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7677A - 안경용 안경다리 - Google Patents

안경용 안경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7677A
KR20180107677A KR1020170036494A KR20170036494A KR20180107677A KR 20180107677 A KR20180107677 A KR 20180107677A KR 1020170036494 A KR1020170036494 A KR 1020170036494A KR 20170036494 A KR20170036494 A KR 20170036494A KR 20180107677 A KR20180107677 A KR 201801076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leg body
eyeglass
couple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6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미진
Original Assignee
박미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미진 filed Critical 박미진
Priority to KR1020170036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07677A/ko
Publication of KR20180107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76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안경용 안경다리에 관한 것으로, 안경테의 양측에 결합되는 안경다리로서, 상기 안경테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제1 다리본체; 상기 제1 다리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다리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다리본체는 상기 제1 다리본체의 벤딩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게 마련하여 제1 다리본체의 벤딩부와 제2 다리본체의 결합구멍에 의해 안경다리를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안경다리를 용접 또는 나사 결합없이 결합할 수 있게 되고, 안경다리의 제조 시 용접 및 나사 결합없이 결합함에 따라 안경다리의 작업 시간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 공정 수가 줄어들게 되어 안경다리리를 보다 신속하게 결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안경용 안경다리{Eyeglass Leg}
본 발명은 안경용 안경다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경테와 안경다리를 용접 및 나사 결합 없이 안경테와 안경다리를 결합할 수 있는 안경용 안경다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은 시력 보호나 바람, 햇빛 등으로부터 눈을 보호하기 위하여 착용되기도 하지만 패션아이템으로도 많이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안경은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색상과 모양을 구현할 수 있도록 안경테, 안경연결구, 안경다리가 분리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에 의한 파손 시 그 부분만을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였다.
특히, 유행에 민감한 젊은 층의 안경 착용자들은 대부분 서로 다자인이 다른 수개의 안경을 구입하여 번갈아 가며 착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은 종래의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안경(200)은 렌즈(210)를 교환할 수 있도록 볼트(220)로 풀고 조여주는 렌즈고정구(230, 240)가 안경테(250)에 용접으로 고정되고, 상기 렌즈고정구(230, 240)의 뒤쪽에는 힌지가 용접으로 고정된 'ㄱ '자 형태의 다리 연결체(270)를 용접으로 고정하며, 상기 다리 연결체(270)에 형성된 힌지(260)와 안경다리 몸체부(280)의 힌지(290)를 서로 끼워 연결나사(300)로 체결함으로써 접철되게 구성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안경은 다리 연결체(270)가 안경테(250)의 렌즈고정구(230, 240)에 용접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일반 소비자가 가정에서 다리 연결체(270) 및 안경다리 몸체부(290)를 안경테(250)에서 분리교체 할 수 없었고, 안경테(250)가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용접조차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안경테의 외측에 다리 연결체를 상기 안경테의 외측면으로 끼워 결합 시킨 후에 작은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여 나사조립 하도록 구성한 것도 있으나, 상기 다리 연결체의 선단부가 안경테의 외측면을 가리게 되어 안경테 디자인을 충분히 살리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안경은 안경테와 안경다리를 용접 및 나사를 결합하여야 하므로 작업 공정이 많아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고, 이로 인해 생산성이 떨어지며, 안경 제작에 따른 비용이 과다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안경다리와 안경연결구의 결합구조체'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안경다리와 안경연결구의 결합구조체는 안경테 일측으로 결착되어 회동되는 연결구와 상기 연결구에 결착되는 안경다리로 구성되는 안경연결구와 안경다리로서, 안경다리 일측으로 돌출되는 안내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안내가이드 양측으로 걸림되는 걸림돌기와 탄성을 가지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가이드 일측으로 돌출되는 고정돌기, 일측이 안경테에 결착되어 회동하며, 상기 안내가이드가 인입 시 걸림돌기가 안착되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가 걸림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가이드가 인입되는 단턱을 가지는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가 안착되는 고정홈으로 구성된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플라스틱안경테의 