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5465B1 - 교체형 안경 - Google Patents

교체형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5465B1
KR101325465B1 KR1020110123494A KR20110123494A KR101325465B1 KR 101325465 B1 KR101325465 B1 KR 101325465B1 KR 1020110123494 A KR1020110123494 A KR 1020110123494A KR 20110123494 A KR20110123494 A KR 20110123494A KR 101325465 B1 KR101325465 B1 KR 101325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yeglass
support
frame
spectacle frame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3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5465B9 (ko
KR20130057645A (ko
Inventor
박승영
Original Assignee
박승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승영 filed Critical 박승영
Priority to KR1020110123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5465B1/ko
Publication of KR20130057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7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5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5465B1/ko
Publication of KR101325465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5465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 G02C5/126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exchangeable or otherwise fitted to the shape of the nos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08Modular frames, easily exchangeable frame parts and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교체형 코받침 및 이것을 이용한 교체형 안경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교체형 코받침은 안경테에 삽입되고, 안경알에 의해 삽입 방향으로 지지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 및 상기 안경테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연장부에 마련되는 받침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교체형 안경은 안경알이 결합되고, 일측에 제2고정부가 함몰 형성되는 안경테; 상기 안경테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안경테에 결합되는 안경다리; 및 상기 안경테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안경테의 제2고정부에 삽입되고, 상기 안경알에 의해 삽입 방향으로 지지되는 코받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교체형 안경{CHANGE TYPE EYEGLASSES}
본 발명은 교체형 안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코받침이 안경테에서 탈부착되도록 함으로써, 사용 환경에 따라 코받침을 교체할 수 있고, 코받침은 별도의 체결 작업이 없이도 안경테에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교체형 안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은 시력이 저하된 사람의 시력을 회복시키거나, 강한 광선으로부터 눈을 미리 보호하여 시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사용된다.
한편 국내 특허 출원 제2007-0095298호(출원일 :2007. 09. 19.)에는 "안경 코받침 및 이를 포함하는 안경테" 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코받침 및 이를 적용한 안경에 따르면, 코받침의 지지대가 안경테에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공간형성부재와 콧등의 접촉 정도를 조절하기 위해 지지대를 구부리다가 지지대와 안경테가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코받침이 안경테에서 분리되면, 안경 전체를 교체해야 하고, 이에 따른 안경 구입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코받침이 안경테에서 탈부착되도록 하고, 코받침은 별도의 체결 작업이 없이도 안경테에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교체형 안경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교체형 코받침은, 안경테에 삽입되고, 안경알에 의해 삽입 방향으로 지지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 및 상기 안경테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연장부에 마련되는 받침부; 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안경테의 표면을 감싸는 제2날개부가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안경테에 삽입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2안내부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안경알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제2지지부가 함몰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에는, 체결부재가 통과되거나 체결부재가 나사 결합되는 너트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교체형 안경은, 안경알이 결합되고, 일측에 제2고정부가 함몰 형성되는 안경테; 상기 안경테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안경테에 결합되는 안경다리; 및 상기 안경테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안경테의 제2고정부에 삽입되고, 상기 안경알에 의해 삽입 방향으로 지지되는 코받침; 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코받침은, 상기 안경테의 제2고정부에 삽입되고, 상기 안경알에 의해 삽입 방향으로 지지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 및 상기 안경테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연장부에 마련되는 받침부; 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코받침에는, 상기 안경테의 표면을 감싸는 제2날개부가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안경테에는, 상기 제2날개부와 끼움 결합되는 제2안착부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코받침에는, 상기 안경테에 삽입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2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부에는, 상기 제2안내부와 끼움 결합되는 코받침안내부가 형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교체형 안경은, 나사 결합을 통해 상기 안경테에 상기 코받침을 고정시키는 체결부재; 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코받침에는, 상기 체결부재가 통과하거나 상기 체결부재가 나사 결합되는 너트부가 형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교체형 안경은, 상기 안경테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안경다리와 결합되는 힌지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힌지는, 상기 안경테에 삽입되고, 상기 안경알에 의해 삽입 방향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형 안경.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체형 안경은 종래 발명과 달리 코받침이 안경테에서 탈부착되도록 하고, 코받침은 별도의 체결 작업이 없이도 안경테에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안경테의 재질 상 안경테에 코받침을 용접할 수 없는 경우에도 코받침을 안경테에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경테와 코받침의 결합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감을 깔끔하게 하고,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경테에 코받침이 간편하게 조립되어 조립성과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코받침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안경알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경테 또는 힌지 또는 코받침에서 코팅이 벗겨지거나 부러지는 경우, 여분의 힌지 또는 코받침으로 교체가 가능하고, 새로운 안경의 구입에 따른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경제성이 탁월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힌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
도 4는 도 2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1의 코받침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받침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체형 안경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측이 절개된 안경테를 포함하는 안경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을 도시한 분해사시도로써,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경은 안경알(100)과, 안경테(200)와, 안경다리(400)를 포함하고, 힌지(300)와 코받침(5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마련된다.
