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3211Y1 - 안경다리 - Google Patents

안경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3211Y1
KR200203211Y1 KR2020000016212U KR20000016212U KR200203211Y1 KR 200203211 Y1 KR200203211 Y1 KR 200203211Y1 KR 2020000016212 U KR2020000016212 U KR 2020000016212U KR 20000016212 U KR20000016212 U KR 20000016212U KR 200203211 Y1 KR200203211 Y1 KR 2002032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es
core material
spectacles
leg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62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요섭
Original Assignee
박요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요섭 filed Critical 박요섭
Priority to KR20200000162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32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32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32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16Side-members resilient or with resilient par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경 다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합성수지재로 된 안경 다리의 표피부에 매설된 심재를 폭이 넓고 두께가 얇게 형성함으로써 상하 절곡이 가능하여 다양하게 모양을 변형할 수 있으며 측면에서 보아 안경 다리를 얇게 보이게 하여 외적인 미려함을 줄 수 있는 안경 다리에 관한 것으로,
안경테(12)의 양측에 힌지(20)에 의해 결합되고 합성수지재의 표피부(22)에 금속재의 심재(18)가 매설되는 통상의 안경 다리에 있어서:
상기 심재(18) 좌우의 폭은 넓고 상하의 두께는 좁게 형성되며, 상기 표피부(22) 외부로 돌출된 심재(18)에는 힌지(20)의 삽입부(20b)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다리이다.

Description

안경 다리{BOWS OF A PAIRS OF SPECTACLES}
본 고안은 안경 다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합성수지재로 된 안경 다리의 표피부에 매설된 심재를 폭이 넓고 두께가 얇게 형성함으로써 상하 절곡이 가능하여 다양하게 모양을 변형할 수 있으며 측면에서 보아 안경 다리를 얇게 보이게 하여 외적인 미려함을 줄 수 있는 안경 다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테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재로써, 안경 다리도 그 안경테와 동일 재질로 사용되고 있다.
다만, 금속재 안경테의 경우 피부에 접촉되는 부위인 안경 다리의 귀걸이부만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있고, 합성수지재 안경테의 경우 안경 다리의 견고성을 위해 금속판 심재가 매설되어 있는 실정으로, 본 고안에서는 합성수지재 안경에 대해서 서술한다.
안경을 착용하는 사람은 누구나가 공통적으로 인지하고 있는 것이 안경의 착용시 피부의 압박으로 두통과 눈의 피로가 있음을 느낄 수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없애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안경 다리는 착용시 탄력있게 좌우로 휘어지다가 안경의 불사용시 안경 다리가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즉, 종래의 안경 다리는 안경의 착용시 불편함을 없애기 위하여 좌우로 탄력있게 휘어지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이고 따라서 상하로는 탄력있게 휘어지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이러한 종래 안경 다리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2b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는 안경 다리 심재의 사시도이고, 도 2a, 도 2b는 종래 안경 다리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종래의 안경 다리(10)의 표피부(22)는 합성수지재로 되고 그 견고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금속 재질의 심재(18)가 매설되되, 상기한 바와 같이 좌우로 탄력있게 휘어지도록 설계되어 있어 심재(18) 좌우의 폭은 좁고 상하 두께는 크게 형성되고, 전체적인 안경 다리(10) 형태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안경테(12)에 부착시키기 위해서 표피부(22) 외부로 돌출된 심재(18)에는 힌지(22)의 결합부(22a)가 일체로 형성되거나 용접에 의해 부착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안경을 측면에서 보면 두껍게 보여 외관상 투박하게 보이기 마련이고 또한 상하로 절곡이 되지 않아서 안경 다리(10)의 형상 변경에 있어서 한계가 있었고 이에 의해 안경 다리(10)의 형상은 거의 일률적일 수 밖에 없었다.
또한 안경 다리(10)가 좌우로 탄력있게 휘어지도록 설계되어 있어도 그 변형을 심하게 하면 안경의 착용시 안경 다리가 피부을 압박하여 두통과 눈의 피로가 있어 그 변형에 있어서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합성수지재로 된 안경 다리의 표피부에 매설된 심재를 폭이 넓고 두께가 얇게 형성함으로써, 안경을 측면에서 보면 늘씬하게 보여 외관상 미려하게 보이고 또한 상하로 절곡이 용이하여 안경 다리의 형상 변경에 있어서 자유롭고 이에 의해 안경 다리의 형상을 착용자의 개성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는 안경 다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안경테의 양측에 힌지에 의해 결합되고 합성수지재의 표피부에 금속재의 심재가 매설되는 통상의 안경 다리에 있어서:
상기 심재 좌우의 폭은 넓고 상하의 두께는 좁게 형성되며, 상기 표피부 외부로 돌출된 심재에는 힌지의 삽입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다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종래 안경 다리 심재의 사시도,
도 2a, 도 2b는 종래 안경 다리의 사시도 및 측면도,
도 3a,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심재의 사시도,
도 4a,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안경 다리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안경 다리의 사용상태도,
도 6a, 도 6b는 사용 측면도,
도 7a 에서 도 7d는 안경 다리의 제조 예시도,
도 8a 내지 도 8d는 도 7의 제조에 따른 안경 다리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안경, 10: 안경 다리, 12: 안경테, 14: 렌즈, 18: 심재, 20: 힌지, 20a: 결합부, 20b: 삽입부, 22: 표피부, 24: 요철 금형.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 도 3a, 도 8d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심재의 사시도이고, 도 4a,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안경 다리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안경 다리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6a, 도 6b는 사용 측면도이고, 7a 에서 도 7d는 안경 다리의 제조 예시도이고, 도 8a 내지 도 8d는 도 7의 제조에 따른 안경 다리 측면도이다.
먼저 본 고안의 기본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안경테(12)의 양측에 힌지(20)에 의해 결합되고 합성수지재의 표피부(22)에 금속재의 심재(18)가 매설되는 통상의 안경 다리에 있어서:
상기 심재(18) 좌우의 폭은 넓고 상하의 두께는 좁게 형성되며, 상기 표피부(22) 외부로 돌출된 심재(18)에는 힌지(20)의 삽입부(20b)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안경 다리(10)는 렌즈(14)를 장착 고정시키는 안경테(12)와 힌지(20)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안경 다리(10)는 금속재의 심재(18)와 이를 매몰시킨 플라스틱재의 표피부(22)로 형성한다.
이 형성 방법은 표피부(22)의 재료에 따라 심재(18)를 넣고 사출하여 형성하거나 공기압으로 심재(18)를 집어 넣어 형성한다.
이때 상기 심재(18)는 좌우의 폭은 넓고 상하의 두께는 좁게 형성하고 전체적인 안경 다리(10) 형태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그리고, 표피부(22) 외부로 돌출된 심재(18)에는 힌지(20)의 삽입부(20b)를 일체로 형성하거나 용접에 의해 형성한다.
즉, 종래에는 힌지(20)의 결합부(20a)가 심재(18)에 형성되나, 본 고안에서는 힌지(20)의 삽입부(20b)가 심재(18)에 형성하여 안경 다리(10)의 상하 폭을 더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힌지(20)의 삽입부(20b)에 대응되는 결합부(20a)는 안경테(12)에 부착되고 결합부(20a)에 삽입부(20b)를 대응되게 결합한 후 핀축을 삽입함으로써 서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안경 다리(10)를 도 7c처럼 여러 형태의 요철 금형(24)으로 상하에서 압축하여 도 8에서와 같은 여러가지 형상의 안경 다리(10)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안경 다리(10)를 구성하는 심재(18)의 상하의 두께가 좁아 상하로 탄력있게 휘어지며 이에 의해 안경 다리(10)의 상하 형상 변경에 있어서 자유로워 안경 다리(10)의 형상을 착용자의 개성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안경(1)을 측면에서 보면 날씬하게 보여 외관상 날씬하고 미려하게 보여지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합성수지재로 된 안경 다리의 표피부에 매설된 심재를 폭이 넓고 두께가 얇게 형성함으로써, 안경을 측면에서 보면 늘씬하게 보여 외관상 미려하게 보이고 또한 상하로 절곡이 용이하여 안경 다리의 형상 변경에 있어서 자유롭고 이에 의해 안경 다리의 형상을 착용자의 개성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안경테(12)의 양측에 힌지(20)에 의해 결합되고 합성수지재의 표피부(22)에 금속재의 심재(18)가 매설되는 통상의 안경 다리에 있어서:
    상기 심재(18) 좌우의 폭은 넓고 상하의 두께는 좁게 형성되며, 상기 표피부(22) 외부로 돌출된 심재(18)에는 힌지(20)의 삽입부(20b)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다리.
KR2020000016212U 2000-06-08 2000-06-08 안경다리 KR2002032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6212U KR200203211Y1 (ko) 2000-06-08 2000-06-08 안경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6212U KR200203211Y1 (ko) 2000-06-08 2000-06-08 안경다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3211Y1 true KR200203211Y1 (ko) 2000-11-15

