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0232A - 템플의 회전과 접힘이 되는 안경테용 힌지 및 그 힌지가 적용된 안경테 - Google Patents

템플의 회전과 접힘이 되는 안경테용 힌지 및 그 힌지가 적용된 안경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0232A
KR20220010232A KR1020200088853A KR20200088853A KR20220010232A KR 20220010232 A KR20220010232 A KR 20220010232A KR 1020200088853 A KR1020200088853 A KR 1020200088853A KR 20200088853 A KR20200088853 A KR 20200088853A KR 20220010232 A KR20220010232 A KR 202200102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temple
rotator
end piece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8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철
김민우
Original Assignee
김성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철 filed Critical 김성철
Priority to KR1020200088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0232A/ko
Publication of KR20220010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02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3/00Assembling; Repairing; Cleaning
    • G02C13/001Assembling; Repai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템플의 회전과 접힘이 되는 안경테용 힌지 및 그 힌지가 적용된 안경테에 관한 것으로, 중앙에 암나사를 형성하고 측면에 키홈을 형성하는 원통형의 바디를 포함하는 프론트힌지; 바디와 그 바디 타측의 힌지부가 일체된 로테이터; 원형이되 외주연에 트인 해제홈을 형성하는 힌지부와, 그 힌지부 일측의 고정부가 일체된 구조를 가지는 템플힌지가 구성되어, 프론트힌지의 암나사와 로테이터의 회전홀을 일치시켜 나사 결합하고, 로테이터의 힌지부와 템플힌지의 힌지부가 힌지 결합 구조로 결합한 안경테용 힌지를 구성하며; 프론트힌지의 바디 및 템플힌지의 고정부를 각각 엔드피스와 템플에 고정한 안경테를 구성하여, 로테이터의 해제홈이 프론트힌지의 키홈에 위치하면 템플힌지 및 로테이터가 나사를 축으로 회전함에 따라, 템플의 회전한 뒤에 접어서 보관함으로 안경테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템플의 회전과 접힘이 되는 안경테용 힌지 및 그 힌지가 적용된 안경테{the hinge for glasses frame with pivotable and folding temple and the glasses frame therewith}
본 발명은 템플의 회전과 접힘이 되는 안경테용 힌지 및 그 힌지가 적용된 안경테에 관한 것으로, 암나사를 가지고 외주연에 키홈을 가지는 프론트힌지; 회전홀을 가지는 바디와 그 바디 타측의 힌지부가 일체된 로테이터; 원형이되 외주연에 트인 해제홈을 형성하는 템플힌지를 구성하여; 프론트힌지와 로테이터의 바디가 회전되게 나사로 결합하고, 로테이터의 힌지부와 템플힌지는 힌지 결합 구조로 결합된 안경테용 힌지가 구성되어, 프론트힌지와 템플힌지를 각각 엔드피스와 템플에 고정한 안경테를 구성하여, 템플힌지의 해제홈이 프론트힌지의 키홈에 위치하면 템플힌지 및 로테이터가 나사를 축으로 회전함에 따라, 템플의 회전과 접음으로 부피를 최소화하여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은 시력을 교정하거나 눈을 보호하기 위하여 눈앞에 장비하는 물건으로, 안경의 렌즈는 안경테에 의해 고정되고 착용할 수 있고, 일반적인 안경테는 안경 앞쪽의 프론트와 프론트 양쪽의 템플로 구성되며, 프론트는 렌즈 가장자리를 감싸는 구조를 가지는 한 쌍의 림, 그 두 림 사이를 연결하는 브릿지(또는, 코다리)로 구성되고, 템플(또는, 다리)은 프론트에서 귀쪽까지 연결되는 부분이며, 보통 템플 끝에는 귀 부분에 접촉되는 노알러지 소재의 팁이 일체되어 있고, 프론트의 양쪽 끝 부분에는 엔드피스(또는, 미미)가 구성되어 템플과 연결되어 있는데, 이 엔드피스에 힌지(경첩)이 구성되어 템플이 프론트 쪽으로 접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주로 사용되는 안경테는 안경을 쓰고 접을 때 템플을 프론트 쪽으로 바로 접는 구조인데, 템플을 회전하여 접는 구조의 예를 들어보면, 대한민국실용신안출원 제20-2012-0008138호에, 원통형의 힌지부재에 안경다리 부분을 결합하여 안경다리 부분을 회전하여 접을 수 있은 안경에 대한 내용이 게시되어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안경테의 템플은 얼굴의 옆 형태에 맞추어 바깥쪽으로 볼록한 구조이고, 이에 따라서 템플을 프론트 쪽으로 완전히 접게 되면 템플의 끝이나 팁이 프론트의 림에 닿게 되고, 접힌 템플은 전체적으로 볼록한 구조를 가지게 되므로, 안경을 접을 때 템플이나 팁이 림이나 렌즈를 쳐서 코팅 벗겨짐, 깨짐, 크랙이나 스크래치 등과 같은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접었을 때 볼록한 구조에 의해서 안경의 부피가 커져서 수납용 케이스도 두꺼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앞에 예시한 고안은, 안경다리 부분의 회전이 가능하여, 회전한 안경다리 부분을 접으면 오목하게 되므로 부피가 최소화되는 구조이지만, 안경다리 부분의 회전을 위해서 원통형의 힌지부재가 적용되고, 이 원통형의 힌지부재에 안경다리 부분을 조립하기 위해서 안경다리 부분이 길이 방향을 따라 주 안경다리 부분과 제2 안경다리 부분의 두 개로 분리된 구조를 가지고, 안경다리 부분 내부에 원통형의 힌지부재가 위치되는 홀을 형성하게 되므로, 일상으로 접고 펴는 것을 반복하는 템플의 특성으로 인해서, 분리된 안경다리 부분의 견고함과 강도가 보장되지 않으며, 원통형의 힌지부재가 위치되는 주 안경다리 부분 내부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이나 