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982A - 안경의 결합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안경 - Google Patents
안경의 결합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안경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00982A KR20190000982A KR1020170080212A KR20170080212A KR20190000982A KR 20190000982 A KR20190000982 A KR 20190000982A KR 1020170080212 A KR1020170080212 A KR 1020170080212A KR 20170080212 A KR20170080212 A KR 20170080212A KR 20190000982 A KR20190000982 A KR 2019000098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lens
- hinge
- block
- lens fram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렌즈를 고정하는 렌즈프레임과, 상기 렌즈프레임의 양단 일측에 각각 폴딩가능하게 결합되는 안경의 결합구조를 제시하며, 상기 안경다리의 선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안경다리와 한 조를 이루고, 상면 및 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되는 걸림홈을 매개로 상기 렌즈프레임의 양단 일측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안경다리를 폴딩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블록; 상기 힌지블록과 상기 안경다리의 선단부를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블록결합부재; 및 상기 렌즈프레임의 양단 일측에서 각각 상기 렌즈프레임의 바깥쪽을 향해 서로 평행한 상태로 연장되는 한 쌍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상기 프레임들의 사이에 상기 힌지블록을 수용하고, 상기 프레임들이 상기 힌지블록의 상면 및 저면에 형성된 걸림홈에 각각 끼워져 걸리면서 상기 힌지블록을 고정하는 블록슬롯을 포함하여, 가볍고 내구성이 우수한 안경의 결합구조와 이를 포함하는 안경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안경의 결합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안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렌즈프레임에 안경다리를 폴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안경의 결합구조와 이를 포함하는 안경에 관한 것이다.
안경은 시력을 보정하거나 강한 빛 또는 자외선 등으로부터 눈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렌즈와, 상기 렌즈를 고정하는 렌즈프레임, 그리고 상기 렌즈프레임의 양측 단부에 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안경을 안면에 안착시키는 안경다리로 구성된다. 여기서, 안경다리의 선단부와 렌즈프레임의 양단부가 결합하여 안경다리의 절첩(hinge, folding)을 가능하게 한다.
통상적으로 안경다리의 연결부는 별도의 경첩구조물을 형성하여 볼트를 이용하여 안경다리와 렌즈프레임을 결합함으로써 안경다리가 접힐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볼트를 이용하여 별도의 경접구조물로 결합하는 것은 안경의 구조를 복잡하게 하고, 이에 따라 조립과 분리가 번거로우며, 볼트가 쉽게 풀려서 유실되고 안경 자체의 무게가 무거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관련하여 선행기술 문헌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6527호에 개시된 안경다리 조립구조를 살펴보면, 렌즈를 고정하는 림의 양측 단부에 고정되는 엔드피스와, 안경다리에 단부에 형성되는 힌지결합부와, 엔드피스와 힌지결합부를 결합하는 수나사 및 암나사봉과, 힌지결합부의 상부 및 하부에 설치되는 와셔로 구성되어, 제작 및 조립이 매우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안경 구조가 필요하게 되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엔드피스와 체결볼트 및 너트의 구성이 없이도 안경다리를 렌즈프레임의 일측에 용이하고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는 안경의 결합구조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렌즈가 고정되는 렌즈프레임의 일부분(또는 렌즈프레임과 일체를 이루는 연결부분)을 이용하여 안경다리를 결합부위를 제공함으로써 더욱 간소화된 구성을 구현할 수 있고 더욱 가벼운 무게를 갖는 안경을 제공할 수 있는 안경의 결합구조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렌즈수용부에 위치하는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프레임과 상기 렌즈프레임의 일단(一端)에 폴딩가능하게 안경다리를 결합하는 안경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면에 형성된 제1걸림홈과 저면에 형성된 제2걸림홈을 매개로 상기 렌즈프레임을 고정하고, 상기 안경다리의 일 말단인 선단부를 수용하는 힌지블록; 상기 선단부에 포함된 힌지고리를 상기 힌지블록에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블록결합부재; 그리고 상기 렌즈수용부의 바깥쪽으로 상기 렌즈프레임과 연결되어 나란히 형성된 한 쌍의 고정프레임을 포함하는 블록슬롯;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고정프레임은 각각 상기 제1걸림홈과 상기 제2걸림홈에 위치하여 상기 블록슬롯에 상기 힌지블록이 수용된다.
상기 한 쌍의 고정프레임은, 상기 렌즈프레임 윗부분의 일단과 그 일단이 연결된 제1고정프레임과 상기 렌즈프레임 아래부분의 일단과 그 일단과 연결된 제2고정프레임일 수 있다.
상기 블록슬롯은, 상기 제1고정프레임의 일단과 상기 제2고정프레임의 일단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렌즈프레임의 윗부분과 상기 렌즈프레임의 아래부분이 서로 직접 연결되지 않도록 형성된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와 대향(對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1고정프레임의 타단과 상기 제2고정프레임의 타단을 연결하는 폐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렌즈프레임의 윗부분과 상기 제1고정프레임, 상기 폐쇄부, 상기 제2고정프레임 및 상기 렌즈프레임의 아랫부분은 순차로 연결되어 동일체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블록슬롯은 상기 힌지블록이 상기 블록슬롯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부를 상기 렌즈프레임과 상기 블록슬롯의 연결 부분에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블록은, 상기 제1걸림홈과 제2걸림홈이 상기 상면과 상기 저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블록본체; 상기 상면과 상기 저면을 연결하며 상기 블록본체를 관통하는 수직공; 및 상기 블록본체의 배면과 정면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수직공의 일부를 연통하는 수평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공은 상기 블록본체의 배면과 정면을 연결하며 상기 블록본체를 관통하고 상기 수직공의 일부와 연통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블록결합부재는, 상기 안경다리의 선단부에 위치하며 고리 형태 또는 링 형태를 갖는 것으로 상기 블록본체의 수평공에 삽입되는 힌지고리; 및 상기 수직공에 위치하며 상기 힌지고리와 체결되어 폴딩가능한 상기 안경다리 회전의 중심을 형성하는 힌지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공은, 상기 상면에 형성된 상기 제1걸림홈과 상기 저면에 형성된 제2걸림홈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하여 상기 힌지축의 상단부 및 하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걸림홈과 제2걸림홈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노출시키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축은, 상기 제1걸림홈 및 제2걸림홈에 각각 끼워지는 상기 블록슬롯의 제1고정프레임 및 제2고정프레임에 의해 상기 힌지축의 상단부 및 하단부를 구속할 수 있다.
