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7606A - 금속 와이어로 이루어진 안경 다리를 갖는 안경테 - Google Patents

금속 와이어로 이루어진 안경 다리를 갖는 안경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7606A
KR20200107606A KR1020190026982A KR20190026982A KR20200107606A KR 20200107606 A KR20200107606 A KR 20200107606A KR 1020190026982 A KR1020190026982 A KR 1020190026982A KR 20190026982 A KR20190026982 A KR 20190026982A KR 20200107606 A KR20200107606 A KR 202001076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hinge shaft
shaft
shaft hole
specta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6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정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 (Inno)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 (Inno)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 (Inno)
Priority to KR1020190026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7606A/ko
Publication of KR20200107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76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16Side-members resilient or with resilient part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10Frame or frame portions made from wi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렌즈를 고정하는 한 쌍의 림을 구비한 프론트의 양측에 안경 다리의 선단부가 힌지구조로 결합된 안경테로서, 상기 힌지구조는, 상기 프론트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내부에 힌지축공이 형성되며, 상기 힌지축공 외측의 일부 구간에는 상기 프론트에 연결된 안경 다리의 선단부의 회전선회각도를 설정해 주는 회전 슬롯이 형성된 힌지연결단과; 결합수단이 상호 대응되게 구비하고, 상기 힌지 연결단의 힌지축공의 상·하부측에서 각각 진입하여 결합수단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한 쌍의 부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힌지연결단에 결합된 안경 다리의 회전선회시에 회전의 중심축이 되는 힌지축 부재; 상기 안경 다리의 선단부에 형성된 금속 와이어가 굴곡된 형태의 결합단부로서, 상기 한 쌍의 힌지축 부재 중 어느 하나의 외경 둘레에 설치되고, 힌지축 부재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후크부와, 상기 후크부의 단부가 굴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힌지연결단의 회전 슬롯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 슬롯을 따라 이동하면서 힌지축 부재를 회전중심축으로 회전하는 후크부의 회전을 제한하여 안경 다리의 회전선회각도를 제한하는 회전각 제한단을 포함하는 힌지결합단; 및 상기 힌지축 부재와 상기 힌지결합단의 후크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후크부의 회전시 마찰저항을 줄여주는 회전부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와이어로 이루어진 안경 다리를 갖는 안경테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금속 와이어로 이루어진 안경 다리를 갖는 안경테{Frame of eyeglasses having temple made of metal wire}
본 발명은 안경테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렌즈를 고정하는 한 쌍의 림을 구비한 프론트의 양측에 금속 와이어로 된 선단부를 갖는 안경 다리가 힌지구조로 결합된 안경테에 있어서의 힌지구조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안경은 시력을 교정 내지 보정하거나 착용자의 눈을 보호하기 위한 안경 렌즈와 이 렌즈를 고정하여 착용자가 착용하기 편리하게 하는 안경테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현대의 안경테는 기본적으로 안경 렌즈를 고정하여 주는 림을 포함하여 착용자의 안면부에 위치하는 프론트와, 상기 프론트에 결합되어 착용자의 귀에 걸어 렌즈가 장착된 프론트의 착용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안경 다리로 이루어진다.
착용자의 안면부에 위치하는 프론트와 귀에 걸리는 안경 다리는 인간의 신체 구조상 서로 직각을 형성하는 구조로 결합되어야 하지만, 이 경우에는 보관과 운반시 등에 제약과 불편이 따르므로, 안경 다리는 통상 프론트에 대략 평행되게 접을 수 있도록 힌지구조로 프론트와 조립된다.
이와 같이 안경 다리와 프론트를 절첩/전개가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구조는, 회전의 중심이 되는 힌지핀을 중심으로 연결하고자 하는 안경 다리와 프론트의 단부에 각각 힌지핀에 회동가능한 연결단을 형성하는 구조가 가장 기본적이지만, 안경소재의 다양화와 안경의 패션 아이템화가 진행됨에 따라, 절첩/전개의 편의성과 결합의 견고성, 조립공정의 편의성 등을 고려한 다양한 힌지구조가 연구/개발되고 있으며, 여기에 소재와의 적합성과 패션 아이템으로서의 외관의 미려함까지 구비한 힌지구조의 개발은 안경테 개발에 있어서의 핵심과제가 되고 있다.
한편, 안경테를 형성하는 소재는 과거의 금속이나 천연소재에서 합성소재 분야의 발전과 함께 전체적으로 아세테이트나 울템 등의 플라스틱 소재의 사출 성형품을 주재료로 한 제품으로 발전되어 오다가, 최근에는 소재의 복합화에 의한 최적의 특성과 제품성을 확보하기 위한 개발이 지속되고 있다.
