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4997A - 고무 개질제 - Google Patents

고무 개질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4997A
KR19980024997A KR1019970048934A KR19970048934A KR19980024997A KR 19980024997 A KR19980024997 A KR 19980024997A KR 1019970048934 A KR1019970048934 A KR 1019970048934A KR 19970048934 A KR19970048934 A KR 19970048934A KR 19980024997 A KR19980024997 A KR 199800249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thylene
rubber
olefin
olefin copolyme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8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4124B1 (ko
Inventor
마사아끼 까와사끼
타꾸 꼬다
타까시 하꾸타
테쓰오 토조
Original Assignee
고다 시게노리
미쓰이세키유 가가쿠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다 시게노리, 미쓰이세키유 가가쿠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고다 시게노리
Publication of KR19980024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49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4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41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무 개질제가 배합된 고무의 물성을 저하시키는 일이 없이 가공성을 개질할 수 있으며, 또한 취급이 용이하고 작업성이 우수한 고무 개질제를 제공함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에틸렌과 탄소수 3∼20의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 및 에틸렌과 탄소수 3∼20의 α-올레핀과 비공역 폴리엔과의 공중합체로 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공중합체로 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고무(A)를 함유하고,
이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고무(A)는 에틸렌과 α-올레핀의 몰비(에틸렌/α-올레핀)가 51/49∼87/13, 135℃의 데카히드로나프탈렌중에서 측정한 극한점도[η]가 0.8∼2.5dl/g, 옥소가가 0∼40인 고무 개질제이다.

Description

고무 개질제
본 발명은 고무에 첨가하여 롤가공성 및 압출가공성 등의 가공성을 개질하기 위한 고무 개질제에 관한 것이며, 더욱 자세히는 고무의 가공성의 개질효과가 우수하고, 또한 취급성이 우수한 고무 개질제에 관한 것이다.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 고무(EPR) 및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 고무는 주쇄에 불포화 결합을 갖지 않기 때문에, 범용의 디엔계 고무에 비해 내열성 및 내후성이 우수하여, 자동차용 부품이나 공업재료 부품 등의 많은 제품에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작금의 요구성능의 고도화에 수반해서 사용되는 EPR 및 EPDM의 분자량이 거지는 경향에 있다. 그러나 분자량이 큰 EPR 및 EPDM은 롤가공성 및 압출가공성 등의 가공성이 뒤떨어지므로, 생산효율면에서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한편 저분자량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고무는 물성을 저하시킴이 없이 이와 같은 가공성을 개량할 수 있음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저분자량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고무는 액체로서 취급하기에는 점도가 높고, 또 고체로서 취급하기에는 너무 연하기 때문에 그 작업성(취급성)이 나빠서, 그 사용은 일반적인 것이 못되었다.
이 때문에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고무가 본래 가지고 있는 물성은 그대로 두고, 이것을 배합함으로써 고무의 롤가공성 및 압출가공성 등의 가공성을 개질할 수가 있으며, 또한 작업성이 우수한 고무 개질제의 출현이 요구되고 있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수반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고무 개질제가 배합되는 고무의 물성을 저하시킴이 없이 가공성을 개질할 수 있고, 또한 취급이 용이하여 작업성(취급성)이 우수한 고무 개질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고무 개질제는
에틸렌과 탄소수 3∼20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 및 에틸렌과 탄소수 3∼20의 α-올레핀과 비공역 폴리엔과의 공중합체로 된 군중에서 선택한 1종 이상의 공중합체로 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고무(A)를 함유하며,
이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고무(A)는
에틸렌과 α-올레핀의 몰비(에틸렌/α-올레핀)가 51/49∼87/13,
135℃의 데카히드로나프탈렌중에서 측정한 극한점도(η)가 0.8∼2.5dl/g,
옥소가가 0∼40
인 고무 개질제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고무(A)는
에틸렌과 α-올레핀의 몰비(에틸렌/α-올레핀)가 50/50∼85/15,
135℃의 데카히드로나프탈렌중에서 측정한 극한점도(η)가 0.2∼0.9dl/g,
옥소가가 0∼40
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고무(A1) 60∼90중량%, 및
에틸렌과 α-올레핀의 몰비(에틸렌/α-올레핀)가 60/40∼90/10,
135℃의 데카히드로나프탈렌중에서 측정한 극한점도(η)가 3∼6dl/g,
옥소가가 0∼40
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고무(A2) 10∼40중량%를 함유한 조성물이다.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고무(A)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고무(A)는 에틸렌과 탄소수 3∼20, 바람직하기는 3∼8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 및 에틸렌과 탄소수 3∼20, 바람직하기는 3∼8의 α-올레핀과 비공역 폴리엔과의 공중합체로 된 군중에서 선택한 1종 이상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고무이다.
