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0167A - 전자부품 실장장치 - Google Patents

전자부품 실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0167A
KR19980070167A KR1019970069278A KR19970069278A KR19980070167A KR 19980070167 A KR19980070167 A KR 19980070167A KR 1019970069278 A KR1019970069278 A KR 1019970069278A KR 19970069278 A KR19970069278 A KR 19970069278A KR 19980070167 A KR19980070167 A KR 199800701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component
suction nozzle
mounting head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9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7437B1 (ko
Inventor
무네자네다카시
미쓰시마다카도리
후루타노보루
이즈카기미오
다나카구니오
소가도미타쓰
Original Assignee
모리시타요이찌
마쓰시타덴키산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타요이찌, 마쓰시타덴키산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시타요이찌
Publication of KR19980070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01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7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74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04Pick-and-place heads or apparatus, e.g. with jaws
    • H05K13/0408Incorporating a pick-up tool
    • H05K13/041Incorporating a pick-up tool having multiple pick-up too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04Pick-and-place heads or apparatus, e.g. with jaws
    • H05K13/0408Incorporating a pick-up too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061Tools for holding the circuit boards during processing; handling transport of printed circuit boar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061Tools for holding the circuit boards during processing; handling transport of printed circuit boards
    • H05K13/0069Holders for printed circuit boar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04Pick-and-place heads or apparatus, e.g. with jaws
    • H05K13/0411Pick-and-place heads or apparatus, e.g. with jaws having multiple mounting hea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52Mounting machines or li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tools for guiding different components to the same mounting pl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087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with signal, scale, illuminator, or optical viewer
    • Y10T29/53091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with signal, scale, illuminator, or optical viewer for work-holder for assembly or dis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174Means to fasten electrical component to wiring board, base, or substr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174Means to fasten electrical component to wiring board, base, or substrate
    • Y10T29/53178Chip compon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카세트는 전자부품을 수용한다. 제1 및 제2공급기는 카세트로부터 전자부품을 공급하도록 작동한다. 제1실장헤드는 제1공급기에 의해 공급된 전자부품을 픽업하기 위한 흡인노즐을 가진다. 제2실장헤드는 제2공급기에 의해 공급된 전자부품을 픽업하기 위한 흡인노즐을 가진다. 테이블장치는 인쇄회로기판을 지지하도록 작동한다. 제1 및 제2실장헤드는 테이블장치상의 인쇄회로기판위 영역으로 제1방향을 따라서 교대로 이동한다. 테이블장치는 제1방향에 수직인 제2방향으로 테이블장치상의 인쇄회로기판을 이동시키기 위한 기계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테이블장치는 제1 및 제2방향 둘다에 수직인 축 주위로 테이블장치상의 인쇄회로기판을 회전시키기 위한 기계장치를 포함한다. 제1실장헤드가 인쇄회로기판 위의 영역에 있으면, 제1실장헤드의 흡인노즐은 테이블장치상의 인쇄회로기판에 전자부품을 위치시킨다. 제2실장헤드가 인쇄회로기판위의 영역에 있으면, 제2실장헤드의 흡인노즐은 테이블장치상의 인쇄회로기판에 전자부품을 위치시킨다.

Description

전자부품 실장장치
본 발명의 인쇄회로기판에 전자부품을 자동적으로 실장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미심사 공개된 일본특허출원 제6-85492호는 테이프상에 적재된 전자부품(전자소자)를 처리하는 전자부품 실장장치를 기재하여 놓았다. 일본특허출원 제 6-85492호의 장치는 테이프에 적재된 전자부품을 하나씩 공급하기 위한 카세트를 가지는 전자부품공급기를 포함한다. 또한 일본특허출원 제6-85492호의 장치는 반송테이프로부터 전자부품(전자소자)을 하나씩 픽업하기 위한 흡인노즐이 구비된 실장헤드를 포함한다. 흡인노즐은 픽업된 전자부품을 지지한다. 실장헤드는 제1구동축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제1구동축은 제2구동축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구동축과 제2구동축은 서로에 대해 수직이다. 실장헤드는 서로 수직인 X방향과 Y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흡인노즐과 실장헤드는 전자부품공급기로부터 전자부품을 하나씩 수용하여, 인쇄회로기판에 대해 지정된 위치로 각 전자부품을 반송도록 협력한다. 전자부품들은 인쇄회로기판에 하나씩 실장된다.
일본특허출원 제6-85492호의 장치는 또한 흡인노즐에 의해 지지된 전자부품의 상태를 검출하는 전자부품 인식부분을 포함한다. 특히, 전자부품 인식부분은 전자부품과 흡인노즐간의 위치적 에러를 검출한다. 검출된 위치적인 에러는 실장헤드로 인쇄회로기판에 대해 전자부품을 위치시키는 것을 교정하는데 사용된다.
일본특허출원 제6-85429호의 장치는 인쇄회로기판상에 전자부품(전자소자)을 하나씩 실장한다. 따라서, 한 전자부품을 실장하는 속도 또는 비율은 낮아지게되는 경향이 있다.
미심사 공개된 일본특허출원 제7-202491호는 원을 따라 배열된 다수의 흡인노즐을 가지는 실장헤드를 포함하는 전자부품 실장장치를 기재하였다. 실장헤드는 간헐적으로 회전된다. 흡인노즐은 전자부품 공급기에 의해 공급된 전자부품(전자소자)를 픽업한다. 흡인노즐은 픽업된 전자부품을 지지한다. 일본특허출원 제7-202491호의 장치는 또한 인쇄회로기판을 지지하는 XY테이블을 포함한다. XY테이블은 서로 수직인 X방향과 Y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은 XY테이블과 함께 이동한다. 실장헤드가 회전하게 되면, 흡인노즐에 의해 지지되는 각 전자부품은 인쇄회로기판에 대해 지정된 위치로 반송된다. 전자부품들은 인쇄회로기판상에 실장된다. 일본특허출원 제7-202491호의 장치는 각 흡인노즐에 의해 지지되는 전자부품의 상태를 검출하는 전자부품 인식부분을 포함한다.
일본특허출원 제7-202491호의 장치는 값이 비싸고 또한 부피가 크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전자부품 실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목적은 전자부품을 수용하는 카세트 ; 카세트로부터 전자부품을 공급하기 위한 제1 및 제2공급기 ; 제1공급기에 의해 공급된 전자부품을 픽업하기 위한 흡인노즐을 가지는 제1실장헤드 ; 제2공급기에 의해 공급된 전자부품을 픽업하기 위한 흡인노즐을 가지는 제2실장헤드 ; 인쇄회로기판을 지지하기 위한 테이블장치 ; 테이블장치상의 인쇄회로기판의 위치에 상응하는 영역으로 제1방향을 따라 제1 및 제2실장헤드를 택일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수단 ; 제1방향에 수직인 제2방향으로 테이블장치상의 인쇄회로기판을 이동시키기 위한, 테이블장치에 포함된 제2수단 ; 제1방향과 제2방향 둘다에 수직인 축 둘레로 테이블장치상의 인쇄회로기판을 회전시키기 위한, 테이블장치에 포함된 제3수단 ; 제1실장헤드가 그 자신의 영역에 있으면 테이블장치상의 인쇄회로기판에 제1실장헤드의 흡인노즐가 전자부품을 위치시키도록 하는 제4수단 ; 및 제2실장헤드가 그 자신의 위치에 있으면 테이블장치상의 인쇄회로기판에 제2실장헤드의 흡인노즐이 전자부품을 위치시키도록 하는 제5수단을 포함하는 전자부품 실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특징는 본 발명의 제1특징을 토대로 하고 또한 제1실장헤드의 흡인노즐이 전자부품을 픽업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제1실장헤드의 흡인노즐에 의해 지지된 전자부품의 자세를 검출하고, 또한 제1실장헤드의 흡인노즐에 의해 지지된 전자부품의 높이를 검출하기 위한 제6수단 ; 및 제2실장헤드의 흡인노즐이 전자부품을 픽업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제2실장헤드의 흡인노즐에 의해 지지된 전자부품의 자세를 검출하고, 또한 제2실장헤드의 흡인노즐에 의해 지지된 전자부품의 높이를 검출하기 위한 제7수단을 더 포함하는 전자부품 실장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3특징은 제1특징을 토대로 하고, 또한 테이블장치가 모터, 모터의 출력축에 연결된 속도감속장치, 속도감속장치에 연결되어 모터의 출력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테이블, 및 인쇄회로기판을 지지하기 위해 테이블에 연결된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전자부품 실장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4특징은 제3특징을 토대로 하고, 또한 테이블장치가 지지부재로 및 지지부재로부터 인쇄회로기판을 반송하기 위한 수단과 지지부재에 인쇄회로기판을 위치시키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전자부품 실장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5특징은 제1특징을 토대로 하고, 또한 테이블장치에 인쇄회로기판을 공급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 공급기와 테이블로부터 인쇄회로기판을 반송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 반송기를 더 포함하는 전자부품 실장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6특징은 제1특징을 토대로 하고, 또한 모터, 및 모터와 인쇄회로기판 공급기 사이에 연결된 출력전달 기계장치를 더 포함하는 전자부품 실장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7특징은 제5특징을 토대로 하고, 또한 인쇄회로기판 공급기가 인쇄회로기판의 양측을 각각 인도하기 위한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전자부품 실장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8특징은 제4특징을 토대로 하고, 또한 모터, 및 모터와 테이블장치내 기판을 위치시키기 위한 수단 사이에 연결된 출력전달 기계장치를 더 포함하는 전자부품 실장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9특징은 제5특징을 토대로 하고, 또한 테이블장치위의 규정된 위치에서 인쇄회로기판 공급기에 의해 공급되는 인쇄회로기판을 정지시키기 위한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전자부품 실장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0특징은 제1특징을 토대로 하고, 또한 카세트가 벌크내에 전자부품을 수용하는 벌크형 카세트와 주어진 간격을 두고서 테이프에 부착된 칩형 전자부품을 수용하는 테이프형 카세트를 포함하는, 전자부품 실장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1특징은 제1특징을 토대로 하고, 또한 제1실장헤드의 흡인노즐이 제1공급기에 의해 공급된 전자부품을 픽업하는 동안 제2실장헤드의 흡인노즐이 테이블장치상의 인쇄회로기판에 전자부품을 위치시키고 또한 제2실장헤드의 흡인노즐이 제2공급기에 의해 공급된 전자부품을 픽업하는 동안 제1실장헤드의 흡인노즐은 테이블장치상의 인쇄회로기판에 전자부품을 위치시키는, 전자부품 실장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2특징은 제1특징을 토대로 하고, 또한 제1 및 제2실장헤드의 흡인노즐이 카세트로부터 전자부품의 공급의 경로 사이의 피치에 상응하는 피치를 두고서 배열되는, 전자부품 실장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3특징은 제1특징을 토대로 하고, 또한 제1 및 제2실장헤드 각각이 모터, 모터의 출력축에 연결된 캠부재, 캠부재를 결합시키는 캠 팔로워(cam follower), 캠 팔로워에 연결되어 흡인노즐을 지지하는 플레이트, 모터의 출력축이 회전함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되는 흡인노즐을 포함하는, 전자부품 실장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4특징은 제13특징을 토대로 하고, 또한 캠부재에 대해 모터의 출력축의 회전범위를 제어함으로써 흡인노즐의 하한 한계위치를 가변시키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전자부품 실장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5특징은 제13특징을 토대로 하고, 또한 흡인노즐이 그들의 상한 한계위치와 그들의 하한 한계위치에 가까이에 가면 흡인노즐의 이동속도가 감소되는, 전자부품 실장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6특징은 제13특징을 토대로 하고, 또한 모터의 출력축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전자부품 실장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7특징은 제1특징을 토대로 하고, 또한 제1실장헤드의 흡인노즐을 동시에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한 수단과, 제2실장헤드의 흡인노즐을 동시에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전자부품 실장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8특징은 제1특징을 토대로 하고, 또한 상이한 타이밍에서 제1실장헤드의 흡인노즐을 순차적으로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한 수단, 및 상이한 타이밍에서 제2실장헤드의 흡인노즐을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전자부품 실장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9특징은 제1특징을 토대로 하고, 또한 제1실장헤드의 흡인노즐중에서부터 적어도 하나의 흡인노즐을 선택하기 위한 제6수단 ; 선택된 제1실장헤드의 흡인노즐을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한 제7수단 ; 제2실장헤드의 흡인노즐중에서부터 적어도 하나의 흡인노즐을 선택하기 위한 제8수단 ; 및 선택된 제2실장헤드의 흡인노즐을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한 제9수단을 더 포함하는 전자부품 실장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0특징은 제19특징을 토대로 하고, 또한 제6수단에 의해 선택되지 않은 제1실장헤드의 흡인노즐들이 제7수단에 의해 상승 및 하강되는 것을 방지시키기 위한 제10수단 ; 및 제8수단에 의해 선택되지 않은 제2실장헤드의 흡인노즐들이 제9수단에 의해 상승 및 하강되는 것을 방지시키기 위한 제11수단을 더 포함하는 전자부품 실장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1특징은 제13특징을 토대로 하고, 또한 흡인노즐을 하방으로 밀치기 위해 제1 및 제2실장헤드의 흡인노즐에 연결된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전자부품 실장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2특징은 제1특징을 토대로 하고, 또한 각 전자부품이 관련된 제1실장헤드의 흡인노즐에 의해 정상적으로 지지되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제6수단 ; 관련 흡인노즐에 의해 정상적으로 지지되지 않는 것으로 제6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전자부품들을 관련 흡인노즐로부터 제거시키기 위한 제7수단 ; 전자부품들이 제2실장헤드의 관련 흡인노즐에 의해 정상적으로 지지되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제8수단 ; 및 관련 흡인노즐에 의해 정상적으로 지지되지 않는 것으로 제8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전자부품들을 관련 흡인노즐로부터 제거시키기 위한 제9수단을 더 포함하는 전자부품 실장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실장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전자부품 실장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전자부품 실장장치의 상면도.
