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0614B1 - 회로기판 정렬장치 - Google Patents

회로기판 정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0614B1
KR101470614B1 KR1020130051552A KR20130051552A KR101470614B1 KR 101470614 B1 KR101470614 B1 KR 101470614B1 KR 1020130051552 A KR1020130051552 A KR 1020130051552A KR 20130051552 A KR20130051552 A KR 20130051552A KR 101470614 B1 KR101470614 B1 KR 101470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support
main body
support member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1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2245A (ko
Inventor
백운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큐디씨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큐디씨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큐디씨솔루션
Priority to KR1020130051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0614B1/ko
Publication of KR20140132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2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0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0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015Orientation; Alignment; Position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061Tools for holding the circuit boards during processing; handling transport of printed circuit boar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H05K13/021Loading or unloading of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회로기판 정렬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회로기판 정렬장치는, 편평하게 펴진 상태로 회로기판이 지지되고, 편평하게 펴진 회로기판이 캐리어에 부착되므로, 캐리어에 부착된 회로기판도 편평하게 펴진 상태가 된다. 그리하여, 캐리어의 정해진 부위에 정확하게 회로기판이 부착되어 정렬되기 때문에, 캐리어에 정렬된 회로기판에 부품들을 실장할 때, 부품들이 회로기판의 정해진 부위에 실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회로기판 정렬장치 {APPARATUS FOR ALIGNING CIRCUIT BOARD}
본 발명은 회로기판을 편평하게 캐리어에 부착하여 정렬할 수 있는 회로기판 정렬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통신기기 등에는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 또는 연성인쇄회로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등과 같은 회로기판이 사용되고, 회로기판에는 IC(Integrated Circuit) 등과 같은 표면실장부품이 표면실장기술(SMT: Surface Mounting Technology)에 의하여 실장된다.
회로기판에 부품을 실장함에 있어서,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복수의 회로기판을 캐리어에 정렬하고, 캐리어에 정렬된 복수의 회로기판에 부품을 실장한다.
도 1a는 종래의 회로기판 정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종래의 회로기판 정렬장치에 의하여 회로기판이 캐리어에 정렬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로서, 이를 설명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기판(50)이 탑재 지지되는 지지부재(10)가 마련되고, 지지부재(10)는 받침판(11)과 복수의 지지핀(13)을 포함한다.
지지핀(13)은 회로기판(50)의 형상에 따라 복수개가 적절하게 배치되어 지지핀군(群)을 이루면서 회로기판(50)을 지지한다. 즉, 복수의 지지핀(13)에 의하여 형성되는 하나의 상기 지지핀군에 의하여 하나의 회로기판(50)이 지지된다. 상기 지지핀군은 받침판(11)에 복수개 설치되는데, 이로 인해 복수의 회로기판(50)이 받침판(11)에 탑재 지지된다. 그리고, 하나의 상기 지지핀군에는 복수의 회로기판(50)이 적층되어 지지된다.
캐리어(20)에 회로기판(50)을 정렬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하나의 상기 지지핀군에 의하여 하나의 회로기판(50)이 지지되도록 받침판(11)의 상면에 회로기판(50)을 탑재 정렬한다. 그리고, 정렬된 각각의 회로기판(50)에 다른 회로기판(50)을 탑재하여 적층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캐리어(20)를 최상측의 회로기판(50) 상에 놓은 다음, 압착판(30)을 하강시켜 캐리어(20)를 회로기판(50)에 밀착시킨다. 그러면, 캐리어(20)에 부착된 접착제 또는 접착테이프 등과 같은 접착물질에 의하여 최상측에 위치된 회로기판(50)이 캐리어(20)에 부착되어 정렬된다. 그 후, 캐리어(20)를 다음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필요처로 이송한다.
캐리어(20) 및 압착판(30)에는 지지핀(13)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지지핀(13)이 관통하는 관통공(미도시)이 각각 형성됨은 당연하다.
회로기판(50)의 부위 중, 중요 부품이 설치된 부위는 보호막 등이 덮여 있으므로, 다른 부위 두께가 두껍다. 그리고, 연성인쇄회로기판의 경우에는 두께가 대단히 얇다.
