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9217B1 - 템플의 회전과 접힘이 간결하게 작동되는 안경테용 힌지 및 그 힌지가 적용된 안경테 - Google Patents

템플의 회전과 접힘이 간결하게 작동되는 안경테용 힌지 및 그 힌지가 적용된 안경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9217B1
KR102499217B1 KR1020200177403A KR20200177403A KR102499217B1 KR 102499217 B1 KR102499217 B1 KR 102499217B1 KR 1020200177403 A KR1020200177403 A KR 1020200177403A KR 20200177403 A KR20200177403 A KR 20200177403A KR 102499217 B1 KR102499217 B1 KR 102499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temple
pivot joint
groove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7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7063A (ko
Inventor
김성철
김민우
Original Assignee
김성철
김민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철, 김민우 filed Critical 김성철
Priority to KR1020200177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9217B1/ko
Publication of KR20220087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7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9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92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63Composite hinges, e.g. for varying the inclination of th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08Spectacles frames characterized by their material, material structure and material propert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템플의 회전과 접힘이 간결하게 작동되는 안경테용 힌지 및 그 힌지가 적용된 안경테에 관한 것으로, 고정부에 수직 돌출된 힌지돌기가 일체된 프론트힌지, 고정부에 경사를 가지고 수직 돌출된 힌지돌기가 일체된 템플힌지, 일측에 힌지홈이 형성된 프론트바디와 그 타측에 상기 템플힌지의 힌지돌기 각도에 대응하는 힌지홈이 형성된 템플바디가 일체된 구조의 피봇조인트가 구성되어, 프론트힌지의 힌지돌기가 피봇조인트의 프론트바디에 힌지결합하고, 템플힌지의 힌지돌기가 피봇조인트의 템플바디에 힌지 결합된 힌지가 구성되어, 프론트힌지와 템플힌지를 각각 엔드피스와 템플에 고정한 안경테를 구성하여, 펼쳐진 템플을 그대로 프론트 쪽으로 접어서 안경테를 수납할 수도 있고, 템플을 어느 정도 접은 상태에서 반바퀴 회전하는 방법으로 접어 템플이 프론트 아래 방향으로 각도를 가지도록 접힌 상태로 수납함에 따라 안경테의 수납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템플의 회전과 접힘이 간결하게 작동되는 안경테용 힌지 및 그 힌지가 적용된 안경테{the hinge for glasses frame with rotatable and folding temple simply and the glasses frame therewith}
본 발명은 템플의 회전과 접힘이 간결하게 작동되는 안경테용 힌지 및 그 힌지가 적용된 안경테에 관한 것으로, 고정부에 힌지돌기가 일체된 프론트힌지, 고정부에 힌지돌기가 일체된 템플힌지, 양측에 힌지홈이 형성된 피봇조인트가 구성되어, 프론트힌지의 힌지돌기 및 템플힌지의 힌지돌기가 피봇조인트의 힌지홈에 힌지 결합하되, 템플힌지의 힌지돌기와 그 힌지돌기가 결합되는 피봇조인트의 힌지홈은 경사를 하단이 프론트힌지에 더 가깝게 형성하는 기울기를 형성하는 힌지가 구성되어, 프론트힌지와 템플힌지를 각각 엔드피스와 템플에 고정한 안경테를 구성하여, 안경테의 펼친 템플을 그대로 접어 수납하거나, 템플을 어느 정도 접은 상태에서 반바퀴 회전하는 방법으로 접어 템플이 하향되게 수납함에 따라 안경테의 수납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은 시력을 교정하거나 눈을 보호하기 위하여 눈앞에 장비하는 물건으로, 안경의 렌즈는 안경테에 의해 고정되고 착용할 수 있고, 일반적인 안경테는 안경 앞쪽의 프론트와 프론트 양쪽의 템플로 구성되며, 프론트는 렌즈 가장자리를 감싸는 구조를 가지는 한 쌍의 림, 그 두 림 사이를 연결하는 브릿지(또는, 코다리)로 구성되고, 템플(또는, 다리)은 프론트에서 귀쪽까지 연결되는 부분이며, 보통 템플 끝에는 귀 부분에 접촉되는 노알러지 소재의 팁이 일체되어 있고, 프론트의 양쪽 끝 부분에는 엔드피스(또는, 미미)가 구성되어 템플과 연결되어 있는데, 이 엔드피스에 힌지(경첩)이 구성되어 템플이 프론트 쪽으로 접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주로 사용되는 안경테는 안경을 쓰고 접을 때 템플을 프론트 쪽으로 바로 접는 구조인데, 템플을 회전하여 접는 구조의 예를 들어보면, 대한민국실용신안출원 제20-2012-0008138호에, 원통형의 힌지부재에 안경다리 부분을 결합하여 안경다리 부분을 회전하여 접을 수 있은 안경에 대한 내용이 게시되어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안경테의 프론트는 얼굴 앞쪽으로 볼록한 구조이고. 