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9301U - 폴리아미드소재의 안경테 - Google Patents

폴리아미드소재의 안경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9301U
KR20100009301U KR2020090002902U KR20090002902U KR20100009301U KR 20100009301 U KR20100009301 U KR 20100009301U KR 2020090002902 U KR2020090002902 U KR 2020090002902U KR 20090002902 U KR20090002902 U KR 20090002902U KR 20100009301 U KR20100009301 U KR 2010000930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frame
hinge
polyamide material
lens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29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봉주
Original Assignee
조봉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봉주 filed Critical 조봉주
Priority to KR20200900029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9301U/ko
Publication of KR201000093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30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08Spectacles frames characterized by their material, material structure and material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09Pivot bearings and hinge bolts other than screws

Abstract

본 고안은 폴리아미드소재로 이루어진 안경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팅가능한 연결부재를 구비하여 안경프레임과 안경다리를 연결함으로써 연결부재를 통해 피팅이 이루어질 수 있는 폴리아미드소재로 이루어진 안경테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폴리아미드소재의 안경테는 한쌍의 렌즈를 고정하며 각각 선단부에 힌지부가 돌출 형성된 렌즈프레임과, 상기 렌즈프레임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쌍의 안경다리와,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일단이 상기 한쌍의 안경다리의 선단부에 매입 고정되고 이로부터 연장된 선단부로부터 분지되어 상기 힌지부와 힌지 결합되는 한쌍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프레임과 한쌍의 안경다리는 폴리아미드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폴리아미드, 안경테, 안경다리, 연결부재, 피팅, TR-90