상기 힌지축은, 상기 힌지축의 상단부 및 상기 힌지축의 하단부에 각각 형성된 단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턱은, 상기 블록슬롯의 제1고정프레임 또는 제2고정프레임과 수직방향으로 대면하는 수직면 및 상기 블록슬롯의 제1고정프레임 또는 제2고정프레임과 수평방향으로 대면하는 수평면을 포함하는 것이 수 있다.
상기 힌지축은 상기 제1걸림홈의 폭 또는 제2걸림홈의 폭보다 큰 직경을 가져서 상기 단턱에 포함되는 상기 수직면이 상기 제1걸림홈 또는 제2걸림홈의 측벽에 위치하도록 상기 힌지블록에 매립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안경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안경은 위에서 설명한 안경의 결합구조로 서로 결합된 렌즈프레임과 안경다리를 포함한다.
상기 렌즈프레임은, 렌즈를 각각 수용하는 두 개의 렌즈수용부, 및 상기 렌즈수용부를 서로 연결하는 렌즈연결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안경은 상기 렌즈프레임과 상기 블록슬롯이 서로 연결되어 단일폐곡선을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안경은, 상기 렌즈프레임과 노우즈패드를 연결하는 패드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드지지프레임의 일단이 상기 렌즈프레임 아래부분의 타단과 서로 연결되되 예각을 이루도록 접혀있는 형태로 형성된 걸림고리와, 상기 렌즈프레임의 윗부분의 타단과 상기 렌즈연결프레임의 일단이 서로 연결되되 꺾여서 걸림고리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고리수용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경은, 상기 고리수용턱에 상기 걸림고리가 수용되어 체결 지지되는 안경의 걸림구조를 포함하여 상기 렌즈수용부에 상기 렌즈를 고정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안경다리가 힌지블록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면서 힌지블록을 매개로 렌즈프레임과 연결된 블록슬롯이 결합되므로,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견고한 안경의 결합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힌지축의 상단부 및 하단부가 블록슬롯의 고정프레임에 의해 구속되므로 단순한 구조로도 힌지축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단턱에 의하여 블록슬롯의 고정프레임에 대면하므로 힌지축의 수직방향 유동은 물론, 수평방향의 회전이 방지되어 더욱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단순한 구조로 그 무게가 매우 가벼우면서 각 구조들이 서로 연결되고 지지되는 구조를 통해 충분한 고정력과 내구성을 갖는 초경량으로 구현 가능한 안경을 제공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개시되는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결합구조에서 안경다리와 렌즈프레임의 결합관계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결합구조에서 힌지블록의 구조를 보여주는 절개사시도.
도 4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안경다리와 렌즈프레임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5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결합구조에 포함되는 힌지블록과 블록결합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결합구조에서 안경다리와 렌즈프레임의 결합관계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결합구조에서 힌지블록의 구조를 보여주는 절개사시도.
도 4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안경다리와 렌즈프레임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5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결합구조에 포함되는 힌지블록과 블록결합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도면에서 실시예들의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일 구성이 타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단수 또는 복수는 모두 단수로 표현될 수 있으며, 단수와 복수의 차이가 발명의 권리범위를 축소하는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제1, 제2 등의 표현은 필요에 따라 각 구성을 서로 구별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용되며, 제1 또는 제2 등의 표현이 발명의 권리범위를 축소하는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결합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수용부에 위치하는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프레임(10)과 상기 렌즈프레임(10)의 일단(一端)에 폴딩가능하게 안경다리(20)를 결합하는 것이다.
