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2954B1 - 건설기계 - Google Patents

건설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2954B1
KR102652954B1 KR1020207019439A KR20207019439A KR102652954B1 KR 102652954 B1 KR102652954 B1 KR 102652954B1 KR 1020207019439 A KR1020207019439 A KR 1020207019439A KR 20207019439 A KR20207019439 A KR 20207019439A KR 102652954 B1 KR102652954 B1 KR 1026529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seat
switches
switch panel
paragrap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9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0238A (ko
Inventor
고 오가타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겐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겐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겐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30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0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2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29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02F9/16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movable, tiltable or pivoting, e.g. movable seats, dampening arrangements of cab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4Supports for the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04Control mechanisms, e.g. control le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58Electric or electro-mechanical or mechanical control devices of vehicle sub-units
    • E02F9/2062Control of propulsion units
    • E02F9/2066Control of propulsion units of the type combustion engin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1Arrangements of two or more controlling members with respect to one an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건설기계로서의 쇼벨은, 캐빈과, 캐빈 내에 마련되는 운전석과, 운전석에 착석한 조작자의 우측에 마련되고, 운전석의 전후방향을 따라 뻗어 있는 시트우측콘솔과, 시트우측콘솔의 전부에 마련되는 우조작레버와, 시트우측콘솔 상에 마련되는 스위치패널과, 운전석의 후부측으로부터 전방으로 뻗어 있으며, 시트우측콘솔의 상방에 배치되는 우암레스트를 구비하고, 스위치패널은, 우암레스트와 우조작레버의 사이에 배치된다.

Description

건설기계
본 개시는, 건설기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쇼벨 등의 건설기계의 캐빈에서는, 일반적으로 전방의 표시장치에 각종 스위치를 포함하는 스위치패널이 마련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7-210729호
표시장치에 스위치패널이 있으면, 오퍼레이터는 스위치를 조작할 때에는 표시장치까지 손을 뻗을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스위치를 조작할 때마다 상체를 전방으로 일으키거나, 팔을 암레스트로부터 뗄 필요가 있어, 스위치의 조작성이 매우 나빴다.
본 개시는, 스위치류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설기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 관점에 관한 건설기계는, 캐빈과, 상기 캐빈 내에 마련되는 운전석과, 상기 운전석에 착석한 조작자의 우측에 마련되고, 상기 운전석의 전후방향을 따라 뻗어 있는 시트우측콘솔과, 상기 시트우측콘솔의 전부(前部)에 마련되는 우(右)조작레버와, 상기 시트우측콘솔 상에 마련되는 스위치패널과, 상기 운전석의 후부측으로부터 전방으로 뻗어 있으며, 상기 시트우측콘솔의 상방에 배치되는 우암레스트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패널은, 상기 우암레스트와 상기 우조작레버의 사이에 배치된다.
본 개시에 의하면, 스위치류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설기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쇼벨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쇼벨의 구동계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캐빈의 내부를 Y정방향측으로부터 본 좌측면도이다.
도 4는 캐빈의 내부를 Z정방향측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5는 스위치패널의 근방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스위치패널의 근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변형예의 스위치패널의 근방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변형예의 스위치패널의 근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설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X방향, Y방향, Z방향은 서로 수직인 방향이며, 전형적으로는, X방향 및 Y방향은 수평방향, Z방향은 연직방향이다. X방향은, 쇼벨의 전후방향이며, 전방측이 X정방향이고, 후방측이 X부방향이다. Y방향은, 쇼벨의 좌우폭방향이며, 좌측이 Y정방향, 우측이 Y부방향이다. Z방향은, 쇼벨의 높이방향이며, 상측이 Z정방향, 하측이 Z부방향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쇼벨의 전체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쇼벨(굴삭기)의 측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쇼벨의 하부주행체(1)에는, 선회기구(2)를 개재하여 상부선회체(3)가 선회 가능하게 탑재되어 있다. 상부선회체(3)에는, 붐(4)이 장착되어 있다. 붐(4)의 선단에는, 암(5)이 장착되고, 암(5)의 선단에는, 엔드어태치먼트로서의 버킷(6)이 장착되어 있다. 붐(4), 암(5), 및 버킷(6)은, 어태치먼트의 일례로서의 굴삭어태치먼트를 구성하고, 붐실린더(7), 암실린더(8), 및 버킷실린더(9)에 의하여 각각 유압구동된다. 상부선회체(3)에는, 운전실인 캐빈(10)이 마련되며, 또한 엔진(11) 등의 동력원이 탑재된다.
캐빈(10) 내에는, 컨트롤러(30)가 설치되어 있다. 컨트롤러(30)는, 쇼벨의 구동제어를 행하는 주제어부로서 기능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컨트롤러(30)는, CPU, RAM, ROM 등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구성되어 있다. 컨트롤러(30)의 각종 기능은, 예를 들면 ROM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CPU가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도 1의 쇼벨의 구동계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쇼벨의 구동계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 중, 기계적 동력계, 고압유압라인, 파일럿라인, 및 전기제어계를 각각 이중선, 굵은 실선, 파선, 및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쇼벨의 구동계는, 주로, 엔진(11), 레귤레이터(13), 메인펌프(14), 파일럿펌프(15), 컨트롤밸브(17), 조작장치(26), 토출압센서(28), 조작압센서(29), 컨트롤러(30), 비례밸브(31), 다이얼(32), 표시장치(33), 스위치군(41a~41f) 등을 포함한다.
엔진(11)은, 쇼벨의 구동원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엔진(11)은, 예를 들면 소정의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동작하는 디젤엔진이다. 또, 엔진(11)의 출력축은, 메인펌프(14) 및 파일럿펌프(15)의 입력축에 연결되어 있다.
메인펌프(14)는, 고압유압라인을 통하여 작동유를 컨트롤밸브(17)에 공급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메인펌프(14)는, 사판식(斜板式) 가변용량형 유압펌프이다.