구조에 대해 게시되지 않고 있어서, 안경의 조립이나 제작 방법에 따라서 안경다리 부분의 소재에 대한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경테의 엔드피스와 템플을 연결하는 힌지를 프론트힌지, 로테이터, 템플힌지로 구성하되, 프론트힌지는 원통형 중앙에 암나사를 형성하고 측면 외주연에 키홈과 상부 외주연에 사각으로 돌출된 스토퍼를 형성한 원통형의 바디를 포함하고; 로테이터는 관통된 회전홀을 가지는 바디와, 그 바디 타측의 힌지부가 일체되게 구성하며; 템플힌지는 원형이되 외주연에 트인 해제홈을 형성하는 힌지부와 그 힌지부 일측의 고정부가 일체된 구조로 구성하여; 프론트힌지의 암나사와 로테이터의 회전홀로 나사를 결합하고, 로테이터의 힌지부와 템플힌지의 힌지부가 힌지 결합 구조로 결합되어, 프론트힌지의 바디 및 템플힌지의 고정부가 각각 엔드피스와 템플에 고정한 안경테를 제공하여, 로테이터의 해제홈이 프론트힌지의 키홈에 위치하면 템플힌지 및 로테이터가 나사를 축으로 회전함에 따라, 템플을 회전한 뒤에 접어서 안경테의 부피를 최소화하도록 한다.
또, 상기 프론트힌지의 바디 일면에는 관형으로 돌출되어 길이방향으로 트인 트임부를 원주 방향으로 다수 형성한 고정관을 일체로 형성하되, 프론트힌지의 고정관의 내주연의 끝 부분에는 더 큰지름의 확장부를 구성하고, 로테이터의 회전홀에는 카운터보링이 형성되어, 스토퍼에 의해서 로테이터의 회전반경을 제한하고, 프론트힌지의 고정관이 회전관으로 결합하면서 고정관의 확장부가 로테이터의 확장부에 위치하여, 반복되는 회전에도 나사와 힌지의 분리를 방지하도록 한다.
한편, 프론트힌지의 바디에는 고정관을 형성하지 않고, 바디에 로테이터의 바디를 끼울 수 있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결합홈에 의해 이격된 암나사는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관통홀로 형성되어, 결합홈에 끼워진 바디가 서로 적절한 마찰력으로 회전함에 따라 템플이 적절한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프론트힌지의 바디의 외측면은 경사면을 형성하되, 스토퍼의 상부에서 그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단면에 의해서 프론트힌지가 엔드피스에 접하는 면이 경사를 형성하고, 로테이터의 끼움홈은 엔드피스가 마주하는 방향에 대해서 상부로 향하는 경사를 형성하되, 끼움홈의 경사는 경사면의 각도와 동일하며, 템플과 엔드피스가 마주하는 면은 템플이 하단으로 갈수록 엔드피스 측으로 더 돌출되게 구성하고, 엔드피스는 상단으로 갈수록 템플 측으로 더 돌출되게 구성하며, 템플과 엔드피스가 형성하는 경사는 프론트힌지의 경사면이 형성하는 각도의 2배로 형성하여, 템플이 회전하고 접히면서 경사면의 기울기와 고정관의 기울기가 합친 각도로 하향되게 접혀서 템플의 끝이 프론트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템플이 코받침과의 간섭도 방지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중앙에 암나사를 형성하고 외주연에 키홈을 가지는 원통형의 바디를 포함하는 프론트힌지; 결합홈을 형성한 바디와 그 바디 타측의 힌지부가 일체된 로테이터; 원형이되 외주연에 트인 해제홈을 형성하는 템플힌지를 구성하여; 프론트힌지와 로테이터의 바디가 회전되게 나사로 결합하고, 로테이터의 힌지부와 템플힌지가 힌지 결합 구조로 결합된 안경테용 힌지를 구성하며, 프론트힌지와 템플힌지를 각각 엔드피스와 템플에 고정한 안경테를 구성하여, 로테이터의 해제홈이 프론트힌지의 키홈에 위치하면 나사를 축으로 회전함에 따라, 템플의 회전 뒤에 접음으로 부피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프론트힌지가 엔드피스에 접하는 면은 경사면을 형성하고, 로테이터의 힌지부의 끼움홈은 내부쪽 상부 방향으로 향하는 기울기를 형성하되, 끼움홈의 기울기는 경사면의 기울기와 동일한 기울기를 형성하여, 템플을 회전하여 접었을 때, 템플이 경사면의 기울기와 끼움홈의 기울기가 합쳐진 각도로 접혀서, 템플과 코받침의 간섭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고, 템플 끝이 프론트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부피를 더욱 최소화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힌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의 나사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힌지의 나사를 제외한 따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의 다른 방향에 대한 따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예시에 따른 힌지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의 힌지 부분의 확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의 힌지 부분의 로테이터를 제외한 확대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다른 예시의 힌지를 적용한 안경테의 힌지 부분의 로테이터를 제외한 확대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의 템플을 그대로 접었을 때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에 대해서 하나의 템플을 회전하여 접었을 때의 후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에 대해서 템플을 회전하여 접었을 때의 힌지 부분 확대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에 대해서 템플을 회전하여 접었을 때의 로테이터를 제외한 확대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라 다른 예시의 힌지를 적용한 안경테에 대해서 템플을 회전하여 접었을 때의 힌지 부분 확대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라 다른 예시의 힌지를 적용한 안경테에 대해서 템플을 회전하여 접었을 때의 로테이터를 제외한 확대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의 템플을 회전하여 접었을 때의 사시도.