상기 안경의 결합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블록(100), 블록결합부재(200) 및 블록슬롯(3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안경의 결합구조는 도 3과 도 4에 나타낸 것 같은 힌지블록(100)의 구조와 안경다리(20)와 렌즈프레임(10)과의 결합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렌즈프레임(10)은 렌즈(미도시)가 고정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의 형상을 따라 일반적으로 대략 원형, 타원형 또는 네모 형상을 갖는 곡선으로 형성되어 렌즈(미도시)의 둘레를 둘러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렌즈프레임의 소재는 플라스틱, 금속 등 일반적으로 안경 프레임으로 적용되는 소재라면 적용될 수 있으나, 와이어 형태의 금속이 적용되는 것이 충분한 내구성을 가지면서 초경량의 안경을 제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좋으며, 특히 티타튬 또는 티타늄 합금을 포함하는 금속 와이어를 그 자체로 또는 금속 와이어에 코팅막을 형성한 상태로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안경다리(20)는 렌즈프레임(10)을 안면부에 착용시키기 위한 것으로 후단부가 귀에 걸리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안면의 관자놀이부를 파지(把持)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안경다리(20)는 그 일부의 단면이 타원형 또는 직사각형이 되도록 안경다리의 일부에 눌린 구조를 갖는 것일 수 있고, 이 경우 착용자의 안경 착용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힌지블록(100)은 안경다리(20)와 렌즈프레임(10)을 연결하는 구성요소 중 안경다리(20)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하나의 안경다리(20)와 연결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힌지블록(100)은 안경다리(20)의 선단부에 구비되고, 블록슬롯(300)은 렌즈프레임(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서로 결합되면서 안경다리(20)를 렌즈프레임(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킴으로써 안경다리(20)의 폴딩을 가능하게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힌지블록(100)은 상면에 형성된 제1걸림홈(100a)과 저면에 형성된 제2걸림홈(100a')을 매개로 상기 렌즈프레임을 고정하고, 상기 안경다리(20)의 일 말단인 선단부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블록결합부재(200)는 상기 선단부에 포함된 힌지고리(210)를 상기 힌지블록(10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블록슬롯(300)은 안경다리(20)와 렌즈프레임(10)을 연결하는 구성요소 중 렌즈프레임(10)의 일단에 구비되어 렌즈프레임(10)과 한 조를 이룰 수 있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블록슬롯(300)은 상기 렌즈수용부의 바깥쪽으로 상기 렌즈프레임(10)과 연결되어 나란히 형성된 한 쌍의 고정프레임(310, 3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안경의 결합구조는, 상기 한 쌍의 고정프레임(310, 320)은 각각 상기 제1걸림홈(100a)과 상기 제2걸림홈(100a')에 끼워져 상기 블록슬롯(300)에 상기 힌지블록(100)이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힌지블록(100)은 후술되는 블록결합부재(200)를 통해 안경다리(20)의 선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 및 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 그 일부에 꺽김부가 갖는 직선, 또는 곡선으로 형성되는 걸림홈(100a)을 통해 블록슬롯(300)에 끼워져 결합할 수 있다.
즉, 상기 힌지블록(100)은, 상기 힌지블록(100)의 상면에 형성된 제1걸림홈(100a)과 저면에 형성된 제2걸림홈(100a')을 매개로 상기 렌즈프레임을 고정하고, 상기 안경다리(20)의 일 말단인 선단부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블록(100)은, 상기 선단부에 포함된 힌지고리(210)를 상기 힌지블록(10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블록결합부재(200)를 통하여 상기 힌지블록(100)과 상기 안경다리(2)가 폴딩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힌지블록(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본체(110), 수직공(120) 및 수평공(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블록본체(110)는 대략 직육면체의 블록으로 이루어지면서 상면 및 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걸림홈(100a)이 형성되어 블록슬롯(300)을 구성하는 한 쌍의 프레임(310, 320)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힌지블록(100)은, 상기 제1걸림홈(100a)과 제2걸림홈(100a')이 상기 상면과 상기 저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블록본체(110); 상기 상면과 상기 저면을 연결하며 상기 블록본체(110)를 관통하는 수직공(120); 및 상기 블록본체(110)의 배면 또는 정면을 상기 수직공(120)의 일부와 연통되도록 하는 수평공(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공(130)은 상기 블록본체(110)의 배면과 정면을 연결하며 상기 블록본체(110)를 관통하고 상기 수직공(120)의 일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홈(100a, 100a')은 길이방향으로 직선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직선이되 그 중간이 일부 꺾여있는 형태일 수도 있으며, 곡선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걸림홈(100a, 100a')의 형상은 안경이라는 물품의 미감을 향상시킬 수도 있으나, 미감의 향상뿐만이 아니라 직선의 꺽임의 정도나 곡선의 정도에 따라 걸림홈(100a, 100a')에 결합되는 고정프레임(310, 320)을 지지하고 고정하는 정도가 향상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록본체(110)는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의 좌측면과 우측면 중에서 렌즈프레임(10)과 가까운 일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상면의 면적이 저면의 면적보다 큰 특징도 가질 수 있다.
이렇게 좌측면 또는 우측면 중에서 렌즈프레임(10)과 가까운 적어도 일면을 경사면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렌즈프레임(10)과 안경다리(20)의 연결 각도를 보다 인체공학적으로 조절하기 용이하며, 안경 착용자의 안면에 안경이 안기는 느낌을 받을 수 있는 편안한 안경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경사면의 각도(도 5에 '경사면의 각도'로 표시함, 대략 육면체의 상면과 저면을 수직으로 연결한 가상의 면과 경사면인 좌측면 또는 우측면이 이루는 각도)는 3 내지 20 도로 구성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4 내지 14도일 수 있으며, 더 구체적으로 5 내지 9 도일 수 있다.
상기 경사면의 각도가 너무 클 경우에는 수평공(130)이 형성되는 블록본체의 내구성이 떨어져서 반복된 안경다리(20)의 폴딩 과정에서 블록본체가 손상 시기가 빨라질 수 있고, 상기 경사면의 각도가 너무 작을 경우에는 안경 착용자가 안면에 안경이 안기는 편안한 느낌을 얻는 효과가 미미해질 수 있다.
상기 블록본체(110)는 그 소재에 제한이 없으며, 고무재, 합성수지재, 금속재, 목재 등이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블록본체의 소재로는 탄성을 갖는 고무재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이 제조 및 조립의 편의성과 내구성이 유지 또는 향상되며 초경량 안경을 구현하기에 적합하며, 구체적으로 폴리프로필렌수지 등이 적용되는 것이 좋다.
수직공(120)은 후술되는 힌지축(220)의 결합부위를 이루는 것으로, 블록본체(110)의 상면에서 저면을 향해 수직상태로 관통 형성되어 힌지축(220)이 끼워져 결합된다.
