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7309A - 탈부착 방식의 체결구를 구비한 안경 - Google Patents

탈부착 방식의 체결구를 구비한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7309A
KR20210147309A KR1020200064327A KR20200064327A KR20210147309A KR 20210147309 A KR20210147309 A KR 20210147309A KR 1020200064327 A KR1020200064327 A KR 1020200064327A KR 20200064327 A KR20200064327 A KR 20200064327A KR 20210147309 A KR20210147309 A KR 202101473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lower body
upper body
fasten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4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수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랭골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랭골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랭골라
Priority to KR1020200064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47309A/ko
Publication of KR20210147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73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08Modular frames, easily exchangeable frame parts and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경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체결구는 연결부 끝단에 구비되는 상부 본체와 안경 다리 끝단에 구비되는 하부 본체와, 상기 상부 본체와 하부 본체를 고정하는 고정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본체와 하부 본체는 상호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안경테 또는 안경 다리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탈부착 방식의 체결구를 구비한 안경이다.

Description

탈부착 방식의 체결구를 구비한 안경{GLASSES WITH DETACHABLE FIXER}
본 발명은 안경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체결구는 연결부 끝단에 구비되는 상부 본체와 안경 다리 끝단에 구비되는 하부 본체와, 상기 상부 본체와 하부 본체를 고정하는 고정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본체와 하부 본체는 상호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안경테 또는 안경 다리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탈부착 방식의 체결구를 구비한 안경이다.
일반적으로 안경은 도 1에 일부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R)가 설치되는 한 쌍의 안경테(F)와, 상기 안경테(F)의 외측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안경 다리(L)를 포함한다. 이러한 안경테(F) 중 내측 방향 일부분에는 사용자의 콧등에 접하는 코받침대(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된다.
상기 안경테(F) 중 외측 방향에는 안경 다리(L)가 구비된다. 상기 안경 다리(L)와 안경테(F) 사이에는 연결부(110)가 구비된다. 이러한 연결부(110)와 안경 다리(L)에는 일반적인 체결구(볼트 등)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110)와 안경 다리(L)가 상호 고정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체결구에 의해서는 연결부(110)와 연경 다리(L)가 상호 탈부착하기 어려워 안경 다리(L)만을 교체하거나 혹은 안경테(F) 만을 교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술한 안경 자체는 널리 알려진 것으로서 특히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는 바, 이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한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183011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체결구는 연결부 끝단에 구비되는 상부 본체와 안경 다리 끝단에 구비되는 하부 본체와, 상기 상부 본체와 하부 본체를 고정하는 고정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본체와 하부 본체는 상호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안경테 또는 안경 다리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탈부착 방식의 체결구를 구비한 안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렌즈(R)가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안경테(F)와, 상기 안경테(F)의 외측에 각각 구비되는 안경 다리(L)와, 상기 안경테(F)와 안경 다리(L)사이에 구비되는 연결부(110)와, 상기 안경 다리(L)와 연결부(110)를 상호 고정하는 체결구(120)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구(120)는 상기 연결부(110) 끝단에 구비되는 상부 본체(121)와 상기 안경 다리(L) 끝단에 구비되는 하부 본체(122)와 상기 상부 본체(121)와 하부 본체(122)를 고정하는 고정구(123)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본체(121)와 하부 본체(122)는 고정구(123)에 의해 상호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탈부착 방식의 체결구를 구비한 안경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기 연결부(110)는 상기 안경테(F)의 외측에서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결부(111)와, 상기 제1연결부(111) 끝단에서 직교된 방향으로 절곡되어 안경 다리(L)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결부(112)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본체(121)는 상기 제2연결부(112) 끝단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 본체(122)는 안경 다리(L)의 끝단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 본체(121)의 하측면과 하부 본체(122)는 상측면이 상호 맞닿아서 고정된다.