이로 인해, 종래의 회로기판 정렬장치를 이용하여 캐리어(20)에 회로기판(50)을 정렬하였을 때,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기판(50)의 부위 중, 캐리어(20)에 접촉되지 않고 캐리어(20)와 이격된 부위가 존재하게 된다. 즉, 회로기판(50)이 캐리어(20)에 대하여 편평한 상태가 아니라, 울퉁불퉁한 상태로 부착되어 정렬된다.
그러면, 캐리어(20)에 정렬된 회로기판(50)에 부품들을 실장할 때, 부품들이 회로기판(50)의 정해진 부위에 실장되지 못하게 되므로,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회로기판을 캐리어에 편평하게 부착하여 정렬할 수 있는 회로기판 정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회로기판 정렬장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좌우방향으로 직선운동가능하게 상기 본체에 설치된 가동부재; 상기 가동부재의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가동부재와 함께 운동하며, 상면에는 복수의 회로기판이 적층되어 탑재 지지되는 제1지지부재; 상기 가동부재의 타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가동부재와 함께 운동하며, 상면에는 상기 제1지지부재에 지지된 상기 회로기판을 전달받아 탑재 지지하는 제2지지부재; 상기 본체의 상하방향으로 직선운동가능하게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지지부재가 자신의 직하방에 위치되면 하강하여 상기 제1지지부재에 지지된 최상측의 상기 회로기판을 흡착한 다음 상승한 후, 상기 제2지지부재가 자신의 직하방에 위치되면 하강하여 흡착한 상기 회로기판을 상기 제2지지부재의 상면으로 전달하는 흡착/이송부재; 상기 제2지지부재의 상면에 상기 회로기판이 탑재 지지되면, 상기 회로기판을 덮는 형태로 상기 제2지지부재의 상면에 탑재되는 캐리어; 및 상기 본체의 상하방향으로 직선운동가능하게 상기 본체의 타측에 설치되며, 자신의 직하방에 상기 제2지지부재가 위치되고 상기 제2지지부재에 상기 캐리어가 탑재되면, 상기 캐리어를 상기 제2지지부재측으로 압착하여 상기 캐리어에 부착된 접착물질에 상기 회로기판이 부착되게 하는 압착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회로기판 정렬장치는, 편평하게 펴진 상태로 회로기판이 지지되고, 편평하게 펴진 회로기판이 캐리어에 부착되므로, 캐리어에 부착된 회로기판도 편평하게 펴진 상태가 된다. 그리하여, 캐리어의 정해진 부위에 정확하게 회로기판이 부착되어 정렬되기 때문에, 캐리어에 정렬된 회로기판에 부품들을 실장할 때, 부품들이 회로기판의 정해진 부위에 실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종래의 회로기판 정렬장치의 정면도.
도 1b는 종래의 회로기판 정렬장치에 의하여 회로기판이 캐리어에 정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 정렬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저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 정렬장치에 사용되는 캐리어의 사시도.
도 6a 내지 도 6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 정렬장치의 동작을 보인, 도 2의 정면도.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여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도록 충분히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상호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특정 구조 및 특정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의 길이, 면적, 두께 및 형태는, 편의상,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 정렬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 정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 정렬장치는 본체(110)를 포함한다. 본체(110)의 하측 부위에는 전면이 개방된 소정 공간이 형성되고, 상측 부위에는 밀폐된 소정 공간이 형성된다.
본체(110)의 하측 부위 공간 하면에는 직사각판 형상의 가동부재(120)가 설치된다. 가동부재(120)는 본체(110)의 좌우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본체(110)의 좌우방향으로 직선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본체(110)의 하면 및 가동부재(120)의 하면에는 상호 슬라이딩가능하게 삽입 결합되어 가동부재(120)의 운동을 안내하는 안내레일(131) 및 안내블럭(135)이 각각 설치될 수 있다.
