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2774B1 - 안경 프레임의 이중 프레임 연결 구조 - Google Patents

안경 프레임의 이중 프레임 연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2774B1
KR101262774B1 KR1020110144660A KR20110144660A KR101262774B1 KR 101262774 B1 KR101262774 B1 KR 101262774B1 KR 1020110144660 A KR1020110144660 A KR 1020110144660A KR 20110144660 A KR20110144660 A KR 20110144660A KR 101262774 B1 KR101262774 B1 KR 101262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ridge
holding frame
holding
ri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4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1710A (ko
Inventor
시게카츠 야마데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에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에닉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에닉스
Publication of KR20130041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1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2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2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00Assemblies of lenses with bridges or browbars
    • G02C1/06Bridge or browbar secured to or integral with closed rigid rims for th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2Bridges; Browbars; Intermediate ba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9/00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 G02C9/04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by fitting over or clamping 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과제)
렌즈의 탈착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고, 또한 수지 프레임에 있어서의 코팅의 벗겨짐이나 사용시에 있어서의 렌즈의 낙하 걱정도 없고, 또한 제조시에 있어서 어려운 가공도 필요하지 않은 안경 프레임의 이중 프레임 연결 구조를 제공하는 것.
(해결 수단)
좌우 양단부에 템플을 구비하는 유지 프레임(1)과; 이 유지 프레임(1)의 배면측에 설치되고, 또한 좌우의 렌즈를 장착 가능한 이너 프레임(2)으로 안경 프레임의 이중 프레임 연결 구조를 구성하는 한편,
상기 이너 프레임(2)에 대해서는 좌우 림을 구비함과 아울러 이들 좌우 림을 결합하는 제 2 브리지의 대략 상하 중간 부위를 횡방향으로 절단하여 상하로 분리·접합 가능하게 함으로써 좌우의 림에 한 쌍의 렌즈를 탈착 가능하게 구성하고, 또한 상기 유지 프레임(1)의 제 1 브리지와, 이너 프레임(2)의 제 2 브리지의 상하 각 부위를 고정 부착 수단에 의해 서로 연결 가능하게 구성했다.

Description

안경 프레임의 이중 프레임 연결 구조{DOUBLE FRAME CONNECTING STRUCTURE OF EYEGLASS FRAME}
본 발명은 안경 프레임의 개량, 상세하게는 프레임의 재질에 관계없이 렌즈의 장착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고, 그리고 가령 연화 온도가 높은 수지 프레임을 사용했을 경우라도 코팅이 벗겨질 걱정이 없고, 또한 제조시에 있어서의 가공도 간이한 안경 프레임의 이중 프레임 연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매점에서 안경을 구입하면 구입한 안경 프레임의 형상에 맞춰서 교정 렌즈(또는 선글라스용 착색 렌즈)를 절삭 가공하고, 이것을 프론트 프레임에 장착해서 상품이 인도된다. 이때, 렌즈를 프론트 프레임에 장착하는 작업은 통상 안경사라고 불리는 점원에 의해 행하여지지만 그 방법은 프레임의 종류에 따라 천차만별이다.
구체적으로는, 풀림형·하프림형·림레스형의 안경에 따라 장착 방법이 다르고, 풀림형의 안경에 대해서는 프레임의 재질에 따라서도 방법이 다르다(예를 들면, 수지 프레임에서는 전용 히터로 림(rim)을 일시적으로 연화시키는 방법, 금속 프레임에서는 일부가 절단된 림을 림 록으로 조이는 방법이 많이 채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풀림형의 수지 프레임에 있어서 아세테이트 수지(연화 온도 60℃)보다 연화 온도가 높은 폴리아미드 수지(연화 온도 90℃)나 폴리에테르이미드 수지(연화 온도 170℃) 등을 사용할 경우, 히터로 가열하는 방법을 채용하면 열 팽창률의 차이에 의해 프레임 표면의 코팅이 벗겨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풀림형의 금속 프레임에 대해서도 림 록식의 방법을 채용하면 렌즈의 장착 작업을 각 림마다 행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작업 효율이 나쁘다. 또한, 프레임의 재료에 티타늄을 사용했을 경우에는 제조시에 있어서의 림 록의 경납땜(brazing)에 특수한 기술을 요한다.