상기 탄소수 3∼20의 α-올레핀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1-헥센, 4-메틸-1-펜텐, 1-헵텐, 1-옥텐, 1-데센, 1-도데센, 1-테트라데센, 1-헥사데센 및 1-에이코센 등을 들 수가 있다. 이들 α-올레핀은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이들 중에서는 특히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및 1-옥텐 등의 탄소수 3∼8의 α-올레핀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공역 폴리엔으로서는 5-에틸리덴-2-노르보르넨, 5-프로필리덴-5-노르보르넨, 디시클로펜타디엔, 5-비닐-2-노르보르넨, 5-메틸렌-2-노르보르넨, 5-이소프로필리덴-2-노르보르넨 및 노르보르나디엔 등의 환상 디엔; 1, 4-헥사디엔, 4-메틸-1, 4-헥사디엔, 5-메틸-1, 4-헥사디엔, 5-메틸-1, 5-헵타디엔, 6-메틸-1, 5-헵타디엔, 6-메틸-1, 7-옥타디엔 및 7-메틸-1, 6-옥타디엔 등의 쇄상의 비공역 디엔; 2, 3-디이소프로필리덴-5-노르보르넨 및 4-에틸리덴-8-메틸-1, 7-노나디엔 등의 트리엔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1, 4-헥사디엔, 디시클로펜타디엔 및 5-에틸리덴-2-노르보르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고무(A)는 에틸렌과 α-올레핀의 몰비(에틸렌/α-올레핀)가 51/49∼87/13, 바람직하기는 55/45∼80/20, 특히 바람직하기는 55/45∼75/25의 범위이며, 135℃의 데카히드로나프탈렌중에서 측정한 극한점도(η)가 0.8∼2.5dl/g, 바람직하기는 1.0∼2.0dl/g, 특히 바람직하기는 1.2∼1.8dl/g의 범위이며, 옥소가가 0∼40, 바람직하기는 0∼20, 특히 바람직하기는 0∼10의 범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고무(A)은 에틸렌과 α-올레핀의 몰비, 극한점도(η) 및 옥소가의 3개의 물성이 상기 범위내에 있으면, 1종류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고무이어도 좋고, 2종 이상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고무(A)로 된 조성물이어도 좋다.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고무(A)가 2종 이상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고무로 된 조성물인 경우에는, 조성물의 물성이 상기 범위내이면 좋으며, 조성물의 성분이 되는 각각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고무는 에틸렌과 α-올레핀의 몰비, 극한점도(η) 및 옥소가의 3개의 물성이 모두 상기 범위내에 있는 것이어도, 일부의 물성이 상기 범위내에 있는 것이어도, 3개의 물성이 모두 상기 범위 밖에 있는 것이어도 좋다.
또 조성물의 성분이 되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고무의 조합도 임의이며, 조성물의 물성이 조성물의 물성이 상기 범위내에 있으면 좋다. 구체적인 조성물로서는 예컨대 다음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1) 에틸렌과 α-올레핀의 몰비, 극한점도(η) 및 옥소가의 3개의 물성이 상기 범위내에 있는 2종 이상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고무로 된 조성물.
2) 3개의 물성중에서 일부의 물성이 상기 범위내에 있는 2종 이상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고무로 된 조성물.
3) 3개의 물성이 상기 범위 밖에 있는 2종 이상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고무로 된 조성물.
4) 3개의 물성이 상기 범위내에 있는 1종 이상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고무와, 3개의 물성중에서 일부의 물성이 상기 번위내에 있는 1종 이상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고무 및/또는 3개의 물성이 상기 범위밖에 있는 1종 이상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고무로 된 조성물.