가동부재(120)의 좌측 부위 상면에는 가동부재(120)와 함께 운동하는 제1지지부재(14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지지부재(140)는 받침판(140a)과 복수의 지지핀(140b)을 가지며, 회로기판(50)이 탑재 지지된다. 제1지지부재(140)가 가동부재(120)에 착탈될 수 있도록, 받침판(140a) 및 가동부재(120)에는 상호 반대 극성을 가지는 마그네트(미도시)가 상호 대응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받침판(140a)의 하면 및 가동부재(120)의 상면에는 상호 삽입 결합되는 결합홈(141) 및 결합돌기(122)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141) 및 결합돌기(122)는 가동부재(120)에 결합되는 제1지지부재(140)의 위치를 표시한다. 제1지지부재(140)에 결합돌기(122)가 형성되고, 가동부재(120)에 결합홈(141)이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지지핀(140b)은 회로기판(50)의 형상에 따라 복수개가 적절하게 배치되어 지지핀군(群)을 이루면서 회로기판(50)을 지지한다. 상기 지지핀군의 구성은 종래의 회로기판 정렬장치에서 설명한 지지핀군의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하다.
상기 지지핀군은 받침판(140a)에 복수개 설치되므로, 복수의 회로기판(50)이 받침판(140a)에 탑재 지지된다. 그리고, 하나의 상기 지지핀군에는 복수의 회로기판(50)이 적층되어 지지된다. 그러므로, 회로기판(50)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제1지지부재(140)의 상면에 복수개가 탑재 지지되고, 정면에서 보았을 때 각 회로기판(50)은 상하로 적층되어 제1지지부재(140)에 지지된다.
본체(110)의 상측 부위 하면 좌측 부위에는 흡착/이송부재(150)가 본체(110)의 상하방향으로 직선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흡착/이송부재(150)는 가동부재(120)의 운동에 의하여 제1지지부재(140)가 자신의 직하방에 위치되면 하강하여, 제1지지부재(140)에 지지된 최상측의 회로기판(50)을 흡착한 후 상승한다. 그리고, 흡착/이송부재(150)는 후술한 제2지지부재(160)가 자신의 직하방에 위치되면 하강하여 흡착한 회로기판(50)을 제2지지부재(160)의 상면으로 전달한다.
흡착/이송부재(150)는 지지판(151)과 지지판(151)의 하면에 형성되며 복수의 회로기판(50)을 각각 흡착하는 복수의 흡착관(153)을 포함할 수 있다. 흡착관(153)이 회로기판(50)을 흡착할 수 있도록, 지지판(151)의 내부에는 일측은 감압부(미도시)와 연통되고 타측은 흡착관(153)과 연통된 유로(150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감압부는 진공펌프 등으로 마련되어 유로(150a)와 흡착관(153)의 내부를 감압한다.
흡착관(153)이 회로기판(50)을 견고하게 흡착하기 위해서는, 흡착/이송부재(150)가 하강하여 흡착관(153)의 단부가 회로기판(50)에 접촉되었을 때, 흡착관(153)의 단부와 회로기판(50) 사이가 실링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흡착관(153)에는 탄성을 가진 연성관(155)이 흡착관(153)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연성관(155)의 단부는 회로기판(50)과 접촉하여 회로기판(50)에 밀착된다. 탄성을 가진 연성관(155)이 회로기판(50)과 접촉하므로, 회로기판(50)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흡착/이송부재(150)는 본체(110)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제1승강판(157)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흡착/이송부재(150)를 제1승강판(157)에 착탈하기 위하여, 흡착/이송부재(150)의 지지판(151)과 제1승강판(157)에는 상호 반대극성의 마그네트가 대응되게 설치될 수 있다.