도 4는 도 1의 전자부품 실장장치의 전자부품 인식부분의 정면도.
도 5는 도 4의 전자부품 인식부분의 측면도.
도 6은 도 1의 전자부품 실장장치의 테이블장치의 사시도.
도 7은 명료성을 위해 부재가 절개된, 도 6의 테이블장치의 일부의 사시도.
도 8은 도 6의 테이블장치의 정면도.
도 9는 도 1의 전자부품 실장장치의 언로더의 상면도.
도 10은 도 1의 전자부품 실장장치의 구동기계장치의 제1부분의 정면도.
도 11은 도 10의 구동기계장치의 제2부분의 정면도.
도 12는 도 1의 전자부품 실장장치의 반송(搬送)레일과 이에 관련된 부재의 측면도.
도 13은 도 10의 상태와 상이한 상태에 있는 구동기계장치를 보여주는, 도 10과 유사한 도면.
도 14는 도 1의 전자부품 실장장치의 실장헤드의 사시도.
도 15와 16은 각각 상이한 상태에 있는 도 14의 실장헤드의 정면도.
도 17, 18 및 19는 각각 상이한 상태에 있는 도 14의 실장헤드의 측면도.
도 20은 도 14의 실장헤드의 정면도.
도 21은 도 14의 실장헤드의 활주축의 수직변위의 시간영역도.
도 22, 23, 24 및 25는 각각 상이한 상태에 있는 도 1의 전자부품 실장장치의 정면도.
도 26, 27, 28 및 29는 각각 상이한 상태에 있는 도 1의 전자부품 실장장치의 정면도.
도 30은 도 3에 도시된 상태와 상이한 상태에 있는 도 1의 전자부품 실장장치의 상면도.
도 31은 도 3에 도시된 상태와 상이한 상태에 있는 도 1의 전자부품 실장장치의 상면도.
도 3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실장장치의 실장헤드내에 있는 활주축과 흡인노즐의 단면도.
도 33은 도 32에 도시된 상태와 상이한 상태에서 활주축과 흡인노즐을 보여주는, 도 32와 유사한 도면.
도 34, 35, 36, 37 및 38은 각각 상이한 상태에 있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실장헤드와 전자부품의 도면.
도 39, 40, 41 및 42는 각각 상이한 상태에 있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실장헤드와 전자부품의 도면.
도 1, 2 및 3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전자부품 실장장치는 전자부품 공급기(2 및 3)가 제공되는 하우징형 베이스프레임(1)을 포함한다. 전자부품 공급기(2)는 나란히 배열된 한 세트의 카세트(4)를 가진다. 전자부품 공급기(2)에는 적절한 위치에 카세트(4)를 지지하는 결합부(2A)가 제공된다. 전자부품 공급기(2)내 각 카세트(4)는 전자부품 공급기(2)에 결합된 적절한 구동기계장치의 도움으로 전자부품(전자소자)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도록 설계된다. 비슷하게, 전자부품 공급기(3)는 나란히 배열된 한 세트의 카세트(4)를 가진다. 전자부품 공급기(3)에는 적절한 위치에서 카세트(4)를 지지하는 결합부(3A)가 제공된다. 전자부품 공급기(3)내 각 카세트(4)는 전자부품 공급기(3)와 결합된 적절한 구동기계장치의 도움으로 전자부품(전자소자)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도록 설계된다. 전자부품 공급기(2 및 3)는 규정된 간격을 두고서 서로 떨어져 있다. 전자부품 공급기(2 및 3)에 의한 전자부품의 공급경로는 수평면에서 Y방향을 따라 연장한다.
전자부품 공급기(2 및 3)의 카세트(4)는 벌크형 또는 테이프형이다. 벌크형 카세트(4)는 벌크내에 전자부품을 수용한다. 테이프형 카세트(4)는 주어진 간격으로 테이프에 부착된 칩형 전자부품을 수용한다.
베이스프레임(1)상에 지지된 제어기(23)는 다향한 센서의 출력신호에 응해 다양한 액츄에이터를 제어한다. 제어기(23)는 입력/출력 포트, CPU, ROM 및 RAM의 조합을 가지는 장치 또는 마이크로컴퓨터를 포함한다. 마이크로컴퓨터는 ROM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작동한다. 따라서, 제어기(23)는 프로그램에 따라 작동한다.
베이스프레임(1)상에 지지된 테이블장치(6)는 전자부품 공급기(2 및 3) 사이에 연장한다. 전자부품 인식부분(12)이 전자부품 공급기(2)와 테이블장치(6) 사이에 위치된다. 전자부품 인식부분(12)은 흡인노즐에 의해 지지된 전자부품(전자소자)의 상태를 검출하는 역할을 한다. 전자부품 인식부분(12)은 흡인노즐에 의해 지지된 전자부품의 검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전자신호를 제어기(23)에 출력한다. 전자부품 인식부분(12)은 흡인노즐에 의해 지지된 각 전자부품의, 상방으로 보았을 때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흡인노즐에 의해 지지된 각 전자부품의, 수평으로 보았을 때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또는 라인 센서)를 포함한다. 제어기(23)는 전자부품 인식부분(12)의 출력신호에 응해, 전자부품을 인식하여 전자부품들이 흡인노즐에 의해 정상적으로 지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따라서, 제어기(23)는 흡인노즐이 전자부품을 픽업하는데 실패하였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
전자부품 인식부분(13)은 전자부품 공급기(3)와 테이블장치(6) 사이에 위치된다. 전자부품 인식부분(13)은 흡인노즐에 의해 지지된 전자부품(전자소자)의 상태를 검출하는 역할을 한다. 전자부품 인식부분(13)은 흡인노즐에 의해 지지된 전자부품의 검출상태를 나타내는 전기신호를 제어기(23)로 출력한다. 전자부품 인식부분(13)은 흡인노즐에 의해 지지된 각 전자부품의, 상방으로 보았을 때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흡인노즐에 의해 지지된 각 전자부품의, 수평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또는 라인 센서)를 포함한다. 제어기(23)는 전자부품 인식부분(13)의 출력신호에 응해, 전자부품을 인식하여 전자부품들이 흡인노즐에 의해 정상적으로 지지되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 따라서, 제어기(23)는 흡인노즐이 전자부품을 픽업하는데 실패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결함부품 제거부분(17)이 테이블장치(6)와 전자부품 인식부분(12) 사이에 위치된다. 결함부품 제거부분(17)은 흡인노즐에 의해 정상적으로 지지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 또는 판명되는 전자소자를 정상적인 공급경로에서 제거하는데 사용된다. 결함부품 제거부분(18)은 테이블장치(6)와 전자부품 인식부분(13) 사이에 위치된다. 결함부품 제거부분(18)은 흡인노즐에 의해 정상적으로 지지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 또는 판명되는 전자부품을 정상적인 공급경로에서 제거하는데 사용된다.
테이블장치(6)는 테이블의 상부 표면상에 인쇄회로기판(19)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테이블장치(6)는 한쌍의 가이드레일(7)상에 활주가능하게 지지된다. 구동모터(14)의 출력축은 볼나사(5)를 통해 테이블장치(6)에 결합된다. 구동모터(14)의 출력축이 회전되면, 테이블장치(6)는 가이드레일(7)을 따라 활주하여, 수평면에서 Y방향을 따라, 즉 전자부품 공급기(2 및 3)에 의한 전자부품의 공급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구동모터(14)는 제어기(23)에 따라 제어된다. 따라서, 테이블장치(6)는 제어기(23)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실장헤드(10 및 11)는 베이스프레임(1)에 고정적으로 연결된 상부부재(상부빔)(9)의 하부표면에 제공된 가이드레일(8)에 의해 활주가능하게 지지된다. 각 실장헤드(10 및 11)는 다수의 가동 흡인노즐(가동 진공노즐 또는 가동 픽업노즐)(20)을 지지한다. 흡인노즐(20)은 제어기(23)의 출력신호에 응해 제어되는 적절한 액츄에이터에 의해, 실장헤드(10 및 11)의 몸체에 대해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다. 실장헤드(10 및 11)는 가이드레일(8)을 따라 활주될 수 있어서, 수평면에서 X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X방향은 Y방향, 즉 전자부품 공급기(2 및 3)에 의한 전자부품의 공급방향에 수직이다. 실장헤드(10 및 11)는 제어기(23)의 출력신호에 응해 제어되는 적절한 액츄에이터에 의해 구동된다. 따라서, 실장헤드(10 및 11)는 제어기(23)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실장헤드(10 및 11)는 독립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실장헤드(10)는 제어기(23)에 의해 제어되어, X방향을 따라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왕복운동한다. 실장헤드(10)가 그의 제1위치에 있으면, 실장헤드(10)상의 흡인노즐(20)은 전자부품 공급기(2)로부터 전자부품을 픽업한다. 실장헤드(10)의 제2위치는 테이블장치(6)상의 인쇄회로기판(19)의 위치에 상응한다.
