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3011Y1 - 안경용코받침대 - Google Patents

안경용코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3011Y1
KR200183011Y1 KR2019990025979U KR19990025979U KR200183011Y1 KR 200183011 Y1 KR200183011 Y1 KR 200183011Y1 KR 2019990025979 U KR2019990025979 U KR 2019990025979U KR 19990025979 U KR19990025979 U KR 19990025979U KR 200183011 Y1 KR200183011 Y1 KR 2001830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se
pad
glasses
pads
connecting pie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59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용
Original Assignee
이대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용 filed Critical 이대용
Priority to KR20199900259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30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30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30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 G02C5/126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exchangeable or otherwise fitted to the shape of the nos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경을 콧등에 지지시키는 안경용 코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경의 렌즈테에 설치되어 있는 쾌지체에, 원판 형상의 기본패드와 연결된 양 연결편에 만곡변형이 자유롭고 상하방향으로 소정 각도로 조정이 가능하고 미끄러짐 방지용 수단이 개재된 단일체의 보조패드가 끼워져 형성된 코받침대 패드부를 상기 쾌지체에 부착하여 착용하므로서 안경 하중이 콧등 양측면 부위에만 집중되어져 발생되는 동통(疼痛)을 최대한 억제함과 동시에 안경이 콧등에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고, 종래의 안경용 코받침대에도 간단히 교체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안경용 코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고안은 콧등의 양측면에 당접되는 기본패드(41,41′)와, 상기 기본패드(41,41′)와 연결된 연결편(43,43′)과, 상기 연결편(43,43′)이 설치되는 쾌지체(45,45′)와, 상기 쾌지체(45,45′)를 렌즈테(20,20′)에 연결하는 지지간(49,49′)으로 이루어지는 안경용 코받침대에 있어서, 상기의 기본패드(41,41′)는 원판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의 기본패드(41,41′)에 연결된 양 연결편(43,43′)에는 만곡 변형이 자유로운 연질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단일체의 보조패드(50)가 끼워지며, 상기의 양 연결편(43,43′)에 끼워진 보조패드(50)의 양단부는 양 연결편(43,43′)을 축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보조패드(50)의 내측부 표면에는 미끄러짐 방지용 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경용 코받침대{.}
본 고안은 안경을 콧등에 지지시키는 안경용 코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경의 렌즈테에 설치되어 있는 쾌지체에, 원판 형상의 기본패드와 연결된 양 연결편에 만곡변형이 자유롭고 상하방향으로 소정 각도로 조정이 가능하고 미끄러짐 방지용 수단이 개재되어 있는 단일체의 보조패드가 끼워져 형성된 코받침대 패드부를 상기 쾌지체에 부착하여 착용하므로서 안경 하중이 콧등 양측면 부위에만 집중되어져 발생되는 동통(疼痛)을 최대한 억제함과 동시에 안경이 콧등에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고, 종래의 안경용 코받침대에도 간단히 교체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안경용 코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도 1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안경은 렌즈(10)를 고정하는 렌즈테(20)와, 그 렌즈테(20)을 귀(耳)에 지지하는 안경 다리(30)와, 그 렌즈테(20)를 콧등에 지지하는 코받침대(40)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코받침대(40)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상기 렌즈테(20,20′)에 지지간(49,49′)을 통해 설치되는 쾌지체(45,45′)와, 그 쾌지체(45,45′)에 수납되어 결합용나사(47,47′)에 의해 체결되어지는 연결편(43,43′)와, 그 연결편(43, 43′)의 일단에 일체로 연결되어 콧등 양측면에 당접되어 지는 기본패드(41,41′)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쾌지체(45)는 연결편(43)이 수납되어 방위각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된 공간부(46)와, 그 공간부(46)의 좌우측 벽면 중앙에는 동일 직경의 나사공(48)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편(43)은 