레귤레이터(13)는, 메인펌프(14)의 토출량을 제어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레귤레이터(13)는, 컨트롤러(30)로부터의 제어지령에 따라 메인펌프(14)의 사판경전각(斜板傾轉角)을 조절함으로써 메인펌프(14)의 토출량을 제어한다.
파일럿펌프(15)는, 파일럿라인을 통하여 조작장치(26) 및 비례밸브(31)를 포함하는 각종 유압제어기기에 작동유를 공급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파일럿펌프(15)는, 고정용량형 유압펌프이다.
컨트롤밸브(17)는, 쇼벨에 있어서의 유압시스템을 제어하는 유압제어장치이다. 컨트롤밸브(17)는, 제어밸브(171~176), 및 블리드밸브(177)를 포함한다. 컨트롤밸브(17)는, 제어밸브(171~176)를 통하여, 메인펌프(14)가 토출하는 작동유를 1 또는 복수의 유압액추에이터에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제어밸브(171~176)는, 메인펌프(14)로부터 유압액추에이터로 흐르는 작동유의 유량, 및 유압액추에이터로부터 작동유탱크로 흐르는 작동유의 유량을 제어한다. 유압액추에이터는, 붐실린더(7), 암실린더(8), 버킷실린더(9), 좌측주행용 유압모터(1A), 우측주행용 유압모터(1B), 및 선회용 유압모터(2A)를 포함한다. 블리드밸브(177)는, 메인펌프(14)가 토출하는 작동유 중, 유압액추에이터를 경유하지 않고 작동유탱크로 흐르는 작동유의 유량(이하, "블리드유량"이라고 함)을 제어한다. 블리드밸브(177)는, 컨트롤밸브(17)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조작장치(26)는, 조작자가 유압액추에이터의 조작을 위하여 이용하는 장치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작장치(26)는, 파일럿라인을 통하여, 파일럿펌프(15)가 토출하는 작동유를 유압액추에이터의 각각에 대응하는 제어밸브의 파일럿포트에 공급한다. 파일럿포트의 각각에 공급되는 작동유의 압력(파일럿압)은, 유압액추에이터의 각각에 대응하는 조작장치(26)의 레버 또는 페달(도 3, 도 4 참조)의 조작방향 및 조작량에 따른 압력이다.
토출압센서(28)는, 메인펌프(14)의 토출압을 검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토출압센서(28)는, 검출한 값을 컨트롤러(30)에 대하여 출력한다.
조작압센서(29)는, 조작장치(26)를 이용한 조작자의 조작내용을 검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작압센서(29)는, 유압액추에이터의 각각에 대응하는 조작장치(26)의 레버 또는 페달의 조작방향 및 조작량을 압력(조작압)의 형태로 검출하고, 검출한 값을 컨트롤러(30)에 대하여 출력한다. 조작장치(26)의 조작내용은, 조작압센서 이외의 다른 센서를 이용하여 검출되어도 된다.
비례밸브(31)는, 컨트롤러(30)가 출력하는 제어지령에 따라 동작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비례밸브(31)는, 컨트롤러(30)가 출력하는 전류지령에 따라 파일럿펌프(15)로부터 컨트롤밸브(17) 내의 블리드밸브(177)의 파일럿포트로 도입되는 2차압을 조정하는 전자(電磁)밸브이다. 비례밸브(31)는, 예를 들면 전류지령이 클수록, 블리드밸브(177)의 파일럿포트로 도입되는 2차압이 커지도록 동작한다.
다이얼(32)은, 조작자가 엔진(11)의 회전수를 선택하기 위한 회전식의 노브이다. 다이얼(32)은 엔진회전수의 조정을 회전에 의하여 행할 수 있다. 또, 다이얼(32)에는 출력특성전환스위치(35)가 마련되어 있고, 출력특성전환스위치(35)의 압하에 의하여 쇼벨의 출력특성을 전환할 수 있다.
다이얼(32)은, 엔진회전수를 복수단계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이들 복수단계는,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POWER모드, STD모드, IDLE모드를 포함한다. POWER모드는, 작업량을 우선하고 싶은 경우에 선택되는 작업모드이며, 가장 높은 엔진회전수를 이용하고, 또한 가장 높은 가감속특성을 이용한다. STD모드는, 작업량과 연비를 양립시키고 싶은 경우에 선택되는 작업모드이며, 두번째로 높은 엔진회전수를 이용하고, 또한 두번째로 높은 가감속특성을 이용한다. IDLE모드는, 엔진을 아이들링상태로 하고 싶은 경우에 선택되는 작업모드이며, 가장 낮은 엔진회전수를 이용하고, 또한 가장 낮은 가감속특성을 이용한다.
또, 출력특성전환스위치(35)에서는, 예를 들면 통상특성과 저연비특성의 2단계로 출력특성을 전환할 수 있다. 저연비특성은, 레버조작에 대응한 유압액추에이터의 가속특성이나 감속특성을 완만하게 하고, 정확한 조작성과 안전성을 향상시켜, 저소음으로 쇼벨을 가동시키고 싶은 경우에 선택되는 출력특성이다. 예를 들면, 저연비특성에서는, 엔진출력토크선도를 변경시킨다. 구체적으로, 일반특성의 엔진출력토크선도에 더하여, 저연비특성의 엔진출력토크선도를 준비하고, 출력특성전환스위치(35)를 누름으로써, 엔진출력토크선도를 변경한다. 즉, 출력특성이 저연비특성으로 설정되면, 토크가 작은 엔진출력토크선도로 변경된다. 또, 예를 들면 저연비특성은, 동일한 엔진출력토크선도(통상특성의 엔진출력토크선도)에 있어서, 엔진회전수가 소정값 감소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구체적으로, 다이얼(32)에 있어서의 각 단계의 엔진회전수를 소정값 감소시킨다. 이때, 저연비특성의 최대 엔진회전수는, 통상특성의 최대 엔진회전수보다 낮게 해도 된다. 이와 같이, 저연비특성은, 엔진을 제어함으로써, 통상특성보다 저연비로 쇼벨을 가동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저연비특성은, 통상특성의 엔진출력토크선도를 다른 엔진출력토크선도로 변경하는 것에 더하여, 엔진회전수가 소정값 감소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다이얼(32), 출력특성전환스위치(35)로부터는, 엔진회전수의 설정상태나 출력특성에 관한 정보가 컨트롤러(30)에 상시 송신되고 있다. 그리고, 컨트롤러(30)는, 다이얼(32)로 설정된 엔진회전수로, 엔진(11)의 회전수제어를 행한다.