본 발명은 템플의 회전과 접힘이 되는 안경테용 힌지 및 그 힌지가 적용된 안경테에 관한 것으로, 암나사를 형성하고 외주연에 키홈을 가지는 원통형의 바디와, 그 바디 일면에 관형의 고정관이 일체된 구조의 프론트힌지; 관통된 회전홀을 가지는 바디와, 그 바디 타측의 힌지부가 일체된 로테이터; 원형이되 외주연에 트인 해제홈을 형성하는 힌지부와, 그 힌지부 일측의 고정부가 일체된 구조를 가지는 템플힌지가 구성되어; 프론트힌지의 고정관이 로테이터의 회전홀에 끼워져 고정관 및 암나사로 나사를 조립하고, 로테이터의 힌지부와 템플힌지의 힌지부가 힌지 결합 구조로 결합된 구조의 안경테용 힌지가 구성되어, 프론트힌지의 바디 및 템플힌지의 고정부가 각각 엔드피스와 템플에 고정한 안경테를 구성하여, 로테이터의 해제홈이 프론트힌지의 키홈에 위치하면 템플힌지 및 로테이터가 나사를 축으로 회전함에 따라, 템플을 회전한 뒤에 접어서 보관할 수 있으므로 안경테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용 힌지(200)를 먼저, 설명하고, 그 힌지(100)가 적용된 안경테(200)를 설명하기로 하며, 힌지(100)는 도1 내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론트힌지(110), 로테이터(120), 템플힌지(130)로 구성하며, 프론트힌지(110)와 로테이터(120)는 좌우가 있는(좌우 대칭) 구조이며, 템플힌지(130)는 단일 구조일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좌우가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우선, 프론트힌지(110)의 구조를 설명하면, 프론트힌지(110)는 원통형의 바디(111)로 구성되고, 그 바디(111)의 일면에 고정관(112)이 일체된 구조를 가지거나, 또는, 고정관(112) 없이 바디(111)에 결합홈(113)을 형성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공통으로 프론트힌지(111)는, 외주연이 사각 단면으로 돌출된 스토퍼(111a)를 형성하는데, 이 스토퍼(111a)의 상부면이 윗쪽이 되며, 바디(111) 중심에는 암나사(111b)를 형성한다.
그리고 프론트힌지(110)의 바디(111)의 스토퍼(111a)의 수직된 위치에 키홈(111c)을 형성하고, 이 키홈(111c)의 위치에 따라서 프론트힌지(110)의 좌우가 구성되며, 키홈(111c)의 안쪽면은 라운딩을 형성하는데, 키홈(111c)에는 후에 설명하는 템플힌지(130)의 힌지부(131)의 키(131b)가 수용되므로 그에 대응하는 단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도1 내지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관(112)은 프론트힌지(110)의 바디(111)의 일면에서 관형으로 돌출 구조로, 고정관(112)의 중심과 암나사(111b)의 중심은 일치하도록 한다.
또한, 고정관(112)의 내부 끝 부분은 더 넓은 지름의 확장부(112a)를 형성하고, 확장부(112a)의 내부는 끝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단면(지름)을 형성하며, 확장부(112a)의 말단 외주연은 끝으로 갈수록 단면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하여 고정관(112)의 끼움이 용이하도록 하며, 고정관(112)은 길이 방향을 따라 트인 트임부(112b)를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관(112)이 없는 바디(111)에는 결합홈(113)을 형성하는데, 이 결합홈(113)은 후에 설명하는 로테이터(120)의 바디(121)가 끼움될 수 있는 폭으로 형성하며, 결합홈(113)의 폭은 바디(121)의 결합으로 적절한 마찰력으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결합홈(113)의 형성으로 이격되는 바디(111)의 암나사(111b)는 나사산을 형성하지 않고 관통된 관통홀(111d)로 형성하고, 그 관통홀(111d)에는 카운터보링이 구성된다.
한편, 바디(111)의 양면은 스토퍼(111a) 상면에 대해 수직하게 형성할 수 있고, 또는, 바디(111)의 고정관(112)이 형성된 면(또는, 카운터보링이 형성된 면)의 반대쪽면은 경사에 의한 경사면(111′)이 형성될 수 있는데, 경사면(111′)을 형성하는 경우 바디(111)가 상부(스토퍼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단면 구조를 가지며, 경사면(111′)의 기울기는 3 내지 9°의 각도를 가진다.