여기서, 수직공(12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본체(110)에 형성된 걸림홈(100a)에 관통되며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수직공(120)은 블록본체(110) 상면의 걸림홈(100a)에서 저면의 걸림홈(100a)으로 관통하며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후술되는 힌지축(220)의 상단부 및 하단부를 걸림홈(100a) 상에 노출시킴으로써 걸림홈(100a)에 끼워지는 블록슬롯(300)의 프레임(310, 320)들을 통해 힌지축(220)을 고정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수평공(130)은 후술되는 힌지고리(210)가 끼워지는 것으로, 블록본체(110)의 배면 또는 정면에서 관통되어 수직공(120)의 일부분과 연통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평공(130)은 블록본체(110)의 배면 측에서 블록본체(110)의 정면을 향해 관통 형성되면서 수직공(120)의 가운데부분과 거의 직교상태로 연통될 수 있다. 이 경우, 수평공(130)은 수직공(120)과 거의 직교상태로 연통됨으로써 연통부위에서 후술되는 힌지고리(210)와 힌지축(220)의 체결을 가능하게 한다.
블록결합부재(200)는 힌지블록(100)을 이루는 블록본체(110)를 안경다리(20)의 선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구성요소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블록(100)의 설명에서 언급한 힌지고리(210) 및 힌지축(2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힌지고리(210)는 상기 안경다리(20)의 선단부에 위치하며 고리 형태 또는 링 형태를 갖는 것으로 상기 블록본체(110)의 수평공(130)에 삽입된다.
이러한 힌지고리(210)는 안경다리(20)와 동일체로 구성되거나 분리구성되면서 안경다리(20)의 선단부에 구비되어 힌지축(220)에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경다리(20)와 동일체를 이루면서 안경다리(20)의 선단부에 링형태로 절곡형성될 수 있으며, 힌지축(220)에 끼워져 결합되어 힌지축(220)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안경다리(20)의 폴딩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힌지고리(210)는 안경다리(20)와 별도로 제작되어 안경다리(20)의 선단부에 부착될 수도 있다.
힌지고리(210)와 결합되는 힌지축(220)은 대략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힌지블록(100)을 통해 힌지고리(210)에 끼워져 걸리면서 안경다리(20)의 회전중심을 이룬다. 구체적으로, 상기 힌지축(220)은 상기 수직공(120)에 위치하며 상기 힌지고리(210)와 체결되어 폴딩가능하게 결합되는 상기 안경다리의 회전 중심을 형성한다.
다시 말해, 안경다리(20)의 힌지고리(210)는 블록본체(110)의 수평공(130)에 끼워진 상태에서 수직공(120)과의 연통부위에 배치되며, 힌지축(220)이 수직공(120)에 결합됨에 따라 힌지축(220)의 가운데 부분에 걸린상태로 고정되어 힌지축(220)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안경다리(20)의 폴딩을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수평공(130)은 수직공(120)과 연통되면서 힌지고리(210)의 회전을 허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힌지축의 단면과 수직광의 단면은 그 크기가 거의 유사하여 힌치축의 옆면과 수직공의 옆면이 서로 만나 결합하면 더욱 안정감 있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힌지고리는, 상기 렌즈프레임과 동일한 소재로 제조되되, 상기 안경다리와 동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안경다리의 선단부에 고리 형태로 절곡 형성되는 경우 안경의 전체적인 디자인의 통일성이 향상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렌즈프레임과 상기 안경다리(힌지고리 포함)이 티타늄 또는 티타늄 합금이 포함되도록 제조되는 경우 견고하면서도 가벼운 초경량 안경을 제공할 수 있다.
수평공(1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본체(11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수평공(130)은 안경다리(20)와 렌즈프레임(10)의 결합각도에 맞게 경사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평공(130)은 블록본체(110)의 배면에서 정면까지 관통될 수 있으며, 블록본체(110)의 배면 측에서만 관통 형성되면서 블록본체(110)의 정면 측은 차폐될 수 있다.
여기서, 블록본체(110)는 수평공(130)의 정면 측이 차폐될 경우에는, 수평공(130)의 정면 측이 개구된 형태와 다른 디자인적 미감을 제공함과 아울러 힌지고리(210)를 외부의 충격요인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수직공(120)은 상기 상면에 형성된 상기 제1걸림홈(100a)과 상기 저면에 형성된 제2걸림홈(100a')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하여 상기 힌지축(220)의 상단부 및 하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걸림홈(100a)과 제2걸림홈(100a')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노출시키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축(220)은, 상기 제1걸림홈(100a) 및 제2걸림홈(100a')에 각각 끼워지는 상기 블록슬롯(300)의 제1고정프레임(310) 및 제2고정프레임(320)에 의해 상기 힌지축(220)의 상단부 및 하단부를 구속하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록슬롯(300)은 안경프레임(10)의 일측에 구비되어 힌지블록(100)의 결합부위를 이루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블록슬롯(300)은 상기 렌즈수용부의 바깥쪽으로 상기 렌즈프레임(10)과 연결되어 나란히 형성된 한 쌍의 고정프레임(310, 320)을 포함한다. 이러한 블록슬롯(3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블록(100)의 상면 및 저면에 각각 형성된 걸림홈(100a)에 끼워지는 한 쌍의 프레임(310, 320)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프레임들(310)(320)은 서로 평행한 상태를 이루면서 렌즈프레임(10)의 일측에서 바깥쪽을 향해 연장되며, 프레임들(310, 320)의 사이에 힌지블록(100)을 수용하면서 걸림홈(100a)에 각각 끼워져 힌지블록(100)에 고정된다.