그 개발의 일환으로, 안경렌즈가 장착되는 림을 포함한 프론트는 탄성과 경량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소재를 사용한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하고, 안경 다리는 가볍고 탄성이 좋으며 견고하고 원가 및 가공비가 저렴하며 취급이 용이한 금속 와이어 소재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것이 하나의 흐름을 형성하고 있다.
특히, 금속 와이어는 주로 직경이 매우 작은 원형 단면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착용자의 피부와의 접촉 면적이 극히 작아 피부 트러블의 발생이 적으면서도 슬림한 외관을 가지고 경량성이 매우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금속 와이어는 그 자체가 이미 선상으로 가공된 것이므로 형상의 변경에 한계가 있어서, 프론트와 힌지구조로 결합하는 데에 기술적 어려움이 있다. 종래에는 금속 와이어와 플라스틱 등의 다른 소재와의 결합은 인서트 사출이나 플라스틱 소재에 형성된 동공에 삽입하여 접착제를 통해 접착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므로, 힌지구조로 결합하는 것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금속 와이어의 단부를 그대로 결합단으로 이용하는 구조는 다양하게 연구 개발되고 있으나, 종래의 기술들은 결합의 안정성과 철첩/전개각도 등의 구조적 안정성, 이종 소재와의 마찰에 의한 동작의 유연성 및 경도가 다른 소재와의 마찰에 의한 소재의 마모에 의한 내구성 불량 등의 문제가 해소되고 있지 않으며, 미려한 외관의 제공에 의한 착용자의 만족도의 측면에서도 낮은 평가를 받고 있는 실정이다.
KR 10-2004-0030600 A KR 20-0289971 Y1 KR 10-1997-0031429 B1 KR 10-1760431 B1 KR 10-2019-0000982 A KR 10-1853486 B1
본 발명은 상술한 것과 같은 금속 와이어 소재를 안경테의 안경 다리의 재료로 이용하거나 적어도 프론트와의 연결단이 금속 와이어 소재로 이루어진 안경 다리를 가진 안경테의 프론트와 안경 다리 사이를 힌지구조로 결합한 안경테에 있어서의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금속 와이어 소재가 갖는 장점을 살리면서도 조립성과 구조적 안정성, 작용의 원활성 및 내구성을 갖고, 미려한 외관을 형성할 수 있는 안경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금속 와이어로 이루어진 안경 다리를 갖는 안경테는,
렌즈를 고정하는 한 쌍의 림을 구비한 프론트의 양측에 안경 다리의 선단부가 힌지구조로 결합된 안경테로서,
상기 힌지구조는,
상기 프론트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내부에 힌지축공이 형성되며, 상기 힌지축공 외측의 일부 구간에는 상기 프론트에 연결된 안경 다리의 선단부의 회전선회각도를 설정해 주는 회전 슬롯이 형성된 힌지연결단과;
결합수단이 상호 대응되게 구비하고, 상기 힌지 연결단의 힌지축공의 상·하부측에서 각각 진입하여 결합수단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한 쌍의 부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힌지연결단에 결합된 안경 다리의 회전선회시에 회전의 중심축이 되는 힌지축 부재;
상기 안경 다리의 선단부에 형성된 금속 와이어가 굴곡된 형태의 결합단부로서, 상기 한 쌍의 힌지축 부재 중 어느 하나의 외경 둘레에 설치되고, 힌지축 부재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후크부와, 상기 후크부의 단부가 굴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힌지연결단의 회전 슬롯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 슬롯을 따라 이동하면서 힌지축 부재를 회전중심축으로 회전하는 후크부의 회전을 제한하여 안경 다리의 회전선회각도를 제한하는 회전각 제한단을 포함하는 힌지결합단; 및
상기 힌지축 부재와 상기 힌지결합단의 후크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후크부의 회전시 마찰저항을 줄여주는 회전부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부시는,
상기 힌지결합단의 후크부의 일면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베이스부와;
상기 지지베이스부에 수직으로 기립 형성된 축부; 및
상기 지지베이스부와 상기 축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힌지축 부재가 관통하는 축공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축부의 일단부는 상기 힌지연결단의 힌지축공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지지베이스부에 연결되는 축부의 타단부의 외경 둘레에 상기 후크부가 감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힌지축 부재는 단부의 어느 한쪽이 힌지연결단의 힌지축공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힌지축 부재의 노출된 단부의 외경에는 상기 회전부시의 축부가 둘러싸고, 상기 회전 부시의 축부의 외경을 감싸도록 힌지결합단의 후크부가 설치되어, 힌지연결단과 힌지결합단의 후크부 및 회전부시의 지지베이스부가 상하 적층구조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힌지연결단의 힌지축공은, 상기 힌지축 부재 중 어느 하나의 외경이 삽입되는 구경을 가지는 소경부와, 상기 회전부시의 축부의 외경이 삽입되는 구경의 대경부를 구비하여, 상기 소경부와 대경부 사이에 단차부가 형성된 단차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힌지축공의 대경부에 삽입된 회전부시의 축부의 일단은 상기 힌지축공 내에서 소경부와 대경부 사이에 형성된 단차부에 의해 지지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금속 와이어를 굽혀서 힌지결합단을 형성하여 안경테의 프론트와 안경 다리 사이의 힌지결합에 이용하기 때문에, 인서트 성형이나 접착, 용접 등의 방법으로 다른 소재와 결합하여 힌지결합단을 구성할 필요가 없어 작업 용이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금속 와이어로 이루어진 힌지결합단은 마찰저항이 매우 낮은 소재로 간단하게 성형할 수 있는 부품인 회전부시를 통하여 힌지축 부재에 설치되기 때문에, 안경 다리의 절첩과 전개시에 마찰력에 의한 마모나 소음 등의 발생이 적고 원활한 작동성을 갖는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따르면, 힌지축 부재들은 외부로 드러나지 않고, 금속 와이어로 이루어진 힌지결합단과 회전부시는 힌지연결단과 적층구조로 결합되어, 종래에 볼 수 없었던 