실장헤드(10)상의 흡인노즐(20)은 전자부품 공급기(2)내 카세트(4)로부터 전자부품의 공급경로간의 피치에 상응하는 피치에 배열된다. 특히, 실장헤드(10)상의 흡인노즐(20)간의 피치는 전자부품 공급기(2)내 카세트(4)로부터 전자부품의 공급경로간의 피치와 동일하다. 실장헤드(10)상의 흡인노즐(20)간의 피치는 전자부품 공급기(2)내 카세트(4)로부터 전자부품의 공급경로간의 피치의 정수배와 동일할 수 있다.
실장헤드(11)는 제어기(23)에 의해 제어되어, X방향을 따라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왕복운동한다. 실장헤드(11)가 그의 제1위치에 있으면, 실장헤드(11)상의 흡인노즐(20)은 전자부품 공급기(3)로부터 전자부품을 픽업한다. 실장헤드(11)의 제2위치는 테이블장치(6)상의 인쇄회로기판(19)의 위치에 상응한다.
실장헤드(11)상의 흡인노즐(20)은 전자부품 공급기(3)내 카세트(4)로부터 전자부품의 공급경로간의 피치에 상응하는 피치에 배열된다. 특히, 실장헤드(11)상의 흡인노즐(20)간의 피치는 전자부품 공급기(3)내 카세트(4)로부터 전자부품의 공급경로간의 피치와 동일하다. 실장헤드(11)상의 흡인노즐(20)간의 피치는 전자부품 공급기(3)내 카세트(4)로부터 전자부품의 공급경로간의 피치의 정수배와 동일할 수 있다.
로더(loader)(15)는 제어기(23)에 의해 제어되어 인쇄회로기판(19)을 테이블장치(6)상으로 반송한다. 언로더(unloader)(16)는 제어기(23)에 의해 제어되어 테이블장치(6)로부터 인쇄회로기판(19)을 반송한다. 전자부품 공급기(2)내 카세트(4)는 공급장치(21)에 의해 구동된다. 전자부품 공급기(3)내 카세트(4)는 공급장치(22)에 의해 구동된다.
전자부품 인식부분(12 및 13)은 비슷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전자부품 인식부분(12)과 이에 관련된 부재들만이 상세히 설명되게 된다. 도 4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부품 인식부분(12)은 베이스프레임(1)상에 지지된 카메라(27)를 포함한다. 특히 카메라(27)는 베이스프레임(1)의 상부표면에 고정된 I-형 브래킷(25)의 측표면에 부착된다. 카메라(27)는 상방을 향한다. 카메라(27)는 렌즈통(lens barrel)(26)을 가진다. 실장헤드(10)의 몸체상에 지지된 축(24)은 실장헤드(10)의 몸체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한다. 흡인노즐(20)은 각각 축(24)에 연결된다. 흡인노즐(20)은 축(24)의 저단에서부터 하방으로 연장한다. 카메라(27)는 흡인노즐(20)에 의해 지지된 전자부품(150)의 영상을 차례로 촬영한다. 카메라(27)는 흡인노즐(20)에 의해 지지된 전자부품(150)의 영상을 나타내는 전기신호를 제어기(23)로 출력한다. 라인센서(line sensor)(28)는 I형 브래킷(25)의 상부 표면에 부착된다. 라인센서(28)는 흡인노즐(20)을 수용하기 위한 슬릿(28A)이 형성된 케이싱 또는 몸체를 가진다. 슬릿(28A)은 흡인노즐(20)의 이동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연장한다. 따라서, 흡인노즐(20)은 슬릿(28A)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라인센서(28)는 흡인노즐(20)에 의해 지지된 전자부품(150)의 높이를 차례로 검출한다. 라인센서(28)는 흡인노즐(20)에 의해 지지된 전자부품(150)의 높이를 나타내는 전기신호를 제어기(23)로 출력한다.
도 6, 7 및 8을 참조하여 보면, 테이블장치(6)는 테이블베이스(30)에 고정된 선형 가이드(31)에 의해 활주가능하게 지지되는 Y테이블(29)을 포함한다. 선형 가이드(31)는 도 1의 가이드레일(7)에 상응한다. 테이블베이스(30)는 베이스프레임(1)에 부착된다(도 2를 보라). Y-축 모터(32)의 출력축은 볼나사(33)를 통해 Y테이블(29)에 결합된다. Y-축 모터(32)는 도 3의 구동모터(14)에 상응한다. 볼나사(33)는 도 3의 볼나사(5)에 상응한다. Y-축 모터(32)의 출력축이 회전하면, Y테이블(29)은 Y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Y테이블(29)은 Y방향을 따라 전후로 이동할 수 있다. Y-축 모터(32)는 제어기(23)의 출력신호에 의해 제어된다(도 1을 보라). 따라서 Y테이블(29)은 제어기(23)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베이스테이블(30)에 부착된 센서(29)는 테이블베이스(30)에 관한 Y테이블(29)의 위치에 대한 Y원점을 검출한다. 원점센서(39)는 테이블베이스(30)에 관한 Y테이블(29)의 위치에 대한 Y원점의 정보를 포함하는 전기신호를 제어기(23)에 출력한다(도 1을 보라). Y원점 검출플레이트(40)는 Y원점에 상응하는 위치에서 Y테이블(29)에 부착된다. Y원점 검출플레이트(40)가 이동하여 원점센서(39)와 정렬되어 원점센서(39)에 의해 감지되면, 원점센서(39)의 출력신호는 테이블베이스(29)에 관한 Y테이블(29)의 위치가 Y원점과 일치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상태를 취한다.
테이블장치(6)는 감속장치(35)의 출력축에 고정된 θ프레임 또는 θ테이블(34)을 포함한다. 감속장치(35)는 Y테이블(29)에 고정된 케이싱을 가진다. 감속장치(35)의 예는 감속기어박스이다. 감속장치(35)의 입력축은 Y테이블(29)에 부착된 케이싱을 가지는 θ-축 모터(36)의 출력축에 결합된다. 따라서, θ프레임(34)은 감속장치(35)를 통해 θ-축 모터(36)에 연결된다. θ-축 모터(36)의 출력축이 회전하면, θ프레임(34)은 수평면에서 Y테이블(29)에 대해 회전한다(즉, θ프레임(34)이 θ방향으로 이동한다). 특히, θ프레임(34)은 X방향과 Y방향 둘다에 대해 수직인 축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θ-축 모터(36)는 제어기(23)의 출력신호에 의해 제어된다(도 1을 보라). 따라서, θ프레임(34)은 제어기(23)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도 1을 보라). θ프레임(34)은 Y테이블(29)과 함께 Y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Y테이블(29)에 부착된 센서(37)는 Y테이블(29)에 관한 θ프레임(34)의 각위치에 대한 θ원점을 검출한다. θ프레임(34)이 Y테이블(29)에 대해 회전되면, 원점센서(37)는 Y테이블(29)에 대해 정지상태로 남아 있는다. 원점센서(37)는 Y테이블에 관한 θ프레임(34)의 각 위치에 대한 θ원점의 정보를 포함하는 전기신호를 제어기(23)(도 1을 보라)로 출력한다. θ원점 검출플레이트(38)가 θ원점에 상응하는 위치에서 θ프레임(34)에 부착된다. θ원점 검출프레이트(38)가 이동하여 원점센서(37)와 정렬되거나 또는 원점센서로 등록되어 원점센서(37)에 의해 감지되면, 원점센서(37)의 출력신호는 Y테이블(29)에 대한 θ프레임(34)의 각 위치가 θ원점과 일치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상태를 취한다.
레일프레임(rail frame)(41)은 θ프레임(34)에 고정된, 수직으로 연장하는 가이드(42)에 의해 가이드되는 동안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레일프레임(41)은 테이블베이스(30)에 고정된 케이싱을 가지는 액츄에이터 또는 실린더(43)에 의해 구동된다. 레일프레임(41)은 Y축의 원점에 상응하는 위치에서 상방과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실린더(43)는 제어기(23)(도 1을 보라)의 출력신호에 응해 제어된다. 따라서, 레일프레임(41)은 제어기(23)(도 1을 보라)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컨대, 실린더(43)는 제어기(23)(도 1을 보라)에 의해 제어되는 솔레노이드밸브에 연결되는, 기압(pneumatic)형이다.
수직으로 연장하는 백업핀(backup pin)(44)이 θ프레임(34)의 구멍내에 끼워진다. 백업핀(44)은 레일프레임(41)이 하방으로 이동할 때 인쇄회로기판(19)을 지지한다. 베어링(45)의 몸체가 레일프레임(41)에 고정된다. 고정된 반송레일(carrier rail)(47)이 각 베어링(45)에 제공된다. 벨트 가이드풀리(48)가 고정된 반송레일(47)상에 지지된다. 벨트 가이드풀리(48)는 인쇄회로기판(19)을 반송하기 위해 외부에서 인가된 동력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반송벨트(46)와 맞물린다. 반송벨트(46)가 구동되면,고정된 반송레일(47)에 의해 인도된다.
가동 반송레일(49)은 고정된 반송레일(47)과 평행하게 연장한다. 가동 반송레일(49)은 벨트 가이드풀리(48)와 정합되는 반송벨트(50)를 인도한다. 벨트 가이드풀리(48)는 가동 반송레일(49)상에 지지된다. 반송벨트(50)는 인쇄회로기판(19)을 반송하기 위해 외부적으로 인가된 동력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가동 반송레일(49)은 레일프레임(41)에 제공된 볼나사(51)와 맞물리는 너트(52)에 부착된다. 볼나사(51)가 회전되면, 가동 반송레일(49)은 고정된 반송레일(47)을 향해 또는 멀어지게 이동한다. 일반적으로, 가동 반송레일(49)의 위치는 인쇄회로기판(19)의 크기 또는 폭에 따라 조정된다. 인쇄회로기판(19)은 양측이 반송벨트(46 및 50)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동안 반송벨트(46 및 50)에 의해 반송될 수 있다.
레버(69)(도 6에 도시된 것중 하나)상에 지지된, 벨트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부재들은 고정된 반송레일(47)과 가동 반송레일(49)의 수직 이동에 따라 벨트 가이드풀리(48)와 결합되고 그리고 분리될 수 있다. 레버(69)상의 회전하는 부재가 벨트 가이드풀리(48)와 결합하면, 회전부재는 반송벨트(46 및 50)가 이동하도록 벨트 가이드풀리(48)를 회전시킨다. 레버(69)상의 회전하는 부재가 벨트 가이드풀리(48)에서 분리되면, 벨트 가이드풀리(48)는 회전력에서부터 해제된다. 그러므로, 벨트 가이드풀리(48)가 정지하고 또한 반송벨트(46 및 50)가 정지한다.