상기 한 쌍의 고정프레임(310, 320)은, 상기 렌즈프레임 윗부분의 일단과 그 일단이 연결된 제1고정프레임(310)과 상기 렌즈프레임 아래부분의 일단과 그 일단과 연결된 제2고정프레임(320)이라고 칭할 수 있다.
상기 블록슬롯(300)은, 상기 제1고정프레임의 일단과 상기 제2고정프레임의 일단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렌즈프레임의 윗부분과 상기 렌즈프레임의 아래부분이 서로 직접 연결되지 않도록 형성된 개구부(330); 및 상기 개구부(330)와 대향(對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1고정프레임의 타단과 상기 제2고정프레임의 타단을 연결하는 폐쇄부(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록슬롯(3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들(310)(320)의 양단부 중 렌즈프레임(10)의 양단 일측에서 연장된 부분의 단부에 개구부(330)를 가지면서 렌즈프레임(10)의 바깥쪽 부분의 단부에 폐쇄부(340)를 갖는 고리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블록슬롯(300)은 개구부(330)를 통해 삽입되는 힌지블록(100)이 프레임들(310)(320)에 각각 끼워지는 걸림홈(100a)을 통해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되면서 고정되며, 프레임들(310)(320)의 반대편 단부가 폐쇄부(340)에 의해 차폐됨에 따라 힌지블록(100)이 분리되지 않는다.
이러한 블록슬롯(300)은 렌즈프레임(10)과 분리구성되어 렌즈프레임(10)에 부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들(310)(320)이 렌즈프레임(10)과 동일체를 이루면서 개구부(330) 및 폐쇄부(340)를 갖는 고리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블록슬롯(3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330)에 걸림부(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블록슬롯(300)은 상기 힌지블록(100)이 상기 블록슬롯(30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부를 상기 렌즈프레임(10)과의 연결 부분에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제1고정프레임의 일단과 상기 제1고정프레임의 일단과 연결된 상기 렌즈프레임의 윗부분이 서로 각도를 형성하며 꺾이고, 상기 제2고정프레임의 일단과 상기 제2고정프레임의 일단과 연결된 상기 렌즈프레임의 아래부분이 서로 각도를 형성하며 꺾여서 형성되는 걸림각(미도시)의 형태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는, 상기 개구부와 상기 힌지블록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렌즈프레임과 상기 힌지블록을 통과하지 못하는 고정링(미도시)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제1고정프레임과 제2고정프레임이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상기 고정프레임이 상기 개구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의 폭을 좁히는 걸림턱(350)의 형태를 갖는 것일 수 있다. 걸림턱(350)은 개구부(330)를 이루는 프레임들(310, 320)에 마주보는 형태로 돌출형성되어 개구부(330)의 입구 폭을 좁아지도록 함으로써 힌지블록(100)이 개구부(330)로 분리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한편, 힌지축(2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단부 및 하단부가 걸림홈(100a, 100a')으로 노출됨에 따라 걸림홈(100a, 100a')에 끼워진 블록슬롯(300)의 프레임들(310, 320)에 의해 상단부 및 하단부가 구속되면서 고정된다.
즉, 블록슬롯(300)을 구성하는 프레임들(310, 320)은 걸림홈(100a)에 끼워져 결합되면서 힌지축(220)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대면함으로써 힌지축(220)이 블록본체(110)에서 분리되는 것을 막는다.
여기서, 힌지축(220)은 볼트가 아닌 막대형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수직공(120)에서 임의로 분리될 수도 있으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슬롯(300)을 구성하는 프레임들(310, 320)에 의해 상단부 및 하단부가 구속됨에 따라 수직방향의 유동이 방지되어 블록본체(110)에서 분리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힌지축(22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단턱(221)이 형성됨으로써, 수직방향의 유동 및 수평방향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힌지축(220)은, 상기 힌지축의 상단부 및 상기 힌지축의 하단부에 각각 형성된 단턱(221)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단턱(221)은, 상기 블록슬롯(300)의 제1고정프레임(100a) 또는 제2고정프레임(100a')과 수직방향으로 대면하는 수직면(221a) 및 상기 블록슬롯(300)의 제1고정프레임(100a) 또는 제2고정프레임(100a')과 수평방향으로 대면하는 수평면(221b)을 포함할 수 있다.
힌지축(2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턱(221)의 수직면(221a) 및 수평면(221b)을 통해 프레임들(310, 320)과 대면함으로써 수직방향의 유동방지는 물론, 수평방향의 유동이 방지되어 임의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될 수도 있다.