Description

폴리아미드소재의 안경테{Glass frame made of polyamide material}
본 고안은 폴리아미드소재로 이루어진 안경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팅가능한 연결부재를 구비하여 안경프레임과 안경다리를 연결함으로써 연결부재를 통해 피팅이 이루어질 수 있는 폴리아미드소재로 이루어진 안경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테는 그 재질에 따라 크게 두 종류로 구별될 수 있다. 그 하나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금속테이며, 다른 하나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뿔테이다.
안경테는 렌즈를 고정하는 렌즈프레임과, 상기 렌즈프레임의 양측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귀에 걸 수 있도록 후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된 안경다리와, 상기 렌즈프레임에 안경다리를 절첩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안경테는 안경점에서 안경을 맞추어 처음 착용할 때, 안경사에 의해 안경다리의 귀걸이부분이 사용자의 귀에 안착된 상태에서 귀와 두상에 대응하여 밀착이 이루어지도록 적절한 피팅(fitting)이 이루어진다.
안경테의 피팅은 금속테의 경우는 공구를 사용하여 렌즈프레임과 안경다리의 연결부를 오므리거나 벌려서 사용자의 얼굴과 두상에 맞게 조절한다.
또한, 일반적인 뿔테의 경우에는 안경점에 구비된 피팅 전용히터를 사용하여 안경다리와 렌즈프레임을 가열하여 피팅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에 뿔테소재로 각광받고 있는 폴리아미드(polyamide) 재질의 스위스 EMS사에서 개발한 상품명 "TR-90"소재를 사용하여 제작된 안경테는 굽힘강도가 높아 폴리카보네이트 재질에 비하여 잘 부러지지 않고 탄성력이 매우 높고 가벼운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안경점에 구비된 피팅 전용히터로는 재질의 특성상 소성변형이 용이하지 않아 사용자의 얼굴과 두상에 맞추어 적절하게 피팅을 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즉, 상기 폴리아미드 소재는 열가소성 수지이나 상기와 같이 일반안경점에 구비된 피팅 전용히터로는 변형이 잘 이루어지지 못하거나 장시간 가열하여야 하기 때문에 고객의 요구에 따라 바로바로 피팅을 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에는 안경렌즈가 사용자의 시력에 따라 어느 정도 휘어진 구면렌즈 형태로 제작이 되었으나 최근에는 렌즈 가공기술이 발전하여 커브가 없는 비구면 렌즈도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일반적인 안경테는 대부분 구면 렌즈 즉, 일반 렌즈를 사용하는 상태로 제작이 되기 때문에 비구면 렌즈를 장착할 경우 안경테의 렌즈프레임은 굴곡진 상태에서 평면구도로 변형이 될 수밖에 없고, 안경다리 또한 밖으로 벌어질 수밖에 없다.
이 경우 일반적인 뿔테는 피팅 전용히터로 가열하여 피팅을 하면 되지만, 폴 리아미드소재 안경테의 경우는 가열에 의한 피팅이 용이하지 못하므로 이런 상황을 예측하여 다리부분을 약간 안쪽으로 휘어지도록 제작한다.
하지만, 그 효과가 미흡하기 때문에 사용자 개개인의 취향에 맞추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폴리아미드소재 안경테는 피팅이 용이하지 못하므로 사용자가 착용감이 떨어져도 불편을 감수하고 착용해야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폴리아미드소재로 이루어진 안경테의 렌즈프레임과 안경다리를 피팅가능한 연결부재를 구비하여 연결함으로써 공구를 사용하여 연결부재를 통해 손쉽게 피팅을 할 수 있는 폴리아미드소재의 안경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 개개인의 취향에 맞도록 적절한 피팅을 할 수 있어 착용감이 우수한 폴리아미드소재의 안경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미세한 피팅을 할 수 있는 폴리아미드소재의 안경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폴리아미드소재의 안경테는 한쌍의 렌즈를 고정하며 각각 선단부에 힌지부가 돌출 형성된 렌즈프레임과, 상기 렌즈프레임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쌍의 안경다리와,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일단이 상 기 한쌍의 안경다리의 선단부에 매입 고정되고 이로부터 연장된 선단부로부터 분지되어 상기 힌지부와 힌지 결합되는 한쌍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프레임과 한쌍의 안경다리는 폴리아미드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쌍의 연결부재 각각은 상기 한쌍의 안경다리의 성형시에 인서트몰딩에 의해 매입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제1 연결판과, 상기 제1 연결판으로부터 일정각도로 절곡되어 연장된 제2 연결판과, 상기 제2 연결판의 선단으로부터 분지되며 렌즈프레임의 힌지부 상하측에 힌지 결합되는 한쌍의 힌지판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한쌍의 연결부재 각각은 상기 한쌍의 안경다리의 성형시에 인서트몰딩에 의해 매입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으로부터 곡선 형태로 휘어진 하나의 연결판과, 상기 연결판의 선단으로부터 분지되며 렌즈프레임의 힌지부 상하측에 힌지 결합되는 한쌍의 힌지판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부재의 제1 연결판과 제2 연결판의 폭은 고정판의 폭보다 점차적으로 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의 고정판에는 다수의 돌기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폴리아미드소재의 안경테는 렌즈프레임과 안경다리를 피팅가능한 연결부재로 연결함에 따라 공구를 사용하여 연결부재를 압박하거나 벌려서 용이하게 미세한 피팅을 할 수 있으므로, 피팅의 편리성과 사용 자에게 우수한 착용감을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폴리아미드소재 안경테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연결부재의 제작공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4a 및 4b는 본 고안에 따른 폴리아미드 소재의 안경테의 피팅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른 연결부재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폴리아미드소재, 예를들어 상품명 "TR-90"소재의 안경테(1)는 한쌍의 렌즈를 고정하는 렌즈프레임(10)과, 상기 렌즈프레임(10)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쌍의 안경다리(20)와, 상기 렌즈프레임(10)과 한쌍의 안경다리(20) 사이를 절첩 가능하게 연결하며, 일단이 한쌍의 안경다리(20)에 매입고정되고 타단이 렌즈프레임(10)과 힌지 결합되는 한쌍의 연결부재(30)를 포함한다.
