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0423Y1 - 무테안경용 연결구 - Google Patents

무테안경용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0423Y1
KR200250423Y1 KR2020010020426U KR20010020426U KR200250423Y1 KR 200250423 Y1 KR200250423 Y1 KR 200250423Y1 KR 2020010020426 U KR2020010020426 U KR 2020010020426U KR 20010020426 U KR20010020426 U KR 20010020426U KR 200250423 Y1 KR200250423 Y1 KR 2002504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connector
glasses
screw
fix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04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호
Original Assignee
최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호 filed Critical 최종호
Priority to KR20200100204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04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04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0423Y1/ko

Links

Landscapes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무테안경용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렌즈와 결합고정되는 연결구 선단을 단차지게 하되, 단차부가 렌즈 측면곡면부에 밀착고정되어 렌즈의 유동을 막을수 있도록 렌즈지지용 곡면부를 형성하고, 선단고정편 끝부분에는 나사결합용 구멍을 천공하며, 무테안경용 렌즈 양끝에도 한개의 나사 조립구멍을 천공하되, 상기 나사조립구멍 위치는 연결구에 형성된 나사결합용 구멍과 일치시켜 렌즈와 연결구가 나사 하나로도 견고한 조립이 이루어질수 있게 하며, 연결구 끝단에 형성되는 고정편의 안쪽, 즉 렌즈 밀착부가 0.5°∼3°가량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서, 안경착용시 귀와 눈, 그리고 렌즈가 자연스럽게 일치되어 착용이 편안하게 이루어지게 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무테안경용 연결구{A coupler for hoopless spectacles}
본 고안은 무테 안경용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렌즈에 다리를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구를 금속으로 형성하되, 나사조립부분 및 렌즈에 뚫는 구멍 갯수가 최소화되게 하면서도 렌즈의 흔들림 예방과 착용시 안정감을 줄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같이 무테안경은 렌즈를 끼워고정시키는 테가 전혀없는 안경을 말하며, 통상 렌즈 양측부분에 구멍을 천공하여 한쪽에는 안경다리를 연결한 연결구를 나사결합시키고. 다른 한쪽은 한조를 이루는 다른 안경렌즈와 결합되도록 하는 코다리를 나사결합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무테안경은 렌즈와 다리가 연결구에 의존해서 결합구성된 것이기에 렌즈에 연결구 조립시, 나사조립 또는 핀이나 돌기를 이용하지 않으면 조립이 이루어질수 없게 되며, 또 렌즈와 연결구가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조립되려면, 렌즈 양측에 각각 2구멍이상 구멍을 형성하고, 또 연결구나 코다리에도 두구멍이상 형성하여 나사조립하여야만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렌즈에 두구멍을 형성하지 않으려 할때는, 렌즈 양측단부에 하나의 구멍만 천공함과 동시에 가장자리에 홈을 형성하고, 렌즈에 결합고정되는 연결구 및 코다리에도 상기와 대응하는 구성및 지지돌부를 형성하여, 안경사용시 렌즈나 다리의 흔들림을 예방할 수 있게 한 것도 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무테안경에 있어서 렌즈와 연결구의 결합구성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야기시킨다.
즉, 렌즈 양측에 각각 두개씩의 구멍을 형성하거나, 또는 한개의 구멍과 요홈을 형성하여 렌즈고정을 시킴게 따라 가공 및 조립과정이 매우 번거롭고, 또 구멍 및 요홈간격이 안경의 특성상 좁을 수 밖에 없어 나사조립 및 취급, 그리고 사용과정에서 쉽게 파손되는 등의 결합이 따름은 물론 얼굴의 인체공학적 구성을 제대로 참작하지 못하여 착용시 이물감이 지나치게 큰 등이 문제점이 따랐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을 전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넘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특히 렌즈와 결합고정되는 연결구 선단을 단차지게 하되, 단차부위가 렌즈 측면 곡면부에 밀착고정되어 렌즈의 유동을 막을 수 있도록 렌즈지지용 곡면부를 형성하고, 선단 고정편 끝부분에는 나사결합용 구멍을 천공하며, 무테 안경용 렌즈 양끝에도한개의 나사조립구멍을 천공하되, 상기 나사조립구멍위치는 연결구에 형성된 나사결합용 구멍과 일치시켜 렌즈와 연결구가 나사 하나로도 견고한 조립이 이루어질수 있게 하며, 연결구 끝단에 형성되는 고정편의 안쪽 즉 렌즈밀착부가 0.5°∼ 3°로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안경착용시, 귀와 눈 그리고 렌즈가 자연스럽게 일치되어 착용이 매우 편안하게 이루어지게 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요부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예시도.
도 3은 도 2의 A에서 본 정면도.
도 4는 도 2의 B-B'에서 본 측면도.
도 1 - 도 4에서 보는 바와같이
무테안경의 렌즈(1)와 안경다리(2')를 연결한 연결구(2)를 조립구성하도록 된 통상의 구조에 있어서,
연결구(2)는 선단부분 내측에 단차부(3)를 형성하되, 상기 단차부(3)는 안경렌즈(1)와 밀착고정되는 렌즈밀착부(4)를 가진 렌즈고정편(4)과, 렌즈 측면의 곡면 형태에 맞도록 렌즈지지용 곡면부(5)를 형성하고, 렌즈 밀착부(4')는 0.5∼3°가량 경사지게 형성하여 안경을 조립하여 착용하였을때, 귀와 렌즈, 그리고 시각이 자연스럽게 일치되게 하며, 렌즈고정편(4) 끝부부에 렌즈(1)를 고정할 수 있는 구멍을 천공하고, 렌즈(1`)에도 상기 구멍에 맞춰 구멍(1')을 천공하여 구성한 것이다.
미설명부호 6은 나사, 7은 너트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고안은 무테안경의 렌즈(1)와 연결구(2)를 나사(6)와 너트(7)로서 조립구성할때 매우 신속간편하게 조립구성되면서도 견고한 조립이 이루어질수 있게 되는바, 그 이유는 연결구(2)에 형성된 렌즈밀착부(4')와 렌즈지지용 곡면부(5)가 렌즈(1)의 측면과 일측전면을 안정적으로 감싸 지지하면서 나사(5)와너트(6)한조로서 결합고정되기 때문에 조립성이 뛰어나고 신속간편한 조립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며, 더불어 나사(5)와 렌즈 지지용 곡면부(5)가 렌즈(1)와 연결구(2)를 타이트하게 고정시켜 주기 때문에 견고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고안은 렌즈밀착부(4')가 0.5°∼3°가량 경사져 있기 때문에 안경다리와 렌즈가 매우 적절한 기울기를 유지할 수 있게되고, 이에 따라 착용시 이물감이 적고 편안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고안은 무테안경의 렌즈(1)와 연결구(2)를 나사(6)와 너트(7)로서 조립구성할때 매우 신속간편하게 조립구성되면서도 견고한 조립이 이루어지고, 더불어 얼굴이 구조에 적합한 구성으로 되게 하여 착용감이 뛰어나게 하는등 그 효과가 탁월한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무테 안경의 렌즈(1)와 안경다리(2')를 연결한 연결구(2)를 조립구성하도록 된 통상의 구조에 있어서,
    연결구(2)는 선단부분 내측에 단차부(3)를 형성하되, 상기 단차부(3)는 안경렌즈(1)와 밀착고정되는 렌즈밀착부(4')를 가진 렌즈고정편(4)과, 렌즈측면의 곡면형태에 맞도록 형성한 렌즈지지용 곡면부(5)로 형성하고,
    상기 렌즈 밀착부(4')는 0.5°∼ 3°가량 경사지게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테안경용 연결구.
KR2020010020426U 2001-07-06 2001-07-06 무테안경용 연결구 KR2002504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0426U KR200250423Y1 (ko) 2001-07-06 2001-07-06 무테안경용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0426U KR200250423Y1 (ko) 2001-07-06 2001-07-06 무테안경용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0423Y1 true KR200250423Y1 (ko) 2001-11-16