우수한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힌지연결단과 힌지결합단 및 회전부시를 적층한 후에 상하부에서 힌지축 부재를 체결하여 조립이 가능하기 때문에, 매우 간단한 조립 공정에 의해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힌지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테의 주요 구성을 보여주는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안경테의 힌지구조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요부 확대도와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안경테의 힌지구조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안경테의 힌지구조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경테의 힌지구조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안경테의 힌지구조의 단면도;
도 7a 및 도 7b는 안경 다리의 절첩/전개과정에서의 도 2에 도시된 안경테의 힌지구조에서의 작용을 보여주는 작용상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테의 주요 구성을 보여주는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안경테의 힌지구조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요부 확대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안경테의 힌지구조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을 분해하여 조립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1)는, 도 1에서 보는 것과 같이 시력 교정용이나 보안용의 렌즈를 내부에 고정하는 한 쌍의 림(110)이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브릿지(120)의 양편에 구비된 형태의 프론트(100)를 구비하고, 프론트의 양측 단부에 안경 다리(200)의 선단부가 힌지구조로 결합된 형태의 것이다. 통상의 안경테(1)는 브릿지(120)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이므로, 도 1에서는 대칭되는 부분의 한쪽만 도시하되, 안경 다리(200)의 귀에 걸리는 후단부의 팁(Tip) 부분은 생략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하는 데에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도시하였다.
도 1에 도시된 상기 프론트(100)는, 아세테이트나 울템 등의 안경소재로 많이 사용되는 플라스틱 소재를 일체로 사출 성형하여 얻어진 사출성형품 형태로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양측의 림(110) 내측에는 코받침이 사출시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따로 제작된 코받침을 조립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론트(100)의 양측에 안경 다리(200)의 선단부를 결합하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구조는, 프론트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힌지연결단(10)과, 안경 다리(200)의 선단부에 형성된 힌지결합단(30), 및 상기 힌지연결단(10)과 힌지결합단(30)을 힌지구조로 결합하여, 안경 다리의 절첩/전개에 따른 힌지결합단(30)의 회전시에 회전중심축이 되는 힌지축부재(20A, 2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힌지연결단(10)은, 상기 프론트(10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내부에 힌지축공(11)이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힌지축공(11) 외측의 일부 구간에는 상기 프론트(100)에 연결된 안경 다리(200)의 선단부의 회전각도를 설정하고 제한하는 회전 슬롯(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힌지축공(11)은 후술하는 것과 같이 힌지축 부재(20A, 20B)가 관통 설치되도록 형성되며, 내부에 나사산과 같은 별도의 체결수단이 구비될 필요는 없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 슬롯(12)은 상기 힌지축공(11)의 외부에 존재하는 힌지연결단(10)의 살밥이 원호상으로 일부 제거된 형상으로서, 후술하는 힌지결합단(30)의 회전각 제한단(33)이 설치되어, 상기 회전각 제한단이 회전 슬롯(12)을 따라 이동하거나 회전 슬롯(12)의 양단부에 걸려 이동이 제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전 슬롯(12)은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힌지연결단(10)의 힌지축공(11)의 외측에 존재하는 외경면과 저면의 일부를 연결하는 형태로 살밥을 제거한 홈 형태인 것이 조립상 유리하지만, 힌지결합단(30)의 외경면 또는 저면의 어느 한 쪽에 안경 다리의 절첩/전개를 위한 각도만큼의 원호상의 홈이 파인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힌지연결단(10)도 프론트(100)와 동일한 소재를 사용하여 프론트(100)의 성형시에 림(110) 등 다른 부분과 일체로 사출 성형하여, 전체 프론트(100)가 하나의 사출성형물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힌지연결단(10)을 금속 등의 다른 소재를 이용하여 별도의 부품으로 제작하여 프론트의 양단에 결합하거나, 미리 제작한 후 성형시에 인서트 사출을 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동일한 소재로 일체로 사출성형하여 제조하면, 프론트와 이를 이용한 안경테 전체의 제조비용이 낮을 뿐만 아니라, 연결부분에서의 조립불량이나 내구성 불량 문제가 없고, 전체적으로 연결부가 없고 슬림한 외관을 형성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1)의 힌지구조를 형성하는 힌지축 부재(20A,20B)는, 결합수단이 상호 대응되게 구비된 한 쌍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상기 힌지연결단(10)의 힌지축공(11)의 상·하부측에서 각각 조립되어 결합수단에 의해 상호 결합되며, 이들 한 쌍의 부품들중 어느 한쪽에 힌지결합단(30)이 결합되어 상기 힌지연결단(10)에 결합된 안경 다리(200)의 회전선회시에 회전의 중심축이 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하부측에서 진입되는 힌지축 부재(20B)측에 힌지결합단(30)이 조립되는 형태를 보여준다.
