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4141A -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4141A
KR19980064141A KR1019970068817A KR19970068817A KR19980064141A KR 19980064141 A KR19980064141 A KR 19980064141A KR 1019970068817 A KR1019970068817 A KR 1019970068817A KR 19970068817 A KR19970068817 A KR 19970068817A KR 19980064141 A KR19980064141 A KR 199800641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ress
groove portion
wire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8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8655B1 (ko
Inventor
신치아키라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야스히코
야자키소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야스히코, 야자키소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야스히코
Publication of KR19980064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4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8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86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3/0207Ultrasonic-, H.F.-, cold- or impact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2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being plates having a single slot
    • H01R4/2425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 H01R4/2429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mounted in an insulating base
    • H01R4/2433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mounted in an insulating base one part of the base being movable to push the cable into the slo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45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 H01R4/246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the contact members having a channel-shaped part, the opposite sidewalls of which comprise insulation-cutt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Abstract

단자는 제1부재의 홈부분내에 삽입되어 있고 피복전선은 각각의 단자상에 장착되어 있다. 제2부재의 돌출부분은 제1부재의 홈부분과 맞물린다. 제2부재가 가압되어 피복전선이 전기전도를 얻도록 단자의 압입블레이드에 대하여 가압된다. 가압조건에서의 초음파진동에 의해서, 제1부재와 제2부재는 서로 융합된다. 동시에, 초음파진동에 의해서, 피복전선의 코어는 서로 융합된다. 코어와 압입블레이드의 상호융합에 의해서, 접촉면적은 증가되어 접촉저항을 감소시킨다.

Description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 및 방법
본 발명은 초음파진동을 사용함으로써 전선을 단자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구조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본국 특개평 7-70345에는 피복전선의 절연커버를 박리하지 않고 단자가 초음파진동에 의해서 피복전선의 코어와 전도성 접촉하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도 5는 이 종래기술의 방법으로 제조된 커넥터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 커넥터는 수지로 형성되고 또한 서로 대향하도록 조립되는 제1부재와 제2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홈부분(3)은 그 길이방향으로 제1부재의 상부면상에 형성되며 오목부분(4)은 홈부분(3)의 길이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부재(1)의 홈부분(3)내에는 그 길이를 따라 단자(5)가 삽입되며 그 다음에 피복전선은 단자상에 위치된다. 피복전선(6)은 복수의 코어가 절연커버에 피복된 상태로 위치된다. 제2부재(2)의 바닥에는 제1부재(1)의 홈부분(3)과 맞물리는 돌출부분(7)이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홈부분(3)의 오목부분과 맞물리는 작은 볼록부분(8)이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의 조립에 따라, 홈부분(3)내에 삽입되는 단자(5)와 피복전선(6)에는 제2부재의 돌출부분(7)이 제1부재의 홈부분(3)과 맞물리며 단자(5)와 피복전선(6)은 제2부재와 제1부재(1)에 의해서 가압된다. 이때, 볼록부분(8)이 오목부분(4)과 맞물리는 곳에서는 단자(5)와 피복전선(6)이 헐겁게될 스토퍼로서 작용하도록 부분적으로 굴곡된다. 그 다음에, 제1부재(1)와 제2부재(2)는 끼워지며 초음파진동은 혼(도시안됨)에 의해서 달성된다. 초음파진동에 의한 수직진동에 의해서 발생된 열로 인해, 피복전선의 절연커버가 융합되어 제거되어서 피복전선(6)의 코어와 단자(5)가 서로 전도 접촉하도록 서로 접촉된다. 전도 접촉할 때, 제1부재(1)와 제2부재(2)가 서로 융합되어 단자(5)와 피복전선을 수용하는 커넥터가 제조된다.
도 6은 다극 커넥터를 제조하기 위한 종래기술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제1부재(1)에는 복수의 홈부분(3)과 이 홈부분(3)에 대향한 복수의 돌출부분(7)을 수용하는 제2부재(2)가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의 조립에 따라, 단자는 각각의 홈부분(3)내에 수용되고 피복전선은 단자상에 위치된다. 그후, 이 구성요소는 제1부재(1)와 제2부재(2)에 의해서 가압되며, 그 다음에 초음파진동은 상술된 바와 같은 동일한 방식으로 달성된다.
도 6에 도시된 구조에 있어서, 작은 오목부분은 도 5에 도시된 구조에서와 같이 제1부재(1)의 각각의 홈부분(3)내에 형성되어 있으며 작은 볼록부분은 제2부재의 각각의 돌출부분(7)상에 형성된다.