렌즈 및 안경다리 결합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플라스틱안경테의 렌즈 및 안경다리 결합구조는 렌즈설치부가 일정폭 벌어질 수 있도록 플라스틱안경테 양단을 절개하여 상하 이격부를 가지도록 한 플라스틱안경테에 있어, 상기 플라스틱안경테의 양단에 마련된 상하 이격부의 측면으로 관통공을 형성함과 동시에 그 관통공을 통해 한쌍의 고정돌기를 가지는 고정부재, 안경다리와 결합된 결합부재를 상호 끼움/결합시켜 렌즈설치부의 조임과 동시에 안경다리가 플라스틱안경테 양측에 결합 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정부재는 그 일측면 상하부로 고정홈의 함몰형성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돌출형성되는 고정턱을 가지는 고정돌기를 마련하여 플라스틱안경테의 양단 상하 이격부에 형성된 관통공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관통시켜 돌출되게 하고, 상기 안경다리와 결합된 결합부재는 고정부재의 고정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 삽입공과 그 삽입공 상부로 고정부재의 고정돌기 중심부가 억지/끼움 될 수 있도록 한 결합공으로 이루어진 상하부 결합공간을 각각 형성하여, 고정부재의 고정돌기가 상기 결합부재의 삽입공을 통해 삽입된 다음 그 상부의 결합공에 억지/끼움되어 결합된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2014-0006170호(2014년 12월 9일 공개)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2011-0005467호(2011년 6월 1일 공개)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0448466호(2010년 4월 13일 공고)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2008-0000064호(2008년 1월 16일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안경테에 안경다리를 용접 또는 나사 결합없이 안경을 제조할 수 있는 안경용 안경다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안경테와 안경다리를 간편하면서도 신속하게 제조할 수 있는 안경용 안경다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경용 안경다리는 안경테의 양측에 결합되는 안경다리로서, 상기 안경테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제1 다리본체; 상기 제1 다리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다리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다리본체는 상기 제1 다리본체의 벤딩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다리본체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다리본체에 형성되는 구멍; 상기 제1 다리본체의 내측에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벤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다리본체는 상기 벤딩부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연장 형성되는 귀걸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벤딩부에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결합홈부; 상기 결합홈부의 일측에 상기 벤딩부에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되게 형성되는 결합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 다리본체의 상면과 하면에 밀착되도록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경용 안경다리에 의하면, 제1 다리본체의 벤딩부와 제2 다리본체의 결합구멍에 의해 안경다리를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안경다리를 용접 또는 나사 결합없이 결합할 수 있게 되고, 안경다리의 제조 시 용접 및 나사 결합없이 결합함에 따라 안경다리의 작업 시간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 공정 수가 줄어들게 되어 안경다리리를 보다 신속하게 결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종래의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안경용 안경다리를 정면에서 도시한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안경용 안경다리를 배면에서 도시한 입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안경용 안경다리를 일면에서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안경용 안경다리를 일면에서 도시한 입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안경용 안경다리를 타면에서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안경용 안경다리를 타면에서 도시한 입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안경용 안경다리를 도시한 입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안경용 안경다리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안경용 안경다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안경용 안경다리를 정면에서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안경용 안경다리를 배면에서 도시한 입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안경용 안경다리는 안경테(10)의 양측에 결합되는 안경다리(20)로서, 상기 안경테(10)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제1 다리본체(21), 상기 제1 다리본체(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다리본체(25)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경용 안경다리는 안경을 착용하기 위하여 안경테의 양측에 마련되는 안경다리(20)를 용접과 나사의 결합없이 안경다리를 안경테에 설치하도록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경용 안경다리는 안경테(10)에 설치되는 것으로, 안경테(10)는 안경렌즈(미도시)가 고정되는 한 쌍의 림(11)과 상기 한 쌍의 림(11) 사이에 연결되는 브릿지(12)로 이루어진다.