Family

ID=73067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0426U KR200250423Y1 (ko) 2001-07-06 2001-07-06 무테안경용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042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9215B1 (ko) 안경의 결합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안경
KR100869473B1 (ko) 안경
KR101325465B1 (ko) 교체형 안경
KR200250423Y1 (ko) 무테안경용 연결구
KR101369311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
KR20090092948A (ko) 안경 조립체
KR102234023B1 (ko) 렌즈의 고정력을 향상시킨 안경
KR200405194Y1 (ko) 무테안경의 렌즈와 안경다리 회전방지구조
KR200215644Y1 (ko) 무테 안경렌즈에 안경다리와 코다리의 결합구조
US20030197830A1 (en) Double-fronted eyeglass frame
KR200307409Y1 (ko) 안경에 보조안경의 결합구조
KR100888547B1 (ko) 안경
KR200385176Y1 (ko) 무테안경
KR20180119814A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
KR200174266Y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
KR101941402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KR200407816Y1 (ko) 안경과 선셰이드클립어셈블리
JP2010060624A (ja) 長さ調整可能なテンプル及び当該テンプルを備える眼鏡
KR200391518Y1 (ko) 코받침이 없는 안경
KR200224554Y1 (ko) 안경의 코받침
TWM654166U (zh) 眼鏡
JP3688247B2 (ja) フリーサイズ眼鏡
KR20180036059A (ko) 조립성이 개선된 안경테
JP3208441U (ja) メガネフレーム
KR200347243Y1 (ko) 무테안경용 다리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0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