도 7은 단자(5)와 피복전선(6)이 상술된 구조를 가진 제1부재(1)와 제2부재(2)에 의해서 끼워진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단자(5)와 피복전선(6)은 제2부재의 돌출부분의 가압에 의해서 서로 중첩된다. 볼록부분(8)과 오목부분(4)에 대응하는 부분은 굴곡된다. 참조번호(5a,6a)는 이러한 굴곡부분을 나타낸다. 굴곡부분(5a,6a)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단자(5)와 피복전선(6)내에 형성되며 커넥터는 슬립핑되는 것이 방지된다. 하지만, 단자(5)와 피복전선(6)이 오목부분(4)과 볼록부분(8)에 의해서 굴곡되어 슬립핑되는 것을 방지하더라도, 인장력이 단자(5)와 피복전선(6)에 적용되면, 단자와 피복전선이 서로 분리되어 피복전선과 단자사이의 접촉면적이 감소될 수 있다. 코어와 단자 사이의 접촉면적이 감소되면 단자와 코어사이의 전체 접속부분의 접촉저항이 증가되어 발열, 발열로 인한 재질의 변형 또는 다른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더욱이, 단자(5)가 오목부분(4)과 볼록부분(8)에 의해서 굴곡되기 때문에 이 굴곡부분을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단자의 치수관리가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자와 피복전선 사이의 전체 접속부분의 접촉저항이 최소화되어 발열을 방지하고 단자의 치수관리가 쉬운 와이어와 단자의 접속구조 및 접속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은 비전도성 재질로 형성된 제1부재, 제1부재내에 형성된 홈부분, 홈부분에 수용되고 압입블레이드를 가진 단자, 그 외측면을 피복하기 위하여 절연커버와 복수다발의 코어를 가지고 있는 피복전선, 비전도성 재질로 형성된 제2부재, 및 홈부분을 폐쇄하기 위하여 제2부재상에 형성된 돌출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돌출부분은 피복전선이 압입블레이드에 압입되도록 홈부분이 폐쇄될 때 단자상에 장착된 피복전선을 단자에 대하여 가압하며, 제2부재는 코어가 초음파진동에 의해서 서로 융합되도록 돌출부분이 홈부분을 폐쇄하는 상태로 초음파진동에 의해서 여기되는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 및 접속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제2부재의 돌출부분이 제1부재의 홈부분을 폐쇄할 때, 돌출부분은 피복전선을 압입블레이드에 압입한다. 이러한 압입에 의해서, 압입블레이드는 절연커버 내측에 코어를 전도접촉하도록 피복전선의 절연커버와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피복전선은 단단하게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인장력이 단자와 피복전선에 적용되더라도 압입블레이드가 인장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절연커버와 맞물리기 때문에 단자와 피복전선은 서로 분리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분리에 의해서 발생될 수 있는 접촉면적의 감소로 인하여 접촉저항의 증대는 없어진다.
초음파진동에 있어서, 피복전선의 코어는 서로 융합된다. 인접한 코어가 통상 원형형상이기 때문에 서로 선형접촉상태로 있더라도 인접한 코어는 용융상태로 서로 접촉한 상태로 있도록 서로 용융된다. 따라서 코어 사이의 접촉저항은 비약적으로 감소된다.
상술된 작동에 의해서, 단자와 피복전선의 전체 접촉저항은 감소되어 발열을 감소시킨다.
더욱이,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단자는 굴곡되지 않으므로 단자의 치수관리는 용이해진다. 더욱이, 압입블레이드가 삽입되는 오목부분에 돌출부분를 제공하는 것은 허용가능하다. 이것이 돌출부분과 압입블레이드 사이에서의 간섭을 방지하여, 피복전선이 돌출부분에 의해서 압입블레이드와 확실하게 접촉된다.
더욱이, 제1부재와 제2부재는 수지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제1부재와 제2부재는 초음파진동에 의해서 서로 융합될 수 있다.
압입블레이드와 코어를 융합시킴으로써, 이들은 접촉면적을 증가시키도록 서로 상호적으로 융합된다. 따라서, 단자와 피복전선 사이의 전체 접촉저항은 더 감소된다.