한편, 힌지축(220)은 걸림홈(100a)의 폭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단턱(221)을 이루는 수직면(221a) 부분이 걸림홈(100a)의 측벽에 매립된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안경의 연결구조는, 상기 렌즈프레임의 윗부분과 상기 제1고정프레임(310), 상기 폐쇄부(340), 상기 제2고정프레임(320) 및 상기 렌즈프레임의 아랫부분은 순차로 연결되어 동일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동일체가 일정한 탄성을 갖는 금속 와이어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경우, 후술하는 안경의 구조에서 설명하는 것처럼 안경의 걸림구조와 안경의 결합구조를 통하여 패드지지프레임의 일말단과 렌즈프레임 그리고 블록슬롯이 모두 연결되어 단일폐곡선을 이룰 수 있고, 이는 렌즈가 삽입되었을 때에 안정적인 걸림구조와 결합구조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일측의 패드지지프레임에서 시작한 와이어가 절단되지 않고 연결되며 제1블록슬롯과 연결된 제1렌즈프레임과 렌즈연결프레임 그리고 제2플록슬롯과 연결된 제2렌즈프레임과 연결되고 다시 타측의 패드지지프레임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와이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별도의 연결 또는 용접 부위가 없어 내구성이 우수하면서도 가벼운 안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결합구조를 포함하는 안경은, 위에서 설명한 안경의 결합구조로 서로 결합된 렌즈프레임(10)과 안경다리(20)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프레임(10)은, 렌즈를 각각 수용하는 두 개의 렌즈수용부; 및 상기 렌즈수용부를 서로 연결하는 렌즈연결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안경은 상기 렌즈프레임(10)과 상기 블록슬롯(300)이 서로 연결되어 단일폐곡선을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렌즈프레임 윗부분의 일단이 상기 블록슬롯의 일단과 서로 연결되고, 상기 블록슬롯의 타단과 상기 렌즈프레임의 아래부분의 일단이 서로 연결되며, 상기 렌즈프레임의 아래부분의 타단이 상기 패드지지프레임의 일단과 서로 연결되고, 상기 렌즈프레임 윗부분의 타단이 렌즈연결프레임의 일단과 연결되며, 상기 렌즈연결프레임의 일단과 상기 패드지지프레임의 일단이 서로 맞닿도록 위치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안경은, 상기 랜즈프레임(10)과 노우즈 패드(미도시)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패드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패드지지프레임의 일단이 상기 렌즈프레임 아래부분의 타단과 서로 연결되되 예각을 이루도록 접혀있는 형태로 형성된 걸림고리(미도시)와, 상기 렌즈프레임의 윗부분의 타단과 상기 렌즈연결프레임의 일단이 서로 연결되되 꺾여서 걸림고리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고리수용턱(미도시);을 포함하여,상기 고리수용턱에 상기 걸림고리가 수용되어 체결 지지되는 안경의 걸림구조를 포함하여 상기 렌즈수용부에 상기 렌즈를 고정하는 것일 수 있다.
이렇게 제공되는 안경은 특유의 안경 결합구조를 포함하여 비교적 간단하고 가벼운 안경과 안경다리 사이의 폴딩 연결 구조를 형성할 수 있고, 와이어를 여러 가닥을 꼬아서 용접하거나 나사를 사용하여 조립할 필요 없이, 한 가닥의 와이어로 안경 다리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안경의 프레임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되는 안경테은 렌즈를 제외한 무게(안경다리 포함, 동일소재 적용)가 일반 안경의 렌즈를 제외한 무게와 비교하여 약 30% 이하로 제조하면서도 동등 이상의 내구성과 안정성을 가질 수 있어 보다 가볍고 간결한 미감을 주는 안경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의 조립과정을 설명한다.
사용자는 안경다리(20)의 힌지고리(210)를 블록본체(110)의 수평공(130)에 삽입한 후, 힌지축(220)을 수직공(120)에 삽입하여 힌지고리(210)에 체결한다. 이에 따라 안경다리(20)의 선단부는 힌지블록(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사용자는 힌지블록(100)을 렌즈프레임(10)의 양단 일측에 각각 구비된 블록슬롯(300)에 결합한다. 이때, 사용자는 블록슬롯(300)의 개구부(330)를 통해 힌지블록(100)을 결합하면서 힌지블록(100)의 상면 및 저면에 형성된 걸림홈(100a) 각각에 프레임들(310)(320)이 끼워지도록 블록슬롯(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힌지블록(100)을 밀어 넣는다. 이때, 사용자는 블록슬롯(300)의 개구부를 살짝 벌리면서 밀어 넣을 수 있으며, 힌지블록(100)의 탄성변형을 이용하면서 밀어 넣을 수 있다.
이때, 힌지블록(100)은 블록슬롯(300)에 결합된 상태로 폐쇄부(340)에 한 쪽이 차폐되고, 걸림턱(350)에 의해 다른 한 쪽이 차폐되어 블록슬롯(300)에서 분리되지 않는다. 또한, 힌지축(220)은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형성된 단턱(221) 부분이 블록슬롯(300)의 프레임들(310)(320)에 의해 밀착됨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유동하거나 수평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는다.
그리고, 사용자는 렌즈프레임(10)에 미도시된 렌즈를 결합하여 조립을 완료한다. 이때, 안경의 걸림구조를 활용하는 경우 걸림구조에 의하여 렌즈연결프레임과 렌즈프레임의 상단 부분이 안경 렌즈의 무게를 지탱하며 안경의 결합구조에서의 고정력과 안경의 걸림구조에서의 지지력이 결합하여 안정적인 안경의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결합구조는 안경다리(20)가 힌지블록(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면서 힌지블록(100)을 매개로 블록슬롯(300)에 결합되므로 간소화된 구성을 통해 조립이 용이하다. 또한, 별도의 안경용 경첩을 적용하거나 나사구조를 적용하지 않아서 내구성이 우수하면서도 가벼운 안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렌즈프레임
20 : 안경다리
100 : 힌지블록
100a, 100a' : 걸림홈, 제1걸림홈, 제2걸림홈
110 : 블록본체 120 : 수직공
130 : 수평공 200 : 블록결합부재
210 : 힌지고리 220 : 힌지축
221 : 단턱 221a : 수직면
221b : 수평면 300 : 블록슬롯
310, 320 : 고정프레임, 제1고정프레임, 제2고정프레임
330 : 개구부 340 : 폐쇄부
350 : 걸림턱 500 : 안경(안경테)
100 : 힌지블록
100a, 100a' : 걸림홈, 제1걸림홈, 제2걸림홈
110 : 블록본체 120 : 수직공
