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6799A - 안경테와 다리의 연결구 - Google Patents

안경테와 다리의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6799A
KR20140146799A KR1020130069541A KR20130069541A KR20140146799A KR 20140146799 A KR20140146799 A KR 20140146799A KR 1020130069541 A KR1020130069541 A KR 1020130069541A KR 20130069541 A KR20130069541 A KR 20130069541A KR 20140146799 A KR20140146799 A KR 201401467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hole
spectacles
groov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9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1063B1 (ko
Inventor
김영환
Original Assignee
이원운
김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운, 김영환 filed Critical 이원운
Priority to KR20130069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1063B1/ko
Publication of KR20140146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67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1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10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형테(1)와 다리(2)를 구비하는 안경에 관련되며, 그 구성의 특징으로서, 상기 환형테(1)의 양측면으로 형성되고 일측으로 삽입홈(11)과 나사홈(11a)을 구비하는 연결대(10); 및 상기 연결대(10)의 삽입홈(11)에 결합되는 삽입구(21)를 구비하고, 삽입구(21)의 일측으로 연결되어 휘어지는 구조로 끝단에 관통공(23a)을 개재하는 힌지구(23)를 구비하는 연결구(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조립에 있어서 연결구의 구조를 단순화하도록 개선하여 용접에 의존하지 않으면서 견실한 결합력과 조립성이 편리함은 물론 착탈 가능하고, 사용에 있어서 연결구를 다양한 색상으로 교체 및 조립이 용이하여 수리가 간단하고 미감과 착용감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안경테와 다리의 연결구{The Coupling parts of spectacles temples and spectacles frame}
본 발명은 안경테와 다리를 연결하는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조립에 있어서 연결구의 구조를 단순화하도록 개선하여 용접에 의존하지 않으면서 견실한 결합력과 조립성이 편리함은 물론 착탈 가능하고, 사용에 있어서 연결구를 다양한 색상으로 교체 및 조립이 용이하여 수리가 간단하고 미감과 착용감이 향상되는 안경테와 다리의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 안경은 안경테와 안경다리로 이루어지고, 안경다리는 연결구를 통해 안경테와 그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안경은 안경테와 다리 사이에 장석을 개재하고 각각 용접에 의존하여 견실하게 일체로 연결되는 구성을 지니고 있었으나, 근래에는 부분적으로 결합하는 구조를 채용한 안경이 등장하여 조립성의 향상이나 패션의 변화를 가능하게 하려는 시도가 있다. 이와 관련되어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15936호,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88556호,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0415626호 등의 선행문헌이 알려져 있다.
일예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15936호의 "안경테와 힌지구를 포함한 안경다리의 교체구조"에 의하면, 렌즈(3)를 교체할 수 있도록 볼트(11)가 체결되는 렌즈고정구(9)(10)중 상기 렌즈고정구(10)에 힌지(6)(7)가 볼트(8) 체결되어 접철되는 안경다리(4)와 결합된 힌지구(5)를 용접으로 고정한 안경(1)에 있어서; 상기 안경다리(4)와 결합되는 "ㄱ"자형의 힌지구(5) 선단에 형성된 고정구 홀더(12)에 결합구멍(13)을 구성하여, 상기 안경테(2)에 형성된 렌즈고정구(9)(10)를 끼웠다 뺐다할 수 있도록 구성을 제안한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에 의하면 안경테(2)는 다양한 굵기를 지니기 때문에 이에 맞는 힌지구(5)를 생산해야 하므로 제조원가가 상승되고, "ㄱ"자형의 힌지구(5)를 사용하는 특성상 제조하기 어려워 생산성과 작업성이 현저히 저하되어 제조원가가 높은 단점이 있다.