상기 안경테(1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안경 뿐만 아니라 플라스틱의 재질로 이루어진 안경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안경테(10)의 양 측면에는 각각 안경다리(20)가 설치되며, 이들 안경다리(20)는 안경을 착용하도록 하는 것으로 소정 길이로 이루어짐과 함께 필요에 따라 안경테(10)를 향해 접을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안경다리(20)는 안경테(10)의 좌우 양측에 설치되는데, 이들 안경다리(20)는 한 쌍으로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한 쌍의 안경다리(20)에 대하여 동일한 명칭과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안경용 안경다리를 일면에서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안경용 안경다리를 일면에서 도시한 입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안경용 안경다리를 타면에서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안경용 안경다리를 타면에서 도시한 입체도이다.
상기 안경다리(20)는 상기 안경테(10)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제1 다리본체(21), 상기 제1 다리본체(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다리본체(25)를 포함한다.
상기 안경다리(20)는 안경테(10)의 측면에 설치되는 제1 다리본체(21)와 상기 제1 다리본체(21)로부터 연장되어 안경 착용자의 귀에 안착되는 제2 다리본체(25)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제2 다리본체(25)는 상기 제1 다리본체(21)의 벤딩부(2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 다리본체(21)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한 쌍의 제1 다리본체(21)는 서로 대칭된 위치에 설치되므로, 서로 대칭되게 설치된다.
상기 제1 다리본체(21)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다리본체(21)에 형성되는 구멍(22), 상기 제1 다리본체(21)의 내측에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벤딩부(2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다리본체(21)는 안경테(10)의 림(11)에 설치되도록 형성되는 제1 다리(21a)와 상기 제1 다리(21a)로부터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다리(21b)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다리(21a)와 제2 다리(21b)는 서로 동일한 길이로 이루어지거나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다리본체(21)의 제2 다리(21b)에는 소정의 크기로 구멍(22)이 형성된다. 또한 제2 다리(21b)에는 구멍(22)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이루어진 벤딩부(23)가 형성된다.
상기 벤딩부(23)는 제2 다리(21b)의 내측으로 원호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벤딩부(23)에는 제2 다리본체(25)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벤딩부(23)는 제2 다리(21b)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벤딩부(23)의 타측은 탄성을 갖도록 자유단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 다리본체(25)는 제1 다리본체(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은 물론 안경을 착용할 수 있도록 타단에 귀걸이부(30)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2 다리본체(25)의 일단에는 제1 다리본체(21)에 결합되도록 결합부(26)가 형성된다.
상기 제2 다리본체(25)는 상기 벤딩부(23)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결합부(26), 상기 결합부(26)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연장 형성되는 귀걸이부(30)를 포함한다.
상기 상기 결합부(26)는 상기 벤딩부(23)에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결합홈부(28), 상기 결합홈부(28)의 일측에 상기 벤딩부(23)에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되게 형성되는 결합구멍(27)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26)에는 제1 다리본체(21)에 결합되도록 결합구멍(27)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구멍(27)은 상기 벤딩부(23)에 결합되도록 벤딩부(23)보다 큰 크기로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구멍(27)은 벤딩부(23)에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며, 필요에 따라 원형으로도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결합부(26)에는 결합홈부(28)가 형성되고, 결합부(26)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29)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26)의 타측에는 착용자의 귀에 착용되도록 귀걸이부(30)가 일체로 형성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안경용 안경다리를 도시한 입체도이고,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안경용 안경다리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안경다리는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한 명칭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며, 전술한 실시 예와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안경다리는 안경테(11)의 양측에 각각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3)가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13)에는 안경다리(20)를 끼워 결합하도록 고정구멍(14)이 형성된다.
또한 안경다리(20)는 제1 안경다리(21)와 제2 안경다리(25)로 이루어지는데, 제1 다리본체(21)에는 연장부고정구멍(14)에 끼워지도록 고정구(24)가 돌출 형성된다.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안경용 안경다리의 결합관계를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경용 안경다리는 안경렌즈(미도시)가 장착되는 안경테(10)의 양측에 설치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안경테(10)는 안경렌즈(미도시)가 장착되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림(11)과 상기 한 쌍의 림(11)에 일체로 연결시키는 브릿지(12)로 이루어진다.
