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3808A - 템플 탈착형 안경 - Google Patents

템플 탈착형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3808A
KR20170083808A KR1020160003138A KR20160003138A KR20170083808A KR 20170083808 A KR20170083808 A KR 20170083808A KR 1020160003138 A KR1020160003138 A KR 1020160003138A KR 20160003138 A KR20160003138 A KR 20160003138A KR 20170083808 A KR20170083808 A KR 201700838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le
rim
hinge
hinge shaft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3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대성
Original Assignee
임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대성 filed Critical 임대성
Priority to KR1020160003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83808A/ko
Publication of KR20170083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38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146Side-members having special front end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템플 탈착(脫着)형 안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안경의 힌지 부분을 매개로 림과 템플의 결합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구성하여 필요로 하는 색상이나 질감, 형상 등을 갖는 템플로 교환이 편리하며 사용자의 분위기나 느낌 또는 변화를 줄 수 있는 패션 안경으로도 활용할 수 있기 위한 "템플 탈착형 안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템플 탈착형 안경은 제1 결합부를 구비한 안경렌즈를 고정하는 림과,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 가능한 제2 결합부를 구비한 상기 림을 지지하는 템플을 포함한다.
또한, 제1 결합부는 상기 템플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림의 선단부를 연결하는 힌지축부, 상기 힌지축부 상하측을 감싸는 단턱부, 및 상기 단턱부 일측에 홈이 파여진 구속홈부를 구비하고, 제2 결합부는 상기 힌지축부가 안착되는 힌지결합홈부, 상기 단턱부의 진입을 유도하는 제1 단턱홈부 및 상기 단턱부가 안착되는 제2 단턱홈부, 상기 구속홈부를 따라 움직이는 구속돌기를 구비한다.
따라서, 제1 및 제2 결합부를 이용하여 상기 템플 탈착이 용이하고 타 템플로 교체할 수 있다.

Description

템플 탈착형 안경{GLASSES WITH DETACHABLE TEMPLES}
본 발명은 템플 탈착(脫着)형 안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안경의 힌지 부분을 매개로 림과 템플의 결합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구성하여 필요로 하는 색상이나 질감, 형상 등을 갖는 템플로 교환이 편리하며 사용자의 분위기나 느낌 또는 변화를 줄 수 있는 패션 안경으로도 활용할 수 있기 위한 "템플 탈착형 안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은 시력이 저하된 사람의 시력회복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거나 강한 광선으로부터 눈을 미리 보호하여 시력을 잃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선글라스 등을 포함하는 총칭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으로는 내부에 렌즈를 결합하는 안경테(림)와, 안경테를 지지하는 안경다리(템플)와, 상기 안경테(림)와 안경다리(템플)를 결합하는 힌지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의 안경테(림)와 안경다리(템플) 및 힌지로 결합되는 종래의 일반적인 안경은 렌즈를 장착한 안경테의 양측에 힌지를 결합가능케 힌지대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힌지대는 대부분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통상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는 안경테와 안경다리는 그 자체의 디자인이 처음에 생산될 당시의 색상이나 질감, 형상 등의 디자인을 그대로 사용하여야 하는 수밖에 없고, 달리 사용하는 도중에 그러한 디자인을 변경하는 방법이 없었다.
그러므로 근래에는 안경이 일회용품이 되었다 할 만큼, 하나의 안경으로 오랜 시간 동안 사용하는 사람이 적고, 쉽게 싫증을 느껴 오래 사용하지 않는 안경을 버리고 새로 구입하는 등 낭비적인 요소가 있었다.
특히 이러한 고정된 안경테(림)와 안경다리(템플)의 디자인은 근래 상당히 예민한 패션감각을 갖고 항상 변화를 추구하는 젊은 세대들의 취향에는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이에 대한 개선, 즉 수시로 디자인을 변경할 수 있는 안경의 제공이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에 따르면, 안경에 있어서의 템플 연동 축은 연동 작용을 구성하는 두 경첩부를 서로 이어주는 한 개의 나사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안경 업자들이 널리 인식하고 있는 문제점의 하나는 연동 축을 구성하는 나사가 너무 자주 느슨해지기 때문에 아예 템플(안경다리)을 제거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어쩔 수 없이 매번 다시 조여야 한다는 점이다.