볼나사(51)는 고정된 반송레일(47)과 가동 반송레일(49)에 대해 수직이다. 풀리(53)들은 각각 볼나사(51)의 단부에 부착된다. 풀리(53)들은 타이밍벨트(54)에 의해 연결된다. 따라서, 볼나사(51)는 풀리(53)와 타이밍벨트(54)의 조합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볼나사(51)중 하나가 회전되면, 다른 볼나사(51)가 또한 회전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베어링(45)의 몸체들은 레일프레임(41)에 고정된다. 축(55)은 베어링(45)에 의해 회전되게 지지된다. 로케이팅레버(Locating lever)(57, 58 및 59)들은 축(55)상에 지지된다. 로케이팅레버(57, 58 및 59)는 인쇄회로기판(19)을 위치시키기 위한 핀(56)을 가진다. 로케이팅레버(57 및 58)는 축(55)에 고정된다. 로케이팅레버(57 및 58)는 인쇄회로기판(19)을 위치시키기 위한 기준을 제공한다. 축(55)에 대한 로케이팅레버(59)의 위치는 조정될 수 있다. 로케이팅레버(59)의 위치는 인쇄회로기판(19)의 크기에 따라 설정된다.
제어레버(60)는 축(55)의 우측단에 고정된다. 레일프레임(41)이 상승위치에 있으면, 제어레버(60)는 외부 동력전달부재(61)에 의해 구동되거나 또는 회전될 수 있다. 외부 동력전달부재(61)는 제어기(23)(도 1)의 출력신호에 응해 제어되는 액츄에이터 또는 실린더(참조번호가 없음)와 연결된다. 따라서, 제어레버(60)와 외부 동력전달부재(61)는 제어기(23)(도 1)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어레버(60)가 외부 동력전달부재(61)에 의해 회전되면, 로케이팅핀(57, 58 및 59) 또한 회전되어, 따라서 인쇄회로기판(19)을 놓는다. 장력스프링(tension spring)(62)이 제어레버(60)에 연결된다. 제어레버(60)가 외부 동력전달부재(61)에서 분리되면, 장력스프링(62)은 제어레버(60)를 그의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동시에, 로케이팅레버(57, 58 및 59)는 인쇄회로기판(19)을 지지하는 그들의 원래 위치로 복귀된다.
검출플레이트(63)가 제어레버(60)에 부착된다. 검출플레이트(63)는 다른 유닛에 제공된 센서(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이 센서는 제어레버(60)의 위치정보, 즉 로케이팅레버(57, 58 및 59)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전기신호를 제어기(23)(도 1)로 출력한다. 이 정보는 인쇄회로기판(19)이 로케이팅레버(57 ,58 및 59)에 의해 지지되는지 또는 레버로부터 분리되었는 지를 나타낸다.
스토퍼(64)는 베이스프레임(1)(도 1)에 고정된 지지프레임(67)에 회전되게 제공된다. 스토퍼(64)는 핀(66)을 통해 지지프레임(67)에 연결된 케이싱을 가지는 액츄에이터 또는 실린더(65)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스토퍼(64)는 도 6의 화살표 A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실린더(65)는 제어기(23)(도 1)의 출력신호에 응해 제어된다. 따라서, 스토퍼(64)는 제어기(23)(도 1)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컨대, 실린더(65)는 제어기(23)(도 1)에 의해 제어되는 솔레노이트밸브에 연결되는 기압형이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19)은 반송벨트(46 및 50)에 의해 반송된다. 스토퍼(64)는 규정된 위치에서 인쇄회로기판(19)을 정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지지프레임(67)에 부착된 센서(68)는 인쇄회로기판(19)이 규정된 위치에 존재하는 지 여부를 검출하는 역할을 한다. 센서(68)의 출력신호는 제어기(23)(도 1)에 공급된다.
앞서 지적된 바와 같이, 제어기(23)(도 1)는 프로그램에 따라 작동한다. 프로그램은 테이블장치(6)상의 인쇄회로기판에 전자부품을 위치시키기 위한 또는 실장시키기 위한 NC(numerical control : 수치제어)부분을 가진다. 또한 프로그램은 테이블장치(6)를 제어하기 위한 부분을 가진다. 프로그램의 테이블 제어부분에 따라, 테이블장치(6)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전자부품이 인쇄회로기판에 위치되거나 또는 실장된 후에, 제어기(23)는 Y테이블(29)과 θ프레임(34)이 그들의 원점에 상응하는 위치로 복귀되도록, 센서(37 및 39)의 출력신호에 응해 Y-축 모터(32)와 θ-축 모터(36)를 제어한다. 계속하여, 제어기(23)는 레일프레임(41)이 상승되도록 실린더(43)를 제어한다. 따라서, 고정된 반송레일(47)과 가동 반송레일(49)에 의해 인도된 반송벨트(46 및 50)의 상부 표면은 테이블장치(6)의 좌측과 우측에 위치되는 인쇄회로기판(19)용 로더(15)와 언로더(16)(도 1, 2 및 3을 보라)의 실효면과 높이가 동일한 위치로, 상방으로 이동한다. 그런 다음, 제어기(23)는 제어레버(60)가 외부 동력전달부재(61)에 의해 회전되도록 외부 동력전달부재(61)를 제어한다. 따라서, 인쇄회로기판(19)은 로케이팅레버(57, 58 및 59)로부터 방출된다.
레일프레임(41)이 상승되면, 벨트 가이드풀리(48)는 레버(69)상의 회전부재와 결합되어, 벨트 가이드풀리(48)는 레버(69)상의 회전부재의 회전에 따라 회전한다. 따라서, 반송벨트(46 및 50)는 인쇄회로기판(19)이 규정된 위치에서부터 반송되도록 이동한다. 센서(68)가 제어기(23)에 인쇄회로기판(19)이 규정된 위치에 없다는 것을 고지하면, 제어기(23)는 스토퍼(64)가 인쇄회로기판(19)의 공급경로에 들어가도록 실린더(65)를 제어한다.
다음에, 반송벨트(46 및 50)에 새로운 인쇄회로기판(19)이 로더(15)(도 1, 2 및 3)에 의해 적재된다. 새로운 인쇄회로기판(19)이 반송벨트(46 및 50)에 의해 이동되면, 새로운 인쇄회로기판(19)은 스토퍼(64)와 만나게 되어, 규정된 위치에서 정지한다. 새로운 인쇄회로기판(19)이 규정된 위치에 도달하면, 센서(68)는 새로운 인쇄회로기판(19)이 규정된 위치에 존재한다는 것을 검출한다. 제어기(23)는 레일프레임(41)이 하강되도록, 센서(68)의 출력신호에 응해 실린더(43)를 제어한다. 레일프레임(41)이 하강되면, 벨트 가이드풀리(48)는 레버(69)상의 회전부재와 분리된다. 따라서, 반송벨트(46 및 50)가 정지한다. 동시에, 제어기(23)는 외부 동력전달레버(61)가 제어레버(60)와 분리되도록, 센서(68)의 출력신호에 응해 외부 동력전달레버(61)를 제어한다. 따라서, 장력스프링(62)은 로케이팅레버(57, 58 및 59)가 새로운 인쇄회로기판(19)을 지지하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새로운 인쇄회로기판(19)이 적절한 위치에 위치된다. 검출플레이트(63)와 협동하는 센서는 제어기(23)에, 새로운 인쇄회로기판(19)이 적절하게 위치되었다는 것을 고지한다. 다음에, 제어기(23)는 스토퍼(64)가 그의 기본위치로 또는 비작동 위치로 복귀하도록 실린더(65)를 제어한다. 계속하여, 제어기(23)는 레일프레임(41)이 주어진 위치로 하강되도록 실리더(43)를 제어한다.
인쇄회로기판(19)이 이러한 방식으로 새로운 기판으로 교체되면, 전자부품들은 프로그램의 NC부분에 따라 새로운 인쇄회로기판(19)에 위치 또는 실장된다. 전자부품 실장프로세스 동안, 제어기(23)는 전자부품 인식부분(12 및 13)의 출력신호에 응해 흡인노즐(20)에 의해 지지되는 전자부품의 자세를 결정한다. 이외에도, 제어기(23)는 결정된 전자부품의 자세에 응해 각 전자부품에 대한 새 인쇄회로기판(19)의 위치의 교정량을 계산한다. 또한, 제어기(23)는 계산된 교정량에 따라 각 전자부품에 대해 바람직한 제2위치로 새로운 인쇄회로기판(19)의 제1위치를 교정한다. 전자부품실장 프로세스 동안, 제어기(23)는, 새로운 인쇄회로기판(19)이 각 전자부품에 대해 바람직한 제2위치에 상응하는 위치로 이동되도록 Y-축 모터(32)와 θ-축 모터(36)를 제어한다. 전자부품실장 프로세스 동안, 실장헤드(10)상의 흡인노즐(20)은 새로운 인쇄회로기판(19)상에 전자부품을 위치 또는 실장시킨다. 전자부품들이 새로운 인쇄회로기판(19)에 위치 또는 실장된 후에, 제어기(23)는 Y-테이블(29)과 θ프레임(34)을 그들의 원점에 상응하는 위치로 복귀시킨다. 이들 프로세스의 순서는 주기적으로 반복된다.
실장헤드(10 및 11)의 몸체에 대한 흡인노즐(20)의 이동은 상방과 하방으로 제한된다. 흡인노즐(20)은 회전되지 않는다. 이러한 흡인노즐(20)의 설계는 흡인노즐(20)용 베어링이 훌륭한 내구성을 가지도록 한다.
도 9를 참조하여 보면, 테이블장치(6)에서부터 인쇄회로기판(19)을 반송하기 위한 언로더(16)는 베이스프레임(1)(도 1)에 고정된 언로더 베이스(70)를 포함한다. 언로더(16)는 인쇄회로기판(19)을 반송하기 위한 고정된 반송레일(71)과 가동 반송레일(72)을 포함한다. 고정된 반송레일(71)과 가동 반송레일(72)은 언로더베이스(70)의 상부 표면에 위치된다. 고정된 반송레일(71)과 가동 반송레일(72)은 서로 평행하다. 가동 반송레일(72)은 한 쌍의 가이드레일(73)상에서 고정된 반송레일(71)을 향해 그리고 고정된 반송레일로부터 떨어지게 활주할 수 있다. 가동 반송레일(72)의 위치는 인쇄회로기판(19)의 크기 또는 폭에 따라 조정된다. 가이드레일(73)은 서로 평행하다. 구동모터(74)의 출력축은 풀리(75)와 연결된다. 풀리(76)는 언로더베이스(70)에 회전가능하게 제공된다. 풀리(75 및 76)는 벨트(77)에 의해 연결된다. 가동 반송레일(72)은 접속부재(78)로 벨트(77)에 부착된다. 풀리(75)가 구동모터(74)에 의해 회전되면, 벨트(77)가 이동하고 또한 가동 반송레일(72)이 고정된 반송레일(71)에 대해 이동한다.
