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9814A -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 - Google Patents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9814A
KR20180119814A KR1020170053427A KR20170053427A KR20180119814A KR 20180119814 A KR20180119814 A KR 20180119814A KR 1020170053427 A KR1020170053427 A KR 1020170053427A KR 20170053427 A KR20170053427 A KR 20170053427A KR 20180119814 A KR20180119814 A KR 201801198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frame
coupling hole
eyeglass
specta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3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유환
Original Assignee
(주)월드트렌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월드트렌드 filed Critical (주)월드트렌드
Priority to KR1020170053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9814A/ko
Publication of KR20180119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98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02Ornaments, e.g. exchangeab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경테(1)와 안경다리(2)를 연결하는 연결구에 관련되며, 그 구서어의 특징으로서, 상기 안경테(1) 상에 결합하도록 나사결합부(11)를 구비하는 제1결합구(10); 및 상기 제1결합구(10) 상에 힌지(13)에 의해 연결되고, 일단으로 안경다리(2)를 수용하는 수용홈(21)을 구비하는 제2결합구(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결합구(10)는 안경테(1)의 측면에 결합을 위한 나사결합부(11)와 함께 고정력을 보강하는 고정돌부(15)를 구비하고, 상기 제2결합구(20)는 수용홈(21) 상에 안경다리(2)를 수용한 상태에서 리벳팅(23)에 의해 결합 고정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조립에 있어서 연결구의 구조를 단순화하도록 개선하고, 나사를 사용한 결합으로 나사탭이 보이지 않아 미려하고도 심플한 구조로 조립하기 용이하며, 외관상에 음양각을 적용한 장식부를 구비하는 것으로 다양한 심미감과 장식미를 높이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The Coupling parts of spectacles temples and spectacles frame}
본 발명은 안경테와 안경다리를 연결하는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조립에 있어서 연결구의 구조를 단순화하도록 개선하고, 나사를 사용한 결합으로 나사탭이 보이지 않아 미려하고도 심플한 구조로 조립하기 용이하며, 외관상에 음양각을 적용한 장식부를 구비하는 것으로 다양한 심미감과 장식미를 높이는 효과를 제공하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 안경은 안경테와 안경다리로 이루어지고, 안경다리는 연결구를 통해 안경테와 그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안경은 안경테와 다리 사이에 장석을 개재하고 각각 용접에 의존하여 견실하게 일체로 연결되는 구성을 지니고 있었으나, 근래에는 부분적으로 결합하는 구조를 채용한 안경이 등장하여 조립성의 향상이나 패션의 변화를 가능하게 하려는 시도가 있다. 이와 관련되어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15936호,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0415626호 등의 선행문헌이 알려져 있다.
일예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15936호의 "안경테와 힌지구를 포함한 안경다리의 교체구조"에 의하면, 렌즈(3)를 교체할 수 있도록 볼트(11)가 체결되는 렌즈고정구(9)(10)중 상기 렌즈고정구(10)에 힌지(6)(7)가 볼트(8) 체결되어 접철되는 안경다리(4)와 결합된 힌지구(5)를 용접으로 고정한 안경(1)에 있어서; 상기 안경다리(4)와 결합되는 "ㄱ"자형의 힌지구(5) 선단에 형성된 고정구 홀더(12)에 결합구멍(13)을 구성하여, 상기 안경테(2)에 형성된 렌즈고정구(9)(10)를 끼웠다 뺐다할 수 있도록 구성을 제안한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에 의하면 안경테(2)는 다양한 굵기를 지니기 때문에 이에 맞는 힌지구(5)를 생산해야 하므로 제조원가가 상승되고, "ㄱ"자형의 힌지구(5)를 사용하는 특성상 제조하기 어려워 생산성과 작업성이 현저히 저하되어 제조원가가 높은 단점이 있다.
다른 예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0415626호의 "안경용 안경다리 연결장치"에 의하면 안경테(1)에 고정되는 연결체(11), 안경다리(2)의 단부에 고정되는 사각형 형상의 회전체(12), 상기 연결체(11)와 회전체(12)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13)로 이루어져 조립 작업의 편리함과 조립시간 및 제조단가의 절감을 꾀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에 의하면 다리를 힌지로 연결하는 부분의 결합력이 취약하여 작은 충격에도 안경 착용자에게 상해를 유발할 우려가 큰 단점이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15936호 "안경테와 힌지구를 포함한 안경다리의 교체구조"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5626호 "안경용 안경다리 연결장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에 있어서 연결구의 구조를 단순화하도록 개선하고, 나사를 사용한 결합으로 나사탭이 보이지 않아 미려하고도 심플한 구조로 조립하기 용이하며, 외관상에 음양각을 적용한 장식부를 구비하는 것으로 다양한 심미감과 장식미를 높이는 효과를 가진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안경테와 안경다리를 연결하는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안경테 상에 결합하도록 나사결합부를 구비하는 제1결합구; 및 상기 제1결합구 상에 힌지에 의해 연결되고, 일단으로 안경다리를 수용하는 수용홈을 구비하는 제2결합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제1결합구는 안경테의 측면에 결합을 위한 나사결합부와 함께 고정력을 보강하는 고정돌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제2결합구는 수용홈 상에 안경다리를 수용한 상태에서 리벳팅에 의해 결합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제1결합구와 제2결합구는 외측으로 돌부 또는 요홈의 음양각을 사용하는 장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연결구는 