또, 컨트롤러(30)에는, 표시장치측스위치군(34), 스위치군(41a~41f), 로커스위치(44) 등으로부터 각종 정보가 입력된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캐빈(10) 내에 설치된 운전석(100) 및 조작장치(26)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캐빈(10)의 내부를 Y정방향측에서 본 좌측면도이다. 도 4는, 캐빈(10)의 내부를 Z정방향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캐빈(10) 내에는 운전석(100)이 설치된다. 운전석(100)은 조작자가 착석하는 시트(102)와 등받이(104)를 포함한다. 운전석은 리클라이닝시트이며, 등받이(104)의 경사각도를 조절 가능하게 되어 있다. 운전석(100)의 좌우양측에 각각 좌(左)암레스트(106A) 및 우암레스트(106B)가 배치된다. 좌암레스트(106A) 및 우암레스트(106B)는 회동(回動)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운전석(100)의 좌우양측에는, 시트좌측콘솔(120A) 및 시트우측콘솔(120B)이 각각 배치된다. 시트좌측콘솔(120A) 및 시트우측콘솔(120B)은, 운전석의 전후방향을 따라 뻗어 있도록 마련된다. 운전석(100)은, 전후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좌주행레버(26E), 우측주행레버(26F)나 캐빈(10)의 프론트글라스, 시트좌측콘솔(120A) 및 시트우측콘솔(120B)에 대하여, 조작자는 운전석(100)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여 고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운전석(100)은, 시트좌측콘솔(120A), 시트우측콘솔(120B), 좌암레스트(106A) 및 우암레스트(106B)와 함께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성이어도 된다.
시트좌측콘솔(120A)의 전부에 좌조작레버(26A)가 마련된다. 동일하게, 시트우측콘솔(120B)의 전부에 우조작레버(26B)가 마련된다. 운전석(100)에 착석한 조작자는, 왼손으로 좌조작레버(26A)를 파지(把持)하면서 좌조작레버(26A)를 조작하며, 또한 오른손으로 우조작레버(26B)를 파지하면서 우조작레버(26B)를 조작한다. 운전석(100)에 착석한 조작자는, 왼손으로 좌조작레버(26A)를 조작하여 암실린더(8) 및 선회용 유압모터(2A)를 구동한다. 또, 오른손으로 우조작레버(26B)를 조작하여 붐실린더(7) 및 버킷실린더(9)를 구동한다.
좌조작레버(26A), 우조작레버(26B)의 기부(基部)측은 레버커버(27)로 덮여 있으며, 이로써 좌조작레버(26A) 및 우조작레버(26B)가, 각각 시트좌측콘솔(120A), 시트우측콘솔(120B)의 표면과 단차없이 연속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운전석(100)의 전방의 바닥면에 좌(左)주행페달(26C), 우(右)주행페달(26D)이 배치된다. 운전석(100)에 착석한 조작자는, 왼발로 좌주행페달(26C)을 조작하여 좌측주행용 유압모터(1A)를 구동한다. 또, 운전석(100)에 착석한 조작자는, 오른발로 우주행페달(26D)을 조작하여 우측주행용 유압모터(1B)를 구동한다.
좌주행페달(26C)의 근방으로부터 좌주행레버(26E)가 상방을 향하여 뻗어 있다. 운전석(100)에 착석한 조작자는, 왼손으로 좌주행레버(26E)를 파지하면서 조작함으로써, 좌주행페달(26C)에서의 조작과 동일하게, 좌측주행용 유압모터(1A)를 구동할 수 있다. 또, 우주행페달(26D)의 근방으로부터 우측주행레버(26F)가 상방을 향하여 뻗어 있다. 운전석(100)에 착석한 조작자는, 오른손으로 우측주행레버(26F)를 파지하면서 조작함으로써, 우주행페달(26D)에서의 조작과 동일하게, 우측주행용 유압모터(1B)를 구동할 수 있다.
다만, 캐빈(10) 내의 우측전부에는, 쇼벨의 작업조건이나 동작상태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장치(33)가 배치된다. 운전석(100)에 착석한 조작자는 표시장치(33)에 표시된 각종 정보를 확인하면서 쇼벨에 의한 작업을 행할 수 있다. 표시장치(33)에는, 예를 들면 표시장치(33)의 표시제어용 등의 표시장치측스위치군(34)이 마련된다.
또, 운전석(100)의 좌측(즉, 캐빈의 승강용 도어가 있는 측)에는, 게이트로크레버(140)가 마련된다. 게이트로크레버(140)를 당겨올림으로써, 엔진(11)의 기동이 허가되어, 쇼벨을 조작할 수 있다. 게이트로크레버(140)를 당겨내리면, 엔진(11)을 포함하는 작동부는 기동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조작자가 운전석에 착석하여 게이트로크레버(140)를 당겨올린 상태로 하지 않는 한, 쇼벨은 작동하지 않아, 안전성이 유지된다.