도 3과 도 4 등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힌지축 부재(20A,20B)는, 내경에 나사공(21A)이 형성된 너트관 부재(20A)와, 상기 너트관 부재(20A)의 나사공(21A)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볼트축(21B)을 구비한 볼트 부재(20B)로 이루어져, 나사 체결에 의해 상호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너트관 부재(20A)와 볼트 부재(20B)는 단부에 조립시 사용되는 취구홈 등이 형성된 너트관 머리(21B)과 볼트머리(22B)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한편, 상기 힌지결합단(30)은 상기 안경 다리(200)를 구성하는 금속 와이어로 된 안경 다리 몸체의 선단부(31)가 굴곡되어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힌지축 부재(20A,20B)를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힌지연결단(10)에 힌지구조로 결합되는 안경 다리(200)의 결합단부이다.
본 발명은 금속 와이어로 된 안경 다리(200)를 프론트(100)에 힌지구조로 결합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발명으로서, 안경 다리(200)는 힌지결합단(30)이 형성된 안경 다리 몸체의 선단부(31)를 포함하여 전체가 금속 와이어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선단부를 제외한 다른 부분은 다른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디자인이나 실용적 필요성에 따라서는 팁 부분은 플라스틱이나 고무 등의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커버가 형성될 수 있으며, 중간 부분에 다른 재질이나 형태의 장식 등이 포함된 형태의 것일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힌지결합단(30)은, 상기 한 쌍의 힌지축 부재 중 어느 하나의 외경 둘레에 설치되고, 힌지축 부재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후크부(32)와, 상기 후크부(32)의 단부가 굴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힌지연결단(10)의 회전 슬롯(12)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슬롯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힌지축 부재(20A,20B)를 회전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후크부(32)의 회전을 제한하여 안경 다리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회전각 제한단(33)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후크부(32)는 금속 와이어의 선단부를 걸고리 형상으로 굽혀 형성하고, 후크부(32)의 단부는 다시 고리에 대해 대략 수직방향으로 기립된 형태로 굽혀져서 회전각 제한단(33)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본 실시예에서는 후크부(32)는 힌지연결단(10)의 하부측에 적층 결합되고, 상기 회전각 제한단(33)은 상기 힌지연결단(10)의 외경면과 저면의 일부를 연결하는 형태로 형성된 회전 슬롯(12)에 진입하여 조립되어 있다.
한편, 도면상으로는 상기 후크부(32)는 일편이 개방된 걸고리 형상을 하고 있지만 반드시 일편이 개방된 형태일 필요는 없으며, 1회 이상 완전히 감겨 상측 또는 하측에서 보면 내부에 홀이 형성된 거의 폐쇄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만 그 선단부는 다시 굴곡되어 회전각 제한단(33)을 형성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완전한 폐곡선을 형성한다고 보기는 어려우므로 후크부로 명명하였다.
한편, 상기 후크부(32)가 힌지연결단(10)에 상부 또는 하부에 적층되지 않고, 힌지연결단(10)의 상면 또는 저면에 대응하는 형상의 홈을 형성하여 수용될 수도 있지만, 안경 다리의 절첩과 전개시에 힌지연결단(10)의 홈과의 마찰이 많아지면 작동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으며, 외부에 노출된 후크부(32)가 소비심리를 자극하는 새로운 디자인적 요소로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는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적층구조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한 쌍의 힌지축 부재(20A,20B)중 볼트 부재(20B)의 볼트축(21B) 단부가 상기 힌지연결단(10)의 힌지축공(11)의 하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노출된 볼트 부재(20B)의 볼트축(21B)의 외경을 감싼 형태로 후크부(32)가 조립되어 있다.