또한, 대나무 등으로 만들어진 목제 프레임에 대해서도 프론트 프레임 전체를 상하로 분할해서 양자를 나사 고정하는 구조가 알려져 있지만, 이러한 구조를 채용하면 프론트 프레임의 양측과 브리지의 최저 3개소를 나사 고정시키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렌즈의 장착 작업에 수고가 든다.
한편, 종래에 있어서는 프론트 프레임의 브리지만을 횡방향으로 절단하고, 이 부분을 상하로 벌려서 림에 렌즈를 장착할 수 있게 한 구조도 공지가 되어 있지만(특허문헌 1∼특허문헌 3 참조), 이들 기술은 브리지에 대하여 고정 부착 부재를 상하로 삽입하는 구조였기 때문에 얇은 두께 범위 내에서 난이도가 높은 구멍 형성 가공을 행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안경 프레임을 렌즈 상부 가장자리부를 따르는 형상의 프론트 프레임과, 렌즈가 장착되는 언더 림형의 이너 프레임으로 구성하고, 이들을 브리지로 연결하는 기술도 공지가 되어 있지만(특허문헌 4 참조), 이 기술에서는 이너 프레임에 렌즈가 반무테식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사용 중에 나일론사가 끊어져서 렌즈가 낙하할 위험이 있다.
일본 실용신안 공개 소 10-1181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소 60-9462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09-21725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04-177849호 공보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렌즈의 탈착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고, 또한 수지 프레임에 있어서의 코팅의 벗겨짐이나 사용시에 있어서의 렌즈의 낙하 걱정도 없고, 또한 제조시에 있어서의 어려운 가공도 필요로 하지 않는 안경 프레임의 이중 프레임 연결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채용한 수단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은 좌우 양단부에 템플(T·T)을 구비하는 유지 프레임(1)과; 이 유지 프레임(1)의 배면측에 설치되고, 또한 유지 프레임(1)의 중간부에 위치하는 제 1 브리지(11)를 사이에 두고 상기 양단부에 연결되는 눈썹 형상부(12·12)의 하측에 오도록 좌우의 렌즈(L·L)를 장착 가능한 이너 프레임(2)을 포함하여 안경 프레임의 이중 프레임 연결 구조를 구성하는 한편,
상기 이너 프레임(2)에 대해서는 렌즈(L·L)가 장착되는 림(21·21)을 좌우에 구비함과 아울러 이들 좌우 림(21·21)을 결합하는 제 2 브리지(22)의 대략 상하 중간 부위를 횡방향으로 절단하여 상하로 분리·접합 가능하게 함으로써 좌우의 림(21·21)에 한 쌍의 렌즈(L·L)를 탈착 가능하게 구성하고, 또한 상기 유지 프레임(1)의 제 1 브리지(11)와, 이너 프레임(2)의 제 2 브리지(22)의 상하 각 부위를 고정 부착 수단에 의해 서로 연결 가능하게 구성한 점에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유지 프레임(1)의 제 1 브리지(11)와 이너 프레임(2)의 제 2 브리지(22)를 고정시키는 고정 부착 수단을 이용해서 좌우의 코 접촉부(31·31)를 일체로 갖는 노즈 패드(3)를 중간 연결 부위에서 함께 고정시킬 수도 있다. 또한, 이때 사용하는 노즈 패드(3)에는 수지제의 새들 패드뿐만 아니라 좌우의 클링스(clings)를 바 재로 연결한 것 등도 포함된다.