안경알(100)은 사용자의 시력을 회복시키거나 사용자의 눈을 보호할 수 있는 렌즈이다.
안경테(200)는 안경알(100)이 결합되고, 일측에 제1고정부(210)와 제2고정부(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고정부가 함몰 형성된다.
안경테(200)는 안경알(100)의 가장자리를 감싸 지지한다. 여기서 안경테(200)에는 안경알(100)의 가장자리가 삽입 안착되는 지지가이드(201)가 형성될 수 있다. 안경테(200)는 사용자의 눈에 대응하여 한 쌍으로 형성되고, 브리지(203)에 의해 한 쌍의 안경테(200)를 상호 연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300)가 마련되는 경우에는 제1고정부(210)가 함몰 형성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받침(500)이 마련되는 경우에는 제2고정부(220)가 함몰 형성된다.
제1고정부(210)는 안경테(200)에서 안경다리(400)가 결합되는 부분에 함몰 형성되는 것으로, 힌지(300)가 삽입되도록 한다. 여기서 제1고정부(210)에는 힌지(300)의 제1날개부(311)와 끼움 결합되는 제1안착부(23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힌지(300)의 제1안내부(313)와 끼움 결합되는 힌지안내부(250)가 형성될 수 있다.
제2고정부(220)는 안경테(200)에서 브리지(203)가 연결되는 부분에 함몰 형성되는 것으로, 코받침(500)이 삽입되도록 한다. 여기서 제2고정부(220)에는 코받침(500)의 제2날개부(511)와 끼움 결합되는 제2안착부(24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코받침(500)의 제2안내부(513)와 끼움 결합되는 코받침안내부(260)가 형성될 수 있다.
안경다리(400)는 안경테(200)를 지지하기 위해 안경테(200)에 결합된다. 안경다리(400)의 일단부는 안경테(200)를 지지하기 위해 귀에 걸 수 있도록 구부러질 수 있다. 또한, 안경다리(400)의 타단부는 힌지(300)의 연결부(320) 또는 안경테(200)에 결합되도록 회동부(41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회동부(410)에는 회동공(411)이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안경다리(400)의 회동부(410)는 체결부재(600)를 통해 힌지(300)의 연결부(320) 또는 안경테(200)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그러면, 안경다리(400)는 체결부재(600)를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힌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300)는 안경테(200)의 제1고정부(210)에 삽입된다. 이때, 안경알(100)은 힌지(300)를 삽입 방향으로 지지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300)는 힌지몸체(310)와, 연결부(320)로 구분할 수 있다.
