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9081A - 금속제 안경테 전용 렌즈 지지구조 - Google Patents

금속제 안경테 전용 렌즈 지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9081A
KR20180099081A KR1020170026061A KR20170026061A KR20180099081A KR 20180099081 A KR20180099081 A KR 20180099081A KR 1020170026061 A KR1020170026061 A KR 1020170026061A KR 20170026061 A KR20170026061 A KR 20170026061A KR 20180099081 A KR20180099081 A KR 201800990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metal
frame
lower frames
glasses fram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6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영
박상엽
Original Assignee
박찬영
박상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찬영, 박상엽 filed Critical 박찬영
Priority to KR1020170026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9081A/ko
Publication of KR20180099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90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00Assemblies of lenses with bridges or browbars
    • G02C1/06Bridge or browbar secured to or integral with closed rigid rims for th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제 안경테에 렌즈를 별도의 고정없이 쉽고 간편하게 렌즈를 고정지지 할 수 있도록 하며 작업자 또는 소비자가 렌즈를 탈부착시킬 수 있고 외관을 미려하게 하고 구조를 간단하면서도 신규 하게 변모시킬 수 있어 제품경쟁력 및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금속제 안경테의 렌즈 지지구조에 있어서 상·하 안경테의 외측변에는 렌즈를 간편하고 쉽게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상·하 안경테가 하나의 일체형 프레임으로 연결하되, 상기 상·하 안경테 사이에는 당김력이 상시 발생되는 탄성체결수단을 구비한 일체로 구비한다.
본 발명은 금속제 상·하 안경테를 벌려서 렌즈를 끼워서 고정할 수 있어서 상·하 안경테를 분리할 필요없이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금속제 안경테의 외측변에서 상·하 안경테를 탄성 체결수단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어 렌즈의 탈부착이 신속하고, 작업자 또는 소비자가 간편하게 렌즈를 교체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상기 일체형 금속제 안경테를 이용하여 추가 공정을 줄일 수 있어 생산비용 감소와 제품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금속제 안경테 전용 렌즈 지지구조{Lens support structure For metal eyeglass frame only}
본 발명은 금속제 안경테 전용 렌즈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금속제 안경테에 렌즈를 별도의 고정없이 쉽고 간편하게 렌즈를 고정지지 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 또는 소비자가 렌즈를 탈부착시킬 수 있음은 물론 외관 및 구조를 간단하면서도 신규하게 변모시킬 수 있어 제품경쟁력 및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은 렌즈를 안경테에 끼워넣어 눈앞에 착용하여 시력을 교정하거나 눈부신 태양광선으로부터 눈을 보호하는 용도로 사용한다.
이러한 안경 중에 가장 오랫동안 사용되어 오고 있는 금속제 형태의 안경테를 이용하여 최근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다양한 형태와 모양으로 현재까지 대중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고, 현재에도 이러한 금속제 재질의 안경테를 이용한 안경의 수요는 날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이와 같이 금속제 안경테는 렌즈 외주면을 감싸는 테가 필수적으로 구비하게 되고, 안경테의 옆쪽에 필수적으로 구비하는 안경다리를 테와 연결하는 안경귀를 구비하게 되며, 상기 안경귀의 안쪽면 저면에 상부테와 하부테를 맞물려 지도록 한 후 고정시켜 렌즈를 지지하도록 지지구조는 일반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앞서 다양한 선행수단이 공지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내용들은 금속제 상·하 안경테를 한쪽이 개방되도록 벌려서 렌즈를 넣어 고정해주는 방식은 안경테 생산시에 별도의 안경테 고정을 위한 추가공정이 이루어져야 함은 물론 별도의 볼트 너트 형태의 고정부품들을 통해 이루어져 이에 따라 공정추가에 따른 생산비용의 증가로 이어지는 결점이 있었다.
또 최근 생산단가가 저렴한 수지 또는 반무테 형태의 저렴한 제품들과 경쟁하기에는 현재의 렌즈 전체를 감싸는 금속제 안경테 구조는 가격 경쟁력을 맞추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금속제 재질의 안경테 결합구조로 인해 안경의 양측 편 측에 안경다리를 부착 시키기 위한 안경귀의 형태가 제한적이어서 디자인 측면에서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기에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중 발생하는 낙하, 충격에 의해 안경테의 고정 부품이 떨어지거나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될 경우 이를 즉각적으로 대체할 수 있는 해결방법이 없고 이를 해결하기에는 안경점을 방문해야 하는 등의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제10-0626468호(공고일자: 2006.09.26) 등록특허공보제10-0646839호(공고일자: 2006.05.18) 등록실용신안공보제20-0367300호(공고일자: 2004.11.09)