일단에 기본패드(41)가 일체로 부착되며 타단에는 축공(42)이 형성되며; 상기 기본패드(41)는 가요성 합성수지재로 제조되고 콧등에 맞닿는 표면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쾌지체(45)에 연결편(43)이 수납되어 맞추어진 나사공(48)과 축공(42)에 결합용나사(47)를 끼워 체결하므로서 연결편(43)은 쾌지체(45)내에 착설되어 이탈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의 기본패드(41,41′)는 사람마다 각각 다른 콧등의 형상에 따라 대응하여 콧등 양측면에 알맞게 당접되게 하기 위해서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지지간(49,49′)을 인위적으로 알맞게 휘어 기본패드(41,41′)의 방향 및 경사를 조정하며, 더 나아가서는 도 4,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쾌지체(45)에 형성되어 있는 공간부(46)의 폭 크기는 연결편(43)의 폭 보다 크고, 기본패드(41)에 부착되어 있는 연결편(43)에 형성된 축공(42)의 직경은 결합나사(47)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로 인해 형성된 상기의 틈새 공차에 의해 연결편(43)과 연결된 기본패드(41)는 쾌지체(45)에 대해 소정의 방위각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콧등 양측면에 알맞게 당접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에 사용되는 상기의 안경용 코받침대(40)을 착용하였을 때 기본패드(41′)는 신경속(束)이 많이 존재하고 경사가 급격한 콧등 양측면의 한 부위에만 당접하므로 기본패드(41,41 ' )가 당접되는 부위에 안경의 하중이 집중적으로 작용하여 그 부위에 동통이 발생되고, 기본패드(41,41′)가 콧등에서 쉽게 흘러내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의 코받침대(40)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국내 실용신안 공고번호 제86-3739호 (1986. 12. 30 공고)에 기재되어 있는 안경용 코받침대는 연결대(1)에 의해 좌·우로 대향 설치된 안경테(A)의 내측연으로 연결대보다 하측에 위치하도록 지지부(3)를 안경테에 일체로 돌출시켜서 그 선단의 만곡된 지지대(4)가 안경테(A)의 내측방으로 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상기의 안경용 코받침대는 지지대(4)를 착용자의 콧등의 만곡된 정도와 일치시키기 위해 착용자의 콧등과 동일한 형태의 본을 뜨고, 이 본에 맞추어 그 지지부(3)을 가열시켜 착용자의 콧등과 완벽하게 일치하도록 만곡 성형하여 착용된다.
그러나 후자의 안경용 코받침대는 지지부(3)와 일체로 되어 있는 지지대(4)의 만곡 정도를 착용자의 콧등의 만곡된 정도와 일치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콧등의 만곡된 정도가 개인별로 천차만별이므로 착용자마다 콧등의 본을 뜨고 안경테마다 지지부(3)를 가열하여 그 본에 맞추어 그 지지부(3)를 만곡 성형하는 작업은 매우 어렵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종래의 안경의 렌즈테에 설치되어 있는 쾌지체에, 콧등 양측면에 당접되는 원판 형상의 기본패드(41,41' )와 일체로 연결된 양 연결편(43,43′)에 콧등에 가로걸려 착용되는 연질성 재질로 된 단일체의 보조패드(50)를 끼우고, 보조패드가 끼워진 연결편을 상기 쾌지체에 수납시켜 나사 결합된 안경용 코받침대를 착용하므로써, 공지된 종래 기술의 안경용 코받침대에서와 같이 지지대(4)를 착용자의 콧등의 만곡된 정도와 일치시키기 위해 착용자의 콧등과 동일한 형태의 본을 뜨거나 지지부(3)를 가열하여 만곡 성형시키는 과정이 필요없도록 하며, 보조패드가 콧등 윗면에 가로걸려 착용되어 지게 하므로서 안경의 하중이 기본패드가 당접되는 콧등 양측면의 한 부위에만 집중적으로 가해지는 것을 콧등 양측면과 콧등 윗면으로 분산되어지게 하여 압박에 의한 동통(疼痛)이 발생하지 않게하고, 콧등에 가로걸려 착용되는 보조패드가 미끄러짐 방지용 주름을 구비하고 콧등의 만곡과 높이에 일치되게 조정되어 강한 콧날뼈가 있는 콧등에 완벽하게 안착되어 지게하여 안경이 콧등으로부터 흘러 내리지 않게 하고, 또한 종래의 안경용 코받침대에도 개조 또는 변형없이 간단히 교체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과제로 한다.
본고안은 상기의 기술적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콧등의 양측면에 당접되는 기본패드와, 상기 기본패드와 연결된 연결편과, 상기 연결편이 설치되는 쾌지체와, 상기 쾌지체를 렌즈테에 연결하는 지지간과, 상기 연결편을 쾌지체에 나사 결합시키는 결합용나사로 이루어지는 안경용 코받침대에 있어서, 상기의 기본패드는 원판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의 기본패드에 연결된 양 연결편에는 만곡 변형이 자유로운 연질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단일체의 보조패드가 끼워지며, 상기의 양 연결편에 끼워진 보조패드의 양단부는 양 연결편을 축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보조패드의 내측부 표면에는 미끄러짐 방지용 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안경용 코받침대가 설치된 안경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안경용 코받침대를 확대한 평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안경용 코받침대의 분해 확대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쾌지체에 대해 패드가 움직이는 방향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A-A선 확대단면도.