가동부재(120)의 우측 부위 상면에는 가동부재(120)와 함께 운동하는 제2지지부재(16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지지부재(160)는 흡착/이송부재(150)로부터 회로기판(50)을 전달받아 지지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가동부재(120)의 운동에 의하여 제2지지부재(160)가 흡착/이송부재(150)의 직하방에 위치되면, 흡착/이송부재(150)가 하강하여 흡착한 회로기판(50)을 제2지지부재(160)의 상면에 탑재하고, 제2지지부재(160)는 흡착/이송부재(150)로부터 회로기판(50)을 전달받아 지지한다. 흡착/이송부재(150)가 회로기판(50)을 제2지지부재(160)의 상면으로 전달할 때, 상기 감압부가 정지되어, 흡착/이송부재(150)의 유로(150a) 및 흡착관(153)의 내부는 상압의 상태로 상승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제2지지부재(160)는 받침판(160a)과 복수의 지지핀(160b)을 가진다. 제2지지부재(160)가 가동부재(120)에 착탈될 수 있도록, 받침판(160a) 및 가동부재(120)에는 상호 반대 극성을 가지는 마그네트(미도시)가 상호 대응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받침판(160a)의 하면 및 가동부재(120)의 상면에는 상호 삽입 결합되는 결합홈(161) 및 결합돌기(124)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161) 및 결합돌기(12)는 가동부재(120)에 결합되는 제2지지부재(160)의 위치를 표시한다. 제2지지부재(160)에 결합돌기(124)가 형성되고, 가동부재(120)에 결합홈(161)이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제2지지부재(160)의 구성은 제1지지부재(140)와 동일하며, 지지핀(160b)의 높이만 제1지지부재(140)의 지지핀(140b)의 높이에 비하여 낮게 형성된다.
제2지지부재(160)의 받침판(160a)의 상면에는 제2지지부재(160)에 탑재된 회로기판(50)을 받침판(160a)의 상면에 편평하게 밀착시키기 위한 흡입공(163)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받침판(160a)의 내부에는 일측은 감압부(미도시)와 연통되고 타측은 흡입공(163)과 연통된 유로(16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감압부도 진공펌프 등으로 마련되어 유로(165) 및 흡입공(163)의 내부를 감압한다.
제2지지부재(160)의 상면에 회로기판(50)이 탑재 지지되면, 회로기판(50)을 덮는 형태로 캐리어(170)(도 5 참조)가 제2지지부재(160)의 상면에 탑재된다. 제2지지부재(160)에 탑재 지지된 회로기판(50)은 캐리어(170)에 부착되어 다음 공정을 위한 필요처로 이동된다. 캐리어(170)에는 회로기판(50)을 부착하기 위한 접착제 또는 양면테이프 등과 같은 접착물질(172)이 형성될 수 있다.
캐리어(170)가 제2지지부재(160)의 상면에 탑재되었을 때, 캐리어(170)가 지지핀(160b)의 간섭을 받지 않아야, 캐리어(170)가 회로기판(50)에 밀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캐리어(170)에는 제2지지부재(160)의 지지핀(160b)이 관통하는 관통공(174)이 형성된다.
본체(110)의 상측 부위 하면 우측 부위에는 압착부재(180)가 본체(110)의 상하방향으로 직선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압착부재(180)는 가동부재(120)의 운동에 의하여 제2지지부재(160)가 자신의 직하방에 위치되고, 제2지지부재(160)에 캐리어(170)가 탑재되면, 캐리어(170)를 제2지지부재(160)측으로 압착하여 캐리어(170)에 부착된 접착물질에 회로기판(50)이 부착되게 한다.
압착부재(180)는 본체(110)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제2승강판(18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압착부재(180)를 제2승강판(182)에 착탈하기 위하여는 압착부재(180)와 제2승강판(182)에는 상호 반대극성의 마그네트(미도시)가 대응되게 설치될 수 있다.
캐리어(170)와 접촉하는 압착부재(180)의 하면에는 탄성을 가진 연질의 압착판(180a)이 설치될 수 있다. 압착판(180a)은 캐리어(170)의 전체면과 접촉하여 캐리어(170)의 전체면을 제2지지부재(160)측으로 균일하게 압착한다.
가동부재(120)의 운동에 의하여 제1지지부재(140) 및 제2지지부재(160)이 운동한다. 이때, 제1지지부재(140) 및 제2지지부재(160)가 정해진 위치에 위치되어야, 흡착/이송부재(150)가 제1지지부재(140)에 지지된 회로기판(50)을 흡착할 수 있고, 흡착/이송부재(150)가 흡착한 회로기판(50)을 제2지지부재(160)의 정해진 위치로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가동부재(120) 및 흡착/이송부재(150)에는 상호 삽입 결합되어 가동부재(120)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관(128) 및 조절바(155)(도 6a 참조)이 각각 형성된다. 즉, 가동부재(120)를 본체(110)의 좌우방향으로 직선운동시킨 상태에서, 흡착/이송부재(150)를 하강시켰을 때, 조절바(155)가 조절관(128)에 삽입되면, 가동부재(120)가 정해진 거리 만큼 정확하게 운동한 것이 되므로, 흡착/이송부재(150)가 제1지지부재(140)에 지지된 회로기판(50)을 정확하게 흡착할 수 있고, 흡착한 회로기판(50)을 제2지지부재(160)가 정해진 위치로 전달할 수 있다.