이렇게 프론트힌지(110)는 상부의 스토퍼(111a)와 측면 외주연의 키홈(111c)을 가지는 바디(111)와, 그 바디(111)의 측면에 수직으로 돌출된 관형의 고정관(112)이 일체된 구조이거나, 고정관(112) 없이 바디(111)에 결합홈(113)을 형성한 구조이며, 추가로, 바디(111)에는 기울기를 가지는 경사면(111′)이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로테이터(120)는 일측의 바디(121)와 그 타측의 힌지부(122)가 일체된 구조를 가지며, 바디(121)는 끝이 반원 단면으로 형성된 부분을 포함한다.
또한, 로테이터(120)의 바디(121) 양면은 평행(평형)하게 형성하고, 바디(121)의 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된 회전홀(121a)을 형성한다.
한편, 프론트힌지(110)가 고정관(112)를 포함하는 구조의 경우에는, 회전홀(121a)의 끝에는 카운터보링되어 지름이 확장된 구조의 확장부(121a´)가 더 구성된다.
그리고 로테이터(120)의 힌지부(122)의 끝은 반원 단면으로 형성된 부분을 포함하도록 형성하고, 그 중심에는 끼움홈(122a)이 형성되며, 끼움홈(122a)은 후에 설명하는 템플힌지(130)의 힌지부(131)가 끼움되는데, 끼움홈(122a)에 힌지부(131)에 끼워지면서 적절한 마찰력을 가지는 두께로 형성하여 회전에도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로테이터(120)의 힌지부(122)는 회전홀(121a)에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되는 힌지홀(122b)이 형성되며, 힌지부(122)는 끼움홈(122a)에 의해 두 개 부분으로 이격된 구조를 가지는데, 하나의 힌지홀(122b)에는 관통된 홀과 카운터보링을 형성하고, 다른 하나의 힌지홀(122b)은 암나사로 형성한다.
또한, 로테이터(120)의 끼움홈(122a)은 바디(121) 표면에 대해 수직하게 형성하지만, 프론트힌지(110)의 바디(111)에 경사면(111′)이 형성된다면, 로테이터(120)의 끼움홈(122a)은 경사면(111′)과 동일한 각도의 기울기(기울기의 방향은 별도로 설명하고 각도의 절댓값은 같다)를 가지도록 형성되는데, 바디(122)에 형성된 끼움홈(122a)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상부로 향하는 기울기를 가지는데, 더욱 정확하게는 로테이터(120)의 바디(121)가 프론트힌지(110)의 바디(111)가 접하는 쪽에서 그 반대 방향로 갈수록 상부를 향하는 기울기를 가진다.
또한, 로테이터(120)의 힌지부(122)의 끼움홈(122a)의 내부면은 라운딩 구조를 형성하여, 이 끼움홈(122a)에 후에 설명하는 템플힌지(130)의 힌지부(131)가 결합되어 회전에 따른 간섭을 방지하며, 마찬가지로, 힌지부(122)의 바디(121) 쪽 부분도 라운딩된 면이 형성되어, 이 라운딩면에 의해서 로테이터(120)의 회전에도 프론트힌지(110)의 바디(111)와 간섭을 방지 한다.
이와 같이, 로테이터(120)는 회전홀(121a)을 형성하는 바디(121)와 그 바디(121) 일측에 끼움홈(122a)과 힌지홀(122b)을 형성한 힌지부(122)가 일체된 구조로 구성되며, 프론트힌지(110)의 바디(111)가 경사면(111´)을 가지면, 로테이터(120)의 끼움홈(122a)도 상향으로 동일 각도를 가지는 경사를 형성하며, 로테이터(120)의 바디(121)와 힌지홀(122b)의 결합 방향 및 끼움홈(122a) 구조 등에 의해서 좌우가 다른 구조(좌우대칭)을 가진다.
마지막으로, 템플힌지(130)는 원형의 힌지부(131)와 그 힌지부(131) 일측의 고정부(132)가 일체된 구조를 가지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힌지부(131)는 로테이터(120)의 끼움홈(122a)에 끼움되어 적절한 마찰력을 가지도록 회전할 수 있는 두께로 구성한다.
또, 힌지부(131)는 원통형의 구조이고 그 중심에 관통된 힌지홀(131c)을 형성하며, 힌지부(131)의 외주연에는 일부가 트인 구조의 해제홈(131a)을 형성하며, 이 해제홈(131a)을 두고 원주 방향 양쪽으로 일정 구간의 키(131b)를 형성하는데, 이 키(131b) 구간을 제외하여 해제홈(131a) 깊이보다는 얕은 깊이로 트이도록 하여 템플힌지(130)의 회전 움직임에 따른 간섭을 방지할 수도 있다.
한편, 해제홈(131a)은 하나만 형성할 수도 있고, 프론트힌지(110)에 결합홈(113)이 형성된 경우에는 결합홈(113)에 의해 이격된 구조를 가지는 바디(111)의 구조에 따라 적어도 두 개의 해제홈(131a)(131a´)를 형성한다.
그리고 고정부(132)는 평평한 설치면(132a)을 가지고, 고정부(132)의 양쪽은 힌지부(131)의 두께보다 측면으로 더 돌출되게 구성하고, 힌지부(131) 측의 고정부(132)는 라운딩된 면을 형성하여, 이 라운딩된 면이 로테이터(120)의 힌지부(122)와의 회전에 따른 간섭을 방지한다.