130 : 수평공 200 : 블록결합부재
210 : 힌지고리 220 : 힌지축
221 : 단턱 221a : 수직면
221b : 수평면 300 : 블록슬롯
310, 320 : 고정프레임, 제1고정프레임, 제2고정프레임
330 : 개구부 340 : 폐쇄부
350 : 걸림턱 500 : 안경(안경테)
Claims (12)
- 렌즈수용부에 위치하는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프레임과 상기 렌즈프레임의 일단(一端)에 폴딩가능하게 안경다리를 결합하는 안경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면에 형성된 제1걸림홈과 저면에 형성된 제2걸림홈을 매개로 상기 렌즈프레임을 고정하고, 상기 안경다리의 일 말단인 선단부를 수용하는 힌지블록;
상기 선단부에 포함된 힌지고리를 상기 힌지블록에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블록결합부재; 그리고
상기 렌즈수용부의 바깥쪽으로 상기 렌즈프레임과 연결되어 나란히 형성된 한 쌍의 고정프레임을 포함하는 블록슬롯;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고정프레임은 각각 상기 제1걸림홈과 상기 제2걸림홈에 위치하여 상기 블록슬롯에 상기 힌지블록이 수용되는, 안경의 결합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고정프레임은, 상기 렌즈프레임 윗부분의 일단과 그 일단이 연결된 제1고정프레임과 상기 렌즈프레임 아래부분의 일단과 그 일단과 연결된 제2고정프레임이고,
상기 블록슬롯은, 상기 제1고정프레임의 일단과 상기 제2고정프레임의 일단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렌즈프레임의 윗부분과 상기 렌즈프레임의 아래부분이 서로 직접 연결되지 않도록 형성된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와 대향(對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1고정프레임의 타단과 상기 제2고정프레임의 타단을 연결하는 폐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안경의 결합구조.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렌즈프레임의 윗부분과 상기 제1고정프레임, 상기 폐쇄부, 상기 제2고정프레임 및 상기 렌즈프레임의 아랫부분은 순차로 연결되어 동일체를 형성하는, 안경의 결합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록슬롯은 상기 힌지블록이 상기 블록슬롯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부를 상기 렌즈프레임과 상기 블록슬롯의 연결 부분에 더 포함하는, 안경의 결합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블록은,
상기 제1걸림홈과 제2걸림홈이 상기 상면과 상기 저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블록본체;
상기 상면과 상기 저면을 연결하며 상기 블록본체를 관통하는 수직공; 및
상기 블록본체의 배면과 정면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수직공의 일부를 연통하는 수평공;
을 포함하는, 안경의 결합구조.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블록결합부재는,
상기 안경다리의 선단부에 위치하며 고리 형태 또는 링 형태를 갖는 것으로 상기 블록본체의 수평공에 삽입되는 힌지고리; 및
상기 수직공에 위치하며 상기 힌지고리와 체결되어 폴딩가능한 상기 안경다리 회전의 중심을 형성하는 힌지축;
을 포함하는, 안경의 결합구조.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수직공은, 상기 상면에 형성된 상기 제1걸림홈과 상기 저면에 형성된 제2걸림홈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하여 상기 힌지축의 상단부 및 하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걸림홈과 제2걸림홈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노출시키는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축은, 상기 제1걸림홈 및 제2걸림홈에 각각 끼워지는 상기 블록슬롯의 제1고정프레임 및 제2고정프레임에 의해 상기 힌지축의 상단부 및 하단부를 구속하는, 안경의 결합구조.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은, 상기 힌지축의 상단부 및 상기 힌지축의 하단부에 각각 형성된 단턱을 포함하며,
상기 단턱은, 상기 블록슬롯의 제1고정프레임 또는 제2고정프레임과 수직방향으로 대면하는 수직면 및 상기 블록슬롯의 제1고정프레임 또는 제2고정프레임과 수평방향으로 대면하는 수평면을 포함하는 것인, 안경의 결합구조.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은 상기 제1걸림홈의 폭 또는 제2걸림홈의 폭보다 큰 직경을 가져서 상기 단턱에 포함되는 상기 수직면이 상기 제1걸림홈 또는 제2걸림홈의 측벽에 위치하도록 상기 힌지블록에 매립되는, 안경의 결합구조. - 렌즈를 각각 수용하는 두 개의 렌즈수용부, 및 상기 렌즈수용부를 서로 연결하는 렌즈연결프레임,을 포함하는 렌즈프레임;과 안경다리;를 청구항 1에 따른 안경의 결합구조로 연결하는, 안경.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안경은 상기 렌즈프레임과 상기 블록슬롯이 서로 연결되어 단일폐곡선을 형성하는 것인, 안경.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안경은,
상기 렌즈프레임과 노우즈패드를 연결하는 패드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패드지지프레임의 일단이 상기 렌즈프레임 아래부분의 타단과 서로 연결되되 예각을 이루도록 접혀있는 형태로 형성된 걸림고리; 및 상기 렌즈프레임의 윗부분의 타단과 상기 렌즈연결프레임의 일단이 서로 연결되되 꺾여서 걸림고리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고리수용턱;을 포함하며,
상기 고리수용턱에 상기 걸림고리가 수용되어 체결 지지되는 안경의 걸림구조를 포함하여 상기 렌즈수용부에 상기 렌즈를 고정하는, 안경.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80212A KR101969215B1 (ko) | 2017-06-26 | 2017-06-26 | 안경의 결합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안경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80212A KR101969215B1 (ko) | 2017-06-26 | 2017-06-26 | 안경의 결합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안경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0982A true KR20190000982A (ko) | 2019-01-04 |
KR101969215B1 KR101969215B1 (ko) | 2019-04-15 |
Family