상기 한쌍의 연결부재(30)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각각 안경다리(20)의 성형시에 인서트몰딩에 의해 매입되는 고정판(31)과, 상기 고정판(31)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제1 연결판(32)과, 상기 제1 연결판(32)으로부터 일정각도로 내향 절곡되어 연장된 제2 연결판(33)과, 상기 제2 연결판(33)의 선단으로부터 분지되며 렌즈프레임(10)의 힌지부(13) 상하측에 힌지결합되는 한쌍의 힌지판(3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렌즈프레임(10)은 강하고 유연성이 탁월하며 가벼운 폴리아미드 소재로 형성되며, 중앙에는 브리지(12)가 일체로 형성되고, 양측에는 상기 안경다리(20)가 결합되는 힌지부(13)가 돌출 형성되며, 1쌍의 렌즈(미도시)를 고정한다. 또한, 중앙 내측에는 코받침(11)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의 코등과 접촉한다.
상기 힌지부(13)는 렌즈프레임(10)의 각 선단부로부터 안경다리(20)의 선단부(21) 폭만큼 내측으로 변위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경다리(20)는 강하고 유연성이 탁월하며 가벼운 폴리아미드 소재로 직선 형태로 형성되며, 그 선단부(21)가 상기 연결부재(30)를 통하여 렌즈프레임(10)의 힌지부(13)에 연결되고 후단부는 사용자의 귀에 걸어지도록 귀걸이부(22)부가 곡선형태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재(30)는 렌즈프레임(10)과 안경다리(20)를 연결하는 구성부이다.
이러한 연결부재(30)는 도 3을 참고하면,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등의 얇은 금속판을 소정의 형상으로 판금가공한 다음, 상기 고정판(31)의 제1 절곡부(35)를 통해 직각으로 절곡하여 제1 연결판(32)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연결판(31)의 제2 절곡부(36)를 통해 일정각도로 절곡하여 제2 연결판(33)을 형성하며, 제2 연결판(33)의 선단으로부터 직각으로 분지되며 각각 힌지축 역할을 하는 힌지나사(2)가 체결되는 관통구멍(34a,34b)이 형성된 한쌍의 힌지판(34)을 상기 제2 연결판(33)과 직각되게 절곡시켜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연결판(32)과 제2 연결판(33)의 폭은 고정판(31)의 폭보다 점차적으로 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 절곡부(35) 및 제2 절곡부(36)를 통해 절곡작업과 피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2 연결판(33)은 제1 연결판(32)으로부터 60ㅀ~ 100ㅀ사이에서 절곡되어, 상기 렌즈프레임(10)의 힌지부(13) 형태와 안경다리(20)의 다양한 형태에 맞추어 상기 안경다리(20)가 렌즈프레임(10)의 양측에 수직하게 결합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재(30)는 안경다리(20)를 사출 성형할 때 안경다리(20) 선단부(21)의 내측에 상기 고정판(31)이 인서트 되어 안경다리(20)에 일체로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연결판(32), 제2 절곡부(36), 제2 연결판(33) 및 힌지판(34)은 안경다리(20)의 내측으로 돌출 배치되어, 상기 한쌍의 힌지판(34)이 렌즈프레임(10)의 양측에 형성된 힌지부(13)의 상하측에 결합되고, 힌지나사(2)에 의해 결합되어 렌즈프레임(10) 양측에 안경다리(20)를 절첩 가능하게 연결한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30)의 고정판(31)에는 다수의 돌기부(37)를 연장 형성하여 상기 안경다리(20)의 선단부(21)에 인서트시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폴리아미드 소재 안경테(1)의 피팅을 도 4a와 도 4b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경다리(20)로부터 돌출된 연결부재(30)의 힌지판(34)을 렌즈프레임(10)의 힌지부(13)에 결합한 후 힌지나사(2)를 체결한다. 그 후, 안경테(1)를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피팅을 실시한다.
만약, 안경다리(20)의 폭을 좁힐때에는 상기 렌즈프레임(10)과 안경다리(20)를 연결하고 있는 연결부재(30)의 힌지판(34) 및 렌즈프레임(10)의 힌지부(13)와 안경다리(20)의 선단부(21)를 공구를 사용하여 적당한 힘으로 압박을 가하면 도 4b와 같이, 상기 제2 절곡부(36)가 점차적으로 구부러지면서 안경다리(20) 전체가 내측으로 이동한다.
또한, 반대로 상기 제2 절곡부(36)를 공구를 사용하여 도 4a와 같이 제1 연결판(32)과 제2 연결판(33) 사이의 각도를 펴주면 안경다리(20) 전체가 외측으로 이동하여 안경다리(20)의 폭이 넓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자의 얼굴 폭에 맞추어 안경다리(20)의 폭을 조정한다.
이 상태에서 공구를 사용하여 상기 제1 연결판(32)을 조금씩 내측으로 휘거나 외측으로 휘어주는 방식으로 안경다리(20)의 폭을 조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폴리아미드소재의 안경테는 피팅가능한 연결부재를 구비함에 따라 사용자의 얼굴과 두상의 크기, 취향에 맞추어 미세하게 적절한 피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연결부재(30)가 2단 절곡된 제1 및 제2 연결판(32,33)으로 이루어진 구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31)으로부터 곡선 형태로 휘어진 하나의 연결판(38)을 통하여 그 선단부에 한쌍의 힌지판(34)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연결판(38)의 형상은 다른 구조로 변형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본 고안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 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폴리아미드소재의 안경테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연결부재의 제작공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4a 및 4b는 본 고안에 따른 폴리아미드 소재의 안경테의 피팅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른 연결부재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안경테 2: 힌지나사
10: 렌즈프레임 11: 브리지
12: 코받침 13: 힌지부
20: 안경다리 21: 선단부
22: 귀걸이부 30: 연결부재
31: 고정판 32: 제1 연결판
33: 제2 연결판 34: 힌지판
34a, 34b: 관통구멍 35: 제1 절곡부
36: 제2 절곡부 37: 돌기부
38: 연결판