다른 예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0415626호의 "안경용 안경다리 연결장치"에 의하면 안경테(1)에 고정되는 연결체(11), 안경다리(2)의 단부에 고정되는 사각형 형상의 회전체(12), 상기 연결체(11)와 회전체(12)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13)로 이루어져 조립 작업의 편리함과 조립시간 및 제조단가의 절감을 꾀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에 의하면 다리를 힌지로 연결하는 부분의 결합력이 취약하여 작은 충격에도 안경 착용자에게 상해를 유발할 우려가 큰 단점이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15936호 "안경테와 힌지구를 포함한 안경다리의 교체구조"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88556호 "안경테의 림과 연결구의 조립구조"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0415626호 "안경용 안경다리 연결장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에 있어서 연결구의 구조를 단순화하도록 개선하여 용접에 의존하지 않으면서 견실한 결합력과 조립성이 편리함은 물론 착탈 가능하고, 사용에 있어서 연결구를 다양한 색상으로 교체 및 조립이 용이하여 수리가 간단하고 미감과 착용감이 향상되는 안경테와 다리의 연결구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환형테와 다리를 구비하는 안경에 있어서: 상기 환형테의 양측면으로 형성되고 일측으로 삽입홈과 나사홈을 구비하는 연결대; 및 상기 연결대의 삽입홈에 결합되는 삽입구를 구비하고, 삽입구의 일측으로 연결되어 휘어지는 구조로 끝단에 관통공을 개재하는 힌지구를 구비하는 연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삽입홈과 삽입구는 억지끼움 되도록 이단턱으로 형성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연결대의 나사홈은 삽입홈을 기준하여 상부, 하부, 측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연결구는 조립에 있어서 연결구의 구조를 단순화하도록 개선하여 용접에 의존하지 않으면서 견실한 결합력과 조립성이 편리함은 물론 착탈 가능하고, 사용에 있어서 연결구를 다양한 색상으로 교체 및 조립이 용이하여 수리가 간단하고 미감과 착용감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와 다리 상에서 연결구의 분리하여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와 다리 상에서 연결구를 결합하여 나타내는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의 주요부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구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환형테(1)와 다리(2)를 구비하는 안경에 관련되며, 특히 조립에 있어서 연결구의 구조를 단순화하도록 개선하여 용접에 의존하지 않고 견실한 결합력을 유지하여 착탈 가능하고 조립성이 편리하다. 즉 본 발명의 연결구(20)는 삽입구(21), 나사홈(21a), 힌지구(23), 관통공(23a)으로 이루어져 사용에 있어서 연결구를 다양한 색상으로 조립과 교체가 용이하여 수리가 간단하고 미감과 착용감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대(10)는 상기 환형테(1)의 양측면으로 형성되고 일측으로 삽입홈(11)과 나사홈(11a)을 구비한다. 연결대(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안경의 전방부인 환형테(1)의 양측면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는데, 이러한 연결대(10)의 양측에 후술하는 연결구(20)를 결합하기 위하여 삽입홈(11)을 형성한다. 삽입홈(11)은 연결대(10)의 양측에 각각 구성하는데, 연결구(20)와 암수 밀착 결합형식으로 이루어지며 대칭하였을 때 정확히 일치하여야 한다. 그리고 삽입홈(11)과 연결구(20)만을 결합하면 분리되거나 이탈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삽입홈(11)의 측면으로 나사(11b)를 개재할 수 있도록 나사홈(11a)을 구비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20)는 상기 연결대(10)의 삽입홈(11)에 결합되는 삽입구(21)를 구비하고, 삽입구(21)의 일측으로 연결되어 휘어지는 구조로 끝단에 관통공(23a)을 개재하는 힌지구(23)를 구비한다. 연결구(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연결대(10)에서 설명했듯이 연결대(10)의 삽입홈(11)에는 연결구(20)의 일측으로 형성되어 있는 삽입구(21)가 결합된다. 그리고 삽입홈(11)과 끼움처리되는 삽입구(21)의 일측으로 휘어지는 형상을 가지면서 이 형상의 끝단에는 상하가 타공된 관통공(23a)이 형성되는 힌지구(23)를 구비한다. 이러한 연결구(20)는 사출공정으로 생산하며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생산 공정에서 다양한 색상을 추가하여 표현이 가능함은 물론 환형테(1)와 다리(2)를 연결하는 중요부로서 합성수지의 특징인 가소성, 성형력, 유연성에 있어서 탁월한 효과를 발휘한다. 즉, 합성수지로 만들어진 연결구(20)가 환형테(1)와 다리(2)를 양쪽에서 결합하는 역할을 하며 다양한 색상을 구현할 뿐만 아니라 합성수지의 유연성, 탄성력에 의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가능하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삽입홈(11)과 삽입구(21)는 억지끼움 되도록 이단턱으로 형성 가능하다. 연결대(10)의 삽입홈(11)과 연결구(20)의 삽입구(21))는 동일한 크기의 구멍과 블록으로 결합하는 방식을 가지는 것으로서 사각형상을 기본으로 형성하되, 이단턱을 형성하여 계단식의 결합구조로도 결합가능하다.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삼각형, 오각형, 다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도 생성 가능하다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연결대(10)의 나사홈(11a)은 삽입홈(11)을 기준하여 상부, 하부, 측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형성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나사홈(11a)은 삽입홈(11)을 기준하여 측면에만 형성하는 게 아니라 삽입홈(11)의 상부, 하부, 측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나사홈(11a)을 타공할 수도 있다할 것이다..