그러한 문제점은 사용자가 전문가에게 문의하는 대신 직접 템플을 교체할 수 있도록 템플의 교체를 용이하게 만들고자 할 때 특히 두드러진다.
템플의 교체 필요성은 사용자의 디자인 변화 욕구가 많아짐에 따라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즉, 안경은 시력을 보정하고 보호하는 기능 이외에 착용자의 인상에 변화를 갖게 하는 액세서리의 기능을 겸하고 있는바, 앞부분의 안경테 디자인이 안경 착용자의 인상을 많이 좌우하지만, 템플 부분 또한 착용자의 인상을 좌우하는 포인트가 되기도 한다.
그에 따라 특히 유행에 민감한 안경 착용자들은 대부분 서로 다른 디자인의 안경을 필요로 하게 되는데 이 경우 종래 대부분의 안경은 템플 부분의 교환이 쉽지 않으므로 자신만의 독특한 디자인을 고집하는 안경 착용자들은 대부분 디자인이 서로 다른 수개의 안경을 구입하여 번갈아 가며 착용하게 됨으로써 안경의 구입비용이 증가하여 경제적 부담이 될 수 있다.
즉, 종래의 통상적인 안경(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300)를 교환할 수 있도록 볼트(1100)로 풀고 조여주는 렌즈고정구(900)(1000)가 안경테(200)에 용접으로 고정되고, 상기 렌즈고정구(900)(1000)의 뒤쪽에 힌지(600)가 용접으로 고정된 "ㄱ"자 형태의 연결대(500)를 용접으로 고정하며, 상기 연결대(500)에 형성된 힌지(600)와 안경다리(400)의 힌지(700)를 서로 끼워 볼트(800)로 체결함으로써 접철되게 구성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안경(100)의 경우, 연결대(500)가 안경테(200)의 렌즈고정구( 900)(1000)에 용접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일반소비자가 가정에서 안경다리( 400) 및 연결대(500)를 교체할 수 없었다.
물론 상기 안경다리(400)는 연결대(500)와 힌지(600)(700)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볼트(800)를 풀고 새로운 디자인의 안경다리(400)를 교체할 수 있으나, 상기 안경다리(400)의 교체가 용이하지 않고 교체만으로는 그 변화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으며, 볼트(800)의 잦은 풀고 조임으로 볼트(800)의 표면이 마모 및 손상되어 볼트결합이 자주 풀어지게 되어 수시로 볼트의 조임력을 확인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심한 경우에는 볼트(800)로 안경다리(400)와 연결대(500)를 체결할 수 없는 경우도 발생하게 되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제안된 "안경테와 연결대를 포함한 안경다리의 교체구조"가 실용신안등록 제20-0315936호로서 등록되어 등록실용신안공보에 게시되어 있다.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20-0315936호의 "안경테와 연결대를 포함한 안경다리의 교체구조"는 렌즈(3)를 교체할 수 있도록 볼트(B)가 체결되는 렌즈고정구(9)(9')중 상기 렌즈고정구(9')에 힌지(6)(7)가 볼트(8) 체결되어 접철되는 안경다리(4)와 결합된 연결대(5)를 용접으로 고정한 안경(1)에 있어서; 상기 안경다리(4)와 결합되는 "ㄱ"자형의 연결대(5) 선단에 형성된 고정구 홀더(X)에 결합구멍(Y)을 구성하여, 상기 안경테(2)에 형성된 렌즈고정구(9)(9')를 끼웠다 뺐다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안경테로부터 연결대를 포함한 안경다리를 교체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한 실용신안등록 제20-0315936호의 "안경테와 연결대를 포함한 안경다리의 교체구조"는 장기간 사용시 즉, 빈번한 안경다리의 교체시 결합구멍(Y)과 고정구 홀더(X)의 결합이 헐거워져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결점이 있고, 볼트(B)의 잦은 풀고 조임으로 볼트(B)의 표면이 마모 및 손상되어 볼트결합이 자주 풀어지게 되어 수시로 볼트의 조임력을 확인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심한 경우에는 볼트(B)로 렌즈고정구(9)(9')를 체결할 수 없는 경우도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15936호, 고안의 명칭 "안경테와 연결대를 포함한 안경다리의 교체구조" (등록일자 2003.05.29.)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안경의 힌지 부분을 매개로 림과 템플의 결합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구성하여 필요로 하는 색상이나 질감, 형상 등을 갖는 템플로 교환이 편리하며 착용자의 분위기나 느낌 또는 변화를 줄 수 있는 패션 안경으로 활용할 수 있는 템플 탈착형 안경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템플 탈착형 안경은 제1 결합부를 구비한 안경렌즈를 고정하는 림과,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 가능한 제2 결합부를 구비한 상기 림을 지지하는 템플을 포함한다.