템플은 얼굴의 옆 바깥쪽으로 볼록한 구조이며, 이에 따라서 템플을 프론트 쪽으로 완전히 접게 되면 템플의 끝이나 팁이 프론트의 림에 닿게 되고, 접힌 템플은 전체적으로 볼록한 구조를 가지게 되므로, 안경을 접을 때 템플이나 팁이 림이나 렌즈를 쳐서 코팅 벗겨짐, 깨짐, 크랙이나 스크래치 등과 같은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접었을 때 볼록한 구조에 의해서 안경의 부피가 커져서 수납용 케이스도 두꺼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앞에 예시한 고안은, 안경다리 부분의 회전이 가능하여, 회전한 안경다리 부분을 접으면 오목하게 되므로 부피가 최소화되는 구조이지만, 안경다리 부분의 회전을 위해서 원통형의 힌지부재가 적용되고, 이 원통형의 힌지부재에 안경다리 부분을 조립하기 위해서 안경다리 부분이 길이 방향을 따라 주 안경다리 부분과 제2 안경다리 부분의 두 개로 분리된 구조를 가지고, 안경다리 부분 내부에 원통형의 힌지부재가 위치되는 홀을 형성하게 되므로, 일상으로 접고 펴는 것을 반복하는 템플의 특성으로 인해서, 분리된 안경다리 부분의 견고함과 강도가 보장되지 않으며, 원통형의 힌지부재가 위치되는 주 안경다리 부분 내부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이나 구조에 대해 게시되지 않고 있어서, 안경의 조립이나 제작 방법에 따라서 안경다리 부분의 소재에 대한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안경테의 소재를 티타늄으로 적용하는 경우에는, 힌지의 소재도 티타늄으로 적용하여 프론트와 템플을 용접으로 연결하는데, 힌지의 소재를 티타늄을 적용하면 맞닿거나 접촉하는 면에 스테인리스스틸과 같은 소재의 완충재를 삽입 및 조립하며, 완충재에 의해서 힌지의 회전 및 작동으로 인한 마찰 및 마모를 방지하고자 하였으나 힌지 자체가 아주 작은 부품이어서 완충재의 준비 및 완충재의 조립 과정에 대한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고정부에 수직 돌출된 힌지돌기가 일체된 프론트힌지, 고정부에 경사를 가지고 수직 돌출된 힌지돌기가 일체된 템플힌지, 일측에 힌지홈이 형성된 프론트바디와 그 타측에 상기 템플힌지의 힌지돌기 각도에 대응하는 힌지홈이 형성된 템플바디가 일체된 구조의 피봇조인트가 구성되어, 프론트힌지의 힌지돌기가 피봇조인트의 프론트바디에 힌지결합하고, 템플힌지의 힌지돌기가 피봇조인트의 템플바디에 힌지 결합된 힌지가 구성되어, 프론트힌지와 템플힌지를 각각 엔드피스와 템플에 고정한 안경테를 구성하여, 펼쳐진 템플을 그대로 프론트 쪽으로 접어서 안경테를 수납할 수도 있고, 템플을 어느 정도 접은 상태에서 반바퀴 회전하는 방법으로 접어 템플이 프론트 아래 방향으로 각도를 가지도록 접힌 상태로 수납함에 따라 안경테의 수납 부피를 최소화하도록 한다.
또, 상기 피봇조인트의 프론트바디에 형성된 힌지홈에는 돌출된 저항턱이 형성되어, 템플을 접으면서 이 저항턱에 의해 저항감을 인지할 때 템플을 회전하여, 템플의 회전에도 프론트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고, 안경의 수납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프론트힌지의 힌지돌기의 내측 모서리는 돌출 구성된 스토퍼가 구성되어, 안경테의 템플을 그대로 접었을 때 스토퍼에 의해서 프론트와 간섭이 되는 위치 이상으로 접히지 않도록 하며, 상기 피봇조인트는 긴 육면체의 형상이되 프론트바디의 하단과 하부측면은 라운딩을 형성하여, 템플힌지가 회전할 때 피봇조인트와의 간섭을 방지하고, 피봇조인트의 상부 구조(육면체)에 의해서 라운딩된 부분 이상으로는 더 이상 회전은 제한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안경테의 소재를 티타늄으로 적용하는 경우에는, 힌지를 구성하는 프론트힌지와 템플힌지는 티타늄으로 제작하고 피봇조인트는 스테인리스스틸로 제작하여, 템플의 움직임 및 회전에 의해 서로 마찰되어도 서로 다른 소재의 접촉으로 인해서 마모를 최소화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피봇조인트의 양측에 프론트힌지와 템플힌지가 힌지 결합하되, 피봇조인트와 템플힌지의 힌지 결합 구조는 각도를 가지는 힌지돌기와 힌지홈이 서로 결합된 구조에 의해서, 이 힌지가 결합된 안경테는 템플을 특정 위치까지 접은 다음 회전하여 템플이 프론트 아래쪽으로 하향되는 각도로 접히도록 하여, 템플이 프론트 쪽으로 오목하게 수납되고, 템플의 끝이 프론트 밖으로 돌출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최소한의 부피로 안경을 수납 빛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안경테의 소재를 티타늄으로 적용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의 피봇조인트의 소재는 스테인리스스틸로 적용하고, 이 피봇조인트 양단에 힌지 결합하는 프론트힌지와 템플힌지는 티타늄으로 적용하여, 템플의 움직임 및 회전에 의해 서로 마찰되어도 마모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의 양쪽 템플을 접어 회전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를 적용한 안경테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힌지 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의 조립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와 볼트의 분해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 따른 힌지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의 템플을 그대로 접었을 때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의 템플을 저항턱까지 접었을 때의 사시도.
도 10는 도 9의 안경테 상태에서의 다른 방향으로의 힌지 부분 확대도.
도 11은 도 9의 안경테 상태에서 템플을 회전했을 때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의 양쪽 템플을 접어 회전한 상태의 후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의 템플을 접어 회전한 상태의 힌지 부분 확대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예시에 따른 힌지가 적용된 안경테의 분해사시도.
도 15는 도 14에 따른 안경테의 템플을 저항턱까지 접었을 때의 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상태에서 템플을 회전하여 가이드홈에 푸시가이드가 진입되는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상태에서 회전을 완료한 상태의 안경테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8은 도 17의 상태에서 피봇조인트를 제외한 상태의 안경테를 보여주는 사시도.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용 힌지(100)를 먼저, 설명하고, 그 힌지(100)가 적용된 안경테(200)를 설명하기로 하며,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100)는 프론트힌지(110), 템플힌지(120), 피봇조인트(130)로 구성하며, 프론트힌지(110)와 피봇조인트(130) 및 템플힌지(120)는 좌우가 있는(좌우 대칭) 구조이다.