없음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지적의 종래 제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상·하 안경테의 외측변을 복원력이 있는 탄성구조이고 일체형으로 연결되도록 하여서 안경테 제조공정에서 부가적으로 얻어지는 탄성을 이용하여 렌즈를 쉽게 탈부착시킬 수 있음은 물론 렌즈를 견고하게 고정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코기둥(12)에 코받침판(13)을 구비된 가로대(11) 양측에는 렌즈(A)를 상·하로 고정지지하는 상·하 안경테(10,10a)를 구비하고, 상기 상·하 안경테(10,10a)가 맞물리는 지점에는 안경귀(14)를 구비하되, 그 안경귀(14)의 내측 저면에는 렌즈(A)를 감싸는 상·하 안경테(10,10a)가 맞물려 고정되는 금속제 안경테의 렌즈 지지구조에 있어서, 상·하 안경테(10,10a)의 외측변에는 렌즈(A)를 간편하고 쉽게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상·하 안경테(10,10a)가 하나의 일체형 프레임으로 연결하며, 그 상·하 안경테 사이에는 당김력이 상시 발생되는 탄성체결수단(B)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 발명은 금속제 상·하 안경테를 벌려서 렌즈를 끼워서 고정할 수 있어서 상·하 안경테를 분리할 필요없이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금속제 안경테의 외측변에서 상·하 안경테를 탄성 체결수단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어 렌즈의 탈부착이 신속하고, 작업자 또는 소비자가 간편하게 렌즈를 교체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상기 일체형 금속제 안경테에는 렌즈고정수단에 관련한 구성요소와 가공 공정을 줄일 수 있어 생산비용 감소와 제품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고, 기존 안경테에 비해 안경귀 부분에 시각적으로 디자인의 한계를 극복하여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에 접목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고, 일상생활중 낙하·충격에도 내부에 탄성체결수단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여 렌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대한 안경테 개념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탄성체결수단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탄성체결수단과 응용실시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탄성체결수단에 안경다리를 융착시킨 실시상태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탄성체결수단에 안경다리의 힌지축을 너트로 체결한 실시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금속제 선재로 안경테 제조공정을 보인 실시예시도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2와 같이 코기둥(12)에 코받침판(13)을 구비된 가로대(11) 양측에는 렌즈(A)를 상·하로 고정지지하는 상·하 안경테(10,10a)를 구비하고, 상기 상·하 안경테(10,10a)가 맞물리는 안경귀(14)를 구비하는 금속제 안경테의 렌즈 지지구조에 있어서, 상·하 안경테(10,10a)의 외측면에는 렌즈(A)를 간편하고 쉽게 끼우고 텐션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상·하 안경테(10,10a)가 하나의 일체형 프레임으로 연결하며, 그 상·하 안경테(10,10a) 사이에는 당김력이 상시 발생되는 탄성체결수단(B)을 일체로 구성된다.
상기 탄성체결수단(B)은 도3과 같이 상·하 안경테(10,10a)의 외측변에 구성된 안경귀(14,14a)를 상·하측에 일체형 당김용수철(15)이 구성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당김용수철(15)의 관통되는 통공(15a)에는 안경다리 선단에 구비한 힌지축을 끼워서 와셔(19)로 지지하고 너트(20)로 체결하여서 조임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할 수 있다.
즉, 렌즈(A)를 간편하고 쉽게 끼워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상·하 안경테(10,10a)의 외측변에는 꼬임이 있는 당김용수철(15)을 통해 상·하 안경테(10,10a)가 일체로 연결된 상태에서 렌즈가 끼워지는 테두리는 상시 당김력이 발생되도록 하고 그 상·하 안경테(10,10a)의 테두리를 벌려서 렌즈(A)를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고,
또, 상기 당김용수철(15)의 중심 직경의 통공(15a)에는 안경다리와 연결된 힌지축을 끼워서 와셔(19)와 너트(20)를 이용하여 체결할 수 있도록 하여서 금속제 안경테(10,10a)의 상·하 조임력을 조절하고 렌즈(A)를 고정할 수 있게 한다.
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안경테(10,10a)의 당김용수철(15) 상부 안경귀(14)에는 안경다리의 고정힌지를 위치시키고 용착하여서 안경다리를 구비하더라도 무방하다.
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김용수철(15)의 통공(15a) 상·하측에는 와셔(19)와 너트(20)가 체결된 상태에서 너트(20)에 융착 또는 일체형으로 안경다리를 구비하여서 힌지 동작이 되도록 구성하더라도 무방하다.
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안경테(10,10a) 및 당김용수철(15)은 하나의 금속제 고강도 탄성소재로한 선재를 가공하여서 일체형의 안경테를 구비하더라도 무방하다.
A : 렌즈 B : 탄성체결수단
10 : 상 안경테 10a : 하 안경테
11 : 가로대 12 : 코기둥
13 : 코받침판 14,14a : 안경귀
15 : 당김융수철 15a : 통공
19 : 와셔 20 : 너트