도 6은 또 다른 종래의 안경용 코받침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안경용 코받침대가 설치된 안경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안경용 코받침대를 확대한 확대평면도.
도 9는 도 8의 코받침대에서 코받침대 다리부와 코받침대 패드부가 결합되기 전을 도시한 평면도.
도 10은 도 8의 B-B선의 확대단면도.
도 11은 본고안의 안경용 코받침대에서 코받침대 패드부의 확대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코받침대 패드부에서 보조패드와 기본패드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도 13은 본 고안의 코받침대에서 패드와 연결편이 연결되어 지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렌즈 20,20′: 렌즈테 30 : 안경다리
41,41′: 기본패드 42, 42′: 축공 43, 43′: 연결편
44 : 지지홈 45,45′: 쾌지체 46 : 공간부
47,47′: 결합용나사 48 : 나사공 49,49′: 지지간50 : 보조패드 51,51′: 통공 52 :주름61,61′: 단턱 62,62′:요홈 40, 200 : 안경용 코받침대100 : 코받침대 패드부 105 : 코받침대 다리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을 도 7 내지 도 13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도 7은 본 고안의 안경용 코받침대가 설치된 안경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8은 도 7의 안경용 코받침대를 확대한 확대평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9는 도 8의 코받침대에서 코받침대 다리부와 코받침대 패드부가 결합되기 전을 도시한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10은 도 8의 B-B선의 확대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11은 본고안의 안경용 코받침대에서 코받침대 패드부의 확대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12는 도 11의 코받침대 패드부에서 보조패드와 기본패드가 분리된 상태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13은 본 고안의 코받침대에서 패드와 연결편이 연결되어 지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안경용 코받침대(200)는 콧등의 양측면에 당접되는 기본패드(41,41′)와, 상기 기본패드(41,41′)와 일체로 연결된 연결편(43,43′)과, 상기 연결편(43,43′)이 설치되는 쾌지체(45,45′)와 상기 쾌지체(45,45′)를 렌즈테(20,20′)에 연결하는 지지간(49,49′)과, 상기 연결편(43,43′)을 쾌지체(45,45′)에 나사 결합시키는 결합용나사(47,47′)로 이루어지는 안경용 코받침대에 있어서, 상기의 기본패드(41,41 ' )는 원판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의 기본패드(41,41′ )에 연결된 양 연결편(43,43′)에는 만곡 변형이 자유로운 연질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단일체의 보조패드(50)가 끼워지며, 상기의 양 연결편(43,43′)에 끼워진 보조패드(50)의 양단부는 양 연결편(43,43′)을 축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동 가능하고, 보조패드(50)의 내측부 표면에는 콧등에서 미끄러지지 않게 하는 미끄러짐 방지용 수단(52)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고안의 안경용 코받침대(200)가 부착된 안경을 도시한 것으로서, 안경은 렌즈(10)를 고정하는 렌즈테(200와 그 렌즈테(20)를 귀에서 지지하는 안경다리(30)와, 그 렌즈테(20)를 콧등에서 지지하는 코받침대(200)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코받침대(200)는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상기 텐즈테(20,20′)에 지지간(49,49′)을 통해 설치되는 쾌지체(45,45′)와, 그 쾌지체(45,45′)에 수납되는 연결편(43,43′)과, 그 쾌지체(45,45′)와 그 연결편(43,43′)을 착탈시키는 결합용 나사(47,47′)와, 그 연결편(43,43′)과 일체로 연결된 기본패드(41,41′)와, 상기 좌·우 연결편(43,43 ' )에 연결된 '띠' 모양의 단일체의 보조패드(50)로 구성된다.