상기 안경다리(20)는 안경테(10)의 림(11)에 설치되는 제1 다리본체(21)와 상기 제1 다리본체(21)에 결합되어 착용자의 귀에 걸리는 제2 다리본체(25)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다리본체(21)는 대략 'ㄱ'자 형상으로 형성하고, 제1 다리본체(21)의 제1 다리(21a)는 림(11)에 연결되게 형성하고, 상기 제1 다리(21a)에는 직교되는 방향으로 제2 다리(21b)를 연장 형성한다.
상기 제2 다리(21b)에는 제2 다리본체(25)를 결합하도록 벤딩부(23)를 형성하며, 상기 벤딩부(23)는 제2 다리(21b)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벤딩부(23)의 일측은 제2 다리(21b)로부터 연장되어 돌출되며, 벤딩부(23)의 타측은 제2 다리(21b)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 자유단으로 형성한다.
아울러 벤딩부(23)와 마주보는 제2 다리(21b)에는 벤딩부(23)를 형성하도록 소정의 크기를 갖는 구멍(22)을 형성한다.
또한 제2 다리본체(25)는 제1 다리본체(21)에 결합되도록 일측에 결합부(26)를 형성하며, 제2 다리본체(25)의 타측에는 착용자의 귀에 걸리도록 하향 경사진 귀걸이부(30)를 일체로 형성한다.
상기 결합부(26)에는 벤딩부(23)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결합구멍(27)을 형성하며, 상기 결합구멍(27)은 벤딩부(23) 보다 큰 크기로 형성한다. 이는 벤딩부(23)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함은 물론 제2 다리본체(25)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결합구멍(27)의 일측에는 결합홈부(28)를 형성하며, 상기 제2 다리본체(25)가 제2 다리(21b)에 탈착되도록 결합부(26)의 상단과 하단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29)를 형성한다.
한편 도 8 및 도 9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안경다리는 플라스틱 안경테(10)의 양측에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3)를 형성하며, 상기 연장부(13)에는 안경다리(20)가 고정되도록 한 쌍의 고정구멍(14)을 형성한다.
아울러 안경다리(20)의 제1 다리본체(21)는 일정 길이를 갖는 제1 다리(21a)와 제2 다리(21b)를 소정 각도로 교차되게 형성하며, 제1 다리(21a)에는 연장부(13)의 고정구멍(14)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고정구(24)를 형성한다.
상기 제2 다리(21b)에는 제2 다리본체(25)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원호 형상의 벤딩부(23)를 형성한다.
다음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안경용 안경다리의 작동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경용 안경다리는 제2 다리본체(25)를 제1 다리본체(21)에 결합하게 되는데, 벤딩부(23)에는 제2 다리본체(25)의 결합부(26)가 결합된다.
즉, 벤딩부(23)는 결합부(26)의 결합구멍(27)에 끼워져 결합되고, 결합부(26)의 돌출부(29)는 제2 다리(21b)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돌출부(29)는 제2 다리(21b)의 상면과 하면에 결합되어 안정된 상태를 유지되게 한다.
상기 제1 다리본체(21)의 제1 다리(21a)는 안경테(10)의 림(11)에 고정되는데, 안경테(10)의 림(11)이 금속재질인 경우 림(11)과 제1 다리본체(21)를 용접으로 고정하고, 안경테(10)의 림(11)이 플라스틱인 경우 림(11)을 융착시켜 제1 다리(21a)가 고정된다.
상기 안경다리(20)가 고정된 안경은 안경다리(20)의 귀걸이부(30)를 착용자의 귀에 안착시킴으로써 착용된다.