또한, 상기 유지 프레임(1)의 제 1 브리지(11) 배면에 이너 프레임(2)의 브리지(22)를 끼워넣을 수 있는 횡방향의 오목 홈(11b)을 형성하면, 제 2 브리지(22)를 닫은 상태에서 이너 프레임(2)을 유지 프레임(1)에 일시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고정 부착 부재의 부착 작업을 용이화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상기 이너 프레임(2)에는 수지 프레임이나 금속 프레임, 목제 프레임 등을 채용할 수 있지만, 특히 아세테이트 수지보다 연화 온도가 높은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할 경우에는 종래에 있어서 프레임을 히터로 가열할 때에 발생되고 있었던 코팅이 벗겨진다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유지 프레임(1)과 이너 프레임(2)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대신하여 좌우 양단부에 템플(T·T)을 구비하고, 또한 좌우에 렌즈(L·L)를 장착 가능한 유지 프레임(1)과; 이 유지 프레임(1)의 전방측에 설치되는 앞걸기 프레임(4)으로 안경 프레임의 이중 프레임 연결 구조를 구성할 수도 있고,
그 경우에는, 상기 유지 프레임(1)에 렌즈(L·L)가 장착되는 림(13·13)을 좌우에 구비함과 아울러 이들 좌우 림(13·13)을 결합하는 제 1 브리지(11)의 대략 상하 중간 부위를 횡방향으로 절단하여 상하로 분리·접합 가능하게 함으로써 좌우의 림(13·13)에 한 쌍의 렌즈(L·L)를 탈착 가능하게 구성하고, 또한 상기 앞걸기 프레임(4)의 제 3 브리지(41)와 유지 프레임(1)의 제 1 브리지(11)의 상하 각 부위를 고정 부착 수단으로 연결해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그 외에도 좌우 양단부에 템플을 구비하는 유지 프레임과; 이 유지 프레임 전방측에 설치되고, 또한 좌우의 렌즈를 장착 가능한 앞걸기 프레임으로 안경 프레임의 이중 프레임 연결 구조를 구성할 수도 있고,
그 경우에는 상기 앞걸기 프레임에 렌즈가 장착되는 좌우 림을 구비함과 아울러 이들 림을 결합하는 제 3 브리지의 대략 상하 중간 부위를 횡방향으로 절단하여 상하로 분리·접합 가능하게 함으로써 좌우의 림에 한 쌍의 렌즈를 탈착 가능하게 구성하고, 또한 상기 유지 프레임의 제 1 브리지와 앞걸기 프레임의 제 3 브리지의 상하 각 부위를 고정 부착 수단으로 연결해서 구성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서는 안경 프레임의 프론트부를 양측에 템플이 연결되는 유지 프레임과, 이 유지 프레임의 배면측에 부착되는 이너 프레임으로 구성하고, 또한 이너 프레임의 브리지를 횡방향으로 절단하여 상하로 분할해서 구성함으로써 브리지를 상하로 열기만 해도 좌우의 림을 벌릴 수 있기 때문에 이너 프레임에 대한 렌즈의 장착 작업을 좌우 한 변에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이너 프레임의 분할된 브리지의 상하 부위와 유지 프레임의 브리지를 고정 부착 수단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연결함으로써, 유지 프레임에 대한 이너 프레임의 부착과 동시에 브리지의 상하 부위를 닫은 상태에서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장착 작업의 효율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제조시에 있어서의 이너 프레임의 브리지 상하면에 대한 구멍 형성 가공 등도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어려운 가공을 생략해서 간이화할 수 있다. 또한, 티타늄 프레임을 채용할 경우에는 경납땜 작업도 회피할 수 있기 때문에 특수한 가공 장치 등도 불필요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유지 프레임에 부착되는 이너 프레임에 렌즈 전체 둘레를 림으로 둘러싸는 풀림형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반무테식으로 렌즈를 고정시키는 하프림형의 안경과 같이 나일론사가 마모나 충격에 의해 끊어져서 렌즈가 낙하할 걱정도 없다.