이렇게 템플힌지(130)는 힌지부(131)와 고정부(132)가 일체된 구조를 가진다.
이렇게 프론트힌지(110), 로테이터(120), 템플힌지(130)를 포함하는 안경테용 힌지(100)의 결합 구조를 살펴보면, 우선 프론트힌지(110)와 로테이터(120)의 결합을 보면, 프론트힌지(110)의 암나사(111b)와 로테이터(120)의 회전홀(121a)를 일치시키고, 별도의 나사(240)를 조립하여 고정하는 구조이다.
더욱 자세하게는, 고정관(112)를 가지는 프론트힌지(110)의 경우, 고정관(112)을 로테이터(120)의 회전홀(121a)에 끼워서 두 바디(111)(121)가 서로 맞대는 결합하되, 고정관(112)의 트임부(112b)에 의해서 지름이 작아지면서 회전홀(121a)로 끼움되어, 프론트힌지(110)의 확장부(112a)가 로테이터(120)의 확장부(121a´)로 위치하면서 벌어지면서 다시 분리되지 않는 구조이며, 나사(240)는 고정관(112a)과 암나사(111b)로 나사 결합하면, 나사(240)의 머리(헤드)가 확장부(112a)로 위치하면서 확장부(112a)를 방사형으로 확장시켜 나사(240)의 풀림은 방지하고, 확장부(112a) 내부는 경사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나사(240)의 머리와의 접촉은 최소화하여 반복된 회전에도 나사(240)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결합홈(113)을 가지는 프론트힌지(110)의 경우, 로테이터(120)의 바디(121)를 프론트힌지(110)의 결합홈(113)에 끼워 결합하여, 프론트힌지(110)의 암나사(111b)와 관통홀(111d)을 로테이터(120)의 회전홀(121a)과 일치시켜, 관통홀(111d)로 나사(240)를 조립하여 회전홀(121a)를 통과하여 암나사((111b)로 고정하며, 프론트힌지(110)의 결합홈(113)과 로테이터(120)의 바디(121)가 약간의 마찰력을 가지도록 결합된 구조에 의해서 서로 회전하면서 특정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어서 로테이터(120)와 템플힌지(130)의 결합 구조를 보면, 로테이터(120)의 힌지부(122)의 끼움홈(122a)으로 템플힌지(130)의 힌지부(131)가 끼움되고, 로테이터(120)와 템플힌지(130)의 일치하는 힌지홀(122b)(131c)로 나사(250)를 결합하고 고정하면, 나사(250)를 축으로 하여 로테이터(120)와 템플힌지(130)는 회전할 수 있는 힌지 결합 구조를 가지며, 이렇게 프론트힌지(110), 로테이터(120), 템플힌지(130)가 결합되어 안경테용 힌지(100)가 구성된다.
아울러, 프론트힌지(110)의 바디(111)에 경사면(111´)을 형성하고 있더라도, 로테이터(120)의 힌지부(122)의 끼움홈(122a)이 동일한 각도로 상향 방향으로 경사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이 끼움홈(122a)에 템플힌지(130)가 결합하면서 경사면(111´)과 끼움홈(122a)의 경사가 서로 보상되기 때문에, 바디(111)의 경사면(111´)과 고정부의 설치면(132a)는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안경테용 힌지(100)는, 템플힌지(130)의 움직임에 따른 프론트힌지(110)와 로테이터(120)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 및 템플힌지(130)의 해제홈(131a)(131a´)에 따른 위치에 따라서, 로테이터(120)가 프론트힌지(110)에 대해서 회전 여부가 결정된다.
다시 말하면, 도8 및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론트힌지(110)의 키홈(111c)과 로테이터(120)의 끼움홈(122a)이 일치된 상태에서 템플힌지(130)의 키(131b)가 프론트힌지(110)의 키홈(111c)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로테이터(120)가 회전하지 못하지만, 도13 및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템플힌지(130)의 회전에 의해서 템플힌지(130)의 해제홈(131a)(131a´)이 프론트힌지(110)의 키홈(111c)에 대응하면, 템플힌지(130)가 프론트힌지(110)와 간섭되지 않으므로 로테이터(120)가 템플힌지(130)와 함께 나사(240)를 축으로 하여 180˚를 회전하여 도11에 도시한 것과 같은 구조를 가진다.
이렇게 구성하는 힌지(100)가 안경테(200)에 적용된 구조와 사용 방법을 살펴보기에 앞서, 안경테(200)의 일반적인 구조를 도6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안경테(200)는 앞쪽의 프론트(210)와 프론트(210) 양쪽에 조립되는 템플(230)로 구성되고, 프론트(210)는 한 쌍의 림(211), 그 두 림(211) 사이를 연결하는 브릿지(212)(코다리)로 구성되며, 림(211) 양단 하부측의 프론트(210)에는 코받침(미도시)가 구성된다.