5) 3개의 물성중에서 일부의 물성이 상기 범위내에 있는 1종 이상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고무와, 3개의 물성이 상기 범위 밖에 있는 1종 이상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고무로 된 조성물.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고무(A)로서는 상대적으로 저분자량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고무와 상대적으로 고분자량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고무로 된 조성물이 바람직하며, 특히
에틸렌과 α-올레핀의 몰비(에틸렌/α-올레핀)가 50/50∼85/15,
135℃의 데카히드로나프탈렌중에서 측정한 극한점도(η)가 0.2∼0.9dl/g,
옥소가가 0∼40
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고무(A1) 60∼90중량%, 및
에틸렌과 α-올레핀의 몰비(에틸렌/α-올레핀)가 60/40∼90/10,
135℃의 데카히드로나프탈렌중에서 측정한 극한점도(η)가 3∼6dl/g,
옥소가가 0∼40
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고무(A2) 10∼40중량%
를 함유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고무 조성물이 바람직하다.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고무(A1)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고무(A1)는 에틸렌과 탄소수 3∼20, 바람직하기는 3∼8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 및 에틸렌과 탄소수 3∼20, 바람직하기는 3∼8의 α-올레핀과 비공역 폴리엔과의 공중합체로 된 군중에서 선택한 1종 이상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고무이며, 후술하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고무(A2)에 비해 저분자량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고무이다.
상기 탄소수 3∼20의 α-올레핀 및 비공역 폴리엔으로는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고무(A)의 단량체로 예시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고무(A1)는 에틸렌과 α-올레핀의 몰비(에틸렌/α-올레핀)가 50/50∼85/15, 바람직하기는 55/45∼80/20, 특히 바람직하기는 60/40∼75/25의 범위이며, 135℃의 데카히드로나프탈렌중에서 측정한 극한점도(η)가 0.2∼0.9dl/g, 바람직하기는 0.3∼0.7dl/g, 특히 바람직하기는 0.35∼0.65dl/g의 범위이며, 옥소가가 0∼40, 바람직하기는 0∼20, 특히 바람직하기는 0∼10의 범위이다.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고무(A2)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고무(A2)는 에틸렌과 탄소수 3∼20, 바람직하기는 3∼8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 및 에틸렌과 탄소수 3∼20, 바람직하기는 3∼8의 α-올레핀과 비공역 폴리엔과의 공중합체로 된 군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고무이며,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고무(A1)에 비해 고분자량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고무이다.
상기 탄소수 3∼20의 α-올레핀 및 비공역 폴리엔으로서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고무(A)의 단량체로서 예시한 상기 α-올레핀 및 비공역 폴리엔과 같은 것이 사용된다. 사용되는 α-올레핀 또는 비공역 폴리엔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고무(A1)와 같아도 좋고, 달라도 좋다.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고무(A2)는 에틸렌과 α-올레핀의 몰비(에틸렌/α-올레핀)가 50/50∼90/10, 바람직하기는 60/40∼85/15, 특히 바람직하기는 65/35∼80/20의 범위이며, 135℃의 데카히드로나프탈렌중에서 측정한 극한점도(η)가 3∼6dl/g, 바람직하기는 3.3∼5dl/g, 특히 바람직하기는 3.5∼4.5dl/g의 범위이며, 옥소가가 0∼40, 바람직하기는 5∼35, 특히 바람직하기는 10∼30의 범위이다.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고무(A2)의 옥소가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고무(A1)와 같아도 좋고, 달라도 좋다.
배합비율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고무(A)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고무(A1) 및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고무(A2)를 함유한 조성물인 경우에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고무(A1)의 함유량은 (A1) 및 (A2) 성분의 합계량 100중량%에 대해 90∼60중량%, 바람직하기는 85∼70중량%이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고무(A2)의 함유량은 (A1) 및 (A2) 성분의 합계량 100중량%에 대해 10∼40중량%, 바람직하기는 15∼30중량%이다.
(A2) 성분의 양이 10중량%보다 적으면 점도가 낮아져서 취급이 어려워지고, 40중량%를 넘으면 개량효과가 적어진다.
(A1) 성분 및 (A2) 성분을 함유한 조성물에 있어서는, (A1) 및 (A2) 성분은 상기 각 물성치가 상기 일반적인 범위에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상기 물성치가 모두 바람직한 범위에 있는 성분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러나 특정의 물성치가 바람직한 범위에 있으며, 또 다른 물성치가 일반적인 범위에 있는 성분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고무 개질제
본 발명의 고무 개질제는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고무(A)를 함유하고, 일반적인 고무(B)에 배합하여 고무(B)의 가공성을 개선하는 고무 개질제이다.