그리고 또한, 상기에서 예시한 효과에 대해서는 안경 프레임의 프론트부를 횡방향으로 절단된 브리지를 갖는 유지 프레임과, 이 유지 프레임의 전방측에 부착되는 앞걸기 프레임으로 구성할 경우에도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그 경우에는 유지 프레임의 브리지의 상하 부위와 앞걸기 프레임의 브리지를 고정 부착 수단에 의해 연결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소매점 등에 있어서 프레임 구입 후에 행하여지는 렌즈의 장착 작업을 효율화해서 구입자의 대기 시간의 단축을 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면 및 사용면에서도 매우 편리한 이중 프레임 구조의 안경 프레임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용적 이용 가치는 매우 높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안경 프레임의 이중 프레임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 이너 프레임을 유지 프레임에 부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 이너 프레임의 브리지를 상하로 벌린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유지 프레임과 이너 프레임의 고정 부착 구조를 나타내는 X-X'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이너 프레임의 양측과 유지 프레임의 록킹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 및 Y-Y'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유지 프레임과 이너 프레임의 고정 부착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있어서의 안경 프레임의 이중 프레임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있어서의 유지 프레임과 앞걸기 프레임의 고정 부착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유지 프레임과 이너 프레임, 또는 유지 프레임과 앞걸기 프레임의 고정 부착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대하여 도 1∼도 5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동(同) 도면에 있어서 부호 1로 지시하는 것은 유지 프레임이고, 부호 2로 지시하는 것은 이너 프레임이다. 또한, 부호 3으로 지시하는 것은 노즈 패드이다.
우선, 실시예 1에서는 안경 프레임(F)의 프론트부를 양측에 템플(T·T)이 연결된 브라우바(brow bar)형 유지 프레임(1)의 배면측에 좌우 림(21·21)을 갖는 이너 프레임(2)과, 좌우의 코 접촉부(31·31)가 일체로 갖는 새들형 노즈 패드(3)를 부착시켜서 구성하고 있다(도 1, 도 2 참조).
또한, 상기 유지 프레임(1)과 이너 프레임(2)에 대해서는 이너 프레임(2)의 렌즈(L·L) 너머로 보았을 때에 시계에 유지 프레임(1)이 들어오지 않도록 유지 프레임(1)의 제 1 브리지(11)로부터 좌우 양단으로 이어지는 눈썹 형상부(12·12)의 하측에 이너 프레임(2)의 렌즈(L·L)를 배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이너 프레임(2)에 대해서는 제 2 브리지(22)의 상하 중앙을 한쪽 림(21) 내측으로부터 다른 쪽 림(21) 내측까지 횡방향으로 절단하여 상하로 분리·접합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고, 이 구조에 의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브리지(22)를 상하로 벌리는 것만으로 림(21·21)을 벌려서 좌우 렌즈(L·L)의 탈착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너 프레임(2)에 탄성이 우수한 폴리아미드 수지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렌즈(L·L)의 탈착 작업시에 제 2 브리지(22)를 크게 벌린 경우라도 이너 프레임(2)의 소성 변형은 거의 일어나지 않아 손을 떼면 원래의 형상으로 돌아온다.
한편, 상기 유지 프레임(1)에 대한 이너 프레임(2)과 노즈 패드(3)의 부착 방법에 대해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너 프레임(2)의 제 2 브리지(22)의 상하 부위와, 노즈 패드(3)의 중앙 부분에 같은 간격으로 형성한 관통 구멍(22a·32)에 나사(S)를 통과시키고, 이 나사(S)를 유지 프레임(1)의 제 1 브리지(11) 배면에 형성한 고정 부착 구멍(11a·11a)에 고정해서 부착시키고 있다.
그리고, 상기 나사(S)를 이용하여 고정 부착하는 것에 의해서 유지 프레임(1)의 제 1 브리지(11)와 이너 프레임(2) 및 노즈 패드(3)를 전후 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너 프레임(2)의 제 2 브리지(22)의 상하 부위를 위치 결정해서 제 2 브리지(22)를 닫은 상태에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유지 프레임(1)의 제 1 브리지(11) 배면에 이너 프레임(2)의 제 2 브리지(22)를 끼워넣을 수 있는 오목 홈(11b)을 횡방향으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제 2 브리지(22)를 닫은 상태로 이너 프레임(2)을 유지 프레임(1)에 일시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제 2 브리지(22)로부터 손을 뗀 상태에서 나사 고정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너 프레임(2)을 유지 프레임(1)에 고정시킬 때에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너 프레임(2)의 양측에 설치한 훅부(23)를 유지 프레임(1)의 엔드피스 이면측에 형성한 록킹 구멍(13) 내에 삽입하여 고정시키고 있기 때문에 일체로 된 이너 프레임(2)에 의해 브라우바형 유지 프레임(1)을 보강할 수 있다.