그리고, 도 10내지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상기 연결편(43)은 일단부에 체결용 축공(42)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기본패드(41)가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기본패드(41)의 배면 바로 옆 지점의 연결편(43) 외주에는 보조패드(50)의 통공(51)이 끼워지는형 지지홈(4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기본패드(41)는 연결편(43,43′)과 일체로 연결되고 콧등에 대면하는 표면이 곡면으로 된 원판 혀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패드(50)는 '띠'모양의 단일체로 구성되며 재질은 만곡변형이 자유로운 연질의 합성수지재,(생)고무, 실리콘 등의 연질성 재질을 택일적으로 선택하여 사용 할 수 있으며, 그 보조패드(50)의 양단부에는 연결편(43,43′)이 삽입되도록 통공(51,51′)이 형성되어 있고, 보조패드(50)의 내측부 표면에는 미끄러짐 방지용으로 (형) 주름(52)이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또한,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상기 보조패드(5)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통공(51,51′)의 직경은 연결편(43,43′)폭 보다 작고, 연결편(43,43′)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홈(44,44′)의 내경보다는 크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에서 지지간(49,49′), 쾌지체(45,45′), 결합용나사(47,47′)의 구성은 종래의 안경용 코받침대(40)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고안의 조립 및 작용 관계를 도 7 내지 도 1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안경의 렌즈테(20,20′)에 설치된 종래의 코받침대(40,40′)의 쾌지체(45,45′ )에 본 고안의 코받침대(200)의 패드부(100)를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10내지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먼저 기본패드(41,41′)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좌, 우 연결편(43,43′)의 지지홈(44,44′)에 단일체의 보조패드(50)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통공(51,51′ )을 각각 밀어넣어 끼워 놓은 상태에서,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쾌지체(45,45′)에 형성되어 있는 공간부(46,46′)에 상기의 단일체의 보조패드(50)가 끼워져 있는 기본패드(41,41′)와 일체로 된 연결편(43,43′)을 각각 삽입한 후 상기 쾌지체(45,45′)와 연결편(43,43′)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나사공(48,48′)과 축공(42,42′)을 통하여 결합용 나사(47,47′)를 삽입하여 체결하므로서 조립이 완료된다.
상기에서 보조패드(50)는 연결편(43,43′)과 일체형이 아니고 분리된 채 연결되고, 그의 통공(51,51′)의 직경은 연결편(43,43′)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홈(44,44′)의 내경보다 크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직경 크기의 차이에 의해 형성된 유동 간격으로 인하여 보조패드(50)는 연결편(43,43′)의 지지홈(44,44′)을 축으로 상하 방향으로 자유롭게 각도(기울기) 조정이 가능하다.
그리고 지지홈(44,44′)은 기본패드(41,41′) 배면의 바로 옆 지점의 연결편(43,43′)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지지홈에 끼워진 보조패드(50)의 양단부는 기본패드(41,41′) 배면과 약간의 틈새를 유지한 채 기본패드의 배면과 거의 밀착되게 위치하며, 보조패드(50)가 끼워진 상기 양 연결편(43,43′)이 쾌지체(45,45′)에 각각 착설되어 졌을 때 보조패드(50)의 중앙부는 렌즈테(20,20 ' )의 전방 쪽으로 만곡 돌출되어 활(弓)형상을 이룬다.
상기와 같이 기본패드(41,41′ )와 보조패드(50)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코받침대 패드부(100)을 안경 코받침대에 부착하여 콧등에 착용하게 되면, 상기 기본패드(41,41′)는 콧등의 양측면에 당접하게 되고, 상기 보조패드(50)는 콧등의 윗면에 가로걸려 당접하게 된다.
상기에서 콧등 양측면에 당접되는 기본패드(41,41′)는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종래의 안경 코받침대(40)에서와 마찬가지로 기본패드(41)의 연결편(43)과 쾌지체(45)의 공간부(46)와의 간격차(유격)에 의하여 상하, 좌우로 회동하여 콧등 양측면에 알맞게 당접되고, 콧등 윗면에 가로걸려 당접되는 보조패드(50)는 연질성 재질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착용자 콧등의 만곡된 정도에 대응하여 자유롭게 만곡 변형되어 콧등에 일치되게 당접되고, 더 나아가 그 보조패드(50)의 양단부는 연결편(43,43′)을 축으로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 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보조패드(50)는 착용자의 콧등의 높이 정도에도 대응하여 각도가 알맞게 조정되어 콧등에 완벽히 당접되어 진다.