상기 힌지축 부재(20A,20B)의 상하가 서로 반대로 배치될 수도 있고, 상기 후크부(32)가 힌지연결단(10)의 상부측에 적층될 수도 있으므로, 힌지축공(11)의 외부로 노출되는 힌지축 부재(20A,20B)의 단부는 반드시 볼트 부재(20B)의 볼트축(21B)이거나, 힌지연결단(10)의 하부측으로의 노출일 필요는 없으며, 적어도 어느 하나의 힌지축 부재(20A,20B)의 단부가 힌지연결단(10)의 힌지축공(11)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길이를 설정하면 된다.
한편, 본원발명의 안경테(1)의 힌지구조에 있어서는, 상기 힌지축 부재(20A,20B)와 상기 힌지결합단(30)의 후크부(32)는 직접 접하도록 조립되지 않고, 힌지축 부재(20A,20B)와 힌지결합단(30)의 후크부(32)의 사이에는 이들간의 마찰저항을 저감시키는 회전부시(4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부시(40)는, 도 3 내지 도 4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힌지결합단(30)의 후크부(32)의 일면을 지지하여 후크부(32)와 적층구조로 결합되는 지지베이스부(41)와, 상기 지지베이스부(41)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기립 형성되며 지지베이스부에 비해 직경이 작은 축부(42), 및 상기 지지베이스부(41)와 상기 축부(42)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힌지축 부재(20A,20B)가 관통하는 축공(4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회전부시(40)의 상기 축부(42)의 일단부(도면상 상단부)는 상기 힌지연결단(10)의 힌지축공(11)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지지베이스부(41)와 지지베이스부에 연결되는 축부(42)의 타단부(도면상 하부)는 힌지연결단(10)의 힌지축공(11)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회전부시(40)의 축부(42)의 타단부 부분의 외경 둘레를 상기 후크부(32)가 감싸 결합된다. 상기 축부(42)의 내부에 형성된 축공(43)에는 힌지축 부재(20A,20B)가 관통하기 때문에, 힌지결합단(30)의 후크부(32)는 회전부시(40)의 축부(42)를 개재하여, 힌지축 부재(20A,20B)의 볼트축(21B)이 내측에 체결된 너트관(21A)의 외경 둘레에 조립 설치된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힌지축 부재들(20A,20B)의 너트관(21A)과 볼트축(21B)은 단부가 힌지연결단(10)의 힌지축공(11)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조립되기 때문에, 상기 너트관(21A)의 노출된 단부의 외경을 상기 회전부시(40)의 축부(42)의 타단부가 둘러싸고, 이 회전부시(40) 축부(42)의 타단부의 외경을 둘러싸도록 힌지결합단(30)의 후크부(32)가 설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결합구조의 결과, 힌지연결단(10)과 힌지결합단(30)의 후크부(32) 및 회전부시(40)의 지지베이스부(41)가 상하 적층구조로 결합되는 형태를 형성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부시(40)는 마찰이 적고 내마모성이 우수한 경질의 금속재질이나 내마모성과 마찰저항이 적은 테프론 등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금속재질의 표면에 도금하거나 테프론 등으로 코팅을 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또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도면에 나타난 것과 같이 힌지연결단(10)과 지지베이스부(41)는 외경을 후크부(32)의 외경과 일치하는 곡면으로 형성하여, 상하 적층된 외경들이 일직선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부시(40)의 지지베이스부(41)의 타면을 지지하는 형태로 적층 설치되는 캡부재(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부시(40)의 지지베이스부(41)의 상기 힌지결합단의 후크부(32)를 지지하는 면의 반대면을 지지하여 설치되며, 내부에는 힌지축 부재의 어느 하나가 관통하는 축공(51)이 형성된 캡부재(50)를 구비할 수 있다.