고정된 반송레일(71)은 반송벨트(80)를 인도하는 역할을 한다. 반송벨트(80)는 구동기계장치(81)를 통해 모터(79)에 의해 구동된다. 이외에도, 테이블장치(6)의 고정된 반송레일과 결합된 반송벨트(46)는 구동기계장치(81)를 통해 모터(79)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가동 반송레일(72)은 반송벨트(83)를 인도하는 역할을 한다. 반송벨트(83)는 구동기계장치(84)를 통해 모터(82)에 의해 구동된다. 이외에도, 테이블장치(6)의 가동 반송레일(49)과 결합된 반송벨트(50)는 구동기계장치(84)를 통해 모터(82)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구동기계장치(81 및 84)는 비슷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구동기계장치(81)와 이에 관련된 부재들만이 상세히 설명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기계장치(81)는 모터(79)의 출력축에 부착된 롤러(85)를 포함한다. 구동기계장치(81)는 또한 벨트(86)에 의해 롤러(85)에 연결된 롤러(87)를 포함한다. 롤러(85)가 모터(79)에 의해 회전되면, 벨트(86)가 이동하고 또한 롤러(87)가 회전한다. 테이블장치(6)내 벨트 가이드풀리(48)는 롤러(87)와 결합되게 또한 결합해제되게 이동할 수 있다. 벨트 가이드풀리(48)가 롤러(87)와 결합되게 이동하면, 벨트 가이드풀리(48)는 롤러(87)의 회전에 따라 회전한다. 벨트 가이드풀리(48)가 롤러(87)와 결합해제되게 이동하면, 벨트 가이드풀리(48)는 회전력에서부터 해제되게 된다. 롤러(87)는 레버(69)상에 지지된다. 벨트 가이드풀리(48)는 롤러(87)의 수직운동, 즉 레일프레임(41)의 수직운동에 따라 롤러(87)를 향해 또한 롤러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한다. 롤러(87)가 벨트 가이드풀리(48)와 결합되면, 레버(69)에 연결된 장력스프링(87)은 롤러(87)가 벨트 가이드풀리(48)쪽으로 밀쳐지게 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기계장치(81)는 모터(79)의 출력축에 부착된 기어(89)를 포함한다. 구동기계장치(81)는 또한 기어(90)와 풀리(91)를 포함한다. 기어(90)는 기어(89)와 맞물린다. 기어(89)와 풀리(91)는 공통축에 부착된다. 반송벨트(80)는 풀리(91)와 풀리(92)에 의해 지지된다. 풀리(92)는 고정된 반송레일(71)(도 9)의 양단에 지지된다. 모터(79)에 의해 기어(89)가 E방향으로 구동되면, 기어(90)와 풀리(91)는 G방향으로 회전한다. 반송벨트(80)의 상부 부분은 풀리(91)의 회전에 따라 F방향을 따라서 이동한다.
도 9와 12를 참조하여 보면, 커다란 폭을 가지는 인쇄회로기판(19)을 위해, 풀리(75)는 구동모터(74)에 의해 A방향으로 회전되어, 벨트(77)의 상부 부분은 방향C로 이동한다. 연결부재(79)를 통해 벨트(77)의 상부 부분에 부착되는 가동 반송레일(72)은 벨트(77)의 상부 부분의 C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가이드레일(73)을 따라 고정된 반송레일(71)에서부터 떨어지게 이동한다. 작은 폭을 가지는 인쇄회로기판(19)에 대해서는, 벨트(77)의 상부 부분이 D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풀리(75)가 구동모터(74)에 의해 B방향으로 회전된다. 가동 반송레일(72)은 벨트(77)의 상부 부분의 D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가이드레일(73)을 따라서 고정된 반송레일(71)을 향해 이동한다.
인쇄회로기판(19)의 반송을 위한 시간간격 동안, 레일프레임(41)과 벨트 가이드풀리(48)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들의 상승위치에 있는다. 다른 시간간격 동안, 레일프레임(41)과 벨트 가이드풀리(48)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들의 하강위치에 있는다. 도 10과 13을 참조하여 보면, 벨트 가이드풀리(48)는, 상방으로 이동하면 구동기계장치(81)의 롤러(87)와 만난다. 레버(69)를 통해 롤러(87)에 연결된 장력스프링(88)은 벨트 가이드풀리(48)의 접촉부(48a)가 롤러(87)의 접촉부(87a)와 만날 때 롤러(87)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한다. 모터(79)가 E방향으로 롤러(85)를 회전시키면, 벨트(86)가 이동하여 롤러(87)가 회전된다. 롤러(87)의 접촉부(87a)가 벨트 가이드풀리(48)의 접촉부(48a)와 결합된 상태로 남아있으면, 벨트 가이드풀리(48)는 롤러(87)의 회전에 따라 회전된다. 테이블장치(6)내 반송벨트(46)는 벨트 가이드풀리(48)가 회전하면 이동한다.
실장헤드(10 및 11)는 비슷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실장헤드(10)와 이에 관련된 부재들만이 상세히 설명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장헤드(10)는 흡인노즐(20)을 각각 지지하는 다수의 활주축(94)을 포함한다. 활주축(94)은 선으로 배열된다. 활주축(94)은 실장헤드 프레임(95)에 고정된 홀더(96)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된다. 활주축(94)은 축방향을 따라 홀더(96)에 대해 상방으로 또한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흡인노즐(20)은 활주축(94)과 함께 수직으로 이동한다. 홀더(96)에 연결된 핀(97)은 활주축(94)과 맞물린다. 핀(97)은 활주축(94)이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실장헤드(10)는 실장헤드 프레임(95)에 고정된 케이싱을 가지는 모터(98)를 포함한다. 모터(98)는 제어기(23)(도 1)의 출력신호에 따라 제어된다. 캠(99)은 모터(98)의 출력축에 부착된다. 캠 팔로워(100)는 캠(99)과 맞물린다. 캠 팔로워(100)는 실장헤드 프레임(95)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플레이트(102)에 슬라이더(101)를 통해 연결된다. 플레이트(102)는 실장헤드 프레임(95)에 대해 상방으로 또한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플레이트(102)에 고정된 결합부재(103)는 활주축(94)의 상단부가 끼여지는 홈을 가진다. 압축스프링(104)은 활주축(94)을 하방으로 밀친다. 액츄에이터 또는 솔레노이드(105)는 블록(106)을 통해 활주축(94)의 상단부에 연결된다. 솔레노이드(105)는 제어기(23)(도 1)의 출력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도 14, 15 및 16을 참조하여 보면, 캠(99)이 모터(98)에 의해 회전되면, 캠 팔로워(100)는 하방으로 이동하고 또한 플레이트(102)도 하방으로 이동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주축(94)은 플레이트(102)가 그의 최상위 위치에 있으면, 그들의 최상위 위치에 있게 된다. 솔레노이드(105)는 솔레노이드(105)가 온 상태에 있으면, 그들의 최상위 위치에서 활주축(94)을 지지한다. 솔레노이드(105)가 오프상태에 있으면, 활주축(94)은 상방과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여 보면, 솔레노이드(105)가 오프 상태에 있는 상황에서, 플레이트(102)와 결합부재(103)가 하방으로 이동하면, 결합부재(103)가 압축스프링(104)을 하방으로 압박하여, 이에 따라 활주축(94)이 하방으로 이동한다. 도 19를 참조하여 보면, 솔레노이드(105)가 온 상태에 있는 상황하에서, 플레이트(102)와 결합부재(103)가 하방으로 이동하면, 결합부재(103)는 압축스프링(104)을 하방으로 압박하지만, 그러나 활주축(94)은 최상위 위치에 남아 있는다. 따라서, 각 활주축(94)의 하방이동(수직이동)은, 솔레노이드(105)가 각각 온 및 오프상태에 있을 때 선택으로 허용 및 금지된다. 달리 말하면, 각 활주축(94)은 관련 솔레노이드(105)를 제어함으로써 구동상태와 정지상태 사이에서 변경될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주축(94)중 임의의 하나만이 솔레노이드(105)를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흡인노즐(20)은 활주축(94)와 함께 수직으로 이동한다. 제어기(23)(도 1)는 캠(99)에 대한 모터(98)의 출력축의 회전범위를 제어함으로써 흡인노즐(20)의 하측 한계위치를 가변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솔레노이드(105)가 오프 상태에 있는 경우에, 활주축(94)은 캠(99)이 회전함에 따라 하방으로 이동한다. 도 21을 참조하며 보면, 캠(99)이 일정한 속도에서 회전하는 상황하에서, 각 활주축(94)의 하방변위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가변율로 증가한다. 캠(99)의 형상 또는 프로파일은, 활주축(94)이 그의 최상위 위치 또는 최하위 위치에 근접할 때, 활주축(94)의 수직속도가 낮아지게 되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설계는 전자부품(150)이 인쇄회로기판(19)상에 부드럽게 실장될 수 있게 한다. 캠(99)의 형상 또는 프로파일은 활주축(94)의 큰 평균 수직속도를 제공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활주축(94)의 하한 한계위치는 전자부품(150)의 두께에 따라 다르다. 전자부품 인식부분(12 및 13)은 제어기(23)에 전자부품(150)의 두께를 고지한다. 활주축(94)의 수직속도를 조정하기 위하여 전자부품(150)의 두께에 따라 제어기(23)가 모터(98)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활주축(94)의 수직속도의 조정에 따라, 전자부품(150)은 인쇄회로기판(19)상에 부드럽게 실장될 수 있다.
전자부품 실장장치의 전체 동작이 아래에서 설명된다. 전자부품 실장장치의 전체 동작은 제어기(23)(도 1)에 의해 제어된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장헤드(11)가 테이블장치(6)상의 인쇄회로기판(19)에 전자부품(150)을 실장하는 동안, 실장헤드(10)는 실장헤드(10)가 전자부품 공급기(2)내 카세트(4)에 관련된 규정위치로 X방향을 따라서 이동되도록 제어기(23)에 의해 제어된다. 공급장치(21)는 카세트(4)의 레버(도시되지 않음)를 작동시켜, 이에 의해 카세트의 셔터를 개방한다. 실장헤드(10)는 실장헤드의 흡인노즐(20)이 하방으로 이동하여, 셔터를 통해 카세트(4)내 전자부품(150)에 접근하도록 제어기(23)에 의해 제어된다. 실장헤드(10)의 흡인노즐(20)은 전자부품(150)을 픽업한 다음 상방으로 이동한다.