우선, 프론트힌지(110)의 구조를 도3 내지 도7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프론트힌지(110)는 판형의 고정부(111)와 그 고정부(111)에서 수직 방향으로 돌출된 판형의 힌지돌기(112)가 일체된 구조로, 고정부(111)는 후에 프론트(210), 정확하게는 엔드피스(220)에 결합되는 부분으로 필요에 따라 관통된 홀이 형성되어 프론트힌지(110)를 나사결합으로 엔드피스(220)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프론트힌지(110)의 힌지돌기(112)는 사각판 형상의 구조이되, 바깥쪽 일측 모서리는 라운딩으로 형성되어 후에 설명하는 피봇조인트(130)의 프론트바디(131)와의 회전에서 간섭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타측의 모서리는 돌출된 스토퍼(112a)를 형성하여, 스토퍼(112a)에 의해서 프론트바디(131)와의 회전이 적절한 위치에서 회전을 멈추고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며, 이 힌지돌기(112)는 측면으로 관통하는 힌지홀(112′)이 구성된다.
더욱 정확하게는, 프론트힌지(110)의 고정부(111)가 엔드피스(220)에 조립되었을 때, 프론트힌지(110)의 힌지돌기(112)는 바닥(지면) 방향에 대해 수평(평행)이고, 힌지돌기(112)의 스토퍼(112a)는 프론트(210) 쪽에 위치하고, 템플(230) 쪽으로는 프론트힌지(110)의 힌지돌기(112)가 라운딩되어 있어, 피봇조인트(130)의 회전에도 간섭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추가로, 도14, 도15 및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론트힌지(110)의 힌지돌기(112)에는 푸시가이드(112b)를 더 구성할 수 있으며, 푸시가이드(112b)는 스토퍼(112a)에서 고정부(111)와 평행하게 일정한 길이로 돌출될 구조를 가지고, 그 끝이 라운딩된 구조를 가진다.
더욱 자세하게는, 푸시가이드(112b)는 프론트힌지(110)가 엔드피스(220)에 결합했을 때 프론트(210) 측을 향하도록 결합하고, 푸시가이드(112b)의 끝은 상하로 라운딩되는 구조인데,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의 라운딩되는 R값(라운딩값)은 후에 설명하는 템플힌지(120)의 가이드홈(121a)에 R값과 대동소이하고, 하부쪽의 R값(라운딩값)은 상대적으로 위쪽보다 작은 값으로 형성하여, 후에 설명하는 템플힌지(120)에 가이드홈(121a)에 푸시가이드(112b)의 진입을 용이하게 한다.
다음으로, 도3 내지 도7을 참고하여 템플힌지(120)을 설명하면, 템플힌지(120)는 판형의 고정부(121)와 그 고정부(121)에서 수직방향 돌출된 판형의 힌지돌기(122)가 일체된 구조로, 고정부(111)는 후에 템플(230)(안경다리)에 결합되는 부분으로 필요에 따라 관통된 홀이 형성되어 템플힌지(120)를 나사결합으로 템플(230)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6 및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템플힌지(120)의 고정부(121)에는 R값을 가지는 가이드홈(121a)을 형성하는데, 이 가이드홈(121a)은 힌지돌기(122)를 기준으로 한쪽에만 형성하는데, 정확하게는 이 템플힌지(120)가 템플(230)에 고정되었을 때 프론트(210) 쪽을 향하는 쪽이며, 이 가이드홈(121a)에 의해서, 템플힌지(120)가 후에 설명하는 피봇조인트(130)의 둘레를 따라 회전하면서 발생하는 간섭을 방지한다.
한편, 앞서 프론트힌지(110)의 힌지돌기(112)에 푸시가이드(112b)가 형성된 경우에는, 도14 및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템플힌지(120)는 가이드홈(121a)은 길이 방향으로 더 길게 형성되어, 이 가이드홈(121a)으로 푸시가이드(112b)가 안착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그리고 템플힌지(120)의 힌지돌기(122)는 사각판 형상의 구조이되 고정부(121)에서 수직 돌출된 구조인데, 이 템플힌지(120)가 후에 템플(230)과 결합했을 때 바닥(지면)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는 구조가 아니라 기울어진 각도를 형성한다.
더욱 자세하게는, 템플힌지(120)가 템플에 결합하였을 때, 힌지돌기(122)의 하단은 프론트(210) 쪽에 더 가깝고, 그 상단은 템플(230) 끝 방향으로 향하여 경사를 형성하는 구조를 가지며, 이 힌지돌기(122)가 세로 방향에 대해서 가지는 각도는 후에 템플(230)을 회전해서 접었을 때 이루는 각도의 1/2을 형성하므로 적절한 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안경의 디자인에 따라 다르겠지만 힌지돌기(122)는 세로 방향에 대해 6 내지 8도의 각도를 가지며, 대략 6.5˚ 내외의 각도를 형성한다.
또한, 템플힌지(120)의 힌지돌기(122)의 바깥쪽 양측 모서리는 라운딩으로 형성되어 후에 설명하는 피봇조인트(130)의 템플바디(132)와의 회전에서 간섭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템플힌지(120)의 힌지돌기(122)는 측면으로 관통하는 힌지홀(122′)이 구성된다.
다음으로, 도3 내지 도7을 참고하여 피봇조인트(130)을 설명하면, 피봇조인트(130)는 길쭉한 육면체의 구조를 가지되, 일측의 프론트바디(131)와 그 타측의 템플바디(132)로 구성되며, 프론트바디(131)에는 끝 중앙에는 끝 부분과 측면이 트인 구조의 힌지홈(131a)을 형성하며, 이 프론트바디(131)는 힌지홈(131a)을 두고 양쪽에 관통된 힌지홀(131′)을 형성한다.