도면상에는 회전부시(40)의 지지베이스(41)의 하부에 캡부재(50)가 조립되어 있으며, 축공(51)에는 볼트부재(20B)의 볼트축(21B)이 관통되어 있으며, 너트관 부재(20A)의 너트관(21A)의 하단부가 캡부재(50)의 상면에 지지베이스(41)의 저면과 함께 지지되어 안정적인 결합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캡부재(50)는 힌지연결단(10)과 동일/유사한 재질 및 동일/유사한 두께 및 외경면을 갖는 형상으로 제작하면 힌지구조의 외관상의 통일감을 형성할 수 있어 바람직하며, 소재와 형상의 변화를 주면 디자인적인 변화요소가 될 수도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상기 힌지연결단(10)의 힌지축공(11)은, 상기 힌지축 부재 중 너트관 부재(20A)의 외경이 삽입되는 구경을 가지는 소경부(11A)와, 상기 회전부시(40)의 축부(42)의 외경이 삽입되는 구경의 대경부(11B)를 구비하여, 상기 소경부(11A)와 대경부(11B) 사이에 단차부(11C)가 형성된 단차구조로 형성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도 4에 나타난 것처럼, 상기 힌지연결단(10)의 하부측으로부터 힌지축공(11)의 대경부(11B)로 삽입된 회전부시(40)의 축부(42)의 일단은 상기 힌지축공(11) 내에서 소경부(11A)와 대경부(11B) 사이에 형성된 단차부(11C)에 의해 지지되어 축부(42)의 단부가 힌지축공(11)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면서도 지지베이스부(41)는 힌지연결단(10)의 저면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이격된 정형적인 조립구조를 형성하게 되어, 이 이격된 부분에 설치된 힌지결합단(30)의 후크부(32)가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너트관 부재(20A)는, 상기 힌지축공(11)의 소경부(11A)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부시(40)의 지지베이스부(41)의 저면측을 통하여 회전부시(40)의 축공(43) 내에 진입한 볼트 부재(20B)의 볼트축(20B)과 체결되어 조립된다.
또한, 도 2 및 도 4 등에 나타난 것과 같이, 상기 캡부재(50)에 형성된 축공(51)은 볼트 부재(20B)의 볼트머리(22B)가 전부 또는 일부 수용되는 직경과 높이로 단차구조로 형성하여, 너트관 부재(20A)와 결합된 상태에서 볼트 부재(20B)의 볼트머리(22B)의 전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면, 외관이 간결해질 뿐만 아니라, 볼트머리와 외부의 간섭에 의해 볼트 부재의 조립이 해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힌지연결단(10)의 힌지축공(11)의 소경부(11A)의 상부에도 너트관 부재(20A)의 너트관 머리(22B)가 수용될 수 있도록 직경이 큰 부분을 소경부(11A)와 단차구조로 형성하여, 너트관 부재(20A)의 너트관 머리(22B)도 힌지연결단(10)의 힌지축공(11)의 내부에 정형화되게 조립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경테의 힌지구조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와 힌지구조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경테와 그 힌지구조 또한 상술한 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난 것과 같이 회전부시(40)에 있어서의 지지베이스부(41)의 하부측에 상기 제 1의 실시예에서와 같은 캡부재(50)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점에서 차이가 난다.
따라서, 회전축부재의 볼트 부재(20B)의 볼트축(21B)은 바로 회전부시(40)의 지지베이스부(41)의 하부측에서 축공(43)에 진입하여 너트관 부재(20A)의 나사공(21A)에 체결 조립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 회전부시(40)의 형태는 상기한 제 1의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디자인적인 측면을 고려하거나 풀림방지를 위하여 지지베이스부(41)의 두께를 제 1 실시예에서의 캡부재(50)처럼 좀 두껍게 하고, 내부의 축공(43)에 단차를 두어, 도 6에서 보는 것과 같이 볼트 부재(20B)의 볼트머리(22B)가 축공(43)의 내부에 수용되어 지지베이스부(41)의 하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이와 같은 구조로 결합된 힌지구조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1)의 안경 다리(200)를 프론트(100)에 대하여 전개하여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하거나, 절첩하여 서로 대략 평행한 상태를 이루도록 할 때의 힌지구조에서의 변화를 도 7a와 도 7b에 나타낸 작용상태도를 통해 살펴본다.
먼저, 도 4와 같은 상태에서 도 7a에서와 같이 안경 다리(200)를 프론트(100)에 대해 전개시킬 때에는, 힌지결합단(30)의 후크부(32)가 전개되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힌지연결단(10)의 회전 슬롯(12)에 조립 설치된 회전각 제한단(33)은 이 회전력에 의해 회전 슬롯(12)을 따라 이동하다가 회전 슬롯(12)의 한쪽(외측) 내벽(12A)에 접단되어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게 되면 후크부(32)의 회전이 제한되어 더 이상 안경 다리(200)가 전개되지 않도록 한다.
반대로, 안경 다리(200)를 프론트(200)에 대해 절첩할 때에는, 도 7b에서와 같이, 힌지결합단(30)의 후크부(32)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힌지연결단(10)의 회전 슬롯(12)에 조립 설치된 회전각 제한단(33)은 이 회전력에 의해 회전 슬롯(12)을 따라 이동하다가 회전 슬롯(12)의 다른 쪽(내측) 내벽(12B)에 접단되어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게 되면 후크부(32)의 회전이 제한되어 더 이상 안경 다리(200)가 절첩되지 않게 된다.