계속하여,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장헤드(10)는 실장헤드(10)가 전자부품 인식부분(12)으로 X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도록 제어기(23)에 의해 제어된다. 실장헤드(10)의 흡인노즐(20)은 전자부품(150)을 지지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전자부품 인식부분(12)은 실장헤드(10)의 흡인노즐(20)에 의해 지지된 전자부품(150)의 상태를 검출한다. 검출된 전자부품(150)의 상태는 전자부품(150)의 높이와 자세를 포함한다. 전자부품 인식부분(12)은 제어기(23)에 실장헤드(10)의 흡인노즐(20)에 의해 지지된 전자부품(150)의 검출된 상태를 고지한다. 제어기(23)는 각 전자부품(150)의 검출도한 위치와 규정된 기준위치간의 에러를 계산한다. 제어기(23)는 내부 RAM에 계산된 위치에러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장헤드(11)가 전자부품 실장프로세스를 완료한 후에, 실장헤드(11)는 실장헤드(11)가 테이블장치(6)위 위치에서부터 이동하도록 제어기(23)에 의해 제어된다. 동시에, 실장헤드(10)는 실장헤드(10)가 테이블장치(6) 위 위치로 X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도록 제어기(23)에 의해 제어된다. 각 전자부품(150)에 대해, 제어기(23)는 계산된 위치에러에 응해 테이블장치(6) 위 실장헤드(10)의 위치를 제어한다. 그런 다음, 실장헤드(10)의 흡인노즐(20)은 흡인노즐(20)이 검출된 전자부품(150)의 높이에 따른 거리만큼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제어기(23)에 의해 제어된다. 실장헤드(10)의 흡인노즐(20)은 인쇄회로기판(19)에 전자부품(150)을 위치 또는 실장시킨다. 실장헤드(10)가 전자부품 실장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동안, 실장헤드(11)는 실장헤드(11)가 전자부품 공급기(3)내 카세트(4)에 관련된 규정위치로 X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도록 제어기(23)에 의해 제어된다. 공급장치(22)는 카세트(4)의 레버(도시되지 않음)를 작동시켜, 이에 의해 카세트의 셔터가 개방된다. 실장헤드(11)는 실장헤드의 흡인노즐(20)이 하방으로 이동하여, 개방된 셔터를 통해 카세트(4)내 전자부품(150)에 접근하도록 제어기(23)에 의해 제어된다. 실장헤드(11)의 흡인노즐(20)은 전자부품(150)을 픽업한 다음 상방으로 이동한다.
계속하여,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장헤드(11)는 실장헤드(11)가 전자부품 인식부분(13)으로 X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도록 제어기(23)에 의해 제어된다. 실장헤드(11)의 흡인노즐(20)이 전자부품(150)을 지지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전자부품 인식부분(13)은 실장헤드(11)의 흡인노즐(20)에 의해 지지된 전자부품(150)의 상태를 검출한다. 검출된 전자부품(150)의 상태는 전자부품(150)의 높이와 자세를 포함한다. 전자부품 인식부분(13)은 제어기(23)에 실장헤드(11)의 흡인노즐(20)에 의해 지지된 전자부품(150)의 검출된 상태를 고지한다. 제어기(23)는 각 전자부품(150)의 검출된 위치와 규정된 기준위치간의 에러를 계산한다. 제어기(23)는 내부 RAM에 계산된 위치에러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들 프로세스의 순서는 주기적으로 반복되어, 전자부품(150)들이 실장헤드(10 및 11)에 의해 인쇄회로기판(19)상에 연속적으로 실장되게 된다. 실장헤드(10 및 11)는 교대로 전자부품 실장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실장헤드(10 및 11)의 흡인노즐(20)에 의해 부적절히 지지된 전자부품(150)은 결함부품 제거부분(17 및 18)을 통해 정상적인 공급경로에서부터 제거된다. 결함부품 제거부분(17 및 18)에 관련된 결함부품 제거프로세스는 서로 비슷하다. 따라서, 결함부품 제거부분(17)에 관련된 결함부품 제거프로세스만이 아래에서 설명되게 된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장헤드(11)가 테이블장치(6)상의 인쇄회로기판(19)에 전자부품(150)을 위치시키는 동안, 실장헤드(10)는 실장헤드(10)가 전자부품 공급기(2)내 카세트(4)에 관련된 규정위치로 X방향을 따라서 이동되도록 제어기(23)에 의해 제어된다. 공급장치(21)가 카세트(4)의 레버를 작동시켜, 이에 의해 카세트의 셔터가 개방된다. 실장헤드(10)는 실장헤드의 흡인노즐(20)이 하방으로 이동하여 개방된 셔터를 통해 카세트(4)내 전자부품(150)에 접근하게 되도록 제어기(23)에 의해 제어된다. 실장헤드(10)의 흡인노즐은 전자부품(150)을 픽업한 다음 상방으로 이동한다.
계속하여, 도 27을 참조하여 보면, 실장헤드(10)는 실장헤드(10)가 전자부품 인식부분(12)으로 X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도록 제어기(23)에 의해 제어된다. 실장헤드(10)의 흡인노즐(20)이 전자부품(150)을 지지하게 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전자부품 인식부분(12)은 실장헤드(10)의 흡인노즐(20)에 의해 지지된 전자부품(150)의 상태를 검출한다. 검출된 전자부품(150)의 상태는 전자부품(150)의 높이와 자세를 포함한다. 전자부품 인식부분(12)은 제어기(23)에 실장헤드(10)의 흡인노즐(20)에 의해 지지된 전자부품(150)의 검출된 상태를 고지한다. 제어기(23)는 전자부품(150)의 검출된 상태에 응해 실장헤드(10)의 흡인노즐(20)이 전자부품(150)을 지지하는 것을 실패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실장헤드(10)의 흡인노즐(20)이 전자부품(150)을 지지하는데 실패를 하였다고 결정되면, 실장헤드(10)는 실장헤드(10)가 전자부품 인식부분(12)에서 전자부품 공급기(2)내 카세트(4)에 관련된 규정위치로 복귀하도록 제어기(23)에 의해 제어된다. 그런 다음, 실장헤드(10)는 실장헤드(10)가 전자부품 공급기(2)내 카세트(4)에서부터 전자부품(150)을 픽업하는 프로세스를 반복하도록 제어기(23)에 의해 제어된다. 계속하여, 실장헤드(10)는 실장헤드(10)가 전자부품 인식부분(12)으로 다시 이동하도록 제어기(23)에 의해 제어된다. 전자부품 인식부분(12)은 실장헤드(10)의 흡인노즐(20)에 의해 지지된 전자부품(150)의 상태를 검출한다. 실장헤드(10)의 흡인노즐(20)이 전자부품(150)을 지지하는데 실패를 하는 한, 이들 프로세스의 순서는 주기적으로 반복되고 그리고 제어기(23)는 반복 횟수를 계수한다. 반복횟수가 규정된 횟수에 도달하게 되면, 제어기(23)는 디스플레이에 메시지를 나타낸다. 이 메시지를 전자부품(150)이 떨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어기(23)는 전자부품(150)의 검출된 상태에 응해 각 전자부품(150)이 실장헤드(10)의 흡인노즐(20)에 의해 정상적으로 지지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전자부품(150)중 적어도 하나가 관련된 실장헤드(10)의 흡인노즐(20)에 의해 정상적으로 지지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면, 실장헤드(10)는 실장헤드(10)가 비정상적으로 지지된 전자부품(150)을 결함부품 제거부분(17)으로 방출하도록 제어기(23)에 의해 제어된다. 계속하여, 실장헤드(10)는 실장헤드(10)가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부품 공급기(2)내 카세트(4)에 관련된 규정위치로 복귀하도록 제어기(23)에 의해 제어된다. 이외에도, 실장헤드(10)는 실장헤드(10)의 언로드된 흡인노즐(20)이 전자부품 공급기(2)내 카세트(4)로부터 전자부품(150)을 픽업하는 프로세스를 반복하도록 제어기(23)에 의해 제어된다. 그런 다음, 실장헤드(10)는 실장헤드(10)가 전자부품 인식부분(12)으로 다시 이동하도록 제어기(23)에 의해 제어된다. 전자부품 인식부분(12)은 실장헤드(10)의 흡인노즐(20)에 의해 지지된 전자부품(150)의 상태를 검출한다.
전자부품 실장프로세스 동안, 실장헤드(10)상의 각 전자부품(150)과 테이블장치(6)상의 인쇄회로기판(19)간의 상대 위치는 다음과 같이 미세하게 제어 또는 조정된다. 도 30을 참조하여 보면, 전자부품 인식부분(12)은 실장헤드(10)의 흡인노즐(20)에 의해 지지된 전자부품(150)의 상태를 검출한다. 검출된 전자부품(150)의 상태는 전자부품(150)의 높이와 자세를 포함한다. 전자부품 인식부분(12)은 제어기(23)에 실장헤드(10)의 흡인노즐(20)에 의해 지지된 전자부품(150)의 검출된 상태를 고지한다. 제어기(23)는 검출된 각 전자부품(150)의 위치와 규정된 기준위치간의 에러를 계산한다. 계산된 위치에러는 X방향, Y방향, 및 θ방향에 관련된 성분을 가진다. 제어기(23)는 내부 RAM에 계산된 위치에러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장헤드(10)는 실장헤드(10)가 테이블장치(6) 위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기(23)에 의해 제어된다. 각 전자부품(150)에 대해, 제어기(23)는 계산된 위치에러의 X-방향 요소에 응해 테이블장치(6) 위에서 실장헤드(10)의 위치를 미세하게 제어한다. 이외에도, 제어기(23)는 계산된 위치에러의 Y-방향 성분에 따라 테이블장치(6)의 Y테이블(29)의 위치를 미세하게 제어한다. 게다가, 제어기(23)는 계산된 위치에러의 θ-방향성분에 응해 테이블장치(6)의 θ프레임(34)의 위치를 미세하게 제어한다. 따라서, 실장헤드(10)의 흡인노즐(20)에 의해 지지된 각 전자부품(150)의 위치에러가 교정된다. 비슷하게, 실장헤드(11)의 흡인노즐(20)에 의해 지지된 전자부품(150)의 위치에러가 교정된다.
제2실시예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이후에 지적되는 설계변경을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와 비슷하다.
도 32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활주축(94)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흡인노즐(20)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흡인노즐(20)은 활주축(94)과 함께 이동한다. 흡인노즐(20)은 활주축(94)에 대해 축방향으로 또는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다. 활주축(94)의 공간내에 배설된 압축스프링(107)은 흡인노즐(20)을 활주축(94)에 대해 하방으로 밀친다.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인노즐(20)은 압축스프링(107)의 힘에 반대해 활주축(94)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이 설계는, 흡인노즐(20)이 전자부품(150)과 조우할 때 충격을 흡수하는데 장점이 있다.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이한 전자소자(전자부품)(150A, 150B 및 150C)의 상부 표면은 상이한 높이 위치에 있다. 특히, 전자소자(150A)의 상부 표면은 가장 높은 위치에 있다. 전자소자(150B)의 상부 표면은 두 번째로 높은 위치에 있다. 전자소자(150C)의 상부 표면은 가장 낮은 위치에 있다.
제어기(23)(도 1)는 전자부품의 높이에 따라 전자소자(150A, 150B 및 150C)를 그룹으로 분리한다. 각 그룹의 전자소자의 상부 표면의 높이 위치간의 차이는 활주축(94)에 대한 흡인노즐(20A, 20B 및 20C)의 수직변위보다 작다. 전자부품(150A, 150B)은 제1그룹이고 그리고 전자부품(150C)는 제2그룹이다.