조립에 있어서 연결구의 구조를 단순화하도록 개선하고, 나사를 사용한 결합으로 나사탭이 보이지 않아 미려하고도 심플한 구조로 조립하기 용이하며, 외관상에 음양각을 적용한 장식부를 구비하는 것으로 다양한 심미감과 장식미를 높이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와 안경다리 상에서 연결구를 결합하여 나타내는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와 안경다리 상에서 연결구의 분리하여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의 주요부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의 주요부를 결합상태에서 단면 처리하여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안경테(1)와 안경다리(2)를 연결하는 연결구에 관련되며, 그 구성으로서 제1결합구(10), 제2결합구(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결합구(10)는 상기 안경테(1) 상에 결합하도록 나사결합부(11)를 구비한다. 제1결합구(10)는 안경테(1)의 전방부인 양측면으로 결합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는데, 안경테(1)의 양측면의 일부와 대칭하면서 일치하게 결합하도록 단턱을 형성한 상태에서 안경테(1)와의 접합면에 나사를 사용한 결합을 위하여 나사결합부(11)를 구비한다. 나사결합부(11)는 제1결합구(10)와 안경테(1)의 결합과정에서 이들 구성이 직접적으로 접하면서 맞물리는 위치에 구성하면서 제1결합구(10)가 안경테(1)의 일단면을 통과하여 나사결합부(11)의 끝단에 나사결합하는 것으로 일체화시킨다. 다시 말해서, 나사결합부(11)는 제1결합구(10)에서 안경테(1)의 일단면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길이를 가진 돌부로 형성하고, 이러한 나사결합부(11)를 안경테(1)의 일단면에 형성된 관통홈으로 삽설한 다음, 나사결합부(11)와 대칭하는 안경테(1)의 내측 관통홈으로 나사결합하여 안경테(1)와 제1결합구(10)의 고정결합을 마무리한다.
이때,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제1결합구(10)는 안경테(1)의 측면에 결합을 위한 나사결합부(11)와 함께 고정력을 보강하는 고정돌부(1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결합구(10) 상에 나사결합부(11)를 구비하여 안경테(1)와의 결합을 수행하는 동시에 나사결합부(11)의 인접한 위치로 고정돌부(15)를 추가로 구비하여 제1결합구(10)와 안경테(1)의 고정력을 좀 더 높이는 것으로 보강한다. 고정돌부(15) 또한 나사결합부(11)와 마찬가지로 안경테(1)의 측면을 기준으로 일단면에 삽설, 수용하는 방식을 적용하여 돌부로 형성하여 구성한다. 제1결합구(10)의 나사결합부(11)와 고정돌부(15)가 안경테(1)의 측면 일단면에 결합하면서 나사결합부(11)의 끝단으로는 나사를 결합하여 제1결합구(10)와 안경테(1)를 완전하게 고정하면서 고정돌부(15)는 나사결합부(11)를 구비한 제1결합구(10)와 안경테(1)가 결합된 상태에서 나사결합부(11)의 돌부를 기준으로 회전하거나 위치변경 등의 회동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2결합구(20)는 상기 제1결합구(10) 상에 힌지(13)에 의해 연결되고, 일단으로 안경다리(2)를 수용하는 수용홈(21)을 구비한다. 제2결합구(20)는 상술한 제1결합구(10)와 한 쌍으로 사용하는 구성으로, 제1결합구(10)의 나사결합부(11)와 고정돌부(15)의 대향하는 방향에 구비하는 힌지(13)에 연결하여 회동한다. 힌지(13)에 연결된 제2결합구(20)의 일단으로는 안경다리(2)와 연결하는 부분으로 안경다리(2)의 일부가 제2결합구(20)와 접하면서 결합하도록 수용이 가능한 수용홈(21)을 구비한다. 제1결합구(10)와 제2결합구(20)를 힌지(13)를 기준으로 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하고, 제1결합구(10)는 안경테(1)의 측면 가장자리에 나사결합부(11)와 고정돌부(15)를 삽설, 수용하여 고정결합하고, 제2결합구(10)는 안경다리(2)와의 결합을 위해 일단에 형성된 수용홈(21)으로 안경다리(2)의 일부를 수용하여 전체적으로 안경테(1)와 안경다리(2)의 조립을 완료한다.
이때,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제2결합구(20)는 수용홈(21) 상에 안경다리(2)를 수용한 상태에서 리벳팅(23)에 의해 결합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결합구(20)의 수용홈(21) 상에 안경다리(2)의 일부를 수용하여 고정하는 방법으로 리벳팅(23)에 의한 고정결합을 수행한다. 리벳팅(23)을 사용한 이유는 제2결합구(20)의 수용홈(21)에 안경다리(2)를 수용하여 나사로 결합하는 경우에는 사용중에 나사의 풀림현상으로 제2결합구(20)와 안경다리(2)가 분리될 수 있다. 물론 제1결합구(10)의 나사결합부(11), 힌지(13)에 결합시 사용하는 나사 또한 장기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풀림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나. 나사결합부(11)와 힌지(13)의 나사결합은 본 발명인 연결구 자체가 고장나거나 파손 등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분리작업이 필요하기에 나사결합을 수행한 것으로, 제2결합구(20)와 안경다리(2)의 결합에서는 굳이 나사결합을 하지 않고 리벳팅(23)하여 제2결합구(20)와 일체로 형성하여 사용하도록 구성한 동시에 제2결합구(20)와 안경다리(2)는 분리할 필요가 극히 드물기 때문에 나사가 아닌 리벳팅(23)을 적용한 것이다. 물론, 리벳팅 (23) 대신 나사를 사용한 결합방법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제1결합구(10)와 제2결합구(20)는 외측으로 돌부 또는 요홈의 음양각을 사용하는 장식부(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결합구(10)와 제2결합구(20)를 연결한 상태에서 안경테(1)와 안경다리(2)와의 연결을 완료하여 실생활에서 착용하여 사용하는 경우, 무늬나 형상이 없는 민무늬의 연결구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다양한 안경을 사용함에 있어 자신뿐만 아니라 타인에게 심미감과 장식미를 보이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한 방법으로 제1결합구(10)와 제2결합구(20)의 외측으로 돌부나 요홈을 사용한 음양각의 장식부(30)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는 일직선, x자, 다이아형상을 적어도 하나이상 돌부로 형성하여 제1결합부(10)와 제2결합부(20)의 외측에 장식부(30)로 구비하고 있으며, 이외에 다른 형상의 장식부(30)로 심미감과 장식미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연결구는 조립에 있어서 연결구의 구조를 단순화하도록 개선하고, 나사를 사용한 결합으로 나사탭이 보이지 않아 미려하고도 심플한 구조로 조립하기 용이하며, 외관상에 음양각을 적용한 장식부를 구비하는 것으로 다양한 심미감과 장식미를 높이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안경테 2: 안경다리
10: 제1결합구 11: 나사결합부
13: 힌지 15: 고정돌부
20: 제2결합구 21: 수용홈
23: 리벳팅 30: 장식부