더욱이, 제1부재는 단일 칼럼내에 배열된 복수의 홈부분을 수용하는 커넥터 하우징이며, 단자는, 바닥벽부분, 바닥벽부분의 양측으로부터 상승한 측벽 및 각각의 측벽부분으로부터 내측으로 굴곡된 압입블레이드를 가진 압접단자이고 제2부재는 홈부분이 형성된 커넥터 하우징의 일부분을 덮는 커버부재이며 커버부재는 단일 칼럼내에 배열된 복수의 돌출부분을 수용하며 돌출부분은 단자의 측벽부분 사이에 삽입하도록 구성하는 것은 가능하다.
더욱이, 초음파진동은 압접단자를 사용함으로써 피복전선에 접속되도록 구성된 커넥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단자의 압입블레이드 부분의 확대사시도,
도 3은 압입블레이드 및 코어에 대한 초음파 진동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코어에 대한 초음파 진동의 작동을 도시한 현미경 사진의 설명도,
도 5a는 종래기술의 접속구조의 단면도,
도 5b는 도 5a의 정면도,
도 6은 종래기술의 다른 접속구조의 분해사시도, 및
도 7은 종래기술의 접속구조의 확대단면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수반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전체구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단자의 부분확대 사시도이며, 도 3은 초음파진동에 의한 작용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커넥터(10)에 적용되어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0)는, 제1부재인 커넥터 하우징(11), 제2부재인 커버부재(12) 및 전도성 금속에 형성된 압접단자(13)를 포함하고 있다. 커넥터 하우징(11)과 커버부재(12)는 수지재질로 형성된다. 커넥터 하우징(11)은 접속용 정합 커넥터(도시안됨)와 맞물리는 하우징 몸체(14)와 전선유지부분이 단일 칼럼내에 배열되도록 그 한쪽에서 일체로 제공되는 전선유지부분(15)을 포함하고 있다.
전선유지부분(15)은 상부가 개방된 장방형 단면을 가지고 있고 평행하게 형성된 홈부분(16)을 포함하고 있다. 각각의 홈부분(16)에는 피복전선(17)(도 3 참조)과 단자(13)사이의 접속이 실행되도록 단자(13)가 합체되어 있다. 전선유지부분(15)의 양끝에는 커버부재(12)에 용착되도록 하는 함몰부(18)가 제공되어 홈부분(13)에 평행하게 배열되도록 한다. 커버부재(12)는 편평한 형상의 커버몸체(19)와 커버몸체(19)의 한쪽에 형성된 복수의 돌출부분(20)을 수용하고 있다. 각각의 돌출부분(20)에는 커넥터 하우징(11)의 홈부분(26)과 동일한 단면이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돌출부분(20)은 홈부분(16)을 폐쇄하도록 홈부분(16)과 맞물려 있다. 이경우에 있어서, 후에 설명될 돌출부분(20)은 단자(13)가 홈부분(16)내에 수용되는 상태로 홈부분(16)을 폐쇄한다. 돌출부분(19)의 폭은 단자(13)의 측벽부분(26)을 제외한 홈부분(16)의 내측을 폐쇄하도록 결정된다.
각각의 돌출부분(20)에는 함몰된 오목부분(21)이 형성되어 있다. 단자(13)내에 형성된 압입블레이드(27)는 오목부분(21)내에 삽입되며 이에 따라 돌출부분(20)과 압입블레이드(27) 사이의 간극을 방지한다.
커버몸체(19)의 양측에는 돌출부분(20)에 평행한 접촉부분(22)이 형성되어 있다. 접촉부분(22)은 커넥터 하우징(11)의 함몰부(18)와 접촉되어 융합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접속부분(24)은 상부가 개방된 장방형 형상을 형성하도록 그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바닥벽부분(25)과 바닥벽부분(25)의 양쪽에서 위로 상승한 측벽부분(26)을 포함하고 있다. 전선접속부분(24)의 바닥벽부분(25)상에는 피복전선(17)이 장착되며 압입블레이드(27)는 측벽부분(26)상에 형성되어 있다.
압입블레이드(27)는 측벽부분(26)의 대향부분을 절개하여 내측으로 절개된 부분을 절곡함으로써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압입블레이드(27)는 전선접속부분(24)의 내측으로 돌출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입블레이드(27)은 절연커버(31)내측에 있는 코어(28)와 전도 접촉하도록 전선접속부분(24)내로 가압된 피복전선(17)의 절연커버(31)와 맞물린다.