먼저, 제어기(23)(도 1)는 제1그룹의 전자소자(150A, 150B)의 상부 표면의 높이 위치에서 가장 낮은 위치에 따라 흡인노즐(20A, 20B)의 하한 한계위치를 설정한다. 특히, 흡인노즐(20A, 20B)의 하한 한계위치는 전자부품(150B)의 상부 표면의 높이 위치에 따라 설정된다. 제어기(23)(도 1)는,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소자(150C)에 관련된 흡인노즐(20C)이 그의 최상위 위치에 남아있는 동안 제1그룹의 전자소자(150A, 150B)에 관련된 흡인노즐(20A, 20B)이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활주축(94)을 제어한다. 흡인노즐(20B)이 하한 한계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흡인노즐(20A)이 전자소자(150A)를 조우한다. 흡인노즐(20A)이 전자소자(150A)를 조우하면, 흡인노즐(20)은 스프링(107)의 힘에 반대하여 관련된 활주축(94)으로 이동을 시작한다. 따라서, 흡인노즐(20A)의 충격이 흡수될 수 있다. 그런 다음,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인노즐(20A, 20B)은 전자부품(105A, 105B)을 각각 픽업한다. 제어기(23)(도 1)는, 전자소자(150A, 150B)와 함께 흡인노즐(20A, 20B)이 상한 한계위치로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활주축(94)을 제어한다.
계속하여, 제어기(23)(도 1)는 전자소자(150C)의 상부 표면의 높이 위치에 따라 흡인노즐(20C)의 하한 한계위치를 설정한다. 제어기(23)(도 1)는, 흡인노즐(20C)이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한 한계위치로,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흡인노즐(20C)에 관련된 활주축(94)을 제어한다. 그런 다음,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인노즐(20C)은 전자소자(150C)를 픽업한다. 제어기(23)(도 1)는, 전자소자(150C)와 함께 흡인노즐(20C)이 상한 한계위치로,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활주축(94)을 제어한다. 이러한 방식에서, 전자소자(150A, 150B, 150C)는 흡인노즐(20A, 20B, 20C)에 의해 각각 픽업되어 지지된다.
제3실시예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이후에 설명되는 설계변경을 제외하고는 제2실시예와 비슷하다.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이한 유형의 전자소자(전자부품)(150A, 150B 150C)의 상부 표면은 상이한 높이 위치에 있다. 특히, 전자소자(150A)의 상부 표면은 가장 높은 위치에 있다. 전자소자(150B)의 상부 표면은 두 번째로 높은 위치에 있다. 전자소자(150C)의 상부 표면은 가장 낮은 위치에 있다.
제어기(23)(도 1)는 전자소자의 높이 위치에 따라 전자소자(150A, 150B, 150C)를 그룹으로 분류한다. 각 그룹의 전자소자의 상부 표면의 높이 위치간의 차이는 활주축(94)에 대한 흡인노즐(20A, 20B, 20C)의 수직변위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전자소자(150A, 150B)는 제1그룹인 반면, 전자소자(105C)는 제2그룹이다.
먼저, 제어기(23)(도 1)는 제1그룹의 전자소자(150A, 150B)의 상부 표면의 높이 위치에서 가장 낮은 위치에 따라 흡인노즐(2OA, 20B)의 하한 한계위치를 설정한다. 특히, 흡인노즐(20A, 20B)의 하한 한계위치는 전자소자(150B)의 상부 표면의 높이 위치에 따라 설정된다. 제어기(23)(도 1)는,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소자(150A, 150B, 150C)에 관련된 모든 흡인노즐(20A, 20B, 20C)들이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활주축(94)을 제어한다. 흡인노즐(20b)이 하한 한계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흡인노즐(20A)이 전자소자(150A)와 조우한다. 흡인노즐(20A)이 전자소자(150A)와 조우하면, 흡인노즐(20A)은 스프링(107)의 힘에 반대해 관련된 활주축(94)에 대해 이동을 시작한다. 따라서, 흡인노즐(20A)의 충격이 흡수될 수 있다. 흡인노즐(20C)이 하한 한계위치로, 하방으로 이동한다 하더라도 흡인노즐(20C)은 전자부품(150C)과 접촉하지 않은채로 남아있다.
계속하여, 제어기(23)(도 1)는 전자소자(150C)의 상부 표면의 높이 위치에 따라 흡인노즐(20C)의 하한 한계위치를 설정한다. 제어기(23)(도 1)는,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인노즐(20A, 20B)이 전자소자(105A, 150B)와 접촉하고 있는채로 남아있는 동안 흡인노즐(20C)이 하한 한계위치로,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흡인노즐(20A, 20B, 20C)에 관련된 활주축(49)을 제어한다. 이 주기동안, 전자소자(150AM 150B)와 접촉을 하고 있는 동안 흡인노즐(20A, 20B)은 스프링(107)의 힘에 반대해 관련된 활주축(94)에 대해 이동을 한다. 그런 다음,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인노즐(20A, 20B, 20C)은 전자소자(150A, 150B, 150C)를 픽업한다.
제어기(23)(도 1)는, 전자소자(150A, 150B, 150C)와 함께 흡인노즐(20A, 20B, 20C)이 상한 한계위치로,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활주축(94)을 제어한다. 이러한 방식에서, 전자소자(105A, 150B, 150C)는 흡인노즐(20A, 20B, 20C)에 의해 픽업되어 지지된다.

Claims (22)

  1. 전자부품을 수용하는 카세트 ;
    카세트로부터 전자부품을 공급하기 위한 제1 및 제2공급기 ;
    제1공급기에 의해 공급된 전자부품을 픽업하기 위한 흡인노즐을 가지는 제1실장헤드 ;
    제2공급기에 의해 공급된 전자부품을 픽업하기 위한 흡인노즐을 가지는 제2실장헤드 ;
    인쇄회로기판을 지지하기 위한 테이블장치 ;
    테이블장치상의 인쇄회로기판의 위치에 상응하는 영역으로 제1방향을 따라서 제1 및 제2실장헤드를 교대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수단 ;
    제1방향에 수직인 제2방향으로 테이블장치상의 인쇄회로기판을 이동시키기 위한, 테이블장치에 포함된 제2수단 ;
    제1방향과 제2방향 둘다에 수직인 축 둘레로 테이블장치상의 인쇄회로기판을 회전시키기 위한, 테이블장치에 포함된 제3수단 ;
    제1실장헤드가 그 자신의 영역에 있으면 테이블장치상의 인쇄회로기판에 제1실장헤드의 흡인노즐이 전자부품을 위치시키도록 하는 제4수단 ; 및
    제2실장헤드가 그 자신의 위치에 있으면 테이블장치상의 인쇄회로기판에 제2실장헤드의 흡인노즐이 전자부품을 위치시키도록 하는 제5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전자부품 실장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실장헤드의 흡인노즐이 전자부품을 픽업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제1실장헤드의 흡인노즐에 의해 지지된 전자부품의 자세를 검출하고, 또한 제1실장헤드의 흡인노즐에 의해 지지된 전자부품의 높이를 검출하기 위한 제6수단 ; 및
    제2실장헤드의 흡인노즐이 전자부품을 픽업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제2실장헤드의 흡인노즐에 의해 지지된 전자부품의 자세를 검출하고, 또한 제2실장헤드의 흡인노즐에 의해 지지된 전자부품의 높이를 검출하기 위한 제7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전자부품 실장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테이블장치가 모터, 모터의 출력축에 연결된 속도감속 장치, 속도감속장치에 연결되어 모터의 출력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테이블, 및 인쇄회로기판을 지지하기 위해 테이블에 연결된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전자부품 실장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테이블장치가 지지부재로 및 지지부재로부터 인쇄회로기판을 반송하기 위한 수단과 지지부재에 인쇄회로기판를 위치시키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전자부품 실장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테이블장치에 인쇄회로기판을 공급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 공급기와 테이블로부터 인쇄회로기판을 반송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 반송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전자부품 실장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모터, 및 모터와 인쇄회로기판 공급기 사이에 연결된 출력전달 기계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전자부품 실장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인쇄회로기판 공급기가 인쇄회로기판의 양측을 각각 인도하기 위한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전자부품 실장장치.
  8. 청구항 4에 있어서, 모터, 및 모터와 테이블장치내, 기판을 위치시키기 위한 수단 사이에 연결된 출력전달 기계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전자부품 실장장치.
  9. 청구항 5에 있어서, 또한 테이블장치 위의 규정된 위치에서 인쇄회로기판 공급기에 의해 공급되는 인쇄회로기판을 정지시키기 위한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전자부품 실장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카세트가 벌크내에 전자부품을 수용하는 벌크형 카세트와 주어진 간격을 두고서 테이프에 부착된 칩형 전자부품을 수용하는 테이프형 카세트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전자부품 실장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실장헤드의 흡인노즐이 제1공급기에 의해 공급된 전자부품을 픽업하는 동안 제2실장헤드의 흡인노즐이 테이블장치상의 인쇄회로기판에 전자부품을 위치시키고, 또한 제2실장헤드의 흡인노즐이 제2공급기에 의해 공급된 전자부품을 픽업하는 동안 제1실장헤드의 흡인노즐은 테이블장치상의 인쇄회로기판에 전자부품을 위치시키는 것이 특징인 전자부품 실장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및 제2실장헤드의 흡인노즐이 카세트로부터 전자부품의 공급의 경로 사이의 피치에 상응하는 피치를 두고서 배열되는 것이 특징인 전자부품 실장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및 제2실장헤드 각각이 모터, 모터의 출력축에 연결된 캠부재, 캠부재를 결합시키는 캠 팔로워(cam follower), 캠 팔로워에 연결되어 흡인노즐을 지지하는 플레이트, 모터의 출력축이 회전함에 따라 상승 및 하강되는 흡인노즐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전자부품 실장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캠부재에 대해 모터의 출력축의 회전범위를 제어함으로써 흡인노즐의 하한 한계위치를 가변시키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전자부품 실장장치.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흡인노즐이 그들의 상한 한계위치와 그들의 하한 한계위치에 가까이에 가면 흡인노즐의 이동속도가 감소되는 것이 특징인 전자부품 실장장치.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모터의 출력축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전자부품 실장장치.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실장헤드의 흡인노즐을 동시에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한 수단과, 제2실장헤드의 흡인노즐을 동시에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전자부품 실장장치.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이한 타이밍에서 제1실장헤드의 흡인노즐을 순차적으로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한 수단, 및 상이한 타이밍에서 제2실장헤드의 흡인노즐을 순차적으로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전자부품 실장장치.
  19.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실장헤드의 흡인노즐중에서부터 적어도 하나의 흡인노즐을 선택하기 위한 제6수단 ;
    선택된 제1실장헤드의 흡인노즐을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한 제7수단 ;
    제2실장헤드의 흡인노즐중에서부터 적어도 하나의 흡인노즐을 선택하기 위한 제8수단 ; 및
    선택된 제2실장헤드의 흡인노즐을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한 제9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전자부품 실장장치.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제6수단에 의해 선택되지 않은 제1실장헤드의 흡인노즐들이 제7수단에 의해 상승 및 하강되는 것을 방지시키기 위한 제10수단 ; 및
    제8수단에 의해 선택되지 않은 제2실장헤드의 흡인노즐들이 제9수단에 의해 상승 및 하강되는 것을 방지시키기 위한 제11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전자부품 실장장치.