그리고 템플(230)(다리)은 프론트(210)에서 귀쪽까지 연결되는 부분이고, 프론트(210)의 양쪽 끝 부분에는 엔드피스(220)(미미)가 구성되어 템플(230)과 연결되어 있는데, 힌지(100)는 엔드피스(220)와 템플(230)을 연결하여 템플(230)이 접히거나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더욱 자세하게는, 도7 내지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론트힌지(110)는 양쪽 엔드피스(220) 안쪽에 마주보게 결합하되, 스토퍼(111a)가 위를 향하고 프론트힌지(110)의 키홈(111c)은 템플(230)을 폈을 때 길이 방향 템플 끝쪽을 향하도록 위치하며, 프론트힌지(110)는 엔드피스(220)에 용접이나 은납땜으로 고정하거나 또는 프론트힌지(110)와 엔드피스(220)에 별도의 홀(미도시)와 암나사(미도시)를 형성하고 별도의 나사(미도시)를 사용하여 나사 결합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프론트힌지(110)의 조립으로 프론트(210) 양쪽의 엔드피스(220)의 내부에서 프론트힌지(110)의 고정관(112) 또는 나사(240) 머리가 서로 마주보게 된다.
또한, 템플힌지(130)는 템플(230) 내측면에 조립하는데, 나사(250)는 프론트힌지(110)는 설치부(132a)를 템플(230)에 용접이나 은납땜으로 고정하거나 또는 프론트힌지(110)과 템플(230)에 별도의 홀(미도시)와 암나사(미도시)를 형성하고 별도의 나사(미도시)를 사용하여 나사 결합으로 고정할 수 있다.
한편, 프론트힌지(110)의 바디(111)가 경사면(111′)을 형성하지 않을 때는 엔드피스(220)과 템플(230)는 마주하는 면이 길이 방향에 서로 수직하게 분리된 구조를 가지지만, 프론트힌지(110)에 경사면(111′)이 형성되어 있다면, 엔드피스(220)와 템플(230)의 마주하는 면이 경사면(111′)의 기울기를 형성하면서 분리된 구조를 가질 수 있는데, 템플(230)의 하단이 엔드피스(220) 쪽으로 더 돌출되고, 엔드피스(220) 상단이 템플(230) 측으로 더 돌출되는 구조를 형성하고, 엔드피스(220)와 템플(230)이 분리된 부분의 경사(각도)는 프론트힌지(110)의 경사면(111′)이 가지는 기울기의 2배를 가지며, 템플(230)과 엔드피스(220)의 경사에 의해 프론트힌지(110), 템플힌지(130) 및 템플(230)의 회전에 따른 템플(230)과 엔드피스(220)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힌지(100)에 의해서 프론트(210)와 템플(230)이 연결된 구조의 안경테(200)를 구성하며,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경테(200)는 템플(230)을 펼친 상태로 사용자가 얼굴에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안경테(200)의 템플(230)을 펼친 구조에서, 프론트힌지(110)가 경사면(111′)만을 가진다면 템플(230) 상단이 경사면(111′)의 기울기에 의해 안쪽(양쪽 템플이 마주보는 방향)으로 기울어진 구조를 가지겠지만, 로테이터(120)의 끼움홈(122a)의 기울기 방향과 각도에 의해서 경사면(111′)의 각도와 끼움홈(122a)의 기울기가 서로 보상되어 끼움홈(122a)이 수평 방향으로 위치되고, 이에 따라 템플(230)은 특정 각도를 형성하지 않고 일반적인 안경테의 템플과 동일하게 조립된다.
또한, 안경테(200)를 보관할 때는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첫 번째로는,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하기 위해 펼친 템플(230)을 프론트(210) 쪽으로 그대로 접는 방법이 있으며, 이것은 일반적인 안경을 접어 넣는 방법과 구조가 동일하며, 일반적으로 안경테(200)(또는, 안경)은 얼굴형에 맞추어 템플(230)이 바깥쪽으로 볼록한 구조이므로, 이렇게 템플(230)을 그대로 접은 경우에는 완전히 접더라도 템플(230)이 프론트(210)와 띄워진 거리에 의해서 약간의 부피감을 가지며, 일반적인 템플(230)의 끝은 귀에 걸기 위해서 약간의 아치 또는 고리 형상을 가지는데, 템플(230)을 그대로 접는 경우에는 템플(230)의 끝이 프론트(210) 아래로 튀어나오는 구조를 가지므로 부피가 더욱 극대화된다.
두 번째로는, 도12 내지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템플(230)을 프론트(210) 쪽으로 접어서 템플힌지(130)의 해제홈(131a)이 프론트힌지(110)의 키홈(111c)에 위치하면, 템플(230)을 제자리에서 회전할 수 있는데, 템플(230)의 회전으로 템플힌지(130)와 로테이터(120)가 프론트힌지(110)에 대해서 회전하며 180˚ 정도를 회전하고, 그 이상은 프론트힌지(110)의 스토퍼(111a)에 의해서 더 이상의 회전이 방지된다.
그리고 템플(230)을 회전한 상태에서 템플(230)을 프론트(210) 쪽으로 완전히 접고, 반대쪽 템플(230)도 같은 방법으로 접으면 안경을 완전히 접은 상태가 되는데, 이렇게 템플(230)을 회전해서 접게 되면 밖으로 볼록한 구조의 템플(230)은 프론트(210)와 가깝게 수납이 되므로 부피가 상대적으로 작은 효과가 있으며, 템플(230)의 끝은 프론트(210) 위쪽으로 약간 돌출된 상태(미도시)를 가진다.