또한, 브라우바형 유지 프레임(1)에 초탄성 합금 등을 사용할 경우에는 사용시에 유지 프레임(1)에 굽힘 방향의 힘이 가해졌을 때에 이너 프레임(2)에 부하를 가하지 않고 유지 프레임(1)만이 크게 휘도록 양단을 자유롭게 한 상태에서 이너 프레임(2)을 유지 프레임(1)에 부착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안경 프레임(F)의 프론트부를 구성함으로써 좌우 렌즈(L·L)의 탈착 작업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와 같이 아세테이트 수지보다 연화 온도가 높은 열가소성 수지를 이너 프레임(2)에 사용했을 경우에는 히터에 의한 코팅 벗겨짐의 문제도 해소할 수 있다.
(실시예 2)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대해서 도 6에 의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이 실시예 2에서는 유지 프레임(1)과 이너 프레임(2)의 부착 구조에 관해서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 프레임(1)의 제 1 브리지(11) 배면에 록킹 돌기(11c·11c)를 상하에 설치함과 아울러 이 록킹 돌기(11c·11c)를 삽입하는 관통 구멍(22a·32)을 이너 프레임(2)의 제 2 브리지(22)와 노즈 패드(3)에 형성하고, 도 6(b)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이너 프레임(2)과 노즈 패드(3)를 유지 프레임(1)의 배면측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했다.
(실시예 3)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대해서 도 7 및 도 8에 의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면 중 부호 4로 지시하는 것은 앞걸기 프레임이다. 이 실시예 3에서는 안경 프레임(F)의 프론트부를 양측에 템플(T·T)이 연결되고, 또한 좌우의 림(14·14)에 한 쌍의 렌즈(L·L)를 장착 가능한 유지 프레임(1)과, 이 유지 프레임(1)의 전방측에 부착되는 앞걸기 프레임(4)으로 구성하고 있다(도 7 참조).
또한, 상기 유지 프레임(1)의 제 1 브리지(11)는 실시예 1의 이너 프레임과 마찬가지로 그 상하 중앙을 한쪽 림(14) 내측으로부터 다른 쪽 림(14) 내측까지 횡방향으로 절단하고, 이 제 1 브리지(11)를 상하로 벌린 상태에서 렌즈(L·L)를 장착할 수 있게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유지 프레임(1)에 금속 프레임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상기 프론트부에는 유지 프레임(1)의 제 1 브리지(11)의 상하 각 부위와, 앞걸기 프레임(4)의 제 3 브리지(41)를 전후 방향으로 연결하는 고정 부착 수단을 각각 설치하고, 제 1 브리지(11)를 닫은 상태의 유지 프레임(1)에 선글라스 렌즈(42·42)를 구비한 앞걸기 프레임(4)을 부착시키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유지 프레임(1)의 제 1 브리지(11)와 앞걸기 프레임(4)의 제 3 브리지(41)를 고정 부착하는 수단으로서,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앞걸기 프레임(4)의 제 3 브리지(41) 배면에 고정 부착 구멍(41a)을 갖는 돌기부를 상하로 형성함과 아울러 나사(S)를 삽입하는 관통 구멍(11d)을 유지 프레임(1)의 제 1 브리지(11)에 뚫어서 형성하고, 도 8(b)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유지 프레임(1)에 앞걸기 프레임(4)을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실시예 4)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이 실시예 4에서는 좌우 양단부에 템플을 구비한 유지 프레임의 전방측에 실시예 1의 이너 프레임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지는 앞걸기 프레임을 고정시켜서 안경 프레임의 프론트 부분을 구성했다(도시하지 않음).
구체적으로는, 상기 앞걸기 프레임에 렌즈를 장착하는 좌우 림을 구비함과 아울러 이들 림을 결합하는 제 3 브리지의 대략 상하 중간 부위를 횡방향으로 절단하여 상하로 분리·접합 가능하게 함으로써 좌우의 림에 한 쌍의 렌즈를 탈착 가능하게 구성했다. 그리고, 이 제 3 브리지의 상하 각 부위와 유지 프레임의 제 1 브리지를 고정 부착 수단으로 연결했다.