상기 회전 슬롯(12)의 길이와 외측과 내측의 내벽(12A,12B)의 위치는 안경테 전체의 디자인에 맞추되, 안경 다리(200)가 프론트(100)에 대해 절첩과 전개시에 각각 대략 수직 및 평행으로 위치하도록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1: 안경테
100: 프론트 200: 안경 다리
10: 힌지연결단 11: 힌지축공
11A: 소경부 11B: 대경부
11C: 단차부 12: 회전 슬롯
20A: 너트관 부재(힌지축 부재)
21A: 나사공 22A: 너트관 머리
20B: 볼트 부재(힌지축 부재)
21B: 볼트축 22B: 볼트머리
30: 힌지결합단 31: 안경 다리 몸체의 선단부
32: 후크부 33: 회전각 제한단
40, 40': 회전부시 41, 41': 지지베이스부
42, 42': 축부 43, 43': 축공
50: 캡부재 51: 축공

Claims (8)

  1. 렌즈를 고정하는 한 쌍의 림을 구비한 프론트의 양측에 안경 다리의 선단부가 힌지구조로 결합된 안경테로서,
    상기 힌지구조는,
    상기 프론트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내부에 힌지축공이 형성되며, 상기 힌지축공 외측의 일부 구간에는 상기 프론트에 연결된 안경 다리의 선단부의 회전선회각도를 설정해 주는 회전 슬롯이 형성된 힌지연결단과;
    결합수단이 상호 대응되게 구비하고, 상기 힌지 연결단의 힌지축공의 상·하부측에서 각각 진입하여 결합수단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한 쌍의 부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힌지연결단에 결합된 안경 다리의 회전선회시에 회전의 중심축이 되는 힌지축 부재;
    상기 안경 다리의 선단부에 형성된 금속 와이어가 굴곡된 형태의 결합단부로서, 상기 한 쌍의 힌지축 부재 중 어느 하나의 외경 둘레에 설치되고, 힌지축 부재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후크부와, 상기 후크부의 단부가 굴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힌지연결단의 회전 슬롯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 슬롯을 따라 이동하면서 힌지축 부재를 회전중심축으로 회전하는 후크부의 회전을 제한하여 안경 다리의 회전선회각도를 제한하는 회전각 제한단을 포함하는 힌지결합단; 및
    상기 힌지축 부재와 상기 힌지결합단의 후크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후크부의 회전시 마찰저항을 줄여주는 회전부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와이어로 이루어진 안경 다리를 갖는 안경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연결단은 프론트의 림과 일체로 사출 성형된 사출성형물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와이어로 이루어진 안경 다리를 갖는 안경테.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연결단의 외경의 일부 구간이 절개된 홈의 형태로 상기 회전 슬롯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와이어로 이루어진 안경 다리를 갖는 안경테.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시는,
    상기 힌지결합단의 후크부의 일면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베이스부와;
    상기 지지베이스부에 수직으로 기립 형성된 축부; 및
    상기 지지베이스부와 상기 축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힌지축 부재가 관통하는 축공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축부의 일단부는 상기 힌지연결단의 힌지축공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지지베이스부에 연결되는 축부의 타단부의 외경 둘레에 상기 후크부가 감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와이어로 이루어진 안경 다리를 갖는 안경테.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 부재는 단부의 어느 한쪽이 힌지연결단의 힌지축공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힌지축 부재의 노출된 단부의 외경에는 상기 회전부시의 축부가 둘러싸고, 상기 회전 부시의 축부의 외경을 감싸도록 힌지결합단의 후크부가 설치되어, 힌지연결단과 힌지결합단의 후크부 및 회전부시의 지지베이스부가 상하 적층구조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와이어로 이루어진 안경 다리를 갖는 안경테.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연결단의 힌지축공은, 상기 힌지축 부재 중 어느 하나의 외경이 삽입되는 구경을 가지는 소경부와, 상기 회전부시의 축부의 외경이 삽입되는 구경의 대경부를 구비하여, 상기 소경부와 대경부 사이에 단차부가 형성된 단차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힌지축공의 대경부에 삽입된 회전부시의 축부의 일단은 상기 힌지축공 내에서 소경부와 대경부 사이에 형성된 단차부에 의해 지지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와이어로 이루어진 안경 다리를 갖는 안경테.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 부재는,
    내경에 나사공이 형성된 너트관 부재와,
    상기 너트관 부재의 나사공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볼트축을 구비한 볼트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와이어로 이루어진 안경 다리를 갖는 안경테.
  8.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시의 지지베이스부의 상기 힌지결합단의 후크부를 지지하는 면의 반대면을 지지하여 설치되며, 내부에 힌지축 부재가 관통하는 축공이 형성된 캡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와이어로 이루어진 안경 다리를 갖는 안경테.