또한, 제1 결합부는 상기 템플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림의 선단부를 연결하는 힌지축부, 상기 힌지축부 상하측을 감싸는 단턱부, 및 상기 단턱부 일측에 홈이 파여진 구속홈부를 구비하고, 제2 결합부는 상기 림 방향 템플의 선단부 내측으로 형성된 상기 힌지축부가 안착되는 힌지결합홈부, 상기 템플의 선단부 일측에 형성된 상기 단턱부의 진입을 유도하는 제1 단턱홈부 및 상기 단턱부가 안착되는 제2 단턱홈부, 및 상기 제2 단턱홈부 일측에 돌출되어 상기 구속홈부를 따라 움직이는 구속돌기를 구비한다.
따라서, 제1 및 제2 결합부를 이용하여 상기 템플 탈착이 용이하고 타 템플로 교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질감, 색상, 모양 또는 형상의 템플을 용이하게 탈착 가능하여 새로운 디자인의 안경을 표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새로운 디자인의 안경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새로운 안경의 구입에 따른 비용이 소요되지 않아 경제성을 가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다양한 디자인의 템플을 별도의 도구 없이도 용이하게 탈착이 가능하여 사용자들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패션의 기능이 날로 커지고 있는 안경에 있어서 기능적으로 기대를 만족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안경의 명칭을 나타낸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안경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안경테와 연결대를 포함한 안경다리의 교체구조를 채용한 종래 안경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템플 탈착형 안경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템플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템플 탈착형 안경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을 내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A-A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5를 내측에서 바라본 확대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을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1을 더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템플이 펴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 4의 'B'부분을 수평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템플이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템플 탈착형 안경의 템플들을 다양하게 나타내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 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 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 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 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 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도면의 도시에 있어서 요소들 간의 크기 비율이 다소 상이하게 표현되거나 서로 결합되는 부품들 간의 크기가 상이하게 표현된 부분도 있으나, 이와 같은 도면상에 나타나는 표현의 차이는 해당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이해 가능한 부분들이므로 별도의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우선,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언급하였듯이, 안경은 도 1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를 고정하는 안경테인 림와, 림의 끝단에 위치하여 안경 다리부분과 이어지는 앤드피스와, 안경 다리부분 전체를 가리키는 템플 등으로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템플 탈착형 안경을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템플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템플 탈착형 안경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을 확대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7을 내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A-A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템플 탈착형 안경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렌즈를 고정하는 림(10)과, 상기 림(10)을 지지하는 템플(40)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템플 탈착형 안경은 템플의 탈착이 용이하도록 렌즈를 고정하는 림(10)의 선단부(앤드피스)에 형성되는 제1 결합부(20)와, 림(10) 방향 템플(40)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제2 결합부(30)가 구비된다.
여기서, 제1 결합부(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21a)와 하단부(21b)로 형성된 림의 선단부(21)를 상하로 연결하는 원기둥 형상의 힌지축부(22)와, 상기 힌지축부(22) 상하측에 소정 깊이의 턱을 형성하는 상하 단턱부(23a, 23b)와, 단턱부(23) 일측에 형성된 구속홈부(25)로 이루어져 있고, 템플(40)을 접거나 펼칠 때 360도 회전되어 쉽게 돌아가지 않도록 소정 각도 제한하는 지지대(2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럼 제1 결합부(20)의 구성요소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림의 선단부(21)은 앤드피스라고 하는데,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21a) 및 하단부(21b)로 구성된다. 상단부(21a) 및 하단부(21b)는 상하로 각각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한다. 상단부(21a) 및 하단부(21b) 각각은 내측으로 부드럽게 라운드가 져 있어 템플(40)이 접히거나 펴질 때 템플(40)과의 마찰을 최소화시킨다.