이렇게 안경을 착용하기 위하여 안경다리(20)를 펼치게 되고, 이때 제2 다리본체(25)는 안경테(10)의 외측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벤딩부(23)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이와 함께 제2 다리본체(25)의 돌출부(29)는 제2 다리(21b)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결합된다. 즉, 결합부(26)의 상측 돌출부(29)는 제2 다리(21b)의 상면에 안착되고, 결합부(26)의 하측 돌출부(29)는 제2 다리(21b)의 하면에 안착되어 제2 다리본체(25)는 제1 다리본체(21)에 흔들리거나 움직이지 않도록 결합된다.
즉, 돌출부(29)는 제2 다리(21b)에 끼워져 결합되므로, 제2 다리본체(25)를 제1 다리본체(21)에 일직선 상태를 유지하도록 안정되게 결합되게 한다.
이렇게 제2 다리본체(25)가 안정된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귀걸이부(30)를 이용하여 안경을 착용하게 된다.
한편 착용자는 안경을 벗어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 안경을 벗은 상태에서 제2 다리본체(25)의 결합부(26)를 중심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제2 다리본체(25)를 안경테(10) 쪽으로 접을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안경테 11: 림
12: 브릿지
20: 안경다리 21: 제1 다리본체
21a: 제1 다리 21b: 제2 다리
22: 구멍 23: 벤딩부
25: 제2 다리본체 26: 결합부
27: 결합구멍 28: 결합홈부
29: 돌출부 30: 귀걸이부

Claims (5)

  1. 안경테의 양측에 결합되는 안경다리로서,
    상기 안경테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제1 다리본체;
    상기 제1 다리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다리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다리본체는 상기 제1 다리본체의 벤딩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용 안경다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다리본체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다리본체에 형성되는 구멍;
    상기 제1 다리본체의 내측에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벤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용 안경다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다리본체는 상기 벤딩부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연장 형성되는 귀걸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용 안경다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벤딩부에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결합홈부;
    상기 결합홈부의 일측에 상기 벤딩부에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되게 형성되는 결합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용 안경다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 다리본체의 상면과 하면에 밀착되도록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용 안경다리.
KR1020170036494A 2017-03-22 2017-03-22 안경용 안경다리 KR201801076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494A KR20180107677A (ko) 2017-03-22 2017-03-22 안경용 안경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494A KR20180107677A (ko) 2017-03-22 2017-03-22 안경용 안경다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7677A true KR20180107677A (ko) 2018-10-02

Family

ID=63863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6494A KR20180107677A (ko) 2017-03-22 2017-03-22 안경용 안경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0767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18292S1 (en) 2019-04-30 2021-05-04 WearMePro LLC Eyeglasses hing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18292S1 (en) 2019-04-30 2021-05-04 WearMePro LLC Eyeglasses hin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2099B1 (ko) 안경의 안경다리 결합구조체
KR101969215B1 (ko) 안경의 결합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안경
JP2002014303A5 (ko)
KR101248647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
JP5212948B2 (ja) 眼鏡
KR101609456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US9927631B2 (en) Interchangeable frame for eyeglasses
US20140125942A1 (en) Temple Folding Structure on a Pair of Eyeglasses
KR20180107677A (ko) 안경용 안경다리
JP3162774U (ja) 眼鏡構造
KR20140015233A (ko) 안경다리와 안경테의 결합구조
KR101369311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
MX2013010903A (es) Anteojos.
KR101540755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KR200473157Y1 (ko) 안경 세트
KR101883670B1 (ko) 안경용 림과 엔드피스의 조립구조
KR200477864Y1 (ko) 안경다리와 안경연결구의 결합구조체
KR20140146799A (ko) 안경테와 다리의 연결구
KR102289318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체
KR101914370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
CN211979356U (zh) 一种眼镜结构
KR20190026195A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힌지구조체
KR20180119814A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
KR20120001743U (ko) 플라스틱 연결구를 구비한 안경테
JP3688247B2 (ja) フリーサイズ眼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250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614

Effective date: 20191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