본 발명은 대략 상기와 같이 구성되지만, 기재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의 기재 내에 있어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고, 예를 들면 횡단한 브리지를 상하로 벌려서 렌즈(L·L)를 장착 가능하게 하는 이너 프레임(2)이나 유지 프레임(1)에는 수지 프레임이나 금속 프레임 이외에도 목제 프레임이나 별갑(鼈甲) 프레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유지 프레임(1)과 이너 프레임(2)의 고정 부착 수단으로서는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즈 패드(3)에 형성한 상하의 돌기부(33·33)를 유지 프레임(1)의 제 1 브리지(11) 배면에 형성한 고정 부착 구멍(11a·11a)에 이너 프레임(2)의 제 2 브리지(22)의 관통 구멍(22a·22a)을 통해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또한 유지 프레임(1)과 앞걸기 프레임(4)의 고정 부착 수단으로서는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나사(S)를 삽입하는 관통 구멍(41b·11d)을 앞걸기 프레임(4)의 제 3 브리지(41)와 유지 프레임(1)의 제 1 브리지(11)에 형성하고, 이들 관통 구멍(41b·11d)에 전방측으로부터 통과시킨 나사(S)를 후방측에서 너트(N)로 고정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에서 도시한 고정 부착 수단 이외에도 이너 프레임(2)[또는 유지 프레임(1)]의 브리지에 돌기부를 형성하고, 이 돌기부를 유지 프레임(1)[또는 앞걸기 프레임(4)]의 고정 부착 구멍에 감합 가능하게 하거나, 이너 프레임(2)[또는 유지 프레임(1)]의 브리지에 고정 부착 구멍을 형성하고, 이 고정 부착 구멍에 유지 프레임(1)[또는 앞걸기 프레임(4)]의 관통 구멍에 전방측으로부터 삽입한 나사(S)를 고정 가능하게 할 수도 있고,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최근, 안경 프레임의 재료에 굽힘 강도가 우수한 폴리아미드 수지 등의 초탄성 수지를 프레임을 박형화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케이스가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풀림형 프론트 프레임에서는 연화 온도가 높은 초탄성 수지를 사용하면 히터의 가열에 의해 여러 가지 문제가 생기기 때문에 새로운 렌즈 장착 수단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한 중에서, 본 발명의 안경 프레임의 이중 프레임 연결 구조는 히터를 사용하지 않고 렌즈의 탈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또한 제조면에 있어서도 매우 편리하고 유용한 기술이기 때문에 그 산업상의 이용 가치는 매우 높다.
1 : 유지 프레임 11 : 제 1 브리지
11a : 고정 부착 구멍 11b : 오목 홈
11c : 록킹 돌기 11d : 관통 구멍
12 : 눈썹 형상부 13 : 록킹 구멍
14 : 림 2 : 이너 프레임
21 : 림 22 : 제 2 브리지
22a : 관통 구멍 23 : 훅부
3 : 노즈 패드 31 : 코 접촉부
32 : 관통 구멍 33 : 돌기부
4 : 앞걸기 프레임 41 : 제 3 브리지
41a : 고정 부착 구멍 41b : 관통 구멍
42 : 선글라스 렌즈 F : 안경 프레임
T : 템플 S : 나사
N : 너트

Claims (6)

  1. 좌우 양단부에 템플(T·T)을 구비하는 유지 프레임(1)과; 이 유지 프레임(1)의 배면측에 설치되고, 또한 유지 프레임(1)의 중간부에 위치하는 제 1 브리지(11)를 사이에 두고 상기 양단부에 연결되는 눈썹 형상부(12·12)의 하측에 오도록 좌우의 렌즈(L·L)를 장착 가능한 이너 프레임(2)을 적어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이너 프레임(2)은 렌즈(L·L)가 장착되는 림(21·21)을 좌우에 가짐과 아울러 이들 좌우 림(21·21)을 결합하는 제 2 브리지(22)의 대략 상하 중간 부위를 횡방향으로 절단하여 상하로 분리·접합 가능하게 함으로써 좌우의 림(21·21)에 한 쌍의 렌즈(L·L)를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유지 프레임(1)의 제 1 브리지(11)와 상기 이너 프레임(2)의 제 2 브리지(22)의 상하 각 부위는 고정 부착 수단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프레임의 이중 프레임 연결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좌우의 코 접촉부(31·31)를 일체로 갖는 노즈 패드(3)의 중간 연결 부위는 상기 유지 프레임(1)의 제 1 브리지(11)와 상기 이너 프레임(2)의 제 2 브리지(22)를 고정시키는 고정 부착 수단에 의해 함께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프레임의 이중 프레임 연결 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프레임(1)의 제 1 브리지(11) 배면에 상기 이너 프레임(2)의 제 2 브리지(22)를 끼워넣을 수 있는 횡방향의 오목 홈(11b)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프레임의 이중 프레임 연결 구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프레임(2)의 재료에 아세테이트 수지보다 연화 온도가 높은 열가소성 수지가 사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프레임의 이중 프레임 연결 구조.