힌지축부(22)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림의 선단부(21) 상하를 연결하는 기능을 하면서 템플(40)이 접히거나 펴질 때 기준 축 역할을 한다.
힌지축부(22)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 단면에서 보듯이 제1 힌지부(22a) 및 제2 힌지부(22b)로 구성된다.
제1 힌지부(22a)는 그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와, 나사산이 없는 머리부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제2 힌지부(22b)는 그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와, 나사산이 없는 머리부로 구분할 수 있다.
제1 힌지부(22a) 및 제2 힌지부(22b)는 시중에 판매되는 볼트(bolt)를 이용할 수 있다.
힌지축부(22)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 힌지부(22a) 내로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2 힌지부(22b)가 삽입되어 나사결합하여 하나의 힌지축을 형성한다.
여기서 제1 힌지부(22a) 또는 제2 힌지부(22b) 중 하나의 머리부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십자형 홈(또는 일자형 홈)이 형성되고, 타측의 머리부는 사각형(또는 다각형)으로 구현되어 일측은 드라이버로 회전시킬 때 타측은 사각형(또는 다각형) 홈으로 머리부를 잡아주어 원활하게 잠길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도면에는 제1 힌지부(22a)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제2 힌지부(22b)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나, 상하 위치가 바뀌어도 무방하다.
단턱부(23)는 힌지축부(22)를 감싸며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하로 형성되어 있고, 상측 단턱부(23a) 및 하측 단턱부(23b)로 구분할 수 있다.
단턱부(23)는 힌지축부(22)의 일부를 커버하므로 힌지축부(22)를 외부로부터 오는 일부 충격을 막아주고 힌지축부(22)이 기준 축의 기능을 수행하는 데 도움을 준다.
또한, 단턱부(23)는 템플(40)의 제2 단턱홈부(33b)에 잘 안착되어 림(10)과 템플(40)이 잘 결합되도록 한다.
구속홈부(25)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턱부(23) 일측에 외주면을 따라 소정 각도 홈이 파져 있다. 이는 템플(40)이 힌지축부(22)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접히거나 펴질 때 후술할 구속돌기(35)의 간섭을 받아 소정 각도로 제한을 주기 위한 것이다. 즉, 구속홈부(25)가 구현되어 있지 않는다면, 템플(40)은 힌지축부(22)를 기준으로 자유롭게 360도 이상 회전하려 할 것이고 이때 림(10)의 모서리 부분과 쉽게 접촉하게 되어 흠집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지지대(27)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림의 선단부(21) 내측에 위치하는 외곽이 라운드진 블록(block) 형상으로, 템플(40)이 구속홈부(25)에 의해 회전 각도가 제한을 받듯이, 템플(40)이 360도 자유롭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템플(40)을 접을 때나 펼 때 소정 각도에서 정지되도록 보조하는 기능을 한다.
도 11은 도 5를 내측에서 바라본 확대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11을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1을 더 확대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15는 템플이 펴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 4의 'B'부분을 수평으로 자른 단면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템플이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템플 탈착형 안경의 템플들을 다양하게 나타내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제2 결합부(30)는 도 11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림(10) 방향 템플의 선단부(31) 내측으로 형성된 힌지축부(22)가 안착되는 슬롯(slot) 타입의 힌지결합홈부(32)와, 템플의 선단부(31) 일측에 형성된 단턱부(23)의 진입을 유도하는 제1 단턱홈부(33a) 및 단턱부(23)가 안착되는 제2 단턱홈부(33b)와, 및 제2 단턱홈부(33b) 일측에 돌출되어 구속홈부(25)를 따라 움직이는 구속돌기(35)로 이루어지고, 템플의 선단부(31) 좌우측으로 제2 결합부(30)가 외부 힘에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보조지지부(3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럼 제2 결합부(30)의 구성요소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템플의 선단부(31)는 림의 선단부(21)와 대응되어 형성되고 림의 선단부(21)가 상하로 형성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로 형성되어 우단부(31a) 및 좌단부(31b)로 구분된다. 반대로 림의 선단부(21)가 좌우로 형성된다면 템플의 선단부(31)는 상하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템플의 선단부(31)는 림의 선단부(21)과 원활하게 도킹(docking)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제1 결합부(20) 및 제2 결합부(30) 상호 간에 결합 및 탈착이 용이하게 한다.