따라서 안경 하중이 기본패드(41,41′)가 당접되는 콧등 양측면의 한 부위에만 집중되는 것을 콧등 양측면과 윗면으로 분산시켜 압박을 최대한 경감시켜 동통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동시에 콧등에 가로 걸려 착용되는 보조패드(50)는 내측부 표면에 미끄러짐 방지용 주름을 구비하고 콧등의 만곡 정도와 높이 정도에 일치되게 조정되어 지면서 강한 콧날뼈가 있는 콧등에 완벽하게 안착되어 짐으로서 안경은 콧등으로부터 흘러 내리지 않게 된다.또한 종래의 안경 코받침대(40,40′)에 체결되어 있는 기본패드(41,41′)를 쾌지체(45,45 ' )에서 제거하고 본고안의 코받침대 패드부(100)를 삽입한 후 결합용 나사(47,47′)로 체결하므로서 종래 안경의 코받침대(40,40′)에 개조 또는 변형없이 간단히 교체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코받침대 패드부(100)는 쾌지체(45,45′)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양한 재질과 디자인을 선택하여 코받침대 패드부(100)만 별도로 제작이 가능하므로 제작경비를 절감할 수 있고, 코받침대 패드부(100)의 재질과 디자인에 대한 착용자의 다양한 취향에도 쉽게 부응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실시예에 기재된 본 고안의 안경용 코받침대(200)는 렌즈테(20)가 있는 안경에 대하여 서술하였지만, 렌즈테가 없이 렌즈에 코받침대(40)가 설치되어 있는 안경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코받침대에서 패드와 연결편이 연결되어 지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로, 앞의 실시예에서는 코받침대 패드부(100)구성이 기본패드(41,41′)와 일체로 연결된 양 연결편(43,43′)에 단일체의 보조패드(50)가 끼워지고, 상기 보조패드(50) 양단부가 양 연결편(43,43′)을 축으로하여 상하 방향으로 각도 조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데 비교하여,
이 실시예에서는 코받침대 패드부(100)구성이, 연결편(43,43′)의 일단에는 축공(42,42′)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얇은 원판형의 단턱(61,61′)이 일체로 형성되며, 볼록한 원판 형상의 기본패드(41,41′)의 배면 중앙부에는 상기 단턱(61,61′)이 회동될 수 있는 크기의 공간을 가진형 요홈(62,62′)이 일체로 형성되며, '띠' 모양의 단일체의 보조패드(50)의 양단부에는 연결편(43,43 ' )의 폭보다 큰 직경을 가진 통공(51,51 ' )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턱(61,61 ' )의 크기는 요홈(62,62 ' )의 공간보다 작고 통공(51,5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먼저 보조패드(50)의 통공(51,51′)에 연결편(43,43′)을 삽입시켜 단턱(61,61′)이 통공(51,51′)에 걸리도록 하고, 단턱(61,61′)이 걸려있는 통공(51,51′) 주위의 보조패드(50) 표면에 기본패드(41,41′ )의 요홈(62,62 ' )을 맞추어 씌워 일체로 결합한 것이다.
일체로 결합된 보조패드(50)와 기본패드(41,41′) 사이의 요홈(62,62′)에 삽입되어 있는 단턱(61,61′)은 보조패드(50)의 통공(51,51′)에 걸려 요홈(62,62′)내에서 이탈되지 않으며 일체로 결합된 기본패드와 보조패드는 단턱(61,61′)과 요홈(62,62′) 사이에 형성된 유동 간격차에 의해 연결편(43,43′)의 단턱(61,61′)을 축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조정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외의 구성 및 작용에 관해서는 앞의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의 부호를 붙여 그의 설명은 생략한다.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 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안경의 렌즈테에 설치되어 있는 쾌지체에, 원판 형상의 기본 패드와 연결된 양 연결편에 만곡 변형이 자유로운 연질성 재질로 이루어진 단일체의 보조 패드가 끼워져 형성된 코받침대 패드부를 상기 쾌지체에 결합용 나사로 결합시켜 이루어진 코받침대를 콧등에 착용함으로서, 콧등에 가로걸려 착용되는 보조패드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만곡된 지지대를 얻기 위해 착용자의 콧등 형상마다 동일한 형태의 본을 뜨거나 안경테를 가열시키는 어렵고 번거로운 작업이 필요없게 되어 매우 편리하며, 또한 기본패드와 보조패드로 구성된 본 고안의 코받침대 패드부는 착용자의 콧등 형상(만곡 정도와 높이정도)에 대응하여 자동적으로 만곡 변형 및 각도 조정되어 콧등의 양측면과 윗면에 편안히 완벽하게 안착되게 되므로 안경의 하중이 콧등의 양측면 부위에만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콧등에서 동통이 발생되지 않게되어 착용감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그리고 보조패드는 미끄러짐 방지용 주름을 구비하고 콧등의 만곡정도와 높이정도에 일치되게 조정되어 강한 콧날뼈가 있는 콧등에 완벽히 안착되게 됨으로서 안경이 콧등에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큰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코받침대에서 코받침대 패드부는 별도로 간단하게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제작비를 절감하고, 코받침대 패드의 재질과 디자인에 대한 착용자의 다양한 취향에도 쉽게 부응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코받침대 패드부는 종래의 안경 코받침대에도 간단하게 교체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큰 편리성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안경을 콧등에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콧등의 양측면에 당접되는 기본패드(41,41′)와, 상기 기본패드(41,41′)와 연결된 연결편(43,43′)과, 상기 연결편(43,43′)이 설치되는 쾌지체(45,45′)와, 상기 쾌지체(45,45′)를 렌즈테(20,20′)에 연결하는 지지간(49,49′)으로 이루어지는 안경용 코받침대에 있어서,
    상기의 기본패드(41,41′)는 원판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의 기본패드(41,41′)에 연결된 양 연결편(43,43′)에는 만곡 변형이 자유로운 연질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단일체의 보조패드(50)가 끼워지며,
    상기의 양 연결편(43,43′)에 끼워진 보조패드(50)의 양단부는 양 연결편(43,43′)을 축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의 보조패드(50)의 내측부 표면에 미끄러짐 방지용 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용 코받침대.