그리고 피봇조인트(130)의 프론트바디(131)에 형성된 힌지홈(131a)과 힌지홀(131′)은 앞서 설명한 프론트힌지(110)의 힌지돌기(112)가 끼움되어 각 힌지홀(131′)(112′)이 일치하며, 일치하는 힌지홀(131′)(112′)에는 고정나사(140)가 끼움되어 고정되므로, 프론트바디(131)의 일측 힌지홀(131′)에는 나사탭(암나사)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피봇조인트(130)의 프론트바디(131)는 끝단 부분은 라운딩(131c)이 형성되어, 피봇조인트(130)가 프론트힌지(110)에 결합되어 회전할 때, 간섭을 방지하도록 한다.
추가로, 도6 및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봇조인트(130)의 프론트바디(131)에 형성된 힌지홈(131a)의 내부면에는 저항턱(131b)을 형성하는데, 이 저항턱(131b)은 힌지홈(131a)의 내부의 일면 또는 양면에 모두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론트바디(131)의 힌지홈(131a)에 조립되는 프론트힌지(110)의 힌지돌기(112)가 조립되어, 피봇조인트(130)가 프론트힌지(110)에 대해서 회전하되, 어느 적절한 각도가 되었을 때, 힌지돌기(112)가 저항턱(131b)에 의한 간섭으로 약간의 저항감을 느낄 수 있는 정도의 돌출을 가지고, 저항턱(131b)이 있더라도 약간의 힘을 더 가하면 피봇조인트(130)는 저항턱(131b)을 넘어 프론트바디(131)의 스토퍼(112a)에 의해 멈출 때까지 회전할 수 있다.
이 피봇조인트(130)의 힌지홈(131a)에 형성된 저항턱(131b)이 돌출된 라인은 프론트힌지(110)의 힌지돌기(112)의 단면 가장자리 라인과 일치하도록 하여, 힌지돌기(112)의 가장자리가 저항턱(131b)과 접하면서 저항감을 인지하도록 하며, 저항턱(131b)의 위치에서 템플힌지(120) 및 템플(230)이 회전할 때 프론트(210)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위치로, 다시 말하면, 저항턱(131b)에서 템플(230)이 회전할 때 프론트(210)와의 간섭이 일어나지 않는 템플(230)과 프론트(210)와의 최소한의 각도이고, 템플(230)을 저항턱(131b)보다 더 접은 상태에서 템플(230)을 회전하게 되면 프론트(210)와의 간섭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템플(230)을 안전하게 접기 위해서는 저항턱(131b)을 인지하기 전이나 저항턱(131b)에서 접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피봇조인트(130)의 템플바디(132)에는 하단 및 측면이 트인 구조의 힌지홈(132a)을 형성하고, 템플바디(132)의 끝단면에서 프론트바디(131)의 힌지홈(131a)으로 이어지는 힌지홀(132′)을 형성하는데, 템플힌지(120)의 힌지돌기(122)가 끼움되어 각 힌지홀(132′)(122′)이 일치하며, 일치하는 힌지홀(132′)(122′)에는 고정나사(150)가 끼움되어 고정되므로, 템플바디(132)의 일측 힌지홀(132′)에는 나사탭(암나사)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피봇조인트(130)의 템플바디(132)에 형성된 힌지홈(132a)은 하단에서 상부로 갈수록 경사를 형상하되, 하단의 힌지홈(132a)이 프론트(210) 쪽으로 향하고, 그 상부로 갈수록 프론트바디(131)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를 형성하며, 이 경사의 각도는 앞서 템플힌지(120)의 힌지돌기(122)가 형성하는 각도와 동일하다.
또한, 피봇조인트(130)의 템플바디(132)에는 장홈(132b)과 암나사(132b´)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는데, 장홈(132b)은 템플바디(132)의 힌지홀(132′) 표면 주변에 길게 형성하는 홈으로, 이 장홈(132b)에는 힌지홀(132′)과 나란한 암나사(132b´)를 더 형성한다.
아울러, 템플바디(132)를 포함하는 힌지홈(132a)의 하부, 정확하게는, 피봇조인트(130)의 하부(하단, 하부 측면)는 라운딩(132c)을 형성하여, 템플바디(132)에 조립되는 템플힌지(120)의 회전에 따른 간섭을 방지한다.
이렇게 구성하는 프론트힌지(110), 템플힌지(120), 피봇조인트(130)의 조립구조를 도3 내지 도7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피봇조인트(130)의 프론트바디(131)에 프론트힌지(110)가 조립되고, 그 타측의 템플바디(132)에는 템플힌지(120)가 조립되어 힌지(100)를 구성하며, 더욱 자세하게는, 프론트힌지(110)의 힌지돌기(112)는 프론트바디(131)의 힌지홈(131a)으로 조립하여 힌지홀(112´)(131´)이 일치하고, 일치하는 힌지홀(112´)(131´)로 고정나사(140)를 조립하여 고정하여 프론트힌지(110)와 피봇조인트(130)가 힌지 결합하도록 한다.
그리고 템플힌지(120)의 힌지돌기(122)는 템플바디(132)의 힌지홈(132a)으로 조립되고, 일치하는 힌지홀(122´)(132´)로 고정나사(150)를 조립하여 템플힌지(120)와 피봇조인트(130)가 힌지 결합하도록 하며, 장홈(132b)의 암나사(132b′)로는 볼트(160)를 조립하여, 볼트(160)의 머리가 고정나사(150)의 머리에 밀착되도록 하여, 반복되는 힌지(100) 작동(회전)에도 고정나사(150)가 풀리지 않도록 완전히 고정한다.