운전석(100)의 시트우측콘솔(120B)보다 우측에는, 창측콘솔(120C)이 설치된다. 창측콘솔(120C)은, 예를 들면 캐빈(10)의 전후방향에 걸쳐 뻗어 있으며, 시트우측콘솔(120B)과 평행하게 마련된다. 표시장치(33)는 예를 들면 창측콘솔(120C)의 전부에 설치할 수 있다. 창측콘솔(120C)에는, 이그니션스위치(42), 라디오(43) 등이 설치된다. 여기에서, 이그니션스위치(42), 라디오(43) 등은, 시트좌측콘솔(120A), 또는 시트우측콘솔(120B)에 설치되어도 된다.
좌암레스트(106A) 및 우암레스트(106B)는, 각각 시트좌측콘솔(120A) 및 시트우측콘솔(120B)의 상방에 배치된다. Z방향에서 봤을 때에, 좌암레스트(106A), 우암레스트(106B) 중 적어도 일부가, 시트좌측콘솔(120A), 시트우측콘솔(120B)의 후부를 가리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트우측콘솔(120B)에 있어서, 우암레스트(106B)와 우조작레버(26B)의 사이의 위치에 스위치패널(41)이 배치된다. 스위치패널(41)은, 스위치군(41a~41f)과, 다이얼(32)을 포함한다. 다이얼(32)에는 출력특성전환스위치(35)가 마련된다.
도 5, 도 6을 참조하여, 스위치패널(41)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스위치패널(41)의 근방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스위치패널(41)의 근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스위치패널(41)은, 시트우측콘솔(120B)의 상면에 마련되고, 우암레스트(106B)보다 전방, 또한 우조작레버(26B)보다 후방에 배치된다.
우암레스트(106B)는, 운전석(100)과 함께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우암레스트(106B)가 전단(前端)위치에 있는 경우여도, 우암레스트(106B)의 전단부(107)가 스위치패널(41)의 전체를 상방으로부터 덮지 않도록, 암레스트의 길이가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좌암레스트(106A) 및 우암레스트(106B)는, 운전석(100)의 이동과는 독립적으로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도 된다. 또,우암레스트(106B)는, 적어도 스위치군(41a~41f) 및 다이얼(32)을 상방으로부터 덮지 않는 구성이면 되므로, 스위치패널(41)의 일부를 상방으로부터 덮고 있어도 된다.
스위치패널(41)에 배치하는 스위치군(41a~41f)은, 주로 쇼벨운전 중에 사용빈도가 높은 기능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스위치군(41a~41f)은, 설정상태전환스위치로서의 주행전환, 예비회로전환(어태치먼트전환), 크레인모드전환, 장비품의 ON/OFF스위치로서의 와이퍼, 라이트, 윈드워셔 등의 기능을 갖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위치패널(41)이 배치됨으로써, 쇼벨운전 중에 사용빈도가 높은 스위치군(41a~41f)을 시트우측콘솔(120B)에 집약할 수 있다. 조작자는, 우암레스트(106B)에 팔을 두고 우조작레버(26B)를 파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우조작레버(26B)로부터 손을 떼면, 우암레스트(106B)에 팔을 둔 채로 스위치패널(41)을 조작 가능하다. 이로써, 스위치조작 시에 조작자는 전방으로 상체를 일으키거나, 팔을 암레스트로부터 떼지 않고 스위치조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져, 스위치류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스위치패널(41)의 상면(45)은, 후방의 우암레스트(106B)측으로 경사져 배치된다. 상면(45)의 경사각도 θ1은, 예를 들면 10~40도 정도이다. 이로써, 조작자로부터 스위치패널(41)의 상면(45)이 보기 쉬워져, 조작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스위치패널(41)의 상면(45)은, 또한 운전석측(Y정방향측)으로 경사져도 된다.
다이얼(32)은, 대략 원기둥상이며, 그 중심축이 회전축(A)이다. 다이얼(32)은, 회전축(A) 둘레로 회전 가능하며, 이 회전축(A) 둘레의 회전에 의하여 엔진(11)의 회전수가 조정된다. 또, 출력특성전환스위치(35)는, 다이얼(32)의 원기둥형상의 상면에 마련되고, 회전축(A)의 방향으로 압하(押下)함으로써 쇼벨의 출력특성이 전환된다.
다이얼(32)은, 수평면에 대하여 회전축(A)의 방향이 전방의 우조작레버(26B)측으로 경사져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후방측으로 경사지는 스위치패널(41)의 상면(45)에 기대(基台)(46)가 마련된다. 이 기대(46)는 상면이 전방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다이얼(32)은 기대(46)의 상면에 설치된다. 다이얼(32)의 회전축(A)이 전방으로 경사진 상태이면, 조작자는 우암레스트(106B)에 팔을 둔 채로도 다이얼(32)을 잡기 쉬우므로, 다이얼(32)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스위치패널(41)의 상면(45)에 대한 다이얼(32)의 회전축(A)의 경사각도 θ2는, 예를 들면 20~50도 정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위치패널(41)의 스위치군(41a~41f)에는, 운전 중에 사용빈도가 높은 기능의 스위치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표시장치(33)에 배치하는 표시장치측스위치군(34)은, 운전 중에 사용빈도가 낮은 기능의 스위치를 적용할 수 있다. 표시장치측스위치군(34)은, 예를 들면 에어컨의 온도조정이나 풍량조정, 아워미터와 트립미터의 전환, 상하좌우키를 포함할 수 있다.
로커스위치(44)에는, 옵션적인 기능의 것을 적절히 적용할 수 있다. 로커스위치(44)는, 예를 들면 응용기(그래플이나 리프팅마그넷 등)로 이용하는 예비회로전환(어태치먼트전환), 주행알람, 장애물검지기능의 온오프전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로커스위치(44)는, 시트우측콘솔(120B)에 있어서, 우암레스트(106B)의 하방에 배치된다.
스위치패널(41)의 제어수법은, 예를 들면 스위치패널(41)에 마이크로컴퓨터를 마련하고, 스위치군(41a~41f) 및 다이얼(32)의 정보를 제어하여, CAN통신으로 컨트롤러(30)에 송신해도 되고, 또는 각종 스위치(41a~41f) 및 다이얼(32)의 신호를 각각 컨트롤러(30)에 전송하여, 컨트롤러(30)로 각 신호를 제어해도 된다.