상기에서, 상기 하부 본체(122)는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고, 상기 하부 본체(122)의 상측면에는 링 형상의 가이드(124)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하부 본체(122)에는 수직 방향으로 본체 관통공(122-1)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124)에도 수직 방향의 가이드 관통공(124-1)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 관통공(122-1)과 가이드 관통공(124-1)은 상호 연통되고, 상기 상부 본체(121)는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고, 상기 상부 본체(121)의 하측면에는 상기 가이드(124)가 수용되는 가이드 수용홈(121-2)이 요홈되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수용홈(121-2)의 바닥에는 수직 방향으로 제1수용홈(121-1)이 특정 깊이로 요홈되어 형성되며, 상기 상부 본체(121)의 하측면과 하부 본체(122)의 상측면이 상호 맞닿을 때, 상기 가이드(124)가 가이드 수용홈(121-2)에 삽입되고, 상기 고정구(123)는 상기 하부 본체(122)의 본체 관통공(122-1)과 가이드 관통공(124-1)을 나사 결합하며 관통한 후 상기 제1수용홈(121-1)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되어 상기 상부 본체(121)와 하부 본체(122)는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해 안경 다리 또는 안경테만을 보다 편리하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 중 체결구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구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10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R)가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안경테(F)와, 상기 안경테(F)의 외측에 각각 구비되는 안경 다리(L)와, 상기 안경테(F)와 안경 다리(L)사이에 구비되는 연결부(110)와, 상기 안경 다리(L)와 연결부(110)를 상호 고정하는 체결구(12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체결구(120)는 상기 연결부(110) 끝단에 구비되는 상부 본체(121)와 상기 안경 다리(L) 끝단에 구비되는 하부 본체(122)와 상기 상부 본체(121)와 하부 본체(122)를 고정하는 고정구(12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상부 본체(121)와 하부 본체(122)는 상호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상기 상부 본체(121)는 연결부(110) 끝단에 구비되고, 하부 본체(122)는 안경 다리(L) 끝단에 구비된다. 이때, 상기 상부 본체(121)와 하부 본체(122)는 고정구(123)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고정구(123)는 널리 알려진 볼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상기 상부 본체(121)와 하부 본체(122)가 상호 맞닿은 상태에서 고정구(123)가 관통하여 상호 고정된다.
상기 상부 본체(121)와 하부 본체(122)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고정구(123)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고정구(123)는 상부 본체(121)와 하부 본체(122)로부터 분리되고, 이에 의해 상부 본체(121)와 하부 본체(122)의 고정 상태가 해제되어 상부 본체(121)와 하부 본체(122)가 상호 분리된다. 이후 안경테(F) 또는 안경 다리(L)를 교체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10)는 상기 안경테(F)의 외측에서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결부(111)와, 상기 제1연결부(111) 끝단에서 직교된 방향으로 절곡되어 안경 다리(L)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결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 본체(121)는 상기 제2연결부(112) 끝단에 배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본체(121)는 제2연결부(112) 끝단 중 높이 방향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 본체(122)는 안경 다리(L)의 끝단 중 높이 방향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본체(121)의 하측면과 하부 본체(122)는 상측면이 상호 맞닿아서 상호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구가 상기 하부 본체(122)를 관통한 후 상부 본체(121)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 본체(122)는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고, 상기 하부 본체(122)의 상측면에는 링 형상의 가이드(124)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본체(122)의 상면(122a)와 하면(122b)은 평탄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면(122a)의 길이가 하면(122b)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어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상면(122a)상에 가이드(124)가 상방향으로 돌출된다.
또한, 상기 하부 본체(122)에는 본체 관통공(122-1)이 수직 방향(높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124)에도 수직 방향(높이 방향)의 가이드 관통공(124-1)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본체 관통공(122-1)과 가이드 관통공(124-1)은 상호 연통된다.
한편, 상부 본체(121)는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상부 본체(121)의 상면(121a)과 하면(121b)은 평탄한 형상을 가지고, 상기 상면(121a)의 길이는 하면(121b) 길이 보다 짧게 형성하여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하면(121b)에는 가이드(124)가 안착되기 위한 가이드 수용홈(121-2)이 요홈되어 형성된다. EH한, 상기 가이드 수용홈(121-2)의 바닥에는 수직 방향으로 제1수용홈(121-1)이 특정 깊이로 요홈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상부 본체(121)의 하측면과 하부 본체(122)의 상측면이 상호 맞닿을 때, 상기 가이드(124)가 가이드 수용홈(121-2)에 삽입되어 정확한 위치를 잡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구(123)는 상기 하부 본체(122)의 본체 관통공(122-1)과 가이드 관통공(124-1)을 나사 결합하며 관통한 후 상기 제1수용홈(121-1)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되어 상기 상부 본체(121)와 하부 본체(122)는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10 : 연결부 111 : 제1연결부
112 : 제2연결부 120 : 체결구
121 : 상부 본체 121-1 : 제1수용홈
121-2 : 가이드 수용홈 122 : 하부 본체
122-1 : 본체 관통공 123 : 고정구

Claims (3)