이와 같이, 프론트힌지(110), 템플힌지(120), 피봇조인트(130)의 조립으로 힌지(100)를 구성하며, 피봇조인트(130)의 템플힌지(120)에 형성된 힌지홈(132a)은 경사를 형성하고 있고, 이 힌지홈(132a)에 조립되는 템플힌지(120)의 힌지돌기(122)과 동일한 경사(각도)를 가지고 있으므로, 프론트힌지(110)의 고정부(111)와 템플힌지(120)의 고정부(121)는 접히지 않았을 때 서로 나란히 평행한 구조를 가진다.
또, 프론트힌지(110)와 템플힌지(120)의 각 고정부(111)(121)가 나란히 평행한 상태에서, 피봇조인트(130)는 프론트힌지(110)에 대해서 고정나사(140)를 축으로 회전하면서 접을 수 있는데, 회전하면서 특정 위치에서 저항턱(131b)에 의해서 저항감을 인지할 수 있고, 저항턱(131b)을 넘어서 더 접더라도 프론트힌지(110)의 스토퍼(112a)에 의해서 더 이상 접히지 않는다.
또한, 프론트힌지(110)와 템플힌지(120)의 각 고정부(111)(121)가 나란히 평행한 상태에서, 피봇조인트(130)는 프론트힌지(110)에 대해서 고정나사(150)를 축으로 회전하면서 접을 수 있는데, 회전하면서 특정 위치에서 저항턱(131b)에 의해서 저항감을 인지할 수 있는데, 이 위치에서 템플힌지(120)를 템플바디(132)에 대해서 고정나사(150)를 축으로 회전을 하여 반대편에 위치하며, 템플힌지(120)가 움직이는(회전하는) 범위는 180˚(도)이고, 더 회전하려 하여도, 피봇조인트(130)는 라운딩(132c)된 면을 제외하고는 육면체의 형상이므로 그 이상 회전을 방지한다.
이렇게 템플힌지(120) 및 피봇조인트(130)를 접으면서 저항감을 가지는 위치에서 피봇조인트(130)에 대해서 반바퀴 회전하게 되면 템플바디(132)(피봇조인트)의 힌지홈(132a)이 가지는 각도 및 이 힌지홈(132a)에 결합된 템플힌지(120)의 힌지돌기(122)가 형성하는 각도에 의해서 템플힌지(120)의 고정부(121)는 프론트힌지(110)의 고정부(111)에 대해서 각도를 형성하는데, 더욱 자세하게는 이들 두 고정부(111)(121)가 가지는 각도는 템플바디(132)의 힌지홈(132a)이 형성하고 있는 각도와 템플힌지(120)의 힌지돌기(122)가 형성하고 있는 각도를 합한 각도를 형성하며, 템플바디(132)의 힌지홈(132a)이 형성하고 있는 각도와 템플힌지(120)의 힌지돌기(122)가 형성하는 각도는 동일하므로, 두 고정부(111)(121)가 가지는 각도는 템플바디(132)의 힌지홈(132a)이 형성하는 각도의 2배의 각도를 형성한다고도 할 수 있고, 템플힌지(120)의 힌지돌기(122)가 형성하는 각도의 2배의 각도를 형성한다고도 할 수 있다.
한편, 힌지(100)를 구성하는 프론트힌지(110), 템플힌지(120), 피봇조인트(130)의 소재는 용접 등의 이유로 안경테(200)의 소재와 동일한 소재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안경테(200)는 스테인리스티틸, 티타늄, 또는 양백이나 모넬(모넬 금속), 기타 합금 등의 같은 다양한 금속 재질로 제조할 수 있으며, 안경테(200)가 티타늄 소재인 경우에는, 프론트힌지(110), 템플힌지(120)는 티타늄으로 제작하고, 피봇조인트(130)는 스테인리스스틸로 제작하면, 같은 티타늄 소재인 프론트힌지(110), 템플힌지(120)가 피봇조인트(130)에 의해서 직접 마찰을 방지하므로 힌지(100)에 티타늄을 적용하면서도 별도의 완충재를 적용하지 않고도 마찰에 의한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렇게 구성하는 힌지(100)가 안경테(200)에 적용된 구조와 사용 방법을 살펴보기에 앞서, 안경테(200)의 일반적인 구조를 도2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안경테(200)는 앞쪽의 프론트(210)와 프론트(210) 양쪽에 조립되는 템플(230)로 구성되고, 프론트(210)는 한 쌍의 림(211), 그 두 림(211) 사이를 연결하는 브릿지(212)(코다리)로 구성된다.
그리고 템플(230)(다리)은 프론트(210)에서 귀쪽까지 연결되는 부분이고, 프론트(210)의 양쪽 끝 부분에는 엔드피스(220)(미미)가 구성되어 템플(230)과 연결되어 있는데, 힌지(100)는 엔드피스(220)와 템플(230)을 연결하여 템플(230)이 접히거나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안경테(200)에서 힌지(100)의 프론트힌지(110)는 엔드피스(220)에 결합하고, 템플힌지(120)은 템플(230)에 결합된다.
더욱 자세하게는,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론트힌지(110)는 양쪽 엔드피스(220) 안쪽에 마주보게 결합하되, 프론트힌지(110)의 고정부(111)는 엔드피스(220)에 용접, 납땜(은납땜)의 방법으로 결합하거나, 또는, 고정부(111)과 엔드피스(220)에 홀과 탭(암나사)를 형성하여 나사(볼트)를 이용한 나사 결합을 하고, 이렇게 프론트힌지(110)가 엔드피스(220)에 결합되어 프론트(210) 양쪽에 위치한 프론트힌지(110)의 힌지돌기(112)는 서로 마주보면서 돌출된 구조를 가지며, 프론트힌지(110)의 스토퍼(112a)는 프론트(210) 쪽을 향하도록 위치한다.