Family

ID=19659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6212U KR200203211Y1 (ko) 2000-06-08 2000-06-08 안경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321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958Y1 (ko) * 2014-10-23 2015-01-15 최용민 플라스틱 안경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958Y1 (ko) * 2014-10-23 2015-01-15 최용민 플라스틱 안경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13618B2 (en) Nose pad
CN101019065B (zh) 眼镜及其制造方法
JPH0242205B2 (ko)
KR200203211Y1 (ko) 안경다리
KR20090011437U (ko) 경첩 체결구조가 개량된 합성수지테 안경
WO2007013462A1 (ja) 眼鏡前枠製造基板及び眼鏡前枠の製造方法
KR20170115721A (ko) 안경의 템플 힌지장치
US7172279B1 (en) Safety eyeglasses with integral side shield and temple
EP1489452A1 (en) Screwless hinge structure for eyeglasses
CN219609361U (zh) 一种眼镜框架及眼镜
JP4072406B2 (ja) 薄板金属製フレーム眼鏡
JP2003255275A (ja) ヒンジ無し眼鏡テンプル
CN214409461U (zh) 一种眼镜架
KR101194956B1 (ko) 안경의 안경다리 연결 구조
KR200466884Y1 (ko) 다리교환이 용이한 안경다리 연결장치
KR102206631B1 (ko) 안경
KR102517289B1 (ko) 플라스틱 안경테 제조방법
KR20100009301U (ko) 폴리아미드소재의 안경테
JP3003714U (ja) メガネフレームのリム連結構造
KR200266434Y1 (ko) 무다리 안경
KR200244159Y1 (ko) 안경과 클립의 결합구조
KR100668768B1 (ko) 길이 조절이 용이한 합성수지제 안경다리 및 그 제조방법
JP3738348B2 (ja) メガネフレームの樹脂製ツ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255285Y1 (ko) 경첩이 일체된 안경다리
KR20230122691A (ko) 안경다리의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