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170U - 탄성핀을 구비하는 결합이 용이한 안경다리 - Google Patents

탄성핀을 구비하는 결합이 용이한 안경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3170U
KR20170003170U KR2020160001123U KR20160001123U KR20170003170U KR 20170003170 U KR20170003170 U KR 20170003170U KR 2020160001123 U KR2020160001123 U KR 2020160001123U KR 20160001123 U KR20160001123 U KR 20160001123U KR 20170003170 U KR20170003170 U KR 2017000317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coupling
elastic pin
lens frame
coup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11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순
김사덕
Original Assignee
김정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순 filed Critical 김정순
Priority to KR20201600011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3170U/ko
Publication of KR201700031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17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18Resilient hinges
    • G02C5/2254Resilient hinges comprising elastic means other than coil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09Pivot bearings and hinge bolts other than screw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탄성핀를 구비하는 결합이 용이한 안경다리에 관한 것으로, 관형상의 탄성부재를 이용하여 안경다리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렌즈를 결합하는 렌즈프레임(10)에 결합되는 결합부재(20);와 상기 결합부재(20)에 결합되는 안경다리(30); 및 상기 결합부재(20)와 안경다리(30)를 힌지결합시키기 위한 탄성핀(4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핀을 구비하는 결합이 용이한 안경다리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탄성핀을 구비하는 결합이 용이한 안경다리{SPECTALE TEMPLE BEING EASILY CONNECTED WITH SUPPORTING PIN}
본 고안은 탄성핀을 구비하는 결합이 용이한 안경다리에 관한 것으로, 관형상의 탄성부재를 이용하여 안경다리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의 경우 안경렌즈를 결합하는 렌즈프레임의 일측에 회동이 가능한 절첩식 안경다리가 구비되는 형태로 안경테가 형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안경테의 구조상 안경다리와 렌즈프레임을 결합하는 방법 들이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다.
그중 대표적인 것으로는 힌지결합을 위해 체결볼트를 적용한 것이 있으며, 또는 안경다리에 결합구조를 일체형으로 형성한 후, 렌즈프레임에 강제끼움 형태로 결합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앞서 설명한 체결볼트를 이용하는 방법은 사용이 거듭될 수록 체결볼트의 체결력이 저하되어 렌즈프레임과 안경다리가 각각 이격되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강제끼움 형태의 경우에도 결합시 또는 장시간 사용시 이음부가 마모되어 이탈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기도 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3-0002541호(판스프링을 구비한 안경, 2013. 04. 29.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37146호(안경다리를 위한 탄성 연결부를 구비한 안경테, 2010. 012. 30.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92195호(개량된 힌지 조립체를 구비한 플라스틱 안경, 2014. 04. 29. 등록)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렌즈프레임에 안경다리를 결합작업이 용이하며, 반복적인 사용에 의해 렌즈프레임에서 안경다리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탄성핀를 구비하는 결합이 용이한 안경다리를 제공하는 것을 본 고안의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경테와 안경다리를 결합하는 핀을 탄성력을 구비하는 관형태의 탄성핀을 적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렌즈를 결합하는 렌즈프레임(10)에 결합되는 결합부재(20);와 상기 결합부재(20)에 결합되는 안경다리(30); 및 상기 결합부재(20)와 안경다리(30)를 힌지결합시키기 위한 탄성핀(4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핀을 구비하는 결합이 용이한 안경다리를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결합부재(20)는 일측단부에 내측으로 함몰된 체결홈(21)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21)의 외측면 일측에는 평면부(25)가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곡면부(24)가 형성되며, 체결홈(21)의 타측에 연장되는 일측에 레일홈(23)이 형성되며, 상기 레일홈(23)의 외측면 일측에 걸림홈(22)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핀(40)은 관형태의 탄성체로 일측면이 개방된 개방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탄성력을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개방부는 톱니형개방부(41A) 또는 일자형개방부(41B) 중 어느 하나를 적용하게 되며, 상기 체결홈(21)의 일측에는 탄성핀(40)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해 내주면 일측에 체결턱(21a)이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안경다리(30)의 일측에는 결합부재(20)의 일부를 내삽할 수 있도록 한쌍의 결합날개(31)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날개에는 탄성핀(40)을 내삽할 수 있는 홈(31a)이 형성되어, 결합부재(20)의 체결홈(21)에 대응하도록 하여, 탄성핀(40)을 안경다리(30) 및 결합부재(20)에 관통되도록 삽입하여 힌지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핀을 구비하는 결합이 용이한 안경다리를 제공함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을 보다 잘 달성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는 