또한, 템플힌지(120)는 템플(230) 내측면에 조립하는데, 템플힌지(120)의 고정부(121)는 템플(230)에 용접, 납땜(은납땜)의 방법으로 결합하거나, 또는, 고정부(121)와 템플(230)에 홀과 탭(암나사)를 형성하여 나사(볼트)를 이용한 나사 결합을 하고, 이렇게 템플힌지(120)가 템플(230)에 결합되어 안경테(200)를 구성하되, 프론트힌지(110)의 고정부(111)와 템플힌지(120)의 고정부(121)가 나란히 평행할 때 양쪽 프론트힌지(110)의 힌지돌기(112)는 서로 마주보게 돌출된 구조를 가지며, 프론트힌지(110)의 스토퍼(112a)는 프론트(210) 쪽을 향하도록 위치하며, 힌지(100)의 프론트힌지(110)가 엔드피스(220)에 결합하고, 템플힌지(120)가 템플(230)에 결합된 구조의 안경테(200)를 구성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힌지(100)가 적용된 안경테(200)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경테(200)의 템플(230)을 펼친 상태에서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안경테(200)의 템플(230)을 펼친 구조에서 템플(230)을 접어 보관하는 방법으로는, 템플(230)을 그대로 접는 방법과 접어 회전하는 방법이 있으며, 첫 번째로, 템플(230)을 그대로 접는 방법을 도8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이 방법은 안경테(200)의 사용으로 펴 있는 상태의 템플(230)을 그대로 프론트(210) 쪽으로 접는 방법으로, 템플(230)을 접는 과정에서 특정 위치에서 저항턱(131b)에 의해서 약간의 저항감을 인지할 수 있지만 무시하고 그대로 접게 되면 피봇조인트(130)의 구조에 의해서 더 이상 템플(230)이 접히지 않는 위치까지 접어서 안경테(200)를 보관 및 수납할 수 있으며, 이것은 일반적인 안경과 같이 동일한 방법으로 접어서 보관하거나 수납할 수 있는 방법이다.
한편, 일반적인 안경의 프론트와 템플은 얼굴의 형상에 맞추어 형성되는데, 프론트는 얼굴 앞쪽으로 약간 볼록한 구조를 가지고, 템플은 길이 방향을 따라 바깥 방향으로 약간 볼록한 구조이며, 템플의 끝에는 귀에 걸기 위해서 약간의 아치 또는 고리 형상의 팁을 가지는데, 이렇게 안경테(200)의 템플(230)을 그대로 접은 경우에는, 프론트(210) 및 템플(230)의 볼록한 구조에 의해서 부피감을 가지며, 템플(230) 끝에 길게 빠진 팁이 프론트(210) 아래로 튀어나오는 구조를 가지므로 접은 상태의 안경테(200)가 부피감을 가지게 된다.
두 번째로, 안경테(200)의 템플(230)을 접어 회전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우선, 도9 및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경테(200)의 템플(230)을 펴 있는 상태의 템플(230)을 접으면서 특정 위치에서 저항턱(131b)에 의해서 약간의 저항감을 인지하는 상태까지 템플(230)을 위치하고, 도11 내지 도13에 도시한 방법으로 템플(230)을 피봇조인트(130)에 대해서 반바퀴 회전하며, 양쪽의 템플(230)을 이러한 방법으로 접어서 회전한 다음, 템플(230)을 프론트(210) 쪽으로 밀어 접으면, 도1에 도시한 상태와 같이 안경테(200)를 보관하거나 수납할 수 있다.
앞서 말한 바와 같이, 도9 내지 도11을 참고해서 더 설명하면, 템플(230)을 회전하기 전에 접을 때 저항턱(131b)을 넘어서까지 접게되면 템플(230)을 회전하면서 프론트(210)와의 간섭이 일어나게 되므로, 템플(230)을 저항턱(131b)에 의한 저항력을 인지할 때나 그 전에 템플(230)을 회전하여야 한다.
이렇게 안경테(200)의 템플(230)을 저항턱(131b) 위치까지 접고 템플을 회전 및 접어서 수납하게 되면, 밖으로 볼록한 구조의 템플(230)은 안쪽으로 오목한 구조로 변경되면서 프론트(210)와 최대한 가깝게 위치하게 되므로 부피가 상대적으로 작은 효과가 있으며,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템플(230)이 회전하면서 템플(230)은 좌우 수평 방향에 대해서 적정 각도로 하향된 방향으로 수납되기 때문에 템플(230)의 끝(팁)이 프론트(210) 위쪽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안경테(200)의 템플(230)을 접어 회전하는 방법에서 템플(230)이 형성하는 각도는 템플힌지(120)의 힌지돌기(122)가 형성하는 각도(또는, 템플바디의 힌지홈이 형성하고 있는 각도)의 2배의 각도를 형성하는데, 템플바디(132)의 힌지홈(132a)이 형성하고 있는 각도가 6.5˚라면, 접어서 회전되는 템플(230)은 바닥(지면)의 수평 방향에 대해서 13˚로 하양된 각도를 가진다.