힌지몸체(310)는 안경테(200)의 제1고정부(210)에 삽입되는 부분으로, 안경알(100)에 의해 삽입 방향으로 지지된다. 이에 따라, 힌지몸체(310)를 제1고정부(210)에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고정수단이 없더라도, 힌지몸체(310)는 안경알(100)에 의해 제1고정부(210)에 삽입된 채 고정되고, 안경테(200)의 제1고정부(2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힌지몸체(310)에는 제1날개부(31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날개부(311)는 안경테(200)의 표면을 감싸도록 힌지몸체(310)에 일체로 형성된다. 제1날개부(311)는 힌지몸체(310)에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안경테(200)에 제1안착부(230)가 형성되면, 제1날개부(311)와 제1안착부(230)는 끼움 결합하게 되어 안경테(200)의 표면을 매끄럽게 함은 물론 힌지(300)가 안경테(200)에서 유동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힌지몸체(310)에는 제1안내부(313)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안내부(313)는 힌지몸체(310)가 제1고정부(210)에 삽입될 때, 안경테(200)에 삽입되는 경로를 형성한다. 제1안내부(313)는 힌지몸체(310)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안경테(200)에 힌지안내부(250)가 형성되면, 제1안내부(313)와 힌지안내부(250)는 끼움 결합하게 되어 힌지(300)가 안경테(200)에서 유동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제1안내부(313)는 힌지몸체(310)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힌지몸체(310)에는 제1지지부(315)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지지부(315)는 힌지몸체(310)가 제1고정부(210)에 삽입될 때, 안경알(100)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한다. 제1지지부(315)는 힌지몸체(310)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힌지몸체(310)가 제1고정부(210)에 삽입되면, 제1지지부(315)의 형성에 따라 안경알(100)이 힌지몸체(310)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고, 안경알(100)과 안경테(200) 사이에 발생되는 간극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안경알(100)과 안경테(200) 사이에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힌지몸체(310)에는 너트부(317)가 형성될 수 있다. 너트부(317)는 힌지몸체(310)가 제1고정부(210)에 삽입될 때, 체결부재(600)가 통과되거나 체결부재(600)가 나사 결합된다. 너트부(317)는 힌지몸체(310)에 함몰 형성되거나 홀 형상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재(600)가 너트부(317)에 나사 결합되는 경우, 너트부(317)에는 나사산을 형성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에 따라 힌지몸체(310)가 제1고정부(210)에 삽입되면, 체결부재(600)를 통해 안경테(200)에 힌지몸체(310)를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안경테(200)와 힌지(300)의 결합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연결부(320)는 안경다리(400)가 결합되도록 힌지몸체(310)에 일체로 형성된다. 연결부(320)에는 안경다리(400)의 회동부(410)와 결합되도록 연결공(32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체결부재(600)가 연결부(320)의 연결공(321)과 회동부(410)의 회동공(411)을 통과하여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안경다리(400)가 체결부재(600)를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받침(5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도 1의 코받침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받침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받침(500)은 안경테(200)의 제2고정부(220)에 삽입된다. 이때, 안경알(100)은 코받침(500)을 삽입 방향으로 지지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받침(500)은 결합부(510)와, 연장부(530)와, 받침부(550)로 구분할 수 있다.
결합부(510)는 안경테(200)의 제2고정부(220)에 삽입되는 부분으로, 안경알(100)에 의해 삽입 방향으로 지지된다. 이에 따라, 결합부(510)를 제2고정부(220)에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고정수단이 없더라도, 결합부(510)는 안경알(100)에 의해 제2고정부(220)에 삽입된 채 고정되고, 안경테(200)의 제2고정부(2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결합부(510)에는 제2날개부(511)가 형성될 수 있다. 제2날개부(511)는 안경테(200)의 표면을 감싸도록 결합부(510)에 일체로 형성된다. 제2날개부(511)는 결합부(510)에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안경테(200)에 제2안착부(240)가 형성되면, 제2날개부(511)와 제2안착부(240)는 끼움 결합하게 되어 안경테(200)의 표면을 매끄럽게 함은 물론 코받침(500)이 안경테(200)에서 유동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510)에는 제2안내부(513)가 형성될 수 있다. 제2안내부(513)는 결합부(510)가 제2고정부(220)에 삽입될 때, 안경테(200)에 삽입되는 경로를 형성한다. 제2안내부(513)는 결합부(510)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안경테(200)에 코받침안내부(260)가 형성되면, 제2안내부(513)와 코받침안내부(260)는 끼움 결합하게 되어 결합부(510)가 안경테(200)에서 유동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제2안내부(513)는 결합부(510)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510)에는 제2지지부(515)가 형성될 수 있다. 제2지지부(515)는 결합부(510)가 제2고정부(220)에 삽입될 때, 안경알(100)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한다. 제2지지부(515)는 결합부(510)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510)가 제2고정부(220)에 삽입되면, 제2지지부(515)의 형성에 따라 안경알(100)이 결합부(510)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고, 안경알(100)과 안경테(200) 사이에 발생되는 간극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안경알(100)과 안경테(200) 사이에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결합부(510)에도 너트부(317)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510)에 형성된 너트부(317)는 힌지몸체(310)의 너트부(317)와 동일한 구성으로 코받침(500)이 제2고정부(220)에 삽입될 때, 체결부재(600)가 통과하거나 체결부재(600)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510)의 너트부(317)는 결합부(510)에 함몰 형성되거나 홀 형상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재(600)가 너트부(317)에 나사 결합되는 경우, 너트부(317)에는 나사산을 형성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에 따라 결합부(510)가 제2고정부(220)에 삽입되면, 체결부재(600)를 통해 안경테(200)에 결합부(510)를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안경테(200)와 결합부(510)의 결합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연장부(530)는 결합부(510)에서 연장 형성된다. 연장부(530)는 외력에 의해 구부러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 받침부(55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연장부(530)에는 받침부(550)가 결합되도록 끼움홈(531)이 형성될 수 있다.
