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4554Y1 - 안경의 코받침 - Google Patents

안경의 코받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4554Y1
KR200224554Y1 KR2020000035768U KR20000035768U KR200224554Y1 KR 200224554 Y1 KR200224554 Y1 KR 200224554Y1 KR 2020000035768 U KR2020000035768 U KR 2020000035768U KR 20000035768 U KR20000035768 U KR 20000035768U KR 200224554 Y1 KR200224554 Y1 KR 2002245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se
support
elastic piece
glasses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57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용수
Original Assignee
한용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용수 filed Critical 한용수
Priority to KR20200000357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45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45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4554Y1/ko

Links

Landscapes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콧등에 얹혀져서 안경을 받쳐주는 코받침에 관한 것으로, 받침부재(32)의 코기둥과의 결합면에 수지재 탄성편(33)을 그 양종단만 부착하여 탄성편(33)과 받침부재(32)사이에 간격이 발생되도록 하고, 상기 탄성편(33)의 상부면 중심에 돌출부(35)를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의 코받침을 제공함으로써, 안경 착용시 탄성편(33)에 의하여 코받침(30)이 사용자의 콧등에 맞게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여 착용감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안경의 코받침{Spectacle nose}
본 고안은 안경의 코받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코기둥과 결합되는 돌출부를 탄성편을 이용하여 받침부재에 일체로 부착하여 안경착용시 탄성편에 의하여 받침부재가 코의 형상에 맞게 각도가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안경착용감을 향상시키는 코받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코는 안경테에 부착되는 코기둥과 이에 나합되는 코받침으로 구성되어 안경을 착용하였을 때 코받침이 코의 중간 부위에 거치되어 안경이 눈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며, 그 구성을 하기에서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1은 종래의 안경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써, 코기둥(16)은 일측 종단부가 안경테(14)에 일체로 부착되고 타측 종단에는 삽입구(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된 헤드(12)가 부착되며, 코받침(20)은 콧등에 닿는 받침부재(18)의 후면에 상기 헤드(12)의 삽입구로 삽입되는 돌출부(도시하지 않음)가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코기둥(16)과 코받침(20)은 헤드(12)의 삽입구로 돌출부를 삽입하여 볼트(도시하지 않음)로 상호 체결한다.
한편, 상기한 구성에서 코받침(20)을 구성하는 돌출부가 받침부재(18)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서, 받침부재(17)의 유동이 제한되므로, 받침부재(18)의 각도가 착용자의 콧등과 맞지 않을 경우에 착용자의 코에 상당한 압박감과 불편을 주며, 받침부재(18)의 각도 조절을 위해서는 코기둥(16)을 절곡해야하므로 그 절곡상태를 정확하게 맞추기가 힘들어서 받침부재(18)의 각도를 콧등에 맞게 조절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받침부재의 코기둥과의 결합면에 수지재 탄성편의 양종단을 연결하여 탄성편과 받침부재사이에 간격이 발생되도록 하고, 상기 탄성편의 상부면 중심에 코기둥과 결합되는 돌출부를 형성하여, 안경착용시 탄성편에 의하여 받침부재가 코의 형상에 맞게 각도가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안경착용감을 향상시키는 안경의 코받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안경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코받침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코받침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안경코 32 : 받침부재
33 : 탄성편 35 : 돌출부
42 : 코기둥 44 : 헤드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 예를 하기에서 첨부된 도면 도 2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코받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코받침은 받침부재(32)의 코기둥과 결합면에 수지재 탄성편(33)을 그 양종단만 부착하여 탄성편(33)과 받침부재(32)사이에 간격이 발생되도록 하고, 상기 탄성편(33)의 상부면 중심에 코기둥과 결합되는 돌출부(35)를 형성한 것이다.
한편, 상기한 구성에서 탄성편(33)의 형상은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나,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바람직하게, 활모양 즉 양종단을 호상으로 형성하고 중심부는 호상으로 형성된 부분보다 낮은 위치가 되면서 평평하도록 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코받침의 실시 예를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돌출부(35)는 코기둥(42)을 구성하는 헤드(44)의 삽입구로 삽입되어 볼트(46)에의하여 헤드(44)와 체결되며, 이와 같이 설치된 코받침(30)은 안경착용시 탄성편(33)에 의하여 받침부재(32)가 코의 형상에 맞게 각도가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안경착용감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안경착용시 코받침이 콧등에 맞게 각도가 자동으로 조절되므로 안경착용감이 대폭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콧등에 얹혀지는 받침부재(32)와 코기둥과 결합되는 돌출부(35)로 구성되는 코받침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32)의 코기둥과의 결합면에 수지재 탄성편(33)을 그 양종단만 부착하여 탄성편(33)과 받침부재(32)사이에 간격이 발생되도록 하고, 상기 탄성편(33)의 상부면 중심에 상기 돌출부(35)를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의 코받침.
KR2020000035768U 2000-12-20 2000-12-20 안경의 코받침 KR2002245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5768U KR200224554Y1 (ko) 2000-12-20 2000-12-20 안경의 코받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5768U KR200224554Y1 (ko) 2000-12-20 2000-12-20 안경의 코받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4554Y1 true KR200224554Y1 (ko) 2001-05-15

Family

ID=73061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5768U KR200224554Y1 (ko) 2000-12-20 2000-12-20 안경의 코받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455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261B1 (ko) 2007-07-27 2009-01-12 양동훈 안경의 코받침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261B1 (ko) 2007-07-27 2009-01-12 양동훈 안경의 코받침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60867A (en) Double-hinged adjustable eyeglasses
JP2511119B2 (ja) 弾性変形可能な鼻当てを有する眼鏡フレ―ム
US7097299B2 (en) Removable lens mounted to an eyewear platform
AU2002352574B2 (en) A removable lens frame mounted to an eyewear platform
US5526070A (en) Nose pad particularly for spectacle frames
JP3110736B1 (ja) リムレス眼鏡フレームおよびリムレス眼鏡
JPH0756124A (ja) 眼鏡フレーム
WO2002073292A3 (en) Eye protection device
JP6749712B2 (ja) 眼鏡
US6283591B1 (en) Attachment glasses to the spectacles
US6099119A (en) Eyeglasses including threading means and mechanically bonded means
KR200224554Y1 (ko) 안경의 코받침
KR200183011Y1 (ko) 안경용코받침대
JP4355061B2 (ja) パッドボックス
CN210924121U (zh) 可更换眼镜脚
KR102480469B1 (ko) 고글에 장착되는 클립 연결형 안경테
CN210199432U (zh) 眼镜
KR200209810Y1 (ko) 물 안경의 조인트
KR200174174Y1 (ko) 안경테의 코다리 결합구조
US2244227A (en) Ophthalmic mounting
KR200243713Y1 (ko) 안경다리테의 신축조절구조
KR200210352Y1 (ko) 안경코
KR200259938Y1 (ko) 안경
KR200250423Y1 (ko) 무테안경용 연결구
JP3068336U (ja) メガネツルのモダン及びメガネツ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