본 발명의 고무 개질제는 고무 개질제(A)가 배합되는 고무(B)의 물성을 저하시킴이 없이 롤가공성 및 압출가공성 등의 가공성의 개질효과가 우수하다. 더구나 취급성이 우수하여, 예를 들어 통상적인 고무 가공공정에서 사용되는 베일절단기 및 계량장치를 사용하여 베일절단 및 계량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고무 개질제(A)를 배합하는 고무(B)는 롤가공성 또는 압출가공성 등의 가공성을 개량할 수 있는 고무이면 특히 제한되지 않으나,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EPR) 및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 고무(EPDM) 등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고무 개질제(A)의 배합량은 고무(B) 100중량부에 대해 20∼200중량부, 바람직하기는 40∼150중량부로 하는 것이 요망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고무 개질제는 특정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고무(A)로 되어 있으므로, 고무 개질제가 배합되는 고무의 물성을 저하시킴 없이 없이 가공성을 개질할 수 있고, 더구나 고무 개질제 자체의 취급이 용이하므로 작업성이 우수하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고무 개질제로서 사용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고무 조성물의 물성 및 작업성을 표 1에 나타내었다.
고무 개질제
(1) (2) (3) (4) (5)
에틸렌/α-올레핀 (몰비)극한점도(η)(dl/g)옥소가 70/30 1.4 3 69/31 1.3 2 78/27 1.3 10 69/31 1.2 0 68/32 1.5 8
작업성 *1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1 작업성 : 10cm×2cm×2mm의 시트를 작성하고, 스텐인리스강제의 평판상 에 실온에서 방치하고, 1시간 후에 시트를 벗겨서 평가하였다.양호 ; 시트의 일변을 집어서 완전히 벗길 수가 있다.불량 ; 시트의 일변을 집어서 완전히 벗길 수가 없다(스테인리스강제의 평판에 남는다).표 1의 고무 재질제(1)∼(5)의 조성을 표 2 및 표 3에 나타낸다.
고무 개질제
(1) (2)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고무(A1))α-올레핀폴리엔 *1에틸렌/α-올레핀 (몰비)극한점도(η) (dl/g)옥소가 프로필렌-70/300.50 프로필렌-68/320.550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고무(A2))α-올레핀폴리엔 *1에틸렌/α-올레핀 (몰비)극한점도(η) (dl/g)옥소가 프로필렌ENB70/304.012 프로필렌ENB75/254.512
고무(A1)/고무(A2) (중량비)작업성 *2 75/25양호 80/20양호
*1 ENB : 5-에틸리덴-2-노르보르넨*2 작업성 : 표 1참조
고무 개질제
(3) (4) (5)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고무(A1))α-올레핀폴리엔 *1에틸렌/α-올레핀 (몰비)극한점도(η) (dl/g)옥소가 1-부텐ENB74/260.55 프로필렌-68/320.450 프로필렌VNB68/320.566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고무(A2))α-올레핀폴리엔 *1에틸렌/α-올레핀 (몰비)극한점도(η) (dl/g)옥소가 프로필렌ENB70/303.322 프로필렌-72/283.50 프로필렌ENB68/323.712
고무(A1)/고무(A2) (중량비)작업성 *2 70/30양호 75/25양호 70/30양호
*1 ENB : 5-에틸리덴-2-노르보르넨VNG : 5-비닐-2-노르보르넨*2 작업성 : 표 1참조
표 1의 고무 개질제를 배합하여 제조한 실시예 및 비교예의 미가황고무 조성물 및 가황고무의 평가시험방법은 이하와 같다.
[1] 롤가공성
앞 롤 및 뒷 롤의 온도를 55℃로 하고, 미가황고무 조성물을 5분간 혼련하여, 혼련 후의 미가황고무 조성물이 롤에 물려 들어가거나 감기는 모양을 관찰하여 롤가공성을 5단계로 평가하였다.
5 ···고무 밴드가 롤에 완전히 밀착되어 있으며, 뱅크가 원활히 회전되고 있다.