  1. 렌즈(R)가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안경테(F)와, 상기 안경테(F)의 외측에 각각 구비되는 안경 다리(L)와, 상기 안경테(F)와 안경 다리(L)사이에 구비되는 연결부(110)와, 상기 안경 다리(L)와 연결부(110)를 상호 고정하는 체결구(120)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구(120)는 상기 연결부(110) 끝단에 구비되는 상부 본체(121)와 상기 안경 다리(L) 끝단에 구비되는 하부 본체(122)와 상기 상부 본체(121)와 하부 본체(122)를 고정하는 고정구(123)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본체(121)와 하부 본체(122)는 고정구(123)에 의해 상호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탈부착 방식의 체결구를 구비한 안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10)는 상기 안경테(F)의 외측에서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결부(111)와, 상기 제1연결부(111) 끝단에서 직교된 방향으로 절곡되어 안경 다리(L)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결부(112)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본체(121)는 상기 제2연결부(112) 끝단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 본체(122)는 안경 다리(L)의 끝단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 본체(121)의 하측면과 하부 본체(122)는 상측면이 상호 맞닿아서 고정되는 탈부착 방식의 체결구를 구비한 안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본체(122)는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고, 상기 하부 본체(122)의 상측면에는 링 형상의 가이드(124)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하부 본체(122)에는 수직 방향으로 본체 관통공(122-1)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124)에도 수직 방향의 가이드 관통공(124-1)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 관통공(122-1)과 가이드 관통공(124-1)은 상호 연통되고,
    상기 상부 본체(121)는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고, 상기 상부 본체(121)의 하측면에는 상기 가이드(124)가 수용되는 가이드 수용홈(121-2)이 요홈되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수용홈(121-2)의 바닥에는 수직 방향으로 제1수용홈(121-1)이 특정 깊이로 요홈되어 형성되며,
    상기 상부 본체(121)의 하측면과 하부 본체(122)의 상측면이 상호 맞닿을 때, 상기 가이드(124)가 가이드 수용홈(121-2)에 삽입되고,
    상기 고정구(123)는 상기 하부 본체(122)의 본체 관통공(122-1)과 가이드 관통공(124-1)을 나사 결합하며 관통한 후 상기 제1수용홈(121-1)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되어 상기 상부 본체(121)와 하부 본체(122)는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탈부착 방식의 체결구를 구비한 안경.
KR1020200064327A 2020-05-28 2020-05-28 탈부착 방식의 체결구를 구비한 안경 KR202101473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4327A KR20210147309A (ko) 2020-05-28 2020-05-28 탈부착 방식의 체결구를 구비한 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4327A KR20210147309A (ko) 2020-05-28 2020-05-28 탈부착 방식의 체결구를 구비한 안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7309A true KR20210147309A (ko) 2021-12-07

Family

ID=78868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4327A KR20210147309A (ko) 2020-05-28 2020-05-28 탈부착 방식의 체결구를 구비한 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4730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011Y1 (ko) 1999-11-20 2000-05-15 이대용 안경용코받침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011Y1 (ko) 1999-11-20 2000-05-15 이대용 안경용코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017809A1 (en) Eyeglasses
US10401642B2 (en) Eyeglasses having simulated monolithic lens
US2577380A (en) Spectacle frame with nonmetallic parts on rims
JP2007537467A (ja) 眼鏡
KR20210147309A (ko) 탈부착 방식의 체결구를 구비한 안경
US9740021B1 (en) Glasses with lens fastened by pivotal members
TW201634977A (zh) 眼鏡結構
WO2018120665A1 (zh) 一种具有全身卡合连接的眼镜
KR20200112809A (ko) 안경알 교체가 가능한 안경
CN210514809U (zh) 便于镜片安装的眼镜框及眼镜
KR102357980B1 (ko) 안경다리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패션 안경
KR200215644Y1 (ko) 무테 안경렌즈에 안경다리와 코다리의 결합구조
CN219355219U (zh) 一种泳镜鼻桥拆换结构及亲水泳镜
US2593932A (en) Spectacle frame
KR101961352B1 (ko) 안경용 착탈식 선글라스
KR200405194Y1 (ko) 무테안경의 렌즈와 안경다리 회전방지구조
KR200487261Y1 (ko) 안경 보조 도구
CN214335382U (zh) 可拆卸眼镜
JPH028254Y2 (ko)
KR200250423Y1 (ko) 무테안경용 연결구
US10185157B2 (en) Glasses structure
KR940011982A (ko) 코 받침이 없는 안경
US1885014A (en) Ophthalmic mounting
US9766480B1 (en) Assembled structure of main spectacle frame and assistant lens frame
JP2000258730A (ja) 眼鏡レンズ止着機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