  5. 좌우 양단부에 템플(T·T)을 구비하고, 또한 좌우에 렌즈(L·L)를 장착 가능한 유지 프레임(1)과; 이 유지 프레임(1)의 전방측에 설치되는 앞걸기 프레임(4)을 적어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유지 프레임(1)은 렌즈(L·L)가 장착되는 림(13·13)을 좌우에 가짐과 아울러 이들 좌우 림(13·13)을 결합하는 제 1 브리지(11)의 대략 상하 중간 부위를 횡방향으로 절단하여 상하로 분리·접합 가능하게 함으로써 좌우의 림(13·13)에 한 쌍의 렌즈(L·L)를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앞걸기 프레임(4)의 제 2 브리지(41)와 상기 유지 프레임(1)의 제 1 브리지(11)의 상하 각 부위는 고정 부착 수단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프레임의 이중 프레임 연결 구조.
  6. 좌우 양단부에 템플을 구비하는 유지 프레임과; 이 유지 프레임의 전방측에 설치되고, 또한 좌우의 렌즈를 장착 가능한 앞걸기 프레임을 적어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앞걸기 프레임은 렌즈가 장착되는 좌우 림을 가짐과 아울러 이들 림을 결합하는 제 3 브리지의 대략 상하 중간 부위를 횡방향으로 절단하여 상하로 분리·접합 가능하게 함으로써 좌우의 림에 한 쌍의 렌즈를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유지 프레임의 제 1 브리지와 상기 앞걸기 프레임의 제 3 브리지의 상하 각 부위는 고정 부착 수단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프레임의 이중 프레임 연결 구조.
KR1020110144660A 2011-10-17 2011-12-28 안경 프레임의 이중 프레임 연결 구조 KR1012627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27991A JP5787710B2 (ja) 2011-10-17 2011-10-17 眼鏡フレームの二重枠連結構造
JPJP-P-2011-227991 2011-10-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1710A KR20130041710A (ko) 2013-04-25
KR101262774B1 true KR101262774B1 (ko) 2013-05-09

Family

ID=48061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4660A KR101262774B1 (ko) 2011-10-17 2011-12-28 안경 프레임의 이중 프레임 연결 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787710B2 (ko)
KR (1) KR101262774B1 (ko)
CN (1) CN10304880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5818A (ko) * 2020-04-09 2021-10-19 김승준 고도수용 안경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73063A1 (en) * 2013-11-15 2015-05-21 Alpha Primitus, Inc. Lens carrier
JP6318032B2 (ja) * 2014-07-10 2018-04-25 株式会社エニックス メガネにおけるフロント枠取替え機構
US9606372B2 (en) * 2014-09-11 2017-03-28 Davesh, LLC. Eyewear with multi-function insert chassis clips
JP6529067B2 (ja) * 2015-02-13 2019-06-12 信行 玉村 眼鏡前枠におけるリムの取付構造
DE102016203431A1 (de) 2015-03-06 2016-09-08 Robert Bosch Gmbh Akkupack für eine Handwerkzeugmaschin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Akkupacks für eine Handwerkzeugmaschine
CN108089326B (zh) * 2018-02-01 2023-12-26 北京七鑫易维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适配于与眼镜使用的装置
CN109031691B (zh) * 2018-07-26 2020-04-03 浙江通达光学有限公司 一种金胶混合眼镜架及其夹口加工工艺