4 ···롤의 정점으로부터 뱅크 사이에서 고무 밴드가 롤 표면으로부터 때때로 벗겨진다.
3 ···롤의 정점으로부터 뱅크 사이에서 고무 밴드가 롤 표면으로부터 벗겨진다.
2 ···롤 표면에 고무 밴드가 밀착하지 않고, 고무 밴드를 손으로 받치지 않으면 롤 가공을 할 수 없다.
1 ···롤 표면에 고무 밴드가 전혀 밀착하지 않고 아래로 처지며, 고무 밴드를 손으로 받치지 않으면 롤 가공을 할 수 없다.
[2] 인장시험
가황고무를 뚫어서 JIS K 6301에 기재되어 있는 3호형 덤벨 시험편을 제작하였다. 이 시험편을 사용하여 상기 JIS K 6301 제3항에 규정된 방법에 따라 측정온도 25℃, 인장속도 500mm/분의 조건에서 인장시험을 하여 인장파단응력(TB) 및 인장파단점 신장률(EB)을 측정하였다.
[3] 경도시험
경도시험은 JIS K 6301에 준거하여 스프링 경도 Hs(JISA경도)를 측정하였다.
[4] 압축영구 변형시험
압축영구 변형시험은 JIS K 6301에 준거하여 120℃에서 72시간후의 압축영구변형(CS)를 구하였다.
실시예 1
에틸렌 함량 70mol%, 극한점도(η) 4.0dl/g, 옥소가 22의 에틸렌·프로필렌·ENB 공중합체(이하 EPDM(1)이라 한다) 83.3중량부, 표 1에 나타낸 고무 개질제(1) 66.7중량부, 아연화 1호 5중량부, 스테아린산 1중량부, MAF 카본블랙 60중량부 및 파라핀계 오일(다이아나 프로세스 PW-380 : 이데미쓰고산사제, 상표) 10중량부를 용량 4.5litter의 밴버리 믹서로 혼련하였다.
이와 같이 해서 얻어진 혼련물에 디메틸디티오카르바민산 아연 1.5중량부, 테트라메틸티우람설피드 1.2중량부, 2-메르캅토벤조티아졸 0.5중량부 및 황 0.6중량부를 가하여 롤로 혼련하였다. 그 후에 시트형상으로 분출하여 170℃에서 17분간 프레스 가황하여 두께 2mm의 가황시트를 얻었다. 이 가황시트에 대해 물성평가를 상기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의 EPDM(1)의 배합량을 100중량부 및 파라핀계 오일의 배합량을 60중량부로 변경하고, 고무 개질제(1)를 배합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비교예 1의 파라핀계 오일의 배합량을 10중량부로 변경하고, 에틸렌 함량 68mol%, 극한점도(η) 0.5dl/g의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이하 EPR(1)이라 한다)를 50중량부 배합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1과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EPR(1)은 베일 절단기를 사용하여 잘라내려고 하였지만, 날에 부착하고, 또 계량시에도 계량기의 접시에 부착하여 계량이 곤란하였다. 따라서 계량하기 위해서는 100℃ 이상으로 가열하여 유동성이 향상된 상태에서 액체로서 취급해야 했으며, 작업성이 불량하였다.
실시예 2, 3
실시예 1의 고무 개질제(1)를 고무 개질제(2) 또는 고무 개질제(3)으로 변경하고, 표 4에 나타낸 배합량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조성 *1EPDM(1) (중량부)고무 개질제 (중량부)파라핀계 오일 (중량부)EPR(1) (중량부) 83.366.710- 87.562.510- 78.571.510-
작업성 *2롤가공성 양호5 양호5 양호5
가황물성TB(MPa)EB(%)HS(JIS A 경도) 16.749053 17.148054 16.252053
S압축영구변형(CS) (%) 42 41 44
*1 표에 나타낸 성분 이외에 대해서는 실시예 1의 본문을 참조할 것.*2 작업성 : 고무 개질제 또는 EPR(1)을 절단하여 계량할 때에 작업성을 판정하였다.양호 ; 통상의 베일 절단기 및 계량기를 사용하여 계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불량 ; 베일 절단기의 날 또는 접시에 부착하여 분리하기가 곤란하다.