도 1 및 도 2을 이용하여 조립에 있어서, 우선 환형테(1)의 양측면으로 형성되는 연결대(10)에 연결구(20)를 장착한다. 즉, 연결대(10)의 삽입홈(11)에 연결구(20)의 삽입구(21)를 결합시킨다. 이어서, 연결대(10)와 연결구(20)를 결합한 후에 빠지지 않도록 연결대(10)의 삽입홈(11)을 기준하여 측면으로 형성된 나사홈(11a)으로 고정수단인 나사(11b)를 삽설한다. 연결대(10)의 나사홈(11a)을 통과한 나사(11b)는 삽입홈(11)에 끼워져 있는 삽입구(21)의 나사홈(21a)까지 연결하여 연결대(10)와 연결구(20)를 고정하여 분리, 이탈현상을 막아준다. 이때, 고정하는 나사(11b)와 나사홈(21a)의 방향을 삽입홈(11)의 측면으로만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삽입홈(11)을 기준하여 상부, 하부, 측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어서, 삽입구(21)의 일측으로 연결되어 휘어진 형상을 가지면서 끝단에 상하로 뚫려있는 관통공(23a)을 구비하는 힌지구(23)에 다리(2)를 연결한다. 관통공(23a)또한 힌지구(23)에 삽설된 다리(2)를 고정하기 위하여 나사(23b)와 너트(23c)를 사용하여 관통공(23a)에 체결한다. 상기의 결합 과정은 본 출원인이 실시한 하나의 과정으로서, 상기 결합 순서만을 적용 가능한 것이 아니라 연결구(20)의 힌지구(23)와 다리(2)를 결합한 후 연결대(10)의 삽입홈(11)에 연결구(20)의 삽입구(21)를 밀착 고정할 수도 있으며 이외에 다른 방식으로의 결합과정도 사용가능하다할 것이다.
도 3 및 도 4를 이용하여 결합에 있어서, 연결대(10)와 연결구(20)의 결합된 상태를 단면도로서 연결대(10)의 삽입홈(11)에 연결구(20)의 삽입구(21)를 일치하여 서로 맞물리게 끼운 후 연결대(10)의 삽입홈(11)을 기준하여 측면으로 뚫려있는 나사홈(11a)으로 나사(11b)를 조이면 연결구(21)의 삽입구(21)에도 형성된 나사홈(21a)까지 연계되어 고정 결합된다. 그리고 연결구(20)의 주요부는 도 3의 형상만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도 4에서와 같이 삽입홈(11)과 삽입구(21)를 이단턱이 있는 계단식 구조의 결합방식으로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연결구(20)의 주요부도 도 3 및 도 4의 형상만을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이외에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연결구는 조립에 있어서 연결구의 구조를 단순화하도록 개선하여 용접에 의존하지 않으면서 견실한 결합력과 조립성이 편리함은 물론 착탈 가능하고, 사용에 있어서 연결구를 다양한 색상으로 교체 및 조립이 용이하여 수리가 간단하고 미감과 착용감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환형테 2: 다리
10: 연결대 11: 삽입홈
11a: 나사홈 11b: 나사
20: 연결구 21: 삽입구
21a: 나사홈 23: 힌지구
23a: 관통공 23b: 나사
23c: 너트

Claims (3)

  1. 환형테(1)와 다리(2)를 구비하는 안경에 있어서:
    상기 환형테(1)의 양측면으로 형성되고 일측으로 삽입홈(11)과 나사홈(11a)을 구비하는 연결대(10); 및
    상기 연결대(10)의 삽입홈(11)에 결합되는 삽입구(21)를 구비하고, 삽입구(21)의 일측으로 연결되어 휘어지는 구조로 끝단에 관통공(23a)을 개재하는 힌지구(23)를 구비하는 연결구(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와 다리의 연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11)과 삽입구(21)는 억지끼움 되도록 이단턱으로 형성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와 다리의 연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10)의 나사홈(11a)은 삽입홈(11)을 기준하여 상부, 하부, 측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와 다리의 연결구.