본체(110)의 하측 부위 공간 및 상측 부위 공간에는 가동부재(120), 제1승강판(157) 및 제2승강판(182)을 구동시키기 위한 실린더 또는 모터 등과 같은 구동부(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고, 흡입/이송부재(150)와 연통된 상기 감압부 및 제2지지부재(160)와 연통된 상기 감압부가 설치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의 미설명부호 112는 본체(110)의 상측 부위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 및 상기 감압부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112)이다.
회로기판(50)은 사용되는 제품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지므로, 회로기판(50)이 지지되는 제1지지부재(140) 및 제2지지부재(160)는 회로기판(5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그런데, 회로기판(5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제1지지부재(140) 및 제2지지부재(160)를 사용할 수 있기 위해서는 제1지지부재(140) 및 제2지지부재(160)를 가동부재(120)에 착탈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제1지지부재(140) 및 제2지지부재(160)를 가동부재(120)에 착탈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제1지지부재(140)와 제2지지부재(16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흡입/이송부재(150)와 압착부재(180)를 사용하기 위하여, 흡입/이송부재(150)와 압착부재(180)를 착탈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 정렬장치의 동작을 도 6a 내지 도 6f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a 내지 도 6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 정렬장치의 동작을 보인, 도 2의 정면도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부재(140)의 상면에 복수의 회로기판(50)을 각각 적층된 형태로 탑재 지지한 후, 제1지지부재(140)를 가동부재(120)에 설치한다. 이때, 흡착/이송부재(150) 및 압착부재(180)는 상측에 위치되며, 흡착/이송부재(150)의 직하방에 제1지지부재(140)가 위치된다.
도 6a에 도시된 상태에서 복수의 회로기판(50)을 캐리어(170)(도 6e 및 도 6f 참조)에 부착 정렬하려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이송부재(150)를 하강시켜 연성관(155)을 회로기판(50)과 접촉시킨 다음, 상기 감압부를 구동시켜 유로(150a)(도 3 참조)와 흡착관(153)(도 4 참조)의 내부를 감압한다. 그러면, 회로기판(50)이 연성관(155)에 흡착된다.
그 후,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이송부재(150)를 상승시키고, 가동부재(120)를 운동시켜 흡착/이송부재(150)의 직하방에 제2지지부재(160)를 위치시킨 다음,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이송부재(150)를 하강시켜 흡착/이송부재(150)에 부착된 회로기판(50)을 제2지지부재(160)에 탑재 지지시킨다. 흡착/이송부재(150)에 부착된 회로기판(50)을 제2지지부재(160)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상기 감압부를 정지시켜 유로(150a)와 흡착관(153)의 내부를 상압의 상태로 하여야 함은 당연하다.
그 후,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이송부재(150)를 상승시키고, 가동부재(120)를 운동시켜 압착부재(180)의 직하방에 제2지지부재(160)를 위치시킨 다음, 회로기판(50)을 덮는 형태로 캐리어(170)를 제2지지부재(160)의 상면에 설치한다.
그리고, 도 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170)에 회로기판(50)이 부착되도록, 압착부재(180)를 하강시켜 캐리어(170)를 제2지지부재(160)측으로 압착한다. 캐리어(170)에 회로기판(50)이 편평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제2지지부재(160)에 회로기판(50)이 탑재 지지되면, 상기 감압부를 구동하여 유로(165)(도 4 참조)와 흡입공(163)(도 3 참조)의 내부를 감압한다. 그러면, 회로기판(50)이 편평하게 펴져서 제2지지부재(160)에 탑재 지지되고, 편평하게 펴진 회로기판(50)이 캐리어(170)에 부착되므로, 캐리어(170)에 부착된 회로기판(50)도 편평하게 펴진 상태가 된다.