ID=65018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80212A KR101969215B1 (ko) | 2017-06-26 | 2017-06-26 | 안경의 결합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안경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69215B1 (ko)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764263A (zh) * | 2019-11-05 | 2020-02-07 | 歌尔股份有限公司 | 一种ar眼镜 |
KR20200107606A (ko) | 2019-03-08 | 2020-09-16 | 주식회사 이노 (Inno) | 금속 와이어로 이루어진 안경 다리를 갖는 안경테 |
KR102210071B1 (ko) * | 2020-07-16 | 2021-02-01 | 주식회사 두눈 | 무나사 힌지 안경 |
KR102344089B1 (ko) * | 2021-05-04 | 2021-12-29 | 주식회사 정스옵티칼 | 안경 결합힌지 |
KR20220013133A (ko) * | 2020-07-24 | 2022-02-04 | (주)휴맥스옵틱 | 안경테 |
KR20230022685A (ko) | 2021-08-09 | 2023-02-16 | 손창수 | 안경용 경첩 |
CN116068787A (zh) * | 2023-02-24 | 2023-05-05 | 厦门嘉越光学有限公司 | 一种镜腿连接结构及眼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96532B1 (ko) | 2022-10-07 | 2023-10-30 | 신용국 | 안경다리의 벌림각도 조절기능이 구성된 안경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10745U (ko) | 1995-08-28 | 1997-03-29 | 조립형 안경테 | |
KR20120007591U (ko) * | 2011-04-26 | 2012-11-05 | 허준석 | 걸이식 안경테 |
KR200466527Y1 (ko) | 2011-03-22 | 2013-04-24 | 류기현 | 안경다리 조립 구조 |
KR20130057644A (ko) * | 2011-11-24 | 2013-06-03 | 박승영 | 교체형 안경 |
KR20160108990A (ko) * | 2015-03-09 | 2016-09-21 | 김영호 | 안경테의 안경다리 결합구조체 |
-
2017
- 2017-06-26 KR KR1020170080212A patent/KR10196921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10745U (ko) | 1995-08-28 | 1997-03-29 | 조립형 안경테 | |
KR200466527Y1 (ko) | 2011-03-22 | 2013-04-24 | 류기현 | 안경다리 조립 구조 |
KR20120007591U (ko) * | 2011-04-26 | 2012-11-05 | 허준석 | 걸이식 안경테 |
KR20130057644A (ko) * | 2011-11-24 | 2013-06-03 | 박승영 | 교체형 안경 |
KR20160108990A (ko) * | 2015-03-09 | 2016-09-21 | 김영호 | 안경테의 안경다리 결합구조체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07606A (ko) | 2019-03-08 | 2020-09-16 | 주식회사 이노 (Inno) | 금속 와이어로 이루어진 안경 다리를 갖는 안경테 |
CN110764263A (zh) * | 2019-11-05 | 2020-02-07 | 歌尔股份有限公司 | 一种ar眼镜 |
CN110764263B (zh) * | 2019-11-05 | 2021-09-17 | 歌尔光学科技有限公司 | 一种ar眼镜 |
KR102210071B1 (ko) * | 2020-07-16 | 2021-02-01 | 주식회사 두눈 | 무나사 힌지 안경 |
WO2022014744A1 (ko) * | 2020-07-16 | 2022-01-20 | 주식회사 두눈 | 무나사 힌지 안경 |
KR20220013133A (ko) * | 2020-07-24 | 2022-02-04 | (주)휴맥스옵틱 | 안경테 |
KR102344089B1 (ko) * | 2021-05-04 | 2021-12-29 | 주식회사 정스옵티칼 | 안경 결합힌지 |
KR20230022685A (ko) | 2021-08-09 | 2023-02-16 | 손창수 | 안경용 경첩 |
CN116068787A (zh) * | 2023-02-24 | 2023-05-05 | 厦门嘉越光学有限公司 | 一种镜腿连接结构及眼镜 |
CN116068787B (zh) * | 2023-02-24 | 2024-04-30 | 厦门嘉越光学有限公司 | 一种镜腿连接结构及眼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69215B1 (ko) | 2019-04-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69215B1 (ko) | 안경의 결합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안경 | |
US10156735B2 (en) | Dual-folding eyeglasses and eyeglass collapsible case | |
AU2016250472B2 (en) | Extendable eyeglasses and method of use | |
KR101237838B1 (ko) |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 | |
KR101572099B1 (ko) | 안경의 안경다리 결합구조체 | |
KR101325469B1 (ko) | 교체형 안경 | |
US20090244476A1 (en) | Pair of spectacles with interchangeable lenses | |
CA3024952C (en) | Dual-folding eyeglasses and eyeglass collapsible case | |
US3084595A (en) | Frame for eyeglasses | |
KR20140015233A (ko) | 안경다리와 안경테의 결합구조 | |
US20160231588A1 (en) | Interchangeabal Eyewear | |
GB2412181A (en) | Auxiliary eyeglasses with spring biased lens units | |
KR20170083808A (ko) | 템플 탈착형 안경 | |
KR20130057645A (ko) | 교체형 안경 | |
KR200450246Y1 (ko) | 림락과 힌지기능을 가진 안경테 고정수단 | |
KR102101100B1 (ko) | 교체형 안경 | |
KR20210021722A (ko) | 안경용 힌지 | |
KR200473157Y1 (ko) | 안경 세트 | |
KR101941402B1 (ko) |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 |
KR102553670B1 (ko) |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 | |
TWI596397B (zh) | Eyeglasses that change lenses | |
CN219831536U (zh) | 一种可折叠眼镜 | |
KR102562601B1 (ko) | 길이조절이 가능한 코패드를 구비한 안경 | |
KR20180107677A (ko) | 안경용 안경다리 | |
KR200493352Y1 (ko) | 안경테용 안경다리 결합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