KR20130069541A 2013-06-18 2013-06-18 안경테와 다리의 연결구 KR1015110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9541A KR101511063B1 (ko) 2013-06-18 2013-06-18 안경테와 다리의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9541A KR101511063B1 (ko) 2013-06-18 2013-06-18 안경테와 다리의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6799A true KR20140146799A (ko) 2014-12-29
KR101511063B1 KR101511063B1 (ko) 2015-04-10

Family

ID=52675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9541A KR101511063B1 (ko) 2013-06-18 2013-06-18 안경테와 다리의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10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8738A (ko) * 2015-05-26 2016-12-06 주식회사 이노 (Inno) 개량된 경첩 조립구조를 갖는 안경테
WO2018062592A1 (ko) * 2016-09-30 2018-04-05 주식회사 이노 조립성이 개선된 안경테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1743U (ko) * 2010-08-09 2012-03-09 안재성 플라스틱 연결구를 구비한 안경테
KR20120007455U (ko) * 2011-04-20 2012-10-30 황성일 안경 연결구
KR20120124718A (ko) * 2011-05-04 2012-11-14 우선구 안경의 안경다리 연결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8738A (ko) * 2015-05-26 2016-12-06 주식회사 이노 (Inno) 개량된 경첩 조립구조를 갖는 안경테
WO2018062592A1 (ko) * 2016-09-30 2018-04-05 주식회사 이노 조립성이 개선된 안경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1063B1 (ko) 2015-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2099B1 (ko) 안경의 안경다리 결합구조체
KR101237838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
TW201439637A (zh) 眼鏡
KR101511063B1 (ko) 안경테와 다리의 연결구
KR20090011437U (ko) 경첩 체결구조가 개량된 합성수지테 안경
KR20140015233A (ko) 안경다리와 안경테의 결합구조
KR20150017133A (ko) 선택적으로 보조안경테를 탈, 부착 할 수 있는 안경
KR101625290B1 (ko) 합성수지 안경테의 보조안경테 결합구조체
KR20170005593A (ko) 안경테
KR101369311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
KR101477040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
KR20180119814A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
KR101194979B1 (ko) 안경의 안경다리 연결 구조
KR200474792Y1 (ko) 자석을 이용한 착탈식 보조안경 체결구조
KR101883670B1 (ko) 안경용 림과 엔드피스의 조립구조
KR200467559Y1 (ko) 안경
KR101445970B1 (ko) 안경테와 다리의 결합구조체
KR20120006574U (ko) 콤비 안경테
KR101914370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
KR101307637B1 (ko) 안경테와 다리의 연결구
KR101194956B1 (ko) 안경의 안경다리 연결 구조
CN209446909U (zh) 一种拆分镜脚连接结构
KR20180001398U (ko) 한 쌍의 보조 안경을 고착하기 위한 자기적으로 장착된 커넥터
KR20180001138U (ko) 보조안경에 사용하는 자기적으로 마운트되는 조립체
KR20060116788A (ko) 안경다리와 안경테의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