캐리어(170)에 회로기판(50)이 부착되면, 캐리어(170)를 다음 공정을 위한 필요처로 이송하여 회로기판(50)에 필요한 공정을 수행하면 된다. 캐리어(170)에 회로기판(50)이 부착되면, 상기 감압부를 정지시켜 유로(165)와 흡입공(163)의 내부를 상압의 상태로 상승시킨다.
제1지지부재(140) 및 제2지지부재(160)의 위치를 세팅 하고자 할 때는, 흡착/이송부재(150)를 하강시켜, 조절바(155)(도 6a 참조)가 조절관(128)(도 6a 참조)에 삽입되게 가동부재(120)의 위치를 조절하면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 정렬장치는 편평하게 펴진 상태로 회로기판(50)이 지지되고, 편평하게 펴진 회로기판(50)이 캐리어(170)에 부착되므로, 캐리어(170)에 부착된 회로기판(50)도 편평하게 펴진 상태가 된다. 그리하여, 캐리어(170)의 정해진 부위에 정확하게 회로기판(50)이 정렬되기 때문에, 캐리어(170)에 정렬된 회로기판(50)에 부품들을 실장할 때, 부품들이 회로기판(50)의 정해진 부위에 실장된다.
상기와 같이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도면은 자세한 윤곽 라인을 생략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속하는 부분을 쉽게 알 수 있도록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는 기준이 될 수 없으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포함된 기술사항을 이해하기 위한 참조적인 사항에 불과하다.
110: 본체
120: 가동판
131: 안내레일
135: 안내블럭
140: 제1지지부재
150: 흡착/이송부재
160: 제2지지부재
170: 캐리어
180: 압착부재

Claims (10)

  1. 본체;
    상기 본체의 좌우방향으로 직선운동가능하게 상기 본체에 설치된 가동부재;
    상기 가동부재의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가동부재와 함께 운동하며, 상면에는 복수의 회로기판이 적층되어 탑재 지지되는 제1지지부재;
    상기 가동부재의 타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가동부재와 함께 운동하며, 상면에는 상기 제1지지부재에 지지된 상기 회로기판을 전달받아 탑재 지지하는 제2지지부재;
    상기 본체의 상하방향으로 직선운동가능하게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지지부재가 자신의 직하방에 위치되면 하강하여 상기 제1지지부재에 지지된 최상측의 상기 회로기판을 흡착한 다음 상승한 후, 상기 제2지지부재가 자신의 직하방에 위치되면 하강하여 흡착한 상기 회로기판을 상기 제2지지부재의 상면으로 전달하는 흡착/이송부재;
    상기 제2지지부재의 상면에 상기 회로기판이 탑재 지지되면, 상기 회로기판을 덮는 형태로 상기 제2지지부재의 상면에 탑재되는 캐리어; 및
    상기 본체의 상하방향으로 직선운동가능하게 상기 본체의 타측에 설치되며, 자신의 직하방에 상기 제2지지부재가 위치되고 상기 제2지지부재에 상기 캐리어가 탑재되면, 상기 캐리어를 상기 제2지지부재측으로 압착하여 상기 캐리어에 부착된 접착물질에 상기 회로기판이 부착되게 하는 압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지지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제2지지부재에 탑재된 상기 회로기판을 상기 제2지지부재의 상면에 편평하게 밀착시키는 흡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부재의 내부에는 일측은 감압부와 연통되고 타측은 상기 흡입공과 연통된 유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 정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및 상기 가동부재에는 상호 슬라이딩가능하게 삽입 결합되어 상기 가동부재의 운동을 안내하는 안내레일 및 안내블럭이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 정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와 상기 제1지지부재 중, 어느 하나에는 복수의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가동부재와 상기 제1지지부재에는 상호 대응되게 설치되어 착탈되는 마그네트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 정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와 상기 제2지지부재 중, 어느 하나에는 복수의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가동부재와 상기 제2지지부재에는 상호 대응되게 설치되어 착탈되는 마그네트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 정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이송부재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하면에 형성되며 복수의 상기 회로기판을 각각 흡착하는 복수의 흡착관을 가지고,
    상기 지지판의 내부에는 일측은 감압부와 연통되고 타측은 상기 흡착관과 연통된 유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 정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관에는 탄성을 가진 연성관이 상기 흡착관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회로기판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 정렬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제1승강판이 승강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흡착/이송부재의 지지판과 상기 제1승강판에는 상호 대응되게 설치되어 착탈되는 마그네트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 정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타측에는 제2승강판이 승강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압착부재와 상기 제2승강판에는 상호 대응되게 설치되어 착탈되는 마그네트가 설치되며,
    상기 캐리어와 접촉하는 상기 압착부재의 면에는 탄성을 가진 연질의 압착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 정렬장치.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 및 상기 흡착/이송부재에는 상호 삽입 결합되어 상기 가동부재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관 및 조절바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 정렬장치.