스위치패널(41)의 스위치군(41a~41f)은, 다이얼(32)의 주위에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이얼(32)보다 운전석측과, 우조작레버(26B)측에 배치된다. 스위치군의 할당은, 예를 들면 스위치패널(41) 좌 상의 스위치(41a)가 주행속도전환, 그 오른쪽 옆(Y부방향측)의 스위치(41b)가 예비회로전환, 그 오른쪽 옆의 스위치(41c)가 크레인모드전환, 스위치(41a)보다 앞쪽측(X부방향측)의 스위치(41d)가 작업등스위치, 그 앞쪽의 스위치(41e)가 와이퍼스위치, 그 앞쪽의 스위치(41f)가 워셔스위치이다.
스위치군(41a~41f)은, 적어도 일부(도 6의 예에서는, 스위치(41a, 41d, 41e, 41f))가 다이얼(32)보다 운전석(100)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운전석에 착석한 조작자에 있어서 스위치가 앞쪽측에 배치되게 되므로, 조작자가 스위치를 시인하기 쉽게 할 수 있어,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위치(41a~41f)는, 누를 때마다 온과 오프를 반복하며, 또한 눌린 후에 누르기 전의 기준위치까지 되돌아오는 타입의 스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스위치조작에 의하여 스위치(41a~41f)가 스위치패널(41)의 상면(45)보다 파이는 경우가 없으므로, 스위치패널(41)에 먼지 등이 쌓이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 각 스위치(41a~41f)의 표면은 스위치패널(41)의 상면(45)과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이로써, 각 스위치(41a~41f)와 상면(45)의 사이에 간극이 없어지므로, 간극으로부터 스위치패널(41) 내에 먼지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스위치패널(41)의 동작의 안정성을 담보할 수 있다. 스위치(41a~41f)와 상면(45)은, 예를 들면 실리콘 등 가압 시에 탄력을 발생시키는 재료로 형성되고, 이로써 스위치의 접촉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스위치(41a~41f)의 표면은 매트가공이 실시되고, 이로써 스위치표면에 먼지가 붙기 어렵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각 스위치(41a~41f)의 형상은, 도 5,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위치패널(41)의 상면(45)에 대하여, 차량전방측(X정방향측)의 전방부(49A)보다 차량후방측(X부방향측)의 후방부(49B)가 돌출되어 있다. 측방(Y방향)에서 봤을 때에, 후방부(49B)의 돌출부분부터 전방부(49A)까지의 사이에는, 매끄러운 오목곡면부(49C)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곡면부(49C)에는, 손가락끝이 전방을 향하도록 x방향을 따라 운전자가 손가락을 스위치 상에 두었을 때에 손가락의 마디가 끼워지므로, 이로써 스위치(41a~41f)의 손가락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스위치(41a~41f)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스위치패널(41)의 스위치군(41a~41f)에는, 각 스위치에 할당되어 있는 기능을 알 수 있는 일러스트가 그려져, 각 스위치가 온 상태일 때에 당해 스위치 상의 일러스트가 빛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스위치패널(41)의 상면(45) 중 각 스위치(41a~41f)의 근방에는, 각 스위치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47a~47f)가 마련되어 있다. 인디케이터(47a~47f)는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점등상태와 소등상태를 전환한다. 예를 들면 각 인디케이터는, 관련되어 있는 스위치가 온 상태일 때에는 점등상태가 되고, 스위치가 온 상태인 것을 운전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작업등점등용 스위치(41d)가 온 상태일 때에는, 이 스위치(41d)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47d)가 점등하고, 작업등점등용 스위치(41d)가 오프 상태일 때에는 인디케이터(47d)는 소등한다. 인디케이터(47a~47f)의 점등색은 예를 들면 오렌지이지만, 그 외의 색(청색, 적색, 황색 등)이어도 된다. 이와 같은 인디케이터(47a~47f)의 시각적 효과는, 스위치(41a~41f)가, 누를 때마다 온과 오프를 반복하며, 또한 눌린 후에 누르기 전의 기준위치까지 되돌아오는 타입의 스위치로서, 온 상태와 오프 상태에서 외관에 차이가 없는 구성의 경우에 특히 유효하다.
다만, 인디케이터의 부호의 알파벳 a~f는, 각 인디케이터의 동작이 관련되어 있는 스위치(41a~41f)의 부호와 동일하다. 각 스위치에 대응되는 인디케이터의 수는 복수여도 되고, 도 6의 예에서는, 스위치(41e)에는 2개의 인디케이터(47e1, 47e2)가 관련되어 마련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위치(41e)는 와이퍼스위치이며, 스위치(41e)의 압하횟수에 따라 와이퍼의 작동속도가 복수단계로 전환된다. 예를 들면, 와이퍼가 저속운전 시에는 인디케이터(47e1)만이 점등하고, 와이퍼가 고속운전 시에는 인디케이터(47e1, 47e2)의 양방이 점등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스위치의 기능에 따라 인디케이터의 점등패턴이나 수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고, 이로써 각 스위치의 기능의 실시상황을 운전자에게 보다 효과적으로 알릴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위치(41a~41f)의 누름 방법에 따라 다른 기능을 발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인접하는 주행속도전환용 스위치(41a)와, 작업등점등용 스위치(41d)를 동시에 길게 누른 경우에는, 쇼벨의 선회동작이 로크된다. 예비회로전환용 스위치(41b)를 길게 누른 경우에는, 표시장치(33)에 예비회로의 설정화면이 표시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쇼벨의 엔진정지 후에서도, 스위치(41a~41f)의 온 상태를 소정 시간 유지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작업등점등용 스위치(41d)가 온 상태이며, 쇼벨의 작업등이 점등되어 있을 때에 엔진이 정지된 경우에는, 스위치(41d)의 온 상태가 소정 시간 유지되고, 이로써 작업등을 엔진정지 후에 소정 시간 점등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엔진정지 후에 즉석에서 작업등이 소등되지 않고 소정 시간은 계속 점등하므로, 운전자가 캐빈(10)으로부터 내릴 때의 주위의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조작레버(26B)의 상단부의 차량후방측(x부방향측)의 표면에 하스위치(48ar), 우스위치(48cr), 좌스위치(48dr)가 마련된다. 하스위치(48ar)는, 우스위치(48cr), 좌스위치(48dr)보다 하방에 배치된다. 우스위치(48cr), 좌스위치(48dr)는, 동일한 높이위치에서 운전석(100)에서 보아 우측에 우스위치(48cr)가, 좌측에 좌스위치(48dr)가 나열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 하스위치(48ar), 우스위치(48cr), 좌스위치(48dr)와 반대측의 차량전방측의 표면에는, 트리거스위치(48br)가 마련된다.