이 단자는 전체가 주석도금될 수 있거나 또는 압입블레이드만 주석도금될 수 있다. 이것은 전기전도성을 개량하고 내식성을 제공한다.
이 실시예에 따라, 커넥터 하우징(11)과 커버부재(12)는 서로 일체가 되도록 초음파진동에 의해서 융합된다. 이 초음파진동에 따라, 피복전선(17)내의 코어(28)는 서로 융합되며 코어(28)는 압입블레이드(27)와 융합된다.
그 다음에 이 실시예의 조립을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13)는 단자(13)의 접촉부분(23)이 하우징 몸체(14)를 통과하도록 커넥터 하우징(11)의 각각의 홈부분(16)내로 삽입된다. 그 다음에, 피복전선(17)은 단자(13)의 전선접속부분(24)내로 삽입된다. 그 다음에, 커버부재(12)는 커넥터 하우징(11)의 전선유지부분(15)상에 장착된다. 이때, 각각의 돌출부분(20)이 각각의 홈(16)에 정합한 상태로 커버부재(12)는 가압된다.
이러한 가압에 의해서, 피복전선(17)이 돌출부분(20)을 통하여 압입블레이드(27)에 대해 가압되어 압입블레이드(27)가 피복전선(17)의 절연커버(31)에 파고들어가 코어(28)를 내측에서 접촉하게 된다(도 3 참조). 결과적으로, 단자(13)는 피복전선(17)과 전도접촉한다. 이 압입블레이드(27)가 맞물리기 때문에, 피복전선(17)은 단자(13)에 의해서 확실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인장력이 피복전선(17)과 단자(13)에 적용되더라도, 피복전선과 단자는 서로 분리되지 않는다. 압입블레이드(27)가 돌출부분(20)내에 형성된 오목부분(21)내로 삽입되기 때문에 가압의 지장이 되는 일이 없다.
이 가압조건에 있어서, 혼(도시안됨)은 전선유지부분(15)과 커버몸체(19)을 접촉시키며 초음파진동은 실행된다. 이 초음파진동에 의해서, 커넥터 하우징의 함몰부는 서로 일체로 되도록 커버부재(12)의 접촉부분(12)과 융합된다. 결과적으로, 커넥터(10)는 형성된다.
이 초음파진동에 따라, 요동된 수직초음파진동은 코어(28)사이에서 또한 코어(28)와 압입블레이드(27)사이에서 작용한다.
도 3은 이러한 작용을 도시한다. 수직진동이 서로 대하여 인접하여 있는 코어(28)에 적용되어 코어(28)가 서로 융합된다. 동시에, 압입블레이드(27)와 코어(28)가 수직진동(29)을 받아서 서로 융합된다.
도 4는 코어 사이의 융합조건을 관찰한 현미경 사진을 도시하고 있다. 초음파진동의 적용전에, 실질적으로 원형형상을 한 코어는 인접한 코어와 선형접촉상태로 된다. 이 융합된 부분(30)은 인접한 코어(28)를 통상의 기계적 접촉조건으로부터 일체적 접속조건으로 변화시키고 융합된 부분(30) 둘레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킨다. 결과적으로 코어 사이의 접촉면적은 코어사이의 접촉저항을 크게 감소시키도록 증가된다.
압입블레이드(27)와 코어(28)사이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3의 확대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진동(29)이 적용되어 압입블레이드(27)와 코어(28)가 상술한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서로 융합된다. 결과적으로 이들 사이의 접촉면적은 증가된다. 따라서 이들사이의 접촉저항은 감소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압입블레이드(27)의 가압에 의해서 피복전선(17)은 확고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인장력이 단자(13)와 피복전선(17)에 적용되더라도 이들은 서로 분리되지 않고 분리에 의해서 발생될 수 있는 접촉면적의 감소 때문에 접촉저항의 증가는 발생되지 않는다.
초음파진동에 의해서, 피복전선(17)의 코어(28)는 서로 융합되며 압입블레이드(27)와 코어(28)는 서로 융합되어 접촉면적은 증가된다. 그러므로, 단자(13)와 피복전선(17)사이의 전체접속부분의 접촉저항은 감소되어 발열을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그열로 인한 변형을 방지한다.
더욱이, 단자(13)가 접속함에 있어서 절곡되지 않기 때문에 단자(13)의 치수관리는 용이해진다.
한편, 본 발명에 따라, 전기전도가 압입블레이드(27)와 코어(28)사이의 압입에 의해서 충분하게 얻어지면, 압입블레이드와 코어는 초음파진동에 의해서 서로 융합될 필요가 없다.