받침부(550)는 안경테(200)를 지지하기 위해 연장부(530)에 마련된다. 받침부(550)는 코에 접촉되는 부분으로 연장부(53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받침부(550)는 코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안경테(200)의 하중을 코에서 지탱할 수 있도록 하며, 안경테(20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다. 일예로 받침부(550)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받침부(550)에는 연장부(530)의 끼움홈(531)에 삽입 결합되는 끼움돌기(55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체결부재(600)를 이용하여 끼움돌기(551)와 끼움홈(531)이 나사 결합됨으로써, 받침부(550)가 연장부(530)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받침부(550)는 끼움돌기(551)가 끼움홈(531)에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부재(600)를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다.
체결부재(600)는 나사 결합을 통해 안경테(200)의 절개 부분을 상호 결합시킴으로써, 안경알(100)이 안경테(200)에 안정되게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체결부재(600)는 나사 결합을 통해 안경테(200)에 힌지(300)를 고정시킨다. 체결부재(600)가 힌지(300)의 힌지몸체(310)에 형성된 너트부(317)를 통과하여 안경테(200)에 나사 결합되거나, 안경테(200)를 통과하여 너트부(317)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힌지(300)와 안경테(200)의 결합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체결부재(600)는 나사 결합을 통해 힌지(300)에 안경다리(400)를 결합시킨다. 체결부재(600)가 힌지(300)의 연결부(320) 또는 안경다리(400)의 회동부(410)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안경다리(400)가 힌지(300)에서 체결부재(600)를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다.
또한, 체결부재(600)는 나사 결합을 통해 코받침(500)의 연장부(530)에 받침부(550)를 결합시킨다. 체결부재(600)가 코받침(500)의 연장부(530) 또는 코받침(500)의 받침부(550)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받침부(550)가 연장부(530)에서 체결부재(600)를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코받침(500)에도 너트부(317)가 형성되는 경우, 체결부재(600)는 너트부(317)를 통과하거나 너트부(317)에 나사 결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코받침(500)과 안경테(200)의 결합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체형 안경의 조립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안경테(200)는 일부가 절개되어 있고, 안경다리(400)는 체결부재(600)를 통해 힌지(300)의 연결부(32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안경테(200)에 형성된 제1고정부(210)에 힌지(300)의 힌지몸체(310)를 삽입한다. 그러면, 제1날개부(311)와 제1안착부(230)가 끼움 결합되고, 제1안내부(313)와 힌지안내부(250)가 끼움 결합되어 힌지(300)의 유동을 방지한다.
또한, 안경테(200)에 형성된 제2고정부(220)에 코받침(500)의 결합부(510)를 삽입한다. 그러면, 제2날개부(511)와 제2안착부(240)가 끼움 결합되고, 제2안내부(513)와 코받침안내부(260)가 끼움 결합되어 코받침(500)의 유동을 방지한다.