또한, 프론트힌지(110)에 경사면(111′)이 형성되고 로테이터(120)의 끼움홈(122a)이 경사를 형성한 경우에는, 도11 및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경테(200)는 템플(230)의 회전에 의해서 경사면(111′)의 각도와 끼움홈(122a)의 각도가 합쳐진 α의 기울기로 프론트(210) 아래 방향을 향하도록 접히게 되므로, 템플(230)이 프론트(210)를 벗어나지 않는 내로 접히고, 접히는 각도에 의해서 템플(230)과 코받침과의 간섭은 피하면서, 템플(230) 끝이 프론트(210) 외부로 돌출하는 것이 방지되어 최소의 부피로 보관 및 수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아울러, 프론트힌지(110)와 로테이터(120)는 힌지 결합으로 이루어지되, 프론트힌지(110)의 결합홈(113)과 로테이터(120)의 바디(120)의 결합, 또는, 로테이터(120)와 템플힌지(130) 힌지부(122)(131)의 결합에 의해서, 서로 회전이 가능하면서도 서로 적절한 마찰력에 의해서 템플(23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200)는 일반적인 렌즈가 적용된 안경뿐만 아니라, 선그라스, 기능성 안경, 연구용 안경 등 기타 다양한 안경에 적용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힌지(100)는 기존의 어떤 안경테에도 조립이 용이하여 다양한 소재의 안경테(200)에도 적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100: 힌지
110: 프론트힌지
111: 바디 111´: 경사면
111a: 스토퍼 111b: 암나사 111c: 키홈
111d : 관통홀
112: 고정관 112a: 확장부 112b: 트임부
113: 결합홈
120: 로테이터
121: 바디 121a: 회전홀 121a´: 확장부
122: 힌지부 122a: 끼움홈 122b: 힌지홀
130: 템플힌지
131: 힌지부 131a, 131a´: 해제홈
131b: 키 131c: 힌지홀
132: 고정부 132a: 설치부
200: 안경테
210: 프론트 211: 림 212: 브릿지
220: 엔드피스 230: 템플
240, 250: 나사

Claims (8)

  1. 안경테의 엔드피스와 템플을 연결하는 안경테용 힌지에 있어서,
    중앙의 암나사와 측면의 키홈 및 상부에 사각으로 돌출된 스토퍼가 형성된 원통형 바디를 포함하는 프론트힌지;
    회전홀을 가지는 바디와, 그 바디 타측의 힌지부가 일체된 로테이터;
    원형이되 외주연에 트인 해제홈을 형성하는 힌지부와, 그 힌지부 일측의 고정부가 일체된 구조를 가지는 템플힌지가 구성되어,
    로테이터의 회전홀과 프론트힌지의 암나사를 일치하여 나사로 결합하고, 로테이터의 힌지부와 템플힌지의 힌지부가 힌지 결합한 안경테용 힌지를 구성하여,
    프론트힌지의 바디 및 템플힌지의 고정부가 각각 엔드피스와 템플에 고정되어, 로테이터의 해제홈이 프론트힌지의 키홈에 위치하면 템플힌지 및 로테이터가 나사를 축으로 회전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용 힌지.
  2. 제 1 항에 있어서,
    프론트힌지가 엔드피스와 접하는 바디의 반대에는 바디의 암나사와 연결되는 관형의 고정관이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하되, 그 고정관 끝 부분은 더 큰 지름의 확장부를 일체로 구성하고, 고정관은 길이방향으로 트인 트임부를 원주 방향으로 다수 형성하여,
    고정관이 회전홀에 위치하고 고정관으로 나사를 조립하여 프론트힌지의 암나사로 결합되어, 스토퍼에 의해서 로테이터의 회전반경을 제한하고, 프론트힌지의 고정관의 나사 결합으로 로테이터와 적절한 마찰력으로 결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용 힌지.
  3. 제 3 항에 있어서,
    프론트힌지의 고정관의 확장부 내부는 끝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단면을 형성하고, 확장부 외주연의 끝단은 끝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단면을 형성하며, 프론트힌지의 키홈은 내부면이 라운딩을 형성하고,
    로테이터의 바디의 회전홀의 끝부분은 확장된 지름의 확장부를 형성하고,
    로테이터의 힌지부 중 나사가 먼저 끼워지는 면의 힌지홀에는 카운터보링을 형성하며,
    로테이터의 바디는 일측이 반원 단면으로 형성된 부분을 포함하고, 로테이터의 힌지부는 끝이 반원형으로 형성된 부분을 포함하며,
    템플힌지의 고정부 양쪽은 돌출되고, 로테이터의 힌지부의 끝면과 대응되는 구조의 라운딩 형성으로 간섭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용 힌지.
  4. 제 1 항에 있어서,
    프론트힌지의 바디에는 결합홈을 형성하고, 결합홈에 의해 이격되는 바디의 암나사는 관통홀로 형성되어, 로테이터의 바디가 프론트힌지의 결합홈으로 끼워지도록 결합되어 로테이터와 적절한 마찰력으로 회전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용 힌지.