  21. 청구항 13에 있어서, 흡인노즐을 하방으로 밀치기 위해 제1 및 제2실장헤드의 흡인노즐에 연결된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전자부품 실장장치.
  22. 청구항 1에 있어서,
    각 전자부품이 관련된 제1실장헤드의 흡인노즐에 의해 정상적으로 지지되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제6수단 ;
    관련 흡인노즐에 의해 정상적으로 지지되지 않는 것으로 제6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전자부품들을 관련 흡인노즐로부터 제거시키기 위한 제7수단 ;
    전자부품들이 제2실장헤드의 관련 흡인노즐에 의해 정상적으로 지지되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제8수단 ; 및
    관련 흡인노즐에 의해 정상적으로 지지되지 않는 것으로 제8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전자부품들을 관련 흡인노즐로부터 제거시키기 위한 제9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전자부품 실장장치.
KR1019970069278A 1997-01-17 1997-12-16 전자부품 실장장치 KR1002874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006015 1997-01-17
JP97-6015 1997-01-17
JP00601597A JP3339344B2 (ja) 1997-01-17 1997-01-17 電子部品装着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0167A true KR19980070167A (ko) 1998-10-26
KR100287437B1 KR100287437B1 (ko) 2001-04-16

Family

ID=11626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9278A KR100287437B1 (ko) 1997-01-17 1997-12-16 전자부품 실장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000123A (ko)
EP (1) EP0854670B1 (ko)
JP (1) JP3339344B2 (ko)
KR (1) KR100287437B1 (ko)
CN (1) CN1100478C (ko)
DE (1) DE69706515T2 (ko)
MY (1) MY117949A (ko)
SG (1) SG72767A1 (ko)
TW (1) TW36105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1326B1 (ko) * 2006-07-25 2007-10-29 삼성전기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61894A (en) * 1997-07-22 2000-05-16 Seagate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mbling disc drive motors utilizing multiposition preload/cure fixtures
JPH11251792A (ja) * 1998-03-03 1999-09-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部品装着機
JP3537682B2 (ja) * 1998-10-30 2004-06-14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インスツルメンツ マウンタの部品認識処理装置および部品認識処理方法
JP3978910B2 (ja) * 1998-12-07 2007-09-1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子部品の実装装置
JP2001044696A (ja) * 1999-08-03 2001-02-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部品実装方法
KR100311747B1 (ko) * 1999-08-20 2001-10-18 정문술 표면실장기의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
KR100328345B1 (ko) * 1999-09-01 2002-03-12 정문술 표면실장장치 및 그 실장방법
KR100310706B1 (ko) * 1999-10-15 2001-10-18 윤종용 솔더볼 어탯치 시스템 및 그에 따른 솔더볼 어탯치 방법
US6971157B1 (en) 1999-11-05 2005-12-0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WO2002013590A2 (en) * 2000-08-04 2002-02-1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for optimization of an order of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and mounter
EP1187524B1 (en) * 2000-08-29 2010-07-21 Panasonic Corporation Parts mounting method and parts mounting apparatus
JP4540838B2 (ja) * 2000-12-12 2010-09-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回路基板固定方法
EP1389410A1 (de) * 2001-05-23 2004-02-18 Siemens Aktiengesellschaft Bestücksystem und verfahren zum bestücken von substraten mit bauelementen
JP4108298B2 (ja) * 2001-07-06 2008-06-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子部品実装装置における生産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および生産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
WO2003078282A1 (de) 2002-03-15 2003-09-25 Siemens Aktiengesellschaft Breitenverstellbare fördereinrichtung zum transportieren von werkstücken
DE10235471A1 (de) * 2002-08-02 2004-02-19 Siemen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stücken von Substraten
JP3817207B2 (ja) 2002-08-21 2006-09-06 Tdk株式会社 実装処理装置及び該実装処理装置の制御装置
EP1642486A1 (en) * 2003-07-03 2006-04-05 Assembléon N.V. Component placement device
JP2005268785A (ja) * 2004-03-16 2005-09-29 Assembleon Nv 少なくとも一つのコンポーネント載置ユニットによってコンポーネントを載置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4559243B2 (ja) * 2005-01-28 2010-10-06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インスツルメンツ 電子部品の装着方法及び電子部品の装着装置
EP1911338A1 (en) * 2005-08-02 2008-04-1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Electronic component mounter and mounting method
EP1971197A3 (de) 2007-03-14 2011-01-12 Siemens Electronics Assembly Systems GmbH & Co. KG Unterstützung von zwei mit einem Doppel-Transportsystem bereitgestellten zu bestückenden Substraten mit unterschiedlicher Breite
JP2009016498A (ja) * 2007-07-03 2009-01-22 Yamaha Motor Co Ltd 部品吸着方法および表面実装機
US7644618B2 (en) * 2007-10-26 2010-01-12 The Boeing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nondestructive inspection of parts
JP4997124B2 (ja) * 2008-01-21 2012-08-08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インスツルメンツ 電子部品装着ヘッド及び電子部品装着装置
KR101308467B1 (ko) * 2009-08-04 2013-09-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부품 실장 장치 및 방법
JP5861041B2 (ja) * 2013-03-07 2016-02-1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基板搬送機構および部品実装用装置
CN104044908B (zh) 2013-03-15 2016-03-02 纬创资通(昆山)有限公司 用来自动卸载电路板的卸载系统
KR101470614B1 (ko) * 2013-05-07 2014-12-10 주식회사 큐디씨솔루션 회로기판 정렬장치
WO2014207861A1 (ja) * 2013-06-27 2014-12-31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部品実装機
TW201540627A (zh) * 2014-04-18 2015-11-01 Prov Technology Corp 具取放數量調整機構之電子元件移載裝置
CN107470905B (zh) * 2017-09-04 2023-08-01 广东信华电器有限公司 一体自动化装配软led灯带的灯管的设备及应用该设备生产具有软led灯带灯管的方法
JP2019075466A (ja) * 2017-10-16 2019-05-1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製造作業装置
CN108463101A (zh) * 2018-05-22 2018-08-28 深圳中科工控智能科技有限公司 全自动高速按键插件机
EP3906763A4 (en) * 2019-01-04 2022-03-02 Jabil Inc.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CIRCUIT BOARD CARRIER FOR AN ASSEMBLY SYSTEM
CN110381722A (zh) * 2019-07-18 2019-10-25 安徽天通精电新科技有限公司 一种自定位的贴片机及其工作方法
TWI701420B (zh) * 2019-09-11 2020-08-11 英業達股份有限公司 散熱片組裝裝置及散熱片組裝方法
CN111787781B (zh) * 2020-06-22 2021-12-03 赤壁市中亮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贴片led灯珠基板自动焊接装置
CN111970852B (zh) * 2020-08-28 2021-12-31 湖南维胜科技电路板有限公司 一种电路板生产用电子元件自动安装装置
CN114698271B (zh) * 2022-05-16 2023-05-02 四川英创力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在印制电路板双面成型高频层的成型装置及方法
CN116437577B (zh) * 2023-06-09 2023-08-22 四川英创力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印制板盲槽加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32500C2 (de) * 1984-09-17 1996-03-14 Tdk Corp Pneumatisch betätigter Bestückungskopf mit Saugkammer für eine Saugpipette
US5223528A (en) * 1986-03-17 1993-06-29 University Of Florida Anticholinergic compounds, composititons and methods of treatment
JP2503082B2 (ja) * 1989-09-05 1996-06-05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電子部品装着装置
EP0449481B1 (en) * 1990-03-19 1996-01-31 Hitachi, Ltd. Component transporting apparatus and method
JP2841845B2 (ja) * 1990-11-13 1998-12-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子部品実装装置
JP3114034B2 (ja) * 1992-06-05 2000-12-04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部品実装方法及び部品実装装置
JP2775550B2 (ja) * 1992-06-19 1998-07-16 日鉄鉱業株式会社 含アルミニウム廃硝酸の処理方法
JPH06275991A (ja) * 1993-03-23 1994-09-30 Japan Tobacco Inc ワーク実装機
JP3227881B2 (ja) * 1993-03-31 2001-11-12 ソニー株式会社 プリント配線基板搬送装置及び搬送方法
US5323528A (en) * 1993-06-14 1994-06-28 Amistar Corporation Surface mount placement system
JPH0878890A (ja) * 1994-09-06 1996-03-22 Japan Tobacco Inc 部品実装装置
JP3196626B2 (ja) * 1995-12-26 2001-08-06 ソニー株式会社 部品実装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1326B1 (ko) * 2006-07-25 2007-10-29 삼성전기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339344B2 (ja) 2002-10-28
EP0854670A1 (en) 1998-07-22
US6000123A (en) 1999-12-14
TW361056B (en) 1999-06-11
KR100287437B1 (ko) 2001-04-16
EP0854670B1 (en) 2001-09-05
MY117949A (en) 2004-08-30
JPH10209680A (ja) 1998-08-07
CN1189761A (zh) 1998-08-05
DE69706515D1 (de) 2001-10-11
DE69706515T2 (de) 2002-05-02
CN1100478C (zh) 2003-01-29
SG72767A1 (en) 2000-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7437B1 (ko) 전자부품 실장장치
EP2765843B1 (en) Substrate fixing apparatus, substrate working apparatus and substrate fixing method
US5894657A (en) Mounting apparatus for electronic component
KR100332525B1 (ko) 부품 장착 방법 및 부품 장착 장치
US6691400B1 (en) High speed electronic parts mounting apparatus having mounting heads which alternately mount components on a printed circuit board
US6729018B1 (en) Apparatus for mounting components
US8789265B2 (en)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method providing a substrate standby area
EP1189497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unting components on substrate
US6507997B2 (en) Electric-component mounting method, electric-component treating method, and electric-component mounting apparatus
US20090049681A1 (en)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and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method
KR20010114161A (ko) 부품의 장착 장치 및 장착 방법
EP1161129A2 (en) Electronic-component mounting apparatus
KR100290733B1 (ko) 표면실장기의 인쇄회로기판 평면도 보정장치
WO2007015561A1 (en) Electronic component mounter and mounting method
CN111096097B (zh) 元件安装机及元件落下的判定方法
EP2914077B1 (en) Component supply apparatus
KR101050840B1 (ko) 부품 실장기 및 그의 전자부품 픽업실장 방법
JP3883674B2 (ja) 部品供給装置
JPH0983197A (ja) 電子部品搭載装置
US20020035781A1 (en) Automatic electronic parts mounting apparatus
JPH1022693A (ja) 電子部品装着装置
KR100322964B1 (ko) 표면실장기의 부품공급장치
CN116573396B (zh) 中转机构
JP3540138B2 (ja) 部品装着装置
JP3957159B2 (ja) 実装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