Claims (7)

  1. 피복전선과 단자의 전도접속구조에 있어서, 비전도성 재질로 형성된 제1부재, 상기 제1부재내에 형성된 홈부분, 상기 홈부분에 수용되고 압입블레이드를 가진 단자, 그 외측면을 덮기하기 위하여 절연커버와 복수다발의 코어를 가지고 있는 피복전선, 비전도성 재질로 형성된 제2부재, 및 홈부분을 폐쇄하기 위하여 상기 제2부재상에 형성된 돌출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분은 상기 피복전선이 상기 압입블레이드에 압입되도록 상기 홈부분이 폐쇄될 때 상기 단자상에 장착된 피복전선을 상기 단자에 대하여 가압하며, 상기 제2부재는 상기 코어가 초음파진동에 의해서 서로 융합되도록 상기 돌출부분이 상기 홈부분을 폐쇄하는 상태로 초음파진동에 의해서 여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전선과 단자의 전도접속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분은 오목부분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전선과 단자의 전도접속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부재는 수지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전선과 단자의 전도접속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부재는 상기 초음파진동에 의해서 서로 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전선과 단자의 전도접속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입블레이드와 상기 코어는 상기 초음파진동에 의해서 서로 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전선과 단자의 전도접속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는 단일컬럼내에 배열된 복수의 상기 홈부분을 수용하는 커넥터 하우징이며, 상기 단자는, 바닥벽부분, 상기 바닥벽부분의 양측으로부터 상승한 측벽 및 각각의 상기 측벽부분으로부터 내측으로 굴곡된 상기 압입블레이드를 가진 압접단자이며, 상기 제2부재는 상기 홈부분이 형성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일부분을 덮는 커버부재이며, 상기 커버부재는 단일컬럼내에 배열된 복수의 상기 돌출부분을 수용하며, 상기 돌출부분은 상기 단자의 상기 측벽부분 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전선과 단자의 전도접속구조.
  7. 비전도성 재질로 형성된 제1부재, 상기 제1부재내에 형성된 홈부분, 상기 홈부분에 수용되고 압입블레이드를 가진 단자, 그 외측면을 덮기하기 위하여 절연커버와 복수다발의 코어를 가지고 있는 피복전선, 비전도성 재질로 형성된 제2부재, 및 홈부분을 폐쇄하기 위하여 상기 제2부재상에 형성된 돌출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 접속구조에 의하여 피복전선과 단자의 접속방법에 있어서,
    상기 접속방법은, 피복전선을 상기 단자상에 장착하는 제1단계, 상기 돌출부분에 의해서 상기 홈부분을 폐쇄하여 상기 피복전선을 상기 단자에 대해 가압하고 그 다음에 상기 피복전선을 상기 압입블레이드에 압입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제2부재를 상기 돌출부분에 의해서 폐쇄된 상기 홈부분에 여기하여 복수의 상기 코어를 서로 융합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70068817A 1996-12-17 1997-12-15 전선과단자의접속구조및방법 KR1003486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3714896A JP3311617B2 (ja) 1996-12-17 1996-12-17 電線と端子との接続構造及び接続方法
JP96-337148 1996-12-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4141A true KR19980064141A (ko) 1998-10-07
KR100348655B1 KR100348655B1 (ko) 2002-12-18

Family

ID=18305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8817A KR100348655B1 (ko) 1996-12-17 1997-12-15 전선과단자의접속구조및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102728A (ko)
EP (1) EP0849834B1 (ko)
JP (1) JP3311617B2 (ko)
KR (1) KR100348655B1 (ko)
CN (1) CN1075254C (ko)
AU (1) AU708118B2 (ko)
CA (1) CA2225043C (ko)
DE (1) DE69712028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11645B2 (ja) * 1997-06-19 2002-08-05 矢崎総業株式会社 電線と端子との接続方法
US6661826B2 (en) * 1999-08-31 2003-12-09 Cymer, Inc. Laser chamber insulator with sealed electrode feedthrough
US6475018B1 (en) * 2001-05-29 2002-11-05 Yea Yen Huang Terminal for assembling wires of different diameters
US6547605B2 (en) * 2001-07-20 2003-04-15 Delphi Technologies, Inc. Flex circuit electrical connector
US6793537B2 (en) * 2002-12-30 2004-09-21 Methode Electronics, Inc. Wire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of forming same
DE202004014379U1 (de) * 2004-09-13 2005-10-27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Verbindungseinrichtung
JP4722588B2 (ja) * 2005-06-30 2011-07-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回転電機のステー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557377B2 (ja) * 2010-03-23 2014-07-23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の電線に対する接続構造
