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0352Y1 - 안경코 - Google Patents

안경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0352Y1
KR200210352Y1 KR2020000024161U KR20000024161U KR200210352Y1 KR 200210352 Y1 KR200210352 Y1 KR 200210352Y1 KR 2020000024161 U KR2020000024161 U KR 2020000024161U KR 20000024161 U KR20000024161 U KR 20000024161U KR 200210352 Y1 KR200210352 Y1 KR 2002103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se
support member
eyeglass
glasse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41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길
Original Assignee
박현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현길 filed Critical 박현길
Priority to KR20200000241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03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03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0352Y1/ko

Links

Landscapes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콧등에 얹혀져서 안경을 받쳐주는 받침부재(26)(36)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받침부재(26)(36)의 코접촉면에 요철(27)(37)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코를 제공함으로써, 안경착용시 요철(27)(37)에 의하여 안경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안경코{Spectacle nose}
본 고안은 안경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경코의 코접촉면에 요철을 형성함으로써, 안경착용시 안경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는 안경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코는 안경테에 부착되는 코기둥과 이에 나합되는 받침부재로 구성되어 안경을 착용하였을 때 받침부재가 코의 중간 부위에 거치되어 안경이 눈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며, 그 구성을 하기에서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1은 종래의 안경코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써, 일측에 삽입구(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된 헤드(12)가 전방에 부착되어 안경테(14)에 일체로 부착된 코기둥(16)과, 상기 헤드(12)의 삽입구로 삽입되는 돌출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볼트(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헤드(12)와 체결되는 받침부재(18)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받침부재(18)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와 접하는 면이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땀등에 의하여 받침부재(18)가 콧등에서 미끄러지면서 안경이 흘러내려 착용자가 안경을 추켜올려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안경코를 구성하는 받침부재의 코접촉면에 요철을 형성함으로써, 안경착용시 안경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는 안경코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안경코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안경코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b는 도 2a의 A-A선 단면도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안경코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B-B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2, 32 : 코기둥 23, 33 : 헤드
24, 34 : 돌출부 25, 35 : 볼트
26, 36 : 받침부재 27, 37 : 요철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콧등에 앉혀서 안경을 받쳐주는 받침부재(26)(36)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26)(36)의 코접촉면에 요철(27)(37)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코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 예를 하기에서 첨부된 도면 도 2a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안경코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안경코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B-B선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안경코는 안경테(도시하지 않음)에 부착되는 코기둥(22)(32)의 헤드(23)(33)내로 돌출부(24)(34)가 삽입되어 볼트(25)(35)로 체결되는 받침부재(26)(36)의 코접촉면에 요철(27)(37)을 형성함으로써, 안경착용시 안경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한 구성에서 요철(27)(37)은 여러가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그 일예를 도 2a내지 도 2b에 나타내고, 다른 예를 도 3a내지 도 3b에 나타내며, 이외에도 다수의 형상으로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안경테의 경우에는 받침부재가 안경테에 일체로 형성되는데, 이 경우에도 받침부재의 코접촉면에는 요철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안경코에 의하면 안경착용시 땀이흘러도 받침부재(26)(36)에 형성된 요철(27)(37)에 의하여 받침부재(26)(36)가 코에서 미끄러지는 일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안경착용시 땀이 흘러도 요철에 의하여 받침부재가 코에서 미끄러지는 일이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안경착용자의 사용상의 만족도가 대폭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콧등에 얹혀서 안경을 받쳐주는 받침부재(26)(36)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26)(36)의 코접촉면에 요철(27)(37)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코.
KR2020000024161U 2000-08-22 2000-08-22 안경코 KR2002103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4161U KR200210352Y1 (ko) 2000-08-22 2000-08-22 안경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4161U KR200210352Y1 (ko) 2000-08-22 2000-08-22 안경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0352Y1 true KR200210352Y1 (ko) 2001-01-15

Family

ID=73057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4161U KR200210352Y1 (ko) 2000-08-22 2000-08-22 안경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035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44241B2 (en) Glasses having frame for combined use with a cap
US7513618B2 (en) Nose pad
US8348420B2 (en) Eyeglass with a soft sleeving element
US6386705B1 (en) One-piece lens nose-pad assembly
US6275992B1 (en) Eye shield assembly
CN101019065A (zh) 眼镜及其制造方法
CA2287760C (en) Sport eyeglasses having removable lenses
US6283591B1 (en) Attachment glasses to the spectacles
US7753519B2 (en) Temples for eyeglasses
KR200210352Y1 (ko) 안경코
US9968487B2 (en) Glasses structure
US6776481B2 (en) Clip on visor
JP2006184490A (ja) 眼鏡用モダン
US5131737A (en) Protective accessory for sport spectacles
KR200224554Y1 (ko) 안경의 코받침
JPH0684425U (ja) メガネフレーム用ツル
KR200335222Y1 (ko) 안경 코받침 지지구
JPH0345512U (ko)
KR200164144Y1 (ko) 착탈안경을 고정하는 구조를 가진 안경
KR200373664Y1 (ko) 스포츠웨어형 선글래스와 안경어셈블리
JP2005326558A (ja) 眼鏡用鼻パッド
KR101974778B1 (ko) 착,탈식 장식물을 가진 안경다리
EP2037313A1 (en) Nose pad
KR200247339Y1 (ko) 물안경
CA2113006A1 (en) Composite frame for eyeglasses, particularly for sunglasses and gogg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