멈춤핀(231)은 원기둥 형상이며, 가이드홈(140)과 멈춤핀 구비홀(230)은 멈춤핀(231)의 너비와 대응되는 형상의 너비로 함몰된다.
멈춤핀(231)은 하측의 일부가 멈춤핀 구비홀(230)의 내측에 내삽되고, 하부 결합구(210)와 결합되는 상부 결합구(110)는 멈춤핀(231)의 상부가 가이드홈(140) 내측에 구비되도록 결합되면서, 상부 결합구(110) 또는 하부 결합구(210)가 회동시 결합돌기(120) 및 결합홈(220)의 결합부분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됨과 동시에 멈춤핀(231)이 가이드홈(14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도 5의 A 및 B 참조).
또한, 가이드홈(140)을 따라 일정 각도로 회동되면 멈춤핀(231)의 가이드홈(140) 양 끝단과 닿으면서 더이상 회동되지 않도록 한다(도 5의 B 참조).
따라서, 이러한 구성을 통해 안정적으로 회동이 가능하며, 일정 각도 회동후에는 멈춤핀(231)에 의해 회동이 멈춤으로써 안경다리(20)가 일정각도로만 회동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인입홈(130) 내측으로 내삽되는 탄성부재(300) 외에도 상기 탄성부재(300)의 양 끝단에는 볼(500)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볼(500), 탄성부재(300), 볼(500) 순으로 인입홈(130)에 내삽된 뒤 결합돌기(120)가 결합홈(220)으로 인입되는데, 인입홈(130)의 최상면에는 반구 형상으로 상측 함몰된 제1 볼 인입홀(131)이 형성되고, 결합홈(220) 하면 중앙에도 동일한 반구 형상으로 하측 함몰된 제2 볼 인입홀(222)이 형성된다.
따라서, 한 쌍의 볼이(500)이 각각 제1 및 2 인입홀(131,222) 내측으로 위치하기 용이하다.
따라서, 회동시 탄성부재(300) 및 볼(500)로 인해 안경다리(20) 회동시 탄성력에 의해 일정한 힘으로 용이하게 회동된다.
상술된 안경테 및 안경다리 결합부(100, 200)는 도 6과 같이 안경테(10)와 안경다리(20)에 각각 결합하게 되며, 안경의 평면을 바라봤을때 상부 결합구(110)의 가이드홈(140)의 내측에는 멈춤핀(231)의 상면이 보여지며, 안경다리(20)의 회동에 따라 멈춤핀(231)이 가이드홈(140)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통해 안경테 결합부와 안경다리 결합부가 형성되어 안경테 결합부에 형성된 결합돌기가 안경다리 결합부에 형성된 결합홈에 내삽된 후 회전을 통해 결합함으로써 안경테와 안경다리가 용이하게 조립 및 제작될 수 있고, 결합위치 내부에는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재를 내삽하여 안경다리의 잦은 회동에도 마모되지 않고, 장기간 사용에도 결합력이 유지 가능하다는 효과를 보유한다.
한편, 상기에서 도 2 내지 6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 2 내지 6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10: 안경테 20: 안경다리
21: 안경다리 결합홈
100: 안경테 결합부 101: 제1 걸림돌기
102: 체결홀 110: 상부 결합구
120: 결합돌기 121: 결합턱
130: 인입홀 131: 제1 볼 인입홀
140: 가이드홈 200: 안경다리 결합부
201: 제2 걸림돌기 202: 안경다리 결합돌기
210: 하부 결합구 220: 결합홈
221: 결합돌기 내삽홈 222:제2 볼 인입홀
230: 멈춤핀 구비홀 231: 멈춤핀
300: 탄성부재 400: 탄성판
500: 볼

Claims (8)