비교예 1 비교예 2
조성 *1EPDM(1) (중량부)고무 개질제 (중량부)파라핀계 오일 (중량부)EPR(1) (중량부) 100-60- 100-1050
작업성 *2롤가공성 양호1 불량5
가황물성TB(MPa)EB(%)HS(JIS A 경도) 14.256053 16.048053
압축영구변형(CS) (%) 47 44
*2 작업성 : 고무 개질제 또는 EPR(1)을 절단하여 계량할 때에 작업성을 판정하였다.양호 ; 통상의 베일 절단기 및 계량기를 사용하여 계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불량 ; 베일 절단기의 날 또는 접시에 부착하여 분리하기가 곤란하다.
실시예 4
에틸렌 함량 69mol%, 극한점도(η) 3.6dl/g, 옥소가 3의 에틸렌·프로필렌·5-비닐-2-노르보르넨 공중합체(이하 EPDM(2)이라 한다) 83중량부, 표 1에 나타낸 고무 개질제(4) 67중량부, 아연화 1호 5중량부, 스테아린산 1중량부, 미스트론 페이퍼(니혼 미스토론사제, 상표) 100중량부 및 파라핀계 오일(다이아나 프로세스 PW-380 : 이데미쓰고산사제, 상표) 20중량부를 용량 4.3litter의 밴버리 믹서로 혼련하였다.
이와 같이 해서 얻어진 혼련물에 디쿠밀퍼옥시드 2.7중량부 및 p, p'-디벤조일키논디옥심 3.5중량부를 가하여 롤로 혼련하였다. 그 후에 일부를 시트형상으로 분출하여 170℃에서 10분간 프레스 가황하여 두께 2mm의 가황시트를 얻었다. 이 가황시트에 대해 물성평가를 상기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또 얻어진 혼련물을 다이 온도 90℃, 바럴 온도 70˚, 스크루 온도 80℃로 제어한 50mm 압출기를 사용하여 가베 다이(Garvey die)를 사용하여 30m/분의 속도로 압출하여, ASTM D2230-77에 준해서 압출성을 평가하였다. 그리고 채점은 30˚ 에지의 날카로움과 연속성 및 표면의 평활성을 각각 최고점 5, 최저점 1로 하여 5단계로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실시예 4의 고무 개질제(4)를 사용하지 않고, 파라핀계 오일의 배합량을 60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실시예의 고무 개질제(4)를 고무 개질제(5)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비교예 3 실시예 5
조성 *1EPDM(2) (중량부)고무 개질제 (중량부)파라핀계 오일 (중량부) 604020 60-60 604020
롤가공성 5 4 5
가황물성TB(MPa)EB(%)HS(JIS A 경도) 7.452061 6.148059 7.146064
압출성평활성에지 55 33 55
*1 표에 나타낸 성분 이외에 대해서는 실시예 4의 본문을 참조할 것.
표 4∼표 6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무 개질제를 배합한 고무는 가황물성 및 압축영구변형이 우수하며, 또한 롤가공성 및 압출성이 우수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고무 개질제는 표 1∼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성(취급성)이 양호하다.

Claims (2)

  1. 에틸렌과 탄소수 3∼20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 및 에틸렌과 탄소수 3∼20의 α-올레핀과 비공역 폴리엔의 공중합체로 된 군중에서 선택한 1종 이상의 공중합체로 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고무(A)를 함유하며,
    이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고무(A)는
    에틸렌과 α-올에핀의 몰비(에틸렌/α-올레핀)가 51/49∼87/13,
    135℃의 데카히드로나프탈렌중에서 측정한 극한점도(η)가 0.8∼2.5dl/g,
    옥소가가 0∼40
    인 고무 개질제.
  2. 제1항에 있어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고무(A)는
    에틸렌과 α-올레핀의 몰비(에틸렌/α-올레핀)가 50/50∼85/15,
    135℃의 데카히드로나프탈렌중에서 측정한 극한점도(η)가 0.2∼0.9dl/g,
    옥소가가 0∼40
    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고무(A1) 60∼90중량% 및
    에틸렌과 α-올레핀의 몰비(에틸렌/α-올레핀)가 60/40∼90/10,
    135℃의 데카히드로나프탈렌중에서 측정한 극한점도(η)가 3∼6dl/g,
    옥소가가 0∼40
    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고무(A2) 10∼40중량%를 함유한 조성물인 고무 개질제.