Claims (3)

  1. 코기둥(12)에 코받침판(13)을 구비된 가로대(11) 양측에는 렌즈(A)를 상·하로 고정지지하는 상·하 안경테(10,10a)를 구비하고, 상기 상·하 안경테(10,10a)가 맞물리는 안경귀(14)를 구비하되, 상기 안경귀(14)의 내측 저면에는 렌즈(A)를 감싸는 상·하 안경테(10,10a)가 맞물려 고정되는 금속제 안경테의 렌즈 지지구조에 있어서,
    상·하 안경테(10,10a)의 변부에는 렌즈(A)를 간편하고 쉽게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상·하 안경테(10,10a)가 하나의 일체형 프레임으로 하되, 상·하 안경테(10,10a)사이의 외측 변부에는 당김력이 상시 발생되는 탄성체결수단(B)을 구비한 일체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제 안경테 전용 렌즈 지지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결수단(B)은,
    상·하 안경테(10,10a)의 외측변에 구성된 안경귀(14,14a)를 상·하측에 일체형 당김용수철(15)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제 안경테 전용 렌즈 지지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용수철(15)은,
    상기 당김용수철(15)의 위·아래가 관통된 통공(15a)을 구비하되, 상기 통공(15a)는 안경다리 선단에 구비한 힌지축을 끼우고 와셔(19)와 너트(20)로 체결하여서 고정할 수 있도록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제 안경테 전용 렌즈 지지구조
KR1020170026061A 2017-02-28 2017-02-28 금속제 안경테 전용 렌즈 지지구조 KR201800990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061A KR20180099081A (ko) 2017-02-28 2017-02-28 금속제 안경테 전용 렌즈 지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061A KR20180099081A (ko) 2017-02-28 2017-02-28 금속제 안경테 전용 렌즈 지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9081A true KR20180099081A (ko) 2018-09-05

Family

ID=63594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6061A KR20180099081A (ko) 2017-02-28 2017-02-28 금속제 안경테 전용 렌즈 지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9081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7300Y1 (ko) 2004-08-06 2004-11-09 린드버그 에이/에스 안경테, 힌지 및 안경
KR100626468B1 (ko) 1999-10-21 2006-09-26 린드버그 에이/에스 안경 및 그 제조 방법
KR100646839B1 (ko) 2004-07-20 2006-11-23 가부시키가이샤 21 안경테 및 렌즈걸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6468B1 (ko) 1999-10-21 2006-09-26 린드버그 에이/에스 안경 및 그 제조 방법
KR100646839B1 (ko) 2004-07-20 2006-11-23 가부시키가이샤 21 안경테 및 렌즈걸이
KR200367300Y1 (ko) 2004-08-06 2004-11-09 린드버그 에이/에스 안경테, 힌지 및 안경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없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2774B1 (ko) 안경 프레임의 이중 프레임 연결 구조
KR200448466Y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
KR20130002363U (ko) 코걸이 착탈이 용이한 안경테
KR101325465B1 (ko) 교체형 안경
KR20180099081A (ko) 금속제 안경테 전용 렌즈 지지구조
KR20170115721A (ko) 안경의 템플 힌지장치
US20140173861A1 (en) Frame assembly for spectacles, corresponding frames,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method for said frames and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tool
KR101832140B1 (ko) 안경의 템플 힌지장치
KR200427947Y1 (ko) 안경 코받침 지지대
KR20160109818A (ko) 안경다리의 교체가 용이한 안경의 연결구조
JP3198789U (ja) 眼鏡フレーム
KR102334087B1 (ko) 선글라스 착탈 안경
CN220064531U (zh) 一种防止眼镜片脱落的眼镜框
KR200246391Y1 (ko) 절곡철선 안경테
JP3208083U (ja) 細長い帯材でフロント部を構成したメガネフレーム
KR200381234Y1 (ko) 코받침을 이용한 안경과 선셰이드클립
CN206848603U (zh) 眼镜框以及眼镜
KR20170130104A (ko) 안경렌즈 고정장치 및 상기 고정장치를 이용한 안경렌즈 고정방법
KR200417172Y1 (ko) 안경
JP5422522B2 (ja) 鼻当てパットの取付け構造
KR101636375B1 (ko) 큐빅 또는 보석이 장식된 안경
JP3098942U (ja) 木製のハーフリム型フレーム
KR200229456Y1 (ko) 렌즈에 구멍을 내지 않는 무테 안경
KR20240023870A (ko) 안경테용 힌지 조립체
KR200347243Y1 (ko) 무테안경용 다리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