Claims (5)

  1. 한쌍의 렌즈를 고정하며 각각 선단부에 힌지부가 돌출 형성된 렌즈프레임과,
    상기 렌즈프레임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쌍의 안경다리와,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일단이 상기 한쌍의 안경다리의 선단부에 매입 고정되고 이로부터 연장된 선단부로부터 분지되어 상기 힌지부와 힌지 결합되는 한쌍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프레임과 한쌍의 안경다리는 폴리아미드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소재의 안경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연결부재 각각은 상기 한쌍의 안경다리의 성형시에 인서트몰딩에 의해 매입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제1 연결판과, 상기 제1 연결판으로부터 일정각도로 절곡되어 연장된 제2 연결판과, 상기 제2 연결판의 선단으로부터 분지되며 렌즈프레임의 힌지부 상하측에 힌지 결합되는 한쌍의 힌지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소재의 안경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연결부재 각각은 상기 한쌍의 안경다리의 성형시에 인서트몰딩에 의해 매입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으로부터 곡선 형태로 휘어진 하나의 연결판과, 상기 연결판의 선단으로부터 분지되며 렌즈프레임의 힌지부 상하측에 힌지 결합되는 한쌍의 힌지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소재의 안경테.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제1 연결판과 제2 연결판의 폭은 고정판의 폭보다 점차적으로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소재의 안경테.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고정판에는 다수의 돌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소재의 안경테.
KR2020090002902U 2009-03-13 2009-03-13 폴리아미드소재의 안경테 KR2010000930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2902U KR20100009301U (ko) 2009-03-13 2009-03-13 폴리아미드소재의 안경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2902U KR20100009301U (ko) 2009-03-13 2009-03-13 폴리아미드소재의 안경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301U true KR20100009301U (ko) 2010-09-27

Family

ID=44199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2902U KR20100009301U (ko) 2009-03-13 2009-03-13 폴리아미드소재의 안경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9301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8066B1 (ko) 2015-01-05 2016-07-08 (주)월드트렌드 안경테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안경테
KR20190001095U (ko) * 2017-10-31 2019-05-09 김현창 수제안경 제작용 diy 키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8066B1 (ko) 2015-01-05 2016-07-08 (주)월드트렌드 안경테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안경테
KR20190001095U (ko) * 2017-10-31 2019-05-09 김현창 수제안경 제작용 diy 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0217125B2 (en) Flexible eyewear frame with rigid lens retainer
US8414120B2 (en) Eyeglass frame, an eyeglass hinge, and a method of assembling a hinge for an eyeglass frame
US5748280A (en) Rimless eyeglasses having a single wire bridge and removable lenses
KR101237838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
EP1350134B1 (en) Rimless spectacles with lens holding stability
JP3110736B1 (ja) リムレス眼鏡フレームおよびリムレス眼鏡
KR100512893B1 (ko) 간단한 연결구조 및 무나사힌지를 갖는 안경
KR20100009301U (ko) 폴리아미드소재의 안경테
MX2013010903A (es) Anteojos.
KR102204946B1 (ko) 안경용 힌지
JPH1039261A (ja) ヒンジレス眼鏡テンプルの折り畳み機構
JP3174311U (ja) メガネフレーム
KR102500182B1 (ko) 무용접 안경테
KR200455234Y1 (ko) 플라스틱 안경테용 탄성힌지
JP2003255275A (ja) ヒンジ無し眼鏡テンプル
JP4115127B2 (ja) 眼鏡フレーム及び眼鏡
KR200286676Y1 (ko) 안경테
KR200203211Y1 (ko) 안경다리
JP2003233034A (ja) 眼 鏡
JPS6144181Y2 (ko)
JP3023837U (ja) 眼鏡における弾力ブラケット智の埋込構造
JP3011263U (ja) 眼鏡用サイドジョイント
KR20230056957A (ko) 안경용 힌지 어셈블리
TWM581211U (zh) No screw glasses structure improvement - model four
JP3003714U (ja) メガネフレームのリム連結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