  1. 안경테와 안경다리가 결합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안경테의 양 말단에 구비되며, 상기 안경다리 측으로 상부 결합구(110)가 돌출 형성된 안경테 결합부(100); 및
    상기 안경테 결합부(100)와 결합되는 상기 안경다리 일측 말단에 구비되며, 상기 안경테 측으로 하부 결합구(210)가 돌출 형성된 안경다리 결합부(200);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 결합구(110)의 하면에는 하부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돌기(120)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결합구(210)의 상면 중앙에는 상기 결합돌기(120)의 하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함몰된 결합홈(220)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120)의 하부 측면에는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결합턱(121);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220)의 내측 하부는 상기 결합턱(121)이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결합턱(121)이 돌출된 너비만큼 측면으로 함몰된 결합돌기 내삽홈(221);이 형성되며,
    상기 안경테 결합부(100)와 안경다리 결합부(220)가 결합시 상기 상부 결합구(110)가 상기 하부 결합구(210)의 상측에 적층되면서 상기 결합돌기(120)가 상기 결합홈(220)으로 내삽되고, 상기 결합턱(121)이 상기 결합돌기 내삽홈(221)을 따라 회전하여 상기 결합턱(121)이 상기 결합돌기 내삽홈(221)의 내측 상면에 걸려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테 결합부(100)는 상기 안경테와 일체화로 형성되고,
    상기 안경다리 결합부(200)는 상기 안경다리와 일체화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 구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결합구(110)는,
    외부측 외주면을 따라 하측으로 돌출된 제1 걸림돌기(101);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결합구(210)는,
    외부측 외주면을 따라 상측으로 돌출된 제2 걸림돌기(201);가 형성되되,
    상기 상부 결합구(110)에 상기 하부 결합구(210)가 결합된 상태로 회동시 상기 제1 걸림돌기(101)와 상기 제2 걸림돌기(201)가 맞닿아 상기 하부 결합구(210)가 외측으로 회동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결합구(110)는,
    중앙을 중심으로 상기 하부 결합구(210)의 회동각도와 동일하게 관통된 가이드홈(140);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결합구(210)는,
    내측에 멈춤핀(231)이 구비되고, 하측으로 상기 멈춤핀(231)의 하단 일부가 내삽될 수 있도록 함몰된 멈춤핀 구비홀(230);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결합구(110)와 상기 하부 결합구(210)가 적층 결합시 상기 멈춤핀(231) 상부가 상기 가이드홈(140)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하부 결합구(210)의 회동시 상기 멈춤핀(231)은 상기 가이드홈(140) 내측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멈춤핀(231)이 상기 가이드홈(140) 말단과 맞닿으면 회동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120)는,
    하면 중앙으로부터 높이 방향을 따라 함몰된 인입홈(130);이 형성되며,
    상기 인입홈(130) 내측에는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재(300)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부재(300)의 탄성력으로 상기 안경다리를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300)의 양 말단에는 볼(500);이 추가로 구비되며,
    상기 안경다리 결합부(200)가 일정 각도 회동시 탄성력에 의해 일정한 힘으로 접철되거나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 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 내삽홈(221) 내측 하부에 결합되는 탄성판(400);이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 구조.
KR1020170122310A 2017-09-22 2017-09-22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 구조 KR1019659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310A KR101965970B1 (ko) 2017-09-22 2017-09-22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310A KR101965970B1 (ko) 2017-09-22 2017-09-22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761A KR20190033761A (ko) 2019-04-01
KR101965970B1 true KR101965970B1 (ko) 2019-04-04

Family

ID=66104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2310A KR101965970B1 (ko) 2017-09-22 2017-09-22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59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83571B (zh) * 2019-06-14 2022-06-0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头戴式设备支架及头戴式设备
KR102481723B1 (ko) * 2020-02-14 2022-12-29 박찬영 금속제 전용 안경다리와 안경테의 힌지 연결을 위한 결합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05657A (ja) * 2012-03-28 2013-10-07 Kato Electrical Mach Co Ltd 眼鏡のテンプル用ヒンジ並びに眼鏡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0586B1 (ko) * 2010-12-22 2012-09-06 김영호 안경 구조
KR20120008638U (ko) 2011-06-08 2012-12-18 박성찬 안경 힌지체결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05657A (ja) * 2012-03-28 2013-10-07 Kato Electrical Mach Co Ltd 眼鏡のテンプル用ヒンジ並びに眼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761A (ko) 2019-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89166B (zh) 眼鏡腿鉸鏈及其結合結構和結合方法
KR101237838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
KR200468589Y1 (ko) 안경테의 착탈식 경첩구조
KR101572099B1 (ko) 안경의 안경다리 결합구조체
KR101965970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 구조
JP3079119U (ja) めがねユニット
KR101315601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 결합구조
KR101518133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KR101664666B1 (ko) 안경테의 안경다리 결합구조체
KR101469366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KR101625290B1 (ko) 합성수지 안경테의 보조안경테 결합구조체
KR20170005593A (ko) 안경테
CN203178596U (zh) 眼镜框架
KR101965959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 구조
KR101914059B1 (ko) 안경테와 힌지의 결합구조
KR102099533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KR200471547Y1 (ko) 디자인과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안경의 다리 결합구조
KR101540755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KR101925727B1 (ko) 탄성력을 이용한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
KR101846645B1 (ko) 안경다리 연결구조체
KR101511063B1 (ko) 안경테와 다리의 연결구
KR101883670B1 (ko) 안경용 림과 엔드피스의 조립구조
WO2016079767A1 (en) Joint for the articulation of glasses
KR20170003170U (ko) 탄성핀을 구비하는 결합이 용이한 안경다리
KR101798300B1 (ko) 안경다리 연결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