WO2012151368A2 (en) * 2011-05-03 2012-11-08 Cardioinsight Technologies, Inc. High-voltage resistance cable termination
CN104051096A (zh) * 2013-05-03 2014-09-17 湖北文理学院 压敏电阻器组合块
KR20170036691A (ko) * 2014-07-31 2017-04-03 다부치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단자와 전선의 접합 방법 및 전선 접속용 단자
DE102018200065A1 (de) * 2018-01-04 2019-07-04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tromleitenden Schneidklemmen-Draht-Verbindung
KR102125086B1 (ko) * 2018-08-28 2020-06-19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JP7408592B2 (ja) 2021-03-23 2024-01-05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付き電線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728914A1 (de) * 1977-06-27 1979-01-04 Hans Dipl Ing Rilling Buchsenleiste fuer elektrische steckverbinder von flachbandkabeln
US4252397A (en) * 1979-07-12 1981-02-24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Insulation piercing electric connector bonded to electric conductor
DE3228657C2 (de) * 1982-07-31 1984-05-30 Grote & Hartmann Gmbh & Co Kg, 5600 Wuppertal Verbindergehäuse
US4929193A (en) * 1988-11-22 1990-05-29 North American Specialities Corporation Connector
EP0411613B1 (en) * 1989-08-02 1996-11-20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A molded circuit component unit for connecting lead wire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H0770345B2 (ja) * 1990-06-28 1995-07-31 株式会社エーユーイー研究所 コネクタの製造方法およびコネクタ
JPH07282944A (ja) * 1994-04-06 1995-10-27 Yazaki Corp 圧接端子の電線圧接方法及び圧接端子構造
JP3002098B2 (ja) * 1994-10-07 2000-01-24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組立方法およびコネクタハウジング
JP3276854B2 (ja) * 1996-08-02 2002-04-22 矢崎総業株式会社 圧接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3320988B2 (ja) * 1996-09-20 2002-09-03 矢崎総業株式会社 合体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225043A1 (en) 1998-06-17
CA2225043C (en) 2000-07-04
JP3311617B2 (ja) 2002-08-05
US6102728A (en) 2000-08-15
AU4840197A (en) 1998-06-25
AU708118B2 (en) 1999-07-29
CN1075254C (zh) 2001-11-21
DE69712028D1 (de) 2002-05-23
KR100348655B1 (ko) 2002-12-18
JPH10172621A (ja) 1998-06-26
EP0849834A3 (en) 1999-05-12
EP0849834B1 (en) 2002-04-17
EP0849834A2 (en) 1998-06-24
CN1187055A (zh) 1998-07-08
DE69712028T2 (de) 2002-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64141A (ko)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 및 방법
EP0881708B1 (en) Connection structure of wire and terminal, connecting method therefor and a terminal
KR20140134329A (ko) 단자 크림핑된 와이어
EP0886338B1 (en) Connecting method of electric wire and terminal
KR20120049219A (ko) 동축 커넥터 및 그 조립방법
US20080242139A1 (en) Connector and Line Connecting Method Thereof
JP6709818B2 (ja) 端子付き電線
JP2007018949A (ja) 電気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311621B2 (ja) 電線接続構造
JP3311641B2 (ja) 端子及び端子と電線との接続構造
JP3311644B2 (ja) 電線と端子との接続構造
US6239375B1 (en) Terminal for connection by ultrasonic wave and a structure therefor
JPH0992384A (ja) 圧接コネクタの防水構造
JP3311620B2 (ja) 電線接続構造
JPH06104021A (ja) 圧着端子
JPH10199584A (ja) 被覆電線と端子の接続構造及び接続方法
JP3912271B2 (ja) ピッチリボン電線の接続構造
JP2022127252A (ja) コネクタ付き電線の製造方法、及び、コネクタ付き電線
JPH10284140A (ja) 圧接端子及びこの圧接端子が収容されるハウジング
JP2021005454A (ja) 端子付き電線
JPH11176493A (ja) 電線用圧接端子
JPH08180912A (ja) 圧接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2000091005A (ja) ケーブルコネクタ組立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01116

Effective date: 2001103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