KR2019990025979U 1999-11-20 1999-11-20 안경용코받침대 KR2001830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5979U KR200183011Y1 (ko) 1999-11-20 1999-11-20 안경용코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5979U KR200183011Y1 (ko) 1999-11-20 1999-11-20 안경용코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3011Y1 true KR200183011Y1 (ko) 2000-05-15

Family

ID=19598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5979U KR200183011Y1 (ko) 1999-11-20 1999-11-20 안경용코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3011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0818B1 (ko) * 2015-08-21 2016-04-08 이기상 안경테의 코받침 구조
KR20210147308A (ko) 2020-05-28 2021-12-07 주식회사 랭골라 반 무테 방식의 안경
KR20210147309A (ko) 2020-05-28 2021-12-07 주식회사 랭골라 탈부착 방식의 체결구를 구비한 안경
KR20210147307A (ko) 2020-05-28 2021-12-07 주식회사 랭골라 회전 브릿지를 구비한 안경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0818B1 (ko) * 2015-08-21 2016-04-08 이기상 안경테의 코받침 구조
KR20210147308A (ko) 2020-05-28 2021-12-07 주식회사 랭골라 반 무테 방식의 안경
KR20210147309A (ko) 2020-05-28 2021-12-07 주식회사 랭골라 탈부착 방식의 체결구를 구비한 안경
KR20210147307A (ko) 2020-05-28 2021-12-07 주식회사 랭골라 회전 브릿지를 구비한 안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11119B2 (ja) 弾性変形可能な鼻当てを有する眼鏡フレ―ム
US7011406B1 (en) Eyeglass structures having mounting supports in temple members
US5608917A (en) Ergonomic head band apparatus
US5162823A (en) Eyeglass temples having adjustable "D" shaped ear piece elements
US20070263168A1 (en) Adjustable nose pad system
US5440355A (en) Comfortable eyeglass cover
US5291230A (en) Ophthalmic device includes a detachable nosepiece
US5345616A (en) Pair of goggles with pad elements at the ends of the temples or at the nose piece
JPS632018A (ja) 眼鏡フレ−ムに挿入するための軟質パツド
JPS6147927A (ja) 眼鏡のフレームのつるの端片
US6106117A (en) Assembled structure of a nose mat matched to a nose supporter
US20150362745A1 (en) Eyeglass Positioning Device
US5229796A (en) Attachable eyeglasses
JPH04230731A (ja) 鼻載置片を持つ眼鏡
KR200183011Y1 (ko) 안경용코받침대
KR102027312B1 (ko) 사용자맞춤 코받침대 구비형 안경
JPH07209616A (ja) 眼鏡におけるテンプルのクッション・モダン調節機構、およびそれに用いるアジャスト式クッション・モダン
US4243305A (en) Bow and hinge mounting assembly for eyeglasses frames
JPS58221825A (ja) サングラス
US2756632A (en) Spectacle frame
TW201917451A (zh) 眼鏡之支持具及附有支持具之眼鏡
EP0537390A1 (en) A device for supporting spectacles
US5627609A (en) Temple for eyeglass frame
US5389980A (en) Nose pads for spectacles
JP3584378B1 (ja) メガネフレームのツ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