그리고 안경테(200)가 안경알(100)을 감싸면서 안경알(100)이 힌지몸체(310)와 결합부(510)를 지지하도록 안경알(100)의 가장자리가 안경테(200)의 지지가이드(201)에 삽입된다. 이때, 제1지지부(315)와 제2지지부(515)는 안경알(100)의 가장자리를 감싸 지지하게 된다.
체결부재(600)가 절개된 안경테(200)에 나사 결합되어 안경알(100)이 안경테(200)에 고정되도록 한다. 안경알(100)이 안경테(200)에 고정되면, 안경알(100)이 힌지(300)와 코받침(500)을 지지함으로써, 별도의 고정수단이 없어도 힌지(300)와 코받침(500)을 안경테(2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체결부재(600)는 제1고정부(210)를 통과하도록 한다. 체결부재(600)는 힌지몸체(310)의 너트부(317)를 통과하거나 너트부(317)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안경테(200)와 힌지(300)의 결합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코받침(500)의 결합부(510)에도 너트부(317)가 형성되면 체결부재(600)는 제2고정부(220)를 통과하하도록 한다. 이때, 체결부재(600)는 결합부(510)의 너트부(317)를 통과하거나 너트부(317)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안경테(200)와 코받침(500)의 결합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힌지(300)와 코받침(500) 그리고 이것을 이용한 교체형 안경에서 안경테(200)는 적어도 일부분이 절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안경알 200: 안경테
201: 지지가이드 203: 브리지
210: 제1고정부 220: 제2고정부
230:제1안착부 240: 제2안착부
250: 힌지안내부 260: 코받침안내부
300: 힌지 310: 힌지몸체
311: 제1날개부 313: 제1안내부
315: 제1지지부 317: 너트부
320: 연결부 321: 연결공
400: 안경다리 410: 회동부
411: 회동공 500: 코받침
510: 결합부 511: 제2날개부
513: 제2안내부 515: 제2지지부
530: 연장부 531: 끼움홈
550: 받침부 551: 끼움돌기
600: 체결부재

Claims (14)

  1. 사용자의 눈에 대응하여 한 쌍으로 형성되어 안경알이 결합되고, 브리지에 의해 상호 연결되며, 일측에 제1고정부가 함몰 형성되는 안경테;
    상기 안경테의 제1고정부에 삽입되고, 상기 안경알에 의해 삽입 방향으로 지지되는 힌지; 및
    상기 안경테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힌지와 결합되는 안경다리; 를 포함하고,
    상기 안경테에는, 상기 브리지에 대응하여 타측에 제2고정부가 함몰 형성되며,
    상기 안경테의 제2고정부에 삽입되고, 상기 안경알에 의해 삽입 방향으로 지지되는 코받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힌지는,
    상기 안경테의 제1고정부에 삽입되고, 상기 안경알에 의해 삽입 방향으로 지지되는 힌지몸체;
    상기 안경다리가 결합되도록 상기 힌지몸체에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부;
    상기 힌지몸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안경테의 표면을 감싸는 제1날개부; 및
    상기 안경테에 삽입되는 경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힌지몸체에 형성되는 제1안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안경테에는,
    상기 안경알의 가장자리가 삽입 안착되는 지지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부에는,
    상기 제1안내부와 끼움 결합되는 힌지안내부가 형성되며,
    상기 힌지몸체에는 너트부가 홀 형상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안경테는 상기 제1고정부에 대응하여 일측이 절개되며,
    체결부재가 상기 너트부를 통과하거나 나사 결합됨에 따라 절개된 상기 안경테의 일측을 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힌지를 상기 안경테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형 안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받침은,
    상기 안경테의 제2고정부에 삽입되고, 상기 안경알에 의해 삽입 방향으로 지지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 및
    상기 안경테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연장부에 마련되는 받침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형 안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안경테의 표면을 감싸는 제2날개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형 안경.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테에는, 상기 제2날개부와 끼움 결합되는 제2안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형 안경.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코받침에는, 상기 안경테에 삽입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2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부에는, 상기 제2안내부와 끼움 결합되는 코받침안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형 안경.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나사 결합을 통해 상기 안경테에 상기 코받침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형 안경.