KR1019970048934A 1996-09-30 1997-09-26 고무개질제 KR1005141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5947096 1996-09-30
JP96-259470 1996-09-30
JP97-222773 1997-08-19
JP22277397A JP3724129B2 (ja) 1996-09-30 1997-08-19 ゴム改質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997A true KR19980024997A (ko) 1998-07-06
KR100514124B1 KR100514124B1 (ko) 2005-12-30

Family

ID=26525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8934A KR100514124B1 (ko) 1996-09-30 1997-09-26 고무개질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6458894B1 (ko)
EP (2) EP1065240B8 (ko)
JP (1) JP3724129B2 (ko)
KR (1) KR100514124B1 (ko)
CN (2) CN1171944C (ko)
CA (1) CA2216351C (ko)
DE (2) DE69737874T2 (ko)
TW (1) TW38109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93432B1 (en) * 1999-08-03 2003-07-15 Tokai Rubber Industries, Ltd. Rubber compositions and hoses
JP2002080662A (ja) * 2000-09-08 2002-03-19 Jsr Corp ゴム組成物
US6534586B2 (en) 2000-09-20 2003-03-18 Jsr Corporation Flame-retardant rubber composition and flame-retardant elastomer
ATE407972T1 (de) * 2001-12-12 2008-09-15 Exxonmobil Chem Patents Inc Für elastomere membranen geeignete zusammensetzungen
JPWO2004083299A1 (ja) * 2003-03-18 2006-06-22 三井化学株式会社 エチレン・α−オレフィン・非共役ポリエン共重合体からなるペレット、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の製造方法、エチレン・α−オレフィン・非共役ポリエン共重合体からなるペレットの製造方法
WO2005056612A1 (ja) * 2003-12-08 2005-06-23 Nitta Corporation ゴム状製品又はゴム状物質含有製品
EP2291450A4 (en) 2008-06-18 2012-04-04 Dow Global Technologies Llc POLYMERIC COMPOSITIONS,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AND ARTICLES PRODUCED THEREFROM
CN102471551B (zh) 2009-07-15 2013-09-04 陶氏环球技术有限责任公司 聚合物组合物、其制备方法、以及由该组合物制备的制品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101183A1 (de) 1970-01-14 1971-07-22 Montedison Spa Vulkanisierbare Polymergemische und ihre Verwendung
US3794611A (en) 1971-10-07 1974-02-26 Uniroyal Inc Process for oil-extending rubber
JPS6027129B2 (ja) * 1978-08-25 1985-06-27 三井化学株式会社 電気絶縁物の製造方法
JPS5914497B2 (ja) 1978-09-08 1984-04-04 三井化学株式会社 エチレン共重合ゴム組成物
JPS5578042A (en) * 1978-12-07 1980-06-12 Mitsui Petrochem Ind Ltd Rubber composition for electrically insulating material
JPS5698275A (en) * 1980-01-09 1981-08-07 Mitsui Petrochem Ind Ltd Rubber composition for sealing material
US4438238A (en) 1981-01-30 1984-03-20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Low density copolymer composition of two ethylene-α-olefin copolymers
JPS58136646A (ja) * 1982-02-05 1983-08-13 Showa Denko Kk 耐衝撃性樹脂組成物
JPS58191705A (ja) * 1982-05-06 1983-11-09 Mitsui Petrochem Ind Ltd エチレン共重合ゴム
JPS61238842A (ja) * 1985-04-16 1986-10-24 Mitsui Petrochem Ind Ltd 架橋非晶質共重合体ラテツクス組成物及びその製造法
JPH0651796B2 (ja) * 1985-07-18 1994-07-06 三井石油化学工業株式会社 微粒状架橋非晶質共重合体及びその製造法
US4843128A (en) 1986-05-23 1989-06-27 Uniroyal Chemical Company, Inc. Elastomeric composition having increased ozone resistance
JPH0689072B2 (ja) * 1986-06-30 1994-11-09 三井石油化学工業株式会社 エチレン共重合体ゴム
JPS6315809A (ja) * 1986-07-07 1988-01-22 Toyoda Gosei Co Ltd 接続部注入成形用ゴム材料
US4997720A (en) * 1987-03-31 1991-03-05 Dexter Corporation Thermoplastic compositions and articles made therefrom