렌즈프레임의 형상에 따라 일측에 체결홈이 형성되어 탄성핀이 내삽될 수 있도록 형성되되, 일자형 또는 'L'형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와 같은 결합부재는 렌즈프레임에 강제끼움결합 또는 렌즈프레임을 사출할 때 인서트몰딩을 통하여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핀을 구비하는 결합이 용이한 안경다리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탄성핀을 구비하는 결합이 용이한 안경다리를 제공함으로써, 렌즈프레임에 안경다리를 결합작업이 용이하며, 반복적인 사용에 의해 렌즈프레임에서 안경다리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힌지의 교체 및 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고안의 구성을 도시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결합부재(20)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결합부재(20)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렌즈프레임(10)과 결합부재(20)의 구조를 도시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렌즈프레임(10)과 결합부재(20)의 결합구조를 도시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탄성핀(40)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50)의 평면도이다.
이하에서 당업자가 본 고안의 탄성핀를 구비하는 결합이 용이한 안경다리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고안의 구성을 도시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결합부재(20)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결합부재(20)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렌즈프레임(10)과 결합부재(20)의 구조를 도시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렌즈프레임(10)과 결합부재(20)의 결합구조를 도시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고안의 탄성핀(40)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고안의 다리결합이 용이한 안경테는 렌즈를 삽설하는 렌즈프레임(10)과 상기 렌즈프레임(10)에 결합되는 결합부재(20)와 상기 결합부재(20)에 대응하는 안경다리(30)와 상기 안경다리(30)와 결합부재(20)에 내삽되어 결합되는 탄성핀(40)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부재(20)는 일측 단부에 내측으로 함몰된 체결홈(21)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21)의 일측에는 평면부(25)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곡면부(2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체결홈(21)의 타측에 연장되는 일측에 레일홈(23)이 형성되며, 일측에 걸림홈(22)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체결홈(21)에는 탄성핀(40)가 내삽되어 결속된다.
상기와 곡면부(24)는 안경다리(30)가 회동할 때, 방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곡면처리하여 곡면부가 형성된다.
상기 결림홈(22)은 렌즈프레임(10)의 일측에 내삽할 때, 렌즈프레임(10)의 일측에 형성되는 결합홈(11)에 내삽하여 결속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결합홈(11)은 결합부재(20)와 렌즈프레임(10)에 끼워맞춤으로 결합하거나, 렌즈프레임(10)을 사출할 때, 인서트몰딩의 방법으로 일체형으로 형성하기도 한다.
또한, 상기 체결홈(21)의 일측에는 체결턱(21a)이 더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와 같은 체결턱(21a)은 곡면부(24)가 형성된 측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내측에 내삽되는 탄성핀(40)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결합부재(20)에 체결되는 안경다리(30)는 일측에 결합부재(20)를 내삽할 수 있도록 한쌍의 결합날개(31)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날개에는 탄성핀(40)를 내삽할 수 있도록 홈(31a)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안경다리(30)의 결합날개(31)의 사이에 결합부재(20)의 일측을 내삽하고, 체결홈(21)이 홈(31a)에 위치하도록 한 후, 탄성핀(40)를 가압하여 내삽한 후 압력을 제거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탄성핀(40)는 관형태의 탄성체로 일측면이 개방되는 개방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탄성력을 유지하게 하는 것으로, 일자형개방부(41B)와 톱니형개방부(41A)가 적용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탄성핀(40)를 안경다리(30)를 관통하여 결합부재(20)에 내삽한 후 압력을 제거하면 체결홈(21)에 밀착되고, 체결홈(21)의 일측에 형성되는 체결턱(21a)에 의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탄성핀(40)를 이용하여 장시간 사용시에도 안경다리(30)가 결합되는 결합부분의 마모가 있어도 결합력을 상실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탄성핀를 구비하는 결합이 용이한 안경다리는 다양한 실시형태가 제공될 수 있는데, 렌즈프레임에 내삽하는 일자형의 결합부재(20) 이외에 'L'형의 결합부재(50)가 적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인 도 7과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50)의 평면도이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50)는 일측에 체결홈(51)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51)과 연장된 측면에 결합돌기(53)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홈(51)과 연장되어 절곡된 일측 단부에는 렌즈프레임(60)의 결합홈(61)에 내삽될 수 있도록 결합턱(52)이 더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결합부재(50)는 'L'형으로 절곡되어 형성되어 렌즈프레임(60)의 일측에 결합하거나 렌즈프레임(60) 사출시 인서트몰딩 방법 등을 이용하여 일체형으로 형성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결합부재(50)의 체결홈(51)에 탄성핀(40)와 안경다리(30)를 결합하여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10 : 렌즈프레임 11 : 결합홈
20 : 결합부재 21 : 체결홈
21a : 체결턱 22 : 걸림홈
23 : 레일홈 24 : 곡면부
25 : 평면부 30 : 안경다리
31 : 결합날개 31a : 홈
40 : 탄성핀