다시 말하면, 템플(230)을 저항턱(131b) 위치까지 접어서 회전 및 접어서 수납하게 되면, 템플(230)이 프론트(210)의 공간 내로 접히고, 템플(230) 끝(팁)이 프론트(210) 외부(위쪽)로 돌출하는 것이 방지되어 안경테(200)를 최소한의 부피로 보관 및 수납할 수 있는 특징이 있으며, 템플(230)의 회전시에는 피봇조인트(130)는 회전하지 않고 템플힌지(120)와 템플(230)만이 회전하므로 회전반경이 최소화되어, 템플(230)은 프론트(210)와의 간섭을 방지하면서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안경테(200)에 조립된 힌지(100)의 프론트힌지(110)에 푸시가이드(112b)가 형성되고, 템플힌지(120)에 상기 푸시가이드(121)가 안착되는 가이드홈(121a)가 형성된 경우에는,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펼쳐진 템플(230)을 그대로 접어서 보관할 수 있으며, 또한,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펼쳐진 템플(230)을 저항감까지 접은 상태에서, 템플(230) 및 템플힌지(120)를 피봇조인트(130) 하단을 따라 회전하고,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템플힌지(120)는 가이드홈(121a)은 작은 R값을 가지는 푸시가이드(112b) 하단 부분으로 용이하게 진입해서, 도17 및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홈(121a)에 푸시가이드(121b)의 라운딩된 면이 완전히 안착 및 밀착되면 이 상태로 안경테(200)를 수납 보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푸시가이드(112b)의 돌출 구조에 의해서 템플(230)은 프론트(210) 쪽으로 더 밀려들어가므로 템플(230) 회전 뒤에 템플(230)을 더 접을 필요가 없이 프론트(210)에 최대한 가까운 상태를 가지고, 또한, 이 상태에서는 가이드홈(121a)에 푸시가이드(111b)가 안착된 구조에 의해서 템플(230)이 바깥쪽으로 펴지는 것이 방지되므로, 이러한 상태로 수트 가슴주머니나 상의에 안경테(200)를 걸어두어도 안경테(200)가 집게처럼 완전히 고정되어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다음 [이미지 0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200)를 양복 상의 가슴주머니에 안경테를 수납한 상태를 보여준다.
[이미지 01]
Figure 112020137423882-pat00001
위 [이미지 0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경테(200)를 주머니에 수납하여도 템플(230)이 프론트(210)에 밀착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탈이 방지되고, 더욱이, 안경테(200)의 힌지(100) 구조에 푸시가이드(112b)가 형성되어 가이드홈(121a)에 안착이 되면 템플(230)이 바깥으로 벌어지지 않으므로 위치가 고정되어 상체의 움직임에도 안경테(200)가 이탈되지 않으므로 분실이나 이탈로 인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200)는 일반적인 렌즈가 적용된 안경뿐만 아니라, 선그라스, 기능성 안경, 연구용 안경 등 기타 다양한 안경에 적용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힌지(100)는 기존의 어떤 안경테(200)에도 조립이 용이하여 다양한 소재의 안경테(200)에도 적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100: 힌지
110: 프론트힌지 111: 고정부 112: 힌지돌기
112´: 힌지홀 112a: 스토퍼 112b: 푸시가이드
120: 템플힌지 121: 고정부 121a : 가이드홈
122: 힌지돌기 122´: 힌지홀
130: 피봇조인트
131: 프론트바디 131a: 힌지홈 131´: 힌지홀
131b: 저항턱 131c: 라운딩
132: 템플바디 132a: 힌지홈 132´: 힌지홀
132b: 장홈 132b´: 암나사 132c: 라운딩
140, 150: 고정나사 160: 볼트
200: 안경테
210: 프론트 211: 림 212: 브릿지
220: 엔드피스 230: 템플

Claims (6)

  1. 안경테의 프론트 양쪽에 위치하는 엔드피스와 템플을 연결하는 안경테용 힌지에 있어서,
    고정부와 그 고정부에 대해서 수직 돌출한 힌지돌기가 일체된 프론트힌지;
    고정부와 그 고정부에 대해서 수직 돌출한 힌지돌기가 일체된 템플힌지;
    일측에 힌지홈이 형성된 프론트바디와 그 타측에 힌지홈이 형성된 템플바디가 일체된 구조의 피봇조인트가 구성되어, 피봇조인트의 프론트바디에 프론트힌지가 힌지 결합하고, 그 타측의 템플바디에 템플힌지가 힌지 결합된 힌지를 구성하되,
    프론트힌지의 힌지돌기는 프론트바디의 힌지홈에 서로 수평 방향으로 형성 및 결합되고, 템플힌지의 힌지돌기와 템플바디의 힌지홈은 동일 각도로 경사를 형성 및 결합하여, 아래쪽이 프론트바디에 더 가깝고 위쪽으로 갈수록 바깥으로 벌어지는 경사를 형성하면서 힌지 결합한 구조의 안경테용 힌지가 구성되어,
    상기 힌지는 안경테의 엔드피스 및 템플에 프론트힌지 및 템플힌지가 각각 조립되어, 템플은 힌지에 의해서 접고 회전하면서 프론트에 가깝게 접히면서 안경테를 최소 부피로 보관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템플의 회전과 접힘이 간결하게 작동되는 안경테용 힌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힌지의 힌지돌기에는 힌지홀을 형성하고, 상기 템플힌지의 힌지돌기에는 힌지홀을 형성하며, 상기 피봇조인트의 프론트바디의 힌지홈을 관통하는 힌지홀을 형성하고, 그 타측의 템플바디에는 힌지홈을 관통하는 힌지홀이 형성되어,
    프론트힌지의 힌지돌기는 피봇조인트의 프론트바디의 힌지홈에 끼움되어 일치하는 힌지홀로 고정나사가 고정하여 힌지 결합하고,
    템플힌지의 힌지돌기는 피봇조인트의 템플바디의 힌지홈에 끼움되어 일치하는 힌지홀로 고정나사가 고정하여 힌지 결합을 하고,
    상기 피봇조인트의 프론트바디에 형성된 힌지홈의 내부면에는 돌출된 저항턱이 형성되어,
    템플을 접으면서 저항턱을 인지할 때의 회전으로 템플의 회전에 따른 프론트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템플의 회전과 접힘이 간결하게 작동되는 안경테용 힌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조인트의 템플바디의 힌지홀 표면에는 장홈을 형성하고, 그 장홈에는 힌지홀과 나란한 암나사를 형성하며, 그 암나사로 볼트를 조립하여, 그 볼트의 머리가 고정나사의 머리와 밀착되도록 하며,
    상기 프론트힌지의 힌지돌기의 내측 모서리는 돌출 구성된 스토퍼를 구성하며,
    상기 피봇조인트는 긴 육면체의 형상이되 하부는 라운딩을 형성하고, 피봇조인트의 프론트바디의 끝단면은 라운딩을 형성하며,
    상기 템플힌지의 고정부에는 회전에 따른 피봇조인트와의 간섭을 방지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템플의 회전과 접힘이 간결하게 작동되는 안경테용 힌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힌지의 스토퍼에는 고정부와 평행하게 돌출되어 그 끝이 라운딩을 형성한 푸시가이드가 구성되고,
    상기 템플힌지의 가이드홈은 길이 방향으로 더 길게 형성되어,
    상기 템플힌지의 가이드홈에 상기 푸시가이드가 안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템플의 회전과 접힘이 간결하게 작동되는 안경테용 힌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테의 프론트힌지와 템플힌지는 티타늄으로 제작하고 피봇조인트는 스테인리스스틸로 제작함을 특징으로 하는 템플의 회전과 접힘이 간결하게 작동되는 안경테용 힌지.