우단부(31a)는 좌단부(31b)보다 소정 길이 길게 형성되어 템플(40)이 완전히 펼쳐질 때, 림(10)의 단부에 걸리도록 한다. 다만, 템플의 선단부(31)는 소정의 탄성을 받도록 탄성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우단부(31a) 및 좌단부(31b) 각각은 외측으로 부드럽게 라운드가 져 있어 템플(40)이 접히거나 펴질 때 림(10)과의 부딤침을 최소화시킨다.
힌지결합홈부(32)는 템플의 선단부(31) 내측으로 형성되는 슬롯 타입의 형상으로 우단부(31a) 및 좌단부(31b) 사이에 형성된다.
특히, 힌지결합홈부(32)에 힌지축부(22)가 잘 결합되도록, 힌지결합홈부(32)는 힌지축부(22)의 단면 외경보다 좁게 형성하고 탄성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템플의 선단부(31)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림의 선단부(21)와 결합된다.
제1 단턱홈부(33a)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로 뚫린 타원 또는 원 형상으로 템플의 선단부(31) 일측에 형성되어, 단턱부(23)의 진입을 유도한다.
제1 단턱홈부(33a)는 단턱부(23)의 단면 외경보다 약간은 이격되게 형성하고 탄성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무리한 힘에 의해 쉽게 힌지축부(22)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제2 단턱홈부(33b)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턱홈부(33a)와 바로 인접하여 있고 일측 뚫린 원 형상으로 템플의 선단부(31) 일측에 형성되어, 단턱부(23)와 결합된다.
제2 단턱홈부(33b)는 단턱부(23)의 단면 외경보다 약간은 이격되게 형성하고 탄성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속돌기(35)는 제2 단턱홈부(33b) 일측에 돌기되어 구속홈부(25)를 따라 움직이므로 템플(40)이 펴지거나 접혀질 때 소정 각도 내로 회전하도록 제한할 수 있다.
즉,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속돌기(35)는 제2 단턱홈부(33b) 일측에서 돌출되어 템플(40)의 움직임과 같이 연동되어 움직이면서 구속홈부(35)의 홈 내에서만 이동될 수 있어 템플(40)이 과도하게 펴지거나 접혀지는 것을 방지한다.
보조지지부(37)는 템플의 선단부(31) 좌우측으로 돌출되어 제2 결합부(30)가 외부 힘에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지지하고, 돌출되는 모양이나 형상을 다양하게 하여 패션을 가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템플 탈착형 안경은 제1 결합부(20)를 구비한 안경렌즈를 고정하는 림(10)과, 제1 결합부(20)와 결합 가능한 제2 결합부(30)를 구비한 림(10)을 지지하는 템플(40)을 포함한다.
또한, 제1 결합부(20)는 템플(40) 방향으로 절곡되어 림(10)의 선단부(21)를 연결하는 힌지축부(22), 힌지축부(22) 상하측을 감싸는 단턱부(23), 및 단턱부(23) 일측에 홈이 파여진 구속홈부(25)를 구비한다.
또한, 제2 결합부(30)는 림(10) 방향 템플(40)의 선단부 내측으로 형성된 힌지축부(22)가 안착되는 힌지결합홈부(32), 템플의 선단부 일측에 형성된 단턱부(23)의 진입을 유도하는 제1 단턱홈부(33a) 및 단턱부(23)가 안착되는 제2 단턱홈부(33b), 및 제2 단턱홈부(33b) 일측에 돌출되어 구속홈부(25)를 따라 움직이는 구속돌기(35)를 구비한다.
또한, 림(10) 및 템플(40) 결합시 림의 선단부(21) 및 템플의 선단부(31) 각각을 파지하여 상호 밀면 단턱부(23)는 제1 단턱홈부(33a)에 유도되어 제2 단턱홈부(33b)에 안착되고 힌지축부(22)는 힌지결합홈부(32)를 따라 삽입되어 결합된다.
또한, 림(10) 및 템플(40) 분리시 림의 선단부(21) 및 템플의 선단부(31) 각각을 파지하여 상호 반대 방향으로 당기면 단턱부(23)는 제2 단턱홈부(33b)에서 결합해제되어 제1 단턱홈부(33a)를 거쳐 분리되고 힌지축부(22)는 힌지결합홈부(32)를 따라 빠져 분리된다.