JP2546849B2 (ja) * 1987-08-26 1996-10-23 三井石油化学工業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用改質剤
JP2663572B2 (ja) * 1988-10-31 1997-10-15 日本合成ゴム株式会社 スルホン化低分子量エチレン―α―オレフィン共重合体の製造方法
JP2807502B2 (ja) 1989-10-05 1998-10-08 三井化学株式会社 エチレン―プロピレン―ジエン系ゴム、エラストマー組成物およびその加硫ゴム
EP0446380B1 (en) 1989-10-05 1998-06-10 Mitsui Chemicals, Inc. Ethylene-propylene-diene rubber, elastomer composition, and vulcanized rubber prepared therefrom
JP2792151B2 (ja) * 1989-10-23 1998-08-27 三井化学株式会社 加硫ゴム製自動車部品
JP2894858B2 (ja) 1991-04-05 1999-05-24 三井化学株式会社 エチレン・α−オレフィン・ジエン系ゴムおよびその用途
WO1992019679A1 (en) * 1991-04-30 1992-11-12 Mitsui Toatsu Chemicals, Inc.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process for coating molded article thereof, and molded article thus coated
JP2528224B2 (ja) * 1991-09-27 1996-08-28 三井石油化学工業株式会社 耐熱防振ゴム用ゴム組成物
DE69308386T2 (de) * 1992-05-20 1997-07-10 Mitsui Petrochemical Ind Hitzebeständige Einschlagfolie
JP3136825B2 (ja) 1993-03-18 2001-02-19 神鋼電機株式会社 振動制御装置
JP3374542B2 (ja) * 1994-08-09 2003-02-04 ジェイエスアール株式会社 オレフィン系共重合体組成物
TW383314B (en) * 1994-12-20 2000-03-01 Mitsui Petrochemical Ind Ethylene-alpha-olefin-nonconjugated polyene random copolymer, rubber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random copolymer
US6150032A (en) * 1995-07-13 2000-11-21 The Board Of Governors For Higher Education, State Of Rhode Island And Providence Plantations Electroactive polymer coatings for corrosion contr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4124B1 (ko) 2005-12-30
DE69704826D1 (de) 2001-06-21
US6599984B1 (en) 2003-07-29
EP0832926A1 (en) 1998-04-01
DE69737874D1 (de) 2007-08-09
CA2216351A1 (en) 1998-03-30
CN1171944C (zh) 2004-10-20
CN1295272C (zh) 2007-01-17
TW381099B (en) 2000-02-01
CA2216351C (en) 2006-06-13
EP1065240B1 (en) 2007-06-27
DE69704826T2 (de) 2001-10-04
EP1065240A3 (en) 2001-03-21
DE69737874T2 (de) 2008-02-28
EP1065240B8 (en) 2007-10-10
EP0832926B1 (en) 2001-05-16
US6458894B1 (en) 2002-10-01
CN1181396A (zh) 1998-05-13
JP3724129B2 (ja) 2005-12-07
JPH10152586A (ja) 1998-06-09
CN1597757A (zh) 2005-03-23
EP1065240A2 (en) 2001-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72847B1 (en) Polyolefin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low temperature toughness
EP0877050B1 (en) Impact modification of thermoplastics
AU2004297278B2 (en) Thermoplastic olefinic compositions
US7217766B2 (en) Hetero phase polymer compositions
EP1186631B1 (en) Rubber composition of high and low molecular weight EPDM
JP2894858B2 (ja) エチレン・α−オレフィン・ジエン系ゴムおよびその用途
KR100514124B1 (ko) 고무개질제
EP1280853B1 (en) Polyolefin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low temperature toughness and methods therefor
JP4574550B2 (ja) シンジオタクティックプロピレン系重合体組成物
JP5055072B2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の製造方法、及び成形体
KR102290485B1 (ko) 비-카페트 바닥재를 위한 광택이 감소된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EP0946666B1 (en) Homogeneously branched ethylene/alpha-olefin interpolymer compositions for use in gasket applications
JP3945579B2 (ja) シンジオタクティックプロピレン系重合体組成物
KR20240067235A (ko) 중합체 사슬당 높은 디엔 함량을 갖는 에틸렌-a-올레핀-비컨쥬게이트된 디엔 공중합체 및 이의 블렌드
JPS6320862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