  6. 프론트의 양쪽에 엔드피스를 구성하고, 각 엔드피스에 힌지로 템플이 결합된 구조의 안경테에 있어서,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해당하는 힌지로, 피봇조인트의 양쪽으로 프론트힌지와 템플힌지가 힌지 결합한 구조의 힌지가 구성되어, 힌지의 프론트힌지의 고정부가 엔드피스에 결합되고, 템플힌지의 고정부가 템플에 고정된 구조의 안경테가 구성되어,
    펼친 템플을 프론트로 그대로 접거나, 펼친 템플을 특정 위치까지 접어서 회전하는 방법으로 접어서 안경을 보관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템플의 회전과 접힘이 간결하게 작동되는 안경테용 힌지가 적용된 안경테.
KR1020200177403A 2020-12-17 2020-12-17 템플의 회전과 접힘이 간결하게 작동되는 안경테용 힌지 및 그 힌지가 적용된 안경테 KR102499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403A KR102499217B1 (ko) 2020-12-17 2020-12-17 템플의 회전과 접힘이 간결하게 작동되는 안경테용 힌지 및 그 힌지가 적용된 안경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403A KR102499217B1 (ko) 2020-12-17 2020-12-17 템플의 회전과 접힘이 간결하게 작동되는 안경테용 힌지 및 그 힌지가 적용된 안경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7063A KR20220087063A (ko) 2022-06-24
KR102499217B1 true KR102499217B1 (ko) 2023-02-14

Family

ID=82216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7403A KR102499217B1 (ko) 2020-12-17 2020-12-17 템플의 회전과 접힘이 간결하게 작동되는 안경테용 힌지 및 그 힌지가 적용된 안경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921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4712Y1 (ko) 2002-04-02 2002-08-10 이의국 테이블의 이단 절첩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0334A (ko) * 1998-09-18 2000-04-15 이석재 안경다리
CN1308731C (zh) * 2003-09-10 2007-04-04 黄陈才 眼镜架弹性铰链及其制造方法
KR20140001657U (ko) * 2012-09-12 2014-03-20 스벤 고티 회전가능한 안경다리를 가진 안경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4712Y1 (ko) 2002-04-02 2002-08-10 이의국 테이블의 이단 절첩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7063A (ko) 2022-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61654B2 (ja) テレスコピックヒンジを備えた眼鏡フレーム及び当該フレームのヒンジ
RU2474851C2 (ru) Шарнирная оправа для очков с проволочным соединением элементов
KR101572099B1 (ko) 안경의 안경다리 결합구조체
KR101779287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GB2428811A (en) Quick coupled and adjustable temple for glasses
US8517532B1 (en) Eyewear with reversible folding temples
US5640218A (en) Foldable spectacles with temple members having deformable earpieces for fitting into compact case
JP3231442U (ja) 衝撃又は摩擦からレンズを保護する閉位置を有する眼鏡フレーム
KR102499217B1 (ko) 템플의 회전과 접힘이 간결하게 작동되는 안경테용 힌지 및 그 힌지가 적용된 안경테
CN109814272B (zh) 双重折叠眼镜和可收折眼镜盒
TWM563563U (zh) 掀合式眼鏡
KR20170083808A (ko) 템플 탈착형 안경
CN217787521U (zh) 一种折叠眼镜
CN206209215U (zh) 一种无螺丝结构眼镜脚
CN213182233U (zh) 一种抗弯折的眼镜
CN220340501U (zh) 一种折叠眼镜
CN218240582U (zh) 眼镜的铰链结构及眼镜
KR200490801Y1 (ko) 안경다리와 장석의 결합구조체
CN217085437U (zh) 一种折叠眼镜架及眼镜
EP4261599A1 (en) Eyeglass frame having foldable bridge
JP7199094B2 (ja) オーバーグラス
KR20220010232A (ko) 템플의 회전과 접힘이 되는 안경테용 힌지 및 그 힌지가 적용된 안경테
CN214252777U (zh) 一种具有多焦点眼镜镜片的智能眼镜
KR102639369B1 (ko) 부피 절감 구조를 가지는 안경테
KR102586408B1 (ko) 안경용 힌지 결합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