Claims (4)

  1. 안경테(1)와 안경다리(2)를 연결하는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안경테(1) 상에 결합하도록 나사결합부(11)를 구비하는 제1결합구(10); 및
    상기 제1결합구(10) 상에 힌지(13)에 의해 연결되고, 일단으로 안경다리(2)를 수용하는 수용홈(21)을 구비하는 제2결합구(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구(10)는 안경테(1)의 측면에 결합을 위한 나사결합부(11)와 함께 고정력을 보강하는 고정돌부(1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구(20)는 수용홈(21) 상에 안경다리(2)를 수용한 상태에서 리벳팅(23)에 의해 결합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구(10)와 제2결합구(20)는 외측으로 돌부 또는 요홈의 음양각을 사용하는 장식부(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
KR1020170053427A 2017-04-26 2017-04-26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 KR201801198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427A KR20180119814A (ko) 2017-04-26 2017-04-26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427A KR20180119814A (ko) 2017-04-26 2017-04-26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9814A true KR20180119814A (ko) 2018-11-05

Family

ID=64329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3427A KR20180119814A (ko) 2017-04-26 2017-04-26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1981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2431A (ko) 2019-03-22 2020-10-05 박미숙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2431A (ko) 2019-03-22 2020-10-05 박미숙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42891B2 (en) Coupling system for securing a one-piece lens to temples
US8608309B2 (en) Eyeglass system
KR101572099B1 (ko) 안경의 안경다리 결합구조체
MXPA06010689A (es) Anteojos.
JP2002014303A5 (ko)
TW201439637A (zh) 眼鏡
US8282208B2 (en) Coupling structure for eyeglasses
US7575318B2 (en) Eyeglass assembly
KR20180119814A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
KR101511063B1 (ko) 안경테와 다리의 연결구
KR101194979B1 (ko) 안경의 안경다리 연결 구조
KR200467559Y1 (ko) 안경
KR101194956B1 (ko) 안경의 안경다리 연결 구조
KR200405194Y1 (ko) 무테안경의 렌즈와 안경다리 회전방지구조
EP3644111B1 (en) Rimless glasses
KR200347243Y1 (ko) 무테안경용 다리 고정구조
TWM537228U (zh) 無螺絲的眼鏡組裝結構
JP2000019459A (ja) 縁なしメガネ用レンズ接続具
KR101914370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
TWM642651U (zh) 眼鏡三點換片結構
KR200493352Y1 (ko) 안경테용 안경다리 결합구조
KR200250423Y1 (ko) 무테안경용 연결구
KR20210141231A (ko) 선글라스 착탈 안경
TWM608204U (zh) 眼鏡換片結構
KR200364388Y1 (ko) 안경 다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118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316

Effective date: 20190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