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코받침에는, 상기 체결부재가 통과하거나 상기 체결부재가 나사 결합되는 너트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형 안경.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테에는, 상기 제1날개부와 끼움 결합되는 제1안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형 안경.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10123494A 2011-11-24 2011-11-24 교체형 안경 KR101325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494A KR101325465B1 (ko) 2011-11-24 2011-11-24 교체형 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494A KR101325465B1 (ko) 2011-11-24 2011-11-24 교체형 안경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7645A KR20130057645A (ko) 2013-06-03
KR101325465B1 true KR101325465B1 (ko) 2013-11-04
KR101325465B9 KR101325465B9 (ko) 2022-11-14

Family

ID=48857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3494A KR101325465B1 (ko) 2011-11-24 2011-11-24 교체형 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54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4555A (ko) * 2014-07-03 2016-01-13 (주)반도옵티칼 고글의 렌즈 탈부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740B1 (ko) * 2013-10-07 2015-01-02 (주)필립 안경의 코받이 결합구조체
KR101446476B1 (ko) * 2013-11-01 2014-10-01 주식회사 이노 (Inno) 안경테용 코기둥 설치구조체
CN113253461B (zh) * 2021-05-27 2023-07-18 Tcl通讯(宁波)有限公司 一种鼻托结构以及头戴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70543U (ko) * 1976-06-18 1977-12-24
KR20090033771A (ko) * 2007-10-01 2009-04-06 함주홍 비철금속 안경테와 코받침 결합구조
JP2010134196A (ja) * 2008-12-04 2010-06-17 Masunaga Optical Mfg Co Ltd メタルフロント枠のノーズパッド取付け構造
KR20110122612A (ko) * 2010-05-04 2011-11-10 우선구 안경용 코걸이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70543U (ko) * 1976-06-18 1977-12-24
KR20090033771A (ko) * 2007-10-01 2009-04-06 함주홍 비철금속 안경테와 코받침 결합구조
JP2010134196A (ja) * 2008-12-04 2010-06-17 Masunaga Optical Mfg Co Ltd メタルフロント枠のノーズパッド取付け構造
KR20110122612A (ko) * 2010-05-04 2011-11-10 우선구 안경용 코걸이 결합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4555A (ko) * 2014-07-03 2016-01-13 (주)반도옵티칼 고글의 렌즈 탈부착장치
KR101598932B1 (ko) * 2014-07-03 2016-03-02 주식회사 반도옵티칼 고글의 렌즈 탈부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5465B9 (ko) 2022-11-14
KR20130057645A (ko) 2013-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5469B1 (ko) 교체형 안경
US20170357104A1 (en) Glasses with replaceable lenses
KR101969215B1 (ko) 안경의 결합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안경
TWI489166B (zh) 眼鏡腿鉸鏈及其結合結構和結合方法
KR101325465B1 (ko) 교체형 안경
CN217718310U (zh) 可装拆光学辅助机构的眼镜、以及眼镜与太阳镜部件套装
KR200466527Y1 (ko) 안경다리 조립 구조
JP4824513B2 (ja) 眼鏡フレーム
KR20090092948A (ko) 안경 조립체
KR101870528B1 (ko) 조립형 안경
KR101979461B1 (ko) 안경 프레임
KR100888547B1 (ko) 안경
AU2017293435B2 (en) Eyeglasses with easy snap-on lenses
CN216387633U (zh) 一种具有快装结构的眼镜
KR102334087B1 (ko) 선글라스 착탈 안경
KR20090012361U (ko) 림락과 힌지기능을 가진 안경테 고정수단
KR101914370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
KR200250423Y1 (ko) 무테안경용 연결구
KR200356999Y1 (ko) 안경
KR101422994B1 (ko) 안경테
KR200370747Y1 (ko) 무테안경용 렌즈 보호패드
KR20200023815A (ko) 조립형 안경테
US10295843B2 (en) Frameless safety eyeglasses having corrective eyeglass lenses and lateral protective parts
KR20230022543A (ko) 안경 닦기 내장 안경
KR200175826Y1 (ko) 안경테와 힌지의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7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