하스위치(48ar), 우스위치(48cr), 좌스위치(48dr)는, 운전자가 우조작레버(26B)를 오른손으로 파지하면서, 오른손의 엄지로 조작 가능한 위치에 배치된다. 또, 트리거스위치(48br)는, 운전자가 우조작레버(26B)를 오른손으로 파지하면서, 오른손의 집게손가락 또는 중지로 조작 가능한 위치에 배치된다.
하스위치(48ar), 우스위치(48cr), 좌스위치(48dr), 트리거스위치(48br)는, 예를 들면 스위치(41a~41f)와 동일하게, 누를 때마다 온과 오프를 반복하며, 또한 눌린 후에 누르기 전의 기준위치까지 되돌아오는 타입의 스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하스위치(48ar), 우스위치(48cr), 좌스위치(48dr), 트리거스위치(48br)는, 예를 들면 스위치(41a~41f)와 동일하게, 우조작레버(26B)의 표면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각 스위치(48ar~48dr)와 우조작레버(26B)의 표면의 사이에 간극이 없어지므로, 우조작레버(26B)의 방진성(防塵性)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좌조작레버(26A)에도, 우조작레버(26B)와 동일한 하스위치(48al), 트리거스위치(48bl), 우스위치(48cl), 좌스위치(48dl)가 마련된다(도 4 참조). 하스위치(48al), 트리거스위치(48bl), 우스위치(48cl), 좌스위치(48dl)의 배치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우조작레버(26B)의 하스위치(48ar), 트리거스위치(48br), 우스위치(48cr), 좌스위치(48dr)와 동일하다.
조작레버의 스위치군의 할당은, 예를 들면 우조작레버(26B)의 하스위치(48ar)가 원터치아이들기능(쇼벨의 엔진을 아이들운전으로 전환하는 기능), 트리거스위치(48br)가 와이퍼+워셔기능, 우스위치(48cr)가 핸즈프리수화기능(블루투스(등록상표) 접속된 스마트폰의 수화조작을 행하는 기능), 좌스위치(48dr)가 에어컨의 온오프전환기능이다. 또, 좌조작레버(26A)의 하스위치(48al)가 혼기능, 트리거스위치(48bl)가 라디오(43) 등의 뮤트기능, 우스위치(48cl)가 장애물검지경보음(쇼벨의 장애물검지기능의 실행 중에 쇼벨의 주위에 장애물이나 사람을 검지한 경우에 그 취지를 운전자에게 알리기 위한 경보음)의 온오프전환기능, 좌스위치(48dl)가 표시장치(33)에 표시하는 카메라화상의 전환기능이다.
다만, 우스위치(48cl)의 장애물검지경보음전환기능은, 로커스위치(44)나 스위치패널(41)의 스위치군(41a~41f)에 할당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좌조작레버(26A) 및 우조작레버(26B)의 스위치군(48al~48dl, 48ar~48dr)의 기능은, 스위치패널(41)의 스위치군(41a~41f)의 기능과는 다른 기능을 할당할 수 있다. 다만, 좌조작레버(26A) 및 우조작레버(26B)의 스위치군(48al~48dl, 48ar~48dr)의 각 기능은, 예를 들면 표시장치(33) 상의 조작에 의하여 임의로 변경이 가능하다.
도 7, 도 8을 참조하여, 스위치형상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변형예의 스위치패널(41)의 근방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변형예의 스위치패널(41)의 근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스위치패널(41)의 스위치군(41a~41f)의 형상은, 도 5, 도 6에 나타낸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7,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면이 평탄한 형상이어도 된다.
이상, 구체예를 참조하면서 본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들의 구체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의 구체예에, 당업자가 적절히 설계 변경을 첨가한 것도, 본 개시의 특징을 구비하고 있는 한,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상술한 각 구체예가 구비하는 각 요소 및 그 배치, 조건, 형상 등은, 예시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상술한 각 구체예가 구비하는 각 요소는, 기술적인 모순이 발생하지 않는 한, 적절히 조합을 변경할 수 있다.
스위치패널(41)은, 다이얼(32)을 포함하지 않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경우, 다이얼(32)은, 시트우측콘솔(120B) 상의 다른 개소나, 창측콘솔(120C)에 설치하면 된다.
스위치패널(41)은, 후방측에 경사지게 하지 않고 시트우측콘솔(120B)의 상면과 동일하게 수평이어도 된다. 다이얼(32)은, 시트우측콘솔(120B)의 상면과 평행하게 배치되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스위치군(41a~41f)은, 표시장치측스위치군(34)과 다른 기능을 갖고 있었지만, 동일한 기능을 갖는 스위치여도 된다. 구체적으로, 표시장치측스위치군(34)은, 에어컨의 온도조정이나 풍량조정, 아워미터와 트립미터의 전환, 상하좌우키, 주행전환, 와이퍼, 라이트, 윈드워셔, 예비회로전환(어태치먼트전환), 크레인모드전환의 기능을 갖는 스위치를 갖고, 스위치패널(41)의 상면(45)에는, 이 기능에 관한 스위치를 모두 포함해도 되며,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갖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건설기계의 일례로서 쇼벨을 예시했지만, 쇼벨과 동일한 캐빈(10)을 갖는 것이면, 리프팅마그넷, 그래플, 파쇄기 등을 구비한 다른 건설기계에도 적용 가능하다.