KR1020190026982A 2019-03-08 2019-03-08 금속 와이어로 이루어진 안경 다리를 갖는 안경테 KR202001076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982A KR20200107606A (ko) 2019-03-08 2019-03-08 금속 와이어로 이루어진 안경 다리를 갖는 안경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982A KR20200107606A (ko) 2019-03-08 2019-03-08 금속 와이어로 이루어진 안경 다리를 갖는 안경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7606A true KR20200107606A (ko) 2020-09-16

Family

ID=72670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6982A KR20200107606A (ko) 2019-03-08 2019-03-08 금속 와이어로 이루어진 안경 다리를 갖는 안경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0760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5007B1 (ko) * 2021-11-01 2022-06-02 이명철 풀림 방지구조를 갖는 안경테용 힌지 조립체
KR20220086017A (ko) 2020-12-16 2022-06-23 주식회사 스타드림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힌지구조체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1429A (ko) 1995-11-03 1997-06-26 김광호 무선호출기에서 태양전지를 이용한 전지수명 연장방법 및 회로
KR200289971Y1 (ko) 2002-06-14 2002-09-19 주식회사 유레카 안경다리고정용 힌지어셈블리
KR20040030600A (ko) 2001-04-27 2004-04-09 린드버그 에이/에스 안경테, 힌지, 안경 및 힌지의 제조 방법
KR101760431B1 (ko) 2016-06-08 2017-08-10 주식회사 랭골라 와이어 탄성 지지형 안경테
KR101853486B1 (ko) 2017-09-15 2018-06-14 (주)휴맥스옵틱 안경 다리용 힌지 장치
KR20190000982A (ko) 2017-06-26 2019-01-04 남현욱 안경의 결합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안경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1429A (ko) 1995-11-03 1997-06-26 김광호 무선호출기에서 태양전지를 이용한 전지수명 연장방법 및 회로
KR20040030600A (ko) 2001-04-27 2004-04-09 린드버그 에이/에스 안경테, 힌지, 안경 및 힌지의 제조 방법
KR200289971Y1 (ko) 2002-06-14 2002-09-19 주식회사 유레카 안경다리고정용 힌지어셈블리
KR101760431B1 (ko) 2016-06-08 2017-08-10 주식회사 랭골라 와이어 탄성 지지형 안경테
KR20190000982A (ko) 2017-06-26 2019-01-04 남현욱 안경의 결합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안경
KR101853486B1 (ko) 2017-09-15 2018-06-14 (주)휴맥스옵틱 안경 다리용 힌지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6017A (ko) 2020-12-16 2022-06-23 주식회사 스타드림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힌지구조체
KR102405007B1 (ko) * 2021-11-01 2022-06-02 이명철 풀림 방지구조를 갖는 안경테용 힌지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9215B1 (ko) 안경의 결합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안경
US7222960B2 (en) Spectacle frame
KR20200107606A (ko) 금속 와이어로 이루어진 안경 다리를 갖는 안경테
WO2021259038A1 (zh) 折叠镜框以及眼镜
KR102054599B1 (ko) 안경테와 안경 다리의 연결구조체
KR20210013902A (ko) 무나사 안경힌지를 가지는 조립식 안경
KR100512893B1 (ko) 간단한 연결구조 및 무나사힌지를 갖는 안경
JP4798936B2 (ja) 眼鏡フレーム、丁番、眼鏡及び丁番の製造方法
US9500879B2 (en) Eyewear
KR101113422B1 (ko) 안경용 힌지
JP4213462B2 (ja) ワイヤテンプルを具備した眼鏡
CN203178596U (zh) 眼镜框架
KR102204946B1 (ko) 안경용 힌지
CN207232558U (zh) 一种眼镜铰链结构及应用的眼镜
US10962801B2 (en) Screwless hinge for a pair of eyeglasses
KR102455587B1 (ko) 안경 다리 어셈블리
KR101163885B1 (ko) 안경의 안경다리 결합 구조
KR20210021722A (ko) 안경용 힌지
KR20220010232A (ko) 템플의 회전과 접힘이 되는 안경테용 힌지 및 그 힌지가 적용된 안경테
KR200367300Y1 (ko) 안경테, 힌지 및 안경
ITMI20121833A1 (it) Cerniera ad asse di articolazione inclinato per astine di occhiali e montatura di occhiali che incorpora tale cerniera.
KR20230056957A (ko) 안경용 힌지 어셈블리
CN208384271U (zh) 铰链结构及安装其的眼镜腿和眼镜
KR20240077180A (ko) 안경
KR20170055170A (ko) 안경테의 안경다리 연결구조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