JP7149630B2 (ja) 2021-01-14 2022-10-07 株式会社G.A.Yellows 樹脂リム一体型金属眼鏡フレー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5280A (ja) 2002-02-27 2003-09-10 Horikawa Inc ダブルフレーム眼鏡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84630A (en) * 1940-05-31 1942-06-02 Charles M Palmer Composite optical carrier
US3758203A (en) * 1972-01-27 1973-09-11 Halco Ind Inc Eyeglasses frame construction
FR2490834A1 (fr) * 1980-08-12 1982-03-26 Essilor Int Monture de lunettes a face amovible
JPH0134177Y2 (ko) * 1984-09-22 1989-10-18
JPH07318872A (ja) * 1994-05-26 1995-12-08 Aoyagi:Kk 多機能眼鏡
JPH10288760A (ja) * 1997-04-16 1998-10-27 Asahi Optical Co Ltd 眼鏡および眼鏡構成ユニット
BR0213987A (pt) * 2001-11-08 2004-08-31 Gary M Zelman Ëculos e aparelho para óculos
CA2467398C (en) * 2001-11-19 2007-11-06 Kbc America, Inc. Ventilated glasses with a removable pad
US20030223032A1 (en) * 2002-05-30 2003-12-04 Mario Gagnon Eyewear and system
JP2007334219A (ja) * 2006-06-19 2007-12-27 Vision Megane:Kk 眼鏡
KR101106877B1 (ko) * 2010-02-12 2012-01-25 안광남 안경 및 안경의 조립 방법
CN102073149B (zh) * 2010-12-10 2013-08-28 丹阳市鑫隆光学眼镜有限公司 框架眼镜及其加工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5280A (ja) 2002-02-27 2003-09-10 Horikawa Inc ダブルフレーム眼鏡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5818A (ko) * 2020-04-09 2021-10-19 김승준 고도수용 안경테
KR102358615B1 (ko) * 2020-04-09 2022-02-03 김승준 고도수용 안경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048801A (zh) 2013-04-17
KR20130041710A (ko) 2013-04-25
JP2013088566A (ja) 2013-05-13
JP5787710B2 (ja) 2015-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2774B1 (ko) 안경 프레임의 이중 프레임 연결 구조
KR20130041709A (ko) 안경 프레임의 렌즈 장착 구조
KR100989707B1 (ko) 무테안경용 렌즈 고정장치
JP3162774U (ja) 眼鏡構造
KR20170115721A (ko) 안경의 템플 힌지장치
EP1176453A1 (en) Glasses
US6464352B1 (en) Detachable shelter frame for mounting in front of a primary spectacle frame
US7717553B2 (en) Spectacles
US3017806A (en) Eyeglass frames of the semirimless type
JP2013213891A (ja) ツインパッドを用いた眼鏡枠のレンズ脱着構造
KR101832140B1 (ko) 안경의 템플 힌지장치
JP6560066B2 (ja) 眼鏡フレームのテンプル角度調節構造、及び眼鏡フレーム用エンドピース
JP2011209331A (ja) 眼鏡フレー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3208083U (ja) 細長い帯材でフロント部を構成したメガネフレーム
CN216286024U (zh) 一种无框切边眼镜
EP1114350B1 (en) Rimless spectacles with blanked metallic parts
KR20110117849A (ko) 금속안경의 힌지 제조방법 및 그 힌지
KR200323184Y1 (ko) 교환 가능한 정면 렌즈 홀더용 활 형상 프레임 및 지지클립을 갖는 안경 조립체
JP6039851B1 (ja) 眼鏡
JP3058665U (ja) 縁無眼鏡枠基材及びそれを用いた縁無眼鏡枠
US7971992B1 (en) Eyewear with interchangeable components
JP6435121B2 (ja) 眼鏡のフロントフレーム構造
JP3029331U (ja) 眼 鏡
DK1882206T3 (en) Glasses
JP4860614B2 (ja) ストラッピングを使用せずに眼鏡レンズを対にするための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