본 국제출원은 2018년 3월 28일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2018-062805호에 근거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2018-062805호의 전체 내용을 여기에 본 국제출원에 원용한다.
10 캐빈
26B 우조작레버
32 다이얼
35 출력특성전환스위치
41 스위치패널
41a~41f 스위치군
45 스위치패널의 상면
100 운전석
106B 우암레스트
107 우암레스트의 전단부
120B 시트우측콘솔
A 회전축

Claims (15)

  1. 건설기계로서,
    캐빈과,
    상기 캐빈 내에 마련되는 운전석과,
    상기 운전석에 착석한 조작자의 우측에 마련되고, 상기 운전석의 전후방향을 따라 뻗어 있는 시트우측콘솔과,
    상기 시트우측콘솔의 전부에 마련되는 우조작레버와,
    상기 시트우측콘솔 상에 마련되는 복수의 스위치와,
    상기 시트우측콘솔 상에 마련되는 다이얼과,
    상기 운전석의 후부측으로부터 전방으로 뻗어 있으며, 상기 시트우측콘솔의 상방에 배치되는 우암레스트와,
    상기 캐빈 내의 상기 운전석보다 전방에 마련되고, 상기 건설기계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장치와,
    상기 캐빈 내의 상기 시트우측콘솔보다 더 우측에 마련되고, 상기 전후방향을 따라 뻗어 있는 창측콘솔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스위치 및 상기 다이얼은, 상기 우암레스트와 상기 우조작레버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창측콘솔의 상기 전후방향의 전단에 마련되는, 건설기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스위치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패널의 상면은, 상기 우암레스트측으로 경사져 배치되는, 건설기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스위치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패널에는, 회전축 둘레로 회전 가능한 상기 다이얼이 포함되는, 건설기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은, 수평면에 대하여 상기 회전축이 상기 우조작레버측으로 경사져 배치되는, 건설기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은, 상기 회전축의 방향으로 누르면 당해 건설기계의 출력특성이 전환되는, 건설기계.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위치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다이얼보다 상기 운전석측에 배치되는, 건설기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스위치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우암레스트는, 상기 운전석과 함께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우암레스트가 전단위치에 있는 경우여도, 상기 스위치패널을 상방으로부터 덮지 않도록 길이가 설정되는, 건설기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전방부보다 후방부가 돌출하여 형성되는, 건설기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스위치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스위치패널의 상면과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건설기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스위치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패널의 상면에는, 상기 복수의 스위치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인디케이터가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인디케이터는, 대응하는 상기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점등상태와 소등상태가 전환되는, 건설기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조작레버에 복수의 스위치가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스위치는, 상기 우조작레버의 표면과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건설기계.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빈은, 와이퍼, 에어컨, 및 창을 갖는, 건설기계.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스위치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패널에는, 회전축 둘레로 회전 가능한 상기 다이얼이 포함되고,
    상기 스위치패널의 상면이 상기 우암레스트측으로 경사지며, 또한 상기 다이얼의 회전축이 상기 우조작레버측으로 경사져 배치되는, 건설기계.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스위치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패널의 상면과 상기 스위치의 사이가 간극없이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건설기계.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위치는, 동시에 누르는 스위치의 조합에 의하여 기능이 변하거나, 또는 스위치의 압하횟수 또는 압하시간에 따라 기능이 변하는, 건설기계.

KR1020207019439A 2018-03-28 2019-03-27 건설기계 KR1026529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62805 2018-03-28
JPJP-P-2018-062805 2018-03-28
PCT/JP2019/013442 WO2019189507A1 (ja) 2018-03-28 2019-03-27 建設機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0238A KR20200130238A (ko) 2020-11-18
KR102652954B1 true KR102652954B1 (ko) 2024-03-28

Family

ID=68062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9439A KR102652954B1 (ko) 2018-03-28 2019-03-27 건설기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010233A1 (ko)
EP (1) EP3779058B1 (ko)
JP (1) JP7267996B2 (ko)
KR (1) KR102652954B1 (ko)
CN (1) CN111655937A (ko)
WO (1) WO20191895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62240B2 (ja) * 2019-02-15 2023-04-21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機械の操作装置、および作業機械
EP4159930A4 (en) * 2020-05-25 2023-12-06 Sumitomo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EXCAVATOR AND EXCAVATOR OPERATING DEVICE
JP7419179B2 (ja) 2020-07-01 2024-01-22 株式会社日立建機ティエラ 建設機械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3499A (ja) * 1999-04-19 2000-10-31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用キャブ
JP2001065000A (ja) * 1999-08-31 2001-03-13 Calsonic Kansei Corp 建設機械の操作レバー
JP2001262626A (ja) 2000-03-22 2001-09-26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
WO2003040015A1 (fr) * 2001-11-05 2003-05-15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Ltd. Dispositif de levier de commande d'une machine de construction et machine de construction
JP2004156334A (ja) 2002-11-07 2004-06-03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作業機械
JP2005141999A (ja) 2003-11-06 2005-06-02 Kojima Press Co Ltd 複合スイッチ装置
JP2005299132A (ja) 2004-04-08 2005-10-27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建設機械における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2008069696A (ja) 2006-09-13 2008-03-27 Sumitomo (Shi) Construction Machinery Manufacturing Co Ltd 建設機械のスロットルボリューム装置