Claims (8)

  1. 탄성을 유지하는 안경다리에 있어서,
    렌즈프레임(10)에 결합되는 결합부재(20);와
    상기 결합부재(20)에 결합되는 안경다리(30); 및
    상기 결합부재(20)와 안경다리(30)를 힌지결합시키기 위한 탄성핀(4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핀을 구비하는 결합이 용이한 안경다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20)는 일측단부에 내측으로 함몰된 체결홈(21)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21)의 외측면 일측에는 평면부(25)가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곡면부(24)가 형성되며, 체결홈(21)의 타측에 연장되는 일측에 레일홈(23)이 형성되며, 상기 레일홈(23)의 외측면 일측에 걸림홈(2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핀을 구비하는 결합이 용이한 안경다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핀(40)은 관형태의 탄성체로 일측면이 개방된 개방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탄성력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핀을 구비하는 결합이 용이한 안경다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는 톱니형개방부(41A) 또는 일자형개방부(41B)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핀을 구비하는 결합이 용이한 안경다리.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21)의 일측에는 탄성핀(40)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해 내주면 일측에 체결턱(21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핀을 구비하는 결합이 용이한 안경다리.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다리(30)의 일측에는 결합부재(20)의 일부를 내삽할 수 있도록 한쌍의 결합날개(31)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날개에는 탄성핀(40)을 내삽할 수 있는 홈(31a)이 형성되어, 결합부재(20)의 체결홈(21)에 대응하도록 하여, 탄성핀(40)을 안경다리(30) 및 결합부재(20)에 관통되도록 삽입하여 힌지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핀을 구비하는 결합이 용이한 안경다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일측에 체결홈이 형성되어 탄성핀이 내삽될 수 있도록 형성되되, 일자형 또는 'L'형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핀을 구비하는 결합이 용이한 안경다리.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렌즈프레임에 강제끼움결합 또는 렌즈프레임을 사출할 때 인서트몰딩을 통하여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핀을 구비하는 결합이 용이한 안경다리.
KR2020160001123U 2016-03-02 2016-03-02 탄성핀을 구비하는 결합이 용이한 안경다리 KR2017000317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123U KR20170003170U (ko) 2016-03-02 2016-03-02 탄성핀을 구비하는 결합이 용이한 안경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123U KR20170003170U (ko) 2016-03-02 2016-03-02 탄성핀을 구비하는 결합이 용이한 안경다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170U true KR20170003170U (ko) 2017-09-12

Family

ID=60571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1123U KR20170003170U (ko) 2016-03-02 2016-03-02 탄성핀을 구비하는 결합이 용이한 안경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3170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2559B1 (ko) 2018-03-27 2018-10-26 윤예지 안경관절부의 탄성장치
WO2021225206A1 (ko) * 2020-05-06 2021-11-11 주식회사 정스옵티칼 안경 결합힌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7146A (ko) 2009-06-22 2010-12-30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광반응성 키토산 유도체 및 그의 용도
KR20130002541U (ko) 2011-10-19 2013-04-29 이성백 판스프링을 구비한 안경
KR101392195B1 (ko) 2013-01-15 2014-05-08 주식회사 이노 (Inno) 개량된 힌지 조립체를 구비한 플라스틱 안경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7146A (ko) 2009-06-22 2010-12-30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광반응성 키토산 유도체 및 그의 용도
KR20130002541U (ko) 2011-10-19 2013-04-29 이성백 판스프링을 구비한 안경
KR101392195B1 (ko) 2013-01-15 2014-05-08 주식회사 이노 (Inno) 개량된 힌지 조립체를 구비한 플라스틱 안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2559B1 (ko) 2018-03-27 2018-10-26 윤예지 안경관절부의 탄성장치
WO2021225206A1 (ko) * 2020-05-06 2021-11-11 주식회사 정스옵티칼 안경 결합힌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2895B2 (en) Eyeglasses structure
KR101237838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
KR20110086212A (ko) 조립이 용이한 안경테
US9684188B2 (en) Frame joint and hinge for eyewear
KR20160046503A (ko) 플라스틱소재 안경테와 금속소재 안경다리의 연결구조
KR20170003170U (ko) 탄성핀을 구비하는 결합이 용이한 안경다리
KR20190026865A (ko) 안경 프레임의 구성 부품을 부착하기 위한 부착 장치 및 상기 부착 장치를 포함하는 안경
KR101477040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
KR101965970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 구조
KR20110131884A (ko) 안경다리 연결구조
KR101511063B1 (ko) 안경테와 다리의 연결구
KR101497903B1 (ko) 걸림구조를 갖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체
KR101531214B1 (ko) 안경다리 및 연결구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체
KR101059852B1 (ko) 안경테의 안경다리 탄성 구조
KR101965959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 구조
KR200478747Y1 (ko) 안경테와 힌지의 결합구조
KR20100010777U (ko) 안경의 조립구조
KR20110008435U (ko) 판스프링에 의해서 탄성을 가지는 합성수지 안경용 힌지
KR20170069504A (ko) 안경다리 연결구조체
CN214795462U (zh) 一种新型眼镜
KR102586408B1 (ko) 안경용 힌지 결합 구조체
KR200471547Y1 (ko) 디자인과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안경의 다리 결합구조
KR101194956B1 (ko) 안경의 안경다리 연결 구조
KR20100009301U (ko) 폴리아미드소재의 안경테
KR101668376B1 (ko) 걸림구조를 갖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