이에 제1 및 제2 결합부(20, 30)를 이용하여 템플(40) 탈착이 용이하고 타 템플(40)로 교체할 수 있다.
또한, 힌지축부(22)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 힌지부(22a) 및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2 힌지부(22b)가 구비하고, 제1 및 제2 힌지부(22a, 22b)가 결합하여 하나의 힌지축을 형성한다.
또한, 제1 또는 제2 힌지부(22a, 22b) 일측 머리부에 십자홈 또는 일자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결합부(20) 일측에 템플(40)의 회전을 소정 각도 제한하는 지지대(27)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템플 탈착형 안경의 조립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안경의 림(10)과 템플(40)의 단부측에 각각 제1 결합부(20)와 제2 결합부(30)가 채용되는 것이므로 제1 결합부(20)를 제외한 림(10)의 모양과 형상 및 구조와 제2 결합부(30)를 제외한 도 17과 같은 템플(40)의 모양과 형상 및 구조는 제한 없이 다양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제1 결합부(20)의 상단부(21a)와 하단부(21b)를 상하로 연결하는 힌지축부(22) 및 단턱부(23)를 제2 결합부(30)의 힌지결합홈부(32) 및 제1, 제2 단턱홈부(33)에 삽입한다.
이때, 힌지결합홈부(32)를 따라 힌지축부(22)가 안착되어 결합되고 동시에 단턱부(23)는 제1 단턱홈부(33a)를 거쳐 제2 단턱홈부(33b)에 안착되어 결합된다.
특히 단턱부(23)가 제1 단턱홈부(33a)에 일시 안착되었다가 더 큰 힘에 의해 밀려 안으로 삽입되어 제2 단턱홈부(33b)에 결합시키므로 갑작스런 무리한 힘에 의해 결합부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2 단턱홈부(33b)에 안전히 삽입되도록 도우며 힌지축부(22)가 힌지결합홈부(32)에 정확히 안착되도록 보조한다.
이렇게 하므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결합부(20) 및 제2 결합부(30)가 확고히 결합되므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경의 림(10)과 템플(40)이 조립되어 안경을 착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한편, 템플(40)을 접거나 펼 때 소정 각도 이상으로 회전하여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속홈부(25) 및 구속돌기(35)가 구비되어 있어, 구속돌기(35)가 구속홈부(25) 내에서만 이동하므로 안경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또한, 제1 결합부(20)의 지지대(27)는 템플(40)의 360도 이상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고 보조지지부(37)는 제2 결합부(30)에서 받을 수 있는 힘을 보조하여 지지 분산시킨다.
다음, 림(10)과 템플(40)의 결합을 해체할 때에는 제1 결합부(20) 일측 및 제2 결합부(30) 일측을 각각 잡고, 서로 반대방향으로 당겨주면 탄성을 가진 힌지결합홈부(32) 및 단턱홈부(33)로부터 자연스럽게 이탈되어 림(10)과 템플(40)은 손쉽게 분리된다.
다음, 안경 사용자는 분리된 템플(40)을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디자인의 템플(40)로 선택하여 교체할 수 있다.
다만, 도 17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고 다양한 다른 디자인의 템플들로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템플 탈착형 안경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템플 탈착형 안경은 다양한 질감, 색상, 모양 또는 형상의 템플을 용이하게 탈착 가능하여 새로운 디자인의 안경을 표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새로운 디자인의 안경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새로운 안경의 구입에 따른 비용이 소요되지 않아 경제성을 가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다양한 디자인의 템플을 별도의 도구 없이도 용이하게 탈착이 가능하여 사용자들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패션의 기능이 날로 커지고 있는 안경에 있어서 기능적으로 기대를 만족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지금까지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템플 탈착형 안경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라 할 수 있다.