  5. 제 4 항에 있어서,
    프론트힌지의 결합홈에 의해 이격되는 바디의 관통홀에는 카운터보링이 형성되고,
    로테이터의 힌지부 중 나사가 먼저 끼워지는 면의 힌지홀에는 카운터보링을 형성하며,
    로테이터의 바디는 일측이 반원 단면으로 형성된 부분을 포함하고, 로테이터의 힌지부는 끝이 반원형으로 형성된 부분을 포함하며,
    템플힌지의 고정부 양쪽은 돌출되고, 로테이터의 힌지부의 끝면과 대응되는 구조의 라운딩 형성으로 간섭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용 힌지.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론트힌지가 엔드피스와 접하는 바디의 면은 기울기를 가지는 경사면을 형성하되, 프론트힌지의 스토퍼 상부에서 그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단면에 의해서 3 내지 9˚의 경사면을 형성하고, 로테이터의 힌지부의 끼움홈은 엔드피스가 마주보는 방향에 대해서 상부로 향하는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하되, 경사면의 각도와 끼움홈의 기울어진 각도는 동일하여 프론트힌지의 경사면과 템플힌지의 고정부 외측면이 같은 평면상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용 힌지.
  7. 프론트의 양쪽에 엔드피스를 구성하고, 각 엔드피스에 힌지로 템플이 결합된 구조의 안경테에 있어서,
    제 1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해당하는 힌지로, 프론트힌지와 로테이터 및 템플힌지로 구성하되, 프론트힌지의 암나사와 로테이터의 회전홀로 나사 결합하고, 로테이터의 힌지부와 템플힌지의 힌지부가 힌지 결합 구조로 결합되어, 프론트힌지의 바디가 엔드피스에 고정되고, 템플힌지의 고정부가 템플에 고정되는 구조의 안경테가 구성되어,
    로테이터의 해제홈이 프론트힌지의 키홈에 위치하면 템플힌지 및 로테이터가 나사를 축으로 회전함에 따라, 템플의 회전 및 접힘으로 안경테의 부피를 최소화하여 보관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용 힌지가 적용된 안경테.
  8. 제 7 항에 있어서,
    프론트힌지가 엔드피스와 접하는 바디의 면은 기울기를 가지는 경사면을 형성하되, 프론트힌지의 스토퍼 상부에서 그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단면에 의해서 3 내지 9˚의 경사면을 형성하고, 로테이터의 힌지부의 끼움홈은 엔드피스가 마주보는 방향에 대해서 상부로 향하는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하되, 경사면의 각도와 끼움홈의 기울어진 각도는 동일하여 프론트힌지의 경사면과 템플힌지의 고정부 외측면이 같은 평면상을 가지며,
    템플과 엔드피스가 마주하는 면은 템플의 회전 및 접힘에도 엔드피스에 간섭되지 않는 각도로 분리되어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용 힌지가 적용된 안경테.
KR1020200088853A 2020-07-17 2020-07-17 템플의 회전과 접힘이 되는 안경테용 힌지 및 그 힌지가 적용된 안경테 KR202200102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8853A KR20220010232A (ko) 2020-07-17 2020-07-17 템플의 회전과 접힘이 되는 안경테용 힌지 및 그 힌지가 적용된 안경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8853A KR20220010232A (ko) 2020-07-17 2020-07-17 템플의 회전과 접힘이 되는 안경테용 힌지 및 그 힌지가 적용된 안경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0232A true KR20220010232A (ko) 2022-01-25

Family

ID=80049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8853A KR20220010232A (ko) 2020-07-17 2020-07-17 템플의 회전과 접힘이 되는 안경테용 힌지 및 그 힌지가 적용된 안경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1023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09335B1 (en) Foldable eyewear
US7566127B2 (en) Eyeglass frame with temples having two orthogonal axes of rotation and forming a case when folded
CN106405865B (zh) 双重折叠式眼镜以及可折起的眼镜盒
KR101969215B1 (ko) 안경의 결합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안경
US10156735B2 (en) Dual-folding eyeglasses and eyeglass collapsible case
KR101572099B1 (ko) 안경의 안경다리 결합구조체
US7695133B2 (en) Pair of spectacles with interchangeable lenses
US7222960B2 (en) Spectacle frame
CN107656378A (zh) 一种便携折叠式眼镜
WO2021259038A1 (zh) 折叠镜框以及眼镜
KR20210013902A (ko) 무나사 안경힌지를 가지는 조립식 안경
US6513926B1 (en) Double-foldable eyeglasses
KR20220010232A (ko) 템플의 회전과 접힘이 되는 안경테용 힌지 및 그 힌지가 적용된 안경테
KR20200107606A (ko) 금속 와이어로 이루어진 안경 다리를 갖는 안경테
CA3024952C (en) Dual-folding eyeglasses and eyeglass collapsible case
KR200224593Y1 (ko) 안경다리의 교체가 용이한 안경테
KR20220087063A (ko) 템플의 회전과 접힘이 간결하게 작동되는 안경테용 힌지 및 그 힌지가 적용된 안경테
TWI814609B (zh) 眼鏡之鉸鏈結構
KR20220166051A (ko) 나사 풀림이 방지되는 안경테용 힌지 및 그 힌지가 적용된 안경테 및 그 힌지 구조가 일체된 구조를 가지는 안경테
KR200488354Y1 (ko) 렌즈가 커보이는 안경
JP3694781B2 (ja) 折畳み式メガネ
JP3526842B2 (ja) 眼鏡の連結機構
KR200493352Y1 (ko) 안경테용 안경다리 결합구조
JP2952482B1 (ja) フロント傾動可能な眼鏡フレーム
TW202416019A (zh) 眼鏡之鉸鏈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