US20110036603A1 (en) * 2008-03-07 2011-02-17 Martin Lavern Ruhter Grader Controls At Armrest
JP2013041797A (ja) 2011-08-19 2013-02-28 Panasonic Corp シートキーと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16037704A (ja) 2014-08-05 2016-03-22 住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7483A (ja) * 1997-05-26 1998-12-08 Shibaura Eng Works Co Ltd マッサージ器用リモコンケース
US6039141A (en) * 1998-02-23 2000-03-21 Case Corporation Moving operator and display unit
JP2000192511A (ja) * 1998-12-25 2000-07-11 Takahashi Works:Kk 建設機械の運転室および運転操縦装置
CA2345951A1 (en) * 2001-05-04 2002-11-04 Volvo Motor Graders Limited Advanced motor grader controls
US7458439B2 (en) * 2004-08-31 2008-12-02 Caterpillar Inc. Machine control pedestal
JP2007040623A (ja) * 2005-08-03 2007-02-15 Toshiba Corp 冷蔵庫
US7757806B2 (en) * 2005-12-22 2010-07-20 Caterpillar Sarl Adjustable operator interface
JP2009270270A (ja) * 2008-04-30 2009-11-19 Caterpillar Japan Ltd スイッチ装置
US7950492B2 (en) * 2008-10-30 2011-05-31 Caterpillar Forest Products Inc. Wiper control arrangement
US8147080B2 (en) * 2009-04-01 2012-04-03 Thales Avionics, Inc. Vehicle entertainment and communication system personal control unit with racetrack lighting design
JP2011116253A (ja) * 2009-12-03 2011-06-16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
KR20110071684A (ko) * 2009-12-21 2011-06-29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암레스트와 일체로 구비된 건설기계의 조작장치
JP2011157751A (ja) * 2010-02-02 2011-08-18 Hitachi Constr Mach Co Ltd 油圧作業機
JP5092005B2 (ja) * 2010-10-08 2012-12-05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建設機械のキャブ
JP5113921B2 (ja) * 2011-03-18 2013-01-09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ホイールローダ
JP5498442B2 (ja) * 2011-06-24 2014-05-21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作業車両用表示装置、および作業車両用表示装置の制御方法
WO2013051609A1 (ja) * 2011-10-05 2013-04-11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5833496B2 (ja) * 2012-05-14 2015-12-16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車両用携帯機
JP5992727B2 (ja) * 2012-05-28 2016-09-14 ヤンマー株式会社 旋回作業車
DE102012212723A1 (de) * 2012-07-19 2014-01-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rfahren zur Sicherung eines hinteren Klimasteuergeräts einer Klimaanlage
US9458600B2 (en) * 2013-05-15 2016-10-04 Deere & Company Method for controlling an implement associated with a vehicle
JP6229419B2 (ja) * 2013-10-03 2017-11-15 スズキ株式会社 ハンドルスイッチ装置
EP3411325B1 (en) * 2016-02-05 2022-09-28 Crown Equipment Corporation Control elements for materials handling vehicles
JP2017210729A (ja) 2016-05-23 2017-11-30 住友建機株式会社 ショベル
US10372126B2 (en) * 2016-05-27 2019-08-06 Cnh Industrial America Llc Dynamic in-cabin autonomous vehicle control systems
JP6542179B2 (ja) 2016-10-13 2019-07-10 有限会社海昌 芯材埋設工法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3499A (ja) * 1999-04-19 2000-10-31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用キャブ
JP2001065000A (ja) * 1999-08-31 2001-03-13 Calsonic Kansei Corp 建設機械の操作レバー
JP2001262626A (ja) 2000-03-22 2001-09-26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
WO2003040015A1 (fr) * 2001-11-05 2003-05-15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Ltd. Dispositif de levier de commande d'une machine de construction et machine de construction
JP2004156334A (ja) 2002-11-07 2004-06-03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作業機械
JP2005141999A (ja) 2003-11-06 2005-06-02 Kojima Press Co Ltd 複合スイッチ装置
JP2005299132A (ja) 2004-04-08 2005-10-27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建設機械における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2008069696A (ja) 2006-09-13 2008-03-27 Sumitomo (Shi) Construction Machinery Manufacturing Co Ltd 建設機械のスロットルボリューム装置
US20110036603A1 (en) * 2008-03-07 2011-02-17 Martin Lavern Ruhter Grader Controls At Armrest
JP2013041797A (ja) 2011-08-19 2013-02-28 Panasonic Corp シートキーと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16037704A (ja) 2014-08-05 2016-03-22 住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89507A1 (ja) 2019-10-03
EP3779058B1 (en) 2023-10-04
EP3779058A4 (en) 2021-06-09
JPWO2019189507A1 (ja) 2021-04-08
JP7267996B2 (ja) 2023-05-02
CN111655937A (zh) 2020-09-11
EP3779058A1 (en) 2021-02-17
US20210010233A1 (en) 2021-01-14
KR20200130238A (ko) 2020-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2954B1 (ko) 건설기계
KR101164295B1 (ko) 작업기의 표시 장치
EP1799482B1 (en) Variable resolution control system
KR101090619B1 (ko) 작업기의 표시 장치
US7730646B2 (en) Swivel work machine
KR101747271B1 (ko) 건설기계
KR101898105B1 (ko) 작업 기계의 표시 장치
WO2020196516A1 (ja) ショベル
KR20170068569A (ko) 작업 차량
EP2634316B1 (en) Work vehicle
CN111601935A (zh) 挖土机
JP2021121765A (ja) 作業機の油圧システム
US12024858B2 (en) Shovel and shovel operating device
CN110268149A (zh) 作业机
US10450724B2 (en) Work vehicle collective switch apparatus and work vehicle equipped with collective switch apparatus
JPH09165797A (ja) 作業機械の操作装置
JP7094679B2 (ja) 作業車両
JP3839364B2 (ja) 建設機械の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4690352B2 (ja) 建設機械の走行制御装置
JP2004308434A (ja) トラクタの操作装置
JPH0511404U (ja) 操作パネルのボリユームスイツチ
JP2001213198A (ja) 建設機械の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