10 : 림 20 : 제1 결합부
30 : 제2 결합부 40 : 템플

Claims (4)

  1. 제1 결합부를 구비한 안경렌즈를 고정하는 림과,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 가능한 제2 결합부를 구비한 상기 림을 지지하는 템플을 포함하는 템플 탈착형 안경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템플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림의 선단부를 연결하는 힌지축부, 상기 힌지축부 상하측을 감싸는 단턱부, 및 상기 단턱부 일측에 홈이 파여진 구속홈부을 구비하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림 방향 템플의 선단부 내측으로 형성된 상기 힌지축부가 안착되는 힌지결합홈부, 상기 템플의 선단부 일측에 형성된 상기 단턱부의 진입을 유도하는 제1 단턱홈부 및 상기 단턱부가 안착되는 제2 단턱홈부, 및 상기 제2 단턱홈부 일측에 돌출되어 상기 구속홈부를 따라 움직이는 구속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림 및 템플 결합시 상기 림의 선단부 및 템플의 선단부 각각을 파지하여 상호 밀면 상기 단턱부는 상기 제1 단턱홈부에 유도되어 상기 제2 단턱홈부에 안착되고 상기 힌지축부는 힌지결합홈부를 따라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림 및 템플 분리시 상기 림의 선단부 및 템플의 선단부 각각을 파지하여 상호 반대 방향으로 당기면 상기 단턱부는 상기 제2 단턱홈부에서 결합해제되어 상기 제1 단턱홈부를 거쳐 분리되고 상기 힌지축부는 힌지결합홈부를 따라 빠져 분리되어 상기 템플 탈착이 용이하며 타 템플로 교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플 탈착형 안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부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 힌지부 및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2 힌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힌지부가 결합하여 하나의 힌지축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플 탈착형 안경.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힌지부 일측 머리부에 십자홈 또는 일자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플 탈착형 안경.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 일측에 상기 템플의 회전을 소정 각도 제한하는 지지대를 더 구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플 탈착형 안경.
KR1020160003138A 2016-01-11 2016-01-11 템플 탈착형 안경 KR201700838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3138A KR20170083808A (ko) 2016-01-11 2016-01-11 템플 탈착형 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3138A KR20170083808A (ko) 2016-01-11 2016-01-11 템플 탈착형 안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3808A true KR20170083808A (ko) 2017-07-19

Family

ID=59427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3138A KR20170083808A (ko) 2016-01-11 2016-01-11 템플 탈착형 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8380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1604B1 (ko) * 2019-02-21 2020-06-10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시스템
KR20240009125A (ko) 2022-07-13 2024-01-22 (주)제이씨에스인터내셔날 안경테의 템플 힌지접속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1604B1 (ko) * 2019-02-21 2020-06-10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시스템
KR20240009125A (ko) 2022-07-13 2024-01-22 (주)제이씨에스인터내셔날 안경테의 템플 힌지접속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29245B2 (en) Earpiece-less eyeglass apparatus and strap attachment mechanism
KR101969215B1 (ko) 안경의 결합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안경
KR101572099B1 (ko) 안경의 안경다리 결합구조체
KR100646839B1 (ko) 안경테 및 렌즈걸이
KR20160046503A (ko) 플라스틱소재 안경테와 금속소재 안경다리의 연결구조
KR101647798B1 (ko) 림락 결합장치
KR20170083808A (ko) 템플 탈착형 안경
US20140125942A1 (en) Temple Folding Structure on a Pair of Eyeglasses
KR20140042434A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체결구조
KR101113422B1 (ko) 안경용 힌지
US20160231588A1 (en) Interchangeabal Eyewear
KR101946990B1 (ko) 고정력을 향상시킨 탈부착 보조안경테가 구비된 안경
US10082677B2 (en) Eyeglass frame
KR200224593Y1 (ko) 안경다리의 교체가 용이한 안경테
KR102101100B1 (ko) 교체형 안경
KR101061910B1 (ko) 보호안경의 다리 각도 조절구조
KR200174219Y1 (ko) 안경
KR101832140B1 (ko) 안경의 템플 힌지장치
KR200433694Y1 (ko) 안경다리의 교체가 용이한 안경테
KR102499217B1 (ko) 템플의 회전과 접힘이 간결하게 작동되는 안경테용 힌지 및 그 힌지가 적용된 안경테
KR200493352Y1 (ko) 안경테용 안경다리 결합구조
KR101574557B1 (ko) 안경다리 힌지 접속장치
KR102375436B1 (ko) 렌즈 교체형 안경
KR20190063506A (ko) 안경다리와 안경테의 결합구조
CN209070244U (zh) 套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