KR1020130051552A 2013-05-07 2013-05-07 회로기판 정렬장치 KR101470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1552A KR101470614B1 (ko) 2013-05-07 2013-05-07 회로기판 정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1552A KR101470614B1 (ko) 2013-05-07 2013-05-07 회로기판 정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2245A KR20140132245A (ko) 2014-11-17
KR101470614B1 true KR101470614B1 (ko) 2014-12-10

Family

ID=52453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1552A KR101470614B1 (ko) 2013-05-07 2013-05-07 회로기판 정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06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9792B1 (ko) * 2019-07-03 2021-04-13 주식회사 코보텍 자석을 이용한 착탈식 지그를 포함하는 굽힘 신뢰성 테스트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7437B1 (ko) * 1997-01-17 2001-04-16 모리시타 요이찌 전자부품 실장장치
KR100853319B1 (ko) * 2007-03-19 2008-08-20 주식회사 대성미크론 표면 실장 장치의 다수의 인쇄회로기판 정렬 장치
JP4304640B2 (ja) * 2008-05-09 2009-07-29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電子部品実装装置
KR20090116465A (ko) * 2008-05-07 2009-11-11 주식회사 유비셀 인쇄회로기판 공급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7437B1 (ko) * 1997-01-17 2001-04-16 모리시타 요이찌 전자부품 실장장치
KR100853319B1 (ko) * 2007-03-19 2008-08-20 주식회사 대성미크론 표면 실장 장치의 다수의 인쇄회로기판 정렬 장치
KR20090116465A (ko) * 2008-05-07 2009-11-11 주식회사 유비셀 인쇄회로기판 공급시스템
JP4304640B2 (ja) * 2008-05-09 2009-07-29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電子部品実装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2245A (ko) 2014-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45681B2 (ja) 板状ワークの吸着搬送装置および搬送方法
US20100080680A1 (en) Substrate conveying arm
JP6120453B2 (ja) 基板印刷装置
CN105358323B (zh) 丝网印刷方法及丝网印刷装置
TWM469505U (zh) 真空貼合設備
CN202693932U (zh) 组装夹具
JP6027794B2 (ja) 搬送治具
JP2010056182A (ja) スクリーン印刷機の基板位置決め装置及び基板位置決め方法
KR101470614B1 (ko) 회로기판 정렬장치
KR20120124810A (ko)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합착하는 패널 합착장치
KR101129133B1 (ko) 연성회로기판 탑재장치
KR20090116465A (ko) 인쇄회로기판 공급시스템
KR100853081B1 (ko) 피씨비 분리장치
KR20120124806A (ko) 멀티 정반 및 이를 이용한 터치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합착하는 패널합착장치
JP4573639B2 (ja) 電子部品実装装置
JPH0779098A (ja) プリント基板支持装置
KR101487066B1 (ko) 스크린 프린터용 기판 지지 유닛
JP2013031951A (ja) スクリーン印刷機及びスクリーン印刷方法
KR20110097418A (ko) 이송장치 및 이송방법
KR102625519B1 (ko) 리드프레임 이송장치
JP4788181B2 (ja) 表示パネルの組立装置
KR101599812B1 (ko) 반도체패키지의 흡착고정수단
KR102103176B1 (ko) 기판 탈부착 장치
CN109729652B (zh) 吸附回拉装置及电路板加工设备
KR101728373B1 (ko) 마그네트 타입 캐리어 보트와 보트커버 분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